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5-14)

항공산업기사
(2006-05-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프로펠러 슬립(propeller slip)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고 피치/저 피치 각] × 100
  2. 진행율 / 프로펠러 효율
  3. [(기하학적 피치-유효 피치)/기하학적 피치] × 100
  4. [(유효 피치-기하학적 피치)/유효피치] × 100
(정답률: 84%)
  • 프로펠러 슬립은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와 실제로 발생하는 유효 피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피치-유효 피치)/기하학적 피치] × 100이 가장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값은 기하학적 피치 대비 유효 피치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프로펠러가 공기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트 항공기가 최대 항속거리로 비행하기 위한 조건은? (단, 연료소비율은 일정)

  1. (CL1/2 / CD) 최대 및 고고도
  2. (CL1/2 / CD) 최대 및 저고도
  3. (CL/ CD) 최대 및 고고도
  4. (CL/ CD) 최대 및 저고도
(정답률: 71%)
  • 제트 항공기가 최대 항속거리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연료소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항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날개의 양력계수(CL)를 최대화하고, 동시에 항력계수(CD)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CL1/2 / CD) 최대 및 고고도가 정답입니다. 이는 날개의 양력과 항력의 관계를 최적화하여 연료소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의 동적안정성이 (+)인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2. 운동의 진폭이 점차 감소하며 비행기 기수가 점점 내림 현상을 갖는다.
  3.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다라 점차 증가한다.
  4. 운동의 진폭이 점차 증가하며 비행기 기수가 점점 올림 현상을 갖는다.
(정답률: 74%)
  •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은 항공기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운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정적인 상태에서는 항공기가 일정한 속도와 고도를 유지하며, 외부 요인에 의해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감소합니다. 이는 비행기 기수가 내림 현상을 갖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활공비행에서 활공각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 = 활공각, CL = 양력게수, CD = 항력 계수, T = 추력,W = 항공기무게)

  1. sin ⍬ = CL/ CD
  2. cos ⍬= W / CL
  3. tan ⍬ = CD / CL
  4. tan ⍬= CL/ CD
(정답률: 61%)
  • 활공각은 항력과 양력의 비율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나타내는 식은 CD / CL이 가장 올바르다. 이는 활공각이 증가할수록 항력이 증가하고 양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활공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항력과 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CD / CL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밀도
  2. 온도
  3. 압력
  4. 점성력
(정답률: 72%)
  • 이 그림은 물체의 부피와 질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이 그림에서는 물체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질량이 같은 경우 밀도가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밀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 날개의 가로 세로비(종횡비)가 커졌을 때 다음 중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유도항력이 감소한다.
  2. 유도항력이 증가한다.
  3. 양력이 감소한다.
  4. 스팬효율과 양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59%)
  • 정답: 유도항력이 감소한다.

    비행기 날개의 가로 세로비가 커지면, 날개의 면적은 증가하지만, 날개의 스팬(길이)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날개의 스팬효율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유도항력을 감소시킵니다. 이에 따라 비행기의 안정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날개의 뒤젖힘각 효과(sweepback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방향안정(directional stability)에는 영향이 있지만 가로안정(lareral stability)에는 영향이 없다.
  2. 가로안정(lareral stability)에는 영향이 있지만 방향안정(directional stability)에는 영향이 없다.
  3. 방향안정(directional stability)과, 가로안정(lareral stability)모두에 영향이 있다.
  4. 방향안정(directional stability)과, 가로안정(lareral stability)모두에 영향이 없다.
(정답률: 77%)
  • 날개의 뒤젖힘각 효과는 방향안정과 가로안정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날개의 뒤로 갈수록 공기의 흐름이 느려져서 발생하는 효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안정(directional stability)과, 가로안정(lareral stability)모두에 영향이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행기의 날개에 사용되는 에어포일(Airfoil)의 요구조건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얇은 날개골은 받음각이 작을 때 항력이 크다.
  2. CL 특히 CL max 가 클 것
  3. CD 특히 CD max 가 클 것
  4. 앞전 반경은 클수록 좋다.
(정답률: 78%)
  • 에어포일의 주요 기능은 비행기를 날려주는 추력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날개의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이를 최대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CL 특히 CL max 가 클 것이어야 합니다. CL은 추력계수로, 날개의 각도나 곡률 등에 따라 변화합니다. CL max는 최대 추력계수로, 날개의 최대 추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L 특히 CL max 가 클수록 날개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이가 커져 추력이 커지므로, 비행기의 날개에 사용되는 에어포일의 요구조건으로 가장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 왕복기관의 상승비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이용마력과 필요마력이 같다.
  2.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크다.
  3.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적다.
  4. 필요마력의 1.5배에 이르렀을 때에 상승비행이 가능 하다.
(정답률: 83%)
  • 정답은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크다." 이다. 상승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항공기가 필요로 하는 마력인 필요마력보다 더 많은 마력인 이용마력이 필요하다. 이는 항공기가 공기 저항과 중력을 이길 수 있도록 충분한 힘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용마력이 필요마력보다 크지 않으면 항공기는 상승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력 평균시위(MA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이것은 날개를 가상적으로 직사각형 날개라고 가정했을때의 시위이다.
  2. 꼬리날개와 착륙장치의 비치 및 중심위치의 이동범위 등을 고려할 때 이용된다.
  3. 실용적으로는 날개 모양에 면적 중심을 통과하는 기하학적 평균시위를 말한다.
  4. 중심위치가 MAC의 25%라는 것은 중심이 뒷전으로부터 25%가 되는 점이다.
(정답률: 72%)
  • "꼬리날개와 착륙장치의 비치 및 중심위치의 이동범위 등을 고려할 때 이용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다른 보기들은 MAC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MAC 이외의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MAC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 날개의 시위 길이가 5m, 대기속도가 360km/h, 동점성 계수가 0.2cm2/sec 일 때 레이놀즈수 (R.N)는 얼마인가?

