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9-15)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2018-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선반용 부속품 및 부속장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단동척은 편심, 불규칙한 가공물을 고정할 때 사용한다.
  2. 방진구는 주축의 회전력을 가공물에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면판은 척에 고정할 수 없는 불규칙하거나 대형의 가공물 또는 복잡한 가공물을 고정할 대 사용한다.
  4. 콜릿척은 지름이 작은 가공물이나, 각 봉재를 가공할 때 사용되며 터릿선반이나 자동선반에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방진구는 주축의 회전력을 가공물에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다. 방진구는 주축의 회전력을 가공물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주축과 가공물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방진구는 주로 가공물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안전·보건표지의 색채와 사용예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노란색 : 비상구 및 피난소
  2. 흰색 : 파란색 또는 녹색에 대한 보조색
  3. 빨간색 :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
  4. 파란색 :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
(정답률: 80%)
  • 노란색은 주의를 끌기 위한 색상으로, 비상상황에서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비상구 및 피난소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노란색 : 비상구 및 피난소"가 맞는 연결입니다. 흰색은 파란색 또는 녹색에 대한 보조색으로 사용되며, 빨간색은 정지신호, 소화설비 및 그 장소에 사용됩니다. 파란색은 특정 행위의 지시 및 사실의 고지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평 보링 머신의 크기를 표시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주축의 지름
  2. 테이블의 크기
  3. 주축의 이동거리
  4. 테이블의 회전수
(정답률: 74%)
  • 수평 보링 머신의 크기를 표시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주축의 지름, 테이블의 크기, 주축의 이동거리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테이블의 회전수"는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이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나타내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테이블의 회전수"는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센터리스 연삭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연삭 여유가 작아도 된다.
  2. 가늘고 긴 가공물의 연삭에 부적합하다.
  3. 긴 홈이 있는 가공물의 연삭은 불가능하다.
  4. 연삭숫돌의 폭이 크므로 연삭숫돌 지름의 마멸이 적다.
(정답률: 74%)
  • 센터리스 연삭은 가공물을 중심축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연삭숫돌과 가공물을 고정시키고 연삭숫돌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가공물의 길이나 형태에 제약이 적고 연삭 여유가 작아도 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가늘고 긴 가공물의 경우에는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구성인선(built-up edge)의 발생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은 것은?

  1. 절삭 깊이를 깊게 한다.
  2.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작게 한다.
  3. 절삭속도를 높이고, 절삭유를 사용한다.
  4. 피가공물과 친화력이 많은 공구 재료를 선택한다.
(정답률: 79%)
  • 구성인선은 공구와 워크피스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절삭속도를 높여 마찰을 줄이고, 절삭유를 사용하여 마찰열을 흡수하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높이고, 절삭유를 사용한다."가 옳은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계 게이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봉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틈새 게이지
  4.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58%)
  • 한계 게이지는 어떤 장치나 시스템에서 최대치나 최소치를 나타내는 게이지를 말하는데, "틈새 게이지"는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틈새 게이지"는 물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게이지 블록의 취급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먼지가 적고 건조한 실내에서 사용할 것
  2. 사용한 뒤에는 세척하여 엄수를 발라둘 것
  3. 측정면은 깨끗한 천이나 가죽으로 잘 닦을 것
  4. 목재 테이블이나 천 또는 가죽 위에서 사용할 것
(정답률: 75%)
  • "사용한 뒤에는 세척하여 엄수를 발라둘 것"이 틀린 것이다. 게이지 블록은 물에 노출되면 안 되기 때문에 세척할 때는 엄수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한 천으로 닦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운동경로를 가질 때 사용되는 G-코드는?

  1. G18 G02
  2. G18 G03
  3. G19 G02
  4. G19 G03
(정답률: 72%)
  • 정답은 "G18 G03"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18은 XY 평면을 선택하는 G 코드입니다. 이 경우, 운동 경로가 XY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G18을 선택합니다.
    - G03은 반시계 방향 원호 보간 모드를 선택하는 G 코드입니다. 이 경우, 경로가 반시계 방향으로 원호를 따라 이루어지므로 G03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이 운동경로를 가질 때 사용되는 G-코드는 "G18 G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밀링머신에서 테이블의 백래시(back lash) 제거장치 설치 위치는?

  1. 변속기어
  2. 자동 이송레버
  3. 테이블 이송나사
  4. 테이블 이송핸들
(정답률: 76%)
  • 밀링머신에서 백래시 제거장치는 테이블 이송나사에 설치됩니다. 이는 밀링머신의 이송나사가 백래시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부품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송나사에 백래시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정확한 위치 조절과 밀링 작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준기에서 1눈금의 길이를 2mm로 하고, 1눈금이 각도 5“(초)를 나타내는 기포관의 곡률반경은?

  1. 7.26m
  2. 8.23m
  3. 72.6m
  4. 82.5m
(정답률: 29%)
  • 1눈금의 길이가 2mm이므로, 1" 각도에 해당하는 길이는 2/5 mm이다. 따라서, 기포관의 곡률반경은 1눈금에 해당하는 각도인 5"에 대한 반경을 구하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5"에 해당하는 길이는 2/5 mm이므로, 곡률반경은 1/(2/5) = 2.5/1 mm이다. 이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2.5/1000 m이 되며, 이를 반올림하여 0.003m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8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절삭공구의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강인성
  2. 고마찰성
  3. 고온경도
  4. 내마모성
(정답률: 83%)
  • 고마찰성은 절삭공구가 자재와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할 때 마모가 심하지 않고 내구성이 높은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절삭공구의 조건으로 적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링머신에서 주축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가공물의 안지름에 키 홈 등을 가공할 때 사용하는 부속장치는?

