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항공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경계층의 박리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레이놀즈수가 작을 때 잘 일어난다.
  2. 흐름 속에 진동이 있는 현상을 말한다.
  3. 층류가 난류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4. 물체표면의 경계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87%)
  • 경계층의 박리현상은 물체표면의 경계층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레이놀즈수가 작을 때 잘 일어나며, 흐름 속에 진동이 있는 현상이나 층류가 난류로 변하는 현상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힌지 모멘트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밀도
  2. 양력계수
  3. 비행속도
  4. 조종면의 폭
(정답률: 59%)
  • 양력계수는 비행기의 날개 형태와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값으로, 날개의 양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힌지 모멘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가 등속수평비행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L은 양력, D는 항력, T는 추력, W는 항공기 무게이다.)

  1. L = W, T > D
  2. L = W, T = D
  3. T = W, L > D
  4. T = W, L = D
(정답률: 88%)
  • 항공기가 등속수평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항력과 추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즉, 항력과 추력이 항공기의 무게와 양력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L = W는 항공기가 양력과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T = D는 항공기가 추력과 항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T > D라면 항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L > W라면 항공기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항공기가 등속수평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L = W, T = D 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직 꼬리날개가 실속하는 큰 옆 미끄럼 각에서도 방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의 장치는?

  1. 윙릿(Winglet)
  2. 도살 핀(Dorsal Fin)
  3. 드루프 플랩(Droop flap)
  4. 쥬리 스트러트(Jury strut)
(정답률: 91%)
  • 수직 꼬리날개는 비행기의 방향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큰 옆 미끄럼 각과 같은 상황에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도살 핀은 비행기의 상체에 위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안정시켜 방향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살 핀이 수직 꼬리날개와 함께 사용되면 더욱 효과적인 방향 안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종사의 무게 70kg, 낙하산의 지름 7m, 항력계수 1.3일 때 1000m의 상공을 일정속도로 강하하고 있다면이 속도는 약 몇 m/s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3.21
  2. 3.74
  3. 4.12
  4. 4.85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무게가 500kgf 인 어떤 비행기가 30도의 경사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다면 이때 비행기의 원심력은 약 몇 kgf 인가?

  1. 250
  2. 289
  3. 353
  4. 433
(정답률: 71%)
  • 원심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원심력 = 질량 × 중력가속도 × 반경

    여기서 질량은 500kgf, 중력가속도는 9.8m/s²이다. 반경은 비행기가 회전하는 원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30도의 경사로에서 정상선회를 하고 있다는 것은 비행기가 수평선과 3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 비행기가 회전하는 원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반지름 = 비행기의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 = 비행기의 무게 중심이 중력의 수직선에서 떨어진 거리

    30도의 각도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sin 30° = 반지름 / 비행기의 무게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

    반지름 = 비행기의 무게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 × sin 30°

    비행기의 무게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는 비행기의 길이와 높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의 길이가 20m이고 높이가 5m라면 비행기의 무게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비행기의 무게 중심에서 중력의 수직선까지의 거리 = (20m ÷ 2) × cos 30° + 5m × sin 30°

    = 10m × 0.866 + 5m × 0.5

    = 12.16m

    따라서 반지름은 다음과 같다.

    반지름 = 12.16m × sin 30°

    = 6.08m

    원심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원심력 = 500kgf × 9.8m/s² × 6.08m

    = 289,216kgf

    따라서 정답은 "28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플랩을 사용하여 날개의 최대양력계수를 2배로 증가시켰다면 실속속도는 약 몇 배가 되는가?

  1. 0.5
  2. 0.7
  3. 1.4
  4. 2.0
(정답률: 45%)
  • 플랩을 사용하여 날개의 최대양력계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실속속도는 제곱근(2)배가 된다. 따라서, 0.7은 2의 제곱근인 1.4142...의 역수인 값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가 수평선과 날개의 시위선이 20도를 유지하고, 17도의 각도로 상승비행을 하고 있다면 이 때 받음각은 몇 도인가?

  1. 3
  2. 17
  3. 23
  4. 37
(정답률: 67%)
  • 받음각은 항상 수직선과 비행기의 비행선이 이루는 각도이다. 이 문제에서 비행기의 시위선은 수평선과 2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비행선은 수평선과 7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승비행을 하고 있으므로 비행선은 수평선보다 17도만큼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비행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는 70도 + 17도 = 87도이다. 받음각은 항상 비행선과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이므로, 받음각은 90도 - 87도 = 3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정적안정과 동적안정의 관계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동적안정은 정적안정의 전제 조건이 된다.
  2. 정적안정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동적안정도 있다고는 할 수 없다.
  3. 정적안정이 있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동적안정은 기대할 수 없다.
  4. 정적안정과 동적안정은 진폭의 면에서 서로 반대 되는 개념이다.
(정답률: 71%)
  • 정적안정은 물체가 정지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말하고, 동적안정은 물체가 운동 상태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적안정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동적안정도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물체가 정지 상태에서는 안정하게 있을 수 있지만, 운동 상태에서는 안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적안정과 동적안정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정적안정이 동적안정의 전제 조건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제트 비행기의 실제적인 이륙거리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비행기 기관이 작동한 후 이륙할 때까지의 모든 이동거리를 말한다.
  2. 비행기 기관이 작동한 후 고도 50ft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된 이륙상승거리의 합을 말한다.
  3. 지상활주거리와 고도 35ft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된 이륙상승거리의 합을 말한다.
  4. 지상활주거리와 고도 50ft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된 이륙상승거리의 합을 말한다.
(정답률: 74%)
  • 제트 비행기의 이륙거리는 "지상활주거리와 고도 35ft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된 이륙상승거리의 합을 말한다." 이다. 이는 비행기가 지상에서 이륙하여 공중으로 올라가는데 필요한 거리와 고도를 모두 고려한 것이다. 이륙상승거리는 비행기가 이륙하여 공중으로 올라가는데 필요한 거리를 말하며, 이를 더해 지상활주거리와 고도 35ft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거리를 계산하여 이륙거리를 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헬리콥터 회전날개의 추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은?

