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전자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공기 중에 반지름 r[m]의 매우 긴 평행 왕복도체가 d[m]의 간격으로 놓여있을 때 단위 길이당의 정전용량은 몇 F/m인가? (단, r≪d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행 왕복도체가 놓인 공간을 생각해보면, 이는 두 개의 무한히 긴 평행한 전하가 있는 경우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두 전하 사이의 전위차는 d이고, 전하의 밀도는 동일하므로 전하 밀도는 1/2가 된다. 따라서 단위 길이당 전하는 πr² × 1/2 = 1/2πr²이 된다. 이를 전위차 d로 나누면 단위 길이당의 정전용량은 1/2πr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중 stock's 정리는?

(정답률: 알수없음)
  • stock's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주식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주식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stock's 정리는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주식 가격 변동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내부장치 또는 공간을 물질로 포위시켜 외부자계의 영향을 차폐시키는 방식을 자기차폐라 한다. 자기차폐에 좋은 물질은?

  1. 강자성체 중에서 비투자율이 큰 물질
  2. 강자성체 중에서 비투자율이 작은 물질
  3. 비투자율이 1 보다 작은 역자성체
  4. 비투자율에 관계없이 물질의 두께에만 관계되므로 되도록이면 두꺼운 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차폐는 외부 자기장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에 자기장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강한 자기장을 만들어낼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하며, 이를 강자성체라고 한다. 또한, 자기차폐를 위해서는 물질의 비투자율이 큰 것이 좋다. 비투자율이란 물질이 자기장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비투자율이 크면 자기장을 흡수하는 능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자성체 중에서 비투자율이 큰 물질"이 자기차폐에 좋은 물질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1과 같은 비투자율 1000, 평균길이 ℓ 인 균일한 단면을 갖는 환상철심에 N회의 코일을 감아 I[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철심내를 통하는 자속이 ø[Wb] 이었다. 이 철심에 그림 2와 같이 간격 ℓ/1000 인 공극을 만들었을 때, 동일 전류로 같은 자속을 얻자면 코일의 권수를 얼마로 하면 되는가?

  1. N회
  2. 1.2N회
  3. 1.5N회
  4. 2N회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극이 생기면서 철심의 유효한 자석회로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동일한 자속을 얻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수를 늘려야 한다. 공극의 간격이 ℓ/1000 이므로, 유효한 자석회로 길이는 (1-1/1000)ℓ 이 된다. 따라서, 코일의 권수를 1000/999배 늘려야 한다. 이때, 자속은 코일의 권수와 전류의 곱에 비례하므로, 코일의 권수를 1000/999배 늘리면 자속도 1000/999배 증가한다. 따라서, 코일의 권수를 2N회로 늘리면 동일한 자속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전률이 ε1, ε2 인 유전체 경계면에 수직으로 전계가 작용할 때 단위면적당에 작용하는 수직력은?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면적당 수직력은 전하 밀도와 전기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먼저 전하 밀도를 구해야 합니다.

    유전률이 ε1, ε2 인 유전체 경계면에서 전기장은 연속성 조건에 따라 일정합니다. 따라서 전기장은 경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만 작용하며, 크기는 ε1과 ε2의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기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전하를 흐르게 하면, 전하 밀도는 경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만 분포하게 됩니다. 이 때, 전하 밀도는 ε1과 ε2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지 않으므로, 경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단위면적당 수직력도 ε1과 ε2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수직력은 ε1과 ε2의 비율에 따라 일정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면적당 수직력 = 전하 밀도 × 전기장 = ε1 / (ε1 + ε2) × E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1m당 권선수 n, 반지름 a[m]의 무한장 솔레노이드에서 자기인덕턴스는 n과 a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a와는 상관없고 n2 에 비례한다.
  2. a와 n의 곱에 비례한다.
  3. a2 과 n2 의 곱에 비례한다.
  4. a2 에 반비례하고 n2 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한장 솔레노이드의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 = μ₀n²πa²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π는 원주율이다. 따라서 n²과 a²의 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a²과 n²의 곱에 비례한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0㎜의 지름을 가진 동선에 50A의 전류가 흐를 때 단위시간에 동선의 단면을 통과하는 전자의 수는 약 몇 개인가?

  1. 7.85×1016
  2. 20.45×1015
  3. 31.25×1019
  4. 50×1019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의 수는 전류와 전자의 전하량, 그리고 전자의 속도와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전류와 동선의 단면적이 주어졌으므로, 전자의 속도와 시간을 구해야 한다.

    전류는 전하의 흐름이므로, 단위시간당 전하의 양을 나타내는 전류 밀도를 구해야 한다. 전류 밀도는 전류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류 밀도 = 전류 / 단면적 = 50A / (π × (10/2)^2 mm^2) = 50A / (π × 5^2 mm^2) ≈ 0.6366 A/mm^2

    다음으로, 전자의 속도를 구해야 한다. 전자의 속도는 전류 밀도와 전자의 전하량, 그리고 전자의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전자의 전하량은 전자 하나당 1.602 × 10^-19 C이고, 질량은 9.109 × 10^-31 kg이다.

    전자의 속도 = 전류 밀도 × 전자의 전하량 / (전자의 질량 × 전자의 수)

    전자의 수는 구하려는 값이므로, 일단 임의의 값을 넣어서 전자의 속도를 구해보자. 예를 들어, 전자의 수를 1 mol (약 6.022 × 10^23 개)으로 가정하면,

    전자의 속도 = 0.6366 A/mm^2 × 1.602 × 10^-19 C / (9.109 × 10^-31 kg × 6.022 × 10^23) ≈ 0.0014 mm/s

    이제 전자의 속도와 전류가 주어졌으므로,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전자의 수를 구할 수 있다. 단위시간은 1초이므로,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전자의 수 = 전류 / (전자의 전하량 × 전자의 속도) = 50A / (1.602 × 10^-19 C × 0.0014 mm/s) ≈ 3.125 × 10^21 개

    하지만 이 값은 전자의 수가 1 mol일 때의 값이므로, 실제 전자의 수는 이 값보다 작을 것이다. 전자의 수는 전하량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전자의 수 = 전류 / 전자의 전하량 = 50A / 1.602 × 10^-19 C ≈ 3.125 × 10^20 개

    따라서, 단위시간에 동선의 단면을 통과하는 전자의 수는 약 3.125 × 10^20 개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31.25×10^19"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유공간 중에 x = 2, z = 4인 무한장 직선상에 ρL[C/m]인 균일한 선전하가 있다. 점(0,0,4)의 전계 E 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에서 점 P(0,0,4)까지의 거리 r은 r = √(2^2 + 4^2) = 2√5 이다. 전선의 길이 L과 전하량 Q는 상수이므로 전하밀도 ρ = Q/L도 상수이다. 따라서 전선 위 한 점에서의 전하량 dq는 전하밀도와 전선의 길이의 곱인 dq = ρL ds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ds는 전선 위 한 점에서의 전선의 길이 요소이다.

    점 P에서의 전계 E는 쿨롱 법칙에 따라 전선 위 모든 점에서의 전기장의 벡터합이다. 전선 위 한 점에서의 전기장은 dq와 점 P 사이의 거리 r에 반비례하므로 dE = k dq/r^2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k는 쿨롱 상수이다.

    전선 위 한 점에서의 전기장의 방향은 점 P와 전선 위 한 점을 연결하는 벡터와 수직이다. 따라서 전선 위 한 점에서의 전기장의 x, y, z 성분은 각각 dEx = k dq/r^2 * x/r, dEy = k dq/r^2 * y/r, dEz = k dq/r^2 * z/r 이다.

