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드릴링 머신 작업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가공 시 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한다.
  2. 가공물이 회전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한다.
  3. 가공물을 손으로 지지하여 드릴링하지 않는다.
  4. 얇은 가공물을 드릴링할 때에는 목편을 받친다.
(정답률: 92%)
  • "가공 시 면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한다."가 틀린 것이다. 드릴링 작업 시에는 면장갑을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유는 면장갑이 회전하는 드릴에 갇히거나, 드릴링 작업 시 미끄러져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작업자는 손목부터 팔꿈치까지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늘고 긴 일정한 단면모양을 가진 공구를 사욯아여 가공물의 내면에 키 홈, 스플라인 홈, 원형이나 다각형의 구멍 형상과 외면에 세그먼트 기어, 홈, 특수한 외면의 형상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는?

  1. 기어 셰이퍼(gear shaper)
  2. 호닝 머신(honong machine)
  3. 호빙 머신(hobbing machine)
  4. 브로칭 머신(broaching machine)
(정답률: 77%)
  • 브로칭 머신은 가늘고 긴 일정한 단면모양을 가진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물의 내면과 외면에 다양한 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공작기계입니다. 이에 비해 기어 셰이퍼는 기어를 가공하기 위한 공작기계이고, 호닝 머신은 내부면을 가공하는 공작기계, 호빙 머신은 외부면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입니다. 따라서 브로칭 머신이 가공 가능한 형상의 범위가 가장 넓고 다양하다는 점에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재를 A급, B급, C급, D급으로 구분햇을 때, 전기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80%)
  • 전기화재는 C급에 해당합니다. C급 화재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관여된 화재로, 전기기기나 전선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A급은 일반 물질인 종이나 나무 등이 타는 화재, B급은 유류나 기름 등이 타는 화재, D급은 금속이 타는 화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선반작업에서 구성인선(built-up edge)의 발생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절삭 깊이를 적게 할 때
  2. 절삭속도를 느리게 할 때
  3.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이 클 때
  4. 윤활성이 좋은 절삭유제를 사용할 때
(정답률: 74%)
  • 구성인선은 절삭면과 칩 사이에 재료가 끼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절삭속도를 느리게 하면 칩이 잘 끊어지지 않아 칩과 절삭면 사이에 재료가 끼이기 쉬워져 구성인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드릴작업 후 구멍의 내면을 다듬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구는?

  1. 리머
  2. 센터드릴
  3. 카운터 보어
(정답률: 85%)
  • 리머는 드릴 작업 후 구멍의 내면을 다듬질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드릴 작업과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탭은 나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센터드릴은 원하는 위치에 중심을 찍기 위해 사용되며, 카운터 보어는 구멍의 깊이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표면 프로파일 파라미터 정의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Rt - 프로파일의 전체 높이
  2. RSm - 평가 프로파일의 첨도
  3. Rsk - 평가 프로파일의 비대칭도
  4. Ra - 평가 프로파일의 산술 평균 높이
(정답률: 52%)
  • RSm은 평가 프로파일의 첨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지만, 실제로는 평균 거리와 관련된 파라미터인 Rz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RSm은 평가 프로파일의 첨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맞지만, 이와 관련된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금을 응용한 방법으로 모델을 음극에 전착시킨 금속을 양극에 설치하고, 전해액 속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적당한 두께로 금속을 입히는 가공방법은?

  1. 전주가공
  2. 전해연삭
  3. 레이저가공
  4. 초음파가공
(정답률: 61%)
  • 전주가공은 도금을 응용한 방법으로, 모델을 음극에 전착시킨 금속을 양극에 설치하고, 전해액 속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적당한 두께로 금속을 입히는 가공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이다. 전해연삭은 전해액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방법, 레이저가공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 초음파가공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삭 작업에서 숫돌 결합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성형성이 우수해야 한다.
  2. 열이나 연삭액에 대하여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3. 필요에 따라 결합 능력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4. 충격에 견뎌야 하므로 기공 없이 치밀해야 한다.
(정답률: 71%)
  • 숫돌 결합제는 연삭 작업에서 숫돌과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공 없이 치밀한 결합이 필요하다. 따라서 "충격에 견뎌야 하므로 기공 없이 치밀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적인 보통선반 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바이트 절입량의 2배로 공작물의 지름이 작아진다.
  2.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표면거칠기는 좋아진다.
  3. 절삭속도가 증가하면 바이트의 수명은 짧아진다.
  4. 이송속도는 공작물의 1회전 당 공구의 이동거리이다.
(정답률: 66%)
  •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표면거칠기는 좋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표면거칠기는 오히려 나빠집니다. 이유는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공구가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공작물 표면에 생기는 절삭력이 강해져서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송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표면거칠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작물을 센터에 지지하지 않고 연삭하며,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 연삭기는?

  1. 나사 연삭기
  2. 내경 연삭기
  3. 외경 연삭기
  4. 센터리스 연삭기
(정답률: 91%)
  • 센터리스 연삭기는 공작물을 센터에 지지하지 않고 연삭하는 방식으로, 가공물의 길이나 지름에 제한이 없어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센터리스 연삭기가 정답입니다. 나사 연삭기는 나사를 가공하는데 적합하고, 내경 연삭기는 내부 지름을 가공하는데 적합하며, 외경 연삭기는 외부 지름을 가공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나사의 유효지름 측정방법 중 정밀도가 가장 높은 방법은?