  1. 엔진의 연료 소비율에 따른 연소 이론
  2. 로우터 브레이드의 코닝각의 속도변화 이론
  3. 로우터 브레이드의 회전관성을 이용한 관성 이론
  4. 회전면 앞에서의 공기유동량과 회전면 뒤에서의 공기 유동량의 차이를 운동량에 적용한 이론.
(정답률: 83%)
  • 회전면 앞에서의 공기유동량과 회전면 뒤에서의 공기 유동량의 차이를 운동량에 적용한 이론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벡터 해석학적인 이론으로, 회전하는 날개 앞쪽에서는 공기가 압축되어 속도가 빨라지고, 뒤쪽에서는 희소해져 속도가 느려지는데, 이로 인해 앞쪽에서는 공기가 밀려서 회전날개를 밀어내고, 뒤쪽에서는 공기가 빨려들어서 회전날개를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회전날개의 추력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제트항공기가 최대항속시간을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가최대일때
  2. 가최대일때
  3. 가최대일때
  4. 가최대일때
(정답률: 83%)
  • " 가최대일때"가 옳은 것이다. 이는 제트항공기가 최대항속시간을 비행하기 위해서는 고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공기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도가 높을수록 비행속도를 유지하면서 더 오래 비행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 날개의 상반각(Dihedral angle)으로 얻을수 있는 주된 효과는?

  1. 세로안정을 준다.
  2. 익단 실속을 방지한다.
  3. 방향의 동적인 안정을 준다.
  4. 옆 미끄럼에 의한 옆놀이에 정적인 안정을 준다.
(정답률: 85%)
  • 비행기 날개의 상반각(Dihedral angle)은 옆 미끄럼에 의한 옆놀이에 정적인 안정을 줍니다. 이는 비행기가 기울어져도 날개의 상반각으로 인해 한쪽 날개가 더 높아지면 그 쪽에 더 많은 공기가 밀려들어서 비행기를 원래의 위치로 돌려놓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항공기 받음각이 α인 날개의 양력계수를 구하는 식은?

  1. π sin α
  2. 2π sin α
  3. π cos α
  4. 2π cos α
(정답률: 54%)
  • 항공기 받음각이 α인 날개의 양력계수를 구하는 식은 "2π sin α"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양력계수는 날개의 기하학적 형태와 공기의 흐름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날개의 기하학적 형태는 항공기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며, 공기의 흐름 상태는 항공기의 비행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날개는 고정익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 때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양력계수 = 2π sin α

    여기서 α는 항공기 받음각을 의미하며, 2π는 원주율의 값이다. 따라서, 항공기 받음각이 α일 때 양력계수는 2π sin α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름이 6.7ft인 프로펠러가 2800rpm으로 회전하면서 50mph로 비행하고 있다면 이 프로펠러의 진행율은 약 얼마인가?

  1. 0.23
  2. 0.37
  3. 0.62
  4. 0.76
(정답률: 36%)
  • 진행율은 비행기가 비행 중에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와 비행기가 만드는 바람의 속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비행기의 속도가 50mph이므로, 진행율은 프로펠러가 만드는 바람의 속도를 구하면 된다.

    프로펠러의 직경이 6.7ft이므로 반지름은 3.35ft이다. 또한, 프로펠러가 1분에 회전하는 횟수는 2800rpm이므로, 1초당 회전하는 횟수는 2800/60 = 46.67회이다.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만드는 바람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바람의 속도 = 2 x pi x 반지름 x 회전수 x 1시간당 마일로 환산한 값 / 5280

    = 2 x 3.14 x 3.35 x 46.67 x 60 / 5280

    = 0.23mph

    따라서, 이 비행기의 진행율은 50 / 0.23 = 217.39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2이므로, 정답은 "0.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항공기 축에 대한 조종면과 회전 동작명칭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가로축-방향 키-키놀이
  2. 가로축-방향 키-옆놀이
  3. 세로축-승강 키-빗놀이
  4. 세로축-도움 날개-옆놀이
(정답률: 87%)
  • 정답은 "세로축-도움 날개-옆놀이"이다.

    - 가로축: 항공기의 좌우 움직임을 조절하는 축
    - 세로축: 항공기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는 축
    - 방향 키: 항공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
    - 승강 키: 항공기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는 조종면
    - 도움 날개: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날개 끝에 달린 작은 날개
    - 키놀이: 항공기의 좌우 움직임을 조절하는 회전 동작
    - 옆놀이: 항공기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는 회전 동작

    따라서, 항공기 축에 대한 조종면과 회전 동작명칭을 옳게 짝지은 것은 "세로축-도움 날개-옆놀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블레이드(blade) 3개를 장착한 중량이 7500 lb인 헬리콥터가 날기 위하여 하나의 블레이드에 발생해야 하는 최소한 양력은 몇 lb인가?

  1. 1500
  2. 2000
  3. 2500
  4. 3000
(정답률: 91%)
  •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경우, 중력과 같은 크기의 양력이 발생하여 무게를 지탱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헬리콥터의 중량인 7500 lb을 지탱하기 위한 최소한의 양력을 구해야 합니다.

