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08)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2017-04-0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물로만 묶은 것은?

  1. 호밀, 메밀, 고구마
  2. 밀, 보리, 호밀
  3. 콩, 땅콩, 옥수수
  4. 벼, 밀, 보리
(정답률: 59%)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작물은 벼, 밀, 보리이며, 이들은 모두 곡물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곡물이 아닌 콩, 땅콩, 옥수수, 호밀, 메밀, 고구마 등 다른 작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야생식물에서 재배식물로 순화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가 아닌 것은?

  1. 종자의 탈락성 획득
  2. 수량 증대에 관여하는 기관의 대형화
  3. 휴면성 약화
  4. 볏과작물에서 저장전분의 찰성 증가
(정답률: 90%)
  • 야생식물에서 재배식물로 순화하는 과정 중에 "종자의 탈락성 획득"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는 이미 종자를 가지고 있던 야생식물이 재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종자의 탈락성 획득은 종자가 자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재배식물에서는 이미 이러한 종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은 저하하고 자연상태에서는 2년이 지나면 발아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2. 이삭의 상위에 있는 종자는 하위에 있는 종자보다 비중이 크고 발아가 빠르다.
  3. 광은 발아에는 관계가 없지만 발아 직후부터는 유아 생장에 영향을 끼친다.
  4. 발아는 수분 흡수에 의해 시작되고 수분 흡수속도는 온도와 관계가 없다.
(정답률: 75%)
  • "발아는 수분 흡수에 의해 시작되고 수분 흡수속도는 온도와 관계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분 흡수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받으며, 높은 온도에서는 빠르게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가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품질 쌀의 외관과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쌀알의 모양이 단원형이다.
  2. 쌀알이 투명하고 맑으며 광택이 있다.
  3. 단백질 함량이 7% 이하로 낮다.
  4. 아밀로오스 함량이 40% 이상으로 높다.
(정답률: 86%)
  • 아밀로오스 함량이 40% 이상으로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아밀로오스는 쌀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지만, 일반적으로 25-30% 정도의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40% 이상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비정상적인 수치이며, 쌀의 품질을 나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밭작물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풋콩은 일반적으로 조생종이며 당 함량이 높고 무름성이 좋다.
  2. 사료용으로 많이 재배되는 옥수수의 종류는 마치종이다.
  3. 2기작용 감자 품종들은 괴경의 휴면기간이 120~150일 정도이다.
  4. 밀에서 직립형 품종은 근계의 발달 각도가 좁고 포복형 품종은 그 각도가 크다.
(정답률: 64%)
  • 2기작용 감자 품종들은 괴경의 휴면기간이 120~150일 정도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 2기작 감자는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하는 일반 감자와 달리, 가을에 심어 다음 봄에 수확하는 감자 품종입니다. 따라서 괴경의 휴면기간이 길어야 하며, 120~150일 정도가 적당한 기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의 분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온에서 주야간의 온도교차가 클수록 분얼이 증가한다.
  2. 분얼이 왕성하기 위해서는 활동엽의 질소 함유율이 2.5% 이하이고 인산 함량은 0.25%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모를 깊게 심거나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개체당 분얼수 증가가 억제된다.
  4. 광의 강도가 강하면 분얼수가 증가하는데 특히 분얼 초기와 중기에 그 영향이 크다.
(정답률: 67%)
  • "분얼이 왕성하기 위해서는 활동엽의 질소 함유율이 2.5% 이하이고 인산 함량은 0.25% 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얼이 왕성하기 위해서는 활동엽의 질소 함유율이 3%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인산 함량은 0.3%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의 최적 비율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벼의 생육기간 중 무기양분과 영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숙기에 체내 농도가 가장 높은 무기성분은 질소이다.
  2. 체내 이동률은 인과 황이 칼슘보다 높다.
  3. 줄기와 엽초의 전분 함량은 출수할 때까지 높다가 등숙기 이후에는 감소한다.
  4. 철과 마그네슘은 출수 전 10~20일에 1일 최대흡수량을 보인다.
(정답률: 54%)
  • "호숙기에 체내 농도가 가장 높은 무기성분은 질소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 체내 이동률은 인과 황이 칼슘보다 높다: 옳은 설명입니다. 인과 황은 농도가 낮아도 식물이 필요에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줄기와 엽초의 전분 함량은 출수할 때까지 높다가 등숙기 이후에는 감소한다: 옳은 설명입니다. 출수할 때까지 전분이 축적되다가 수확 후 등숙기에는 전분이 분해되어 감소합니다.
    - 철과 마그네슘은 출수 전 10~20일에 1일 최대흡수량을 보인다: 옳은 설명입니다. 철과 마그네슘은 출수 전에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대 흡수량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벼의 광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견상광합성량은 대체로 기온이 35°C일 때보다 21°C일 때가 더 높다.
  2. 단위엽면적당 광합성능력은 생육시기 중 수잉기에 최고로 높다.
  3. 1개체당 호흡은 출수기경에 최고가 된다.
  4. 출수기 이후에는 하위엽이 고사하여 엽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잎이 노화되어 포장의 광합성량이 떨어진다.
(정답률: 54%)
  • "1개체당 호흡은 출수기경에 최고가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식물은 광합성과 함께 호흡도 함께 진행되며, 호흡은 광합성과 반대로 산소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광합성이 가장 높은 수잉기에는 호흡량도 높아지므로, 1개체당 호흡량이 출수기경에 최고가 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단위엽면적당 광합성능력은 생육시기 중 수잉기에 최고로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수잉기에는 광합성에 필요한 엽록소와 기타 조직들이 최대한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엽면적당 광합성능력이 가장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밀알 및 밀가루의 품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수기 전후의 질소 만기추비는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킨다.
  2. 밀가루에 회분함량이 높으면 부질의 점성이 높아져 가공적성이 높아진다.
  3. 입질이 초자질인 것은 분상질보다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무질소침출물은 낮다.
  4. 밀 단백질의 약 80%는 부질로 되어 있고 부질의 양과 질이 밀가루의 가공적성을 지배한다.
(정답률: 77%)
  • "밀가루에 회분함량이 높으면 부질의 점성이 높아져 가공적성이 높아진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밀가루의 회분함량이 높을수록 부질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부질은 밀의 견과부에 위치하며, 밀가루의 가공적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부질은 밀가루의 점성을 높이고, 수분을 흡수하여 가공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회분함량이 높은 밀가루는 부질의 비율이 높아져 가공적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과 보리의 뿌리, 줄기, 잎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밀은 보리보다 더 심근성이므로 수분과 양분의 흡수력이 강하고 건조한 척박지에서도 잘 견딘다.
  2. 밀은 보리보다 줄기가 더 빳빳하여 도복에 잘 견딘다.
  3. 밀은 보리보다 엽색이 더 진하며 그 끝이 더 뾰족하고 늘어진다.
  4. 밀은 보리에 비해 엽설과 엽이가 더 잘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74%)
  • "밀은 보리보다 엽설과 엽이가 더 잘 발달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밀은 보리보다 엽설과 엽이가 더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는 밀이 보리보다 더 많은 광합성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밀은 보리보다 엽색이 더 진하며 그 끝이 더 뾰족하고 늘어집니다. 이러한 특성은 밀이 더 많은 탄소를 공급받아 광합성을 더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벼의 수량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실 수량은 출수 전 광합성산물의 축적량과 출수 후 동화량에 영향을 받는다.
  2. 물질수용능력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이앙 후부터 출수 전 1주일까지 질소시용량과 일조량에 큰 영향을 받는다.
  3. 일조량이 적을 때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많으면 현미수량은 높아진다.
  4. 등숙 중 17°C 이하에서는 동화산물인 탄수화물이 이삭으로 옮겨지는 전류가 억제된다.
(정답률: 83%)
  • "일조량이 적을 때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많으면 현미수량은 높아진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일조량이 적을 때, 벼는 광합성을 할 기회가 적어져서 생산량이 감소하는데, 이를 상쇄하기 위해 벼는 더 많은 영양분을 저장하려고 노력합니다. 따라서 영양분을 저장하는 영화수가 많을수록 현미수량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콩 재배에서 북주기와 순지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북주기는 줄기가 목화되기 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만생종에는 북주기의 횟수를 늘리는 것이 좋다.
  2. 북을 주면 지온조절 및 도복방지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부정근의 발생을 조장한다.
  3. 과도생장 억제와 도복 경감을 위한 순지르기는 제5엽기 내지 제7엽기 사이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만파한 경우나 생육이 불량할 때 순지르기를 하면 분지의 발육이 좋아져서 수량을 증진시킨다.
(정답률: 75%)
  • 정답은 "북을 주면 지온조절 및 도복방지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부정근의 발생을 조장한다."입니다.

