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항공산업기사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다음 중 비행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안정성과 조종성은 상호간에 정비례한다.
  2. 정적 안정성이 증가하면 조종성도 증가된다.
  3. 비행기의 안정성은 크면 클수록 바람직하다.
  4.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정답률: 92%)
  • 안정성이 높을수록 비행기는 움직임이 적고 안정적이지만, 이는 조종성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과 공기의 유속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기의 유속과는 관계없다.
  2. 공기의 유속에 반비례한다.
  3. 공기의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4. 공기의 유속의 3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85%)
  • 비행기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은 공기의 유속에 비례한다. 이는 공기의 유속이 높을수록 날개 위쪽과 아래쪽의 압력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의 유속이 높을수록 양력도 커지며, 공기의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0 lbs의 항력을 받으며 200 mph로 비행하는 비행기가 같은 자세로 400 mph로 비행시 작용하는 항력은 약 몇 lbs인가?

  1. 225
  2. 300
  3. 325
  4. 400
(정답률: 57%)
  • 비행기가 같은 자세로 비행하면서 속도를 두 배로 높인다는 것은 곧 비행기가 만나는 공기의 양이 두 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력도 두 배가 됩니다. 따라서, 100 lbs의 항력을 받으며 200 mph로 비행하는 비행기가 같은 자세로 400 mph로 비행시 작용하는 항력은 200 lb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저속으로 비행기가 키돌이(loop) 비행을 시작하기 위한 조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조종간을 당겨 비행기를 상승시켜 속도를 증가시킨다.
  2. 조종간을 당겨 비행기를 상승시켜 속도를 감소시킨다.
  3. 조종간을 밀어 비행기를 하강시켜 속도를 증가시킨다.
  4. 조종간을 밀어 비행기를 하강시켜 속도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67%)
  • 저속으로 비행기가 키돌이(loop) 비행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속도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조종간을 밀어 비행기를 하강시켜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하강 시 공기 저항이 증가하여 비행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공기에 장착된 도살핀(dorsal fin)이 손상되었다면 다음 중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1. 가로 안정
  2. 동적 세로 안정
  3. 방향 안정
  4. 정적 세로 안정
(정답률: 86%)
  • 도살핀은 항공기의 방향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항공기가 비행 중에 도살핀이 손상되면 방향 안정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됩니다. 도살핀은 항공기의 방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상되면 항공기가 방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 안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국제 표준 대기에서 평균 해발 고도에서 특성값을 틀리게 짝지은 것은?

  1. 온도 : 20 ℃
  2. 압력 : 1013 hpa
  3. 밀도 : 1.225 kg/m3
  4. 중력가속도 : 9.8066 m/s2
(정답률: 92%)
  • 국제 표준 대기에서 평균 해발 고도에서 온도는 -56.5 ℃이지만, 이 보기에서는 20 ℃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는 평균 해발 고도가 아닌 다른 지점에서 측정한 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량 3200 kgf 인 비행기가 경사각 30℃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이 비행기의 원심력은 약 몇 kgf인가?

  1. 1600
  2. 1847
  3. 2771
  4. 3200
(정답률: 70%)
  •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력 = 중력 × sin(경사각)

    여기서 중력은 비행기의 무게인 3200 kgf이고, 경사각은 30℃입니다. 따라서,

    원심력 = 3200 × sin(30℃) ≈ 1847 kgf

    따라서, 정답은 "184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항력 발산 마하수를 높게 하기 위한 날개를 설계할 때 옳은 것은?

  1. 쳐든 각을 크게 한다.
  2. 날개에 뒤젖힘각을 준다.
  3. 두꺼운 날개를 사용한다.
  4.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날개에 뒤젖힘각을 준다. 이는 날개의 상부와 하부가 각도를 이루어져 있어 공기가 날개를 지날 때 상부는 하부보다 더 빠르게 흐르게 되어 압력차를 만들어 항력을 발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에서 피토관(pitot tube)을 이용하여 속도 측정을 할 때 이용되는 공기압은?

  1. 정압, 전압
  2. 대기압, 정압
  3. 정압, 동압
  4. 동압, 대기압
(정답률: 63%)
  • 항공기에서 피토관은 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피토관 내부의 공기압은 정압으로 유지되며, 이 압력을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속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압과 전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콥터에서 양력 불균형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회전 날개 깃의 플래핑 작용의 결과로 나타내는 현상은?

  1. 사이클릭 페더링
  2. 원추 현상
  3. 후진 블레이드 실속
  4. 블로우 백
(정답률: 62%)
  • 블로우 백은 주회전 날개 깃의 플래핑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헬리콥터가 공기를 받아들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가 밀려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양력 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현상으로,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콥터가 지상 가까이에 있을 경우 회전 날개를 지난 흐름이 지면에 부딪혀 헬리콥터와 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추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면 효과
  2. 페더링 효과
  3. 플레핑 효과
  4. 정지비행 효과
(정답률: 93%)
  • 정답: 지면 효과

    설명: 지면 효과는 헬리콥터가 지상 가까이에 있을 때, 회전 날개가 지면과 가까워져 회전 날개를 지난 공기가 지면에 부딪혀 압축되어 헬리콥터와 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추력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상승력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가 옆 미끄럼 상태에 들어갔을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직 꼬리 날개의 받음각에는 변화가 없다.
  2. 수평 꼬리 날개의 옆 미끄럼 힘이 발생한다.
  3. 무게중심에 대한 빗놀이 모멘트가 발생한다.
  4. 비행기의 기수를 상대풍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한다.
(정답률: 52%)
  • 비행기가 옆 미끄럼 상태에 들어갔을 때, 비행기의 무게중심이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빗놀이 모멘트가 발생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비행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수직 꼬리 날개의 받음각에는 변화가 없으며, 수평 꼬리 날개의 옆 미끄럼 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비행기의 기수를 상대풍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제트 비행기의 장애물 고도는 약 몇 ft 인가?