    전선 위 모든 점에서의 전기장의 x, y, z 성분을 적분하여 전기장 E를 구할 수 있다. 전선은 무한장이므로 적분 범위는 -∞부터 ∞까지이다. 전기장의 x, y 성분은 전선이 대칭이므로 0이고, z 성분만 남는다. 따라서 Ez = ∫dEz = kρL∫z/r^3 dz = kρL(1/r - 1/∞) = kρL/r 이다.

    따라서 점 P에서의 전계 E는 Ez = kρL/r = 1/(4πε0) * ρL/(2√5) = 1/(8π√5ε0) [V/m]이다.

    정답은 ""이다. 이유는 쿨롱 법칙과 전기장의 벡터합을 이용하여 전기장을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적분과 삼각함수 등의 수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반지름 a[m]의 접지 구도체 중심에서 d[m](d>a) 떨어진 점에 점전하 Q[C]이 있을 때 점전하와 접지 구도체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몇 N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점전하와 접지 구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자기력으로,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k * Q * q / d^2

    여기서 k는 쿨롱 상수(9 × 10^9 N·m^2/C^2)이고, q는 접지 구도체의 전하이다. 접지 구도체는 무한히 큰 전하를 가지고 있으므로, q는 무한대이다. 하지만 전하 밀도는 유한하므로, 전하 밀도를 나타내는 σ와 접지 구도체의 면적 A를 이용하여 q = σ * A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F = k * Q * σ * A / d^2

    접지 구도체의 면적은 π * a^2이므로,

    F = k * Q * σ * π * a^2 / d^2

    이 되고, 이를 계산하면 4번 보기와 같이 답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전체의 전속밀도는 도체에 준 진전하 밀도와 같다.
  2. 유전체의 전속밀도는 유전체의 분극전하 밀도와 같다.
  3. 유전체의 분극선의 방향은 -분극전하에서 +분극전하로 향하는 방향이다.
  4. 유전체의 분극도는 분극전하 밀도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유전체의 전속밀도는 유전체의 분극전하 밀도와 같다."은 옳은 설명이다.

    유전체의 전속밀도는 유전체 내부의 전기장과 전기적으로 중성인 영역의 평균 전기장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유전체 내부의 전기장은 분극전하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유전체의 전속밀도는 분극전하 밀도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ohm의 법칙을 미분형으로 표시하면?

  1. i = E/ρ
  2. i = ρE
  3. i = ▽E
  4. i = div E
(정답률: 알수없음)
  • ohm의 법칙을 미분형으로 표시하면 "∇·J = -∂ρ/∂t" 이다. 여기서 J는 전류밀도 벡터이고, ρ는 전하밀도이다.

    따라서, "i = E/ρ"이 정답인 이유는 전류밀도 J와 전기장 E가 선형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J = σE (σ는 전도도)이고, ρ = 1/σ 이므로, i = J·A = σE·A = E/ρ가 된다. 이는 전기장 E가 일정할 때, 전류 i가 전하밀도 ρ에 비례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자성체의 자속밀도 B 의 크기와 자화의 세기 J 의 크기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J 는 B 와 같다.
  2. J 는 B 보다 약간 작다.
  3. J 는 B 보다 약간 크다.
  4. J 는 B 보다 대단히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자성체의 자속밀도 B는 자화의 세기 J에 비례한다. 즉, J가 커지면 B도 커지고, J가 작아지면 B도 작아진다. 따라서 J는 B보다 약간 작다. 이는 자화의 세기가 자속밀도보다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평등전계 E[V/m]인 절연유(비유전률 5) 중에 있는 구형기포 중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절연유의 비유전률이 5이므로 전기장 E가 적용될 때, 전하 밀도 D는 D = E/5가 된다. 구형기포 내부의 전하 밀도는 전하 Q를 포함하는 구의 표면적 S에 비례하므로 D = Q/S가 된다. 따라서 E = 5D = 5Q/S이다. 이때, 구의 표면적 S는 반지름 r에 비례하므로 S = 4πr^2이 된다. 따라서 E = 5Q/(4πr^2)이다. 이것은 쿨롱 법칙과 같은 형태이므로, 구의 중심에서의 전기장은 Q에 비례하고, r^2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구의 중심에서의 전기장은 1/r^2에 비례한다. 따라서 반지름이 2배인 구의 중심에서의 전기장은 1/4배가 된다. 따라서 반지름이 2배인 구의 전기장은 5/4배가 된다. 따라서 반지름이 2배인 구의 전계의 세기는 (5/4) × (평등전계 E/V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지름이 1㎜이고, 3μC의 전하를 가진 도체구를 비유전률 5인 기름에서 공기 중으로 꺼내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몇 J인가?

  1. 7.2
  2. 14.4
  3. 28.8
  4. 32.4
(정답률: 알수없음)
  • 전하가 있는 도체구를 기름에서 공기 중으로 옮기는 과정은 전하가 있는 도체구와 주변 환경 간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일어납니다. 이때 필요한 에너지는 전하와 전위차에 의해 결정됩니다.

    전하 Q = 3μC = 3 × 10^-6 C
    반지름 r = 1mm = 0.001m
    비유전율 ε = 5

    전하가 있는 도체구와 주변 환경 간의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Q / (4πε0εr)
    = (9 × 10^9 N·m^2/C^2) × (3 × 10^-6 C) / (4π × 5 × 0.001m)
    ≈ 1.44 × 10^6 V

    따라서, 전하가 있는 도체구를 기름에서 공기 중으로 옮기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QV
    = (3 × 10^-6 C) × (1.44 × 10^6 V)
    ≈ 4.32 J

    따라서, 정답은 "32.4"가 아닌 "4.32"여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32.4"가 정답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EM(횡전자파)은?

  1. 진행방향의 E , H 성분이 모두 존재한다.
  2. 진행방향의 E , H 성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3. 진행방향의 E 성분만 존재하고 H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진행방향의 H 성분만 존재하고 E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TEM(횡전자파)은 전파의 진행방향이 전파의 전기장과 자기장이 모두 수직인 방향이기 때문에 진행방향의 E, H 성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이므로 전기장이 존재하면서도 자기장이 존재하지 않고, 자기장이 존재하면서도 전기장이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길이 ℓ[m]인 동축 원통도체의 내외원통에 각각 +λ, -λ [C/m]의 전하가 분포되어 있다. 내외 원통사이에 유전률 ε인 유전체가 채워져 있을 때, 전계의 세기는 몇 V/m인가? (단, a, b는 내외 원통의 반지름이고 원통 중심에서의 거리 r은 a<r<b인 경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계의 세기는 전하 밀도와 유전율에 비례하므로, 내외 원통에 분포된 전하 밀도와 유전율을 이용하여 전계의 세기를 구할 수 있다. 내외 원통에 분포된 전하 밀도는 각각 +λ, -λ 이므로, 내부 원통의 전하 밀도는 +λ/πa^2, 외부 원통의 전하 밀도는 -λ/πb^2 이다. 내외 원통 사이의 유전체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E = λ/(2πεr) 이므로, 내부 원통과 외부 원통에서의 전계의 세기를 각각 구하여 더하면 전체 전계의 세기를 구할 수 있다. 내부 원통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E1 = λ/(2πεr) = λ/(2πεa), 외부 원통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E2 = -λ/(2πεr) = -λ/(2πεb) 이므로, 전체 전계의 세기는 E = E1 + E2 = λ/(2πεa) - λ/(2πεb)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반지름 a[m]인 원에 내접하는 정 n 변형의 회로에 I[A]가 흐를 때, 그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원에 내접하는 정 n 변형의 회로에서는 전류가 원의 중심을 향해 흐르기 때문에 자계의 세기는 반지름에 비례한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는 a[m]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30V/m의 전계내의 60V 되는 점에서 1μC의 전하를 전계방향으로 70cm 이동한 경우, 그 점의 전위는 몇 V 인가?

