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미식선반에서 피치가 P 이고, 일감의 나사피치가 p이며, 주축의 변환기어 잇수 ZS이고,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 잇수 ZL이라면 선반의 변환기어 공식에서, (p/P)의 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2ZS/ZL
  2. 2ZL/ZS
  3. ZS/ZL
  4. ZL/ZS
(정답률: 43%)
  • 선반의 변환기어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P = ZS/ZL

    여기서 p는 일감의 나사피치, P는 미식선반의 피치입니다. ZS는 주축의 변환기어 잇수, ZL은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 잇수입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ZS/ZL"입니다. 이유는 주축의 변환기어와 리드스크루의 변환 기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변환 기어 잇수의 비율이 p/P와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ZS/ZL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형의 공작물, 중량물(重量物)의 대형 평면이나 홈 등의 절삭에 가장 적합한 밀링머신은?

  1. 수직 밀링머신
  2. 모방 밀링머신
  3. 만능 밀링머신
  4. 플래노형 밀링머신
(정답률: 65%)
  • 플래노형 밀링머신은 대형의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큰 작업공간과 강력한 절삭력을 가지고 있어 중량물의 대형 평면이나 홈 등을 가공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플래노형 밀링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슈퍼피니싱(superfinishing)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진폭이 수 mm이고 진동수가 매분 수백에서 수천의 값을 가진다.
  2. 가공열의 발생이 적고 가공 변질층도 작으므로 가공면 특성이 양호하다.
  3. 다듬질 표면은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다.
  4. 다듬질면에 구성인선이 발생한다.
(정답률: 75%)
  • 슈퍼피니싱은 진폭이 수 mm이고 진동수가 매분 수백에서 수천의 값을 가지며, 가공열의 발생이 적고 가공 변질층도 작아 가공면 특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다듬질 표면은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멸성, 내식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다듬질면에 구성인선이 발생한다는 것은 슈퍼피니싱의 단점 중 하나이다. 구성인선은 다듬질면에 생기는 미세한 주름 모양의 선으로, 다듬질면의 표면조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 정밀도의 볼나사(Ball Screw)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작 기계는?

  1. CNC공작기계
  2. 범용선반
  3. 밀링머신
  4. 슬로터
(정답률: 69%)
  • CNC공작기계는 고정밀도의 가공이 필요한 작업에 많이 사용되며, 이를 위해 정확한 위치 제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고정밀도의 볼나사(Ball Screw)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CNC공작기계가 가장 많이 볼나사를 사용하는 공작 기계입니다. 범용선반, 밀링머신, 슬로터도 볼나사를 사용하지만 CNC공작기계보다는 정밀도가 낮은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구는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테이블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하여 키 홈, 스플라인, 세레이션 등의 내면가공을 주로 하는 공작기계는?

  1. 세이퍼
  2. 슬로터
  3. 플레이너
  4. 브로칭
(정답률: 54%)
  • 슬로터는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작기계로, 키 홈, 스플라인, 세레이션 등의 내면가공을 주로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슬로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테이퍼의 양끝 지름 중 큰 지름이 23.826mm, 작은 지름이 19.760mm, 테이퍼 부분의 길이가 81mm, 공작물 전체의 길이는 150mm이다. 심압대의 편위량은 약 몇 mm인가?

  1. 1.098
  2. 2.196
  3. 3.765
  4. 7.530
(정답률: 38%)
  • 테이퍼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큰 지름과 작은 지름의 차이를 구합니다.

    23.826 - 19.760 = 4.066

    81mm 길이 동안 4.066mm의 차이가 있으므로, 테이퍼의 각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4.066 / 81
    θ = atan(4.066 / 81) = 2.861°

    따라서, 심압대의 편위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3.765 = 81 * tan(2.8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삭숫돌은 교환 후 안전도 검사를 위해서 몇 분 이상 공회전을 실시하는가?

  1. 1/2
  2. 1
  3. 3
  4. 5
(정답률: 77%)
  • 연삭숫돌은 교환 후 안전을 위해 공회전을 실시합니다. 이는 새로운 숫돌이나 교환된 숫돌이 안전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이때 공회전 시간은 최소 3분 이상이어야 충분한 안전성 검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각도 측정을 할 수 있는 사인바(sine ba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밀한 각도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평면도가 높은 평면에서 사용해야 한다.
  2. 롤러의 중심거리는 보통 100mm, 200mm로 만든다.
  3. 45° 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하다.
  4. 사인바는 길이를 측정하여 직각 삼각형의 삼각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하여 임의각의 측정 또는 임의각을 만드는 기구이다.
(정답률: 72%)
  • "롤러의 중심거리는 보통 100mm, 200mm로 만든다."가 틀린 것이다. 사인바의 롤러 중심거리는 다양하게 만들어진다.

    45° 이상의 큰 각도를 측정하는데 유리한 이유는 사인바가 직각 삼각형의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즉, 사인바의 두 롤러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러 사이의 거리보다 큰 각도를 측정할 때는 사인값이 더 크기 때문에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탭으로 암나사 가공 작업시 탭의 파손원인이 아닌 것은?

  1.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
  2. 탭이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
  3. 탭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
  4. 탭이 구멍바닥에 부딪쳤을 경우
(정답률: 82%)
  •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는 탭 자체가 단단하고 강력하기 때문에 파손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탭의 파손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마제를 가공액과 혼합하여 가공물 표면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고압과 고속으로 분사시켜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가공하는 입자 가공법은?

