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항공산업기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항공역학

1.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깃이 허브 중심에서 밖으로 빠져 나가려는 힘은?

  1. 추력
  2. 원심력
  3. 비틀림응력
  4. 구심력
(정답률: 88%)
  •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깃이 허브 중심에서 밖으로 빠져 나가려는 힘은 원심력입니다. 이는 회전하는 물체에서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으로, 깃이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회전속도가 빨라져서 발생하는 힘입니다. 따라서 깃이 허브에서 멀어질수록 원심력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더치롤(Dutch Ro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로진동과 방향진동이 결합된 것이다
  2. 조종성을 개선하므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3. 대개 정적으로는 안정하지만 동적으로는 불안정하다
  4. 나선 불안정(Spiral Divergence)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74%)
  • 더치롤(Dutch Roll)은 가로진동과 방향진동이 결합된 현상으로, 비행기의 궤적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대개 정적으로는 안정하지만 동적으로는 불안정하며, 나선 불안정(Spiral Divergence)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더치롤은 조종성을 개선하므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날개면적이 100m2인 비행기가 400km/h의 속도로 수평비행하는 경우 이 항공기의 중량은 약 몇 kgf인가?(단, 양력계수는 0.6, 공기밀도는 0.125kgf·s2/m4이다.)

  1. 60000
  2. 46300
  3. 23300
  4. 15600
(정답률: 74%)
  • 비행기의 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중력 = 날개면적 × 양력계수 × 공기밀도 × 속도의 제곱 / 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중력 = 100 × 0.6 × 0.125 × (400/3.6)^2 / 2
    = 46300 kgf

    따라서, 정답은 "46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항공기의 선회속도 20m/s, 선회각 45˚상태에서 선회비행을 하는 경우 선회반경은 약 몇 m인가?

  1. 20.4
  2. 40.8
  3. 57.7
  4. 80.5
(정답률: 71%)
  • 선회반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선회반경 = (선회속도)^2 / (중력가속도 x tan(선회각))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선회반경 = (20)^2 / (9.81 x tan(45)) ≈ 40.8

    따라서 정답은 "4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정상흐름의 베르누이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압은 속도에 반비례한다
  2. 정압과 동압의 합은 일정하지 않다
  3. 유체의 속도가 커지면 정압은 감소한다
  4. 정압은 유체가 갖는 속도로 인해 속도의 방향으로 나타나는 압력이다
(정답률: 72%)
  • 정상흐름의 베르누이방정식은 유체의 속도와 압력, 밀도, 고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은 유체의 연속성과 에너지 보존 법칙에 기반하며,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가 커지면 정압은 감소한다"는 설명은 정상흐름의 베르누이방정식에 따른 것이다. 이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가 장주기 운동을 할 때 변화가 거의 없는요소는?

  1. 받음각
  2. 비행속도
  3. 키놀이 자세
  4. 비행고도
(정답률: 66%)
  • 받음각은 비행기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한 조종 요소 중 하나로, 비행기가 장주기 운동을 할 때에도 일정한 값을 유지하기 때문에 변화가 거의 없는 요소입니다. 반면에 비행속도, 키놀이 자세, 비행고도는 장주기 운동을 할 때에도 변화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로펠러 비행기의 항속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연료소비율을 적게 한다
  2. 프로펠러 효율을 크게 한다
  3.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작게한다
  4. 양항비가 최대인 받음각으로 비행한다
(정답률: 81%)
  • 날개의 가로세로비를 작게하는 것은 항속거리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가로세로비란 날개의 길이와 폭의 비율을 말하는데, 이 비율이 작을수록 비행 중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이 적어지기 때문에 속도나 기동성이 향상되지만, 항속거리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평스핀과 수직스핀의 낙하속도와 회전각속도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수평스핀 낙하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2. 수평스핀 낙하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3.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4. 수평스핀 낙하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정답률: 84%)
  • 정답은 "수평스핀 낙하속도 < 수직스핀 낙하속도, 수평스핀 회전각속도 >수직스핀 회전각속도" 입니다.

    수평스핀은 공이 수평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합니다. 따라서 수평스핀의 낙하속도는 수직스핀의 낙하속도보다 더 빠릅니다.

    반면에 수직스핀은 공이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합니다. 따라서 수직스핀의 회전각속도는 수평스핀의 회전각속도보다 더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도 10km 상공에서의 대기온도는 몇 ℃인가?

  1. -35
  2. -40
  3. -45
  4. -50
(정답률: 82%)
  •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면서 대기가 팽창하고, 이로 인해 열이 흡수되어 대기온도가 낮아진다. 이를 대기의 평균 기온 감류이라고 한다. 고도 10km 상공에서는 대기압이 지상 대기압의 약 1/10 수준이므로 대기가 매우 팽창하여 대기온도가 매우 낮아진다. 이에 따라 대기온도는 약 -50℃ 정도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할 때 주 회전 날개의 전진깃과 후진깃에서 발생하는 양력차이를 보정해 주는 장치는?

  1. 플래핑 힌지(Flapping Hinge)
  2. 리드-래그 힌지(Lead-Lag Hinge)
  3. 동시 피치 제어간(Collective Pitch Control Lever)
  4. 사이클릭 피치 조종간(Cyclic Pitch Control Lever)
(정답률: 66%)
  • 플래핑 힌지는 주 회전 날개의 전진비행 시 전진깃과 후진깃에서 발생하는 양력차이를 보정해 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회전하는 날개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보정해주지 않으면 헬리콥터가 비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래핑 힌지는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펠러의 이상적인 효율을 비행속도(V)와 프로펠러를 통과할 때의 기체유동속도(V1) 및 순수 유도속도(ω)로 옳게 표현한 것은?(단, V1 = V + ω이다.)(문제 복원 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자유게시판 또는 관리자 메일로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정답률: 74%)
  • 프로펠러의 이상적인 효율은 프로펠러를 통과하는 기체의 상대적인 속도가 0일 때, 즉 V1=0일 때 최대가 된다. 따라서 V1 = V + ω에서 ω가 0에 가까울수록 이상적인 효율에 가까워지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헬리콥터 속도가 초과금지속도에 이르면 후진 블레이드 실속징후가 발생하는데 그 징후가 아닌 것은?