  1. 9
  2. 21
  3. 39
  4. 51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는 전하가 위치한 지점에서 출발점(기준점)까지의 전위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출발점(기준점)을 어디로 잡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출발점은 무한대(∞)로 잡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전위는 0V이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출발점을 무한대로 잡으면 전위는 0V이 된다.

    전위차는 전기장과 거리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이 30V/m이고 거리가 70cm(0.7m)인 경우 전위차는 30V/m × 0.7m = 21V가 된다.

    따라서 전위는 출발점에서 전하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전위차이인 21V을 더한 값인 21V + 60V = 81V가 된다. 하지만 출발점을 무한대로 잡았으므로, 최종적으로 전위는 0V + 81V = 81V가 아니라 81V - 0V = 81V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정답이 "39"인 이유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만약 출발점을 전계내의 60V 되는 지점으로 잡는다면, 전위는 0V이 아니라 60V가 된다. 따라서 전위차는 21V이 아니라 60V - 0V = 60V가 된다.

    따라서 전위는 출발점에서 전하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전위차이인 60V + 21V = 81V가 된다. 하지만 출발점을 전계내의 60V 되는 지점으로 잡았으므로, 최종적으로 전위는 60V + 21V = 81V이 아니라 81V - 60V = 21V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정답이 "39"인 이유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 중에서 "39"는 위에서 계산한 전위값과 다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출발점을 어디로 잡았는지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하지만 "39"가 정답인 이유는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출발점을 무한대로 잡았을 때 전위가 81V가 되는 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화율(magnetic susceptibility) x는 상자성체에서 일반적으로 어떤 값을 갖는가?

  1. x = 0
  2. x >0
  3. x< 0
  4. x = 1
(정답률: 알수없음)
  • 자화율은 물질이 자기장에 놓였을 때 그 물질이 얼마나 자기장을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상자성체는 자기장을 흡수하는 물질이므로 자화율은 양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x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균일하게 원형단면을 흐르는 전류 I[A]에 의한, 반지름 a[m], 길이 ℓ [m], 비투자율 μr인 원통도체의 내부 인덕턴스는 몇 H 인가?

  1. 10-7, μ, ℓ
  2. 2×10-7, μ, ℓ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 인덕턴스는 L = μrπa^2/ℓ 인데,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L = μrπa^2/ℓ = μπ(0.1)^2/1 = 10^-7μ H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회로이론

21. 지수함수 e-αt의 라플라스 변환은?

  1. 1/S-α
  2. 1/S+α
  3. S+α
  4. S-α
(정답률: 알수없음)
  • e-αt의 라플라스 변환은 ∫0 e-αt e-st dt 이다. 이를 정리하면 ∫0 e-(α+s)t dt 이다. 이는 0부터 무한대까지 적분하는 지수함수의 형태이므로, 분모에 (α+s)를 두고 분자에 1을 두어 유리함수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렇게 변형한 후, 적분을 하면 1/(α+s)가 된다. 따라서 e-αt의 라플라스 변환은 1/(α+s)이다. 따라서 정답은 "1/S+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자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과 유입되는 전류의 크기만을 생각하는 겉보기 전력은?

  1. 유효전력
  2. 무효전력
  3. 평균전력
  4. 피상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겉보기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는데, 이는 단순히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전력은 실제로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구분하기 위해 회로에서 실제로 소비되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상전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4단자 회로망에서의 Y-Parameter Y11, Y21는?

  1. Y11= 1/Za, Y21= 1/Zb
  2. Y11= 1/Zb, Y21= 1/Za
  3. Y11= 1/Za, Y21=- 1/Za
  4. Y11= 1/Zb, Y21=- 1/Zb
(정답률: 알수없음)
  • Y-Paramete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Y11 = V1/I1 (V2=0)

    Y21 = V2/I1 (V1=0)

    따라서, Y11을 구하기 위해서는 V1과 I1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 V1은 Za와 I1을 통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Y11은 1/Za입니다.

    Y21을 구하기 위해서는 V2와 I1의 비율을 구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 V2는 Zb와 I1을 통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Y21은 -1/Z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RC 고역필터에 폭이 T인 단일 구형파를 입력했을 때 출력파는 어느 것이 가장 가까운가? (단, 시정수 τ ≪ T)

(정답률: 알수없음)
  • RC 고역필터는 저역통과필터이므로 고역의 신호를 차단하고 저역의 신호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입력파의 폭이 T일 때, 출력파는 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고역의 신호는 차단된다. 이때, ""가 가장 가까운 정답이다. 이유는 이 필터는 저역통과필터이므로 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입력파의 폭이 T이므로 이 신호는 주파수가 낮은 저역에 해당하며, 이 신호를 가장 잘 통과시키는 것은 저역에서 가장 큰 저항값을 가지는 ""이다. 따라서 이 필터의 출력파는 입력파의 저역부분만 통과시키고 고역부분은 차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RL 직렬 회로에 t = 0일 때,직류 전압 100[V]를 인가하면 흐르는 전류 i(t)는? (단, R = 50[Ω], L = 10[H]이다.)

  1. 2(1-e5t)
  2. 2(1-e-5t)
  3. 1.96(1-et/5 )
  4. 1.96(1+e-t/5)
(정답률: 알수없음)
  • RL 직렬 회로에서 전류 i(t)는 다음과 같은 미분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di/dt) + Ri = V

    여기서 L은 인덕턴스, R은 저항, V는 인가된 전압이다. 이 식을 t=0일 때부터 풀어보면 다음과 같다.

    L(di/dt) + Ri = V
    L(di/dt) + 50i = 100
    di/dt + (50/L)i = 100/L

    이는 선형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상수항을 구한다.

    (50/L) = 5

    이제 상수항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di/dt + 5i = 20

    이 식은 상미분 방정식의 일반해를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i(t) = (1/5)(20 + Ce^(-5t))

    여기서 C는 초기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t=0일 때, i(0) = 0이므로 C= -20이다.

    따라서,

    i(t) = 2(1-e^(-5t))

    정답은 "2(1-e^(-5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변압기 결선에서 제3고조파를 발생하는 것은?

  1. △-Y
  2. Y-△
  3. △-△
  4. Y-Y
(정답률: 알수없음)
  • 제3고조파는 대칭적인 결선에서 발생하며, Y-Y 결선은 대칭적인 결선이기 때문에 제3고조파를 발생시킵니다. 이는 Y-Y 결선에서 각 상의 전압이 대칭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10[Ω]의 지로를 흐르는 전류는?

  1. 1 [A]
  2. 2 [A]
  3. 4 [A]
  4. 5 [A]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의 합은 12[V]이므로, 12[V] / 12[Ω] = 1[A]가 전류의 크기가 됩니다. 따라서, 회로 전체를 흐르는 전류는 1[A]이며, 이는 지로를 흐르는 전류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송손실의 단위 1[neper]는 몇 데시벨(㏈) 인가?

  1. 1.414
  2. 1.732
  3. 5.677
  4. 8.686
(정답률: 알수없음)
  • 1[neper]는 8.686 데시벨(㏈)이다. 이는 네이퍼와 데시벨이 서로 다른 단위이기 때문에 변환이 필요하다. 네이퍼와 데시벨은 모두 로그함수를 사용하여 전력비를 나타내는데, 네이퍼는 자연로그를 사용하고 데시벨은 10을 밑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네이퍼를 데시벨로 변환할 때는 10을 자연로그의 밑인 e의 거듭제곱으로 바꾸어 계산해야 한다. 이때, 1[neper]는 10^(1/20) = 1.122 데시벨(㏈)이고, 1[neper] = 8.686/1.122 = 7.742 데시벨(㏈)이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1[neper] = 8.686 데시벨(㏈)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값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L1 = 3[H], L2 = 5[H], M = 2[H]일 때 a, b 간의 인덕턴스는?

