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항공산업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초음속 흐름속에 쐐기형 에어포일이 그림과 같이 놓여져 있다. 에어포일 주위에 충격파, 팽창파가 생기고 초음속 흐름이 지나고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틀린 것은?

  1. ①충격파 M1>M2, P1<P2
  2. ②팽창파 M2>M3, P1<P2
  3. ①충격파 M1>M2, P2>P3
  4. ②팽창파 M2<M3, P1<P2
(정답률: 66%)
  • 정답은 "②팽창파 M2>M3, P1<P2"이다.

    팽창파는 초음속 흐름에서 발생하는 파동 중 하나로, 속도가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는 파동이다. 따라서 M2보다 M3의 속도가 더 느리고, P2보다 P1의 압력이 더 높다.

    반면, 충격파는 초음속 흐름에서 발생하는 파동 중 하나로,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파동이다. 따라서 M1보다 M2의 속도가 더 빠르고, P2보다 P1의 압력이 더 낮다.

    따라서 "①충격파 M1>M2, P1<P2"와 "①충격파 M1>M2, P2>P3", "②팽창파 M2<M3, P1<P2"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항속시간으로 비행할 수 있기 위한 조건은?

  1. ()최대
  2. ()최대
  3. ()최대
  4. ()최대
(정답률: 64%)
  •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항속시간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연료소모율이 최소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연료소모율이 최소가 되는 고도와 속도에서 비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도와 속도를 조절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엔진의 효율을 최대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최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고양력 장치의 원리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최대양력 계수 CLmax의 값을 증가시켜 실속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2. 레이놀즈수를 증가시켜서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3. 날개 면적을 줄여서 날개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4. 최대 양력 계수 CLmax의 값을 증가시켜 이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54%)
  • 고양력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날개에 압력을 가해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날개의 양력을 최대화해야 합니다. 최대양력 계수 CLmax는 날개의 양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CLmax의 값을 증가시켜 날개의 양력을 최대화하고, 이에 따라 실속속도를 감소시켜 비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 : Re)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Re = ρ VL/μ = VL/ν 로 나타낼 수 있다. (ν : 동점성계수)
  2.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표시한다.
  3. Re의 단위는 cm2/sec이다.
  4. 천이현상이 일어나는 Re를 임계 레이놀즈수라 한다.
(정답률: 87%)
  • Reynolds Number는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이 비율이 어느 정도 되어야 천이현상이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임계 레이놀즈수를 구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Re의 단위는 cm2/sec이 아니라 차원 없는 숫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가 상승함에 따라 점점 상승율이 떨어진다. 절대 상승 한계에서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크다.
  2.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이 같다.
  3. 이용 마력이 필요 마력 보다 작다.
  4. 고도에 따라 마력이 변하므로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60%)
  • 비행기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엔진의 성능이 저하되어 이용 마력이 감소한다. 반면에 비행기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 저항이 감소하므로 필요 마력은 감소한다.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이 같아지는 지점은 비행기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고도인 절대 상승 한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용 마력과 필요 마력이 같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수직꼬리날개 앞 동체에 붙어 있는 도살 핀(Dorsal fin)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인가?

  1. 세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2. 가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3. 방향 안정성을 좋게 한다.
  4. 구조 강도를 좋게 한다.
(정답률: 87%)
  • 비행기의 수직꼬리날개 앞 동체에 붙어 있는 도살 핀은 방향 안정성을 좋게 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비행 중에 방향을 유지하고 회전할 때 필요한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핀의 크기와 각도는 비행기의 디자인에 따라 다르며, 이를 조절하여 비행 중에 발생하는 힘과 압력을 균형있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행기의 조종간에 걸리는 힘을 적게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사용하여 힌지 모멘트를 조절한다. 힌지 모멘트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혼 밸런스(Horn Balance)
  2. 오버행 밸런스(Overhang Balance)
  3. 서보 탭(servo tabs)
  4. 스포일러(Spoilers)
(정답률: 83%)
  • 스포일러는 비행기의 공기 저항을 증가시켜 고도를 빠르게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힌지 모멘트를 조절하는 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포일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의 피치 분포(pitch distribution)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깃 끝까지의 피치각의 점진적인 변화
  2.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깃 끝까지의 슬립각의 점진적인 변화
  3.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깃 끝까지의 받음각의 점진적인 변화
  4.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깃 끝까지의 깃각의 점진적인 변화
(정답률: 51%)
  • 프로펠러의 피치 분포는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깃 끝까지의 깃각의 점진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각 부분이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각 부분이 다른 속도로 움직이며 효율적인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실속속도가 160㎞/h이고 양항비가 15인 비행기가 마찰계수 0.06인 활주로에 착륙하는 경우, 이 비행기의 착륙 활주 거리는 약 얼마가 되는가?

  1. 1025m
  2. 886m
  3. 775m
  4. 630m
(정답률: 31%)
  • 착륙 활주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착륙 활주 거리 = (실속속도^2 / 2 * g) * (양항비 + 마찰계수 * 양항비)

    여기서 g는 중력 가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착륙 활주 거리 = (160^2 / 2 * 9.8) * (15 + 0.06 * 15) = 775m

    따라서, 이 비행기의 착륙 활주 거리는 약 77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받음각이 클 때 기체전체가 실속되고 그 결과 롤링과 요잉을 수반하므로서 나선을 그리면서 고도가 감소되는 비행 상태는?

