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20)

항공산업기사
(2005-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수평선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경사각이 크면 선회속도를 작게해야 한다.
  2. 선회시 실속속도는 수평비행 실속 속도보다 작다.
  3. 선회반경은 속도가 클 수록 작아진다.
  4. 경사각이 크면 선회반경은 작아진다.
(정답률: 65%)
  • 정답은 "경사각이 크면 선회반경은 작아진다."이다. 이유는 경사각이 크다는 것은 비행기가 수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에 가까운 상황이므로, 수평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비행기가 더 많은 공간을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선회반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이 작을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펠러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연료 소비율 최대, 양항비 최대 조건으로 비행한다.
  2. 연료 소비율 최소, 양항비 최대 조건으로 비행한다.
  3. 연료 소비율 최대, 양항비 최소 조건으로 비행한다.
  4. 연료 소비율 최소, 양항비 최소 조건으로 비행한다.
(정답률: 87%)
  • 프로펠러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연료 소비율을 최소화하고 양항비를 최대화해야 합니다. 연료 소비율이 적으면 연료를 덜 사용하므로 항속거리를 늘릴 수 있고, 양항비가 높으면 비행 중에 사용하는 연료와 비행기의 무게와 크기에 비해 더 많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어 항속거리를 늘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 소비율 최소, 양항비 최대 조건으로 비행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펠러의 고형비(solidity ratio)란?

  1. 모든 깃의 부피 / 프로펠러 원판 부피
  2. 프로펠러 원판부피 / 모든 깃의 부피
  3. 모든 깃의 면적 / 프로펠러 원판 면적
  4. 프로펠러 원판 면적 / 모든 깃의 면적
(정답률: 51%)
  • 프로펠러의 고형비는 프로펠러의 깃(날개)들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모든 깃의 면적을 프로펠러 원판 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기력 중심(aerodynamic center)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 받음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멘트가 일정하게 되는 날개 시위선상의 점이다.
  2. 아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의 25% 부근에 위치한다.
  3. 초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선의 15% 부근에 위치한다.
  4. 모멘트 계수의 값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날개 시위상의 점이다.
(정답률: 50%)
  • "초음속 날개에서는 공기력 중심의 일반적인 위치는 대개 시위선의 15% 부근에 위치한다." 이유는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 받음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멘트가 일정하게 되는 날개 시위선상의 점이다."라는 원리 때문이다. 초음속에서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날개 시위선상의 점이 일정한 모멘트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 위치는 대개 시위선의 15%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글라이더가 고도 2,000m 상공에서 양항비 30인 상태로 활공한다면 도달할 수 있는 수평 활공거리는 얼마인가?

  1. 40,000m
  2. 50,000m
  3. 60,000m
  4. 70,000m
(정답률: 94%)
  • 글라이더가 고도 2,000m 상공에서 양항비 30인 상태로 활공한다면, 이는 1m의 고도 상승에 대해 30m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000m의 고도 상승에 대해 수평 이동 거리는 2,000m x 30 = 60,000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00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압식 정속 프로펠러(hydraulic constant speed prop')에서 카운터 웨이터가 달린 경우 저피치가 되게하는 힘은 무엇인가?

  1. 카운터 웨이터의 원심력
  2. 카운터 웨이터의 원심력 원심비틀림 모멘트
  3. 스피더 스프링의 장력
  4. 조속기 오일압력
(정답률: 47%)
  • 카운터 웨이터는 프로펠러 회전 중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터가 달린 경우, 저피치가 되게 하는 힘은 카운터 웨이터의 원심력 원심비틀림 모멘트입니다. 이 모멘트를 상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조속기 오일압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속기 오일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NACA 23015 날개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2 : 최대두께가 시위의 2%이다.
  2. 3 :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이다.
  3. 0 : 평균캠버선의 뒤쪽 반이 곡선이다.
  4. 15 :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의 15%이다.
(정답률: 68%)
  • NACA 23015 날개골은 NACA 4자리 날개골 코드 중 첫 번째 숫자가 2, 두 번째 숫자가 3, 세 번째 숫자가 0, 마지막 숫자가 1 또는 5인 날개골을 의미한다. 이 중 NACA 23015는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이다. 이는 날개골의 상부 곡면이 15% 지점에서 가장 높이 솟아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날개골의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최근의 초음속기에서 옆놀이 커플링 현상을 막기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1. 벤트럴 핀 (Ventral pin) 부착
  2. 볼택스 플랩(Vortex flap) 사용
  3. 실속 스트립(Stall strip) 사용
  4. 윙넷 (Wingnet) 부착
(정답률: 67%)
  • 벤트럴 핀 부착은 초음속기의 날개에 작은 핀을 부착하여 날개 주변의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옆놀이 커플링 현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초음속기의 공기 흐름을 바꾸는 방법이지만, 벤트럴 핀 부착은 공기 흐름을 조절하여 옆놀이 커플링 현상을 막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날개의 후퇴각을 크게하면 임계마하수를 높일 수 있다. 그이유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력계수를 감소시키기 때문
  2. 조종성이 좋아지기 때문
  3. 압력중심의 이동이 적기 때문
  4. 날개시위 방향으로 공기흐름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
(정답률: 42%)
  • 날개의 후퇴각을 크게하면 날개시위 방향으로 공기흐름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임계마하수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게가 8,000kgf 이고, 날개면적 50m2 인 항공기가 있다. 이 항공기가 최대 양력계수 CLmax=1.6으로 착륙할 때 실속속도(landing speed)를 구하면 얼마인가? (단, 밀도 ρ=1/8 kgf·sec2/m4 이다.)

