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승강기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승강기 개론

1. 로프식(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력 등 미끄러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로프가 감기는 각도
  2. 권상기 기어의 감속비
  3. 케이지의 가속도와 감속도
  4. 케이지측과 균형추쪽의 로프에 걸리는 중량비
(정답률: 77%)
  •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력, 미끄러짐은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안전성과 원활한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러나 권상기 기어의 감속비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속도 조절에 관련된 요소입니다. 권상기 기어의 감속비가 높을수록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안전하고 원활한 운행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권상기 기어의 감속비는 로프와 도르래 사이의 마찰력, 미끄러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로핑 방법 중 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가장 적은 것은?

  1. 1:1
  2. 2:1
  3. 31
  4. 4:1
(정답률: 81%)
  • 로핑 방법 중 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가장 적은 것은 4:1이다. 이는 로프를 4번 돌리면 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1만큼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로핑 방법들보다 로프에 걸리는 장력이 적어 더 효율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간접유압식 엘리베이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적다.
  2.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다.
  3.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보호관이 필요하지 않다.
  4. 실린더의 점검이 용이하다.
(정답률: 63%)
  • 간접유압식 엘리베이터의 특징 중 "비상정지장치가 필요하다.",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보호관이 필요하지 않다.", "실린더의 점검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맞습니다. 하지만 "부하에 의한 카 바닥의 빠짐이 적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간접유압식 엘리베이터도 부하에 따라 카 바닥이 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때 전동발전기의 계자를 제어하여 권상전동기를 제어하는 방식은?

  1. 워드레오나드방식
  2. 정지레오나드방식
  3. 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방식
  4. 교류귀환제어방식
(정답률: 69%)
  • 워드레오나드방식은 전동발전기의 계자를 제어하여 권상전동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전동발전기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권상전동기의 속도를 조절하여 엘리베이터를 움직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엘리베이터의 부하에 따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건물의 높이가 60m 이하인 경우 설계용 수평진도는?

  1. 지역계수와 설계용 수평진도의 곱이다.
  2. 지역계수와 설계용 표준진도의 곱이다.
  3. 설계용 수평지진력과 기기중량의 곱이다.
  4. 설계용 수직지진력과 기기중량의 곱이다.
(정답률: 63%)
  • 건물의 높이가 60m 이하인 경우에는 지진의 파장이 건물의 높이보다 짧아서 건물의 상부와 하부의 지진반응이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반의 지진가속도와 건물의 진동특성이 거의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설계용 수평진도는 지역계수와 설계용 표준진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즉, 지반의 지진가속도와 건물의 진동특성을 고려하여 설계용 표준진도를 결정하고, 이에 지역계수를 곱하여 건물의 설계용 수평진도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진 발생 시 엘리베이터의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로프는 도르래의 축 방향에 횡 이동하여야만 한다.
  2. 홈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로프가 들어가는 후리트 앵글을 작게 하여야 한다.
  3. 무기어식 권상기에서는 홈의 깊이를 크게 하여야 한다.
  4. 홈의 피치는 가능한 한 작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무기어식 권상기에서는 홈의 깊이를 크게 하여야 한다."가 틀린 이유는, 실제로는 무기어식 권상기에서는 홈의 깊이를 작게 해야 한다. 이는 로프가 권상기의 기어와 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 설계시 최소행정으로 옳은 것은?

  1.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이상이어야 한다.
  2.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이상이어야 한다.
  3.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4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이상이어야 한다.
  4.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2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4배 이상으로서 최소 85mm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선형 특성을 갖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충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충기의 행정은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과 함께 충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거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완충기의 행정은 정격속도의 115%에 상응하는 중력 정지거리의 2배 이상으로서 최소 65mm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과 충격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거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량제어밸브상식의 유압식 승강기에서 일반적으로 착상 속도는 정격속도의 몇 % 정도인가?

  1. 1~5
  2. 10~20
  3. 30~40
  4. 20~60
(정답률: 70%)
  • 일반적으로 유압식 승강기의 착상 속도는 정격속도의 10~20% 정도이다. 이는 승강기 안전을 위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빠른 속도로 착상하면 승강기 안에서 사람이나 물건이 넘어질 수 있으며, 느린 속도로 착상하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0~20%의 속도로 착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정격하중이 300kg 이하이고 정격속도가 1m/s 이하인 것은?

  1. 자동차용엘리베이터
  2. 에스컬레이터
  3. 무빙워크
  4. 덤웨이터
(정답률: 79%)
  • 정격하중이 300kg 이하이고 정격속도가 1m/s 이하인 것은 작은 물건이나 사람이 탈 수 있는 엘리베이터이다. 그 중에서도 덤웨이터는 작은 규모의 건물이나 상가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제적인 엘리베이터로, 출입문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속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덤웨이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승강장 도어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중앙개폐 방식
  2. 측면개폐 방식
  3. 좌우개폐 방식
  4. 상승개폐 방식
(정답률: 62%)
  • 승강장 도어방식 중에서 "좌우개폐 방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승강장 도어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카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될 때 부하가 없거나 부하가 균일하게 분포된 카 바닥은 정상적인 위치에서 몇 %를 초과하여 기울어지지 않아야 하는가?

