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학자와 이론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2. 우리나라 교육기본법 제2조에 제시되어 있는 교육이념이 아닌 것은?
3. 구한말 고종이 선포한 '교육입국조서'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유럽 중세의 교육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5. 평생교육의 개념에 어긋나는 것은?
6. 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7. 다음 글은 유아기 교육에 관한 어느 교육 사상가의 교육지침이다. 누구의 어떤 사상을 설명한 것인가?
8. 수빈이의 행동 중 피아제(Piaget)의 구체적 조작기(period of concrete operations)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예는?
9. 상담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11. 고대 로마의 교육에 대한 진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2. 학교선택제의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3. 교수-학습방법 및 교육문제에 대한 교육공학적 접근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다음 글에서 설명하는 교육정책평가의 방법은?
15. 유럽연합(EU)의 최근 평생학습 동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6. 인터넷과 웹의 등장으로 이러닝(e-learning)의 활용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닝의 개념 및 정의는 학자마다 다를 수 있지만, 흔히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형태를 총칭한다. 이러닝의 활용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7. 한 개의 평가도구가 좋은 검사도구 또는 좋은 평가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와 같은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들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다음은 포트폴리오(portfolio) 평가에 대한 기술이다. 포트폴리오평가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 표준점수(standard score)는 어떤 척도에 해당하는가?
20. 다음 글에서 선택적 장학 중 약식장학의 주요 특징만 묶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