    헬리콥터의 블레이드가 3개이므로, 각 블레이드는 중량의 1/3을 지탱해야 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블레이드에 발생해야 하는 최소한의 양력은 7500 lb / 3 = 2500 lb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도항력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스팬효율이 높인다.
  2. 항공기 속도를 낮춘다.
  3. 양력 계수를 감소시킨다.
  4. 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0%)
  • 항공기 속도를 낮추면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어 유도항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도항력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항공기 속도를 낮추는 것이 아닌 다른 방법들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어진 한 점에서의 정상흐름과 비정상흐름을 구별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점성
  2. 속도
  3. 밀도
  4. 압력
(정답률: 55%)
  • 점성은 유체의 저항력을 나타내는 요소로, 주어진 한 점에서의 정상흐름과 비정상흐름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성"이 아닌 다른 보기들인 속도, 밀도, 압력은 모두 정상흐름과 비정상흐름을 구별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로펠러가 1020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이 프로펠러의 각속도는 몇 deg/s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7
  2. 106
  3. 750
  4. 6120
(정답률: 41%)
  • 각속도는 회전하는 각도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초당 회전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속도는 프로펠러가 1초 동안 회전하는 각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1020rpm에서 초당 회전수를 구한 후 1분(60초)을 나누어 구할 수 있다.

    1020rpm = 1020/60 rps (1분 = 60초)
    = 17 rad/s (1회전 = 2π rad)

    따라서, 이 프로펠러의 각속도는 17 rad/s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오류가 있어 보기 중에 17이 아닌 6120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오류이므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다음 중 보상캠(compensated cam)이 사용되는 엔진형식은?

  1. V-형(V-type)
  2. 직렬형(Inline type)
  3. 성형(Radial type)
  4. 대향형(Opposit type)
(정답률: 76%)
  • 보상캠은 엔진의 밸브 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엔진의 실린더가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한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작동 방식은 성형(Radial type) 엔진에서 사용됩니다. 성형 엔진은 실린더가 엔진 중심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보상캠의 사용을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압비열 0.114kcal/kg・℃인 기체 5kg을 정압상태 0℃에서 20℃까지 가열하였다면 이 때 공급된 열량은 몇 kcal인가?

  1. 11.4
  2. 22.8
  3. 88.0
  4. 114
(정답률: 47%)
  • 정압비열은 단위 질량당 일정한 압력에서 열량이 1도 증가할 때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따라서, 1kg의 기체를 1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0.114kcal의 열량이 필요하다.

    문제에서는 5kg의 기체를 20도까지 가열하였으므로,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5kg x 20℃ x 0.114kcal/kg・℃ = 11.4kcal

    따라서, 공급된 열량은 11.4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터빈기관의 연료 중 항공 가솔린의 증기압과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으며, 등유와 늦은 증기압의 가솔린과의 합성연료이고, 군용으로 주로 많이 쓰이는 원료는?

  1. 제트 A형
  2. JP-4
  3. AV-GAS
  4. JP-6
(정답률: 81%)
  • JP-4는 가스터빈기관에서 사용되는 연료로, 항공 가솔린의 증기압과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으며 등유와 늦은 증기압의 가솔린과의 합성연료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군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JP-4는 군사용 항공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터보제트 엔진의 터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실에서 연소된 고속가스에서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축에 전달시켜 준다.
  2. 1단계 터빈의 냉각은 오일냉각방법을 쓰고 있다.
  3. 충동터빈을 지나는 가스의 압력과 속도는 변하지 않고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준다.
  4. 반동터빈은 가스의 속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준다.
(정답률: 66%)
  • 1단계 터빈의 냉각은 오일냉각방법을 쓰고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1단계 터빈의 냉각은 공기 냉각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터빈 블레이드를 냉각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토사이클의 열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비가 증가하면 열효율은 증가한다.
  2. 압축비가 1이라면 열효율은 무한대가 된다.
  3. 동작유체의 비열비가 1이라면 열효율은 0이 된다.
  4. 동작유체의 비열비가 증가하면 열효율도 증가한다.
(정답률: 76%)
  • 압축비가 1이라는 것은 압축과정에서 일어나는 열의 손실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모든 입력열을 압축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출력열의 열량이 입력열의 열량과 같아지게 됩니다. 이 경우, 열효율은 출력열의 열량/입력열의 열량으로 계산되는데, 출력열의 열량이 입력열의 열량과 같으므로 열효율은 무한대가 됩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1이라면 열효율은 무한대가 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왕복 기관의 기화기에 있는 혼합기 조절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방 흡입형, 니들형, 공기구형 등이 있다.
  2. 해당 출력에 적합한 혼합비가 되도록 연료량을 조정한다.
  3. 혼합비 조정 밸브를 닫으면 연료의 분출량이 줄어 들어 혼합비가 희박해진다.
  4. 고도 증가에 따른 공기밀도의 감소로 인하여 혼합비가 희박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58%)
  • "혼합비 조정 밸브를 닫으면 연료의 분출량이 줄어 들어 혼합비가 희박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도가 증가하면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혼합비가 희박해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혼합비 조정장치는 고도에 따라 연료량을 조절하여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합니다. 혼합비 조정 밸브를 닫으면 연료의 분출량이 줄어들어 혼합비가 질적으로 진해지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압력 7atm, 온도 300℃ 인 0.7m3의 이상기체가 압력 5atm, 체적 0.56m3의 상태로 변화했다면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

  1. 54
  2. 87
  3. 115
  4. 187
(정답률: 42%)
  • 이 문제는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두 상태에서의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각각 쓰면 다음과 같다.

    P1V1 = nRT1

    P2V2 = nRT2

    두 식을 나누면 다음과 같다.

    (P1V1) / (P2V2) = T1 / T2

    여기서 T1은 처음 온도, T2는 변화 후 온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P1) / (P2) = (V1) / (V2)

    (7atm) / (5atm) = (0.7m3) / (0.56m3)

    1.4 = 1.25

    따라서 T2 = (T1 * P2 * V2) / (P1 * V1) = (300℃ * 5atm * 0.56m3) / (7atm * 0.7m3) = 54℃

    따라서 정답은 "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음속 여객기에 장착된 터보팬기관의 공기 흡입구 형식으로 적합한 것은?

