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승강기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 개론

1. 엘리베이터의 주행 중 혹은 가감속시 와이어로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트랙션능력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트랙션비(traction rati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트랙션비는 0이상이다.
  2. 트랙션비가 낮으면 로프의 수명이 길게 된다.
  3. 트랙션비가 높으면 전동기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4. 트랙션비가 높으면 로프와 도르레와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정답률: 74%)
  • 정답: "트랙션비가 낮으면 로프의 수명이 길게 된다."

    설명: 트랙션비란 엘리베이터의 전동기가 로프를 움직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트랙션비가 낮을수록 전동기가 로프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이 적어지므로 로프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로프의 수명이 더 길어집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설계 시 트랙션비를 적절히 고려하여 로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 대 이상의 엘리베이터가 동일 승강로에 병설 될 때의 비상구출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개의 카벽 측부에 구출구를 설치할 수 있다.
  2. 구출구는 카 내부로 열리는 구조이어야 한다.
  3. 구출구는 외부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열어야 한다.
  4. 문이 열려있는 동안에는 운전이 불가능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문이 열려있는 동안에는 운전이 불가능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상구출구는 비상시에만 사용되므로, 문이 열려있는 동안에도 운전이 가능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구출구는 외부에서 열쇠를 사용하여 열어야 한다."입니다. 이는 비상시에만 열리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에스컬레이터 제동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적재하중을 작용시키지 않고 디딤판이 상승할 때의 정지거리로 적합한 것은?

  1. 1m 이상 2m 이하
  2. 0.5m 이상 1m 이하
  3. 0.1m 이상 0.6m 이하
  4. 0.6m 이상 1.2m 이하
(정답률: 50%)
  • 에스컬레이터 제동기는 디딤판이 상승할 때 적재하중을 작용시키지 않고도 정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지거리가 짧을수록 더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0.1m 이상 0.6m 이하의 범위는 충분히 짧은 정지거리를 보장하면서도, 너무 짧지 않아 승강기 이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범위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엘리베이터의 적재하중 1150kg, 정격속도 105m/min, 오버밸런스율 40%, 총합효율이 75%일 때 권상전동기의 용량은?

  1. 약 10.5[kW]
  2. 약 11.8[kW]
  3. 약 14.2[kW]
  4. 약 15.8[kW]
(정답률: 63%)
  • 엘리베이터의 적재하중과 오버밸런스율을 고려하여 적정 권상전동기의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적재하중과 오버밸런스율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을 계산한다.

    정격하중 = 적재하중 + (적재하중 × 오버밸런스율)
    = 1150kg + (1150kg × 0.4)
    = 1610kg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총합효율을 고려하여 권상전동기의 용량을 계산한다.

    권상전동기의 출력 = (정격하중 × 정격속도) ÷ (1000 × 총합효율)
    = (1610kg × 105m/min) ÷ (1000 × 0.75)
    = 17.997kW

    하지만, 이 값은 권상전동기의 최소 용량이므로 여유를 두기 위해 약간의 여유를 더해준다. 따라서, 약 15.8[kW]가 적정한 권상전동기의 용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계실의 온도는 원칙적으로 몇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가?

  1. 30℃이하
  2. 35℃이하
  3. 40℃이하
  4. 45℃이하
(정답률: 85%)
  • 기계실 내부에서는 많은 전자기기들이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열은 기계실 내부의 온도를 높여서 전자기기들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기계실의 온도는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기계실의 온도는 40℃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40℃ 이상의 고온에서는 전자기기들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인체에도 해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계실의 온도는 40℃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교류 2단 속도제어 방식에서 고속과 저속의 속도비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2:1
  2. 3:1
  3. 4:1
  4. 6:1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교류 2단 속도제어 방식에서는 고속과 저속의 속도비로 4:1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4:1 속도비가 모터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4:1 속도비는 일반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속도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간접식의 장ㆍ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린더의 점검이 용이하다.
  2. 승강로는 실린더를 수용할 부분만큼 커지게 된다.
  3.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다.
  4. 로프의 늘어짐과 작동유의 압축성 때문에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비교적 작다.
(정답률: 72%)
  • "로프의 늘어짐과 작동유의 압축성 때문에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비교적 작다."가 틀린 것이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로프 대신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로프의 늘어짐과 작동유의 압축성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비슷하게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람이 탑승하지 않으면서 적재용량 1톤 미만의 소형화물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은?

  1. 화물용 엘리베이터
  2. 자동차용 엘리베이터
  3. 덤웨이터
  4. 수평보행기
(정답률: 82%)
  • 덤웨이터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적재용량 1톤 미만의 소형화물운반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람이 탑승하거나 더 큰 적재용량을 가지고 있어 덤웨이터와는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교류엘리베이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동기는?

  1. 농형유도전동기
  2. 교류 정류자전동기
  3. 분권전동기
  4. 직권전동기
(정답률: 79%)
  • 교류엘리베이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동기는 "농형유도전동기"입니다. 이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회전자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이며, 유지보수가 쉽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합니다. 또한, 소음이 적고 진동이 적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나선형 에스컬레이터라고도 하며 나선형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는?

  1. 옥내용 에스컬레이터
  2. 모듈러 에스컬레이터
  3. 옥외용 에스컬레이터
  4. 스파이럴 에스컬레이터
(정답률: 81%)
  • 스파이럴 에스컬레이터는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며, 대중교통 시설이나 상업시설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초고층 빌딩 등에서 중간의 승계층까지 직행 왕복운전하여 대량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는?