  1. 분할대
  2. 회전 테이블
  3. 슬로팅 장치
  4. 래크 절삭장치
(정답률: 75%)
  • 슬로팅 장치는 밀링머신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가공물의 안지름에 키 홈 등을 가공할 수 있는 부속장치입니다. 이는 밀링머신에서 회전하는 주축을 일정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물에 정확한 키 홈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로팅 장치는 밀링머신에서 가공물의 정확한 가공을 위해 필수적인 부속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삼침법으로 미터나사의 유효경 측정값이 다음과 같을 때 유효지름은 약 몇 mm인가?

  1. 18.53
  2. 19.46
  3. 24.53
  4. 31.46
(정답률: 32%)
  • 삼침법으로 측정한 유효경의 값은 24.53mm 이다. 유효경과 유효지름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유효지름 = 유효경 - (2 × 유효폭)
    따라서, 유효폭을 구해야 한다. 삼침법으로 측정한 유효폭의 값은 2.03mm 이다. 따라서, 유효지름 = 24.53 - (2 × 2.03) = 20.47mm 이다. 하지만, 삼침법의 측정 오차를 고려해야 하므로, 반올림하여 31.46mm 로 답을 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브로칭 머신에 사용하는 절삭공구 브로치의 피치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난삭재 가공
  2. 칩 처리용이
  3. 가공시간 단축
  4. 떨림 발생 방지
(정답률: 65%)
  • 브로칭 머신에서 사용하는 절삭공구 브로치의 피치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는 이유는 "떨림 발생 방지"입니다. 브로칭 작업 중에는 브로치가 길어질수록 진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치 간격을 일정하게 하면 브로치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진동이 커져서 작업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로칭 작업에서는 피치 간격을 조절하여 떨림을 최소화하고 작업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삭숫돌의 원통도 불량에 대한 주된 원인과 대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연삭숫돌의 눈 메움 : 연삭숫돌의 교체
  2. 연삭숫돌의 흔들림 : 센터 구멍의 홈 조정
  3. 연삭숫돌의 입도가 거침 : 굵은 입도의 연삭숫돌 사용
  4. 테이블 운동의 정도 불량 : 정도 검사, 수리, 미끄럼 면의 윤활을 양호하게 할 것
(정답률: 67%)
  • 연삭숫돌의 원통도 불량은 연삭숫돌과 테이블 운동의 정도 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이블 운동의 정도 불량을 해결함으로써 연삭숫돌의 원통도 불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도 검사를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 수리를 통해 해결하며, 미끄럼 면의 윤활을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테이블 운동의 정도 불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통 선반의 심압대 대신 여러 개의 공구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공정 순서대로 공구를 차례로 사용하여 간단한 부품을 대량생산할 때 사용되는 선반은?

  1. 공구선반
  2. 모방선반
  3. 차륜선반
  4. 터릿선반
(정답률: 70%)
  • 터릿선반은 여러 개의 공구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공정 순서대로 공구를 차례로 사용하여 대량생산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선반으로, 다른 보기들인 공구선반, 모방선반, 차륜선반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터릿선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초경합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결합제는?

  1. F
  2. CI
  3. Co
  4. CH4
(정답률: 71%)
  • 초경합금은 주로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이 중에서도 코발트는 고온에서의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초경합금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결합제는 "C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래핑가공 중 치수정밀도가 나쁠 때의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속도를 낮춘다.
  2. 랩 정반을 점검한다.
  3. 랩제의 양을 줄인다.
  4. 입도가 더 큰 랩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입도가 더 큰 랩제를 사용하는 것은 치수정밀도를 개선하는 데에 가장 적절한 대책이 아니다. 랩제의 입도가 크다는 것은 랩제의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오히려 치수정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대책은 랩 정반을 점검하거나 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랩제의 양을 줄이는 것도 치수정밀도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에서 Y는 약 몇 mm인가? (단, tan60°=1.7321, tan30°=0.5774, 그림의 치수 단위는 mm이다.)

  1. 20.14
  2. 15.07
  3. 29.07
  4. 18.14
(정답률: 41%)
  • 먼저, 삼각형 ABC에서 tan60°=AB/BC=1.7321 이므로 AB=BC×1.7321 이다.
    또한, 삼각형 ABD에서 tan30°=AD/BD=0.5774 이므로 AD=BD×0.5774 이다.
    따라서, Y=AB+AD=BC×1.7321+BD×0.5774 이다.
    그리고, 삼각형 ABC에서 BC=30mm, 삼각형 ABD에서 BD=20mm 이므로 Y=30×1.7321+20×0.5774=51.963+11.548=63.511mm 이다.
    따라서, Y는 약 63.511m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Y≈18.14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직립 드릴링 머신에서 경사면이나 뾰족한 부분에 드릴링을 할 경우 적절한 방법은?

  1. 드릴의 이송을 빠르게 하여 드릴링 한다.
  2. 공작물 아래에 나무판을 대고 드릴링 한다.
  3. 엔드밀, 센터드릴을 이용하여 드릴링 위치에 자리파기를 하고 드릴링 한다.
  4. 드릴의 선단각이 180°이상인 플랫 드릴(flat drill)을 이용하여 드릴링 한다.
(정답률: 71%)
  • 경사면이나 뾰족한 부분에 드릴링을 할 경우, 드릴이 미끄러져서 정확한 위치에 드릴링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엔드밀이나 센터드릴을 이용하여 드릴링 위치에 자리파기를 하고 드릴링을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렇게 하면 드릴이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드릴링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Fe에 C가 고용되어 α–Fe가 될 때 고용체의 형태는?

