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다음 그림과 같이 피측정물의 구면을 측정할 때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이 0.5mm 움직이면 구면의 반지름(mm)은 얼마인가? (단, 다이얼 게이지 측정자로부터 구면계의 다리까지의 거리는 20 mm 이다.)

  1. 100.25
  2. 200.25
  3. 300.25
  4. 400.25
(정답률: 54%)
  •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이 0.5mm 움직이면 구면의 반지름은 0.5mm 증가한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이 800번 움직이면 구면의 반지름은 400mm 증가한다. 하지만 다이얼 게이지 측정자로부터 구면계의 다리까지의 거리가 20mm 이므로, 구면의 반지름은 400mm - 20mm = 38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80 + 20.25 = 400.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풀리(pulley)의 보스(boss)에 키 홈을 가공하려 할 때 사용되는 공작기계는?

  1. 보링 머신
  2. 호빙 머신
  3. 드릴링 머신
  4. 브로칭 머신
(정답률: 73%)
  • 풀리의 보스에 키 홈을 가공하려면 브로칭 머신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특수한 형태의 공작기계로, 한 번에 정확한 크기와 형태의 키 홈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공작기계들은 보스의 표면을 가공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키 홈을 가공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입자를 이용한 가공법이 아닌 것은?

  1. 래핑
  2. 브로칭
  3. 배럴가공
  4. 액체 호닝
(정답률: 74%)
  • 브로칭은 회전하는 공작물에 고정된 칼날을 이용하여 절삭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정된 칼날을 이용하여 직선적으로 절삭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입자를 이용한 가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심압대의 편위량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X : 심압대 편위량이다.)

(정답률: 68%)
  • 심압대의 편위량은 P-P간격의 1/2이다. 따라서, X = (P-P간격)/2 이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래핑작업에 사용하는 랩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흑연
  2. 산화크롬
  3. 탄화규소
  4. 산화알루미나
(정답률: 64%)
  • 흑연은 랩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흑연은 전기전자, 석유화학, 항공우주 등의 산업에서 사용되는 소재로, 랩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이얼 게이지 기어의 백 래시(back lash)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는?

  1. 인접 오차
  2. 지시 오차
  3. 진동 오차
  4. 되돌림 오차
(정답률: 78%)
  • 다이얼 게이지 기어의 백 래시는 기어가 회전 방향을 바꿀 때 발생하는 여유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백 래시로 인해 기어가 회전 방향을 바꿀 때 일정한 각도만큼 먼저 회전하게 되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되돌림 오차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되돌림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교 측정하는 방식의 측정기는?

  1. 측장기
  2. 마이크로미터
  3. 다이얼 게이지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72%)
  • 다이얼 게이지는 비교 측정하는 방식의 측정기입니다. 이는 측정 대상과 기준 대상을 비교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다이얼 게이지는 이러한 비교 측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회전하는 다이얼을 통해 측정값을 나타내며, 측정 대상과 기준 대상을 비교하여 측정값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는 비교 측정에 적합한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반에서 할 수 없는 작업은?

  1. 나사 가공
  2. 널링 가공
  3. 테이퍼 가공
  4. 스플라인 홈 가공
(정답률: 78%)
  • 선반은 회전하는 축을 기반으로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데, 스플라인 홈 가공은 회전하는 축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직선적인 축을 기반으로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선반에서는 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범용 밀링 머신으로 할 수 없는 가공은?

  1. T홈 가공
  2. 평면 가공
  3. 수나사 가공
  4. 더브테일 가공
(정답률: 77%)
  • 범용 밀링 머신은 일반적으로 3축 가공이 가능하며, 평면 가공과 T홈 가공, 더브테일 가공 등의 기본적인 가공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나사 가공은 회전하는 나사형태의 부품을 가공하는 것으로, 복잡한 형태와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축 또는 5축 가공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범용 밀링 머신으로는 수나사 가공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센터드릴에서 사용되는 각도가 아닌 것은?

  1. 45°
  2. 60°
  3. 75°
  4. 90°
(정답률: 55%)
  • 일반적으로 센터드릴에서 사용되는 각도는 60°, 75°, 90°이다. 4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각도이다. 이유는 45°는 대부분의 재료에서 절단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45°는 다른 각도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드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트위스트 드릴은 절삭날이 각도에 중심에 가까울수록 절삭작용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드릴의 웨브부분을 연삭하는 것은?

  1. 디닝(thinning)
  2. 트루잉(truing)
  3. 드레싱(dressing)
  4. 글레이징(glazing)
(정답률: 57%)
  • 트위스트 드릴의 웨브부분을 연삭하는 것은 디닝(thinning)이다. 이는 웨브부분을 얇게 연마하여 절삭날이 각도에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하여 절삭작용을 개선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센터리스 연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하다.
  2. 긴 홈이 있는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하다.
  3. 다른 연삭기에 비해 연삭여유가 작아도 된다.
  4. 센터가 필요치 않아 센터 구멍을 가공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67%)
  •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센터리스 연삭은 가늘고 긴 가공물보다는 긴 홈이 있는 가공물의 연삭에 더 적합합니다. 이유는 센터리스 연삭은 가공물의 중심을 찾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공물이 중심축을 따라 일정한 직경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긴 홈이 있는 가공물의 경우에는 센터리스 연삭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박스 지그(box jig)의 사용처로 옳은 것은?

  1. 드릴로 대량 생산을 할 때
  2. 선반으로 크랭크 절삭을 할 때
  3. 연삭기로 테이터 작업을 할 때
  4. 밀링으로 평면 절삭작업을 할 때
(정답률: 71%)
  • 박스 지그는 드릴로 대량 생산을 할 때 사용된다. 이는 박스 지그가 작업물을 고정하고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량 생산을 할 때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삭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거친 연삭을 할 때에는 연삭 깊이를 얕게 주도록 한다.
  2. 연질 가공물을 연삭할 때는 결합도가 높은 숯돌이 적합하다.
  3. 다듬질 연삭을 할 때는 고운 입도의 연삭숫돌을 사용한다.
  4. 강의 거친 연삭에서 공작물 1회전마다 숫돌바퀴 폭의 1/2 ~ 3/4 으로 이송한다.
(정답률: 55%)
  • "거친 연삭을 할 때에는 연삭 깊이를 얕게 주도록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연삭 깊이는 연삭 작업의 종류와 가공물의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연삭 깊이는 연삭 작업의 목적과 가공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손잡이나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음 그림과 같은 선반 가공법은?

