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항공산업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공기의 동점성계수 단위로 옳은 것은?

  1. Stroke
  2. poise
  3. cm/s
  4. g/cm-s
(정답률: 64%)
  • 공기의 동점성계수의 단위는 poise입니다. Stroke는 길이의 단위이며, cm/s는 속도의 단위, g/cm-s는 질량밀도와 동점성계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항공기 중량이 900kgf, 날개면적이 10m2인 제트 항공기가 수평 등속도로 비행할 때 추력은 몇 kgf인가? (단, 양향비는 3 이다.)

  1. 300
  2. 250
  3. 200
  4. 150
(정답률: 84%)
  • 추력 = 중력 + 마찰력 + 양향력
    중력 = 질량 x 중력가속도 = 900 x 9.8 = 8820N
    마찰력은 등속운동이므로 0N
    양향력 = 1/2 x 공기밀도 x 비행기 속도의 제곱 x 날개면적 x 양향비 = 1/2 x 1.2 x (v^2) x 10 x 3 = 18v^2
    따라서 추력 = 8820 + 18v^2
    등속비행이므로 추력 = 중력
    8820 + 18v^2 = 900 x 9.8
    18v^2 = 8820 - 8820
    v^2 = 0
    v = 0
    따라서 추력 = 8820 + 18(0)^2 = 8820N = 900kgf
    정답은 "3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펠러의 역할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항공기의 전진속도에 의해 풍차회전을 일으킨다.
  2. 기관으로부터 지시마력을 받아 양력을 발생시킨다.
  3. 기관으로부터 제동마력을 받아 양력을 발생시킨다.
  4. 기관으로부터 제동마력을 받아 추력을 발생시킨다.
(정답률: 61%)
  • 프로펠러는 항공기의 엔진에서 발생한 제동마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관으로부터 제동마력을 받아 추력을 발생시킨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행기의 세로안정과 관련된 꼬리날개 부피(Tail volume)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수평꼬리날개의 면적 × 수평꼬리날개의 두께
  2. 수평꼬리날개의 길이 × 날개의 공기역학적 중심에서 수평꼬리날개의 압력중심까지의 거리
  3. 수평꼬리날개의 면적 × 무게중심에서 수평꼬리날개의 압력중심까지의 거리
  4. 수평꼬리날개의 길이 × 무게중심에서 수평꼬리날개의 압력중심까지의 거리
(정답률: 67%)
  • 정답은 "수평꼬리날개의 면적 × 무게중심에서 수평꼬리날개의 압력중심까지의 거리"입니다.

    비행기의 세로안정은 비행기의 중심축 주변에서 발생하는 회전운동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회전운동은 비행기의 무게중심과 압력중심 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유발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게중심과 압력중심 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꼬리날개는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꼬리날개의 부피는 비행기의 세로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꼬리날개 부피는 수평꼬리날개의 면적과 무게중심에서 수평꼬리날개의 압력중심까지의 거리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꼬리날개가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멘트를 생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키놀이 진동시 속도와 고도는 변화하나 받음각이 일정하고 수직방향의 가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 주기 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단주기 운동
  2. 승강키 주기 운동
  3. 장주기 운동
  4. 도움날개 주기 운동
(정답률: 67%)
  • 장주기 운동은 주기가 긴 운동을 의미합니다. 키놀이 진동시 속도와 고도가 변화하지만, 받음각이 일정하고 수직방향의 가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 주기 운동이기 때문에 이는 장주기 운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주기 운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플랩 앞전이 시일(seal)로 밀폐되어 있어서 플랩 상·하면의 압력차에 의해서 오버행밸런스(Over Hang balance)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1. 탭 밸런스(Tap balance)
  2. 혼 밸런스(Horn balance)
  3. 프리즈 밸런스(Frise balance)
  4. 인터널 밸런스(Internal balance)
(정답률: 49%)
  • 플랩 앞전이 시일로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 상·하면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내부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어 밸런스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밸런스를 인터널 밸런스(Internal balance)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널 밸런스(Internal bala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평스핀과 수직스핀의 낙하속도와 회전각속도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수평스핀 낙하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2. 수평스핀 낙하속도<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3. 수평스핀 낙하속도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4. 수평스핀 낙하속도<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정답률: 83%)
  • 정답은 "수평스핀 낙하속도<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입니다.

    수평스핀은 공의 중심이 수평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낙하속도가 더 느리고, 회전각속도가 더 빠릅니다. 반면에 수직스핀은 공의 중심이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낙하속도가 더 빠르고, 회전각속도가 더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정 고도에서 정상수평비행시 그림과 같은 마력곡선을 갖는 비행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속속도는 300 mph 이다.
  2. 최대속도는 500 mph 이다.
  3. 300 mph에서 잉여마력은 22hp 이다.
  4. 제트비행기의 전형적인 마력곡선이다.
(정답률: 56%)
  • 정상수평비행시에는 잉여마력이 0이므로, 최대속도는 잉여마력이 0이 되는 지점인 500 mph일 때이다. 따라서 최대속도는 500 mp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기수가 오히려 내려가는 경향이 생겨 조종간을 당겨야 하는 현상은?