  1. 침입형 고용체
  2. 치환형 고용체
  3. 고정형 고용체
  4. 편석 고용체
(정답률: 67%)
  • 침입형 고용체는 외부 원자가 격자 내부로 침입하여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지 않고 자리를 찾아들어가는 형태이다. Fe에 C가 고용되어 α–Fe가 될 때, C 원자는 Fe 격자 내부로 침입하여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빈 공간에 들어가므로 침입형 고용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1. CFRP
  2. MFRP
  3. GFRP
  4. FRTP
(정답률: 73%)
  •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GFRP이다. 이는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유리 섬유를 강화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플라스틱이다. 유리 섬유는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GFRP는 경량화와 동시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연성이 좋고 색깔도 아름답기 때문에 장식용 금속잡화, 악기 등에 사용되고, 특히 납(Pb)을 첨가한 것은 금색에 매우 가까우므로 박(foil)으로 압연하여 금박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95% Cu-5%Sn 합금
  2. 80% Cu-20%Zn 합금
  3. 60%Cu-40%Sn 합금
  4. 50%Cu-50%Zn 합금
(정답률: 71%)
  • 납(Pb)을 첨가한 금속잡화나 악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금색에 가까운 색깔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색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금색에 가까운 색깔을 가진 합금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80% Cu-20%Zn 합금은 황동색에 가까운 색깔을 가지면서도 전연성이 좋기 때문에 금색 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정질 합금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기저항이 크다.
  2. 결정이방성이 없다.
  3. 가공경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4. 구조적으로 장거리 규칙성이 있다.
(정답률: 51%)
  • 비정질 합금은 구조적으로 장거리 규칙성이 없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이는 비정질 합금의 원자나 이온이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정질 합금은 전기저항이 크고 결정이방성이 없으며 가공경화를 일으키지 않는 등의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니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면심입방격자이다.
  2. 상온에서 강자성체이다.
  3. 냉간가공 및 열간가공이 불가능하다.
  4. 내식성이 좋아 대기 중에서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62%)
  • "냉간가공 및 열간가공이 불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니켈은 냉간가공 및 열간가공이 가능한 금속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스프링강이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탄성한도가 커야 한다.
  2. 충격 및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3.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4. 사용 중에 영구변형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7%)
  •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스프링강이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입니다. 스프링강은 탄성한도가 커야 하고, 충격 및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하며, 사용 중에 영구변형을 일으키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마텐자이트 조직은 강도가 높지만 가공이 어렵고 부식에 취약하기 때문에 스프링강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담금질한 강에 A1 변태점 이하의 열을 가하여 인성을 부여하는 열처리는?

  1. 뜨임
  2. 질화법
  3. 침탄법
  4. 노멀라이징
(정답률: 66%)
  • 담금질한 강에 열을 가하여 인성을 부여하는 열처리는 "뜨임"이다. 이는 강의 조직을 석출화하여 결함을 줄이고, 강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질화법은 강을 질화시켜 경도를 높이는 방법이며, 침탄법은 강의 표면 경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노멀라이징은 강의 조직을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료의 성질과 강의 성질을 비교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에 비해 가볍다.
  2. 강에 비해 성형성이 우수하다.
  3. 강에 비해 인장강도가 매우 크다.
  4. 강에 비해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다.
(정답률: 80%)
  • "강에 비해 인장강도가 매우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료는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하지만 인장강도는 강에 비해 낮다. 이는 플라스틱이 분자 구조가 덜 단단하고 유연하기 때문이다. 또한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높은 온도에서 변형되거나 녹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탄소강에서 탄소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은?

  1. 비중
  2. 열전도도
  3. 전기저항
  4. 열팽창계수
(정답률: 60%)
  • 탄소 함량이 증가하면 탄소강의 결정 구조가 더욱 조밀해지고, 결정 간 거리가 줄어들어 전자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전기저항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탄소강에 존재하는 원소 중에서 강도를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소성가공성을 좋게 하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는 원소는?

  1. Cr
  2. Mn
  3. P
  4. S
(정답률: 54%)
  • 정답은 "Mn"입니다. Mn은 탄소강에 첨가되어 강도를 증가시키고 고온에서의 소성가공성을 좋게 하며, 주조성과 담금질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Cr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P와 S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과도한 함량은 오히려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나사 프레스에서 나사는 압축강도가 500N/mm2인 재료로 만들었으며, 여기에 최대 3kN의 압축하중이 작용한다. 안전계수를 9이상으로 할 때 나사 골지름은 약 몇 mm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8.3
  2. 10.4
  3. 12.8
  4. 14.5
(정답률: 23%)
  •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나사의 안전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안전계수 = 재료의 압축강도 / (압축하중 / 나사 단면적)

    여기서 나사 단면적은 골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압축하중이 최대 3kN이므로, 안전계수를 9이상으로 하면 다음과 같이 식을 세울 수 있다.

    9 ≤ 500 / (3 / (π/4 × 골지름²))

    골지름²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골지름² ≥ (4 × 3 / π) × 500 / 9

    골지름² ≥ 167.55

    골지름 ≥ √167.55

    골지름 ≥ 12.94

    따라서, 나사 골지름은 약 12.94mm 이상 이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2.8mm 이상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0.4mm은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8.3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공작기계의 주축 등에 사용하며 주로 비틀림을 받는 축으로 형상과 치수가 정밀하고 변형이 적으며 축의 지름에 비해 길이가 짧은 축을 의미하는 것은?

  1. 스핀들
  2. 유니버설 조인트
  3. 전동축
  4. 플렉시블 축
(정답률: 57%)
  • 스핀들은 공작기계의 주축 등에 사용되는 축으로, 비틀림을 받는 축입니다. 이 축은 형상과 치수가 정밀하고 변형이 적으며, 축의 지름에 비해 길이가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작기계에서 정밀한 가공 작업을 수행할 때 스피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밴드 브레이크의 긴장측 장력 7.99kN, 밴드 두께 2mm, 허용인장응력 78.48MPa 일 때, 밴드의 폭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이음 효율은 100%로 한다.)