  1. 나사 가공
  2. 널링 가공
  3. 총형 가공
  4. 다듬질 가공
(정답률: 89%)
  • 선반 가공에서 널링 가공은 원통형의 내부나 외부를 가공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선반에 고정된 원형의 칼날을 이용하여 원통형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손잡이나 외관을 좋게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사 가공은 나사 모양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방법이고, 총형 가공은 총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며, 다듬질 가공은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기가공 할 때 작업안전 수칙으로 옳은 것은?

  1. 바이스를 사용할 때는 조에 기름을 충분히 묻히고 사용한다.
  2. 드릴가공을 할 때에는 장갑을 착용하여 단단하고 위험한 칩으로부터 손을 보호한다.
  3. 금긋기 작업을 하는 이유는 주로 절단을 할 때에 절삭성이 좋아지기 위함이다.
  4. 탭 작업 시에는 칩이 원활하게 배출일 될 수 있도록 후퇴와 전진을 번갈아 가면서 점진적으로 수행한다.
(정답률: 71%)
  • 탭 작업 시에는 칩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후퇴와 전진을 번갈아 가면서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이유는 칩이 너무 많이 쌓이면 작업물과 탭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칩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후퇴와 전진을 번갈아 가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 머신에서 절삭공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

  1. 아버(arbor)
  2. 콜릿(collet)
  3. 새들(saddle)
  4. 어댑터(adapter)
(정답률: 72%)
  • 새들(saddle)은 밀링 머신의 작업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절삭공구를 고정하는 부속장치가 아니다. 아버(arbor), 콜릿(collet), 어댑터(adapter)는 모두 밀링 머신에서 절삭공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속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기 마이크로미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 공기원이 필요하다.
  2. 비교 측정기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가능하다.
  3. 타원, 테이퍼, 편심 등의 측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4. 확대 기구에 기계적 요소가 없기 때문에 장시간 고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68%)
  • "비교 측정기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공기 마이크로미터는 비교 측정기가 아닌 절대 측정기로, 측정할 때마다 기준점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1개의 마스터로 측정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밀링 머신에서 테이블의 이송속도(f)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fz : 1개의 날 당 이송(mm), z : 커터의 날 수, n : 커터의 회전수(rpm) 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이다.

    밀링 머신에서 테이블의 이송속도(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fz × z × n

    즉, 이송속도는 1개의 날 당 이송속도(fz)와 커터의 날 수(z), 커터의 회전수(n)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정답인 이유는 모든 변수들이 올바르게 곱해져서 이송속도(f)를 구할 수 있는 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화알루미늄(Al2O3) 분말을 주성분으로 마그네슘(Mg), 규소(Si)등의 산화물과 소량의 다른 원소를 첨가하여 소결한 절삭공구의 재료는?

  1. CBN
  2. 서멧
  3. 세라믹
  4. 다이아몬드
(정답률: 72%)
  •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소결한 절삭공구의 재료는 세라믹이다. 이는 산화알루미늄이 고온에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높은 경도와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마그네슘과 규소 등의 첨가물은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라믹은 절삭공구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고속 절삭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백주철을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하여 시멘타이트 조직을 분해하거나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개선한 주철은?

  1. 가단 주철
  2. 칠드 주철
  3. 합금 주철
  4. 구상흑연 주철
(정답률: 61%)
  • 가단 주철은 백주철을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하여 시멘타이트 조직을 분해하거나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개선한 주철이다. 다른 보기들은 백주철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합금이 추가된 주철이므로 정답은 가단 주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플라스틱 성형재료 중 열가소성 수지는?

  1. 페놀 수지
  2. 요소 수지
  3. 아크릴 수지
  4. 멜라민 수지
(정답률: 57%)
  •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뛰어난 성질을 가진다. 이 중에서 아크릴 수지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이다. 이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하고 광택이 있어 시각적인 면에서도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리 및 구리합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u의 용융점은 약 1083℃ 이다.
  2. 문쯔메탈은 60%Cu + 40%Sn 합금이다.
  3. 유연하고 전연성이 좋으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4. 부식성 물질이 용존하는 수용액 내에 있는 황동은 탈아연 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52%)
  • "문쯔메탈은 60%Cu + 40%Sn 합금이다."가 틀린 것이다. 문쯔메탈은 60%Cu + 40%Zn 합금이다.

    Cu의 용융점은 약 1083℃이며, 유연하고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부식성 물질이 용존하는 수용액 내에 있는 황동은 탈아연 현상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속도강을 담금질 한 후 뜨임하게 되면 일어나는 현상은?

  1. 경년현상이 일어난다.
  2. 자연균열이 일어난다.
  3. 2차경화가 일어난다.
  4. 응력부식균열이 일어난다.
(정답률: 61%)
  • 고속도강을 담금질 한 후 뜨임하게 되면 금속 구조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어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 변화로 인해 금속 내부에서 2차경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2차경화란 금속 내부에서 결정 구조가 더욱 세분화되어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알루미늄합금이 아닌 것은?

  1. 라우탈
  2. 실루민
  3. 두랄루민
  4. 화이트메탈
(정답률: 71%)
  • 화이트메탈은 알루미늄을 포함하지 않는 합금으로, 주로 주석, 비소, 납, 아연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강의 표면에 붕소(B)를 침투시키는 처리 방법은?