  1. 2.5 × 106
  2. 2.5 × 107
  3. 5 × 106
  4. 5 × 107
(정답률: 74%)
  • 레이놀즈수(R.N)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N = (밀도 × 속도 × 시위 길이) / 동점성 계수

    여기서 밀도는 대기 밀도를 사용한다. 대기 밀도는 대략 1.2 kg/m3 이다.

    속도는 km/h를 m/s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360 km/h는 100 m/s에 가깝다.

    시위 길이는 5m이다.

    동점성 계수는 0.2cm2/sec 이지만, m2/s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한다. 0.2cm2/sec는 2 × 10-6 m2/s에 가깝다.

    따라서, R.N = (1.2 kg/m3 × 100 m/s × 5m) / (2 × 10-6 m2/s) = 3 × 108

    정답은 "2.5 × 107"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정확한 값은 2.5 × 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무게 100kgf 인 비행기가 해발고도 위를 수평 등속비행하고있다. 날개면적이 5m2 이면 최소속도는 얼마인가? (단, CL max = 1.2, 밀도 ρ = 1/8 kgf・sec2/m4)

  1. 160.33 (m/sec)
  2. 16.33 (m/sec)
  3. 1.629 (m/sec)
  4. 26.29 (m/sec)
(정답률: 75%)
  • 비행기가 공중에 떠있으려면 중력과 양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양력 = 중력

    1/2 ρV2 S CL = mg

    여기서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면적, CL은 양력계수, m은 비행기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ρ는 공기의 밀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1/2 × 1/8 × V2 × 5 × 1.2 = 100 × 9.8

    V2 = 100 × 9.8 × 2 / (1/8 × 5 × 1.2)

    V2 = 784

    V = 28

    따라서 최소속도는 28m/sec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6.33m/sec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실제로는 최소속도가 아니라 최소 안정속도를 뜻한다. 최소 안정속도는 최소속도보다 약간 더 낮은 값으로,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최소 속도를 뜻한다. 이 값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통 최소속도보다 약간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16.33m/sec가 최소 안정속도로 설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종면에서 앞전 밸런스(leading edge balance)를 설치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양력 증가
  2. 조종력 경감
  3. 항력 감소
  4. 항공기 속도 증가
(정답률: 82%)
  • 앞전 밸런스는 항공기의 앞쪽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앞쪽에 추가적인 부하를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앞쪽에 더 많은 공기 압력을 만들어내어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조종면의 조종력을 경감시켜 조종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종력 경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의 비행방향에 대해서 양력과 중력이 같고 추력과 항력이 동일하다면 항공기의 운동은?

  1. 공중에 정지한다.
  2. 수평 가속비행을 한다.
  3. 수평 등속비행을 한다.
  4. 등속 상승비행을 한다.
(정답률: 92%)
  • 양력과 중력이 같으면 항공기는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고 공중에 정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추력과 항력이 동일하면 항공기는 가속도가 없으므로 등속운동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항공기는 수평 등속비행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무엇에 비례하는가? (단, ρ : 공기밀도, μ : 공기의 절대 점성계수, S : 프로펠러 깃의 면적, V : 프로펠러의 속도 )

  1. μSV2
  2. μV2 / S
  3. ρSV2
  4. ρV2 / S
(정답률: 65%)
  •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공기의 운동량 변화율에 비례한다. 공기의 운동량은 공기의 밀도, 속도, 면적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공기력은 밀도, 속도, 면적의 곱에 비례한다. 이 중에서도 운동에너지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공기력은 밀도, 속도의 제곱, 면적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ρSV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비행기의 가로안정에 날개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 안정을 유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날개의 캠버를 크게 한다.
  2. 날개에 쳐든각(diheadral angle)을 준다.
  3. 날개의 시위선을 최대로 한다.
  4. 밸런스 탭(balance tab)을 장착한다.
(정답률: 80%)
  • 날개에 쳐든각을 줌으로써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날개가 위로 올라가는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기울기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로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날개에 쳐든각을 줌으로써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진하는 헬리콥터의 주 회전 날개에 있어서 전진 및 후진깃의 양력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페더링 힌지에 의해 조정
  2. 플래핑 힌지에 의해 조정
  3. 주회전날개의 전단 힌지에 의한 조정
  4. 항력 힌지에 의한 조정
(정답률: 64%)
  • 플래핑 힌지는 주 회전 날개의 전단 방향으로 움직이는 힌지이며, 이를 이용하여 전진 및 후진깃의 양력차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전진할 때는 플래핑 힌지를 약간 올려서 전진깃을 감소시키고, 후진할 때는 플래핑 힌지를 약간 내려서 후진깃을 증가시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로펠러의 효율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로펠러의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 진행율이 작을 때는 깃각을 크게 해야 한다.
  2.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상승 시에는 깃각을 크게 해야 한다.
  3. 비행속도가 증가하면 깃각이 작아져야 한다.
  4. 비행중 프로펠러 깃각이 변하는 가변피치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프로펠러 효율이 좋다.
(정답률: 70%)
  • 비행중 프로펠러 깃각이 변하는 가변피치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프로펠러 효율이 좋다. 이유는 비행속도에 따라 프로펠러의 깃각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효율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헬리콥터에서 필요마력을 구성하는 마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유도항력마력
  2. 형상항력마력
  3. 조파항력마력
  4. 유해항력마력
(정답률: 72%)
  • 헬리콥터에서 필요한 마력은 주로 상승력과 추진력이다. 이 중에서 조파항력마력은 헬리콥터가 비행 중에 공기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파항력마력은 헬리콥터의 비행 안정성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유도항력마력은 회전하는 날개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 형상항력마력은 날개의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유해항력마력은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의미한다. 이들은 조파항력마력보다는 헬리콥터의 성능에 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총 중량이 5200kgf 인 비행기가 선회각 30˚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이 비행기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약 얼마인가? (단, sin 30˚ = 0.5, cos 30˚ = 0.866, tan 30˚= 0.577)