  1. 삼침법을 이용한 방법
  2. 피치 게이지를 이용한 방법
  3.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한 방법
  4. 나사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한 방법
(정답률: 81%)
  • 삼침법은 세 개의 침을 이용하여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정밀도가 높습니다. 이는 세 개의 침이 나사의 표면에 더 많은 접촉면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삼각형의 형태로 침을 배치하여 나사의 중심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침법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정밀한 나사의 유효지름 측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형 부분을 두 개의 동심의 기하학적 원으로 취했을 경우, 두 원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두원의 반지름의 차로 나타내는 형상 정밀도는?

  1. 원통도
  2. 직각도
  3. 진원도
  4. 평행도
(정답률: 65%)
  • 원형 부분을 두 개의 동심의 기하학적 원으로 취했을 때, 두 원의 간격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두 원의 반지름이 최대한 비슷해야 합니다. 따라서, 두 원의 반지름의 차가 최소가 되는 형상이 가장 정밀한 형상이 됩니다. 이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도형은 진원도입니다. 진원도는 두 개의 원이 동심원을 중심으로 서로 겹치지 않고 그 간격이 최소가 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원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윤활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상태에 따라 점도가 변할 것
  2. 산화나 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을 것
  3.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깨끗하고 균질할 것
  4. 한계 윤활 상태에서 견딜 수 있는 유성이 있을 것
(정답률: 83%)
  • "사용 상태에 따라 점도가 변할 것"이 틀린 것은 윤활제의 구비조건으로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윤활제는 사용 상태에 따라 점도가 변할 수 있지만, 이는 구비조건이 아니라 윤활제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윤활제는 산화나 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을 것,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깨끗하고 균질할 것, 그리고 한계 윤활 상태에서 견딜 수 있는 유성이 있을 것이라는 구비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밀링가공에서 분할대를 사용하여 원주를 6°30 씩 분할하고자 할 때, 옳은 방법은?

  1. 분할크랭크를 18공열에서 13구멍씩 회전시킨다.
  2. 분할크랭크를 26공열에서 18구멍씩 회전시킨다.
  3. 분할크랭크를 36공열에서 13구멍씩 회전시킨다.
  4. 분할크랭크를 13공열에서 1회전하고 5구멍씩 회전시킨다.
(정답률: 57%)
  • 원주를 6°30 씩 분할하려면 360°를 6°30으로 나눈 값인 55.38회를 분할대에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분할크랭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데, 분할크랭크의 구멍 수와 공열 수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는 값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분할크랭크를 18공열에서 13구멍씩 회전시킨다면, 18공열 중 13구멍씩 회전시키므로 1회전당 18/13 = 1.38회 회전됩니다. 따라서 55.38회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55.38/1.38 = 40회전 + 10구멍 회전해야 합니다. 이렇게 분할크랭크를 설정하면 정확하게 6°30 씩 분할된 가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NC프로그램에서 보조기능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는?

  1. F
  2. M
  3. S
  4. T
(정답률: 90%)
  • 보조기능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는 "M"입니다. 이는 CNC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M03은 주축 회전을 시작하라는 명령이고, M08은 냉각 장치를 켜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M 어드레스는 CNC 기계의 보조기능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삭유의 사용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절삭열의 냉각
  2. 기계의 부식 방지
  3. 공구의 마모 감소
  4. 공구의 경도 저하 방지
(정답률: 78%)
  • 절삭유는 주로 절삭공작물의 표면 마모를 감소시키고, 절삭열을 냉각하여 공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계의 부식 방지"는 절삭유의 사용목적으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밀링작업에서 분할대를 사용하여 직접 분할할 수 없는 것은?

  1. 3등분
  2. 4등분
  3. 6등분
  4. 9등분
(정답률: 70%)
  • 분할대는 일정한 간격으로 물체를 분할하는 도구이므로, 3, 4, 6으로 나눌 수 있는 물체는 분할대를 사용하여 직접 분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9로 나눌 경우, 분할대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서 정확한 분할이 어렵기 때문에 직접 분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9등분은 분할대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분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4개의 조가 90° 간격으로 구성 배치되어 있으며, 보통 선반에서 편심가공을 할 때 사용되는 척은?

  1. 단동척
  2. 연동척
  3. 유압척
  4. 콜릿척
(정답률: 82%)
  • 단동척은 하나의 조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척으로, 편심가공을 할 때에는 한쪽 면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적합합니다. 연동척은 여러 개의 조를 함께 움직여 사용하는 척이며, 편심가공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유압척은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척으로, 편심가공에는 적합하지만 비용이 높습니다. 콜릿척은 작은 직경의 원형 물체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척으로, 편심가공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편심가공을 할 때 사용되는 척은 단동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3차원 측정기에서 사용되는 프로브 중 광학계를 이용하여 얇거나 연한 재질의 피측정물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심출 현미경, CMM계측용 TV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전자식 프로브
  2. 접촉식 프로브
  3. 터치식 프로브
  4. 비접촉식 프로브
(정답률: 62%)
  • 광학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프로브는 피측정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도 측정이 가능한 비접촉식 프로브이다. 따라서 얇거나 연한 재질의 피측정물을 측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전자식 프로브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이고, 접촉식 프로브는 피측정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측정하는 방식이다. 터치식 프로브는 접촉식 프로브의 일종으로, 피측정물과 접촉하여 측정하는 동시에 힘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밀링머신에 포함되는 기계장치가 아닌 것은?

