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서멧(Cermet)공구를 제작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WC(텅스텐 탄화물)을 Co로 소결
  2. Fe에 Co를 가한 소결초경 합금
  3. 주성분이 W, Cr, Co, Fe로 된 주조 합금
  4. Al2O3분말에 TiC 분말을 혼합 소결
(정답률: 65%)
  • 서멧(Cermet)은 금속과 세라믹의 혼합체로, 고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서멧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금속과 세라믹의 혼합 비율과 소결 공정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Al2O3분말에 TiC 분말을 혼합 소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TiC가 고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난 세라믹이며, Al2O3는 금속과의 결합력이 높은 세라믹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며, 고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난 서멧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축대의 위치를 정밀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식 측정장치, 다이얼게이지, 광학적 측정장치를 갖추고 있는 보링머신은?

  1. 수직 보링머신
  2. 보통 보링머신
  3. 지그 보링머신
  4. 코어 보링머신
(정답률: 67%)
  • 지그 보링머신은 주축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나사식 측정장치, 다이얼게이지, 광학적 측정장치를 갖추고 있어서 정밀한 보링 작업이 가능합니다. 이에 비해 수직 보링머신은 수직 방향으로만 보링이 가능하고, 보통 보링머신은 일반적인 보링 작업에 사용되며, 코어 보링머신은 내부 구조물의 보링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으로 각도 측정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컴비네이션 세트
  2. 나이프 에지
  3. 광학식 클리노미터
  4. 오토 콜리메이터
(정답률: 73%)
  • 나이프 에지는 일반적으로 각도 측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단순한 평면 도구로, 각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컴비네이션 세트, 광학식 클리노미터 및 오토 콜리메이터는 모두 각도 측정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계 작업시 안전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 위에 공구나 재료를 올려놓는다.
  2. 선반 작업시 보호안경을 착용한다.
  3. 사용 전 기계ㆍ기구를 점검한다.
  4. 절삭공구는 기계를 정지시키고 교환한다.
(정답률: 93%)
  • "기계 위에 공구나 재료를 올려놓는다."는 기계 작업시 안전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기계 위에 물체를 올려놓으면 떨어지거나 기계 작동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체가 기계 내부로 떨어져 기계 손상이나 작업자 부상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계 작업시에는 기계 위에 어떠한 물체도 올려놓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어 피치원의 지름이 150mm, 모듈(module)이 5인표준형 기어의 잇수는? (단, 비틀림각은 30°이다.)

  1. 15개
  2. 30개
  3. 45개
  4. 50개
(정답률: 75%)
  • 기어 피치원의 지름이 150mm 이므로, 원주는 πd = 471mm 이다. 모듈이 5인표준형 기어의 공차는 0.3mm 이므로, 톱니끼움면의 두께는 5 × 0.3 = 1.5mm 이다. 비틀림각이 30° 이므로, 톱니의 두께를 기준으로 톱니의 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471 = (15 + z) × 1.5 × cos30°
    471 = (15 + z) × 1.299
    z = (471 / 1.299) - 15
    z ≈ 30

    따라서, 잇수는 3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절삭공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고온 경도가 높아야 한다.
  2. 내마모성이 좋아야 한다.
  3. 마찰계수가 적어야 한다.
  4. 충격을 받으면 파괴되어야 한다.
(정답률: 94%)
  • "충격을 받으면 파괴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절삭공구는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회전하면서 재료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충격을 받으면 파괴되면 작업이 중단되고 안전에도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절삭공구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온 경도가 높아야 하며, 내마모성이 좋아야 하며, 마찰계수가 적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반에서 가공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기어절삭
  2. 테이퍼절삭
  3. 보링
  4. 총형절삭
(정답률: 72%)
  • 기어절삭은 선반에서 가공할 수 없는 작업이다. 이는 기어절삭이 복잡한 형상을 가진 기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선반의 회전축과 기어의 회전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선반에서 가공할 수 없다. 따라서 기어절삭은 전용 기계를 사용하여 가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센터리스 연삭작업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센터구멍이 필요 없는 원통 연삭에 편리하다.
  2. 연속작업을 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3. 대형 중량물도 연삭이 용이하다.
  4.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하다.
(정답률: 74%)
  • 센터리스 연삭작업은 센터구멍이 필요 없는 원통 연삭에 편리하고, 연속작업을 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하다. 따라서 대형 중량물도 연삭이 용이하다는 것은 센터리스 연삭작업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기 마이크로메타를 그 원리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량식
  2. 배압식
  3. 광학식
  4. 유속식
(정답률: 76%)
  • 공기 마이크로메타는 유량, 배압, 유속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광학식은 이에 속하지 않습니다. 광학식은 레이저나 광섬유를 이용하여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링머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밀링커터 날 1개당 이송거리×커터의 날 수×커터의 회전수로 산출한다.
  2. 플레노형 밀링머신은 대형의 공작물 또는 중량물의 평면이나 홈 가공에 사용한다.
  3. 하향절삭은 커터의 날이 일감의 이송방향과 같으므로 일감의 고정이 간편하고 뒤틈 제거장치가 필요 없다.
  4. 수직 밀링머신은 스핀들이 수직방향으로 장치되며 엔드밀로 홈 깎기, 옆면 깎기 등을 가공하는 기계이다.
(정답률: 82%)
  • "하향절삭은 커터의 날이 일감의 이송방향과 같으므로 일감의 고정이 간편하고 뒤틈 제거장치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하향절삭 방식은 커터의 날이 일감의 표면을 아래에서부터 절삭하는 방식으로, 일감의 고정이 간편하고 뒤틈 제거장치가 필요 없다는 것은 오히려 상향절삭 방식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측정기, 피측정물, 자연 환경 등 측정자가 파악할 수 없는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1. 시차
  2. 우연오차
  3. 계통오차
  4. 후퇴오차
(정답률: 84%)
  • 우연오차는 측정자가 파악할 수 없는 자연적인 변화나 불규칙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측정기, 피측정물, 자연 환경 등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우연오차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오차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길이가 짧고 지름이 큰 공작물을 절삭하는데 사용되는 선반으로 면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1. 수직선반
  2. 정면선반
  3. 탁상선반
  4. 터릿선반
(정답률: 64%)
  • 정면선반은 면판을 구비하고 있어서 길이가 짧고 지름이 큰 공작물을 절삭하는데 적합합니다. 수직선반은 면판이 없어서 작은 부품 가공에 적합하고, 탁상선반은 작은 작업물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며, 터릿선반은 여러 도구를 자동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가공을 할 수 있는 고급 선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반의 심압대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베드의 안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2. 센터는 편위 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베드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4. 심압축은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끝부분은 내셔널 테이퍼로 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8%)
  • 선반의 심압대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베드의 안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다. 이 조건은 선반의 이동 가능성과 관련된 것으로, 심압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심압축은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끝부분은 내셔널 테이퍼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다. 이 조건은 심압대의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선반의 정확한 위치 조정과 작업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삭액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거품 발생이 많을 것
  2. 냉각성이 우수할 것
  3. 인체에 해가 없을 것
  4. 화학적으로 안정될 것
(정답률: 93%)
  • "거품 발생이 많을 것"은 올바른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연삭액에서 거품이 발생하면 연삭 작업에 방해가 되고, 불안정한 작업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삭액은 거품 발생이 적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어가 회전운동을 할 때 접촉하는 것과 같은 상대운동으로 기어를 절삭하는 방법은?

