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임상심리사 2급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심리학개론

1. 사회학습이론에 입각한 성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성격이 인지과정이나 동기에 의한 영향을 인정하지 않는다.
  2. 사회학습이론에서는 관찰학습과 모델링을 통해서 보상받는 행동을 대리적으로 학습한다고 한다.
  3. 사회학습이론에서는 행동에 대한 환경적 변인의 독립적인 영향을 강조한다.
  4. 반두라는 개인이 자신의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신념이나 기대를 자기존중감(self-esteem)이라고 하였다.
(정답률: 80%)
  • 사회학습이론에서는 관찰학습과 모델링을 통해서 보상받는 행동을 대리적으로 학습한다고 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이 보상을 받았을 때, 자신도 그와 같은 행동을 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리적 학습은 개인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강화에 요구되는 반응의 수를 어떤 평균을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강화계획은?

  1. 고정간격계획
  2. 고정비율계획
  3. 변화비율계획
  4. 변화간격계획
(정답률: 48%)
  • 변화비율계획은 강화에 요구되는 반응의 수를 일정한 비율로 증가시키는 강화계획입니다. 즉, 이전에 보상을 받은 반응의 수가 적을 때는 보상을 적게 주고, 이전에 보상을 받은 반응의 수가 많을 때는 보상을 많이 주는 방식으로 강화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반응률을 조절하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아의 초기결핍이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언어능력
  2. 지적능력
  3. 운동기능
  4. 정서발달
(정답률: 80%)
  • 유아의 초기결핍이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영역은 대개 언어능력, 지적능력, 정서발달 등 인지적인 영역이며, 이들은 유아기에 형성되는 뇌회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운동기능은 뇌회로와는 거리가 먼 영역으로, 초기결핍이 운동기능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동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굶주린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어 조건형성을 하는 파블로프의 실험에서 무조건자극은 무엇인가?

  1. 종소리
  2. 먹이
  3. 침을 흘림
  4. 불빛
(정답률: 83%)
  • 무조건자극은 동물이나 인간의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으로, 학습과 관련이 있다. 파블로프의 실험에서 굶주린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면서 먹이를 제공했을 때, 개는 종소리와 먹이 사이에 연관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후 종소리만 울리면 개는 먹이를 기다리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때 종소리가 무조건자극이 되고, 먹이는 조건적 자극이 된다. 따라서 무조건자극은 이 실험에서 "먹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은?

  1. 절감원리
  2. 공변이론
  3. 대응추리이론
  4. 기본적 귀인오류
(정답률: 96%)
  • 이 그림은 기본적 귀인오류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본적 귀인오류란,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단순하게 하나의 요인으로만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빗물이 내리는 것을 "우산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라는 하나의 요인으로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빗물이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기본적 귀인오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이트의 성격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드는 쾌락원칙을 따른다.
  2. 초자아는 항문기의 배변훈련 과정을 겪으면서 발달한다.
  3. 성격의 구조 가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발달하는 체계가 초자아이다.
  4. 자아는 성격의 집행자로서, 인지능력에 포함된다.
(정답률: 75%)
  • 초자아는 항문기의 배변훈련 과정과는 관련이 없으며, 신체적 발달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따라서 "초자아는 항문기의 배변훈련 과정을 겪으면서 발달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초자아는 어린 시기에 부모의 가치관과 규범을 내면화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태도의 3가지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지적 요소
  2. 감정적 요소
  3. 귀인적 요소
  4. 행동적 요소
(정답률: 67%)
  • 정답은 "귀인적 요소"입니다.

    인지적 요소는 태도를 형성하는 개인의 지식, 신념, 경험 등의 인지적인 측면을 의미합니다.

    감정적 요소는 태도를 형성하는 개인의 감정, 감정적 반응, 선호 등의 감정적인 측면을 의미합니다.

    행동적 요소는 태도를 바탕으로 개인이 취하는 행동, 행동의 의도, 행동의 결과 등의 행동적인 측면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귀인적 요소는 태도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이는 오히려 개인의 인격, 도덕성, 윤리 등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따라서 귀인적 요소는 태도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소거가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은?

  1. 자극 일반화(stimulus generalization)
  2. 변별(discrimination)
  3. 조형(shaping)
  4.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정답률: 90%)
  • 소거가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증거는 자발적 회복이다. 자발적 회복은 일시적으로 소거된 반응이 나중에 다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는 소거된 기억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소거는 영구적인 망각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심리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속성을 실제 얼마나 잘 측정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은 무엇인가?

  1. 표준화
  2. 난이도
  3. 타당도
  4. 신뢰도
(정답률: 92%)
  • 타당도는 심리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속성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심리검사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표준화는 검사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만드는 것이고, 난이도는 검사 문항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신뢰도는 검사 결과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달이 구름 속을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1. 깊이지각
  2. 형태지각
  3. 가현운동
  4. 유인운동
(정답률: 42%)
  • 달이 구름 속을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유인운동"이다. 이는 대기 중의 냉·온 기류가 서로 충돌하여 굴절되는 현상으로, 빛의 굴절로 인해 물체의 위치가 실제보다 높게 보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와 캘리포니아 심리검사(CPI)의 비교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MPI는 구조화된 검사인 반면, CPI는 비구조화된 검사이다.
  2. MMPI는 투사검사인 반면, CPI는 질문지 검사이다.
  3. MMPI는 임상장면의 규준집단을 사용하여 개발된 반면, CPI는 정상인을 규준집단으로 개발된 검사이다.
  4. MMPI는 과거 행동에 중점을 둔 반면, CPI는 미래 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정답률: 74%)
  • 정답은 "MMPI는 임상장면의 규준집단을 사용하여 개발된 반면, CPI는 정상인을 규준집단으로 개발된 검사이다." 이다. MMPI는 임상장면에서 발견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며, CPI는 일반인의 성격과 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다. 따라서 MMPI는 임상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는 반면, CPI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과자의 양이 적다는 어린 꼬마에게 모양을 다르게 했더니 많다고 좋아한다. 그 아이의 논리적 사고를 피아제 이론으로 본다면 다음 문제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자기중심성의 문제
  2. 대상연속성의 문제
  3. 보존 개념의 문제
  4. 가설-연역적 추론의 문제
(정답률: 87%)
  • 보존 개념의 문제에 해당한다. 이는 아이가 양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고, 모양이 달라졌을 때 양이 변하지 않는다는 보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양이 다르더라도 양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들러가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면서 강조하지 않은 부분은?

