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항공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전진하는 회전날개 깃에 작용하는 양력을 헬리콥터 전진속도(V)와 주 회전날개의 회전속도(v)로 옳게 설명한것은?

  1. (v + V)2 에 비례한다.
  2. (v - V)2 에 비례한다.
  3. (v + V / v - V)2 에 비례한다.
  4. (v - V / v + V)2 에 비례한다.
(정답률: 80%)
  • "(v + V)2 에 비례한다."가 옳은 이유는 회전하는 회전날개 깃에 작용하는 양력은 회전속도(v)와 전진속도(V)의 합인 상대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상대속도가 증가하면 회전날개 깃에 작용하는 양력도 증가하므로 "(v + V)2 에 비례한다."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물체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천이(Transition) 현상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충격 실속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층류에 박리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3. 층류에서 난류로 바뀌는 현상이다.
  4. 흐름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정답률: 88%)
  • 유체가 물체 표면을 따라 흐를 때,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부분을 층류( laminar flow)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을 난류( turbulent flow)라고 합니다. 따라서, 층류에서 난류로 바뀌는 현상이라는 것은 유체가 물체 표면을 따라 흐를 때, 일정한 속도로 흐르던 부분이 난류로 바뀌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게가 100㎏인 조종사가 2000m의 상공을 일정속도로 낙하산으로 강하하고 있을 때 낙하산 지름이 7m, 항력계수가 1.3이라면 낙하속도는 약 몇 ㎧인가? (단, 공기밀도는 0.1kgf·s2/m4이며 낙하산의 무게는 무시한다.)

  1. 6.3
  2. 4.4
  3. 2.2
  4. 1.6
(정답률: 54%)
  • 낙하산이 일정속도로 낙하하고 있으므로 항력력과 중력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항력력과 중력력의 크기는 같다.

    중력력 = 무게 × 중력가속도 = 100 × 9.8 = 980 N

    항력력 = 1/2 × 공기밀도 × 낙하속도2 × 단면적 × 항력계수

    위 식에서 단면적은 낙하산 지름의 반지름인 3.5m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π × 반지름2 = 3.14 × 3.52 = 38.465 m2

    따라서,

    980 = 1/2 × 0.1 × 낙하속도2 × 38.465 × 1.3

    낙하속도2 = 980 / (1/2 × 0.1 × 38.465 × 1.3) ≈ 6.32

    낙하속도 ≈ 6.3 m/s

    따라서 정답은 "6.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무게가 500kgf인 비행기가 30도의 경사로 정상선회를 하고 있다면 이 때 비행기의 원심력은 약 몇 kgf인가?

  1. 250
  2. 289
  3. 353
  4. 433
(정답률: 69%)
  • 비행기가 경사로를 오르면서 중력과 수직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 때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원심력 = 무게 × 중력가속도 × sin(경사각)

    여기서 무게는 500kgf, 중력가속도는 9.8m/s^2이고, 경사각은 30도이다. 따라서 계산하면,

    원심력 = 500 × 9.8 × sin(30) ≈ 289kgf

    따라서 정답은 "28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조건 ]에서 헬리콥터의 원판하중은 약 몇 kgf/m2인가 ?

  1. 25.5
  2. 28.5
  3. 30.5
  4. 32.5
(정답률: 64%)
  • 헬리콥터의 원판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원판하중 = 중력 / (원판면적 x 회전수 x 제곱근(2))

    여기서 중력은 980.7 N/kgf 이고, 원판면적은 10m x 10m = 100m^2 이다. 회전수는 4회전/초 이고, 제곱근(2)는 약 1.414 이다.

    따라서 원판하중 = 980.7 / (100 x 4 x 1.414) = 약 32.5 kgf/m^2 이다.

    정답이 "32.5" 인 이유는 계산 결과가 가장 근접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프로펠러 항공기 항공기 이륙 경로에서 이륙거리는 이륙거리는?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률: 88%)
  • (가) 이륙거리는 직진거리와 상승거리를 합한 것이다. 이 그림에서는 이륙 후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직진하므로, 이륙거리는 그대로 직진거리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공기의 필요동력과 속도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속도에 반비례한다.
  2.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4.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2%)
  • 항공기의 필요동력은 공기저항과 추진력의 차이로 결정된다. 공기저항은 항공기의 속도에 비례하므로, 속도가 증가하면 공기저항도 증가한다. 따라서, 필요한 추진력은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휨응력, 굽힘모멘트
  2. 인장응력, 비틀림모멘트
  3. 압축응력, 굽힘모멘트
  4. 압축응력, 비틀림모멘트
(정답률: 77%)
  •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작용하는 원심력은 중심축 주변으로 인장응력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프로펠러의 회전축 주변으로 비틀림모멘트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장응력, 비틀림모멘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대기의 층은?

  1. 대류권
  2. 성층권
  3. 중간권
  4. 열권
(정답률: 91%)
  • 보기에서는 대기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류권은 대기의 가장 낮은 층으로서 온도가 지표면에서부터 고도 10~15km까지 급격하게 하강하는 층입니다. 이 층에서는 공기가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를 형성하여 대기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대기 오염물질이 분산되는 등 지구상의 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설명하는 층은 대류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기의 이륙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추력을 크게한다.
  2. 비행기의 무게를 감소한다.
  3. 슬랫(slat)과 플랩(flap)을 사용한다.
  4. 항력을 줄이기 위해 작은 날개를 사용한다.
(정답률: 86%)
  • 항력을 줄이기 위해 작은 날개를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작은 날개는 항력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항력을 더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륙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추력을 크게하거나 비행기의 무게를 감소시키거나 슬랫과 플랩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00㎧로 비행하는 프로펠러 항공기에서 프로펠러를 통과하는 순간의 공기 속도가 120㎧가 되었다면, 이 항공기의 프로펠러 효율은 약 얼마인가?