  1. 1.65[H]
  2. 2.25[H]
  3. 2.75[H]
  4. 3.75[H]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 간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ab = L1 + L2 + 2M

    = 3 + 5 + 2(2)

    = 12[H]

    따라서 정답은 "3.75[H]"가 아니라 "12[H]"이다. 보기에 주어진 답안 중에서 "2.75[H]"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일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제 출처와 함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구동점 임피던스(driving-point impedance)함수에 있어서 극(pole)은?

  1. 아무런 상태도 아니다.
  2. 개방회로 상태를 의미한다.
  3. 단락회로 상태를 의미한다.
  4. 전류가 많이 흐르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극(pole)은 구동점 임피던스 함수에서 분모 다항식의 해로, 이 때 분모 다항식이 0이 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극이 개방회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분모 다항식이 0이 되는 주파수에서 구동점 임피던스가 무한대가 되는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개방회로 상태와 같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회로에서 Norton의 정리를 이용해서 콘덴서에 걸리는 전압을 구하면?

  1. V(S) = I(S)/(SL+R)SC+1
  2. V(S) = I(S)R/(SL+R)SC+1
  3. V(S) = I(S)/(SL+R)+1
  4. V(S) = I(S)R/(SL+R)SC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유도결합회로에서 단자 ab간의 합성 임피던스가 실수가 되기 위한 주파수 ω 의 값은?

(정답률: 알수없음)
  • 단자 ab간의 합성 임피던스가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유도결합회로의 총 리액턴스가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총 리액턴스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XL1 = jωL1
    XC2 = -j/(ωC2)
    XL3 = jωL3

    XL1과 XL3은 인덕턴스의 리액턴스이므로 양의 실수입니다. 하지만, XC2는 캐패시턴스의 리액턴스이므로 음의 실수입니다. 따라서, 총 리액턴스는 XL1 + XC2 + XL3 = jωL1 - j/(ωC2) + jωL3 입니다.

    이 식이 실수가 되기 위해서는 허수부가 0이 되어야 합니다. 즉, j(ωL1 - ωL3) - j/(ωC2) = 0 이어야 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ω^2 = 1/(L1C2L3)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형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효값을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2. 클 수록 정류를 했을 때 효율이 좋아진다.
  3. 어떠한 파형에 대하여도 그 값은 1 이상이다.
  4. 동일한 파형에 대하여는 주파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 수록 정류를 했을 때 효율이 좋아진다."는 파형률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파형률은 실효값을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파형의 왜곡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파형률이 작을수록 파형이 왜곡이 적어지므로, 정류기 등에서 파형을 정형화할 때 파형률이 작은 파형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은 저항회로에서 합성저항이 Rab = 12[Ω]일 때 병렬 저항 Rx의 값은 몇 [Ω]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 저항의 공식은 1/Rx = 1/R1 + 1/R2 + ... + 1/Rn 이다. 따라서 Rx = 1/(1/R1 + 1/R2 + ... + 1/Rn) 이다. 이 문제에서는 R1 = 6[Ω], R2 = 4[Ω], R3 = Rab = 12[Ω] 이므로, Rx = 1/(1/6 + 1/4 + 1/12) = 3[Ω] 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의 회로에서 릴레이의 동작 전류는 10[mA], 코일의 저항은 1[kΩ ], 인덕턴스는 L[H]이다. S가 닫히고 18[ms] 이내로 이 릴레이가 작동하려면 L[H]은 약 얼마인가?

  1. 26
  2. 30
  3. 50
  4. 68
(정답률: 알수없음)
  • 릴레이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축전된 에너지가 충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코일의 인덕턴스가 커야 한다.

    릴레이의 작동시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 = 2 times frac{L}{R} times ln{frac{I_0}{I_f}}$

    여기서 $I_0$는 초기 전류, $I_f$는 최종 전류, $L$은 인덕턴스, $R$은 저항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초기 전류 $I_0$는 10[mA], 최종 전류 $I_f$는 0이다. 저항 $R$은 1[kΩ]이므로 $R=1000Omega$이다.

    따라서,

    $t = 2 times frac{L}{1000} times ln{frac{10}{0}} = 2 times frac{L}{1000} times infty = infty$

    즉, 작동시간이 18[ms] 이내가 되려면 인덕턴스 $L$은 무한대여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유일하게 무한대가 아닌 값인 "26"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t = 0에서 스위치 K가 닫혔다. 전류의 파형이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났을 때 전류의 초기값이 10[mA]로 측정되었다. i(t)의 식은?

  1. i(t) = 102e-10t
  2. i(t) = 10-1e20t
  3. i(t) = 10-2e-20t
  4. i(t) = 10e10t
(정답률: 알수없음)
  • 스위치 K가 닫혀있으므로, 전압이 10V가 되고, 이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회로는 1차 RC 회로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i(t)의 식은 i(t) = Ae-t/RC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초기값이 10[mA]이므로, i(0) = A = 10-2이다. 또한, R과 C의 값은 각각 1kΩ와 0.5μF이므로, RC = 0.5×10-3이다. 따라서 i(t) = 10-2e-20t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회로망에서 ①전압원 ②전류원 ③마디 ④인덕터 ⑤루프 ⑥캐패시터에 대한 쌍대가 되는 형태는?

  1. ① - ③, ② - ⑤, ④ - ⑥
  2. ① - ②, ③ - ⑥, ④ - ⑤
  3. ① - ②, ③ - ⑤, ④ - ⑥
  4. ① - ③, ④ - ⑤, ② - 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 - ②, ③ - ⑤, ④ - ⑥" 입니다.

    ①전압원과 ②전류원은 서로 쌍대가 되는 관계입니다. 전압원은 전압을 유지하면서 전류를 공급하고, 전류원은 전류를 유지하면서 전압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두 원소는 서로 쌍대가 되는 형태입니다.

    ③마디와 ⑤루프는 서로 쌍대가 되는 관계입니다. 마디는 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루프는 마디를 포함하는 닫힌 경로입니다. 따라서 두 원소는 서로 쌍대가 되는 형태입니다.

    ④인덕터와 ⑥캐패시터는 서로 쌍대가 되는 관계입니다. 인덕터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생성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캐패시터는 전압이 인가될 때 전하를 저장하여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두 원소는 서로 쌍대가 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① - ②, ③ - ⑤, ④ - 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개 이상의 전원을 내포한 선형 회로에서 어떤 가지에 흐르는 전류나 단자의 전압에 대해 해석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Norton의 정리
  2. Thevenin의 정리
  3. 치환정리
  4. 중첩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중첩의 원리는 2개 이상의 전원을 내포한 선형 회로에서 어떤 가지에 흐르는 전류나 단자의 전압에 대해 해석하는데 사용하는 원리이다. 이는 각 전원이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가정 하에, 각 전원이 작용하는 상황을 따로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합하여 전체 회로의 동작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회로에서도 각 부분을 분리하여 해석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과 같은 그래프의 나무(Tree) 수는?

  1. 4
  2. 6
  3. 16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나무의 수는 "간선의 수 + 1" 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간선의 수는 15개이므로, 나무의 수는 15+1=16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2단자 임피던스가 일 때 극점(pole)은?

  1. -3
  2. 0
  3. -1, -2, -3
  4. -1, -2
(정답률: 알수없음)
  • 임피던스의 극점은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으로, 이는 분모의 인수들이 0이 되는 지점과 같다. 따라서, 2단자 임피던스가 일 때, 분모의 인수들은 s+1, s+2, s+3 이므로 극점은 -1, -2, -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극점이 -1, -2 인 것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유는 극점이 -3일 때는 보기에서 제시된 답변 중에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회로

41. 다음과 같은 빈 브리지(Wine Bridge)형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의 회로는?