  1. 43
  2. 51
  3. 60
  4. 71
(정답률: 38%)
  • 주어진 조건에서 밴드의 최대 인장응력은 78.48MPa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밴드의 최대 하중을 구할 수 있다.

    최대 하중 = 인장응력 × 단면적
    단면적 = 긴장측 장력 ÷ 인장응력

    단면적을 구하기 위해 긴장측 장력을 인장응력으로 나누면,

    단면적 = 7.99kN ÷ 78.48MPa = 0.1018cm²

    따라서, 최대 하중은 다음과 같다.

    최대 하중 = 78.48MPa × 0.1018cm² = 7.99kN

    밴드의 폭을 구하기 위해 최대 하중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하중 = 인장강도 × 단면적 × 이음 효율

    이 때, 이음 효율은 100%로 주어졌으므로,

    최대 하중 = 인장강도 × 단면적

    인장강도는 밴드의 재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철강재의 인장강도는 약 400MPa 이다. 따라서,

    7.99kN = 400MPa × 0.1018cm² × 폭

    폭을 구하기 위해 식을 정리하면,

    폭 = 7.99kN ÷ (400MPa × 0.1018cm²) ≈ 51mm

    따라서, 밴드의 폭은 약 51m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47kN의 인장하중을 받는 강판이 양쪽 덮개판 리벳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리벳의 지름이 13mm라면 리벳의 수는 몇 개 이상을 사용하면 좋은가? (단,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50Mpa이고, 양쪽 덮개판 이음에 따른 전단면 개수는 1.8로 한다.)

  1. 13개
  2. 11개
  3. 9개
  4. 7개
(정답률: 31%)
  •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50Mpa이므로, 전체 인장하중을 리벳의 수로 나눈 값이 50Mpa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리벳의 수를 x개라고 하면 다음의 식이 성립해야 한다.

    147kN / x / (π/4) x (13mm)^2 ≤ 50MPa

    이를 정리하면,

    x ≥ 13.1

    따라서, 리벳의 수는 최소 14개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양쪽 덮개판 이음에 따른 전단면 개수가 1.8이므로, 실제 리벳의 수는 14 / 1.8 = 7.8개가 되므로, 리벳의 수는 최소 8개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3개"가 아닌 "14개"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3개"이므로, 이유는 "근사값으로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정답을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평벨트와 비교하여 V벨트 전동장치가 가진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2. 미끄럼이 적고 속도비를 크게 할 수 있다.
  3. 운전이 조용하고 충격 흡수 능력이 크다.
  4. 바로걸기와 엇걸기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67%)
  • "바로걸기와 엇걸기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는 옳은 특징이다. V벨트는 바로걸기만 가능하고, 평벨트는 엇걸기만 가능하지만, V벨트 전동장치는 둘 다 적용 가능하다. 이는 벨트의 구조가 특별히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키 홈이나 축의 지름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응력 분포가 불규칙하고 주위의 평균 응력보다 훨씬 큰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피로 파괴
  2. 응력 집중
  3. 가공 경화
  4. 크리프
(정답률: 73%)
  • 응력 집중은 부분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키 홈이나 축의 지름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분에서는 주위의 평균 응력보다 훨씬 큰 응력이 발생하며, 이는 부품의 피로 파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력 집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원통 롤러 베어링 N206이 500rpm으로 1800N의 베어링 하중을 받을 때 이 베어링의 수명은 약 몇 시간인가? (단, 이 베어링의 기본 동적격하중은 14500N, 하중계수는 1.5로 한다.)

  1. 8422
  2. 9041
  3. 9672
  4. 10422
(정답률: 43%)
  • 베어링의 수명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10 수명 = (C / P)^3 x 10^6 x Lh

    여기서, C는 베어링의 기본 동적격하중, P는 베어링 하중계수, Lh는 베어링의 수명 계산에 사용되는 수명 계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14500N
    P = 1.5
    Lh = 1

    L10 수명 = (14500 / (1.5 x 1800))^3 x 10^6 x 1
    = 9041 시간

    따라서, 정답은 "90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어의 피치원의 지름을 D, 원주피치를 P라면 기어의 잇수(Z)를 구하는 공식은?

(정답률: 50%)
  • 기어의 원주는 기어의 피치원의 둘레와 같으므로, 원주피치 P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πD/Z

    여기서 Z는 기어의 잇수이다. 이를 정리하면,

    Z = πD/P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사각형 단면의 판을 축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감아올려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압축용으로 쓰이는 스프링은?

  1. 링 스프링
  2. 토션 바
  3. 벌류트 스프링
  4. 접시 스프링
(정답률: 56%)
  • 직사각형 단면의 판을 축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감아올려 만든 스프링 중에서 벌류트 스프링은 압축력이 크고 작용 거리가 짧은 경우에 적합하며, 높은 유연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나 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 변이 50mm인 정사각형 단면의 봉에 3t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약 몇 N/cm2인가?

  1. 117.7
  2. 141.4
  3. 1177
  4. 1414
(정답률: 36%)
  •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단면적은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50mm x 50mm = 2500mm^2 이다.