  1. 창성식 기어 절삭법
  2. 모형식 기어 절삭법
  3. 원판식 기어 절삭법
  4. 성형공구 기어 절삭법
(정답률: 77%)
  • 창성식 기어 절삭법은 회전운동을 하는 기어와 상대운동을 하는 절삭칼을 이용하여 기어를 절삭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어와 절삭칼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절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절삭이 가능하며, 절삭칼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어를 절삭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제조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면도 검사에 가장 적합한 측정기기는?

  1. 옵티컬 플랫
  2. 공구 현미경
  3. 광학식 클리노미터
  4. 투영기
(정답률: 69%)
  • 마이크로미터 측정면의 평면도 검사에 가장 적합한 측정기기는 옵티컬 플랫입니다. 이는 평면도 검사에 특화된 광학기기로, 높은 정밀도와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또한, 다른 측정기기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조작과 빠른 측정이 가능하며,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제공되어 측정 대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초음파 가공에 주로 사용하는 연삭입자의 재질이 아닌 것은?

  1. 산화알루미나계
  2. 다이아몬드 분말
  3. 탄화규소계
  4. 고무분말계
(정답률: 67%)
  • 고무분말계는 연삭입자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고무분말계는 연마력이 낮아 초음파 가공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음파 가공에 주로 사용되는 연삭입자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나계, 다이아몬드 분말, 탄화규소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머 작업의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머의 타격면이 넓어진 것을 골라서 사용한다.
  2. 장갑이나 기름이 묻은 손으로 자루를 잡지 않는다.
  3. 담금질된 재료는 함부로 두드리지 않는다.
  4. 쐐기를 박아서 해머의 머리가 빠지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81%)
  • "해머의 타격면이 넓어진 것을 골라서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넓은 타격면을 가진 해머는 작업 시 힘이 골고루 분산되어 부상의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속가공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황삭부터 정삭까지 한 번의 셋업으로 가공이 가능하다.
  2. 열처리된 소재는 가공할 수 없다.
  3. 칩(Chip)에 열이 집중되어, 가공물은 절삭열 영향이 적다.
  4. 절삭저항이 감소하고, 공구수명이 길어진다.
(정답률: 66%)
  • "열처리된 소재는 가공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고속가공은 열처리된 소재도 가공이 가능하며, 오히려 열처리된 소재에서 더욱 효과적인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밀링머신에서 단식분할법을 사용하여 원주를 5등분하려면 분할크랭크를 몇 회전씩 돌려가면서 가공하면 되는가?

  1. 4
  2. 8
  3. 9
  4. 16
(정답률: 59%)
  • 단식분할법은 분할크랭크를 한 바퀴 돌릴 때마다 원주를 반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따라서 원주를 5등분하려면 분할크랭크를 5번 돌려야 한다. 5번 돌리기 위해서는 4번, 8번, 9번, 16번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데, 4번 돌리면 원주가 2등분되므로 부족하고, 9번 돌리면 원주가 8등분되므로 너무 많이 나누어지므로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8번 돌리면 원주가 2^3 = 8등분되므로 정답은 "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일정한 온도 영역과 변형속도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며, 이때 강도가 낮고, 연성이 크므로 작은 힘으로 복잡한 형상의 성형이 가능한 기능성 재료는?

  1. 형상기억 합금
  2. 초소성 합금
  3. 초탄성 합금
  4. 초인성 합금
(정답률: 71%)
  • 초소성 합금은 일정한 온도와 변형속도 영역에서 유리질처럼 늘어나며, 이때 강도가 낮고, 연성이 크므로 작은 힘으로 복잡한 형상의 성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초소성 합금은 기능성 재료로서 매우 유용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특수강에서 합금원소의 주요한 역할이 아닌 것은?

