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항공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유체의 연속방정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성의 영향을 무시하면 밀도변화는 없다.
  2. 단면적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 유체의 질량을 질량유량이라고 한다.
  3. 아음속의 일정한 유체흐름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면 유체속도는 감소한다.
  4. 관내 흐름이 정상흐름이면 동일관내 임의의 두 단면에서 각각의 질량유량은 동일하다.
(정답률: 78%)
  • "아음속의 일정한 유체흐름에서 단면적이 작아지면 유체속도는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문장은 연속방정식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질량보존 법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단면적이 작아지면 유체의 흐름이 좁아지므로 유체의 속도는 감소하여 질량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는 연속방정식에서 유체의 질량보존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트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한 항공기의 비행상태는? (단, CL 는 양력계수, CD 는 항력계수)

  1. CL / CD 이 최소인 상태
  2. CL / CD 이 최대인 상태
  3. CL1·5 / CD 이 최대의 상태
  4. CL½ / CD 이 최대인 상태
(정답률: 68%)
  • 제트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해서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항력계수(CD)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양력계수(CL)를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이유는 양력계수가 낮아지면 비행기의 상승력이 감소하여 고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반대로 양력계수가 높아지면 공기저항이 증가하여 비행기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L½ / CD 이 최대인 상태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한 항공기의 비행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날개의 단면에서 시위선은?

(정답률: 81%)
  • 시위선은 날개의 곡률에 따라 변화하며, 곡률이 큰 부분에서는 시위선이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➀"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➁"은 곡률이 작은 부분에서 시위선이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옳지 않다. "➂"은 시위선이 날개의 중심을 지나가지 않으므로 옳지 않다. "➃"은 시위선이 날개의 끝에서 수직으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프로펠러의 추력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Ct 는 추력계수, ɳ 은 프로펠러 회전속도, D는프로펠러의 지름, ρ 는 공기밀도를 나타낸다.)

  1. Ctρɳ2D4
  2. Ctρɳ2D3
  3. Ctρɳ3D4
  4. Ctρɳ2D5
(정답률: 65%)
  • 프로펠러의 추력은 공기의 운동량 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공기의 밀도, 프로펠러의 회전속도, 지름, 추력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Ctρɳ2D4" 이다. 이는 추력계수와 공기밀도, 프로펠러 회전속도의 제곱, 그리고 프로펠러 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력계수는 프로펠러의 효율성을 나타내며, 회전속도와 지름은 프로펠러의 크기와 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식은 프로펠러의 추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Static longitudinalstability)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꼬리날개 면적을 크게 한다.
  2. 꼬리날개의 효율을 작게 한다.
  3. 날개를 무게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둔다.
  4. 무게 중심을 공기역학적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시킨다.
(정답률: 86%)
  • "꼬리날개의 효율을 작게 한다."는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을 나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꼬리날개는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효율을 작게 하면 안정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꼬리날개의 효율을 작게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킬 경우 가해주어야 할 힘은? (단, 오른쪽 방향으로 양(+)으로 한다.)

  1. 양(+)피칭 모멘트
  2. 음(-)롤링 모멘트
  3. 제로(0)롤링 모멘트
  4. 양(+)롤링 모멘트
(정답률: 84%)
  • 양(+)롤링 모멘트는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는데 필요한 모멘트이다. 롤링 모멘트는 항공기가 좌우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모멘트를 의미하며, 양(+)롤링 모멘트는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항공기를 오른쪽으로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양(+)롤링 모멘트를 가해주어야 한다. 다른 선택지인 양(+)피칭 모멘트는 항공기를 상승시키는 모멘트이고, 음(-)롤링 모멘트는 항공기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이다. 제로(0)롤링 모멘트는 항공기가 회전하지 않을 때의 모멘트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곱터에서 직교하는 세 개의 X,Y,Z축에 대한 모든 힘과 모멘트 합이 각각 0이 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진상태
  2. 균형상태
  3. 자전상태
  4. 회전상태
(정답률: 93%)
  • 정답: 균형상태

    설명: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모든 힘과 모멘트 합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균형상태라고 합니다. 만약 힘이나 모멘트의 합이 0이 아니라면, 헬리콥터는 움직이거나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를 안정적으로 조종하기 위해서는 균형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프로펠러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저속과 고속에서 모두 큰 깃각을 사용한다.
  2. 저속과 고속에서 모두 작은 깃각을 사용한다.
  3. 저속에서는 작은 깃각을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큰 깃각을 사용한다.
  4. 저속에서는 큰 깃각을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작은 깃각을 사용한다.
(정답률: 75%)
  • 프로펠러는 물속에서 회전하면서 물을 밀어내어 앞으로 나아가는 힘을 만듭니다. 이때 프로펠러의 깃각은 프로펠러의 날개가 물을 밀어내는 각도를 말합니다.

    저속에서는 작은 깃각을 사용하는 이유는, 물이 비교적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작은 깃각으로도 충분한 힘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고속에서는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큰 깃각이 필요합니다. 큰 깃각으로 프로펠러의 날개를 물속에서 더 많이 돌리면, 더 많은 물을 밀어내어 더 많은 힘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속에서는 작은 깃각을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큰 깃각을 사용하는 것이 프로펠러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의 무게가 1500kgf 이고, 날개면적이 40m2, 최대 양력계수가 1.5 일 때 착륙속도는 몇 m/s 인가? (단, 공기밀도는 0.125kgf·s2/m4 이고, 착륙속도는 실속속도의 1.2배로 한다.)

  1. 10
  2. 16
  3. 20
  4. 24
(정답률: 55%)
  • 우선, 비행기의 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양력 = 1/2 x 공기밀도 x 비행기 속도의 제곱 x 날개면적 x 최대 양력계수

    여기서, 양력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상황에서 비행기의 속도를 구하면 된다.

