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8)

항공산업기사
(2015-03-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항공기가 세로 안정하다는 것은 어떤 것에 대해서 안정하다는 의미인가?

  1. 롤링(Rolling)
  2. 피칭(Pitching)
  3. 요잉(Yawing)과 피칭(Pitching)
  4.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
(정답률: 74%)
  • 항공기가 세로 안정하다는 것은 항공기의 비행 중 세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안정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세로 안정성은 피칭(Pitching)과 관련이 있습니다. 피칭은 항공기의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미하며, 항공기의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가 세로 안정하다는 것은 피칭 제어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행기의 무게가 2500kg, 큰 날개의 면적이 30m2이며, 해발고도에서의 실속속도가 100km/h인 비행기의 최대양력계수는 약 얼마인가?(단, 공기의 밀도는 0.125kg·s2/m4이다.)

  1. 1.5
  2. 1.7
  3. 3.0
  4. 3.4
(정답률: 70%)
  • 비행기의 최대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양력계수 = (2 × 비행기의 무게) ÷ (공기의 밀도 × 큰 날개의 면적 × 해발고도에서의 실속속도의 제곱)

    = (2 × 2500) ÷ (0.125 × 30 × 1002)

    = 1.67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 날개에서의 실속현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날개상면의 흐름이 층류로 바뀌는 현상이다.
  2. 날개상면의 항력이 갑자기 0이 되는 현상이다.
  3. 날개상면의 흐름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다.
  4. 날개상면의 흐름이 날개상면의 앞전 근처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86%)
  • 항공기 날개상면에서의 실속현상은 날개상면의 흐름이 날개상면의 앞전 근처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날개상면의 압력이 낮아져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항공기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날개의 시위길이가 6m, 공기의 흐름 속도가 360km/h, 공기의 동점성계수가 0.3cm2/sec일 때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1. 1x107
  2. 2x107
  3. 1x109
  4. 2x109
(정답률: 76%)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x 속도 x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대기의 밀도인 1.2kg/m3로 가정한다.

    길이는 날개의 시위길이인 6m이다.

    속도는 km/h에서 m/s로 변환하여 계산한다.

    360km/h = 100m/s

    동점성계수는 0.3cm2/sec이므로 m2/s로 변환하여 계산한다.

    0.3cm2/sec = 0.3 x 10-4m2/s

    따라서,

    Re = (1.2kg/m3 x 100m/s x 6m) / (0.3 x 10-4m2/s) = 2 x 107

    따라서 정답은 "2x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헬리콥터의 자동회전(Autorotation)비행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호버링의 일종으로 양력과 무게의 균형을 유지한다.
  2. 기관이 고장났을 경우 로터블레이드의 독립적인 자유회전에 의한 강하비행을 말한다.
  3.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면서 무동력으로 하강하는 것이다.
  4. 공기흐름은 상향공기흐름을 일으켜 착륙에 필요한 양력을 발생시킨다.
(정답률: 58%)
  • 정답은 "호버링의 일종으로 양력과 무게의 균형을 유지한다."가 아닌 것이다. 이유는 헬리콥터의 자동회전 비행은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면서 무동력으로 하강하는 것을 말하며, 양력과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일반적인 비행에서의 상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펠러 깃의 미소길이에 발생하는 미소양력이 dL, 항력이 dD이고, 이 때의 유효유입각(effective advance angle)이 α라면 이 미소길이에서 발생하는 미소추력은?

  1. dLcosα - dDsinα
  2. dLsinα - dDcosα
  3. dLcosα + dDsinα
  4. dLsinα + dDcosα
(정답률: 64%)
  • 프로펠러 깃의 미소길이에서 발생하는 미소양력과 항력은 각각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 유효유입각은 프로펠러 깃의 미소길이와 수평선 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미소추력은 미소양력의 수직 성분인 dLcosα과 항력의 수평 성분인 -dDsin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dLcosα - dDsin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대기의 기온, 압력, 밀도, 음속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15℃, 750mmHg, 1.5kg/m3, 330m/s
  2. 15℃, 760mmHg, 1.2kg/m3, 340m/s
  3. 18℃, 750mmHg, 1.5kg/m3, 340m/s
  4. 158℃, 756mmHg, 1.2kg/m3, 330m/s
(정답률: 88%)
  • 표준대기는 해발 0m에서 기온이 15℃이고 압력이 760mmHg인 상태를 말합니다. 이 때의 밀도는 1.2kg/m3이며, 음속은 대략 340m/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 760mmHg, 1.2kg/m3, 340m/s"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온, 압력, 밀도, 음속 중 적어도 하나가 표준대기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무게가 500lbs인 비행기의 마력곡선이 그림과 같다면 수평정상비행할 때 최대상승률은 몇 ft/min인가? (단, HPreq는 필요마력, HPav는 이용마력, 비행경로선과 추력선 사이각, 비행경로각은 작다.)

  1. 1122
  2. 1555
  3. 2360
  4. 2500
(정답률: 44%)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틀린 설명.
  • Pa(이용마력)가 최대 Pr(필요마력)이 최소인 곳이 최대상승 구간이다.