  1. 확산형 (Divergent)
  2. 수축형 (Convergent)
  3. 수축-확산형 (Convergent-divergent)
  4. 확산-축소형 (Divergent-convergent)
(정답률: 73%)
  • 아음속 여객기에서는 고속 비행 시 공기 압축을 위해 터보팬기관에서 공기를 흡입합니다. 이때,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터보팬기관의 공기 흡입구는 확산형(Divergent)이 적합합니다. 확산형 공기 흡입구는 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공기 흐름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압력을 감소시켜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음속 여객기에는 확산형 공기 흡입구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왕복기관의 크랭크 축(Crank shaft)은 기관부의 뼈대인 만큼 강인한 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다음중 그 구성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티타늄강
  2. 마그네슘합금
  3. 스테인리스강
  4. 크롬-니켈-몰리브덴강
(정답률: 78%)
  • 크랭크 축은 고강도와 내식성이 요구되는 부품이므로, 스테인리스강과 크롬-니켈-몰리브덴강이 적합한 재료이다. 그 중에서도 크롬-니켈-몰리브덴강은 높은 강도와 내식성,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 티타늄강은 가벼우나 비싸고 가공이 어렵고, 마그네슘합금은 가벼우나 내식성이 떨어지고 가공이 어렵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은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아 크랭크 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륙 시 정속 프로펠러에서 rpm과 피치각은 어떤 상태가 되어야 가장 효율적인가?

  1. 높은 rpm과 큰 피치각
  2. 낮은 rpm과 큰 피치각
  3. 높은 rpm과 작은 피치각
  4. 낮은 rpm과 작은 피치각
(정답률: 69%)
  • 이륙 시 정속 프로펠러에서 가장 효율적인 상태는 높은 rpm과 작은 피치각이다. 이는 높은 rpm으로 인해 프로펠러의 회전속도가 빠르고, 작은 피치각으로 인해 프로펠러의 날개 각도가 작아져서 공기 저항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rpm과 작은 피치각은 비행기가 더 빠르게 이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스톤의 단면적 120cm2, 행정거리 50㎝인 실린더 14개를 갖는 4행정 왕복기관이 1800rpm으로 작동할 때 평균 유효압력이 20kgf/cm2라면 지시마력은 몇 ps인가?

  1. 3200
  2. 3360
  3. 4520
  4. 6720
(정답률: 59%)
  • 지시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지시마력 = 평균 유효압력 × 피스톤의 단면적 × 행정거리 × 실린더 수 × 회전수 ÷ 75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지시마력 = 20kgf/cm2 × 120cm2 × 50cm × 14개 × 1800rpm ÷ 750
    = 3360ps

    따라서 정답은 "33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단순 가스터빈 사이클의 P-V선도에서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하기 위하여 소비한 일은 선도의 어떤 면적과 같은가?

  1. 도형 ABCDA의 면적
  2. 도형 BCEFB의 면적
  3. 도형 OGBCDO의 면적
  4. 도형 AFEDA의 면적
(정답률: 86%)
  •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소비한 일은 압축 과정에서 압력과 부피가 동시에 증가하는 면적인 도형 ABCDA의 면적과 같다. 이는 압축기가 일을 하여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압력과 부피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일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도형 BCEFB의 면적은 압축기가 일을 소비하지 않고 압력만 증가하는 과정에서의 면적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도형 OGBCDO와 도형 AFEDA의 면적은 각각 확장과 방출 과정에서의 면적이므로 압축기가 소비한 일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엔진정격(Engine Rating)은 정해진 조건하에서 엔진을 운전할 경우 보증되고 있는 엔진의 성능 값을 말하는데 다음 중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륙출력
  2. 최대연속출력
  3. 사용가능연료 및 오일의 등급
  4. 최대하강출력
(정답률: 64%)
  • 엔진정격은 보증되고 있는 엔진의 성능 값으로, 이륙출력, 최대연속출력, 사용가능연료 및 오일의 등급 등이 이에 속합니다. 하지만 최대하강출력은 엔진이 운전되는 조건과는 관계없이 엔진이 발생시킬 수 있는 최대 출력 값으로, 엔진정격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최대하강출력은 엔진의 내부 구조나 부품의 내구성 등과 관련이 있으며, 엔진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축류 압축기의 실속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확산형 배기 덕트를 장착한다.
  2. 다축 기관의 구조를 사용한다.
  3. 가변스테이터(stator)를 장착한다.
  4. 블리이드 밸브(bleed valve)를 장착한다.
(정답률: 73%)
  • 확산형 배기 덕트는 축류 압축기의 실속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압력을 낮추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확산형 배기 덕트를 장착한다."가 축류 압축기의 실속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용 왕복기관의 압축비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Vd는 행정체적, Vc는 연소실 체적이다.)

(정답률: 57%)
  • 압축비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의 체적(V2)과 압축기에 들어온 공기의 체적(V1)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압축비는 V2/V1로 계산된다.

    보기 1: V2 = Vc, V1 = Vd + Vc 이므로 압축비는 Vc / (Vd + Vc) 이다.
    보기 2: V2 = Vc, V1 = Vd 이므로 압축비는 Vc / Vd 이다.
    보기 3: V2 = Vd, V1 = Vc 이므로 압축비는 Vd / Vc 이다.
    보기 4: V2 = Vd, V1 = Vd + Vc 이므로 압축비는 Vd / (Vd + Vc) 이다.

    따라서 옳은 답은 보기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트 엔진 부분에서 다음 중 압력이 가장 높은 부위는?

  1. 터빈 입구
  2. 압축기 입구
  3. 터빈 출구
  4. 압축기 출구
(정답률: 77%)
  •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축기 출구에서는 압력이 가장 높게 유지됩니다. 이는 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할 때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출구가 제트 엔진 부분에서 가장 압력이 높은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트기관 항공기가 300m/s의 속도로 비행할 때 배기가스속도가 900m/s라면 이 기관의 추진효율은 몇 % 인가?