  1. 76%
  2. 83.3%
  3. 91%
  4. 97.4%
(정답률: 8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가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기수가 내려가는 현상은?

  1. 피치 업(pitch up)
  2. 턱 언더(tuck under)
  3. 디프 실속(deep stall)
  4. 역 빗놀이(adverse yaw)
(정답률: 92%)
  • 비행기가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할 때, 기체의 압력 분포가 변화하면서 기체의 안정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면, 기체의 압력 분포가 더욱 불균형해져서 기수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턱 언더(tuck under)"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고정익 항공기의 도살 핀(dorsal fin)과 벤트랄 핀(ventral fin)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더치롤 특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2. 큰 받음각에서 요댐핑(yaw damping)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3. 나선발산(spiral divergence) 시의 비행특성에 영향을 준다.
  4.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나선후류의 영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54%)
  • "더치롤 특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고정익 항공기의 도살 핀과 벤트랄 핀은 주로 비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도살 핀은 비행 중에 발생하는 나선발산을 예방하고, 벤트랄 핀은 큰 받음각에서 요댐핑을 증가시켜 비행 안정성을 높입니다. 또한,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나선후류를 줄여서 비행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가 고속으로 비행할 때 날개위에서 충격실속이 발생하는 시기는?

  1. 아음속에서 생긴다.
  2. 극초음속에서 생긴다.
  3. 임계 마하수에 도달한 후에 생긴다.
  4. 임계 마하수에 도달하기 전에 생긴다.
(정답률: 86%)
  • 비행기가 고속으로 비행할 때 날개 위에서 충격실속이 발생하는 시기는 임계 마하수에 도달한 후에 생긴다. 이는 비행기가 음속 이상의 속도로 비행할 때 공기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공기가 날개 위를 지나갈 때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충격파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충격파는 비행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속도를 더 높일 경우 비행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비행기는 임계 마하수 이하에서 비행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직꼬리날개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2. 수평꼬리날개 부피계수를 증가시킨다.
  3. 무게중심이 날개의 공기역학적 중심 앞에 위치하도록 한다.
  4. 무게중심에 관한 피칭모멘트계수가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음(-)의 값을 갖도록 한다.
(정답률: 67%)
  • "수직꼬리날개의 면적을 증가시킨다."는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좋게 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좋게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직꼬리날개의 면적을 증가시킨다."가 정답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활공기에서 활공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압력항력을 크게 한다.
  2. 형상항력을 최대로 한다.
  3.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크게 한다.
  4. 표면 박리현상 방지를 위하여 표면을 적절히 거칠게 한다.
(정답률: 88%)
  •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크게 하면 날개의 표면적 대비 날개의 길이가 길어져서 압력항력이 감소하고, 형상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활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날개(wing)의 공기력 중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받음각이 클수록 앞쪽으로 이동한다.
  2. 캠버가 클수록 같은 양력변화에 따라 이동량이 크다.
  3. 압력 중심과 공기력 중심은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키놀이 모멘트의 크기가 받음각에 대하여 변화되지 않는 점을 말한다.
(정답률: 63%)
  • 날개의 공기력 중심은 압력 중심과는 다르게 항상 날개의 곡률과 관련이 있으며, 이 공기력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를 키놀이 모멘트라고 한다. 이 때,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키놀이 모멘트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키놀이 모멘트의 크기가 받음각에 대하여 변화되지 않는 점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차원수이다.
  2.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이다.
  3. 레이놀즈수가 클수록 유체의 점성이 크다.
  4. 유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레이놀즈수는 크다.
(정답률: 73%)
  • "레이놀즈수가 클수록 유체의 점성이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레이놀즈수가 작을수록 유체의 점성이 큽니다. 이는 레이놀즈수가 작을수록 유체 내부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 유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레이놀즈수는 커지며, 유체의 점성이 작을수록 레이놀즈수는 커집니다. 따라서 레이놀즈수가 크다는 것은 유체의 점성이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인 형태의 비행기는 3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각각 담당하는 3종류의 주조종면을 가진다. 하지만 수평꼬리날개가 없는 전익기나 델타익기의 경우 2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1종류의 조종면이 복합적으로 담당하는데 이때의 조종면의 명칭은?

  1. 카나드(canard)
  2. 엘레본(elevon)
  3. 플래퍼론(flaperon)
  4. 테일러론(taileron)
(정답률: 69%)
  • 수평꼬리날개가 없는 전익기나 델타익기의 경우, 상승과 강하에 대한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엘리벤(elevon)이라는 하나의 조종면을 사용한다. 엘리벤은 엘리베이터(elevator)와 앨론(aileron)의 합성어로, 엘리베이터의 상승과 앨론의 기울기 제어를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엘리벤은 상승과 강하, 좌우 기울기 제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 항속시간으로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CD3/2/ CL) 최소
  2. (CL3/2/ CD) 최소
  3. (CD3/2/ CL) 최대
  4. (CL3/2/ CD) 최대
(정답률: 78%)
  • "(CL3/2/ CD) 최대"가 옳은 것이다. 이는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 항속시간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얻는 추력을 최대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CL은 추력 계수, CD는 공기 저항 계수를 나타내는데, CL3/2/ CD가 최대가 되면 추력 대비 공기 저항이 가장 작아지므로 최대 항속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표준상태에서의 이상기체 20ℓ를 5기압으로 압축하였을 때 부피는 몇 ℓ가 되겠는가? (단, 변화과정 중 온도는 일정하다.)