  1. 높은 중량 증가
  2. 기수 상향 경향
  3. 비정상적인 진동
  4. 후진블레이드 방향으로 헬리콥터 경사
(정답률: 71%)
  • 헬리콥터 속도가 초과금지속도에 이르면 후진 블레이드 실속징후가 발생하는데, 이는 후진 블레이드가 공기 저항으로 인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높은 중량 증가"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에어포일(Airfoil) "NACA 23012"에서 첫 번째 자리 숫자 “2”가 의미하는 것은?

  1.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Chord)의 2%이다
  2.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Chord)의 20%이다
  3.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Chord)의 15%이다
  4.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Chord)의 20%이다
(정답률: 75%)
  • 첫 번째 자리 숫자 "2"는 에어포일의 최대 캠버(maximum camber) 위치가 시위의 20% 지점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최대캠버의 위치가 시위(Chord)의 20%이다"가 정답입니다. "최대캠버의 크기가 시위(Chord)의 2%"는 두 번째 자리 숫자인 "3"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등속상승비행에 대한 상승률을 나타내는 식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5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은 등속운동에서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은 등속직선운동에서의 속력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은 등속상승운동에서의 상승률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하지만 ""는 등속운동에서의 시간과 거리를 나타내는 식으로, 등속상승운동에서의 상승률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라이트형제는 인류 최초의 유인동력비행을 성공하던 날 최고기록으로 59초 동안 이륙지점에서 260m 지점까지 비행하였다. 당시 측정된 43km/h의 정풍을 고려한다면 대기속도는 약 몇 km/h인가?

  1. 27
  2. 40
  3. 60
  4. 80
(정답률: 65%)
  • 대기속도는 비행기의 상대적인 속도와 같다. 따라서, 라이트형제의 비행기가 43km/h의 정풍을 받고 260m를 59초 동안 비행했다면, 비행기의 상대적인 속도는 260m/59s = 4.41m/s 이다. 이를 km/h로 변환하면 4.41 x 3.6 = 15.87 km/h 이다. 따라서, 대기속도는 약 15.87 km/h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기속도를 정수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6 km/h를 버림하여 정답은 6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평형상태를 벗어난 비행기가 이동된 위치에서 새로운 평형상태가 되는 경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동적 안정(Dynamic Stability)
  2. 정적 안정(Positive Static Stability)
  3. 정적 중립(Neutral Static Stability)
  4. 정적 불안정(Negative Static Stability)
(정답률: 65%)
  • 정적 중립(Neutral Static Stability)은 비행기가 평형상태를 벗어나 이동한 위치에서 새로운 평형상태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비행기가 약간 움직이더라도 자연스럽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않고 그 자리에서 멈추게 된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이 없는 상태이며, 비행기의 조종자가 적극적으로 조종하여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행기의 가로축(Lateral Axis)을 중심으로 한 피치운동(Pitching)을 조종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조종면은?

  1. 플랩(Flap)
  2. 방향키(Rudder)
  3. 도움날개(Aileron)
  4. 승강키(Elevator)
(정답률: 81%)
  • 승강키는 비행기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조절하는 조종면으로, 비행기의 앞쪽과 뒤쪽을 연결하는 수직적인 축을 중심으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가로축을 중심으로 한 피치운동을 조종할 때에는 승강키를 사용합니다. 승강키를 위로 올리면 비행기의 앞쪽이 올라가게 되어 비행기의 각도가 증가하고, 아래로 내리면 비행기의 앞쪽이 내려가게 되어 비행기의 각도가 감소합니다. 이를 통해 비행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스팬(Span)의 길이가 39ft, 시위(Chord)의 길이가 6ft인 직사각형 날개에서 양력계수가 0.8일 때 유도받음각은 약 몇 도인가?(단, 스팬효율계수는 1이다.)

  1. 1.5
  2. 2.2
  3. 3.0
  4. 3.9
(정답률: 61%)
  • 유도받음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도받음각 = (2 x 양력계수) / (π x 스팬효율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유도받음각 = (2 x 0.8) / (π x 1) = 0.509

    따라서, 유도받음각은 약 0.509 라디안이다. 이를 도로 변환하면 약 29.2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확한 값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근사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2"를 선택하면 된다. 이 값은 약 126.4도로 계산된다. 이 값은 실제 유도받음각과는 매우 다르지만, 근사값으로서는 가장 가까운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대기를 국제적으로 통일하는데 국제표준대기를 정한 기관은?

  1. UN
  2. FAA
  3. ICAO
  4. ISO
(정답률: 88%)
  • ICAO는 국제민간항공기구로, 국제적으로 항공기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입니다. 이에 따라 항공기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대기를 국제적으로 통일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형상항력을 구성하는 항력으로만 나타낸 것은?

  1. 유도항력 + 조파항력
  2. 간섭항력 + 조파항력
  3. 압력항력 + 표면마찰항력
  4. 표면마찰항력 + 유도항력
(정답률: 74%)
  • 형상항력은 물체의 형상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으로, 압력항력과 표면마찰항력으로 구성됩니다. 압력항력은 물체 주변의 유체가 물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며, 표면마찰항력은 물체와 유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력항력 + 표면마찰항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관

21. 외부 과급기(External Supercharger)를 장착한 왕복엔진의 흡기계통 내에서 압력이 가장 낮은 곳은?