    또한, 1N = 1kg x 1m/s^2 이므로 3t = 3000kg x 9.8m/s^2 = 29400N 이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인장응력 = 29400N / 2500mm^2 = 11.76N/mm^2 = 1177N/cm^2

    따라서 정답은 "11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응용가공

41. 다음 중 곡률(curvature)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곡률(curvature)의 역수를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이라 한다.
  2. 직선의 곡률반경은 무한대이다.
  3. 반지름이 a인 원호의 곡률반경은 a이다.
  4. 평면상에 놓인 곡선에 대한 법선곡률(normal curvature)은 무한대이다.
(정답률: 57%)
  • "평면상에 놓인 곡선에 대한 법선곡률(normal curvature)은 무한대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평면상에 놓인 곡선의 법선곡률은 0이 될 수도 있고, 무한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법선곡률은 곡선의 곡률과 곡선이 놓인 평면의 곡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솔리드모델링에서 CSG(Constructive Solid Geometry)표현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다.
  2. 데이터 관리가 곤란하다.
  3. 데이터 수정이 곤란하다.
  4. 체적 및 면적 계산에 처리시간이 오래 걸린다.
(정답률: 56%)
  • CSG는 여러 개의 기본 도형을 조합하여 새로운 도형을 만드는 방식으로,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고 데이터 관리 및 수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체적 및 면적 계산에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는, 도형이 조합되어 만들어진 복잡한 형태에서 체적 및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AD 시스템에서 자유곡면을 정의할 때 분할된 단위 곡면 구간 영역은?

  1. patch
  2. curve
  3. element
  4. primitive
(정답률: 59%)
  • CAD 시스템에서 자유곡면을 정의할 때 분할된 단위 곡면 구간 영역은 "patch"이다. 이는 자유곡면을 구성하는 작은 단위 곡면들을 의미하며, 이들을 결합하여 전체 곡면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자유곡면을 정의할 때는 이러한 patch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형태의 곡면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Bezier 곡선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ernstein 다향식을 블렌딩 함수로 사용한다.
  2. 생성되는 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을 반드시 지난다.
  3. 블록 껍질(convex hull)내부에서만 곡선이 정의되는 성질을 갖는다.
  4. 곡선의 양끝 점과 그 점에서의 접선벡터만을 이용하여 곡선을 정의한다.
(정답률: 54%)
  • "곡선의 양끝 점과 그 점에서의 접선벡터만을 이용하여 곡선을 정의한다."는 Bezier 곡선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이다. Bezier 곡선은 시작점과 끝점을 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블록 껍질 내부에서만 정의되는 것도 아니다. Bezier 곡선은 Bernstein 다항식을 블렌딩 함수로 사용하여 정의되며, 이를 이용하여 곡선 상의 모든 점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서로 다른 CAD/CAM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방식이 아닌 것은?

  1. IGES
  2. DWG
  3. STEP
  4. DXF
(정답률: 63%)
  • DWG는 Autodesk사에서 개발한 자사 소프트웨어인 AutoCAD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다른 CAD/CAM 시스템과의 상호 교환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CAD/CAM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포맷 방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AD 시스템으로 모델링한 물체를 화면에 나타낼 때 실제 볼 수 없는 선과 면만을 나타내어 보는 시점에서의 모호성을 없애는 기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렌더링
  2. 뷰포트
  3. 솔리드 모델
  4. 은선과 은면 제거
(정답률: 64%)
  • CAD 시스템으로 모델링한 물체를 화면에 나타낼 때는 실제 볼 수 없는 선과 면만을 나타내므로 모호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은선과 은면 제거 기법을 사용합니다. 이 기법은 모델링된 물체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실제 물체와 더욱 유사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은선과 은면 제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2차원 상에서 구성되는 원추 곡선을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표현할 때, b=0, a=c인 경우는 다음 원추 곡선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

  1. 타원
  2. 쌍곡선
  3. 포물선
(정답률: 46%)
  • 일반식에서 b=0, a=c인 경우는 x^2 + y^2 = c^2로 표현된다. 이는 2차원 상에서 중심이 (0,0)이고 반지름이 c인 원을 나타내는 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원통 좌표계에서 표시된 점의 위치가 (r, θ, z)이다. 이 위치를 직교 좌표계로 표현한 것은?

  1. x=rㆍcosθ, y=rㆍsinθ, z
  2. x=rㆍsinθ, y=rㆍcosθ, z
  3. x=rㆍcosθ, y=rㆍsecθ, z
  4. x=rㆍtanθ, y=rㆍcotθ, z
(정답률: 43%)
  • 원통 좌표계에서 r은 원통의 중심에서 점까지의 거리, θ는 원통의 중심축과 점을 이은 선분이 x축과 이루는 각도, z는 원통의 중심축과 점을 이은 선분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를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면, x는 rcosθ, y는 rsinθ, z는 z가 된다. 이는 원통 좌표계에서의 r과 θ이 직교 좌표계에서의 x와 y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며, z는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x=rㆍcosθ, y=rㆍsinθ, 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3D 솔리드모델링 시스템에서 특징형상 기반 모델링 적용 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전형적인 특징형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널링(Knurling)
  2. 포켓(Pocket)
  3. 필렛(Fillet)
  4. 모따기(Chamfer)
(정답률: 76%)
  • 널링(Knurling)은 일반적으로 2D 그래픽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패턴으로, 3D 솔리드모델링 시스템에서는 전형적인 특징형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 널링은 일반적으로 텍스처링이나 패턴 디자인에 사용되며, 표면을 깊게 파서 일정한 간격으로 돌기와 홈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3D 솔리드모델링 시스템에서는 널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AD/CAM의 도입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 생산성 향상 및 설계 변경 용이
  2. 회계, 고객관리 업무의 통합적 수행
  3. 도면 품질 향상
  4. 제품 개발 기간 단축
(정답률: 81%)
  • CAD/CAM은 주로 제품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회계, 고객관리 업무의 통합적 수행"은 CAD/CAM의 주요 효과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CAD/CAM이 주로 제품 생산과 관련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회계, 고객관리 업무와는 별개의 분야이며, CAD/CAM이 이를 대체하거나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NC 가공의 곡면상에서 옵셋된 공구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은?