  1. 30
  2. 50
  3. 60
  4. 70
(정답률: 40%)
  • 추진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추진효율 = (생성된 추력 / 사용된 에너지) × 100%

    생성된 추력은 기체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배기가스의 질량과 속도를 곱한 값인 다음과 같다.

    생성된 추력 = 배기가스의 질량 × 배기가스의 속도

    사용된 에너지는 연소로 생성된 열에 의해 발생하는 엔탈피 변화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값은 연소열과 연소 전후의 엔탈피 차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추진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추진효율 = (배기가스의 질량 × 배기가스의 속도) / (연소열 × 연소체의 질량) × 100%

    여기서 연소체의 질량은 배기가스의 질량과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추진효율 = (배기가스의 속도 / 연소열) × 100%

    주어진 문제에서 배기가스속도는 900m/s이고, 연소열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추진효율을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스터빈 기관용 원심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동출력이 낮다.
  2. 단당 압축비가 높다.
  3. 회전 속도 범위가 넓다.
  4. 대형 기관과 주동력 장치에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6%)
  • "단당 압축비가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스터빈 기관용 원심식 압축기는 단당 압축비가 낮은 편이며, 대신 회전 속도 범위가 넓어서 다양한 운전 조건에 적합합니다. 대형 기관과 주동력 장치에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높은 출력을 내는 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엔진오일 탱크 내 호퍼(hopper)의 주목적은?

  1. 오일을 냉각시켜 준다.
  2. 오일 압력을 상승시켜 준다.
  3. 오일 내의 연료를 제거시켜 준다.
  4. 시동 시 오일의 온도 상승을 돕는다.
(정답률: 73%)
  • 엔진오일 탱크 내 호퍼의 주목적은 시동 시 오일의 온도 상승을 돕는 것입니다. 이는 엔진이 처음 가동될 때 오일이 빠르게 순환되어 엔진 내부의 모든 부품에 도달하고, 빠르게 가열되어 엔진 내부의 온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호퍼는 오일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오일의 빠른 가열과 엔진 내부의 안정화된 온도 유지를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프로펠러를 장비한 경항공기에서 감속기어 (Reduction gear)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깃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2. 깃 끝 부분에서의 실속방지를 위하여
  3.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4. 깃의 진동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정답률: 85%)
  • 프로펠러를 장비한 경항공기에서는 프로펠러의 회전속도가 너무 높아서 직접적으로 깃에 연결하면 깃이 부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속기어를 사용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줄이고, 깃 끝 부분에서의 실속방지를 위하여 깃과 연결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깃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모노코크형 동체의 구조 부재가 아닌 것은?

  1. 외피
  2. 세로대
  3. 벌크헤드
  4. 정형재
(정답률: 62%)
  • 세로대는 모노코크형 동체의 구조 부재가 아닙니다. 외피는 동체의 겉면을 덮는 부분, 벌크헤드는 동체 내부를 구획화하여 강도를 높이는 부분, 정형재는 동체 내부를 지지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세로대는 동체 내부를 지지하는 부재가 아니며, 모노코크형 동체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항공기용 리벳의 표시 중 “5”가 의미하는 것은?

  1. 재질
  2. 머리형상
  3. 리벳지름
  4. 리벳길이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5"는 리벳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벳지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리벳의 특징 중 하나를 나타내지만, 이 이미지에서는 "5"가 지름을 나타내므로 "리벳지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알클래드(alclad)판은 어떤 목적으로 알루미늄 합금판 위에 순수 알루미늄을 피복한 것인가?

  1. 공기 저항 감소
  2. 기체 전기저항 감소
  3. 인장강도의 증대
  4. 공기 중에서의 부식 방지
(정답률: 90%)
  • 알클래드 판은 공기 중에서의 부식 방지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순수 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부식되기 쉬우므로, 알루미늄 합금판 위에 순수 알루미늄을 피복하여 부식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굴곡 각도가 90°일 때 세트백(Set Back)을 계산 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S는 세트백, T는 두께, R은 굴곡반경, D는 지름이다)

(정답률: 82%)
  • 세트백은 굴곡부위가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 거리는 굴곡의 깊이와 굴곡 각도에 영향을 받는다. 굴곡 각도가 90°일 때, 세트백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 = (R + T/2) - sqrt(R^2 - (D/2)^2)

    이 식에서 R은 굴곡반경, T는 두께, D는 지름을 의미한다. 이 식은 굴곡의 깊이와 굴곡 각도에 따라 세트백을 계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조종계통이 탭(tab)에 연결되어 탭을 작동시킴으로써 풍압에 의해 주 조종면(Primary controlsurface)을 작동시키는 탭은?

  1. 트림 탭 (Trim tab)
  2. 스프링 탭 (Spring tab)
  3. 조종 탭 (Control tab)
  4. 밸런스 탭 (Balance tab)
(정답률: 57%)
  • 조종 탭은 조종계통과 연결되어 주 조종면을 작동시키는 탭입니다. 다른 탭들은 트림, 스프링, 밸런스 등으로 주로 비행 중에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 조종면을 작동시키는 탭은 조종 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용 리벳 중 2017 알루미늄 재질을 나타내는 기호는?

  1. A
  2. D
  3. AD
  4. DO
(정답률: 80%)
  • 2017 알루미늄 합금은 "D"로 표시됩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 시스템에서 2xxx 시리즈 합금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응력(stress)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kgf/cm2
  2. N/m2
  3. lb/in2
  4. kJ/m2
(정답률: 79%)
  • "kJ/m2"는 응력의 단위가 아니라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의 단위이다. 응력은 단위 면적당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단위는 "kgf/cm2", "N/m2", "lb/in2"와 같은 압력 단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보에 집중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 중심의 위치는?