  1. 더치롤(Dutch roll)
  2. 턱언더(Tuck under)
  3. 내리흐름(Down wash)
  4. 나선 불안정(Spiral divergence)
(정답률: 90%)
  • 턱언더(Tuck under)는 비행기가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기체의 압력 중심이 이동하면서 기체의 각도가 커지고, 이로 인해 기체의 공기역학적 안정성이 감소하여 기체가 내려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주로 고속 비행기에서 발생하며, 조종간을 당겨서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턱언더(Tuck unde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라이트형제는 인류 최초의 유인동력비행을 성공하던 날 최고기록으로 59초 동안 이륙 지점에서 250m 지점까지 비행하였다. 당시 측정된 43Km/h 의 정풍을 고려한다면 대기속도는 약 몇 Km/h 인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71%)
  • 대기속도는 비행체가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말한다. 따라서, 라이트형제의 비행기가 이륙 지점에서 250m 지점까지 59초 동안 비행한 거리를 고려하여 대기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비행거리 = 250m
    비행시간 = 59초
    비행속도 = 비행거리 / 비행시간 = 250 / 59 = 4.2373m/s

    또한, 정풍이 43Km/h 이므로, 이를 m/s 단위로 변환하여 비행속도와 대기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정풍 = 43Km/h = 43 * 1000 / 3600 = 11.9444m/s

    따라서, 비행속도는 4.2373m/s 이고, 정풍은 11.9444m/s 이므로, 대기속도는 비행기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속도인 비행속도와 정풍의 차이인 11.9444 - 4.2373 = 7.7071m/s 이다.

    이를 Km/h 단위로 변환하면, 7.7071 * 3600 / 1000 = 27.7456Km/h 이므로, 대기속도는 약 28Km/h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대기속도를 20, 40, 60, 80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30Km/h 또는 20Km/h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60이므로, 정답은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콥터 주회전날개의 공력 및 회전 동역학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진비행 속도의 증가에 따라 역풍영역(Reverse flowzone)이 증가한다.
  2. 주회전날개의 리드-래그 힌지(Lead-lag hinge)가 없으면 전진비행이 불가능하다.
  3. 전진비행 속도의 증가에 따라 좌우측 주회전날개 회전면에서 공기속도의 불균형이 증가한다.
  4. 주회전날개에 설치된 다양한 힌지 중 플래핑 힌지(Flapping hinge)가 헬리콥터 기동비행능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정답률: 69%)
  • "주회전날개의 리드-래그 힌지(Lead-lag hinge)가 없으면 전진비행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주회전날개의 리드-래그 힌지는 전진비행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프로펠러 진행비(Advance drag)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n : 프로펠러 회전속도, D : 프로펠러 지름,V : 속도이다.)

(정답률: 82%)
  • 프로펠러 진행비(Advance drag)는 프로펠러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힘 중에서, 프로펠러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이는 프로펠러 지름(D)과 속도(V)의 제곱에 비례하며, 회전속도(n)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형상항력(Profile drag)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압력항력, 마찰항력
  2. 압력항력, 유도항력
  3. 마찰항력, 유도항력
  4. 유해항력, 유도항력
(정답률: 75%)
  • 형상항력은 압력항력과 마찰항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압력항력은 공기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마찰항력은 공기와 물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압력항력, 마찰항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사각형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나타낸 식으로 틀린 것은? (단, b : 날개의 길이, c : 날개의 시위, s : 날개의 면적이다.)

  1. b/c
  2. b2/s
  3. s/c2
  4. c2/s
(정답률: 78%)
  • 정답은 "s/c2" 이다.

    직사각형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가로 길이를 세로 길이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b/c"가 맞다.

    날개의 면적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b2/s"가 틀렸다.

    날개의 시위는 날개의 면적을 날개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s/c2"가 맞다.

    따라서 정답은 "s/c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압축성 유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밀도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
  2. 비압축성 유체에서 음속의 크기는 영이다.
  3. 초음속 영역에서의 유체는 비압축성으로 가정해도 된다.
  4. 큰 배관에서 발생하는 수격현상은 대표적인 비압축성 유동의 예이다.
(정답률: 71%)
  • 비압축성 유체는 밀도의 변화가 작아서 일반적으로 밀도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 이는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을 간단하게 만들어준다. 따라서 비압축성 유체에서는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동압, 정압 및 전압과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동압 = 전압 × 정압
  2. 전압 = 정압 + 동압
  3. 정압 = 전압 + 동압
  4. 정압 = 동압 ÷ 전압
(정답률: 83%)
  • 정압은 유체나 기체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를 말하며, 이는 유체나 기체의 밀도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압은 유체나 기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동압은 유체나 기체가 흐르는 물체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압력을 말합니다. 이는 유체나 기체의 속도, 밀도, 유동성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전압은 전기 회로에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인 압력을 말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저항, 전류, 전하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전압 = 정압 + 동압"이 옳은 관계입니다. 이는 전압이 유체나 기체의 정압과 동압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수압이 2바(bar)이고 물이 흐르는 파이프의 직경이 작아서 동압이 1바(bar)이라면, 전압은 3바(bar)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정익 항공기의 실속속도(Stall speed)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날개하중의 증가
  2. 비행 고도의 증가
  3. 선회반경의 증가
  4. 최대 양력계수의 감소
(정답률: 47%)
  • 선회반경의 증가는 고정익 항공기의 실속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선회반경이란 비행기가 한 바퀴 돌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말하는데, 이는 비행기의 회전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선회반경의 증가는 비행기의 회전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지, 실속속도를 증가시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활공비행의 한 종류인 급강하 비행시(활공각 90°)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양력, D=항력, W=항공기 무게이다.)

