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06)

항공산업기사
(2005-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비행기 무게가 6,000kgf이고, 경사각 60°의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이 비행기의 원심력은 얼마인가?

  1. 10,392 kgf
  2. 10,676 kgf
  3. 12,176 kgf
  4. 13,126 kgf
(정답률: 69%)
  •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력 = 무게 × 중력가속도 × 원심가속도 비율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의 중력가속도인 9.8 m/s^2이고, 원심가속도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가속도 비율 = cos(60°) = 0.5

    따라서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력 = 6,000 × 9.8 × 0.5 = 29,400 N

    여기서 kgf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9,400 N ÷ 9.8 m/s^2 ÷ 1,000 = 3 kgf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gf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원심력은 3 × 3,464 = 10,392 kg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필요마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고도가 높을 수록 밀도가 증가하여 필요마력은 커진다.
  2. 날개하중이 작을 수록 필요마력은 커진다.
  3. 항력계수가 작을 수록 필요마력은 작다.
  4. 속도가 작을 수록 필요마력은 크다.
(정답률: 65%)
  • 필요마력은 비행기를 비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엔진 출력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항력계수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작을수록 비행기가 공기 저항을 받는 정도가 적어져 필요마력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항력계수가 작을 수록 필요마력은 작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펠러가 항공기에 준 동력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추력/비행속도
  2. 추력 × 비행속도
  3. 추력 × 비행속도2/3
  4. 추력 × 비행속도2
(정답률: 70%)
  • 프로펠러는 공기를 밀어내어 항공기를 전진시키는데, 이때 밀어내는 힘을 추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항공기가 비행하는 동안에는 공기의 저항력이 작용하므로, 항공기가 일정한 속도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추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는 추력과 비행속도를 곱한 값만큼의 동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추력 × 비행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종면의 폭이 2배가 되면 조종력은 몇배가 되어야 하는가?

  1. 1/2배
  2. 변함 없음
  3. 2배
  4. 4배
(정답률: 53%)
  • 조종면의 폭이 2배가 되면, 조종면의 면적은 4배가 됩니다. 따라서, 같은 압력으로 작용하는 경우, 조종면의 면적이 4배가 되므로 조종력도 4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배"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2배"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문제의 오류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헬리콥터가 Hovering 할 때의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1. 헬리콥터 무게<양력
  2. 헬리콥터 무게=양력
  3. 헬리콥터 무게>양력
  4. 헬리콥터 무게=양력+원심력
(정답률: 79%)
  • 정답은 "헬리콥터 무게=양력"입니다.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가속도가 0이므로, 힘의 합력은 0이어야 합니다. 이때, 헬리콥터의 무게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작용하고, 양력은 위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무게와 양력이 같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헬리콥터의 양력분포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진하는 깃과 후퇴하는 깃의 받음각을 같게 한다.
  2. 전진하는 깃과 뒤로 후퇴하는 깃의 피치각을 동시에 증가시킨다.
  3. 전진하는 깃의 피치각은 감소시키고 뒤로 후퇴하는 깃의 피치각은 증가시킨다.
  4. 전진하는 깃의 피치각은 증가시키고 뒤로 후퇴하는 깃의 피치각은 감소시킨다.
(정답률: 73%)
  • 헬리콥터의 양력분포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진하는 깃과 후퇴하는 깃의 양력을 균형있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진하는 깃의 피치각을 감소시키고, 뒤로 후퇴하는 깃의 피치각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전진하는 깃의 양력이 감소하고, 후퇴하는 깃의 양력이 증가하여 양력분포가 균형잡히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진하는 깃의 피치각은 감소시키고 뒤로 후퇴하는 깃의 피치각은 증가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무게1,000kgf의 비행기가 7,000m 상공(ρ=0.06kgfㆍS2/m4)에서 급강하 하고 있다. 항력계수 CD=0.1 이고, 날개 하중은 30kgf/m2이다. 이때의 급강하 속도는 얼마인가?

  1. 100m/s
  2. 100√3
  3. 200m/s
  4. 100√5m/s
(정답률: 63%)
  • 먼저, 비행기가 급강하 중이므로 항력과 중력의 차이인 양력이 작용하고, 이 양력이 비행기를 가속시킨다. 따라서,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양력 = 중력 - 항력
    양력 = mg - (1/2)ρv^2SC_D
    여기서, m은 비행기의 질량, g은 중력가속도, ρ은 공기의 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의 면적, C_D는 항력계수이다.

    v^2 = 2mg/ρSC_D + (v_0)^2
    여기서, v_0은 초기 속도이며, 급강하 중이므로 0이다.

    따라서, v = √(2mg/ρSC_D) = √(2×1,000×9.8/(0.06×30×0.1)) ≈ 100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방향키 부유각(float angle)이란?

  1. 방향키를 밀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 되는각
  2. 방향키를 당겼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 되는 각
  3. 방향키를 고정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변위 되는 각
  4. 방향키를 자유로 했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
(정답률: 89%)
  • 방향키 부유각(float angle)은 방향키를 자유롭게 놓았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롭게 변위되는 각을 의미합니다. 즉, 방향키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때 발생하는 각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가 평형 상태에서 이탈된 후, 그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에 이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정적으로 불안정하다.
  2. 동적으로 불안정하다.
  3. 정적으로는 불안정하지만, 동적으로는 안정하다.
  4. 정적으로도 안정하고, 동적으로도 안정하다.
(정답률: 75%)
  • 정적으로는 안정하지만, 동적으로는 불안정하다. 이는 비행기가 평형 상태에서 이탈한 후,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면서 비행기의 운동 상태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를 "정적 불안정성"이라고 부르며, 이는 비행기의 설계나 운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항공기 이륙거리를 짧게하기 위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공기 무게와는 관계 없다.
  2. 배풍(TAIL WIND)을 받으면서 이륙한다.
  3. 이륙시 플랩이 항력증가의 요인이 되므로 플랩을 사용하지 않는다.
  4. 기관의 추력을 가능한 최대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87%)
  • 기관의 추력이 강력할수록 항공기는 빠르게 가속하고 이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륙거리를 짧게 만들기 위해서는 기관의 추력을 가능한 최대로 유지해야 한다. 항공기의 무게는 이륙거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관의 추력이 충분하다면 무게와는 크게 상관없이 이륙할 수 있다. 배풍을 받으면서 이륙하는 것은 오히려 이륙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플랩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항력을 줄여 이륙거리를 늘리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의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으로 인하여 압력항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무슨 항력이라 하는가?