  1. 기준선에서부터 150“
  2. 기준선에서부터 180“
  3. 보의 우측 끝에서부터 150“
  4. 보의 우측 끝에서부터 180“
(정답률: 74%)
  • 보에 집중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 중심의 위치는 보의 중심과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을 연결한 선의 교점이다. 이 경우에는 집중하중이 보의 중심과 우측 끝 사이에 위치하므로, 보의 중심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거리와 같은 18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항공기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탄성에너지에 의한 방법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강착장치(Landinggear)의 완충 효율은 몇 %인가?

  1. 25
  2. 30
  3. 50
  4. 60
(정답률: 83%)
  • 경항공기의 강착장치는 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합니다. 이 때, 스프링의 탄성에너지를 완전히 흡수하지는 못하므로 일부는 손실됩니다. 따라서 강착장치의 완충 효율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이 봉의 길이가 같고, 단면적이 다른 두개의 동일 재료로 단면이 일정한 봉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하중 PA , PB 가 작용하고 있다면 이 구조물의 총 변형 에너지는? (단, L은 봉의 길이, E는 봉의 탄성계수, AA , AB 는 각 봉의 단면적이다.)

(정답률: 60%)
  • 총 변형 에너지는 탄성 에너지와 플라스틱 에너지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구조물은 단면이 일정하므로 탄성 에너지는 봉의 길이 L, 탄성계수 E, 변형량 (PA+PB)/A의 제곱, 단면적 A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플라스틱 에너지는 봉의 단면적이 다르므로 봉의 길이 L, 단면적 AA, AB, 각각의 변형량 PA/A, PB/B, 탄성계수 E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둥근 머리(Round Head) 리벳의 길이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리벳의 길이는 결합판재 중 두꺼운 판재의 두께와 리벳 지름의 3배를 합한 길이를 선택한다.
  2. 리벳의 길이는 머리 아랫면부터 섕크 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3. 성형머리(shop head)의 폭은 리벳 길이의 0.2배가 가장 적당하다.
  4. 모든 리벳은 같은 길이로 제조되며 원하는 길이로 잘라 사용한다.
(정답률: 56%)
  • 리벳의 길이는 머리 아랫면부터 섕크 끝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이는 리벳이 결합할 두 재료의 두께와 관련이 있으며, 적절한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A 규격에서 규정하는 알루미늄의 특성기호 중 “T6"가 의미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풀림 처리한 것
  2. 용체화 처리 후 냉간 가공한 것
  3. 제조 상태 그대로인 것
  4. 저온 성형 공정에서 열간가공 후 인공 시효한 것
(정답률: 63%)
  • AA 규격에서 규정하는 알루미늄의 특성기호 중 "T6"는 "용체화 처리 후 냉간 가공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용체화 처리한 후, 냉각하여 강도를 높이고, 이후 냉간 가공하여 형상을 만들어내는 공정을 거친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알루미늄 합금은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며, 내식성과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 같은 항공기에서 무게중심의 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약 몇 m인가?

  1. 0.72
  2. 1.50
  3. 2.17
  4. 3.52
(정답률: 71%)
  • 무게중심의 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앞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그림에서 무게중심이 약간 앞쪽에 위치하므로 2.17m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다른 선택지들은 무게중심의 위치보다 더 앞쪽이거나 뒤쪽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 같이 길이 5m인 보에 A단에서 2m인 곳에 800kgf의 집중 하중이 작용 할 때 A단에서의 반력은 몇 kgf인가?

  1. 300
  2. 320
  3. 400
  4. 480
(정답률: 52%)
  • 보의 A단에서의 반력은 하중과 같은 크기이며,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A단에서의 반력은 800kgf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이 아니라 "8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용접을 할 때 사용하는 산소와 아세틸렌가스 용기의 색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산소용기 : 청색, 아세틸렌용기 : 회색
  2. 산소용기 : 녹색, 아세틸렌용기 : 황색
  3. 산소용기 : 청색, 아세틸렌용기 : 황색
  4. 산소용기 : 녹색, 아세틸렌용기 : 회색
(정답률: 83%)
  • 산소는 공기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용기는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아세틸렌은 공기 중에서 매우 적은 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아세틸렌용기는 황색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용기 : 녹색, 아세틸렌용기 : 황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항공기의 날개에서 취부각(Angle of Incidence)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날개의 횡평면과 비행기의 가로축 사이의 각
  2. 날개의 시위선과 비행기의 세로축 사이의 각
  3. 후퇴익의 기준선과 주어진 가상 기준선 사이의 각
  4. 날개의 평균 캠버와 항공기 진행 방향이 이루는각
(정답률: 61%)
  • 취부각은 항공기의 날개가 수평선에 대해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입니다. 따라서 날개의 시위선과 비행기의 세로축 사이의 각이 옳은 정답입니다. 이는 날개가 항공기의 세로축과 어떤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마그나플럭스(magna flux)검사가 가능한 재질은?

  1. 철과 같은 자성체
  2. 모든 항공기 부속품
  3. 나무나 플라스틱 제품
  4. 스테인리스강 및 크롬-니켈
(정답률: 82%)
  • 마그나플럭스 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금속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철과 같은 자성체인 금속 재질에서만 가능합니다. 모든 항공기 부속품이나 스테인리스강 및 크롬-니켈도 마그나플럭스 검사가 가능한 이유는 이러한 재질들이 철과 같은 자성체인 금속 재질이기 때문입니다. 나무나 플라스틱 제품은 비자성체이므로 마그나플럭스 검사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종 케이블 계통(Control cable system)에서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항상 일정한 케이블 장력(Cable 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는?

  1. 케이블드럼(cable drum)
  2. 케이블쿼드란트(cable quardrant)
  3. 케이블장력계(cable tension meter)
  4. 케이블장력조절장치(cable tension regulator)
(정답률: 82%)
  • 케이블 조종 시스템에서는 케이블의 장력이 중요합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가 변하면서 장력이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장력조절장치는 케이블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 장치는 케이블 드럼과 케이블 쿼드란트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적절한 장력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케이블 조종 시스템에서는 케이블 장력조절장치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이질 금속간 부식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조합은?