  1. L = D
  2. D = 0
  3. D = W
  4. D + W = 0
(정답률: 76%)
  • 정답: D = W

    활공각 90°인 급강하 비행시에는 항력이 최대가 되고, 양력은 0이 된다. 이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은 항력과 중력의 합력인 항공기 무게와 같아진다. 따라서 D = 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헬리콥터의 코리오리스 효과를 주는 코리오리스 가속도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r : 헬리콥터의 반지름, V : 법선방향의 속도, ω : 각속도이다.)

(정답률: 51%)
  • 헬리콥터가 회전하면서 공기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기의 상대적인 운동량 변화로 인해 코리오리스 효과가 발생한다. 이 효과는 헬리콥터의 반지름 r, 법선방향의 속도 V, 그리고 각속도 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옳은 코리오리스 가속도는 ""이다. 이 식에서 r × V는 공기의 운동량 변화를 나타내고, 2 × ω × V는 이 운동량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코리오리스 효과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기의 임계 마하수(Critical mach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비행기의 임계 마하수는 0.8이다.
  2. 비행기가 비행할 때 최초로 충격파가 발생될 때의 마하수이다.
  3. 일반적으로 임계 마하수는 항력발산 마하수보다 값이 크다.
  4. 저속 프로펠러 비행기에서 아주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정답률: 76%)
  • 비행기가 비행할 때 공기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빨라지면, 공기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충격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의 속도를 임계 마하수라고 하며, 비행기의 구조와 기체의 특성에 따라 값이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비행기가 비행할 때 최초로 충격파가 발생될 때의 마하수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지시마력이 80hp 인 항공기 왕복기관의 제동마력이 64hp 라면 기계효율은?

  1. 0.20
  2. 0.25
  3. 0.80
  4. 1.25
(정답률: 72%)
  • 기계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출력은 왕복기관의 제동마력인 64hp이고, 입력은 지시마력인 80hp입니다. 따라서 기계효율은 64 ÷ 80 = 0.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과급기(Supercharger)를 장착하지 않은 왕복기관의 경우 표준 해면상(Sea level)에서 최대 흡기압력(Maximmmanifold pressure)은 몇 inHg 인가?

  1. 17
  2. 27.2
  3. 29.92
  4. 30.92
(정답률: 89%)
  • 표준 해면상에서 대기압은 29.92 inHg 이므로, 과급기를 장착하지 않은 왕복기관의 최대 흡기압력도 이와 같은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스터빈기관에서 rpm의 변화가 심할 때 그 원인이 아닌 것은?

  1. 주연료장치 고장
  2. 연료 라인의 결빙
  3. 가변 정기 베인 리깅 불량
  4. 연료 부스터의 압력의 불안정
(정답률: 47%)
  • 가스터빈기관에서 rpm의 변화가 심할 때, 연료 라인의 결빙이 원인이 아닌 것은 다른 보기들이 모두 가스터빈기관의 연료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주연료장치 고장, 가변 정기 베인 리깅 불량, 연료 부스터의 압력의 불안정은 모두 연료 공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반면에 연료 라인의 결빙은 연료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료 라인의 결빙은 가스터빈기관에서 rpm의 변화가 심할 때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압 점화 케이블을 유연한 금속제 관속에 넣어 느슨하게 장착하는 주된 이유는?

  1. 접지회로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2. 고고도에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케이블 피복제의 산화와 부식을 방지
  4. 작동 중 고주파의 전자파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정답률: 56%)
  • 고압 점화 케이블은 작동 중 고주파의 전자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줄이기 위해 유연한 금속제 관속에 느슨하게 장착하여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의 이론 열효율을 옳게 표시한 것은? (단, rp 압력비, k 비열비이다.)

(정답률: 39%)
  • 브레이튼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은 1-로 표시된다. 이는 열기관에서의 열효율과 마찬가지로, 입력 열과 출력 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 열과 출력 열의 차이가 작을수록 이론 열효율은 높아진다. 이를 통해 브레이튼 사이클에서는 압축과 팽창 과정에서 열 손실이 적게 발생하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고고도에서 비행시 조종사가 연료/공기 혼합비를 조정하는 주된 이유는?

  1.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역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3. 실린더를 냉각하기 위하여
  4. 혼합비가 농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85%)
  • 고고도에서는 공기가 밀도가 낮아져서 연료와 공기가 제대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혼합비가 농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종사는 연료/공기 혼합비를 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왕복기관에 노크현상을 일으키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압축비
  2. 연료의 옥탄가
  3. 실린더 온도
  4. 연료의 이소옥탄
(정답률: 57%)
  • 왕복기관에서 노크현상을 일으키는 요소는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발음과 진동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 중에서 연료의 이소옥탄은 노크현상을 일으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소옥탄은 옥탄가보다 연소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고압 상태에서 연소할 때 폭발적인 연소가 일어나 노크현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의 이소옥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스터빈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윤활계통의 형식은?

  1. dry sump, jet and spray
  2. dry sump, dip and splash
  3. wet sump, spray and splash
  4. wet sump, dip and pressure
(정답률: 73%)
  • 가스터빈기관은 고속 회전으로 인해 윤활유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윤활계통은 dry sump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윤활유를 별도의 탱크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젯과 스프레이를 통해 윤활유를 분사하여 엔진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는 윤활유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엔진 내부의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윤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dry sump, jet and spray"가 가스터빈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윤활계통의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속 프로펠러(Constant-Speed Propeller)는 기관속도를 정속(on-speed)으로 유지하기 위해 프로펠러 피치를 자동으로 조정해 주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은 어떤 장치에 의해 조정되는가?

