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거더의 아래로 처짐은 부하시 스팬의 얼마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은가?

  1. 1/800
  2. 1/700
  3. 1/600
  4. 1/500
(정답률: 67%)
  • 거더의 아래로 처짐은 부하시 스팬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스팬이 길면 거더가 더 많이 처지게 되므로, 스팬이 짧을수록 거더의 처짐은 적어집니다. 따라서 부하시 스팬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팬의 길이는 거더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거더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스팬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거더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거더 사이의 거리는 거더의 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더의 아래로 처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하시 스팬의 길이를 거더의 수로 나눈 값이 작아야 합니다. 이 값이 1/800 이므로, 정답은 "1/8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천장크레인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주행 및 횡행으로 선회하며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2. 평행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3. 주행, 횡행, 권상의 3운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4. 전동기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69%)
  • 천장크레인은 주행과 횡행으로 이동하며 권상운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개의 축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어떤 각도를 가진 두 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축이음으로서 경사각이 커지면 전달효율이 저하되므로 보통 15°이내로 사용하는 축이음은?

  1. 분할형 축이음
  2. 플랙시블 축이음
  3. 플랜지 축이음
  4. 유니버셜 조인트
(정답률: 43%)
  • 유니버셜 조인트는 두 축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축이음입니다. 이는 두 축이 서로 다른 각도로 움직일 때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사각이 커져도 전달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보통 15° 이내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동장치에 있어서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마찰에 의한 전동
  2. 기어에 의한 전동
  3. 원뿔차에 의한 전동
  4. 체인에 의한 전동
(정답률: 39%)
  • 체인에 의한 전동은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체인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간접적인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체인에 의한 전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어 이는 나선형이고 물림이 원활하며 큰 하중과 고속 전동에 주로 쓰이는 기어는?

  1. 스퍼 기어
  2. 헬리컬 기어
  3. 내접 기어
  4. 웜 기어
(정답률: 50%)
  • 헬리컬 기어는 나선형으로 이뤄져 있어 물림이 원활하며, 큰 하중과 고속 전동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주로 큰 기계나 자동차 등에서 사용됩니다. 스퍼 기어는 직선적으로 이뤄져 있어 물림이 원활하지 않고, 내접 기어는 작은 하중에 적합하며, 웜 기어는 속도 감속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레인 운전실의 종류 중 맞지 않는 것은?

  1. 개방형 운전실
  2. 개방 단열형 운전실
  3. 밀폐형 운전실
  4. 밀폐 단열형 운전실
(정답률: 75%)
  • 개방 단열형 운전실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종류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크레인 운전실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거더의 캠버는 정격하중을 가하였을 때 스팬의 얼마 이하가 적당한가?

  1. 1/800
  2. 1/600
  3. 1/500
  4. 1/400
(정답률: 85%)
  • 거더의 캠버는 정격하중을 받았을 때 스팬의 얼마 이하가 적당한가에 대한 답은 "1/80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거더의 캠버는 구조물의 중앙에 위치하며, 하중을 받으면 스팬의 중앙에서부터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 때, 스팬의 길이가 길수록 하중이 분산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스팬의 길이가 너무 길면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물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거더의 캠버는 스팬의 길이가 너무 길지 않도록 적당한 길이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거더의 캠버는 정격하중을 받았을 때 스팬의 길이가 800 이하일 때 적당하다고 판단되어 "1/80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상 유도 전동기에서 전압이 440V, 60(㎐)일 때 회전체인 전동기의 극수는 4극이다. 이 때 동기 속도(rpm)는?

  1. 880
  2. 1800
  3. 13200
  4. 6600
(정답률: 53%)
  • 3상 유도 전동기에서 동기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동기 속도 = (120 x 전원 주파수) / 극수

    여기서 전원 주파수는 60(㎐)이고 극수는 4이므로,

    동기 속도 = (120 x 60) / 4 = 1800(rpm)

    따라서 정답은 1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권선형 전동기를 사용한 천정기중기 중에서 볼 수 없는 기기는?