  1.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
  2. 황 등의 해로운 원소 제거
  3. 소성가공성의 감소
  4. 오스테나이트 입자 조정
(정답률: 60%)
  • 특수강에서 합금원소의 주요한 역할은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 황 등의 해로운 원소 제거, 오스테나이트 입자 조정입니다. 그러나 소성가공성의 감소는 합금원소의 주요한 역할이 아닙니다. 소성가공성은 금속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성질 중 하나로, 금속이 가지고 있는 가공성이나 성형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합금원소가 추가될 경우 소성가공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금속의 냉각속도가 빠르면 조직은 어떻게 되는가?

  1. 조직이 치밀해진다.
  2. 조직이 거칠어진다.
  3. 불순물이 적어진다.
  4. 냉각속도와 조직은 아무 관계가 없다.
(정답률: 70%)
  • 금속이 빠르게 냉각되면, 금속 내부의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이지 못하고 서로 묶이게 되어 조직이 치밀해진다. 이는 불순물이 적어지는 효과도 있지만, 냉각속도와 조직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조직이 치밀해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구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 및 열의 전도성이 우수하다.
  2.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3. 화학적 저항력이 작아 부식이 잘 된다.
  4. 아름다운 광택과 귀금속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74%)
  • "화학적 저항력이 작아 부식이 잘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구리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부식에 강한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합금강을 제조하는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내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2. 단접 및 용접성 향상을 위하여
  3. 결정입자의 크기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4. 고온에서의 기계적 성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6%)
  • "결정입자의 크기를 성장시키기 위하여"는 합금강을 제조하는 목적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결정입자의 크기를 성장시키면 합금강의 경도와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금강을 제조할 때는 결정입자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4% Cu, 2% Ni, 1.5% Mg 이 함유된 Al 합금으로서 내열성이 크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실린더 헤드나 피스톤 등에 적합한 합금은?

  1. 실루민
  2. Y-합금
  3. 로엑스
  4. 두랄루민
(정답률: 78%)
  • Y-합금은 Cu, Ni, Mg 함량이 높아 내열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실린더 헤드나 피스톤 등에 적합한 합금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제시된 Cu, Ni, Mg 함량이 4%, 2%, 1.5%인 합금은 Y-합금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형상기억합금인 니티놀(nitinol)의 성분은?

  1. Cu-Zn
  2. Ti-Ni
  3. Ni-Cr
  4. Al-Cu
(정답률: 85%)
  • 니티놀은 티타늄(Ti)과 니켈(Ni)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Ti-N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연을 5~20% 첨가한 것으로 금색에 가까워 금박 대용으로 사용하며 특히 화폐, 메달 등에 주로 사용되는 황동은?

  1. 톰백
  2. 실루민
  3. 문쯔메탈
  4. 고속도강
(정답률: 84%)
  • 톰백은 아연을 5~20% 첨가하여 만들어진 황동으로, 금색에 가까워 금박 대용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화폐, 메달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청동에서 인(P)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쇳물의 유동을 좋게 한다.
  2. 강도와 인성을 증가시킨다.
  3. 탄성을 나쁘게 한다.
  4. 내식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71%)
  • 인청동은 철계면에 인(P)을 첨가하여 강도와 인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탄성을 나쁘게 하는 효과는 없다. 따라서 "탄성을 나쁘게 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구조용 복합재료 중에서 섬유강화 금속은?

  1. FRTP
  2. SPF
  3. FRM
  4. FRP
(정답률: 86%)
  • 섬유강화 금속은 FRM이다. FRM은 Fiber Reinforced Metal의 약자로, 금속 매트릭스에 섬유 강화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복합재료이다. 이는 금속의 강도와 섬유 강화재료의 경량성을 결합하여 높은 강도와 경량성을 가지는 재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무 스프링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개의 고무로 2축 또는 3축 방향의 하중에 대한 흡수가 가능하다.
  2. 형상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가 가능하다.
  3. 방진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4. 특히 인장하중에 대한 방진효과가 우수하다.
(정답률: 57%)
  • "특히 인장하중에 대한 방진효과가 우수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무 스프링은 인장하중에 대한 방진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고무 스프링의 재료 특성상 인장하중에 대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무 스프링은 압축하중에 대한 방진효과가 뛰어나며, 이를 이용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속도비 3:1, 모듈3, 피니언(작은 기어)의 잇수 30인 한 쌍의 표준 스퍼 기어의 축간 거리는 몇 mm 인가?

  1. 60
  2. 100
  3. 140
  4. 180
(정답률: 48%)
  • 속도비 3:1이므로 피니언의 회전수는 기어의 회전수보다 3배 빠르다. 모듈이 3이므로 한 치의 높이는 3mm이다. 따라서 피니언의 지름은 30x3=90mm이다. 표준 스퍼 기어의 잇수는 30이므로 지름은 30x3=90mm이다. 두 기어의 지름 합은 180mm이므로 축간 거리는 18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10kN의 축하중이 작용하는 볼트에서 볼트 재료의 허용인장응력이 60MPa 일 때 축하중을 견디기 위한 볼트의 최소 골지름은 약 몇 mm 인가?

  1. 14.6
  2. 18.4
  3. 22.5
  4. 25.7
(정답률: 38%)
  • 볼트의 최소 골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볼트의 단면적과 허용인장응력을 이용하여 인장력을 구한 후, 이를 축하중과 비교하여 최소 골지름을 구해야 한다.