  1. 유도항력
  2. 조파항력
  3. 표면 마찰항력
  4. 형상압력
(정답률: 67%)
  • 항공기의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은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항력이다. 이러한 항력을 유도항력이라고 부르며, 항공기의 날개 형상과 기울기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유도항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비(geometric pitch ratio)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기하학적 피치 / 프로펠러 반지름
  2. 프로펠러 반지름 / 기하학적 피치
  3. 기하학적 피치 / 프로펠러 지름
  4. 프로펠러 지름 / 기하학적 피치
(정답률: 67%)
  • 기하학적 피치비는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한 회전당 나아가는 거리)를 프로펠러 지름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하학적 피치 / 프로펠러 지름"입니다. 프로펠러 지름으로 나누는 이유는 프로펠러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비교 가능한 값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프로펠러 반지름으로 나누는 것은 비율이 반대로 계산되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회(Turns)비행시 외측으로 Slip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경사각이 작고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클 때
  2. 경사각이 크고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작을 때
  3. 경사각이 크고 원심력이 구심력보다 작을 때
  4. 경사각은 작고 원심력이 구심력보다 클 때
(정답률: 66%)
  • 선회 비행시 외측으로 Slip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사각이 작고 원심력이 구심력보다 클 때이다. 이는 비행기가 곡선을 따라 비행할 때, 비행기의 중심축이 곡선의 중심축과 일치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때, 비행기의 외측 날개는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데, 이때 발생하는 원심력이 구심력보다 크기 때문에 비행기는 외측으로 Slip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NACA 23015의 에어포일에서 최대캠버의 위치는?

  1. 15%
  2. 20%
  3. 23%
  4. 30%
(정답률: 80%)
  • NACA 23015 에어포일에서 최대캠버의 위치는 15%이다. 이는 NACA 에어포일 네이밍 규칙에 따라서, "23"은 최대캠버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이고, 이를 10으로 나눈 값이 최대캠버 위치의 백분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3을 10으로 나눈 값인 2.3을 100으로 곱하면 최대캠버 위치의 백분율인 23%가 나오는데, 이를 반올림하여 1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치 업(pitch up) 현상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뒤젖힘 날개의 날개 끝 실속
  2. 뒤젖힘 날개의 비틀림
  3. 받음각의 감소
  4. 날개의 풍압 중심이 앞으로 이동
(정답률: 70%)
  • 피치 업 현상은 비행기의 앞쪽 날개가 올라가고 뒤쪽 날개가 내려가면서 발생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수직 안정자인 수직 꼬리날개의 각도가 감소하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받음각의 감소는 피치 업 현상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가로세로비로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s = 날개면적, b = 날개길이, c = 시위)

  1. s/b2
  2. b2/c
  3. b2/s
  4. c/b
(정답률: 83%)
  • 가로세로비란 물체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날개면적(s)과 날개길이(b)를 이용하여 가로세로비를 구하는 것이다.

    가로 길이는 날개길이(b)이므로, 세로 길이는 날개면적(s)을 가로 길이인 날개길이(b)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가로세로비는 b/s × s/b = b2/s 이다.

    따라서 정답은 "b2/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차등 도움날개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좌·우측 도움날개의 위치를 비대칭으로 한다.
  2. 좌·우측 도움날개의 작동속도를 다르게 한다.
  3. 도움날개의 올림각과 내림각을 다르게 한다.
  4. 좌·우측 도움날개의 면적을 다르게 한다.
(정답률: 64%)
  • 차등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좌우측 도움날개의 올림각과 내림각을 다르게 설정하여 비행 중에 좌우측의 양력 차이를 만들어서 비행기의 궤적을 조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도움날개의 올림각과 내림각을 다르게 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기의 점성효과에 대한 설명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점성력은 속도(V),면적(S),점성계수μ에 반비례하고 경계층 두께에 비례한다.
  2. 비행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점성력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식은 베르누이 정리이다.
  3. 동점성 계수ν는 밀도ρ를 점성계수μ로 나눈값이다.
  4. 점성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그 값이 변한다.
(정답률: 56%)
  • 점성력은 점성계수μ에 비례하므로, 점성계수가 온도에 따라 변하면 점성력도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점성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그 값이 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름이 20㎝와 30㎝로 된 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지름 20㎝ 관에서의 속도가 2.4m/sec일 때 30㎝관에서의 속도(m/sec)는 얼마인가?

  1. 0.19
  2. 1.07
  3. 1.74
  4. 1.98
(정답률: 63%)
  • 유체의 연속성 방정식에 의하면, 유체의 질량 유량은 일정하다. 즉, 작은 관에서 유체의 속도가 빠를 때, 큰 관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느려진다.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어보면, 지름 20㎝ 관과 지름 30㎝ 관에서 유체의 질량 유량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은 관에서의 유체의 속도와 큰 관에서의 유체의 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A_1v_1 = A_2v_2$

    여기서 $A_1$과 $A_2$는 각각 지름 20㎝ 관과 지름 30㎝ 관의 단면적이고, $v_1$과 $v_2$는 각각 작은 관에서의 속도와 큰 관에서의 속도이다.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다음과 같다.