  1. 10
  2. 15
  3. 35
  4. 50
(정답률: 68%)
  • 제트 비행기의 장애물 고도는 대개 35,000 ft 정도이다. 이는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압이 낮아져서 비행기의 엔진이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고도에서는 대기의 온도가 매우 낮아서 비행기의 열적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펠러의 직경이 2m, 회전속도 2400 rpm, 비행속도 720 km/h 일 때 진행율은 얼마인가?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63%)
  • 진행율은 비행기가 이동하는 거리와 프로펠러가 만드는 공기의 이동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1에 가까울수록 좋다.

    프로펠러의 직경이 2m이므로 반지름은 1m이다. 따라서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한 바퀴 도는 둘레는 2πr = 2π × 1 = 2πm 이다.

    회전속도가 2400 rpm 이므로 1분에 2400바퀴를 돈다는 뜻이다. 따라서 1초에 회전하는 바퀴 수는 2400/60 = 40바퀴이다.

    비행속도가 720 km/h 이므로 1초에 비행기가 이동하는 거리는 720/3600 = 0.2km = 200m 이다.

    프로펠러가 1초에 만드는 공기의 이동거리는 바퀴의 둘레 × 바퀴 수 = 2π × 1 × 40 = 80πm 이다.

    따라서 진행율은 이동거리의 비율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진행율 = 이동거리 / 공기의 이동거리 = 200 / (80π) ≈ 0.795

    즉, 진행율은 약 0.79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5, 2.5, 3.5, 4.5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5이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제트항공기가 최대항속시간으로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2. 최소
  3. 최대
  4. 최소
(정답률: 82%)
  • " 최대"가 옳은 것은 연료소모율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최대항속시간은 비행거리를 최대한 멀리 날아갈 수 있는 시간을 말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연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연료소모율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비행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제트항공기는 고도와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로펠러의 비틀림 응력 중 원심력에 의한 비틀림은 깃을 어느 방향으로 비트는가?

  1. 원주 방향
  2. 피치를 적게 하는 방향
  3. 허브 중심 방향
  4. 피치를 크게 하느 방향
(정답률: 63%)
  • 프로펠러의 회전 중에는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어 프로펠러의 블레이드가 비틀리게 됩니다. 이때 비틀림 응력 중 원심력에 의한 비틀림은 피치를 적게 하는 방향으로 깃게 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블레이드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이 블레이드의 피치를 적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치를 적게 하는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의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j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받음각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지 않는다.
  2. 항공기 날개에 발생하는 합성력의 작용점이다.
  3. 받음각이 커짐에 따라 위치가 앞으로 변화한다.
  4. 받음각이 작아짐에 따라 위치가 뒤로 이동한다.
(정답률: 83%)
  • "받음각에 따라 위치가 이동되지 않는다."가 틀린 이유는, 받음각이 변화하면 항공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 분포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항공기의 압력중심도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받음각이 커짐에 따라 위치가 앞으로 변화하고, 받음각이 작아짐에 따라 위치가 뒤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행속도가 300 m/s 인 항공기가 상승각 30° 로 상승비행시 상승률은 몇 m/s 인가?

  1. 100
  2. 150
  3. 150√3
  4. 200
(정답률: 79%)
  • 상승각이 30° 이므로, 상승 비율은 비행속도의 1/2 즉, 150 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압축성 유체에서 연속의 법칙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S, V,ρ 는 각각 단면적, 유속, 밀도를 나타내고, 첨자 1,2는 각 단면의 위치를 나타낸다.)

(정답률: 71%)
  • 압축성 유체에서는 유체의 밀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의 법칙은 와 같이 나타낸다. 이 식은 질량 보존 법칙을 나타내며, 유체의 질량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유체의 유속과 단면적의 곱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단면에서 유속이 빠르면 단면적이 작아지고, 유속이 느리면 단면적이 커지는 것으로 보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직사각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틀린 것은? (단, c : 날개의 코드, b : 날개의 스팬, S : 날개 면적)

(정답률: 81%)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가로세로비는 날개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인데, "" 에서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같으므로 가로세로비가 1:1 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다음 그림과 같은 여과기의 형식은?

  1. 디스크형(Disk type)
  2. 스크린형(Screen type)
  3. 카트리지형(Cartridge type)
  4. 스크린-디스크형(Screen –disk type)
(정답률: 84%)
  • 이 여과기는 카트리지형이다. 이유는 여과매체가 카트리지 안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디스크형은 여러 개의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고, 스크린형은 화면처럼 구멍이 뚫린 판이 사용된다. 스크린-디스크형은 디스크와 스크린을 함께 사용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터빈 형식 기관에 해당되는 것은?