  1. 열등감의 보상
  2. 우월성 추구
  3. 힘에 대한 의지
  4. 신경증 욕구
(정답률: 83%)
  • 아들러는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면서 "신경증 욕구"를 강조하지 않았다. 이는 아들러가 인간의 성격을 "열등감의 보상", "우월성 추구", "힘에 대한 의지"와 같은 요소들로 설명하면서, 신경증 욕구를 강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경증 욕구"란, 개인이 자신의 문제나 불안감을 해결하기 위해, 그 문제나 불안감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집착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아들러가 강조하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이론에서는 강조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동조의 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내가 좋아하는 스타가 광고하는 음료수를 산다.
  2. 어느 대통령 후보의 연설에 감동해서 그를 지지한다.
  3. 상관의 부당한 지시를 마지못해 따른다.
  4. 미니스커트가 유행이어서 나도 미니스커트를 입는다.
(정답률: 92%)
  • "미니스커트가 유행이어서 나도 미니스커트를 입는다."는 동조의 예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선택을 하는 것이지만, 미니스커트를 입는 것은 유행에 따라 내부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성격 특성들 간의 관련성에 관한 개인적 신념으로서 타인의 성격을 판단하는 틀로 이용하는 것은?

  1. 기본적 귀인 오류
  2. 고정관념
  3. 내현 성격이론(implicit personality theory)
  4. 자기 기여 편향(self-serving bias)
(정답률: 58%)
  • 내현 성격이론은 우리가 타인의 특성을 판단할 때,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성격 특성들의 관련성에 기반하여 판단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고정관념과 기본적 귀인 오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우리는 이미 가지고 있는 성격 특성들을 기반으로 타인을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판단은 자기 기여 편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제3의 변수 개입
  2. 시험효과
  3. 측정 도구상의 문제
  4. 낮은 통계 검증력
(정답률: 41%)
  • 내적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는 측정 도구상의 문제, 제3의 변수 개입, 시험효과 등이 있다. 하지만, 낮은 통계 검증력은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가 아니라 외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요소이다. 낮은 통계 검증력은 측정 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외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Maslow의 욕구의 위계이론에서 제일 밑바탕에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는 무엇인가?

  1. 생리적 욕구
  2. 안정 욕구
  3. 소속감 욕구
  4. 자아실현욕구
(정답률: 97%)
  •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욕구로, 공기, 물, 음식, 수면 등과 같은 생활 필수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다른 욕구들을 추구할 수 없기 때문에, Maslow의 욕구의 위계이론에서는 가장 밑바탕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학생들은 축구와 야구 중에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가'라는 문제를 검증하는 경우처럼, 빈도나 비율의 차이검증에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은?

  1. t 검증
  2. F 검증
  3. Z 검증
  4. X2 검증
(정답률: 66%)
  • X2 검증은 범주형 자료의 빈도나 비율의 차이를 검증하는 분석 방법으로, 대학생들의 축구와 야구 선호도를 비교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는 축구와 야구가 범주형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2 검증이 가장 적합한 분석 방법입니다. t 검증, F 검증, Z 검증은 연속형 자료의 차이를 검증하는 분석 방법이므로 이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Freud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와 Erikson의 심리사회발달단계가 해당연령별로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 출생~약 18개월 : 구강기, 신뢰감 대 불신감
  2. 약 18개월~약 3세 : 항문기, 자율성 대 수치감
  3. 약 3세~약 6세 : 생식기, 친근성 대 고립감
  4. 약 6세~약 11세 : 잠복기, 근면성 대 열등감
(정답률: 86%)
  • 정답은 "약 3세~약 6세 : 생식기, 친근성 대 고립감" 입니다. Freud의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는 이 시기를 "애착기"라고 하며, Erikson의 심리사회발달단계에서는 이 시기를 "초등학교 전"이라고 합니다. 이 시기는 친근함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발달이 중요한데, 이는 Freud와 Erikson 모두 동일합니다. 그러나 Freud는 이 시기를 "성기기"라고도 하며, 성적 발달과 관련된 요소를 강조합니다. Erikson은 이 시기를 "발전적 고립감 대 친밀감"이라고 하며, 사회적 관계 형성과 동시에 자아 정체성 형성에 대한 발달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대상영속성 개념을 처음으로 획득하는 시기는?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정답률: 78%)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대상영속성 개념을 처음으로 획득하는 시기는 감각운동기입니다. 이는 출생 후 0~2년까지의 시기로, 아기는 주변 환경에서 받는 감각 자극을 통해 자신의 몸과 주변 사물의 존재를 인지하고, 이를 운동으로 표현하며 대상의 영속성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아기의 인지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이상심리학

21. 다음 중 경계선 성격장애의 임상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실제적 또는 가상적 유기를 피하기 위하여 필사적인 노력
  2. 타인에 대한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번갈아하는 불안정하고 강력한 대인관계 방식
  3. 반복적인 자살행동과 만성적인 공허감
  4.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과 특권의식 요구
(정답률: 52%)
  •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지각과 특권의식 요구"는 경계선 성격장애의 임상적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자신의 가치를 과장하고, 특별한 대우와 특권을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자신 중심적인 태도와 자기애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환각(hallucination)은 다음 중 어떤 부분의 왜곡인가?

  1. 지각
  2. 행동
  3. 사고
  4. 관계
(정답률: 79%)
  • 환각은 지각의 왜곡이다. 지각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생기는 왜곡이 환각이다. 즉,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식하거나,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왜곡된 형태로 인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억 착오와 혼돈이 뚜렷한 특징이다.
  2.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이다.
  3. 가계에 따라 전달되는 경향이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빈번히 발생한다.
  4. 뇌혈관 질환이나 비타민 B12 부족으로 인해 점진적인 기억과 인지장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진단을 배제한다.
(정답률: 60%)
  •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이 아니라 아세틸콜린입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
  4. 감정적 둔마
(정답률: 77%)
  • 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에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가 포함되지만, 감정적 둔마는 포함되지 않는다. 감정적 둔마는 감정이나 감각의 소실, 무감각, 무관심 등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음울하고 무기력한 상태를 뜻한다. 이는 정신분열병의 음성증상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성도착증의 유형에 관한 설명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노출증 - 다른 사람이 옷을 벗고 있는 모습을 몰래 훔쳐봄으로서 성적 흥분을 느끼는 경우
  2. 관음증 -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자신의 성기나 신체 일부를 접촉하거나 문지르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3. 소아 애호증 - 사춘기 이전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여 성적 공상이나 성행위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
  4. 성적 가학증 - 굴욕을 당하거나 매질을 당하거나 묶이는 등 고통을 당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성적흥분을 느끼거나 성적 행위를 반복하는 경우
(정답률: 82%)
  • 소아 애호증은 사춘기 이전의 어린 아이들이 성적 공상이나 성행위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다른 유형들은 성적 흥분을 느끼는 방식이나 행위의 대상이 다르다. 노출증은 다른 사람의 노출된 모습을 몰래 보면서 성적 흥분을 느끼는 경우이고, 관음증은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성적 접촉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성적 가학증은 고통을 당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성적 흥분을 느끼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DSM-4에서 분류하고 있는 이상하고 특이한 집단인 성격장애인 A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편집성 성격장애
  2. 분열성 성격장애
  3. 분열형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정답률: 89%)
  • 회피성 성격장애는 DSM-4에서 성격장애인 A군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성격장애인 C군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며, 이를 회피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도 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피성 성격장애"가 DSM-4에서 분류하고 있는 이상하고 특이한 집단인 성격장애인 A군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외모가 중요해', '나는 언제나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어야 해', '감정은 즉각적으로 직접 표현해야해' 등과 같은 인지도식을 가진 성격장애는?