  1. 2
  2. 3
  3. 5
  4. 6
(정답률: 78%)
  • 카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될 때 부하가 없거나 부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을 때, 카 바닥이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안전을 위한 것으로, 카 바닥이 기울어지면 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고, 카가 불안정해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카 바닥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몇 %를 초과하여 기울어지지 않아야 하는데, 이 기준은 일반적으로 5% 이하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브레이크는 카가 정격속도로 정격하중의 몇 %를 싣고 하강방향으로 운행될 때 구동기를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

  1. 110
  2. 125
  3. 130
  4. 150
(정답률: 80%)
  •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브레이크는 카가 정격속도로 정격하중의 125%를 싣고 하강방향으로 운행될 때 구동기를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기준으로,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멈추는 상황을 대비하여 브레이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때 레일 브라켓(Rail Bracket)의 간격을 작게 하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응력도 및 휨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1.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작아진다.
  2. 응력도와 휨도가 모두 커진다.
  3. 응력도는 커지고 휨도는 작아진다.
  4. 응력도는 작아지고 휨도는 커진다.
(정답률: 63%)
  • 레일 브라켓 간격이 작아지면, 가이드 레일이 받는 하중이 더 많은 브라켓으로 분산되므로 각 브라켓에 가해지는 응력과 휨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응력도와 휨도 모두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제동기에서 전자-기계 브레이크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가 정격속도로 정격하중의 125%를 싣고 하강방향으로 운행될 때 구동기를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드럼 등의 제동 작용에 관여하는 브레이크의 모든 기계적 부품은 2세트로 설치되어야 한다.
  3. 솔레노이드 플런저는 기계적인 부품으로 간주되지만 솔레노이드 코일은 그렇지 않다.
  4. 브레이크 라이닝은 반드시 불연성일 필요는 없다.
(정답률: 74%)
  • "브레이크 라이닝은 반드시 불연성일 필요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엘리베이터 제동기에서 사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은 불연성이어야 한다. 이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찰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불연성이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구동방식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식(로프식) 엘리베이터
  2. 무기어식 엘리베이터
  3. 유압식 엘리베이터
  4. 랙ㆍ피니언식 엘리베이터
(정답률: 59%)
  • 무기어식 엘리베이터는 구동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엘리베이터의 기계적인 구조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무기어식 엘리베이터는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와 직접 연결된 드럼을 회전시켜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구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내화구조
  2. 방화구조
  3. 준불연재료 이상
  4. 견고한 목재
(정답률: 77%)
  • 견고한 목재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타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구조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관이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문이 닫힌 이후부터 몇 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하여야 되는가? (단, 운행속도는 1m/s 이상이어야 한다.)

  1. 10
  2. 20
  3. 30
  4. 60
(정답률: 77%)
  •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관이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문이 닫힌 이후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해야 합니다. 이유는 운행속도가 1m/s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0초 동안 최대 60m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만약 60초 이내에 가장 먼 층에 도착하지 않으면, 인명구조 작업 등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교류 2단 속도 제어방식에서 크리프 시간이란 무엇인가?

  1. 저속 주행 시간
  2. 고속 주행 시간
  3. 속도 변환 시간
  4. 가속 및 감속 시간
(정답률: 74%)
  • 크리프 시간은 교류 2단 속도 제어방식에서 모터가 저속으로 움직이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터가 부드럽게 가동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모터가 고속으로 바로 움직이는 것보다 안정적인 가동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저속 주행 시간"이 정답입니다. "고속 주행 시간"은 반대 개념이며, "속도 변환 시간"과 "가속 및 감속 시간"은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상용압력의 125% 이상의 압력에서 밸브를 열어 탱크에 기름을 되돌려 압력상승을 방지하는 유압회로의 압력 조정 밸브는?

  1. 스톱 밸브
  2. 체크 밸브
  3. 안전 밸브
  4. 럽처 밸브
(정답률: 64%)
  • 압력 조정 밸브는 상용압력의 125% 이상의 압력에서 밸브를 열어 탱크에 기름을 되돌려 압력상승을 방지하는데, 이때 안전 밸브는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열어 압력을 안전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전 밸브가 정답입니다. 스톱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체크 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럽처 밸브는 정해진 압력을 초과할 경우 유체를 방출시켜 압력을 안전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소형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 몇 m/s 이하여야 하는가?

  1. 0.15
  2. 0.25
  3. 0.35
  4. 0.45
(정답률: 59%)
  • 소형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낮은 층을 이동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정격속도가 0.25m/s 이하입니다. 이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높은 속도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는 갑작스러운 정지나 충격으로 인해 승객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형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작은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높은 속도로 움직이면 승객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형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 0.25m/s 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승강기 설계

21.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에 착상의 정확도가 몇 mm 이상 초과될 경우에 착상보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37%)
  •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에는 선박의 무게중심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착상의 정확도가 일정 수준 이상 초과될 경우에는 착상보정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때, 보통의 기준은 20mm 이상 초과될 경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엘리베이터 승강로 비상문의 크기는 어느 정도로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폭 : 0.45m이상, 높이 : 1.2m이상
  2. 폭 : 0.45m이상, 높이 : 1.8m이상
  3. 폭 : 0.35m이상, 높이 : 1.2m이상
  4. 폭 : 0.35m이상, 높이 : 1.8m이상
(정답률: 68%)
  • 엘리베이터 승강로 비상문은 대량의 인원이 급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폭과 높이가 필요합니다. 폭이 0.35m 이상이어야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으며, 높이가 1.8m 이상이어야 대다수의 인원이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명안전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폭 : 0.35m이상, 높이 : 1.8m이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카의 자중이 1020kg, 적재하중이 900kg, 정격속도가 60m/min 인 전기식 승강기의 피트 바닥강도는 몇 N이상이어야 하는가?