    $20^2 times 2.4 = 30^2 times v_2$

    $v_2 = frac{20^2 times 2.4}{30^2} approx 1.07$

    따라서, 정답은 "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로펠러 효율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추력에 비례한다.
  2. 비행속도에 비례한다.
  3. 진행율에 반비례한다.
  4. 축동력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2%)
  • "추력에 비례한다.", "비행속도에 비례한다.", "축동력에 반비례한다."는 모두 프로펠러 효율과 관련된 요인들이지만, "진행율에 반비례한다."는 프로펠러의 효율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인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진행율은 비행기가 비행 중에 이동하는 거리와 비행기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비행기의 이론적인 이동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진행율이 낮을수록 비행기는 더 많은 추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섭씨온도=Tc, 화씨온도=TF 로 표시할 때 화씨온도를 섭씨 온도로 환산하는 관계식 중 옳은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 이다.

    화씨온도와 섭씨온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TF = (9/5)Tc + 32

    이를 변형하면 섭씨온도를 구하는 식이 나온다.

    Tc = (5/9)(TF - 32)

    따라서, 화씨온도를 섭씨온도로 환산하는 관계식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왕복기관의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breaker point)가 과도하게 소실되었다. 다음 중 어떤 것을 교환해 주어야 하는가?

  1. 1차 코일
  2. 2차 코일
  3. 배전반 접점
  4. 콘덴서(condenser)
(정답률: 85%)
  • 콘덴서는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스파크를 억제하여 과도한 소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덴서를 교환해 주어야 합니다. 1차 코일, 2차 코일, 배전반 접점은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터빈 기관의 배기계통 중 배기파이프(Exhaust Pipe) 또는 테일파이프라고도 하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은?

  1. 배기 덕트
  2. 고정 면적 노즐
  3. 배기 소음방지 장치
  4. 역추력 장치
(정답률: 89%)
  • 가스터빈 기관에서 배기파이프는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배기파이프는 고정 면적 노즐과 배기 소음방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추력 장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 덕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하학적 피치(Geometrical Pitch)란?

  1. 프로펠러를 1바퀴 회전시켜 실제로 전진한 거리
  2. 프로펠러를 2바퀴 회전시켜 전진할 수 있는 이론적인 거리
  3. 프로펠러를 2바퀴 회전시켜 실제로 전진한 거리
  4. 프로펠러를 1바퀴 회전시켜 프로펠러가 앞으로 전진 할 수 있는 이론적인 거리
(정답률: 82%)
  • 기하학적 피치는 프로펠러를 1바퀴 회전시켜 프로펠러가 앞으로 전진 할 수 있는 이론적인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날개 각도와 회전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실제로 전진한 거리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 엔진의 부자식 기화기에서 이코노마이저(economizer)밸브의 가장 큰 목적은?

  1. 분사계통(injection system)에 들어가는 연료의 양을 감소시켜준다.
  2. 엔진의 순간적 가속에 따른 추가연료를 공급한다.
  3. 고출력시 농후혼합비를 제공한다.
  4. 최상의 순항출력동안 희박혼합비 지속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67%)
  • 이코노마이저 밸브는 고출력시 농후혼합비를 제공하여 최적의 연소를 유지하고 연료소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연료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에도 친화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왕복기관의 크랭크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은?

  1. 평형(plain)베어링
  2. 로울러(roller)베어링
  3. 볼(ball)베어링
  4. 니들(needle)베어링
(정답률: 59%)
  • 왕복기관의 크랭크축은 고속 회전과 진동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과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이에 평형(plain)베어링이 사용됩니다. 평형베어링은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며,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아 고속 회전과 진동이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윤활유를 사용하여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의 크랭크축에는 평형베어링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떤 기관의 피스톤 지름이 150㎜, 행정길이가 0.16m 실린더수가 4, 제동평균 유효압력이 8kg/㎝2, 회전수가 2400rpm 일 때의 제동마력(㎰)은 얼마인가?

  1. 261.1
  2. 251.1
  3. 241.1
  4. 231.1
(정답률: 47%)
  •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마력 = 제동평균 유효압력 × 피스톤 면적 × 행정속도 × 실린더수

    피스톤 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피스톤 면적 = (지름/2)^2 × 파이 = (150/2)^2 × 3.14 = 17671.25mm^2

    행정속도는 회전수와 행정길이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행정속도 = 회전수 × 행정길이 = 2400 × 0.16 = 384m/min

    따라서,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마력 = 8kg/㎝^2 × 17671.25mm^2 × 384m/min × 4 = 241,108.48 Nm/min = 241.1 kW

    따라서, 정답은 "24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관 조절(engine trimming)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정비를 편리하도록
  2. 비행의 안정성을 위해
  3. 기관 정격 추력을 유지하기 위해
  4. 이륙 추력을 크게하기 위해
(정답률: 78%)
  • 기관 조절은 기관 정격 추력을 유지하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오토 사이클의 P - V선도이다. 3-4 과정은?