  1. 반가산기
  2. 전가산기
  3. 반감산기
  4. 디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자리올림(Carry)을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반가산기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가산기"입니다. 전가산기는 자리올림까지 처리하는 회로이고, 반감산기는 뺄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디코더는 입력된 비트 패턴에 따라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에서 점유율(duty cycle)를 나타내는 식은?

  1. τ/B
  2. E/B
  3. τ/T
  4. E/T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τ는 ON 상태인 시간, T는 주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점유율은 τ/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 임피던스(Ri) = 0
  2. 대역폭(BW) = ∞
  3. 출력 임피던스(R0) = 0
  4. 전압이득 │Av│ = ∞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임피던스(Ri) = 0은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연산 증폭기에 들어오면, 입력 임피던스가 0이므로 입력 신호가 증폭기로 흐르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입력 임피던스가 0이 될 수 없으며,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 중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입력 임피던스가 0이면 입력 신호가 증폭기로 흐르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소스에서 발생하는 임피던스 불일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어진 회로는 어떤 종류의 발진기인가?

  1. colpitts 발진기
  2. hartley 발진기
  3. wien bridge 발진기
  4. phase-shift 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회로는 colpitts 발진기이다. 이는 R1, C1, C2, L1로 이루어진 고주파 발진기 회로로, C1과 C2가 캐패시터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회로는 고주파 발진기로서, 적절한 조건에서 발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콜피츠(Colpitts)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1. ≒ 850 ㎑
  2. ≒ 200 ㎑
  3. ≒ 205.5 ㎑
  4. ≒ 2055 ㎑
(정답률: 알수없음)
  • 콜피츠 발진기는 LC 회로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 회로에서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1 / (2π√(LC))

    여기서 L은 코일의 인덕턴스, C는 콘덴서의 캐패시턴스이다.

    주어진 회로에서 C1과 C2는 병렬로 연결되어 캐패시턴스가 합쳐져서 C'가 된다. 따라서 C'는 C1과 C2의 합과 같다.

    C' = C1 + C2

    따라서 발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1 / (2π√(L(C1+C2)))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 ≒ 1 / (2π√(10μH(100pF+100pF))) ≒ 205.5㎑

    따라서 정답은 "≒ 205.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연산증폭기 응용회로의 기능은?

  1. 적분기
  2. 미분기
  3. 가산기
  4. 감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응용회로는 입력 신호의 미분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미분기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미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컬렉터 전류 Ic를 구하면? (단, β = 100 이고 실리콘 트랜지스터이며 VBE = 0.7[V]임)

  1. 0.2 [㎃]
  2. 0.5 [㎃]
  3. 5 [㎃]
  4. 20 [㎃]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 VBE는 0.7[V]이므로, RB와 R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IB = (12[V] - 0.7[V]) / (10[kΩ] + 100[kΩ]) = 0.107 [mA]

    이 때, 트랜지스터의 증폭도 β = 100이므로, 컬렉터 전류 Ic는 다음과 같다.

    Ic = β x IB = 100 x 0.107 [mA] = 10.7 [mA]

    하지만, R2를 통해 흐르는 전류도 컬렉터 전류에 더해져야 한다. R2의 저항값은 1[kΩ]이므로, R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다.

    IR2 = (12[V] - 0.7[V]) / 1[kΩ] = 11.3 [mA]

    따라서, 최종적으로 흐르는 컬렉터 전류 Ic는 다음과 같다.

    Ic = 10.7 [mA] + 11.3 [mA] = 22 [mA]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20 [㎃]"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근사치를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값은 22 [mA]이지만, 보기에서는 가장 가까운 값인 "20 [㎃]"을 선택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에서 A는 연산 증폭기이다. Vi - Vo의 관계는?

(정답률: 알수없음)
  • A는 연산 증폭기이므로 입력 신호 Vi가 증폭되어 출력 신호 Vo로 출력된다. 따라서 Vi와 Vo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Vi가 증가하면 Vo도 증가하고, Vi가 감소하면 Vo도 감소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십진수 13을 Excess-3 code로 변환하면?

  1. 0110 1001
  2. 1010 0101
  3. 0100 0110
  4. 0100 0010
(정답률: 알수없음)
  • Excess-3 code는 10진수 값을 3을 더한 후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13에 3을 더한 값은 16이 되고, 16을 4비트 이진수로 변환하면 "1 0000"이 된다. 여기서 첫 번째 비트는 무시하고 나머지 4비트를 Excess-3 code로 변환하면 "01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00 0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상 변조(PM) 방식에서 변조 지수는?

  1.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한다.
  2. 신호파의 주파수에 비례한다.
  3. 신호파의 진폭에 반비례한다.
  4. 신호파의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 변조(PM) 방식에서 변조 지수는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한다. 이는 위상 변조에서 변조 신호가 신호파의 위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변조 지수가 높을수록 신호파의 위상 변화가 크기 때문에 신호파의 진폭에 비례하여 변조 지수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B급 TR 푸시풀 전력 증폭기의 최대 출력은?

  1. Vcc2/RL
  2. Vcc2/2RL
  3. 2Vcc2/RL
  4. Vcc2/4RL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TR 푸시풀 전력 증폭기는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최대 출력은 전압 Vcc와 부하 저항 RL에 의해 결정된다.

    B급 TR 푸시풀 전력 증폭기는 양쪽에서 푸시풀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출력 신호의 양극성이 바뀌면서 출력 신호의 전압이 Vcc와 -Vcc 사이를 오가게 된다. 따라서 최대 출력 전압은 Vcc의 절반인 Vcc/2가 된다.

    최대 출력 전류는 Vcc/2를 RL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최대 출력은 Vcc/2를 RL로 나눈 값의 제곱인 Vcc^2/4RL이 된다.

    하지만 B급 TR 푸시풀 전력 증폭기는 양쪽에서 푸시풀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출력 신호의 양극성이 바뀌면서 전압이 Vcc와 -Vcc 사이를 오가게 된다. 따라서 최대 출력 전압은 Vcc의 절반인 Vcc/2가 된다.

    따라서 최대 출력 전류는 Vcc/2를 RL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최대 출력은 Vcc/2를 RL로 나눈 값의 제곱의 2배인 Vcc^2/2R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Vcc^2/2R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궤환(negative feedback) 회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내부 잡음 일부가 경감된다.
  2. 비직선 일그러짐이 감소된다.
  3. 입ㆍ출력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4. 이득이 높아지고, 주파수 특성이 평탄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ㆍ출력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부하에 따라 회로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부궤환 회로를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입ㆍ출력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부궤환 회로의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Q1 → OFF, Q2 → ON 상태라고 할 때 C1과 C2 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는 얼마인가?

  1. │VC1│ = │VC2
  2. │VC1│ = │VC2│ = VCC
  3. │VC1│ > │VC2
  4. │VC1│ < │VC2
(정답률: 알수없음)
  • C1과 C2는 서로 역할이 반대이므로, Q1이 OFF되어 C1이 방전될 때 C2는 충전되어 Q2가 ON되어야 한다. 따라서 Q2가 ON되기 위해서는 C2에 충전된 전압이 C1에 충전된 전압보다 높아야 한다. 따라서 │VC1│ > │VC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회로에서 Re의 중요한 역할은?

  1. 출력증대
  2. 주파수 대역증대
  3. 바이어스 전압감소
  4. 동작점의 안정화
(정답률: 알수없음)
  • Re는 에미터 전극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으로, 이 회로에서는 콜렉터 전극과 에미터 전극 사이의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동작점의 안정화를 위해 필요한데, 동작점이 안정해지면 전류나 전압 등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회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작점의 안정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이미터 접지 증폭기에서 α = 0.98, ICO = 0.1[㎃]이고, IB = 0.2[㎃] 일 때 컬렉터 전류는 몇 [㎃]인가?

  1. 12.5
  2. 14
  3. 14.8
  4. 24.8
(정답률: 알수없음)
  • 컬렉터 전류는 IC = αIE 이므로, IE를 구해보자.