    볼트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π/4 x d^2

    여기서 d는 볼트의 골지름이다.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F/A

    여기서 F는 축하중이고, A는 볼트의 단면적이다.

    볼트의 허용인장응력은 60MPa이므로, 인장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σ x A = 60 x 10^6 x π/4 x d^2

    이제 축하중인 10kN과 인장력을 비교하여 최소 골지름을 구할 수 있다.

    10kN ≤ 60 x 10^6 x π/4 x d^2

    d^2 ≥ 10 x 10^3 / (60 x 10^6 x π/4)

    d^2 ≥ 0.0000264

    d ≥ √0.0000264

    d ≥ 0.00514

    따라서, 볼트의 최소 골지름은 약 5.14mm이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4.6이므로 정답은 1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볼트 이음이나 리벳 이음 등과 비교하여 용접 이음의 일반적인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잔류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2. 기밀 및 수밀성이 양호하다.
  3.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제작비가 싼 편이다.
  4. 전체적인 제품 중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잔류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용접 이음이 다른 이음 방법과 비교하여 장점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실제로 용접 이음은 다른 이음 방법과 비교하여 잔류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잔류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하여 V-벨트 전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비교적 큰 동력을 전달한다.
  2. 장력이 커서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큰 편이다.
  3. 미끄럼이 작고 속도비가 크다.
  4. 바로걸기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8%)
  • "장력이 커서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큰 편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V-벨트는 평벨트보다 장력이 크기 때문에 벨트와 베어링 사이에 걸리는 하중이 크다. 이는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허용전단응력 60N/mm2의 리벳이 있다. 이 리벳에 15kN의 전단 하중을 작용시킬 때 리벳의 지름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안전한가?

  1. 17.85
  2. 20.50
  3. 25.25
  4. 30.85
(정답률: 39%)
  • 리벳의 지름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d = 2 * sqrt(F / (π * τ))

    여기서, d는 리벳의 지름, F는 작용하는 전단 하중, τ는 허용전단응력이다.

    따라서, d = 2 * sqrt(15,000 / (π * 60)) = 17.85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1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400rpm으로 전동축을 지지하고 있는 미끄럼 베어링에서 저널의 지름은 6cm, 저널의 길이는 10cm 이고, 4.2kN의 레이디얼 하중이 작용할 때, 베어링 압력은 약 몇 MPa 인가?

  1. 0.5
  2. 0.6
  3. 0.7
  4. 0.8
(정답률: 51%)
  • 베어링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F/(πdl)

    여기서, F는 레이디얼 하중, d는 저널 지름, l은 저널 길이이다. 따라서,

    P = 4.2kN/(π x 6cm x 10cm) = 0.7 MPa

    따라서, 정답은 "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유연성 커플링(flexible coupling)이 아닌 것은?

  1. 기어 커플링
  2. 셀러 커플링
  3. 롤러 체인 커플링
  4. 벨로즈 커플링
(정답률: 48%)
  • 셀러 커플링은 유연성이 없는 고정된 커플링으로, 두 축을 정확하게 정렬하여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연성 커플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느 브레이크에서 제동동력이 3kW이고, 브레이크 용량(brake capacity)을 0.8N/mm2ㆍm/s라고 할 때 브레이크 마찰면적의 크기는 약 몇 mm2인가?

  1. 3200
  2. 2250
  3. 5500
  4. 3750
(정답률: 48%)
  • 브레이크 제동동력 = 마찰력 x 마찰면적 x 회전반경 x 회전속도
    여기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는 일정하므로, 마찰력과 마찰면적의 곱이 제동동력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찰면적 = 제동동력 / 마찰력 이다.

    마찰력은 브레이크 용량과 마찰계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찰계수는 일반적으로 0.3 ~ 0.4 사이의 값을 가지며, 여기서는 0.35로 가정한다.

    마찰력 = 브레이크 용량 x 마찰계수
    = 0.8 N/mm^2 x m/s x 0.35
    = 0.28 N/mm^2 x m/s

    마찰면적 = 제동동력 / 마찰력
    = 3000 W / (0.28 N/mm^2 x m/s)
    = 10714.3 mm^2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7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름이 4cm의 봉재에 인장하중이 1000N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약 얼마인가?

  1. 127.3N/cm2
  2. 127.3N/mm2
  3. 80 N/cm2
  4. 80 N/mm2
(정답률: 52%)
  •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인장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이다.

    봉재의 지름이 4cm 이므로 반지름은 2cm 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2 = 3.14 x 2^2 = 12.56 cm^2 이다.

    인장하중이 1000N 이므로, 인장응력 = 1000N / 12.56cm^2 = 79.62 N/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 N/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선삭 공정에서 작업물의 외경이 200mm, 절삭속도가 100m/min, 1회전당 공구이송량은 0.1 mm 일 때, 공구의 이송속도(mm/min)는 약 얼마인가?

  1. 8
  2. 16
  3. 32
  4. 48
(정답률: 62%)
  • 공구의 이송속도는 절삭속도를 공구이송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공구의 이송속도는 100 ÷ 0.1 = 1000 mm/min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mm/min 이므로, 답은 1000을 60으로 나눈 값인 1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2차원 평면상에서 물체를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변환하려고 한다. 이 경우 보기의 2차원 변환 행렬의 요소 중 c의 값은?

  1. cosθ
  2. sinθ
  3. -sinθ
  4. -cosθ
(정답률: 67%)
  • 회전 변환 행렬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cosθ -sinθ ]
    [ sinθ cosθ ]

    여기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면 각도에 음수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회전 변환 행렬은 다음과 같다.