  1. 단열팽창
  2. 단열압축
  3. 정적수열
  4. 정적방열
(정답률: 73%)
  • 3-4 과정은 "단열팽창"이다. 이는 가스가 열을 주입받지 않고, 외부와의 열교환도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하면서 온도가 감소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P-V선도에서 기울기가 음수인 선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왕복기관에서 밸브간격이 과도하게 클 경우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밸브 오버랩(overlap)증가
  2. 밸브 오버랩(overlap)감소
  3. 밸브의 수명 증가
  4. 밸브 오버랩(overlap)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61%)
  • 밸브 오버랩(overlap)은 인테이크 밸브가 닫히기 전에 엑시스트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밸브간격이 과도하게 클 경우, 밸브 오버랩이 감소하게 되어 엔진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는 연소실 내부의 공기 유동성이 감소하고, 연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밸브간격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연료의 퍼포먼스 수(Performance number) 115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옥탄가 100의 연료를 사용할 때 보다 4에칠연을 첨가하여 기관의 출력을 15% 증가하여 노크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연료
  2. 옥탄가 100의 연료에 질량비로서 4에칠연을 15% 더 첨가한 연료
  3. 옥탄가 100의 연료에 체적비로서 4에칠연을 15% 더 첨가한 연료
  4. 옥탄가 115에 해당하는 내폭성을 갖는 연료
(정답률: 55%)
  • Performance number 115는 "옥탄가 100의 연료를 사용할 때 보다 4에칠연을 첨가하여 기관의 출력을 15% 증가하여 노크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연료"를 의미합니다. 즉, 이 연료는 일반적인 옥탄가 100의 연료보다 성능이 우수하며, 노크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기관의 출력을 15%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속도 540km/h 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장착된 터보 제트기관이 196kg/s인 중량유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250m/s의 속도로 배기시킨다. 총 추력은 얼마인가?

  1. 4000kg
  2. 5000kg
  3. 6000kg
  4. 7000kg
(정답률: 52%)
  • 추력은 힘과 속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중량유량과 속도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힘을 계산하고, 이를 다시 속도로 곱하여 추력을 구할 수 있다.

    중량유량은 196kg/s 이므로, 1초에 196kg의 공기가 터보 제트기관을 통해 배출된다. 이 공기의 속도는 250m/s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힘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힘 = 중량유량 x 속도
    = 196kg/s x 250m/s
    = 49,000 N

    따라서, 이 항공기의 총 추력은 49,000 N 이다. 이를 kgf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총 추력 = 49,000 N / 9.81 m/s^2
    = 5,000 kgf

    따라서, 정답은 "5000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피스톤 링은 연소실을 밀폐시키는 역할 이외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피스톤 핀(pin)을 윤활시킨다.
  2. 크랭크 케이스(case) 압력을 축소시킨다.
  3. 실린더가 헤드(head)로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4. 열분산을 돕는다.
(정답률: 60%)
  • 피스톤 링은 실린더 벽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열이 발생한다. 이때 피스톤 링은 열을 실린더 벽면으로 전달하여 열분산을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분산을 돕는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스 터빈 기관(Turbine Engine)의 연소용 공기량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을 통과하는 총 공기량의 몇 % 정도인가?

  1. 25
  2. 50
  3. 75
  4. 100
(정답률: 56%)
  • 가스 터빈 기관에서는 연소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되고, 그 연소 가스가 터빈을 회전시켜 작동한다. 따라서 연소용 공기량은 연소실을 통과하는 총 공기량의 일부분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 기관에서는 연소용 공기량이 약 25% 정도이다. 이는 연소 가스의 열과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량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제트엔진 후기연소기(after burner)의 역할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엔진 열효율이 증가된다.
  2. 추력을 크게 할 수 있다.
  3. 착륙 때 사용한다.
  4. 여객기 엔진에 주로 장착된다.
(정답률: 80%)
  • 제트엔진 후기연소기는 추가적인 연소를 통해 엔진의 추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추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엔진 열효율이 증가되며, 따라서 추력을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전투기나 고속 비행기에서 사용되며, 착륙 때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여객기 엔진에는 장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스터빈 기관에서 압축기 스테이터 베인(stator vanes)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배기가스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2. 배기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3. 공기흐름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4. 공기흐름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50%)
  • 압축기 스테이터 베인은 공기흐름을 방향을 제어하여 압축기 로터 블레이드에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압축기의 효율성을 높이고, 배기가스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보다는 공기흐름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흐름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프로펠러를 장비한 경항공기에서 감속기어(Reductiongear)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블레이드 길이를 짧게하기 위해
  2. 블레이드 Tip(끝)부분에서의 실속방지를 위해
  3. 연료 소모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4.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정답률: 80%)
  • 프로펠러의 블레이드 Tip(끝)부분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져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감속기어를 사용하여 프로펠러 회전수를 줄여서 블레이드 Tip에서의 실속방지를 하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Viscosity Index)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1. 온도변화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
  2. 온도변화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3. 압력변화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
  4. 압력변화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정답률: 74%)
  •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은 온도변화에 따라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항공기 엔진과 같이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는 기계에서 윤활유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따라서, 점도지수가 높은 윤활유는 엔진 내부에서 안정적인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성을 높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역학적 성질(thermodynamic property)이 아닌 것은?

  1. 온도
  2. 압력
  3. 엔탈피(Enthalpy)
(정답률: 45%)
  • 정답은 "열"입니다.

    열은 열역학적 성질이 아니라 열과 함께 전달되는 에너지의 형태입니다. 따라서 열은 열역학적 성질이 아닙니다.

    온도, 압력, 엔탈피는 모두 열역학적 성질로,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브레이드 내부에 공기 통로를 설치하여 이곳으로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터빈 깃을 냉각하는 방법은?

  1. Film Cooling
  2. Convection Cooling
  3. Impingement Cooling
  4. Transpiration Cooling
(정답률: 58%)
  • 브레이드 내부에 공기 통로를 설치하여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브레이드와 공기 사이의 열 전달을 증가시키고, 열을 효과적으로 빼내어 터빈 깃을 냉각하는 방법이 "Convection Coolin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재료가 탄성한도에서 단위 체적에 저축되는 변형에너지를 최대 탄성에너지라고 부르는데, 다음에서 옳은 표시는? (단, σ:응력, E: 탄성계수)

(정답률: 62%)
  • 정답은 ""이다.