  1. 65341
  2. 75341
  3. 85243
  4. 97953
(정답률: 49%)
  • 승강기의 피트 바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트 바닥강도 = (카의 자중 + 적재하중) × 9.8 ÷ (정격속도 × 6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피트 바닥강도 = (1020kg + 900kg) × 9.8 ÷ (60m/min × 60s/min)
    = 1926N/m²

    따라서, 정답은 "75341"이 아닌 "19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엘리베이터의 전원설비 및 전기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전반, 주개폐기는 원칙적으로 기계실 출입문에서 가능한 멀리 설치한다.
  2. 엘리베이터와 관계없는 전기시설을 기계실에 두어서는 안된다.
  3. 제어반에 대한 지진대책은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4. 비상용엘리베이터가 비상용으로 쓰일 때는 다른 엘리베이터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2%)
  • "수전반, 주개폐기는 원칙적으로 기계실 출입문에서 가능한 멀리 설치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만약 기계실 출입문 근처에 수전반이나 주개폐기가 위치하면, 비상시에 출입문이 막혀서 전기를 차단할 수 없게 되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멀리 설치하여 출입문이 막혀도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조속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롤 세프티형
  2. 디스크형
  3. 세프티 디바이스형
  4. 플라이 볼형
(정답률: 67%)
  • 세프티 디바이스형은 조속기가 아니라 안전장치로 분류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른 종류의 조속기들은 모두 심정지 등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응급처치 장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비상용 승강기의 예비전원 사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전 시 60초 이내에 승강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시켜야 한다.
  2. 1시간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3. 전원공급이 다시 안정될 때 엘리베이터가 운행될 수 있어야 한다.
  4. 타 용도의 급전과 무고나하게 비상용 승강기를 운전시킬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정답률: 69%)
  • "1시간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이 없다.

    정전 시 60초 이내에 승강기 운행에 필요한 전력용량을 자동적으로 발생시켜야 하는 이유는 승강기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급격한 정전으로 인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승강기가 가능한 빠르게 작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예비전원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어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동력전달이 불확실하다.
  2.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3. 호환성이 낮다.
  4.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8%)
  • 기어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어의 톱니와 톱니사이의 맞물림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어를 이용한 동력전달은 정확한 회전운동을 필요로 하는 기계나 장치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엘리베이터에 사용하는 T형 24K 가이드 레일 1본의 무게는 약 몇 kg인가?

  1. 24
  2. 62
  3. 80
  4. 120
(정답률: 62%)
  • 정답은 "120"이다. 이유는 T형 24K 가이드 레일 1본의 무게가 약 120kg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현상이 아닌 것은?

  1. 주자속이 증가한다.
  2. 발전기에서는 기전력이 저하한다.
  3. 전기자 중성점이 이동한다.
  4. 보상권선은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한다.
(정답률: 46%)
  • 주자속이 증가하는 것은 직류 전동기에서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힘에 의해 전기자가 회전하는 현상이다. 이는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현상 중 하나이다. 하지만 발전기에서는 기전력이 저하하고 전기자 중성점이 이동하며 보상권선은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현상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200형(디딤판 폭 1m)이고 충고가 4.5m이며, 경사각이 30° 인 에스컬레이터의 디딤판체인 스프로켓(sprocket) 반지름이 462mm, 구동체인 스프로켓 반지름이 540mm, 체인의 보정파단력이 11300kg 일 때 구동체인의 안전율은 약 얼마인가?

  1. 7.2
  2. 10.4
  3. 9.2
  4. 12.6
(정답률: 22%)
  • 구동체인의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안전율 = 보정파단력 / (체인 중량 × 가속도 × 반지름)

    체인 중량은 디딤판 폭 1m 당 중량인 47.5kg/m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속도는 중력가속도인 9.81m/s^2으로 계산할 수 있다.

    구동체인의 반지름은 540mm이므로 0.54m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율 = 11300 / (47.5 × 9.81 × 0.54) = 12.6

    따라서 정답은 "1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에스컬레이터의 배열 중 설치면적이 적고 쇼핑객의 시야를 트이게 하는 배열방식은?

  1. 단열승계형
  2. 단열겹침형
  3. 복열승계형
  4. 교차승계형
(정답률: 49%)
  • 단열겹침형 배열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텝 사이에 단열재를 겹쳐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면적이 적고 쇼핑객의 시야를 트이게 해서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칭속도가 0.5m/s인 무부하상태의 무빙워크 및 수평 또는 하강방향으로 움직이는 제동부하상태의 무빙워크에 대한 정지거리는?

