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4-11)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2009-04-11 기출문제)

목록

1. 작물의 파종량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예용, 녹비용 재배는 채종용보다 파종량을 늘려 준다.
  2. 토양이 척박하고 시비량이 적을 때는 파종량을 늘려 준다.
  3. 맥류는 산파보다 조파시 파종량을 늘려 준다.
  4. 발아력이 감퇴한 종자는 파종량을 늘려 준다.
(정답률: 93%)
  • "발아력이 감퇴한 종자는 파종량을 늘려 준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맥류는 산파보다 조파시 파종량을 늘려 준다는 이유는 맥류가 더 따뜻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파시에는 더 많은 맥류를 심어서 생육환경을 개선시키고 수확량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리의 습해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숙유기물이나 황산근 비료를 시용하지 않는다.
  2. 객토, 토양개량제 등을 시용한다.
  3. 휴립하여 토양용기량을 증대시킨다.
  4. 내습성 품종으로 까락이 짧은 것이 적합하다.
(정답률: 82%)
  • "내습성 품종으로 까락이 짧은 것이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까락이 짧은 내습성 품종은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까락이 긴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작물의 일장 및 온도 반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자는 저온ㆍ단일 조건에서 덩이줄기가 형성된다.
  2. 고구마는 단일ㆍ변온 조건에서 덩이뿌리의 비대가 촉진된다.
  3. 벼 조생종은 감광성이 강하고 감온성은 약하다.
  4. 맥류에서 춘화된 식물은 고온ㆍ장일 조건에서 출수가 촉진된다.
(정답률: 87%)
  • "벼 조생종은 감광성이 강하고 감온성은 약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벼는 감광성과 감온성이 모두 강합니다. 즉, 일조와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벼가 잘 자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이삭밸때(수잉기)와 출수기 때의 저온으로 발생하는 냉해의 형태는?

  1. 지연형 냉해
  2. 장해형 냉해
  3. 혼합형 냉해
  4. 병해형 냉해
(정답률: 93%)
  • 이삭밸때(수잉기)와 출수기 때의 저온으로 발생하는 냉해는 장해형 냉해입니다. 이는 물이 얼어서 물속에 있는 식물들이 얼음 위로 떠오르게 되는 현상으로, 물속에서 얼음이 형성되면서 물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얼음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속에서 식물들이 얼음 위로 떠오르면서 냉해로 인해 식물들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농업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맥류의 추파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따뜻한 지역이나 늦은 봄에 파종하기에 알맞다.
  2. 추파성이 낮은 품종은 가을에 일찍 파종하면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다.
  3.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늦은 봄에 파종하면 좌지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4.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가을에 늦게 파종하면 출수가 늦어진다.
(정답률: 80%)
  • 정답은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가을에 늦게 파종하면 출수가 늦어진다."입니다. 이유는 추파성이 높은 품종은 추위에 강하게 대처하기 위해 출수를 늦게 하여 겨울철에도 생존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을에 늦게 파종하면 출수가 늦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밀의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밀알이 굵고 껍질이 얇으면 배유율이 낮다.
  2. 강력분은 박력분에 비해 부질(gluten) 함량이 높다.
  3. 회분함량이 높을수록 좋은 밀가루가 된다.
  4. 질소시용량이 적을수록 단백질함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92%)
  • 강력분은 박력분에 비해 부질(gluten) 함량이 높다는 것은, 밀가루에서 부질 함량이 높을수록 반죽 시 탄력성이 높아지고 구조가 강해지기 때문에 더 많은 가스를 포착하여 부풀어 오르는 능력이 높아지고, 따라서 더 부드러운 식빵이나 크로와상 등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반죽을 오래 발효시켜 빵의 향과 맛을 더욱 깊게 살릴 수 있는 빵에는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효분얼과 무효분얼의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엽속도
  2. 분얼의 출현시기
  3. 초장률
  4. 엽면적지수
(정답률: 85%)
  • 엽면적지수는 유효분얼과 무효분얼의 진단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유효분얼과 무효분얼의 진단방법은 출엽속도, 분얼의 출현시기, 초장률 등이 있습니다. 엽면적지수는 잎의 크기와 모양 등을 평가하는 지수로, 작물의 생육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옥수수의 크세니아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백립종에 황립종의 꽃가루가 수정되어 F1 잡종의 배가 백색이 되는 것
  2. 백립종에 황립종의 꽃가루가 수정되어 F1 잡종의 배유가 황색이 되는 것
  3. 백립종에 황립종의 꽃가루가 수정되어 F1 잡종의 배유가 백색이 되는 것
  4. 백립종에 황립종의 꽃가루가 수정되어 F1 잡종의 배가 황색이 되는 것
(정답률: 93%)
  • 옥수수의 크세니아 현상은 백립종과 황립종의 교잡에서 F1 세대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백립종에 황립종의 꽃가루가 수정되어 F1 잡종의 배유가 황색이 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이는 유전자의 우세-우성 현상으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볍씨 침종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침종기간이 길어지면 발근이 불량해진다.
  2. 침종은 수온이 높은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침종 기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길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4. 볍씨의 수분함량이 50% 정도가 될 때까지 침종한다.
(정답률: 93%)
  • 정답: 침종기간이 길어지면 발근이 불량해진다.

