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9-04)

항공산업기사
(2005-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이륙 활주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어느 조건이 만족 되어야 하는가?

  1. 익면 하중이 크고 양력계수도 클 것
  2. 익면하중이 크고 지면 마찰계수가 작을 것
  3. 익면 하중이 작고 지면 마찰계수가 클 것
  4. 익면 하중이 작고 양력 계수가 클 것
(정답률: 63%)
  • 이륙 활주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비행기가 지면에서 빠르게 떠오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행기에 작용하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비행기에 작용하는 양력을 최대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익면 하중이 작고 양력 계수가 클 것이 이륙 활주 거리를 짧게 하는데 가장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항력 버킷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 한 것은?

  1. 양 항력 곡선에서 어떤 양력 계수 부근에서 항력 계수가 갑자기 작아지는 부분
  2. 양 항력 곡선에서 어떤 항력 계수 부근에서 항력 계수가 갑자기 작아지는 부분
  3. 양 항력 곡선에서 어떤 항력 계수 부근에서 양력 계수가 갑자기 작아지는 부분
  4. 양 항력 곡선에서 어떤 양력 계수 부근에서 양력 계수가 갑자기 커지는 부분
(정답률: 47%)
  • 정답은 "양 항력 곡선에서 어떤 양력 계수 부근에서 항력 계수가 갑자기 작아지는 부분"입니다. 이는 항력이 감소하여 선체의 저항이 줄어들어 속도가 증가하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이 부분은 항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항로를 선택하거나 선체의 설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의 안정과 조종, 그리고 운동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좌표축(기준축; body axis)은 비행기의 어느 것을 원점으로 하는가?

  1. 공기력 중심
  2. 공기 역학적 중심
  3. 무게 중심
  4. 기하학적 중심
(정답률: 63%)
  • 기준이 되는 좌표축은 비행기의 무게 중심을 원점으로 한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과 조종, 그리고 운동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비행기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면 비행기의 안정성이 감소하고, 조종이 어려워지며, 운동의 효율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비행기의 운동을 분석하고 설계할 때는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좌표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static longitudinal 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무게 중심의치가 공기 역학적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할수록 안정성이 좋아진다.
  2. 날개가 무게 중심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안정성이 좋다.
  3. 꼬리날개 면적을 크게 하면 안정성이 좋다.
  4. 꼬리날개효율을 작게 할수록 안정성이 좋다.
(정답률: 83%)
  • "꼬리날개효율을 작게 할수록 안정성이 좋다." 인 이유는, 꼬리날개의 역할이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을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꼬리날개의 효율이 작을수록, 즉 항공기의 수평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낮을수록, 항공기는 더 민감하게 움직이게 되어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꼬리날개효율을 작게 하는 것이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뒤 젖힘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5%C(코드길이)되는 점들을 날개 뿌리에서 날개 끝까지 연결한 직선과 기체의 가로축이 이루는 각
  2. 날개가 수평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간 각도
  3. 기체의 세로축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
  4. 날개 끝의 붙임각을 날개뿌리의 붙임각보다 크거나 작게 한 것
(정답률: 79%)
  • 25%C(코드길이)되는 점들을 날개 뿌리에서 날개 끝까지 연결한 직선과 기체의 가로축이 이루는 각이 올바른 뒤 젖힘각의 정의는 날개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각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각도는 날개가 수평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간 각도와는 다릅니다. 기체의 세로축과 날개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은 롤각이며, 날개 끝의 붙임각을 날개뿌리의 붙임각보다 크거나 작게 한 것은 피치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헬리콥터에서 유도 속도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하버링 중의 로우터 회전면의 하류의 풍압이다.
  2. 로우터 회전면의 하류의 공기의 풍압이다.
  3. 로우터 회전면의 하류의 공기의 속도이다.
  4. 로우터 회전면의 상류의 공기의 흐름이다.
(정답률: 63%)
  • 헬리콥터가 비행 중일 때, 로우터 회전면 아래쪽의 공기는 회전하면서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로우터 회전면 아래쪽의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것이 로우터 회전면의 하류의 공기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우터 회전면의 하류의 공기의 속도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펠러에서 깃뿌리에서 깃 끝으로 위치 변화에 따른 기하학적 피치 변화는?

  1. 감소하도록 설계한다.
  2. 일정하도록 설계한다.
  3. 증가하도록 설계한다.
  4. 중간 지점이 최대가 되게 설계한다.
(정답률: 37%)
  • 프로펠러에서 깃뿌리에서 깃 끝으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기하학적 피치 변화는 일정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피치 변화가 감소하거나 증가하게 설계하면, 프로펠러의 효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중간 지점이 최대가 되게 설계하면, 프로펠러의 성능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피치 변화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행속도 360[km/h], 공기밀도1/8[㎏ㆍsec2/m2]인 경우 동압은?

  1. 45 [㎏/m2]
  2. 25 [㎏/m2]
  3. 625 [㎏/m2]
  4. 725 [㎏/m2]
(정답률: 73%)
  • 동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압 = 1/2 x 공기밀도 x 비행속도2

    따라서, 동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압 = 1/2 x 1/8 x 3602 = 625 [㎏/m2]