  1. 40 m/sec
  2. 50 m/sec
  3. 60 m/sec
  4. 70 m/sec
(정답률: 61%)
  • 양력 = 중력
    1/2 × ρ × V2 × S × CLmax = mg
    여기서 m = 8,000kgf / 9.81 = 815.7kg
    V = √(2mg / ρS CLmax)
    = √(2 × 815.7 × 9.81 / (1/8) × 50 × 1.6)
    ≈ 40 m/sec

    따라서 정답은 "40 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클 경우 항공기는 어떤 상태인가?

  1. 감속된다.
  2. 상승한다.
  3. 침하한다.
  4. 실속한다.
(정답률: 78%)
  • 항공기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클 경우, 항공기는 상승한다. 이는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크기 때문에 항공기가 공기를 더 많이 이용하여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비행 중인 항공기가 고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주요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도 10,000m 상공에서의 대기온도는 얼마인가?

  1. -35℃
  2. -40℃
  3. -45℃
  4. -50℃
(정답률: 81%)
  •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대기가 팽창하면서 열이 흩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고도 10,000m 상공에서는 대기온도가 매우 낮아지며, 평균적으로 약 -50℃ 정도로 추워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평형상태를 벗어난 비행기가 이동된 위치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한다면, 즉 원래의 평형상태로 되돌아 오지도 않고, 평형상태에서 벗어난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는 경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적 안정(positive static stability)
  2. 정적 불안정(negative static stability)
  3. 정적 중립(neutral static stability)
  4. 동적 안정(dynamic stability)
(정답률: 72%)
  • 정적 중립은 비행기가 평형상태를 벗어나도 다시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오지 않고, 벗어난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이 없는 상태이며, 비행기의 움직임이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동적 안정성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의 세로안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날개
  2. 수평꼬리날개
  3. 수직꼬리날개
  4. 도움날개
(정답률: 68%)
  • 비행기의 세로안정은 수직 방향으로 일어나는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비행기는 수평꼬리날개와 수직꼬리날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직꼬리날개는 주로 비행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세로안정에는 수평꼬리날개가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수평꼬리날개는 비행기의 공기저항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평꼬리날개가 비행기의 세로안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상승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세로안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경계층에서 흐름의 떨어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설계하는 항공기 날개는 어느 것인가?

  1. 삼각형
  2. 테이퍼형
  3. 타원형
  4. 직사각형
(정답률: 43%)
  • 삼각형은 경계층에서 흐름의 떨어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날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계층에서의 떨어짐은 공기의 저항을 줄이고, 날개의 추력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삼각형 날개는 경계층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항공기의 비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3축에 대한 운동과 조종면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승강키와 요잉(Yawing)
  2. 방향키와 핏칭(Pitching)
  3. 도움날개와 롤링(Rolling)
  4. 선회와 스포일러
(정답률: 85%)
  • 항공기 3축은 롤링, 핏칭, 요잉 운동으로 구성되며, 이 운동은 각각 롤링, 핏칭, 요잉 조종면으로 제어된다.

    도움날개와 롤링은 항공기의 좌우 기울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조종면과 운동이다. 도움날개는 항공기의 좌우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롤링은 항공기를 좌우로 기울이는 운동이다. 따라서 도움날개를 이용하여 롤링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개 이상의 비행속도에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분할 허브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비행목적에 따라 피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프로펠러의 종류는?

  1. 고정피치 프로펠러
  2. 가변피치 프로펠러
  3. 정속 프로펠러
  4. 조정피치 프로펠러
(정답률: 73%)
  • 조정피치 프로펠러는 비행속도에 따라 피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분할 허브를 사용하여 지상에서 비행목적에 따라 피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고정피치 프로펠러, 가변피치 프로펠러, 정속 프로펠러보다 더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음속 흐름과 초음속 흐름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무엇인가?

  1. 마찰력 효과
  2. 점성작용
  3. 압축성 효과
  4. 가속작용
(정답률: 63%)
  • 아음속 흐름과 초음속 흐름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압축성 효과입니다. 이는 초음속 흐름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물체가 공기 분자들을 밀어내면서 압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기 분자들이 높은 압력과 온도로 압축되어 초음속 흐름에서는 높은 압력과 온도가 발생합니다. 이와 달리 아음속 흐름에서는 이러한 압축성 효과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특정한 헬리콥터에서는 회전날개(Rotor Blades)에 비틀림 각을 준다. 그 이유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지비행시 균일한 유도속도의 분포를 얻기 위해
  2. 회전날개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3. 회전날개 후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4.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정답률: 74%)
  • 정지비행시 균일한 유도속도의 분포를 얻기 위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헬리콥터 회전날개 모양은 날개끝(Tip)으로 갈수록 어떠한 모양인가?