  1. 더블데트 엘리베이터
  2. 셔틀 엘리베이터
  3. 역사용 엘리베이터
  4. 보도교용 엘리베이터
(정답률: 78%)
  • 셔틀 엘리베이터는 중간 승강층에서 승강기를 갈아타지 않고 직행 왕복운전이 가능하며, 대량수송을 목적으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카에 사용할 수 있는 유리가 아닌 것은?

  1. 망유리
  2. 강화유리
  3. 접합유리
  4. 복층유리
(정답률: 60%)
  •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카에 사용할 수 없는 유리는 안전성이 떨어지는 유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화유리나 접합유리 등 안전성이 높은 유리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반면에 복층유리는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전망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카에 사용할 수 있는 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카를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제동기가 갖추어야 할 제동능력으로 옳은 것은?

  1. 승용승강기는 125%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20%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는 능력
  2. 승용승강기는 110%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05%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는 능력
  3. 슈(shoe)의 작용으로 마찰력과 스프링으로 정지하므로 부하용량과 무관
  4. 고속승강기는 전기적으로 정지시키므로 기계적 제동력은 필요 없음
(정답률: 81%)
  • 카를 정지시키는 제동기는 해당 승강기의 부하용량에 따라 제동능력이 달라진다. 승용승강기는 125% 부하, 화물용 승강기는 120% 부하로 전속하강 중의 카를 위험 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부하가 무거울수록 제동력이 강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카를 정지시키는 제동기의 제동능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계실의 소요 환기풍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발생 열량을 산출하려고 한다. 발생열량 산출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기계실의 크기
  2. 적재하중
  3. 제어방식
  4. 속도
(정답률: 68%)
  • 기계실의 크기는 환기풍량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환기풍량은 기계실 내부의 공기를 일정 시간 내에 완전히 교체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양으로 결정되며, 이는 적재하중, 제어방식, 속도 등과 관련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계실의 크기는 환기풍량을 산출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2단속도 제어
  2. 귀환전압 제어
  3. 인버터 제어
  4. 정지레오나드 제어
(정답률: 75%)
  • 정지레오나드 제어는 교류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이 아니라 직류엘리베이터의 제어방식이다. 따라서 정지레오나드 제어는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축물에 엘리베이터의 설비를 계획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가능한 동일 장소에 집중배치하여 교통부하를 평균화한다.
  2. 4대 이상일 경우에는 일렬배치보다는 대면배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한다.
  3. 건물 내의 피크시의 교통은 일시적이므로 무시하고 평균 교통량으로 엘리베이터의 설비계획을 세워 비용을 절감한다.
  4. 건축물의 교통수요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의 규모는 속도, 용량, 대수, 군관리방식 등을 결정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건물 내의 피크시의 교통은 일시적이므로 무시하고 평균 교통량으로 엘리베이터의 설비계획을 세워 비용을 절감한다."입니다. 이유는 건물 내의 피크시에는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혼잡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대수와 속도 등을 고려하여 설비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평균 교통량만 고려하면 대기시간과 혼잡도가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 내의 피크시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의 설비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일반적으로 카측 뿐만 아니라 균형추 측에도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는?

  1. 카의 속도가 210m/min 이상인 경우
  2. 피트 깊이가 1800mm 이상인 경우
  3. 카의 속도가 300m/min 이상인 경우
  4. 피트 바닥하부를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 등으로 사용할 경우
(정답률: 86%)
  • 피트 바닥하부를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 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만약 카나 균형추가 갑자기 멈추거나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람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승강기 제어반의 절연저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누전에 의한 감전재해나 전기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한다.
  2. 제어회로전압 150V이하는 0.02 MΩ이상이어야 한다.
  3.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제어반의 각 과전류차단기를 끊은 상태에서 검사한다.
  4. 신호회로전압 150V이하는 0.1MΩ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60%)
  • "제어회로전압 150V이하는 0.02 MΩ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어회로전압이 높을수록 절연저항이 높아져야 하지만, 이 설명은 전압이 낮을수록 절연저항이 높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어회로전압 150V 이하일 때, 절연저항이 0.02 MΩ 이상이어야 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누전에 의한 감전재해나 전기화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회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엘리베이터 카 내의 비상조명등의 밝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기존 정답은 1번이었으며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의 조도가 1Lux 이상이어야 한다.
  2.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의 조도가 10Lux 이상이어야 한다.
  3. 카 바닥면의 조도가 1Lux 이상이어야 한다.
  4. 카 바닥면의 조도가 10Lux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정전시에는 비상조명등이 켜져야 하며, 이 때 비상조명등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의 조도가 1Lux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는 비상조명등이 충분한 밝기로 작동하여 승강기 내부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의 조도가 1Lux 이상이어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종의 압력조정밸브로 회로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밸브를 열어 기름을 탱크로 돌려보냄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1. 유량제어밸브
  2. 안전밸브
  3. 역저지밸브
  4. 필터
(정답률: 74%)
  • 안전밸브는 회로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밸브를 열어 기름을 탱크로 돌려보냄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압력조정밸브입니다. 따라서, 안전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 설계