    상승률 = (Pa-Pr)/W 식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27 HP - 10 HP) / 500 lbs = {(27 HP - 10 HP) x 33000 Ib•ft/min} / 500 lbs = 1122 ft• min

    정답: 1번 (1122 ft • mi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항공기의 동적안정성이 양(+)인 상태에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운동의 주기가 시간에 따라 일정하다.
  2. 운동의 주기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3.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4. 운동의 고유진동수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정답률: 72%)
  • 운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은 항공기의 동적안정성이 양(+)인 상태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일정한 주기로 운동하면서 공기저항 등의 요인으로 인해 운동의 진폭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기의 방향안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1. 수평꼬리날개
  2. 플랩
  3. 수직꼬리날개
  4. 날개의 쳐든각
(정답률: 86%)
  • 비행기의 방향안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수직꼬리날개입니다. 수직꼬리날개는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비행기의 수평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평꼬리날개나 플랩은 비행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지만, 방향안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날개의 쳐든각은 비행기의 공기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되지만, 방향안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의 레이놀즈수와 마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하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커진다.
  2. 레이놀즈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면 커진다.
  3. 마하수는 공기 중의 음속을 기준으로 나타낸다.
  4. 레이놀즈수는 공기흐름의 점성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68%)
  • "마하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커진다."이 말이 틀린 이유는,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음속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하수는 온도가 상승하면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체흐름을 이상유체(Ideal fluid)로 설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압력변화가 없다.
  2. 온도변화가 없다.
  3. 흐름속도가 일정하다.
  4. 점성의 영향을 무시한다.
(정답률: 78%)
  • 점성은 유체 내부에서 분자 간의 마찰로 인해 생기는 힘입니다. 이 힘이 작용하면 유체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이상유체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점성의 영향을 무시해야 합니다. 즉, 유체 내부에서 분자 간의 마찰이 없다고 가정하여 유체의 흐름을 분석합니다. 따라서 "점성의 영향을 무시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로펠러에 흡수되는 동력과 프로펠러의 회전수(n), 프로펠러의 지름(D)에 대한 관계로 옳은 것은?

  1. n의 제곱에 비례하고 D의 제곱에 비례한다.
  2. n의 제곱에 비례하고 D의 3제곱에 비례한다.
  3. n의 3제곱에 비례하고 D의 4제곱에 비례한다.
  4. n의 3제곱에 비례하고 D의 5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77%)
  • 프로펠러에 흡수되는 동력은 프로펠러의 회전수(n)과 프로펠러의 지름(D)에 비례한다. 이는 프로펠러의 회전수(n)가 증가하면 프로펠러의 회전하는 블레이드 수가 증가하고, 프로펠러의 지름(D)이 증가하면 프로펠러의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펠러에 흡수되는 동력은 n의 3제곱에 비례하고 D의 5제곱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의 조종력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조종면의 크기
  2. 비행기의 속도
  3. 비행기의 추진효율
  4. 조종면의 힌지모멘트 계수
(정답률: 71%)
  • 비행기의 추진효율은 비행기의 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조종력을 결정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조종면의 크기와 힌지모멘트 계수는 비행기의 조종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상선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각이 크면 선회반경은 커진다.
  2. 선회반경은 속도가 클수록 작아진다.
  3. 경사각이 클수록 하중배수는 커진다.
  4. 선회시 실속속도는 수평비행 실속속도보다 작다.
(정답률: 61%)
  • 정상선회는 비행기가 수평비행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유지하며 회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경사각이 클수록 비행기의 선회반경은 커지게 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 중심이 비행기의 중심에서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중배수가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헬리콥터 회전날개의 추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은?

  1. 기관의 연료소비율에 따른 연소이론
  2. 로터 블레이드의 코닝각의 속도변화 이론
  3.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관성을 이용한 관성 이론
  4. 회전면 앞에서의 공기유동량과 회전면 뒤에서의 공기유동량의 차이를 운동량에 적용한 이론
(정답률: 82%)
  • 헬리콥터 회전날개의 추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은 "회전면 앞에서의 공기유동량과 회전면 뒤에서의 공기유동량의 차이를 운동량에 적용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회전하는 날개 앞쪽에서는 공기가 빠르게 흐르고, 뒤쪽에서는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앞쪽에서는 공기압이 낮아지고, 뒤쪽에서는 공기압이 높아지는데, 이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날개에 작용하는 추력을 계산합니다. 이 이론은 베르누이 원리와 관련이 있으며, 헬리콥터의 비행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행기가 착륙할 때 활주로 15m 높이에서 실속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활주로에 진입하며 강하하는 이유는?

  1.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해서
  2. 지면효과에 의한 급격한 항력증가를 줄이기 위해서
  3. 항공기 소음을 속도증가를 통해 감소시키기 위해서
  4. 지면 부근의 돌풍에 의한 비행기의 자세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답률: 76%)
  • 비행기가 착륙할 때 지면 부근에는 돌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돌풍은 비행기의 자세를 교란시키고, 착륙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는 활주로에 진입할 때 실속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진입하여, 지면 부근의 돌풍에 의한 자세교란을 방지하고 안전한 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로펠러 항공기가 최대 항속거리로 비행할 수 있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CD는 항력계수, CL은 양력계수이다.)

  1. (CD / CL) 최대
  2. (CL1/2 / CD) 최대
  3. (CL / CD) 최대
  4. (CD1/2/ CL) 최대
(정답률: 73%)
  • "(CL / CD) 최대"인 이유는, CL은 비행기의 양력을 나타내고, CD는 비행기의 항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CL이 최대가 되고, CD가 최소가 되는 상황이 최대 항속거리를 낼 수 있는 조건이다. 이는 비행기가 고도를 유지하면서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항공기의 운동은 어떤 운동의 결합으로 볼 수 있는가?

  1. 자전운동(Autorotation)+수직강하
  2. 자전운동(Autorotation)+수평선회
  3. 균형선회(Turn coordination)+빗놀이
  4. 균형선회(Turn coordination)+수직강하
(정답률: 77%)
  • 이 항공기의 운동은 자전운동(Autorotation)과 수직강하의 결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전운동은 항공기의 회전운동으로, 항공기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저항력으로 인해 로터블레이드(회전하는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공중에 떠있을 수 있습니다.