    최대 탄성에너지는 탄성한도에서 단위 체적에 저장되는 변형에너지이다. 이는 응력-변형 곡선에서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면적은 1/2σE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옳은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계적 확장 리벳(Mechanically expand rivet) 중에서 진동으로 리벳이 헐거워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고정 칼라(Collar)를 갖고 있는 리벳은?

  1. 기계고정식 브라인드 리벳
  2. 마찰고정식 브라인드 리벳
  3. 리브 넛트
  4. 폭발 리벳
(정답률: 72%)
  • 기계적 고정 칼라를 갖고 있는 리벳은 "기계고정식 브라인드 리벳"이다. 이 리벳은 리벳의 뒷면에 고정 칼라를 부착하여 진동으로 인한 리벳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인드 리벳이므로 리벳을 고정할 때 접근이 어려운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단순보
  2. 고정지지보
  3. 고정보
  4. 돌출보
(정답률: 80%)
  • 그림에서 보는 양쪽 끝이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지지보"라고 부릅니다. "단순보"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보를 말하며, "고정보"는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지만 지지대가 없는 보를 말합니다. "돌출보"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중간 부분이 돌출된 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STM의 기호표시로 마그네슘합금 AZ31A를 설명한 내용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첫째자리 A는 주합금원소인 알루미늄을 말한다.
  2. Z는 이차 합금원소인 지르코늄을 말한다.
  3. 3은 지르코늄의 함량이 3%이다.
  4. 1은 단단한 정도를 표시한다.
(정답률: 60%)
  • "첫째자리 A는 주합금원소인 알루미늄을 말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ASTM의 기호표시에서 첫째자리는 주합금원소를 나타내며, AZ31A에서 A는 알루미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육각 볼트(BOLT)머리의 삼각형 속에 X가 새겨져 있다면, 이것은 어떤 볼트(BOLT)인가?

  1. 표준 볼트(STANDARD BOLT)
  2. 내식성 볼트
  3. 정밀공차 볼트
  4. 내부 렌칭 볼트
(정답률: 74%)
  • 정밀공차 볼트입니다. 삼각형 속에 X가 새겨져 있는 것은 정밀공차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정밀한 제조 공정을 거쳐 생산된 볼트입니다. 이는 부품들 간의 정확한 조립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고정밀 기계, 전자기기, 항공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V-n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속도와 저항에 대한 하중과의 관계
  2. 양력계수와 하중계수와의 관계
  3. 비행기의 운용가능한 하중의 범위
  4. 비행속도와 항력계수와의 관계
(정답률: 65%)
  • V-n선도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하중의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범위는 비행기의 운용가능한 하중의 범위를 나타내며, 비행속도와 항력계수, 속도와 저항에 대한 하중과의 관계, 양력계수와 하중계수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비행기의 운용가능한 하중의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타이어(tire)가 과팽창하면 가장 큰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1. 허브프림(hub frim)
  2. 휠플렌지(wheel flange)
  3. 백프레이트(back plate)
  4. 브레이크(brakes)
(정답률: 76%)
  • 타이어가 과팽창하면 휠플렌지와 타이어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휠플렌지와 타이어가 마찰하게 되어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고속 주행 중에는 더욱 위험합니다. 따라서 타이어의 과팽창은 휠플렌지에 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항공기의 무게중심(C.G)을 MAC(%)로 나타내면?(단, MAC = 120in)

  1. 40% MAC
  2. 45.2% MAC
  3. 50% MAC
  4. 54.2% MAC
(정답률: 71%)
  • MAC는 Mean Aerodynamic Chord의 약자로, 항공기의 날개 중심선에서 앞쪽부터 뒤쪽까지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MAC가 120인 것으로 주어졌습니다.

    그림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을 찾아보면, 이는 MAC에서 약 54.2%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무게중심이 MAC에서 54.2% 지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무게중심을 MAC로 나타내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MAC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120 x 0.452 = 54.24 이므로, 무게중심은 MAC에서 약 45.2% 지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5.2% MA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Turn Buckle의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단선 결선법인 경우 턴버클의 죔이 적당한지 확인하는 방법은 나사산이 3-4개가 밖으로 나와 있는지를 본다.
  2. 이중결선법인 경우 Barrel의 검사 구멍에 pin이 들어가면 장착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이중결선법인 경우에 케이블의 지름이 1/8in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4. 단선결선법에서 턴버클 생크 주위로 와이어가 4회이상 감겼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0%)
  • "이중결선법인 경우 Barrel의 검사 구멍에 pin이 들어가면 장착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올바른 내용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내용이지만, 이중결선법인 경우 Barrel의 검사 구멍에 pin이 들어가면 장착이 잘 되었다는 내용은 다른 내용들과는 거리가 먼 내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종계통에서 벨 크랭크(BELL CRANK)의 주 역활은?

  1. 케이블(CABLE)과 로드(ROD)를 연결한다.
  2. 로-드(ROD)나 케이블(CABLE)의 운동방향을 전환한다.
  3. 풀리(PULLEY)를 장착하는데 사용한다.
  4. 풀리와 케이블을 직선으로 연결한다.
(정답률: 72%)
  • 벨 크랭크는 로드나 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운동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로드나 케이블의 운동을 다른 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부식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장 부식
  2. 표면 부식
  3. 입자간 부식
  4. 응력 부식
(정답률: 86%)
  • 자장 부식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부식 종류입니다. 따라서 자장 부식은 보기에서 부식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에서 큰하중을 받는 알루미늄 합금 구조물의 내부검사에 이용할 수 있는 검사법은?