  1. 0.25
  2. 2.5
  3. 4
  4. 10
(정답률: 85%)
  • 보일-샤를의 법칙에 따라 PV = nRT에서 온도와 몰수가 일정하므로, P와 V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압축 후의 부피는 20/5 = 4ℓ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왕복기관의 부자식 기화기에서 가속 펌프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이륙시 기관 구동펌프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2. 고출력 고정시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3. 높은 온도에서 혼합가스를 농후하게 하기 위해서
  4. 스로틀(throttle)이 갑자기 열릴 때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70%)
  • 항공기에서 스로틀이 갑자기 열릴 때는 엔진에 부가적인 연료를 공급하여 엔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속 펌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시마력을 나타내는 식 iHP = PmiLANK / 75 x 2 x 60에서 N이 의미하는 것은? (단, Pmi : 지시평균 유효압력, L : 행정길이, A : 실린더 단면적, K : 실린더 수 이다.)

  1. 기계효율
  2. 축마력
  3. 기관의 분당 회전수
  4. 제동평균 유효압력
(정답률: 87%)
  • N은 기관의 분당 회전수를 의미한다. 이는 실린더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속도를 나타내며, 이는 기관의 성능과 직결된다. 따라서 N은 기관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정캠(compensated cam)을 가진 마그네토를 장착한 9기통 성형기관의 회전속도가 100rpm 일 때 [보기]의 각 요소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 50 ㉡ 9 ㉢ 900
  2. ㉠ 50 ㉡ 9 ㉢ 450
  3. ㉠ 100 ㉡ 9 ㉢ 450
  4. ㉠ 100 ㉡ 18 ㉢ 900
(정답률: 65%)
  • 보정캠(compensated cam)을 가진 마그네토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회전속도가 100rpm일 때 보정캠의 기어비는 1:2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정캠의 회전속도는 100/2 = 50rpm이 됩니다.

    9기통 성형기관은 1회전당 9번의 작동을 하므로, 회전속도가 100rpm일 때 1분당 작동횟수는 9 × 100 = 900회가 됩니다. 하지만 보정캠의 기어비가 1:2이므로, 실제 성형기관의 회전속도는 50rpm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분당 작동횟수는 9 × 50 = 450회가 됩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 50 ㉡ 9 ㉢ 4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브레이튼 사이클 선도의 각 단계와 가스터빈 기관의 작동 부위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1 → 2 : 디퓨져
  2. 2 → 3 : 연소기
  3. 3 → 4 : 배기구
  4. 4 → 1 : 압축기
(정답률: 80%)
  • 브레이튼 사이클 선도는 기체의 압축, 가열, 팽창, 냉각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가스터빈 기관은 이러한 사이클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입니다.

    1 → 2 단계에서는 기체가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때 디퓨져가 작동하여 기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2 → 3 단계에서는 연소기에서 연료가 불에 타면서 기체가 가열됩니다. 이때 가스터빈 기관은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기체의 압력과 온도가 증가합니다.

    3 → 4 단계에서는 기체가 팽창되면서 압력과 온도가 감소합니다. 이때 배기구가 작동하여 기체를 배출합니다.

    4 → 1 단계에서는 기체가 냉각되면서 압력과 온도가 감소합니다. 이때 압축기가 작동하여 기체를 다시 압축합니다.

    따라서, 2 → 3 단계에서는 연소기가 작동하여 기체가 가열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프로펠러 조속기의 파일롯(pilot) 밸브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1. 엔진오일 압력
  2. 조종사의 위치
  3. 펌프오일 압력
  4. 플라이 웨이트
(정답률: 82%)
  • 프로펠러 조속기의 파일롯 밸브는 플라이 웨이트에 의해 작동됩니다. 플라이 웨이트는 회전하는 중심축 주변에 위치한 무게이며, 회전 중에 발생하는 가속도에 따라 밸브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플라이 웨이트가 파일롯 밸브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엔진오일 압력, 조종사의 위치, 펌프오일 압력은 파일롯 밸브의 작동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원심형 압축기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단당 압력비가 작다.
  2. 무게가 무겁고 시동출력이 낮다.
  3. 동일 추력에 대하여 전면면적이 크다.
  4. 축류형 압축기와 비교해 제작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65%)
  • 원심형 압축기의 단점은 "동일 추력에 대하여 전면면적이 크다." 입니다. 이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축 방향이 아니라 방사형이기 때문에, 압축기의 전면면적이 크면 그만큼 더 많은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전면면적을 줄이는 것이 원심형 압축기의 개선 방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디토네이션(detonation)을 발생시키는 과도한 온도와 압력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늦은 점화시기
  2. 높은 흡입공기 온도
  3. 연료의 낮은 옥탄값
  4. 희박한 연료-공기 혼합비
(정답률: 51%)
  • 늦은 점화시기는 연료가 엔진 실린더 내에서 충분히 타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았거나, 점화플러그에서 전기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디토네이션을 발생시키는 과도한 온도와 압력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늦은 점화시기는 디토네이션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왕복기관을 시동할 때 기화기 공기 히터(carburetor air heater)의 조작 장치 상태는?

  1. Hot 위치
  2. Neutral 위치
  3. Cracked 위치
  4. Cold(normal) 위치
(정답률: 65%)
  • 왕복기관을 시동할 때 기화기 공기 히터의 조작 장치 상태는 "Cold(normal) 위치"여야 합니다. 이는 기화기 공기 히터가 열을 발생시켜 기화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데워주는 역할을 하는데, 열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인 "Cold(normal) 위치"에서 기동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Hot 위치"나 "Cracked 위치"에서는 공기가 너무 뜨거워져 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Neutral 위치"에서는 히터가 작동하지 않아 충분한 열이 발생하지 않아 기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펠러 작동시 원심(centrifugal) 비틀림 모멘트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1. 피치각을 감소시킨다.
  2. 피치각을 증가시킨다.
  3. 회전 방향으로 깃(blade)을 굽히게(bend) 한다.
  4. 비행 진행방향의 뒤쪽으로 깃(blade)을 굽히게 한다.
(정답률: 45%)
  • 프로펠러 작동시 원심 비틀림 모멘트는 회전 방향으로 깃을 굽히게 하여 피치각을 감소시킨다. 이는 프로펠러의 공기 역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깃은 공기를 받아들이고 압력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원심 비틀림 모멘트는 깃을 회전 방향으로 굽히게 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피치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터보제트기관의 회전수가 일정할 때 밀도만 고려 시 추력이 가장 큰 경우는?