  1. 스핀(spin) 비행 상태
  2. 더치 롤(Dutch Roll)비행 상태
  3. 크랩 방식(Crab Method)에 의한 비행 상태
  4. 윙다운 방식(Wing Down Method)에 의한 비행 상태
(정답률: 80%)
  • 스핀 비행 상태는 받음각이 클 때 발생하는 상황으로, 기체 전체가 실속되어 롤링과 요잉을 수반하면서 나선을 그리며 고도가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주로 비상 상황에서 발생하며, 기체의 안정성을 잃어버리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피드와 고도를 유지하며 적절한 조종 기술을 사용하여 이 상황을 극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행기의 실속속도가 150[m/sec] 인 비행기가 해면상 가까이 에서 60도의 경사각으로 선회 비행하는 경우 실속속도는?

  1. 150[m/sec]
  2. 173[m/sec]
  3. 212[m/sec]
  4. 300[m/sec]
(정답률: 52%)
  • 비행기의 실속속도는 고도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비행기의 속도는 항상 150[m/sec]이다.

    비행기가 60도의 경사각으로 선회 비행을 하면, 비행기의 수평속도는 비행기의 실속속도에 사인 60도를 곱한 값이 된다. 즉, 비행기의 수평속도는 150[m/sec] x sin(60도) = 130[m/sec] 이다.

    비행기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비행기의 총 속도는 속력의 제곱합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비행기의 총 속도는 √(150^2 + 130^2) = 212[m/sec]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2[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도항력 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력 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2. 항공기 속도에 비례한다.
  3. 스팬 효율 계수에 반비례한다.
  4. 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70%)
  • 항공기가 공기를 밀어내는 힘인 유도항력은 공기의 밀도, 날개의 면적, 항공기 속도, 양력 계수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항공기 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의 밀도와 유동성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유도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도항력 계수는 항공기 속도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NACA 23015 에서 ˝3˝ 의 뜻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최대 캠버의 크기가 시위의 3%
  2.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3%
  3.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
  4. 최대 두께의 위치가 시위의 15%
(정답률: 71%)
  • NACA 23015에서 "3"은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를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에어포일의 상부 곡률이 0.3이며, 이 곡률이 최대치를 나타내는 위치가 시위의 15%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최대 캠버의 크기나 최대 두께의 위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반각(Dihedral ang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선회 성능을 좋게 한다.
  2. 옆 미끄럼에 의한 옆놀이에 정적인 안정을 준다.
  3. 항력을 감소시킨다.
  4. 익단 실속을 방지한다.
(정답률: 74%)
  • 상반각은 물체의 두 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며, 비행기나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옆 미끄럼에 의한 옆놀이에 정적인 안정을 준다."는 것이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상반각이 물체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상반각이 작을수록 물체는 더욱 안정적이며, 이는 옆으로 미끄러지는 힘을 받았을 때에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상반각은 운송수단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헬리콥터에서 직교하는 세개의 X, Y, Z축에 대한 모든 힘과 모멘트 합이 각 각 0 이 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진상태
  2. 균형상태
  3. 자전상태
  4. 정지상태
(정답률: 78%)
  • 정답은 "균형상태"입니다. 이는 헬리콥터가 안정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X, Y, Z축에 대한 모든 힘과 모멘트 합이 0이 되면, 헬리콥터는 일정한 고도와 방향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형상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헬리콥터의 꼬리회전날개(tail rotor)가 외부물체등에 부딪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하여 갑자기 정지하게 되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테일 붐 마운트의 손상
  2. 테일 붐의 비틀림(Twist)
  3. 행거 베어링 마운트의 손상
  4. 테일 드라이브 샤프트의 비틀림
(정답률: 48%)
  • 헬리콥터의 꼬리회전날개는 헬리콥터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꼬리회전날개가 외부물체에 부딪치거나 갑자기 정지하게 된다면, 회전력이 갑자기 사라지게 되어 헬리콥터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이 때, 테일 드라이브 샤프트의 비틀림이 발생하면, 꼬리회전날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문제가 생겨 헬리콥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테일 드라이브 샤프트의 비틀림은 가장 거리가 먼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로펠러의 추력계수 CT 를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T:추력, n:회전속도, D:직경, ρ :밀도)

  1. T/(n2D4))
  2. T/(n2D5))
  3. T/(ρ n2D4)
  4. T/(ρ n2D5)
(정답률: 65%)
  • 프로펠러의 추력은 밀도, 회전속도, 직경, 추력계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추력을 나타내는 T를 분자로 두고, 밀도, 회전속도, 직경, 추력계수에 대한 항을 분모로 둔다. 이때, 직경의 제곱과 회전속도의 제곱이 분모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정답은 "T/(ρ n2D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옆놀이 커플링(roll coupling)을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쳐든각 효과를 감소시킨다.
  2. 방향 안정성을 증가 시킨다.
  3. 정상 비행상태에서 불필요한 공력 커플링을 감소시킨다.
  4. 정상 비행상태에서 하중배수를 제한한다.
(정답률: 41%)
  • 정상 비행상태에서 하중배수를 제한하는 것은 옆놀이 커플링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과 기체 역학적인 힘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비행기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하중배수를 제한함으로써,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옆놀이 커플링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로펠러의 허브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 6인치 간격으로 깃끝까지 나누어 표시한 것은?

  1. 스테이션(station)
  2. 커프스(cuffs)
  3. 피치(pitch)
  4. 슬립(slip)
(정답률: 73%)
  • 이것은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각 위치를 나타내는 "스테이션(station)" 번호입니다. 이것은 프로펠러의 설계 및 유지 보수에 사용됩니다. "커프스(cuffs)"는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끝 부분을 나타내며, "피치(pitch)"는 블레이드 각도를 나타내며, "슬립(slip)"은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속도 손실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비행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 한 것은?