    이유: 침종기간이 길어지면 씨앗 내부의 영양분이 고갈되어 발근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침종기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에서 설명하는 작물은?

  1. 옥수수
  2. 수수
  3. 메밀
  4. 기장
(정답률: 100%)
  • 위의 그림은 메밀의 잎과 열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벼의 생식생장에서 이삭의 발육과정으로 옳은 것은?

  1. 2차 이삭가지 분화 → 감수분열 → 이삭꽃(영화) 분화 → 화분발달
  2. 2차 이삭가지 분화 → 이삭꽃(영화) 분화 → 감수분열 → 화분발달
  3. 이삭꽃(영화) 분화 → 감수분열 → 2차 이삭가지 분화 → 화분발달
  4. 이삭꽃(영화) 분화 → 2차 이삭가지 분화 → 감수분열 → 화분발달
(정답률: 85%)
  • 정답은 "2차 이삭가지 분화 → 이삭꽃(영화) 분화 → 감수분열 → 화분발달"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차 이삭가지 분화: 이삭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삭가지가 형성되어야 합니다. 이삭가지는 벼의 생식생장에서 2차 이삭가지 분화로 형성됩니다.

    2. 이삭꽃(영화) 분화: 이삭가지에서 이삭꽃(영화) 분화가 일어나면서 이삭이 형성됩니다. 이삭꽃(영화) 분화는 이삭의 발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3. 감수분열: 이삭꽃(영화) 분화 이후에는 감수분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감수분열은 이삭의 발육과정에서 씨앗이 형성되는 단계입니다.

    4. 화분발달: 감수분열 이후에는 화분발달이 일어나게 됩니다. 화분발달은 씨앗이 성장하면서 벼의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벼의 물관리에서 중간낙수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의 신장 억제
  2. 질소의 과잉흡수 억제
  3. 내도복성 증가
  4. 무효분얼 억제
(정답률: 77%)
  • 중간낙수는 벼의 생육기에 물을 공급하여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중간낙수로 인해 뿌리의 신장이 억제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중간낙수로 인해 뿌리가 물을 적게 흡수하게 되면서 뿌리의 성장이 억제되고, 이는 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뿌리의 신장 억제"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벼의 조기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랭지에서 만생종을 조기에 육묘하여 일찍 이앙하는 재배법이다.
  2. 생육기간이 짧은 북부지역 및 산간고랭지에서 알맞은 재배법이다.
  3. 출수기를 다소 늦추게 되므로 생육 후기의 냉해를 줄일 수 있다.
  4. 고온발아성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93%)
  • 벼의 조기재배는 생육기간이 짧은 북부지역 및 산간고랭지에서 알맞은 재배법이다. 이는 이 지역에서는 추운 기후로 인해 벼의 생육기간이 짧기 때문에, 조기에 육묘하여 일찍 수확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콩 뿌리혹박테리아(근류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호기성으로 인공접종이 불가능하다.
  2. 토양산도 pH6.45~7.21 범위에서 질소고정이 왕성하다.
  3. 토양온도는 25~30°C의 범위에서 번식과 활동이 왕성하다.
  4. 부식이 많은 토양조건에서 질소고정이 왕성하다.
(정답률: 87%)
  • "호기성으로 인공접종이 불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호기성 균은 인공적으로 배양되어도 생존할 수 있으며, 인공적으로 배양된 균을 이용한 접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구마의 생리ㆍ생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괴근형성 및 비대에 불리하다.
  2. 단일처리와 접목방법은 개화유도 및 촉진에 효과적이다.
  3. 열대산은 전분함량과 당분함량이 높다.
  4. 건조한 토양에서 재배하면 심부병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90%)
  • "열대산은 전분함량과 당분함량이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고구마는 열대성 작물로, 열대 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지역에서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해 고구마가 빠르게 성장하고, 이로 인해 전분과 당분이 축적됩니다. 따라서 고구마는 열대 지역에서 재배할 때 전분함량과 당분함량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작물로 옳은 것은?