  1. 0.5m~1.7m
  2. 0.4m~1.5m
  3. 0.3m~1.3m
  4. 0.2m~1m
(정답률: 61%)
  • 정지거리는 무빙워크의 공칭속도와 제동부하의 움직임 방향 및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공칭속도가 0.5m/s인 무부하상태의 무빙워크의 경우, 정지거리는 일반적으로 0.2m에서 1m 사이이다. 이는 제동부하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정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평 또는 하강방향으로 움직이는 제동부하상태의 무빙워크의 경우, 정지거리는 보다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지거리는 0.2m에서 1m 사이일 수 있으며, 이는 무빙워크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엘리베이터용 제어반의 특별 제3종 접지공사에 대한 접지저항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55%)
  • 이 문제는 출제자의 오류로 인해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해설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엘리베이터 도어머신의 설계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

  1. 동작회수가 엘리베이터 기동회수의 2배이므로 보수가 용이하여야 한다.
  2. 주행 중에는 전동기가 토크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다.
  3. 정전시 구출을 위하여 도어를 손으로 열 수 있어야 한다.
  4. 도어 행정의 절반까지는 도어를 가속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도어를 감속시킨다.
(정답률: 57%)
  • 주행 중에는 전동기가 토크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엘리베이터는 주행 중에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전동기가 계속해서 토크를 발생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C 전자브레이크와 DC 전자브레이크를 비교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AC 브레이크는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대시포트를 사용한다.
  2. DC 브레이크는 코일에 직렬로 다이오드를 접속해서 원활한 작동을 한다.
  3. AC 브레이크의 자석은 적층 코어이다.
  4. DC 브레이크는 고형 코어이므로 구조는 간단하다.
(정답률: 42%)
  • 정답은 "AC 브레이크는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대시포트를 사용한다."이다. AC 전자브레이크는 대시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동이 가능하다. DC 전자브레이크는 코일에 직렬로 다이오드를 접속하여 역전압 발생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에스컬레이터의 적재하중을 구하는 식은? (단, P : 적재하중[kg], A : 스텝면의 투영면적[m2]이다.)

  1. P = 170ㆍA
  2. P = 200ㆍA
  3. P = 270ㆍA
  4. P = 300ㆍA
(정답률: 69%)
  • 에스컬레이터의 적재하중은 스텝면의 투영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스텝면의 투영면적이 클수록 적재하중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재하중을 구하는 식은 P = 270ㆍA가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텝면의 투영면적과 적재하중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임의의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에스컬레이터의 배열 및 배치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열승계형으로 배열하면 애용객의 시야가 가려지지 않는다.
  2. 건물 출입구 가까이에 엘리베이터와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사람의 움직임이 많은 곳에 설치한다.
  4. 백화점의 경우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자수는 입점자수의 80~90%로 한다.
(정답률: 66%)
  • "건물 출입구 가까이에 엘리베이터와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건물 입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이용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어에 관련된 부품 및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어 클로저는 도어 머신의 구동장치이다.
  2. 도어 인터록은 승강장 도어의 열림을 방지한다.
  3. 도어 행거는 승강장 도어가 도어가이드 레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4. 승강장문 잠금장치의 도어잠금부품이 7mm 이사아 물리기 전에는 카가 출발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0%)
  • "도어 클로저는 도어 머신의 구동장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어 클로저는 도어를 자동으로 닫아주는 장치이다. 도어 머신은 도어를 열고 닫는 전기 또는 기계적인 장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미끄러짐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권부각
  2. 카의 가속도와 감속도
  3. 권상기 도르래 홈의 형상
  4. 전동기의 용량
(정답률: 69%)
  • 전동기의 용량은 엘리베이터의 미끄러짐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엘리베이터의 미끄러짐은 권부각, 카의 가속도와 감속도, 그리고 권상기 도르래 홈의 형상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피트 바닥은 전부하 상태의 카가 완충기에 작용하였을 때 완충기 지지대 아래에 부과되는 정하중의 몇 배를 지지할 수 잇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7%)
  • 정답은 "4"이다. 완충기는 엘리베이터가 갑작스럽게 멈출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최대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최대 하중은 1000kg 이며, 이에 대한 완충기의 지지능력은 4000kg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완충기 지지대 아래에 부과되는 정하중의 몇 배를 지지할 수 있는지를 계산하면 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일반기계공학

41. 그림과 같이 용접이음을 하였을 때 굽힙응력의 계산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L은 용접길이, t는 용접치수(용접판 두께), ℓ은 용접부에서 하중 작용선까지 거리, W는 작용하중이다.)

  1. 6Wℓ/tL
  2. 12Wℓ/tL
  3. 6Wℓ/t2L
  4. 12Wℓ/t2L
(정답률: 61%)
  • 용접이음에서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Mc/I

    여기서 M은 굽힘모멘트, c는 최대 극점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이다.

    이 문제에서는 용접이음이 직각삼각형 모양이므로, 최대 극점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 c는 t/2이다. 또한,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I는 다음과 같다.