    북주기는 줄기가 목화되기 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만생종에는 북주기의 횟수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북을 주면 지온조절 및 도복방지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생장 억제와 도복 경감을 위한 순지르기는 제5엽기 내지 제7엽기 사이에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만파한 경우나 생육이 불량할 때 순지르기를 하면 분지의 발육이 좋아져서 수량을 증진시킵니다.

    따라서, 북을 주면 새로운 부정근의 발생을 조장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작물들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엽맥은 망상구조이다.
  2. 관다발은 복잡하게 배열된 산재유관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종자에는 안쪽에 두 장의 자엽이 있다.
  4. 뿌리는 크고 수직으로 된 주근을 형성한다.
(정답률: 87%)
  • "관다발은 복잡하게 배열된 산재유관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옥수수 병충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을음무늬병과 깨씨무늬병은 진균병으로 7~8월에 많이 발생한다.
  2. 검은줄오갈병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곳에서 발생하는 세균병이다.
  3. 조명나방 유충은 줄기나 종실에도 피해를 주며 침투성 살충제를 뿌려주면 효과적이다.
  4. 멸강나방 유충은 떼를 지어 다니며 주로 밤에 식물체를 폭식하여 피해를 끼친다.
(정답률: 74%)
  • "검은줄오갈병은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곳에서 발생하는 세균병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검은줄오갈병은 세균병이 아니라 바이러스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고구마에 발생하는 병을 모두 고른 것은?