    수직강하는 항공기가 수직으로 내려가는 운동으로, 항공기의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내려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항공기의 운동은 자전운동으로 인해 공기를 받아들이면서 수직강하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날개 뿌리 시위길이가 60cm이고 날개 끝 시위길이가 40cm인 사다리골 날개의 한쪽 날개 길이가 150cm일 때 평균 시위길이는 몇 cm인가?

  1. 40
  2. 50
  3. 60
  4. 75
(정답률: 66%)
  • 평균 시위길이는 날개 뿌리 시위길이와 날개 끝 시위길이의 평균이므로,

    평균 시위길이 = (날개 뿌리 시위길이 + 날개 끝 시위길이) / 2

    = (60cm + 40cm) / 2

    = 50cm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체적 10cm3 속의 완전기체가 압력 760mmHg 상태에서 체적이 20cm3로 단열팽창하면 압력은 몇 mmHg로 변하는가?(단, 비열비는 1.4이다.)

  1. 217
  2. 288
  3. 302
  4. 364
(정답률: 63%)
  • 단열팽창에서는 열이 변하지 않으므로, PV^γ = 상수 (γ는 비열비)의 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초기 압력 P1 = 760mmHg, 초기 체적 V1 = 10cm^3, 최종 체적 V2 = 20cm^3, 비열비 γ = 1.4 이므로,

    P1V1^γ = P2V2^γ

    760mmHg × 10cm^3^1.4 = P2 × 20cm^3^1.4

    P2 = (760mmHg × 10cm^3^1.4) / 20cm^3^1.4

    P2 = 288mmHg

    따라서, 압력은 288mmHg로 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왕복기관의 마그네토가 점화에 유효한 고전압을 발생할 수 있는 최소 회전속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E-갭 스피드(E-gap speed)
  2. 아이들 스피드(idle speed)
  3. 2차 회전수(secondary speed)
  4. 커밍-인 스피드(coming-in speed)
(정답률: 66%)
  • 왕복기관의 마그네토는 회전속도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이 고전압이 점화에 유효한 최소한의 값이 되기 위해서는 마그네토가 일정한 회전속도 이상에서 작동해야 한다. 이 최소 회전속도를 커밍-인 스피드(coming-in speed)라고 부른다. 이는 마그네토 내부의 회전자가 자기장에 들어가는 속도가 일정 이상이 되어야만 전기적인 에너지가 생성되어 고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커밍-인 스피드는 마그네토가 점화에 유효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회전속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용 왕복기관의 밸브 개폐 시기가 다음과 같다면 밸브 오버랩(valve over lap)은 몇 도(°)인가?

  1. 15
  2. 45
  3. 60
  4. 75
(정답률: 83%)
  • 밸브 오버랩은 한 실린더의 배기 밸브가 닫히고 다른 실린더의 흡기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두 밸브가 모두 열릴 때까지의 각도를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1-2-4-3 순서로 작동하는 4기통 엔진의 왕복기관을 다루고 있으며, 각 실린더의 밸브 개폐 시기는 다음과 같다.

    - 1번 실린더: 배기 밸브 닫힘 - 360도 / 흡기 밸브 개방 - 0도
    - 2번 실린더: 배기 밸브 개방 - 270도 / 흡기 밸브 닫힘 - 90도
    - 3번 실린더: 배기 밸브 닫힘 - 180도 / 흡기 밸브 개방 - 540도
    - 4번 실린더: 배기 밸브 개방 - 90도 / 흡기 밸브 닫힘 - 270도

    따라서 1번 실린더의 배기 밸브가 닫히고 2번 실린더의 흡기 밸브가 열리는 시점은 360도 + 270도 = 630도이다. 이후 2번 실린더의 흡기 밸브가 모두 열리는 시점은 630도 + 90도 = 720도이다. 따라서 밸브 오버랩은 720도 - 630도 = 90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180도를 초과하지 않는" 밸브 오버랩을 구하는 것이므로, 90도 중에서도 겹치는 부분인 45도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스터빈기관의 효율이 높을수록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료 소비율이 작아진다.
  2. 활공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3. 같은 적재연료에서 항속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4. 필요한 적재 연료의 감소분만큼 유상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63%)
  • 가스터빈기관의 효율이 높을수록 연료 소비율이 작아지고, 같은 적재연료에서 항속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적재 연료의 감소분만큼 유상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활공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아니다. 이는 비행기의 기체성능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팬 블레이드의 미드 스팬 쉬라우드(mid span shrou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역학적인 항력을 감소시킨다.
  2. 팬 블레이드 중간에 원형링을 형성하게 설치되어 있다.
  3. 상호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을 줄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코팅을 한다.
  4. 공기흐름에 의한 블레이드의 굽힘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47%)
  •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역학적인 항력을 감소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미드 스팬 쉬라우드는 팬 블레이드 중간에 원형링을 형성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호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을 줄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코팅을 하고, 공기흐름에 의한 블레이드의 굽힘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 중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공기역학적인 항력을 감소시킨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은 미드 스팬 쉬라우드가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블레이드 주변의 공기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공기역학적인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viscosity Index)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작다.
  2.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3. 압력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작다.
  4. 압력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크다.
(정답률: 79%)
  • 항공기 기관용 윤활유의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은 온도변화에 따른 윤활유의 점도 변화가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온도가 변화해도 윤활유의 끈적거림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항공기 엔진과 같이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는 기계에서 안정적인 윤활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보기]에서 왕복기관과 비교했을 때 가스터빈기관의 장점만을 나열한 것은?