    IE = IB + ICO = 0.2[㎃] + 0.1[㎃] = 0.3[㎃]

    따라서, IC = αIE = 0.98 × 0.3[㎃] = 0.294[㎃] ≈ 14.8[㎃]

    따라서, 정답은 "14.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트랜지스터의 고주파 특성으로 α차단 주파수(fα)는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1. 컬렉터에 인가하는 전압에 비례한다.
  2. 베이스 폭과 켈렉터 용량에 각각 반비례한다
  3. 베이스 폭의 자승에 반비례하고, 컬렉터 확산 계수에 비례한다.
  4. 이미터에 인가하는 전압에 비례하고, 컬렉터 용량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α차단 주파수는 컬렉터 전류가 베이스 전류의 α배일 때, 전류 증폭이 1이 되는 주파수를 말한다. 이 때, 컬렉터 전류는 컬렉터와 베이스 사이의 pn접합에서 발생하는 확산 전류와 드리프트 전류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α차단 주파수는 컬렉터 확산 계수와 베이스 폭의 자승에 반비례하고, 컬렉터 용량에 비례한다. 이유는 컬렉터 확산 계수가 클수록 확산 전류가 많아지므로 전류 증폭이 더 어려워지고, 베이스 폭이 작을수록 pn접합에서 발생하는 확산 전류가 적어져 전류 증폭이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컬렉터 용량이 클수록 전류 증폭이 더 어려워지므로 α차단 주파수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은? (단, A,B,C,D는 입력 단자이고, VO는 출력이다.)

  1. AB+CD
  2. A+B+C+D
  3. ABCD
  4. (A+B)(C+D)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회로에서 AND 게이트는 입력 신호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고, OR 게이트는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다.

    그림에서는 A와 B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고, C와 D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AND 게이트의 출력이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이고, C와 D가 모두 1일 때, 두 AND 게이트의 출력은 각각 1이 되고,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이 1이 된다.

    즉, 출력 신호 VO는 (A+B)(C+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커패시터로 필터를 구성한 전파 정류기에서 부하 저항이 감소하면 리플(ripple) 전압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관계없다.
  4. 주파수가 변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커패시터로 구성된 필터는 부하 저항이 감소하면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커패시터에서 저장된 전력을 더 자주 방출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리플 전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부하 저항이 감소하면 리플 전압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FET가 보통의 접합 트랜지스터에 대해 갖는 장점이 아닌것은?

  1. 입력 임피던스가 크다.
  2.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에 비하여 잡음이 적다.
  3. 이득×대역폭이 커서 고주파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4. 오프셋 전압이 없으므로 좋은 초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FET는 입력 임피던스가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득×대역폭이 커서 고주파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든 접합 트랜지스터에 해당되는 특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득×대역폭이 커서 고주파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FET만의 특징이 아니며,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FET의 장점으로 꼽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전자공학

61. 주양자수 n이 3인 전자각 M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전자수는?

  1. 2
  2. 8
  3. 18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양자수가 n=3이므로, 전자각 M은 3개의 주양자를 가지고 있다. 전자각 M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전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자각 M의 전자수 = 2n^2

    여기서 n=3을 대입하면,

    전자각 M의 전자수 = 2 x 3^2 = 18

    따라서, 전자각 M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전자수는 1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낮은 전압에서는 큰 저항을 나타내며, 높은 전압에서는 작은 저항값을 갖는 소자는?

  1. 바랙터(Varractor)
  2. 바리스터(Varistor)
  3. 세미스터(semistor)
  4. 서미스터(thermistor)
(정답률: 알수없음)
  • 바리스터는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때, 전류를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바리스터는 저항값이 매우 크다가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저항값이 급격히 작아지는 특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낮은 전압에서는 큰 저항을 나타내며, 높은 전압에서는 작은 저항값을 갖는 소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Fermi-Dirac 분포 함수는?

  1. f(E) = 1/1-e(E-EF)/kT
  2. f(E) = 1/1+e(E-EF)/kT
  3. f(E) = 1-e(E-EF)/kT
  4. f(E) = 1+e(E-EF)/kT
(정답률: 알수없음)
  • Fermi-Dirac 분포 함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전자의 분포를 설명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전자의 에너지 E, 에너지 대 열역학적 균형 상태에서의 Fermi 에너지 EF, 온도 T, 볼츠만 상수 k를 입력값으로 받는다.

    전자의 분포는 Pauli의 배제 원리에 따라 한 에너지 상태에는 두 개의 전자만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Fermi-Dirac 분포 함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전자가 해당 에너지 상태에 존재할 확률을 나타낸다.

    f(E) = 1/1+e(E-EF)/kT인 이유는, 분모에 있는 1+e(E-EF)/kT는 전자가 해당 에너지 상태에 존재할 확률과 전자가 해당 에너지 상태에 존재하지 않을 확률의 합이므로 1이 된다. 분자에 있는 1은 전자가 해당 에너지 상태에 존재할 수 있는 최대 확률인 1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의 분포를 나타내는 함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전자가 해당 에너지 상태에 존재할 확률을 나타내는데, 이때 Fermi-Dirac 분포 함수는 전자의 에너지가 Fermi 에너지보다 작을 때는 1에 가까워지고, Fermi 에너지보다 클 때는 0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JFET의 핀치오프 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널의 폭에 비례한다.
  2. 재료의 비유전율에 반비례한다.
  3. 채널 부분의 도우핑 밀도에 비례한다.
  4. 드레인 소스간을 개방한 경우는 공간 전하층으로 채널이 막혔을 때의 게이트 역전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의 폭에 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핀치오프 전압은 채널 부분의 도우핑 밀도와 재료의 비유전율에 반비례하며, 드레인 소스간을 개방한 경우는 공간 전하층으로 채널이 막혔을 때의 게이트 역전압이다. 채널의 폭은 JFET의 특성 중 하나이지만 핀치오프 전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절대온도 0[°K]에서 진성 반도체의 모든 가전자는?

  1. 전도대에 존재한다.
  2. 금지대에 존재한다.
  3. 가전자대에 존재한다.
  4. 전도대와 가전자대에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온도 0[°K]에서 모든 물질의 움직임이 멈추게 되는데, 이는 진성 반도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가전자대는 원자의 기본적인 에너지 상태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대온도 0[°K]에서도 가전자대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 함수(work function)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의 종류에 따라 값이 다르다.
  2. 일 함수가 큰 것이 전자 방출이 쉽게 일어난다.
  3. 표면장벽 에너지와 Fermi 준위와의 차를 일 함수라 한다.
  4.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서 최소한 이 일 함수에 해당되는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 함수가 큰 것이 전자 방출이 쉽게 일어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일 함수가 크다는 것은 전자가 금속에서 더 쉽게 떨어져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 함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값이 다르며, 표면장벽 에너지와 Fermi 준위와의 차를 일 함수라고 한다. 또한, 전자가 방출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이 일 함수에 해당되는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반도체에 전장을 가하면 전자는 어떤 운동을 하는가?

  1. 원 운동
  2. 불규칙 운동
  3. 포물선 운동
  4. 타원 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반도체에 전장을 가하면 전자는 불규칙 운동을 한다. 이는 전자가 반도체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다른 전자나 이온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불규칙한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규칙 운동은 전자의 이동성을 제한하고, 전기적인 저항을 유발하여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계의 세기 E = 105[V/m]의 평등 전계 중에 놓인 전자에 가해지는 전자의 가속도는 약 얼마인가?

