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항공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특정한 헬리콥터에서 회전날개(Rotor Blade)에 비틀림각을 주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회전날개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3. 전진비행에서 발생하는 잔동을 줄이기 위하여
  4. 정지비행시 균일한 유도속도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
(정답률: 80%)
  • 회전날개에 비틀림각을 주는 이유는 "정지비행시 균일한 유도속도의 분포를 얻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회전날개의 공기저항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정지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정적 중립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92%)
  • ""이 정적 중립을 나타낸다. 이유는 이 이미지가 양쪽에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국가를 연결하는 중립적인 요소인 해협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이미지는 양쪽 국가의 어떤 편향도 없이 중립적인 위치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테이퍼형 날개(taper wing)의 실속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뿌리에서부터 실속이 일어난다.
  2. 날개 끝에서부터 실속이 일어난다.
  3. 초음속에서 와류의 형태로 실속이 일어난다.
  4. 스팬(span)방향으로 균일하게 실속이 발생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날개 끝에서부터 실속이 일어난다."이다.

    테이퍼형 날개는 날개 끝이 날개 뿌리보다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날개 끝에서는 날개 뿌리보다 날개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날개 끝에서부터 실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실속은 날개 끝에서부터 날개 뿌리 방향으로 전파되며, 이는 비행 중에 발생하는 날개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프로펠러 비행기의 이용마력과 필요마력을 비교할 때 필요마력이 최소가 되는비행속도는?

  1. 최고 속도
  2. 최저 상승률일 때의 속도
  3. 최대항속거리를 위한 속도
  4. 최대항속시간을 위한 속도
(정답률: 60%)
  • 프로펠러 비행기의 이용마력은 비행기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마력이고, 필요마력은 비행기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마력입니다. 따라서 필요마력이 최소가 되는 속도는 비행기가 최소한의 마력으로도 유지될 수 있는 속도인데, 이는 비행기의 공기저항과 상승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인 최대항속시간을 위한 속도입니다. 이 속도에서 비행기는 최대한 효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으며, 연료소모도 최소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체의 점성을 고려한 마찰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찰력은 유체의 속도에 반비례한다.
  2. 마찰력은 온도변화에 따라 그 값이 변한다.
  3. 유체의 마찰력은 이상유체에서만 고려된다.
  4. 마찰력은 유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73%)
  • 마찰력은 유체 내 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므로, 온도가 변화하면 분자 간 거리와 운동 에너지가 변화하게 되어 마찰력의 크기도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마찰력은 온도변화에 따라 그 값이 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날개 시위가 2.5m 인 비행기가 360km/h 인 속도로 비행하고 있을 때, 공기 흐름의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동점성계수는 0.14cm2/sec 이다.)

  1. 1.54×104
  2. 1.76×105
  3. 1.54×106
  4. 1.79×107
(정답률: 75%)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 속도 ×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대기 밀도인 1.2kg/m3 이다. 길이는 날개 시위인 2.5m 이다.

    Re = (1.2kg/m³ × 360km/h × 1000m/3600s × 2.5m) / 0.14cm²/s
    = 1.79×10⁷

    따라서 정답은 "1.79×10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펠러 항공기의 비행속도를 옳게 나타낸 식은? (단, 프로펠러의 진행률: J, 회전면의 지름:D, 회전수: n 이다.)

  1. J/(nD)
  2. (nD)/J
  3. JnD
  4. (JD)/n
(정답률: 71%)
  • 프로펠러 항공기의 비행속도는 프로펠러의 진행률, 회전면의 지름, 회전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때, 진행률은 회전면의 지름과 회전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JnD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의 동력(P)와 추력(T)에 관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n: 프로펠러 회전수, D: 프로펠러 회전면의 지름, CP: 동력계수, Ct: 추력계수, ρ: 공기밀도이다.)

  1. P = CPρn2D3, T = Ctρn2D5
  2. P = CPρn3D5, T = Ctρn2D5
  3. P = CPρn2D3, T = Ctρn2D4
  4. P = CPρn3D5, T = Ctρn2D4
(정답률: 75%)
  • 정답은 "P = CPρn3D5, T = Ctρn2D4"이다.

    프로펠러의 동력(P)은 회전수(n), 회전면의 지름(D), 동력계수(CP), 공기밀도(ρ)에 비례한다. 따라서 P = CPρn3D5이다.

    반면, 프로펠러의 추력(T)은 회전수(n), 회전면의 지름(D), 추력계수(Ct), 공기밀도(ρ)에 비례한다. 하지만 프로펠러의 추력은 동력과 달리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T = Ctρn2D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의 동적안정성이 양(+)인 상태에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2. 운동의 주기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3. 운동의 진동수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4. 운동의 고유진동수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정답률: 74%)
  •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이유는, 항공기의 동적안정성이 양(+)인 상태에서는 항공기가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움직임이 점점 감쇠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항공기가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지 않고, 움직임이 감쇠되어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CL은 양력계수, CD는 항력계수이다.)