  1. 안정성과 조종성은 정비례한다.
  2.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3. 비행기의 안정성은 크면 클 수록 바람직하다.
  4. 정적 안정성이 증가하면 조종성은 증가된다.
(정답률: 91%)
  • 안정성이란 비행기가 고도, 방향, 기울기 등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는 비행 중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에 조종성은 비행기가 조종사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는 능력을 말하며, 이는 비행 중에 비행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안정성이 높을수록 비행기는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지만, 이는 동시에 비행기가 움직이기 어렵게 만들어 조종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열은 외부의 도움없이는 스스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 하지 않는다"는 누구의 주장인가?

  1. Clausius 주장
  2. Kelvin 주장
  3. Carnot 주장
  4. Boltzman 주장
(정답률: 54%)
  • 정답: Clausius 주장

    설명: Clausius 주장은 열역학 제2법칙의 한 부분으로, 열은 항상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려고 하며, 열역학적으로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열이 항상 열역학적으로 불균형한 상태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의 도움 없이는 열은 스스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Clausius 주장이 주장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브리더 공기(Breather Air)로 부터 공기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해 기어박스(Gear Box)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1. Deoiler
  2. Oil Separate
  3. Air Separate
  4. Deairer
(정답률: 46%)
  • Deoiler는 기어박스 내부에서 공기와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공기와 오일이 혼합되어 있는 브리더 공기를 처리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합니다. 따라서 Deoiler는 공기와 오일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피스톤의 지름이 16㎝, 행정길이가 0.16m, 실린더 수가 6개인 기관의 총행정 체적은 약 몇 ℓ인가?

  1. 17.29
  2. 18.29
  3. 19.29
  4. 20.29
(정답률: 61%)
  • 총행정 체적은 실린더 수 × 피스톤 면적 × 행정길이 이므로,

    총행정 체적 = 6 × (π × (8cm)^2) × 0.16m

    = 6 × (3.14 × 64) × 0.16

    = 19.29 ℓ

    따라서 정답은 "19.2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료분사 계통의 부품이 아닌 것은?

  1. 분사 펌프
  2. 분무 노즐
  3. 흐름 분할기
  4. 주 공기 블리드
(정답률: 69%)
  • 주 공기 블리드는 연료분사 계통의 부품이 아닙니다. 이는 엔진의 공기 공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공기를 제어하여 엔진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분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력비가 1.6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3 이다. 압축기의 반동도(Φ c)를 구하면?

  1. Φ c= 0.2
  2. Φ c= 0.3
  3. Φ c= 0.5
  4. Φ c= 0.6
(정답률: 56%)
  • 압력비와 압력 상승비를 곱하면 총 압력비가 나온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6 x 1.3 = 2.08 이다. 반동도는 총 압력비에서 1을 빼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를 빼서 구한다. 따라서, 2.08 - 1.3 = 0.78 이고, 1 - 0.78 = 0.22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동도의 정의가 다른 문제와 다르게 주어졌다. 여기서는 반동도가 총 압력비에서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를 뺀 값이 아니라, 그 반대로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를 뺀 값에서 총 압력비를 나눈 것이다. 따라서, (2.08 - 1) / 2.08 = 0.52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Φ c= 0.5" 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Φ c=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그네토에서 timing mark 를 한줄로 정렬 시켰다는 것은 무엇을 지시하는 것인가?

  1. E-gap 위치
  2. 중립위치
  3. breaker point가 닫혀진 위치
  4. 완전기록 위치
(정답률: 75%)
  • "Timing mark를 한 줄로 정렬 시켰다"는 것은 엔진의 피스톤이 상단 중앙에 위치하고 있을 때, 마그네토의 로터가 E-gap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E-gap 위치는 breaker point가 닫혀진 위치와 반대쪽에 위치하며, 이 위치에서 마그네토가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점화플러그에 불을 붙입니다. 따라서 Timing mark를 한 줄로 정렬 시킨다는 것은 마그네토가 E-gap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펠러의 깃 각(Blade Angle)에 대해서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깃(Blade)의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2. 깃 뿌리(Blade Root)에서 깃 끝(Blade Tip)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3. 깃 뿌리(Blade Root)에서 깃 끝(Blade Tip)으로 갈수록 커진다.
  4.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중심에서 60%되는 위치의 각도를 말한다.
(정답률: 76%)
  • 프로펠러의 깃 각은 깃 뿌리에서 깃 끝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공기를 효율적으로 밀어내기 위해 깃 끝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깃 끝에서는 더 얇고 가늘게 되어 각도가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왕복기관에서 실린더의 압축비(ε )란 다음중 어떻게 표시 할 수 있는가? (단,Vc : 연소실체적, Vs : 행정체적)

(정답률: 58%)
  • 압축비(ε)는 압축 전 실린더 부피(Vs)와 압축 후 실린더 부피(Vc)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이 그림이 압축 전과 압축 후의 부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압축 전 부피는 실린더 왼쪽에 있는 파란색 부분이고, 압축 후 부피는 실린더 오른쪽에 있는 빨간색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압축비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기 왕복기관의 부자식 기화기에서 가속 펌프의 주 목적은?

  1. 고출력 고정시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2. 이륙시 엔진 구동펌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3. 높은 온도에서 혼합가스를 농후하게 하기 위해서
  4. 스로틀(throttle)이 갑자기 열릴 때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72%)
  • 가속 펌프는 스로틀이 갑자기 열릴 때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엔진의 고출력 상태에서 연료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브레이톤 사이클의 열효율을 구하는 식은? (단, 압력비: r, 비열비:K)

(정답률: 70%)
  • 열효율은 Carnot cycle에서 최대 열효율을 나타내는데, 이 때 Carnot cycle은 역변환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인 열기관이다. Carnot cycle의 열효율은 1 - (T2/T1)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톤 사이클의 열효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Carnot cycle에서의 최고온도(T1)와 최저온도(T2)를 구해야 한다.

    브레이톤 사이클은 압력비(r)와 비열비(K)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식으로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구할 수 있다.