  1. 저항기(RESISTOR)
  2. 콘트롤러(CONTROLLER)
  3. 브레이크(BRAKE)
  4. 슬로우스타터(SLOW STARTER)
(정답률: 60%)
  • 권선형 전동기를 사용한 천정기중기 중에서 볼 수 없는 기기는 슬로우스타터입니다. 슬로우스타터는 전동기의 부하를 줄이고 전류를 안정화시켜 전동기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동기의 부하를 줄여 전동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슬로우스타터는 전동기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극수가 6극, 60Hz이면, 정격 회전속도는 몇 rpm인가? (단, 슬립은 3%)

  1. 1170
  2. 1150
  3. 1145
  4. 1164
(정답률: 22%)
  • 전동기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격 회전수 = (60 * 전원주파수) / 극수

    슬립이 3%이므로, 실제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 회전수 = (1 - 슬립) * 정격 회전수

    따라서,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정격 회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격 회전수 = (60 * 60) / 6 = 600 rpm

    실제 회전수 = (1 - 0.03) * 600 = 582 rpm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1164 rpm입니다. 이는 실제 회전수의 두 배인데, 이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가 2극으로 동작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는 전동기의 회전자와 정자 사이에 생성되는 자기장의 교차주파수가 2배가 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이중주파수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행차륜 좌우외측 중심 간의 수평거리에 해당되는 것은?

  1. 차륜하중(wheel load)
  2. 휠베이스(wheel base)
  3. 트롤리스팬(trolley span)
  4. 양정(lift)
(정답률: 47%)
  • 휠베이스(wheel base)는 주행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수평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행차량의 전체 길이와 관련이 있으며, 차량의 안정성과 조향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주행차량의 구조와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천장크레인의 레일(rail)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되는가?

  1. 최대 차륜압
  2. 바퀴의 크기와 중량
  3. 기중기 정격하중
  4. 기중기 스팬(span)
(정답률: 14%)
  • 천장크레인의 레일은 최대 차륜압을 기준으로 선정됩니다. 이는 바퀴의 크기와 중량, 기중기 정격하중, 기중기 스팬(span)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최대 차륜압은 바퀴와 레일 사이의 압력을 의미하며, 이 압력이 높을수록 레일의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천장크레인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최대 차륜압을 고려하여 레일을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신품 체인을 구입하여 사용한 후 임의의 5개 링의 길이를 측정시 신장이 몇 %이상이면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가?

  1. 3 %
  2. 5 %
  3. 7 %
  4. 12 %
(정답률: 29%)
  • 체인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체인의 강도는 약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체인의 길이가 일정 수준 이상 늘어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일반적으로 체인의 길이가 5% 이상 늘어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권상장치의 제동용 전자브레이크의 제동력은 권상 전동기 정격토크의 몇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0%
  2. 150%
  3. 300%
  4. 500%
(정답률: 59%)
  • 권상장치의 제동용 전자브레이크는 권상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제동력은 권상 전동기의 회전력에 비례합니다. 제동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권상장치가 움직이는 동안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동용 전자브레이크의 제동력은 권상 전동기 정격토크의 150% 이상이어야 안전하게 권상장치를 제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미끄럼 베어링과 비교한 구름 베어링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값이 싸다.
  2. 충격에 강하다.
  3. 과열의 위험이 적다.
  4. 소음이 생기기 어렵다.
(정답률: 29%)
  • 구름 베어링은 미끄럼 베어링과 달리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마찰이 적어서 과열의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구름 베어링은 오랫동안 사용해도 과열로 인한 손상이 적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베어링의 온도상승 원인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속도계수의 초과
  2. 과하중
  3. 베어링의 유격 과대
  4. 고점도 오일 사용
(정답률: 43%)
  • 베어링의 유격 과대는 베어링 내부의 여유 공간이 너무 크게 설계되어 있어 베어링이 움직일 때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베어링의 부품들이 마찰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열은 베어링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결국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베어링의 유격 과대는 베어링의 온도상승 원인 중에서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천장크레인 운전 중 저항기의 허용 온도는?

  1. 270℃
  2. 350℃
  3. 500℃
  4. 720℃
(정답률: 60%)
  • 천장크레인은 높은 온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항기도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저항기의 허용 온도는 350℃로 설정됩니다. 다른 옵션들은 이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를 나타내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크레인에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공기빼기 작업 중 옳지 않은 방법은?