  1. 액체호닝
  2. 숏 피닝
  3. 래핑
  4. 배럴가공
(정답률: 58%)
  • 액체호닝은 연마제를 액체 상태로 사용하는 입자 가공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공물 표면에 부드러운 액체 연마제를 분사하여 가공물 표면과 충돌시켜 가공하는 방식으로, 가공물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하면서도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호닝은 가공물 표면의 마무리 작업이나 광택 처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밀링작업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동 전에 각종 레버, 자동이송, 급속이송장치 등을 반드시 점검한다.
  2.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절삭상태의 관찰은 커터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한다.
  3. 주축속도를 변속시킬 때에는 반드시 주축이 정지한 후에 변환한다.
  4. 밀링으로 절삭한 칩은 날카로우므로 주의하여 청소한다.
(정답률: 85%)
  • "정면커터로 절삭작업을 할 때 절삭상태의 관찰은 커터날 끝과 같은 높이에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절삭상태의 관찰은 작업물과 커터날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작업물 표면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식분할법에서 웜과 직결된 크랭크 축이 40회전할 때 공작물과 함께 회전하는 분할대의 주축은 몇 회전을 시킬 수 있는가?

  1. 1/2회전
  2. 1회전
  3. 회전
  4. 2회전
(정답률: 37%)
  • 단식분할법에서는 분할대의 주축과 웜의 축이 같은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웜의 축이 40회전하면 분할대의 주축도 40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회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구동 전동기로 펄스 전동기를 이용하며 제어장치로 입력된 펄스 수만큼 움직이고 검출기나 피드백 회로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펄스 전동기의 회전 정밀도와 볼 나사의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방식은?

  1. 개방 회로 방식
  2. 반폐쇄 회로 방식
  3. 폐쇄 회로 방식
  4. 하이브리드 서보 방식
(정답률: 62%)
  • 개방 회로 방식은 구동 전동기로 펄스 전동기를 이용하며 제어장치로 입력된 펄스 수만큼 움직이고 검출기나 피드백 회로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펄스 전동기의 회전 정밀도와 볼 나사의 정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회로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요인에 의해 움직임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위치 제어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드릴의 각부 명칭 중에서 드릴의 홈을 따라서 만들어진 좁은 날로, 드릴을 안내하는 역학을 하는 것은?

  1. 미진
  2. 랜드
  3. 시닝
(정답률: 48%)
  • 정답은 "미진"입니다.

    미진은 드릴의 홈을 따라서 만들어진 좁은 날로, 드릴을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드릴이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랜드는 드릴의 선반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시닝은 드릴의 회전 중심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탱은 드릴의 회전 중심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드릴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절삭가공 시 표면에 나타나는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절삭조건
  2. 구동장치
  3. 가공물의 조직
  4. 경화능
(정답률: 59%)
  • 구동장치는 절삭가공 시 표면에 나타나는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구동장치는 기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절삭조건, 가공물의 조직, 경화능 등의 요소가 가공변질 층의 깊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삼선법에 의해 미터나사의 유호지름 측정시 피치가 1mm인 나사에 사용할 삼선의 지름은 약 몇 mm인가?

  1. 0.5773
  2. 0.8660
  3. 1.0000
  4. 1.7320
(정답률: 38%)
  • 삼선법에 의해 유호지름을 측정할 때, 삼각형의 내각이 60도가 되도록 삼선을 배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서로 같아야 합니다.

    피치가 1mm인 나사의 경우, 한 바퀴 회전할 때 나사가 이동하는 거리는 1mm입니다. 이때 삼선의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삼각형의 둘레는 3x이고, 이 값이 1mm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x = 1/3 mm입니다.

    삼각형의 내각이 60도가 되도록 삼선을 배치하려면,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가 x인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때, 빗변의 길이는 x√2입니다.

    삼선의 지름은 빗변의 길이와 같으므로, 삼선의 지름은 x√2 = (1/3)√2 mm입니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0.577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7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삭조건에 따른 입도의 선정에서 거친 입도의 연삭숫돌 선택 기준으로 올바른 것은?

  1. 공구 연삭
  2. 다듬질 연삭
  3. 경도가 크고 메진 가공물의 연삭
  4. 숫돌과 가공물의 접촉 면적이 클 때의 연삭
(정답률: 47%)
  • 숫돌과 가공물의 접촉 면적이 클 때의 연삭이 올바른 선택 기준인 이유는, 접촉 면적이 클수록 연삭 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입도의 연삭숫돌을 사용하면 접촉 면적이 작아져 가공물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연마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가공물의 정확도와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촉 면적이 큰 연삭숫돌을 선택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각각의 스핀들에 여러 종류의 공구를 고정하여 드릴가공, 리머가공, 탭가공 등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은?

  1. 탁상 드릴링 머신
  2. 다두 드릴링 머신
  3. 다축 드릴링 머신
  4. 레디얼 드릴링 머신
(정답률: 39%)
  • 다두 드릴링 머신은 각각의 스핀들에 여러 종류의 공구를 고정하여 드릴가공, 리머가공, 탭가공 등을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드릴링 머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의 특징이 있지만, 다두 드릴링 머신은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머신으로서 생산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모듈 5, 잇수 36인 표준 스퍼기어를 절삭하려면 바깥지름은 몇 mm로 가공하여야 하는가?

  1. 180
  2. 190
  3. 200
  4. 550
(정답률: 42%)
  • 잇수 36인 표준 스퍼기어의 모듈은 5이므로, 톱날의 두께는 5mm이다. 따라서 바깥지름은 (모듈 × 잇수 + 2 × 톱날두께) = (5 × 36 + 2 × 5) = 190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삭액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삭열은 흡수하고 제거시켜 공작물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2. 눈메움 방지와 공작물에 부착한 절삭칩을 씻어낸다.
  3.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삭능률을 저하시킨다.
  4. 방청제가 포함되어 연삭 가공면을 보호하고 연삭기의 부식을 방지한다.
(정답률: 82%)
  •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삭능률을 저하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연삭액은 공작물과 연삭도구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윤활막을 형성하여 절삭능률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다음 중 신소재의 기능성 재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형상기억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제진 합금
  4. 포정 합금
(정답률: 45%)
  • 포정 합금은 신소재의 기능성 재료에 해당하지 않는다. 포정 합금은 강철의 표면에 코팅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따라서, 신소재의 기능성 재료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반면, 형상기억 합금은 변형 후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기능을 가지며, 초소성 합금은 고온에서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신소재의 기능성 재료로서 사용된다. 제진 합금은 경량화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절삭 공구용 특수강은?