  1. 세라다이징
  2. 칼로라이징
  3. 크로마이징
  4. 보로나이징
(정답률: 79%)
  • 강의 표면에 붕소를 침투시키는 처리 방법은 보로나이징입니다. 이는 강의 표면에 붕소를 함유한 용액을 침투시키고, 그 후 열처리를 통해 붕소를 강의 내부로 확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온에서 순철(α철)의 격자구조는?

  1. FCC
  2. CPH
  3. BCC
  4. CP
(정답률: 55%)
  • 상온에서 순철(α철)의 격자구조는 BCC(Body-Centered Cubic)이다. 이는 철 원자가 각 꼭지점과 중심에 위치하는 큐브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는 FCC(Face-Centered Cubic)와 CPH(Close-Packed Hexagonal)와 비교하여 밀도가 낮지만, 열팽창 계수가 작아 열팽창에 강하고, 인성이 높아서 고강도 강재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연성 및 전성이 좋다.
  2. 열과 전기의 부도체이다.
  3. 금속적 광택을 가지고 있다.
  4. 고체 상태에서 결정구조를 갖는다.
(정답률: 78%)
  • 금속은 열과 전기를 잘 전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열과 전기의 부도체이다."는 일반적인 특성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 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단공질이므로 강인성이 높다.
  2. 무급유 베어링으로 사용한다.
  3. 대부분 분말 야금법으로 제조한다.
  4. 동계에는 Cu-Sn-C합금이 있다.
(정답률: 52%)
  • "단공질이므로 강인성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오일리스 베어링은 윤활유 없이도 사용 가능한 무급유 베어링으로, 대부분 분말 압출법으로 제조된다. 동계에는 Cu-Sn-C 합금 외에도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하지만 "단공질이므로 강인성이 높다."는 특징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으로 탄소강에서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성질은?

  1. 비중
  2. 열팽창계수
  3. 전기저항
  4. 열전도도
(정답률: 68%)
  • 탄소강에서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저항이 증가합니다. 이는 탄소가 철의 결정구조를 깨뜨리고 결정간 거리를 늘리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강에서는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름이 10mm 인 시험편에 600N의 인장력이 작용한다고 할 때 이 시험편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약 몇 MPa 인가?

  1. 95.2
  2. 76.4
  3. 7.64
  4. 9.52
(정답률: 45%)
  • 인장응력은 인장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인장응력 = 인장력 / 단면적 이다.

    여기서, 인장력은 600N 이고, 단면적은 원의 넓이인 πr² 이다.

    따라서, 인장응력 = 600N / (π(0.005m)²) = 7.64 MPa 이다.

    정답은 "7.6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스프링에 150N의 하중을 가했을 때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이 400 MPa 이었다. 스프링 지수(C)는 10이라고 할 때, 스프링 소선의 지름은 약 몇 mm 인가? (단, 응력수정계수 를 적용한다.)

  1. 3.3
  2. 4.8
  3. 7.5
  4. 12.6
(정답률: 2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맞물린 한 쌍의 인벌류트 기어에서 피치원의 공통접선과 맞물리는 부위에 힘이 작용하는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중심각
  2. 접선각
  3. 전위각
  4. 압력각
(정답률: 49%)
  • 압력각은 맞물린 인벌류트 기어에서 피치원의 공통접선과 맞물리는 부위에 힘이 작용하는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이 각도는 기어의 접촉면에서의 접선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이며, 기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작용선의 위치가 변화하므로 압력각도 변화한다. 따라서 압력각은 기어의 접촉면에서의 접촉 압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름 45mm의 축이 200rpm 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축은 길이 1m에 대하여 1/4° 의 비틀림 각이 발생한다고 할 때 약 몇 kW 의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가? (단, 축 재료의 가로탄성계수는 84 GPa 이다.)

  1. 2.1
  2. 2.6
  3. 3.1
  4. 3.6
(정답률: 33%)
  • 비틀림 각과 전달된 동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P = frac{Ttheta}{t}$

    여기서, $P$는 전달된 동력, $T$는 비틀림 토크, $theta$는 비틀림 각, $t$는 시간이다.

    비틀림 토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frac{JG}{l}$

    여기서, $J$는 폴라르 모멘트, $G$는 가로탄성계수, $l$은 축의 길이이다.

    폴라르 모멘트는 원형 단면의 경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J = frac{pi}{32}d^4$

    여기서, $d$는 축의 지름이다.

    따라서, 전달된 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frac{pi}{32}frac{d^4Gtheta}{lt}$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P = frac{pi}{32}frac{(0.045m)^4times 84times 10^9 Patimes 0.25^circ}{1mtimes 60s} approx 3.1 kW$

    따라서, 정답은 "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Dhisel)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리벳머리의 주위와 강판의 가장자리를 두드리는 작업을 코킹(caulking)이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실시하는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1. 리벳팅 작업에 있어서 강판의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2. 리벳팅 작업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3. 리벳팅 작업 중 파손되 부분을 수정하기 위하여
  4. 리벳이 들어갈 구멍을 뚫기 위하여
(정답률: 75%)
  • 리벳팅 작업은 강판을 연결하는 작업으로, 이때 강판과 강판 사이에 공기나 물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코킹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답은 "리벳팅 작업에 있어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축 방향으로 보스를 미끄럼 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키는?

  1. 페더(feather) 키
  2. 반달(woodruff) 키
  3. 성크(sunk) 키
  4. 안장(saddle) 키
(정답률: 47%)
  • 페더(feather) 키는 축과 축에 연결된 부품 사이의 미세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키는 작은 크기와 부드러운 형태로, 보스를 부드럽게 미끄럼 운동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축 방향으로 보스를 미끄럼 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페더(feather) 키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느 브레이크에서 제동동력이 3kW 이고, 브레이크 용량(brake capacity)을 0.8 N/mm2·m/s 라고 할 때, 브레이크 마찰면적의 크기는 약 몇 mm2 인가?