  1. 다이체크 검사(dye penetrant inspection)
  2. 자이글로 검사(zyglo inspection)
  3. 자기탐상 검사(magnetic particle inspection)
  4. 방사선투과 검사(radiograph inspection)
(정답률: 75%)
  • 알루미늄 합금은 비교적 밀도가 낮고,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서, 내부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구조물의 내부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는 검사법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방사선투과 검사가 선택될 수 있습니다. 방사선투과 검사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물체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 검사 가능한 두께와 정확도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 구조물의 내부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방사선투과 검사가 적합한 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N 514 P 428-8 스크류에서 P가 뜻하는 것은?

  1. 계열
  2. 머리의 홈
  3. 지름
  4. 재질
(정답률: 70%)
  • AN 514 P 428-8 스크류에서 P는 "머리의 홈"을 뜻한다. 이는 스크류의 머리 부분에 있는 홈으로,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P는 스크류의 머리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께 0.051인치의 판을 1/4인치 굴곡반경으로 90°굽힌다면 굴곡 허용량(Bend Allowance)은 얼마인가?

  1. 0.3423in
  2. 0.4328in
  3. 0.4523in
  4. 0.5328in
(정답률: 72%)
  • 굴곡 허용량은 판의 두께, 굴곡각도, 굴곡반경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판의 두께와 굴곡반경이 주어졌으므로, 굴곡 허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굴곡 허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굴곡 허용량 = (판의 두께 x π / 180) x (90 - 굴곡각도) x (1 + (굴곡반경 / 판의 두께))

    여기서, 판의 두께는 0.051인치, 굴곡각도는 90도, 굴곡반경은 1/4인치로 주어졌다. 따라서, 굴곡 허용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굴곡 허용량 = (0.051 x π / 180) x (90 - 90) x (1 + (1/4 / 0.051))
    = 0.4328in

    따라서, 정답은 "0.4328in"이다. 이유는 주어진 공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듀랄루민으로 개발된 최초합금으로 Cu 4%, Mg 0.5%를 함유하며 현재는 주로 리벳으로 사용되는 것은?

  1. AA2014
  2. AA2017
  3. AA2024
  4. AA2224
(정답률: 51%)
  • AA2017 합금은 Cu와 Mg 함량이 높아서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리벳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AA2014 합금은 Cu 함량이 높아서 가공성이 우수하지만, Mg 함량이 낮아서 강도는 낮습니다. AA2024 합금은 Cu 함량이 높아서 강도는 높지만, Mg 함량이 낮아서 내식성이 낮습니다. AA2224 합금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노스 스트럿트(Nose strut)내부에 있는 센터링 캠(Centering cam)의 작동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착륙후에 노스 휠(Nose wheel)을 중립으로 하여준다.
  2. 이륙후에 노스 휠을 중립으로 하여준다.
  3. 내부 피스톤에 묻은 오물을 제거해 준다.
  4. 노스 휠 스티어링(steering)이 작동하지 않을 때 중립위치로 하여준다.
(정답률: 58%)
  • 이륙 후에 노스 휠을 중립으로 하여준다. 이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 노스 스트럿이 늘어나면서 노스 휠이 바닥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센터링 캠이 작동하여 노스 휠을 중립 위치로 유지시켜 비행 중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형단면인 봉의 경우 비틀림에 의하여 단면에서 발생하는 비틀림각 읨를 나타낸 식은? (단, L : 봉의 길이, G : 전단탄성계수, R : 반지름, J : 극관성 모멘트, T : 비틀림 모멘트)

(정답률: 64%)
  • 원형단면인 봉의 경우 비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비틀림각 읨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θ = (T*R) / (G*J)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 R은 반지름, G는 전단탄성계수, J는 극관성 모멘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해된 이산화 규소의 가는 가닥으로 만들어진 섬유로서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내수성,내산성등 화학적 내구성이 좋으며, 가격도 저렴하지만 다른 강화섬유에 비해 기계적 성질이 낮아 2차 구조물에 사용되는 섬유는?

  1. 카본섬유
  2. 유리섬유
  3. 아라미드섬유
  4. 보론섬유
(정답률: 53%)
  • 유리섬유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좋은 섬유이지만, 기계적 성질이 다른 강화섬유에 비해 낮기 때문에 2차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리섬유"입니다. 카본섬유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경량화에 용이하지만 가격이 비싸며, 아라미드섬유는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며, 보론섬유는 내열성과 내식성이 뛰어나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노코크(monocoque) 구조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강관의 골격에 알루미늄 외피를 씌운구조
  2. 강관의 골격에 fabric을 씌운구조
  3. 금속외피, frame, stringer등의 강도 부재를 접합하여 만든 구조
  4. 외피로만 되어있서 구조의 하중을 외피가 담당하도록 한 구조
(정답률: 64%)
  • 모노코크(monocoque) 구조는 외피로만 되어있어 구조의 하중을 외피가 담당하도록 한 구조입니다. 이는 강관의 골격에 알루미늄 외피를 씌운 구조나 fabric을 씌운 구조, 금속외피, frame, stringer 등의 강도 부재를 접합하여 만든 구조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의 위치표시방식 중에서 기준으로 정한 특정 수평면으로부터의 위치를 측정한 수직거리는?

  1. FS(Fuselage Station)
  2. WS(Wing Station)
  3. BWL(Body Water Line)
  4. BBL(Body Buttock Line)
(정답률: 66%)
  • BWL은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수평면인 선박에서 사용하는 수평선인 "Water Line"과 관련이 있습니다. 항공기의 경우, 수중에서 선박이 움직일 때 수평선인 Water Line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지만, 공중에서 비행기가 움직일 때는 수평선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는 Water Line 대신에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수평선인 BWL을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합니다. BWL은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안정성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직류 발전기의 보상권선(compensating winding)과 그 역할이 같은 것은?