  1. 편집성 성격장애
  2.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3. 자기애성 성격장애
  4. 강박성 성격장애
(정답률: 59%)
  • 히스테리성 성격장애는 외모와 주목받는 것에 대한 강한 욕구와 감정을 즉각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주목받으려는 욕구가 강한 성격장애로, 따라서 "히스테리성 성격장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불안장애의 대표적인 원인론 중 2요인 학습이론과 거리가 먼 것은?

  1. 모델링의 효과를 잘 설명한다.
  2. 공포 감소에 대한 노출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3. 2요인이란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을 각각 말한다.
  4. Mowrer가 주장하였다.
(정답률: 47%)
  • 2요인 학습이론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을 각각 말하며, 불안장애의 원인으로는 조건형성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반면에 모델링 이론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모델링 이론은 불안장애의 원인으로는 거리가 있지만, 노출치료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공포 감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치매와 우울증의 증상 구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매는 기억손실을 감추려는 시도를 하는데 반해 우울증에서는 기억손실을 불평한다.
  2. 치매는 자기의 무능이나 손상을 과장하는데 반해 우울증에서는 숨기려 한다.
  3. 우울증보다 치매에서 알코올 등의 약물남용이 많다.
  4. 우울증에서는 증상의 진행이 고른데 반해 치매에서는 몇 주 안에도 진행이 고르지 못하다.
(정답률: 50%)
  • "치매는 기억손실을 감추려는 시도를 하는데 반해 우울증에서는 기억손실을 불평한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치매 환자들은 자신의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인지하고 이를 감추려고 하지만 우울증 환자들은 기억력 저하를 불평하며 이를 주장한다는 것이다. 즉, 치매와 우울증의 증상 구분에서 기억력 저하에 대한 인식과 대처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미 존재하지 않는 신체 부분에 대한 환각으로, 사지를 절단한 후에 흔히 나타나는 것은?

  1. 반사환각
  2. 팬덤(phantom)현상
  3. 운동환각
  4. 신체환각
(정답률: 71%)
  • 팬덤(phantom) 현상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 신체 부분에 대한 환각으로, 사지를 절단한 후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뇌가 사지의 감각 정보를 계속 받아들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실제로는 사라진 신체 부분이지만 여전히 뇌에서 인식되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D)의 주요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친밀한 관계를 원하지도 즐기지도 않는다.
  2. 거의 항상 혼자서 하는 활동을 선택한다.
  3. 사고와 언어가 괴이하거나 엉뚱하다.
  4. 타인의 칭찬이나 비평에 무관심해 보인다.
(정답률: 63%)
  • 분열성 성격장애는 친밀한 관계를 원하지 않고, 거의 항상 혼자서 활동을 하는 등 사회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사고와 언어가 괴이하거나 엉뚱하다는 것은 다른 성격장애와 연관된 증상이며, 분열성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DSM-4에서 알코올 의존과 알코올 남용을 구분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내성
  2. 금단증상
  3. 강박적인 음주패턴
  4. 다중 약물중독
(정답률: 71%)
  • DSM-4에서 알코올 의존과 알코올 남용을 구분하는 기준은 내성, 금단증상, 강박적인 음주패턴 등이지만, 다중 약물중독은 알코올 의존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해당 기준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다중 약물중독은 여러 가지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거나, 알코올과 다른 약물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주의력 결핍 및 과잉활동장애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줍음
  2. 산만성
  3. 학업문제
  4. 또래들과 어울리는데 어려움
(정답률: 95%)
  • 주의력 결핍 및 과잉활동장애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수줍음"입니다. 이는 사회적인 성격적 특성으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활동장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일반적 행동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높은 충동성
  2. 목표 지향적 활동의 결여
  3. 공포 유발자극에 대한 과도한 불안반응
  4. 정서적 자극과 흥분, 스릴의 추구
(정답률: 75%)
  •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사회 규범과 윤리적 기준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대개 충동적이고 목표 지향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포 유발자극에 대한 과도한 불안반응은 이와는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것보다 더 강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이러한 반응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반사회적 성격장애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알코올 중독과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이 결합되어 만성 알코올중독자에게 발생하는 장애로, 최근 및 과거 기억을 상실하고 새롭게 기억을 형성하지 못하는 인지손상장애는?

  1. 간질
  2. 혈관성 치매
  3. 헌팅턴 질환
  4. 코르사코프 증후군
(정답률: 83%)
  •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알코올 중독과 함께 비타민 B1 결핍이 발생하여 뇌의 기억과 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인지손상장애입니다. 이로 인해 최근 및 과거 기억을 상실하고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코올 의존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생물학적 입장에서는 유전적 요인이나 알코올 신진대사 기능에서의 차이를 원인으로 본다.
  2.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음주에 대한 사회의 관대한 태도가 알코올 의존의 원인이라고 본다.
  3. 행동주의 입장에서는 알코올이 불안을 줄여주는 단기적 강화효과가 알코올 의존의 원인이 된다고 본다.
  4.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알코올 의존을 남성다움을 나타내는 한 방법으로 간주한다.
(정답률: 77%)
  •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알코올 의존을 남성다움을 나타내는 한 방법으로 간주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성차별적인 사고로, 알코올 의존은 성별과는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문제이며, 성별에 따른 차이점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긴장형 정신분열증 환자의 특징적 증상이 나타나는 영역은?

  1. 사고형태
  2. 주의 및 지각
  3. 운동기능
  4. 정동
(정답률: 43%)
  • 긴장형 정신분열증 환자는 주로 운동기능 영역에서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환자가 불안, 긴장, 과민 등의 감정을 느끼면서 근육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운동 기능이 저하되거나 불규칙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개 손과 발의 떨림, 근육 경련, 자세의 변화 등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말초 신경계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불규칙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폐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폐증은 발달장애의 한 유형이다.
  2. 자폐증 아동은 애착장애는 보이지 않는다.
  3. 자폐증은 아동 정신분열병의 일종이며 환각과 망상을 보인다.
  4. 자폐증 아동은 주변 사람들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나, 언어구사능력에는 손상이 없다.
(정답률: 70%)
  • 자폐증은 발달장애의 한 유형이다. 이는 아이들이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관심사와 행동 패턴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한다. 자폐증 아동은 애착장애는 보이지 않지만, 주변 사람들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언어구사능력에도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자폐증은 아동 정신분열병의 일종이 아니며, 환각과 망상을 보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가벼운 정신지체
  2. 중간 정도의 정신지체
  3. 심한 정도의 정신지체
  4. 아주 심한 정도의 정신지체
(정답률: 76%)
  • 이미지는 지체된 인간의 뇌파를 나타내고 있으며, 뇌파가 느리고 불규칙한 것으로 보아 가벼운 정신지체 상태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A양은 음대 입학시험을 앞두고 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이 일어났다. 다음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1. 강박장애
  2. 건강염려증
  3. 전환장애
  4. 특정공포증
(정답률: 70%)
  •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전환장애"이다. 전환장애는 갑작스러운 스트레스나 감정적 충격으로 인해 음성이 나오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음대 입학시험과 같은 중요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정신적인 원인에 의한 것으로, 정신과 전문의의 치료가 필요하다. 강박장애는 반복적인 강박적 사고와 행동이 나타나는 것이고, 건강염려증은 건강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나타나는 것이며, 특정공포증은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공포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심리검사