    중력 = 비행기의 무게 = 1500kgf

    따라서,

    1/2 x 0.125kgf·s^2/m^4 x v^2 x 40m^2 x 1.5 = 1500kgf

    v^2 = 1500kgf / (1/2 x 0.125kgf·s^2/m^4 x 40m^2 x 1.5)

    v^2 = 800

    v = 28.28m/s

    하지만, 문제에서는 착륙속도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속도의 1.2배인 33.94m/s를 구한 후, 이를 m/s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33.94m/s x 1.2 = 40.73m/s

    따라서, 정답은 40.73m/s를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하여 2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가장 큰 조종력이 필요한 경우는?

  1. 비행속도가 느리고 조종면의 크기가 큰 경우
  2. 비행속도가 느리고 조종면의 크기가 작은 경우
  3. 비행속도가 빠르고 조종면의 크기가 큰 경우
  4. 비행속도가 빠르고 조종면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정답률: 79%)
  • 비행속도가 빠르고 조종면의 크기가 큰 경우가 가장 큰 조종력이 필요한 경우이다. 이는 비행속도가 빠를수록 공기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비행기를 조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며, 조종면의 크기가 크다면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더 큰 조종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곱터의 원판하중(Disk loading:DL)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W는 헬리곱터 무게, R은 주회전날개의 반지름이다.)

(정답률: 68%)
  • DL은 헬리콥터의 무게를 주회전날개의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DL이 작을수록 주회전날개의 면적이 크고,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는 주회전날개의 면적이 가장 크기 때문에 DL이 가장 작아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항공기의 상승률과 하강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받음각
  2. 잉여마력
  3. 가로세로비
  4. 비행자세
(정답률: 62%)
  • 항공기의 상승률과 하강율은 항공기의 잉여마력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잉여마력은 항공기가 현재 비행 중인 상황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마력을 제외한 나머지 마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잉여마력이 많을수록 항공기는 더 높은 상승률과 더 빠른 하강율을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무게가 3000kgf 인 항공기가 경사각 30°, 150km/h의 속도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을 때 선회반지름은 약 몇m인가?

  1. 218
  2. 307
  3. 436
  4. 604
(정답률: 71%)
  • 선회 중인 항공기에 작용하는 중력과 역학적인 힘을 균형시키기 위해서는, 역학적인 힘이 중력과 같은 크기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이 경우, 역학적인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역학적인 힘 = 중력 × sin(경사각)

    여기서 중력은 3000kgf이고, 경사각은 30°이므로, 역학적인 힘은 다음과 같습니다.

    역학적인 힘 = 3000 × sin(30°) ≈ 1500kgf

    따라서, 항공기가 선회 중인 상황에서 역학적인 힘은 1500kgf입니다. 이 역학적인 힘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여 선회반지름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역학적인 힘 = 질량 × 선회속도² ÷ 선회반지름

    여기서 질량은 항공기의 질량인 3000kgf을 9.8로 나눈 값인 306.12kg이고, 선회속도는 150km/h를 3.6으로 나눈 값인 41.67m/s입니다. 따라서, 선회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500 = 306.12 × 41.67² ÷ 선회반지름

    선회반지름 ≈ 307m

    따라서, 정답은 "3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 무게 5000kgf, 날개면적 40m2, 속도 100m/s, 밀도 1/2kgf·s2/m4, 양력계수 0.5 일 때 양력은 몇 kgf인가?

  1. 40000
  2. 45000
  3. 50000
  4. 60000
(정답률: 74%)
  • 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양력 = 1/2 × 밀도 × 날개면적 × 속도2 × 양력계수

    따라서, 양력 = 1/2 × 1/2 × 40 × 1002 × 0.5 = 50000 kgf

    즉, 항공기의 양력은 50000 kg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기의 특성 중 음속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소는?

  1. 온도
  2. 밀도
  3. 기압
  4. 습도
(정답률: 80%)
  • 음속은 매질 내에서 파동이 전파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 때, 파동이 전파되는 속도는 매질 내 분자들의 운동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매질 내 분자들의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음속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소는 온도입니다. 높은 온도는 분자들의 운동을 촉진시켜 음속을 높이고, 낮은 온도는 분자들의 운동을 저하시켜 음속을 낮춥니다. 따라서, 온도는 음속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음속 전투기는 큰 관성커플링을 일으켜 받음각과 옆 미끄럼각을 계속 증가시켜 발산하게 되는데 이를 무엇이라하는가?

  1. 키놀이 커플링
  2. 공력 커플링
  3. 빗놀이 커플링
  4. 옆놀이 커플링
(정답률: 74%)
  • 초음속 전투기가 비행 중에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등의 움직임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때, 비행기의 앞뒤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과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발생하는 힘이 "옆놀이 커플링"입니다. 이 힘은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고, 조종사가 조종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면상 표준대기에서의 정압(Static pressure)의 값으로 틀린 것은?