  1. 보극(interpole)
  2. 직렬권선(series-winding)
  3. 병렬권선(shunt-winding)
  4. 회전자권선(armature coil)
(정답률: 64%)
  • 보상권선과 보극은 모두 직류 발전기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회전자 자기장의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보상권선은 회전자와 별도로 설치되는 반면, 보극은 회전자 자체에 설치되는 권선입니다. 따라서 보극이 보상권선과 같은 역할을 하며,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유압장치와 공압장치를 비교할 때 공압장치에서 필요 없는 부품은?

  1. check valve
  2. relief valve
  3. reducing valve
  4. accumulator
(정답률: 66%)
  • 공압장치에서는 유압장치와 달리 유체의 체적 변화가 없기 때문에 accumulator(가압탱크)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accumulator가 필요 없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납산 축전지에서 용량의 표시기호는?

  1. Ah
  2. Bh
  3. Vh
  4. Fh
(정답률: 76%)
  • 납산 축전지에서 용량의 표시기호는 "Ah"이다. 이는 축전지의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Ampere-hour"의 약자이다. 즉, 1시간 동안 1암페어의 전류를 유지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인 "Bh", "Vh", "Fh"는 존재하지 않는 단위이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기계기에서 불이차의 발생 원인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COMPASS의 중심선과 기축선이 서로 평행일 때
  2. MAGNETIC BAR의 축선과 COMPASS CARD의 남북선이 서로 일치할 때
  3. PIVOT와 LUBBER'S LINE을 연결한 선과 기축선이 서로 평행일 때
  4. COMPASS의 중심선과 기축선이 서로 평행하지 않을 때
(정답률: 20%)
  • 자기계기에서 불이차의 발생 원인은 자기침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생기는 오차입니다. 이 때, PIVOT와 LUBBER'S LINE을 연결한 선과 기축선이 서로 평행하면 자기침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IVOT와 LUBBER'S LINE을 연결한 선과 기축선이 서로 평행일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항공기의 기압식 고도계를 QNE 방식에 맞추면, 어떤 고도를 지시하는가?

  1. 기압고도
  2. 절대고도
  3. 진고도
  4. 밀도고도
(정답률: 63%)
  • QNE 방식은 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QNE 방식에 맞춘 기압식 고도계는 현재 기압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고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고도는 기압고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압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압력조절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압력조절기 보다 약간 높게 조절되어 있어, 그 이상의 압력을 빼어주기 위한 장치는?

  1. check valve
  2. reservoir
  3. accumulator
  4. relief valve
(정답률: 64%)
  • 압력조절기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반면, relief valve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압력을 빼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그 이상의 압력을 빼어주기 위한 장치는 "relief valv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표류중에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긴급신호장치(EmergencySignal Equipment)가 아닌 것은?

  1. FM RADIO
  2. RADIO BEACON
  3. MEGAPHONE
  4. 백색광탄
(정답률: 55%)
  • FM RADIO는 표류중에 위치를 알려주는 긴급신호장치가 아니라 일반적인 라디오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긴급신호를 보내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HF 통신(Communication)의 용도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공기 상호간 단거리 통신
  2. 항공기와 지상간의 단거리 통신
  3. 항공기 상호간 및 항공기와 지상간의 단거리 통신
  4. 항공기 상호간 및 항공기와 지상간의 장거리 통신
(정답률: 75%)
  • HF 통신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며, 항공기 상호간 및 항공기와 지상간의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행 중에 지상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집합계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필요한 정보를 필요할 때 지시하게 할 수 있다.
  2. 한 개의 정보를 여러개의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3. 다양한 정보를 도면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4. 항공기 상태를 그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59%)
  • 한 개의 정보를 여러개의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화면에 모든 정보를 표시할 수 없을 때 여러 개의 화면을 사용하여 정보를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보의 전달과 이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Vapour cycle cooling system(freon)에서 air의 냉각은?

  1. 고온 고압의 freon gas가 cooling air에 의해 열을 빼앗겨 냉각된다.
  2. 액체 freon을 팽창시켜서 온도를 낮춘다.
  3. freon의 응축에 의하여 냉각 된다.
  4. 액체 freon이 cabin air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므로서 냉각된다.
(정답률: 57%)
  • 액체 freon이 cabin air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므로서 냉각된다. 이는 freon이 기체 상태로 변화할 때 열을 흡수하고, 이 과정에서 주변의 공기나 물 등을 냉각시키는 원리인 기화열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freon gas가 cooling air에 의해 열을 빼앗겨 냉각되는 것이 아니라, 액체 freon을 팽창시켜서 온도를 낮추는 것이나 freon의 응축에 의해 냉각되는 것과는 다른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형 항공기 공압계통에서 공통 매니폴드(Manifold)에공급되는 공기 공급원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Electric MotorCompressor)
  2. 터빈 엔진의 압축기(Compressor)
  3.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기(Super Charger)
  4. 그라운드 뉴메틱 카트(Ground Pneumatic Cart)
(정답률: 61%)
  • 공통 매니폴드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원은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Electric Motor Compressor)", "터빈 엔진의 압축기(Compressor)", "엔진으로 구동되는 압축기(Super Charger)", "그라운드 뉴메틱 카트(Ground Pneumatic Cart)" 이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그라운드 뉴메틱 카트(Ground Pneumatic Cart)"이다. 이유는 그라운드 뉴메틱 카트는 비행기가 지상에 있을 때만 사용되는 이동식 공기 공급 장치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나머지 세 가지 공급원은 비행기가 공중에 있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 아니다.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Electric Motor Compressor)"는 전기 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비행기의 전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비행기가 지상에 있을 때에도 발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직류 전동기 중 변동률이 가장 심한 것은?