  1. 두껍고 적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모양
  2. 두껍고 많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모양
  3. 얇고 적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모양
  4. 얇고 많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모양
(정답률: 48%)
  • 헬리콥터 회전날개는 날개끝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이유는 공기의 흐름이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을 지날 때, 날개끝에서는 윗면과 아랫면의 공기가 만나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압력이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하여 헬리콥터가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날개끝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얇고 적은 양력을 발생시키는 모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터보 제트기관에서 추력비 연료소비율을 계산하는 공식은 어느 것인가? (단, Wf:연료의 중량유량(pph), Fn:기관의 진추력)

(정답률: 73%)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연료소비율은 연료의 중량유량(Wf)을 기관의 진추력(Fn)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 공식이 연료소비율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터빈 기관의 배기소음 방지 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배기소음 중의 고주파음을 저주파음으로 변환시킨다.
  2. 노즐의 전체 면적을 증가시킨다.
  3. 대기와의 상대속도를 크게한다.
  4. 대기와의 혼합되는 면적을 넓게한다.
(정답률: 48%)
  • 가스터빈 기관에서 발생하는 배기소음은 고주파음이 많기 때문에, 이를 저주파음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대기와의 혼합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는 소음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와의 혼합되는 면적을 넓게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계통의 여압 및 드레인 밸브(P&D valve)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1차 연료와 2차 연료 흐름으로 분리한다.
  2. 기관 정지시 노즐에 남은 연료를 외부로 방출한다.
  3. 일정 압력까지 연료 흐름을 차단한다.
  4.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정답률: 58%)
  •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는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계통의 P&D valve의 기능이다. 이는 연료압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관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가 아닌 것은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어느 캠링(cam ring)이 가장 천천히 회전 하겠는가?

  1. 5 cylinder 엔진에 사용된 2 lobe cam ring
  2. 7 cylinder 엔진에 사용된 3 lobe cam ring
  3. 9 cylinder 엔진에 사용된 4 lobe cam ring
  4. 위 모두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정답률: 62%)
  • 9 cylinder 엔진에 사용된 4 lobe cam ring이 가장 천천히 회전할 것입니다. 이는 각 실린더마다 카메라가 더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크랭크 축의 런 아웃(run-out)측정을 위하여 다이얼 게이지(dial gage)를 읽은 결과 +0.001 inch부터 -0.002 inch까지 지시하였다면 이때 런 아웃 값은 몇 인치 인가?

  1. -0.001
  2. 0.002
  3. 0.003
  4. -0.002
(정답률: 68%)
  • 런 아웃 값은 크랭크 축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원판의 가장자리가 얼마나 흔들리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한 값은 원판의 중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0.001 inch부터 -0.002 inch까지 지시하였으므로, 이는 원판의 중심에서 +0.001 inch부터 -0.002 inch까지 멀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를 합치면 원판의 가장자리가 중심에서 +0.003 inch부터 -0.002 inch까지 움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런 아웃 값은 원판의 가장자리가 얼마나 흔들리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이를 다시 중심으로 되돌려야 한다. 따라서 +0.003 inch와 -0.002 inch를 합치면 0.001 inch가 되므로, 이 값이 런 아웃 값이 된다.

    즉,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한 값이 원판의 중심에서 멀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를 중심으로 되돌려서 원판의 가장자리가 중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합치면 런 아웃 값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펠러의 성능에서 진행률을 나타내는 식은? (단, V=비행속도, n=프로펠러 회전속도 , T=추력, P=동력, D=프로펠러 지름 )

  1. T×P/V
  2. V/nD
  3. nD/V
  4. V/T×P
(정답률: 84%)
  • 프로펠러의 진행률은 비행속도에 대한 프로펠러 회전속도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비율은 프로펠러가 한 번 회전할 때 이동하는 거리인 원주(2πr)와 비행기가 한 번 움직이는 거리인 비행속도(V)의 비율과 같습니다. 따라서 원주는 프로펠러 지름(D)과 회전속도(n)의 곱인 nD이므로, 진행률은 V/nD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연기관에서 이론 열효율을 구하기 위해 설정한 이상적인 엔진 사이클의 조건을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작동유체를 공기라하고 공기의 비열을 온도에 대하여 일정하게 한다.
  2. 압축, 팽창 행정은 외부와의 열교환이 없는 단열변화라 한다.
  3. 흡입, 배기에는 저항이 많고 대기압상태에서 흡.배기가 이루어진다.
  4. 작동유체의 운동에너지는 무시한다.
(정답률: 39%)
  • "흡입, 배기에는 저항이 많고 대기압상태에서 흡.배기가 이루어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내연기관에서는 실제로 흡입과 배기 과정에서 저항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엔진 사이클에서도 이를 고려하여 흡입과 배기를 대기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설정합니다. 이는 실제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손실과 효율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스터빈 기관용 원심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당 압력비가 높다.
  2. 제작이 쉽다.
  3. 구조가 튼튼하다.
  4. 대형 기관에 적합하다.
(정답률: 64%)
  • "제작이 쉽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스터빈 기관용 원심식 압축기는 고속 회전하는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제작이 복잡하고 정밀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제작이 쉽지 않습니다. 대형 기관에 적합한 이유는 단당 압력비가 높아서 대량의 공기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터보 팬 엔진(Turbo Fan Engine)의 바이패스 비(Bypass Ratio)란?