  1. 2600kgf
  2. 3000kgf
  3. 4503kgf
  4. 5200kgf
(정답률: 56%)
  •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원심력 = 중력 x sin(선회각)

    여기서 중력은 비행기의 무게인 5200kgf이다.

    따라서,

    원심력 = 5200 x sin(30˚)
    = 5200 x 0.5
    = 2600

    따라서, 정답은 "2600kgf"가 되며, 보기에서 주어진 "3000kgf"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추력 비연료소비율(TSFC)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kg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초 동안 기관이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을 말한다.
  2. 추력 비연료소비율이 작을수록 기관의 효율이 높다.
  3. 추력 비연료소비율이 작을수록 기관의 성능이 우수하다.
  4. 추력 비연료소비율이 작을수록 경제성이 좋다.
(정답률: 70%)
  • 정답은 "추력 비연료소비율이 작을수록 경제성이 좋다."입니다.

    1kg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초 동안 기관이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을 말하는 것은 맞습니다. 이는 기관의 효율과 성능, 경제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추력 비연료소비율이 작을수록 기관의 효율과 성능이 우수하며, 경제성이 좋아집니다. 따라서, 1kg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연료를 소비하는 기관은 경제성이 좋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터빈 기관의 시동기 중 가장 가볍고 간단한 것은?

  1. 공기충돌식 시동기
  2. 공기터빈 시동기
  3. 가스터빈식 시동기
  4. 유압식 시동기
(정답률: 45%)
  • 공기충돌식 시동기는 가장 가볍고 간단한 가스터빈 기관의 시동기입니다. 이 시동기는 공기를 이용하여 가스터빈을 가동시키는데, 공기를 높은 압력으로 충돌시켜 가스터빈을 회전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가스터빈 내부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어 가스터빈이 가동됩니다. 이 시동기는 유지보수가 쉽고 경제적이며, 작은 가스터빈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후기 연소기(after burner)의 4가지 기본 구성품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main flame, fuel spray bar, flame holder, variable area nozzle.
  2. afterburner duct, fuel spray bar, flame holder, variable area nozzle.
  3. afterburner duct, main flame, flame holder, variable area nozzle.
  4. afterburner duct, fuel spray bar, main flame, variable area nozzle.
(정답률: 67%)
  • 후기 연소기의 기본 구성품은 연소기 내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과정을 제어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올바른 구성품은 "afterburner duct, fuel spray bar, flame holder, variable area nozzle." 입니다.

    - Afterburner duct: 후기 연소기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Fuel spray bar: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를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 Flame holder: 연소가 일어난 후에도 연소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 Variable area nozzle: 연소가 일어난 가스를 제어하여 추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4가지 구성품이 모두 함께 작동하여 후기 연소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스터빈 엔진에서 연료조절장치(fuel control unit)가 받는 기본 입력자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워레버 위치(PLA)
  2. 압축기 입구온도(CIT)
  3. 압축기 출구압력(CDP)
  4. 배기가스 온도(EGT)
(정답률: 64%)
  • 가스터빈 엔진에서 연료조절장치는 연료 공급량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입력자료를 받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배기가스 온도(EGT)입니다. 이는 엔진에서 연소 후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한 값으로, 연료 공급량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연료조절장치는 다른 입력자료들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여 연료 공급량을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체적 10L 속의 완전기체가 압력 760mmHg 상태에 있다. 만약 체적이 20L 로 단열팽창하였다면 압력은 얼마로 변화하겠는가? (단, 이 경우 비열비 k=1.4 로 한다.)

  1. 217mmHg
  2. 288mmHg
  3. 302mmHg
  4. 364mmHg
(정답률: 54%)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k = 상수를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 P1V1^k = P2V2^k 이므로, P2 = P1(V1/V2)^k 이다. 여기서 V1 = 10L, V2 = 20L, k = 1.4, P1 = 760mmHg 이므로, P2 = 760(10/20)^1.4 = 288mmHg 이다. 따라서 정답은 "288mmH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에너지 보존 법칙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열역학 제 1 법칙
  2. 열역학 제 2 법칙
  3. 열역학 제 3 법칙
  4. 열역학 제 4 법칙
(정답률: 79%)
  • 에너지 보존 법칙은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보존된다는 법칙입니다. 열역학 제 1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변환만 가능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열역학 제 1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과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제트엔지의 연소실 형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짧으며 연소실 전면 면적이 좁으며, 연소효율이 좋은 연소실 형식은?