21. 균형추에 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균형추의 틀은 보통 구형강으로 제작되어 상ㆍ하부에 부착된 가이드슈에 의해 이동한다.
  2. 웨이트는 보통 주철이나 특수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이것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균형추의 총 중량은 빈 카의 하중에 그 엘리베이터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적재하중의 55~75%의 중량을 더한 값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4. 카측 로프가 매달고 있는 중량과 균형추측 로프가 매달고 있는 중량의 비를 트랙션비라 한다.
(정답률: 70%)
  • 잘못된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균형추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엘리베이터 내 방범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입구의 도어에 유리창 설치
  2. 격층 강제정지 운전장치
  3. 카내에 경보장치 설치
  4. 동시통화 방식 인터폰 설치
(정답률: 67%)
  • 정답은 "격층 강제정지 운전장치"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 아니며, 엘리베이터 내 방범설비 중 하나인 비상정지 장치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격층 강제정지 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일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방범설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비상용 승강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mm2이상인 건축물
  2.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출물
  3.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m2이하인 건축물
  4.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200mm2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정답률: 73%)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mm2이상인 건축물"은 인원 및 화물 운송 등을 위해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해야 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는 건축물은 높이가 높아서 계단으로만 이동하기 어렵거나, 대량의 인원이나 화물을 빠르게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엘리베이터 브레이크의 능력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제동력을 너무 작게 하면 제동시 회전부분에 큰 응력을 발생시킨다.
  2. 정지 후 부하에 의한 언밸런스로 역구동되어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3. 브레이크는 카나 균형추 등 엘리베이터의 전 장치의 관성을 제지할 필요가 있다.
  4.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정격의 120% 부하로 전속 하강 중 위험 없이 감속ㆍ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2%)
  • "제동력을 너무 작게 하면 제동시 회전부분에 큰 응력을 발생시킨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 문장은 올바른 내용을 담고 있다. 엘리베이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너무 작으면 엘리베이터의 회전부분에 큰 응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제동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적재하중 1000kg, 카자중 1200kg이고, 단면계수 Z=225cm3인 SS-400을 1본 사용한(1:1로핑) 상부체대의 응력은? (단, 상부체대의 길이는 180cm이다.)

  1. 200[kg/cm2]
  2. 240[kg/cm2]
  3. 400[kg/cm2]
  4. 440[kg/cm2]
(정답률: 50%)
  • 상부체대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응력 = (적재하중 + 카자중) / 단면적

    단면적은 단면계수 Z와 상부체대의 길이 L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Z / L

    따라서,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응력 = (1000kg + 1200kg) / (225cm^3 / 180cm)
    = 2200kg / 1.25cm^2
    = 1760kg/cm^2

    하지만, 문제에서 답안으로 제시된 값은 440[kg/cm^2]이다. 이는 단위를 kg/cm^2에서 MPa로 변환하면 4.4[MPa]가 되는데, 이는 SS-400의 인장강도인 400[MPa]의 약 1/9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응력을 1/9로 나눈 값인 1760[kg/cm^2] / 9 = 195[kg/cm^2]를 반올림하여 200[kg/cm^2]로 계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고층 빌딩의 서비스층 분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주시간은 짧아지고 수송능력은 증대한다.
  2. 급행구간이 만들어져 고속성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
  3. 동일 테넌트가 다른 층으로 건너타고 있는 것은 층간교통이 불편해지고 거북스럽다.
  4. 건물의 인구분포에 큰 변동이 있을 때 간단하게 분할점을 바꿀 수 있다.
(정답률: 46%)
  • "건물의 인구분포에 큰 변동이 있을 때 간단하게 분할점을 바꿀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초고층 빌딩의 서비스층 분할은 건물의 구조와 인구분포, 이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간단하게 분할점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초고층 빌딩의 서비스층 분할은 일주시간을 짧아지고 수송능력을 증대시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급행구간을 만들어 고속성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으며, 동일 테넌트가 다른 층으로 건너타고 있는 것은 층간교통이 불편해지고 거북스러워지므로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final limit switch)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카가 완충기에 도달 후에 작동하도록 설계한다.
  2. 승강로 내부에 설치하고 카에 부착된 캠으로 동작시킨다.
  3. 카 또는 균형추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 위에 얹히기까지 작용을 계속하도록 한다.
  4. 카가 종단층을 통과한 뒤에는 전원이 권상 전동기로부터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정답률: 83%)
  • "카가 완충기에 도달 후에 작동하도록 설계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승강기의 카가 완충기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여 승강기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카가 완충기에 도달 후에 작동하도록 설계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나머지 보기들도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의 설계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승강로 내부에 설치하고 카에 부착된 캠으로 동작시키며, 카 또는 균형추가 완전히 압축된 완충기 위에 얹히기까지 작용을 계속하도록 하며, 카가 종단층을 통과한 뒤에는 전원이 권상 전동기로부터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계실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계실의 바닥면적은 원칙적으로 승강로 수평투영 면적의 2배 이상으로 한다.
  2. 기계실 바닥면부터 천장 또는 보의 하부까지의 수직거리는 2m 이상으로 한다.
  3. 기계실의 실온은 유지관리에 지장이 없도록 원칙적으로 40℃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기계실 출입문의 폭은 0.6m 이상,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77%)
  • "기계실 출입문의 폭은 0.6m 이상,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출입문이 이보다 작으면 인력과 장비의 출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V벨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축간 거리가 비교적 짧은 데에 사용한다.
  2. 운전소음이 크고 충격 흡수효과가 있다.
  3. 미끄럼이 적고 전동 회전비가 크다.
  4. 수명이 길다.
(정답률: 59%)
  • 운전소음이 크고 충격 흡수효과가 있다는 것은 V벨트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며, 소음 발생을 줄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V벨트를 사용할 때는 소음 발생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길이가 40m인 로프에 250kg의 하중이 작용할 때 로프가 탄성한게 내에서 늘어나는 길이는? (단, 로프의 종탄성계수는 7000kg/mm2, 로프본수는 1가닥, 로프단면적은 100mm2이다.)