41. 심리평가를 위한 면담기법 중 비구조화된 면담 방식의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면담자 간의 진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2. 연구 장면에서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3. 중요한 정보를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다.
  4. 점수화하기에 용이하다.
(정답률: 68%)
  • 비구조화된 면담 방식은 미리 정해진 질문이 없기 때문에 면담자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리평가를 위한 면담에서는 비구조화된 면담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웩슬러 지능검사에 대한 해석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동작성 검사와 언어성 검사 점수의 차이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개인의 내적 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낸다.
  3. 규준분석을 통해 다른 사람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비교한다.
  4. 단기기억력 등 특정 능력은 한 가지 소검사에서만 측정된다.
(정답률: 67%)
  • 단기기억력 등 특정 능력은 한 가지 소검사에서만 측정된다는 것은 주의해야 할 점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디지트 스팬 검사는 단기기억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이는 웩슬러 검사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소검사를 통해 다양한 능력을 측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에 포함되지 않는 척도는?

  1. 운동
  2. 리듬
  3. 집중
  4. 촉각
(정답률: 57%)
  •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에는 "운동", "리듬", "촉각" 척도가 포함되지만 "집중" 척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가 인지, 언어, 운동, 감각, 감정 등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는데 집중력은 이러한 영역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피검자가 매우 피곤하고 불안한 상태에서 웩슬러 지능검사를 실시할 경우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검사는?

  1. 토막짜기 - 어휘문제
  2. 숫자문제 - 공통성문제
  3. 기본지식 - 바꿔쓰기
  4. 산수문제 - 바꿔쓰기
(정답률: 66%)
  • 피검자가 매우 피곤하고 불안한 상태에서는 집중력이 떨어지고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숫자나 어휘와 같은 기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검사보다는 논리적인 사고와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검사가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산수문제 - 바꿔쓰기"가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검사는 숫자와 수식을 이용하여 논리적인 사고와 추론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피검자가 피로하고 불안한 상태에서는 수식을 이해하고 계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수식을 바꿔서 다시 쓰는 것도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검사-재검사 신뢰도 방법으로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구할 때의 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길면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할 가능성이 있다.
  2. 반응 민감성에 의해 검사를 치르는 경험이 개인의 진점수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3.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첫 번째 검사 때 응답했던 것을 기억해서 그대로 쓰는 이월효과가 있다.
  4. 경비가 절감되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정답률: 69%)
  • "경비가 절감되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방법의 단점이 아니라 장점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다.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길면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할 가능성이 있고, 반응 민감성에 의해 검사를 치르는 경험이 개인의 진점수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첫 번째 검사 때 응답했던 것을 기억해서 그대로 쓰는 이월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정 학업과정이나 직업에 대한 앞으로의 수행능력과 적응도를 예측하는 검사는?

  1. 성격검사
  2. 적성검사
  3. 흥미검사
  4. 사회성검사
(정답률: 94%)
  • 적성검사는 개인의 능력, 기술, 성향 등을 분석하여 특정 학업과정이나 직업에 대한 적합성을 예측하는 검사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행능력과 적응도를 예측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검사이다.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파악하는 검사이고, 흥미검사는 개인의 관심사와 취미를 파악하는 검사이며, 사회성검사는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파악하는 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웩슬러 지능검사의 점수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동용(WISC)과 성인용(WAIS) 검사의 지능지수 산출방식은 다르다.
  2. 동일한 원점수를 얻어도 연령에 따라 지능지수가 달라질 수 있다.
  3. 11개 하위검사는 평균이 50점인 환산점수로 산출된다.
  4.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다르다.
(정답률: 77%)
  • 웩슬러 지능검사에서는 연령에 따라 지능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연령대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한다. 따라서 동일한 원점수를 얻어도 연령이 다르면 지능지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살 아동과 30살 성인이 같은 원점수를 얻었다면, 아동의 경우 연령대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산출된 지능지수가 더 높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MMPI의 2(D)-7(Pt)척도가 상승한 패턴을 가진 피검자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불안, 긴장, 과민성 등 정서적 불안 상태에 놓여 있다.
  2. 자기 비판 혹은 자기처벌적인 성향이 강하다.
  3. 행동화(acting-out)하는 성향이 강하다.
  4.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는 높은 편이다.
(정답률: 62%)
  • 2(D)-7(Pt) 척도는 정서적인 불안과 긴장, 과민성 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이 척도가 상승한 패턴을 가진 피검자는 정서적인 불안 상태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자기 비판 혹은 자기처벌적인 성향이 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정을 행동으로 표출하는 행동화(acting-out)하는 성향이 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피검자는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가 높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GATB 직업적성검사의 하위검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기구 대조검사
  2. 표식검사
  3. 종선기입검사
  4. 운동기능검사
(정답률: 56%)
  • GATB 직업적성검사의 하위검사는 일반적으로 인지능력, 수리능력, 언어능력, 기술능력 등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운동기능검사"는 이러한 능력과는 관련이 없는 검사이기 때문에 GATB 직업적성검사의 하위검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웩슬러 지능검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작성 검사를 포함한다.
  2. 집단용 검사이다.
  3. 아동용 검사가 따로 있다.
  4. 언어성 검사를 포함한다.
(정답률: 97%)
  • 웩슬러 지능검사의 특징 중 집단용 검사이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웩슬러 지능검사는 개인용 검사로, 개인의 지능 수준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집단용 검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MMPI와 비교할 때 성격평가 질문지(PAI)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문항의 수가 더 적다.
  2. 임상척도의 수가 더 적다.
  3. 임상척도 이외에 대인관계 척도를 포함한다.
  4. 4지 선다형이다.
(정답률: 55%)
  • 성격평가 질문지(PAI)는 MMPI와 비교하여 임상척도 이외에 대인관계 척도를 포함하고, 4지 선다형이지만, 문항의 수는 비슷하며, 임상척도의 수는 더 많다. 따라서, "임상척도의 수가 더 적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능을 구성하는 요인에 관한 Cattell과 Horn의 이론 중 결정화된 지능(crystallizedintellige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을 말한다.
  2. 후천적이기보다는 선천적으로 이미 결정화된 지능의 측면을 말한다.
  3.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낮아진다.
  4. 문화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49%)
  • 결정화된 지능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추론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비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보다는 언어적 요인과 관련된 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후천적인 요인보다는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 이미 결정화된 지능의 측면을 말하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적 요인에 따라 결정화된 지능의 발달 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문화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MMPI 타당도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반응 점수(?)에서 높은 점수가 검사의 후반부 문항에서 응답하지 않는 것 때문이라면 임상척도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다.
  2. 허위척도(L)은 자신을 좋게 보이려고 다소 고의적으로 사소한 단점마저도 부인하는 세련되지 못한 방어를 평가한다.
  3. 신뢰성 점수(F)가 T 65인 사람은 고의적으로 나쁘게 왜곡하여 대답했을 가능성이 있다.
  4. 교정척도(K)는 방어성과 경계심을 평가한다.
(정답률: 49%)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채점시 오류 정답 1번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억 장애를 보이고 있는 환자에게 기억 및 학습능력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Trail Making Test
  2. SCL-90-R
  3. Face-Hand Test
  4. WMS-R
(정답률: 49%)
  • 기억 장애를 보이고 있는 환자에게 기억 및 학습능력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WMS-R"입니다. 이는 "Wechsler Memory Scale-Revised"의 약자로, 기억과 학습능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입니다. 이 검사는 단어, 숫자, 도형 등 다양한 형태의 자극을 이용하여 기억과 학습능력을 평가하며, 환자의 기억력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검사는 다양한 연령대와 학력 수준에 적용 가능하며, 기억 장애를 가진 환자의 치료 및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직업지도를 하기 위하여 실시해야 할 표준화 검사는?