    [ cos(-θ) -sin(-θ) ]
    [ sin(-θ) cos(-θ) ]

    = [ cosθ sinθ ]
    [-sinθ cosθ ]

    따라서 c의 값은 -sin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분산처리형 CAD/CAM 시스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의 편리성과 확장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2. 자료처리 및 계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설계 및 가공 분야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주시스템과 부시템에서 동일한 자료처리 및 계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다.
  4. 시스템이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컴퓨터 시스템의 신뢰성과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68%)
  • "주시스템과 부시템에서 동일한 자료처리 및 계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주시스템과 부시스템이 동일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AD/CAM 시스템에서 컵이나 병 등의 형상을 만들 때 회전곡면(revolution surface)을 이용한다. 다음 중 revolution 작업시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회전각도
  2. 회전중심축
  3. 회전단면선
  4. 옵셋(offset)량
(정답률: 80%)
  • 회전곡면 작업시에는 회전각도, 회전중심축, 회전단면선이 필요하지만, 옵셋(offset)량은 필요하지 않다. 옵셋(offset)량은 회전곡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값으로, 회전곡면을 만들기 위한 필수적인 자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서피스 모델링(surface model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C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2. 명암(shade)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3. 은선 제거가 가능하고, 면의 구분이 가능하다.
  4. 물체 내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유한요소법(FEM)의 적용이 용이하다.
(정답률: 75%)
  • "물체 내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유한요소법(FEM)의 적용이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서피스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기술 중 하나로, 물체의 표면을 기반으로 모델링하는 기술이다. 이 때, 물체의 내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유한요소법(FEM)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것은 서피스 모델링이 물체의 내부 구조를 고려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체 내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유한요소법(FEM)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방정식 “ax+bx+c=0” 으로 표현 가능한 항목은?

  1. circle
  2. spline curve
  3. Bezier curve
  4. polygonal line
(정답률: 57%)
  • "ax+bx+c=0"은 일차방정식의 형태이며, 이는 직선의 방정식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따라서, 직선으로 이루어진 "polygonal line"이 방정식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circle", "spline curve", "Bezier curve"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일차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CAD/CAM 인터페이스에서 RS-232C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가 정확히 보내졌는지 검사하는 방법은?

  1. Odd Parity
  2. Even Parity
  3. Block Cheek
  4. Parity Check Bit
(정답률: 67%)
  • RS-232C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전송 시, Parity Check Bit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정확히 보내졌는지 검사할 수 있다. Parity Check Bit은 데이터 비트의 개수와 함께 전송되며, 데이터 비트의 합이 홀수인 경우 "Odd Parity"를, 짝수인 경우 "Even Parity"를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측에서는 수신한 데이터 비트의 합과 Parity Check Bit을 비교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Parity Check Bit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Block Check은 데이터 블록 전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Parity Check Bit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블렌딩 함수로 베른스타인(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방정식은?

  1. NURBS 곡선
  2. 베지어(Bezier)곡선
  3. B-spline 곡선
  4. 퍼거슨(Ferguson)곡선
(정답률: 72%)
  • 베른스타인(Bernstein) 다항식은 베지어(Bezier)곡선의 일종으로, 베지어곡선은 제어점(control point)을 이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베지어곡선은 제어점을 이용하여 곡선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곡선을 만들 수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베지어곡선이 블렌딩 함수로 베른스타인(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방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B-Rep 모델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면(face)
  2. 모서리(edge)
  3. 꼭지점(vertex)
  4. 좌표(coordinates)
(정답률: 79%)
  • B-Rep 모델의 기본 요소는 "좌표(coordinates)"가 아닙니다. B-Rep 모델의 기본 요소는 "면(face)", "모서리(edge)", "꼭지점(vertex)"입니다. 좌표는 이러한 기본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이지만, 그 자체로는 기본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미리 정해진 연속된 단면을 덮는 표면 곡면을 생성시켜 닫혀진 부피 영역 혹은 솔리드 모델을 만드는 모델링 방법은?

  1. 스위핑(sweeping)
  2. 스키닝(skinning)
  3. 트위킹(tweaking)
  4. 리프팅(lifting)
(정답률: 58%)
  • 스키닝은 미리 정해진 단면을 따라서 곡면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곡면이 닫혀진 부피 영역을 만들어 솔리드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3D 모델링에서 자주 사용되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바디나 비행기의 날개 등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스위핑은 단면을 따라서 곡면을 생성하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단면이 직선인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트위킹은 모델의 세부적인 부분을 조정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리프팅은 모델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3차원 형상모델 중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량 계산이 곤란하다.
  2. 데이터의 작성이 곤란하다.
  3. 3차원 형상 작성 후 평면투상도 작성이 효과적이다.
  4. 블리언 연산자를 사용하여 명확한 모델 생성이 용이하다.
(정답률: 57%)
  • CSG 방식은 기본 도형(원통, 상자, 구 등)을 논리적 연산자(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등)를 사용하여 조합하여 모델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블리언 연산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명확한 모델 생성이 용이합니다. 블리언 연산자는 논리 연산자로서 AND, OR, NOT 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SG 방식은 블리언 연산자를 사용하여 모델을 생성하기 때문에 명확하고 정확한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잉크젯 또는 레이저 프린터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LPM
  2. PPM
  3. DPI
  4. CPM
(정답률: 69%)
  • 정답: DPI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출력 가능한 점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잉크젯 또는 레이저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나 텍스트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높은 DPI는 더 선명하고 자세한 출력물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신속조형 및 제조(RP&M, Rapid Prototyping & Manufacturing) 공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특징형상(feature)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정계획이 없어도 되기 때문에 특징형상기반설계나 특징형상인식이 필요 없다.
  2. RP&M 공정은 재료를 더해가는 것이 아니라 재료를 제거해 나가는 공정이기 때문에 소재의 형상을 정의 할 필요가 있다.
  3. 부품이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셋업이나 소재를 취급하는 복잡한 과정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4. RP&M 공정은 어떤 도구를 필요로 하는 공정이 아니기 때문에 금형의 설계와 제조가 필요 없다.
(정답률: 46%)
  • 정답: "RP&M 공정은 어떤 도구를 필요로 하는 공정이 아니기 때문에 금형의 설계와 제조가 필요 없다."