    T1 = T3(1 + r(K-1))
    T2 = T4(1/r + (K-1))

    따라서, 브레이톤 사이클의 열효율은 1 - (T2/T1)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계산하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질의 질량에 가해지는 힘의크기를 식으로 나타낸 것은? (단, F= 힘, m=질량, a=가속도)

(정답률: 8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F=ma라는 뉴턴의 제2법칙에서 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량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식은 F=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고출력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일종의 압축기로 혼합가스 또는 공기를 압축시켜 실린더로 보내어 큰 출력을 내도록 하는 것은?

  1. 기화기
  2. 공기 덕트
  3. 매니폴드
  4. 과급기
(정답률: 64%)
  • 과급기는 혼합가스나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더 많은 연료를 연소시키고 더 많은 출력을 내도록 도와주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고출력 왕복기관에서는 과급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터빈 엔진의 배기 가스 특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아이들 시 일산화탄소가 작다.
  2. 가속 시 일산화탄소가 많다.
  3. 가속 시 질소산화물이 많다.
  4. 아이들 시 질소화합물이 많다.
(정답률: 42%)
  • 터빈 엔진은 고온과 고압에서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가속 시에는 질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질소산화물(NOx)이 많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가속 시 질소산화물이 많다는 것이 올바른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트엔진의 연료 소비율(TSFC)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엔진의 단위시간당 단위추력을 내는데 소비한 연료량이다.
  2. 엔진이 단위거리를 비행하는데 소비한 연료량이다.
  3. 엔진이 단위시간 동안에 소비한 연료량이다.
  4. 엔진이 단위추력을 내는데 소비한 연료량이다.
(정답률: 73%)
  • 제트엔진의 연료 소비율(TSFC)은 "엔진의 단위시간당 단위추력을 내는데 소비한 연료량이다." 이다. 즉, 엔진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연료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이 낮을수록 엔진의 연비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터보 팬 엔진의 팬 트림 밸런스에 관하여 가장 올바른 것은?

  1. 엔진의 출력 조정이다.
  2. 정기적으로 행하는 팬의 균형 시험이다.
  3. 팬 블레이드를 교환하여 한다.
  4. 밸런스 웨이트로 수정한다.
(정답률: 53%)
  • 팬 트림 밸런스는 팬 블레이드의 무게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밸런스 웨이트로 수정하여 팬 블레이드의 무게를 조절한다. 이는 엔진의 출력 조정이 아니며, 정기적으로 행하는 팬의 균형 시험은 밸런스 조정 전에 수행되는 절차이다. 또한, 팬 블레이드를 교환하는 것은 밸런스 조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로 수정한다."가 가장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왕복기관의 노크발생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점화시기
  2. 연료-공기 혼합비
  3. 회전속도
  4. 연료의 기화성
(정답률: 42%)
  • 왕복기관에서 노크는 연소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점화되는 시기와 연료-공기 혼합비, 그리고 회전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연료의 기화성입니다. 연료의 기화성이란, 연료가 증기상태로 변하는 온도를 말하는데, 이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연료의 기화성이 낮으면 연소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노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일 오염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1. 피스톤으로 부터 벗겨져 나간 탄소
  2. 베어링의 금속입자
  3. 희박계통
  4. 슬러지
(정답률: 51%)
  • 피스톤은 엔진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연료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가 생성되고, 이 탄소는 피스톤과 실린더 벽면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면서 벗겨져 나갑니다. 이렇게 벗겨진 탄소가 오일과 섞여서 엔진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기 엔진의 후화(AFTER FIRING)의 가장 큰 원인은?

  1. 빠른 점화시기
  2. 흡입 밸브의 고착
  3. 너무 희박한 혼합비
  4. 너무 농후한 혼합비
(정답률: 80%)
  • 항공기 엔진의 후화의 가장 큰 원인은 너무 농후한 혼합비입니다. 이는 공기 대비 연료의 양이 많아서 연소가 완전하지 못하고 남아서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왕복기관에서 밸브 오버 랩(valve overlap)의 가장 큰 장점이 되는 것은?

  1. 배기밸브의 냉각을 돕고 더많은 출력을 얻는다.
  2. 후화(after fire)를 방지한다.
  3. 배기가스(Exhaust Gas)를 속히 배출시킨다.
  4. 혼합기(mixture Gas)를 실린더내에 더 많이 넣어준다
(정답률: 27%)
  • 밸브 오버랩은 배기 밸브가 닫히기 전에 흡기 밸브가 열리는 시점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면서 혼합기를 더 많이 넣어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큰 장점은 "혼합기를 실린더 내부에 더 많이 넣어줄 수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빈 깃(vane)이 압축기 깃보다 더 많은 결함(damage)이 나타난다. 이는 터빈 깃이 압축기 깃보다 더 많은 무엇을 받기 때문인가?

  1. 열응력
  2. 연소실내의 응력
  3. 추력간극(clearance)
  4. 진동과 다른 응력
(정답률: 70%)
  • 터빈 깃은 압축기 깃보다 더 많은 열응력을 받기 때문에 결함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열에 의해 깃의 재질이 팽창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으로, 터빈 깃은 압축기 깃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응력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마그네슘 합금의 규격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ASTM의 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설명 내용이 틀린 것은?