  1. 3200
  2. 2250
  3. 5500
  4. 3750
(정답률: 42%)
  • 브레이크 제동동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제동동력 = 마찰력 × 마찰면적 × 회전반경 × 회전속도

    여기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는 일정하므로, 제동동력은 마찰력과 마찰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마찰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마찰면적 = 제동동력 ÷ (마찰력 × 회전반경 × 회전속도)

    제동동력은 3kW 이므로, 마찰력을 구해야 한다.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마찰력 = 브레이크 용량 × 브레이크 패드 면적

    브레이크 용량은 0.8 N/mm2·m/s 이므로, 브레이크 패드 면적을 구하면 마찰력을 구할 수 있다. 마찰력을 구하고, 회전반경과 회전속도는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마찰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 면적 = 마찰력 ÷ 브레이크 용량

    마찰면적 = 제동동력 ÷ (마찰력 × 회전반경 × 회전속도) = 제동동력 ÷ (브레이크 패드 면적 × 브레이크 용량 × 회전반경 × 회전속도)

    마찰면적 = 3000 ÷ (브레이크 패드 면적 × 0.8 × 0.2 × 3.14 × 10)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 면적을 구하면,

    브레이크 패드 면적 = 마찰력 ÷ 브레이크 용량 = 3000 ÷ (0.8 × 0.2) = 18750

    따라서, 마찰면적은 다음과 같다.

    마찰면적 = 3000 ÷ (18750 × 0.8 × 0.2 × 3.14 × 10) ≈ 3750

    따라서, 정답은 "37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420 rpm 으로 16.20 kN 의 하중을 받고 있는 엔드저널의 지름(d)과 길이(ℓ)는? (단, 베어링 작용압력은 1 N/mm2, 폭 지름비 ℓ/d=2 이다.)

  1. d = 90 mm, ℓ = 180 mm
  2. d = 85 mm, ℓ = 170 mm
  3. d = 80 mm, ℓ = 160 mm
  4. d = 75 mm, ℓ = 150 mm
(정답률: 39%)
  • 베어링 작용압력은 1 N/mm2 이므로, 엔드저널이 받는 하중은 16.20 kN 이다. 엔드저널의 지름을 d, 길이를 ℓ 이라고 하면, 베어링 작용면적은 πdℓ 이고, 이에 작용하는 하중은 베어링 작용압력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πdℓ × 1 N/mm2 = 16.20 kN

    여기서, 폭 지름비 ℓ/d=2 이므로, ℓ=2d 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πd(2d) × 1 N/mm2 = 16.20 kN

    2πd2 × 1 N/mm2 = 16.20 kN

    d2 = 2.58 × 10-3 m2

    d = 0.051 m = 51 mm

    따라서, 엔드저널의 지름은 51 mm 이다. 이제, 폭 지름비 ℓ/d=2 이므로, ℓ=2d=102 m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길이가 mm 단위로 주어졌으므로, ℓ=180 mm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d = 90 mm, ℓ = 180 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하여 V-벨트 전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비교적 큰 동력을 전달한다.
  2. 장력이 커서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큰 편이다.
  3. 미끄럼이 작고 속도비가 크다.
  4. 바로걸기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7%)
  • "장력이 커서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큰 편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V-벨트 전동장치는 평벨트 전동장치보다 장력이 크기 때문에 베어링에 걸리는 하중이 크다. 이는 벨트의 길이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이기 때문에 벨트의 장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M22볼트(골지름 19.294mm)가 그림과 같이 2장의 강판을 고정하고 있다. 체결 볼트의 허용전단응력이 36.15 MPa 라 하면 최대 몇 kN까지의 하중(P)을 견딜 수 있는가?

  1. 3.21
  2. 7.54
  3. 10.57
  4. 11.48
(정답률: 40%)
  • 해당 문제는 전단응력 계산 문제이다.

    전단응력은 τ = F/A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하중, A는 단면적이다.

    우선 체결 볼트의 허용전단응력을 이용하여 체결 볼트의 최대 하중을 계산해보자.

    τ = F/A
    36.15 MPa = F/(π/4 * (M22볼트의 골지름)^2)
    F = 36.15 * π/4 * (19.294)^2 = 40.98 kN

    따라서 체결 볼트는 40.98 kN 이하의 하중만 견딜 수 있다.

    이제 강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해보자.

    강판에 작용하는 하중은 체결 볼트의 하중과 같다. 왜냐하면 체결 볼트가 강판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판에 작용하는 하중은 40.98 k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대 몇 kN까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가를 물었으므로, 이 값에서 안전율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율은 일반적으로 2~3 정도로 설정하는데, 여기서는 2로 설정하겠다.

    따라서 최대 하중은 40.98 / 2 = 20.49 kN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이 주어졌다.

    "3.21", "7.54", "10.57", "11.48"

    이 중에서 정답은 "10.57" 이다.

    이유는 강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할 때, M22볼트의 골지름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값이 19.294m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골지름이 20mm인 볼트를 사용한 경우의 결과값들이 주어졌다.

    따라서 이 값들은 계산 결과와 다르므로, 정답은 골지름이 19.294mm인 M22볼트를 사용한 경우의 계산 결과인 "10.5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다음 중 곡면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베지어(Bezier)곡면의 차수는 조정점의 개수에 의해 좌우된다.
  2. 곡면식들은 필요해 의해 그 미분 값들을 자주 계산할 필요가 있다.
  3. 쿤스 패치(Conns patch)는 패치를 구성하는 2개의 구석 점들을 선형 보간하여 전체 곡면식을 얻는다.
  4. 최근의 솔리드 모델링 시스템은 사용되는 모든 곡면을 하나의 NURB 곡면식 형태로 저장하기도 한다.
(정답률: 67%)
  • "쿤스 패치(Conns patch)는 패치를 구성하는 2개의 구석 점들을 선형 보간하여 전체 곡면식을 얻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쿤스 패치는 패치를 구성하는 4개의 구석점과 그에 대응하는 4개의 벡터를 이용하여 곡면식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2개의 구석점만으로 곡면식을 얻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원뿔에 의한 원추곡선이 아닌 것은?