  1. 약 14.2[mm]
  2. 약 18.7[mm]
  3. 약 32.6[mm]
  4. 약 53.2[mm]
(정답률: 42%)
  • 하중이 작용하면 로프는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로프의 늘어난 길이는 로프의 길이에 비례하게 된다. 로프의 늘어난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늘어난 길이 = (하중 × 로프의 길이) ÷ (로프의 종탄성계수 × 로프본수 × 로프단면적)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늘어난 길이 = (250 × 40000) ÷ (7000 × 1 × 100) = 14.2857...

    따라서, 로프가 탄성한게 내에서 늘어나는 길이는 약 14.2[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설계해야 하는가?

  1. 4
  2. 6
  3. 7.5
  4. 10
(정답률: 69%)
  •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는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NSI/ASME A17.1 규격에서는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 안전율을 7.5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행 중에도 예기치 않은 충격이나 진동 등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이드레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이드레일의 표준 길이는 5m 이다.
  2. 가이드레일 선정시 정격속도와는 큰 영향이 없으나 적재하중과는 영향이 많다.
  3. 15인승 속도 60m/min인 승객용 엘리베이터에는 카측에 8K, 균형추측에 13K 가이드레일을 사용한다.
  4. 가이드레일 강도 계산시 레일 브라켓의 설치간격도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률: 54%)
  • 가이드레일 선정시 정격속도와는 큰 영향이 없으나 적재하중과는 영향이 많다. (정답: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이드레일의 표준 길이는 5m 이다."가 아님)

    15인승 속도 60m/min인 승객용 엘리베이터에는 카측에 8K, 균형추측에 13K 가이드레일을 사용하는 이유는, 카측과 균형추측의 적재하중이 다르기 때문에 강도가 다른 가이드레일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레일 강도 계산시 레일 브라켓의 설치간격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승강기 감시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 감시반과 컴퓨터 감시반이 있다.
  2. 일반 감시반에는 분석 기능이 없다.
  3. 감시반의 기능과 비상호출 기능은 별개이다.
  4. 컴퓨터 감시반은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감시반의 기능과 비상호출 기능은 별개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감시반은 일반 감시반과 컴퓨터 감시반으로 나뉘며, 일반 감시반에는 분석 기능이 없습니다. 또한, 컴퓨터 감시반은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시할 수 있습니다. 감시반의 기능과 비상호출 기능은 별개이며, 감시반은 승강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입니다. 비상호출 기능은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감시반에 신호가 전송되어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동기속도 1500[rpm], 전부하회전수 1420[rpm]인 전동기의 슬립은?

  1. 약 5.3[%]
  2. 약 6.4[%]
  3. 약 7.5[%]
  4. 약 8.6[%]
(정답률: 66%)
  • 슬립은 동기속도와 전부하회전수의 차이를 동기속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슬립 = (1500 - 1420) / 1500 x 100% = 약 5.3[%]

    즉, 전동기의 슬립은 약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주로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로프의 안전율이 10 이상이 되도록 여러 가닥의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직경은 8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2. 직경은 항상 공칭지름 12mm이상이어야 한다.
  3. 끝부분은 1본마다 로프소켓에 바빗트 채움을 하거나 체결식 로프 소켓을 사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4. 카 1대에 대하여 3본(권동식의 경우 2본)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률: 70%)
  • "주로프의 안전율이 10 이상이 되도록 여러 가닥의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직경은 8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닌가요?

    하지만 정답으로 주어진 "직경은 항상 공칭지름 12mm이상이어야 한다."는 맞습니다. 이는 로프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직경이 작을수록 로프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와 같은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장비에서는 반드시 12mm 이상의 직경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압기 용량 산정시 인버터 엘리베이터의 경우 실효(RMS)전류는 ?

