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4-09)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6-04-09 기출문제)

목록

1. 직접기초의 접지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립기초의 기초판 저면의 도심에 수직하중의 합력이 작용할 때에는 접지압이 균등하게 분포된 것으로 가정하여 산정할 수 있다.
  2. 복합기초의 접지압은 직선분포로 가정하고 하중의 편심을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다.
  3. 연속기초의 접지압은 각 기둥의 지배면적 범위 안에서 균등하게 분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산정할 수 있다.
  4. 온통기초는 그 강성이 충분할 때 독립기초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정답률: 88%)
  • 온통기초는 그 강성이 충분할 때 독립기초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온통기초는 기존의 독립기초와 달리 기초판 전체를 하나의 단일한 단면으로 취급하는 것이 특징이며, 따라서 기존의 독립기초와는 다른 산정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목구조의 방부공법 설계에서 주의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雨)처리가 불량한 설계를 피한다.
  2. 외벽에는 포수성 재료를 사용한다.
  3. 지붕모양을 복잡하게 하지 않는다.
  4. 지붕처마와 채양은 채광 및 구조상 지장이 없는 한 길게 한다.
(정답률: 77%)
  • "외벽에는 포수성 재료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목구조의 방부공법 설계에서는 외벽에 방수성 재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포수성 재료는 물을 흡수하여 부식이나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방수성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장을 받는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착길이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fy)에 비례한다.
  2. 정착길이 산정 시 사용되는 값은 70MPa를 초과할 수 없다. (fck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3. 정착길이는 철근의 지름에 비례한다.
  4.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 ℓd는 항상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86%)
  • "정착길이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fy)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정착길이 산정 시 사용되는 값은 70MPa를 초과할 수 없다. (fck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값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fck)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70MPa를 초과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적식 구조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린벽은 두께방향으로 단위 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
  2. 세로줄눈은 수직으로 평면을 교차하는 모르타르 접합부이다.
  3. 테두리보는 조적조에 보강근으로 보강된 수평부재이다.
  4. 프리즘은 그라우트 또는 모르타르가 포함된 단위조적의 개체로 조적조의 성질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체이다.
(정답률: 59%)
  • 정답: "대린벽은 두께방향으로 단위 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가 옳지 않은 정의이다. 대린벽은 조적벽체의 내부에 위치한 보강벽체로, 조적벽체와는 구성 방식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강재의 고력볼트에 의한 마찰접합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2.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집중이 크므로 반복응력에 대하여 약하다.
  3. 설계미끄럼강도는 구멍의 종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4. 설계미끄럼강도는 전단면의 수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정답률: 67%)
  • 강재의 고력볼트에 의한 마찰접합은 일반볼트접합과 달리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고력볼트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접합력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마찰력이 유지되어 접합력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일반볼트접합과 비교하여 응력방향이 바뀌더라도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은 경간 2m인 단순보에 중력방향으로 등분포하중 w=10 kN/m가 작용할 때, 경간 중앙에서 휨모멘트가 0(영)이 되기 위한 상향 집중하중 P의 크기[kN]는?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7%)
  • 해당 보의 중앙에서 휨모멘트가 0이 되기 위해서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앙에서 좌측과 우측의 반력이 같아야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좌측 반력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좌측 반력 = (w × L) / 2 = (10 × 2) / 2 = 10 kN