    따라서, 정답은 "625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하강비행 중 기수를 올리려 할 때 받음각과 각속도가 특정 값을 넘게 되면 예상한 정도 이상의 기수가 올라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턱 업(tuck up)
  2. 피치 업(pitch up)
  3. 딮 실속(deep stall)
  4. 기수 업(nose up)
(정답률: 79%)
  • 피치 업은 비행기의 기울기가 커지면서 날개의 각도가 커져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기수를 올리려 할 때 받음각과 각속도가 특정 값을 넘게 되면 예상한 정도 이상의 기수가 올라가는 현상을 피치 업이라고 한다. 다른 보기들은 비슷한 현상이지만 정확한 용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기가 옆 미끄럼 상태에 들어갔을 때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수직 꼬리날개의 받음각에는 변화가 없다.
  2. 비행기의 기수를 상대풍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한다.
  3. 수평 꼬리날개에 옆 미끄럼 힘(side force)이 발생된다.
  4. 무게중심에 대한 빗 놀이 모멘트가 발생된다.
(정답률: 47%)
  • 비행기가 옆 미끄럼 상태에 들어갔을 때, 비행기의 무게중심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빗놀이 모멘트가 발생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기울어져야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수는 수평 꼬리날개를 이용하여 옆 미끄럼 힘을 상쇄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에 대한 빗 놀이 모멘트가 발생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4자 계열 날개골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두께가 15~18%정도 까지는 두꺼울수록 앞전 반지름도 커지므로 실속각과 최대 양력 계수가 커진다.
  2. 두께다 15~18%이상에서는 큰 받음각일 때 최대 양력 계수값이 떨어진다.
  3. 캠버의 실용 범위는 4%정도이다.
  4. 항력은 두께가 얇고 캠버가 적을수록 작은 받음각에서 작다
(정답률: 47%)
  • "두께가 15~18%정도 까지는 두꺼울수록 앞전 반지름도 커지므로 실속각과 최대 양력 계수가 커진다.", "두께다 15~18%이상에서는 큰 받음각일 때 최대 양력 계수값이 떨어진다.", "캠버의 실용 범위는 4%정도이다."는 모두 4자 계열 날개골의 특징이다. 따라서 정답은 "항력은 두께가 얇고 캠버가 적을수록 작은 받음각에서 작다"이다.

    이유는 날개골의 두께가 얇을수록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되어 항력이 작아지고, 캠버가 적을수록 날개골의 곡률이 작아져 항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작은 받음각에서는 항력이 작아지므로 비행 시에 더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의 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한 운동(rolling)에 가장 관계가 깊은 조종면은?

  1. 도움 날개(aileron)
  2. 승강키(elevator)
  3. 방향키(rudder)
  4. 플랩(flap)
(정답률: 84%)
  • 비행기의 세로축 운동(rolling)은 비행기의 날개를 좌우로 기울이는 운동이다. 이때 도움 날개(aileron)는 비행기의 한쪽 날개를 올리고, 다른 한쪽 날개를 내려서 비행기를 좌우로 기울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움 날개(aileron)가 세로축 운동(rolling)에 가장 관계가 깊은 조종면이다. 승강키(elevator)는 비행기의 가로축 운동(pitching)에, 방향키(rudder)는 비행기의 세로축 운동(yawing)에, 플랩(flap)은 비행기의 상승력과 감속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열원에 관한 내용이다.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열권은 중간권 위에 있다.
  2. 열권에서는 분자, 원자가 충돌할 수 있는 기회가 아주 적어 각원자, 분자는 지상에서 발사된 탄환과 같은 궤적을 그리며 운동하고 있다.
  3. 위도가 높은 지방의 하늘에서 극광이나 유성이 길게 밝은 빛의 꼬리를 남기는 것은 주로 열권에서 일어난다.
  4. 전리층이 있다.
(정답률: 71%)
  • 위도가 높은 지방의 하늘에서 극광이나 유성이 길게 밝은 빛의 꼬리를 남기는 것은 주로 열권에서 일어난다.

    열권에서는 분자, 원자가 충돌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에 각원자, 분자는 지상에서 발사된 탄환과 같은 궤적을 그리며 운동하게 된다. 이는 열원의 대기가 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권은 극권과 중간권 사이에 위치하며, 이러한 대기 조건으로 인해 위도가 높은 지방에서 극광이나 유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리층은 이러한 열원의 대기 조건과 관련이 있지만, 다른 보기들보다는 덜 관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 중량 5000kg, 날개 면적 30m2, 실속 속도 100m/sec에서 양력계수를 구하면? (단, p=1/8 ㎏ㆍsec2 / m4)

  1. 0.2
  2. 0.27
  3. 0.3
  4. 0.42
(정답률: 67%)
  •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CL = L / (1/2 * p * V2 * S)

    여기서 L은 양력, p는 공기 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 면적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CL = L / (1/2 * (1/8) * 1002 * 30)

    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L = 1/2 * p * V2 * S * CL

    여기서 p, V, S, CL은 이미 주어졌으므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L = 1/2 * (1/8) * 1002 * 30 * CL

    따라서,

    CL = L / (1/2 * (1/8) * 1002 * 30) = L / 12500

    양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비행기의 중량과 중력을 고려해야 한다. 중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W = m * g

    여기서 m은 비행기의 중량, g는 중력 가속도이다. 중력 가속도는 보통 9.8 m/sec2로 가정한다.

    W = 5000 * 9.8 = 49000 N

    따라서, 양력은 다음과 같다.

    L = W = 49000 N

    이 값을 CL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CL = 49000 / (1/2 * (1/8) * 1002 * 30 * 12500) = 0.27

    따라서, 정답은 "0.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펠러의 슬립(slip)이란?