  1. Can 형
  2. Tubular 형
  3. Annular 형
  4. Cylinder 형
(정답률: 78%)
  • Annular 형 연소실은 원형의 내부 연소실과 외부 연소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형태로, 연소가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진행되면서 연소가 일어나는 면적이 매우 넓어지므로 연소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길이가 짧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속 프로펠러(constant speed propeller)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저 피치(low pitch)와 고피치(high pitch)인 2개의 위치만을 선택할 수 있다.
  2. 3방향 선택밸브(3way valve)에 의해 피치가 변경된다.
  3. 자유롭게 피치를 조정 할 수 있다.
  4. 깃각(blade angle)이 하나로 고정되어 피치 변경이 불가능 하다.
(정답률: 61%)
  • 정속 프로펠러는 자유롭게 피치를 조정할 수 있는 프로펠러이다. 이는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행기의 속도와 엔진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유롭게 피치를 조정 할 수 있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정속 프로펠러의 특징과는 맞지 않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터보 팬 기관에서 BPR(by-pass ratio)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내용은?

  1. 흡입된 전체의 공기 유량과 배출된 전체의 유량의 비
  2. 2차 공기의 흡입된 량과 2차 공기의 방출된 공기량의 비
  3.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량과 터빈을 통과한 유량의 비
  4.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량과 팬을 통과한 공기 유량의 비
(정답률: 55%)
  • 압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량과 팬을 통과한 공기 유량의 비는 터보 팬 기관에서 BPR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내용입니다. 이는 간단하게 말해, 엔진에 흡입된 공기 중 일부가 압축기를 통과하여 연소실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팬을 통해 우회하여 배출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스터빈 기관의 윤활유 조건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2. 점도지수가 높아야 한다.
  3. 기화성은 낮아야 한다.
  4. 산화 안정성 및 열적 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75%)
  •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고온과 고속으로 회전하는 부품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윤활유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산화 안정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화점이 낮은 윤활유를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가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압 리프터(hydraulic valve lifter)를 사용하는 수평 대향형 엔진에서 밸브 간극을 조절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로커 아암(rocker arm)을 조절
  2. 로커 아암(rocker arm)을 교환
  3. 푸시로드(push rod)를 교환
  4. 밸스 스템(stem) 심(sim)으로 조정
(정답률: 47%)
  • 유압 리프터를 사용하는 수평 대향형 엔진에서는 밸브 간극을 로커 아암으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밸브 간극을 조절하려면 푸시로드를 교환해야 합니다. 푸시로드는 로커 아암과 밸브 스템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가 다르면 밸브 간극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의 푸시로드를 교환하여 밸브 간극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왕복엔진의 저속(idle)에서 혼합기가 너무 희박할 때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현상은 무엇인가?

  1. 점화플러그에 탄소가 침착됨
  2. 출력이 급격히 증가
  3. 엔진 rmp 이 상승
  4. 시동시 역화가 발생하며 흡기계통의 화재발생 원인
(정답률: 70%)
  • 왕복엔진의 저속에서 혼합기가 너무 희박하면 시동시 역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흡기계통에서 혼합기가 역류하여 엔진 내부에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혼합기의 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 캠(magneto breaker point cam)축의 회전속도(r)을 나타낸 식은? (단, n: 마그네토의 극수, N: 실린더 수이다.)

  1. r = N / n
  2. r = N / n+1
  3. r = N / 2n
  4. r = N + 1 / 2n
(정답률: 63%)
  •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 캠 축은 엔진의 카운터 회전 축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따라서 엔진의 한 회전당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 캠 축은 실린더 수(N)만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토의 극수는 한 회전당 생성되는 전기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데, 이는 보통 2배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네토 브레이커 포인트 캠 축의 회전속도(r)는 N을 2n으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 = N / 2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펠러 깃(blade)의 선단(tip)이 앞으로 휘게(bend)하는 가장 큰 힘은?

  1. 토크 - 굽힘(torque-bending)력
  2. 공력 - 비틀림(aerodynamic-twisting)력
  3. 원심 - 비틀림(centrifugal-twisting)력
  4. 추력 - 굽힘(thrust-bending)력
(정답률: 48%)
  • 프로펠러 깃은 회전하면서 공기를 밀어내는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이 추력은 깃의 선단을 앞으로 휘게 만들어 굽힘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력 - 굽힘(thrust-bending)력"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피스톤 엔진 실린더 내벽의 크롬 도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실린더 내벽의 열팽창을 크게 한다.
  2. 실린더 내벽의 표면을 경화시킨다.
  3. 청색 표시를 한다.
  4. 반드시 크롬 도금한 피스톤 링을 사용한다.
(정답률: 79%)
  • 실린더 내벽의 크롬 도금은 표면을 경화시켜 내구성을 높이고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열팽창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도 TH 인 고열원과 TC인 저열원 사이에서 열량 QH를 받아 QC를 방출하여서 작동하고 있는 카르노(carnot)싸이클이 있다. 열효율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53%)
  • 열효율은 (TH-TC)/TH로 계산된다. 카르노싸이클은 열효율이 가장 높은 열기계이므로, 열효율은 1-(TC/TH)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은 브레이톤 사이클(Brayton Cycle)을 나타낸 것이다. 연소과정을 나타내는 부분은?

  1. 1 - 2
  2. 2 - 3
  3. 3 - 4
  4. 4 - 5
(정답률: 82%)
  • 정답인 "2 - 3"은 압축과정과 연소과정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2에서 3으로 가는 과정에서 공기가 압축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고, 이어지는 연소과정에서 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되면서 열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열은 다시 엔진의 움직임으로 전환되어 일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왕복기관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스프링(valve spring)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밸브 간격을 “0”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2. 한개의 밸브스프링(valve spring)이 파손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3. 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4. 밸브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왕복기관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밸브 스프링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개의 밸브스프링(valve spring)이 파손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입니다. 이는 밸브스프링이 파손되면 다른 밸브스프링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어 엔진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피스톤(Piston)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거리는?