  1. (A), (B), (D), (E)
  2. (A), (C), (D), (F)
  3. (B), (C), (E), (F)
  4. (A), (D), (E), (F)
(정답률: 74%)
  • 가스터빈기관의 장점만을 나열한 것은 (A), (B), (D), (E) 이다. 이는 보기에서 가스터빈기관의 단점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C)와 (F)는 각각 왕복기관과 비교했을 때 가스터빈기관의 장단점을 모두 나열한 것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B)는 왕복기관의 장점만을 나열한 것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경항공기에서 프로펠러 감속기어(reduction gear)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2. 깃의 숫자를 많게 하기 위하여
  3. 깃 끝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4. 프로펠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83%)
  • 경항공기에서 프로펠러 감속기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깃 끝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안전성을 높이고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속 프로펠러에서 프로펠러가 과속상태(over speed)가 되면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의 상태는?

  1. 밖으로 벌어진다.
  2. 무게가 감소된다.
  3. 안으로 오므라든다.
  4. 무게가 증가된다.
(정답률: 77%)
  • 정속 프로펠러에서 프로펠러가 과속상태가 되면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는 밖으로 벌어진다. 이는 과속상태에서는 프로펠러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조속기 플라이 웨이트도 밖으로 벌어져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밖으로 벌어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왕복기관의 실린더를 분해 및 조립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실린더를 장착할 때 12시 방향의 너트를 먼저 조인 후 다른 너트를 조인다.
  2. 실린더를 떼어내기 전에 외부에 부착된 부품들을 먼저 떼어 낸다.
  3. 실린더를 떼어낼 때 피스톤 행정을 배기 상사점 위치에 맞춘다.
  4. 실린더를 장착할 때 피스톤 링의 터진 방향을 링의 개수에 따라 균등한 각도로 맞춘다.
(정답률: 71%)
  • 정답은 "실린더를 장착할 때 피스톤 링의 터진 방향을 링의 개수에 따라 균등한 각도로 맞춘다."입니다.

    실린더를 떼어낼 때 피스톤 행정을 배기 상사점 위치에 맞추는 이유는 피스톤 행정이 상단 데드센터에 위치하면 실린더를 떼어낼 때 피스톤이 실린더 벽면에 부딪히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기 상사점 위치에 맞추어야 안전하게 실린더를 분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스터빈기관에서 압축기 실속(compressor stall)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압축기의 손상
  2. 터빈의 변형 또는 손상
  3. 설계 rpm 이하에서의 기관 작동
  4. 기관 시동용 블리드 공기의 낮은 압력
(정답률: 56%)
  • 가스터빈기관에서 압축기 실속은 압축기 내부의 공기 유동이 불안정해지거나 중단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압축기의 손상, 터빈의 변형 또는 손상, 설계 rpm 이하에서의 기관 작동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관 시동용 블리드 공기의 낮은 압력은 압축기 실속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이유는 기관 시동용 블리드 공기는 압축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기관 시동용 블리드 공기의 낮은 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왕복기관 동력을 발생시키는 행정은?

  1. 흡입행정
  2. 압축행정
  3. 팽창행정
  4. 배기행정
(정답률: 74%)
  • 왕복기관 동력을 발생시키는 행정은 "팽창행정"이다. 이는 기관 내부에 있는 공기를 뜨겁게 가열하여 팽창시키고, 이로 인해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왕복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팽창행정이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터빈기관의 시동계통에서 자립회전속도(self-accelerating speed)의 의미로 옳은것은?

  1. 시동기를 켤 때의 회전속도
  2. 점화가 일어나서 배기가스 온도가 증가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의 회전속도
  3. 아이들(idle) 상태에 진입하기 시작했을 때의 회전속도
  4. 시동기의 도움없이 스스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의 회전속도
(정답률: 82%)
  • 가스터빈기관의 시동계통에서 자립회전속도란, 시동기의 도움 없이 스스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의 회전속도를 의미합니다. 즉, 가스터빈기관이 처음 가동될 때 시동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스로 회전을 시작하는 속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윤활유 여과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트리지형은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2. 여과능력은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인 미크론(micron)으로 나타낸다.
  3. 바이패스밸브는 기관 정지시 윤활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4. 바이패스밸브는 필터 출구압력이 입구압력보다 높을 때 열린다.
(정답률: 68%)
  • 윤활유 여과기는 윤활유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기계의 성능을 유지하고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여과기는 카트리지형과 스핀온형으로 나뉘며, 여과능력은 여과기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인 미크론(micron)으로 나타낸다. 바이패스밸브는 필터 출구압력이 입구압력보다 높을 때 열린다는 것은 옳지 않다. 바이패스밸브는 기관 정지시 윤활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형 여과기는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 왕복기관의 오일 탱크 안에 부착된 호퍼(hopper)의 주된 목적은?

  1. 오일을 냉각시켜 준다.
  2. 오일 압력을 상승시켜 준다.
  3. 오일 내의 연료를 제거시켜 준다.
  4. 시동시 오일의 온도 상승을 돕는다.
(정답률: 74%)
  • 호퍼는 오일을 보관하는 탱크 안에서 오일의 순환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호퍼는 오일을 냉각시키고, 오일 압력을 상승시키며, 오일 내의 연료를 제거시켜 줍니다. 또한, 시동시 오일의 온도 상승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동시 오일의 온도 상승을 돕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열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팽창일을 할 때는 온도가 올라가고 압축일을 할 때는 온도가 내려간다.
  2. 팽창일을 할 때는 온도가 내려가고 압축일을 할 때는 온도가 올라간다.
  3. 팽창일을 할 때와 압축일을 할 때에 온도가 모두 올라간다.
  4. 팽창일을 할 때와 압축일을 할 때에 온도가 모두 내려간다.
(정답률: 68%)
  • 단열변화란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말한다. 이때,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변화하면서 온도도 변화한다. 팽창일을 할 때는 기체가 확장하면서 부피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이때, 기체 내부의 분자들이 서로 멀어지면서 열운동이 감소하고 온도가 내려간다. 반대로, 압축일을 할 때는 기체가 압축되면서 부피가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한다. 이때, 기체 내부의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열운동이 증가하고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팽창일을 할 때는 온도가 내려가고 압축일을 할 때는 온도가 올라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부자식 기화기에서 기관이 저속상태일 때 연료를 분사하는 장치는?