    해설: RP&M 공정은 재료를 제거해 나가는 공정이기 때문에 소재의 형상을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특징형상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정계획이 없어도 되기 때문에 특징형상기반설계나 특징형상인식이 필요 없습니다. 또한 부품이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셋업이나 소재를 취급하는 복잡한 과정을 정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 벡터 a, b의 내적과 외적이 [보기]와 같은 때 다음 중 벡터의 성질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a×b=b×a
  2. aㆍa=|a|2
  3. a×a=0
  4. aㆍb=|a|cosθ
(정답률: 76%)
  • "a×b=b×a"가 틀린 벡터의 성질입니다. 벡터의 외적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a×b ≠ b×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곡면 모델링에서 두 개 이상의 곡선에서 안내 곡선(기준곡선)을 따라 이동곡선(단면곡선)이 이동 규칙에 의해 이동되면서 생성되는 곡면은?

  1. sweep
  2. revolve
  3. patch
  4. blending
(정답률: 77%)
  • 정답은 "sweep"입니다.

    안내 곡선을 따라 이동곡선이 이동되면서 생성되는 곡면을 "스위핑(sweeping)" 곡면이라고 합니다. 스위핑은 이동곡선이 안내 곡선을 따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이동하면서 곡면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동곡선이 직선이면 평면을 생성하고, 곡선이면 곡면을 생성합니다.

    반면 "회전(revolve)"은 안내 곡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곡면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패치(patch)"는 여러 개의 곡선을 이용하여 곡면을 생성하는 방식이며, "블렌딩(blending)"은 두 개 이상의 곡면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일반적으로 3차원 형상 정보를 표현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표준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IGES
  2. STEP
  3. DWG
  4. STL
(정답률: 70%)
  • DWG는 2차원 및 3차원 CAD 데이터를 저장하는 Autodesk사의 프로프리어터리 파일 형식이므로, 일반적으로 3차원 형상 정보를 표현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표준으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W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 쌍의 직교축과 단위길이를 사용하여 평면상의 한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한 점의 거리와 각도를 반시계 방식으로 표시하는 좌표계는?

  1. 극좌표계
  2. 직교좌표계
  3. 원통좌표계
  4. 구면좌표계
(정답률: 53%)
  • 극좌표계는 한 점의 위치를 반지름과 각도로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이는 평면상에서 한 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직교좌표계는 x, y, z 축을 사용하여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계이며, 원통좌표계와 구면좌표계는 각각 한 점의 위치를 반지름, 각도, 높이 또는 반지름, 경도, 위도로 나타내는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한 점의 위치를 반지름과 각도로 나타내는 극좌표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자유곡면의 CNC 가공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구간섭 방지
  2. 적삭조건 지정
  3. 자재수급 계획
  4. 가공경로 계획
(정답률: 87%)
  • 자유곡면의 CNC 가공을 위해서는 공구간섭 방지, 적절한 삭감조건 지정, 가공경로 계획 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자재수급 계획은 CNC 가공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자재수급 계획은 재고 관리, 공급망 관리 등과 같은 생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CNC 가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NURBS 곡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B-spline 곡선을 포함한다.
  2.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다.
  3.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 원추 곡선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4. 3차 NURBS 곡선은 특정 노트구간에서 4개의 조정점 외에 4개의 가중치(weight value)와 절점(knot) 벡터의 정보가 이용된다.
(정답률: 68%)
  • "NURBS 곡선은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NURBS 곡선이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조정점을 이용하여 곡선을 근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NURBS 곡선은 조정점과 가중치(weight value)를 이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며, 이를 통해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원추 곡선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3차 NURBS 곡선은 특정 노드구간에서 4개의 조정점 외에 4개의 가중치(weight value)와 절점(knot) 벡터의 정보가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의 볼엔드밀에서 공구의 중심 C는 (10, 10, 10)이고, 공구의 지름은 10, 공구의 회전축 방향의 단위벡터 u는 (0, 0, 1), 접촉점에서의 곡면의 단위법선 벡터 n은 (-1/√2, 0, 1/√2)이다. 이 때 CL-데이터는?

  1. (10, 10, 5)
  2. (10, 10, 15)
  3. (10+5/√2, 10, 10-5/√2)
  4. (10-5/√2, 10, 10+5/√2)
(정답률: 35%)
  • CL-데이터는 공구의 회전축 방향의 단위벡터와 접촉점에서의 곡면의 단위법선 벡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회전축 방향의 단위벡터 u와 곡면의 단위법선 벡터 n을 외적하여 수직인 벡터를 구한다.

    u × n = (0, 1, 0)

    이 벡터를 다시 u와 외적하여 수직인 벡터를 구한다.

    u × (u × n) = (-1/√2, 0, -1/√2)

    이 벡터를 접촉점 P에서 공구의 중심 C로 끌어올리면, 공구의 중심축과의 교점인 L이 나온다.