  1. 유효피치에서 기하학적피치를 뺀 값을 평균 기하학적 피치의 백분율로 표시
  2. 기하학적피치에서 유효피치를 뺀 값을 평균 기하학적 피치의 백분율로 표시
  3. 유효피치에서 기하학적피치를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
  4. 유효피치와 기하학적피치를 합한 값을 백분율로 표시
(정답률: 67%)
  • 프로펠러의 슬립(slip)은 프로펠러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효율 손실을 나타내는 값으로, 실제로 이동하는 유효피치와 이론적인 이동 거리인 기하학적 피치의 차이를 평균 기하학적 피치의 백분율로 표시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피치에서 기하학적피치를 뺀 값을 평균 기하학적 피치의 백분율로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날개에 상반각을 주게 되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게 한다. 가장 올바른 내용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유도저항을 적게하고 방향 안정성을 좋게 한다.
  2. 옆 미끄럼을 방지하고 세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3. 익단 실속을 방지하고 세로 안정성을 좋게 한다.
  4. 선회성능을 향상시키나 가로 안정성을 해친다.
(정답률: 70%)
  • 상반각을 주면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로 안정성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로펠러의 진행비(advance ratio)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V : 속도, n : 프로펠러 회전속도, D : 프로펠러지름)

  1. J=V/nD
  2. J=nD/v
  3. J=n/VD
  4. J=D/Vn
(정답률: 81%)
  • 프로펠러의 진행비는 프로펠러가 이동하는 속도(V)와 프로펠러의 회전속도(n) 그리고 프로펠러의 지름(D)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J=V/nD" 입니다. 이 식은 프로펠러의 진행비를 구하기 위해 이동속도를 회전속도와 지름의 곱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프로펠러의 효율이 높아지며, 일반적으로 0.5에서 0.7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륙 중량이 1500kg, 엔진 출력이 200HP인 비행기가 5000m 고도를 출력 50%로 360km/h로 순항하고 있다 양향비를 구하면?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2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헬리콥터에서 기하학적 불균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착된 것은?

  1. 피치 암
  2. 페더링 힌지
  3. 플래핑 힌지
  4. 리드-래그 힌지
(정답률: 45%)
  • 리드-래그 힌지는 회전축 주변에 부착되어 회전할 때 발생하는 기하학적 불균형을 제거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토크와 같은 힘을 균형잡기 위해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헬리콥터의 다른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기하학적 불균형을 해결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비행의 한 종류인 급강하 비행시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L=양력, D=항력, W=항공기의 무게)

  1. L=D
  2. D=W
  3. D+W=0
  4. D=0
(정답률: 74%)
  • 급강하 비행시 항력(D)이 무게(W)와 같아지게 되면서 비행기는 수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D=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배기밸브(exhaust valve)의 냉각을 위해 밸브 속에 넣어 사용하는 물질은?

  1. 금속 나트륨(sodium)
  2. 스텔라이트(stellite)
  3. 아닐린(aniline)
  4. 취화물(bromide)
(정답률: 86%)
  • 금속 나트륨은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끓는점을 가지고 있어, 배기밸브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분산시켜 냉각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또한, 금속 나트륨은 산화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량당 마력비가 가장 큰 기관의 실린더 배열 형식은?

  1. 직렬형
  2. 대향형
  3. 성형
  4. V형
(정답률: 72%)
  • 중량당 마력비란 엔진의 출력(마력) 대비 무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중량당 마력비가 가장 큰 기관은 가장 가볍고, 가장 많은 출력을 내는 기관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실린더 배열 형식이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성형은 실린더를 두 개씩 짝지어 V자 형태로 배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직렬형보다는 더욱 짧은 길이로 많은 실린더를 배치할 수 있어 고속 회전에 적합하며, 대향형보다는 더욱 간결한 구조로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량당 마력비가 가장 큰 기관의 실린더 배열 형식은 성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증기 폐쇄(vapor lock)현상이란?

  1. 액체 연료가 기화기에 이르기 전에 기화되어 기화기에 이르는 통로를 폐쇄하는 현상
  2. 기화기에서 분사된 혼합가스가 거품을 형성하여 실린더의 연료 유입을 폐쇄하는 현상
  3. 혼합가스가 아주 희박해 지므로서 실린더로의 연료 유입이 폐쇄되는 현상
  4. 기화기의 이상으로 액체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지 않는 현상
(정답률: 66%)
  • 증기 폐쇄 현상은 액체 연료가 열에 의해 기화되어 기화기에 이르기 전에 연료가 기화되어 기화기에 이르는 통로를 폐쇄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연료 공급이 중단되어 엔진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자식 기화기(float-type carburetor)에 있는 이코노마이저 밸브(economizer valve)의 주 목적은 무엇인가?

  1. 최대 출력에서 농후한 혼합비가 되게 한다.
  2. 유로 계통에 분출되는 연료의 양을 경제적으로 한다.
  3. 순항시 최적의 출력을 얻기 위하여 가장 희박한 혼합비를 유지한다.
  4. 엔진의 갑작스런 가속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료를 공급한다.
(정답률: 66%)
  • 이코노마이저 밸브는 최대 출력에서 농후한 혼합비가 되게 함으로써 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경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연료 소비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브레이드 내부에 작은 공기 통로를 설치하여 브레이드 앞전을 향하여 공기를 충돌시켜 냉각하는 방법은?

  1. Transpiration Cooling
  2. Convection Cooling
  3. lmpingement Cooling
  4. Film Cooling
(정답률: 58%)
  • lmpingement Cooling은 브레이드 내부에 작은 공기 통로를 설치하여 공기를 브레이드 앞전으로 충돌시켜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냉각 효율이 높고, 브레이드의 표면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서 선호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충동 터빈(impulse turbine)의 반동도는 얼마인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61%)
  • 충동 터빈은 방향을 바꾸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반동도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펠러 깃각(blade angle)을 증가시키는 데 가장 기여하는 힘은 무엇인가?