  1. 주축
  2. 컬럼
  3. 심압대
(정답률: 79%)
  • 심압대는 밀링머신에 포함되지 않는 기계장치이다. 밀링머신은 니, 주축, 컬럼 등의 기계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밀링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심압대는 밀링 작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계장치로, 밀링머신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대부분 열에 약하다.
  2. 대부분 내구성이 높다.
  3. 대부분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
  4. 금속 재료보다 체적당 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78%)
  • 정답은 "대부분 내구성이 높다."가 아닌 "대부분 열에 약하다."입니다.

    플라스틱 재료는 대부분 내구성이 높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며, 체적당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에 약하다는 점은 플라스틱 재료의 한계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녹을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고온에서 사용되는 환경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때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철의 접종(inoculation) 및 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a-Si 등을 첨가하여 접종을 한다.
  2. 핵생성을 용이하게 한다.
  3. 흑연의 형상을 개량한다.
  4. 칠(chill)화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54%)
  • 주철의 접종은 주철 내부의 결정화를 개선하여 불순물의 분포를 조절하고 결정의 크기를 균일하게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주철의 기계적 성질과 가공성이 향상되며, 칠화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칠화는 주철 내부에서 형성되는 불순물의 결합체로, 칠화가 많아질수록 주철의 연성과 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칠화를 증가시키는 것은 주철의 기계적 성질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칠화를 증가시킨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마텐자이트(Martensite) 및 그 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도가 높고, 취성이 있다.
  2. 상온에서는 준안정상태이다.
  3. 마텐자이트 변태는 확산변태를 한다.
  4. 강을 수중에 담금질하였을 때 나타나는 조직이다.
(정답률: 59%)
  • "마텐자이트 변태는 확산변태를 한다."가 틀린 것이다. 마텐자이트 변태는 단순비례변태(proportional transformation)에 해당한다. 이는 급격한 냉각이나 변형으로 인해 원자간 거리가 갑자기 줄어들어 발생하는 변태로, 확산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알루미늄합금인 Al-Mg-Si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시효경화(age-hardening) 처리한다.
  2. 냉간가공(cold work)을 실시한다.
  3. 담금질(quenching) 처리한다.
  4. 불림(normalizing) 처리한다.
(정답률: 64%)
  • 알루미늄합금인 Al-Mg-Si는 시효경화 처리를 통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시효경화 처리는 합금을 고온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미세한 입자를 형성하고, 이후 낮은 온도에서 오랜 시간 동안 보관하여 입자가 성장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합금 내부의 입자가 성장하면서 결정 구조가 강화되어 강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시효경화 처리가 Al-Mg-Si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섬유강화금속(FRM)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비강도 및 비강성이 높다.
  2. 섬유축 방향의 강도가 작다.
  3. 2차 성형성, 접합성이 있다.
  4. 고온의 역학적 특성 및 열적안정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1%)
  • "섬유축 방향의 강도가 작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FRM은 섬유강화재료로써, 섬유축 방향의 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는 섬유가 길게 늘어져 있는 방향에서의 강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RM은 축 방향으로의 하중에 강하며, 비강도 및 비강성이 높고, 2차 성형성, 접합성이 우수하며, 고온의 역학적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황동계 실용 합금인 톰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연성이 우수하다.
  2. 5~20%의 Sn을 함유하는 황동이다.
  3. 코이닝하기 쉬워 메달, 동전 등에 사용된다.
  4. 색깔이 금색에 가까워서 모조금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5%)
  • 4번이 틀린 것이다. 황동계 실용 합금인 톰백은 모조금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코이닝하기 쉬워 메달, 동전 등에 사용된다. 5~20%의 Sn을 함유하는 이유는, 이 비율이 적당하면서도 코이닝성과 내식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0.8%C 이하의 아공석강에서 탄소함유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기계적 성질은?

  1. 경도
  2. 항복점
  3. 인장강도
  4. 연신율
(정답률: 73%)
  • 탄소함유량이 증가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은 감소합니다. 이는 탄소가 공간을 차지하면서 결정 구조가 불규칙해지고, 결정 간 거리가 줄어들어 결정 간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함유량이 증가하면 연신율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금속재료 중 일정 온도에서 갑자기 전기 저항이 0(zero)이 되는 현상은?

  1. 공유
  2. 초전도
  3. 이온화
  4. 형상기억
(정답률: 83%)
  • 일정 온도에서 갑자기 전기 저항이 0(zero)이 되는 현상은 초전도 현상이다. 이는 금속 원자들이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서로 충돌하여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지만,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금속 원자들이 정렬되어 전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 전도성이 극도로 높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초전도체는 전기 전송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노에 들어가지 못하는 대형부품의 국부 담금질, 기어, 톱니나 선반의 베드면 등의 표면을 경화시키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열처리 방법은?

  1. 화염경화법
  2. 침탄법
  3. 질화법
  4. 청화법
(정답률: 59%)
  • 화염경화법은 대형부품의 표면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부품의 크기나 형태에 제한이 없어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경화된 표면은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향상되어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고속도공구강(SKH 2)의 표준 조성으로 옳은 것은?

  1. 18%W-4%Cr-1%V
  2. 17%Cr-9%W-2%Mo
  3. 18%Co-4%Cr-1%V
  4. 18%W-4%V-1%Cr
(정답률: 69%)
  • 정답은 "18%W-4%Cr-1%V"입니다.