  1. 로켓
  2. 램제트
  3. 펄스제트
  4. 터보 팬
(정답률: 81%)
  • 터보 팬은 기체를 압축하여 연소기로 보내는 터빈 형식 기관 중 하나이다. 이는 고속 회전하는 팬 블레이드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가 연소기로 보내져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정답은 "터보 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열역학 제2법칙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일은 열로 전환될 수 있다.
  2. 열은 일로 전환될 수 있다.
  3. 에너지보존법칙을 나타낸다.
  4. 에너지 변화의 방향성과 비가역성을 나타낸다.
(정답률: 75%)
  •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 변화의 방향성과 비가역성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는 열이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흐르는 것처럼, 에너지 변화는 항상 불가역적인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 변화의 방향성과 비가역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스터빈 기관에서 터빈 노즐(Turbine nozzle)의 주된 목적은?

  1. 터빈의 냉각을 돕기 위해서
  2. 연소 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3. 연소 가스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4. 연소 가스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85%)
  • 가스터빈 기관에서 터빈 노즐의 주된 목적은 연소 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터빈의 회전력을 증가시키고, 전력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류형 압축기의 반동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로터에의한압력상승/단당압력상승) × 100
  2. (압축기에의한압력상승/터빈에의한 압력상승) × 100
  3. (저압압축기에의한압력상승/고압압축기에의한압력상승) × 100
  4. (스테이터에의한압력상승/단당압력상승) × 100
(정답률: 59%)
  • 정답은 "(로터에의한압력상승/단당압력상승) × 100"입니다. 이유는 축류형 압축기에서는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간격이 매우 작기 때문에 압력 상승이 주로 로터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로터에 의한 압력 상승을 단위 길이당 압력 상승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현하는 것이 반동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과 같은 밸브 타이밍을 가진 왕복 기관의 밸브 오버랩은 얼마인가? (단, I.O : 25° BTC E.O : 55° BBC I.C : 60° ABC E.C : 15° ATC.)

  1. 25°
  2. 40°
  3. 60°
  4. 75°
(정답률: 78%)
  • 밸브 오버랩은 I.C와 E.O의 겹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I.C와 E.O의 각도를 더하고 180°에서 뺀 값이 밸브 오버랩이 된다.

    I.C와 E.O의 각도를 더하면 60° + 55° = 115°가 된다.

    180°에서 115°를 뺀 값은 65°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4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스터빈 기관을 시동하여 공회전(Idle)에 도달했을 때, 기관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변수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진동
  2. 오일압력
  3. 추력
  4. 배기가스온도
(정답률: 57%)
  • 가스터빈 기관이 공회전에 도달했을 때, 가장 중요한 변수는 추력이다. 이는 기관이 얼마나 많은 힘을 발생시키는지를 나타내며, 기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적인 지표이다. 진동, 오일압력, 배기가스온도는 모두 기관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변수이지만, 추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부자식 기화기(Float-type carburetor)에 있는 이코노마이저 밸브(Economizer valve)의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속과 순항속도에서는 밸브가 열린다.
  2. 최대 출력에서 농후한 혼합비를 만든다.
  3. 순항시 최적의 출력을 얻기 위하여 농후한 혼합비를 유지한다.
  4. 기관의 갑작스런 가속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료를 공급한다.
(정답률: 53%)
  • 이코노마이저 밸브는 저속과 순항속도에서 열립니다. 이는 농후한 혼합비를 만들어 최적의 출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최대 출력에서 농후한 혼합비를 만든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압축비와 가열량이 일정할 때, 이론적인 열효율이 가장 높은 사이클은?

  1. 오토 사이클
  2. 사바테 사이클
  3. 디젤 사이클
  4. 브레이튼 사이클
(정답률: 58%)
  • 오토 사이클은 가장 이론적인 열효율을 가지는 사이클입니다. 이는 압축비와 가열량이 일정할 때, 가장 많은 열을 변환할 수 있는 사이클이기 때문입니다. 오토 사이클은 4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기를 압축하고 가열한 후 연소시켜 폭발력을 이용해 일을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열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압축비와 가열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단 가변피치 프로펠러 항공기의 프로펠러 효율을 좋게 유지하기 위한 운항 상태에 따른 각각의 사용피치로 옳은 것은?

  1. 강하시에는 저피치(Low pitch)를 사용한다.
  2. 순항시에는 고피치(High pitch)를 사용한다.
  3. 이륙시에는 고피치(High pitch)를 사용한다.
  4. 착륙시에는 고피치(High pitch)를 사용한다.
(정답률: 62%)
  • 순항시에는 고피치(High pitch)를 사용한다. 이는 항공기가 고도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비행할 때, 프로펠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고피치로 설정하면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낮아지면서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이륙시와 착륙시에는 엔진의 출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고피치를 사용한다. 강하시에는 저피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엔진 출력을 줄여서 항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정 피치 프로펠러를 장착한 항공기의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 블레이드는 어떻게 되는가?

  1. 블레이드 각(Blade angle)이 증가한다.
  2. 블레이드 각(Blade angle)이 감소한다.
  3. 블레이드 영각(Angle of attack)이 증가한다.
  4. 블레이드 영각(Angle of attack)이 감소한다.
(정답률: 63%)
  • 고정 피치 프로펠러는 블레이드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블레이드 영각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블레이드 영각(Angle of attack)이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피스톤 오일 링(Piston oil ring)에 의하여 모아진 여분의 오일은 어느 경로를 통하여 흐르는가?