  1. 가 최대일 때
  2. 가 최대일 때
  3. 가 최대일 때
  4. 가 최대일 때
(정답률: 82%)
  • "가 최대일 때"가 옳은 것이다. 이는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기저항은 CD와 밀도, 기체속도, 기체면적 등에 영향을 받는데, CD는 CL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CL이 최대일 때 CD도 최대가 된다. 따라서 "가 최대일 때"가 옳은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행기의 무게가 5000kg 이고 큰 날개 면적이 60m2 이며, 해면 위를 100km/h 의 속도로 비행할 때 양력계수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0.125 kgㆍs2/m4 이다. )

  1. 0.13
  2. 0.86
  3. 1.73
  4. 2.46
(정답률: 66%)
  •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L = 1/2 * ρ * v^2 * S * Cl

    여기서 L은 양력, ρ는 공기의 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 면적, Cl은 양력계수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L = 1/2 * 0.125 * (100/3.6)^2 * 60 * Cl
    L = 1/2 * 0.125 * 27.78^2 * 60 * Cl
    L = 1/2 * 0.125 * 771.84 * Cl
    L = 48.24 * Cl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중력과 양력이 균형을 이루므로, 양력과 중력이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mg

    여기서 m은 비행기의 질량, g은 중력가속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L = 5000 * 9.81
    L = 49050

    따라서, Cl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8.24 * Cl = 49050
    Cl = 49050 / 48.24
    Cl = 1016.5

    하지만, 양력계수는 단위 면적당 양력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Cl을 날개 면적으로 나눠줘야 한다.

    Cl = 1016.5 / 60
    Cl = 16.94

    따라서, 양력계수는 약 16.94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16.94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7을 선택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2.46"이 아니라 "1.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양력 장치인 플랩(flap)의 종류 중 양력계수가 제일 큰 것은?

  1. Plain Flap
  2. Split Flap
  3. Slotted Flap
  4. Fowler Flap
(정답률: 89%)
  • Fowler Flap은 플랩이 날개 아래로 이동하면서 슬롯이 열리고, 날개 뒷부분이 내려가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양력계수를 크게 만드는 플랩입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플랩보다 양력계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해발고도에서의 표준대기압을 나타내는 단위 중 수은주가 지시하는 값은?

  1. 29.92mmHg
  2. 760mmHg
  3. 2116mmHg
  4. 1013mmHg
(정답률: 76%)
  • 수은주는 대기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 중 하나이다. 해발고도에서의 표준대기압은 대기압의 기준이 되는 값으로, 이 값은 해발고도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국제표준대기압에서는 해발고도 0m에서의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며, 이 값은 수은주가 지시하는 값인 760mmHg이다. 따라서 정답은 "760mm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활공각 30˚ 로 활공하고 있는 항공기의 양력이 1500kgf 일 때 이 항공기에 작용하는 항력은 약 몇 kgf 인가?

  1. 748
  2. 866
  3. 937
  4. 1328
(정답률: 80%)
  • 활공각 30˚에서의 항력 계수는 대략 0.866 이다. 따라서 항력은 양력에 항력 계수를 곱한 값이다.

    항력 = 양력 x 항력 계수 = 1500 x 0.866 = 1299 kgf

    하지만 보기에서는 항력이 정수로 주어져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866 kgf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기권을 [보기]와 같이 고도에 따른 온도분포에 의해 구분할 때 ( )안에 알맞은 것은?

  1. 전리권
  2. 제트권
  3. 극외권
  4. 이탈권
(정답률: 94%)
  • 대기권을 고도에 따른 온도분포에 따라 구분할 때, 극외권은 대기권의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하며, 온도가 가장 낮은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태양으로부터의 극심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극외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양력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날개골의 두께와는 무관하다.
  2. 받음각에 관계되는 무차원수이다.
  3. 받음각을 증가시키면 양력계수가 최대값까지 증가한다.
  4. 일정한 받음각을 넘으면 양력계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실속이라 한다.
(정답률: 75%)
  • "날개골의 두께와는 무관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양력계수는 날개골의 두께와 같은 날개의 형태와 크기, 비행속도, 고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날개골의 두께와도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행기의 세로축(longtudinal axis)을 중심으로 한 운동(rolling)과 가장 관계가 깊은 조종면은?

  1. 플랩(flap)
  2. 승강키(elevator)
  3. 방향키(rudder)
  4. 도움 날개(aileron)
(정답률: 86%)
  • 도움 날개(aileron)는 비행기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rolling 운동을 조절하는 조종면이다. 도움 날개는 비행기의 한쪽 날개를 올리고 다른 쪽 날개를 내려서 비행기를 좌우로 기울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rolling 운동과 가장 관련이 깊은 조종면은 도움 날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날개 드롭(wing dro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옆놀이와 관련된 현상이다.
  2. 두꺼운 날개를 사용한 비행기가 천음속으로 비행시 발생한다.
  3. 한쪽 날개가 충격 실속을 일으켜서 갑자기 양력을 상실하며 발생하는 현상이다.
  4. 아음속에서 충격파가 과도할 경우 날개가 동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79%)
  • "옆놀이와 관련된 현상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날개 드롭은 비행기의 날개가 아음속에서 충격파가 과도할 경우 날개가 동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한쪽 날개가 충격 실속을 일으켜서 갑자기 양력을 상실하며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두꺼운 날개를 사용한 비행기가 천음속으로 비행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형상태에 있는 비행기가 교란을 받았을 때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이 자체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정적안정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속력
  2. 기전력
  3. 감쇠력
  4. 복원력
(정답률: 96%)
  • 평형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은 복원력이다. 이는 교란을 받았을 때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인 가속력, 기전력, 감쇠력은 모두 평형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헬리콥터에 기체진동을 주는 원인 중 한 가지로 래그각(lag angle)이 주기적으로 증가하는 운동을 의미하는 것은?