  1. Venturi
  2. Main discharge nozzle
  3. Main orifice
  4. Idle discharge nozzle
(정답률: 64%)
  • Idle discharge nozzle는 부자식 기화기에서 기관이 저속상태일 때 연료를 분사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주로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작동할 때 필요한 연료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로 고속상태에서 연료를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스터빈기관의 연소실에 부착된 부품이 아닌 것은?

  1. 연료노즐
  2. 선회깃
  3. 가변정익
  4. 점화플러그
(정답률: 59%)
  • 가스터빈기관의 연소실에 부착된 부품 중에서 가변정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변정익은 제트 엔진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공기의 유속에 따라 입구의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공기의 압축률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기 왕복기관의 제동마력과 단위시간당 기관이 소비한 연료 에너지와의 비는 무엇인가?

  1. 제동열효율
  2. 기계열효율
  3. 연료소비율
  4. 일의 열당량
(정답률: 63%)
  • 제동열효율은 항공기가 제동을 걸 때, 제동마력으로 발생한 열과 기관이 소비한 연료 에너지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제동마력과 연료 소비량을 비교하여 계산할 수 있다. 기계열효율은 기계가 일을 하는 데 사용되는 열과 기관이 소비한 연료 에너지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며, 연료소비율은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일의 열당량은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항공기의 제동마력과 연료 소비량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동열효율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민간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에 주로 사용되는 연료는?

  1. JP-4
  2. Jet A-1
  3. JP-8
  4. Jet B-5
(정답률: 79%)
  • 민간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에 주로 사용되는 연료는 Jet A-1이다. 이는 고순도의 정제된 항공용 연료로, 민간 항공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 중 하나이다. Jet A-1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액체점과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어서 고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연소할 수 있다. 또한, Jet A-1은 JP-4나 JP-8과 같은 연료보다 더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복합재료에서 모재(matrix)와 결합되는 강화재 (reinforcing material)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유리
  2. 탄소
  3. 에폭시
  4. 보론
(정답률: 75%)
  • 에폭시는 모재(matrix)와 결합되는 강화재(reinforcing material)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에폭시는 모재 자체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유리, 탄소, 보론은 모재와 결합되는 강화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에폭시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접개들이 착륙장치를 비상으로 내리는(down) 3가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핸드펌프로 유압을 만들어 내린다.
  2. 축압기에 저장된 공기압을 이용하여 내린다.
  3. 핸들을 이용하여 기어의 업(up)락크를 풀었을 때 자중에 의하여 내린다.
  4. 기어핸들 밑에 있는 비상 스위치를 눌러서 기어를 내린다.
(정답률: 70%)
  • 기어핸들 밑에 있는 비상 스위치를 눌러서 기어를 내리는 것은 실제로는 접개를 내리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비상 상황에서 기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기어를 강제로 내리는 것이 아니라 비상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조치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접개를 내리는 방법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종간의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종간을 뒤로 당기면 승강타가 내려간다.
  2.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양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3. 조종간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4.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정답률: 73%)
  • 조종간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왼쪽의 보조날개가 내려간다. 이는 비행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치로, 왼쪽 보조날개를 내리면 비행기의 왼쪽 측면에 더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어 비행기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오른쪽 조종간을 움직여 왼쪽 보조날개를 올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판재를 절단하는 가공 작업이 아닌 것은?

  1. 펀칭(punching)
  2. 블랭킹(blanking)
  3. 트리밍(trimming)
  4. 크림핑(crimping)
(정답률: 58%)
  • 크림핑은 판재를 절단하는 가공 작업이 아니라, 판재의 가장자리를 구부려서 강도를 높이는 작업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펀칭은 구멍을 뚫는 작업, 블랭킹은 판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자르는 작업, 트리밍은 판재의 가장자리를 다듬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진주색을 띄고 있는 알루미늄합금 리벳은 어떤 방식처리를 한 것인가?

  1. 양극처리를 한 것이다.
  2. 금속도료로 도장한 것이다.
  3. 크롬산 아연 도금한 것이다.
  4. 니켈, 마그네슘으로 도금한 것이다.
(정답률: 62%)
  • 진주색을 띄고 있는 알루미늄합금 리벳은 양극처리를 한 것이다. 양극처리란, 금속 표면에 양극성 산화물 층을 형성하여 부식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알루미늄합금 리벳의 내식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용접 작업에 사용되는 산소•아세틸렌 토치 팁(tip)의 재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납 및 납합금
  2. 구리 및 구리합금
  3. 마그네슘 및 마그네슘 합금
  4.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정답률: 74%)
  • 산소•아세틸렌 토치 팁은 고열과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 중에서 구리 및 구리합금이 가장 적합합니다. 구리는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열과 압력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또한, 구리합금은 구리보다 더 높은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용접 작업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산소•아세틸렌 토치 팁의 재질로 구리 및 구리합금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쪽 끝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자유단으로 되어있는 지름이 4cm, 길이가 200cm인 원기둥의 세장비는 약 얼마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55%)
  • 원기둥의 세장비는 주어진 길이와 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세장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세장비 = (지름^2 × 길이) ÷ 4

    따라서, 주어진 원기둥의 세장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세장비 = (4^2 × 200) ÷ 4 = 1600 ÷ 4 = 400

    따라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료를 제외한 적재된 항공기의 최대 무게를 나타내는 것은?