  1. 실린더 벽면의 작은 틈을 통하여
  2. 피스톤 핀 중앙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3. 피스톤 핀에 있는 드릴 구멍을 통하여
  4. 피스톤 오일 링 홈에 있는 드릴 구멍을 통하여
(정답률: 73%)
  • 피스톤 오일 링은 실린더 벽면과 밀착되어 있어서 오일이 실린더 벽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그러나 오일 링에 의해 모아진 여분의 오일은 어디론가 흐르게 됩니다. 이 오일은 피스톤 오일 링 홈에 모이게 되고, 홈에 있는 드릴 구멍을 통해 피스톤 핀에 있는 드릴 구멍으로 연결됩니다. 그리고 피스톤 핀을 통해 오일이 실린더 벽면으로 유입되어 엔진 내부를 윤활시켜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스톤 오일 링 홈에 있는 드릴 구멍을 통하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왕복 기관 윤활계통에서 윤활유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금속 가루 및 미분을 제거한다.
  2. 금속 부품의 부식을 방지한다.
  3. 연료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한다.
  4. 금속면 사이의 충격 하중을 완충시킨다.
(정답률: 72%)
  • 연료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은 왕복 기관 윤활계통에서 윤활유의 역할이 아닙니다. 윤활유는 금속 가루 및 미분을 제거하고, 금속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며, 금속면 사이의 충격 하중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관 흡입구의 장치 중 동일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움직이는 쐐기형(Movable wedge) - 와류분산기(Vortex dissipator)
  2. 움직이는 스파이크(Movable spike) - 움직이는베인(Movable vane)
  3. 움직이는 베인(Movable vane) - 움직이는 쐐기형(Movable wedge)
  4. 와류분산기(Vortex dissipator) - 움직이는 베인(Movable vane)
(정답률: 59%)
  • 와류분산기와 움직이는 베인은 모두 기관 흡입구에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고 흡입량을 향상시키는 장치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두 장치는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며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용 왕복기관의 이론 마력은 250 PS, 지시마력은 200 PS, 제동 마력은 140 PS 라면 이 기관의기계 효율은 몇 % 인가?

  1. 70
  2. 75
  3. 80
  4. 85
(정답률: 50%)
  • 기계 효율은 실제 출력(지시마력)을 입력(이론 마력)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기계 효율은 (200/250) x 100 = 80%입니다. 그러나 제동 마력은 출력에서 제외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다시 계산하면 (200/250-140) x 100 = 7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성형기관에서 마그네토(Magneto)를 보기부(Accessory section)에 설치하지 않고 전방부분에 설치하여 얻는 가장 큰 이점은?

  1. 정비가 용이하다.
  2. 냉각 효율이 좋다.
  3. 검사가 용이하다.
  4. 설치제작비가 저렴하다.
(정답률: 83%)
  • 마그네토를 전방부분에 설치하면 열이 빠르게 방출되어 냉각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기관 작동 중 점화스위치와 우측 마그네토를 연결한 선이 끊어졌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기관의 출력이 떨어진다.
  2. 우측 마그네토 접점이 타버린다.
  3. 우측 마그네토가 작동되지 않는다.
  4. 점화 스위치를 off 에 놓아도 기관은 계속 작동한다.
(정답률: 66%)
  • 점화 스위치와 우측 마그네토를 연결한 선이 끊어지면 우측 마그네토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점화가 되지 않아 기관의 출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점화 스위치를 off 에 놓아도 기관은 계속 작동한다. 이는 왕복기관의 점화 시스템이 두 개의 마그네토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쪽 마그네토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쪽 마그네토로부터 충분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가스터빈 기관의 트림(Trim) 작업시 조절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연료제어장치
  2. 가변정익베인
  3. 터빈블레이드 각도
  4. 사용 연료의 비중
(정답률: 41%)
  • 가스터빈 기관의 트림 작업은 연료제어장치, 가변정익베인, 사용 연료의 비중을 조절하여 엔진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작업이다. 하지만 터빈블레이드 각도는 엔진의 구조적인 부분으로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터빈블레이드 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민간 항공기용 가스터빈 기관에 사용되는 연료는?

  1. Jet A-1
  2. Jet B-5
  3. JP-4
  4. JP-B
(정답률: 86%)
  • 민간 항공기용 가스터빈 기관에는 Jet A-1 연료가 사용됩니다. 이는 고순도의 정제된 항공용 연료로,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연소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항공기가 고도로 상승하면서 대기압이 낮아지는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Jet B-5는 저온에서의 사용성이 높지만, 민간 항공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JP-4와 JP-B는 군용 항공기용 연료로 사용되며, 민간 항공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보팬 기관의 역추력장치 부품 중 팬을 지난 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블록 도어(Blocker Door)
  2. 공기 모터(Pneumatic Motor)
  3. 캐스케이드 베인(Cascade Vane)
  4. 트랜슬레이팅 슬리브(Translating Sleeve)
(정답률: 81%)
  • 블록 도어는 터보팬 기관에서 역추력장치 부품 중 하나로, 팬을 지나온 공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역추력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고, 효율적인 역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나셀(Nacel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체의 인장 하중(Tension)을 담당한다.
  2.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을 말한다.
  3. 일반적으로 기체의 중심에 위치하여 날개구조를 보완한다.
  4. 기관을 장착하여 하중을 담당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정답률: 82%)
  • 나셀은 비행기나 헬리콥터와 같은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을 말합니다. 이는 기체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물로, 기체의 인장 하중을 담당하며 일반적으로 기체의 중심에 위치하여 날개구조를 보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비행기의 무게가 2500 kg 이고 중심 위치는 기준선 후방 0.5 m 에 있다. 기준선 후방 4 m에 위치한 10 kg 짜리 좌석 2개를 떼어내고 기준선 후방 4.5 m에 17 kg 짜리 항법 장치를 장착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조 변경으로 기준선 후방 3 m에 12.5 kg의 무게 증가 요인이 추가 발생하였다면 이 비행기의 새로운 무게중심 위치는?