  1. 분권형
  2. 직권형
  3. 가동복권형
  4. 차동복권형
(정답률: 60%)
  • 직류 전동기 중 변동률이 가장 심한 것은 "직권형"이다. 이는 직류 전동기의 자기장이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서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자기장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동은 전동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고속 회전 시에는 더욱 심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작동유(Hydraulic fluid) 구비조건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점도가 높을 것
  2. 열전도율이 좋을 것
  3. 화학적 안정성이 좋을 것
  4. 부식성이 적을 것
(정답률: 74%)
  •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수록 유체의 저항이 커져서 유체의 움직임이 둔화되어 작동유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비조건으로는 관계가 먼 것이다. 따라서 작동유는 적절한 점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Windshield의 제우장치로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은?

  1. 화학물질을 분사하는 방법
  2. Window Wiper를 사용하는 방법
  3. 공기로 불어내는 방법
  4. 전열기를 사용하는 방법
(정답률: 60%)
  • 전열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름기나 얼음 등을 녹여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더 멀리 있는 먼지나 오염물질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열기를 사용하면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서 시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자기의 요소 중 지자기 자력선의 방향과 수평선 간의 각을 의미하는 요소는?

  1. 편각
  2. 복각
  3. 수직분력
  4. 수평분력
(정답률: 66%)
  • 정답은 "복각"입니다. 복각은 지자기 자력선의 방향과 지표면(수평선) 간의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지자기 자력선이 지표면과 어떤 각도로 교차하는지를 나타내며, 지자기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편각은 지자기 자력선이 자기 북극과 수평선 간의 각도를 의미하며, 수직분력과 수평분력은 지자기 자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여압장치의 차압은 다음 어느 것에 의해 제한을 받는가?

  1. 인체의 내성
  2. 가압장치의 용량
  3. 객실내의 산소함유량
  4. 기체구조의 강도
(정답률: 63%)
  • 여압장치는 기체를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압력을 사용합니다. 이 압력은 기체구조의 강도에 의해 제한을 받습니다. 만약 기체구조가 충분히 강하지 않다면,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체구조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압장치를 설계할 때는 기체구조의 강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인체의 내성, 가압장치의 용량, 객실내의 산소함유량은 모두 여압장치의 차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직류 발전기에서 잔류자기를 잃어 발전기 출력이 나오지 않을 경우 잔류자기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잔류자기가 회복될 때까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2. 계자권선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3. Field Coil을 교환한다.
  4. 잔류자기가 회복될 때까지 고속 회전시킨다.
(정답률: 72%)
  • 잔류자기는 발전기의 자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으로, 발전기의 출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발전기에서 잔류자기가 손실되어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면,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다시 자기장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Field Coil에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생성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때, Field Coil에 공급되는 전류는 직류여야 하므로, 계자권선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항공기에 사용되는 액량계기의 형식에 대한 설명 내용 중 틀린 것은?

  1. 직독식 액량계는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에 의해 액량을 읽는다.
  2. 플로우트식 액량계에서는 플로우트의 운동을 셀신 또는 전위차계 등을 이용하여 원격 지시하게 하는것이 대부분이다.
  3. 액압식 액량계는 오토신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4. 제트기에서는 전기용량식 액량계가 사용된다.
(정답률: 41%)
  • 정답은 "액압식 액량계는 오토신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다.

    액압식 액량계는 액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액량을 측정하는데, 이는 오토신의 원리와는 관련이 없다. 오토신의 원리는 액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액량을 측정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액압식 액량계에 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이 부분이다.

    직독식 액량계는 사이트 글라스를 통해 액량을 읽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플로우트식 액량계에서는 플로우트의 운동을 셀신 또는 전위차계 등을 이용하여 원격 지시하게 된다. 제트기에서는 전기용량식 액량계가 사용되며, 이는 전기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액량을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과 같은 bridge 회로가 평형되었을 때 R의 값은?

  1. 60
  2. 80
  3. 120
  4. 240
(정답률: 72%)
  • Bridge 회로가 평형되었다는 것은 R1/R2 = R3/R4 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1/R2 = 2/3 이므로 R1 = 2R2/3 입니다. 마찬가지로 R3/R4 = 2/3 이므로 R3 = 2R4/3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전체 회로의 저항을 구해보면 R = R2 + R4 + R1//R3 = R2 + R4 + (R1*R3)/(R1+R3) 입니다. 여기에 R1 = 2R2/3, R3 = 2R4/3 을 대입하면 R = R2 + R4 + (4R2R4)/(4R2+4R4) = R2 + R4 + 4R2R4/(2R2+2R4) = R2 + R4 + 2R2R4/(R2+R4) 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R = 2(R2R4)/(R2+R4) 입니다. 이제 R2 = 60, R4 = 80 을 대입하면 R = 2(60*80)/(60+80) = 240 이므로 정답은 2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항공기에서 거리측정장치(DME)의 기능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내용은?

  1. 질문펄스에서 응답펄스에 대한 펄스간에 지체시간을 구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다.
  2. 질문펄스에서 응답펄스에 대한 펄스간에 지체시간을 구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3. 응답펄스에서 질문펄스에 대한 시간차를 구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다.
  4. 응답펄스에서 선택된 주파수만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77%)
  • DME는 거리측정장치로, 항공기에서 질문펄스를 보내고 응답펄스를 받아서 그 사이의 지체시간을 구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질문펄스에서 응답펄스에 대한 펄스간에 지체시간을 구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