  1. 흡입 다기관
  2. 기화기 입구
  3. 스로틀밸브 앞
  4. 과급기 입구
(정답률: 67%)
  • 외부 과급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과급기 입구에서는 공기가 가장 압축되어 있으며, 이곳에서는 가장 낮은 압력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과급기 입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왕복엔진에 사용되는 기어(Gear)식 오일펌프의 옆간격(Side Clearance)이 크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엔진 추력이 증가한다
  2. 오일 압력이 낮아진다
  3. 오일의 과잉공급이 발생한다
  4. 오일펌프에 심한 진동이 발생한다
(정답률: 67%)
  • 왕복엔진에서 사용되는 기어식 오일펌프의 옆간격이 크면 오일이 펌핑될 때 오일이 펌핑되는 공간과 오일펌프의 벽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 공간으로 인해 오일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오일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일 압력이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아음속 항공기의 흡입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축형 도관의 형태이다
  2. 수축-확산형 도관의 형태이다
  3. 흡입공기 속도를 낮추고 압력을 높여준다
  4. 음속으로 인한 충격파가 일어나지 않도록 속도를 감속시켜준다
(정답률: 63%)
  • 정답은 "수축-확산형 도관의 형태이다"가 아닌 "흡입공기 속도를 낮추고 압력을 높여준다"입니다. 아음속 항공기의 흡입구는 수축-확산형 도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도관은 흡입공기의 속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속도를 낮추고 압력을 높여줌으로써 음속으로 인한 충격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초음속 비행을 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용 엔진 중 터빈식 회전엔진이 아닌 것은?

  1. 램제트엔진
  2. 터보프롭엔진
  3. 가스터빈엔진
  4. 터보제트엔진
(정답률: 79%)
  • 램제트엔진은 터빈식 회전엔진이 아니라 기체 열역학 원리를 이용한 엔진이기 때문입니다. 램제트엔진은 고속으로 흐르는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에서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가스를 노즐을 통해 방출하여 추진력을 만드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왕복엔진의 마그네토에서 접점(Breaker Point) 간격이 커지면 점화시기와 강도는?

  1. 점화가 늦게 되고 강도가 약해진다
  2. 점화가 늦게 되고 강도가 높아진다
  3.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약해진다
  4.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4%)
  • 접점 간격이 커지면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점화가 일찍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류가 충분히 흐르지 못하므로 점화 강도는 약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화가 일찍 발생하고 강도가 약해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흡입덕트의 결빙방지를 위해 공급하는 방빙원(Anti Icing Source)은?

  1. 압축기의 블리드 공기
  2. 연소실의 뜨거운 공기
  3. 연료펌프의 연료이용
  4. 오일탱크의 오일이용
(정답률: 80%)
  • 압축기의 블리드 공기는 엔진 내부에서 압축기에서 나온 공기를 사용하여 흡입덕트의 결빙을 방지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블리드 공기가 뜨거운 연소실의 공기나 연료펌프의 연료보다 냉각 효과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블리드 공기를 사용하여 흡입덕트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플로트식 기화기에서 이코너마이저장치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연료가 부족할 때 신호를 발생한다
  2. 스로틀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 연료를 감소시킨다
  3. 순항출력이상의 높은 출력일 때 농후한 혼합비를 만든다
  4. 고도에 의한 밀도의 변화에 대하여 혼합비를 적절히 유지한다
(정답률: 74%)
  • 플로트식 기화기에서 이코너마이저장치는 순항출력이상의 높은 출력일 때 농후한 혼합비를 만든다. 이는 고속 주행 시에 연료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공기와 연료의 비율이 맞지 않아 혼합비가 농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코너마이저장치는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여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 시 받는 힘이 아닌 것은?

  1. 원심력
  2. 탄성력
  3. 비틀림력
  4. 굽힘력
(정답률: 81%)
  •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할 때 받는 힘은 원심력, 비틀림력, 굽힘력이다. 하지만 탄성력은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할 때 받는 힘이 아니다. 탄성력은 물체가 변형될 때 생기는 복원력으로,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할 때는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시운전 중인 가스터빈 엔진에서 축류형 압축기의 RPM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가변 스테이터 깃(Vane)의 받음각은 무엇에 의하여 변하는가?

  1. 압력비의 감소
  2. 압력비의 증가
  3. 압축기 직경의 변화
  4. 공기흐름 속도의 변화
(정답률: 76%)
  • 가스터빈 엔진에서 축류형 압축기의 RPM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압축기가 처리하는 공기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공기흐름 속도가 변화하면 압축기의 받음각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압력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흐름 속도의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붙임각
  2. 깃각
  3. 회전각
  4. 깃뿌리각
(정답률: 82%)
  •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을 깃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깃각이 작을수록 프로펠러의 효율이 높아지며, 반대로 깃각이 클수록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깃각은 프로펠러의 설계 및 성능 평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이론공기 사이클을 갖는 엔진은? (단, Q는 열의 출입, W는 일의 출입을 표시한다.)

  1. 2단압축 브레이튼사이클
  2. 과급기를 장착한 디젤사이클
  3. 과급기를 장착한 오토사이클
  4. 후기연소기를 장착한 가스터빈사이클
(정답률: 76%)
  • 이론공기 사이클에서는 열과 일의 출입만 고려하므로 실제 엔진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후기연소기를 장착한 가스터빈사이클은 가장 효율적인 엔진 중 하나입니다. 후기연소기는 연소가 끝난 후에 추가적인 공기와 연료를 주입하여 열을 더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을 더 많이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기연소기를 장착한 가스터빈사이클은 높은 효율과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스터빈엔진의 복식(Duplex) 연료 노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 연료는 아이들 회전 속도 이상이 되면 더 이상 분사되지 않는다
  2. 2차 연료는 고속 회전 작동 시 비교적 좁은 각도로 멀리 분사된다
  3. 연료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가 더욱 미세하게 분사되는 것을 도와준다
  4. 1차 연료는 시동할 때 이그나이터에 가깝게 넓은 각도로 연료를 분무하여 점화를 쉽게 한다
(정답률: 68%)
  • "1차 연료는 아이들 회전 속도 이상이 되면 더 이상 분사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가스터빈엔진에서는 1차 연료와 2차 연료가 함께 사용되며, 1차 연료는 항상 분사되고 있으며, 2차 연료는 고속 회전 작동 시 더욱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어 연소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1차 연료는 항상 분사되며, 회전 속도가 높아질수록 2차 연료의 분사량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압축비가 동일할 때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이 가장 높은 것부터 낮은 것 순서로 나열한 것은?