  1. 위빙(weaving)
  2. 플래핑(flapping)
  3. 헌팅(haunting)
  4. 페더링(feathering)
(정답률: 58%)
  • 헌팅은 회전하는 로터 블레이드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래그각이 주기적으로 증가하는 운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로터 블레이드가 일정한 주기로 앞뒤로 움직이며, 이로 인해 기체진동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가스터빈기관 계통 중에서 마그네틱 칩 디텍터(Magnetic Chip Detector)를 점검하여야 하는 계통은?

  1. 연료계통
  2. 시동계통
  3. 윤활계통
  4. 발전계통
(정답률: 64%)
  • 마그네틱 칩 디텍터는 기계 부품의 마그네틱 칩을 감지하여 부품의 마모나 파손 여부를 파악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윤활계통에서 가장 많은 마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윤활계통에서 마그네틱 칩 디텍터를 점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터빈기관의 오일 계통에서 사용되는 그림과 같은 압력오일펌프의 명칭은?

  1. 기어식
  2. 베인식
  3. 루츠식
  4. 플런저식
(정답률: 91%)
  • 이 그림에서 사용되는 압력오일펌프는 기어식 압력오일펌프입니다. 이는 오일을 기어로 인해 압축하여 압력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베인식은 베인을 이용하여 압력을 만들어내는 방식, 루츠식은 회전하는 롤러를 이용하여 압력을 만들어내는 방식, 플런저식은 플런저를 이용하여 압력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왕복기관의 저압점화계통에서 각각의 스파크 플러그(spark plug)에 필요한 것은?

  1. 변압기
  2. 콘덴서
  3. 브레이커 포인트
(정답률: 43%)
  • 스파크 플러그는 저압점화계통에서 전기적인 스파크를 발생시켜 연료와 공기 혼합물을 불태우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스파크 플러그에 필요한 전기적인 에너지는 변압기를 통해 공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압기"입니다. 캠, 콘덴서, 브레이커 포인트는 저압점화계통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스파크 플러그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항공기 기관 중 추진체에 의해 발생되는 최종 기체가 다른 것은?

  1. 왕복 기관
  2. 램제트 기관
  3. 터보팬 기관
  4. 터보제트 기관
(정답률: 80%)
  • 왕복 기관은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체가 왕복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반면, 나머지 세 기관은 모두 고속 회전하는 팬 또는 터빈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고 연소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왕복 기관은 다른 세 기관과는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최종 기체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으로 왕복기관 실린더 내의 최대 폭발압력이 발생하는 시점은?

  1. 피스톤의 정확한 상사점에서
  2. 피스톤의 상사점 후 크랭크각 약 10˚에서
  3. 피스톤의 상사점 후 크랭크각 약 25˚에서
  4. 피스톤의 하사점 후 크랭크각 약 25˚에서
(정답률: 72%)
  • 왕복기관 실린더 내의 최대 폭발압력은 피스톤이 상사점을 지난 후 크랭크각이 약 10˚일 때 발생합니다. 이는 피스톤이 상단에서 압축된 공기와 연료 혼합물을 불태워 폭발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피스톤이 내려가면서 압력이 서서히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포준상태에서의 이상기체 20ℓ를 5기압으로 압축하였을 때 부피는 몇 ℓ가 되겠는가? (단, 변화과정 중 온도는 일정하다.)

  1. 0.25
  2. 2.5
  3. 4
  4. 10
(정답률: 86%)
  • 보일의 법칙에 따라 PV = nRT에서 온도가 일정하므로 P1V1 = P2V2이다. 따라서, (1 × 20) = (5 × V2)이므로 V2 = 4이다. 따라서, 압축 후의 부피는 4ℓ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펠러의 슬립(sl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하학적 피치와 유효피치의 차이
  2. 블레이드의 정면과 회전면 사이의 각도
  3. 프로펠러가 1회전하는 동안 이동한 거리
  4. 허브 중심으로부터 블레이드를 따라 인치로 측정되는 거리
(정답률: 86%)
  • 프로펠러의 슬립은 기하학적 피치와 유효피치의 차이입니다. 기하학적 피치는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회전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로, 유효피치는 실제로 프로펠러가 이동한 거리와 회전면에 대한 각도의 비율입니다. 슬립이 발생하면 프로펠러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와 유효피치는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왕복기관 연료계통에 사용되는 이코노마이저 밸브가 닫힌 위치로 고착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항속도 이하에서 노킹이 발생하게 된다.
  2. 순항속도 이하에서 조기점화가 발생하게 된다.
  3. 순항속도 이상에서 지연점화가 발생하게 된다.
  4. 순항속도 이상에서 디토네이션이 발생하게 된다.
(정답률: 83%)
  • 이코노마이저 밸브가 닫힌 위치로 고착되면, 왕복기관의 연료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연소 온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므로, 연소가 완전하지 않은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디토네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순항속도 이상에서 디토네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터보제트 기관에서 연료 유량과 제트노즐 출구의 압력차를 무시했을 경우 진추력(Netthrust)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Fn: 진추력, Wf: 연료의 흐름량, Wa: 흡입 공기의 유량, Vj: 배기 가스의 속도, Va: 비행 속도, Aj: 배기 노즐의 면적, g: 중력가속도, Pa: 대기 압력, Pj: 배기노즐에서의 정압이다.)

(정답률: 76%)
  • 정답은 ""이다.

    진추력은 연료 유량과 흡입 공기 유량의 차이에 비례하며, 배기 가스의 속도와 배기 노즐 면적에도 비례한다. 따라서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n = (Wf - Wa) * Vj + Aj * (Pj - Pa) + (Vj - Va) * Wa + Aj * Pa - Wf * g

    여기서 연료 유량과 흡입 공기 유량의 차이에 따른 항인 (Wf - Wa)는 ""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기식 시동기(Electric Starter)에서 클러치(Clutch)의 작동 토크값을 설정하는 장치는?