  1. 고도 10000ft에서 비행할 때
  2. 고도 20000ft에서 비행할 때
  3. 대기온도 15℃인 해면에서 작동할 때
  4. 대기온도 25℃인 지상에서 작동할 때
(정답률: 74%)
  • 밀도가 낮아지면 추력이 감소하므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추력은 감소한다. 또한 대기온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므로 추력도 감소한다. 따라서, 밀도만 고려할 때는 대기온도가 낮은 해면에서 작동할 때 추력이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에서 연료매니폴드로 가는 1차연료와 2차연료를 분배하는 부품은?

  1. P&D 밸브
  2. 체크밸브
  3. 스로틀밸브
  4. 파워레버
(정답률: 85%)
  • P&D 밸브는 Primary and Drain Valve의 약자로,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에서 1차연료와 2차연료를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밸브는 연료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하여 연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며, 연료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P&D 밸브가 항공기 연료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일의 점성은 다음 중 무엇을 측정하는 것인가?

  1. 밀도
  2. 발화점
  3. 비중
  4. 흐름에 대한 저항
(정답률: 78%)
  • 오일의 점성은 흐름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즉, 오일이 얼마나 빠르게 흐르지 않고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오일의 유동성과 관련이 있으며, 오일이 흐를 때 발생하는 마찰과 저항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성값입니다. 따라서 오일의 점성은 오일의 사용 용도와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관의 후기 연소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면 면적의 증가 없이 추력을 증가시킨다.
  2. 연료의 소비량 증가 없이 추력을 증가시킨다.
  3. 총 추력의 약 50%까지 추력의 증가가 가능하다.
  4. 고속 비행하는 전투기에 사용시 추력이 증가된다.
(정답률: 77%)
  • "연료의 소비량 증가 없이 추력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항공기관의 후기 연소기는 연료의 소비량을 증가시키면서 추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연소기 내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를 이용하여 추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연료의 소비량 증가 없이 추력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의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왕복성형기관의 크랭크축에서 정적평형은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가?

  1. Dynamic damper
  2. Counter weight
  3. Dynamic suspension
  4. Split master rod
(정답률: 71%)
  • 왕복성형기관의 크랭크축에서 정적평형은 Counter weight(상추)에 의해 이루어진다. 크랭크축이 회전할 때 상추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크랭크축의 불균형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왕복성형기관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밸브 가이드(valve guide)의 마모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1. 높은 오일 소모량
  2. 낮은 오일 압력
  3. 낮은 실린더 압력
  4. 높은 오일 압력
(정답률: 64%)
  • 밸브 가이드의 마모로 인해 밸브와 실린더 벽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서 오일이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은 오일 소모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낮은 오일 압력과 낮은 실린더 압력을 유발하고, 반대로 높은 오일 압력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기]에 나열된 왕복기관의 종류는 어떤 특성으로 분류한 것인가?

  1. 기관의 크기
  2. 실린더의 회전 형태
  3. 기관의 장착 위치
  4. 실린더의 배열 형태
(정답률: 90%)
  • 보기에 나열된 왕복기관의 종류는 실린더의 배열 형태로 분류한 것입니다. 이는 실린더들이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에 따라 분류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관의 크기, 실린더의 회전 형태, 기관의 장착 위치와 같이 다른 특성들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판재로 제작된 기관부품에 발생하는 결함으로서 움푹 눌린 자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Nick
  2. Dent
  3. Tear
  4. Wear
(정답률: 76%)
  • 움푹 눌린 자국을 영어로 "Dent"라고 부르기 때문에 정답은 "D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트기관 시동시 EGT가 규정 한계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과열 시동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연료의 과다 공급
  2. 연료조정장치의 고장
  3. 시동기 공급 동력의 불충분
  4. 압축기 입구부에서 공기 흐름의 제한
(정답률: 58%)
  • 시동기 공급 동력의 불충분은 제트기 엔진을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충분한 공기와 연료 공급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EGT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은 EGT가 규정 한계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과열 시동의 원인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인 아음속기의 공기흡입구 형상으로 옳은 것은?

  1. 확산(divergent)형 덕트
  2. 수축(convergent)형 덕트
  3. 수축-확산(convergent-divergent)형 덕트
  4. 확산-수축(divergent-convergent)형 덕트
(정답률: 73%)
  • 일반적인 아음속기의 공기흡입구는 확산형 덕트이다. 이는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켜 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압력을 증가시킨 공기는 다음 단계인 압축기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수축형 덕트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켜 압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수축-확산형 덕트와 확산-수축형 덕트는 공기의 속도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특정한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항공기의 총무게(gross weigh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의 무게 중심을 말한다.
  2. 기체무게에서 자기무게를 뺀 무게이다.
  3. 항공기내의 고정위치에 실제로 장착되어 있는 하중이다.
  4. 특정 항공기에 인가된 최대하중으로서 형식증명서(type certificate)에 기재되어 있다.
(정답률: 69%)
  • 항공기의 총무게는 특정 항공기에 인가된 최대하중으로서 형식증명서(type certificate)에 기재되어 있다. 이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나타내며, 이를 초과하면 항공기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를 운영할 때에는 항상 이 최대하중을 고려하여 운항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효길이 20in의 토크렌치에 10in인 연장공구를 사용하여 1000in-lbs의 토크로 볼트를 조이려고 한다면 토크렌치의 지시값은 약 몇 in-lbs인가?