  1. 2차 공기량/1차 공기량
  2. 1차 공기량/2차 공기량
  3. 1차 공기량/전체 공기량
  4. 2차 공기량/전체 공기량
(정답률: 77%)
  • 터보 팬 엔진은 고속 비행을 위해 고압력과 고온도의 가스를 생성하는 핵심 부품인 컴프레서와 연소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가스는 엔진 내부에서 회전하는 팬 블레이드를 통해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때 일부 가스는 팬 블레이드를 우회하여 바이패스(통과)됩니다. 이 바이패스 비는 2차 공기량(바이패스된 공기량)을 1차 공기량(직접 추진되는 공기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바이패스 비는 "2차 공기량/1차 공기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피스톤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관성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
  2. 온도차에 의한 변형이 작을 것
  3. 열전도가 양호할 것
  4. 중량이 가벼울 것
(정답률: 84%)
  • 중량이 가벼울 것은 피스톤의 구비조건 중 하나이지만, 관성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은 구비조건이 아니다. 관성이 크게 작용하면 피스톤의 운동이 불안정해지고, 엔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은 관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공성능이 가장 좋은 엔진은 어느 것인가?

  1. 터보 팬 엔진
  2. 램 제트 엔진
  3. 펄스제트 엔진
  4. 터보 제트 엔진
(정답률: 50%)
  • 램 제트 엔진은 고속 비행에 적합한 엔진으로, 고공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이는 고공에서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면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엔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램 제트 엔진은 고속 비행기나 전투기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온도 환산식이 맞는 것은? (단, tc:섭씨도, tf:화씨도, Tc:켈빈도, TF :랭킨도)

  1. TF = (tf + 273)R
  2. tf = 9/5 tc + 32
  3. Tc = (tc +460)K
  4. tc =5/9(tf + 32)℃
(정답률: 66%)
  • 정답은 "tf = 9/5 tc + 32" 이다.

    이유는 화씨온도와 섭씨온도 간의 관계식인 "tf = 9/5 tc + 32"을 이용하여 화씨온도를 섭씨온도로 환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식은 섭씨 0도일 때 화씨 32도가 되고, 섭씨 1도당 화씨 1.8도씩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섭씨온도를 화씨온도로 변환하려면 9/5를 곱하고 32를 더해주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두 개의 정압과정과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이루어진 cycle은?

  1. Otto cycle
  2. Diesel cycle
  3. Rankine cycle
  4. Brayton cycle
(정답률: 62%)
  • Brayton cycle은 가스 터빈 엔진에서 사용되는 cycle로, 두 개의 정압과정과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기가 압축되어 가열되고, 그 후 확장되어 냉각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가스 터빈 엔진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열역학에서 "밀폐계가 사이클을 수행할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과 정비례 관계를 가진다"라는 말로 표현된 법칙은?

  1. 열역학 제 1법칙
  2. 열역학 제 2법칙
  3. 열역학 제 3법칙
  4. 열역학 제 4법칙
(정답률: 72%)
  • "밀폐계가 사이클을 수행할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과 정비례 관계를 가진다"는 법칙은 열역학 제 1법칙이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하지 않고 변환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밀폐계에서 일이 이루어질 때 발생한 열 전달량은 일의 양과 비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가장 큰 값은 어느 것인가?

  1. 지시마력
  2. 제동마력
  3. 마찰마력
  4. 모두같다.
(정답률: 76%)
  • 가장 큰 값은 "지시마력"이다. 이는 엔진이 생성하는 힘 중에서 실제로 바퀴를 움직이는 힘으로, 제동마력은 바퀴를 멈추게 하는 힘이고, 마찰마력은 바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시마력이 가장 큰 값이다. "모두같다"는 선택지는 모든 마력이 동일하다는 가정이 필요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속 프로펠러의 조속기 내의 파일롯(pilot)밸브는 무엇에 의해 작동되는가?

  1. 엔진오일 압력
  2.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
  3. 프로펠러 조절 레버
  4. 조속기 펌프 오일 압력
(정답률: 78%)
  • 정속 프로펠러의 조속기 내의 파일롯 밸브는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에 의해 작동됩니다.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는 회전 중인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중심축 주변으로 회전하면서 파일롯 밸브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파일롯 밸브는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어 정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캬브레터의 이코노마이저장치의 역할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고출력시에 일시적으로 농후한 혼합비로 한다.
  2. 고도에 의한 밀도의 변화에 대하여 혼합비를 적절히 유지한다.
  3. 풀 스로틀시의 연비를 절약한다.
  4. 순항속도에서 혼합비를 적절히 유지한다.
(정답률: 69%)
  • 캬브레터의 이코노마이 저장치는 고출력시에 일시적으로 농후한 혼합비로 한다. 이는 고출력을 발휘할 때에는 더 많은 연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더 높게 유지하여 높은 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형 터보 팬 엔진의 터빈 케이스(Turbine case)의 냉각(Cooling)에 사용되는 것은?

  1. 압축기 블리드 공기(Compressor Bleed Air)
  2. 물-알콜(Water Alcohol)
  3. 미연소 가스(Gas)
  4. 팬 공기(Fan Air)
(정답률: 58%)
  • 팬 공기는 엔진 내부에서 회전하는 팬 블레이드에서 흡입되어 열을 흡수하고 냉각된 후 터빈 케이스를 통해 배출됩니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냉각을 제공하며, 냉각 효율이 높기 때문에 대형 터보 팬 엔진에서는 터빈 케이스 냉각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기 기관의 소기 펌프(Scavenger pump)가 압력 펌프(Pressure pump)보다 용량이 크다. 그 이유는?