  1. 원심(centrifugal) 비틀림 힘
  2. 공력(aerodynamic) 비틀림 힘
  3. 추력(thrust) 굽힘 힘
  4. 토크(torque) 굽힘 힘
(정답률: 37%)
  • 프로펠러 깃각을 증가시키면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공기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공력 비틀림 힘이 증가합니다. 이는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깃각을 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력(aerodynamic) 비틀림 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속도 720km/h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장착된 터보제트 기관이 300kgf/sec로 공기를 흡입하여 400m/sec로 배기 시킨다. 이때 진추력을 구하면? (단, 중력 가속도 g = 10m/sec2)

  1. 3000kg
  2. 6000kg
  3. 9000kg
  4. 12000kg
(정답률: 68%)
  • 진추력 = 흡입한 공기의 운동량 변화율

    운동량 변화율 = (흡입한 공기의 질량) x (배기 속도 - 흡입 속도)

    흡입한 공기의 질량 = (흡입한 공기의 부피) x (공기의 밀도)

    흡입한 공기의 부피 = (흡입한 공기의 유속) x (단위 시간당 흡입한 공기의 부피)

    단위 시간당 흡입한 공기의 부피 = 300kgf/sec ÷ (공기의 밀도 x 흡입한 공기의 유속)

    공기의 밀도 = 1.2kg/m3 (대기압에서의 값)

    흡입한 공기의 유속 = 720km/h = 200m/s

    흡입한 공기의 부피 = 300kgf/sec ÷ (1.2kg/m3 x 200m/s) = 1.25m3/s

    흡입한 공기의 질량 = 1.25m3/s x 1.2kg/m3 = 1.5kg/s

    배기 속도 = 400m/s

    흡입 속도 = 720km/h = 200m/s

    운동량 변화율 = 1.5kg/s x (400m/s - 200m/s) = 300N

    따라서, 진추력 = 300N x 20 = 6000kg

    즉, 이 항공기의 터보제트 기관은 1초에 300kgf의 공기를 흡입하여 400m/s의 속도로 배출함으로써 6000kg의 진추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트기관에서 압축기의 실속은 어느 때 일어나는가?

  1. 항공기 속도가 압축기 회전속도에 비해 너무 클 때
  2. 항공기 속도가 압축기 회전속도에 비해 너무 작을 때
  3. 항공기 추력이 압축기 압력보다 너무 클 때
  4. 항공기 추력이 압축기 압력보다 작을 때
(정답률: 68%)
  •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항공기 속도가 압축기 회전속도에 비해 너무 작을 경우, 공기가 충분히 압축되지 않아 엔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실속은 항공기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복식연료노즐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리버스 인젝션을 한다.
  2. 연료에 회전 에너지를 주면서 분사하는 것이다.
  3. 공기 흐름량과 압력에 따라 분사각을 변화시킨다.
  4. 낮은 흐름량일 때와 높은 흐름량일 때의 2단계의 분사를 한다.
(정답률: 65%)
  • 복식연료노즐은 낮은 흐름량일 때와 높은 흐름량일 때의 2단계의 분사를 하는 이유는 연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낮은 흐름량일 때는 연료를 미세하게 분사하여 연소를 안정화시키고, 높은 흐름량일 때는 연료를 큰 입자로 분사하여 연소를 강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연소 상태를 유지하며, 연료 소비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기의 정압비열(Cp)이 0.24이다. 이때 정적 비열(Cv)의 값은 몇인가? (단, 비열비는 1.4)

  1. 0.17
  2. 0.34
  3. 0.53
  4. 5.83
(정답률: 46%)
  • Cp와 Cv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Cp - Cv = R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입니다. 공기의 경우 R은 287 J/kgK입니다.

    따라서 Cp = Cv + R 이 됩니다.

    문제에서 Cp가 0.24이므로,

    0.24 = Cv + 287

    Cv = 0.24 - 287

    Cv = -286.76

    하지만 Cv는 항상 양수이므로 이 값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Cp와 Cv의 관계식인 Cp - Cv = R을 이용하여 Cv를 구해보면,

    Cv = Cp - R

    Cv = 0.24 - 287

    Cv = 0.17

    따라서 정적 비열(Cv)의 값은 0.1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기점검 중인 왕복엔진에서 반짝거리는 작은 금속편이 여과기(filter)에서는 발견되고 마그네틱 드레인 플러그(magnetic drain plug)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조치하여야 하는가?

  1. 보기의 기어(gear)가 마모된 것으로 장탈하거나 오버홀이 필요하다.
  2. 평형(plain) 베어링이 비정상적으로 마모되어 발생된 것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3. 실린더 벽이나 링이 마모된 것으로 엔진을 장탈하여야 한다
  4. 평형(plain)베어링 또는 알루미늄 피스톤의 정상적인 마모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답률: 55%)
  • 작은 금속편이 여과기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엔진 내부에서 금속이 마모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마그네틱 드레인 플러그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면, 이는 금속이 여과기를 통해 걸러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평형(plain) 베어링이 비정상적으로 마모되어 발생된 것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압력강하가 가장 적은 연소실의 형식은?

  1. 앤뉼라형 (annular type)
  2. 캔뉼라형 (canular type)
  3. 캔형 (can type)
  4. 역류캔형 (counter flow can type)
(정답률: 71%)
  • 앤뉼라형 연소실은 중앙에 연소기가 위치하고 그 주위에 공기가 흐르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연소기와 공기 간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연소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압력강하가 가장 적은 연소실 형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린더 헤드의 안쪽에 있는 연소실의 모양 중 가장 연소가 잘 이루어지는 형은?

  1. 원통형
  2. 반구형
  3. 원뿔형
  4. 오목형
(정답률: 68%)
  • 반구형 연소실은 연소가 일어날 때 연료와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연소가 잘 일어나며, 연소 후 발생하는 가스가 효율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형태입니다. 또한, 반구형 연소실은 열의 분산이 균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열 효율도 높습니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의 안쪽에 있는 연소실의 모양 중 가장 연소가 잘 이루어지는 형태는 반구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은 가스 사이클의 지압 선도이다. 어떤 가스 사이클을 나타낸 것인가?

  1. 오토 사이클
  2. 카르노 사이클
  3. 디젤 사이클
  4. 사바테 사이클
(정답률: 55%)
  • 이 그림은 사바테 사이클을 나타낸다. 사바테 사이클은 열을 이용하여 일을 하는 열기관 사이클 중 하나로, 가스를 압축하고 가열시켜 일을 발생시키고, 그 후 가스를 냉각시켜 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반복하여 일을 발생시키는 사이클이다. 이 그림에서는 압축과 냉각 과정이 직사각형으로 나타나 있으며, 가열 과정은 대각선으로 나타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마그네토에서 접점의 간격이 커지면 어떤 현상을 초래하겠는가?