    고속도공구강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에 사용되는 강재로,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합금 원소가 첨가됩니다.

    18%W-4%Cr-1%V 합금은 탄소강에 비해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속도공구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원소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W (Wolfram, 텅스텐): 내열성이 뛰어나며, 경도를 높입니다.
    - Cr (Chromium, 크롬): 내식성이 뛰어나며, 경도를 높입니다.
    - V (Vanadium, 바나듐): 경도를 높이고, 강도를 높입니다. 또한, 미세조직을 섬세하게 만들어 내구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체 클러치의 일종인 유체 토크 컨버터(fluid torque converter)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부하에 의한 원동기의 정지가 없다.
  2. 장치 내에 스테이터가 있을 경우 작동 효율을 97%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
  3. 무단변속이 가능하다.
  4.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기 때문에 기계에 무리가 없다.
(정답률: 44%)
  • "장치 내에 스테이터가 있을 경우 작동 효율을 97%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유체 토크 컨버터는 슬립 현상을 이용하여 토크 변환을 하는데, 스테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슬립 손실이 크게 발생하여 작동 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스테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97% 수준까지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작동 효율은 90% 이상이지만, 디자인 및 용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강제 볼트가 축방향으로 8kN의 인장하중을 받고 있을 때, 이 볼트의 골지름은 약 몇 mm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볼트의 허용인장응력은 100MPa이다.)

  1. 7.4
  2. 8.3
  3. 9.2
  4. 10.1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브레이크 드럼축에 754Nㆍm의 토크가 작용하면 축을 정지하는데 필요한 제동력은 약 몇 N인가? (단,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은 400mm이다.)

  1. 1920
  2. 2770
  3. 3310
  4. 3770
(정답률: 35%)
  • 제동력 = 토크 ÷ 반지름

    반지름 = 지름 ÷ 2 = 400 ÷ 2 = 200mm

    제동력 = 754Nㆍm ÷ 200mm = 3770N

    따라서, 정답은 "377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일반적으로 안전율을 가장 크게 잡는 하중은? (단, 동일 재질에서 극한강도 기준의 안전율을 대상으로 한다.)

  1. 충격하중
  2. 편진 반복하중
  3. 정하중
  4. 양진 반복하중
(정답률: 74%)
  • 충격하중은 다른 하중들과 달리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구조물이나 부품 등이 파손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전율을 가장 크게 잡는 하중입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지진하중이나 차량의 충돌하중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긴장측의 장력이 3800N, 이완측의 장력이 1850N일 때 전달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벨트의 속도는 3.4m/s이다.)

  1. 2.3
  2. 4.2
  3. 5.5
  4. 6.6
(정답률: 36%)
  • 전달동력은 장력과 속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달동력 = 장력 × 속도

    속도는 3.4m/s로 주어졌으므로, 전달동력을 계산하려면 장력만 구하면 된다. 벨트의 경우 긴장측과 이완측의 장력이 다르므로, 두 장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전달동력 = (긴장측 장력 + 이완측 장력) × 속도
    전달동력 = (3800N + 1850N) × 3.4m/s
    전달동력 = 16530W
    전달동력 = 16.53kW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6.6"이 아니라 "16.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리벳 이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접 이음에 비해서 응력에 의한 잔류 변형이 많이 생긴다.
  2. 리벳 길이방향으로의 인장하중을 지지하는데 유리하다.
  3. 경합금에서는 용접 이음보다 신뢰성이 높다.
  4. 철골 구조물, 항공기 동체 등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정답률: 49%)
  • 정답은 "경합금에서는 용접 이음보다 신뢰성이 높다." 이다. 이유는 리벳 이음은 인장하중을 지지하는데 유리하며, 응력에 의한 잔류 변형이 적게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골 구조물이나 항공기 동체와 같이 큰 구조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축의 홈 속에서 자유로이 기울어 질 수 있어 키가 자동적으로 축과 보스에 조정되는 장점이 있지만, 키 홈의 깊이가 커서 축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는 키는?

  1. 반달 키
  2. 원뿔 키
  3. 묻힘 키
  4. 평행 키
(정답률: 62%)
  • 반달 키는 축의 홈이 반달 모양으로 파여 있어서 자유로이 기울어질 수 있지만, 키 홈의 깊이가 깊어지면서 축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원뿔 키와 묻힘 키는 축의 강도가 강하고 안정적이지만, 기울어질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평행 키는 축의 홈이 직선으로 파여 있어서 기울어질 수 없지만, 축의 강도가 강하고 안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리컬 기어에서 잇수가 50, 비틀림각이 20°일 경우 상당평기어 잇수는 약 몇 개인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44%)
  • 헬리컬 기어와 상당평기어는 서로 직교하는 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두 기어의 모듈러(m) 값은 같다. 따라서 헬리컬 기어의 잇수(N)와 비틀림각(γ)으로부터 상당평기어의 잇수(Np)를 구할 수 있다.

    Np = N * cos(γ)

    여기에 주어진 헬리컬 기어의 잇수(N)와 비틀림각(γ)을 대입하면,

    Np = 50 * cos(20°) ≈ 47.64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60이 상당평기어의 잇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압축 코일 스프링의 소선 지름이 5mm, 코일의 평균 지름이 25mm이고, 200N의 하중이 작용할 대 스프링에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은 약 몇 MPa인가? (단, 스프링 소재의 가로탄성계수(G)는 80GPa이고, Wahl의 응력수정계수 식 , C는 스프링 지수]을 적용한다.)