  1. 0 kg/m2
  2. 2116.21695 lb/ft2
  3. 29.92 in·Hg
  4. 1013 mbar
(정답률: 87%)
  • 정답은 "0 kg/m2" 이다. 이유는 정압은 압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대기압과 같은 경우에는 정압이 0이 되며, 이는 다른 단위로 표현되어도 값이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륙중량이 1500kgf, 기관출력이 200hp 인 비행기가 5000m고도를 50%의 출력으로 270km/h 등속도 순항비행하고 있을 때 양향비는 얼마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5%)
  • 양향비는 비행기가 이동하는 거리와 실제로 진행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경우, 등속도 순항비행을 하고 있으므로 비행기가 이동한 거리와 실제로 진행한 거리는 같습니다. 따라서 양향비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이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15"가 정답으로 주어졌는데, 이는 오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날개의 항력발산(Drag divergence) 마하수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날개를 워시 인(Wash in) 해준다.
  2. 가로세로비가 작은 날개를 사용한다.
  3. 날개에 후퇴각(Sweep back angle)을 준다.
  4. 얇은 날개를 사용하여 표면에서의 속도 증가를 줄인다.
(정답률: 63%)
  • 날개를 워시 인(Wash in) 해주는 것은 오히려 항력을 증가시켜 마하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날개의 항력발산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기가 A 지점에서 정지상태로부터 일정한 가속도로 을 시작하여 30초 900m 떨어진 B 지점을 통과하며 이륙 했다고 할 때, 이항공기의 평균이륙속도는 몇 m/s인가?

  1. 50
  2. 60
  3. 70
  4. 90
(정답률: 69%)
  • 평균 이륙속도는 이륙 거리를 이륙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이 문제에서 이륙 거리는 900m이고, 이륙 시간은 30초이다. 따라서 평균 이륙속도는 900 ÷ 30 = 30m/s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항공기는 정지상태에서 가속도를 가해 이륙했다고 했으므로, 이륙 도중에 평균 이륙속도가 변할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이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평균 이륙속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30m/s가 정답이 아니라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60m/s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열역학에서 가역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찰과 같은 요인이 있어도 상관없다.
  2. 계와 주위가 항상 불균형 상태이어야 한다.
  3. 주위의 작은 변화에 의해서는 반대과정을 만들 수 없다.
  4. 과정이 일어난 후에도 처음과 같은 에너지양을 갖는다.
(정답률: 82%)
  • 가역과정은 시스템과 주위 사이에 열과 질량이 자유롭게 오가면서 시스템이 주위와 열역학적 평형을 이루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스템과 주위 사이의 열과 질량의 이동이 양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시스템이 주위와 열역학적 평형을 이룬 후에도 처음과 같은 에너지양을 갖게 된다. 이는 시스템과 주위 사이의 열과 질량의 이동이 가역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과정이 일어난 후에도 처음과 같은 에너지양을 갖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터빈기관의 교류 고전압 축전기 방전 점화계통(A.Ccapacitor discharge ignition system)에서 고전압 펄스(Pulse)를 형성하는 곳은?

  1. 접점(Breaker)
  2. 정류기(Rectifier)
  3. 멀티로브 캠(Multilobe cam)
  4. 트리거 변압기(Trigger transformer)
(정답률: 78%)
  • 가스터빈기관의 교류 고전압 축전기 방전 점화계통에서 고전압 펄스를 형성하는 곳은 "트리거 변압기(Trigger transformer)"입니다. 이는 접점(Breaker)에서 생성된 점화 신호를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트리거 변압기는 축전기 방전 점화계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로펠러 깃의 허브중심으로부터 깃끝까지의 길이가 R, 깃각이 β 일 때 이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는?

  1. 2πRtanβ
  2. 2πRsinβ
  3. 2πRcosβ
  4. 2πRsecβ
(정답률: 75%)
  • 프로펠러의 기하학적 피치는 한 바퀴 돌아가면서 나아가는 거리와 상승하는 거리의 비율이다. 즉, 한 바퀴 돌아가면서 상승하는 거리를 구해야 한다.

    한 바퀴 돌아가는 거리는 원주이므로 2πR이다. 상승하는 거리는 프로펠러 깃의 허브중심으로부터 깃끝까지의 길이인 R에 깃각 β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상승하는 거리는 Rtanβ이다.

    따라서 기하학적 피치는 2πR / (Rtanβ) = 2πRtanβ 이다. 따라서 정답은 "2πRtan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왕복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토크의 변동
  2. 오일 조절 링의 마모
  3. 크랭크 축의 비틀림 진동
  4. 왕복 관성력과 회전 관성력의 불균형
(정답률: 69%)
  • 왕복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크게 왕복 관성력과 회전 관성력의 불균형, 크랭크 축의 비틀림 진동, 토크의 변동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일 조절 링의 마모는 진동의 원인이 아닙니다. 오일 조절 링은 기관 내부의 오일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마모가 발생하면 오일 유량이 감소하여 기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동의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보제트기관에서 비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1. 고회전 압축기의 개발
  2. 고열에 견딜수 있는 압축기의 개발
  3. 고열에 견딜수 있는 터빈 재료의 개발
  4. 고열에 견딜수 있는 배기 노즐의 개발
(정답률: 66%)
  • 터보제트기관에서 비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온과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는 부품들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터빈 재료입니다. 터빈은 연소가 일어나는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부품으로, 고온과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재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열에 견딜 수 있는 터빈 재료의 개발이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9개의 실린더를 갖고 있는 성형기관(Redial engine)의 점화순서로 옳은 것은?

  1. 1, 2, 3, 4, 5, 6, 7, 8, 9
  2. 8, 6, 4, 2, 1, 3, 5, 7, 9
  3. 1, 3, 5, 7, 9, 2, 4, 6, 8
  4. 9, 4, 2, 7, 5, 6, 3, 1, 8
(정답률: 92%)
  • Redial engine은 여러 개의 실린더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실린더는 일정한 각도로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점화순서는 엔진의 회전 방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점화순서가 "1, 3, 5, 7, 9, 2, 4, 6, 8"로 주어졌으며, 이는 엔진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일 때 각 실린더의 순서를 나타냅니다. 즉, 첫 번째 실린더부터 시계 방향으로 1, 3, 5, 7, 9, 2, 4, 6, 8 순서로 점화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스터빈기관의 연료부품 중 연료소비율을 알려주는것은?