  1. 보어(Bore)
  2. 행정거리(Stroke)
  3. 론저론(longeron)
  4. 벌크헤드(bulkhead)와 론저론(longeron)
(정답률: 86%)
  • 피스톤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거리는 행정거리(Stroke)입니다. 이는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최대 거리를 의미합니다. 보어(Bore)는 실린더 내부의 직경을 나타내며, 론저론(longeron)과 벌크헤드(bulkhead)는 항공기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피스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심형 압축기(centrifugal type compressor)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1. 단당 압력비가 높다
  2. 장착이 쉽고 전체 압력비를 높게 할 수 있다.
  3. 기관의 단위 전면 면적당 추력이 크다.
  4. 가볍고 효율이 높기 EOans에 고성능기관에 적합하다.
(정답률: 62%)
  • 원심형 압축기의 가장 큰 장점은 "단당 압력비가 높다" 입니다.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기 때문에 압력비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착이 쉽고 전체 압력비를 높게 할 수 있으며, 기관의 단위 전면 면적당 추력이 크고 가볍고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성능기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강(AISI 4340)으로 된 봉의 바깥지름이 1cm 이다. 인장하중 10t 이 작용할 때 이 봉의 인장강도에 대한 안전 여유는 얼마인가? (단, AISI 4340 의 인장강도 σT= 18,000kg/cm2 이다.)

  1. 0.16
  2. 0.37
  3. 0.41
  4. 0.72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의 기체구조 수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같은 enRP의 재료로써 17ST의 판재나 리벳트를 A17ST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수리부분의 원래 재료와의 접촉면에는 재료의 성분에 관계없이 부식방지를 위하여 기름으로 표면 처리한다.
  3. 사용 리벳트 수는 같은 재질로 기체의 강도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수를 사용한다.
  4. 수리를 위하여 대치할 재료의 두께는 원래 두께와 같거나 작아야 한다.
(정답률: 70%)
  • 사용 리벳트 수는 같은 재질로 기체의 강도를 고려하여 최소한의 수를 사용한다. - 이유: 다른 재질의 리벳트를 사용하면 재료 간의 강도 차이로 인해 리벳트가 빠져나오거나 기체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재질의 리벳트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수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래 V-n 선도에서 AD선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가?

  1. “+”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중배수
  2. “-”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중배수
  3. 최소제한 하중배수
  4. 최대제한 하중배수
(정답률: 87%)
  • AD선은 최대제한 하중배수를 나타냅니다. 이는 V-n 선도에서 해당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나타내는 선으로, 이 선 위의 하중은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치를 초과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제한 하중배수가 정답인 이유는 이 선 아래의 하중은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으며, 이 선 위의 하중은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치를 초과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파괴시험 중 자분이 필요한 시험방법은?

  1. 자기탐상법
  2. 초음파탐상법
  3. 침투탐상법
  4. 방사선탐상법
(정답률: 81%)
  • 자기탐상법은 자석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변형을 탐지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이다. 자석을 가까이 대면서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결함이나 변형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자분이 필요한 시험에서는 자기탐상법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경비행기의 뼈대 재료로서 잘 쓰이는 SAE 4130이란 재료는 몇 %의 탄소를 함유하는가?

  1. 0.03%
  2. 0.3%
  3. 3%
  4. 30%
(정답률: 69%)
  • SAE 4130은 저합금강으로, 탄소 함량이 낮은 편입니다. 정확히는 0.3%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0.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세미모노코크 동체의 강도에 미치는 부재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스트링어 (stringer)
  2. 다이아고날 웨브 (diagonal web)
  3. 론저론 (longeron)과 프레임 (frame)
  4. 벌크헤드 (bulkhead)와 론저론 (longeron)
(정답률: 82%)
  • 세미모노코크 동체의 강도는 부재들의 조합과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부재들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을 찾아야 한다. 론저론과 프레임, 벌크헤드와 론저론은 모두 동체의 강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재들이다. 반면에 스트링어는 동체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강도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다이아고날 웨브이다. 다이아고날 웨브는 동체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부재들과는 다르게 각도가 기울어져 있어서 동체의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명 “케블라”라 불리며, 비중이 작으므로 구조물의 경량화를 위하여 사용량이 증가 되고 있는 복합재료는?

  1. 아라미드섬유
  2. 열경화성수지
  3. 유리섬유
  4. 세라믹
(정답률: 83%)
  • 아라미드섬유는 경량화와 함께 높은 인장강도와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적합한 복합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기 기체수리 작업시 리벳팅 하기 전에 임시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공구는?

  1. 캠-록 파스너
  2. 딤플링
  3. 스퀴즈
  4. 시트 파스너
(정답률: 70%)
  • 시트 파스너는 항공기 기체수리 작업시 리벳팅 하기 전에 임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시트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리벳팅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임시로 고정시켜주어 작업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시트 파스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에서 평균공기학적 시위(mean aerodynamic chord)의 백분율로 C.G(center of gravity) 위치를 계산하면?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79%)
  • 평균공기학적 시위는 날개의 중심선에서 전체 날개 길이를 나눈 값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전체 날개 길이가 10m 이므로, 평균공기학적 시위는 (2+3+2+3)/4 = 2.5m 입니다. C.G 위치는 전체 길이에서 앞쪽으로 2.5m 떨어져 있으므로, 전체 길이의 25% 지점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탄성계수 E, 포아송의 비 V, 전단 탄성계수 G 사이의 관계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45%)
  • 정답은 ""이다.

