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10)

항공산업기사
(2006-09-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키놀이 운동을 위한 조종면은?

  1. 에어러론
  2. 엘리베이터
  3. 러더
  4. 스포일러
(정답률: 84%)
  • 키놀이 운동은 비행기의 수직 방향 조절을 위한 운동이므로, 이를 담당하는 조종면은 엘리베이터입니다. 엘리베이터는 비행기의 적외선 방향을 바꾸어 비행기의 고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도 1,500M에서 M=0.7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있다. 고도 12,000m에서 같은 속도로 비행할 때 Mach 수는?(단, 고도 1,500m에서 음속 a는 335m/s 이며, 고도 12,000m 에서 음속 a는 295m/s 이다.)

  1. 약0.3
  2. 약0.5
  3. 약0.8
  4. 약1.0
(정답률: 71%)
  • Mach 수는 비행기의 속도를 음속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고도 1,500m에서 비행기의 Mach 수는 0.7/335 = 약 0.0021이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음속이 감소하므로, 고도 12,000m에서의 음속은 295m/s이다. 따라서 고도 12,000m에서 비행기의 속도는 Mach 수 × 음속 = 0.0021 × 295 = 약 0.618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가장 가까운 약 0.8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근사치로 계산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글라이더가 고도 2,000m 상공에서 양항비 20인 상태로 활공한다면 도달할 수 있는 수평 활공거리는?

  1. 40,000
  2. 6,000
  3. 3,000
  4. 2,000
(정답률: 96%)
  • 글라이더가 고도 2,000m 상공에서 양항비 20인 상태로 활공한다면, 이는 1m 수직으로 상승할 때마다 20m 수평으로 전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000m 상승하면 2,000 x 20 = 40,000m의 수평 활공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프로펠러의 한 단면 그림에서 도면에 표시된 표시 내용이 맞는 것은?

  1. ①피치각
  2. ②받음각
  3. ③깃각
  4. ④전진속도
(정답률: 78%)
  • 프로펠러의 한 단면 그림에서 피치각은 프로펠러의 날개 각도를 의미하며, 받음각은 비행기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진속도는 비행기의 속도를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그림에 해당하는 부분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깃각입니다. 깃각은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그림에서도 좌우로 기울어진 날개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륙중량이 1,500kg, 엔진출력이 250HP인 비행기가 해면 고도를 80%의 출력으로 180km/h 순항비행 할 때 양항비는?

  1. 5.25
  2. 5.0
  3. 6.0
  4. 6.25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압력중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어느 것인가?

  1. 양력
  2. 받음각
  3. 항력
  4. 추력
(정답률: 88%)
  • 압력중심은 물체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점을 나타내는데, 이때 받음각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받음각이란 물체가 압력을 받는 면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말하는데, 이 각도가 작을수록 압력이 집중되어 압력중심이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받음각이 작을수록 압력중심은 더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물체의 안정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날개 밑에 장착되는 보틸론의 가장 큰 역할은?

  1. 가로안정 유지
  2. 딥 실속 방지
  3. 유도항력 감소
  4. 옆 미끄럼 방지
(정답률: 67%)
  • 보틸론은 날개 밑에 장착되어 딥 실속 방지 역할을 합니다. 이는 비행 중에 날개가 공기압에 의해 굴곡되어 딥 실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비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헬리콥터는 자동회전을 행하기 위하여 프리휠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 장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회전날개는 기관에 의해서 구동되나 회전날개가 기관을 구동시킬 수 없도록 하는 장치
  2. 회전날개는 기관에 의해 구동되며, 기관정지시 회전날개가 기관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
  3. 회전날개는 기관에 의해서 구동되나, 자전강하시 회전날개가 기관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
  4. 기관 정지시 회전날개의 회전력으로 비상장비를 작동시킬수 있게 만든 장치
(정답률: 54%)
  • 프리휠 장치는 회전날개가 기관을 구동시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회전날개는 기관에 의해서 구동되나 회전날개가 기관을 구동시킬 수 없도록 하는 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착륙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고항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지상 스포일러
  2. 역추진장치
  3. 드래그 슈트
  4. 경계층 제어장치
(정답률: 88%)
  • 경계층 제어장치는 착륙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고항력 장치가 아니라, 비행기의 기체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고 연료를 절약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계층 제어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기의 받음각이 외부적인 교란에 의해 진동을 시작 해서 점차적으로 진동이 감소하여 처음의 상태로 돌아갈 경우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정적안정
  2. 동적안정
  3. 동적불안정
  4. 정적불안정
(정답률: 72%)
  • 비행기의 받음각이 외부적인 교란에 의해 진동을 시작하면, 처음에는 진폭이 커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진폭이 감소하고, 마침내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를 "동적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효피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공기 중에서 프로펠러가 1회전 할 때 실제 전진한 거리이다.
  2. V× (60/n) (V는 비행속도, n은 프로펠러 회전속도)로 표시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피치 보다 작다.
  4. r은 프로펠러 중심부터의 거리, β는 깃각 일 때 날개골은 2πr*tanβ의 유효피치를 가진다.
(정답률: 59%)
  • 유효피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유효피치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유효피치는 프로펠러의 날개골이 공기를 밀어내며 전진하는 실제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비행속도와 프로펠러 회전속도에 따라 V× (60/n)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피치보다 작으며, r은 프로펠러 중심부터의 거리, β는 깃각 일 때 날개골은 2πr*tanβ의 유효피치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관의 단면이 10cm2 인 곳에서 10m/s로 비압축성 유체가 흐르고 있다. 관의 단면이 25cm2 인 곳에서의 유체흐름 속도는?