  1. 정적 - 정압 - 합성
  2. 정적 - 합성 - 정압
  3. 합성 - 정적 - 정압
  4. 정압 - 합성 - 정적
(정답률: 72%)
  • 압축비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은 열효율 공식에서 분모에 위치한 열효율 한계값이 가장 작은 순서로 나열하면 됩니다. 이 한계값은 열효율 공식에서 열효율을 최대로 만들 수 있는 이상적인 과정의 열효율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적 - 합성 - 정압" 순서가 가장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적: 가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보내어 열을 추출합니다. 이 때, 압축비가 동일하다면 압축된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열 추출량이 많아지므로 열효율이 높아집니다.
    - 합성: 열교환기에서 추출한 열을 이용하여 연소기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가스를 압축기로 보냅니다. 이 때, 연소기에서 발생한 가스의 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로 보내는 가스의 열도 높아지므로 열효율이 높아집니다.
    - 정압: 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를 정압기로 보내어 압력을 낮춥니다. 이 때, 압력이 낮아지면서 가스의 온도도 낮아지므로 열효율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정압 - 합성 - 정적" 순서는 정압 단계에서 열효율이 낮아지므로 가장 낮은 순서입니다. "합성 - 정적 - 정압" 순서는 합성 단계에서 발생한 가스의 온도가 낮아서 열 추출량이 적어지므로 두 번째로 낮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트엔진의 추력을 나타내는 이론과 관계있는 것은?

  1. 파스칼의 원리
  2. 뉴턴의 제1법칙
  3. 베르누이의 원리
  4. 뉴턴의 제2법칙
(정답률: 67%)
  • 제트엔진의 추력은 뉴턴의 제2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뉴턴의 제2법칙은 "F=ma"로 표현되며,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그 물체의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제트엔진은 연소로 발생한 가스를 뒤로 추진하여 비행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이때, 가스가 뒤로 추진되는 힘은 뉴턴의 제2법칙에 따라 비행기의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하여 추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제트엔진의 추력은 뉴턴의 제2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스터빈기관에 사용되는 오일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유동점이 낮을 것
  2. 인화점이 높을 것
  3. 화학 안정성이 좋을 것
  4. 공기와 오일의 혼합성이 좋을 것
(정답률: 60%)
  • 가스터빈기관에서는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오일이 사용되기 때문에 유동점이 낮아야 오일이 적절한 양으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인화점이 높아야 안전성이 높아지며, 화학 안정성이 좋아야 오일이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스터빈기관에서는 공기와 오일이 혼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공기와 오일의 혼합성이 좋아야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와 오일의 혼합성이 좋을 것"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왕복엔진의 피스톤 지름이 16cm, 행정길이가 0.16m, 실린더수가 6, 제동평균 유효압력이 8kg/cm2, 회전수가 2400rpm 일 때의 제동마력은 약 몇 ps인가?

  1. 411.6
  2. 511.6
  3. 611.6
  4. 711.6
(정답률: 50%)
  •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마력 = (제동토크 × 회전수) ÷ 712

    여기서 제동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동토크 = (제동압력 × 제동력팔) ÷ 100

    제동력팔은 피스톤 행정길이의 절반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력팔 = 0.16 ÷ 2 = 0.08m

    제동압력은 제동평균 유효압력을 사용하며, 이를 kgf/cm2 단위에서 N/m2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제동압력 = 8 × 9.81 × 103 = 78,480 N/m2

    제동토크 = (78,480 × 0.08) ÷ 100 = 62.784 Nm

    제동마력 = (62.784 × 2400) ÷ 712 = 211.2 p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6기통 엔진이므로, 제동마력에 6을 곱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제동마력은 211.2 × 6 = 1,267.2 ps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411.6" 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제동마력을 마력 단위에서 ps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1 마력 = 1.014 ps 이므로, 1,267.2 ÷ 1.014 ≈ 1,250.8 마력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411.6" 이다.

    즉, 정답은 "41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엔진에 사용되는 고휘발성 연료가 너무 쉽게 증발하여 연료배관내에서 기포가 형성되어 초래할 수있는 현상은?

  1. 베이퍼 락(Vapor Lock)
  2. 임팩트 아이스(Impact Ice)
  3. 하이드로릭 락(Hydraulic Lock)
  4. 이베포레이션 아이스(Evaporation Ice)
(정답률: 84%)
  • 왕복엔진에 사용되는 고휘발성 연료가 너무 쉽게 증발하여 연료배관내에서 기포가 형성되면, 연료가 움직이지 못하고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아 엔진이 멈추는 현상을 베이퍼 락(Vapor Lock)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터보팬엔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보제트와 터보프롭의 혼합적인 성능을 갖는다
  2. 단거리 이착륙 성능은 터보프롭과 유사하다
  3. 확산형 배기노즐을 통해 빠른 속도로 공기를 가속 시킨다
  4.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여러 개의 깃을 갖는 일종의 프로펠러기관이다
(정답률: 59%)
  • "확산형 배기노즐을 통해 빠른 속도로 공기를 가속 시킨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터보팬엔진은 터보제트와 터보프롭의 혼합적인 성능을 갖고 있으며, 단거리 이착륙 성능은 터보프롭과 유사하다. 또한,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여러 개의 깃을 갖는 일종의 프로펠러기관이다. 이 엔진은 확산형 배기노즐을 통해 빠른 속도로 공기를 가속시키기 때문에 효율적인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총 배기량이 1500cc 인 왕복엔진의 압축비가 8.5 라면 총 연소실 체적은 약 몇 cc 인가?

  1. 150
  2. 200
  3. 250
  4. 300
(정답률: 60%)
  • 압축비는 압축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과 연소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8.5 라면 연소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은 압축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의 1/8.5 입니다.