  1. 무부하 상승전류의 40%
  2. 전부하 상승전류의 50%
  3. 무부하 상승전류이 60%
  4. 전부하 상승전류의 70%
(정답률: 66%)
  • 인버터 엘리베이터는 모터 구동 방식이 AC 모터에서 DC 모터로 바뀌면서, 인버터를 통해 변환된 전류가 모터에 공급됩니다. 이 때, 인버터는 변압기와 달리 주파수를 변환하면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버터 엘리베이터의 경우 변압기 용량 산정시 무부하 상승전류보다는 전부하 상승전류가 더 중요합니다. 이는 인버터가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가 무부하 상태보다는 전체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더 많은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부하 상승전류의 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적재하중이 1600kg이고 정격속도가 240m/min인 엘리베이터의 피트 깊이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2m 이상
  2. 3.4m 이상
  3. 3.6m 이상
  4. 3.8m 이상
(정답률: 46%)
  • 적재하중이 1600kg인 엘리베이터는 대개 상업용이며, 이 경우 피트 깊이는 적어도 3.8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 규정에 따른 것으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승객과 물품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정격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더욱 높은 피트 깊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동기에서 GD2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어진 전압의 파형이 전류보다 앞서는 정도이다.
  2. 일정한 토크로 전동기를 가동시켰을 때 빨리 가동하는가 또는 늦게 가동하는가의 정도이다.
  3. 전동기의 출력이 회전수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정도이다.
  4. 전동기의 출력을 회전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54%)
  • GD2는 일정한 토크로 전동기를 가동시켰을 때 빨리 가동하는가 또는 늦게 가동하는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전압의 파형이나 전동기의 출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GD2는 전동기의 회전관성과 관련이 있으며, 회전관성이 클수록 GD2 값이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GD2 값이 작을수록 전동기의 가동성능이 좋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완충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프링 완충기에서 카측 완충기는 스프링간의 접촉된 부분이 없이 정하중 상태에서 카 자중의 2배를 견디어야 한다.
  2. 유입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의 속도로 충돌했을 때 평균감속도 1G이하로 정지시켜야 한다.
  3. 유입완충기에서 카측 완충기의 최소 적용용량은 카 자중이다.
  4. 유입 완충기의 플런저를 완전히 압축한 상태에서 완전 복귀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은 90초 이하로 한다.
(정답률: 55%)
  • 완충기는 충격이나 충돌로 인한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이나 기계 등을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 유입 완충기의 플런저를 완전히 압축한 상태에서 완전 복귀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90초 이하인 것은, 만약 충돌이 발생하여 완충기가 압축되었다면, 가능한 빨리 원래 상태로 돌아와야 다음 충돌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시간이 짧을수록 더 효과적인 보호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동기 기어레스 권상기를 설계하려고 한다. 주 도르래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형화가 가능하다.
  2. 주 로프의 지름이 작아질 수 있다.
  3. 회전수가 빨라진다.
  4. 브레이크 제동 토크가 커진다.
(정답률: 74%)
  • "회전수가 빨라진다."가 틀린 설명이다. 주 도르래의 직경이 작아질 경우, 동기 기어레스의 기어비가 커지게 되어 회전수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제동 토크가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전동기나 유압모터와 공기압 모터를 비교했을 때 일반적으로 공기압 모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과부하시의 위험성이 낮다.
  2.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기동, 정지, 역전 시에 쇼크의 발생 없이 자연스럽다.
  4. 부하에 따른 회전수 변동이 적어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55%)
  • "부하에 따른 회전수 변동이 적어 일정한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다."는 공기압 모터의 특징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특징이며, 이는 공기압 모터가 부하에 따라 회전수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특징은 전동기나 유압모터와 비교했을 때 거리가 먼 특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판 클러치에서 접촉면 안지름 50mm, 바깥지름 90mm이고 스러스트 하중 70N을 작용시킬 때 전달할 수 있는 토크는 몇 Nㆍmm인가? (단, 클러치 마찰면은 4개, 마찰계수는 μ=0.3이다.)

  1. 735
  2. 2,940
  3. 3,240
  4. 9,800
(정답률: 48%)
  • 접촉면 안지름이 50mm, 바깥지름이 90mm이므로, 클러치의 평균 반지름은 (50+90)/2 = 70mm이다.

    클러치의 마찰계수는 μ=0.3이므로, 스러스트 하중 70N에 대한 마찰력은 70 x 0.3 = 21N이다.

    따라서, 클러치가 전달할 수 있는 토크는 마찰력 21N에 평균 반지름 70mm을 곱한 값인 21 x 70 = 1,470Nㆍmm이다.

    하지만, 클러치 마찰면은 4개이므로, 전체 토크는 1,470 x 4 = 5,880Nㆍ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Nㆍmm이 아니라 단위가 Nㆍmm인 1,000으로 나눈 값이므로, 5,880/1,000 = 2.94이다.

    따라서, 정답은 "2,9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멍(축)의 허용한계치수의 해석에서 “통과측에는 모든 치수, 또는 결정량이 동시에 검사되고, 정지측에는 각 치수가 개개로 검사되어야 한다.”는 원리는?

  1. 아베(Abbe)의 원리
  2. 테일러(Taylor)의 원리
  3. 자콥스(Jacobs)의 원리
  4. 브라운 샤프(Brown sharp)의 원리
(정답률: 72%)
  • 이 원리는 테일러(Taylor)의 원리이다. 이는 구멍(축)의 허용한계치수를 검사할 때, 통과측에서는 모든 치수나 결정량이 동시에 검사되어야 하고, 정지측에서는 각 치수가 개별적으로 검사되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이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원리로, 테일러(Taylor)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다른 보기인 아베(Abbe)의 원리, 자콥스(Jacobs)의 원리, 브라운 샤프(Brown sharp)의 원리는 다른 측정 원리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탄소강에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합금원소로 고온에서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내부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소는?

  1. Cr
  2. Cu
  3. Mn
  4. Ni
(정답률: 73%)
  • Cr은 고온에서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내부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은 탄소강의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Cu, Mn, Ni는 모두 탄소강에 첨가되는 합금원소이지만, Cr만이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특화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강의 인장시험 결과 얻어진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시험편에 가해진 힘을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응력은?

  1. 진 응력
  2. 공칭 응력
  3. 변형 응력
  4. 탄성 응력
(정답률: 62%)
  • 정답: 공칭 응력

    공칭 응력은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되는 응력으로, 실제로는 시험편 내부에서는 응력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지만, 간단하게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연강의 인장시험 결과 얻어진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시험편에 가해진 힘을 시험편의 초기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응력은 공칭 응력이다. 다른 선택지인 진 응력, 변형 응력, 탄성 응력은 모두 시험편 내부에서 응력이 균일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응력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원심펌프에서 양수장치의 구성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흡입관
  2. 풋밸브
  3. 니들 밸브
  4. 게이트 밸브
(정답률: 58%)
  • 니들 밸브는 원심펌프에서 양수장치의 구성품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원심펌프의 양수장치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흡입관, 풋밸브, 게이트 밸브는 원심펌프의 양수장치에서 사용되는 구성품으로, 펌프의 작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레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베어링은?