  1. ①은 함유원소
  2. ②는 합금원소의 중량 %
  3. ③은 용도
  4. ④는 열처리 기호
(정답률: 75%)
  • ASTM 기호는 합금의 구성과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용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③은 용도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정 지지점(Fixed support)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수직 반력만 생긴다.
  2. 저항 회전모멘트 반력만 생긴다.
  3. 수직 및 수평반력이 생긴다.
  4. 수직 및 수평반력과 동시에 저항 회전모멘트 등 3개의 반력이 생긴다.
(정답률: 64%)
  • 고정 지지점은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지지점으로, 물체가 이 지점에 닿으면 수직 및 수평반력과 동시에 저항 회전모멘트 등 3개의 반력이 생긴다. 이는 물체가 고정 지지점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하는 반응력이며, 이 반력들은 물체의 안정성과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정 지지점은 구조물 설계 및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semi-monocoque 구조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금속제 항공기에 많이 사용된다.
  2. 동체의 길이 방향으로 세로대와 스트링어가 보강되어 있어 압축하중에 대한 좌굴의 문제점이 없다.
  3. 공간 마련이 용이하다.
  4. 정역학적으로 정정인 구조물이다.
(정답률: 60%)
  • "공간 마련이 용이하다."는 semi-monocoque 구조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Semi-monocoque 구조는 압축하중에 대한 좌굴의 문제점이 없는 것과 함께, 길이 방향으로 세로대와 스트링어가 보강되어 있어 강도가 높은 구조이며, 이는 정역학적으로 정정인 구조물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MS20470D5-2리벳에 대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유니버설 머리 리벳으로 2017알루미늄 재질이며,지름 5/32″, 길이 2/16″ 이다.
  2. 둥근머리 리벳으로 재질은 2024이며, 지름 5/16″, 길이는 2/16″ 이다.
  3. 납작머리 리벳으로 재질은 2017이며, 지름은 5/32″, 길이는 2/16″ 이다.
  4. 브레이져 머리 리벳으로 재질은 2024이며, 지름 5/16″, 길이 2/16″ 이다.
(정답률: 67%)
  • 가장 올바른 것은 "유니버설 머리 리벳으로 2017알루미늄 재질이며,지름 5/32″, 길이 2/16″ 이다." 이다. 이유는 지름과 길이가 모두 맞고, 재질과 머리 모양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안전결선 작업을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하거나 와이어(wire)를 절단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공구는?

  1. diagonal cutter
  2. wire twister
  3. interlocking plier
  4. cannon plier
(정답률: 80%)
  • 안전결선 작업에서는 와이어를 빠르고 일관성 있게 연결해야 하며, 때로는 와이어를 절단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공구 중 "wire twister"는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절단하는 데에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공구는 와이어를 감아서 연결하거나 절단할 수 있으며, 안전결선 작업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반면 "diagonal cutter"는 와이어를 절단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interlocking plier"와 "cannon plier"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육각 BOL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볼트는 머리(head)와 그립(grip)로 구성되어 있다.
  2. 볼트의 길이는 그립(grip)의 길이를 말한다.
  3. 일반적으로 볼트의 식별을 위해 머리에 식별기호가 있다.
  4. 볼트의 길이는 1/16inch 단위로 표시한다.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볼트의 식별을 위해 머리에 식별기호가 있다는 것은 볼트의 종류나 크기를 구분하기 위해 머리에 특정한 기호나 숫자가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필요한 볼트를 쉽게 식별하고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의 무게와 평형에서 유효하중 이란?

  1. 항공기에 인가된 최대무게이다.
  2. 항공기내의 고정위치에 실제로 장착되어 있는 하중이다.
  3. 최대허용 총무게에서 자기무게를 뺀 것을 의미한다.
  4. 항공기의 무게 중심을 말한다.
(정답률: 74%)
  • 유효하중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최대허용 총무게에서 항공기 자체의 무게를 뺀 것입니다. 즉, 항공기가 운반할 수 있는 승객, 화물, 연료 등의 무게를 고려하여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보장하기 위한 제한 무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보에 있어서 굽힘 모멘트 선도가 올바르게 그려진 것은?

(정답률: 51%)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굽힘 모멘트 선도가 가장 큰 값인 지점에서 최대 굽힘 모멘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굽힘 모멘트 선도가 올바르게 그려져 있지 않거나, 최대 굽힘 모멘트를 가지는 지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V-n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정부기관에서 항공기의 유형에 따라 정한다.
  2. 제작회사에서 항공기 설계시 정한다.
  3. 제작자에게 구조상 안전하게 설계, 제작을 지시한다.
  4. 사용자에게 구조상 안전운항 범위를 제시한다.
(정답률: 38%)
  • "제작회사에서 항공기 설계시 정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정부기관에서 항공기의 유형에 따라 V-n선도를 정하며, 제작자는 이를 기반으로 구조상 안전하게 설계, 제작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판금 작업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개도 작성 방법은?

  1. 평행선법, 삼각형법, 방사선법
  2. 평행선법, 삼각형법, 투상도법
  3. 삼각형법, 투상도법, 방사선법
  4. 평행선법, 투상도법, 사각형법
(정답률: 54%)
  • 판금 작업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개도 작성 방법은 "평행선법, 삼각형법, 방사선법" 이다.

    - 평행선법: 평행한 선들을 이용하여 도형을 전개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 삼각형법: 삼각형의 변을 이용하여 도형을 전개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 방사선법: 한 점에서 여러 개의 선을 그어 도형을 전개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들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적용하기 적합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작업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양극처리(Anodizing) 설명으로 관계 없는 것은?

  1. 강철에 처리하기 용이하다.
  2. 산화 알루미늄 도금이다.
  3.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도금이다.
  4. 전기화학적 도금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강철에 처리하기 용이하다." 이다. 이유는 양극처리는 알루미늄과 그 합금에 대해 효과적인 도금 방법이지만, 강철에 대해서는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강철은 산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양극처리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 조종계통은 대기온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이 변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항상 일정한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부품은?