  1. 최대 무게(maximum weight)
  2. 영 연료 무게(zero fuel weight)
  3. 기본 자기 무게(basic empty weight)
  4. 운항 빈 무게(operating empty weight)
(정답률: 81%)
  • 영 연료 무게는 연료를 제외한 항공기의 적재 가능한 최대 무게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즉, 항공기가 연료를 채우기 전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적재물과 승객, 직원 등의 무게를 고려할 때 영 연료 무게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다른 선택지인 최대 무게는 연료를 포함한 항공기의 최대 무게를 나타내며, 기본 자기 무게와 운항 빈 무게는 항공기의 무게를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샌드위치(sandwich)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러스구조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2. 강도와 강성에 비해 다른 구조보다 두꺼워 항공기의 중량이 증가하는 편이다.
  3. 동체의 외피 및 주요 구조부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4. 구조골격의 설치가 곤란한 곳에 상하 외피 사이에 벌집 구조를 접착재로 고정하여 면적당 무게가 적고 강도가 큰 구조이다.
(정답률: 80%)
  • 샌드위치 구조는 구조골격의 설치가 곤란한 곳에 상하 외피 사이에 벌집 구조를 접착재로 고정하여 면적당 무게가 적고 강도가 큰 구조이다. 이는 샌드위치처럼 외피 사이에 내부 공간이 있는 구조로, 대표적인 예로 항공기의 동체 외피 및 주요 구조부분에 사용된다. 이 구조는 강도와 강성에 비해 다른 구조보다 두꺼워 항공기의 중량이 증가하는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항공기를 사용 목적이나 소요 비행 상태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정하는 하중배수와 같은 값이 될 때의 속도는?

  1. 설계운용속도
  2. 설계급강하속도
  3. 설계순항속도
  4. 설계돌풍운용속도
(정답률: 64%)
  • 설계운용속도는 항공기가 설계된 운용 상태에서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정해지는 값으로, 항공기의 최대 속도와 최소 속도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 값은 항공기의 구조적 특성, 안전성,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지며,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값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하중배수를 정할 때에도 이 값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플러쉬 머리(flush head) 리벳작업을 할 때 끝거리 및 리벳간격의 최소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끝거리는 리벳직경의 2.5배 이상, 간격은 3배이상
  2. 끝거리는 리벳직경의 3배 이상, 간격은 2배이상
  3. 끝거리는 리벳직경의 2배 이상, 간격은 3배이상
  4. 끝거리는 리벳직경의 3배 이상, 간격은 3배이상
(정답률: 61%)
  • 플러쉬 머리 리벳은 두 재료를 겹쳐서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끝거리와 간격이 적절하지 않으면 리벳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끝거리는 리벳직경의 2.5배 이상, 간격은 3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리벳이 재료를 충분히 덮고, 간격이 넓어서 리벳이 제대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항공기의 부식을 발생시키는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탱크내의 유기물
  2. 해면상의 대기 염분
  3. 암회색의 인산철피막
  4. 활주로 동결 방지제의 염산
(정답률: 68%)
  • 암회색의 인산철피막은 항공기의 부식을 발생시키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항공기의 표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기의 무게중심이 기준선에서 90in에 있고, MAC의 앞전이 기준선에서 82in인 곳에 위치한다면 MAC가 32in인 경우 중심은 몇 %MAC 인가?

  1. 15
  2. 20
  3. 25
  4. 35
(정답률: 68%)
  • MAC가 32in이므로, MAC 앞전의 길이는 16in이다. 따라서, 무게중심은 MAC 앞전에서 90-16=74in 떨어져 있다. 이를 MAC 길이인 32in으로 나누면 74/32=2.3125가 나오는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약 23.125%이다. 따라서, 정답은 "25"가 아닌 "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항공기 동체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피가 두꺼워져 미사일의 구조에 적합하다.
  2. 응력스킨구조의 대표적인 형식 중 하나이다.
  3. 외피는 하중의 일부만 담당하고 나머지 하중은 골조구조가 담당한다.
  4. 벌크헤드, 프레임, 세로대, 스트링어, 외피 등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75%)
  • "외피가 두꺼워져 미사일의 구조에 적합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외피가 두꺼워지면 미사일의 무게가 더 무거워지고, 비행 시에는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미사일의 구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진공백을 이용한 항공기의 복합재료 수리시 사용 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요크
  2. 브리더
  3. 필 플라이
  4. 브레더
(정답률: 54%)
  • 요크는 항공기의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복합재료 수리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요크는 항공기의 엔진과 기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요크는 복합재료 수리시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고속 항공기 기체의 재료로서 알루미늄합금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티타늄 합금으로 대체한다면 알루미늄합금의 어떠한 이유 때문인가?

  1. 마찰저항이 너무 크다.
  2. 온도에 대한 제1변태점이 비교적 낮다.
  3.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한다.
  4. 비중이 높아 항공기 기체의 중량이 너무 크다.
(정답률: 80%)
  • 고속 항공기는 비행 중에 고온과 고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재료는 이러한 환경에 대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알루미늄합금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이고 가벼우며 가공이 쉬워서 항공기 제조에 많이 사용되지만, 고속 비행기에서는 온도에 대한 제1변태점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강도와 내구성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티타늄 합금은 알루미늄합금보다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추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대체재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케이블 조종계통에 사용되는 페어리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작은 각도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한다.
  2. 작동 중 마찰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3. 케이블의 엉킴이나 다른 구조물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4. 케이블의 직선운동을 토크튜브의 회전운동으로 바꿔준다.
(정답률: 67%)
  • 정답: "작은 각도의 범위에서 방향을 유도한다."

    페어리드는 케이블을 토크튜브에 연결하여 케이블의 직선운동을 토크튜브의 회전운동으로 바꿔줍니다. 이는 조종사가 핸들을 조작할 때 케이블이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핸들 조작이 더욱 부드럽고 정확해집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직선운동을 토크튜브의 회전운동으로 바꿔준다."가 아닌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이 길이 L 전체에 등분포하중 q를 받고 있는 단순보의 최대전단력은?