  1. 기준선 전방 약 0.21m
  2. 기준선 전방 약 0.51m
  3. 기준선 후방 약 0.21m
  4. 기준선 후방 약 0.51m
(정답률: 67%)
  • 새로운 무게중심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존 무게중심 위치: 0.5m 후방
    무게중심 위치 변화량: (4m x 10kg x 2 - 17kg x 4.5m + 3m x 12.5kg) / 2500kg = -0.01m 후방
    새로운 무게중심 위치: 0.5m 후방 - 0.01m 후방 = 기준선 후방 약 0.51m

    따라서 정답은 "기준선 후방 약 0.5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로 18-8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며, 부적절한 열처리로 결정립계가 큰 반응성을 갖게 되어 입계에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국부적 부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입계 부식
  2. 응력 부식
  3. 찰과 부식
  4. 이질금속간의 부식
(정답률: 80%)
  • 입계 부식은 스테인레스강의 결정립계가 큰 반응성을 갖게 되어 부적절한 열처리로 인해 입계에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국부적 부식을 말한다. 따라서, 주로 18-8 스테인레스강에서 발생하며, 입계 부식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FRCM의 모재(Matrix)중 사용 온도 범위가 가장 큰 것은?

  1. FRC
  2. BMI
  3. FRM
  4. FRP
(정답률: 75%)
  • 정답은 "FRC"입니다. FRCM은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의 약자로, 시멘트 기반의 복합재료입니다. FRC는 섬유 강화 시멘트로, 섬유로 강화된 시멘트 행렬은 높은 내구성과 내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FRC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 온도 범위가 가장 큽니다. 반면, BMI, FRM, FRP는 각각 Bismaleimide, Fiber Reinforced Metal, Fiber Reinforced Polymer의 약자로, 각각의 모재는 FRC보다는 온도에 민감하며 사용 온도 범위가 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튜브 플레어링(Tube fla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 튜브(Steel tube)는 더블 플레어링(Doubleflaring)으로 제작된다.
  2. 싱글 플레어 튜브(Single flare tube)는 가공 경화로 인해 전단 작용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3. 더블 플레어 튜브(Double flare tube)는 싱글 플레어 튜브(Single flare tube) 보다 밀폐 특성이좋다.
  4. 싱글 플레어 튜브(Single flare tube)는 매끈하고 동심으로 제작이 용이하다.
(정답률: 78%)
  • 튜브 플레어링은 튜브의 끝을 넓게 폭발시켜 밀폐성을 높이는 공정이다. 더블 플레어 튜브는 싱글 플레어 튜브보다 더욱 밀폐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높은 압력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더블 플레어 튜브(Double flare tube)는 싱글 플레어 튜브(Single flare tube) 보다 밀폐 특성이 좋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크리프(Creep)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재료가 반복되는 응력을 받았을 때 파괴되는 현상이다.
  2. 재료에 온도를 서서히 증가하였을 때 조직 구조가 변형되는 현상이다.
  3. 재료에 시험편을 서서히 잡아당겨서 파괴되었을때 파단면의 조직이 변화된 현상이다.
  4. 재료를 일정한 온도와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78%)
  • 재료를 일정한 온도와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두께가 0.062″인 판재를 그림과 같이 직각으로 굽힌다면 이 판재의 전체 길이는 약 몇 인치인가?

  1. 7.8
  2. 6.8
  3. 4.1
  4. 3.1
(정답률: 59%)
  • 이 문제에서는 직각삼각형의 빗변 길이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즉, 두 변의 길이를 알고 있으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빗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밑변의 길이는 6.2 인치이고, 높이는 4.8 인치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빗변의 길이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빗변의 길이 = √(6.2² + 4.8²) ≈ 7.8 인치

    따라서 정답은 "7.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알루미늄 합금이 초고속기 재료로서 적당하지 않은 이유는?

  1. 무겁기 때문
  2. 부식성이 심하기 때문
  3. 열에 약하기 때문
  4. 전기저항이 크기 때문
(정답률: 86%)
  • 알루미늄 합금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초고속기에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비행기의 원형 부재에 발생하는 전비틀림각과 이에 미치는 요소와의 관계로 틀린 것은?

  1. 비틀림력이 크면 비틀림각도 커진다.
  2.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비틀림 각은 작아진다.
  3. 부재의 전단계수가 크면 비틀림각이 작아진다.
  4. 부재의 극단면 2차 모멘트가 작아지면 비틀림각이 커진다.
(정답률: 71%)
  •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비틀림 각은 작아진다."라는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비틀림각은 비틀림력과 부재의 전단계수, 그리고 부재의 극단면 2차 모멘트에 영향을 받습니다. 부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비틀림력은 작아지지만, 전단계수와 극단면 2차 모멘트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비틀림각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비틀림 각은 작아진다."라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부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비틀림력은 작아지지만, 전단계수와 극단면 2차 모멘트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비틀림각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비틀림 각은 작아진다."라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대형 항공기에 주로 사용하는 브레이크 장치는?