    I = (t^3)/12

    따라서,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M(t/2))/((t^3)/12) = 6M/t^2

    여기서 M은 작용하중 W에 대한 모멘트이므로, M = Wℓ이다. 따라서,

    σ = 6Wℓ/t^2

    따라서, 정답은 "6Wℓ/t^2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삭숫돌의 결함과 수정에 관한 용어 중 숫돌입자의 표면이나 기공에 칩(chip)이 차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1. 로딩(loading)
  2. 트루잉(truing)
  3. 글레이징(glazing)
  4. 드레싱(dressing)
(정답률: 54%)
  • 로딩(loading)은 연삭숫돌의 숫돌입자 표면이나 기공에 연마재료가 끼어서 쌓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연마력이 감소하고 연마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1단 고정, 1단 지지의 외팔보가 길이 ℓ에 걸쳐 균일분포 하중(ω)을 받을 때 B 지점의 반력은 얼마인가?

(정답률: 66%)
  • 외팔보의 반력은 지지점에서의 반력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B 지점에서의 반력은 A 지점에서의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크기는 하중과 외팔보 길이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외팔보의 길이가 2ℓ이므로 B 지점에서의 반력은 하중의 절반인 ωℓ/2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구리와 30~40%의 납을 합금한 것으로 열전도가 양호하고, 마찰계수가 작아 고속 회전부의 베어링으로 쓰이는 것은?

  1. 켈밋(Kelmet)
  2. 포금(Gun metal)
  3. 알루미늄 청동
  4. 콜슨(Colson) 합금
(정답률: 64%)
  • 켈밋은 구리와 납을 합금한 것으로 열전도가 양호하고, 마찰계수가 작아 고속 회전부의 베어링으로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적합하지 않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금은 주로 조명기구나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알루미늄 청동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콜슨 합금은 내식성이 뛰어나서 해양 기기나 화학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하물(荷物)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에 하물 자중에 의한 제동작용을 이용하는 자동 하중 브레이크는?

  1. 웜 브레이크
  2. 원추 브레이크
  3. 원판 브레이크
  4. 블록 브레이크
(정답률: 56%)
  • 웜 브레이크는 하중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에 웜 기어를 이용하여 하중을 제동하는 방식의 브레이크이다. 따라서 하물 자중에 의한 제동작용을 이용하는 자동 하중 브레이크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나사 측정에서 삼침법이란 기본적으로 나사의 무엇을 측정하는 방법인가?

  1. 피치
  2. 외경
  3. 골지름
  4. 유효지름
(정답률: 52%)
  • 삼침법은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유효지름은 나사의 실제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외부 나사와 내부 나사의 간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삼침법을 이용하여 유효지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피치"는 나사의 나선 간격을 나타내는 값이며, "외경"은 나사의 외부 지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골지름"은 나사의 나선부에서 가장 넓은 지름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기압 회로에서 다수의 에어 실린더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때, 각 작동순서를 미리 정해두고 그 순서에 따라 움직이고 싶은 경우 사용하는 밸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기 벤트
  2. 언로딩 밸브
  3. 공기 리베터
  4. 시퀀스 밸브
(정답률: 71%)
  • 시퀀스 밸브는 다수의 액추에이터나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각 액추에이터나 실린더의 작동순서를 미리 설정할 수 있어서, 정해진 순서대로 작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다수의 액추에이터나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시퀀스 밸브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미끄럼 키와 같이 토크를 전달하는 동시에 축 방향의 이동도 할 수 있고, 토크를 수 개의 키로서 분담할 수 있어 자동차, 항공기 터빈 등의 속도 변환하는 축에 많이 사용되는 기계요소는?

  1. 코터
  2. 성크 키
  3. 스플라인
(정답률: 61%)
  • 스플라인은 축의 토크를 전달하는 동시에 축 방향의 이동도 가능하며, 수 개의 키로서 토크를 분담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항공기 터빈 등의 속도 변환하는 축에 많이 사용되는 기계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플라인"입니다. 핀, 코터, 성크 키는 모두 축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기계요소이지만, 축 방향의 이동은 불가능하며, 토크를 분담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체결용 기계요소 중 조립된 보스(boss)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것은?

  1. 원뿔 키
  2. 삼각형 세레이션
  3. 슬라이딩 키
  4. 인벌류우트 스플라인
(정답률: 50%)
  • 원뿔 키는 원뿔형의 구멍과 그에 맞는 원뿔형의 축을 연결하는 기계요소이다. 이때 원뿔 키는 원뿔형의 구멍과 축의 원뿔형 부분에 딱 맞게 들어가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원뿔 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응력의 종류를 수직응력, 접선응력, 조합응력으로 분류할 때 수직응력에 해당하는 것은?

  1. 전단응력
  2. 압축응력
  3. 굽힘응력
  4. 비틀림응력
(정답률: 54%)
  • 수직응력은 힘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압축응력은 힘이 물체를 수직 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응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축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초원지름 270mm, 잇수 54인 스퍼어 기어의 원주 피치는 약 얼마인가?