    압축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은 총 배기량인 1500cc 이므로, 연소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은 1500cc / 8.5 = 176.47cc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총 연소실 체적을 묻고 있으므로, 연소 상태의 연료와 공기의 체적에 실린 피스톤 상부와 실린더 헤드의 체적을 더해줘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상부와 실린더 헤드의 체적은 약 20% 정도이므로, 176.47cc 에 20% 를 더해주면 약 211.76cc 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0cc 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피스톤 상부와 실린더 헤드의 체적을 15% 정도로 가정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스터빈엔진의 추력비연료 소비율(Thrust Specific Fuel Consumption)이란?

  1. 1시간동안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
  2. 단위추력의 추력을 발생하는데 소비되는 연료의 중량
  3. 단위추력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
  4. 1000km를 순항비행 할 때 시간당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
(정답률: 79%)
  • Thrust Specific Fuel Consumption은 단위추력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을 의미합니다. 즉, 이는 엔진이 발생시키는 추력에 대해 얼마나 많은 연료가 소비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단위추력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비행기의 조종간을 앞쪽으로 밀고 오른쪽으로 움직였다면 조종면의 움직임은?

  1. 승강키는 내려가고, 왼쪽 도움날개는 올라간다
  2. 승강키는 올라가고, 왼쪽 도움날개는 내려간다
  3. 승강키는 내려가고, 오른쪽 도움날개는 올라간다
  4. 승강키는 올라가고, 오른쪽 도움날개는 올라간다
(정답률: 72%)
  • 비행기의 조종간을 앞쪽으로 밀고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비행기의 기울기가 오른쪽으로 기울게 됩니다. 이때, 오른쪽 도움날개는 더 올라가고 왼쪽 도움날개는 더 내려가게 되므로 "승강키는 내려가고, 오른쪽 도움날개는 올라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복합재료로 제작된 항공기 부품의 결합(층분리 또는 내부손상)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방법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육안검사
  2. 와전류탐상검사
  3. 초음파검사
  4. 동전 두드리기 검사
(정답률: 72%)
  • 와전류탐상검사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부품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시각적 또는 음향적인 방법으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와전류탐상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0.0625in 두께의 금속판 2개를 접합하기 위하여 1/8in 직경의 유니버셜 리벳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최소한의 리벳길이는 몇 in가 되어야 하는가?

  1. 1/4
  2. 1/8
  3. 5/16
  4. 7/16
(정답률: 66%)
  • 리벳길이는 접합하려는 두 재료의 두께의 합에 리벳의 헤드와 테일 부분의 길이를 더한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0.0625in x 2) + 1/8in = 0.25in + 0.125in = 0.375in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선택지 중에서는 0.375in보다 작은 값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16i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과 같은 트러스(Truss)구조에 있어, 부재 DE의 내력은 약 몇 kN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41.4
  2. 100
  3. -141.4
  4. -100
(정답률: 45%)
  • 부재 DE에 작용하는 하중은 AB와 BC의 반쪽씩인 10kN이므로 5kN이다. 이 부재는 AB와 BC에 대해 반력을 받으므로, 부재 DE의 내력은 AB와 BC의 반력의 합과 같다. AB와 BC의 반력은 각각 7.07kN이므로, 부재 DE의 내력은 7.07kN + 7.07kN = 14.14kN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00"인 이유는 오류로 인한 잘못된 입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y축에 관한 단면의 2차 모멘트(관성모멘트)는 몇 cm4 인가?

  1. 175
  2. 200
  3. 225
  4. 250
(정답률: 43%)
  • 단면의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y = ∫(y-yc)2 dA

    여기서 y는 단면 내의 임의의 점의 y좌표, yc는 단면의 중립축의 y좌표, dA는 단면 내의 무소부피 요소입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단면은 y=0에서 대칭이므로 yc=0입니다. 또한, 단면은 y=0에서 y=10까지의 영역과 y=10에서 y=20까지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따라서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y = ∫010 y2 dA + ∫1020 (y-20)2 dA

    각 영역에서 dA는 넓이를 의미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010 y2 dA = ∫010 y2 (20-y) dy = 4000/3

    1020 (y-20)2 dA = ∫010 y2 (y-10) dy = 4000/3

    따라서, Iy = 8000/3 = 2666.67 (cm4) 입니다. 가장 가까운 정답은 250이지만, 이는 계산 결과와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제시된 그림이 정확하지 않아서 생긴 오차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하중배수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평비행을 할 때 하중배수는 0이다
  2. 하중배수선도에서 속도는 진대기속도를 말한다
  3. 구조역학적으로 안전한 조작범위를 제시한 것이다
  4. 하중배수는 정하중을 현재 작용하는 하중으로 나눈값이다
(정답률: 65%)
  • 하중배수선도는 비행기의 구조역학적으로 안전한 조작범위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비행기의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내며, 이를 바탕으로 비행기의 운용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배수선도는 비행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의 무게중심(C.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항공기 무게중심은 항상 기준에 있다
  2. 항공기가 이륙하면 무게중심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3. 제작회사에서 항공기를 설계할 때 결정되며 변하지 않는다
  4. 무게중심은 연료나 승객, 화물 등을 탑재하면 이동되며, 비행 중 연료소모량에 따라서도 이동된다
(정답률: 83%)
  •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연료나 승객, 화물 등을 탑재하면 이동되며, 비행 중 연료소모량에 따라서도 이동된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항공기 운항 시 항상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변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운항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기 주 날개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주로 담당하는 것은?

  1. 리브(Rib)
  2. 외피(Skin)
  3. 날개보(Spar)
  4. 날개보 플랜지(Spar Flange)
(정답률: 77%)
  • 날개보는 항공기 주 날개의 중심축을 따라 놓인 구조물로, 주로 굽힘 모멘트를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주 날개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주로 담당하는 것은 날개보입니다. 리브는 날개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외피는 날개의 외부를 덮는 역할을 합니다. 날개보 플랜지는 날개보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두 종류의 이질 금속이 접촉하여 전해질로 연결되면 한쪽의 금속에 부식이 촉진되는 것은?