  1. 82
  2. 98
  3. 133
  4. 152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볼 베어링에서 작용 하중은 5kN, 회전수가 4000rpm이며, 이 베어링의 기본 동정격하중이 63kN이라면 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

  1. 6300시간
  2. 8300시간
  3. 9500시간
  4. 10200시간
(정답률: 49%)
  • 볼 베어링의 수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10 수명 = (C/P)^3 x 10^6 ÷ n

    여기서, C는 베어링의 기본 동정격하중, P는 작용하중, n은 회전수이다.

    따라서, 볼 베어링의 L10 수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10 수명 = (63kN/5kN)^3 x 10^6 ÷ 4000rpm

    = 8302시간

    따라서, 정답은 "8300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머시닝센터에서 팔렛을 자동으로 교환하는 장치는?

  1. APC
  2. ATC
  3. MCU
  4. PLC
(정답률: 64%)
  • APC는 Automatic Pallet Changer의 약자로, 자동 팔렛 교환 장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머시닝센터에서 팔렛을 자동으로 교환하는 장치는 APC입니다. ATC는 Automatic Tool Changer, MCU는 Microcontroller Unit,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D/CAM 시스템에서 솔리드(solid) 모델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한요소해석이 불가능하다.
  2. 부피, 관성모텐트를 계산할 수 있다.
  3. 은선 제거 및 단면도 작성이 가능하다.
  4. 조립체 설계 시 위치, 간섭 등의 검토가 가능하다.
(정답률: 75%)
  • "유한요소해석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솔리드 모델링은 유한요소해석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부피, 관성모텐트 계산, 은선 제거, 단면도 작성, 조립체 설계 검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유한요소해석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AD 모델의 차수들 간에 관계식을 설정하여 매개변수를 통해 모델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는 모델링 방식은?

  1. Feature-based modeling
  2. Parametric modeling
  3. Assembly modeling
  4. Hybrid modeling
(정답률: 76%)
  • Parametric modeling은 CAD 모델의 차수들 간에 관계식을 설정하여 매개변수를 통해 모델의 수정을 용이하게 하는 모델링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모델의 수정이 필요할 때,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모델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Parametric model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머시닝센터에서 3D 자유곡면을 가공하기 위해 동시에 제어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축의 개수는?

  1. 2축
  2. 3축
  3. 4축
  4. 5축
(정답률: 71%)
  • 3D 자유곡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X, Y, Z 축 모두를 동시에 제어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한 3축이 필요합니다. 2축은 평면 가공에 사용되며, 4축 이상은 복잡한 형상의 가공이나 다중면 가공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정점이 7개인 Bezier 곡선에서 곡선방정식의 차수는?

  1. 3차
  2. 4차
  3. 5차
  4. 6차
(정답률: 70%)
  • Bezier 곡선의 곡선방정식의 차수는 해당 곡선의 정점 개수에서 1을 뺀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점이 7개인 Bezier 곡선의 곡선방정식의 차수는 6차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관련 기술 중 LOD(Level Of Detail)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렌더링의 품질 및 속도와 관계가 있다.
  2. 정적인 방법에서는 모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3. 동적인 방법에서는 모델링 형상의 움직임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4. 3차원 뷰 영역밖의 물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대상에서 제외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62%)
  • 3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LOD는 렌더링의 품질 및 속도와 관련이 있으며, 정적인 방법에서는 모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동적인 방법에서는 모델링 형상의 움직임 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LOD는 3차원 뷰 영역밖의 물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대상에서 제외하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뷰 영역 안에 있는 물체에 대한 렌더링 작업에 집중하여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NC공작기계에서 전기적인 신호 1펄스 당 움직이는 테이블 또는 공구의 최소이송단위는?

  1. MCU
  2. NCU
  3. BLU
  4. TLU
(정답률: 75%)
  • NC공작기계에서 전기적인 신호 1펄스 당 움직이는 테이블 또는 공구의 최소이송단위는 BLU입니다. BLU는 Basic Length Unit의 약자로, 기본 길이 단위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MCU는 Micro Controller Unit, NCU는 Numerical Control Unit, TLU는 Tool Length Unit을 의미하며, 이들은 이송단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좌표공간에서 점(2,-3,1)을 중심점으로 하고 원점을 지나는 구의 방정식은?

  1. (x+2)2+(y+3)2+(z-1)2=18
  2. (x+2)2+(y-3)2+(z+1)2=18
  3. (x-2)2+(y+3)2+(z+1)2=14
  4. (x-2)2+(y+3)2+(z-1)2=14
(정답률: 59%)
  • 원점을 지나는 구의 방정식은 (x-0)^2 + (y-0)^2 + (z-0)^2 = r^2 이다. 여기서 r은 구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중심점이 (2,-3,1)이므로, 중심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이 된다.

    중심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보면, √(2^2 + (-3)^2 + 1^2) = √14 이다. 따라서 구의 방정식은 (x-2)^2 + (y+3)^2 + (z-1)^2 = 14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x-2)^2 + (y+3)^2 + (z-1)^2 = 1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AD/CAM 시스템에서 곡면 모델링 시스템(surface modeling system)으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은?