  1. 100
  2. 333
  3. 666
  4. 2000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금속재료의 인장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시험편을 서서히 인장시켜 항복점, 인장 강도, 연신율 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2. 재료시험편을 서서히 인장시켜 브리넬 인장, 로크웰 경도 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3. 재료시험편을 서서히 인장시켰을 때 탄성에 의한 비커스 경도, 쇼어 경도 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4. 재료시험편을 서서히 인장시켜 충격에 의한 충격강도, 취성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80%)
  • 금속재료의 인장시험은 재료시험편을 서서히 인장시켜 항복점, 인장 강도, 연신율 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재료인 알루미늄 합금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철금속
  2. 비철금속
  3. 비금속
  4. 복합재료
(정답률: 69%)
  • 알루미늄 합금은 철이 아닌 금속으로, 비철금속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 구조형식의 항공기에서 동체가 비틀림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과 유사한 모양의 부재는?

  1. 표피(skin)
  2. 스트링어(stringer)
  3. 스파(spar)
  4. 벌크헤드(bulkhead)
(정답률: 73%)
  • 벌크헤드는 세미모노코크 구조에서 동체의 비틀림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며, 프레임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내부 공간을 구획화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벌크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 구조형식 날개의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1. 표피(skin)
  2. 링(ring)
  3. 스파(spar)
  4. 리브(rib)
(정답률: 85%)
  • 세미모노코크 구조형식의 날개는 표피, 스파, 리브 등으로 구성되지만, 링은 구성 부재가 아닙니다. 링은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몸체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스용접기에서 가스용기와 토치를 연결하는 호스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소호스는 노란색, 아세틸렌가스호스는 검정색으로 표시한다.
  2. 산소호스는 빨강색, 아세틸렌가스호스는 하얀색으로 표시한다.
  3. 산소호스는 녹색(또는 초록색), 아세틸렌가스호스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4. 산소호스와 아세틸렌가스호스는 호스에 기호를 표시하여 구별한다.
(정답률: 88%)
  • 산소와 아세틸렌은 불꽃을 일으키는 물질이므로, 호스의 색상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연소성 가스를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산소호스는 녹색(또는 초록색), 아세틸렌가스호스는 빨간색으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y축에 관한 단면의 1차모멘트는 몇 cm3인가? (단, 점선은 단면의 중심선을 나타낸 것이다.)

  1. 150
  2. 180
  3. 200
  4. 220
(정답률: 58%)
  • 단면의 중심선을 따라 y=0에서부터 y=10까지 적분하여 구할 수 있다. 적분식은 다음과 같다.

    ∫(0→10) (y×20) dy

    = 10×20×(10/2)

    = 1000

    따라서, 단면의 y축에 관한 1차모멘트는 1000 c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SAE 6150 합금강에서 숫자 “6”이 의미하는 것은?

  1. 크롬-바나듐
  2. 4%의 탄소강
  3. 크롬-몰리브덴
  4. 0.04%의 탄소강
(정답률: 64%)
  • 숫자 "6"은 SAE 합금강 분류 체계에서 크롬-바나듐 합금강을 나타냅니다. 이는 합금강에 크롬과 바나듐이 첨가되어 강도와 내식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크롬-바나듐"이 정답입니다. 4%의 탄소강은 숫자 "10"으로 분류되며, 크롬-몰리브덴 합금강은 숫자 "4"로 분류됩니다. 0.04%의 탄소강은 숫자 "1"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판금 작업시 구부리는 판재에서 바깥면의 굽힘 연장선의 교차점과 굽힘 접선과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세트백(set back)
  2. 굽힘각도(degree of bend)
  3. 굽힘여유(bend allowance)
  4. 최소반지름(minimum radius)
(정답률: 85%)
  • 세트백(set back)은 판금 작업시 구부리는 판재에서 바깥면의 굽힘 연장선의 교차점과 굽힘 접선과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굽힘시에 판재가 이동하는 거리를 나타내며, 굽힘 각도(degree of bend)와 굽힘 여유(bend allowance)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값입니다. 최소 반지름(minimum radius)은 굽힘시 판재가 최소한으로 굽힐 수 있는 반지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세트백(set back)"이 정답인 이유는 굽힘시 판재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판금성형 작업시 릴리프 홀(relief hole)의 지름치수는 몇 인치 이상의 범위에서 굽힘반지름의 치수로 하는가?

  1. 1/32
  2. 1/16
  3. 1/8
  4. 1/4
(정답률: 67%)
  • 릴리프 홀의 지름치수는 굽힘반지름의 8분의 1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입니다. 이는 판금을 굽힐 때 생기는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릴리프 홀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 홀의 지름이 굽힘반지름의 8분의 1 이상이어야 충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접개식 강착장치(retractable landing gear)에서 부주의로 인해 착륙장치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나열한 것은?

  1. Down lock, safety pin, up lock
  2. Down lock, up lock, ground lock
  3. Up lock, safety pin, ground lock
  4. Down lock, safety pin, ground lock
(정답률: 80%)
  • 접개식 강착장치에서 착륙장치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착륙장치가 아래로 접히는 것을 막는 Down lock이 필요하고, 이 Down lock이 잠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Safety pin이 필요합니다. 또한 착륙장치가 지면에 닿아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Ground lock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own lock, safety pin, ground lo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항공기에서 앞바퀴에 170kg, 뒷바퀴 전체에 총 540kg이 작용하고 있다면 중심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약 몇 m 떨어진 지점인가?