    L = C + r(u × (u × n)) = (10, 10, 10) + 5(-1/√2, 0, -1/√2) = (10-5/√2, 10, 10+5/√2)

    따라서, CL-데이터는 "(10-5/√2, 10, 10+5/√2)"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인 "(10, 10, 5)"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L이 공구의 중심축과의 교점이므로, L의 z 좌표가 공구의 중심 좌표의 z 좌표에서 공구의 지름의 절반인 5만큼 떨어진 위치가 된다. 따라서, "(10, 10, 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KS 규격에 따른 회 주철품의 재료 기호는?

  1. WC
  2. SB
  3. GC
  4. FC
(정답률: 74%)
  • KS 규격에서 회 주철품의 재료 기호는 다음과 같다.

    - WC: Welded Carbon steel pipe (용접 탄소강 파이프)
    - SB: Seamless Carbon steel pipe for Boiler and heat exchanger (보일러 및 열교환기용 무접합 탄소강 파이프)
    - GC: Galvanized Carbon steel pipe (아연도금 탄소강 파이프)
    - FC: Cast Iron pipe (주철 파이프)

    따라서, GC는 아연도금 탄소강 파이프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표면의 결 도시기호에서 지시하는 가공법은?

  1. 밀링 가공
  2. 브로칭 가공
  3. 보링 가공
  4. 리머 가공
(정답률: 71%)
  • 결 도시기호에서 지시하는 가공법은 "리머 가공"이다. 이는 원형 구멍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내부를 깎아내는 가공법으로, 리머는 내부 지름을 정밀하게 굴곡시키는 도구이다. 따라서 결 도시기호에서 내부 지름을 굴곡시키는 것을 요구하므로 리머 가공이 선택되었다. "밀링 가공"은 외부 형상을 만들기 위해 재료를 제거하는 가공법, "브로칭 가공"은 내부 형상을 만들기 위해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는 가공법, "보링 가공"은 내부에 구멍을 뚫는 가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이 제 3각법으로 나타낸 정투상도에서 평면도로 알맞은 것은?

(정답률: 72%)
  • 정투상도에서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그려지기 때문에, 평면도에서도 수직선과 수평선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그려져야 한다. 따라서 ""가 알맞은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수직선과 수평선이 직각을 이루지 않는 형태로 그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투상도 중 KS 제도 통칙에 따라 올바르게 작도된 투상도는?

(정답률: 7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KS 제도 통칙에 따라 투상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1. 투자 대상의 명칭과 종류
    2. 투자 대상의 발행인 또는 발행인 대리인
    3. 투자 대상의 발행일, 만기일, 이자율 등의 조건
    4. 투자 대상의 발행액, 발행수량, 발행가액 등의 정보
    5. 투자 대상의 위험 요소 및 보호장치 등

    ""은 위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투상도들은 일부 요소가 누락되어 있거나 잘못 작도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작도된 투상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내도 무방한 것은?

  1. 볼트(Bolt)
  2. 키(Key)
  3. 리벳(Rivet)
  4.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정답률: 50%)
  • 미끄럼 베어링은 회전 운동을 하는 기계 부품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내도 무방합니다. 이는 미끄럼 베어링이 회전 운동을 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내면 회전 운동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볼트, 키, 리벳은 회전 운동을 하는 부품이 아니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나타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도면의 재질란에 SM25C 의 재료기호가 기입되어있다. 여기서 “25” 가 나타내는 뜻은?

  1. 탄소 함유량 22~28%
  2. 탄소 함유량 0.22~0.28%
  3. 최저 인장 강도 25kPa
  4. 최저 인장 강도 25MPa
(정답률: 67%)
  • "25"는 SM25C의 최저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최저 인장 강도 25MPa"가 정답입니다.

    SM25C은 탄소강으로, "탄소 함유량 0.22~0.28%"이라는 표현은 이 재질의 탄소 함량이 그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이 재질의 강도와 경도 등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기하공차의 해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대칭도
  2.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05mm의 평행도
  3.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대칭도
  4.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
(정답률: 66%)
  • 정답은 "지정 길이 100mm에 대하여 0.005mm,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평행도"입니다.

    기하공차란 도면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지정 길이 100mm에 대해 0.005mm의 기하공차와 전체길이에 대해 0.05mm의 기하공차가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지정 길이 100mm에 대해서는 실제 길이가 100mm에서 0.005mm만큼 작아질 수 있으며, 전체 길이에 대해서는 실제 길이가 전체 길이에서 0.05mm만큼 작아질 수 있습니다.

    이를 평행도로 해석하면, 도면상의 모든 선분이 실제로는 평행한 선분이지만, 그 길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서 겹치게 될 경우 표시되는 선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대로 나열되어있는 것은?

  1. 외형선, 숨은선, 절단선, 중심선
  2. 외형선, 절단선, 숨은선, 중심선
  3. 외형선, 중심선, 숨은선, 절단선
  4. 절단선, 중심선, 숨은선, 외형선
(정답률: 81%)
  • 보통 도면에서는 외형선이 가장 먼저 표시되며, 이는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숨은선이 표시되며, 이는 제품 내부의 부품이나 기계 요소를 나타냅니다. 절단선은 제품을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며, 중심선은 제품의 중심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우선순위는 "외형선, 숨은선, 절단선, 중심선"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깊은 홈 볼 베어링의 안지름이 25mm 일 때 이 베어링의 안지름 번호는?

  1. 00
  2. 05
  3. 25
  4. 50
(정답률: 78%)
  • 안지름 번호는 베어링의 안지름을 5배한 값이다. 따라서, 25mm의 안지름을 5배한 값인 125mm를 5로 나누면 25가 나오므로, 이 베어링의 안지름 번호는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면의 공차 치수는 어떤 끼워 맞춤인가?