  1. 슈(Shoe)식 브레이크
  2. 싱글 디스크(Single disk)식 브레이크
  3. 멀티 디스크(Multi disk)식 브레이크
  4. 팽창 튜브(Expander tube)식 브레이크
(정답률: 86%)
  • 대형 항공기는 무게와 속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멀티 디스크식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이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겹쳐놓고 회전시켜서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비행기를 멈추는 방식으로, 높은 마찰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 항공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017T 보다 강한 강도를 요구하는 항공기 주요 구조용으로 사용되고 열처리 후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며 상온에 노출후 10분에서 20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하는 리벳은?

  1. A17ST(2117)-AD
  2. 17ST(2017)-D
  3. 24ST(2024)-DD
  4. 2S(1100)-A
(정답률: 82%)
  • 리벳은 항공기 주요 구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야 하며, 2017T보다 강한 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2S(1100)-A는 제외된다. A17ST(2117)-AD와 17ST(2017)-D는 2017T와 동일한 강도를 가지므로 24ST(2024)-DD가 남게 된다. 또한, 24ST(2024)-DD는 열처리 후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며, 상온에 노출 후 10분에서 20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건에도 부합한다. 따라서 정답은 24ST(2024)-D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체의 전단 응력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동체의 전단 응력은 항공기 무게에 의해 발생된다.
  2. 동체의 전단 응력은 항공기, 공기력에 의해 발생된다.
  3. 동체의 전단 응력은 항공기 지면 반력에 의해 발생된다.
  4. 동체의 좌우측 중앙에서 동체의 전단응력이 최소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동체의 전단 응력은 항공기 무게에 의해 발생된다." 이다. 전단 응력은 단순히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항공기의 운동 상태와 공기력, 지면 반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그리고 동체의 좌우측 중앙에서 전단응력이 최소인 이유는, 이 지점에서는 동체의 회전운동이 없기 때문에 전단응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세라믹 코팅(Ceramic coating)의 가장 큰 목적은?

  1. 내식성
  2. 접합 특성 강화
  3. 내열성과 내마모성
  4. 내열성과 내식성
(정답률: 67%)
  • 세라믹 코팅의 가장 큰 목적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는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의 표면에 적용되어 내구성을 높이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식성과 내열성은 비슷한 개념이지만, 내식성은 화학적인 부식에 대한 내성을 의미하고, 내열성은 고온에 대한 내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라믹 코팅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강화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날개의 주요 하중을 담당하는 부재는?

  1. 리브(Rib)
  2. 날개보(Spar)
  3. 스트링거(Stringer)
  4. 압축 스트링거(Compression Stringer)
(정답률: 76%)
  • 날개보는 날개의 주요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날개의 길이를 따라 놓여 있으며, 날개의 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리브는 날개의 곡률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며, 스트링거와 압축 스트링거는 날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조적인 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계 스크류(Mechine screw)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 목적용으로 사용되는 스크류이다.
  2. 평면머리와 둥근머리 와셔헤드 형태가 있다.
  3. 저 탄소, 황동, 내식강,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다.
  4. 명확한 그립이 있고 같은 크기의 볼트처럼 같은 전단강도를 갖고 있다.
(정답률: 66%)
  • 기계 스크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기계 스크류는 일반 목적용으로 사용되며, 평면머리와 둥근머리 와셔헤드 형태가 있으며, 저 탄소, 황동, 내식강,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명확한 그립이 있고 같은 크기의 볼트처럼 같은 전단강도를 갖고 있다. 이는 스크류의 전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트와는 달리 스크류는 토크를 더 많이 가해도 부러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V-n 선도에서 n1은 설계 제한 하중배수, 점선 1B는 돌풍하중 배수선도라면 옳게 짝지은것은?

  1. V1- 설계순항속도
  2. V2- 설계운용속도
  3. V3- 설계급강하속도
  4. V4- 실속속도
(정답률: 65%)
  • 1B는 돌풍하중 배수선도이므로, n1과 함께 고려하여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돌풍하중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n1- 설계 제한 하중배수, 1B- 돌풍하중 배수선도"이다.

    V2는 설계운용속도이다. 이는 구조물이 설계된 운용 속도를 의미한다. 구조물이 설계된 운용 속도 이상으로 운용될 경우 안전에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V2가 정답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Hi-Shear rivet
  2. Rivnut
  3. Explosive rivet
  4. Cherry rivet
(정답률: 76%)
  • Hi-Shear rivet은 블라인드 리벳이 아닌 구조용 리벳으로, 두 개의 조각을 함께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블라인드 리벳의 종류만 포함되어 있으므로 Hi-Shear rivet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 착륙장치의 완충 스트럿(Shock strut)을 날개 구조재에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완충 스트럿의 힌지축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트러니언(trunnion)
  2. 저리 스트럿(Jury strut)
  3. 토션 링크(Torsion link)
  4. 드래그 스트럿(Drag strut)
(정답률: 65%)
  • 트러니언은 완충 스트럿의 힌지축 역할을 담당하는 부품으로, 날개 구조재에 장착되어 완충 스트럿을 지지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착륙 시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충하여 안정적인 착륙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의 착륙장치와는 관련이 있지만, 완충 스트럿의 힌지축 역할을 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종 케이블이 작동 중에 최소의 마찰력으로 케이블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하며, 케이블을 작은각도 이내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하는 것은?

  1. 풀리(Pulley)
  2. 페이리드(Fairlead)
  3. 벨크랭크(Bell crank)
  4. 케이블 드럼(Cable drum)
(정답률: 75%)
  • 조종 케이블은 작동 중에 최소한의 마찰력으로 움직여야 하며, 이를 위해 케이블이 작은 각도 이내에서 방향을 유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페이리드입니다. 페이리드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도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케이블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조종 케이블 시스템에서 페이리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파단점을 나타내는 곳은? (단, σ은 응력, ε은 변형률을 나타낸다.)