  1. Ni-Cr 강
  2. 불변강
  3. 내열강
  4. 고속도강
(정답률: 80%)
  • 고속도강은 절단 속도가 빠른 고속 절삭에 적합한 특수강으로, 높은 탄소 함량과 추가적인 합금 원소를 함유하여 경도와 인성이 높아져 내구성이 강화됩니다. 따라서 절단 시에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도 강하며, 고속 절삭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친화력이 큰 성분 금속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다른 성질을 가지는 독립된 화합물을 만드는 것은?

  1. 금속간 화합물
  2. 고용체
  3. 공정 합금
  4. 동소 변태
(정답률: 65%)
  • 친화력이 큰 성분 금속은 다른 금속과 결합하여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간 화합물은 다른 성질을 가지며, 고용체나 공정 합금 등으로 사용됩니다. 동소 변태는 금속의 구조 변화를 의미하며, 이는 금속간 화합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탄소 평형상태도에서 일어나는 불변 반응이 아닌 것은?

  1. 포정
  2. 포석
  3. 공정
  4. 공석
(정답률: 55%)
  • 철-탄소 평형상태도에서 포석은 일어나지 않는다. 포석은 철과 탄소가 고체 상태에서 함께 녹아있는 상태로, 철-탄소 평형상태도에서는 고체 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석은 불변 반응이 아니라 가변 반응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조된 상태에서 구상 흑연 주철의 조직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 형
  2. 마텐자이트 형
  3. 시멘타이트 형
  4. 펄라이트 형
(정답률: 38%)
  • 마텐자이트 형은 고온에서 빠른 냉각로 인해 형성되는 경도가 높은 조직으로, 주조된 상태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조된 상태에서 구상 흑연 주철의 조직 중 마텐자이트 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결정격자가 면심입방격자(FCC)인 금속은?

  1. Al
  2. Cr
  3. Mo
  4. Zn
(정답률: 53%)
  • 결정격자가 면심입방격자(FCC)인 금속은 원자가 가장 밀도가 높은 구조를 가지는데, FCC 구조는 원자가 가장 밀도가 높은 구조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FCC 구조를 가지는 금속은 "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연성이 좋고 색깔도 아름답기 때문에 장식용 금속잡화, 악기 등에 사용되고, 박(foil)으로 압연하여 금박의 대용으로도 사용되는 것은?

  1. 90%Cu ~ 10%Zn 합금
  2. 80%Cu ~ 20%Zn 합금
  3. 60%Cu ~ 40%Zn 합금
  4. 50%Cu ~ 50%Zn 합금
(정답률: 64%)
  • 정답은 "80%Cu ~ 20%Zn 합금"입니다. 이는 황동과 아연의 합금으로, 황동은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뛰어나고, 아연은 부식에 강하며, 녹이 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금속을 합금하면 전도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녹이 잘 일어나지 않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합금은 황동의 색깔과 아연의 밝은 색깔이 섞여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고 있어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표면 경화법은?

  1. 질화 경화법
  2. 침탄 경화법
  3. 크롬 침투법
  4. 알루미늄 침투법
(정답률: 48%)
  • 가장 낮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표면 경화법은 "질화 경화법"이다. 이는 질소 기체를 이용하여 금속 표면에 질소 원자를 침투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5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실시된다. 다른 보기들은 높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경화법이기 때문에 "질화 경화법"이 가장 낮은 온도에서 실시되는 표면 경화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알루미늄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광석 보크사이트로부터 제련하여 만든다.
  2. 염화물 용액에서 내식성이 특히 좋고, 영산, 황산 및 인산 중에서도 침식이 되지 않는다.
  3. 융점이 약 660°C이며 비중이 2.7 경금속이다.
  4.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좋고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정답률: 65%)
  •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좋고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는 알루미늄의 특징이 아니라 속성이다. 알루미늄은 대기 중에서 산화되어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이 형성되지만, 이 산화물은 더 이상의 산화를 방지하여 내식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좋다"는 특징이 아니라 속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복합재료 중 FRP는 무엇을 말하는가?

  1. 섬유 강화 목재
  2. 섬유 강화 플라스틱
  3. 섬유 강화 금속
  4. 섬유 강화 세라믹
(정답률: 83%)
  • FRP는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강화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재료로, 강도와 경량성이 뛰어나며 내식성과 내구성도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축의 직경 5cm, 길이 10cm 인 저널 베어링에 4kN 의 하중이 걸리는 경우 저널 베어링 압력은 몇 N/cm2 인가?

  1. 240
  2. 40
  3. 160
  4. 80
(정답률: 50%)
  • 저널 베어링 압력은 하중을 지지하는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압력은 하중을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저널 베어링의 면적은 원의 면적인 πr2 이다. 여기서 r은 반지름이므로, 직경이 5cm 이면 반지름은 2.5cm 이다. 따라서 면적은 π(2.5)2 = 19.63cm2 이다.