  1. 연료 매니폴드(Fuel manifold)
  2. 연료 오일냉각기(Fuel oil cooler)
  3. 연료 조절장치(Fuel control unit)
  4. 연료흐름 트랜스미터(Fuel flow transmitter)
(정답률: 67%)
  • 연료흐름 트랜스미터는 가스터빈기관에서 연료의 유량을 측정하여 연료소비율을 계산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연료흐름 트랜스미터가 정답입니다. 연료 매니폴드는 연료를 분배하는 부품, 연료 오일냉각기는 연료를 냉각하는 부품, 연료 조절장치는 연료의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내연기관이 아닌 것은?

  1. 가스터빈기관
  2. 디젤기관
  3. 증기터빈기관
  4. 가솔린기관
(정답률: 79%)
  • 증기터빈기관은 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이 아니라,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는 외연기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입니다. 가스터빈기관은 가스를 연소시켜 작동하며, 디젤기관은 디젤 연료를 연소시켜 작동하며, 가솔린기관은 가솔린을 연소시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스톤의 지름이 16cm, 행정거리가 약 0.15m, 실린더수가 6개인 왕복기관의 총 행정체적은 약 몇 cm3 인가?

  1. 18095
  2. 19095
  3. 20095
  4. 21095
(정답률: 65%)
  • 행정체적은 실린더의 행정거리와 피스톤의 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하나의 실린더의 행정체적은 다음과 같다.

    V = (지름/2)2 x π x 행정거리

    = (16/2)2 x 3.14 x 0.15

    = 18.84 cm3

    따라서 6개의 실린더가 있는 왕복기관의 총 행정체적은 다음과 같다.

    V = 6 x 18.84

    = 113.04 cm3

    소수점을 버리면 113 cm3 이지만, 문제에서는 "약"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므로 반올림하여 114 cm3 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8095, 19095, 20095, 21095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114 cm3 를 10으로 나누어서 반올림한 후 10을 곱하여 정답을 구한다.

    114를 10으로 나누면 11.4 이므로 반올림하여 10을 곱하면 11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09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속 프로펠러를 장착한 항공기가 순항시 프로펠러 회전수를 2300[rpm]에 맞추고 출력을 1.2배 높이면 회전계가 지시하는 값은?

  1. 1800rpm
  2. 2300rpm
  3. 2700rpm
  4. 4600rpm
(정답률: 76%)
  • 정속 프로펠러는 고정된 회전수로 회전하며, 항공기의 속도를 조절하여 공기저항을 조절하여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프로펠러 회전수는 항상 2300[rpm]이 유지됩니다.

    출력을 1.2배 높인다는 것은 회전수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프로펠러가 만드는 힘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도 프로펠러 회전수는 여전히 2300[rpm]이 유지되며, 회전계가 지시하는 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300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 왕복기관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그네토 1차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압의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일정한 상태를 지속한다.
  4. 전압조절기 맞춤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68%)
  • "증가한다." 마그네토 1차 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증가한다. 이는 파라메터릭 발생 현상에 의한 것으로, 회전하는 자기장이 고정된 자기장을 교차하면서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 교차 속도가 빨라질수록 발생하는 전압의 크기도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스터빈기관의 핫 섹션(Hot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 열응력을 받는다.
  2. 가변 스테이터 베인이 붙어 있다.
  3. 직접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4. 재료는 니켈, 코발트 등의 내열합금이 사용된다.
(정답률: 75%)
  • 정답은 "가변 스테이터 베인이 붙어 있다."이다. 가스터빈기관의 핫 섹션은 큰 열응력을 받으며, 직접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는 내열합금으로 된 재료가 사용된다. 하지만 가변 스테이터 베인은 콤프레서 섹션에 위치하며, 핫 섹션과는 별개의 부분이다. 가변 스테이터 베인은 엔진의 성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터빈기관에서 사용하는 합성오일은 오래 사용할수록 어두운 색깔로 변색되는데 이것은 오일속의 어떤 첨가제가 산소와 접촉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인가?

  1. 점도지수향상제
  2. 부식방지제
  3. 산화방지제
  4. 청정분산제
(정답률: 78%)
  • 가스터빈기관에서 사용하는 합성오일은 고온과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산화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산화는 오일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오일에는 산화방지제가 첨가되어 있어서 오일속의 산소와 접촉되더라도 오래 사용해도 오일이 어두운 색깔로 변색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화방지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가스의 온도 측정 시 저압터빈 입구에서 사용하는 온도 감지센서는?

  1. 열전대(Thermocouple)
  2. 써모스탯(Thermostat)
  3. 써미스터(Thermistor)
  4. 라디오미터(Radiometer)
(정답률: 62%)
  • 열전대(Thermocouple)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금속이 만나는 지점에서 온도 변화에 따라 전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때 저압터빈 입구에서 사용하는 온도 감지센서로는 열전대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초기압력과 체적이 각각 P1=1000N/cm2, V1=1000cm3인 이상기체가 등온상태로 팽창하여 체적이 2000cm3이되었다면, 이 때 기체의 엔탈피 변화는 몇 J인가?

  1. 0
  2. 5
  3. 10
  4. 20
(정답률: 62%)
  • 등온 팽창에서는 내부에너지 변화가 없으므로 엔탈피 변화도 0이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보제트기관과 왕복기관의 오일소비량을 옳게 나타낸것은?

  1.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
  2.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
  3.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
  4.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
(정답률: 71%)
  • 정답: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

    이유: 터보제트기관은 고속 비행을 위해 고온,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여 작동하므로 오일 소비량이 매우 많습니다. 반면에 왕복기관은 오일을 연료로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므로 오일 소비량이 터보제트기관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터보제트기관 ≪ 왕복기관"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일펌프 릴리프밸브(Oil pump relief valve)의 역할은?