  1. 니들 베어링
  2. 볼 베어링
  3. 자동조심 볼 베어링
  4. 테이퍼 롤러 베어링
(정답률: 76%)
  •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레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을 모두 받을 수 있는 베어링입니다. 이는 롤러의 모양이 원통형이 아닌 더욱 길쭉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 레디얼 하중을 받을 때는 롤러의 반지름 방향으로 하중을 받고, 스러스트 하중을 받을 때는 롤러의 축 방향으로 하중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레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베어링으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삭숫돌에서 인조입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산화알루미늄
  2. 탄화규소
  3. 탄화붕소
  4. 에머리(emery)
(정답률: 76%)
  • 에머리는 인조입자가 아니라 자연에서 발견되는 광물로, 연삭숫돌에서 사용되는 인조입자의 종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머리(eme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용접방법의 종류 중 전기저항 용접이 아닌 것은?

  1. 심 용접
  2. 점 용접
  3. 테르밋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률: 70%)
  • 테르밋 용접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화학 반응을 이용한 용접 방법으로, 금속을 녹여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기저항 용접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절삭 가공 방식 중에서 절삭공구가 회전하지 않는 공작기계는?

  1. 선반
  2. 밀링 머신
  3. 호빙 머신
  4. 드릴링 머신
(정답률: 75%)
  • 선반은 회전하는 작업물을 고정하고, 절삭공구를 회전시켜 절삭 가공을 하는 공작기계입니다. 따라서 절삭공구가 회전하지 않는 방식의 절삭 가공은 선반에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펌프를 터보형과 용적형으로 구분했을 때 용적형의 회전식펌프에 속하는 것은?

  1. 기어 펌프
  2. 사류 펌프
  3. 플런저 펌프
  4. 피스톤 펌프
(정답률: 73%)
  • 용적형 회전식펌프에는 기어 펌프, 사류 펌프, 플런저 펌프, 피스톤 펌프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기어 펌프는 회전하는 기어의 간극 사이로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기어 펌프는 용적형 회전식펌프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탄소강의 청열취성(靑熱脆性)을 일으키는 온도범위는?

  1. 100~150℃
  2. 200~300℃
  3. 400~500℃
  4. 600~700℃
(정답률: 70%)
  • 탄소강의 청열취성은 200~300℃ 범위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이 온도 범위에서 탄소강 내부의 탄소가 크게 확산되어 결정 구조가 변화하고, 그 결과로 인해 강도가 감소하고 파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온도 범위에서는 탄소강의 사용이 제한되며, 높은 온도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축간거리가 5m, 풀리 지름이 d1=150mm, d2=450인 평행걸기를 하였다면 벨트의 길이는 약 몇 cm인가?

  1. 905
  2. 1095
  3. 1905
  4. 2195
(정답률: 58%)
  •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축간거리가 5m이므로, 벨트의 길이는 두 축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인 5m에 벨트의 평행면에서의 길이를 더한 값이다.

    풀리 지름이 d1=150mm, d2=450이므로, 평행걸기를 하면 벨트의 평행면에서의 길이는 (d1 + d2)π/2 = (150+450)π/2 = 300π mm 이다.

    따라서, 벨트의 길이는 5m + 300π mm 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1095 cm 이므로, 정답은 "10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제게르 콘(Seger cone)은 주조용 주물사(鑄物砂)의 어떤 시험에 사용하는가?

  1. 내화도 시험
  2. 성형성 시험
  3. 입도 시험
  4. 압축 시험
(정답률: 68%)
  • 제게르 콘은 내화도 시험에 사용됩니다. 이는 제게르 콘으로 만든 모양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내화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성형성, 입도, 압축 시험과 관련된 것들이며, 내화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름이 500mm인 배관 속을 평균속도 1.8m/s로 물이 흐를 때 관의 길이가 60m이면 배관의 손실수두는 약 몇m인가? (단, 관 마찰계수(f)는 0.02이다.)

  1. 0.099
  2. 0.198
  3. 0.397
  4. 0.793
(정답률: 45%)
  • 먼저, 배관의 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손실수두 = (f × (L/D) × (V^2/2g))

    여기서, L은 배관의 길이, D는 배관의 지름, V는 물의 속도, g는 중력가속도, f는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손실수두 = (0.02 × (60/0.5) × (1.8^2/2×9.81)) = 0.397m

    따라서, 정답은 "0.39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장강도가 200N/m2인 연강봉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최대허용응력은 몇 Pa인가? (단, 봉의 안전율은 4로 한다.)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76%)
  • 최대허용응력 = 인장강도 / 안전율 = 200N/m2 / 4 = 50N/m2 = 50Pa

    안전율은 재료의 강도와 사용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값으로, 실제 응력이 최대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인장강도를 안전율로 나누어 최대허용응력을 구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숏 피닝(shot peening)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간 가공법의 일종이다.
  2. 피로강도가 향상된다.
  3. 모래를 분사하여 표면가공을 한다.
  4.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매끈하게 한다.
(정답률: 66%)
  • "모래를 분사하여 표면가공을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숏 피닝 작업에서는 강철 구슬이나 유리 구슬 등의 미세한 입자를 고속으로 표면에 충돌시켜 표면을 가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피로강도를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압 펌프의 종류 중 비용적형 펌프의 종류에 속하는 것은?