  1. Clutch Plate
  2. Clutch Housing Slip
  3. Rachet Adjust Regulator
  4. Slip Torque Adjustment Unit
(정답률: 79%)
  • 전기식 시동기에서 클러치의 작동 토크값을 설정하는 장치는 "Slip Torque Adjustment Unit"입니다. 이는 클러치 하우징과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플레이트의 슬립 토크를 조절하여 작동 토크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장치를 조절하여 엔진의 부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토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왕복기관의 체적효율(Volumetric efficiency)을 높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흡입공기 온도를 낮춘다.
  2. 높은 고도에서 작동시킨다.
  3. 과급기(supercharger)를 사용한다.
  4. 흡입구 및 기화기의 압력손실을 낮춘다.
(정답률: 72%)
  • 높은 고도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왕복기관의 체적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흡입량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발 항공기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모든 프로펠러를 같은 회전속도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조속기
  2. 피치변경모터
  3. 동조기
  4. 슬립링(Slip ring)
(정답률: 68%)
  • 동조기는 다발 항공기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모든 프로펠러를 같은 회전속도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다발 항공기에서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며, 동조기는 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정답은 "동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를 팽창 또는 압축시킬 때 주의와 열의 출입을 완전히 차단시킨 상태에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식은? (단, P는 압력, v는 비체적, T는 온도, k는 비열비이다.)

  1. Pv=일정
  2. Pvk=일정
  3. P/T=일정
  4. T/v=일정
(정답률: 68%)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보일-샤를의 법칙에 따르면, 가스의 압력과 비체적, 그리고 온도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 이 때, 가스를 팽창 또는 압축시킬 때 주의와 열의 출입을 완전히 차단시킨 상태에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식은 보일-샤를의 법칙을 변형한 것으로, "Pvk=일정"이다. 이 식에서 k는 비열비로, 가스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이 식은 가스의 압력과 비체적이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며, 이 둘의 곱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스의 압력이 증가하면 비체적은 감소하고, 압력이 감소하면 비체적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열역학에서 사용되는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PS 마력은 145kgfㆍm/s 이다.
  2. 1BTU는 물 1 lb의 온도를 1℃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3. 비열이란 일정 유체 1 kg을 1시간 끓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4. 화씨 온도는 얼음의 융점과 물의 비등점 사이를 180등분한 눈금을 이용한다.
(정답률: 54%)
  • 화씨 온도는 얼음의 융점과 물의 비등점 사이를 180등분한 눈금을 이용한다. 이는 화씨 온도 척도가 처음 만들어질 때,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180도로 나누어 눈금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역화(Backfiring)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점화시기가 빠른 경우
  2. 혼합비가 희박한 경우
  3. 혼합비가 농후한 경우
  4. 흡입 밸브가 고착된 경우
(정답률: 68%)
  • 항공기 엔진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기 때문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혼합비가 희박해지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점화가 불완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역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항공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역화의 가장 큰 원인은 혼합비가 희박한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스터빈기관의 배기부에서 배기파이프(Exhaust Pipe) 또는 테일 파이프라고도 하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유도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부분의 명칭과 그림에서 이에 해당하는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배기 노즐 - A
  2. 배기 덕트 - B
  3. 배기 콘 - C
  4. 테일 콘 - D
(정답률: 83%)
  •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부는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배기부에서 배기파이프 또는 테일 파이프라고도 하는 부분은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 덕트 -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과급기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기관의 마력당 중량을 낮춘다.
  2. 흡기 압력을 높여 평균유효압력을 증가시킨다.
  3. 공기 흐름량을 조절하여 매니폴드를 보호한다.
  4. 연료 기화를 촉진시켜 연료 소비율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50%)
  • 왕복기관에서는 공기 흐름량을 조절하여 매니폴드를 보호하는 효과는 없습니다. 왕복기관에서 공기 흐름량을 조절하는 것은 주로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고, 연료 소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흡기 압력을 높여 평균유효압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마력당 중량을 낮추는 것은 기관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스톤 링의 끝은 링 홈에 링을 끼운 상태에서 끝 간격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피스톤 링의 끝 간격 모양 중 제작이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1. 직선형
  2. 쐐기형
  3. 계단형
  4. 테이퍼형
(정답률: 63%)
  • 직선형 피스톤 링의 끝 간격은 제작이 쉽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링이 실린더 벽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된다. 쐐기형은 제작이 어렵고, 링이 벽면에 고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계단형과 테이퍼형은 링이 벽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 기관에서 사용하는 압축기 중 원심형과 비교하여 축류형의 장점은?

  1. 무게가 가볍다.
  2. 압축기의 효율이 높다.
  3. 시동 출력이 낮다.
  4. 회전 속도 범위가 넓다.
(정답률: 74%)
  • 축류형 압축기는 회전하는 로터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기 때문에 원심형 압축기보다 압축기의 효율이 높습니다. 이는 더 많은 공기를 더 높은 압력으로 압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기에 장착되어 있는 터보제트 기관을 시동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추력 측정
  2. 엔진의 흡입구
  3. 엔진의 배기구
  4. 연결부분 결합상태
(정답률: 88%)
  • 추력 측정은 엔진이 작동 중일 때 측정하는 것으로, 시동하기 전에는 점검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력 측정"입니다. 반면에 엔진의 흡입구, 배기구, 연결부분 결합상태는 시동 전에 반드시 점검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세미모노코크 형식의 항공기 동체에서 표피가 주로 담당하는 것은?