  1. 3-way 밸브
  2. 조속기(Governor)
  3. 프로펠러 실린더(Propeller cylinder)
  4. 프로펠러 허브 어셈블리(Propeller hub aseembly)
(정답률: 88%)
  • 정속 프로펠러는 기관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로펠러 피치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조속기(Governor)입니다. 조속기는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프로펠러 피치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기관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속 프로펠러에서는 조속기가 프로펠러 피치를 조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스터빈기관에서 연료계통의 여압 및 드레인 밸브(P&D valve)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일정 압력까지 연료 흐름을 차단한다.
  2. 1차 연료와 2차 연료 흐름으로 분리한다.
  3.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4. 기관 정지시 노즐에 남은 연료를 외부로 방출한다.
(정답률: 63%)
  • 연료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은 가스터빈기관의 연료계통에서 드레인 밸브(P&D valve)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 밸브는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하여 가스터빈기관의 안전한 운전을 도와줍니다. 따라서 "연료 압력이 규정치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왕복기관의 오일 냉각이 흐름조절 밸브(Oil coolerflow control valve)가 열리는 조건은?

  1. 기관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
  2. 기관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3. 기관오일펌프 배출체적이 소기펌프 출구체적보다 클 때
  4. 소기펌프 배출체적이 기관오일펌프 입구체적보다 클 때
(정답률: 47%)
  • 왕복기관에서 나오는 오일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교환기를 통해 오일을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흐름조절 밸브가 열리게 됩니다. 이는 오일의 온도를 유지하고 오일의 냉각을 제어하여 기관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기관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행 중 기관 고장시 프로펠러를 페더링(Feathering)시켜야 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기관의 진동을 유발해 화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2. 풍차(Windmill)효과로 인해 추력을 얻기 위하여
  3. 프로펠러 회전을 멈춰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전면과 후면의 차압으로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7%)
  • 프로펠러를 페더링시켜 멈추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프로펠러가 계속 회전하면서 고장이 발생하면, 이로 인해 더 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펠러를 멈추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터빈기관의 추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옥탄가
  2. 고도
  3. 기관RPM
  4. 비행속도
(정답률: 68%)
  • 옥탄가는 연료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스터빈기관의 추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고도, 기관 RPM, 비행속도는 가스터빈기관의 작동과 관련된 요소로, 추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왕복기관의 부자식 기화기에서 부자실(Float chamber)의 연료 유면이 높아졌을 때 기화기에서 공급하는 혼합비는 어떻게 변하는가?

  1. 농후해진다.
  2. 희박해진다.
  3. 변하지 않는다.
  4. 출력이 증가하면 희박해진다.
(정답률: 79%)
  • 부자실의 연료 유면이 높아지면 부자실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부자식 기화기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증가하면서 공기의 비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혼합비가 농후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력비가 1.6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3일 때 압축기의 반동도는?

  1. 0.2
  2. 0.3
  3. 0.5
  4. 0.6
(정답률: 56%)
  • 압력비와 압력 상승비를 곱하면 압축기의 총 압력비가 나온다. 따라서 1단당 압력비 1.6과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 1.3을 곱하면 총 압력비는 2.08이 된다. 반동도는 압축기의 총 압력비에서 1을 빼고, 그 결과를 압축기의 총 압력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2.08-1)/2.08 = 0.52가 되며, 반동도는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독립된 소형 가스터빈기관으로 외부의 동력 없이 기관을 시동시키는 시동 계통은?

  1. 전동기식 시동계통
  2. 공기 터빈식 시동계통
  3. 가스 터빈식 시동계통
  4. 시동-발전기식 시동계통
(정답률: 46%)
  • 가스 터빈식 시동계통은 독립된 소형 가스터빈기관을 사용하여 외부의 동력 없이 기관을 시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가스터빈기관이 작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관을 시동시키는 것이며, 전동기식 시동계통이나 공기 터빈식 시동계통과는 달리 외부의 전원이나 공기압 등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시동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기관과 비교한 가스터빈기관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단위추력당 중량비가 낮다.
  2. 대부분의 구성품이 회전운동으로 이루어져 진동이 많다.
  3. 고도에 따라 출력을 유지하기 위한 과급기가 불필요하다.
  4. 가스터빈기관은 롤러베어링 또는 볼베어링을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2%)
  • 가스터빈기관의 특징 중 "대부분의 구성품이 회전운동으로 이루어져 진동이 많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가스터빈기관은 회전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균형 잡힌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진동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윤활계통 중 오일탱크의 오일을 베어링까지 공급해주는 것은?

  1. 드레인계통(Drain System)
  2. 가압계통(Pressure System)
  3. 브레더계통(Breather System)
  4. 스케빈지계통(Scavenge System)
(정답률: 64%)
  • 오일탱크에서 베어링까지 오일을 공급하는 것은 가압계통(Pressure System)입니다. 이는 오일을 탱크에서 펌핑하여 베어링에 가압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오일의 윤활성능을 유지하고 베어링의 마찰을 감소시켜 기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드레인계통, 브레더계통, 스케빈지계통은 각각 오일의 배출, 공기순환, 오일 회수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공기 흡입기관이 아닌 제트기관은?