  1. 3차 스플라인 곡선
  2. 쌍곡선
  3. 포물선
  4. 타원
(정답률: 63%)
  • 3차 스플라인 곡선은 원뿔에 의한 원추곡선이 아닙니다. 원뿔에 의한 원추곡선은 원뿔의 꼭대기에서부터 원뿔의 벽면을 따라 내려오는 곡선이지만, 3차 스플라인 곡선은 주어진 점들을 통해 부드러운 곡선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보간 곡선입니다. 쌍곡선, 포물선, 타원은 모두 원뿔에 의한 원추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P0, P1, P2의 조정점을 갖고 오더가 3인 비주기적 귱닐 B-spline 곡선의 식을 다항식 형태로 유도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1. P(u) = u2P0 + 2u(1-u)P1 + (1-u)2P2
  2. P(u) = (1-u)2P0 + 2u(1-u)P1 + u2P2
  3. P(u) = u2P0 - 2u(1-u)P1 + (1-u)2P2
  4. P(u) = (1-u)2P0 - 2u(1-u)P1 + u2P2
(정답률: 44%)
  • 정답은 "P(u) = (1-u)2P0 + 2u(1-u)P1 + u2P2"이다.

    B-spline 곡선은 조정점과 노드 벡터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조정점 P0, P1, P2이 주어졌다. 또한, 오더가 3이므로 각 구간은 4개의 노드로 구성된다.

    B-spline 곡선의 다항식 형태는 다음과 같다.

    P(u) = Σi=0n Ni,p(u)Pi

    여기서 Ni,p(u)는 B-spline 기저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오더가 3이므로 p=2이다. 따라서 B-spline 기저 함수는 다음과 같다.

    Ni,2(u) = (1-u)2/2, 0 ≤ u ≤ 1

    Ni+1,2(u) = 2u(1-u), 0 ≤ u ≤ 1

    Ni+2,2(u) = u2/2, 0 ≤ u ≤ 1

    따라서, P(u)는 다음과 같다.

    P(u) = N0,2(u)P0 + N1,2(u)P1 + N2,2(u)P2

    = (1-u)2/2 P0 + 2u(1-u) P1 + u2/2 P2

    = (1-u)2 P0/2 + u(1-u) 2P1 + u2 P2/2

    = (1-u)2 P0 + 2u(1-u) P1 + u2 P2

    따라서, 정답은 "P(u) = (1-u)2P0 + 2u(1-u)P1 + u2P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면과 면사이의 위상기하학적인 결합관계를 정의함으로써 3차원 물체를 표현하는 방식은?

  1. CGG 방식
  2. B-Rep 방식
  3. Hybrid 방식
  4. Wireframe 방식
(정답률: 53%)
  • B-Rep 방식은 Boundary Representation의 약자로, 3차원 물체를 면과 면사이의 위상기하학적인 결합관계로 정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물체의 내부와 외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물체의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B-Rep 방식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많이 사용되며, 공학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품개발의 초기개념 설계단계에서 해당 제품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체 제품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것(품질, 원가, 일정, 고객의 요구사항 등)을 감안하여 협업적으로 개발하도록 하는 시스템 공학적 제품개발 전략은?

  1. 가치분석(Value Analysis)
  2.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3.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
  4. 총괄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Control)
(정답률: 50%)
  • 동시공학은 제품개발의 초기개념 설계단계부터 제품의 폐기까지 전체 제품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협업적으로 개발하는 시스템 공학적 제품개발 전략입니다. 따라서 품질, 원가, 일정, 고객의 요구사항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DNC(Direct Numerical Control)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러 대의 NC기계를 한 대의 컴퓨터에 연결시켜 제어
  2. NC 공작기계 내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부프로그램(subroutine)
  3. 컴퓨터(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NC공작기계
  4. 컴퓨터의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
(정답률: 84%)
  • DNC(Direct Numerical Control)는 여러 대의 NC기계를 한 대의 컴퓨터에 연결시켜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대의 기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NC 시스템은 NC 공작기계 내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부프로그램(subroutine)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컴퓨터(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NC공작기계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를 활용하여 작업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컴퓨터를 이용한 공정계획의 약자로 맞는 것은?

  1. CAP
  2. MRP
  3. CAT
  4. CAPP
(정답률: 66%)
  • CAPP는 Computer-Aided Process Planning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을 계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공정계획"에 해당하는 CAP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일반적인 공구경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트 프로그래머가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것은?

  1. 공구가 공작물의 필요한 부분까지 제거하는지의 여부
  2. 공구가 어떤 클램프(clamp)나 고정구(fixture)와 충돌하는지의 여부
  3. 공구가 포켓(pocket)의 바닥이나 측면, 리브(lib)를 관통하여 지나가는지의 여부
  4. 공구에 어떤 힘이 가해지며, 공구경로가 공구수명에 효율적인지의 여부
(정답률: 79%)
  • 정답은 "공구에 어떤 힘이 가해지며, 공구경로가 공구수명에 효율적인지의 여부"입니다. 이는 공구의 내부적인 동작과정에 대한 것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구가 어떤 부분을 제거하는지, 충돌하는지, 지나가는지 등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3차원 솔리드 모델링 과정에서 사용되는 primitive 요소가 아닌 것은?

  1. 원뿔
  2. 삼각면
  3. 육면체
(정답률: 70%)
  • 삼각면은 2차원 평면 요소이기 때문에 3차원 솔리드 모델링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3차원 솔리드 모델링에서는 구, 원뿔, 육면체 등의 3차원 요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일반적인 CAD 시스템에서 하나의 원(circle)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심과 반지름으로 표시
  2. 중심과 원주상의 한 점으로 표시
  3. 한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로 표시
  4.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은 임의의 3개의 점으로 표시
(정답률: 59%)
  • "한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로 표시"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이 방법은 원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중심과 반지름, 중심과 원주상의 한 점 등을 이용하여 원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지만, "한 점과 수평선과의 각도로 표시"는 원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며, 다른 정보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x방향으로 2배 축소, y방향으로 2배 확대를 나타내는 변환 행렬 TH는?