  1. 지능검사
  2. 적성검사
  3. 흥미검사
  4. 인성검사
(정답률: 75%)
  • 직업지도는 개인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것이므로, 적성검사가 필요하다. 지능검사는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고, 흥미검사는 취미나 관심사를 파악하는 것이며, 인성검사는 성격과 태도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직업지도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문장완성검사(SCT)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심사숙고하여 떠오르는 생각을 기록하도록 해야 한다.
  2. 인격 심층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검사이다.
  3. 완성되지 않은 문장을 완성하도록 되어 있는 투사검사 중의 하나이다.
  4. 상상력과 창의력을 알아볼 수 있는 검사이다.
(정답률: 79%)
  • SCT는 완성되지 않은 문장을 완성하도록 되어 있는 투사검사 중의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3개월 유아가 연령에 비해 체격이 작고 아직도 걷는 것이 안정적이지 않으며, 말할 수 있는 단어가 '엄마, 아빠'로 제한되었다는 내용을 주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이 유아에게 실시할 수 있는 검사로 적합한 것은?

  1. 그림지능검사
  2. 유아용 지능검사
  3. 덴버 발달검사
  4. 삐아제식 지능검사
(정답률: 92%)
  • 덴버 발달검사는 유아의 발달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로, 유아의 언어, 사회성, 인지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유아가 말할 수 있는 단어가 제한되어 있고 걷는 것이 안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언어 및 운동 발달 지연이 의심되므로 덴버 발달검사가 적합합니다. 다른 검사들은 이 유아의 증상과는 관련이 적거나, 덴버 발달검사보다는 좁은 범위의 평가를 수행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신경심리검사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검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사회적 배경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
  2. 신경심리평가에서는 전통적인 지적 기능평가와 성격평가는 필요하지 않다.
  3. 정상인과 노인의 기능평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4. 뇌손상은 단일한 행동지표를 나타낸다.
(정답률: 77%)
  • "피검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사회적 배경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개인의 문화, 교육 수준, 경험 등이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자는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GATB 직업적성검사에서 검출되는 9개의 적성분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형태지각
  2. 사무지각
  3. 관계지각
  4. 손의 재치
(정답률: 62%)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채점시 오류 정답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배터리 검사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평가되는 기능에 관한 자료가 종합적이다.
  2. 검사의 구성에 따라서 개개 환자의 원래 기능수준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3. 임상적 평가목적과 연구목적이 함께 충족될 수 있다.
  4. 배터리 검사는 다양한 심리검사를 실시하는 심리사의 채용을 촉진한다.
(정답률: 21%)
  • 배터리 검사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상적 평가목적과 연구목적이 함께 충족될 수 있다." 입니다. 이는 오타로 인한 오류입니다. 배터리 검사는 다양한 심리검사를 실시하는 심리사의 채용을 촉진하고, 검사의 구성에 따라서 개개 환자의 원래 기능수준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되는 기능에 관한 자료가 종합적이기 때문에 임상적 평가목적과 연구목적이 함께 충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상심리학

61. 다음에 해당하는 심리학자의 윤리원칙은?

  1. 유능성
  2. 성실성
  3. 사회적 책임
  4.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책임
(정답률: 62%)
  • 이 윤리원칙은 칼 로저스(Karl Rogers)의 윤리원칙으로, 성실성은 심리학자가 연구나 진단을 수행할 때, 정확하고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연구나 진단 결과의 신뢰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임상심리학의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상심리학의 발전에 최초로 가장 직접적인 공헌을 한 사람은 독일의 Wundt이다.
  2. 1910년대의 Witmer에 의해 표준화된 심리검사의 사용이 증가되었다.
  3. Binet와 Simon은 1896년에 최초의 심리상담소를 설립하였다.
  4. 임상심리학이 전문직으로서 인정을 받고 영역이 크게 확대된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다.
(정답률: 83%)
  • 임상심리학이 전문직으로서 인정을 받고 영역이 크게 확대된 계기는 제2차 세계대전이다. 이유는 군인들의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리학자들이 군대에 투입되면서 임상심리학의 영역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임상심리학자의 고유한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적은?

  1. 사례관리
  2. 심리평가
  3. 심리치료
  4. 심리학적 자문
(정답률: 78%)
  •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은 주로 심리평가와 심리치료, 그리고 심리학적 자문을 포함합니다. 이들은 모두 환자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자의 증상과 문제를 이해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자문을 제공합니다. 반면에 사례관리는 주로 의료진과 협력하여 환자의 치료 계획을 조정하고, 의료 서비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례관리는 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는 거리가 먼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MMPI에서 각 임상척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옳은 것은?

  1. 평균 50, 표준편자 15
  2. 평균 50, 표준편차 10
  3. 평균 100, 표준편차 15
  4. 평균 100, 표준편차 10
(정답률: 59%)
  • MMPI는 정규분포를 따르는데, 이때 평균은 50, 표준편차는 1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MMPI의 개발자들이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각 임상척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평균 50, 표준편차 10"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MMPI 임상척도의 제작방식은?

  1. 내적 구조접근 및 요인분석
  2. 내적 내용접근 및 연역적 접근
  3. 외적 준거접근 및 경험적 준거 타당도방식
  4. 직관적 방식
(정답률: 71%)
  • MMPI 임상척도는 외적 준거접근 및 경험적 준거 타당도방식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대규모 샘플을 대상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유효한 항목들을 선별하고, 이를 임상적 경험과 함께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척도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규모 샘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보다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척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자문의 모델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정신건강모델
  2. 행동주의모델
  3. 조직모델
  4. 과정모델
(정답률: 52%)
  • 위 그림은 행동주의모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개인의 행동과 그 결과에 초점을 둔 모델로,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둡니다. 이 모델은 문제 상황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행동을 취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며, 필요하다면 수정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이 모델은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고,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임상적 면접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의사소통 기술에 해당되는 것은?