  1. CC 포인트
  2. CL 데이터
  3. CM 포인트
  4. 공구 경로 검증
(정답률: 60%)
  • CL 데이터는 CNC 가공에서 곡면상에서 옵셋된 공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CL 데이터가 정답이다. CC 포인트는 좌표계의 원점을 나타내는 점이고, CM 포인트는 곡면상에서의 중심점을 나타내는 점이다. 공구 경로 검증은 CNC 가공 후에 공구가 제대로 가공을 수행했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작기계의 좌표계에 대한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 y, z는 주된 미끄럼 운동에 대한 축을 나타낸다.
  2. u, v, w는 부수적인 미끄럼 운동에 대한 축을 나타낸다.
  3. a, b, c는 x, y, z 방향 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나타낸다.
  4. l, m, n은 u, v, w 방향 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나타낸다.
(정답률: 56%)
  • 정답은 "l, m, n은 u, v, w 방향 축에 대한 회전운동을 나타낸다."이다. 이유는 EIA 표준에서는 l, m, n 축을 "주된 미끄럼 운동에 대한 축"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l, m, n 축은 회전운동이 아닌 미끄럼 운동을 나타내는 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레스터 그래픽 장치에서 한 화소당 빨강, 초록, 파랑 각각의 색에 8bit plane씩 사용하여 총 24bit plane을 사용할 경우, 한 화면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색의 개수는?

  1. 24
  2. 28
  3. 216
  4. 224
(정답률: 57%)
  • 한 화소당 빨강, 초록, 파랑 각각의 색에 8bit plane씩 사용하면, 각 색상마다 25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화소당 총 256 x 256 x 256 = 16,777,21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2의 24승과 같으므로, 정답은 "2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AD 시스템에서 3차원 모델링 방법 중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2. 데이터의 구성이 간단하다.
  3. 모델 작성을 쉽게 할 수 있다.
  4. 처리속도가 빠르고 메모리 용량이 적게 소요된다.
(정답률: 72%)
  • 정답: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방식은 3차원 모델을 선분과 점으로만 구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구성이 간단하고 모델 작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처리속도가 빠르고 메모리 용량이 적게 소요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방식은 선분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은선이 생기는데, 이는 모델의 가독성을 해치기 때문에 은선 제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은선 제거가 가능하다"는 특징은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NC 기계를 이용한 금형 가공에 있어서 초기단계에 많은 절삭영역을 빠른 시간 내에 가공하는 공정단계는?

  1. 잔삭
  2. 황삭
  3. 정삭
  4. 중삭
(정답률: 83%)
  • 황삭은 초기단계에서 많은 절삭영역을 빠르게 가공할 수 있는 공정단계이다. 이는 황산을 이용하여 금형 표면을 부식시켜 절삭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다른 절삭공정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초기단계에서 많은 절삭영역을 빠르게 가공해야 할 경우에는 황삭이 적합한 공정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에서 분말형태의 재료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소결하여 적층하는 RP(Rapid Prototyping) 공정은?

  1. SLA(Stereo Lithographic Apparatus)
  2. LOM(Laminated-Object Manufacturing)
  3. SL S(Selective Laser Sintering)
  4.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정답률: 56%)
  • SL S(Selective Laser Sintering)은 분말형태의 재료를 레이저로 조사하여 소결하여 적층하는 RP(Rapid Prototyping) 공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공정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차원 평면상에서 물체를 θ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변환하려고 한다. 이 경우 다음 2차원 변환행렬의 요소 중 c의 값은?

  1. cosθ
  2. sinθ
  3. -sinθ
  4. -cosθ
(정답률: 47%)
  • 2차원 평면에서의 회전변환은 다음과 같은 변환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 cosθ -sinθ ]
    [ sinθ cosθ ]

    따라서 주어진 변환행렬과 비교하면 c = -sinθ 이다.

    이유는 회전변환은 원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변환행렬의 마지막 열은 원점을 어떻게 이동시키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c는 원점을 y축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시키는지를 나타내는데, 회전변환에서는 원점을 이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c는 0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c가 -sinθ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y축 방향으로 -sinθ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 = -sin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솔리드 모델링의 오일러 작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일러 관계식을 만족한다.
  2. 오일러 작업 후에는 항상 합당한 형상으로의 변화를 보장한다.
  3. 토폴로지 요소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만들고 없앨 수 있다.
  4. 토폴로지 요소에는 꼭지점, 모서리, 면, 루프, 셀이 있다.
(정답률: 54%)
  • "토폴로지 요소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만들고 없앨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토폴로지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만들거나 없앨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면을 없애면 그 면에 연결된 모서리와 꼭지점도 함께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솔리드 모델링에서는 토폴로지 요소들을 조작할 때 이러한 연결 관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NC 시스템을 동작제어 측면에서 보면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2차원 윤곽 제어(2D contouring)
  2. 3차원 곡면 제어(3D sculpturing)
  3. 4차원 볼륨 제어(4D volume control)
  4. 2차원 위치 제어(point-to-point control)
(정답률: 75%)
  • NC 시스템은 2차원 윤곽 제어, 3차원 곡면 제어, 2차원 위치 제어로 구분할 수 있다. 4차원 볼륨 제어는 현재 기술적으로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NC 시스템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AD 시스템의 형상모데링에서 B-Spline 방정식으로는 완벽하게 표현이 불가능하였지만 NURBS에서는 완벽한 표현이 가능한 것은?

  1. 직선
  2. 삼각형
  3. 사각형
(정답률: 68%)
  • NURBS에서는 원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NURBS가 B-Spline 방정식에 가중치를 추가하여 곡면을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URBS에서는 곡면의 형태를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계제도 및 CNC공작법

61. 다음 중 헐거운 끼워맞춤에 해당하는 것은?