(정답률: 62%)
  • 변환 행렬 TH는 다음과 같다.

    TH = [ 0.5 0 ; 0 2 ]

    이유는 x방향으로 2배 축소를 하려면 x축 방향으로 0.5배로 스케일링을 해야하고, y방향으로 2배 확대를 하려면 y축 방향으로 2배로 스케일링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H의 첫 번째 행은 x축 방향으로의 스케일링을 나타내고, 두 번째 행은 y축 방향으로의 스케일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블렌딩 함수로 베른스타인(Bernstein)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방정식은?

  1. NURBS 곡선
  2. B-spline 곡선
  3. 베지어(Bezier) 곡선
  4. 퍼거슨(Ferguson) 곡선
(정답률: 63%)
  • 베른스타인(Bernstein) 다항식은 베지어(Bezier) 곡선에서 사용되는 블렌딩 함수이다. 베지어 곡선은 이러한 베른스타인 다항식을 사용하여 곡선을 정의하며, 이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곡선을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베지어 곡선이 블렌딩 함수로 베른스타인 다항식을 사용한 곡선 방정식이다. NURBS 곡선과 B-spline 곡선은 다른 유형의 곡선이며, 퍼거슨(Ferguson) 곡선은 베지어 곡선의 변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터빈 블레이드나 선박의 스크루(screw), 항공기 부품 등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가장 적합한 가공 방식은?

  1. 2.5축 가공
  2. 3축 가공
  3. 4축 가공
  4. 5축 가공
(정답률: 79%)
  • 터빈 블레이드나 선박의 스크루, 항공기 부품 등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가공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5축 가공은 X, Y, Z 축 이동과 함께 회전 축도 추가되어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가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5축 가공은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래픽데이터 표준규격인 IGES(Intitial Graphics Exchanges Specification)파일 구조가 아닌 것은?

  1. Start 섹션
  2. Global 섹션
  3. Blocks 섹션
  4. Directory 섹션
(정답률: 56%)
  • IGES 파일 구조에서 "Blocks 섹션"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IGES 파일은 "Start 섹션", "Global 섹션", "Directory 섹션"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CNC공작기계의 가공에 필요한 NC코드의 생성에 가장 적절한 모델은?

  1. 커브(curve) 모델
  2. 곡면(surface) 모델
  3. 유한요소(FEM) 모델
  4.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모델
(정답률: 57%)
  • CNC공작기계는 3차원 형상을 가공하기 때문에, 가공에 필요한 NC코드의 생성에는 3차원 모델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곡면(surface) 모델은 곡면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곡면 형상을 가공하는 CNC공작기계에서 가장 적합한 모델이다. 커브(curve) 모델은 곡면 형상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유한요소(FEM) 모델은 구조해석에 사용되는 모델이므로 CNC가공에는 적합하지 않다.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모델은 3차원 형상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며, 곡면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중심(-10, 5), 반지름 5인 원의 방정식은?

  1. (x - 10)2 + (y + 5)2 = 5
  2. (x + 10)2 + (y - 5)2 = 5
  3. (x - 10)2 + (y + 5)2 = 25
  4. (x + 10)2 + (y - 5)2 = 25
(정답률: 54%)
  • 원의 방정식은 (x-a)² + (y-b)² = r² 이다. 여기서 (a,b)는 중심이고 r은 반지름이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x+10)² + (y-5)² = 5² = 25 이므로 정답은 "(x + 10)² + (y - 5)² = 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솔리드 모델(Solid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의 처리가 많아진다.
  2. 물리적 성질 등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3. 이동·회전 등을 통하여 정확한 형상파악을 할 수 있다.
  4. Boolean 연산(합, 차, 적)을 통하여 복잡한 형상 표현도 가능하다.
(정답률: 79%)
  • 솔리드 모델은 3차원 형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이다. 이동, 회전 등을 통해 정확한 형상파악이 가능하며, Boolean 연산을 통해 복잡한 형상 표현도 가능하다. 하지만 물리적 성질 등의 계산은 불가능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솔리드 모델은 물리적 성질 등의 계산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성능 등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쾌속조형(RP)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클램프, 지그, 또는 고정구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2. 특징형상 기반 설계나 특징형상 인식이 필요하다.
  3. 물체를 만들기 위해 단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4. 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재료를 더해 나가는 공정이다.
(정답률: 36%)
  • "클램프, 지그, 또는 고정구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쾌속조형(RP)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이다. 이는 쾌속조형(RP) 공정에서도 부품이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징형상 기반 설계나 특징형상 인식이 필요하다."는 맞는 설명이다. 쾌속조형(RP) 공정에서는 물체의 형상을 기반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특징형상 기반 설계나 인식이 필요하다. "물체를 만들기 위해 단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한다."는 컴퓨터를 통해 3차원 모델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제작하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재료를 더해 나가는 공정이다."는 3D 프린팅과 같은 추가제조 방식에 해당하는 설명이다. 쾌속조형(RP) 공정은 재료를 제거하면서 물체를 만들어 나가는 제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래스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흑백이 아닌 칼라 색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트 플레인(bit plane)은 몇 개인가?

  1. 1
  2. 3
  3. 5
  4. 7
(정답률: 72%)
  • 최소한의 비트 플레인은 3개이다. 이유는 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RGB (Red, Green, Blue) 색 모델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8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3개의 비트 플레인이 필요하며, 이는 각각 R, G, B 색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최소한 3개의 비트 플레인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모델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2. 3면 투시도의 작성이 용이하다.
  3. 숨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다.
  4. 데이터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76%)
  • 정답: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가능하다."