  1. 축하중, 전단력
  2. 우력, 비틀림 모멘트
  3. 축하중, 굽힘 모멘트
  4. 전단력, 비틀림 모멘트
(정답률: 84%)
  • 세미모노코크 형식의 항공기 동체는 주로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에 노출되기 때문에, 표피가 이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고속 비행 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들로, 표피가 이를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표피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 앞찰륙 장치의 좌우 방향 진동을 방지하거나 감쇠시키는 장치는?

  1. 시미댐퍼
  2. 방향제어장치
  3. 오리피스
  4. 오버센터 링크
(정답률: 92%)
  • 시미댐퍼는 항공기 앞찰림 장치의 좌우 방향 진동을 방지하거나 감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시미댐퍼가 앞찰림 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압축 공기가 시미댐퍼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앞찰림 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미댐퍼가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금속 표면에 접하는 물, 산, 알칼리 등의 매개체에 의해 금속이 화학적으로 침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침식
  2. 찰식
  3. 부식
  4. 마모
(정답률: 86%)
  • 금속 표면에 매개체가 작용하여 금속이 화학적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부식이라고 한다. 이는 금속의 표면이 부식되어 손상되고, 녹이 생기며, 결국에는 금속의 내구성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규격표시와 이에 해당하는 강의 종류를 틀리게 짝지은 것은?

  1. 1XXX: 탄소강
  2. 2XXX: 니켈강
  3. 3XXX: 니켈-크롬강
  4. 5XXX: 크롬-바나듐강
(정답률: 78%)
  • 정답: "2XXX: 니켈강" - SAE 규격표시에서는 2XXX 시리즈는 니켈을 포함하지 않는 강종을 나타내므로, 이에 해당하는 강의 종류는 없다.

    5XXX 시리즈는 크롬과 바나듐을 합금으로 포함하는 강종을 나타내며, 이는 고강도 및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효길이 15˝ 의 토크렌치에 유효길이가 3˝ 연장공구를 사용하영 1440 in-lbs로 조이려고 한다면 토크렌치에 지시되는 지시토크값은 몇 in-lbs 인가?

  1. 1000
  2. 1200
  3. 1400
  4. 1500
(정답률: 76%)
  • 유효길이가 15˝인 토크렌치에 유효길이가 3˝ 연장공구를 사용하면 총 유효길이는 18˝이 된다. 따라서, 지시토크값은 1440 in-lbs를 18˝으로 나눈 값인 80 in-lbs가 된다. 그러나, 연장공구를 사용하면 토크렌치의 효율이 감소하므로, 보통은 연장공구의 길이에 따라 보정값을 적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3˝ 연장공구를 사용할 경우 보정값은 50% 정도이므로, 지시토크값은 80 in-lbs에 50% 보정값을 곱한 1200 in-lb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지점 A 의 반력 R1은 얼마인가? (단, 구조물 ABC는 4분원이다.)

  1. 0
  2. 25
  3. 50
  4. 100
(정답률: 72%)
  • 구조물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모든 반력의 합은 외력의 합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A 지점에서의 반력 R1은 외력의 합인 100N에 다른 반력인 R2와 R3의 합인 50N를 뺀 값인 50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종간의 작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승강타가 내려간다.
  2.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양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3. 조종간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4.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정답률: 81%)
  •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이는 비행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치로, 왼쪽 보조날개를 내리면 비행기의 왼쪽 측면에 더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어 비행기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오른쪽 조종간을 움직여 왼쪽 보조날개를 올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이 지름이 15mm 인 리벳을 이용하여 500kg의 하중(P)을 받는 두 개의 평판을 연결했을 때 리벳에 생기는 응력은 약 몇 kg/mm2인가?

  1. 2.83
  2. 5.65
  3. 42.44
  4. 141.47
(정답률: 47%)
  • 리벳에 작용하는 하중은 두 개의 평판에 분배되므로, 각 평판에 작용하는 하중은 250kg이다. 이때, 리벳에 작용하는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응력 = 하중 / 단면적

    리벳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면적 = π/4 × (지름)2 = π/4 × 152 = 176.71mm2

    따라서, 응력은 다음과 같다.

    응력 = 250kg / 176.71mm2 ≈ 1.41kg/mm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리벳이 두 개의 평판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응력은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리벳에 작용하는 응력은 다음과 같다.

    응력 = 1.41kg/mm2 × 2 ≈ 2.83kg/mm2

    따라서, 정답은 "2.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고정익 항공기의 일반적인 기체구조 구성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동체, 날개, 나셀, 기관 마운트, 조종장치, 착륙장치
  2. 기체, 주날개, 꼬리날개, 기관, 착륙장치
  3. 동체, 날개, 기관, 동력연결장치, 전자장비
  4. 동체, 날개, 기관, 조향장치, 강착장치
(정답률: 74%)
  • 고정익 항공기의 일반적인 기체구조 구성요소는 동체, 날개, 나셀, 기관 마운트, 조종장치, 착륙장치로 구성됩니다. 동체는 기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날개는 동체의 양쪽에 부착되어 비행 중에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나셀은 날개와 동체 사이에 위치하며, 연료나 부품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관 마운트는 기체에 기관을 부착하는 부분이며, 조종장치는 비행 중에 기체를 조종하는데 필요한 장치입니다. 마지막으로 착륙장치는 이륙과 착륙 시에 사용되는 장치로, 기체의 안전한 이륙과 착륙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뒷전 플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슬롯 플랩
  2. 스플릿 플랩
  3. 크루거 플랩
  4. 파울러 플랩
(정답률: 64%)
  • 정답은 "크루거 플랩"입니다. 크루거 플랩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플랩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너트의 부품번호가 다음과 같이 표기되었을 때 7은 너트의 어떤 치수를 의미하는가?