    하중은 4kN 이므로, 압력은 4kN / 19.63cm2 = 203.8N/cm2 이다.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00N/c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80 이다. 이는 계산 결과를 2.5로 나눈 값이다. 이는 직경이 5cm 이므로, 반지름이 2.5cm 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안전율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단, 안전율 S, 항복응력 σu, 허용응력 σa)

  1. S = σu × σa
  2. S = σu ― σa
(정답률: 58%)
  • 정답: ""

    안전율은 허용응력을 항복응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S = σa / σu 입니다. 그러나 주어진 보기에서는 이 식이 아닌 다른 식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올바른 식은 "" 입니다. 이 식은 허용응력을 항복응력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으로, 안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 ) 안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1. 30% 이상
  2. 40% 이상
  3. 50% 미만
  4. 60% 미만
(정답률: 44%)
  •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주어진 그림만으로는 정답이 "50% 미만"인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면에 치형을 붙여 맞물림에 의하여 전동하도록 조합한 벨트는?

  1. 평벨트
  2. V벨트
  3. 가는너비 V 벨트
  4. 타이밍벨트
(정답률: 57%)
  • 타이밍벨트는 접촉면에 치형을 붙여 맞물림에 의해 전동하도록 조합된 벨트 중에서도, 정확한 타이밍을 유지하기 위해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어서 회전하는 축과의 동기를 맞추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정확한 타이밍을 유지할 수 있어서, 자동차 엔진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름 50 mm의 축에 바깥지름 400 mm의 풀 리가 묻힘 키로 고정되어있고, 풀리의 바깥지름에 1.5kN의 접선력이 작용한다면 키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약 몇 kN 인가?

  1. 1.8
  2. 1.5
  3. 7.5
  4. 12.0
(정답률: 15%)
  • 전단력은 토크와 반지름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접선력이 주어졌으므로, 접선력과 반지름의 곱으로 토크를 구한 후, 이를 지름으로 나누어 전단력을 구할 수 있다.

    토크 = 접선력 × 반지름 = 1.5 × 10^3 N × 0.2 m = 300 Nm
    전단력 = 토크 ÷ (지름/2) = 300 Nm ÷ (0.05 m/2) = 12 kN

    따라서, 정답은 "1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위기어의 사용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속도비를 크게 하기 위해서
  2. 언더컷을 방지하기 위해서
  3. 물림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4. 이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27%)
  • 전위기어는 속도비를 크게 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이는 더 높은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엔진과 휠 사이의 기어 비율을 더 작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이는 엔진의 회전수를 높이고, 차량의 속도를 빠르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력의 단위에서 1 PS는 약 몇 [kW] 인가?

  1. 0.735
  2. 0.875
  3. 1.25
  4. 1.36
(정답률: 36%)
  • 1 PS는 0.735 kW이다. 이는 독일에서 개발된 마력 단위인 PS(Pferdestärke)가 국제 단위인 kW(kilowatt)로 변환될 때 정확히 나타나는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0.73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직사각형 단면의 판을 그림과 같이 축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감아올린 압축용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주로 오토바이의 차체 완충용에 사용되는 스프링은?

  1. 벌류트 스프링
  2. 원추형 코일 스프링
  3. 판 스프링
  4. 링 스프링
(정답률: 57%)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스프링은 원추형으로 감아져 있으며, 직사각형 단면의 판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이러한 형태의 스프링은 벌류트 스프링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반복하중을 받는 스프링에서는 그 반복속도가 스프링의 고유진동수에 가까워지면 심한 진동을 일으켜 스프링의 파손 원인 된다. 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캐비테이션
  2. 박리현상
  3. 환상 균열
  4. 서징
(정답률: 51%)
  • 정답: 서징

    서징은 반복하중을 받는 스프링에서 고유진동수와 반복속도가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때 스프링은 심한 진동을 일으켜 파손될 수 있다. 이는 스프링의 고유진동수와 반복하중의 주파수가 일치하여 공명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프링 설계 시 이러한 서징 현상을 고려하여 고유진동수와 반복하중의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두 개의 축이 평행하고, 그 축의 중심선의 위치가 약간 어긋났을 경우, 각속도는 변화 없이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려고 할 때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커플링은?

  1. 플랜지 커플링(flange coupling)
  2. 올덤 커플링(oldham coupling)
  3. 머프 커플링(muft coupling)
  4.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
(정답률: 43%)
  • 올덤 커플링은 두 축이 평행하고 중심선이 약간 어긋난 경우에 사용되며, 두 축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두 축의 중심선이 평행하지 않아도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올덤 커플링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B-spline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듭값(knot value)이란 매개변수를 여러 범위로 나누어서 각각의 블렌딩 함수가 1 이 되는 범위의 경계값이다.
  2. 균일 B-spline곡선(uniform B-spline curve)은 매듭값의 간격이 항상 1의 등간격을 이루는 것이다.
  3. 곡선의 차수와 조정점(control point)의 개수는 무관하다.
  4. 한 개의 조정점이 움직이면 몇 개의 곡석 세그먼트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는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5%)
  • "곡선의 차수와 조정점(control point)의 개수는 무관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곡선의 차수와 조정점의 개수는 B-spline 곡선의 형태와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차수가 높을수록 곡선이 더 부드럽고 곡선의 특성을 더 잘 나타낼 수 있으며, 조정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곡선이 더 자세하게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D/CAM 소프트웨어의 모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야 하는 기본요소와 거리가 제일 먼 것은?

  1. 모델 형상
  2. 모델을 구성하는 그래픽 요소(attributes)
  3. 모델의 재질특성
  4. 설계자 인적사항
(정답률: 77%)
  • CAD/CAM 소프트웨어의 모델 데이터베이스에는 모델 형상, 모델을 구성하는 그래픽 요소, 모델의 재질특성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설계자 인적사항은 모델의 제작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과 거리가 제일 먼 것입니다. 따라서 CAD/CAM 소프트웨어에서는 설계자 인적사항을 필수적으로 포함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모델이 솔리드(solid) 모델링 방법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를 나타내는 특성은?