  1. 오일냉각기를 보호한다.
  2. 오일계통에 오일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3. 오일계통이 막힐 경우 재순환 회로에 오일을 공급한다.
  4. 펌프출구의 압력이 높을 때 펌프입구로 오일을 되돌린다.
(정답률: 80%)
  • 오일펌프 릴리프밸브는 펌프출구의 압력이 높을 때 펌프입구로 오일을 되돌림으로써, 오일계통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일냉각기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펌프출구의 압력이 높을 때 펌프입구로 오일을 되돌린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기용 왕복기관의 연료계통에서 베이퍼록(Vaporlock)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연료 온도 상승
  2. 연료의 낮은 휘발성
  3. 연료에 작용되는 압력의 저하
  4. 연료탱크 내부 슬로싱(sloshing)
(정답률: 68%)
  • 연료의 낮은 휘발성은 연료가 증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베이퍼록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베이퍼록은 연료가 고온과 저압 상태에서 증발하여 연료계통을 막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연료의 휘발성이 높을수록 베이퍼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용 왕복기관의 플로트(float)식 기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플로트실 유면은 니들밸브와 시트(seat)사이에 와셔(washer)를 첨가하면 유면이 상승한다.
  2. 플로트실 유면은 니들밸브와 시트사이에 와셔를 제거하면 유면이 하강한다.
  3. 주 연료노즐에서 분사양은 플로트실의 압력과 벤투리의 압력차에 따라 결정된다.
  4. 니들밸브와 시트사이의 와셔를 제거하면 공급연료 감소로 혼합비가 희박해진다.
(정답률: 67%)
  • 주 연료노즐에서 분사양은 플로트실의 압력과 벤투리의 압력차에 따라 결정된다. - 이유: 플로트실은 연료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플로트실 내 압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 연료 공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벤투리는 공기를 흡입하여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역할을 하며, 벤투리 내부의 압력차가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 혼합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주 연료노즐에서 분사양은 이 두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기어(Gear)식 오일펌프의 사이드클리어런스(Side clearance)가 크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오일 압력이 높아진다.
  2. 오일 압력이 낮아진다.
  3. 과도한 오일 소모가 나타난다.
  4. 오일펌프에 심한 진동이 발생한다.
(정답률: 51%)
  •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기어식 오일펌프의 사이드클리어런스가 크면 오일이 펌핑될 때 오일이 펌프 내부에서 누수되어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일 압력이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설계하중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종극하중 × 종극하중계수
  2. 한계하중 × 안전계수
  3. 극한하중 × 설계하중계수
  4. 극한하중 × 종극하중계수
(정답률: 72%)
  • 정답은 "한계하중 × 안전계수"이다.

    설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하며, 이는 한계하중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구조물이 실제로 견딜 수 있는 하중은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안전계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며, 일반적으로 1.5 ~ 2.5 사이의 값이 사용된다. 따라서 설계하중은 한계하중에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되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강재료의 표면만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부적절한 것은?

  1. 질화(nisriding)
  2. 침탄(carbonizing)
  3. 숏피닝(shot peening)
  4. 아노다이징(anodizing)
(정답률: 60%)
  • 아노다이징은 표면을 산화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질화, 침탄, 숏피닝 등으로 표면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철강재료의 표면만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아노다이징이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평형 방정식에 관계되는 지지점과 반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롤러 지지점은 수평 반력만 발생한다.
  2. 힌지 지지점은 1개의 반력이 발생한다.
  3. 고정 지지점은 수직 및 수평반력과 회전모멘트 등 3개의 반력이 발생한다.
  4. 롤러 지지점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구속되어 2개의 반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77%)
  • 평형 방정식에서 고정 지지점은 물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직 및 수평반력과 회전모멘트 등 3개의 반력이 발생합니다. 이는 물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롤러 지지점과 힌지 지지점은 각각 구속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반력이 다르기 때문에 다릅니다. 롤러 지지점은 수평 반력만 발생하고, 힌지 지지점은 1개의 반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황동의 주합금 원소는 구리와 무엇인가?

  1. 아연
  2. 주석
  3. 알루미늄
  4. 바나듐
(정답률: 68%)
  • 황동의 주합금 원소는 구리와 아연이다. 이는 황동이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아연은 구리와 함께 사용되면 황동의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조종컬럼이나 조종간에서 힘을 케이블 장치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조종계통의 장치는?

  1. 풀리
  2. 페어리드
  3. 벨 크랭크
  4. 쿼드런트
(정답률: 50%)
  • 쿼드런트는 네 개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힘을 전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조종컬럼이나 조종간에서 힘을 케이블 장치에 전달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거나 두 개 이하의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이 판재를 굽히기 위해서는 Flat A의 길이는 약 몇 인치가 되어야 하는가?