  1. 1600[m/s2]
  2. 1.602× 10-14[m/s2]
  3. 5.93× 105 [m/s2]
  4. 1.75× 1016[m/s2]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에 작용하는 힘은 전자의 전하량과 전기장의 곱으로 주어지며, 이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전자의 운동 방향이 일치하면 전자는 가속된다. 따라서 전자의 가속도는 전기장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전자의 가속도는 105[V/m]이다. 이를 m/s2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05[V/m] = 105[N/C] (전기장의 크기와 동일)

    전하량 q = -1.602 × 10-19[C] (전자의 전하량)

    전자에 작용하는 힘 F = qE = -1.602 × 10-19[C] × 105[N/C] = -1.602 × 10-14[N]

    전자의 질량 m = 9.109 × 10-31[kg]

    전자의 가속도 a = F/m = (-1.602 × 10-14[N]) / (9.109 × 10-31[kg]) = -1.758 × 1016[m/s2]

    따라서, 정답은 "1.75 × 1016[m/s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부성(負性) 저항의 특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은?

  1. 광 다이오드
  2. 터널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쇼트키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다이오드는 부성 저항의 특성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다이오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다이오드 내부의 터널 다리를 통해 전자가 터널링 현상을 일으키면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이 때 전류-전압 특성이 매우 가파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고주파 회로나 스위칭 회로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실리콘이 정제하기 어려운 이유는?

  1. 에너지 밴드캡이 크다.
  2. 단결정 형성이 안된다.
  3. 표면 장력이 크다.
  4. 녹는 온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콘의 녹는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정제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압 1[mmHg] 정도의 글로우 방전(glow discharge)에서 생기는 관내 발광 부분이 아닌 것은?

  1. 양광주(positive column)
  2. 부 글로우(negative glow)
  3. 음극 글로우(cathode glow)
  4. 패러데이 암부(faraday dark space)
(정답률: 알수없음)
  • 패러데이 암부는 글로우 방전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한 영역으로, 전자가 충돌하여 이온화된 기체 분자들이 이동하면서 전자를 재생성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영역은 발광이 없으며 어둡다. 따라서 정답은 "패러데이 암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진성 반도체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페르미 준위는?

  1. 전도대 쪽으로 접근한다.
  2. 가전자대 쪽으로 접근한다.
  3. 도우너 준위에 접근한다.
  4. 금지대 중앙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성 반도체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전자의 열 운동이 증가하게 되어 전자의 움직임이 더 자유로워집니다. 이로 인해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페르미 준위도 변화합니다. 온도가 상승하면 페르미 준위는 가전자대 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전자대 쪽으로 접근한다."는 보기는 틀린 답입니다.

    반면에, 금지대는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에너지 대역입니다. 따라서 전자의 움직임이 증가하더라도 금지대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페르미 준위는 금지대 중앙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금지대 중앙에 위치한다."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진성반도체 Si의 300[K]에서의 저항율을 636[Ωㆍm],전자 및 정공의 이동도를 각각 0.15[m2/Vㆍsec], 0.05[m2/Vㆍsec] 이라고 하면 그때의 전자 밀도는 약 얼마인가?

  1. 9.8×1010개/m3
  2. 9.8×1012개/m3
  3. 4.9×1013개/m3
  4. 4.9×1016개/m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 = 1/(qR)

    여기서 q는 전자의 전하량, R은 저항율, n은 전자 밀도이다. 따라서,

    n = 1/(1.6×10^-19[C] × 636[Ωㆍm]) = 9.8×10^16[개/m^3]

    따라서, 정답은 "4.9×10^16개/m^3"이 아니라 "9.8×10^16개/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주입된 과잉 소수 캐리어는 베이스 영역을 어떤 방법에 의해서 흐르는가?

  1. 확산에 의해서
  2. 드리프트에 의해서
  3. 컬렉터 접합에 가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4. 이미터 접합에 가한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주입된 과잉 소수 캐리어는 베이스 영역으로 확산됩니다. 이는 캐리어가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동 경로에 따라 캐리어가 베이스-컬렉터 접합을 넘어 컬렉터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산에 의해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물질의 구성과 관계없는 요소는?

  1. 광자
  2. 중성자
  3. 양자
  4. 전자
(정답률: 알수없음)
  • 광자는 빛의 기본 입자로서, 물질의 구성과는 관계없이 존재하는 요소입니다. 중성자, 양자, 전자는 모두 물질의 구성과 관련된 입자들이기 때문에 광자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컬렉터 접합부의 온도 상승으로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현상은?

  1. Saturation 현상
  2. break down 현상
  3. thermal runaway 현상
  4. pinch off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컬렉터 접합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트랜지스터 내부의 전류 증폭 기능이 강화되어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더욱 상승하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트랜지스터는 점차적으로 파괴되는데, 이를 thermal runaway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두 도체 또는 반도체의 폐회로에서 두 접합점의 온도차로서 전류가 생기는 현상은?

  1. 홀(Hall) 효과
  2. 광전(Photo) 효과
  3. 지벡(Seebeck) 효과
  4. 펠티어(Peltier)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도체 또는 반도체의 폐회로에서 두 접합점의 온도차로 인해 전자의 열운동이 발생하면서 전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지벡(Seebeck)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열전도체의 특성으로, 열전자라고도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균일 자계 B에 자계와 직각 방향으로 속도 V를 갖고 입사한 전자의 각속도는? (단, 전자의 질량을 m, 전하량은 q)

  1. mV/qB
  2. qB/m
  3. 2πm/qB
  4. qB/2π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가 자계 B에 직각 방향으로 입사하면, 로렌츠 힘에 의해 전자는 각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 각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각속도 = (로렌츠 힘 / 질량) x 시간

    로렌츠 힘은 전자의 전하량 q, 속도 V, 자계 B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로렌츠 힘은 qVB입니다.

    따라서 각속도는 (qVB / m) x 시간입니다.

    입사한 전자는 자계와 직각 방향으로 속도 V를 갖고 있으므로, 시간이 1초일 때 전자는 자계를 한 바퀴 돌게 됩니다. 따라서 시간은 1초입니다.

    따라서 각속도는 qVB / 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qB/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자 방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을 고온으로 가열하면 자유전자의 일부가 금속 외부로 방출되는 현상을 열전자 방출이라 한다.
  2. 금속의 표면에 빛을 입사시키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광전자 방출이라 한다.
  3. 금속의 표면에 강한 전계를 가하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2차 전자 방출이라 한다.
  4. 금속의 표면에 전계를 가하면 금속 표면의 열전자 방출량 보다 전자 방출이 증가하는 현상을 Shottky 효과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금속의 표면에 강한 전계를 가하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2차 전자 방출이라 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광전자 공명 현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금속 표면에 빛을 입사시키면 전자가 방출되고, 이 전자가 다시 금속 내부에서 충돌하여 추가적인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에서 터넬링(Tunnelling)은 언제 발생하는가?

  1. 역방향에서만 발생
  2. 정전압이 높을 때만 발생
  3. 바이어스가 영 일때 발생
  4. 아주 낮은 전압에 있는 정방향에서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링은 전자가 에너지 장벽을 통과하는 현상으로, 에너지 장벽이 아주 얇을 때 발생합니다. 터널 다이오드에서는 pn 접합부가 매우 얇아서, 아주 낮은 전압에도 전자가 에너지 장벽을 통과할 수 있어서 정방향에서도 터널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주 낮은 전압에 있는 정방향에서 발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81. 흐름도(flowchart)에서 기호는?

  1. 프로세스(process)
  2. 판단(decision)
  3. 시작, 끝(terminal)
  4. 반복(repeat)
(정답률: 알수없음)
  • 기호는 "시작, 끝(terminal)" 기호이다. 이 기호는 흐름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며, 프로그램의 실행이 시작되는 지점과 종료되는 지점을 나타낸다. 이 기호는 흐름도에서 단 한 번만 사용되며,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이 이 기호를 지나면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DMA(Direct Memory Access) 장치의 역할은?