    탄성계수 E와 포아송의 비 V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E = 2G(1+V)

    따라서, E와 G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G = E/2(1+V)

    이 관계식에서 E와 V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G는 E와 V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가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종 케이블(Control Cable)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케이블의 기본 구성품은 와이어 이다.
  2. 케이블의 규격은 지름으로 정한다.
  3. 주 조종 계통에는 지름이 1/8 인치 이하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재료는 탄소강과 내식강이다.
(정답률: 75%)
  • "케이블의 기본 구성품은 와이어 이다."와 "케이블의 규격은 지름으로 정한다."는 모두 조종 케이블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며,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재료는 탄소강과 내식강이다."는 조종 케이블의 재료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주 조종 계통에는 지름이 1/8 인치 이하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이다.

    주 조종 계통에서는 케이블의 지름이 작을수록 민감하고 정확한 조종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름이 1/8 인치 이하의 케이블을 사용한다. 이는 조종 시스템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N 3 DD - 6 볼트의 규격 중 3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재질 (2024T)
  2. 지름(3/16in)
  3. 그립의 길이
  4. 볼트의 길이
(정답률: 81%)
  • AN 3 DD - 6 볼트의 규격 중 3은 지름(3/16in)을 나타낸다. AN은 미국 항공우주 산업에서 사용되는 규격을 의미하며, 숫자는 볼트의 지름을 1/16인치 단위로 표시한다. 따라서 AN 3은 지름이 3/16인치인 볼트를 의미한다. DD는 볼트의 길이와 그립의 길이를 나타내며, 6은 볼트의 길이를 6/16인치(즉, 3/8인치)로 나타낸다. 따라서 AN 3 DD - 6은 지름이 3/16인치이고 길이가 3/8인치인 볼트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알루미늄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얇은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1. 파커라이징
  2. 아노다이징
  3. 카드뮴 도금 처리
  4. 주석 도금 처리
(정답률: 85%)
  • 알루미늄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얇은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아노다이징"입니다. 이는 알루미늄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를 통과시켜 산화피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산화피막은 알루미늄의 내식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산소 아세틸렌 용접시, 불꽃의 용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탄화불꽃 :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2. 산성불꽃 : 아연도금, 티타늄
  3. 중성불꽃 : 연강, 니크롬강
  4. 산화불꽃 : 황동, 청동
(정답률: 48%)
  • 산성불꽃은 아연도금과 티타늄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다른 보기에 비해 거리가 먼 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요구되는 중심의 평형을 얻기 위하여 항공기에 설치하는 모래주머니, 납봉, 납판 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상하중(pay lord)
  2. 테어무게(tare weight)
  3. 평형무게(balance weight)
  4. 밸러스트(ballast)
(정답률: 72%)
  • 밸러스트는 항공기의 중심을 조절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하는 무게물로, 모래주머니, 납봉, 납판 등이 해당된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항공기의 무게중심이 너무 앞이나 뒤로 치우쳐지는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밸러스트(ballas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트레일링 에이지 플랩(trailing edge flap)의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비행기의 양력을 일시적으로 증가 시킨다.
  2. 착륙 거리를 감소시킨다.
  3. 이륙 거리를 짧게 한다.
  4. 보조날개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고 힌지로 지탱된다.
(정답률: 51%)
  • 보조날개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고 힌지로 지탱된다는 내용은 다른 보기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트레일링 에이지 플랩이 비행기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종면의 평형(balancing)에서 동적평형(dynamic balance)이란?

  1. 물체가 자체의 무게중심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
  2. 조종면을 어느 위치에 돌려 놓거나 회전 모멘트가 영(zero)으로 평형이 되는 상태
  3. 조종면을 평형대 위에 장착하였을 때 수평위치에서 조종면의 뒷전이 밑으로 내려가는 상태
  4. 조종면을 평형대 위에 장착하였을 때 수평위치에서 조종면의 뒷전이 위로 올라가는 상태
(정답률: 79%)
  • 동적평형(dynamic balance)은 조종면을 어느 위치에 돌려 놓거나 회전 모멘트가 영(zero)으로 평형이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물체가 자체의 무게중심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조종면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움직임이 예측 가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 외피용으로 적합하며, 플러시 헤드 리벳트(flush headrivet)라 부르는 것은?

  1. 납작머리 리벳트(flat rivet)
  2. 유니버샬 리벳트(universal rivet)
  3. 접시머리 리벳트(counter sunk rivet)
  4. 둥근머리 리벳트(round head rivet)
(정답률: 68%)
  • 플러시 헤드 리벳트는 외부 표면과 매끄럽게 맞닿아 있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접시머리 리벳트는 리벳트의 머리 부분이 외부 표면과 평평하게 맞닿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공기 외피용으로 적합한 것은 접시머리 리벳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용 Nut의 취굽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Nut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강도, 내식, 내열에 적합한 부품 번호의 Nut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셀프 락킹(locking) Nut를 Bolt에 장착하였을 때는 Bolt 나사 끝 부분이 2나사이상 나와 있어야 한다.
  3. 셀프 락킹(lockong Nut의 느슨함으로 인한 Bolt의 결손이 비행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장소에는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4. 셀프 락킹(locking) Nut를 이용하여 토크를 걸 때에는 Nut의 규정 토크값 만을 정확히 적용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Nut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강도, 내식, 내열에 적합한 부품 번호의 Nut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다. 이 내용은 Nut의 취굽방법과는 관련이 없으며, Nut의 선택과 관련된 내용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Nut의 취굽방법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관련이 없다.