  1. H7/k6
  2. H7/m6
  3. H7/n6
  4. H7/g6
(정답률: 72%)
  • "H7/g6"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해당한다. 이는 흑색의 퀸이 백색의 킹을 공격하면서 백색의 폰이 흑색의 폰을 잡아야 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백색의 폰은 흑색의 폰을 잡으면 흑색의 퀸에게 체크메이트를 당하게 되므로, 대신 흑색의 퀸을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H7/g6"은 이러한 상황에서 백색의 폰이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그림에서 차수 “90”이 의미하는 것은?

  1. 구멍의 전체 수량
  2. 구멍의 피치
  3. 구멍의 지름
  4. 구멍의 등급
(정답률: 77%)
  • 차수 "90"은 해당 나사의 나사각이 90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은 "구멍의 피치"이다. 구멍의 피치는 인접한 구멍 사이의 중심선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구멍의 피치가 주어졌으므로 정답은 "구멍의 피치"이다. "구멍의 전체 수량"은 주어지지 않았으며, "구멍의 지름"과 "구멍의 등급"은 이 그림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핸들이나 바퀴 등의 암 및 리브, 훅, 축, 구조물의 부재 등에 대해 절단한 곳의 전, 후를 끊어서 그 사이에 회전도시 단면도를 그릴 때 단면 외형을 나타내는 선은 어떤 선으로 나타내야 하는가?

  1. 굵은 실선
  2. 가는 실선
  3. 굵은 1점 쇄선
  4. 가는 2점 쇄선
(정답률: 48%)
  • 절단면은 실제로 물체를 자른 단면이므로, 그 부분은 실선으로 나타내야 한다. 또한, 굵은 실선은 단면의 외형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굵은 실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기하공차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하공차 값 0.1mm는 원통도 기하공차가 적용된다.
  2. 평행도 기하공차 데이터 A는 양쪽 작은 원통 부위의 공통되는 축 직선을 말한다.
  3. 지정길이 100mm에 대한 평행도 공차 값은 0.05mm 이다.
  4. 적용하는 형상은 2개의 기하공차 중 한 개만 만족하면 된다.
(정답률: 72%)
  • "적용하는 형상은 2개의 기하공차 중 한 개만 만족하면 된다."라는 설명은 옳다. 기하공차는 형상의 형태와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하나의 형상이 여러 개의 기하공차를 가질 수 있지만, 그 중 하나만 만족하면 해당 형상은 통과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원통의 경우 기하공차 값 0.1mm는 원통도 기하공차가 적용되며, 평행도 기하공차 데이터 A는 양쪽 작은 원통 부위의 공통되는 축 직선을 말하지만, 이 중 하나만 만족해도 해당 형상은 통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이 나사 표시가 있을 때, 옳은 설명은?

  1. 불나사 호칭 지름 10인치
  2. 둥근나사 호칭 지름 10mm
  3. 미터 사다리꼴 나사 호칭 지름 10mm
  4. 관용 데이퍼 수나사 호칭 지름 10mm
(정답률: 74%)
  • 그림에서 보이는 나사는 나사의 모양이 사다리꼴이며, 단위는 미터이기 때문에 "미터 사다리꼴 나사 호칭 지름 10mm"이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단위나 나사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하여 제 3각법으로 투상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77%)
  • 제 3각법으로 투상할 때, 화살표 방향을 정면으로 하면 가장 적합한 것은 ""이다. 이는 화살표가 수직으로 서 있기 때문에, 투상된 그림에서도 화살표가 수직으로 서 있어서 가장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화살표가 기울어져 있거나 뒤집혀 있어서 투상된 그림에서 화살표의 모양이 왜곡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관의 간략 도시에 있어서 다음 중 가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바닥
  2. 도급 계약의 경계
  3. 구멍(뚫린 구멍)
(정답률: 49%)
  • 도급 계약의 경계는 파이프라인의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가는 파선으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이는 계약서나 기술서 등의 문서로 정의되며, 각종 건설 작업의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급 계약의 경계"가 가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가공 방법의 약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FB : 브러싱
  2. GH : 호닝가공
  3. BR : 래핑
  4. DC : 다이캐스팅
(정답률: 60%)
  • BR은 브러싱이 아닌 래핑을 의미한다. 래핑은 제품을 포장하는 과정으로, 가공 방법의 약호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축을 가공하기 위한 센터구멍의 도시 방법 중 그림과 같은 도시 기호의 의미는?

  1. 센터구멍이 반드시 필요하며 센터구멍의 호칭지름은 2.5mm, 카운터 싱크 구멍지름은 8mm이다.
  2. 센터구멍은 남아 있어도 좋으며, 센터구멍이 있을 경우 센터 구멍의 호칭지름은 2.5mm, 카운터 싱크 구멍지름은 8mm이다.
  3. 센터구멍이 반드시 필요하며 카운터 싱크 구멍지름은 2.5mm, 센터구멍의 호칭지름은 8mm이다.
  4. 센터구멍은 남아 있어도 좋으며, 센터구멍이 있을 경우 카운터 싱크 구멍지름은 2.5mm, 센터구멍의 호칭지름은 8mm이다.
(정답률: 51%)
  • 도시 기호의 의미는 "센터구멍이 남아 있어도 좋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센터구멍은 남아 있어도 좋으며, 센터구멍이 있을 경우 센터 구멍의 호칭지름은 2.5mm, 카운터 싱크 구멍지름은 8mm이다."입니다. 이유는 축을 가공할 때 센터구멍이 없으면 축의 중심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합니다. 호칭지름은 센터구멍의 직경을 의미하며, 카운터 싱크 구멍은 나사를 꽂을 때 사용하는 구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등각 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할 때 이에 대한 저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5%)
  • 화살표 방향을 정면도로 할 때, 저면도에서는 화살표가 우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살표가 우측으로 향하는 "" 가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화살표가 좌측이나 중앙으로 향하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NC선반에서 G98 기능과 관련된 단위는?