  1. 땅콩, 팥, 동부
  2. 벼, 보리, 밀
  3. 옥수수, 기장, 메밀
  4. 고구마, 감자, 토란
(정답률: 100%)
  • 땅콩, 팥, 동부는 뿌리에 공생하는 농산물로, 뿌리에 살아있는 미생물이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켜줍니다. 이에 반해 벼, 보리, 밀 등은 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이 없어 공중질소를 고정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전공학기술에 의해 개발된 GMO 작물과 그 특성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황금쌀(Golden rice)-비타민 C 보강
  2. 라운드업레디(Roundup ready) 콩-제초제저항성
  3. 플라브르-사브르(Flavr-Savr) 토마토-착색성 증진
  4. Bt-면화-바이러스저항성
(정답률: 85%)
  • 라운드업레디(Roundup ready) 콩은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제초제인 라운드업을 뿌려도 죽지 않고 자라는 콩을 개발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제초작업이 용이해지고 더욱 효율적인 농업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벼의 수확 및 수확 후 관리기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벼 중만생종의 적합한 수확시기는 출수 후 50~55일경이다.
  2. 수확 후 곡물을 화력건조하려면 적정온도를 70°C로 유지 해야한다.
  3. 쌀 저장시 적정 수분함량은 22~25%이다.
  4. 대표적인 저곡해충은 벼멸구이다.
(정답률: 43%)
  • "벼 중만생종의 적합한 수확시기는 출수 후 50~55일경이다."라는 설명은 벼 중만생종의 수확시기를 가장 적절하게 결정하는 기준이 출수 후 경과 일수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출수 후 50~55일경이 적절한 이유는 이 기간에 벼의 수분함량과 단백질 함량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 수확하면 벼의 품질이 가장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멥쌀과 찹쌀의 구분 기준이 되는 이화학적 특성은?

  1. 아밀로스 함량
  2. 글루테린 함량
  3. 올레산 함량
  4. 심복백 유무
(정답률: 87%)
  • 멥쌀과 찹쌀의 구분 기준은 아밀로스 함량입니다. 아밀로스는 전분의 일종으로, 멥쌀은 아밀로스 함량이 높고 찹쌀은 아밀로스 함량이 낮습니다. 따라서 아밀로스 함량을 측정하여 멥쌀과 찹쌀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멥쌀과 찹쌀의 구분과는 무관한 다른 화학적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동질배수체 작물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가 커지고 영양기관의 발육이 왕성하여 거대화한다.
  2. 작물의 생육, 개화, 성숙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3. 임성이 저하하며 높은 것은 70%, 낮은 것은 10%이하가 된다.
  4. 영양번식작물보다 종자번식작물에서 이용성이 높다.
(정답률: 100%)
  • 영양번식작물보다 종자번식작물에서 이용성이 높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종자번식작물은 영양번식작물에 비해 생육속도가 느리고 수확량이 적으며, 작물의 생육, 개화, 성숙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용성이 높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