  1. 로켓
  2. 램제트
  3. 펄스제트
  4. 터보 팬
(정답률: 90%)
  • 로켓은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연료와 산화제를 혼합하여 내부에서 연소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이기 때문에 공기 흡입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의 이상적인 기본 사이클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단열압축→등적가열→단열팽창→등적방열
  2. 단열압축→등압가열→단열팽창→등적방열
  3. 단열압축→등적가열→등압가열→단열팽창
  4. 단열압축→등압가열→단열팽창→등압방열
(정답률: 71%)
  • 브레이튼 사이클은 가열기에서의 열 전달과 냉각기에서의 열 전달이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한 열기관 사이클이다. 이상적인 기본 사이클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단열압축: 가스가 압축되면서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열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단열 압축이라고 한다.
    2. 등압가열: 가스가 가열기에서 열을 받으면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가스는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한다.
    3. 단열팽창: 가스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하락한다. 이때 열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단열 팽창이라고 한다.
    4. 등압방열: 가스가 냉각기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가스는 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하락한다.

    따라서 정답은 "단열압축→등압가열→단열팽창→등압방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유효길이 16in인 토크렌치와 유효길이 4in인 연장공구를 사용하여 1500 in-lb의 토크를 이루려면 이때 필요한 토크렌치의 토크는 몇 in-lb 인가?

  1. 1000
  2. 1200
  3. 1300
  4. 1500
(정답률: 72%)
  • 유효길이 16in인 토크렌치와 유효길이 4in인 연장공구를 사용하면 총 유효길이는 20in이 된다. 따라서 1500 in-lb의 토크를 이루기 위해서는 20in에서 필요한 토크렌치의 토크를 구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1500 in-lb ÷ 20in = 75 in-lb가 된다. 그러나 이는 연장공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토크렌치의 토크이므로, 연장공구의 길이 4in을 고려하여 다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토크렌치의 토크는 75 in-lb × 4in = 300 in-lb가 된다. 이때, 연장공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토크렌치의 토크 1200 in-lb는 연장공구를 사용한 경우의 토크인 300 in-lb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1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항공기기관을 장착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나셀
  2. 포드
  3. 카울링
  4. 킬빔
(정답률: 80%)
  • 킬빔은 항공기기관을 보호하거나 장착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건축물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정답은 "킬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판금 성형법의 접기가공(Fold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굴곡반경이란 가공된 재료와 곡선상의 내측 반경을 말한다.
  2. 얇은 판이나 플레이트 등을 굴곡하는 것을 접기가공이라 한다.
  3. 세트백은 굽힘 접선에서 성형점까지의 길이를 나타낸것이다.
  4. 스프링백의 양은 굽힘 반지름, 굽힘 각과는 관계없고 재질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70%)
  • 스프링백의 양은 굽힘 반지름, 굽힘 각과는 관계없고 재질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스프링백은 접기가공 시에 생기는 재료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반향 현상을 막기 위해 필요한 추가 길이를 말한다. 이 추가 길이는 굽힘 반지름, 굽힘 각과는 관계없이 재질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날개를 구성하는 주요부재로만 나열된 것은?

  1. 외피, 세로대. 스트링거, 리브
  2. 외피, 벌크헤드, 스트링거, 리브
  3. 날개보, 리브, 벌크헤드, 외피
  4. 날개보, 리브, 스트링거, 외피
(정답률: 82%)
  • 주요부재로는 날개보, 리브, 스트링거, 외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날개보: 날개의 기본 구조물로, 날개의 길이를 결정하고 날개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 리브: 날개보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날개의 강도를 높이고, 날개의 형상을 유지합니다.
    - 스트링거: 리브와 수평으로 연결되어 날개의 강도를 높이고, 날개의 형상을 유지합니다.
    - 외피: 날개의 표면을 덮는 부분으로, 공기저항을 줄이고 날개의 형상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이들 부재가 모두 함께 작동하여 항공기의 날개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기 타이어를 밸런싱(Balancing)하는 주된 목적은?

  1. 진동과 과도한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2. 브레이크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 비행 중 타이어의 회전을 막기 위하여
  4. 1차 조종면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답률: 73%)
  • 항공기 타이어를 밸런싱하는 주된 목적은 "진동과 과도한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입니다. 타이어가 밸런싱되지 않으면 비행 중에 진동이 발생하고, 이는 비행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마모는 타이어 수명을 단축시키고 교체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타이어를 밸런싱하여 진동과 과도한 마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두랄루민을 시작으로 개량되기 시작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내식성보다도 강도를 중시하여 만들어진 것은?

  1. 1100
  2. 2014
  3. 3003
  4. 5056
(정답률: 74%)
  • 두랄루민이 개량되면서 만들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 2014는 내식성보다도 강도를 중시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작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소형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외피는 공기력의 전달만을 하도록 되어있는 항공기 구조형식은?

  1. 응력외피구조
  2. 트러스구조
  3. 샌드위치구조
  4. 페일세이프구조
(정답률: 80%)
  • 트러스구조는 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제작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소형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외피는 공기력의 전달만을 하도록 되어있는 항공기 구조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그래프를 갖는 완충장치의 효율은 약 몇 %인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88%)
  • 완충장치의 효율은 (출력 에너지) / (입력 에너지)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그래프에서 출력 에너지는 50J이고, 입력 에너지는 100J이므로, 효율은 (50/100) x 100 = 5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체표면과 공기와의 마찰열이 높은 초음속 항공기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1. 주철
  2. 니켈 크롬강
  3. 마그네슘 합금
  4. 티타늄 합금
(정답률: 81%)
  • 티타늄 합금은 경량화와 강도가 높은 재료로, 기체표면과 공기와의 마찰열이 높은 초음속 항공기의 재료로 적합합니다. 또한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과 고압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볼트의 부품번호가 AN 3 DD 5 A 인 경우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볼트의 재질을 의미한다.
  2. 나사 끝에 구멍이 없음을 의미한다.
  3. 볼트 머리에 두 개의 구멍이 있음을 의미한다.
  4. 미해군과 공군에 의한 규격으로 승인된 부품이다.
(정답률: 68%)
  • 정답은 "나사 끝에 구멍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다.