  1. 기어 펌프
  2. 베인 펌프
  3. 터빈 펌프
  4. 왕복동 펌프
(정답률: 61%)
  • 터빈 펌프는 비용적형 펌프의 종류 중 하나이다. 이는 기어 펌프나 베인 펌프와 달리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터빈 펌프는 높은 유량과 낮은 압력을 처리하는 데 효과적이며, 물을 이용한 발전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평기어에서 피치원 지름 100mm, 기어 잇수가 20개일 때 원주피치는 약 얼마인가?

  1. 5mm
  2. 6.2mm
  3. 7.9mm
  4. 15.7mm
(정답률: 56%)
  • 원주피치는 한 바퀴 돌 때 기어 이빨이 이동하는 거리를 말한다. 평기어에서 원주피치는 모듈(m) x π 이므로, 피치원 지름이 100mm 이고 기어 잇수가 20개이므로 모듈은 5mm 이다. 따라서 원주피치는 5mm x π = 약 15.7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알루미늄-규소계 합금으로 실루민에 구리, 마그네슘, 니켈을 소량 첨가한 것으로 내열성이 좋고 열팽창 계수가 작은 금속은?

  1. 라우탈(Lautal)
  2. 로엑스(Lo-ex)
  3. 알팩스(alpax)
  4. 단련용 Y합금
(정답률: 73%)
  • 로엑스는 알루미늄-규소계 합금에 구리, 마그네슘, 니켈을 소량 첨가하여 만든 금속으로, 내열성이 좋고 열팽창 계수가 작아서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항공기, 자동차, 선박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고 자동제어의 기본회로를 형성하는 제어는?

  1. 시퀀스제어
  2. 피드백제어
  3. 온ㆍ오프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67%)
  • 피드백제어는 제어 대상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제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 대상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원하는 목표값에 도달할 때까지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고 자동제어의 기본회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드백제어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00V용 전구로 30W와 60W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하고 직류 100V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두 전구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30W가 더 밝다.
  2. 60W가 더 밝다.
  3. 두 전구가 모두 켜지지 않는 다.
  4. 두 전구의 밝기가 모두 같다.
(정답률: 79%)
  • 정답: "60W가 더 밝다."

    이유: 직렬 연결된 전구는 전류가 같으므로 저항이 큰 전구인 60W 전구가 더 많은 전압을 받아 밝기가 높아진다. 따라서 60W 전구가 더 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의 블록 선도에서 C(s)/R(s)를 구하면?

(정답률: 73%)
  • C(s)/R(s)는 전달함수를 의미하며, 이는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그림에서 C(s)는 출력신호, R(s)는 입력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C(s)/R(s)는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나눈 값이 됩니다. 그림에서는 R(s)가 전압이고, C(s)가 전류이므로 C(s)/R(s)는 전류와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 비율은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저항값을 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직류전동기를 속도제어 하고자 할 때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정류장치
  2. 초퍼
  3. 속도센서
  4. 인버터
(정답률: 60%)
  • 인버터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지만, 다른 보기들인 정류장치, 초퍼, 속도센서는 직류전동기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장치들이다. 따라서 인버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변압기에 대한 다음의 관계식 중 틀린 것은?

  1. 전압변동율=
  2. 부하손=저항손+표유부하손
  3. 전일효율=
  4. 규약효율=
(정답률: 73%)
  • 정답은 "전일효율= " 이다.

    전압변동율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부하손은 저항손과 표유부하손의 합으로 나타내는 것이 맞다.

    규약효율은 변압기의 효율을 규정하는 규격에 따라 측정한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전일효율은 일일 변압기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압기의 사용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틀린 관계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가된 직류전압을 변화시켜서 전동기 회전수를 1000rpm으로 하고자 한다. 이 경우 회전수는 어느 용어에 해당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제어량
  2. 조작량
  3. 목표값
  4. 제어대상
(정답률: 41%)
  • 회전수는 "제어대상"에 해당한다. 인가된 직류전압을 조작하여 회전수를 원하는 값인 1000rpm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대상"이어야 한다. "조작량"은 제어량을 조작하여 제어대상을 조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이 문제에서는 인가된 직류전압이 조작량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PNPN 접합구조이다.
  2. 전력용 트랜지스터에 비해 고전압에서 우수하다.
  3.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4. 전력제어용으로도 사용된다.
(정답률: 76%)
  • 쌍방향성 사이리스터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이지만,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는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이기 때문에 "쌍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가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권선과 보조권선 중 어느 한쪽의 접속을 전원에 대하여 반대로 접속하여 회전방향을 바꾸는 전동기는 ?

  1. 반발기동형전동기
  2. 분상기동형전동기
  3. 콘덴서기동형전동기
  4. 셰이딩코일형전동기
(정답률: 53%)
  • 주권선과 보조권선 중 어느 한쪽의 접속을 전원에 대하여 반대로 접속하여 회전방향을 바꾸는 전동기는 분상기동형전동기입니다. 이는 전동기 내부에 분상기라는 부품이 있어서 전원의 교류 주파수와 분상기의 용량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의 교류 주파수와 분상기의 용량을 조절하여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떤 전지에 5A의 전류가 10분간 흘렀다면 이 전지에서 나온 전기량은 몇 [C]인가?

  1. 1000
  2. 2000
  3. 3000
  4. 4000
(정답률: 71%)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류 5A와 시간 10분을 곱해주면 됩니다.

    전기량 = 전류 x 시간

    전기량 = 5A x 10분

    전기량 = 50C

    따라서, 이 전지에서 나온 전기량은 50C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000"이 아니라 "50"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축전지의 용량은 어떤 단위로 나타내는가?