  1. 3m/s
  2. 4m/s
  3. 5m/s
  4. 8m/s
(정답률: 78%)
  • 유체의 질량은 보존되므로, 유체의 질량 유량은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m_1v_1 = m_2v_2$ 이다. 여기서 $m_1$은 단면적이 10cm2인 곳에서의 유체의 질량 유량, $v_1$은 해당 지점에서의 유체의 속도, $m_2$는 단면적이 25cm2인 곳에서의 유체의 질량 유량, $v_2$는 해당 지점에서의 유체의 속도이다.

    따라서, $m_1v_1 = m_2v_2$에서 $m_1 = m_2 times frac{A_2}{A_1}$ 이므로, $v_2 = v_1 times frac{A_1}{A_2}$ 이다. 여기서 $v_1$은 10m/s이고, $A_1$은 10cm2, $A_2$는 25cm2이므로, $v_2 = 4m/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의 도살핀을 사용하는 이유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도살 핀은 롤링 모멘트를 적게 하여 비행기를 불안정하게 한다.
  2. 수직 꼬리날개가 실속하는 큰 옆미끄럼각에서도 방향안정을 유지 한다.
  3. 도살핀은 세로안정을 크게 한다.
  4. 도살핀은 플랩의 보조역할을 한다.
(정답률: 90%)
  • 비행기의 도살핀은 수직 꼬리날개가 실속하는 큰 옆미끄럼각에서도 방향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동점성계수를 나타내는 것은?

  1. 점성계수/밀도
  2. 밀도/점성계수
  3. 관성력/점성력
  4. 점성력/중력
(정답률: 62%)
  • 동점성계수는 유체 내부에서의 점성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점성력은 유체 내부의 분자 간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이 점성력은 유체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동점성계수를 나타내는 것은 "점성계수/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헬리콥터 회전날개에 추력을 구하는 이론은?

  1. 회전면 상하 유동의 운동량 차이를 이용한 운동량 이론
  2. 로터 브레이드의 코닝각 변화 이론
  3. 엔진의 연소 소비율에 따른 연소 이론
  4. 로터 브레이드 회전관성을 이용한 관성 이론
(정답률: 66%)
  • 회전면 상하 유동의 운동량 차이를 이용한 운동량 이론은, 헬리콥터 회전날개의 상부와 하부에서 유체의 흐름이 다르기 때문에, 상부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빠르고 하부에서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상부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이로 인해 회전날개에 추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이론은 헬리콥터의 비행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형상항력의 표현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유도항력 + 조파항력
  2. 표면마찰항력 + 유도항력
  3. 간섭항력 + 조파항력
  4. 압력항력 + 표면마찰항력
(정답률: 71%)
  • 압력항력은 물체와 유체 사이에서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항력이며, 표면마찰항력은 물체와 유체 사이에서 표면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항력입니다. 따라서 형상항력은 이 두 가지 항력의 합으로 표현됩니다. 유도항력과 조파항력은 물체의 운동 상태와 주변 유체의 파동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으로, 형상항력의 일부분이지만 전체를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간섭항력은 물체와 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형상항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압력항력 + 표면마찰항력"이 형상항력의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깃이 허브 중심에서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힘은?

  1. 추력
  2. 원심력
  3. 비틀림응력
  4. 구심력
(정답률: 86%)
  •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깃이 허브 중심에서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힘은 원심력입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에서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힘으로, 이 경우 깃이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끝으로 갈수록 회전 속도가 빨라져 멀어지면서 원심력이 증가하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힘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NACA 23015에서 3 의 뜻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최대 캠버의 크기가 시위의 3%
  2.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3%
  3.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
  4. 최대 두께의 위치가 시위의 15%
(정답률: 76%)
  • NACA 23015에서 3은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를 의미한다. 이는 해당 에어포일의 상부 곡률이 0.3이며, 이 곡률이 최대치인 지점이 시위의 15% 지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해당 에어포일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비행기의 세로 안정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전방에 위치할 수록 좋다.
  2.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후방에 위치할 수록 좋다.
  3. 꼬리날개 부피계수 값이 작을 수록 좋다.
  4. 꼬리날개 효율이 작을 수록 좋다.
(정답률: 81%)
  • 정답: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전방에 위치할 수록 좋다."

    이유: 비행기의 세로 안정은 중심위치와 날개의 공력중심의 위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전방에 위치하면, 비행기의 앞부분에 무게가 집중되어 공기 저항이 줄어들고, 안정성이 향상된다. 반대로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후방에 위치하면, 비행기의 뒷부분에 무게가 집중되어 공기 저항이 증가하고, 안정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중심위치가 날개의 공력중심 전방에 위치할 수록 비행기의 세로 안정성이 좋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로펠러 비행기의 항속거리를 나타내는 식은? (단, R = 항속거리, B = 연료탑재량, V = 순항속도, P = 순항중의 기관의 출력, t = 항속시간, C = 마력당 1시간에 소비하는 연료량)

  1. R = V/t
  2. R = CP/VB
  3. R = VB/CP
  4. R = PB/CV
(정답률: 55%)
  • 프로펠러 비행기가 항속하는 동안에는 연료가 소비되고, 이 연료량은 비행기의 속도, 기관의 출력, 그리고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항속거리를 나타내는 식은 이러한 변수들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해야 한다.