  1. 모호성(ambiguity)
  2. 경계성(bounded)
  3. 등질 3차원성(homogeneously three dimensional)
  4. 유한성(finite)
(정답률: 38%)
  •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모호성(ambiguity)이 있어서 솔리드 모델링 방법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선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객체의 경계성(bounded)이 명확하지 않고, 등질 3차원성(homogeneously three dimensional)을 가지지 않습니다. 또한, 유한성(finite)이 보장되지 않아서 모델링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솔리드 모델링 방법으로 변환하기 전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NC의 발달과정에서 여러 대의 CNC공작기계를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하는 시스템 단계는?

  1. CAE
  2. CIM
  3. FMS
  4. DNC
(정답률: 79%)
  • DNC는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의 약자로, 여러 대의 CNC공작기계를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시스템은 CNC기계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통해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결과를 컴퓨터로부터 받아와서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DNC는 이전 단계인 NC와는 달리 여러 대의 CNC기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DN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라메트릭 모델링(Parametric model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매개변수 방정식을 이용한 자유곡면 모델링 기법
  2. 형상 구속조건과 치수조건을 이요하여 모델링하는 기법
  3. 독립된 기본형상을 더하거나 빼면서 복잡한 형상을 모델링하는 기법
  4. 무수히 많은 작은 정육면체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형상을 모델링하는 기법
(정답률: 49%)
  • 파라메트릭 모델링은 형상 구속조건과 치수조건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매개변수 방정식을 이용한 자유곡면 모델링이나 독립된 기본형상을 더하거나 빼면서 복잡한 형상을 모델링하는 기법, 무수히 많은 작은 정육면체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형상을 모델링하는 기법과는 다릅니다. 파라메트릭 모델링은 형상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모델을 수정할 수 있어서, 설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바닥면이 없는 원추형 단면(conic section)을 바닥면에 평행하게 절단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도형은?

  1. 타원(Ellipse)
  2. 쌍곡선(Hyperbola)
  3. 원(Circle)
  4. 포물선(Parabola)
(정답률: 46%)
  • 원추형의 단면이 평행한 절단면은 원형이 됩니다. 이는 원추형이 원을 포함하는 도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Circ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터빈 블레이드나 선박의 스크루(screw), 항공기 부품 등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가공 방식은?

  1. 2.5축 가공
  2. 3축 가공
  3. 4축 가공
  4. 5축 가공
(정답률: 75%)
  • 터빈 블레이드나 선박의 스크루, 항공기 부품 등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가공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5축 가공은 X, Y, Z 축 이동과 함께 회전 축도 추가되어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5축 가공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AD/CAM 시스템의 출력장치 중에서 충격식으로 운영되는 프린터는?

  1. 열전사 프린터
  2. 도트 프린터
  3. 레이저 프린터
  4. 잉크젯 프린터
(정답률: 75%)
  • 도트 프린터는 충격식으로 운영되며,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인쇄물 표면에 작은 점들을 찍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는 인쇄물의 해상도가 낮고 속도가 느리지만, 인쇄물의 내구성이 높아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식에서 a가 –1< a < 0 범위 내에 있으면 도형은 어떤 변환을 하는가?

  1. x 방향의 확대
  2. y 방향의 확대
  3. x 방향으로 축소 후, y축에 대해 반사(reflection)
  4. y 방향으로 축소 후, x축 방향으로 전단(shearing)
(정답률: 48%)
  • -1< a < 0 범위 내에 있으면 도형은 x축 방향으로 축소되고, y축에 대해 반사(reflection)된다. 이는 a가 음수이므로 x축 방향으로의 확대가 아닌 축소가 일어나며, y축에 대해 반사(reflection)가 일어나는 이유는 a가 -1보다 크기 때문에 y축 방향으로의 반전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기본요소의 정의 방법 중에서 직선을 정의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한 개의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2. 한 점과 어떤 원호의 접선이나 법선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3. 중심점과 반지름을 정의한다.
  4. 두 개의 곡선에 접선을 연결하여 정의한다.
(정답률: 47%)
  • 직선을 정의하는 방법 중에서 중심점과 반지름을 정의하는 것은 원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직선을 정의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Solid model의 data 구조 중 CSG와 비교한 경계 표현방식(Boundary representation)의 특징은?

  1. 기본도형을 직접 입력하므로 data의 작성이 용이하다.
  2. 데이터의 수정이 용이하다.
  3. 위상요소와 기하요소를 사용하여 솔리드를 표현한다.
  4. Data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기억용량을 사용한다.
(정답률: 41%)
  • Boundary representation은 위상요소(topological element)와 기하요소(geometric element)를 사용하여 솔리드를 표현합니다. 이는 솔리드를 구성하는 면, 모서리, 꼭짓점 등의 위상적 정보와 이들의 위치, 크기, 방향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솔리드의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정이나 변환 등이 용이하며, 기본도형을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성이 비교적 어렵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AD/CAM시스템 간에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모델의 입출력 데이터 표준 형식을 알맞은 것은?

  1. ISO
  2. IGES
  3. LISP
  4. ANSI
(정답률: 74%)
  • 정답은 "IGES"입니다. IGES는 Initial Graphics Exchange Specification의 약자로, CAD/CAM 시스템 간에 입출력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형식입니다. IGES는 다양한 CAD/CAM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의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SG 트리 자료구조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자료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의 양이 적다.
  2. CSG표현은 항상 대응되는 B-Rep모델로 치환 가능하다.
  3.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4. 리프팅이나 라운딩과 같이 편리한 국부 변형기능의 사용이 용이하다.
(정답률: 27%)
  • CSG 트리 자료구조의 일반적인 특징 중 틀린 것은 "자료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의 양이 적다." 입니다. CSG 트리는 복잡한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자료구조이며, 데이터의 양은 모델의 복잡도에 따라 증가할 수 있습니다.