  1. ㄹ, ㅂ
  2. ㄴ, ㄹ, ㅁ
  3. ㄱ, ㄴ, ㄹ, ㅂ
  4. ㄷ, ㄹ, ㅁ, ㅂ
(정답률: 72%)
  • 고구마에 발생하는 병 중 "ㄱ, ㄴ, ㄹ, ㅂ"은 모두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ㄹ, ㅂ"은 곰팡이균에 의한 잎곰팡이병과 뿌리혹병이고, "ㄴ, ㄹ, ㅁ"은 곰팡이속균에 의한 노균병, 잎노균병, 뿌리노균병입니다. "ㄷ, ㄹ, ㅁ, ㅂ"은 각각 다른 원인에 의한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구마 유근의 분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 제1기형성층의 활동이 강하고 유조직의 목화가 더디면 계속 세근이 된다.
  2. 토양이 너무 건조하거나 굳어서 딱딱한 경우 또는 지나친 고온에서는 경근이 형성된다.
  3. 괴근 형성은 이식 시 토양 통기가 양호하고 토양 수분, 칼리질 비료 및 일조가 충분하면서 질소질 비료는 과다하지 않은 조건에서 잘 된다.
  4. 형성된 괴근의 비대에는 양호한 토양 통기, 풍부한 일조량, 단일 조건, 충분한 칼리질 비료 등이 유리하다.
(정답률: 66%)
  • "뿌리 제1기형성층의 활동이 강하고 유조직의 목화가 더디면 계속 세근이 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뿌리 제1기형성층은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층에서 새로운 세포들이 생성되고, 이들이 뿌리의 성장을 이끌어 나가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층의 활동이 강하다면, 뿌리는 더욱 빠르게 성장하게 됩니다. 반면에 유조직의 목화가 더디다면, 뿌리는 성장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뿌리가 계속해서 세근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동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콩에 비하여 고온발아율이 높은 편이다.
  2. 단일식물이며 대체로 자가수정을 하지만 자연교잡률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3. 개화일수에 비하여 결실일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편이며 한 꼬투리의 결실기간은 40~60일이다.
  4. 재배 시 배수가 잘 되는 양토가 알맞고 산성토양에도 잘 견디며 염분에 대한 저항성도 큰 편이다.
(정답률: 44%)
  • 옳지 않은 것은 "개화일수에 비하여 결실일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편이며 한 꼬투리의 결실기간은 40~60일이다."가 아닌 "콩에 비하여 고온발아율이 높은 편이다."입니다. 동부는 고온에도 잘 발아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콩과 옥수수 재배지에서 사용되는 토양처리형 제초제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콩, 옥수수)

  1. Glyphosate, 2,4-D
  2. 2,4-D, Glyphosate
  3. Bentazon, Bentazon
  4. Alachlor, Alachlor
(정답률: 52%)
  • 콩과 옥수수는 모두 Alachlor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Glyphosate와 2,4-D는 콩과 옥수수 모두에게 해로울 수 있으며, Bentazon은 콩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Alachlor은 콩과 옥수수 모두에게 적합한 토양처리형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모의 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아한 볍씨에서 초엽이 약 1cm 자라면 1엽이 나오기 시작한다.
  2. 초엽 이후 발생한 1엽은 엽신과 엽초가 모두 있는 완전엽이다.
  3. 초엽이 나오면서 종근이 발생한다.
  4. 엽령이란 주간의 출엽수에 의해 산출되는 벼의 생리적인 나이를 말한다.
(정답률: 83%)
  • "초엽 이후 발생한 1엽은 엽신과 엽초가 모두 있는 완전엽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초엽 이후 발생한 1엽은 엽신 또는 엽초 중 하나만을 가지는 반완전엽입니다. 완전엽은 2엽 이상이 발생한 후에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잡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율무의 자성화서는 보통 2개의 소수로 형성되지만 그중 1개는 퇴화하고 종실 전분은 메성이다.
  2. 조에서 봄조는 감온형이고 그루조는 단일감광형인데 봄조는 그루조보다 먼저 출수하여 성숙한다.
  3. 기장은 심근성으로 내건성이 강하고 생육기간이 짧아 산간 고지대에도 적응한다.
  4. 메밀에서 루틴은 식물체의 각 부위에 존재하며 쓴메밀의 루틴 함량은 보통메밀에 비해 매우 높다.
(정답률: 52%)
  • 잡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율무의 자성화서는 보통 2개의 소수로 형성되지만 그중 1개는 퇴화하고 종실 전분은 메성이다." 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