  1. 두께
  2. 지름
  3. 길이
  4. 인치당 나사산수
(정답률: 75%)
  • 너트의 부품번호에서 7은 너트의 지름을 의미한다. 이는 너트가 나사에 맞는 크기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치수 중 하나이다. 따라서 7은 너트의 외경이나 내경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호스 장착 작업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한다.
  2. 호스의 파손을 막기 위해 필요한 곳에 테이프를 감아준다.
  3. 호스 길이에 여유를 두지 않고 간단하게 장착한다.
  4. 호스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로 고정을 한다.
(정답률: 91%)
  • 호스 길이에 여유를 두지 않고 간단하게 장착하는 것은 호스가 끊어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잘못된 방법이다. 호스 길이에 적절한 여유를 두고, 클램프로 고정하며 꼬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테이프를 감아줄 수 있지만, 이 역시 호스 파손을 막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행기의 무게가 2500kg 이고 중심위치가 기준선 후방 0.5m 에 있다. 기준선 후방 4m 에 위치한 10kg 짜리 좌석을 2개 떼어내고 기준선 후방 4.5m 에 17kg 자리 항법장치를 장착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조변경으로 기준선 후방 3m 에 12.5kg 의 무게증가 요인이 추가 발생하였다면 이 비행기의 새로운 무게중심위치는?

  1. 기준선 전방 약 0.21m
  2. 기준선 전방 약 0.51m
  3. 기준선 후방 약 0.21m
  4. 기준선 후방 약 0.51m
(정답률: 68%)
  • 새로운 무게중심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500kg x 0.5m - 10kg x 2 - 17kg x 0.5m + 12.5kg x 3m) / (2500kg - 10kg x 2 - 17kg + 12.5kg)
    = (1250kg - 20kg - 8.5kg + 37.5kg) / 2465.5kg
    = 1259kg / 2465.5kg
    ≈ 0.51m

    따라서, 정답은 "기준선 후방 약 0.51m" 이다. 이유는 비행기의 무게중심은 무게와 위치의 곱의 합을 전체 무게의 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새로운 좌석과 항법장치의 추가로 인해 무게와 위치의 합이 변화하였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새로운 무게중심위치를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볼트그립 길이와 볼트가 장착되는 재료의 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볼트그립 길이는 가장 얇은 판의 두께의 3배가 되어야 한다.
  2. 볼트그립 길이는 볼트가 장착되는 재료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길어야 한다.
  3. 볼트가 장착될 재료의 두께는 볼트그립 길이의 2배가 되어야 한다.
  4. 볼트가 장착될 재료의 두께는 볼트그립 길이에 볼트 직경의 길이를 합한 것과 같아야 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볼트그립 길이는 볼트가 장착되는 재료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길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볼트가 장착되는 재료의 두께보다 짧은 볼트그립 길이를 사용하면 볼트가 충분히 고정되지 않아 안전에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다. 반면에 너무 긴 볼트그립 길이를 사용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불필요한 무게가 추가되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볼트그립 길이는 재료의 두께와 적절하게 맞춰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이 상호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하중은?

  1. 정하중
  2. 충격하중
  3. 반복하중
  4. 교번하중
(정답률: 75%)
  • 교번하중은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이 상호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하중입니다. 이는 예를 들어 다리를 걷는 사람의 무게가 발을 올리고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과 같이, 일정한 주기로 크기와 방향이 바뀌는 하중을 말합니다. 이러한 하중은 구조물에 대한 피로 파괴를 일으키기 쉬우므로, 구조물 설계 시에는 교번하중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관의 용접 작업시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평 가세트(flat gassets)
  2. 삽입 가세트(insert gassets)
  3. 스카프 패치(scarf patch)
  4. 손가락 판(finger strapes)
(정답률: 81%)
  • 강관의 용접 작업시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는 방법 중에서 스카프 패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카프 패치는 보통 패브릭이나 가죽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의류나 가방 등의 보강을 할 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카프 패치(scarf patc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행기의 원형 부재에 발생하는 전비틀림각과 이에 미치는 요소와의 관계를 잘못 설명 한 것은?

  1. 비틀림력이 크면 비틀림각이 작아진다.
  2.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비틀림각도 커진다.
  3. 부재의 전단계수가 크면 비틀림각이 작아진다.
  4. 부재의 극단면 2차 모멘트가 작아지면 비틀림각이 커진다.
(정답률: 61%)
  • "비틀림력이 크면 비틀림각이 작아진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는 비틀림력이 크면 비틀림각이 커집니다. 이는 비틀림력이 부재를 비틀리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틀림력이 작을수록 비틀림각이 작아지고, 비틀림력이 클수록 비틀림각이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굽힘 여유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굽힘 반지름, T: 금속의 두께, θ: 굽힘 각도)

(정답률: 73%)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굽힘 여유는 굽힘 각도와 금속의 두께에 비례하며, 굽힘 반지름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굽힘 여유를 구하는 식은 R - (T/2) x tan(θ/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리벳 제거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드릴 사용시 리벳지름보다 한 치수 작은 드릴을 사용한다.
  2. 리벳이 관통될 때까지 드릴 작업을 한다.
  3. 리벳 생크 부분에 드릴을 이용하여 몸체를 제거한다.
  4. 남은 리벳머리는 깨끗이 줄로 갈아 없앤다.
(정답률: 78%)
  • 드릴 사용시 리벳지름보다 한 치수 작은 드릴을 사용하는 이유는, 리벳을 제거할 때 리벳 몸체를 제거하기 전에 리벳 머리를 먼저 제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리벳지름과 같은 크기의 드릴을 사용하면 리벳 머리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한 치수 작은 드릴을 사용하여 리벳 머리를 제거한 후에 몸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AA(The Alumium Association) 규격에서 알루미늄 합금 중 미그네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것은?