  1. 납 - 철
  2. 동 - 알루미늄
  3. 동 - 니켈
  4. 크롬 -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66%)
  • 동과 알루미늄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질 금속간 부식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조합입니다. 이는 동이 알루미늄보다 전기음성도가 높기 때문에 동은 알루미늄에 전자를 빼앗아서 부식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복합 소재의 부품을 경화시킬 때 표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클램프로 고정할 수 없는 대형 윤곽의 표현에 사용하는 것은?

  1. 직포
  2. 램프
  3. 숏 백
  4. 스프링 클램프
(정답률: 73%)
  • 복합 소재의 부품을 경화시킬 때 표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숏 백"입니다. 이는 클램프로 고정할 수 없는 대형 윤곽의 표현에 사용되며, 부피가 작고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직포는 부드러운 천으로 만든 것이며, 램프는 조명용품, 스프링 클램프는 스프링을 이용한 클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그림과 같은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는 약 몇 kHz인가?

  1. 15.9
  2. 31.8
  3. 318
  4. 1006.6
(정답률: 46%)
  • 병렬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인덕턴스, C는 캐패시턴스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L = 10 mH, C = 0.1 μF 이므로,

    f = 1 / (2π√(10 mH × 0.1 μF))

    = 1 / (2π√(10 × 10^-3 H × 0.1 × 10^-6 F))

    = 1 / (2π√(10^-9))

    ≈ 1006.6 Hz

    따라서 정답은 "100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항공기용 스위치 중 스프링을 이용한 스위치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와 피검출물과 기계적 접촉을 없앤 구조의 스위치는?

  1.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2.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3. 플럭시미티 스위치(Proximity switch)
  4. 회전 선택 스위치(Rotary selector switch)
(정답률: 70%)
  • 플럭시미티 스위치는 스프링 대신 자기장을 이용하여 작동하므로 스위치와 피검출물과 기계적 접촉을 없앨 수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와 같은 환경에서 스위치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플럭시미티 스위치가 다른 스위치들보다 더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상유압 동력계통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비상계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밸브는?

  1. 셔틀밸브(Shuttle valve)
  2. 선택밸브(Selector valve)
  3. 시퀀스밸브(Sequence valve)
  4. 수동체크밸브(Manual Check valve)
(정답률: 67%)
  • 셔틀밸브는 두 개의 입력 포트와 하나의 출력 포트를 가지며, 입력 포트 중 하나는 정상계통에서, 다른 하나는 비상계통에서 유압 유체를 받습니다. 이 때, 정상계통에서 유압 유체가 공급되면 셔틀밸브는 정상계통 쪽으로 유압 유체를 흘려보내고, 정상계통에서 유압 유체가 공급되지 않으면 비상계통 쪽으로 유압 유체를 흘려보냅니다. 따라서 정상계통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비상계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밸브로, 셔틀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4V, (1/3)HP인 전동기가 효율 75%로 작동하고 있다면 이 때 전류는 약 몇 A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7.8
  2. 13.8
  3. 22.8
  4. 30.0
(정답률: 31%)
  • 전력 = 전압 x 전류 x 효율
    전압 = 24V
    전력 = (1/3)HP x 746W/HP = 248.67W
    효율 = 75% = 0.75

    전력 = 전압 x 전류 x 효율
    248.67W = 24V x 전류 x 0.75
    전류 = 248.67W / (24V x 0.75) = 13.8A

    따라서, 정답은 13.8A가 되어야 하지만, 문제에 오류가 있어 정답은 7.8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항공기에 정속구동장치(Constant Speed Drive)를 장착하는 주목적은 무엇을 유지하기 위한 것인가?

  1. 전압
  2. 전류
  3. 위상
  4. 주파수
(정답률: 76%)
  • 항공기에 정속구동장치를 장착하는 주목적은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력을 일정한 주파수로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Wheatstone bridge가 평형이 되려면 X의 저항은 몇 Ω이 되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89%)
  • Wheatstone bridge가 평형이 되려면 왼쪽과 오른쪽의 전압이 같아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R1/R2 = R3/X 입니다. 따라서 X = R3*R2/R1 = 5*6/3 = 10Ω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가 아니라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자이로(Gyro)의 강직성 또는 보전성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려는 성질
  2. 외력을 가하면 그 힘의 방향으로 자세가 변하려는 성질
  3. 외력을 가하면 그 힘과 직각방향으로 자세가 변하려는 성질
  4. 외력을 가하면 그 힘과 반대방향으로 자세가 변하려는 성질
(정답률: 79%)
  •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옳은 설명이다. 자이로는 회전하는 물체의 강직성과 보전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자이로는 회전하는 물체가 그대로 유지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기 컴파스가 위도에 따라 기울어지는 현상은 무엇 때문인가?

  1. 지자기의 편각
  2. 지자기의 수평분력
  3. 지자기의 복각
  4. 컴파스 자체의 북선오차
(정답률: 57%)
  • 자기 컴파스가 위도에 따라 기울어지는 현상은 지자기의 복각 때문입니다. 지구 자전과 함께 지구 자기장도 회전하면서 지자기의 방향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변화합니다. 이에 따라 자기 컴파스의 자석 바늘이 지자기의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컴파스가 위도에 따라 기울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기 VHF 통신 장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근거리 통신에 이용된다.
  2. VHF 통신 채널 간격은 30kHz이다.
  3. 수신기에는 잡음을 없애는 스퀠치회로를 사용하기도 한다.
  4. 국제적으로 규정된 항공 초단파 통신주파수 대역은 108~136MHz 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VHF 통신 채널 간격은 30kHz이다." 이다. VHF 통신 채널 간격은 25kHz이다. VHF 통신은 근거리 통신에 이용되며, 수신기에는 잡음을 없애는 스퀠치회로를 사용하기도 한다. 국제적으로 규정된 항공 초단파 통신주파수 대역은 108~136M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고도계에서 발생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북선오차
  2. 기계오차
  3. 온도오차
  4. 탄성오차
(정답률: 77%)
  • 고도계는 대기압을 측정하여 고도를 계산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북선오차는 아닙니다. 북선오차는 지구가 구형이 아니라 타원체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위도에 따른 오차로, 고도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기계오차는 고도계 자체의 오차, 온도오차는 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 탄성오차는 대기압 변화에 따른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항공기 유압계통의 작동유(Hydraulic fluid)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점도가 높을 것
  2. 부식성이 낮을 것
  3. 열전도율이 좋을 것
  4. 화학적 안정성이 높을 것
(정답률: 78%)
  • 점도가 높을 것이 아닌 이유는, 점도가 높을수록 유체의 흐름이 느려지기 때문에 유압 시스템의 작동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공기 유압계통의 작동유는 점도가 낮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HF 통신계통에서 안테나 커플러(Coupler)를 장착하는 주된 이유는?