  1. q/L
  2. qL/4
  3. qL/2
  4. qL2/8
(정답률: 48%)
  • 단순보의 최대전단력은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중간 지점에서의 전단력은 등분포하중 q의 반값인 q/2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전단력은 중간 지점에서의 전단력인 q/2에 L/2의 길이를 곱한 qL/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qL/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리벳을 열처리하여 연화시킨 다음 저온 상태의 아이스박스에 보관하면 리벳의 시효경화를 지연시켜 연화상태가 유지되는 리벳은?

  1. 1100
  2. 2024
  3. 2117
  4. 5056
(정답률: 82%)
  • 2024 알루미늄 합금은 열처리 후 냉각하면 강도가 증가하고, 높은 내식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리벳을 열처리하여 연화시킨 후 2024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든 리벳을 사용하면 시간이 지나도 연화되지 않고 강도가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기]와 같은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는 항공기 부위는?

  1. 착륙장치
  2. 나셀
  3. 꼬리날개
  4. 주날개
(정답률: 84%)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구조물은 항공기의 꼬리부분에 위치한 수직 안정면인 수직 꼬리날개이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품으로, 항공기의 공기 저항을 줄이고, 공기의 흐름을 안정시켜서 비행 중에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정답은 "꼬리날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황산납 축전지(lead acid battery)의 과충전상태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전해액이 축전지 밖으로 흘러나오는 경우
  2. 축전지에 흰색 침전물이 너무 많이 묻어있는 경우
  3. 축전지 셀의 케이스가 구부러졌거나 찌그러진 경우
  4. 축전지 윗면 캡 주위의 약간의 탄산칼륨이 있는 경우
(정답률: 65%)
  • 황산납 축전지는 과충전 상태일 때 전해액이 축전지 밖으로 흘러나오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축전지에 흰색 침전물이 너무 많이 묻어있거나 축전지 셀의 케이스가 구부러졌거나 찌그러진 경우도 과충전 상태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그러나 축전지 윗면 캡 주위의 약간의 탄산칼륨이 있는 경우는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상적인 증상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축전지 윗면 캡 주위의 약간의 탄산칼륨이 있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자이로가 우주공간에 대하여 그 자세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려는 성질은?

  1. 방향성
  2. 강직성
  3. 지시성
  4. 섭동성
(정답률: 80%)
  • 자이로는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자세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강직성이라고 합니다. 즉, 자이로는 자신의 축을 따라 회전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도 자신의 방향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강직성은 항공기나 우주선 등에서 자이로를 이용하여 항법이나 자세 제어를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항공기 조리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한 물은 배출구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는데 이때 결빙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전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상에서는 저전압, 공중에서는 고전압 전원이 항상 공급된다.
  2. 공중에서는 저전압, 지상에서는 고전압 전원이 항상 공급된다.
  3. 공중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며 이 때 전원은 고전압이다.
  4. 지상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며 이 때 전원은 저전압이다.
(정답률: 71%)
  • 항공기 조리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한 물은 결빙 방지를 위해 항상 뜨거운 물이 사용되며, 이 뜨거운 물을 만들기 위해 전원이 필요합니다. 항공기가 지상에 있을 때는 전원이 저전압으로 공급되고, 이륙 후 공중에서는 고전압으로 전원이 공급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지상에서는 지상 전원을 사용하고, 이륙 후에는 발전기를 통해 고압 전원을 생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상에서는 저전압, 공중에서는 고전압 전원이 항상 공급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운항 중 목표 고도로 설정한 고도에 진입하거나 벗어났을 때 경보를 냄으로써 조종사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SELCAL
  2. Radio altimeter
  3. Altitude alert system
  4. Air traffic control
(정답률: 74%)
  • Altitude alert system은 조종사가 설정한 목표 고도에 도달하거나 벗어났을 때 경보를 울려 조종사의 주의를 끌어 실수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는 조종사의 안전한 비행을 돕기 위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도계에서 발생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북선오차
  2. 기계오차
  3. 온도오차
  4. 탄성오차
(정답률: 71%)
  • 고도계는 대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고도를 측정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북선오차는 아닙니다. 북선오차는 지구가 구형이 아닌 타원체 모양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위도에 따른 오차로, 고도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기계오차는 고도계 자체의 오차, 온도오차는 고도계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 탄성오차는 고도계의 부품들이 변형되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유압계통에서 압력조절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압력조절기보다 약간 높게 조절되어 있어 그 이상의 압력이 되면 작동되는 장치는?

  1. 체크밸브
  2. 리저버
  3. 릴리프밸브
  4. 축압기
(정답률: 72%)
  • 릴리프밸브는 유압계통에서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 중 하나로, 압력조절기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압력조절기보다 약간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계통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면 릴리프밸브가 작동하여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줍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릴리프밸브는 유압계통에서 안전장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항공기 계기의 분류에서 비행계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도계
  2. 회전계
  3. 선회경사계
  4. 속도계
(정답률: 57%)
  • 비행계기는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기기들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회전계는 항공기의 회전 상태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기기로, 비행 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회전계는 비행계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항공계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정확성
  2. 대형화
  3. 내구성
  4. 경량화
(정답률: 84%)
  • 항공계기의 구비 조건 중에서 "대형화"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조건입니다. 항공계기는 정확성, 내구성, 경량화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지만, 크기가 크거나 작은 것은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대형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미국연방항공국(FAA)의 규정에 명시된 항공기의 최대 객실고도는 약 몇 ft인가?