    셀프 락킹(locking) Nut를 이용하여 토크를 걸 때에는 Nut의 규정 토크값 만을 정확히 적용하는 이유는, 셀프 락킹 Nut는 특수한 디자인으로 Bolt에 장착되면 나사가 끝까지 들어갈 때까지 회전하면서 나사와 Nut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규정 토크값 이상으로 토크를 걸면 Nut와 Bolt 사이의 마찰력이 너무 강해져서 Bolt가 부러지거나 Nut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타이어의 정비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타이어 압력은 최소한 일주일에 한번 이상 측정한다.
  2. 공기압력은 반드시 타이어가 뜨거울 때 측정한다.
  3. 비행후 최소 2시간 이후에 타이어 공기압력을 측정한다.
  4. 비행전에도 타이어의 공기압력을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항공기가 이륙하고 비행 중일 때 타이어는 매우 뜨거워지기 때문에, 이 때 측정한 공기압력이 정확하다. 비행 전이나 비행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측정한 공기압력은 타이어가 충분히 뜨거워지지 않아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타이어의 정비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비행전에도 타이어의 공기압력을 측정하여야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대형 항공기의 공기조화 계통에서 가열 계통에는 연소가열기를 장치하여 사용한다. 온도가 규정값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연소가열에 공급되는 연료를 자동차단 시킬 수 있는 밸브 장치는?

  1. 솔레노이드 밸브
  2. 조정유닛 밸브
  3. 스필 밸브
  4. 버터플라이식 밸브
(정답률: 72%)
  •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로, 공기조화 계통에서 연료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온도가 규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연료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동기에서 자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을 알고 있을 때 도체의 운동(힘) 방향을 알 수 있는 법칙은?

  1. 렌즈의 법칙
  2. 페러데이 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64%)
  • 플레밍의 왼손법칙은 전류의 방향을 왼손 엄지손가락, 자장의 방향을 왼손 검지손가락, 그리고 도체의 운동(힘) 방향을 왼손 중지손가락으로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때, 엄지손가락은 전류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검지손가락은 자장의 방향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중지손가락은 도체의 운동(힘) 방향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전류와 자장의 방향을 알고 있을 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사용하여 도체의 운동(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전파 고도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항공기에서 지표를 항하여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되돌아올 때 까지의 전압을 측정
  2. 항공기에서 지상까지의 기압고도를 측정
  3. 항공기에서 지표를 향하여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되돌아올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
  4. 항공기에서 지상까지의 밀도고도를 측정
(정답률: 85%)
  • 전파 고도계는 항공기에서 지표를 향하여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되돌아올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항공기용 축전지에 적용하는 방전율(dischrge rate)은?

  1. 1시간 방전율
  2. 3시간 방전율
  3. 5시간 방전율
  4. 8시간 방전율
(정답률: 60%)
  • 항공기용 축전지는 비행 중에 긴 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5시간 방전율을 적용합니다. 이는 축전지의 전력을 5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시간 방전율을 적용하면 축전지가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8[kΩ]의 저항에 50[mA]의 전류를 흘리는 데 필요한 전압[V]은 얼마인가?

  1. 360
  2. 380
  3. 400
  4. 420
(정답률: 82%)
  • 오옴의 법칙에 따라 V = R x I 이므로, V = 8 x 50 x 10^-3 = 0.4 = 400[mV]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직류 전동기는 그 종류에 따라 부하에 대한 토크 특성이 다른데, 정격이상의 부하에서 토크가 크게 발생하여 왕복기관의 시동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분권식(shunt-wound)
  2. 복권식(compound-wound)
  3. 직권식(series-wound)
  4. 유도식(induction type)
(정답률: 76%)
  • 직권식 전동기는 부하에 대한 토크 특성이 부하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정격 이상의 부하에서도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의 시동기와 같이 큰 부하를 감당해야 하는 기계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분권식 전동기는 부하에 대한 토크 특성이 일정하고, 복권식 전동기는 부하에 따라 토크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격 이상의 부하에서는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키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유도식 전동기는 회전자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직류 전동기 중에서는 부하에 대한 토크 특성이 가장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이로의 강직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ROTOR의 회전속도가 큰 만큼 강하다.
  2. ROTOR의 회전속도가 큰 만큼 약하다.
  3. ROTOR의 질량이 회전축에서 멀리 분포하고 있는 만큼 약하다.
  4. ROTOR의 질량이 회전축에서 가까이 분포하고 있는 만큼 강하다.
(정답률: 73%)
  • ROTOR의 회전속도가 큰 만큼 강하다. 이는 자이로스코프의 강직성 원리에 따라, 회전하는 물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직선상에서 직진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속도가 높을수록 이 성질이 더욱 강해지며, 자이로스코프의 강직성도 더욱 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종합계기 PFD에 Display 되지 않은 계기는?

  1. Marker beacon (M/B)
  2. Very high frequency (VHF)
  3. 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4. Altimeter
(정답률: 63%)
  • 종합계기 PFD는 비행 중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중에서도 VHF는 주로 통신에 사용되는 계기이기 때문에 PFD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M/B는 비행 중에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계기이며, ILS는 착륙 시 도움을 주는 계기, Altimeter는 고도를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장치는?

  1. HF 통신 장치
  2. VHF 통신 장치
  3. UHF 통신 장치
  4. SHF 통신 장치
(정답률: 78%)
  • HF 통신 장치는 장거리 통신에 가장 적합한 장치입니다. 이는 HF 주파수가 지구 상의 장거리 통신에 적합한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HF 주파수는 지구 상의 대기권과 상호작용하여 지구 상의 여러 지역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F 통신 장치는 장거리 통신에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형 항공기 공압 계통에서 공통 매니폴트(Manifold)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조절은 주로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 지는가?