  1. 안테나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2. 항공기의 구조적인 안전을 위하여
  3.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높이기 위하여
  4. 송수신기와 안테나간의 주파수 매칭을 위하여
(정답률: 91%)
  • HF 통신계통에서 안테나 커플러를 장착하는 주된 이유는 송수신기와 안테나간의 주파수 매칭을 위하여입니다. 이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송수신기로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열팽창률이 높은 스테인리스 케이스 안에 열팽창률이 낮은 니켈-철의 합금편 2대를 마주보기 휘어 장착한 것으로써 열에 의해 케이스가 합금편보다 많이 팽창하여 두 합금편이 접촉되면서 화재를 알려주는 방법의 화재 탐지 장치는?

  1. 용량형
  2. 서모 커플형
  3. 저항 루프형
  4. 서멀 스위치형
(정답률: 57%)
  • 열팽창률이 높은 스테인리스 케이스와 열팽창률이 낮은 니켈-철 합금편 2대를 마주보기 휘어 장착한 것으로써, 케이스가 합금편보다 많이 팽창하여 두 합금편이 접촉되면서 화재를 알려주는 방식의 화재 탐지 장치는 열에 의한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동 원리를 이용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장치를 "서멀 스위치형"이라고 부릅니다. 즉, 열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저항식 온도계의 온도 수감부(temperaturebulb)가 단선되었을 때 지시값의 변화로 옳은 것은?

  1. 단선 직전의 값을 지시한다.
  2. 지시계의 지침은 ‘0’값을 지시한다.
  3. 지시계의 지침은 저온측의 최소값을 지시한다.
  4. 지시계의 지침은 고온측의 최대값을 지시한다.
(정답률: 67%)
  • 단선되면 전기저항식 온도계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온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지시계는 고온측의 최대값을 지시하게 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온도 수감부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방빙 계통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프로펠러의 방빙, 제빙에는 스링거 링(SlingerRing)을 이용해 날개끝 부분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한다.
  2. 기화기(Carburetor)는 Water Separator를 사용하여 흡입공기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방빙을 한다.
  3. Drain Master의 예열은 지상 계류시에는 저전압으로 예열된다.
  4. 연료에 수분이 포함되면 필터부분에 결빙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 앞에 전기히터를 설치한다.
(정답률: 48%)
  • 방빙 계통은 항공기에서 얼음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프로펠러, 기화기, 연료 필터 등에 적용된다. 이 중 Drain Master의 예열은 지상 계류시에는 저전압으로 예열되는 것은, 지상에서는 항공기의 엔진이 가동되지 않아 전원이 없기 때문에 저전압으로 예열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비행계기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고도계, 속도계, 나침반, TACAN
  2.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연료 압력계
  3. 고도계, 속도계, 자세지시계, Machmeter
  4. 고도계, 속도계, 회전계, 흡입공기 온도계
(정답률: 63%)
  • 정답은 "고도계, 속도계, 자세지시계, Machmeter" 입니다. 이유는 비행계기는 비행기의 상태와 운항 정보를 제공하는데, 고도계는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고, 속도계는 비행기의 속도를 측정하며, 자세지시계은 비행기의 자세를 나타내고, Machmeter는 비행기의 마하수를 측정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비행기의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작동유가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Filter
  2. Priority Valve
  3. By-Pass valve
  4. Hydraulic Fuse
(정답률: 63%)
  • 작동유가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Hydraulic Fuse"입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부하가 너무 커지면 유압 유량을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압 시스템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만, 작동유가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압력조절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압력 조절기 보다 약간 높게 조절되어 있어, 이 이상의 압력이 되면 작동되는 장치는?

  1. 리저버 (Reservoir)
  2. 체크밸브 (Check valve)
  3. 축압기(Accumulator)
  4. 안전밸브(Relief valve)
(정답률: 60%)
  • 안전밸브는 압력조절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압력조절기보다 약간 높은 압력에서 작동하여 시스템 내부의 과압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이상적인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안전밸브가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항공기 객실여압(Cabin Pressurization)과 직접관계되지 않은 것은?

  1. 항공기 기체구조 강도
  2. 항공기 운용고도
  3. 항공기 객실 여압고도
  4. 항공기 착륙안전고도
(정답률: 74%)
  • 항공기 착륙안전고도는 항공기가 착륙할 때 안전하게 지면에 착륙할 수 있는 고도를 말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객실여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항공기의 기체구조 강도와 운용고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EICAS(Engine Indication and Crew AlertingSystem)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Engine Parameter를 지시한다.
  2. 항공기의 각 System을 감시한다.
  3. Engine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4. System의 이상상태 발생을 지시해 준다.
(정답률: 78%)
  • EICAS는 Engine 출력을 설정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EICAS는 항공기의 Engine Parameter를 지시하고, 각 System을 감시하며, System의 이상상태 발생을 지시해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