    와이어프레임 모델은 3차원 객체를 2차원으로 표현하는 모델로, 물리적 성질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다.

    3면 투시도의 작성이 용이하고, 데이터 구조가 간단하며, 숨은선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모두 와이어프레임 모델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그림과 같이 하나의 그림으로 정육면체의 세 면 중의 한 면 만을 중점적으로 엄밀·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캐비닛도가 이에 해당하는 투상법은?

  1. 사투상법
  2. 등각투상법
  3. 정투상법
  4. 투시도법
(정답률: 54%)
  • 이 그림은 정육면체의 한 면을 중점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므로, 이 면을 수직으로 바라보는 사람의 시점에서 본 모습을 그리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투상법이라고 한다. 등각투상법은 모든 면을 같은 크기로 투영하는 방법이고, 정투상법은 한 면을 정확하게 투영하고 나머지 면들은 왜곡되어 표현하는 방법이다. 투시도법은 3차원 공간을 2차원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람의 시각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공 방법의 약호 중 FR이 뜻하는 것은?

  1. 브로칭 가공
  2. 호닝 가공
  3. 줄 다듬질
  4. 리밍 가공
(정답률: 71%)
  • FR은 "리밍 가공"을 뜻한다. 리밍 가공은 원하는 크기와 정확도를 얻기 위해 원통형 구멍의 내부를 깎아내는 가공 방법이다. 이는 다른 가공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높은 정밀도와 표면 마무리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특수 가공하는 부분이나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하도록 범위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선의 종류는?

  1. 가는 1점 쇄선
  2. 가는 2점 쇄선
  3. 굵은 실선
  4. 굵은 1점 쇄선
(정답률: 59%)
  • 굵은 1점 쇄선은 다른 선들에 비해 눈에 띄게 진하고 굵은 선으로, 특수 가공이나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하는 범위를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선은 일반적으로 제품 설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거나, 제조 과정에서 특별한 처리가 필요한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하학적 형상공차를 사용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1. 최대 생산 공차를 주어 생산성을 높인다.
  2. 끼워맞춤 부품의 호환성을 보증한다.
  3. 직각좌표의 치수방법을 변환시켜 간편하게 표시한다.
  4. 끼워맞춤, 조립 등 그 형상이 요구하는 기능을 보증한다.
(정답률: 52%)
  • 기하학적 형상공차를 사용하는 이유는 끼워맞춤, 조립 등 그 형상이 요구하는 기능을 보증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기능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치수와 위치가 필요하며, 이를 간편하게 표시하기 위해 직각좌표의 치수방법을 변환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직각좌표의 치수방법을 변환시켜 간편하게 표시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용접 기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목길이 6mm, 용접길이 300mm인 화살표 쪽의 필릿 용접
  2. 목두께 6mm, 용접길이 300mm인 화살표 쪽의 필릿 용접
  3. 목길이 6mm, 용접길이 300mm인 화살표 반대 쪽의 필릿 용접
  4. 목두께 6mm, 용접길이 300mm인 화살표 반대 쪽의 필릿 용접
(정답률: 48%)
  • 정답은 "목길이 6mm, 용접길이 300mm인 화살표 쪽의 필릿 용접"입니다. 그림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쪽에 있는 용접은 필릿 용접이며, 목의 두께는 아니지만 목과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목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용접길이는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의 길이인 30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투상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투상도는?

(정답률: 78%)
  •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투상하면 원근법적 왜곡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가장 적합한 투상도는 직교투상입니다. 직교투상은 수직선이 수직선으로, 수평선이 수평선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입체감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기어 간략도를 살펴볼 때 기어의 종류는?

  1. 헬리컬 기어
  2. 스파이럴 베벨 기어
  3. 스크루 기어
  4. 하이포이드 기어
(정답률: 56%)
  • 기어의 축이 서로 교차되어 있으며, 헬리컬 기어와 베벨 기어의 특징을 결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포이드 기어"라고 부릅니다. 이 기어는 고속 회전에도 안정적이며,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어 자동차나 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축의 치수허용차 기호에서 위치수 허용차가 0인 공차역 기호는?

  1. b
  2. h
  3. g
  4. s
(정답률: 60%)
  • 위치수 허용차가 0인 공차역 기호는 "h"이다. 이는 위치수의 차이가 없으므로 공차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측정값이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하며, 이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테이퍼가 1/2 일 때 a의 지름은 몇 mm 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59%)
  • 테이퍼가 1/2 이므로, 1mm 씩 지름이 작아진다. 따라서 a 지점에서부터 5mm 아래쪽까지 5mm가 거리이므로, 지름이 5mm × 1mm = 5mm 작아진다. 따라서 a 지점의 지름은 35mm - 5mm = 3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나사 표시 “M15×1.5 – 6H/6g”에서 6H/6g는?

  1. 나사의 호칭치수
  2. 나사부의 길이
  3. 나사의 등급
  4. 나사의 피치
(정답률: 70%)
  • 6H/6g은 나사의 등급을 나타냅니다. 6H는 내부 나사 부분의 등급을, 6g는 외부 나사 부분의 등급을 나타냅니다. 이는 나사의 정확한 조립과 연결을 보장하기 위한 규격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비용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NC선반 가공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공작물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2. 옷소매나 머리카락이 주축에 휘감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3. 나사, 홈 가공 시는 주축회전수가 일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4. 공구선정 및 가공 절삭조건에 주의하며, 단면 및 외경 가공 시 충돌에 유의한다.
(정답률: 85%)
  • "나사, 홈 가공 시는 주축회전수가 일정하게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나사나 홈 가공 시에는 주축회전수가 일정하지 않으면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축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NC 프로그램의 보조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절삭유 공급 여부
  2. 프로그램 시작지령
  3. 주축회전 방향 결정
  4. 보조프로그램 호출
(정답률: 67%)
  • CNC 프로그램의 보조기능은 절삭 공구의 이동, 회전 및 절삭유 공급 등과 같은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시작지령"은 CNC 프로그램의 보조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CNC 기계가 작동하기 전에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명령어로, CNC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그림의 A 점에서 B 점까지 각오하는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

  1. G91 G03 X-30. I10. ;
  2. G91 G03 X-40. I-20. ;
  3. G91 G03 X10. Y5. J-20. ;
  4. G91 G03 X10. Y5. J-10. ;
(정답률: 66%)
  • A 점에서 B 점까지 이동하는 경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이다. 따라서 G03 명령어를 사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고, X축 방향으로 -40만큼 이동해야 한다. 또한, 원호의 중심점은 현재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20, Y축 방향으로 0만큼 떨어져 있어야 하므로 I-20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G91 G03 X-40. I-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머시닝 센터에서 자동으로 공구를 교환해 주는 장치는?