  1. A
  2. B
  3. C
  4. D
(정답률: 65%)
  • 파단점은 응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변형률이 크게 증가하는 지점을 말한다. 그림에서는 D 지점이 응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변형률이 크게 증가하는 지점이므로 정답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항공기 나셀의 방빙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제빙부츠 방식
  2. 열 방빙 방식
  3. 전기적 방빙 방식
  4. 고온 공기를 이용한 방식
(정답률: 59%)
  • 제빙부츠 방식은 항공기의 날개나 꼬리날개에 부착된 부츠를 사용하여 얼어붙은 얼음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부츠가 얼음에 끼어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빙부츠 방식은 항공기 나셀의 방빙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회로도에서 a, b 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항 R은 몇 Ω으로 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8%)
  • 정답은 "3"입니다.

    a와 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a와 b가 동일한 전위를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전압차는 전류와 저항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0이 되려면 전류가 0이 되거나 저항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전류가 0이 되도록 하려면 a와 b 사이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전류 경로를 차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R1과 R2 중 하나를 제거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R1과 R2를 모두 제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저항을 0으로 만들 수 없으므로 전류가 0이 되도록 하려면 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저항은 R1 + R2가 됩니다. 따라서 R1과 R2의 합이 3Ω이 되도록 하면 a와 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도체를 자기장이 있는 공간에 놓고 전류를 흘리면 도체에 힘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전동기 원리에서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알 수 있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플레밍의 왼손 법칙
  3. 페러데이 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72%)
  • 플레밍의 왼손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이 작용할 때, 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그리고 힘의 방향을 왼손으로 나타내어 팔을 굽히면서 확인하는 법칙입니다. 즉, 엄지는 전류의 방향, 검지는 자기장의 방향, 중지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며, 이들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이 힘의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항공기 기관의 구동축과 발전기축 사이에 장착하여 주파수를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장치는?

  1. 변속 구동 장치
  2. 출력 구동 장치
  3. 주파수 구동 장치
  4. 정속 구동 장치
(정답률: 83%)
  • 항공기 기관의 구동축과 발전기축 사이에 장착하여 주파수를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장치는 "정속 구동 장치"입니다. 이는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해 발전기의 회전 속도가 변동하면 발생하는 주파수 변화를 보상하여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변속 구동 장치", "출력 구동 장치", "주파수 구동 장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해발 500m 인 지형 위를 비행하고 있는 항공기의 절대 고도가 1500m 라면 이 항공기의 진고도는 몇 m인가?

  1. 1000
  2. 1500
  3. 2000
  4. 2500
(정답률: 79%)
  • 진고도는 해발고도와 절대고도의 합으로 구해진다. 따라서, 1500m + 500m = 2000m 이므로 정답은 "2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발연경보(Smoke warning)장치에서 감지센서로 사용되는 것은?

  1. 바이메탈(Bimetal)
  2. 열전대(Thermocouple)
  3. 광전튜브(Photo tube)
  4. 공용염(Eutectic sait)
(정답률: 58%)
  • 발연경보장치에서 감지센서로 사용되는 것은 광전튜브입니다. 광전튜브는 빛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로, 연기나 불꽃 등의 빛을 감지하여 발연경보를 울리게 됩니다. 다른 보기인 바이메탈, 열전대, 공용염은 모두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이지만, 발연경보장치에서는 빛을 감지하는 광전튜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기 컴퍼스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퍼스액은 케로신을 사용한다.
  2. 컴퍼스 카드에는 플로트가 설치되어 있다.
  3. 외부의 진동, 충격을 줄이기 위해 케이스와 베어링 사이에 피벗이 들어있다.
  4. 케이스, 자기보상장치, 컴퍼스 카드 및 확장실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60%)
  • "외부의 진동, 충격을 줄이기 위해 케이스와 베어링 사이에 피벗이 들어있다."가 틀린 것이다. 컴퍼스의 구조는 케이스, 자기보상장치, 컴퍼스 카드, 확장실 및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벗은 베어링 안에 들어있다. 피벗은 베어링과 컴퍼스 카드 사이에 위치하여 컴퍼스 카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탄성 압력계의 수감부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흡입형
  2. 부르동형
  3. 다이아프램형
  4. 벨로우형
(정답률: 69%)
  • 탄성 압력계는 압력 변화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이 때, 수감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흡입형"은 탄성체를 흡입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형태이다. 하지만 탄성체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외부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탄성 압력계의 수감부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반면, "부르동형", "다이아프램형", "벨로우형"은 각각 탄성체를 직접 변형시키거나, 다이아프램이나 벨로우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형태이므로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기의 화재탐지장치가 갖추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과도한 진동과 온도변화에 견디어야 한다.
  2. 화재가 계속되는 동안에 계속 지시해야 한다.
  3. 조종석에서 화재탐지장치의 기능 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4. 항상 화재탐지장치 자체의 전원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항상 화재탐지장치 자체의 전원으로 작동하여야 한다."가 틀린 이유는, 화재가 발생하여 전원이 차단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조 전원이나 배터리 등의 백업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원 주파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브리지(Bridge) 회로는?