    AN 3 DD 5 A에서 A는 나사 끝에 대한 특정한 특성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A는 "나사 끝에 구멍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나사 끝이 완전히 매끄러워서 구멍이 없음을 나타낸다. 이는 나사가 특정 부품에 고정될 때 부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요한 특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리벳작업을 위한 구멍뚫기 작업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드릴작업 전 리밍작업을 한다.
  2. 구멍은 리벳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
  3. 리밍작업 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회전방향을 한쪽 방향으로만 가공한다
  4. 드릴작업 후 구멍의 버(Burr)는 되도록 보존하도록 한다.
(정답률: 53%)
  • 리밍작업 시 회전방향을 한쪽 방향으로만 가공하는 것은, 리벳을 꽂을 때 구멍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회전방향을 바꾸면 구멍의 모양이 불규칙해져서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불꽃은?

  1. 탄화불꽃
  2. 증성불꽃
  3. 산화불꽃
  4. 활성불꽃
(정답률: 57%)
  • 알루미늄 합금은 산화되기 쉬우므로 산화불꽃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은 높은 증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증성불꽃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활성불꽃은 금속을 용해시키는 데 사용되는 불꽃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불꽃은 탄화불꽃입니다. 탄화불꽃은 산화되지 않는 불꽃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 적합한 불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기가 효율적인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조종면의 앞전이 무거운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평형상태(On Balance)
  2. 과대평형(Over Balance)
  3. 과소평형(Under Balance)
  4. 정적평형(Static Balance)
(정답률: 72%)
  • 항공기가 효율적인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조종면의 앞전이 무거운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것은 과대평형(Over Balance)이라고 합니다. 과대평형은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는 과대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케이블 턴버클 안전결선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배럴의 경사구멍에 핀을 꽂아 핀이 들어가지 않으면 양호한 것이다.
  2. 단선식 결선법은 턴버클 엔드에 최소 6회 감아 마무리한다.
  3. 복선식 결선법은 케이블 직경이 1/8in 이상인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4. 턴버클 엔드의 나사산이 배럴 밖으로 5개 이상 나오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69%)
  • 케이블 턴버클 안전결선 방법 중 복선식 결선법은 케이블 직경이 1/8in 이상인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복선식 결선법은 두 개의 케이블을 함께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케이블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단선식 결선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두께가 0.01in 인 판의 전단흐름이 30 lb/in 일 때 전단응력은 몇 lb/in2인가?

  1. 3000
  2. 300
  3. 30
  4. 0.3
(정답률: 70%)
  • 전단응력은 전단흐름을 판의 두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30 lb/in ÷ 0.01in = 3000 lb/in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테어무게(Tare we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에 인가된 최대중량을 의미한다.
  2. 항공기에 장착된 모든 운용 장비품을 포함한 무게를 의미한다.
  3. 중량 측정시 사용하는 보조장치 촉(choke), 블록(Block), 지지대(Stand) 등의 무게를 의미한다.
  4. 항공기에 사용되는 작동유, 기관 냉각액 등의 총무게를 의미한다.
(정답률: 70%)
  • 테어무게(Tare weight)는 중량 측정시 사용하는 보조장치 촉(choke), 블록(Block), 지지대(Stand) 등의 무게를 의미합니다. 즉, 이러한 보조장치들의 무게를 미리 제외한 항공기의 순수한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수송기의 V-n 선도에서 A와 D의 연결선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돌풍 하중배수
  2. 양력계수
  3. 설계 순항속도
  4. 설계제한 하중배수
(정답률: 77%)
  • A와 D의 연결선은 설계 순항속도를 나타낸다.
    "설계제한 하중배수"는 구조물이나 기계 등을 설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제한하는 계수이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구조물이나 기계의 재료, 크기, 형태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설계제한 하중배수"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이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지만, "설계제한 하중배수"는 설계에 제한을 두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은?

  1. 크랙(Crack)
  2. 피로(Fatigue)
  3. 크리프(Creep)
  4. 응력집중(Stress Concentration)
(정답률: 86%)
  • 크리프는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약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률이 증가하다가 결국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프는 재료의 수명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케이블 조종 계통(Cable control system)에서 케이블 안내기구로 사용되는 것은?

  1. 풀리(Pulley)
  2. 벨크랭크(Bell crank)
  3. 토크튜브(Torque tube)
  4. 푸시-풀 로드(Push-Pull rod)
(정답률: 64%)
  • 케이블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필요합니다. 이때 케이블 안내기구인 풀리(Pulley)는 케이블을 고정하고 움직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해줍니다. 따라서 케이블 조종 계통에서 케이블 안내기구로 풀리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학적 피막 처리 방법의 하나로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 0.00001~0.00005in의 크로메이트처리(Chromatetreatment)를 하여 내식성과 도장 작업의 접착 효과를 증진시키는 부식방지 처리방법은?