  1. 2.8
  2. 3.7
  3. 3.8
  4. 4.0
(정답률: 69%)
  • 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에서 Flat A와 Flat B의 길이 합이 7.5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Flat B의 길이는 3.8인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Flat A의 길이는 7.5에서 3.8을 뺀 값인 3.7이 된다. 즉, Flat A의 길이는 3.7인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7 × 7 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7개의 와이어를 모두 모아서 한번에 1개의 가닥으로 만든 케이블
  2. 49개의 와이어를 모두 모아서 한번에 1개의 가닥으로 만든 케이블
  3. 7개의 와이어를 모두 모아서 7번 꼬아 1개의 가닥으로 만든 케이블
  4. 7개의 와이어로 만든 가닥 1개를 7개 모아 다시 1개의 가닥으로 만든 케이블
(정답률: 80%)
  • 7 × 7 케이블은 "7개의 와이어로 만든 가닥 1개를 7개 모아 다시 1개의 가닥으로 만든 케이블" 입니다. 이는 7개의 와이어를 한번에 꼬아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7개의 와이어로 각각 가닥을 만들고 이를 다시 7개 모아서 하나의 가닥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접개들이식 착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착륙장치를 업(Up) 또는 다운(Down)시키는 비상장치를 갖추고 있다.
  2. 착륙장치의 다운 락크는 다운 락크 번지(Down Lock Bungee)에 의해 이루어진다.
  3. 착륙장치의 부주의한 접힘은 기계적인 다운 락크, 안전스위치, 그라운드 락크와 같은 안전장치에 의해 예방된다.
  4. 착륙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경고장치가 있고, 혼(Horn) 또는 음성 경고장치와 적색 경고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3%)
  • "착륙장치를 업(Up) 또는 다운(Down)시키는 비상장치를 갖추고 있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날개의 주 구조인 스파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단스파(Mono-spar)
  2. 정형재(Former)
  3. 박스빔(Box Beam)
  4. 다중스파(Multispar)
(정답률: 69%)
  • 정형재(Former)는 날개의 주 구조가 아니라, 항공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형재(Form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기에 사용되는 페일세이프 구조의 방식만으로 나열된것은?

  1. 모노코크구조, 이중구조, 다경로 하중구조, 하중경감구조
  2. 다경로 하중구조, 이중구조, 대치구조, 하중경감구조
  3. 트러스구조, 이중구조, 하중경감구조, 모노코크구조
  4. 다경로 하중구조, 트러스구조, 하중경감구조, 모노코크구조
(정답률: 89%)
  • 페일세이프 구조는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 중 하나로,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러운 하중에 대처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다경로 하중구조는 항공기의 구조를 여러 경로로 연결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중구조는 항공기의 구조를 겹쳐서 만드는 방식으로,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치구조는 항공기의 구조물을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하중에 대처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하중경감구조는 항공기의 구조물을 경사진 각도로 설계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다경로 하중구조, 이중구조, 대치구조, 하중경감구조가 항공기에 사용되는 페일세이프 구조의 방식으로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금속의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곡면 용기를 만드는 작업으로 성형 블록이나 모래주머니를 사용하는 가공 방법은?

  1. 굽힘 가공
  2. 절단 가공
  3. 플랜지 가공
  4. 범핑 가공
(정답률: 60%)
  • 범핑 가공은 금속 시트를 성형 블록이나 모래주머니 없이 곡면 용기로 만드는 가공 방법으로, 금속의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한다. 이는 시트를 원하는 형태로 절곡한 후, 특정 부위에 압력을 가해 금속을 늘려 곡면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성형 블록이나 모래주머니를 사용하는 다른 가공 방법과는 달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양극 산화 처리 작업 방법 중 사용 전압이 낮고, 소모전력량이 적으며, 약품 가격이 저렴하고 폐수 처리도 비교적 쉬워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1. 수산법
  2. 인산법
  3. 황산법
  4. 크롬산법
(정답률: 70%)
  • 황산법은 사용 전압이 낮고, 소모전력량이 적으며, 약품 가격이 저렴하고 폐수 처리도 비교적 쉬워 가장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황산이 산화 작용을 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산화 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전기적인 에너지 소모가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황산은 자연계에서도 많이 존재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폐수 처리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기의 이착륙 중이나 택시 중 랜딩기어 노스 휠(nose wheel)의 이상 진동을 막는 시미 댐퍼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베인(Vane) 타입
  2. 피스톤(Piston) 타입
  3. 스프링(Spring) 타입
  4. 스티어 댐퍼(Steer damper) 타입
(정답률: 51%)
  • 스프링(Spring) 타입은 랜딩기어 노스 휠의 이상 진동을 막기 위해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가지 타입은 베인, 피스톤, 스티어 댐퍼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체 수리방법 중 크리닝 아웃(Cleaning Ou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리밍, 커팅, 파일링 작업을 말한다.
  2. 균열의 끝부분에 뚫는 구멍을 말한다.
  3. 닉크(Nick) 등 판의 작은 홀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4. 날카로운 면 등이 판의 가장자리에 없도록 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65%)
  • 크리닝 아웃은 기체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트리밍, 커팅, 파일링 작업을 말한다."는 기체 내부의 부품들을 정확하게 다듬어서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V-n선도에서 실속속도(Vs)상태로 수평비행하고 있는 항공기의 하중배수(ns)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3%)
  • 주어진 V-n선도에서 실속속도(Vs)는 100kt이고, 항공기가 수평비행하고 있으므로 상승력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승력은 중력과 같아야 하며, 상승력은 항공기의 하중배수(ns)에 비례한다. 따라서 하중배수(ns)는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이 단면적 20cm2, 10cm2 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a-b 구간에 작용하는 응력은 몇 kN/cm2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8%)
  • 단면적 20cm2인 부분에 작용하는 힘은 F1 = 100N 이고, 단면적 10cm2인 부분에 작용하는 힘은 F2 = 50N 이다. 이에 따라 각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은 각각 σ1 = F1/A1 = 100N/20cm2 = 5N/cm2, σ2 = F2/A2 = 50N/10cm2 = 5N/cm2 이다. 따라서 a-b 구간에 작용하는 응력은 5N/cm2 이므로 정답은 "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널 렌칭볼트(Internal wrenching bolt)가 주로 사용되는 곳은?