    먼저, 항속거리는 비행기의 속도와 항속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R = V/t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량은 마력당 1시간에 소비하는 연료량과 기관의 출력, 그리고 항속시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C, P, t를 고려하여 연료량을 나타내면 CPt가 된다.

    마지막으로, 연료량과 항속거리는 역수의 관계에 있다. 즉, 연료량이 적을수록 항속거리는 더 멀어진다. 따라서 R = VB/CP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R = VB/C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공기를 빠른 속도로 분사시킴으로서 소형,경량으로 큰추력을 낼 수 있고 비행속도가 빠를수록 추진 효율이 좋고, 아음속에서 초음속에 걸쳐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엔진의 형식은?

  1. Turbojet Engine
  2. Turboshaft Engine
  3. Ramjet Engine
  4. Turboprop Engine
(정답률: 75%)
  • "Turbojet Engine"은 공기를 빠른 속도로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엔진으로, 이는 소형, 경량으로 큰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행속도가 빠를수록 추진 효율이 좋고, 아음속에서 초음속에 걸쳐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방사형 엔진의 크랭크 축에서 정적평형은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1. dynamic damper
  2. counter weight
  3. dynamic suspension
  4. split master rod
(정답률: 75%)
  • 크랭크 축에서 정적평형은 counter weight에 의해 이루어진다. counter weight는 크랭크 축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엔진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쇄시켜 엔진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엔진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의 엔진의 후화의 가장 큰 원인은?

  1. 빠른 점화시기
  2. 흡입 밸브의 고착
  3. 너무 희박한 혼합비
  4. 너무 농후한 혼합비
(정답률: 84%)
  • 항공기의 엔진은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중요합니다. 너무 농후한 혼합비는 연료가 공기보다 많이 혼합되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되어 후화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왕복 기관의 고압 마그네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전기누설의 가능성이 많은 고공용 항공기에 적합한 점화계통이다.
  2. 고압 마그네토의 자기회로는 회전영구자석, 폴슈및 철심으로 구성되었다.
  3. 콘덴서는 브레이커 포인트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4. 1차 회로는 브레이커 포인트가 붙어 있을 때에만 폐회로를 형성한다.
(정답률: 69%)
  • "콘덴서는 브레이커 포인트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고압 마그네토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설명이며, "전기누설의 가능성이 많은 고공용 항공기에 적합한 점화계통이다."는 고압 마그네토의 특징과 관련된 설명이다. 따라서, "콘덴서는 브레이커 포인트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가 가장 관계가 먼 설명이다.

    "전기누설의 가능성이 많은 고공용 항공기에 적합한 점화계통이다."는 고압 마그네토가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장치이기 때문에, 고공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고압 마그네토는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고공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에서는 전기 누설로 인한 안전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고압 마그네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피스톤 엔진의 실린더 내의 최대 폭발 압력은 일반적으로 어느 점에서 일어나는가?

  1. 상사점
  2. 상사점 후 약 10° (크랭크각)
  3. 상사점 전 약 25° (크랭크각)
  4. 상사점 후 약 25° (크랭크각)
(정답률: 70%)
  • 피스톤 엔진에서 폭발은 일반적으로 상사점에서 일어납니다. 상사점은 피스톤이 실린더 상단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하는 시점을 말합니다. 이때 피스톤은 압축 상태에서 있으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가스가 불꽃을 일으켜 폭발합니다. 이 폭발로 인해 엔진은 움직이게 되며, 최대 폭발 압력은 상사점 후 약 10° (크랭크각)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피스톤이 이미 압축 상태에서 있기 때문에 폭발 압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기본적인 유로의 형성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①②③④⑤⑥
  2. ①②③⑤④⑥
  3. ①③②④⑤⑥
  4. ①③②⑤④⑥
(정답률: 61%)
  •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기본적인 유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① 연료탱크
    ② 연료펌프
    ③ 연료필터
    ④ 연료컨트롤밸브
    ⑤ 연료노즐
    ⑥ 연소실

    따라서 정답은 "①②③④⑤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린더 내부의 가스가 피스톤에 작용한 동력은?

  1. 도시 마력
  2. 마찰마력
  3. 제동마력
  4. 축마력
(정답률: 39%)
  • 실린더 내부의 가스가 피스톤에 작용한 동력은 "도시 마력"이다. 이는 가스가 압력을 가지고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엔진의 출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른 선택지인 "마찰마력", "제동마력", "축마력"은 모두 엔진의 출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실린더의 내벽을 경화 시키는 방법은?