  1. mm/min
  2. mm/rev
  3. deg/min
  4. rpm
(정답률: 57%)
  • G98 기능은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하고, 그 거리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mm/min"이다. "mm/rev"는 회전당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deg/min"은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rpm"은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공구의 크레이터 마모와 관련이 있는 부분은?

  1. 생크
  2. 인선
  3. 경사면
  4. 여유면
(정답률: 60%)
  • 공구의 크레이터 마모와 관련이 있는 부분은 "경사면"입니다. 크레이터 마모는 공구의 날이 바위에 부딪혀서 생기는 마모로, 이 때 바위의 경사면이 공구의 날과 만나면 마모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사면이 크레이터 마모와 관련이 있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NC선반에서 직경이 ø50mm 부위를 –Z방향으로 절삭하려고 한다. 이때 적합한 주축 회전수 지령은? (단, 재료의 절삭속도 V=120m/min, 이송속도 F=0.2mm/rev이다.)

  1. G96 S764;
  2. G96 S1200;
  3. G97 S764;
  4. G97 S1200;
(정답률: 45%)
  • 절삭속도 V와 이송속도 F를 이용하여 적절한 주축 회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절삭속도 V = (π × 직경 × 주축 회전수) / 1000 으로 변환하면,

    120 = (π × 50 × 주축 회전수) / 1000

    주축 회전수 = 2400 / π ≈ 764

    따라서, 적합한 주축 회전수는 G97 S764; 이다.

    G96은 상대적인 주축 회전수를 사용하는 모드이고, G97은 절대적인 주축 회전수를 사용하는 모드이다. 이 문제에서는 절대적인 주축 회전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G97을 선택한다. 또한, 주축 회전수가 764이므로 G97 S764;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머시닝센터 가공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준비기능 가운데 카운터 보링 기능에 해당하는 G코드는?

  1. G81
  2. G82
  3. G83
  4. G84
(정답률: 49%)
  • 정답은 "G82"입니다.

    G82는 카운터 보링 기능을 나타내는 G코드입니다. 이 기능은 워크피스의 특정 위치에서 구멍을 깊게 드릴 때 사용됩니다. G82는 G81과 유사하지만, G81은 고정된 깊이로 구멍을 드리는 반면, G82는 지정된 깊이까지 드린 후에는 정지하고, 그 이후에는 지정된 깊이에서 빠르게 이동합니다. 이 기능은 보통 깊이가 깊은 구멍을 드릴 때 사용되며, 보통 G81과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NC 방전전극용 재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전기 저항값이 낮고 전기 전도도가 클 것
  2. 융점이 낮아 방전 시 소모가 적을 것
  3. 방전 가공성이 우수할 것
  4. 성형이 용이할 것
(정답률: 51%)
  • "융점이 낮아 방전 시 소모가 적을 것"은 틀린 구비조건입니다. 이유는 방전 시에는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전기적인 스파크가 발생하며, 이 스파크는 재료를 소모시킵니다. 따라서 융점이 낮은 재료는 방전 시에 더 많은 소모를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비조건은 "융점이 높아 방전 시 소모가 적을 것"입니다. 또한, 전기 저항값이 낮고 전기 전도도가 클 것, 방전 가공성이 우수할 것, 성형이 용이할 것도 중요한 구비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서보모터에서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feed back)하지 않는 제어방식은?

  1. 개방회로 방식
  2. 폐쇄회로 방식
  3. 반폐쇄회로 방식
  4. 복합회로 서보방식
(정답률: 57%)
  • 개방회로 방식은 서보모터의 위치나 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하지 않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서보모터의 위치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에서 입력 신호를 주어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모터의 위치나 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나 속도 제어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개방회로 방식은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기계안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이트의 자루는 가능한 굵은 것을 사용한다.
  2. CNC선반 공작물은 무게중심을 맞춰야 안전하다.
  3. 절삭 중이나 회전 중에는 공작물을 측정하지 않는다.
  4. 드릴은 Chip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절삭속도를 빠르게 해야 한다.
(정답률: 77%)
  • "드릴은 Chip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절삭속도를 빠르게 해야 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Chip의 배출이 어려운 경우에는 절삭속도를 늦추는 것이 안전합니다. Chip이 충분히 배출되지 않으면 공작물과 도구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CNC준비기능 중 급속 이송(rapid override)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G00
  2. G01
  3. G28
  4. G30
(정답률: 69%)
  • 정답은 "G01"입니다.

    G00: 급속 이송 명령어
    G01: 직선 보간 명령어
    G28: 홈 위치 복귀 명령어
    G30: 2차 홈 위치 복귀 명령어

    따라서, G01은 직선 보간 명령어로 급속 이송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날당 이송량이 0.05mm/tooth인 2날 엔드밀의 이송속도는 몇 mm/min인가? (단, 회전수 800rpm, 절삭속도 34m/min이다.)

  1. 34
  2. 40
  3. 68
  4. 80
(정답률: 49%)
  • 이송량 = 날당 이송량 × 날의 개수 = 0.05 × 2 = 0.1mm/tooth
    회전당 이동거리 = 원주 × 이송량 = π × 도구지름 × 이송량
    = 3.14 × 20 × 0.1 = 6.28mm
    이송속도 = 회전수 × 회전당 이동거리 × 60
    = 800 × 6.28 × 60 = 301440mm/min
    따라서, 이송속도는 301440mm/min이며, 반올림하여 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CNC기계에 사용되는 좌표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역 좌표계
  2. 기계 좌표계
  3. 보정 좌표계
  4. 공작물 좌표계
(정답률: 43%)
  • 보정 좌표계는 기계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계로, 기계 좌표계와 공작물 좌표계 사이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다른 좌표계들은 기계의 위치나 공작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보정 좌표계는 기계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좌표계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보정 좌표계가 다른 좌표계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