  1. 정밀공차볼트와 같이 사용된다.
  2. 표준육각볼트와 같이 아무 곳에나 사용된다.
  3. 크레비스볼트(Clevis bolt)와 같이 사용된다.
  4. 비교적 큰 인장과 전단이 작용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정답률: 72%)
  • 인터널 렌칭볼트는 내부에 알렌키 구멍이 있어서 외부에서 알렌렌치를 이용해 조임할 수 있는 볼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비교적 큰 인장과 전단이 작용하는 부분에 사용되는데, 이는 알렌렌치를 이용해 강력한 조임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밀공차볼트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크레비스볼트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표준육각볼트와 같이 아무 곳에나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접선계수(Tangentmodulus)는? (단, 는 점 S1 에서의 접선이다.)

  1. tan α1
  2. tan (α12)
  3. tan α3
  4. tan α2
(정답률: 68%)
  • 접선계수는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점 S1에서의 접선계수는 해당 점에서의 응력 변화에 따른 변형률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그림에서 α3은 S1에서의 변형률이 가장 크게 변하는 구간이므로, 해당 구간에서의 접선계수가 가장 크다. 따라서 정답은 "tan α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손상된 판재의 리벳에 의한 수리작업시 리벳수를 결정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N : 리벳의 수 L : 판재의 손상된 길이 D : 리벳지름 1.15 : 특별계수 t : 손상된 판의 두께 σmax : 판재의 최대인장응력 τmax : 판재의 최대전단응력 이다.)

(정답률: 59%)
  • 답은 "" 이다. 이유는 수리작업시에는 손상된 길이에 따라 리벳의 수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N = L / (t*D)로 계산하면 된다. 이때 t는 특별계수로, 일반적으로 1.15를 사용한다. 또한, 판재의 최대인장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이 각각 σmax와 τmax일 때, 리벳의 수는 N ≤ (σmax / τmax) * (L / D)로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체의 세로방향모형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휨 모멘트와 동체 축방향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담당하는 구조재는?

  1. 외피(Skin)
  2. 프레임(Frame)
  3. 벌크헤드(Bulkhead)
  4. 스트링어(Stringer)와 세로대
(정답률: 71%)
  • 동체의 세로방향모형을 형성하는 것은 스트링어와 세로대이다. 스트링어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담당하며, 세로대는 동체 축방향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담당한다. 따라서 이 두 구조재가 함께 작용하여 동체의 세로방향모형을 형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1차 감시 레이더(Ra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파를 수신만하는 레이더이다.
  2. 전파를 송신만하는 레이더이다.
  3. 송신한 전파가 물체(항공기)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4. 송신한 전파가 물체(항공기)에 닿으면 항공기는 이 전파를 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가한 후 다시 송신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73%)
  • 송신한 전파가 물체(항공기)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 감시 레이더는 전파를 송신하고, 이 전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면 수신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항공기에 외부 전원을 접속할 때 켜지는 표시등이 아닌 것은?

  1. “AUTO” 표시등
  2. “AVAIL” 표시등
  3. “AC CONNECTED” 표시등
  4. “POWER NOT IN USE” 표시등
(정답률: 55%)
  • "“AUTO” 표시등"은 항공기에 외부 전원을 접속할 때 켜지는 표시등이 아닙니다. 이는 자동 조종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일반적으로 항공기 특정 부분에 결빙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전파수신 방해
  2. 계기지시 방해
  3. 항력감소, 양력증가
  4. 항공기의 비행성능 저하
(정답률: 81%)
  • 결빙이 발생하면 항력이 감소하고 양력이 증가하게 되어 항공기의 비행성능이 저하됩니다. 하지만 전파수신 방해나 계기지시 방해는 결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다른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배기가스온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알루멜-크로멜 열전쌍을 사용한다.
  2. 제트기관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 지시하는 계기이다.
  3. 열전쌍의 열기전력은 두 접합점 사이의 온도차에 비례한다.
  4. 열전쌍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평균온도를 얻는다.
(정답률: 62%)
  • "열전쌍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평균온도를 얻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열전쌍은 두 개의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기적으로 연결된 쌍으로, 두 접합점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배기가스온도계는 이러한 열전쌍을 사용하여 제트기관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고 지시하는 계기이다. 이때 열전쌍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평균온도를 얻는다. 이는 여러 개의 열전쌍을 사용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Ground Speed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은?

  1. Air data system
  2. Yaw damper system
  3. Global positioning system
  4. Inertial navigation system
(정답률: 55%)
  • Ground Speed는 비행기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비행기의 위치와 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중에서 Inertial navigation system은 비행기의 가속도와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위치와 속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Inertial navigation system은 Ground Speed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축전지 터미널(Battery terminal)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납땜을 한다.
  2. 증류수로 씻어낸다.
  3. 페인트로 엷은 막을 만들어 준다.
  4. 그리스(Grease)로 엷은 막을 만들어 준다.
(정답률: 83%)
  • 그리스는 부식 방지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그리스는 부식을 일으키는 공기와 수분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전지 터미널에 그리스로 엷은 막을 만들어 줌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유압계통에서 축압기(Accumulator)의 목적은?

  1. 계통의 유압 누설시 차단
  2. 계통의 결함 발생시 유압 차단
  3. 계통의 과도한 압력 상승 방지
  4. 계통의 서지(Surge)완화 및 유압저장
(정답률: 75%)
  • 축압기는 유압계통에서 유압압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계통의 서지(Surge)를 완화하고 유압저장을 가능하게 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계통의 서지(Surge)완화 및 유압저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기 컴퍼스의 오차에서 동적오차에 해당하는 것은?