  1. 헐거운 끼워맞춤
  2. 가열 끼워맞춤
  3. 중간 끼워맞춤
  4. 억지 끼워맞춤
(정답률: 57%)
  • 도면의 공차 치수가 중간 끼워맞춤인 경우, 제작된 제품의 치수가 도면상의 중심치에 가까울 때 가장 우수한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품의 기능과 성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중간 끼워맞춤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CNC 선반에서의 조작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급속 이송시 충돌에 유의한다.
  2. 전원은 순서대로 공급하고 차단한다.
  3. 운전 및 조작은 순서에 의해서 작동시킨다.
  4. 프로그램 수정시에는 반드시 등록된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정답률: 91%)
  • "프로그램 수정시에는 반드시 등록된 프로그램을 삭제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조작방법이다. 프로그램을 수정할 때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고 수정된 내용을 추가하여 저장해야 한다.

    이유는 기존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삭제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다른 작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정된 내용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CNC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세컨드 컷가공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다이 형상에서의 돌기부분 제거
  2. 코너부의 형상에서 보강 및 경도 보정
  3. 면조도의 향상과 가공면의 연화층 제거
  4. 가공물의 내부 응력 개방 후의 형상 수정
(정답률: 40%)
  • "CNC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세컨드 컷가공의 목적"은 가공물의 외형을 정확하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코너부의 형상에서 보강 및 경도 보정"은 오히려 가공물의 외형을 변경시키는 작업이므로, 세컨드 컷가공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CNC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 사람의 손과 발의 역할을 하는 기구는?

  1. 서보기구
  2. 주축기구
  3. 프로그램 기구
  4. 가공기구
(정답률: 78%)
  • 서보기구는 CNC 시스템에서 사람의 손과 발의 역할을 하는 기구입니다. 이는 CNC 시스템에서 움직임을 제어하고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서보기구는 모터와 엔코더, 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CNC 기계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보기구는 CNC 기계의 정확한 가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NC 공작기계의 제어방식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나사절삭 제어
  2. 윤곽절삭 제어
  3. 직선절삭 제거
  4. 위치결정 제어
(정답률: 71%)
  • 정답: "직선절삭 제어"

    설명: NC 공작기계의 제어방식 종류에는 나사절삭 제어, 윤곽절삭 제어, 위치결정 제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직선절삭 제어"는 제어방식 종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직선절삭"은 절삭 방향이 직선인 경우를 의미하는데, 이는 다른 제어방식들과는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과 같은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지령 워드 “P"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반복 횟수
  2. 이송 속도
  3. 드웰 지령
  4. 구멍 가공의 깊이
(정답률: 73%)
  • 지령 워드 "P"는 드웰 지령을 의미한다. 드웰 지령은 가공 중에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가공물의 위치를 유지하는 명령어이다. 이는 가공 중에 작업물이 이동하거나 깊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드웰 지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CNC 선반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다. N3 블록에서 주축 회전수는 몇 rpm인가?

  1. 200
  2. 3000
  3. 5305
  4. 6000
(정답률: 60%)
  • N3 블록에서 "S3000" 이라는 명령어가 있으므로 주축 회전수는 3000 r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비절삭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머시닝 센터에 부착되는 장치는?

  1. 아암(arm)
  2. 베이스와 컬럼
  3. 컨트롤장치
  4. 자동공구교환장치(ATC)
(정답률: 89%)
  • 자동공구교환장치(ATC)는 머시닝 센터에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공구를 자동으로 교체해주는 장치이다. 이를 통해 작업 중에 비절삭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머시닝 센터에서 비절삭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자동공구교환장치(ATC)가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과 같은 CNC 선반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10은 지령절의 첫 번째 전개번호이다.
  2. Q100은 지령절의 마지막 전개번호이다.
  3. W0.2는 Z축 방향의 정삭여유이다.
  4. U1.5는 X축 방향의 정상여유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U1.5는 X축 방향의 정상여유이다." 이다.

    이유는 U는 X축 방향의 보상치를 나타내는데, U1.5는 X축 방향으로 1.5mm의 여유를 둔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상여유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머시닝센터에서 M10 × 1.5 의 나사 가공시 필요한 드릴의 지름은?

  1. 7.0mm
  2. 8.5mm
  3. 10.0mm
  4. 11.5mm
(정답률: 85%)
  • M10 × 1.5의 나사는 외경이 10mm이고 나사 간격이 1.5mm인 나사이다. 이 나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나사의 외경보다 약간 큰 드릴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드릴 지름은 외경보다 0.5mm ~ 1mm 정도 크게 선택한다. 따라서 M10 × 1.5의 나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10mm + 0.5mm ~ 1mm = 10.5mm ~ 11mm 정도의 드릴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8.5m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일반적인 가공 방법보다 약간 작은 드릴을 사용한 경우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CNC 선반에서 그림과 같은 가상인선(날끝) 번호와 가공의 내용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1번 : 센터 그릴 및 드릴링 작업
  2. 2번 : 외경 홈 및 외경 나사 작업
  3. 3번 : 외경 막깎기 및 다듬질 작업
  4. 4번 : 내경 홈 및 내경 나사 작업
(정답률: 62%)
  • 가상인선 번호 3번은 외경 막깎기 및 다듬질 작업이라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작업 전에는 원통형의 블록이 있고, 작업 후에는 외경이 막깎아져서 부드러운 곡면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외경의 형상을 정확하게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