    따라서 우측 반력도 10 kN이 되어야 하므로, 상향 집중하중 P는 10 k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물 및 공작물의 유지ㆍ관리 중 구조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증축을 위한 구조검토
  2. 리모델링을 위한 구조검토
  3. 용도변경을 위한 구조검토
  4.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ㆍ확인
(정답률: 69%)
  •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구조검토ㆍ확인은 이미 설계가 완료된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구조안전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검토된 설계에 대한 변경사항이 구조안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책임구조기술자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합성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성보 설계 시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75%에 도달하기 전에 작용하는 모든 시공하중은 강재단면 만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야 한다.
  2. 강재보와 데크플레이트슬래브로 이루어진 합성부재에서 데크플레이트의 공칭골깊이는 75mm 이하이어야 한다.
  3. 충전형 합성기둥에서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5% 이상으로 한다.
  4. 합성단면의 공칭강도를 결정하는 데에는 소성응력분포법과 변형률적합법의 2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79%)
  • 충전형 합성기둥에서 강관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5% 이상으로 한다. - 이유는 충전형 합성기둥에서 강관은 합성기둥의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단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총단면적의 5% 이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보에 배근되는 스터럽의 최소피복두께[mm]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8%)
  •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보는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기 때문에 스터럽의 최소피복두께는 1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 변의 길이가 600mm인 정사각형 기둥이 고정하중 1,700 kN과 활하중 1,300 kN을 지지할 때 이 기둥에 대한 정사각형 독립기초의 최소 크기[m2]는? (단, 기초 무게 및 상재하중은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10%로 가정하며 허용지내력 qa는 300 kN/m2이다)

  1. 9
  2. 11
  3. 13
  4. 15
(정답률: 62%)
  • 기둥에 작용하는 총 하중은 2,000 kN이다. 기초의 최소 크기를 구하기 위해, 기초가 받아야 하는 총 하중을 구해야 한다.

    기초가 받아야 하는 총 하중 = (고정하중 + 활하중) × 1.1 + 기초 무게

    = (1,700 kN + 1,300 kN) × 1.1 + (600 mm × 600 mm × 2,000 kg/m3 × 0.6 m) × 9.81 m/s2

    = 3,960 kN

    기초가 받아야 하는 총 하중을 허용지내력으로 나누면, 기초의 최소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기초의 최소 크기 = 기초가 받아야 하는 총 하중 ÷ 허용지내력

    = 3,960 kN ÷ 300 kN/m2

    = 13.2 m2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축구조기준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층간변위각:층간변위를 층 높이로 나눈 값
  2. 지진구역:동일한 지진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지역
  3. 형상비:건축물 높이 H를 바닥면 평균길이 √BD로 나눈 비율(B:건물폭, D:건물깊이)
  4. 가스트영향계수: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 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 부근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
(정답률: 75%)
  • 가스트영향계수는 정점 부근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점 부근에서 발생하는 난류로 인해 건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계산하기 위한 계수이다. 따라서 "가스트영향계수: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 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 부근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근콘크리트 보의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일단면을 가지는 탄성보의 처짐은 보 단면의 이차모멘트에 반비례한다.
  2.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3. 하중작용에 의한 순간처짐은 부재강성에 대한 균열과 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성처짐공식을 사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4.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 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평지붕구조의 활하중 L에 의한 순간처짐한계는 ℓ/180이다. (ℓ:보의 경간)
(정답률: 84%)
  •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압축철근비가 낮을수록 보의 굽힘강도가 낮아져서 보의 처짐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철근비를 높이는 것이 보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구조에 사용되는 강재 및 철근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조립을 위해 교차되는 철근은 용접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책임기술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용접할 수 있다.
  2. 보강용 철근은 이형철근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나선철근이나 강선으로 원형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3. 철근, 철선 및 용접철망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400MPa를 초과하는 경우, fy값은 변형률 0.003에 상응하는 응력값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4.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철근이 배치된 경우 상하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 때 상하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74%)
  • "철근, 철선 및 용접철망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400MPa를 초과하는 경우, fy값은 변형률 0.003에 상응하는 응력값으로 사용하여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철근, 철선 및 용접철망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400MPa를 초과하는 경우, 재료의 강도가 높아져 변형률이 작아지기 때문에, 디자인 응력을 계산할 때 fy값 대신 변형률 0.003에 상응하는 응력값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적식 구조의 경험적 설계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안정성을 위해 전단벽이 요구되는 각 방향에 대하여 해당 방향으로 배치된 전단벽길이의 합계가 건물의 장변길이의 50%이상이어야 한다.
  2. 조적벽이 횡력에 저항하는 경우에는 전체높이가 13 m, 처마높이가 9m 이하이어야 경험적 설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횡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적전단벽의 공칭두께는 최소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4. 횡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전단벽들은 횡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정답률: 39%)
  • "횡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전단벽들은 횡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전단벽은 횡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장축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강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재의 용접성은 탄소량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
  2. 강재의 인장시험 시 네킹현상으로 인해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든다.
  3. 푸아송비는 인장이나 압축을 받는 부재의 하중 작용방향의 변형도에 대한 직교방향 변형도 비의 절댓값으로 정의되며, 강재의 경우 0.3이다.
  4. 인성은 항복점 이상의 응력을 받는 금속재료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파괴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이다.
(정답률: 73%)
  • "강재의 인장시험 시 네킹현상으로 인해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든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성은 금속재료가 항복점 이상의 응력을 받았을 때 파괴되지 않고 계속해서 변형을 일으키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강재의 내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강재의 용접성은 탄소량에 따라 큰 영향을 받습니다. 탄소량이 많을수록 용접성이 나쁘고, 탄소량이 적을수록 용접성이 좋습니다.