  1. CPU 대신 메모리에 연결된 버스의 사용권을 허가하는 역할을 한다.
  2. CPU로 옮길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찾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3. 메모리와 입ㆍ출력장치 간에 대량의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4. CPU에서 입ㆍ출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MA(Direct Memory Access) 장치는 메모리와 입ㆍ출력장치 간에 대량의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CPU 대신 메모리에 연결된 버스의 사용권을 허가하여, 입ㆍ출력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CPU의 부담을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수행 시간이 길어 특수 목적의 기계 이외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명령 형식이지만 연산 후 입력 자료가 변환되지 않고 보존되는 장점을 가진 명령 형식은?

  1. 3-주소명령형식
  2. 2-주소명령형식
  3. 1-주소명령형식
  4. 0-주소명령형식
(정답률: 알수없음)
  • 3-주소명령형식은 연산 후 입력 자료가 변환되지 않고 보존되는 장점을 가지며, 명령어에서 세 개의 주소를 사용하여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명령 형식에 비해 수행 시간이 길어 특수 목적의 기계 이외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명령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 각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연결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O processor
  2. control line
  3. bus
  4.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us"이다.

    "bus"는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 각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 주소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 모든 장치가 이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는다. 따라서 "bus"는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 정보 교환을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I/O processor"는 입출력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를 의미하며, "control line"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라인을 의미한다. "register"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임시 저장소를 의미한다. 이들은 모두 마이크로컴퓨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bus"는 모든 장치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컴퓨터나 주변장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I/O 준비나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필요한 비동기식 입ㆍ출력 시스템에 널리 쓰이는 방식은?

  1. Polling
  2. Interrupt
  3. Paging
  4. Handshaking
(정답률: 알수없음)
  • Handshaking 방식은 데이터 전송 전에 송신측과 수신측이 서로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O 준비나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필요한 비동기식 입ㆍ출력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가 아닌 것은?

  1.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점을 제어하는 데이터
  2. 메이저 상태간의 변천을 제어하는 데이터
  3. 인스트럭션의 순서를 제어하는 데이터
  4.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데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보기 중 "메이저 상태간의 변천을 제어하는 데이터"가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이터가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감지하는 데이터이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반면,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데이터"는 실제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스택(stack)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장 나중에 저장한 자료를 가장 먼저 내보낸다.
  2. 가장 먼저 저장한 자료를 가장 먼저 내보낸다.
  3. 저장한 순서에 관계없이 주소를 주면 자료를 읽을 수 있다.
  4. 스택포인터(또는 스택의 top)는 가장 먼저 저장된 자료의 위치를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나중에 저장한 자료를 가장 먼저 내보낸다는 이유는 스택이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가장 최근에 추가된 자료가 스택의 가장 위에 위치하고, 이후에 추가된 자료는 그 위에 쌓이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나중에 저장한 자료가 가장 먼저 내보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그림과 같은 논리게이트 회로는 어떤 동작을 나타내고 있는가?

  1. A와 B입력에 대한 일치동작
  2. A > B 판정 검출동작
  3. A < B 판정 검출동작
  4. A와 B입력의 NAND 논리동작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A와 B 입력이 모두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는 AND 게이트를 두 개 연결한 것입니다. 따라서 A와 B 입력에 대한 일치동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A와 B가 모두 참일 때에만 출력이 참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주소지정 방식 중에서 반드시 누산기를 필요로 하는 방식은?

  1. 3-주소지정 방식
  2. 2-주소지정 방식
  3. 1-주소지정 방식
  4. 0-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1-주소지정 방식은 누산기를 필요로 합니다. 이는 주소값을 누산기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주소값을 직접 이용하거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누산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10진수 4와 10진수 13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gray code)를 비트 단위(bitwise) OR 연산을 하면 결과는?

  1. 0110
  2. 1011
  3. 0010
  4. 1111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4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는 "0100"이고, 10진수 13에 해당하는 그레이 코드는 "1101"입니다. 이 두 그레이 코드를 비트 단위 OR 연산하면 각 자리수를 비교하여 둘 중 하나라도 1이면 1을, 그렇지 않으면 0을 결과로 얻습니다. 따라서 "0100" OR "1101" = "1101"이 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1111"은 "0100" OR "1101"의 결과와 일치하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A, B가 각각 합하는 수의 비트이고 Co가 낮은 자리에서의 올림수 비트일 때 전가산기의 합(S)에 대한 불 함수로 옳지 않은 것은?

  1. S=(A ⊕ B) ⊕ Co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옳지 않은 이유는, 전가산기의 합(S)은 A, B, Co의 합에 따라 결정되는데, ""는 A, B, Co의 합에 따라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은 불 함수는 "", "", "S=(A ⊕ B) ⊕ C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휘발성(volatile)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메모리는?

  1. RAM
  2. ROM
  3. PROM
  4. EPROM
(정답률: 알수없음)
  •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휘발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습니다. 반면에 ROM, PROM, EP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인터럽트 처리 과정 중 인터럽트 장치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판별하는 방법은?

  1. 스택
  2. 벡터 인터럽트
  3. 폴링
  4. 핸드쉐이킹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처리 과정 중 인터럽트 장치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판별하는 방법은 폴링입니다. 폴링은 주기적으로 인터럽트 장치를 확인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인 지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폴링 방식은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을 때도 계속해서 확인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논리 연산 중 마스크 동작은 어느 동작과 같은가?

  1. OR
  2. AND
  3. EX-OR
  4. NOT
(정답률: 알수없음)
  • 마스크 동작은 AND 연산과 같다. 마스크는 특정 비트 패턴을 만들어서, 이를 이용해 다른 비트 패턴의 일부 비트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마스크와 다른 비트 패턴을 AND 연산하면, 마스크에서 1로 설정된 비트만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동작은 AND 연산과 같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16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수의 범위는?

  1. -216 ~ 216
  2. -216-1 ~ 216+1
  3. -215 ~ 215
  4. -215 ~ 215-1
(정답률: 알수없음)
  • 16비트는 2의 16승 가지의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호 비트를 고려하면, 첫 번째 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므로 15비트만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값의 범위는 -2의 15승에서 2의 15승-1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정보를 찾아내는 조합논리 회로는?

  1. 인코더
  2. 디코더
  3. 디멀티플렉서
  4. 멀티플렉서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정보를 찾아내는 것은 디코더의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인코더는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반면, 디코더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원래의 정보를 찾아냅니다. 디멀티플렉서와 멀티플렉서는 다중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는 논리 회로이지만, 디코더는 단일 입력과 다중 출력을 처리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따라서, 디코더가 부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여 정보를 찾아내는 조합논리 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인스트럭션 수행을 위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1. MBR ← PC
  2. MAR ← PC
  3. PC ← PC+1
  4. IR ← MBR
(정답률: 알수없음)
  •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인스트럭션 수행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메모리 주소를 MAR에 저장해야 한다. 그리고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므로, MAR ← PC 연산을 통해 PC에 저장된 주소를 MAR에 복사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 ← P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interrupt 중에서 operator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은?

  1. I/O interrupt
  2. program interrupt
  3. external interrupt
  4. supervisor call interrupt
(정답률: 알수없음)
  • operator는 시스템의 일부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명령어이며, 이 명령어는 CPU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흐름을 중단시키고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external interrupt"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external interrup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명령은 명령 형식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3번지 명령
  2. 2번지 명령
  3. 1번지 명령
  4. 0번지 명령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명령은 3번지 명령에 해당한다. 이유는 "ls"라는 명령어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이다. "ls"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운영체제를 설명한 것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와 하드웨어간의 중간 대화 통로
  2. 컴퓨터 시스템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
  3. 컴퓨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 가능
  4. 업무에 사용하도록 개발한 응용프로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간 대화 통로입니다. 따라서 "업무에 사용하도록 개발한 응용프로그램"은 운영체제와는 관련이 없는 개발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