    리프팅이나 라운딩과 같은 국부 변형기능의 사용이 용이한 이유는 CSG 트리가 모델의 부분을 쉽게 선택하고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모델의 일부분만 선택하여 변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파라메트릭 모델링을 구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물을 작은 공구를 가지고 처음부터 끝까지 가공하는 것은 작업 효율이 나쁘므로 공구의 크기가 큰 것에서 작은 순으로 3단계로 나누어 가공한다. 전 단계의 가공 후, 가공이 되지 않은 부분이 곡면간의 구석에 매우 적게 남아 있어서 단순히 곡선을 따라 가면서 가공하는 형태의 가공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황삭 가공
  2. 펜슬 가공
  3. 쾌속 가공
  4. 중삭 가공
(정답률: 60%)
  • 정답은 "펜슬 가공"이다. 이는 작은 공구를 사용하여 곡면을 따라 가공하는 형태의 가공법으로, 전 단계의 가공 후에도 가공이 되지 않은 부분이 매우 적게 남아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곡면을 부드럽게 가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서로 다른 두 개의 곡면이 만날 때 매끄럽게 연결하는 모델링 기법은?

  1. 블렌딩(blending)
  2. 스키닝(skinning)
  3. 리프팅(lifting)
  4. 쉐이딩(shading)
(정답률: 66%)
  • 서로 다른 두 개의 곡면이 만날 때 매끄럽게 연결하는 모델링 기법은 "블렌딩(blending)" 입니다. 이는 두 개의 곡면을 서로 섞어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기술로, 예를 들어 얼굴과 몸통을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기술은 3D 모델링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며, 자연스러운 모델링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번스타인(Bernstein) 다항식에 의하여 주어진 점들을 표현하는 형상에 가깝도록 자유로이 형상을 제어 할 수 있는 곳선은?

  1. 단면 곡선
  2. 베지어 곡선
  3. 스파인 곡선
  4. 실루엣 곡선
(정답률: 75%)
  • 번스타인 다항식은 주어진 점들을 통해 자유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데, 이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점들을 연결하는 곡선이 필요합니다. 이때, 베지어 곡선은 점들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어내는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베지어 곡선은 번스타인 다항식에 의해 주어진 점들을 표현하는 형상에 가깝도록 자유로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는 곳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삼각형 OAB를 원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60° 회전시킬 때 점 B(1, 2)의 회전한 점의 x 좌표를 α, y좌표를 β라 할 때 α+β 값은?

(정답률: 40%)
  • 점 B(1, 2)를 반시계 방향으로 60° 회전시키면 삼각형 OAB는 삼각형 OA'B'가 됩니다. 이때, 회전 변환은 각 좌표를 다음과 같이 변환시킵니다.

    x' = x*cosθ - y*sinθ
    y' = x*sinθ + y*cosθ

    여기서 θ는 회전하는 각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θ = 60°이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1*cos60° - 2*sin60° = 1 - √3
    y' = 1*sin60° + 2*cos60° = 2*cos60° = 1

    따라서, α+β = (1 - √3) + 1 = 2 - √3 이므로, 정답은 ""입니다.

    보기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각형으로 표현된 곡면의 각 꼭지점에서 반사광의 강도를 보간하여 내부의 화소에서 반사광의 강도를 계산하는 렌더링 기법은?

  1. 퐁(Phong) 음영법
  2. 고라드(Gouraud) 음영법
  3. 광선 추적법
  4. Z 버퍼링
(정답률: 27%)
  • 고라드 음영법은 다각형으로 표현된 곡면의 각 꼭지점에서 반사광의 강도를 보간하여 내부의 화소에서 반사광의 강도를 계산하는 렌더링 기법이다. 이는 꼭지점에서의 색상을 계산하여 다각형 내부의 모든 픽셀에 대해 보간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며, 더욱 자연스러운 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라드 음영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3차원의 형상을 정의하는데 공학적인 해석이나 물리적 성질에 응용하기 위한 가장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링 방법은 무엇인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wire frame model)
  2. 서피스 모델(surface model)
  3. 솔리드 모델(solid model)
  4. 곡선 모델(curve model)
(정답률: 84%)
  • 솔리드 모델은 3차원 형상을 완전하게 정의하며, 공간 내의 모든 점들이 속하는 공간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공학적인 해석이나 물리적 성질에 응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델링 방법이다. 반면, 와이어 프레임 모델은 선분으로만 구성되어 형상의 내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피스 모델은 표면만 정의되어 있어 형상의 내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곡선 모델은 2차원 형상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3차원 형상을 정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솔리드 모델이 가장 완전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링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2장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작은 셀을 다수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전극(+ 와 -) 사이에서 네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에 방전을 일으켜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자기발광시켜 컬러 화상을 재현하는 원리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1. Electroluminescent display
  2. Liquid crystal display
  3. Plasma display panel
  4. Image scanner
(정답률: 47%)
  • 2장의 얇은 유리판 사이에 작은 셀을 다수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전극(+ 와 -) 사이에서 네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에 방전을 일으켜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자기발광시켜 컬러 화상을 재현하는 원리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Plasma display pane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보기와 같은 축 A와 부시 B의 끼워 맞춤에서 최소 틈새가 0.2mm이고, 축의 공차가 0.50mm일 때, 축 A의 최대치수와 최소 치수는?