  1. 면접자 자신의 사적인 이야기를 꺼내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2. 침묵이 길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면접자는 즉각 개입할 준비를 한다.
  3. 폐쇄형보다는 개방형 질문을 주로 사용한다.
  4. 내담자의 감정보다는 얻고자 하는 정보에 주목한다.
(정답률: 82%)
  • 폐쇄형 질문은 단답형으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기 때문에 면접자의 대답이 제한적일 수 있고, 대화가 끊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개방형 질문은 면접자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대화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에서는 폐쇄형보다는 개방형 질문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기보고형 성격검사를 실시한 결과 의도적 왜곡 가능성이 높아 결과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다음중 이러한 의도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검사는?

  1. 지능검사
  2. 신경심리검사
  3. MBTI
  4. 로샤검사
(정답률: 42%)
  • 로샤검사는 의도적 왜곡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이는 로샤검사가 질문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응답자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직접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로샤검사는 응답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응답자가 의도적으로 결과를 왜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임상심리사의 윤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전문 영역 밖의 실무를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2. 실시와 해석에 자격이 있는 사람만이 심리 평가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격없는 사람이 검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3. 임상심리사는 전문적인 방식으로 치료적 관계를 구성해야 한다.
  4. 임상심리사는 자신의 수련, 경험, 학위 및 활동들을 잘못 나타내는 공적 진술을 피해야 한다.
(정답률: 55%)
  • "실시와 해석에 자격이 있는 사람만이 심리 평가도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격없는 사람이 검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심리 평가도구는 정확하고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해 자격이 있는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자격이 없는 사람이 검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자격이 없는 사람이 검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검사의 사용은 윤리적으로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상담자에게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1. 임상실습훈련
  2. 지도감독
  3. 개인적 심리치료
  4. 소양교육
(정답률: 78%)
  • 상담자의 개인적인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심리치료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담자의 치료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지만, 개인적 심리치료는 상담자의 개인적인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어 해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개인적 심리치료가 가장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임상현장에 종사하면서 과학자-전문가모형(scientist-practitioner model)에 충실하기 위한 이유 또는 방안과 거리가 먼 것은?

  1. 임상심리학의 주된 영역 중의 하나가 연구이므로, 임상심리학자는 임상장면에 적용 가능한 연구방법론을 개발하고, 그 기술과 기법에 능숙한 임상가가 되어야 한다.
  2. 대부분의 연구는 집단에 초점을 두고 개인차가 무시되어 개인적인 특성이 상실되므로, 실험분석은 질적 분석과 논리적인 일반화 작업을 증진시켜야 한다.
  3. 임상심리학자는 일차적으로 과학자가 되어야하며, 임상 실제 활동에 대한 타당도를 제공해야하고,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해야 한다.
  4. 집단비교연구법은 임상적 의문점을 잘 해결해주어, 임상현장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정답률: 20%)
  • 과학자-전문가모형에 충실해야 하는 이유는 임상심리학자가 임상장면에 적용 가능한 연구방법론을 개발하고, 그 기술과 기법에 능숙한 임상가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임상실제 활동에 대한 타당도를 제공하고,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할 수 있다.

    집단비교연구법은 임상적 의문점을 잘 해결해주어, 임상현장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 집단에 초점을 두고 개인차가 무시되어 개인적인 특성이 상실되는 문제를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실험분석은 질적 분석과 논리적인 일반화 작업을 증진시켜주어, 임상실제에 대한 타당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집단비교연구법은 임상심리학자가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Beck의 우울증 인지행동치료에서 인지적 삼제(cognitive triad)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신
  2. 과거
  3. 세계
  4. 미래
(정답률: 62%)
  • 인지적 삼제는 자신, 세계, 미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거는 인지적 삼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Beck가 우울증 환자들이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들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고 이를 현재와 미래에도 적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eck는 과거보다는 현재와 미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접수면접에서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적사항
  2. 주 호소문제
  3. 내원하게 된 직접적 계기
  4. 주요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어린 시절의 외상경험
(정답률: 92%)
  • 접수면접에서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사항은 인적사항, 주 호소문제, 내원하게 된 직접적 계기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주요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어린 시절의 외상경험"입니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인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직접적인 내원 계기나 주요 호소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역시 중요한 정보이며, 상담사가 이를 파악하여 적절한 상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행동평가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관찰은 참여자가 아닌 관찰자가 환경 내에서 일어나는 참여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방법이다.
  2. 유사관찰은 제한이 없는 환경에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3. 참여관찰은 관찰하고자 하는 개인이 자연스런 환경에 관여하면서 기록하는 방식이다.
  4. 자기관찰은 자신이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도록 한다.
(정답률: 81%)
  • "유사관찰은 제한이 없는 환경에서 관찰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사관찰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목표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능에 결함을 보인다고 한다. 뇌와 행동과의 관계에서 볼 때 어떤 부위의 결함을 시사하는가?

  1. 전두엽 손상
  2. 측두엽의 손상
  3. 변연계의 손상
  4. 해마의 손상
(정답률: 78%)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전두엽의 기능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전두엽은 계획, 추론, 판단, 집중, 추상적 사고 등을 담당하는 뇌의 중요한 부위이다. 따라서 전두엽의 손상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계획 불능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행동평가에서 강조하는 내용을 모두 짝지은 것은?

  1. A
  2. A, C
  3. A, C, D
  4. A, B, C, D
(정답률: 57%)
  • 행동평가에서 강조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적극적인 태도와 참여
    - 적절한 대인관계 유지
    - 책임감과 성실함
    - 자기통제와 자기조절 능력
    따라서, 이 중에서 "A, C, D"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Cormier와 Cormier가 제시한 적극적 경청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질문
  2. 요약
  3. 반영
  4. 명료화
(정답률: 50%)
  • 정답은 "질문"입니다. Cormier가 제시한 적극적 경청 기술에는 요약, 반영, 명료화가 포함되어 있지만, 질문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적극적 경청 기술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기술이므로, 질문을 통해 상대방의 이야기를 끊임없이 끌어내는 것은 그 목적과는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행동의학에서 두통치료에 가장 권장되는 심리적 기법은?

  1. 바이오 피드백과 이완
  2. 심상훈련
  3. 인지치료
  4. 주의전환
(정답률: 85%)
  • 바이오 피드백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이용해 자신의 생리적 상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두통과 같은 생리적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이완은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기술로, 두통과 같은 스트레스 관련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바이오 피드백과 이완은 두통치료에 가장 권장되는 심리적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술을 마시면 구토가 나는 약을 투약하여 알코올 중독 환자를 치료하는 행동치료기법은?