  1. 무게, 체적, 모멘트의 계산
  2. 모델링 한 후 은선의 제거
  3. 두 면의 교차선이나 단면도를 구함
  4. 면을 모델링한 후 공구 이송 경로를 정의
(정답률: 77%)
  • 곡면 모델링 시스템은 3D 모델링을 위한 도구로, 곡면을 만들고 수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무게, 체적, 모멘트와 같은 물리적인 계산은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계산은 CAD/CAM 시스템의 다른 모듈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4개의 모서리 점과 4개의 경계 곡선을 부드럽게 연결한 곡면으로, 곡면의 표현이 간결하여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곡면내부의 볼록한 정도를 직접 조절하기가 어려워 정밀한 곡면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쿤스 곡면
  2. 베지어 곡면
  3. 스플라인 곡면
  4. B-spline 곡면
(정답률: 77%)
  • 쿤스 곡면은 모서리 점과 경계 곡선을 이용하여 곡면을 만들기 때문에 간단하고 직관적인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곡면 내부의 볼록한 정도를 직접 조절하기가 어려워 정밀한 곡면 표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밀한 곡면 표현을 위해서는 베지어 곡면, 스플라인 곡면, B-spline 곡면 등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래픽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좌표계 중에서 물체의 형상은 그 물체에 붙어 있는 좌표계에 관하여 물체의 모든 점이나 몇 개의 특징적인 점의 좌표에 의해서 정의되는 좌표계는?

  1. 모델 좌표계
  2. 세계 좌표계
  3. 시각 좌표계
  4. 장치 좌표계
(정답률: 73%)
  • 모델 좌표계는 물체의 형상을 정의하는 좌표계로, 물체에 붙어 있는 좌표계이기 때문에 물체의 모든 점이나 몇 개의 특징적인 점의 좌표에 의해서 정의됩니다. 따라서 모델 좌표계는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좌표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보기 중 직렬통신과 관계없는 용어는 어느 것인가?

  1. DTE
  2. DCE
  3. DSR
  4. DXF
(정답률: 77%)
  • 정답: DXF

    설명: DTE (Data Terminal Equipment)와 DCE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는 직렬통신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DSR (Data Set Ready)은 DCE가 DTE와 통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DXF는 CAD (Computer-Aided Design)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 직렬통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2차원 데이터 변환 행렬로서 X축에 대한 대칭의 결과를 얻기 위한 변환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6%)
  • 정답은 ""이다.

    이유는 X축 대칭 변환은 아래와 같은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1, 0],
    [0, 1]]

    이 행렬은 X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키는 행렬이다. 따라서 X축 대칭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 행렬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액상의 광경화수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굳힌 후 적층하는 방식의 RP(Rapid Prototyping)공정은?

  1.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2. FDM(Fused-Deposition Modeling)
  3.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4. LOM(Laminated-Object Manufacturing)
(정답률: 38%)
  • SLA는 광경화수지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굳힌 후 적층하는 방식의 RP공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식의 RP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SL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NC 데이터 생성 시 계산된 공구경로를 각 기계 컨트롤러에 맞게 NC 데이터를 만들어주는 작업은?

  1. Post Processing
  2. Part Program
  3. CNC
  4. DNC
(정답률: 74%)
  • Post Processing은 CAM 시스템에서 계산된 공구경로를 각 기계 컨트롤러에 맞게 NC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 작업은 Part Program을 생성하는 것과는 다르다. CNC 기계는 각각의 제조업체나 모델에 따라 다른 NC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CAM 시스템에서 생성된 NC 데이터를 해당 기계의 컨트롤러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Post Processing이라고 한다. DNC는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의 약자로, 여러 대의 CNC 기계를 한 대의 컴퓨터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DNC 시스템은 NC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솔리드 모델링 기법에서 B-Rep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물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기본요소로써 서로 연관성을 갖지 않는 것은?

  1. 정점(vertex)
  2. 모서리(edge)
  3. 공간(space)
  4. 면(face)
(정답률: 71%)
  • B-Rep 방식에서 정점, 모서리, 면은 모두 서로 연관성을 갖고 물체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본요소입니다. 하지만 공간은 물체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공간은 물체가 위치할 수 있는 3차원 공간을 의미하며, 물체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본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공간은 물체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본요소는 아니지만, 물체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본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NURBS(Non Uniform Rational B-spline) 곡선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4차원 좌표로 표현되는 조정점 사용으로 곡선의 변형이 자유롭다.
  2. NURBS 곡선으로 B-spline, Bezier 곡선도 표현 할 수 있다.
  3.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다.
  4. 원추곡선의 정확한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률: 61%)
  • 정답은 "원추곡선의 정확한 표현이 가능하다." 입니다.

    NURBS 곡선은 조정점의 위치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곡선을 표현합니다. 이 때,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곡선의 모양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습니다. 또한, B-spline과 Bezier 곡선도 NURBS 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조정점을 지나는 부드러운 곡선이라는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NURBS 곡선은 조정점의 위치와 가중치에 따라 곡선이 결정되기 때문에, 모든 조정점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유 곡면의 NC가공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가공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 중 지정된 폐곡선 영역의 외부를 일정 오프셋(offset)량을 주어 가공하는 지정 방식은?