  1. 2.91
  2. 2.45
  3. 1.31
  4. 1
(정답률: 74%)
  • 먼저, 항공기의 무게 중심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각 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알아야 한다. 앞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는 바로 앞쪽이므로, 앞바퀴의 위치는 중심 위치로부터 앞쪽에 있다. 따라서, 앞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는 중심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있다.

    뒷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는 전체 무게 중심 위치에서 앞바퀴의 무게 중심 위치를 빼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70kg × 앞바퀴와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 + (540kg × 전체 길이 - 앞바퀴와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
    --------------------------------------------------------------
    전체 무게 (170kg + 540kg)

    이를 간단하게 계산하면, 앞바퀴와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x 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170kg × x) + (540kg × (6 - x))
    ---------------------------
    (170kg + 540kg)

    이를 정리하면,

    170x + 3240 - 540x = 0
    -370x = -3240
    x = 8.76

    따라서, 앞바퀴와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는 8.76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중심 위치를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전체 길이에서 빼주면 된다.

    6 - 8.76 = -2.76

    하지만, 이 값은 음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2.76| = 2.76

    따라서, 중심 위치는 기준선으로부터 약 2.76m 떨어진 지점에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2.45m 로 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기용 볼트의 부품번호가 AN 3H-5A인 경우 이 볼트의 재질은?

  1. 알루미늄합금
  2. 내식강
  3. 마그네슘합금
  4. 합금강
(정답률: 43%)
  • AN 3H-5A 볼트는 항공기용 볼트 중 하나로, AN은 미국 군용 항공기 부품 표준을 나타내는 약어이며, 3H는 볼트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코드이고, 5A는 볼트의 헤드 모양과 드라이브 타입을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이 볼트의 부품번호에서 "합금강"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이유는 항공기용 볼트는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합금강은 일반적으로 탄소강보다 강도와 내식성이 높은 재질로, 항공기용 볼트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AN 3H-5A 볼트도 합금강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V-n 선도에서 조종사가 아무리 급격한 조작을 하여도 구조상 안전하게 기체가 파괴에 이르지않는 비행상황에 해당되는 것은?(점 순서대로 왼쪽부터 A, B, C, D)

  1. A
  2. B
  3. C
  4. D
(정답률: 59%)
  • 정답은 "A"입니다.

    V-n 선도는 비행기의 고도와 공기 역학적인 특성에 따른 비행 가능한 한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A 지점은 최대 고도와 최대 공기 역학적인 힘을 견딜 수 있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B, C, D 지점은 비행기가 파괴될 위험이 있는 지점으로, 조종사가 급격한 조작을 하면 비행기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 지점에서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으므로 정답은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두 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외줄(single row) 둥근머리리벳(round head rivet) 작업을 할때 리벳 최소연거리 및 리벳 간격으로 옳은 것은? (단, D는 리벳의 직경이다.)

  1. 연거리 : 0.5D, 리벳간격 : 2D
  2. 연거리 : 2D, 리벳간격 : 3D
  3. 연거리 : 2.5D, 리벳간격 : 2D
  4. 연거리 : 5D, 리벳간격 : 3D
(정답률: 70%)
  • 리벳을 연결할 때는 최소한의 연결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연거리와 리벳 간격을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연거리는 리벳의 직경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며, 리벳 간격은 리벳의 직경의 3배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연거리 : 2D, 리벳간격 : 3D" 이다. 이유는 리벳의 직경이 D이므로, 연거리는 2D 이상, 리벳 간격은 3D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일세이프(failsafe) 구조 개념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절대 파괴가 안되는 완벽한 구조이다.
  2. 이상적인 목표이나 실제로는 불가능한 구조이다.
  3. 일부 구조물이 파손되더라도 전체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는 구조이다.
  4. 파손이 일어나면 안전이 보장될 수 없다는 구조이다.
(정답률: 91%)
  • 페일세이프(failsafe) 구조 개념은 일부 구조물이 파손되더라도 전체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해도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따라서 "일부 구조물이 파손되더라도 전체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는 구조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종간이나 방향키 페달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 입력 후 전기, 유압식 작동기를 통해 조종계통을 작동하는 조종방식은?

  1. Power control system
  2. Automatic pilot system
  3. Fly-by-wire control system
  4. Push pull rod control system
(정답률: 86%)
  • Fly-by-wire control system은 조종간이나 방향키 페달의 움직임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하고, 전기, 유압식 작동기를 통해 조종계통을 작동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의 기계식 조종방식인 Push pull rod control system과는 달리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작동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고 안전한 조종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Automatic pilot system과도 융합되어 더욱 효율적인 조종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Fly-by-wire control syste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두 종류의 금속이 접촉한 곳에 습기가 침투하여 전해질이 형성될 때 전지현상에 의하여 양극이 되는 부분에 발생하는 부식은?

  1. 표면부식
  2. 점부식
  3. 입자간부식
  4. 이질금속간부식
(정답률: 80%)
  • 두 종류의 금속이 접촉한 곳에서 습기가 침투하여 전해질이 형성되면, 전지현상에 의해 양극과 음극이 형성됩니다. 이 때, 이질금속간에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이질금속간부식이 발생합니다. 이는 두 금속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식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기체 구조의 리깅(rigging) 작업 시 구조의 얼라이먼트(alignment)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날개 상반각
  2. 수직 안정판 상반각
  3. 수평 안정판 장착각
  4. 착륙 장치의 얼라인먼트
(정답률: 67%)
  • 수직 안정판 상반각은 항공기의 안정성과 관련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리깅 작업 시 구조의 얼라이먼트 점검 사항이 아니다. 수직 안정판 상반각은 수직 안정판의 각도가 수평선과 어느 정도의 각도를 이루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항공기의 안정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리깅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단파(HF) 통신에서 안테나 커플러(antenna coupler)의 주된 목적은?