  1. 점화가 늦게 되고 강도가 높아진다.
  2.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약해진다.
  3. 점화가 늦게 되고 강도가 약해진다.
  4.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3%)
  • 마그네토에서 접점의 간격이 커지면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전류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약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트엔진에서 TCCS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엔진의 추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해주는 계통을 말한다.
  2. 터빈 블레이드와 터빈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최소가 되게 해주는 계통이다.
  3. 주로 중ㆍ소형의 터보팬 엔진에 많이 사용한다.
  4. TCCS는 Thrust Case Cooling System이 약자이다.
(정답률: 60%)
  • TCCS는 제트엔진에서 터빈 블레이드와 터빈 케이스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계통입니다. 이를 통해 엔진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프로펠러 깃 트랙킹은 무엇을 결정하는 절차인가?

  1. 항공기 세로축에 대해서 프로펠러의 회전면을 결정하는 절차
  2.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깃 받음각을 동일하게 결정하는 절차
  3. 각 깃각을 특정한 범위내에 들어오게 하는 절차
  4. 각 프로펠러 깃의 회전 선단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
(정답률: 61%)
  • 프로펠러 깃 트랙킹은 각 프로펠러 깃의 회전 선단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시마력에서 마찰마력을 뺀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제동마력
  2. 일 마력
  3. 유효마력
  4. 손실마력
(정답률: 72%)
  • 제동마력은 차량의 지시마력에서 마찰마력을 뺀 값으로,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제동장치를 사용하여 속도를 감속시키는 데 필요한 마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제동"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제동마력"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열역학 제 1 법칙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보다 항상 많다.
  2.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과 정비례 관계를 가진다.
  3.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과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4.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보다 항상 작다.
(정답률: 82%)
  • 열역학 제 1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 시스템 내부에서 이루어진 일과 열 전달량의 합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ΔU = Q - W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ΔU는 내부에너지 변화량, Q는 열 전달량, W는 일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 이루어진 일과 열 전달량은 정비례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밀폐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의 열 전달량은 이루어진 일과 정비례 관계를 가진다."가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그림에서와 같이 길이 2m인 외팔보에 2개의 집중하중 300kg, 100kg이 작용할 때 고정단에 생기는 최대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얼마 인가?

  1. 400kg-m
  2. 650kg-m
  3. 750kg-m
  4. 800kg-m
(정답률: 71%)
  • 외팔보의 중심에서 오른쪽 끝까지의 길이는 1m이므로, 오른쪽 끝에서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300kg) × (1m) + (100kg) × (2m) = 500kg-m

    왼쪽 끝에서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오른쪽 끝에서의 최대 굽힘 모멘트와 같으므로, 고정단에 생기는 최대 굽힘 모멘트는 500kg-m × 2 = 1000kg-m이다.

    하지만, 외팔보의 중간에는 중립면이 존재하므로, 중간에서는 굽힘 모멘트가 0이다. 따라서, 고정단에 생기는 최대 굽힘 모멘트의 크기는 1000kg-m / 2 = 500kg-m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750kg-m"이 아니라 "500kg-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두께 t = 0.01in 인판의 전단흐름 q = 30 lb/in 이다. 전단응력은 얼마인가?

(정답률: 57%)
  • 전단응력은 τ = q/t = 30 lb/in / 0.01in = 3000 lb/in^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전단응력은 전단흐름과 판의 두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전단흐름이 크면 전단응력도 커지고, 판의 두께가 작으면 전단응력도 커진다. 따라서 전단흐름과 판의 두께가 주어졌을 때 전단응력을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접개 들이 랜딩기어를 비상으로 내리는 세가지방법이 아닌 것은?

  1. 핸들을 이용하여 기어의 업 락크를 풀었을 때 자중에 의하여 내려와 기계적으로 락크 된다.
  2. 핸드펌프로 유압을 만들어 내린다.
  3. 축압기에 저장된 공기압을 이용하여 내린다.
  4. 기어핸들 밑에 있는 비상 스위치를 눌러서 기어를 내린다.
(정답률: 67%)
  • 기어핸들 밑에 있는 비상 스위치를 눌러서 기어를 내리는 것은 실제로 비상 상황에서만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접개 들이 랜딩기어를 비상으로 내리는 세가지 방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동체구조 점검 중에 알루미늄 합금의 구조물이 층층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 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부식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이질금속간의 부식
  2. 응력부식
  3. 마찰부식
  4. 엑스폴리에이션
(정답률: 56%)
  • 알루미늄 합금의 구조물이 층층이 떨어지는 것은 엑스폴리에이션 현상으로, 이는 부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질금속간의 부식, 응력부식, 마찰부식과는 다른 현상이다. 엑스폴리에이션은 부식에 의해 층이 층을 겹치는 형태로 벗겨지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한쪽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주름지게 하는 판금가공 방법은?

  1. 수축가공
  2. 신장가공
  3. 범핑
  4. 크림핑
(정답률: 72%)
  • 크림핑은 판금을 주름지게 함으로써 한쪽의 길이를 짧게 만드는 판금가공 방법입니다. 이는 판금을 접을 때 사용되며, 판금의 끝을 더 짧게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모재의 용접에 쓰이는 joint의 형식이 아닌 것은?

  1. Butt joint
  2. Tee joint
  3. Double joint
  4. Lap joint
(정답률: 73%)
  • Double joint는 실제로 용접에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재의 용접에 사용되는 joint의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의 리깅 체크는 제작사의 지시를 따라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구조적 일치 상태점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날개 상반각
  2. 날개 취부각
  3. 수평안정판 상반각
  4. 수직안정판 상반각
(정답률: 64%)
  • 수직안정판 상반각은 항공기의 수직안정판이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비행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구조적 일치 상태점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제작사에서 이미 설계와 제작 단계에서 충분한 검증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깅 체크에서는 수직안정판 상반각을 검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는?