  1. 15.17mm
  2. 15.45mm
  3. 15.54mm
  4. 15.71mm
(정답률: 50%)
  • 스퍼어 기어의 원주 피치는 기초원지름에 잇수를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270mm / 54 = 5mm 입니다. 그러나, 스퍼어 기어는 20도 압력각을 가지므로, 원주 피치를 계산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20도 압력각을 가진 스퍼어 기어의 원주 피치는 기초원지름에 1.5708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270mm x 1.5708 = 424.11mm 입니다. 이 값을 잇수로 나눈 값이 원주 피치이므로, 424.11mm / 54 = 7.853mm 입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5.71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71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재 또는 공구를 양쪽 혹은 한쪽만 회전시켜 공구 표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소재에 각인하는 가공법은?

  1. 압연가공
  2. 전조가공
  3. 절단가공
  4. 프레스가공
(정답률: 59%)
  • 전조가공은 소재 또는 공구를 양쪽 혹은 한쪽만 회전시켜 공구 표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소재에 각인하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전조가공입니다. 압연가공은 소재를 압연하여 형상을 만드는 가공법, 절단가공은 소재를 자르는 가공법, 프레스가공은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소재를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체의 흐름을 급격히 막으면 급격한 압력상승으로 나타나 이것이 압력파로 되어 유체 속으로 전파되는 현상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서징(surging)
  2. 채터링(chattering)
  3. 베이퍼록(vapor lock)
  4. 캐비테이션(cavitation)
(정답률: 59%)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체의 흐름을 급격히 막으면서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압력파가 유체 속으로 전파되는 현상은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다. 따라서 정답은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아니라 "서징(surging)"이 됩니다. 서징은 유체가 급격하게 가속되거나 감속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체의 흐름이 불안정해지면서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름 베어링에 비교한 미끄럼 베어링의 장점인 것은?

  1. 충격하중에 강하고 설치가 쉽다.
  2. 일반적으로 기동마찰저항이 작다.
  3. 마찰계수의 변화가 작고 동력손실이 작다.
  4. 국제규격이 표준화 되어 있고 윤활방법이 편리하다.
(정답률: 44%)
  •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해 충격하중에 강하고 설치가 쉽습니다. 이는 미끄럼 베어링이 구름 베어링보다 더 많은 접촉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동마찰저항이 작아서 동력 손실이 적고, 마찰계수의 변화가 작아서 윤활이 쉽습니다. 또한, 국제규격이 표준화되어 있어서 윤활 방법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동 왕복펌프의 피스톤 지름이 20cm, 행정 30cm, 피스톤의 매분 왕복횟수가 80cm, 체적효율 92%일 때 펌프의 양수량은 약 몇 m3/min인가?

  1. 0.35
  2. 0.69
  3. 0.82
  4. 1.42
(정답률: 41%)
  • 펌프의 양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양수량 = 피스톤 지름2 × π × 행정 × 매분 왕복횟수 × 체적효율 / 4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양수량 = 202 × π × 30 × 80 × 0.92 / 4 ≈ 0.69 m3/min

    따라서 정답은 "0.6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열간 및 냉간 가공 후의 불균질한 조직과 결정 입자를 조정하기 위하여 A3 변태점 이상 가열 후 대기 중에서 공냉하여 균질하게 하는 열처리 방법은?

  1. 뜨임
  2. 담금질
  3. 불림
  4. 오스템퍼
(정답률: 43%)
  • 이 방법은 오스템퍼(또는 템퍼) 방법으로, A3 변태점 이상에서 가열하여 조직을 균질하게 만든 후, 대기 중에서 냉각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불림(annealing) 방법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방법은 결정 입자를 섬세하게 조정하여 높은 인성과 인장강도를 가진 강철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주물제품에서 크랙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물을 급랭시킬 때
  2. 쇳물 아궁이가 매우 작을 때
  3. 만나는 부분의 살 두께의 차이가 너무 클 때
  4. 구석이나 만나는 부분이 모지게 되어 있을 때
(정답률: 62%)
  • 쇳물 아궁이가 매우 작을 때는 주물이 충분히 응고되기 전에 급격한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크랙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틀림 모멘트를 받는 원형 단면축에 발생되는 최대전단응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축 지름이 증가하면 감소한다.
  2. 극단면계수가 감소하면 감소한다.
  3. 가해지는 토크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4. 단면의 극관성 모멘트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축 지름이 증가하면 감소한다."이다. 이유는 원형 단면축의 최대전단응력은 τmax = Tr/J로 계산되는데, 여기서 T는 가해지는 토크, r은 축의 반지름, J는 극관성 모멘트이다. 따라서 축 지름이 증가하면 r이 증가하므로 J가 증가하게 되어 최대전단응력 τmax는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사용재료의 최대응력과 항복응력 및 허용응력을 적용하여 일반적인 안전율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허용응력/항복응력
  2. 최대응력/항복응력
  3. 항복응력/허용응력
  4. 항복응력/최대응력
(정답률: 63%)
  • "항복응력/허용응력"이 가장 적합한 것이다. 이는 안전율을 고려하여 사용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응력인 항복응력과 허용응력을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항복응력은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응력이고, 허용응력은 재료가 일시적으로 견딜 수 있는 응력이다. 따라서 항복응력이 허용응력보다 작아야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율은 1.5~2.0 정도로 설정되며, 따라서 항복응력을 허용응력으로 나눈 값이 1.5~2.0보다 작아야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탄소함유량의 0.2~0.3% 탄소강을 급냉(수냉)하였을 때 실온에서의 조직으로 경도와 인장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펄라이트
  2. 베이나이트
  3. 솔바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57%)
  • 탄소함유량이 0.2~0.3%인 탄소강을 급냉(수냉)하면, 탄소가 고체상태로 유지되어 경도와 인장강도가 증가합니다. 이때, 탄소강의 조직 중에서 실온에서 가장 큰 경도와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은 마텐자이트입니다. 이는 급냉 과정에서 탄소가 고체상태로 유지되어 마르텐사이트라는 경도가 높은 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텐자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대칭 3상 교류에서 각 상간의 위상차는 몇 rad인가?