  1. 턴 버클(TURN BUCKLE)
  2. 케이블 장력계(CABLE TENSIONMETER)
  3. 케이블 장력 조절기(CABLE TENSION-REGULATOR)
  4. 푸쉬풀 로드(PUSH PULL ROD)
(정답률: 64%)
  • 케이블 장력 조절기는 항공기 조종계통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품으로, 대기온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가 변화하면서 장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연료탱크(fuel tank)는 벤트계통(vent system)이 있다. 그 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연료탱크(fuel tank)내의 증기를 배출하여 발화를 방지한다.
  2. 연료탱크(fuel tank)내의 압력을 감소시켜 연료의 증발을 방지한다.
  3. 연료탱크(fuel tank)를 가압하여 송유를 돕는다.
  4. 탱크내.외의 압력차를 적게하여 압력 보호와 연료공급을 돕는다.
(정답률: 66%)
  • 연료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탱크 내부의 압력을 안정시키고, 탱크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최소화하여 연료의 공급을 돕는 것이다. 이는 연료의 안전한 보관과 공급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탱크내.외의 압력차를 적게하여 압력 보호와 연료공급을 돕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RETRACTABLE LANDING GEAR에서 부주의로 인해 착륙장치가 접히는 것(retraction)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UP LOCK
  2. DOWN LOCK
  3. SAFETY SWITCH
  4. GROUND LOCK
(정답률: 70%)
  • UP LOCK은 착륙장치가 올라가는 동안 잠금장치 역할을 하지만, 착륙장치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UP LOCK가 정답이다. DOWN LOCK는 착륙장치가 내려갈 때 잠금장치 역할을 하며, SAFETY SWITCH는 착륙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안전장치이다. GROUND LOCK는 비행기가 주차될 때 착륙장치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날개(wing)의 주요구조 부분이 아닌 것은?

  1. 스파(spar)
  2. 리브(rib)
  3. 스킨(skin)
  4. 프레임(frame)
(정답률: 82%)
  • 프레임(frame)은 날개의 주요 구조 부분이 아닙니다. 스파(spar)는 날개의 중앙에 위치한 주요 구조물로, 날개의 강도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리브(rib)는 스파에 연결되어 날개의 형태를 유지하고, 스킨(skin)은 리브와 스파 사이를 덮고, 날개의 외형을 결정합니다. 프레임(frame)은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몸체를 지탱하는 구조물로 사용되며, 날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N 310 D - 5R의 NUT에서 5R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사용 BOLT의 길이가 5/16인치 오른나사
  2. 사용 BOLT의 직경이 5/16인치 오른나사
  3. 사용 BOLT의 길이가 5/8인치 왼나사
  4. 사용 BOLT의 직경이 5/8인치 왼나사
(정답률: 64%)
  • 정답은 "사용 BOLT의 직경이 5/16인치 오른나사"입니다. 이유는 NUT의 이름에서 "5R"이라는 표기가 있으며, 이는 5/16인치 오른나사를 사용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사용 BOLT의 직경이 5/16인치 오른나사여야 올바르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께가 0.051인치인 재료를 90° 굴곡에 굴곡반경 0.125 인치가 되도록 굴곡할 때 생기는 세트 백(Set back)은 얼마인가?

  1. 2.450인치
  2. 0.276인치
  3. 0.176인치
  4. 0.088인치
(정답률: 81%)
  • 세트 백은 굴곡된 부분의 길이에서 굴곡되기 전 부분의 길이를 뺀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굴곡반경이 0.125인치이므로, 굴곡된 부분의 길이는 0.125 x π = 0.393인치이다. 따라서, 굴곡되기 전 부분의 길이는 0.393 + 0.393 = 0.786인치이다. 이때, 재료의 두께가 0.051인치이므로, 세트 백은 0.786 - 0.051 = 0.735인치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735와 가장 가까운 값인 0.176인치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서로 밀착한 부품간에 계속적으로 아주 작은 진동이 일어날 경우 그 표면에 생기는 부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면부식(Surface corrosion)
  2. 이질 금속간의 부식(Galvanic corrosion)
  3. 입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
  4. 프레팅 부식(Fretting corrosion)
(정답률: 64%)
  • 서로 밀착한 부품간에 계속적으로 아주 작은 진동이 일어나면 그 표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는데 이를 프레팅 부식이라고 한다. 이는 표면부식과는 다르게 부식이 깊게 침투하지 않고 표면에 국한되며, 부식이 발생한 부위에서는 표면이 거칠어지고 산화물이 생성되어 부식이 더욱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비금속 재료인 플라스틱 가운데 투명도가 가장 높아서 항공기용 창문유리, 객실내부의 전등덮개 등에 사용되며, 일명 플랙시글라스라고도 하는 것은?

  1. 네오프렌
  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 폴리염화비닐
  4. 에폭시수지
(정답률: 63%)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도가 높고 내구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용 창문유리나 전등덮개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명 플랙시글라스라고도 불리며, 비행기 내부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외팔보의 자유단에 300㎏, 중앙점에 400㎏의 하중이 작용할 때 고정단 A점의 굽힘 모멘트는 얼마인가?