    강재의 인장시험 시 네킹현상은 응력이 증가하면서 금속재료가 지역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듭니다.

    푸아송비는 금속재료가 변형될 때, 하중 작용방향의 변형도에 대한 직교방향 변형도 비의 절댓값으로 정의됩니다. 강재의 경우, 푸아송비는 보통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간이력해석에서 설계지진파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이력해석은 지반조건에 상응하는 지반운동기록을 최소한 2개 이상 이용하여 수행한다.
  2. 3차원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반운동은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2성분의 쌍으로 구성된다.
  3. 계측된 지반운동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한 수만큼 적절한 모의 지반운동의 쌍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지반운동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직교하는 2성분에 대해서 동일한 배율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지반운동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직교하는 2성분에 대해서 동일한 배율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반조건에 상응하는 지반운동기록을 최소한 2개 이상 이용하여 수행한다."가 아닌 것이다. 시간이력해석은 지반운동을 예측하기 위해 지반조건에 상응하는 지반운동기록을 최소한 1개 이상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소한 2개 이상의 지반운동기록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강구조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슬롯용접에서 유효단면에 평행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의 0.6배를 사용한다.
  2. 모살용접에서 용접선에 평행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의 0.6배를 사용한다.
  3. 완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압축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를 사용한다.
  4. 부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를 사용한다.
(정답률: 33%)
  • 부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를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부분용입용접에서는 용접부위의 일부분만 용접선이 침입하므로, 유효단면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를 용접모재 항복강도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콘크리트옹벽의 안정 확보를 위한 검토 항목이 아닌 것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진동에 대한 안정
  3. 지지력에 대한 안정
  4.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
(정답률: 66%)
  • 철근콘크리트옹벽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검토 항목 중에서 "진동에 대한 안정"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는 옹벽이 진동에 대한 안정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진동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옹벽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옹벽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검토 항목으로는 "전도에 대한 안정", "지지력에 대한 안정",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내진설계를 위한 등가정적해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밑면전단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진응답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2. 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구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
  3. 건축물의 고유주기는 건축물의 전체 높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4. 밑면전단력은 유효 건물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54%)
  • "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구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내진설계를 위한 등가정적해석법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구성을 고려하여 반응수정계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진응답계수와 밑면전단력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건축물의 고유주기는 건물의 높이와는 관련이 있지만, 구조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밑면전단력은 건물의 중량과는 관련이 있지만, 지진응답계수와 반응수정계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구조 휨부재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휨부재의 따냄은 가능한 한 피하며, 특히 부재의 인장측에서의 따냄을 피한다.
  2. 따냄깊이가 보 춤의 1/6 그리고 따냄길이가 보 춤의 1/3이하인 경우, 휨부재의 강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한다.
  3. 단순보의 경간은 양지점의 안쪽측면거리에 각 지점에서 필요한 지압길이의 1/3을 더한 값으로 한다.
  4. 보안정계수는 휨하중을 받는 보가 횡방향변위를 일으킬 가능성을 고려한 보정계수이다.
(정답률: 69%)
  • 단순보의 경간은 양지점의 안쪽측면거리에 각 지점에서 필요한 지압길이의 1/3을 더한 값으로 한다. 이유는 보의 경간이 넓을수록 지압력이 분산되어 휨부재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