  1. 6000
  2. 7000
  3. 8000
  4. 9000
(정답률: 86%)
  • FAA의 규정에 따르면 항공기의 최대 객실고도는 8000ft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정비를 위한 목적으로 지상근무자와 조종실 사이의 통화를 위한 장치는?

  1. Cabin interphone system
  2. Flight interphone system
  3. Passenger address system
  4. Service interphone system
(정답률: 76%)
  • 정비를 위한 목적으로 지상근무자와 조종실 사이의 통화를 위한 장치는 "Service interphone system"이다. 이는 지상 근무자와 조종사가 비행기 내부에서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정비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abin interphone system은 비행기 내부의 승무원 간 통화를 위한 시스템이고, Flight interphone system은 조종실 내부의 조종사 간 통화를 위한 시스템이다. Passenger address system은 승객에게 방송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화재탐지기로 사용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유닛식 탐지기
  2. 연기 탐지기
  3. 이산화탄소 탐지기
  4. 열전쌍 탐지기
(정답률: 63%)
  • 이산화탄소 탐지기는 화재가 아닌 곳에서도 사용되는 가스 탐지기로,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화재탐지기로 사용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계기 착륙 장치(Instrument ianding system)에서 활주로 중심을 알려 주는 장치는?

  1. 로컬라이저(localizer)
  2. 마커 비컨(marker beacon)
  3.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
  4. 거리 측정 장치(distance measuring equipment)
(정답률: 70%)
  • 로컬라이저는 계기 착륙 장치에서 활주로 중심을 알려주는 장치 중 하나로, 비행기가 활주로에 정확하게 착륙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정렬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비행기가 활주로에 수평으로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면적이 2in2인 A피스톤과 10in2인 B피스톤을 가진 실린더가 유체역학적으로 서로연결 되어 있을 경우 A피스톤에 20lbs의 힘이 가해질 때 B피스톤에 발생되는 힘은몇 lbs인가?

  1. 100
  2. 20
  3. 10
  4. 5
(정답률: 56%)
  • 유체의 체적은 일정하므로 A피스톤이 내리감으로써 B피스톤은 올라가게 된다. 이 때, A피스톤의 면적은 B피스톤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A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은 B피스톤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피스톤에 작용하는 힘 / A피스톤의 면적 = B피스톤에 작용하는 힘 / B피스톤의 면적

    20lbs / 2in2 = B피스톤에 작용하는 힘 / 10in2

    B피스톤에 작용하는 힘 = 20lbs / 2in2 * 10in2 = 100lbs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형항공기의 12V 직류전원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류발전기는 전원전압을 14V로 유지한다.
  2. 배터리와 직류발전기는 접지귀환방식으로 연결된다.
  3. 메인 버스와 배터리 버스에 연결된 전류계는 배터리 충전시 (-)를 지시한다.
  4. 배터리는 엔진시동기(Starter)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5%)
  • "메인 버스와 배터리 버스에 연결된 전류계는 배터리 충전시 (-)를 지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소형항공기의 12V 직류전원계통에서는 배터리 충전시 (+)를 지시한다. 이는 접지귀환방식으로 연결된 배터리와 직류발전기가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변압기(transformer)는 어떠한 전기적 에너지를 변환시키는 장치인가?

  1. 전류
  2. 전압
  3. 전력
  4. 위상
(정답률: 80%)
  • 변압기는 입력되는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은 "전압"입니다. 전류나 전력은 입력과 출력의 전류나 전력이 일치하므로 변환되지 않습니다. 위상은 전기 신호의 상대적인 위상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변압기의 변환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항법시스템을 자립, 무선, 위성항법시스템으로 분류했을 때 자립항법시스템(selfcontained system)에 해당되는 장치는?

  1. LORAN(long range navigation)
  2. VOR(VHF omnidirectional range)
  3.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4.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정답률: 62%)
  • 자립항법시스템은 외부 신호나 정보 없이도 자체적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INS는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므로 자립항법시스템에 해당됩니다. LORAN은 지상국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며, VOR은 비행기가 지상국에서 발신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입니다. GPS는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화재탐지기에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재의 지속기간 동안 연속적인 지시를 할 것
  2. 화재가 지시하지 않을 때 최소전류요구이어야 할 것
  3. 화재가 진화되었다는 것에 대해 정확한 지시를 할 것
  4. 정비작업 또는 정비취급이 복잡하더라도 중량이 가볍고 용이할 것
(정답률: 72%)
  • "정비작업 또는 정비취급이 복잡하더라도 중량이 가볍고 용이할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화재탐지기는 안전을 위한 중요한 장비이기 때문에 정비작업이나 취급이 복잡하더라도 안전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량이 가볍고 용이한 것보다는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은 제품이 요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상파(ground wave)가 가장 잘 전파되는 것은?

  1. LF
  2. UHF
  3. HF
  4. VHF
(정답률: 51%)
  • 지상파는 지표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전파가 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파 파장이 길수록 지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커져서 전파가 잘 전달됩니다. 따라서 LF(저주파)가 가장 잘 전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과 같은 회로도에서 a, b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항R은 몇 Ω으로 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6%)
  • a와 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려면 a와 b가 같은 전위를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압차가 6V이므로, R의 저항값은 V/I = 6V/3A = 2Ω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항공기 부품의 이용목적과 이에 적합한 전선이나 케이블의 종류를 옳게 연결한 것은?

  1. ㄱ - B
  2. ㄴ - C
  3. ㄷ - A
  4. ㄹ - D
(정답률: 67%)
  • 항공기 부품은 전기적인 신호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나 케이블이 필요하다. 이때, 항공기 부품의 이용목적에 따라 전선이나 케이블의 종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전기 시스템에서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필요하고, 통신 시스템에서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항공기 부품의 이용목적과 이에 적합한 전선이나 케이블의 종류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ㄹ -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