  1. nitriding
  2. shot peening
  3. Ni plating
  4. Zn plating
(정답률: 63%)
  • 실린더의 내벽을 경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인 nitriding은 질소를 이용하여 내벽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입니다. 이는 내구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자동차 엔진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로펠러의 깃 각에 대해서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깃의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
  2. 깃 뿌리에서 깃 끝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3. 깃 뿌리에서 깃 끝으로 갈수록 커진다.
  4. 일반적으로 프로펠러 중심에서 50% 되는 위치의 각도를 말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깃 뿌리에서 깃 끝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다. 이유는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깃의 끝 부분이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작은 각도로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깃 뿌리에서 깃 끝으로 갈수록 각도가 작아지게 설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 사이클의 P - V 선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넓이 1 - 2 - 3 - 4 - 1은 사이클의 참 일
  2. 넓이 3 - 4 - n - m - 3은 터빈의 팽창일
  3. 넓이 1 - 2 - m - n - 1은 압축 일
  4. 1개씩의 정압과정과 단열과정이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1개씩의 정압과정과 단열과정이 있다." 이다. 이유는 P-V 선도에서는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 곡선이 수평선이면 정압과정, 수직선이면 단열과정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그림에서는 곡선이 모두 경사선이므로 정압과정과 단열과정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스터빈기관이 정해진 회전수에서 정격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연료조절장치와 각종 기구를 조정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고장탐구
  2. 크래킹
  3. 트리밍
  4. 모터링
(정답률: 83%)
  • 가스터빈기관의 연료조절장치와 기구를 조정하여 정해진 회전수에서 정격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트리밍"이라고 한다. 이는 선박 운항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선박의 안전과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실제 또는 상징적인 경계에 의하여 주위로부터 구분되는 공간의 일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개방
  2. 밀폐
  3. 형태
(정답률: 86%)
  • "개방"과 "밀폐"는 공간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경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형태"는 공간의 모양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경계와는 관련이 있지만, 경계 자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이다. "계"는 경계를 나타내는 단어로, 실제 또는 상징적인 경계에 의해 주위로부터 구분되는 공간의 일부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1.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
  2.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3. 압력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
  4. 압력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정답률: 87%)
  •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은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 엔진이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윤활유가 높은 온도와 압력에도 안정적으로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도지수가 높은 윤활유는 엔진 내부에서 안정적인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엔진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용 가스터빈 기관의 연소실 형식 중 정비 및 검사가 가장 편리한 형식은?

  1. 캔형
  2. 애눌러형
  3. 캔-애눌러형
  4. 반경류형
(정답률: 75%)
  • 캔형 연소실은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작아서 정비 및 검사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소실 내부의 부품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며, 가스터빈 기관의 성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용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캔형 연소실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속도 720km/h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장착된 터보제트 기관이 196kg/s인 중량유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300m/s의 속도로 배기시킨다. 다음 중 진추력의 값을 나타낸것은?

  1. 2,000kg
  2. 4,000kg
  3. 6,000kg
  4. 8,000kg
(정답률: 47%)
  • 진추력 = 중량유량 x (진입속도 - 배기속도)

    중량유량 = 196kg/s
    진입속도 = 720km/h = 200m/s
    배기속도 = 300m/s

    따라서, 진추력 = 196 x (200 - 300) = 196 x (-100) = -19,600 N

    음수인 이유는, 진추력이 항공기의 전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진추력의 단위는 뉴턴(N)인데,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진추력 = 질량 x 가속도
    -19,600 = 질량 x 가속도
    가속도 = -19,600 / 질량

    여기서 가속도는 중력가속도와 같으므로,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질량 = -19,600 / 9.8 = -2,000 kg

    따라서, 정답은 "2,00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프로펠러 조속기 내의 스피더 스프링의 압축력을 증가하였다면 프로펠러 깃각과 엔진 RPM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1. 깃각은 증가하고, RPM은 감소한다.
  2. 깃각은 감소하고, RPM도 감소한다.
  3. 깃각은 증가하고, RPM도 증가한다.
  4. 깃각은 감소하고, RPM은 증가한다.
(정답률: 50%)
  • 프로펠러 조속기 내의 스피더 스프링의 압축력이 증가하면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엔진 RPM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동시에 스피더 스프링의 압축력이 증가하면 프로펠러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깃각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깃각은 감소하고, RPM은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제트엔진 연료로 JP-3 을 구성하는 성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젤유
  2. 케로신
  3. 항공유
  4. 하이드라진
(정답률: 56%)
  • JP-3은 항공기 제트엔진 연료로 사용되는데, 디젤유, 케로신, 항공유는 JP-3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지만, 하이드라진은 JP-3과는 전혀 다른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스 터빈 기관의 열효율 향상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고온에서 견디는 터빈 재질 개발
  2. 기관의 내부 손실 방지
  3. 터빈 냉각 방법의 개선
  4. 배기 가스의 온도 증가
(정답률: 78%)
  • 배기 가스의 온도가 증가하면, 열효율이 향상됩니다. 이는 열 역학 법칙에 따라, 열을 더 많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 터빈 기관에서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역학에서 가역과정이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마찰과 같은 요인이 있어도 상관 없다.
  2. 계와 주위가 항상 불균형 상태이어야 한다.
  3. 바깥 조건의 작은 변화에 의해서는 반대로 만들 수 없다.
  4. 과정이 일어난 후에도 처음과 같은 에너지 양을 갖는다.
(정답률: 85%)
  • 가역과정은 역방향으로 진행시키면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가역과정에서는 에너지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즉, 과정이 일어난 후에도 처음과 같은 에너지 양을 갖는 것이 올바른 조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역과정과는 관련이 없는 조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출력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일종의 압축기로 혼합가스 또는 공기를 압축시켜 실린더로 보내어 큰 출력을 내도록 하는 것은?