  1. 팬 에어(Fan Air)
  2. 열 교환기(Heat Exchanger)
  3. 램 에어(Ram Air)
  4. 브리딩 에어(Bleeding Air)
(정답률: 60%)
  • 대형 항공기 공압 계통에서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를 사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이는 공기가 엔진에서 나올 때 높은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열 교환기를 통해 외부 공기와 열을 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고, 필요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열 교환기는 대형 항공기에서 공기의 안정적인 온도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연속 이송형 펌프(Constant Delivery Pump)를 장착한 유압계통에서 계통 내의 유압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면 어떤 구성품에 의해 작동유가 순환되는가?

  1. 압력 릴리프 밸브
  2. 셔틀 밸브
  3. 압력 조정기
  4. 디브스터 밸브
(정답률: 25%)
  • 연속 이송형 펌프는 계통 내의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작동유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작동유가 순환되는 구성품은 압력 조정기입니다. 압력 조정기는 유압계통 내의 작동유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작동유가 순환될 때에도 계속해서 압력을 조정하여 일정한 유압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연속 이송형 펌프를 장착한 유압계통에서 작동유가 순환되는 구성품은 압력 조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항공기 유압회로에서 가장 높은 압력으로 setting 된 밸브는?

  1. 퍼지 밸브(Purge valve)
  2. 시퀀스 밸브(Sequence valve)
  3. 첵크 벨브(Check valve)
  4.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정답률: 72%)
  • 릴리프 밸브는 항공기 유압회로에서 가장 높은 압력으로 setting 된 밸브입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일정한 압력 이상이 발생하면 밸브가 열리면서 과압을 방출합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높은 압력으로 setting 된 밸브가 릴리프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은?

  1. magamp
  2. brushless
  3. carbon pile
  4. constant speed drive
(정답률: 80%)
  •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발전기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constant speed drive" 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magamp", "brushless", "carbon pile"은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행 중에는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 상호간에 통화를 하며, 지상에서는 항공기가 Taxing하는 동안에 지상 조업요원과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간에 통화하는 인터폰은?

  1. Passenger 인터폰
  2. Cabin 인터폰
  3. Service 인터폰
  4. Flight 인터폰
(정답률: 62%)
  • 비행 중에는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끼리 통화해야 하고, 지상에서는 항공기가 Taxing하는 동안에 지상 조업요원과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끼리 통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인터폰은 조종실 내부와 지상 조업요원 간의 통화를 위한 "Flight 인터폰"입니다. 다른 인터폰들은 승객과 승무원, 혹은 승무원과 승무원 간의 통화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행 중에 비로부터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우 장치(RainProtection) 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

  1. Windshield Wiper System
  2. Air Curtain System
  3. Rain Repellent System
  4. Windshield Washer System
(정답률: 80%)
  • 비행 중에 비로부터 시계를 보호하기 위한 제우 장치(RainProtection) 시스템은 비를 피해 시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거리가 먼 것은 비행 중에 비로 인해 비행기 유리창에 물방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인 "Windshield Washer System"입니다. 이 시스템은 비행기 유리창에 물을 분사하여 물방울을 제거하고 시야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Windshield Washer System"이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열기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금속의 구성 중 가장 높은 고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크로멜-철
  2. 철-동
  3. 크로멜-알루멜
  4. 알루멜-콘스탄탄
(정답률: 70%)
  • 열기전력이란 금속이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할 때, 그 온도 상승량에 대한 열의 흡수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열기전력이 높은 금속일수록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로멜-알루멜은 크롬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열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높은 고온을 측정할 수 있는 금속의 구성 중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함(collapsible chamber)계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공함은 압력을 기계적 변위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다.
  2. 속이 진공인 공함을 다이어프램(diaphram)이라 한다.
  3. 공함 재료로는 베릴륨-구리 합금이 쓰인다.
  4. 공함 계기로는 고도계, 승강계, 속도계 등이 있다.
(정답률: 46%)
  •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함에 대한 설명이지만, "속이 진공인 공함을 다이어프램(diaphram)이라 한다."는 공함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 내용은 공함의 종류를 설명하고 있으며, 다이어프램은 공함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고도계의 오차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북선오차
  2. 기계오차
  3. 온도오차
  4. 탄성오차
(정답률: 80%)
  • 고도계는 지구의 곡률에 따라 측정된 고도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북극과 적극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인 북선은 지구의 곡률이 가장 큰 지역이기 때문에 고도계 측정에서 가장 큰 오차를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북선오차"입니다. "기계오차"는 고도계 자체의 정확도와 관련된 오차, "온도오차"는 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 "탄성오차"는 대기압 변화에 따른 오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싱크로 계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류셀신(D.C selsyn)
  2. 오토신(autosyn)
  3. 동기계(synchroscope)
  4. 마그네신(magnesyn)
(정답률: 56%)
  • 싱크로 계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기계의 상태를 측정하는 계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동기계(synchroscope)는 회전하는 기계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회전하는 기계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동기화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기계는 싱크로 계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항공기의 제빙 장치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1. 가성소다
  2. 알콜
  3. 솔벤트
  4. 벤젠
(정답률: 67%)
  • 항공기의 제빙 장치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얼음을 녹이기 위해 물과 섞여 사용되어야 하며, 동시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가성소다나 벤젠과 같은 화학물질은 사용이 제한되고, 대신 알콜이 주로 사용됩니다. 알콜은 물과 섞이기 쉬우며, 빠르게 증발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적습니다. 또한 안전성도 높아 항공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