  1. trimming 지정
  2. blending 지정
  3. island 지정
  4. area 지정
(정답률: 67%)
  • 지정된 폐곡선 영역의 외부를 일정 오프셋(offset)량을 주어 가공하는 지정 방식은 "island 지정"이다. 이는 폐곡선 영역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폐곡선 영역 내부를 "island"이라고 부르며, 이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외부를 가공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자유 곡면의 복잡한 형상을 가공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모델링에 사용되는 프리미티브(pribitive)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원통
  2. 직선
  3. 사각블럭
(정답률: 70%)
  • 직선은 CSG 모델링에서 3차원 객체를 만들기 위한 기본 도형(primitive)이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CSG 모델링에서 사용되는 기본 도형은 구, 원통, 사각블럭 등이며, 이러한 기본 도형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3차원 객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D/CAM 시스템에서 타워체면(ellipsoid)의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이다.

    타워체면(ellipsoid)은 3차원 공간에서 타원을 3축 방향으로 늘린 모양을 말한다. 이 때, 타워체면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2/a^2) + (y^2/b^2) + (z^2/c^2) = 1

    여기서 a, b, c는 각각 x, y, z축 방향으로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조립 전의 구멍 치수가 , 축의 치수가 일 때 최대 틈새는?

  1. 0.02
  2. 0.06
  3. 0.10
  4. 0.04
(정답률: 73%)
  • 최대 틈새는 구멍 치수에서 축의 치수를 뺀 값의 절댓값이다. 따라서 최대 틈새는 |0.15 - 0.05| = 0.10 이다. 따라서 정답은 "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투상한 투상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7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 두 개의 직각면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이를 제3각법으로 투상하면 두 개의 직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교차점이 바로 투상도에서의 사라지는 점이며, 이 점을 중심으로 다른 선들이 모두 대칭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따라서 ""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이 개개의 치수공차에 대해 다른 치수의 공차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치수 기입법은 무엇인가?

  1. 직렬 치수 기입법
  2. 병렬 치수 기입법
  3. 누진 치수 기입법
  4. 좌표 치수 기입법
(정답률: 65%)
  • 병렬 치수 기입법은 각 치수의 공차가 다른 치수의 공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치수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기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치수의 공차를 각각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제조 공정에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각 치수의 공차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병렬 치수 기입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에서 치수 500과 같이 치수 밑에 굵은 실선을 적용하였을 때 이 치수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500의 치수 부분은 비례척이 아님
  2. 치수 500만큼 표면 처리를 함
  3. 치수 500 부분을 정밀 가공을 함
  4. 치수 500은 참고 치수임
(정답률: 58%)
  • "500의 치수 부분은 비례척이 아님"이 옳은 이유는 그림에서 치수 500이 비례척이 아닌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치수는 단순히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부품의 표면 처리나 정밀 가공 등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참고 치수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기]와 같은 내용의 기하공차를 표시한 것 중 옳은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기하급수에서 각 항은 이전 항에 일정한 비율을 곱한 값이므로,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의 비율은 2:1이다. 따라서, 첫 번째 항에서 두 번째 항으로 가는 공차는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표면의 결을 도시할 때 제거가공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한 것은?

(정답률: 7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듯이 "표면의 결을 도시할 때 제거가공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지시가 적혀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복렬 자동 조심 볼 베어링에 해당하는 베어링 간략기호는?

(정답률: 8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복렬 자동 조심 볼 베어링은 내부에 두 개의 볼이 있으며, 각각의 볼이 별도의 경로를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2"가 표기된다. 또한, 조심 볼 베어링은 내부에 볼이 조심되어 있어서 "C"가 표기되고, 자동 조심이 가능하기 때문에 "A"가 표기된다. 따라서, 복렬 자동 조심 볼 베어링의 간략기호는 "2C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스퍼기어를 제도할 경우 스퍼기어 요목표에 일반적으로 기입하는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준 피치원 지름
  2. 모듈
  3. 압력각
  4. 기어의 이폭
(정답률: 51%)
  • 기어의 이폭은 스퍼기어의 제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기어의 이폭이 일정하지 않으면 기어의 정확한 동작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퍼기어를 제도할 경우 기어의 이폭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기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준 피치원 지름, 모듈, 압력각도 모두 스퍼기어 제조에 필요한 요소이지만, 이들은 기어의 이폭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이 경사지게 잘린 사각뿔의 전개도로 가장 적합한 형상은?

(정답률: 57%)
  • 전개도에서 가장 적합한 형상은 밑면이 직사각형이고 옆면이 직각삼각형인 사각뿔이다. 이유는 전개도에서 밑면이 직사각형이어야 하므로 ""와 ""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옆면이 직각삼각형이어야 하므로 ""도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가 가장 적합한 형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도면의 양식에서 각 항목이 지시하는 부위의 명칭이 틀린 것은?

  1. ㉠ : 재단 마크
  2. ㉡ : 재단 용지
  3. ㉢ : 비교 눈금
  4. ㉣ : 재단하지 않은 용지 가장자리
(정답률: 58%)
  • 정답은 "㉢ : 비교 눈금"입니다. 비교 눈금은 그림에서 ㉢이 아닌 ㉠에 해당합니다. 비교 눈금은 도면상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된 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공구의 이송을 2.5초 동안 일시정지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틀린 것은?