  1. π/2
  2. π/3
  3. π/6
  4. 2π/3
(정답률: 55%)
  • 대칭 3상 교류에서 각 상은 120도씩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라디안으로 환산하면 2π/3 rad이다. 따라서 정답은 "2π/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법 중 보통 10~15kW 정도 용량의 전동기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동전류가 전전압 기동전류의 1/3로 감소될 수 있는 기동법은?

  1. 전전압 기동법
  2. Y-△ 기동법
  3. 기동보상기에 의한 기동법
  4. 리액터 기동법
(정답률: 58%)
  • Y-△ 기동법은 세 개의 전위차가 있는 3상 전원을 사용하여 3상 모터를 기동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모터의 기동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Y-△ 기동법은 모터를 기동하기 전에 Y 연결로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 연결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터의 기동 전류가 전전압 기동전류의 1/3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10~15kW 정도 용량의 전동기에 사용되는 기동법 중 Y-△ 기동법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0V의 전압을 인가할 때 3A의 전류가 흐르는 부하에 25V의 전압을 가하면 몇 A의 전류가 흐르는가?

  1. 0.75
  2. 1.5
  3. 3.0
  4. 7.5
(정답률: 54%)
  • 오름오류가 있어서 10V에서 3A의 전류가 흐르는 부하의 저항을 구해야 합니다. 저항은 전압을 전류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은 10V / 3A = 3.33Ω 입니다.

    이제 25V의 전압을 가하면 전압과 저항으로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류는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는 25V / 3.33Ω = 7.5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계장치, 프로세스 및 시스템 등에서 제어되는 전체 또는 부분으로서 제어량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1. 제어장치
  2. 제어대상
  3. 조작장치
  4. 검출장치
(정답률: 46%)
  • 제어대상은 기계장치, 프로세스, 시스템 등에서 제어되는 전체 또는 부분으로서 제어량을 발생시키는 대상입니다. 제어장치는 이 제어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조작장치는 제어장치를 조작하는 장치, 검출장치는 제어대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제어대상은 제어장치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이므로 정답은 "제어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피드백 제어계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 회전속도 등 전기적 및 기계적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응답속도가 대단히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1. 서보기구
  2. 프로세스제어
  3. 자동조정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50%)
  • 자동조정은 피드백 제어계에서 전기적 및 기계적 양을 빠르게 제어하는 기능으로,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높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자동조정은 전압, 전류, 주파수, 회전속도 등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내부임피던스 Zg = A+jB[Ω]의 임피던스 선로를 연결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려고 한다. 부하임피던스 Zo[Ω]가 어떤 값이 될 때 최대전력이 전송되는가?

  1. (A+C)+j(B+D)
  2. (A+C)-j(B+D)
  3. (A+B)+j(C+D)
  4. (A+B)-j(C+D)
(정답률: 44%)
  • 최대전력이 전송되기 위해서는 전송선로의 내부임피던스와 부하임피던스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부하임피던스를 Zo = (A+C)-j(B+D)로 설정하면 내부임피던스와 부하임피던스가 일치하게 되어 최대전력이 전송된다. 이는 복소수 평면에서 내부임피던스와 부하임피던스가 동일한 점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정전용량이 같은 2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합성 정전용량은 직렬로 했을 때의 합성 정전용량의 몇 배인가?

  1. 1/2
  2. 2
  3. 4
  4. 8
(정답률: 51%)
  •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하가 나눠져서 각 콘덴서에 전하가 저장됩니다. 따라서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더해져서 합성 정전용량이 증가합니다. 병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 정전용량은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반면에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하가 흐르면서 각 콘덴서에 전하가 분배됩니다. 따라서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분배되어 전체 정전용량이 감소합니다. 직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 정전용량은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역수의 합의 역수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이 같은 2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합성 정전용량은 직렬로 했을 때의 합성 정전용량의 2배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은?

(정답률: 53%)
  • 이 논리회로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이면 출력이 0이 되고, 입력이 0이면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되고, 이 출력이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일반적으로 중저항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은?