  1. 기화기
  2. 공기덕트
  3. 매니폴드
  4. 과급기
(정답률: 79%)
  • 과급기는 혼합가스나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더 많은 연료를 연소시키고 더 많은 출력을 내도록 도와주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고출력 왕복기관에서는 과급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항공기의 무게중심이 기준선에서 90inch 에 있고, MAC의 앞전이 기준선에서 82inch 인 곳에 위치 한다. MAC 이 32inch인 경우 중심은 몃 %MAC 인가?

  1. 15
  2. 20
  3. 25
  4. 35
(정답률: 80%)
  • MAC 앞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를 X 라고 하면, MAC 뒷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는 MAC 앞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보다 X 만큼 더 길다. 따라서 MAC의 앞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와 MAC의 뒷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의 평균은 MAC 앞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에서 X/2 만큼 더한 값과 같다.

    MAC가 32인 경우, MAC 앞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는 82 - 32 = 50이고, MAC 뒷전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는 82 + (32/2) = 98이다. 따라서 무게중심은 (50 + 98) / 2 = 74inch 지점에 위치한다.

    무게중심이 MAC 앞전에서 74 - 50 = 24inch 떨어져 있으므로, 중심은 MAC의 전체 길이인 32inch 중에서 24/32 = 0.75 = 75%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 하기 위한 구조는?

  1. 페일-세이프 구조
  2. 샌드위치 구조
  3. 안전구조
  4. 세미-모노코크 구조
(정답률: 85%)
  •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페일-세이프 구조"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구조물을 여러 겹으로 쌓아서 만든 구조로, 하나의 부분이 손상되어도 다른 부분이 이를 대신해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항공기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사고 발생 시 승객과 승무원의 생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직안정판, 수평안정판, 승강키, 방향키, 등으로 구성된 항공기의 후방 동체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fter end assembly
  2. empennage
  3. fuselage
  4. bulkhead
(정답률: 66%)
  • Empennage는 항공기의 후방 동체부분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는 수직안정판, 수평안정판, 승강키, 방향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fter end assembly", "fuselage", "bulkhead"는 항공기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은 "empennag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행기의 표피재료인 알크래드판은 알루미늄 합금판 위에순 알루미늄을 피복한 것이다. 순 알루미늄울 피복한 주목적은?

  1. 단선배선에 있어서의 회로저항을 감소하기 위함
  2. 공기 중에 있어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
  3.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함
  4. 판의 두께를 증가하여 더 큰 하중에 견디도록 하기 위함
(정답률: 83%)
  • 알크래드판이 비행기의 표피재료로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는 공기 중에 있어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순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판 위에 순 알루미늄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경사각 θ=60° 로서 정상선회의 비행을 하는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배수 n은 얼마인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74%)
  • 비행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중력과 역학적인 힘의 합력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배수 n은 비행기의 중력과 같다. 따라서, 비행기의 중력을 구하면 된다.

    비행기의 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력 = 질량 × 중력가속도

    질량은 비행기의 무게를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질량 = 무게 ÷ 중력가속도

    먼저, 비행기의 무게를 구해보자. 비행기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무게 = 밀도 × 부피 × 중력가속도

    여기서, 밀도는 공기의 밀도로 대략 1.2 kg/m³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부피는 비행기의 날개 면적과 두께를 곱한 값으로 대략 20 m²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 = 1.2 × 20 × 0.1 × 9.8 ≈ 23.52 kN 이다.

    다음으로, 중력을 구해보자. 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력 = 질량 × 중력가속도 = (무게 ÷ 중력가속도) × 중력가속도 = 무게 ≈ 23.52 kN

    따라서, 비행기의 날개에 걸리는 하중배수 n은 23.52 kN ÷ 11.76 kN =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판금 작업을 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개도 작성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은?

  1. 평행선법, 삼각형법, 방사선법
  2. 평행선법, 삼각형법, 투상도법
  3. 삼각형법, 투상도법, 방사선법
  4. 평행선법, 투상도법, 사각형법
(정답률: 63%)
  • 판금 작업에서 전개도 작성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평행선법, 삼각형법, 방사선법입니다.

    - 평행선법: 평행한 선들을 이용하여 도형을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대부분의 도형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삼각형법: 삼각형의 변을 이용하여 도형을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평행선법보다 복잡하지만, 일부 도형에서는 더욱 정확한 전개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방사선법: 도형의 중심에서부터 방사형으로 선을 그어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원형이나 원뿔형 등의 도형에서 유용하며, 전개도의 정확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안티스킷 장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항공기의 착륙 활주 중 활주속도에 비해 과도하게 제동을 함으로써 타이어가 미끄러지고 올바른 착륙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 한다.
  2. 브레이크 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3. 유압식 브레이크에 장비되어 있는 작동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4. 항공기가 미끄러지지 않게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정답률: 80%)
  • 안티스킷 장치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항공기의 착륙 활주 중 활주속도에 비해 과도하게 제동을 함으로써 타이어가 미끄러지고 올바른 착륙주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강의 최대응력이 2.4× 106 kg/cm2 이고 사용응력이 1.2× 106 kg/cm2 일 때 안전여유는 얼마인가?

  1. 0.5
  2. 1
  3. 2
  4. 4
(정답률: 36%)
  • 안전여유는 최대응력을 사용응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안전여유는 2.4× 106 kg/cm2 ÷ 1.2× 106 kg/cm2 = 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안전여유가 1보다 작으면 위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 안전여유가 2로 충분히 크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조종 케이블이 작동 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 케이블의 3도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

  1. 토크 튜브
  2. 벨 크랭크
  3. 폴리
  4. 페어리드
(정답률: 83%)
  • 조종 케이블이 작동 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 케이블의 3도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 "페어리드"이다. 이는 페어리드가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도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인 "토크 튜브", "벨 크랭크", "폴리"는 모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조종 케이블의 유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쉐이크 프루프 고정와셔가 주로 사용되는 곳은?