  1. 폴리에틸렌수지
  2. 페놀수지
  3. 에폭시수지
  4. 폴리우레탄수지
(정답률: 60%)
  • 열가소성이란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소성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수지는 가장 높은 열가소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폴리에틸렌수지의 분자 구조가 단순하고 결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폴리에틸렌수지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열가소성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A알루미늄 규격 2024로 만들어진 리벳트는 사용하기 전에 열처리 되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경화시켜 강도를 증가하기 위해
  2. 경화속도를 빨리하기 위해
  3. 내부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4. 리벳팅이 쉽도록 연화시키키 위해
(정답률: 52%)
  • AA알루미늄 규격 2024로 만들어진 리벳트는 사용하기 전에 열처리 되어야 하는 이유는 "리벳팅이 쉽도록 연화시키기 위해"입니다. 이는 리벳트를 부품에 쉽게 고정시키기 위해 알루미늄을 연화시켜서 가공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AA알루미늄 규격 2024로 만들어진 리벳트는 사용하기 전에 열처리 되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경화시켜 강도를 증가하기 위해
  2. 경화속도를 빨리하기 위해
  3. 내부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4. 리벳팅이 쉽도록 연화시키키 위해
(정답률: 62%)
  • AA알루미늄 규격 2024로 만들어진 리벳트는 사용하기 전에 열처리 되어야 하는 이유는 리벳팅이 쉽도록 연화시키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모노코크 구조에 있어서 항공 역학적 힘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부재는?

  1. 포머
  2. 응력표피
  3. 벌크헤드
  4. 스트링거
(정답률: 80%)
  • 응력표피는 모노코크 구조에서 항공 역학적 힘을 받아들이는 부재 중 하나입니다. 이는 비행 중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과 같은 역학적인 힘을 받아들여 구조물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응력표피는 모노코크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의 착륙활주 중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바퀴가 한쪽면만 닳지 않게 하면서 브레이크의 효율을 높이는 장치는 무엇인가?

  1. 안티스키드장치
  2. 올레오식장치
  3. 시미댐퍼
  4. 드릅센터장치
(정답률: 71%)
  • 안티스키드장치는 바퀴가 착륙활주 중 한쪽면만 닳지 않도록 하여 브레이크의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이는 바퀴가 회전할 때마다 브레이크를 조절하여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착륙을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클레비스 볼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단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2.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3. 볼트는 머리는 6각 또는 12각으로 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4. 압축하중과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한다.
(정답률: 75%)
  • 클레비스 볼트는 전단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이는 클레비스 볼트가 전단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볼트의 머리는 6각 또는 12각으로 되어 있어 렌치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습니다. 압축하중과 인장하중이 걸리는 곳에 사용하는 것은 다른 종류의 볼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알루미늄 합금은 비행기의 재료로서는 구조용 강철보다 훨씬 좋지만 초고속기의 재료로서는 다음의 어떤 결함 때문에 티타늄 합금보다 못하는가?

  1. 밀도가 크다.
  2. 가공이 어렵다.
  3. 부식이 심하다.
  4. 고온에서 인장강도가 크지 않다.
(정답률: 80%)
  • 알루미늄 합금은 고온에서 인장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초고속기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는 티타늄 합금보다 성능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흔히 사용하는 너트와 이것의 부호이다. 각 부호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AN310은 화이버 락킹 너트를 나타낸다.
  2. “D"는 마그네슘 합금을 나타낸다.
  3. “5”는 직경으로 5/16인치를 나타낸다.
  4. “R"오른 나사선으로 나사산이 인치당 38개 있다.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너트는 AN310-5D 너트이다. AN310은 화이버 락킹 너트를 나타내며, "D"는 이 너트가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졌음을 나타낸다. "5"는 이 너트의 직경이 5/16인치임을 나타내며, "R"은 오른 나사선으로 나사산이 인치당 38개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5”는 직경으로 5/16인치를 나타낸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의 항공기의 무게중심 위치를 구하면?

  1. 기준선으로부터 후방 0.72m
  2. 기준선으로부터 후방 1.50m
  3. 기준선으로부터 후방 2.17m
  4. 기준선으로부터 후방 3.52m
(정답률: 63%)
  • 무게중심은 물체의 무게가 모여있는 지점으로, 이 항공기의 경우 엔진과 캐빈이 앞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무게중심은 앞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은 기준선보다 후방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때, 무게중심의 위치는 앞쪽과 뒤쪽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이 항공기의 경우, 앞쪽에 위치한 엔진과 캐빈의 무게가 뒤쪽에 위치한 꼬리 부분의 무게보다 더 많기 때문에 무게중심은 앞쪽으로 치우쳐져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은 기준선보다 후방쪽에 위치하게 되며, 후방 2.17m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일세이프 구조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다경로 하중 구조
  2. 샌드위치 구조
  3. 이중구조
  4. 대치구조
(정답률: 84%)
  • 페일세이프 구조는 건물의 외벽과 내부 구조물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된 구조를 이루는 형식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샌드위치 구조는 외벽과 내부 구조물이 분리되어 있으며, 외벽은 단지 외부의 환경에 대한 보호와 단열을 위한 역할만을 하고 내부 구조물이 실제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샌드위치 구조는 페일세이프 구조 형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리벳트 보호피막처리에서 황색으로 된 것은?

  1. 양극처리 한 것이다.
  2. 크롬화 아연을 처리한 것이다.
  3. 금속 분무한 것이다.
  4. 보호피막 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다.
(정답률: 65%)
  • 리벳트 보호피막처리에서 황색으로 된 것은 "크롬화 아연을 처리한 것"이다. 이는 크롬과 아연을 이용하여 금속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황색으로 된 것은 이 보호막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이상적인 트러스 구조의 부재는 어느 하중을 받는가?