  1. 윤활유가 저온이 되어 팽창하기 때문에
  2. 소기되는 윤활유에는 공기가 혼합되여 체적이 증대함으로
  3. 소기 펌프가 파괴될 우려가 있으므로
  4. 압력 펌프보다 소기 펌프의 압력이 낮으므로
(정답률: 86%)
  • 소기되는 윤활유에는 공기가 혼합되여 체적이 증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왕복기관의 크랭크 핀(Crank Pin)이 일반적으로 속이 비어있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크랭크 축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2. 윤활유의 통로를 형성한다.
  3. 탄소 퇴적물이 모이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4. 크랭크 축의 냉각효과를 갖는다.
(정답률: 65%)
  • 크랭크 축은 엔진 작동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고온화되는데, 크랭크 핀 내부의 공간은 냉각유로를 통해 냉각되어 크랭크 축의 냉각효과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랭크 축의 냉각효과를 갖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동력 조종장치에서 조종사에게 조종력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장치는?

  1. 수동비행 조종장치(Manual Flight Control System)
  2. 자동비행장치(Auto Pilot System)
  3. 아티피셜 휠링 디바이스(Artificial Feeling Devices)
  4. 유압 브스터장치(Booster System)
(정답률: 59%)
  • 아티피셜 휠링 디바이스는 동력 조종장치에서 조종사에게 조종력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비행 중에 조종사가 비행기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행 제어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착륙장치 계통에 대한 설명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트럭형식의 착륙장치는 바퀴수가 4개 이상인 경우로서 이를 보기형식이라고도 한다.
  2. 브레이크 시스템은 지상활주시 방향을 바꿀 때도 사용 할 수 있다.
  3. Anti-skid system은 저속에서 작동하며, 브레이크 효율을 감소 시킨다.
  4. Shimmy damper는 앞 착륙장치의 진동을 감쇠 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80%)
  • "Anti-skid system은 저속에서 작동하며, 브레이크 효율을 감소 시킨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Anti-skid system은 착륙장치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브레이크 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벳트 재질과 머리형태가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A(1100) - 표시없음
  2. D(2017) - 머리에 오목한 점이 있다.
  3. DD(2024) - 머리에 두개의 튀어나온점이 있다.
  4. B(5056) - 머리에 +표로 표시되어 있다.
(정답률: 45%)
  • 리벳트 재질은 모두 동일하지만, 머리 형태가 다르게 짝지어진 것이다. 따라서 머리에 있는 특징이 다르게 표시되어 있는데, 2017번은 머리에 오목한 점이 있기 때문에 D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행기 표피판의 두께 t=4mm이고, 전단흐름 q=3000kg/cm이다. 전단응력 τ는 얼마인가?

  1. τ=7.5kg/mm2
  2. τ=75kg/mm2
  3. τ=750kg/mm2
  4. τ=7500kg/mm2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TUBE FLARING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가장 올바른 것은?

  1. steel tube는 double flaring으로 제작된다.
  2. double flare tube는 single flare tube보다 밀폐 특성이 좋다.
  3. single flare tube는 가공경화로 인해 전단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4. single flare tube는 매끈하고 동심으로 제작이 용이하다.
(정답률: 77%)
  • TUBE FLARING은 튜브의 끝을 넓혀서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때, single flare과 double flare 두 가지 방법이 있다. single flare은 튜브 끝을 한 번 넓히는 것이고, double flare은 두 번 넓혀서 밀폐성을 높인다. 따라서 double flare tube는 single flare tube보다 밀폐 특성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세미모노코크 구조의 동체(Semi-monocoque fuselage)는 구조상의 표피로 덮여진 수직과 세로부재로 구성되는데, 세로부재에 속하는 것은?

  1. Former
  2. Ring
  3. Longeron
  4. Bulk head
(정답률: 82%)
  • 세미모노코크 구조의 동체에서 세로부재는 비행기의 길쭉한 형태를 유지하고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세로부재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Longeron입니다. Longeron은 비행기의 길이를 따라 놓인 긴 직선형 부재로, 비행기의 구조를 유지하고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미모노코크 구조의 동체에서 Longeron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용 턴록패스너(Turn lock Fasten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점검창을 신속하게 장탈·착 할 수 있도록 한다.
  2. quick open 패스너 또는 quick action 패스너 라고 불리운다.
  3. 턴록의 종류는 쥬스(dzus), 캠록(cam lock), 에어록(air lock)이 있다.
  4. 항공기 날개 상부표면 점검창을 장착하는데만 사용한다.
(정답률: 71%)
  • "항공기 날개 상부표면 점검창을 장착하는데만 사용한다."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턴록패스너의 사용 용도에 대한 제한적인 설명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다른 항목들은 턴록패스너의 특징이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기의 자기무게(Empty Weight)가 아닌 것은?

  1. 기체구조 무게
  2. 동력장치 무게
  3. 고정장치 무게
  4. 최대이륙 무게
(정답률: 79%)
  • 항공기의 자기무게(Empty Weight)는 비행기가 아무것도 싣지 않은 상태의 무게를 말합니다. 반면에 최대이륙 무게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 최대로 실을 수 있는 적재물과 승객, 연료 등을 모두 합친 무게를 말합니다. 따라서 최대이륙 무게는 비행기가 이륙할 때 안전하게 실을 수 있는 최대 무게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FRCM의 Matrix 중 사용온도 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FRC
  2. BMI
  3. FRM
  4. FRP
(정답률: 68%)
  • FRCM의 Matrix 중 사용온도 범위가 가장 큰 것은 "FRC"이다. 이는 FRC가 유리섬유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FRC는 -269℃에서 260℃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다른 Matrix들보다 더 넓은 온도 범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알루미늄 합금의 AA 식별 방법에서 첫자리 숫자가 2일 때, 그 주요 합금 원소는?