  1. 주 구조물에 고정장치로 사용
  2. 높은 온도에 잘 견디고 심한 진동부분에 사용
  3. 스큐류를 자주 장탈하는 부분에 사용
  4. 와셔가 공기흐름에 노출되는 곳에 사용
(정답률: 59%)
  • 쉐이크 프루프 고정와셔는 높은 온도와 진동이 심한 부분에 사용되는데, 이는 이 부분에서 일반적인 고정장치나 와셔가 견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는 쉐이크 프루프 고정와셔가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주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은 이러한 환경에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팜금 성형법의 접기가공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두께가 얇고 연한 재료는 예각으로 굴곡할 수 없다.
  2. 얇은 판이나 플레이트 등을 굴곡하는 것을 접기가공이라 한다.
  3. 굴곡반경이란 가공된 재료의 곡선상의 내측 반경을 말한다.
  4. 세트백은 굽힘 접선에서 성형점까지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67%)
  • 세트백은 관계가 먼 내용이다. 팜금 성형법에서 두께가 얇고 연한 재료는 예각으로 굴곡할 수 없는 이유는 재료가 너무 연해 굴곡 시에 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는 반드시 둥근 굴곡반경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이 인장력 P를 받는 봉에 축적되는 탄성에너지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봉의 길이 L에 비례한다.
  2. 봉의 단면적 A에 비례한다.
  3. 가한 하중 P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재료의 탄성계수의 E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7%)
  • "봉의 단면적 A에 비례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탄성에너지는 가한 하중 P와 봉의 길이 L, 그리고 봉의 탄성계수 E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탄성에너지는 P*L^2/(2AE)로 계산된다. 따라서 봉의 단면적 A와는 비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알루미늄합금 2024-T4의 열처리 기호 T4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용액 열처리 후 냉간 가공품인 것
  2. 담금질 후 인공시효 경화한 것
  3. 가공경화 후 풀림처리를 한 것
  4. 담금질 후 상온시효가 완료된 것
(정답률: 63%)
  • 알루미늄합금 2024-T4의 열처리 기호 T4는 담금질 후 상온시효가 완료된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합금을 담금질하여 결정 구조를 조절하고, 그 후 상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시효를 주어 경화시킨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열처리 과정은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모노코크형 동체의 구조 부재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1. 벌크헤드
  2. 정형재
  3. 외피
  4. 세로대
(정답률: 61%)
  • 세로대는 모노코크형 동체의 구조 부재 중 하나가 아닙니다. 모노코크형 동체는 외피와 벌크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형재는 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세로대는 일반적으로 건물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모노코크형 동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포일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대형 항공기에서는 날개 안쪽과 바깥쪽에 스포일러가 설치되어 있다.
  2. 비행 중 양쪽 날개의 공중 스포일러를 움직여서 비행속도를 감소시킨다.
  3. 착륙 활주 중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4. 비행 스포일러 혹은 지상 스포일러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착륙 활주 중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인 이유는 비행기가 착륙할 때 스포일러를 사용하면 날개의 양쪽에 있는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여 비행기가 땅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바닥에 더욱 강하게 부딪히기 때문이다. 이는 비행기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부식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장 부식
  2. 표면부식
  3. 입자간 부식
  4. 응력부식
(정답률: 88%)
  • "자장 부식"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부식 종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자장 부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NAS 654 V 10 D 볼트에 너트를 고정 하는 데 필요한 것은?

  1. 코터핀
  2. 스크류
  3. 락크와셔
  4. 특수와셔
(정답률: 67%)
  • 코터핀은 볼트나 너트의 끝에 꼬리를 꼬아서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입니다. 따라서 볼트에 너트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것은 코터핀입니다. 스크류, 락크와셔, 특수와셔는 모두 볼트나 너트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부속품이지만, 코터핀과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항공기에 사용되는 복합재료의 하나인 탄소섬유에 관한 것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1. 밀도는 보론이나 유리 섬유보다 크다.
  2. 열 팽창율이 매우 작아서 치수 안정성이 필요한 우주정비에 적합하다.
  3. 고온(500°C 이상)에서 사용시 탄화규소와 반응하여 산화 부식의 원인이 된다.
  4. 열 팽창율이 매우 크다.
(정답률: 63%)
  • 탄소섬유는 열 팽창율이 매우 작아서 치수 안정성이 필요한 우주정비에 적합하다. 이는 온도 변화에 따른 크기 변화가 적기 때문에 우주정비와 같이 정밀한 작업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합금강 SAE 6150 의 1의 숫자는 무엇을 표시하는가?

  1. 1%의 크롬 함유량
  2. 0.1%의 탄소 함유량
  3. 1%의 니켈 함유량
  4. 1.0%의 망간 함유량
(정답률: 50%)
  • SAE 6150 합금강의 1의 숫자는 합금강의 주요 합금 원소 중 하나인 크롬의 함유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의 크롬 함유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리벳 머리에 표시를 보고 무엇을 알 수 있는가?