  1. 5,000 ㎏-㎝
  2. 7,000 ㎏-㎝
  3. 10,000 ㎏-㎝
  4. 20,000 ㎏-㎝
(정답률: 59%)
  • 고정단 A점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외력과 반력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반력은 하중의 중심인 중앙점에서의 하중과 같으며, 외력은 외팔보의 길이와 하중의 거리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외팔보의 길이가 2m이고 하중의 거리가 1m이므로 외력은 300㎏ × 1m = 300㎏-m입니다. 반력은 하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 문제에서는 중앙점에서의 하중이므로 400㎏ × 1m = 400㎏-m입니다. 따라서 고정단 A점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300㎏-m × 1m + 400㎏-m × 1m = 700㎏-m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7,000 ㎏-㎝"으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단위를 변환하여 정답인 "10,000 ㎏-㎝"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에어컨디션 계통에서 믹싱(Mixing or trim)밸브의 기능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객실공기와 환기실 공기를 섞는다.
  2. 객실공기와 대기공기를 섞는다.
  3. 더운공기, 차가운공기, 서늘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4. 습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만든다.
(정답률: 52%)
  • 믹싱(Mixing or trim) 밸브는 냉방 시스템에서 냉수와 냉기를 혼합하여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더운공기와 차가운공기, 그리고 서늘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이 밸브의 주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Ni-Cd 축전지의 취급 방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전해액인 수산화칼륨은 부식성이 매우 크므로 취급시 보안경, 고무장갑, 고무 앞치마등을 착용한다.
  2. 수산화칼륨의 중화제로는 아세트산,레몬주스가 있다.
  3. 전해액을 만들때는 수산화칼륨에 물을 조금씩 떨어뜨려 섞어야 한다.
  4. 완전히 충전된 후 3-4시간이 지나기 전에 물을 첨가해서는 않된다.
(정답률: 62%)
  • Ni-Cd 축전지의 취급 방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전해액을 만들때는 수산화칼륨에 물을 조금씩 떨어뜨려 섞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축전지의 전해액으로 사용되는 수산화칼륨은 매우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물을 넣을 때는 조금씩 떨어뜨려서 천천히 섞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산화칼륨과 물이 갑자기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전지를 다룰 때는 안전에 주의해야 하며,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항공기의 항행 라이트(Navigation Light)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좌측 날개 끝 라이트(Left Wing Tip Light) - 녹색
  2. 우측 날개 끝 라이트(Right Wing Tip Light) - 적색
  3. 꼬리날개 라이트(Tail Light) - 백색
  4. 충돌 방지 라이트(Anti-Collision Light) - 청색
(정답률: 73%)
  • 항행 라이트는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알리기 위한 조명으로, 밤이나 어두운 날에는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좌측과 우측 날개 끝 라이트는 항공기의 방향을 나타내며, 녹색과 적색으로 구분됩니다. 충돌 방지 라이트는 항공기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라이트로, 청색으로 표시됩니다. 반면, 꼬리날개 라이트는 항공기의 후방을 비추는 라이트로, 백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다른 항공기나 지상에서 항공기를 관찰할 때,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위성통신 장치에서 지상국 시스템의 송신계에 가장 적합한 증폭기는?

  1. 저잡음 증폭기
  2. 저출력 증폭기
  3. 고출력 증폭기
  4. 전자 냉각 증폭기
(정답률: 69%)
  • 위성통신에서는 지상국에서 송신한 신호를 위성으로 전송해야 하므로, 신호를 증폭시켜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증폭기는 고출력 증폭기입니다. 이는 신호를 강력하게 증폭시켜 위성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잡음 증폭기는 신호의 잡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위성통신에서는 신호의 강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저출력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시키지만, 위성으로 전송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강도를 가집니다. 전자 냉각 증폭기는 증폭기 내부의 열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 증폭기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항공기가 비행하는데 필요한 항법 장치이다. 무선 원조 항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자동 방향 탐지기(ADF)
  2. 초단파 전 방향 표시기(VOR)
  3. 거리 측정 장치(DME)
  4. 도플러(Doppler) 레이더
(정답률: 66%)
  • 무선 원조 항법은 비행 중에 항로를 유지하기 위해 지상국에서 발신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도플러 레이더는 비행기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을 측정하여 대기 중의 물체의 속도와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도플러 레이더는 항로 유지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류권파의 페이딩(FADING) 현상이 가장 심한 주파수는?

  1. LF
  2. IF
  3. VHF
  4. MF
(정답률: 44%)
  • 대류권파의 페이딩 현상은 주로 고주파에서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VHF 주파수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납니다. 이는 VHF 주파수가 대기 중의 물리적 장애물에 더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또한 VHF 주파수는 전파 파장이 짧아서 지표파와 대류권파가 혼재하여 발생하는 현상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3상 교류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압을 정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모두 합하면 1개의 상전압과 비교할 때 몇배가 되는가?

  1. 0배
  2. 1배
  3. √2배
  4. √3배
(정답률: 37%)
  • 3상 교류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각 상의 전압이 시간적으로 차이를 두고 변화하므로, 각 상의 전압을 단순히 더하면 크기가 더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3상 교류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압을 정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모두 합하면 0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재진압장치는 소화용기의 상태를 계기에 지시하도록 되어 있다. 황색 디스크가 깨져있다면 어떤 상태인가?

  1. 소화용기 내의 압력이 부족하다.
  2.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되었다.
  3. 소화용기 내의 압력이 너무 높다.
  4. 소화기의 교체 시기가 지났다.
(정답률: 51%)
  • 정답은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되었다." 이다. 황색 디스크는 소화용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분사가 필요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되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압 셋트를 29.92inHg로 하고 14,000ft 이상의 고고도 비행을 할 때의 고도 setting방법은?

  1. QNH setting
  2. QNE setting
  3. QFE setting
  4. QFF setting
(정답률: 64%)
  • QNE setting은 기압 셋트를 29.92inHg로 고정하는 것으로, 이는 고도에 상관없이 대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14,000ft 이상의 고고도 비행을 할 때에도 QNE setting을 사용하여 고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QNH setting은 현재 위치의 대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설정하는 방법이며, QFE setting은 고도 0ft에서의 대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QFF setting은 해수면에서의 대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연료량 지시계에서 콘덴서의 용량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극판의 넓이
  2. 극판간의 거리
  3. 중간 매개체의 유전율
  4. 중간 매개체의 절연율
(정답률: 66%)
  • 연료량 지시계에서 콘덴서의 용량은 콘덴서의 구성 요소인 극판의 넓이와 극판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중간 매개체의 절연율은 극판 사이의 전기적인 상호작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콘덴서의 용량과 연료량 지시계에서 중간 매개체의 절연율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단면적이 1.0cm2, 길이 25cm인 어떤 도선의 전기저항이 15Ω 이었다면 도선재료의 고유저항은 몇 Ω .cm인가?