  1. A
  2. Ah
  3. V
  4. kW
(정답률: 73%)
  • 축전지의 용량은 전기량을 나타내는 단위인 암페어-시간(Ah)으로 나타낸다. 이는 축전지가 1시간 동안 1암페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Ah는 축전지의 용량을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단위이다. "A"는 전류의 단위, "V"는 전압의 단위, "kW"는 전력의 단위이므로 축전지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상차가 45°이고 단상 220V의 교류전압을 인가했더니 20A의 전류가 흘렀다면 소비전력은 약 몇 kW인가?

  1. 10.7
  2. 6.6
  3. 5.6
  4. 3.1
(정답률: 50%)
  • 위상차가 45°이므로, 유효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cos(45°)를 곱한 값이다. cos(45°)는 √2/2 이므로, 유효전력은 220V x 20A x √2/2 = 6.6kW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묻는 것은 소비전력이므로, 유효전력에 역률을 곱한 값이다. 역률은 cos(45°)와 같으므로, 소비전력은 6.6kW x cos(45°) = 3.1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압을 인가하여 전동기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 교류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는?

  1. 훅 온 미터(클램프 메타)
  2. 회로시험기
  3. 절연저항계
  4. 어스 테스터
(정답률: 72%)
  • 전동기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전기선을 직접 접촉하여 전류를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기선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진 훅 온 미터(클램프 메타)를 사용합니다. 이 계기는 전기선 주변을 감싸는 코일을 이용하여 전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선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응답속도가 빨라야 하는 것이 특징이며, 정전압장치나 발전기 및 조속기의 제어 등에 활용하는 제어방법은?

  1. 서보 제어
  2. 프로세스 제어
  3. 자동조정 제어
  4. 비율 제어
(정답률: 62%)
  • 자동조정 제어는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양을 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 응답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정전압장치나 발전기 및 조속기의 제어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PI 동작의 전달함수는? (단, KP는 비례감도이다.)

  1. KP
  2. KPsT
  3. K(1+sT)
(정답률: 76%)
  • PI 동작의 전달함수는 KP(1 + sT/i)이다. 이는 PI 제어기의 출력이 비례상수 KP와 적분상수 T/i를 곱한 후, 현재 오차와 적분된 오차의 합에 대한 라플라스 변환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PI 제어기의 출력은 현재 오차와 적분된 오차의 합에 비례하며, 적분된 오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PI 제어기의 출력이 증가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I 제어기는 시스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는 PI 제어기의 출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R-L-C 직렬회로에서 전압(E)과 전류(I)사이의 관계가 잘못 설명된 것은?

  1. XL > XC인 경우 I는 E보다 θ만큼 뒤진다.
  2. XL < XC인 경우 I는 E보다 θ만큼 앞선다.
  3. XL = XC인 경우 I는 E와 동상이다.
  4. XL < (XC-R)인 경우 I는 E보다 θ만큼 뒤진다.
(정답률: 69%)
  • XL < (XC-R)인 경우 I는 E보다 θ만큼 뒤진다. 이유는 XL < (XC-R)이면, 즉 용량성 리액턴스(XC)에서 저항(R)을 뺀 값이 인덕턴스성 리액턴스(XL)보다 크면, 전류(I)는 전압(E)보다 늦게 따라오게 되어 θ만큼 뒤진다. 이는 전류(I)가 용량성 리액턴스(XC)에서 먼저 증가하고, 인덕턴스성 리액턴스(XL)에서 증가하는데, 용량성 리액턴스(XC)에서 증가한 전류(I)가 인덕턴스성 리액턴스(XL)에서 증가하는 전류(I)보다 더 빠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동일한 도선에 온도 차가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열이 흡수, 발산되는 현상은?

  1. 불타의 법칙
  2. 제백 효과
  3. 톰슨 효과
  4. 펠티에 효과
(정답률: 56%)
  • 정답은 "톰슨 효과"입니다.

    톰슨 효과는 동일한 도선에 온도 차가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전자가 열에 의해 흡수, 발산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전자의 열 운동에 의해 전자가 도선의 양 끝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도선의 온도를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동제어계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요소의 신호가 어떠한 모양으로 전달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1. 타임챠트
  2. 논리회로
  3. 전개접속도
  4. 블록선도
(정답률: 72%)
  • 자동제어계에서 각 요소들은 입력과 출력 신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호들의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 블록선도이다. 블록선도는 각 요소들이 어떤 입력을 받아 어떤 출력을 내보내는지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자동제어계의 설계 및 분석에 있어서 블록선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파수 응답에 필요한 입력은?

  1. 계단 입력
  2. 임펄스 입력
  3. 램프 입력
  4. 정현파 입력
(정답률: 75%)
  • 주파수 응답은 시스템이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시스템에 주파수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 때, 정현파 입력은 주파수가 일정한 파형을 가지므로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현파 입력이 주파수 응답에 필요한 입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a)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회로에서 입력전압 V1과 출력전압 V0의 관계를 그림(b)의 신호흐름선도로 나타낼 때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문제 오류로 그림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에 그림 등록 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67%)
  • 입력전압 V1은 전압분배 법칙에 따라 R1과 R2에 각각 V1/2의 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전압 V0은 V1/2의 전압이 R3을 통해 전달되므로 전달함수는 V0/V1=1/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의 특성 방정식의 근은?

  1. 2. 3
  2. -2, -3
  3. 2, -3
  4. -2, 3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에서 특성 방정식의 근은 x축과의 교점이므로, x=-2와 x=-3이다. 따라서 정답은 "-2,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