  1. 동(copper)
  2. 망간(manganes)
  3. 실리콘(silicon)
  4. 마그네슘(magnesium)
(정답률: 36%)
  • AA 식별 방법에서 첫자리 숫자가 2는 주로 구리 합금을 나타냅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리가 첨가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copp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 기체구조의 형식에 있어서 트러스 구조형식(truss type)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금속판 외피에 굽힘을 받게 하여 굽힘전단응력에 대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구조방식이며 무게에 비해 강도가 강한 이점이 있어 현용 금속제 항공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2. 항공기의 전체적인 구조형식은 아니며 날개 혹은 꼬리날개와 같은 구조부분에 사용한 구조형식이다.
  3. 하나의 주구조가 피로로 인하여 파괴되거나 혹은 그 일부분이 파괴되더라도 나머지 구조가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파괴 또는 과도한 구조변형을 가져 오지 않는 구조형식이다.
  4. 목재 또는 철판으로 트러스를 구성하고 여기에 천외피 또는 얇은 금속판의 외피를 씌운 것이며 소형 및 경비행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83%)
  • 트러스 구조형식은 목재 또는 철판으로 트러스를 구성하고 여기에 천외피 또는 얇은 금속판의 외피를 씌운 것이며 소형 및 경비행에 많이 사용된다. 이는 무게에 비해 강도가 강한 이점이 있어 현용 금속제 항공기에서 많이 사용되며, 하나의 주구조가 피로로 인하여 파괴되거나 일부분이 파괴되더라도 나머지 구조가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파괴 또는 과도한 구조변형을 가져 오지 않는 구조형식이다. 하지만 항공기의 전체적인 구조형식은 아니며, 날개 혹은 꼬리날개와 같은 구조부분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강의 SAE 표시이다. 탄소의 함량이 가장 큰 것은 어느 것인가?

  1. 4050
  2. 4140
  3. 4330
  4. 4815
(정답률: 76%)
  • SAE 표시에서 첫 번째 숫자는 강재의 주요 합금 원소를 나타낸다. 따라서 4050은 탄소 함량이 가장 큰 것이다. 4140, 4330, 4815은 모두 탄소 함량이 4050보다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합성고무 중 우수한 안정성을 가져 내열성이 요구되는 부분의 밀폐제 등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부틸
  2. 부나
  3. 네오프렌
  4. 실리콘 고무
(정답률: 60%)
  • 실리콘 고무는 고온에도 안정성이 높아서 내열성이 요구되는 부분의 밀폐제 등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합성고무 중에서는 실리콘 고무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긴 시간동안 하중이 작용할 때 시간에 따라 변형도가 달라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크리프(creep)
  2. 항복(yilelding)
  3. 피로굽힘(fatigue bending)
  4. 파괴(fracture)
(정답률: 79%)
  • 크리프(creep)는 긴 시간동안 하중이 작용할 때 시간에 따라 변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약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고온이나 고압 등의 환경에서 더욱 심해진다. 따라서 크리프는 재료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기의 주 조종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움날개(aileron)
  2. 안정판(stabilizer)
  3. 승강키(elevator)
  4. 방향키(rudder)
(정답률: 88%)
  • 안정판은 항공기의 수평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으로, 항공기의 주 조종면인 승강키와 방향키와는 거리가 먼 위치에 있다. 승강키는 항공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고, 방향키는 항공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지만, 안정판은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 조종면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도움날개는 항공기의 좌우 균형을 맞추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터날렌칭볼트(Internal Wrentching Bolt)사용상의 주의 사항으로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카운터 싱크와셔를 사용할 때는 와셔의 방향은 무시해도 좋다.
  2. MS와 NAS의 인터날렌칭볼트의 호환은 NAS를 MS로 교환이 가능하다.
  3. 너트의 아래는 충격에 강한 연질의 와셔를 사용한다.
  4. 이 볼트에는 연질의 너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60%)
  • MS와 NAS는 인터날렌칭볼트의 사이즈와 스레드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MS와 NAS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없다. 정답은 "MS와 NAS의 인터날렌칭볼트의 호환은 NAS를 MS로 교환이 가능하다."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N 501 B- 416- 7 의 B는 스크류의 무엇을 식별하는가?

  1. 2017-T 알미늄 합금이다.
  2. 황동이다.
  3. 부식 저항 강이다.
  4. 머리에 구멍이 있다.
(정답률: 67%)
  • AN 501 B- 416- 7의 B는 스크류의 재질을 식별하는데, "황동"이라는 답은 B가 황동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스크류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B는 스크류의 재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케이블 조종계통(CABLE CONTROL SYSTEM)에 케이블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장치되어있는 부품은?

  1. 벨크랭크(BELLCRANK)
  2. 턴버클(TURNBUCKLE)
  3. 케이블 텐션 레귤레터(CABLE TENSION REGULATOR)
  4. 케이블 텐션 메터(CABLE TENSION METER)
(정답률: 49%)
  • 케이블 텐션 레귤레터는 케이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 조종계통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입니다. 벨크랭크는 운동을 전달하는 부품, 턴버클은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부품, 케이블 텐션 메터는 케이블의 장력을 측정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재료의 탄성계수 E 와 포아송의 비 ν 및 체적탄성계수 K간의 관계가 올바르게 된 것은?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체적탄성계수 K는 탄성계수 E와 포아송의 비 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K는 E/(3(1-2ν))로 표현되며, 이 식에서 E와 ν가 주어지면 K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E와 ν가 주어지면 K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가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V-n 선도에 있어 아무리 급격한 조작을 하여도 구조상 안전한 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9%)
  • 정답은 "A"입니다. 이유는 V-n 선도에서 안전한 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은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지점인데, 이 지점은 V-n 선도에서 가장 왼쪽 아래에 위치한 지점입니다. 따라서 이 지점에서는 구조상 안전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6Ω의 양단전압 E를 구하면 얼마인가?