  1.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2.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의 전기적인 매칭(matching)을 위하여
  3. 송수신 장치에서 주파수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 송수신 장치의 안테나를 항공기 기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정답률: 76%)
  • 안테나 커플러의 주된 목적은 송수신 장치와 안테나의 전기적인 매칭(matching)을 위하여입니다. 이는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송수신 장치로 전달하고, 송수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안테나로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고, 전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항공기 결빙을 막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아세톤 분사
  2. 고온공기 이용
  3. 전기적 열에 의한 가열
  4. 공기가 주입되는 부츠(boots)의 이용
(정답률: 75%)
  • 아세톤 분사는 항공기 결빙을 막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아닙니다. 아세톤은 화학물질로, 항공기의 부식이나 화재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톤 분사"입니다. 고온공기 이용, 전기적 열에 의한 가열, 공기가 주입되는 부츠의 이용은 항공기 결빙을 막거나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온도계기로 사용하는 열전대(thermocoup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하는 금속은 동과 철이다.
  2. 브리지 회로를 만들어 전압을 공급한다.
  3. 출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온도에 반비례 한다.
  4. 지시계 접합부의 온도를 바이메탈로 냉점보정한다.
(정답률: 66%)
  • 열전대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것으로, 이 두 금속의 열전위 차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사용하는 금속은 일반적으로 동과 철이며, 이 두 금속을 접합한 지점을 접합부라고 한다. 브리지 회로를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고, 출력에 나타나는 전압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이때, 지시계 접합부의 온도를 바이메탈로 냉점보정하는 이유는, 바이메탈은 온도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열전대의 출력값을 보정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전자기파 60MHz 주파수의 파장은 몇 m 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2%)
  • 전자기파의 파장은 속도(v)를 주파수(f)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λ = v/f

    전자기파는 빛과 같은 속도로 전파되므로, 빛의 속도인 3 x 10^8 m/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λ = 3 x 10^8 / 60 x 10^6 = 5m

    따라서, 주파수가 60MHz인 전자기파의 파장은 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류기(rectifier)의 기능은 무엇인가?

  1. 직류를 교류로 변환
  2. 계기 작동에 이용
  3. 교류를 직류로 변환
  4. 배터리 충전에 사용
(정답률: 74%)
  • 정류기의 기능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기들이 직류 전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중요한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가정용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 등에서는 정류기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최대값이 141.4v인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은 약 몇 v인가?

  1. 90
  2. 100
  3. 200
  4. 300
(정답률: 70%)
  • 정현파 교류의 최대값과 실효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최대값 = 실효값 x √2

    따라서, 실효값 = 최대값 ÷ √2

    141.4 ÷ √2 ≈ 100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항공기 유압회로에서 필터(filter)에 부착되어 있는 차압지시계(differential pressure indicator)의 주된 목적은?

  1. 필터 엘리멘트(element)가 오염되어 있는 상태를 알기 위한 지시계이다.
  2. 필터 입력회로에 유압의 압력차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계이다.
  3. 필터 출력회로에서 귀환되어 유압의 압력차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계이다.
  4. 필터 출력회로에 압력이 높아질 경우 압력차를 알기 위한 지시계이다.
(정답률: 52%)
  • 필터 엘리멘트(element)가 오염되어 있는 상태를 알기 위한 지시계이다. 필터는 유압 시스템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이며, 오염물질이 쌓이면 필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필터 엘리멘트의 오염 상태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차압지시계가 부착되어 있다. 차압지시계는 필터 입력과 출력 회로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필터 엘리멘트의 오염 정도를 알려준다. 이를 통해 필터 엘리멘트를 적시에 교체하여 유압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용도 측정기기 멀티미터(multimeter)를 이용하여 전압, 전류 및 저항 측정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류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에 직렬로, 전압계는 병렬로 연결한다.
  2. 저항계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절대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저항이 큰 회로에 전압계를 사용할 때는 저항이 작은 전압계를 사용하여 계기의 션트 작용을 방지해야한다.
  4. 전류계와 전압계를 사용할 때는 측정 범위를 예상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큰 측정 범위부터 시작하여 적합한 눈금에서 읽게 될 때까지 측정범위를 낮추어 간다.
(정답률: 70%)
  • "저항이 큰 회로에 전압계를 사용할 때는 저항이 작은 전압계를 사용하여 계기의 션트 작용을 방지해야한다." 이유는 전압계는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압을 측정하기 때문에, 회로의 저항이 크면 전압계의 내부 저항과 함께 전체 회로의 저항이 커져서 션트(Shunt)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항이 작은 전압계를 사용하여 내부 저항을 줄이고, 정확한 전압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기에서 주 교류 전원이 없을 때 배터리 전원으로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1. 컨버터
  2. DC발전기
  3. 인버터
  4. 바이브레이터
(정답률: 72%)
  •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로, 항공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 주 교류 전원이 없을 때 배터리 전원으로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인버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위성 통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에 위성 지구국과 우주에 위성이 필요하다.
  2. 통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파의 상향과 하향 링크 주파수는 같다.
  3. 장거리 광역통신에 적합하고 통신거리 및 지형에 관계없이 전송 품질이 우수하다.
  4. 위성 통신은 지상의 지구국과 지구국 또는 이동국 사이의 정보를 중계하는 무선통신방식이다.
(정답률: 65%)
  • "통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파의 상향과 하향 링크 주파수는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이는 위성이 수신한 신호를 지상에 전송할 때와 지상에서 위성으로 전송한 신호를 위성이 수신할 때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기컴퍼스의 조명을 위한 배선 시 지시오차를 줄여주기 위한 효율적인 배선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선을 가능한 자기컴퍼스 가까이에 접지시킨다.
  2. +선과 -선은 가능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선에는 실드선을 사용한다.
  3. 모든 전선은 실드선을 사용하여 오차의 원인을 제거한다.
  4. +선과 -선을 꼬아서 합치고 접지점을 자기컴퍼스에서 충분히 멀리 뗀다.
(정답률: 66%)
  • 자기컴퍼스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측정하는데, 외부의 전기장이나 자기장에 노출되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컴퍼스의 조명을 위한 배선 시에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선과 -선을 꼬아서 합치고 접지점을 자기컴퍼스에서 충분히 멀리 뗀다는 것은, +선과 -선을 서로 꼬아서 배선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외부의 전기장이나 자기장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접지점을 자기컴퍼스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뜨리면, 자기컴퍼스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전기장이나 자기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기컴퍼스의 측정값에 오차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객실압력 경고 혼(horn)이 울리는 고도와 승객 산소공급 계통의 산소마스크가 자동으로 나타나게 되는 고도는 각각 몇 ft인가?