  1. 윈 브리지(Wien bridge)
  2. 맥스웰 브리지(Maxwell bridge)
  3. 싱크로 브리지(Synchro bridge)
  4. 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
(정답률: 55%)
  • 전원 주파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브리지 회로는 윈 브리지(Wien bridge)입니다. 이 회로는 RC 회로와 함께 사용되며, 일정한 주파수에서 RC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찾아내어 전원 주파수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윈 브리지 회로는 가변 저항과 가변 콘덴서를 사용하여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ELCAL System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HF, VHF 시스템으로 송・수신된다.
  2. 지상에서 항공기를 호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3. 일반적으로 코드는 4개의 코드로 만들어져 있다.
  4. 항공기 위험 사항을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장치이다.
(정답률: 70%)
  • 다른 보기들은 SELCAL System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항공기 위험 사항을 알리기 위한 비상호출장치이다."는 SELCAL System의 주요 목적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축전지에서 용량의 표시기호는?

  1. Ah
  2. Bh
  3. Vh
  4. Fh
(정답률: 85%)
  • 축전지의 용량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전류(A)와 시간(h)의 곱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용량의 표시기호는 "Ah"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압(V), 자기력(B), 주파수(F) 등을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용량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파고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수신기, 안테나, 고도지시계로 구성된다.
  2. 지면에 대한 항공기의 절대고도를 나타낸다.
  3. 항공기에서 지표를 항해 전파를 발사하여 이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차를 측정한다.
  4. 대부분 고고도용이며, 측정 범위는 2500 ft 이상이다.
(정답률: 69%)
  • 전파고도계는 항공기의 고도를 측정하는 기기로, 항공기에서 발사한 전파가 지면에 닿아 되돌아오는 시간차를 측정하여 고도를 계산한다. 따라서 "지면에 대한 항공기의 절대고도를 나타낸다."는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대부분 고고도용이며, 측정 범위는 2500 ft 이상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전파고도계는 고도 측정에 사용되는 기기 중 하나이며, 측정 범위는 몇 백 피트에서 몇 만 피트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정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ACM(Air cycle machine) 내에서 압력과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는 곳은?

  1. 팽창터빈
  2. 압축기
  3. 열교환기
  4. 팽창밸브
(정답률: 50%)
  • 팽창터빈은 고압 가스를 저압으로 팽창시켜 압력과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ACM에서 열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팽창터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압 계통에서 공기 저장통 안에 설치되어 수분이나 윤활유가 계통으로 섞여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은?

  1. 스택 파이프
  2. 배플
  3. 스탠드 파이프
(정답률: 59%)
  • 공기 저장통 안에는 수분이나 윤활유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택 파이프를 설치합니다. 스택 파이프는 공기 저장통 안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공기가 저장통 안에서 움직일 때 수분이나 윤활유가 스택 파이프를 따라 올라가지 못하도록 막아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계통으로 섞여 나가는 수분이나 윤활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침의(DG)의 자이로 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1. 지구의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2. 지표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되어 있다.
  3. 기축에 평행 또는 수평이 되도록 되어 있다.
  4. 기축에 직각 또는 수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정답률: 48%)
  • 자이로 축은 비행기나 선박과 같은 운송 수단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운송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자이로 축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이 때, 자이로 축은 지표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유는 지표에 대하여 수평이 되어 있으면 운송 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자이로 축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표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되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공중충돌 경보장치는 무엇인가?

  1. ATC
  2. TCAS
  3. ADC
  4. 기상레이더
(정답률: 80%)
  • 공중충돌 경보장치는 항공기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항공기 간의 상대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여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 중에서 TCAS는 항공기 간의 상대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여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다른 시스템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TCA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항공기가 지상에서 작동 시 흡기압력계(ManifoldPressure Gage)에서 지시하는 것은?

  1. 0(Zero)
  2. 29.92 inHg
  3. 그 당시 지형의 기압
  4. 30.00 inHg
(정답률: 70%)
  • 항공기가 지상에서 작동 시, 흡기압력계는 주변 대기압을 측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그 당시 지형의 기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압의 표준값인 29.92 inHg와 30.00 inHg, 그리고 0(Zero)으로 설정된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압 계통의 관이나 호스가 파손되거나 기기 내의실(Seal)에서 손상이 생겼을 때 과도한 누설을 방지하는 장치는?

  1. 흐름 조절기
  2. 셔틀 밸브
  3. 흐름 평형기
  4. 유압 퓨즈
(정답률: 85%)
  • 유압 퓨즈는 유압 계통에서 파손된 관이나 호스, 실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일정한 압력 이상이 발생하면 파손된 부분을 차단하여 유체의 누출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유압 퓨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행 중에는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 상호간에 통화를 하며, 지상에서는 비행을 위하여 항공기가 택싱(Taxing)하는 동안 지상조업 요원과 조종실내 운항승무원 간에 통화하기 위한 시스템은?

  1. Cabin interphone system
  2. Flight interphone system
  3. Passenger address system
  4. Service interphone system
(정답률: 58%)
  • 비행 중에는 조종실 내의 운항 승무원 상호간에 통화를 하기 위해 "Flight interphone system"을 사용합니다. 지상에서는 비행을 위하여 항공기가 택싱하는 동안 지상조업 요원과 조종실내 운항승무원 간에 통화하기 위해서도 "Flight interphone system"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Flight interphone system"이 정답입니다. "Cabin interphone system"은 객실 승무원 간의 통화를 위한 시스템이고, "Passenger address system"은 승객에게 방송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Service interphone system"은 객실 승무원과 지상조업 요원 간의 통화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