  1. 행동조성
  2. 혐오치료
  3. 자기표현훈련
  4. 환권보상치료
(정답률: 90%)
  • 이 기법은 알코올 중독 환자가 술을 마시면 구토가 나는 약을 투약하여 술을 마시는 것에 대한 혐오감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술을 마시는 행동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혐오치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자문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행사조직, 부모나 내담자와의 동반자 관계 개발, 특정 내담자에 적합한 과정 찾기 등이 목표가 되는 자문모델은?

  1. 조직(인간관계) 모델
  2. 조직(조직사고) 모델
  3. 조직옹호모델
  4. 과정모델
(정답률: 32%)
  • 조직옹호모델은 자문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행사조직, 부모나 내담자와의 동반자 관계 개발, 특정 내담자에 적합한 과정 찾기 등을 목표로 하는 모델로, 내담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내담자와의 신뢰 관계를 중요시하고, 내담자의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자문을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따라서, "조직옹호모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심리상담

81. 노인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담자는 노인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주의를 기울인다.
  2. 상담자는 노년기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3. 고부 갈등과 같은 가족 간의 갈등 문제에서는 다른 가족 구성원의 참여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4. 노인은 다른 내담자와는 달리 보호가 더 필요하므로 상담자를 향한 의존을 허용한다.
(정답률: 87%)
  • "노인은 다른 내담자와는 달리 보호가 더 필요하므로 상담자를 향한 의존을 허용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노인은 노년기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사회적 제약 등으로 인해 보호와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담자와의 의존 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상담자는 노인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인터넷 중독의 상담전략 중 게임 관련 책자, 쇼핑 책자, 포르노 사진 등 인터넷 사용을 생각하게 되는 단서를 가능한 한 없애는 기법은?

  1. 자극통제법
  2. 정서조절법
  3. 공간재활용법
  4. 인지재구조화법
(정답률: 87%)
  • "자극통제법"은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자극을 제어하는 기법으로, 게임 관련 책자, 쇼핑 책자, 포르노 사진 등 인터넷 사용을 생각하게 되는 단서를 가능한 한 없애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자극을 줄이고, 인터넷 사용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사례관리의 단계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사정하기
  2. 계획하기
  3. 조정하기
  4. 철수하기
(정답률: 49%)
  • 이 단계는 "계획하기"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이미 발생한 문제에 대해 사정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을 계획하는 단계입니다. 그 다음 단계인 "조정하기"는 계획을 실행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정하는 단계이고, "철수하기"는 문제가 해결되었거나 더 이상 대응할 수 없을 때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업장면에서 검사선택 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발이나 승진 등의 의사결정 시에는 준거타당도를 검증한다.
  2. 검사의 선택은 후보가 될 만한 검사들을 폭넓게 찾아내고 검토한 후 이루어져야 한다.
  3. 직무수행의 속성이 다차원적일 때는 복수 검사보다는 단일 검사를 선택한다.
  4. 검사의 선택은 그 사용목적에 잘 부합하여야 한다.
(정답률: 71%)
  • "직무수행의 속성이 다차원적일 때는 복수 검사보다는 단일 검사를 선택한다."의 이유는, 다차원적인 직무에서는 여러 가지 능력이 필요하므로, 각각의 능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검사를 선택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차원적인 직무에서는 하나의 검사로 여러 가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공감
  2. 진실성
  3. 긍정적 존중
  4. 예민한 관찰력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합리적-정서적 치료 상담의 ABCDE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선행사건-신념체제-결과-논박-효과
  2. 신념체제-선행사건-결과-논박-효과
  3. 결과-선행사건-신념체제-논박-결과
  4. 논박-선행사건-신념체제-결과-효과
(정답률: 92%)
  • 정답은 "선행사건-신념체제-결과-논박-효과"입니다.

    A: 선행사건 (Antecedents) - 상황, 사건, 행동 등을 분석하여 문제 상황을 파악합니다.
    B: 신념체제 (Beliefs) - 개인의 신념, 가치관, 자아상 등을 파악합니다.
    C: 결과 (Consequences) - 개인의 행동, 감정, 생각 등의 결과를 분석합니다.
    D: 논박 (Disputing) - 부정적인 신념을 부정하고 대안적인 신념을 제시합니다.
    E: 효과 (Effect) - 대안적인 신념을 받아들이고 개인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선행사건-신념체제-결과-논박-효과"가 올바른 ABCDE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상담이론 중 주로 겉으로 드러나는 내담자의 증상이나 장애행동을 없애거나 바람직한 적응행동을 습득시키는 데 초점을 두는 상담접근법은?

  1. 인지치료
  2. 행동치료
  3. 정신분석치료
  4. 현실치료
(정답률: 80%)
  • 행동치료는 내담자의 증상이나 문제행동을 바로잡고,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 상담접근법이다. 따라서 겉으로 드러나는 내담자의 증상이나 장애행동을 없애거나 바람직한 적응행동을 습득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는 달리 인지치료는 내담자의 사고방식을 변화시켜 문제를 해결하고, 정신분석치료는 무의식적인 부분을 탐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현실치료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담자가 가진 자원을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화상담을 이용하는 내담자의 특성 및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끄러움이 심하거나 대면상담을 꺼리는 상태
  2. 생활상의 이유로 직접 상담을 받으러 갈 수 없는 상황
  3. 절망적인 상황으로 인식하여 자살을 시도하려는 순간 이야기하고 싶은 상태
  4. 두려워하는 상황이나 자신의 핵심감정을 명료하게 이해하고 수용하는 상태
(정답률: 64%)
  • 전화상담을 이용하는 내담자의 특성 및 상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두려워하는 상황이나 자신의 핵심감정을 명료하게 이해하고 수용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전화상담을 이용하는 내담자들이 대면상담을 꺼리거나 부끄러움이 심한 상태, 생활상의 이유로 직접 상담을 받으러 갈 수 없는 상황, 자살을 시도하려는 순간 이야기하고 싶은 상태와는 다르게,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전화상담을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합리적-정서적 치료에서 제시하는 비합리적 생각 중에 「자기 자신이 시도하는 일은 결과적으로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생각은 어디에 해당되는가?

  1. 당위성
  2. 과잉 일반화
  3. 절대적 사고
  4. 부정적 예언
(정답률: 76%)
  • 이 생각은 "부정적 예언"에 해당한다. 이는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 부정적인 예측을 하고, 그 예측이 현실화되도록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결과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내담자들이 보이는 행동이나 사고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개인의 자연환경에서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내담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주간행동기록표, 일일활동일지, 자동적 사고 기록지 등을 작성하도록 하는 방법은?