  1. APC
  2. APT
  3. ATC
  4. TURRET
(정답률: 81%)
  • ATC는 Automatic Tool Changer의 약자로, 머시닝 센터에서 자동으로 공구를 교환해 주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APC는 Automatic Pallet Changer, APT는 Automatic Programming Tool, TURRET은 Turret Tool Changer를 의미하는데, 이들은 공구 교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고속가공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Burr 생성이 증가한다.
  2. 표면조도를 향상시킨다.
  3. 절삭저항이 저하되고 공구수명이 길어진다.
  4. 황삭부터 정삭까지 One-Setup 가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50%)
  • 정답: "절삭저항이 저하되고 공구수명이 길어진다."

    해설: 고속가공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빠르게 절삭하는 가공 방법입니다. 이에 따라 절삭열이 발생하고, 이는 공구에 열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공구의 절삭저항이 저하되고, 공구의 수명이 감소하게 됩니다. Burr 생성이 증가하는 것은 공구의 수명이 감소하고, 절삭저항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표면조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고속가공의 장점 중 하나이며, 황삭부터 정삭까지 One-Setup 가공이 가능하다는 것은 가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프로그램에서 가공물의 직경이 50 mm일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몇 rpm 인가?

  1. 140
  2. 891
  3. 1400
  4. 8920
(정답률: 68%)
  • 주어진 그림에서 가공물의 직경이 50 mm일 때, 라인 스피드는 20 m/min 이므로, 주축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라인 스피드 = π × 가공물 직경 × 주축 회전수 ÷ 1000

    20 = 3.14 × 50 × 주축 회전수 ÷ 1000

    주축 회전수 = 20 × 1000 ÷ (3.14 × 50) ≈ 1273.24 rpm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정답이 "891" 이다. 이는 실제 회전수와 다르다. 이유는 주어진 보기에서는 속도계수를 고려한 값으로 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실제 회전수에 속도계수를 곱한 값이 주어진 보기에서의 값이다.

    속도계수는 기계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이 문제에서는 0.7로 가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회전수에 0.7을 곱한 값이 주어진 보기에서의 값이 된다.

    1273.24 × 0.7 ≈ 891

    따라서, 가공물의 직경이 50 mm일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891 r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CNC 공작기계 구성 중 범용공작기계에서 사람이 직접 수동조작으로 하던 일을 대신하는 구성요소는?

  1. 서보기구
  2. 볼 스크루
  3. 정보처리 회로
  4. 테이블 및 컬럼
(정답률: 70%)
  • 서보기구는 모터와 위치센서,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된 구성요소로,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사람이 직접 수동조작으로 하던 일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볼 스크루는 움직이는 부품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조작해야 합니다. 정보처리 회로는 컴퓨터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며, 테이블 및 컬럼은 CNC 공작기계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작업물을 고정하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머시닝센터에서 2날 엔드밀을 사용하여 이송속도(G94) F100으로 가공할대 엔드밀의 날 하나당 이송거리는 몇 mm 인가? (단, 주축의 회전수는 500 rpm 이다.)

  1. 0.05
  2. 0.1
  3. 0.2
  4. 0.25
(정답률: 55%)
  • 이송속도(G94)는 분당 이송거리를 나타내는데, F100은 분당 100mm의 이송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엔드밀의 회전수가 500rpm이므로, 1분에 엔드밀이 회전하는 횟수는 500번이다. 이때, 엔드밀의 날 하나당 이송거리는 몇 mm인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1회 회전시 이송거리를 구하고, 이를 500으로 나누면 된다. 엔드밀의 둘레는 지름에 파이(π)를 곱한 값이므로, 엔드밀의 지름이 10mm라면 둘레는 10π mm이다. 따라서, 1회 회전시 이송거리는 10π mm이고, 이를 500으로 나누면 약 0.1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서보기구에 사용되는 회로방식 중 보정조건이 좋지 않은 기계에서 고정밀도를 요구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개방회로방식
  2. 반개방회로방식
  3. 반폐쇄회로방식
  4. 하이브리드 서보방식
(정답률: 60%)
  • 하이브리드 서보방식은 개방회로방식과 반폐쇄회로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보정조건이 좋지 않은 기계에서도 고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방회로방식의 빠른 응답속도와 반폐쇄회로방식의 안정성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서보기구에 적합한 회로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NC 선반에서 1.5초 휴지(dwell)하는 프로그램으로 틀린 것은?

  1. G04 X1.5
  2. G04 I1.5
  3. G04 U1.5
  4. G04 P1500
(정답률: 65%)
  • 정답은 "G04 X1.5"입니다.

    CNC 선반에서 1.5초 휴지(dwell)하는 프로그램은 "G04"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G04 I1.5": I는 지연시간을 나타내며, 1.5초의 휴지를 의미합니다.
    - "G04 U1.5": U는 마이크로초 단위의 지연시간을 나타내며, 1.5초의 휴지를 의미합니다.
    - "G04 P1500": P는 밀리초 단위의 지연시간을 나타내며, 1500밀리초(1.5초)의 휴지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G04 X1.5"는 X축 좌표값을 1.5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므로, 휴지를 의미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