  1. G04 X2.5;
  2. G04 U2.5;
  3. G04 P2.5;
  4. G04 P2500;
(정답률: 69%)
  • 정답은 "G04 P2500;"입니다.

    이유는 G04 명령어는 지연(delay) 명령어이며, P 매개 변수는 지연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지정합니다. 따라서 "G04 P2.5;"는 2.5 밀리초 동안 이송을 일시정지시키지만, "G04 P2500;"은 2500 밀리초(2.5초) 동안 이송을 일시정지시킵니다. 따라서 "G04 P2500;"이 올바른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그림의 P1에서 P2로 절대 명령으로 원호 가공하는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

  1. G90 G02 X20.0 Y15.0 R20. ;
  2. G90 G02 X40.0 Y55.0 R20. ;
  3. G91 G03 X20.0 Y15.0 R20. ;
  4. G91 G03 X40.0 Y55.0 R20. ;
(정답률: 72%)
  • 옳은 프로그램은 "G90 G02 X40.0 Y55.0 R20. ;"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G90: 절대 명령 모드를 설정한다.
    - G02: 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는 명령을 설정한다.
    - X40.0 Y55.0: 원호의 끝점 좌표를 설정한다.
    - R20.: 원호의 반지름을 설정한다.

    따라서, P1에서 P2로 절대 명령으로 원호 가공하는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은 "G90 G02 X40.0 Y55.0 R20.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N05 블록의 가공 시간(min)은 약 얼마인가?

  1. 0.94
  2. 1.49
  3. 2.35
  4. 3.72
(정답률: 33%)
  • N05 블록의 가공 시간은 0.94분이다. 이는 N05 블록의 가공 속도가 800mm/min 이고, N05 블록의 가공 길이가 630mm 이기 때문에, 가공 시간은 630/800 = 0.7875분이다. 하지만, N05 블록의 절단 시간이 0.15분이므로, 실제 가공 시간은 0.7875 + 0.15 = 0.9375분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일반적으로 최소 설정단위가 0.001mm인 CNC공작기계에서 X축 (+)방향으로 50mm이동시키기 위한 정수입력은?

  1. X50
  2. X500
  3. X5000
  4. X50000
(정답률: 69%)
  • CNC공작기계에서 최소 설정단위가 0.001mm이므로 50mm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50,000단위의 입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X5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은?

  1. M06
  2. M09
  3. M30
  4. M99
(정답률: 81%)
  • "M06"은 공구 교환 지령을 내리는 G코드이다. 따라서 머시닝센터 프로그램에서 공구 교환을 지령하는 보조 기능은 "M06"이다. "M09"는 프로그램 정지, "M30"은 프로그램 종료, "M99"는 서브프로그램 종료를 나타내는 G코드이므로 공구 교환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NC선반 작업 시 주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Chip 제거는 기계를 정지하고 한다.
  2. 공작물 고정 시 손가락이 척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 작업 중 이상이 발견될 경우 비상정지 버튼을 누른다.
  4. 공작물 가공 중에 제품의 가공 형상을 보기위하여 문을 열고 작업한다.
(정답률: 86%)
  • 공작물 가공 중에 문을 열고 작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작업 중에는 반드시 문을 닫고 작업해야 합니다. 이유는 작업 중에 문을 열면 회전하는 칼날이나 부품에 손이 닿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중에는 문을 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CNC선반 프로그램에서 원형공작물의 직경이 60mm일 때 주축의 회전수는 약 몇 rpm인가?

  1. 1200
  2. 796
  3. 634
  4. 150
(정답률: 68%)
  • 원형공작물의 직경이 60mm이므로 반지름은 30mm이다. 주축의 회전수는 주어진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주축의 회전수 = (cutting speed × 1000) ÷ (π × diameter)

    주어진 그림에서 cutting speed는 200m/min이다. 따라서,

    주축의 회전수 = (200 × 1000) ÷ (π × 60) ≈ 796

    따라서, 정답은 "79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CNC 방전가공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극으로 구리, 황동, 흑연 등을 사용하므로 성형이 용이하다.
  2. 복잡한 구멍도 전극만 만들면 간단히 가공할 수 있다.
  3. 전기 부도체의 재질도 가공 할 수 있다.
  4. 가공속도가 매우 느리다.
(정답률: 70%)
  • 가공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것은 CNC 방전가공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전기 부도체의 재질도 가공할 수 있는 이유는 CNC 방전가공에서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전극은 전기를 통해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전기 부도체의 경우에도 전극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CNC의 제어 방식 중 여러 축의 움직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대각선 경로, 원형 경로 등 어떠한 경로라도 자유자재로 연속 절삭할 수 있는 방식이며, 2차원 또는 3차원 이상의 제어에 사용되는 것은?

  1. 윤곽절삭 제어방식
  2. 직선절삭 제어방식
  3. 위치결정 제어방식
  4. 절대좌표 제어방식
(정답률: 50%)
  • 윤곽절삭 제어방식은 여러 축의 움직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대각선 경로, 원형 경로 등 어떠한 경로라도 자유자재로 연속 절삭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2차원 또는 3차원 이상의 제어에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다른 제어방식들은 보다 단순한 형태의 경로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CNC선반가공에서 지령치 X=80.0으로 소재를 가공한 후 측정한 결과 X=80.15이었다. 기존의 X축 보정치를 0.005라 하면 공구 보정 값을 얼마로 수정해야 하는가? (단, 직경지령을 사용한다.)

  1. 0.155
  2. 0.145
  3. -0.155
  4. -0.145
(정답률: 52%)
  • X축 보정치가 0.005이므로, 실제 가공치는 80.0 + 0.005 = 80.005이어야 한다. 하지만 측정 결과는 80.15이므로, 공구 보정 값을 수정하여 실제 가공치를 80.15로 맞춰야 한다. 따라서, 공구 보정 값은 80.15 - 80.005 = 0.14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