  1. 와동오차
  2. 불이차
  3. 사분원오차
  4. 반원오차
(정답률: 68%)
  • 와동오차는 자기 컴퍼스의 오차 중에서 지구 자전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합니다. 지구 자전으로 인해 자기장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자기 컴퍼스의 측정값도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동적인 움직임에 의한 오차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와동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브리지(Bridge)회로가 평형 되었을 때 R의 값은? (단, 저항의 단위는 모두 Ω이다.)

  1. 60
  2. 80
  3. 120
  4. 240
(정답률: 80%)
  • 이 회로는 왼쪽과 오른쪽으로 대칭이므로, 중앙의 60Ω 저항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전체 저항은 각각 80Ω과 120Ω이다. 이 두 저항을 병렬 연결하면 전체 저항은 (80 × 120) / (80 + 120) = 48Ω가 된다. 이제 이 저항과 중앙의 60Ω 저항이 직렬 연결되므로, 전체 저항은 48 + 60 = 108Ω가 된다. 이 회로가 평형되었으므로, 왼쪽과 오른쪽의 전압은 같다. 따라서, 왼쪽과 오른쪽의 전류는 각각 (V / 80)A와 (V / 120)A이다. 이 두 전류의 차이는 1A이므로, V / 80 - V / 120 = 1이다. 이를 정리하면 V = 240이므로, R의 값은 240Ω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객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1. Outflow Valve
  2. Recircuition Fan
  3. Pressure Relief Valve
  4. 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
(정답률: 74%)
  • 객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는 "Outflow Valve"이다. 이 장치는 비행기의 기압계와 연결되어 객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며, 객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객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객실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Outflow Valve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승강계, 속도계에도 이용이 된다.
  2. 밀폐식 공함을 아네로이드라고 한다.
  3. 공함은 기계적 변위를 압력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다.
  4. 공함재료는 탄성한계 내에서 외력과 변위가 직선적으로 비례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공함재료는 탄성한계 내에서 외력과 변위가 직선적으로 비례한다." 이다. 공함은 외력을 압력으로 변환해주는 장치이며, 승강계나 속도계에서도 사용된다. 밀폐식 공함을 아네로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장거리 항법장치가 아닌 것은?

  1. INS
  2. 지문항법
  3. 오메가
  4. 도플러항법
(정답률: 62%)
  • 지문항법은 항법장치가 아니라 생체인식 기술로, 손가락 지문을 이용하여 개인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문항법"이다. INS는 관성항법, 오메가는 전파항법, 도플러항법은 음파항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항공 교통 관제(ATC)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서 Mode C의 질문에 대해 항공기가 응답하는 비행고도는?

  1. 진고도
  2. 절대고도
  3. 기압고도
  4. 객실고도
(정답률: 46%)
  • Mode C는 ATC에서 항공기의 고도를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항공기가 응답하는 고도는 기압고도이다. 이는 항공기가 대기압에 따라 측정한 고도로, ATC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항공기의 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기압고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공기에서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1. 정류기(Rectifier)
  2. 인버터(Inverter)
  3. 컨버터(Converter)
  4. 변압기(Transformer)
(정답률: 83%)
  •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전원은 교류가 아닌 직류이다. 따라서, 항공기 내에서 교류를 사용해야 하는 기기들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를 인버터(Inverter)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답은 "인버터(Inver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항공기에서 화재탐지를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곳은?

  1. 조종실내
  2. 화장실
  3. 동력장치
  4. 화물실
(정답률: 80%)
  • 조종실내에는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화재탐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화장실, 동력장치, 화물실 등은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탐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지향성 전파를 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는?

  1. Loop
  2. Sense
  3. Dipole
  4. Probe
(정답률: 81%)
  • Loop 안테나는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수신하는 안테나로, 지향성 전파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Loop 안테나는 방향성이 있어서 특정 방향에서 오는 전파를 강하게 수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착륙 및 유도 보조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커 비컨
  2. 관성항법장치
  3. 로컬라이저
  4. 글라이더슬로프
(정답률: 84%)
  • 착륙 및 유도 보조장치 중에서는 마커 비컨, 로컬라이저, 글라이더슬로프가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작동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유도하는 반면, 관성항법장치는 비행기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므로, 다른 보조장치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착륙장치의 경보회로에서 그림과 같이 바퀴가 완전히 올라가지도 내려가지도 않는 상태에서 스크롤레버를 줄이게되면 일어나는 현상은?

  1. 버저만 작동된다.
  2. 녹색등만 작동된다.
  3. 버저와 적색등이 작동된다.
  4. 녹색등과 적색등 모두 작동된다.
(정답률: 76%)
  • 바퀴가 완전히 올라가지도 내려가지도 않는 상태에서 스크롤레버를 줄이면 착륙장치가 작동하지 않아서 경보회로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버저와 적색등이 작동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압계통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여압계통이 오자동을 하기 때문
  2. 압력 릴리프밸브 조절이 잘못 됐기 때문
  3. 리저버(Reservoir)내에 작동유가 너무 많기 때문
  4. 사용하고 있는 작동유의 등급이 적당치 못하기 때문
(정답률: 67%)
  • 압력 릴리프밸브는 유압계통에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력 릴리프밸브 조절이 잘못되면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유압계통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회전계 발전기(Tacho-Generator)에서 3개의 선중 2개선이 바꾸어 연결되면 지시는 어떻게 되겠는가?

  1. 정상지시
  2. 반대로 지시
  3. 다소 낮게 지시
  4. 작동하지 않는다.
(정답률: 77%)
  • 회전계 발전기에서 2개선이 바뀌어 연결되면 회전계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어 반대로 지시하게 됩니다. 이는 회전계 발전기의 작동 원리 때문인데, 회전계 발전기는 회전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면 발생하는 전압의 방향도 바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개선이 바뀌어 연결되면 회전계의 지시 방향도 반대로 바뀌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