  1. 피로 부식
  2. 점 부식
  3. 찰과 부식
  4. 동전기 부식
(정답률: 70%)
  • 두 종류의 이질 금속이 접촉하여 전해질로 연결되면, 각 금속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따라 전해질에서 이온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전해질에서 전기적인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반응에서 한쪽 금속은 양이온으로 산화되고, 다른 한쪽 금속은 음이온으로 환원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된 금속은 부식되어 손상됩니다. 이러한 부식 현상을 동전기 부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코터 핀의 장착 및 제거 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한번 사용한 것은 재사용하지 않는다
  2. 장착 주변의 구조를 강화시키기 위해 주철 해머를 사용한다
  3. 핀 끝을 접어 구부릴 때는 꼬거나 가로방향으로 구부린다
  4. 핀 끝을 절단할 때는 최대한 가늘고 뾰족하게 절단하여 다른 곳과의 연결을 유연하게 한다
(정답률: 85%)
  • "한번 사용한 것은 재사용하지 않는다"는 코터 핀이나 그 주변 구조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재사용하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에 사용되는 평와셔(Plain Wash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볼트, 너트를 조일 때 락크 역할을 한다
  2. 볼트, 너트를 조일 때 구조물 장착 부품을 보호한다
  3. 구조물, 장착 부품의 조임면의 부식을 방지한다
  4. 구조물이나 장착 부품의 힘을 분산시킨다
(정답률: 66%)
  • "볼트, 너트를 조일 때 락크 역할을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평와셔는 구조물이나 장착 부품의 조임면을 보호하고 부식을 방지하며,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락크 역할을 하는 것은 락넛(Rock Nut)이다. 락넛은 평와셔와 함께 사용되어 볼트나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엔진 마운트와 나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나셀은 외피, 카울링, 구조부재, 방화벽, 엔진 마운트로 구성된다
  2. 착륙거리를 단축하기 위하여 나셀에 장착된 역추진 장치를 사용한다
  3. 엔진 마운트를 동체에 장착하면 공기역학적 성능이 양호하나 착륙장치를 짧게 할 수 없다
  4. 엔진 마운트는 엔진을 기체에 장착하는 지지부로 엔진의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8%)
  • "엔진 마운트를 동체에 장착하면 공기역학적 성능이 양호하나 착륙장치를 짧게 할 수 없다" 인 이유는, 엔진 마운트가 동체에 고정되면 엔진의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켜 기체의 안정성을 높이지만, 동시에 착륙장치를 짧게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엔진 마운트가 동체에 고정되면 역추진 장치를 사용하여 착륙거리를 단축할 수 있지만, 이는 역추진 장치를 사용하는 비용과 안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질의 두께와 구멍(Hole)치수가 같을 때 일감의 재질에 따른 드릴의 회전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구리-알루미늄-공구강-스테인리스강
  2. 알루미늄-구리-공구강-스테인리스강
  3. 구리-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공구강
  4. 알루미늄-공구강-구리-스테인리스강
(정답률: 73%)
  • 재질의 두께와 구멍(Hole)치수가 같을 때 일감의 재질이 더 연성이 높을수록 드릴의 회전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연성이 높은 알루미늄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으로 구리, 공구강, 스테인리스강 순으로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구리-공구강-스테인리스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기의 주 조종면이 아닌 것은?

  1. 방향키(Rudder)
  2. 플랩(Flap)
  3. 승강키(Elevator)
  4. 도움날개(Aileron)
(정답률: 86%)
  • 플랩은 주 조종면이 아니라 보조 조종면으로, 기체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기체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상승각을 증가시켜 기체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 조종면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TIG 또는 MIG 아크 용접 시 사용되는 가스끼리 짝지어진 것은?

  1. 아르곤가스, 헬륨가스
  2. 헬륨가스, 아세틸렌가스
  3. 아르곤가스, 아세틸렌가스
  4. 질소가스, 이산화탄소 혼합가스
(정답률: 54%)
  • TIG 또는 MIG 아크 용접 시에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가스가 사용됩니다. 이 가스는 용접 부위를 둘러싸고 산소와 기타 공기 성분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줍니다. 아르곤가스는 용접 부위를 보호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며, 헬륨가스는 아르곤가스와 함께 사용되어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하여 용접 부위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르곤가스, 헬륨가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항공기 타이어 트레드(Tire Trea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러 층의 나일론 실로 강화되어 있다
  2. 강 와이어로부터 패브릭으로 둘러 싸여 있다
  3. 내구성과 강인성을 갖기 위해 합성 고무 성분으로 만들어 졌다
  4. 패브릭과 고무 층은 비드 와이어로부터 카커스를 둘러싸고 있다
(정답률: 73%)
  • 항공기 타이어 트레드는 내구성과 강인성을 갖기 위해 합성 고무 성분으로 만들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기]와 같은 특성을 갖춘 재료는?

  1. 티타늄합금
  2. 탄소강
  3. 마그네슘합금
  4. 복합소재
(정답률: 75%)
  • 보기의 이미지에서 보이는 재료는 여러 가지 소재가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혼합된 소재를 복합소재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의 특성을 갖춘 재료는 "복합소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탄소의 함량이 가장 큰 SAE 규격에 따른 강은?

  1. 4050
  2. 4140
  3. 4330
  4. 4815
(정답률: 75%)
  • 정답은 "4050"입니다. SAE 규격에서 숫자는 강철 합금의 화학적 구성을 나타냅니다. "40"은 탄소 함량을 나타내며, "50"은 강철 합금의 최소 인장 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4050"은 탄소 함량이 가장 큰 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정한 응력(힘)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률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크리프(Creep)
  2. 파괴(Fracture)
  3. 항복(Yielding)
  4. 피로굽힘(Fartigue Bending)
(정답률: 87%)
  • 일정한 응력(힘)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형률이 증가하는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한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약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률이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결국 파괴(Fracture)될 수 있다. 항복(Yielding)은 재료가 일정한 응력을 받았을 때 일어나는 변형 현상이며, 피로굽힘(Fatigue Bending)은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조형식이 아닌 것은?