  1. 20V
  2. 40V
  3. 60V
  4. 80V
(정답률: 63%)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 E는 전류 I와 저항 R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전류 I가 10A이므로, E = IR = 10A x 6Ω = 60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동기계(synchroscope)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기관과 프로펠러의 진동을 기계적으로 표시해 준다.
  2. 비행기의 선회에서 구심력와 원심력의 작용을 기계적으로 지시하는 계기이다.
  3. 이륙 또는 비행중에 기관을 가장 알맞는 추력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기관의 출력을 지시하도록 하는 계기이다.
  4. 마스터 기관과 슬레이브 기관의 회전수가 같은가를 표시해 준다.
(정답률: 45%)
  • 동기계는 마스터 기관과 슬레이브 기관의 회전수가 같은지를 표시해주는 계기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엔진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위성으로 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아내는 계통으로서 처음에는 군사 목적에만 이용 하였으나 현재는 민간 여객기,자동차용으로도 실용화에 성공하여 사용 중인 것은?

  1. 로란(LORAN)
  2. 오메가(OMEGA)
  3. 관성항법(IRS)
  4. 위성항법(GPS)
(정답률: 83%)
  • 위성항법(GPS)은 전 세계에 설치된 GPS 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정확하고 빠른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군사, 항공, 해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 로란(LORAN)과 오메가(OMEGA)는 지상국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정확도가 낮고 대규모 설치가 필요하여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관성항법(IRS)은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차가 누적되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Rain Repellent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고압의 공기를 사용하여 빗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빗물제거에 가장 효과적이다.
  2. 건조한 글래스 표면에 사용하면 시야가 선명해진다.
  3. 강우량이 적을 때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4. 심한 비가 내릴 때 와이퍼와 병행하면 효과가 좋다.
(정답률: 57%)
  • Rain Repellent는 빗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고압의 공기를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심한 비가 내릴 때 와이퍼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빗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조한 글래스 표면에 사용하면 시야가 선명해지거나 강우량이 적을 때 사용하면 효과적이라는 내용이지만, 가장 올바른 설명은 심한 비가 내릴 때 와이퍼와 병행하면 효과가 좋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유압계통에 사용되는 압력조절기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조절기에는 평형식 (balanced type)과 선택식(selective type)이 있다.
  2. kick-in 상태에서는 귀환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가 닫히고 체크밸브가 열리는 과정이다.
  3. kick-out는 계통의 압력이 규정값보다 낮을 때의상태다.
  4. kick-in압력과 kick-out압력의 차를 작동범위라 한다.
(정답률: 64%)
  • "압력조절기에는 평형식 (balanced type)과 선택식(selective type)이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kick-out는 압력조절기에서 설정한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 발생했을 때 압력조절기가 작동하여 압력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시스템 안전을 위해 중요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자기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편차(variation)
  2. 복각(dip)
  3. 수평분력(horizontal component)
  4. 자차(deviation)
(정답률: 68%)
  • 지자기의 3요소는 지자기 분력, 수직분력, 수평분력입니다. 자차는 나침반의 표시 방향과 실제 지자기 분력의 방향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지자기의 3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유압 계통의 작동에 관한 기본 원리는?

  1.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2. 중첩의 원리
  3. 파스칼의 원리
  4. 베르누이의 정리
(정답률: 79%)
  • 고유압 계통의 작동에 관한 기본 원리는 파스칼의 원리이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크기와 방향에 상관없이 액체나 기체의 어떤 한 지점에 가해지는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고유압 계통에서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발생시키거나 작은 움직임으로 큰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파(Radio Wave)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전파란 전계나 자계의 진동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이다.
  2. 공간에 자계/전계의 형태로 존재하며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3. 공간에 쉽게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정현파의 주파수를 높게 해야한다.
  4. 전파는 주파수가 높으면 장애물 뒷 부분에 쉽게 도달 하고,낮으면 장애물 뒷 부분에는 도달하기가 어렵다.
(정답률: 59%)
  • "전파는 주파수가 높으면 장애물 뒷 부분에 쉽게 도달 하고,낮으면 장애물 뒷 부분에는 도달하기가 어렵다." 이유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기 때문에 장애물을 통과하기 쉽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져 장애물을 통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기용 발전기에 있어서 정속구동장치(constant speed drive)의 주 목적은 무엇인가?

  1. 일정한 정류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2.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3.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4. 일정량의 전압과 전류를 감소하기 위해서
(정답률: 69%)
  • 항공기용 발전기에서 정속구동장치의 주 목적은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항공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 장비들이 일정한 주파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따라서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회전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속구동장치는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여 전기 장비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조종사가 고도계의 보정(Setting)을 QNH 방식에 의해서 보정하기 위하여 고도계의 기압 눈금판을 관제탑에서 불러주는 해면기압으로 맞추워 놓았을 경우에 그 고도계가 나타내는 고도는?