  1. 2024
  2. 3003
  3. 5052
  4. 7075
(정답률: 71%)
  • 미그네슘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알루미늄 합금은 3003입니다. 2024, 5052, 7075은 모두 미그네슘을 함유한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다음 중 자이로(gyro)를 이용하는 계기는?

  1. 데이신
  2. 선회 경사계
  3. 마그네신 컴파스
  4. 자기 컴파스
(정답률: 80%)
  • 선회 경사계는 비행기나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계기로, 자이로를 이용하여 기울기와 방향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운송수단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정확한 항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방향 표지시설(VOR) 주파수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8 ~ 108 MHz
  2. 18 ~ 106 MHz
  3. 108 ~ 118 MHz
  4. 130 ~ 165 MHz
(정답률: 86%)
  • 전방향 표지시설(VOR)은 항공기 내비게이션 시스템 중 하나로, 비행기가 정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OR 주파수 범위는 대략 108 ~ 118 MHz 사이입니다. 이 범위는 항공기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하나로, VOR 시스템이 이 범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주파수 범위는 다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미국연방항공청(FAA)에서 정한 압축 공기의 공급 기준으로 객실 내의 기압은 고도 몇 ft 에 상당하는 기압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8000
  2. 10000
  3. 15000
  4. 35000
(정답률: 88%)
  • FAA에서 정한 압축 공기의 공급 기준은 8000 ft 이하에서는 객실 내의 기압을 고도 8000 ft에서의 기압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8000"이다. 이는 고도가 8000 ft 이하인 비행기에서 승객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정이다. 고도가 8000 ft 이상인 경우에는 객실 내의 기압을 더 낮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숫자들은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서로 떨어진 두 개의 송신소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두 송신소에서 오는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자기위치를 결정하여 항행하는 장거리 쌍곡선 무선 항법은?

  1. VOR(VHF Omni Range)
  2. TACAN(Tactical Air Navigation)
  3. LORAN C(Long Range Navigation C)
  4. ADF(Automatic Direction Finder)
(정답률: 79%)
  • LORAN C(Long Range Navigation C)은 두 개의 송신소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시간차를 측정하여 자기위치를 결정하는 장거리 쌍곡선 무선 항법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VOR, TACAN, ADF는 이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합니다. VOR은 VHF 주파수를 이용하여 항로를 제공하고, TACAN은 군용 항법 시스템으로서 전파 방향과 거리를 제공합니다. ADF는 비행기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무선 항법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항공기에서 직류를 교류를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1. 정류기(Rectifier)
  2. 인버터(Inverter)
  3. 컨버터(Converter)
  4. 변압기(Tranaformer)
(정답률: 89%)
  •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교류(AC)가 아닌 직류(DC)이다. 따라서 항공기에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인버터(Inverter)이다.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항공기에서는 인버터가 필수적인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느 도체의 단면에 1시간 동안 10800C 의 전하가 흘렀다면 전류는 몇 A 인가?

  1. 3
  2. 18
  3. 30
  4. 180
(정답률: 71%)
  • 전류는 단위 시간당 전하의 양이므로, 전하 10800C를 1시간(3600초)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전류 = 전하 / 시간 = 10800C / 3600s = 3A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안테나 종류에서 구조에 의한 분류 중 판상 안테나에 해당하는 것은?

  1. 반사형
  2. 집중정수형
  3. 분포정수형
  4. 복합 개구면형
(정답률: 74%)
  • 판상 안테나는 반사형 안테나에 해당합니다. 이는 안테나 구조가 반사판과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반사판은 전파를 반사하여 수신기로 전달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액량계기와 유량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액량계기는 연료탱크에서 기관으로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지시한다.
  2. 액량계기는 대형기와 소형기에 차이 없이 대부분 동압식 계기이다.
  3. 유량계기는 연료탱크에서 기관으로 흐르는 연료의 유량을 시간당 부피 또는 무게단위로 나타낸다.
  4. 유량계기는 직독시, 플로우트식, 액압식 등이 있다.
(정답률: 79%)
  • 유량계기는 연료의 유량을 시간당 부피 또는 무게단위로 나타내는 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6극을 가진 교류 발전기에서 400Hz 를 얻기 위해서는 회전자계의 분당 회전수는 얼마인가?

  1. 50
  2. 500
  3. 3000
  4. 6000
(정답률: 62%)
  • 16극을 가진 교류 발전기에서 1회전당 생성되는 주파수는 16배가 되므로, 400Hz를 얻기 위해서는 회전자계의 분당 회전수를 400 x 16 = 6400rpm으로 설정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6400rpm에 해당하는 값이 없으므로, 400Hz를 얻기 위해서는 회전자계의 분당 회전수를 3000rpm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는 400 x 16 / 2 = 3200을 반올림한 값으로, 16극을 가진 교류 발전기에서 400Hz를 얻기 위한 최적의 분당 회전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기적인 방빙을 사용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

  1. 정압공
  2. 피토튜브
  3. 코어 카울링
  4. 프로펠러
(정답률: 58%)
  • 코어 카울링은 냉각수를 통해 엔진 내부를 냉각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전기적인 방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코어 카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회로보호장치(circuit protection device) 중 비교적 높은 전류를 짧은 시간 동안 허용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는?