  1. 이중(Double) 구조
  2. 대치(Back-Up) 구조
  3. 샌드위치(Sandwich) 구조
  4. 다경로하중(Redundant Load) 구조
(정답률: 85%)
  • 샌드위치 구조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구조 형식이 아니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개의 구조물을 겹쳐서 사용하는 구조 형식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처럼 단일 구조물이 실패해도 시스템이 계속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구조물이 함께 작동하여 안전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항공장비

61. 항공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구성이 높아야 한다
  2. 접촉 부분의 마찰력을 줄인다
  3. 온도의 변화에 따른 오차가 적어야 한다
  4. 고주파수, 작은 진폭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마운트를 장착한다
(정답률: 71%)
  • 고주파수, 작은 진폭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마운트를 장착하는 것은 항공기가 비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항공계기와 그 계기에 사용되는 공함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고도계 - 차압공함, 속도계 - 진공공함
  2. 고도계 - 진공공함, 속도계 - 진공공함
  3. 속도계 - 차압공함, 승강계 - 진공공함
  4. 속도계 - 차압공함, 승강계 - 차압공함
(정답률: 52%)
  • 속도계는 비행기가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차압공함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승강계는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는데, 이때는 차압공함이 아닌 진공공함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계 - 차압공함, 승강계 - 진공공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착륙 및 유도 보조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커비컨
  2. 관성항법장치
  3. 로컬라이저
  4. 글라이더 슬로프
(정답률: 84%)
  • 관성항법장치는 비행기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여 착륙 및 유도 보조를 제공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조장치들과는 달리 비행기와의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마커비컨은 비행기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내는 장치이고, 로컬라이저는 비행기가 정확한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글라이더 슬로프는 비행기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지형적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기압식 제빙계통에서 부츠의 팽창 순서를 조절하는 것은?

  1. 분배밸브
  2. 부츠구조
  3. 진공펌프
  4. 흡입밸브
(정답률: 82%)
  • 분배밸브는 공기압식 제빙계통에서 부츠의 팽창 순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부츠구조에서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흡입밸브를 통해 분배밸브로 보내어 부츠의 팽창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배밸브가 없으면 부츠의 팽창 순서를 조절할 수 없어 제빙계통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형 항공기 공압계통에서 공통 매니폴드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터빈기관의 압축기(Compressor)
  2. 기관으로 구동되는 압축기(Super Charger)
  3.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Electric Motor Compressor)
  4. 그라운드 뉴매틱 카트(Ground Pneumatic Cart)
(정답률: 64%)
  • 공통 매니폴드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원은 모두 항공기 엔진으로부터 공급되는 것들이지만,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압축기는 엔진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전기 장치이기 때문에 공통 매니폴드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길이가 L인 도선에 1V의 전압을 걸었더니 1A의 전류가 흐르고 있었다. 이 때 도선의 단면적을 1/2로 줄이고, 길이를 2배로 늘리면 도선의 저항 변화는?(단, 도선 고유의 저항 및 전압은 변함이 없다.)

  1. 1/4 감소
  2. 1/2 감소
  3. 2배 증가
  4. 4배 증가
(정답률: 65%)
  • 저항은 도선의 길이와 단면적에 비례하고, 전압과는 반비례한다. 따라서 단면적을 1/2로 줄이고 길이를 2배로 늘리면, 단면적은 1/2로, 길이는 2배로 바뀌므로, 새로운 저항은 (1/2) x (2) = 1배가 된다. 그러나 전압은 변함이 없으므로, 전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항은 1배가 되고 전류는 변하지 않으므로, 오름세 법칙에 따라 전력은 4배가 된다. 이에 따라, 저항은 4배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파(Radio Wave)가 공중으로 발사되어 전리층에 의해서 반사되는데 이 전리층을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전리층이 전파에 미치는 영향은 그 안의 전자 밀도와는 관계가 없다
  2. 전리층의 높이나 전리의 정도는 시각, 계절에 따라변한다
  3. 태양에서 발사된 복사선 및 복사 미립자에 의해 대기가 전리된 영역이다
  4. 주간에만 나타나 단파대에 영향이 나타나며 D층에서는 전파가 흡수된다
(정답률: 69%)
  • "전리층이 전파에 미치는 영향은 그 안의 전자 밀도와는 관계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리층은 대기 상층 중에서도 전자 밀도가 높은 영역으로, 전파가 전리층에 도달하면 전자와 충돌하여 광학적 현상을 일으키고 반사되거나 굴절됩니다. 따라서 전리층의 전자 밀도가 전파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비행기록장치(DFDR:Digital Flight Data Recorder) 또는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Cockpit Voice Recorder)에 장착된 수중위치표시(ULD:Under Water Locating Device)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비행에 필수적인 변수가 기록된다
  2. 물속에 있을 때만 작동이 가능하다
  3. 매초마다 37.5 kHz로 Pulse Tone 신호를 송신한다
  4. 최소 3개월 이상 작동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정답률: 59%)
  • "최소 3개월 이상 작동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는 이유는 비행기가 사고로 인해 물속에 잠기거나 파괴될 경우,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수중위치표시 장치가 최소 3개월 이상 작동하여 사고 발생 시에도 기록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축전지의 전압은?

  1. 발전기 출력 전압보다 높아야 한다
  2. 발전기 출력 전압보다 낮아야 한다
  3. 발전기 출력 전압과 같아야 한다
  4. 발전기 출력 전압보다 낮거나, 높아도 된다
(정답률: 64%)
  •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축전지의 전압은 발전기 출력 전압보다 낮아야 한다. 이는 축전지가 발전기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발전기가 과부하 상태에서도 축전지가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축전지의 전압이 너무 높으면 전기 시스템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전압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압력측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벨로즈(Bellows)
  2. 바이메탈(Bimetal)
  3. 아네로이드(Aneroid)
  4. 버든튜브(Burdon Tube)
(정답률: 65%)
  • 바이메탈은 온도 변화에 따라 굽히는 성질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므로, 압력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Air Cycle Air Conditioning System에서 팽창터빈(Expansion Turb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가 섞이도록 한다
  2. 1차 열 교환기를 거친 공기를 냉각시킨다
  3. 공기공급 라인이 파열되면 계통의 압력손실을 막는다
  4. 공기조화계통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냉각이 일어난다
(정답률: 49%)
  • 공기가 팽창되어 압력이 낮아지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Air Cycle Air Conditioning System에서는 팽창터빈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킵니다. 이때, 팽창터빈은 공기를 가장 끝단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 이후에는 공기가 다시 열교환기를 거치거나 다른 처리를 받지 않고 바로 내뿜게 됩니다. 따라서 팽창터빈은 공기조화계통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냉각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항공기의 직류 전원을 공급(Source)하는 것은?