  1. 500[Ω]~100[MΩ]의 저항
  2. 100[Ω]~100[MΩ]의 저항
  3. 1[Ω]~10[MΩ]의 저항
  4. 1[Ω]~1[MΩ]의 저항
(정답률: 38%)
  • 일반적으로 중저항의 범위는 1[Ω]~1[MΩ]의 저항에 해당됩니다. 이는 전기회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의 범위이며, 이 범위 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500[Ω]~100[MΩ]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는 중저항에 해당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중저항보다는 고저항에 해당됩니다. 100[Ω]~100[MΩ]의 저항은 중저항과 고저항의 경계에 위치하며,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는 중저항에 해당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중저항과 고저항 모두에 해당됩니다. 1[Ω]~10[MΩ]의 저항은 중저항과 고저항의 범위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입력조건 A와 B가 동시에 주어질 때 출력이 생성되는 논리회로는?

  1. AND 회로
  2. OR 회로
  3. NOR 회로
  4. NOT 회로
(정답률: 59%)
  • AND 회로는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회로이기 때문에, A와 B가 동시에 주어졌을 때 출력이 생성되는 논리회로로 적합하다. 다른 회로들은 입력 조건에 따라 출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이 주어진 제어회로의 전달함수 C/R 는?

(정답률: 47%)
  • 주어진 제어회로는 피드백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 전달함수는 C/R = G/(1+GH) 로 표현된다. 따라서, 주어진 회로의 전달함수는 C/R = 1/(1+sRC)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 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빛의 양(조도)에 의해서 동작되는 CdS를 이용한 센서에 해당하는 것은?

  1. 인덕턴스 변화형
  2. 저항 변화형
  3. 용량 변화형
  4. 전압 변화형
(정답률: 50%)
  • CdS 센서는 빛의 양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이므로 "저항 변화형"에 해당한다. 빛의 양이 증가하면 CdS의 저항값이 감소하고, 빛의 양이 감소하면 CdS의 저항값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CdS 센서는 주로 조도 측정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정류방식에서 맥동률이 가장 큰 방식은?

  1. 3상 전파
  2. 3상 반파
  3. 단상 전파
  4. 단상 반파
(정답률: 46%)
  • 단상 반파 방식에서 맥동률이 가장 큽니다. 이는 단상 반파 방식이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류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전력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3상 전파 방식은 전류의 흐름이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많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류기 저항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압계와 직렬로 접속한다.
  2. 전류계와 직렬로 접속한다.
  3.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한다.
  4. 전압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47%)
  • 분류기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기로,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하여 전류를 측정합니다. 이는 분류기의 내부 회로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류계와 병렬로 접속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전압계와 직렬로 접속한다."와 "전류계와 직렬로 접속한다."는 분류기의 작동 방식과 맞지 않습니다. "전압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는 분류기의 목적이 아니며, 전압 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피드백(Feedback) 제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1. 안정도를 좋게 하는 장치
  2. 구동장치
  3.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장치
  4.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정답률: 60%)
  • 피드백 제어에서는 원하는 출력값과 실제 출력값을 비교하여 차이를 감지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입력값을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장치는 실제 출력값을 측정하고, 원하는 출력값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합니다. 이 차이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조절하면 원하는 출력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는 피드백 제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5Ω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단, 그림에서의 저항 단위는 모두 Ω이다.)

  1. 0.5
  2. 1.5
  3. 2.0
  4. 2.5
(정답률: 28%)
  • 전압 = 전류 × 저항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10V = 5Ω × 전류 이므로 전류는 2A이다. 하지만, 이 전류는 5Ω 저항기를 통과하면서 5V의 전압이 감소하므로, 5Ω 저항기에서의 전류는 5V ÷ 5Ω = 1A이다. 따라서, 정답은 0.5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도전동기에서 슬립이 “0”이라고 하는 것은?

  1. 유도전동기가 제동기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2. 유도전동기가 정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3.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4.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정답률: 54%)
  • 유도전동기에서 슬립이 "0"이라는 것은 회전자와 스테이터의 자기장이 정확히 일치하여 유도전동기가 동기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유도전동기는 제동기의 역할을 하지 않고 정지 상태나 전부하 상태가 아니라 정상적으로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은 브리지 정류회로는 어느 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여야 하는가?

  1. A-B점
  2. A-C점
  3. B-C점
  4. B-D점
(정답률: 57%)
  • 브리지 정류회로는 교류신호의 진폭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는 교류입력을 B-D점에 연결해야 한다. 이유는 B-D점이 다른 점들과 달리 브리지 회로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교류신호의 진폭을 최대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A-B점과 A-C점은 다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서, 교류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B-C점은 다리 부분과 다리가 아닌 부분을 연결하는 점으로, 교류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B-D점이 올바른 연결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a)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회로에서 입력전압 V1과 출력전압 Vo의 관계를 그림(b)의 신호흐름선도로 나타낼 때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정답률: 53%)
  • 전달함수는 출력전압 Vo와 입력전압 V1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Vo/V1이다. 이 회로는 입력전압 V1과 출력전압 Vo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이 같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1이 된다. 즉,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과 같은 계통에서 정상상태 편차(eSS)는?

(정답률: 33%)
  • 정상상태 편차(eSS)는 "" 이다. 이유는 계통의 전달함수가 1/(s+1)로 주어졌을 때, eSS = 1/(1+Kv) 이고, Kv는 계통의 전달함수에서 s=0일 때의 값이므로 Kv=1이다. 따라서 eSS = 1/(1+1) =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