  1. 8000ft, 14000ft
  2. 8000ft, 10000ft
  3. 10000ft, 15000ft
  4. 10000ft, 14000ft
(정답률: 62%)
  • 객실압력 경고 혼이 울리는 고도는 10000ft이며, 이는 비행기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졌을 때 발생합니다. 이때 승객 산소공급 계통의 산소마스크가 자동으로 나타나게 되는 고도는 14000ft입니다. 이는 비행기 내부 압력이 매우 낮아져 승객들이 산소 부족에 시달릴 수 있는 위험이 높아졌을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0ft, 14000f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자이로신 컴퍼스의 자방위판(컴퍼스 가드)은 어떤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가?

  1. 플럭스 밸브에서 전기 신호
  2. 방향자이로 지시계(정침의)의 신호
  3. 자이로수평 지시계(수평의)의 신호
  4. 초단파 전방위 무선 표시장치(VOR)의 신호
(정답률: 45%)
  • 자이로신 컴퍼스의 자방위판은 플럭스 밸브에서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됩니다. 이는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을 제어하고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방향자이로 지시계, 자이로수평 지시계, 그리고 초단파 전방위 무선 표시장치(VOR)의 신호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만, 자방위판의 구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자장항법장치(independent position determining)가 아닌 장비는?

  1. VOR
  2. Weather radar
  3. GPWS
  4. Radio altimeter
(정답률: 45%)
  • VOR은 자장항법장치가 아닌 장비입니다. VOR은 비행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전파 기반의 장치이지만, 자기장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VOR은 지상에 설치된 전파 송신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속도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전압(total pressure)과 정압(static pressure) 차를 감지하여 해면고도에서의 밀도를 도입하여 계기에 지시하는 속도는?

  1. 등가대기속도(EAS)
  2. 진대기속도(TAS)
  3. 지시대기속도(IAS)
  4. 수정대기속도(CAS)
(정답률: 57%)
  • 전압과 정압 차를 이용한 속도 측정 방법은 고도가 변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면고도에서의 밀도를 이용하여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등가대기속도(EAS)를 계산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지시대기속도(IAS)를 측정한다. IAS는 비행기 내부에 설치된 기압계가 측정한 값으로, EAS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IAS를 이용하여 비행속도를 지시할 때는 해당 비행기의 특성에 맞게 보정된 수정대기속도(CAS)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가변 용량 펌프에 해당하는 것은?

  1. 제로터형 펌프
  2. 기어형 펌프
  3. 피스톤형 펌프
  4. 베인형 펌프
(정답률: 61%)
  • 피스톤형 펌프는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가변 용량 펌프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피스톤형 펌프가 가변 용량 펌프에 해당합니다. 제로터형 펌프는 회전하는 제로터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고정 용량 펌프, 기어형 펌프는 기어의 회전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고정 용량 펌프, 베인형 펌프는 회전하는 베인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가변 용량 펌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은?

  1. Magn-amp
  2. Brushless
  3. Carbon pile
  4. Constant speed drive
(정답률: 80%)
  •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은 "Constant speed drive"입니다. 이는 발전기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Magn-amp, Brushless, Carbon pile은 교류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배기가스를 히터로 사용하는 계통에서 부품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자기탐상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2. 주기적으로 일산화탄소 감지시험을 한다.
  3. 기관오버홀시 히터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4. 매 100시간 마다 배기계통의 부품을 교환한다.
(정답률: 72%)
  •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독성 가스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기가스를 히터로 사용하는 계통에서는 일산화탄소 감지시험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부품의 결함을 검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를 통해 일산화탄소 농도가 안전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인명사고나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자식 객실 온도 조절기에서 혼합 밸브의 목적은?

  1. 차가운 공기흐름의 방향 변화를 위해
  2. 공기를 가스에서 액체로 변화시키기 위해
  3. 장치내의 프레온과 오일을 혼합하기 위해
  4. 더운 공기와 찬 공기를 혼합하여 분배하기 위해
(정답률: 85%)
  • 전자식 객실 온도 조절기에서 혼합 밸브의 목적은 더운 공기와 찬 공기를 혼합하여 분배하기 위해입니다. 이는 객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차가운 공기와 더운 공기를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통신위성시스템에서 지구국의 일반적인 구성이 아닌 것은?

  1. 송수신계
  2. 감쇠계
  3. 변복조계
  4. 안테나계
(정답률: 71%)
  • 통신위성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은 송수신계, 변복조계, 안테나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감쇠계는 신호의 감쇠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쇠계가 지구국의 일반적인 구성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