  1. 압력고도
  2. 진고도
  3. 절대고도
  4. 밀도고도
(정답률: 74%)
  • QNH 방식은 해면기압을 기준으로 고도를 보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고도계의 기압 눈금판을 관제탑에서 불러주는 해면기압으로 맞추워 놓았을 경우, 고도계가 나타내는 고도는 진고도가 된다. 진고도는 해발고도와 대기압의 차이를 고려한 고도로, 실제 비행에서 사용되는 고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진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항공기에서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1. 정류기(Rectifier)
  2. 인버터(Inverter)
  3. 콘버터(Converter)
  4. 변압기(Transformer)
(정답률: 88%)
  •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교류가 아닌 직류이다. 따라서, 항공기 내에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를 인버터(Inverter)라고 부른다. 따라서, 인버터가 항공기에서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교류는 400Hz이다.8000rpm으로 구동되는 교류발전기는 몇 극이어야 하는가?

  1. 2극
  2. 4극
  3. 6극
  4. 8극
(정답률: 68%)
  • 400Hz의 교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6극의 교류발전기가 필요하다. 이는 6극의 교류발전기가 1회전당 3회의 전기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8000rpm으로 구동되는 교류발전기는 6극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원격지시 COMPAS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MAGNESYN COMPASS
  2. GYROSYN COMPASS
  3. STAND-BY COMPASS
  4. GYRO FLUX-GATE COMPASS
(정답률: 58%)
  • STAND-BY COMPASS는 원격지시 COMPASS의 종류가 아닙니다. STAND-BY COMPASS는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보조 나침반으로, 주로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반면, MAGNESYN COMPASS, GYROSYN COMPASS, GYRO FLUX-GATE COMPASS는 모두 원격지시 COMPASS의 종류입니다. MAGNESYN COMPASS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작동하며, GYROSYN COMPASS는 회전하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GYRO FLUX-GATE COMPASS는 자기장과 자이로스코프를 모두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공계기의 색표식 중 적색 방사선(Red radiation)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최소, 최대운전 또는 운용한계
  2. 계속운전범위(순항범위)
  3. 경계 및 경고 범위
  4. 연료와 공기 혼합기의 Auto-lean시의 계속운전범위
(정답률: 76%)
  • 적색 방사선은 항공기의 최소, 최대 운전 또는 운용한계를 나타냅니다. 이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한의 조건을 나타내며, 이를 벗어나면 항공기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종사는 이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교류와 직류의 겸용이 가능하며, 인가되는 전류의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구동 될 수 있는 전동기(motor)는?

  1. universal motor
  2. induction motor
  3. synchronous motor
  4. reversible motor
(정답률: 77%)
  • "Universal motor"는 교류와 직류 모두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전동기로, 전류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겸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전동기 내부의 회전자와 정자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niversal moto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SSB 통신 방식이란 어떤 통신 방식인가?

  1. 위상변조 통신방식
  2. 양측파대 통신방식
  3. 주파수 변조 통신방식
  4. 단측파대 통신방식
(정답률: 38%)
  • SSB 통신 방식은 단측파대 통신방식입니다. 이는 전송할 음성 신호를 하나의 측파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폭을 줄이고 전송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수신측에서는 복조기를 이용하여 원래의 음성 신호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압력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다이아프램
  2. 벨로우
  3. 버든 튜브
  4. 차동 싱크로
(정답률: 59%)
  • 차동 싱크로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이아프램, 벨로우, 버든 튜브는 모두 압력을 기계적 변위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항공기의 공압(Pneumatic)계통에서 수분 제거기의 역할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압축기에 들어오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다.
  2.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계통으로 가기 전의 공기의 수분 및 오일을 제거한다.
  3. 계통에서 작용하고 돌아오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다.
  4. 압축기 입구의 공기와 돌아오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한다.
(정답률: 54%)
  • 수분 제거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계통으로 가기 전의 공기의 수분 및 오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공기 계통 내부의 부식 및 결함을 예방하고, 안전한 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계자 플래싱(field flashing)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계자에 남아있는 잔류자기
  2. 계자에 없는 잔류자기
  3. 발전기가 발전한 전압을 원만히 보내지 못하는 현상
  4. 외부에서 계자코일에 잠시 전류를 통해 주는 것
(정답률: 60%)
  • 계자 플래싱은 발전기가 발전한 전압을 원만히 보내지 못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계자코일에 잠시 전류를 통해 주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계자에 잔류자기를 생성하여 발전기가 원활하게 전압을 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부에서 계자코일에 잠시 전류를 통해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프레온을 사용한 증기사이클 냉각장치(vapor cycle cool-ing system)에서 공기의 냉각은?

  1. 고온고압의 프레온가스가 공기에 의해 열을 빼앗겨 냉각된다.
  2. 액체프레온을 팽창시켜서 온도를 낮춘다.
  3. 프레온의 응축에 의하여 냉각된다.
  4. 액체 프레온이 객실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므로서 냉각된다.
(정답률: 52%)
  • 프레온은 증기사이클 냉각장치에서 냉매로 사용되며, 액체 상태에서 증기 상태로 변화하면서 열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액체 프레온이 객실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기화하므로서 냉각됩니다. 이렇게 냉각된 프레온은 다시 압축되면서 열을 방출하고, 다시 액체 상태로 변화하여 냉각 작업을 반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