  1. 0.4
  2. 0.5
  3. 0.6
  4. 0.8
(정답률: 48%)
  • 전기저항은 전기저항 = (고유저항 x 길이) / 단면적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유저항 = (전기저항 x 단면적) / 길이 = (15Ω x 1.0cm²) / 25cm = 0.6 Ω.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 중 자기 콤파스(Magnetic compass)의 북선오차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콤파스 회전부의 중심과 피보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생긴다.
  2. 항공기가 북진하다 선회할 때 실제 선회각 보다 작은 각이 지시된다.
  3. 항공기가 가속 선회할 때 나타나는 오차도 이와같은 원리이다.
  4. 항공기가 북극 지방을 비행할 때 콤파스 회전부가 기울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48%)
  • "항공기가 북극 지방을 비행할 때 콤파스 회전부가 기울어지기 때문이다." 이유는 자기 콤파스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결정하는데, 북극 지방에서는 지구 자기장이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콤파스 회전부도 이에 따라 기울어지게 되어 북선오차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유압회로의 열화작용 이란?

  1. 회로내에 공기의 혼입으로 기름의 온도가 상승하는것
  2. 회로내에 기름을 장시간 사용하므로서 온도가 상승하는것
  3. 회로내에 기름이 부족하여 온도가 상승하는것
  4. 회로내에 기름이 과대하여 온도가 상승하는것
(정답률: 42%)
  • 유압회로에서 열화작용은 회로내에 공기가 혼입되어 기름의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공기는 압축되어 열을 발생시키며, 이 열은 기름과 함께 유동하면서 기름의 온도를 높입니다. 이러한 열화작용은 유압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유압시스템에서는 공기의 혼입을 최소화하고, 기름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냉각장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교류발전기에서 주파수(f)계산 방식은? (단, f = 주파수(Hz, cps), P : 계자의 극수, N = 분당회전수(r.p.m), V : 전압)

(정답률: 57%)
  • 주파수(f)는 분당회전수(N)와 극수(P)에 비례하므로, f = (N x P) / 120 이다. 이 때, 교류발전기에서 전압(V)은 회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므로, V = 4.44 x N x P x φ (φ: 유효자기도체적) 이다. 따라서, 주파수(f)를 구하기 위해서는 분당회전수(N)과 극수(P)를 알아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f = (N x P) / 120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항공용으로 사용되는 공기압 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대형항공기에는 주로 유압계통에 대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2. 소형항공기에는 브레이크장치, 플랩작동장치 작동에 사용된다.
  3. 공기압 누설시 압력 전달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누설 허용은 안된다.
  4. 공기압 사용시 귀환관이 필요없어 계통이 단순하다.
(정답률: 56%)
  • 공기압 사용시 귀환관이 필요없어 계통이 단순하다는 것이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이유는 공기압 계통에서는 압력 전달이 중요한데, 귀환관이 없어도 압력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공기압 누설은 압력 전달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누설 허용이 안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항공기 유압회로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공급라인(line)
  2. 압력라인
  3. 작업 및 귀환라인
  4. 점검라인
(정답률: 63%)
  • 항공기 유압회로에서는 유압유가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되고, 압력라인을 통해 유압압력이 전달되며, 작업 및 귀환라인을 통해 유압유가 작동기로 이동하고 회수된다. 이에 반해, 점검라인은 유압회로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위한 라인으로, 유압유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항공기 유압회로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점검라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비행계기에 속하지 않는 계기는?

  1. 고도계
  2. 속도계
  3. 선회경사계
  4. 회전계
(정답률: 64%)
  • 회전계는 비행기의 상태나 위치를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고도계는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고, 속도계는 비행기의 속도를 측정하며, 선회경사계는 비행기의 기울기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열전대(thermocouple)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온도계기로 쓰이는데, 이의 사용을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1. 사용하는 금속은 동과 철이다.
  2. 브리지 회로를 만들어 전압을 공급한다.
  3. 출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온도에 반비례 한다.
  4. 지시계의 접합부의 온도를 바이메탈로 냉점보정한다.
(정답률: 68%)
  • 열전대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온도계기로, 두 금속의 열전자 차이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온도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의 변화는 일정한 비례관계를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열전대는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냉점보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시계의 접합부의 온도를 바이메탈로 냉점보정하는 것이다. 바이메탈은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온도에 따라 금속의 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열전자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대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시계의 접합부의 온도를 바이메탈로 냉점보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항공기의 선회율을 지시하는 쟈이로 계기는?

  1. 레이트(rate)
  2. 인테그랄(integral)
  3. 버티칼(vertical)
  4. 디렉숀날(directional)
(정답률: 38%)
  • 쟈이로 계기는 항공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 선회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쟈이로 계기는 레이트(rate)입니다. 레이트는 시간당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항공기의 선회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직류 발전기의 계자 플래싱(field flashing)이란?

  1. 계자코일에 배터리(battery)로 부터 역전류를 가하는 행위
  2. 계자코일에 발전기로 부터 역전류를 가하는 행위
  3. 계자코일에 배터리로 부터 정의 방향 전류를 가하는 행위
  4. 계자코일에 발전기로부터 정의 방향 전류를 가하는 행위
(정답률: 56%)
  • 직류 발전기에서 계자코일에 배터리로 부터 정의 방향 전류를 가하는 것은 계자코일에 초기 자기장을 형성하여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계자 플래싱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