  1. 최대 : 17.78mm, 최소 : 17.28mm
  2. 최대 : 18.02mm, 최소 : 17.52mm
  3. 최대 : 18.00mm, 최소 : 17.50mm
  4. 최대 : 18.28mm, 최소 : 17.78mm
(정답률: 42%)
  • 최소 틈새가 0.2mm이므로, 축 A의 최소치수는 부시 B의 최대치수보다 0.2mm 작아야 한다. 따라서, 축 A의 최소치수는 17.58mm이 된다.

    축의 공차가 0.50mm이므로, 축 A의 최대치수는 부시 B의 최소치수보다 0.50mm 크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축 A의 최대치수는 17.58mm + 0.50mm = 18.08mm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8.08mm보다 작은 값들만 주어졌으므로, 그 중에서 최대치수는 17.78mm가 된다.

    따라서, 축 A의 최대치수는 17.78mm, 최소치수는 17.58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투상도는 제 3각법 정투상도이다. 우측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51%)
  • 우측면도는 정면과 측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투상도이다. 이 그림에서는 물체의 정면이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우측면도에서는 물체의 측면이 오른쪽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 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과 같은 부분 조립도에서 기능상 부품 ①을 나타낸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7%)
  • 정답인 ""는 부품 ①이 구멍에 딱 맞게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품 ①과 구멍이 맞지 않거나, 부품 ①이 필요하지 않은 구멍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계제도 도면을 그리다 보면 선이 우연히 겹치는 경우가 많다. 답항의 선들이 모두 겹쳤을 때에 가장 우선적으로 나타내야 하는 선은?

  1. 절단선
  2. 무게중심선
  3. 치수 보조선
  4. 숨은선
(정답률: 72%)
  • 정답은 "숨은선"입니다. 이유는 기계제도 도면에서 숨은선은 실제 제품의 형태와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선으로, 다른 선들이 겹쳐져 있어도 반드시 나타내야 하는 선입니다. 절단선은 제품을 자를 위치를 나타내는 선, 무게중심선은 제품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선, 치수 보조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적인 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가공 방법의 기호 중 줄 다듬질을 나타내는 것은?

  1. FL
  2. FF
  3. FS
  4. FR
(정답률: 73%)
  • 줄 다듬질은 "FF"로 표시됩니다. 이는 "F"가 가공 방향을 나타내고, "F"가 두 번 나타나므로 양쪽 면에서 가공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FF"는 양면에서 줄 다듬질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data/bo/bo20090830/bo20090830m66m1.gif"> 과 같이 치수 밑에 굵은 실선을 적용하였을 때 이 치수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500 의 치수 부분은 비례척이 아님
  2. 치수 500 만큼 표면 처리를 함
  3. 치수 500 부분을 특히 정밀 가공을 함
  4. 치수 500 은 참고 치수임
(정답률: 45%)
  • 이 그림에서 치수 500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비례척이 아닌 일반적인 치수 표시 방법입니다. 따라서 "500 의 치수 부분은 비례척이 아님"이 정답입니다. 이 치수는 표면 처리나 정밀 가공과는 무관하며, 단순히 참고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용접 기호 중 의 용접 종류는?

  1. 필릿 용접
  2. 비드 용접
  3. 점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률: 76%)
  • 은 두 개의 금속재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용접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두 개의 원형이 겹쳐져 있는 모양으로, 이는 필릿 용접을 나타냅니다. 필릿 용접은 두 개의 금속재를 접합하여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안에 용접재를 채워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작은 부품을 용접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필릿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준치수가 30, 최대 허용치수가 29.98, 최소 허용치수가 29.95일 때 아래 치수 허용차는 얼마인가?

  1. +0.05
  2. +0.03
  3. -0.05
  4. -0.02
(정답률: 50%)
  • 치수 허용차는 기준치수와 최대/최소 허용치수의 차이로 계산된다. 따라서, 치수 허용차는 30 - 29.95 = +0.05 이다. 하지만 최대 허용치수가 29.98이므로, 실제로는 29.98 - 29.95 = -0.03의 허용차를 가진다. 따라서 정답은 "-0.03"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표면의 결을 도시할 때 제거가공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는 기호는?

(정답률: 67%)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표면의 결을 도시할 때 제거가공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기호는 표면의 결을 그대로 두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제거가공을 허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치수 20 부분의 굵은 1점 쇄선표시가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공차가 ø8h9 되게 축 전체 길이부분에 필요하다.
  2. 공차 ø8h9 부분은 축 길이 20 되는곳 까지만 필요하다.
  3. 치수20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공차가 ø8h9 되게 가공한다.
  4. 공차가 ø8h9 보다 약간 적게 한다.
(정답률: 72%)
  • 치수 20 부분은 축의 길이가 정확히 20이 되어야 하므로, 공차 ø8h9 부분은 축 길이 20이 되는 곳까지만 필요하다. 즉, 치수 2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공차가 ø8h9 되게 가공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머시닝센터 프로그래밍에서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은?

  1. M06
  2. M09
  3. M30
  4. M99
(정답률: 78%)
  • "M06"은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G-code 중 하나이다. 이 코드는 현재 사용 중인 공구를 해제하고 다음 공구를 선택하도록 CNC 컨트롤러에 지령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인 "M0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NC선반에서 지령값 X25.0으로 프로그램하여 내경을 가공 후 측정하였더니 ø24.4 이었다. 해당 공구의 공구 보정값을 얼마로 수정해야 하는가? (단, 현재의 공구 보정값은 X = 4.2, Z = 6.0 이고, 직경 지정임)

  1. X = 4.8, Z = 6.0
  2. X = 4.8, Z = 6.6
  3. X = 3.6, Z = 6.0
  4. X = 3.6, Z = 6.6
(정답률: 62%)
  • 내경이 지령값보다 작으므로 공구의 지름이 실제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X값을 더 크게 수정해야 한다. Z값은 내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정답은 "X = 4.8, Z =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NC공작기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2.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3. 특수공구의 제작으로 공구관리비가 많이 소요된다.
  4. 범용 공작기계보다 기계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80%)
  • CNC공작기계는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특수공구의 제작으로 공구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CNC공작기계는 범용 공작기계보다 기계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NC공작기계로 자동운전 중 다만 이송만 멈추게 하려면 어느 버튼을 누르는가?