  1. 알로다인처리
  2. 알크레이드처리
  3. 양극산화처리
  4. 인삼염피막처리
(정답률: 51%)
  • 알로다인처리는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 알로다인이라는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부식방지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크로메이트처리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며, 내식성과 도장 작업의 접착 효과를 증진시킵니다. 따라서, 알로다인처리가 크로메이트처리와 같은 부식방지 처리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유압계통에 사용되는 작동유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열을 흡수한다.
  2. 필요한 요소 사이를 밀봉한다.
  3. 움직이는 기계요소를 윤활시킨다.
  4. 부품의 제빙 또는 방빙 역할을 한다.
(정답률: 75%)
  • 유압계통에서 작동유는 열을 흡수하고, 필요한 요소 사이를 밀봉하며, 움직이는 기계요소를 윤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부품의 제빙 또는 방빙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유압계통에서 사용되는 작동유가 저온 환경에서도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식방지제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이 활주로에 비행기가 착륙하고 있다면 지상로컬라이저(localizer) 안테나의 일반적인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정답률: 72%)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지상로컬라이저 안테나는 비행기가 착륙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는 활주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비행기가 착륙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위치이다. "㉯", "㉰", "㉱"은 모두 비행기가 착륙하는 방향과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적당한 위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여자 직류 발전기의 계자권선에 잔류 자기를 희생시키는 방법은?

  1. 브러시(Brush)를 재설치한다.
  2. 전기자를 계속하여 회전시킨다.
  3. 정류자(Commutator) 편에 만들어진 자기를 제거한다.
  4. 축전지를 사용하여 계자권선을 섬광(Flashing)시킨다.
(정답률: 55%)
  • 축전지를 사용하여 계자권선을 섬광시키면, 계자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갑자기 끊어지고 다시 시작될 때, 잔류 자기가 희생되면서 자여자 직류 발전기의 계자권선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객실의 고도에 상승률이 클 때 조절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아웃플로 밸브를 빨리 닫는다.
  2. 아웃플로 밸브를 천천히 닫는다.
  3. 객실 압축기 속도를 감소시킨다.
  4. 객실 압축기 속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0%)
  • 고도가 상승할수록 객실 내부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아웃플로 밸브를 빨리 닫으면 객실 내부 압력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옳은 조절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싱크로 전기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축의 위치를 측정 또는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회전기이다.
  2. 각도검출 및 지시용으로는 2개의 싱크로 전자기기를 1조로 사용한다.
  3. 구조는 고정자측에 1차권선, 회전자측에 2차권선을 갖는 회전변압기이고, 2차측에는 정현파 교류가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4. 항공기에서는 콤파스 계기상에 VOR국이나 ADF국 방위를 지시하는 지시계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65%)
  • 정답은 "구조는 고정자측에 1차권선, 회전자측에 2차권선을 갖는 회전변압기이고, 2차측에는 정현파 교류가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이다. 이유는 싱크로 전기기기는 회전축의 위치를 측정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의 위치를 감지하여 각도검출 및 지시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원격지시 컴퍼스(Compas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자이로신 컴퍼스(Gyrosyn compass)
  2. 마그네신 컴파스(Magnesyn compass)
  3. 스탠드-바이 컴파스(Stand-by compass)
  4. 자이로 플럭스 게이트 컴퍼스(Gyro flux gate compass)
(정답률: 62%)
  • 스탠드-바이 컴파스는 원격지시 컴퍼스가 아닙니다. 이것은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보조 컴파스로, 전기력이나 기타 원격지시 컴퍼스의 문제로 작동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비상 상황에서만 사용되며, 정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행 중 제빙기 부츠를 팽창시키기 위해 공기 압력을 팽창순서대로 가해주는 장치는?

  1. 배출기
  2. 분배 밸브
  3. 진공 안전 밸브
  4. 압력 조절기와 안전 밸브
(정답률: 83%)
  • 비행 중 제빙기 부츠를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압력 조절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공기 압력을 팽창순서대로 가해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 장치가 바로 "분배 밸브"입니다. 분배 밸브는 여러 개의 제빙기 부츠에 공기를 분배하여 각 부츠를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행 중 제빙기 부츠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분배 밸브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피토관의 동압관과 연결된 계기는?

  1. 고도계
  2. 선회계
  3. 자이로계기
  4. 속도계
(정답률: 70%)
  • 피토관은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속도계가 사용된다. 속도계는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로, 피토관과 연결되어 유체의 속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상조명계통(Emergency light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비상조명계통은 비행시에만 작동된다.
  2. 항공기에 전기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비상조명스위치를 Arm에 선택해야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3. On position에서는 전원상실에 관계없이 자체 배터리에서 전기가 공급되어 작동된다.
  4. 항공기에 전기공급을 차단할 때는 비상조명 스위치를 off에 선택해야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38%)
  • 비상조명계통은 비행시에만 작동되며, On position에서는 전원상실에 관계없이 자체 배터리에서 전기가 공급되어 작동된다. 이는 비상상황에서 전기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비상조명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항공기에 전기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비상조명 스위치를 off에 선택해야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항공기에 전기공급을 차단할 때에는 비상조명 스위치를 Arm에 선택해야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00V, 1000W의 전열기에 80V를 가하였을 때의 전력은 몇 W 인가?

  1. 1000
  2. 640
  3. 400
  4. 320
(정답률: 67%)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80V로 감소하였으므로, 전류는 100V일 때의 전류의 80/100 = 0.8배가 됩니다. 따라서 전력은 1000W x 0.8 x 0.8 = 64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Wheatstone bridge가 평형이 되려면 X의 저항은 몇 Ω이 되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2%)
  • Wheatstone bridge가 평형이 되려면 왼쪽과 오른쪽의 전압이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X와 2Ω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전압은 6V의 절반인 3V가 됩니다. 이때, 3Ω와 1Ω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전압도 3V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X와 2Ω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전압은 3V이므로, X의 저항은 3V/1A = 3Ω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압계통에서 필터 내에 바이패스 릴리프 밸브(Bypassrelief valve)의 주된 목적은?