  1. 리벳 머리의 모양
  2. 리벳의 지름
  3. 재료의 종류
  4. 재료의 강도
(정답률: 73%)
  • 리벳 머리에 표시를 보면 재료의 종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재료마다 특정한 표시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벳 머리에 표시를 보면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싱크로 계기가 아닌 것은?

  1. 오토신
  2. 자이로신
  3. 직류데신
  4. 마그네신
(정답률: 54%)
  • 자이로신은 회전하는 물체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하는 기기로, 싱크로 계기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합니다. 오토신과 마그네신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 기기이며, 직류데신은 직류 전압을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선회계의 지시 방법에서 1 바늘폭이 90° /min의 선회 각 속도를 뜻하고, 2 바늘폭이 180° /min의 선회 각속도를 뜻하는 지시방법은?

  1. 1분계
  2. 2분계
  3. 3분계
  4. 4분계
(정답률: 52%)
  • 2 바늘폭은 1 바늘폭의 두 배인 것으로, 따라서 1 바늘폭이 90° /min이면 2 바늘폭은 180° /min의 선회 각속도를 뜻한다. 이에 따라 2 바늘폭을 사용하는 지시 방법은 4분계이다. 4분계는 360°를 4등분하여 각 90°씩으로 나누어진 지시 방법으로, 1 바늘폭당 90° /min의 선회 각속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미국 도선규격으로 채택된 도선규격은?

  1. AM 도선 규격
  2. AS 도선 규격
  3. BS 도선 규격
  4. DIN 도선 규격
(정답률: 48%)
  • 미국 도선 규격으로 채택된 도선 규격은 AS 도선 규격과 MIL 도선 규격이 있지만, BS 도선 규격은 영국에서 개발된 규격으로 미국에서는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은 BS 도선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항공기에 사용되는 교류는 400Hz 이다. 8,000rpm으로 구동되는 교류발전기는 몇 극이어야 하는가?

  1. 2극
  2. 4극
  3. 6극
  4. 8극
(정답률: 72%)
  • 400Hz의 교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8,0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진 교류발전기가 필요하다. 이때, 교류발전기의 극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발전기의 회전수 = 극수 × 60 × 전류주파수
    8,000rpm = 극수 × 60 × 400Hz
    극수 = 8,000rpm ÷ 60 ÷ 400Hz
    극수 = 6

    따라서, 항공기에 사용되는 교류발전기는 6극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형 항공기에서 주로 엔진출구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과열 탐지기는?

  1. 열스위치식 탐지기
  2. 서머커플형 탐지기
  3. 튜브형 탐지기
  4. 가변저항식 탐지기
(정답률: 66%)
  • 서머커플형 탐지기는 엔진출구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도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항공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열스위치식 탐지기는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만 작동하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튜브형 탐지기와 가변저항식 탐지기는 고온에서 작동이 어렵거나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수평의는 항공기에서 어떤 축의 자세를 감지하는가?

  1. 기수 방위
  2. 롤 및 피치
  3. 롤 및 기수 방위
  4. 피치, 롤 및 기수방위
(정답률: 71%)
  • 수평의는 항공기의 롤 및 피치 자세를 감지합니다. 롤은 항공기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자세를 의미하고, 피치는 항공기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평의는 항공기의 좌우 기울기와 위아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원회로에서 전압계 VM 와 전류계 PM 를 부하와 연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VM는 병렬, AM는 직렬
  2. VM는 직렬, AM는 병렬
  3. VM와 AM을 직렬
  4. VM와 AM을 병렬
(정답률: 75%)
  • 전압계 VM은 부하와 병렬로 연결해야 하고, 전류계 PM은 부하와 직렬로 연결해야 합니다. 이는 전압계는 부하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되어야 하며, 전류계는 부하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직렬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VM는 병렬, AM은 직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항공기 유압계통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크기 표시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외경은 인친의 소수, 두께는 인치의 분수로 표시한다.
  2. 외경은 인친의 분수, 두께는 인치의 소수로 표시한다.
  3. 외경, 두께 모두를 인치의 소수로 표시한다.
  4. 외경, 두께 모두를 인치의 분수로 표시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외경은 인친의 분수, 두께는 인치의 소수로 표시한다." 이다. 이유는 파이프의 외경은 보통 인치 단위로 표시되며, 이 때 분수로 표시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반면에 파이프의 두께는 보통 인치의 소수로 표시되며, 이는 파이프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경은 분수, 두께는 소수로 표시하는 것이 가장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 ㆍ 유압 계통에서 공압과 유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때에 사용되는 밸브는?

  1. 감압밸브
  2. 셔틀밸브
  3. 유압관 분리밸브
  4. 선택밸브
(정답률: 31%)
  • 셔틀밸브는 공압과 유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밸브로, 두 개의 입력 포트와 하나의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입력 포트 중 하나에는 공압, 다른 하나에는 유압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 포트는 선택된 입력 포트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이 출력됩니다. 따라서 셔틀밸브는 공압과 유압을 필요에 따라 쉽게 전환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화재의 등급에서 마그네슘과 분말금속 등에 의한 금속화재는 어느 등급으로 분류되는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78%)
  • 정답은 "D"입니다.