  1. 인장 또는 압축
  2. 굽힘
  3. 전단
  4. 인장 또는 굽힘
(정답률: 55%)
  • 이상적인 트러스 구조의 부재는 "인장 또는 압축" 하중을 받습니다. 이는 트러스 구조의 특성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만 하중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 또는 압축 하중에 대한 강도가 중요합니다. 굽힘이나 전단 하중은 트러스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인장 또는 굽힘 하중은 부재의 길이와 단면적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상적인 하중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은 어떠한 물체에 적용되는가?

  1. 원뿔, 각뿔
  2. 원기둥, 각기둥
  3. 깔때기, 원기둥
  4. 육각뿔, 사각뿔
(정답률: 56%)
  •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은 원기둥과 각기둥에 적용됩니다. 이는 둘 다 밑면이 원이거나 사각형인 도형이기 때문입니다. 원뿔과 각뿔은 밑면이 원이지만, 뚜껑 부분이 삼각형이므로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으로는 전개할 수 없습니다. 깔때기는 밑면이 원이지만, 뚜껑 부분이 원이 아니므로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으로는 전개할 수 없습니다. 육각뿔과 사각뿔은 밑면이 다각형이지만, 뚜껑 부분이 삼각형이므로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으로는 전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항공계기의 특징과 조건을 설명한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게 : 적절한 중량이 있어야 한다.
  2. 습도 : 방습처리를 한다.
  3. 마찰 : 베어링에는 보석을 사용한다.
  4. 진동 : 방진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률: 53%)
  • 무게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운항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적절한 중량이 있어야 합니다. 너무 가벼울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고, 너무 무거울 경우 비행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무게는 항상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비행장에 설치된 콤파스 로즈(compassrose)의 주 용도는?

  1. 활주로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위도
  2. 그 지역의 편각을 알려주기 위한 기준방향
  3. 그 지역의 지자기의 세기를 알려준다.
  4. 기내에 설치된 자기 콤파스의 자차수정
(정답률: 69%)
  • 콤파스 로즈는 비행장에서 활주로의 방향을 표시하는 방위도이며, 이는 비행기가 이착륙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또한, 비행기 내부에 설치된 자기 콤파스의 자차수정을 위한 기준방향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내에 설치된 자기 콤파스의 자차수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상유압 동력계통에 고장이 생겼을 때 비상계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밸브는?

  1. 선택 밸브
  2. 체크 밸브
  3. 시퀀스 밸브
  4. 셔틀 밸브
(정답률: 60%)
  • 셔틀 밸브는 입력 포트와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어, 정상 유압 동력계통과 비상 유압 동력계통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정상 유압 동력계통에 고장이 생겼을 때, 셔틀 밸브는 비상 유압 동력계통으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시스템이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셔틀 밸브는 비상 상황에서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500MHz 고주파 전압의 파형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MULTIMETER
  2. WHEATSTONE BRIDGE
  3. OSCILOSCOPE
  4. GALVANOMETER
(정답률: 51%)
  • 500MHz는 매우 높은 주파수이므로, 파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빠른 샘플링 속도와 높은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기기 중에서는 오실로스코프가 가장 적합합니다. 멀티미터는 주로 DC 전압이나 저주파 AC 전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위트스톤 브릿지는 저항 측정에 사용됩니다. 갈바노미터는 전류나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높은 주파수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항공기에 사용하는 도선의 지름에 대한 가장 편리한 단위는?

  1. 센티미터 (cm)
  2. 미터 (m)
  3. 센티 밀 (C mil)
  4. 밀 (mil)
(정답률: 48%)
  • 밀 (mil)은 1/1000인치를 나타내는 단위로,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도선의 지름은 보통 수십 밀에서 수백 밀까지이기 때문에 밀 단위가 가장 편리하다. 또한, 밀 단위는 센티미터나 미터보다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9[A]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4[Ω]저항의 양끝 사이의 전압은 얼마인가?

  1. 24V
  2. 28V
  3. 32V
  4. 36V
(정답률: 78%)
  • 오예! 이 문제는 오므라이스에게 딱 맞는 문제네!

    전압은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구할 수 있어. 그러니까, V = I x R 이야.

    문제에서 9[A]의 전류가 4[Ω]의 저항을 통해 흐르고 있으니까,

    V = 9[A] x 4[Ω] = 36[V]

    그래서 정답은 "36V"야!

    간단하게 전압을 구하는 공식을 알고 있으면 어떤 저항이든 문제없이 풀 수 있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에 흐르는 전류 I2를 구하면?

  1. 4A
  2. 6A
  3. 8A
  4. 10A
(정답률: 67%)
  • 전류의 합은 분기점에서 항상 일치하므로, I1 + I2 = 10A 이다. 또한, 5[Ω] 저항에 흐르는 전류 I2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V = IR 에서 V = 5I2 이다. 따라서, V = 5I2 = 30[V] 이다. 이를 이용하여 I2 = V/R = 30/5 = 6[A] 이므로 정답은 "6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교류 전동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자장발생, 전기자 유도에 의한 회전력의 발생은 직류 전동기와 다르다.
  2. 교류 전동기는 자장의 방향과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
  3. 교류 전동기는 직류전동기보다 효율이 크다.
  4. 무게에 비해 많은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35%)
  • "교류 전동기는 직류전동기보다 효율이 크다."와 "무게에 비해 많은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교류 전동기의 특징과 관련이 있지만, "자장발생, 전기자 유도에 의한 회전력의 발생은 직류 전동기와 다르다."는 교류 전동기와 직류 전동기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이유는 교류 전동기는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회전력이 발생하는 반면, 직류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과 자기장 사이에서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Pitot 정압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Pitot Line의 누설 시험은 부압을 이용한다.
  2. 승강계는 Pitot압을 사용한다.
  3. 대기 속도계는 Pitot 압과 정압을 사용한다.
  4. 정압 라인의 누설 시험은 압력을 가한다.
(정답률: 52%)
  • Pitot 정압계통은 비행기의 속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비행기의 앞쪽에 위치한 Pitot tube에서 유입되는 공기압(Pitot 압)과 비행기의 외부 압력(정압)을 측정하여 비행기의 속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대기 속도계는 Pitot 압과 정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작동 유압 계통에서 계기는 어느 압력을 지시하는가?