  1. 유압유 공급 라인에 압력이 과도해지는 것으로부터 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2. 필터 엘리먼트가 막힐 경우 유압유를 계통에 공급하기 위하여
  3. 회로 압력을 설정 값 이하로 제한하여 계통을 보호하기 위하여
  4. 필터 엘리먼트(Element) 내에 유압유 압력이 높아지면 귀환 라인으로 유압유를 보내기 위하여
(정답률: 41%)
  • 바이패스 릴리프 밸브는 필터 엘리먼트가 막힐 경우 유압유를 계통에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됩니다. 이는 필터 엘리먼트가 막히면 유압유가 계속해서 흐르지 않아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패스 릴리프 밸브는 필터 엘리먼트가 막힐 경우 유압유를 계통에 공급하여 계통을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승객이 이용하는 비디오 정보 시스템인 에어쇼에 제공되는 입력 정보가 아닌 것은?

  1. ADS(Air Data System)
  2. ATC(Air Traffic Control)
  3. FMS(Flight Management System)
  4.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정답률: 56%)
  • ATC는 비행기와 지상의 공항 및 항공교통 관제사이의 통신 시스템이며, 승객이 이용하는 비디오 정보 시스템인 에어쇼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입력 정보로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공기가 산악 또는 지면과의 충돌 사로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는?

  1. Air traffic control system
  2. Inertial navigation system
  3.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4.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정답률: 86%)
  •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은 항공기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Air traffic control system"은 항공교통관제시스템으로, 항공기의 운항을 조절하는 시스템입니다. "Inertial navigation system"은 항공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Distance measuring equipment"은 항공기와 지상 장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히스테리시스(Histerisis)로 인한 고도계의 오차는?

  1. 눈금오차
  2. 온도오차
  3. 탄성오차
  4. 기계적오차
(정답률: 72%)
  • 히스테리시스란, 측정 대상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변화할 때 그 변화의 방향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은 고도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고도계의 측정 원리가 탄성 변형에 기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도계의 히스테리시스 오차는 탄성 오차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DME의 주파수 할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채널 간격은 10MHz 이다.
  2. UHF파 126채널(Channel)로 되어 있다.
  3. 저채널에서는 상공에서 지상은 지상에서 상공보다 높다.
  4. 상공에서 지상, 지상에서 상공의 주파수 차이는 63MHz이다.
(정답률: 47%)
  • "채널 간격은 10MHz 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DME(Distance Measuring Equipment)는 UHF파 126채널로 되어 있으며, 각 채널 간격은 10MHz이다. 따라서 채널 1은 962MHz에서 972MHz까지, 채널 2는 972MHz에서 982MHz까지 이런 식으로 채널 간격이 10MHz씩 차이가 나게 된다. 상공에서 지상과 지상에서 상공의 주파수 차이는 63MHz이며, 이는 DME의 작동 원리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저채널에서는 상공에서 지상이 지상에서 상공보다 높다는 것도 DME의 작동 원리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3상 교류발전기의 보조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류발전기에서 역전류 차단기를 통해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2. 기관의 회전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출력 주파수를 얻기 위해 정속구동장치가 이용된다.
  3. 교류발전기에서 별도의 직류발전기를 설치하지 않고 변압기 정류기 장치(TR unit)에 의해 직류를 공급한다.
  4. 3상 교류발전기는 자계권선에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조절함으로서 전압조절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33%)
  • "교류발전기에서 역전류 차단기를 통해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3상 교류발전기의 보조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교류발전기에서 별도의 직류발전기를 설치하지 않고 변압기 정류기 장치(TR unit)에 의해 직류를 공급한다."이다.

    이유는 3상 교류발전기에서는 직류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직류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 장치를 사용한다. 이 정류기 장치는 TR unit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기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RMI(Radio magnetic indicator)가 지시하는 것은?

  1. 비행고도
  2. VOR 거리
  3. 비행코스의 편위
  4. VOR 방위
(정답률: 56%)
  • RMI(Radio magnetic indicator)는 항법 장비 중 하나로, 비행기가 현재 위치에서 VOR(VHF Omnidirectional Range) 기지국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RMI가 지시하는 것은 VOR 방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발전기 출력 제어 회로에 사용되는 제너다이오드(Zenerdiode)의 목적은?

  1. 정전류제어
  2. 역류방지
  3. 정전압제어
  4. 과전류방지
(정답률: 53%)
  • 제너다이오드는 정전압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전기 출력 제어 회로에서는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전압제어가 제너다이오드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여러 개의 열스위치(Thermal switch)와 한 개의 경고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재탐지장치의 연결방법은?

  1. 스위치는 서로 직렬, 경고등도 직렬이다.
  2. 스위치는 서로 병렬이고, 경고등은 직렬이다.
  3. 스위치는 서로 병렬이고, 경고등도 병렬이다.
  4. 스위치는 서로 직렬이고, 경고등은 병렬이다.
(정답률: 71%)
  • 화재탐지장치에서 여러 개의 열스위치는 모두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하여 전기회로를 완전히 닫습니다. 이때, 스위치들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면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작동하더라도 전기회로가 완전히 닫히므로 경고등이 울리게 됩니다. 따라서 스위치들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경고등은 스위치들이 모두 닫혀야 전기회로가 완전히 닫히므로 직렬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