    마그네슘과 분말금속 등에 의한 금속화재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물로 진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화재는 일반적인 화재 등급으로는 분류되지 않고, 별도의 등급인 "D"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해면상에서부터 항공기까지의 고도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절대고도
  2. 진고도
  3. 밀도고도
  4. 기압고도
(정답률: 59%)
  • 진고도는 해면상에서부터 항공기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측정한 고도이다. 이는 항공기의 실제 고도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며, 비행 중에도 일정한 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 절대고도는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기준으로 측정한 고도이며, 밀도고도와 기압고도는 대기의 밀도와 기압을 기준으로 측정한 고도이다. 이들은 항공기의 실제 고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비행 중에도 고도 변화에 따라 값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의 고도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진고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구성품 중 관성항법 장치와 가장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속도계
  2. 가속도계
  3. 자이로를 이용한 안정판
  4. 컴퓨터
(정답률: 39%)
  • 속도계는 관성항법 장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속도계는 비행기나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서 현재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며, 관성항법 장치는 운송수단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속도계는 관성항법 장치와는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정된 부분에서 유체의 유출방지 및 공기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시일은?

  1. 와셔
  2. 와이퍼
  3. 패킹
  4. 가스켓
(정답률: 56%)
  • 가스켓은 고정된 부분에서 유체의 유출방지 및 공기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밀봉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인 와셔, 와이퍼, 패킹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가스켓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브리지 회로에서 ud형이 취하여 졌다. 저항 R의 값은?

  1. 60Ω
  2. 80Ω
  3. 120Ω
  4. 240Ω
(정답률: 75%)
  • ud형이 취하여 졌다는 것은 다리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이므로, R1과 R2는 병렬 연결이 되어 전압이 같아진다. 이때, R1과 R2의 합은 120Ω이므로, 전압이 12V일 때, R1과 R2에 각각 6V씩이 걸리게 된다. 이때, R1과 R2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R1과 R2의 저항을 구할 수 있다.

    R1에 걸리는 전압은 6V이고, 전류는 0.05A이므로, R1의 저항은 6V/0.05A = 120Ω이다.

    R2에 걸리는 전압도 6V이고, 전류는 0.05A이므로, R2의 저항도 6V/0.05A = 120Ω이다.

    따라서, R1과 R2의 병렬 연결 저항은 R1 x R2 / (R1 + R2) = 60 x 60 / (120) = 30Ω이다.

    R3와 R4는 직렬 연결이 되어 전압이 나눠지므로, R3와 R4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6V이다. 이때, R3와 R4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R3와 R4의 저항을 구할 수 있다.

    R3에 걸리는 전압은 6V이고, 전류는 0.025A이므로, R3의 저항은 6V/0.025A = 240Ω이다.

    R4에 걸리는 전압도 6V이고, 전류는 0.025A이므로, R4의 저항도 6V/0.025A = 240Ω이다.

    따라서, ud형이 취하여 졌을 때, 저항 R은 R3와 R4의 병렬 연결 저항인 240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4,000ft 미만에서 비행할 경우 사용하고, 비행도중 관제탑 등에서 보내준 기압정보에 따라서 기압셋트를 수정하면서 고도 setting을 하는 방법은?

  1. QNH
  2. QNE
  3. QFE
  4. QFG
(정답률: 65%)
  • 비행 중에는 대기압이 변화하므로, 고도를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위치의 기압을 알아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QNH입니다. QNH는 현재 위치의 해면 기압을 의미하며, 이 값을 이용하여 고도를 설정합니다. 따라서 비행 중에는 관제탑 등에서 보내준 QNH 값을 이용하여 고도 setting을 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서비스 통화 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행 중에는 조종실과 객실 승무원 및 주방간 통화
  2. Flight를 위하여 조종사와 지상조업 요원간 직접통화
  3. 정비사 상호간 통화
  4. 조종사 상호간의 통화
(정답률: 69%)
  • 정비사 상호간 통화는 항공기의 정비 및 수리를 위해 정비사들끼리 서로 통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과 유지보수를 위해 매우 중요한 통화 계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액량계기의 형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독식 액량계
  2. 부자식 액량계
  3. 차압식 액량계
  4. 전기용량식 액량계
(정답률: 41%)
  • 차압식 액량계는 다른 액량계와 달리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직독식 액량계, 부자식 액량계, 전기용량식 액량계와는 형식이 다르며,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궤도조건과 배치방식에 따른 위성통신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랜덤 위성 방식
  2. 정지 위성 방식
  3. 위성 궤도 방식
  4. 위상 위성 방식
(정답률: 34%)
  • 위성 궤도 방식은 위성이 지구 주위를 일정한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궤도 조건과 배치 방식에 따라 위성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되지만, 다른 방식들은 위성의 궤도와는 무관하게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위성 궤도 방식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산소계통에서 고압의 산소를 저압으로 낮추는데 사용하는 부품은?

  1. Pressure reduce valve
  2. Pressure relief valve
  3. 고정된 Calibrated Orifice
  4. Diluter-demand regulator
(정답률: 59%)
  • 고압의 산소를 저압으로 낮추는데 사용하는 부품은 "Pressure reduce valve"입니다. 이는 고압의 산소를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essure relief valve"는 과도한 압력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된 Calibrated Orifice"는 고정된 유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Diluter-demand regulator"는 산소와 다른 기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장비에서 사용되며, 산소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장치는?

  1. 인버터
  2. 콘버터
  3. DC 발전기
  4. 바이브레이터
(정답률: 89%)
  •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즉, 주어진 보기 중에서 인버터가 유일하게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