  1. Reservoir Pressure
  2. Pressure Manifold Pressure
  3. Accumulator Pressure
  4. Pressure Regulator Pressure
(정답률: 39%)
  • 작동 유압 계통에서 계기는 "Pressure Regulator Pressure"를 지시합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인 압력 조절기의 압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압력 조절기는 유압 시스템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계기는 이 압력을 측정하여 운전자나 기술자가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작동 유압 계통에서 계기는 "Pressure Regulator Pressure"를 지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항공기의 수직 방향 속도를 분당 feet로 지시하는 계기는?

  1. VSI
  2. LRRA
  3. DME
  4. HSI
(정답률: 73%)
  • VSI는 Vertical Speed Indicator의 약자로, 항공기의 수직 방향 속도를 분당 feet로 지시하는 계기입니다. 따라서 VSI가 정답입니다. LRRA는 Low Range Radio Altimeter, DME는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HSI는 Horizontal Situation Indicator의 약자로, 각각 항공기의 고도, 거리, 방향 등을 나타내는 다른 계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고도계(Altimeter)의 밀폐식 공함은 어느 것 인가?

  1. Diaphragm
  2. Aneroid
  3. Bellow
  4. Bourdon Tube
(정답률: 66%)
  • 고도계의 밀폐식 공함은 Aneroid이다. Aneroid는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밀폐된 금속 캡슐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압의 변화에 따라 캡슐의 형태가 변화하여 고도를 측정한다. Diaphragm, Bellow, Bourdon Tube은 모두 유체가 채워진 형태의 공함이므로 고도계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서로 떨어진 두개의 송신소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두 송신소에서 오는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자기 위치를 결정하여 항행하는 무선 항법은?

  1. LORAN (Long Range Navigation)
  2. TACAN (Tactical Air Navigation)
  3. VOR ( VHF Omni Range)
  4. ADF ( Automatic Direction Finder)
(정답률: 58%)
  • LORAN은 두 개의 송신소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시간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무선 항법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서로 떨어진 두 개의 송신소를 사용하여 항공기나 선박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TACAN은 항공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VOR은 항공기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ADF는 항공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MIL - H - 8794는 길이방향으로 노랑색 선이 그어져 있다. 노랑색 선이 의미 하는 것은?

  1. 호스의 압력 한계를 표시한다.
  2. 호스가 꼬이지 않고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3. 호스가 윤활 계통에 한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호스가 합성고무로 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정답률: 57%)
  • MIL-H-8794는 항공기용 유압 호스의 규격을 나타내는 미국 군사 규격이다. 이 규격에서 노랑색 선은 호스가 꼬이지 않고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마커 선이다. 이는 호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호스가 꼬이지 않고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라울러(growler)는?

  1. 회전자(amature) 시험용
  2. 코뮤레이터(commutator) 시험용
  3. 브러시 시험용
  4. 고정자코일(field coil) 시험용
(정답률: 58%)
  • 그라울러는 회전자(amature) 시험용이다. 그라울러는 전기 모터나 발전기의 회전자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며, 회전자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회전자는 전기 모터나 발전기에서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라울러는 이러한 기계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에서 지표파가 가장 잘 전파되는 전파는?

  1. LF
  2. UHF
  3. HF
  4. VHF
(정답률: 57%)
  • LF 전파가 가장 잘 지표파를 전파합니다. 이는 LF 전파의 파장이 길어서 지표파를 따라 전파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전파들은 파장이 짧아서 지표파를 따라 전파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그림은 자이로의 섭동성을 나타낸 것이다. 자이로가 굵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F의 힘을 가하면 실제로 힘을 받는 부분은?

  1. F
  2. A
  3. B
  4. C
(정답률: 77%)
  • 정답은 "A"이다. 이유는 자이로의 섭동성에 따라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힘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F의 힘이 전달되는 부분은 A이다. B와 C는 회전 방향과 평행하므로 힘이 전달되지 않고, F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객실여압 계통에서 대기압이 객실안의 기압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하는 장치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객실 하강율 조정기
  2. 부압 릴리프 밸브
  3. 슈퍼차져 오버스피트 밸브
  4. 압축비 한계 스위치
(정답률: 74%)
  • 부압 릴리프 밸브는 객실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객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객실안의 압력을 안정시켜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객실여압 계통에서 대기압이 객실안의 기압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Air - Cycle Air Conditionning System에서 Expansion Turbin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1차 열 교환기를 거친 Air를 냉각시킨다.
  2. 공기공급 라인이 파열되면 계통의 압력 손실을 막는다.
  3. 공기-Condition 계통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냉각이 일어난다.
  4.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섞이도록 한다.
(정답률: 48%)
  • Expansion Turbine은 Air - Cycle Air Conditionning System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확장시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기-Condition 계통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냉각이 일어난다."라는 설명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연기 감지기 (Smoke Detetor)에서 공기내의 빛의 투과양을 측정 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일렉트로 메카니켈장치
  2. 포토 - 셀
  3. 젖빛 유리
  4. 전자적인 측정장비
(정답률: 66%)
  • 연기 감지기에서는 포토-셀이 사용됩니다. 포토-셀은 공기 내의 빛의 투과양을 측정하여 연기를 감지합니다. 연기가 공기 내에 존재하면 빛의 투과양이 감소하게 되고, 이를 포토-셀이 감지하여 연기 감지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포토-셀은 연기 감지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