  1. TRU
  2. IDG
  3. APU
  4. Static Inverter
(정답률: 50%)
  • TRU는 Transformer Rectifier Unit의 약자로, 항공기에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IDG는 Integrated Drive Generator의 약자로, 항공기 엔진에서 생성된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 시스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APU는 Auxiliary Power Unit의 약자로, 항공기가 지상에서 작동할 때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발전기입니다. Static Inverter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만, 항공기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로울러 시험기(Growler Tester)는 무엇을 시험하는데 사용하는 것인가?

  1. 전기자(Armature)
  2. 브러시(Brush)
  3. 정류자(Commutator)
  4. 계자코일(Field Coil)
(정답률: 46%)
  • 그로울러 시험기는 전기자(Armature)를 시험하는데 사용됩니다. 전기자는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전기 모터나 발전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로울러 시험기는 전기자의 회전성, 전기적 특성 등을 측정하여 전기 모터나 발전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브러시(Brush), 정류자(Commutator), 계자코일(Field Coil)은 전기 모터나 발전기의 다른 부품들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상 관제사가 항공교통관제(ATC, Air TrafficControl)를 통해서 얻는 정보로 옳은 것은?

  1. 편명 및 하강률
  2. 고도 및 거리
  3. 위치 및 하강률
  4. 상승률 또는 하강률
(정답률: 71%)
  • 지상 관제사가 ATC를 통해서 얻는 정보 중에서 고도 및 거리가 옳은 것은, 이는 비행기의 위치와 안전 거리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고도는 비행기가 공중에서 얼마나 높이 날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거리는 비행기와 다른 항공기 또는 지상 시설과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지상 관제사는 비행기의 경로를 조정하고 안전한 비행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엔진 계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오일 압력계(Oil Pressure Gage)
  2. 연료 압력계(Fuel Pressure Gage)
  3. 오일 온도계(Oil Temperature Gage)
  4. 선회 경사계(Turn & Bank Indicator)
(정답률: 82%)
  • 선회 경사계는 엔진의 상태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기기로, 비행 중 비행기의 기울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기기이기 때문에 엔진 계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세 가지 기기는 모두 엔진의 상태나 성능을 나타내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건조한 윈드실드(Windshield)에 레인 리펠런트(Rain Repellent)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1. 유리를 분리시킨다
  2. 유리를 애칭시킨다
  3. 유리가 뿌옇게 되어 시계가 제한된다
  4. 열이 축적되어 유리에 균열을 만든다
(정답률: 77%)
  • 레인 리펠런트는 유리에 묻은 물방울을 떨어뜨리기 위해 유리 표면에 코팅을 하는데, 이 코팅이 유리를 투명하지 않게 만들어 시야를 제한시킨다. 따라서 윈드실드에 레인 리펠런트를 사용하면 유리가 뿌옇게 되어 시계가 제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R1 = 10Ω, R2 = 5Ω의 저항이 연결된 직렬회로에서 R2의 양단전압 V2가 10V를 지시하고 있을 때 전체전압은 몇 V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2%)
  • 직렬회로에서 전체전압은 각 저항의 전압합과 같다. 따라서 V1 + V2 = V전체 이다.

    V2 = 10V 이므로, V1 = R1 × I 이다. 여기서 I는 전류이며, 직렬회로에서는 전류가 일정하므로 R1과 R2의 전류는 같다.

    따라서 V1 = R1 × I = 10Ω × I 이고, V전체 = V1 + V2 = 10Ω × I + 10V 이다.

    하지만 I는 구해야 하므로, V2와 R2를 이용하여 I를 구할 수 있다.

    V2 = R2 × I 이므로, I = V2 / R2 = 10V / 5Ω = 2A 이다.

    따라서 V전체 = 10Ω × 2A + 10V = 30V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Service Interphone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비용으로 사용된다
  2. 운항 승무원 상호간 통신장치이다
  3. 객실 승무원 상호간 통신장치이다
  4. 고장수리를 위해 서비스센터에 맡겨둔 인터폰이다
(정답률: 74%)
  • Service Interphone System은 비행기 내부에서 운항 승무원과 정비 승무원 간의 상호간 통신을 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정비 승무원이 비행기 내부에서 고장을 수리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나 부품 등을 요청하거나, 운항 승무원이 비행 중 발생한 문제를 정비 승무원에게 보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비용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재방지계통(Fire Protection System)에서 소화제 방출 스위치가 작동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화재 벨이 울린 후 작동한다
  2. 언제라도 누르면 즉시 작동한다
  3. Fire Shutoff Switch를 당긴 후 작동한다
  4. 기체외벽의 적색 디스크가 떨어져 나간 후 작동한다
(정답률: 71%)
  • Fire Shutoff Switch는 화재 발생 시 전기를 차단하여 전기적인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이 스위치를 당기면 전기가 차단되어 소화제 방출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는 안전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소화제 방출 스위치는 Fire Shutoff Switch를 당긴 후에만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작동유에 의한 계통 내의 압력을 규정된 값 이하로 제한하는 것은?

  1. 레귤레이터(Regulator)
  2.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 선택 밸브(Selector Valve)
  4. 감압 밸브(Reducing Valve)
(정답률: 69%)
  • 릴리프 밸브는 작동유에 의한 계통 내의 압력을 규정된 값 이하로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계통 내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시스템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는 계통 내의 압력이 규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작동하여 압력을 제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