  1. 임상적 면담법(clinical interview)
  2. 자기보고형 검사(self-report test)
  3. 자기감찰(self-monitoring)
  4. 생리적 측정법(physiological measurement)
(정답률: 68%)
  • 자기감찰은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개인의 자연환경에서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내담자들이 보이는 행동이나 사고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분류되며, 주간행동기록표, 일일활동일지, 자동적 사고 기록지 등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행동을 평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감찰(self-monitor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성폭력 피해자 심리상담 초기단계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치료관계 형성에 힘써야 한다.
  2. 상담자는 상담내용의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
  3. 성폭력 피해로 인한 합병증이 있는지 묻는다.
  4. 성폭력 피해의 문제가 없다고 부정을 하면 일단 수용해 준다.
(정답률: 67%)
  • "상담자는 상담내용의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상담자는 피해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며, 피해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을 들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상담자가 주도권을 가져서 자기의 생각이나 의견을 강요하면 피해자는 더욱 불안해질 수 있다. 상담자는 피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피해자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심리상담에서 경청의 방해 요인이 아닌 것은?

  1. 상대방의 말에 포함된 단서를 포착하여 감정을 읽어주고 반응을 확인하는 것
  2. 상대방에게 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기보다는 자기가 다음에 할 말을 생각하고 있는 것
  3. 자신의 역할이나 자기가 상대방에게 어떻게 보이느냐에 대하여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것
  4. 자신을 타인의 위치에 두는 공감적인 태도 없이 상대를 편견으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
(정답률: 61%)
  • 정답: "상대방의 말에 포함된 단서를 포착하여 감정을 읽어주고 반응을 확인하는 것"

    해설: 이것은 경청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상대방의 말에 포함된 단서를 포착하고 그에 대한 감정을 읽어주는 것은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청을 방해하는 요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집단상담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리적으로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줄어들어 치료속도가 빠르다.
  2. 다양한 성격의 소유자들과 접할 수 있다.
  3. 시간과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다.
  4. 새로운 행동을 현실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정답률: 85%)
  • "새로운 행동을 현실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집단상담은 다양한 성격의 소유자들과 접할 수 있고, 시간과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며, 심리적으로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줄어들어 치료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개인상담에서는 느낄 수 없는 집단적인 지지와 공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강조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지금-여기
  2.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에 대한 해석
  3. 미해결 과제와 회피
  4. 환경과의 접촉
(정답률: 66%)
  •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 강조하는 것은 "지금-여기", "미해결 과제와 회피", "환경과의 접촉"입니다.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에 대한 해석은 다른 심리치료에서 강조하는 부분이며,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는 내담자가 현재 상황에서 느끼는 감정에 집중하고, 그 감정을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따라서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에 대한 해석보다는 현재 상황에서의 감정 경험에 초점을 둡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정신분석적 상담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신분석에서는 꿈을 활용한다.
  2.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저항은 중요하지 않다.
  3. 내담자와 상담가의 관계는 전이과정으로 개념화된다.
  4. 정신분석적 치료의 목표는 무의식을 의식화하고 자아를 강하게 하는 데 있다.
(정답률: 56%)
  •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저항은 중요하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신분석에서 내담자의 저항은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내담자가 자신의 무의식적인 부분을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불안이나 거부감 등을 의미합니다. 내담자의 저항을 이해하고 다루는 것이 정신분석적 상담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자기가 화가 난 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상대방이 자기에게 화를 냈다고 생각하는 것은?

  1. 승화
  2. 투사
  3. 부정
  4. 퇴행
(정답률: 86%)
  • 이것은 "투사"입니다. 이것은 자기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외부 요인에 프로젝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자기 자신이 화를 느끼고 있지만,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대신 상대방이 자신에게 화를 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자기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접수면접에서 자살의도를 보고한 내담자에게 취해야 할 조치로 옳은 것은?

  1. 자살의도에 대하여 그 다음 회기 때도 내담자에게 묻는다.
  2. 즉시 경찰에 알린다.
  3. 주 호소만을 다룬다.
  4. 차트에 적고 내담자의 사인을 받아 놓는다.
(정답률: 49%)
  • 정답: "자살의도에 대하여 그 다음 회기 때도 내담자에게 묻는다."

    자살의도를 보고한 내담자에게는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며, 이를 무시하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즉시 경찰에 알리는 것은 중요하지만, 내담자와의 심리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살의도에 대한 이야기를 그 다음 회기 때도 계속 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내담자가 자살의도를 가진 경우, 그 이유와 상황이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 호소만을 다루는 것이나 차트에 적고 내담자의 사인을 받아 놓는 것은 중요하지만, 자살의도에 대한 대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신체적 장애 발생 시 거치는 심리적 적응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기에 외상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회복 과정을 방해하게 된다.
  2. 장애나 질병의 심각성과 정도를 이해하고 완전히 인정하게 될 때에는 우울해진다.
  3. 독립적으로 자기간호와 재활의 노력이 가능할 때 나타나는 반작용이 독립에 대한 저항이다.
  4. 충격은 외상 시 나타나는 즉각적인 반응이다.
(정답률: 47%)
  • "장애나 질병의 심각성과 정도를 이해하고 완전히 인정하게 될 때에는 우울해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외상 후 심리적 적응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충격: 외상 시 나타나는 즉각적인 반응
    2. 부인: 외상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단계
    3. 분노와 저항: 외상에 대한 분노와 저항을 느끼는 단계
    4. 우울: 외상의 심각성과 영향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단계
    5. 수용과 재구성: 외상을 수용하고 새로운 삶을 재구성하는 단계

    따라서 "초기에 외상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회복 과정을 방해하게 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외상을 부정하거나 무시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회복 과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집단상담자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느낌보다는 지적인 측면에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2. 집단활동의 시작을 돕는다.
  3. 집단의 방향을 제시하고 집단규준을 발달시킨다.
  4.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93%)
  • "느낌보다는 지적인 측면에 관심을 불러일으킨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집단상담자가 집단 내에서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역할들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집단상담자가 집단 내에서 강조하는 관심사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이 보기는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집단상담자가 집단 내에서 어떤 측면에 더 관심을 두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에 제시된 집단상담의 일반적인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 → B → C → D
  2. A → D → B → C
  3. A → D → C → B
  4. C → B → A → D
(정답률: 78%)
  • 정답은 "A → D → C → B"입니다.

    일반적인 집단상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집단 구성 및 안내
    - 집단 구성 및 목적 설명
    - 집단원들 간의 인사 및 소개
    - 집단규칙 설명 및 합의

    D. 문제 해결 및 대처 전략 수립
    -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와 공감
    - 문제 해결을 위한 대처 전략 제시
    - 집단원들의 의견 수렴 및 토론

    C. 마무리 및 평가
    - 집단원들의 감정 및 생각 정리
    - 집단원들의 성장과 변화 평가
    - 집단상담의 효과성 평가

    B. 집단원들의 피드백 및 결론 도출
    - 집단원들의 피드백 수렴 및 분석
    - 결론 도출 및 향후 계획 수립

    따라서, "A → D → C → B"가 정답인 이유는 일반적인 집단상담 과정에 따라 집단 구성 및 안내 후 문제 해결 및 대처 전략 수립, 마무리 및 평가, 집단원들의 피드백 및 결론 도출 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