  1. FEED HOLD
  2. SINGLE BLOCK
  3. DRY RUN
  4. Z AXIS LOCK
(정답률: 73%)
  • "FEED HOLD" 버튼을 누르면 CNC공작기계의 자동운전을 일시정지할 수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이송은 멈추지만, 기계는 여전히 작동 중이며,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송만 멈추고 기계를 계속 작동시키려면 "FEED HOLD"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SINGLE BLOCK" 버튼은 한 번에 한 줄씩 실행하도록 기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DRY RUN" 버튼은 실제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가 작동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사용됩니다. "Z AXIS LOCK" 버튼은 Z축 이동을 잠그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공구경 보정을 시작하는 블록(Start-Up 블록)은?

  1. N11
  2. N12
  3. N14
  4. N15
(정답률: 57%)
  • 공구경 보정을 시작하는 블록은 "N14"이다. 이유는 "N14" 블록이 "Start-Up" 블록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Start-Up" 블록은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나타내며, 이 블록 이후에 설정된 블록들이 실행된다. 따라서 "N14" 블록이 "Start-Up" 블록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공구경 보정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이 블록부터 실행이 시작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NC 방전가공에 대한 설명 중 가공속도를 빠르게 하는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방전시간을 작게 한다.
  2. 휴지시간을 작게 한다.
  3. 방전에너지를 작게 한다.
  4. 방전 최대전류를 작게 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휴지시간을 작게 한다."입니다.

    CNC 방전가공에서 휴지시간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전극과 작업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방전 전류가 강해지고 가공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휴지시간을 작게 조절하는 것이 가공속도를 빠르게 하는 가장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서보 모터(servo motor)에서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방식으로서, 백래시(backlash)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볼스크루(ball screw) 등을 활용하여 정밀도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일반 CNC공작기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서보(servo) 방식은?

  1. 개방회로 방식(open loop system)
  2. 반폐쇄회로 방식(semi-closed loop system)
  3. 폐쇄회로 방식(closed loop system)
  4. 반개방회로 방식(semi-open loop system)
(정답률: 72%)
  •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방식이므로, 서보 모터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위치 센서를 사용하는데, 반폐쇄회로 방식은 위치 센서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읽어들이지만, 제어 신호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폐쇄회로 방식과는 달리,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개방회로 방식보다는 정확도가 높지만,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보정하지 않는 반개방회로 방식보다는 정확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반폐쇄회로 방식은 정확도와 비용의 균형을 맞춘 방식으로, 일반 CNC공작기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에서 현재의 공구위치가 점 P1이며, P2를 거쳐 P3까지 원호가공을 하려 한다. 가장 알맞은 프로그램은?

  1. N100 G90 G17 X60. Y97. I-35. J0 F300 ;
    N101 G03 X35. Y97. I-25. J0 ;
  2. N100 G90 G17 G03 X60. Y97. I0. J-35. F300 ;
    N101 G02 X35. Y97. I-25. J0 ;
  3. N100 G90 G17 G02 X60. Y97. I-35. J0 F300 ;
    N101 G03 X35. Y72. I-25. J0 ;
  4. N100 G90 G17 G03 X60. Y97. I-35. J0 F300 ;
    N101 G02 X35. Y72. I-25. J0 ;
(정답률: 50%)
  • 정답은 "N100 G90 G17 G03 X60. Y97. I-35. J0 F300 ;
    N101 G02 X35. Y72. I-25. J0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90: 절대좌표 지정 모드
    - G17: XY 평면 선택
    - G03: 시계방향 원호 보간 모드
    - X60. Y97.: 현재 위치에서 원호의 끝점인 P3까지 이동
    - I-35. J0: 현재 위치에서 원호의 중심인 P2까지 이동
    - F300: 이동 속도 300mm/min
    - G02: 반시계방향 원호 보간 모드
    - X35. Y72.: P2에서 P1까지 이동
    - I-25. J0: P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25mm 이동

    따라서, P1에서 P2까지는 G02 모드를 사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P2에서 P3까지는 G03 모드를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호가공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준비기능 중 명령된 블록(Block)에서만 지령이 유효한(one-shot) G 코드는?

  1. G00
  2. G01
  3. G04
  4. G97
(정답률: 60%)
  • 정답: G04

    G04는 지연(delay) 명령으로, 명령된 블록에서만 지령이 유효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프로그램 실행을 멈추고 지정된 시간(초)만큼 기다린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따라서 G04는 한 번 실행되면 다시 실행되지 않으며, 지연 시간을 변경하려면 새로운 G04 명령을 입력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G04는 "one-shot" G 코드로 분류됩니다.

    반면, G00은 빠른 이동, G01은 직선 보간, G97은 고속 주축 선택과 관련된 명령으로, 이들은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one-shot" G 코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NC공작기계에 이상 발생시 작업자가 할 응급처치 요령 중 관계가 먼 것은?

  1. 작업을 멈추고 원인을 제거한다.
  2. 경고등이 점등되었는지 확인한다.
  3. 강전반의 회로도를 점검한다.
  4. 비상스위치를 작동시켜 작업을 정지한다.
(정답률: 73%)
  • 강전반의 회로도를 점검하는 것은 CNC공작기계의 이상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관계가 먼 것이다. CNC공작기계의 이상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멈추고 원인을 제거하거나 경고등이 점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상스위치를 작동시켜 작업을 정지하는 것도 이상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를 위한 중요한 요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