  1. 리밋 스위치(Limit switch)
  2. 전류제한기(Current limiter)
  3.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4. 열 보호장치(Thermal protector)
(정답률: 65%)
  • 전류제한기는 회로에서 흐르는 전류를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전류를 짧은 시간 동안 허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회로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회로를 파괴하지 않고 전류를 제한하여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파고도계(Ratio Altimet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파고도계는 지형과 항공기의 수직거리를 나타낸다.
  2. 항공기 착륙에 이용하는 전파 고도계의 측정범위는 0 ~ 2500ft 정도이다.
  3. 절대 고도계라고도 하며, 높은 고도용의 FM형과 낮은 고도용의 펄스형이 있다.
  4. 항공기에서 지표를 향해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고도를 표시한다.
(정답률: 68%)
  • 전파고도계는 지형과 항공기의 수직거리를 나타내며, 항공기에서 지표를 향해 전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파가 되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고도를 표시한다. 항공기 착륙에 이용하는 전파 고도계의 측정범위는 0 ~ 2500ft 정도이다. 따라서 "절대 고도계라고도 하며, 높은 고도용의 FM형과 낮은 고도용의 펄스형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전파고도계는 상대 고도를 측정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절대 고도를 측정하는 기기인 기압고도계와는 구분된다. 또한, 전파고도계는 고도에 따라 FM형과 펄스형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측정 범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관성항법장치(IN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PS 보다 정밀도가 우수하다.
  2. 전세계 어디에서도 사용가능하다.
  3.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차도 커진다.
  4. 지상의 항법 원조시설의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정답률: 58%)
  • "GPS 보다 정밀도가 우수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INS는 자체적으로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와 속도를 추정합니다. 따라서 지상의 항법 원조시설의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전세계 어디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어 정확도가 저하됩니다. 따라서 INS는 GPS와 함께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추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객실여압 계통의 아웃플로우 밸브(Outflow Valve)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1. 객실의 온도 조절
  2. 객실의 균형 조절
  3. 객실의 습도 조절
  4. 객실의 압력 조절
(정답률: 89%)
  • 객실여압 계통의 아웃플로우 밸브는 객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조절하여 객실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객실의 압력 조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재탐지장치 중 온도상승을 바이메탈(Bimetal)로 탐지하는 것은?

  1. 용량형(Capacitance Type)
  2. 서머커플형(Thermo Couple Type)
  3. 서멀스위치형(Thermal Switch Type)
  4. 저항루프형(Resistance Loop Type)
(정답률: 69%)
  • 서멀스위치형 화재탐지장치는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온도 상승을 감지합니다. 바이메탈은 두 종류의 금속을 붙여 놓은 것으로, 금속의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구부러지게 됩니다. 이러한 바이메탈의 구부러짐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화재를 감지하는 것이 서멀스위치형 화재탐지장치의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량 제어장치 중 유압관 파손시 작동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유압 퓨즈(Fuse)
  2. 흐름 조절기(Flow regulator)
  3. 흐름 제한기(Flow restrictor)
  4. 유압관 분리 밸브(Disconnect valve)
(정답률: 87%)
  • 유압 퓨즈는 유압관 파손시 작동유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파손된 유압관에서 유압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면 퓨즈가 파괴되어 유압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작동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유압 퓨즈는 유압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직류전동기가 아닌 것은?

  1. 유도전동기
  2. 분권전동기
  3. 복권전동기
  4. 유니버셜전동기
(정답률: 56%)
  • 유도전동기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회전자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회전력을 만드는 전동기이므로 직류전동기가 아닙니다. 분권전동기, 복권전동기, 유니버셜전동기는 모두 직류전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부르동관(bourden tube)을 사용하는 계기는?

  1. 증기압식 온도계
  2. 바이메탈식 온도계
  3. 열전쌍식 온도계
  4. 전기저항식 온도계
(정답률: 63%)
  • 부르동관은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튜브로, 증기압식 온도계에서 사용됩니다. 증기압식 온도계는 부르동관 안에 증기를 봉입하여 증기의 압력 변화에 따라 부르동관이 변형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부르동관을 사용하는 계기는 증기압식 온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압눈금을 표준 대기압인 29.92inHg 에 맞추어 표준기압면으로부터의 기압고도를 얻을 수 있는 고도 지시법은?

  1. QFE방식
  2. QNH방식
  3. QNE방식
  4. QHE방식
(정답률: 70%)
  • QNE방식은 표준 대기압인 29.92inHg을 기준으로 기압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행기가 대기 중에서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NE방식은 비행기가 대기압이 변하는 지역을 비행할 때 유용하며, 비행기가 고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QNE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유압 작동유 중 인화점이 낮아 항공기 유압계통에는 사용되지 않고 착륙장치의 완충기에 사용되는 작동유는?

  1. 식물성유
  2. 합성유
  3. 광물성유
  4. 동물성유
(정답률: 77%)
  • 인화점이 낮은 유압 작동유는 항공기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유압계통에는 사용되지 않고, 착륙장치의 완충기에는 인화점이 높은 광물성유가 사용됩니다. 광물성유는 석유에서 추출되는 유압 작동유로, 안정성이 높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착륙장치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