  1. 브레이크의 모든 유압계통을 확인한다.
  2. 마스터실린더에서 브레이크 오일을 보급하면서 행한다.
  3. 브레이크 파이프를 빼면서 행한다.
  4. 일반적으로 마스터 실린더에서 제일 먼 곳의 휠 실린더에서 행한다.
(정답률: 48%)
  • 브레이크 파이프를 빼면서 공기빼기 작업을 하면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오일이 완전히 배출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이 공기로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파이프를 빼지 않고, 일반적으로 마스터 실린더에서 제일 먼 곳의 휠 실린더에서 공기빼기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도장의 시기는 도장면적의 약 몇 퍼센트에 녹 또는 부식이 발생하였을 때 실시하는가?

  1. 3 %
  2. 10 %
  3. 20 %
  4. 30 %
(정답률: 63%)
  • 재도장은 도장면적의 약 10%에 녹 또는 부식이 발생하였을 때 실시합니다. 이는 도장면적이 일정 수준 이상 녹 또는 부식이 발생하면 도장의 보호 기능이 떨어져서 재도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 이하의 녹 또는 부식이 발생하면 보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도장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열물이나 수중 작업시 와이어로프 대용으로 체인을 사용한다.
  2. 떨어진 두 축의 전동장치에는 주로 링크 체인을 사용한다.
  3. 체인에는 크게 링크 체인과 롤러 체인이 있다.
  4. 롤러 체인의 내구성은 핀과 부시의 마모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롤러 체인의 내구성은 핀과 부시의 마모에 따라 결정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롤러 체인의 내구성은 롤러와 핀, 부시, 승화 등의 부품들의 재질과 제조 공정,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모터의 슬립링은 점검하여 브러시와 접촉불량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 때 접촉압력(kg/cm2)은 얼마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0.15∼0.3
  2. 0.5∼0.75
  3. 0.07∼0.085
  4. 0.75∼0.95
(정답률: 34%)
  • 접촉압력은 브러시와 커뮤테이터 사이의 접촉압력을 말한다. 이 압력이 너무 낮으면 전기적인 접촉이 불량해져서 모터의 성능이 저하되고, 너무 높으면 브러시와 커뮤테이터가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적절한 접촉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슬립링에서는 0.15∼0.3 kg/cm2의 접촉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범위는 모터의 성능과 수명을 고려한 결과로 나온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어의 소음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치면에 흠이 있고 거칠다.
  2. 피치 오차가 크다.
  3. 기어의 물림이 불량하다.
  4. 조인트 마모가 너무 크다.
(정답률: 42%)
  • 조인트는 기어와 기어 사이의 연결 부품으로, 기어의 회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인트 마모가 너무 크다는 것은 기어와 기어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품이 마모되어 기어의 회전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어 자체의 문제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조인트 마모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베어링 No.6217은 다음 중 어느 것을 뜻하는가?

  1. 원통 롤러 베어링이며, 내경이 85㎜이다.
  2. 단열 홈형 볼베어링이며, 내경이 85㎜이다.
  3. 원통 롤러 스러스트볼베어링이며, 내경이 170㎜이다.
  4. 단열 홈형 볼베어링이며, 내경이 170㎜이다.
(정답률: 23%)
  • 정답은 "단열 홈형 볼베어링이며, 내경이 85㎜이다." 이다.

    이유는 베어링 번호에서 6217은 6으로 시작하므로 깊은 홈 볼베어링을 나타내며, 2는 내경이 85mm를 나타내고, 17은 외경이 150mm를 나타낸다. 따라서, 베어링 No.6217은 단열 홈형 볼베어링이며, 내경이 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속 회전에 알맞는 윤활유의 일반적 성질은?

  1. 고점도의 윤활유
  2. 고온도의 윤활유
  3. 저점도의 윤활유
  4. 아무것이나 무방하다.
(정답률: 35%)
  • 고속 회전에 알맞는 윤활유는 저점도의 윤활유입니다. 이는 고속 회전 시 마찰이 많이 발생하므로 저점도의 윤활유를 사용하여 마찰을 최소화하고 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고점도의 윤활유나 고온도의 윤활유는 저속 회전이나 고온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고속 회전에는 저점도의 윤활유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설명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1. 플랜지 커플링이란 플랜지 사이를 볼트로 조인 것이며 축의 직경이 75㎜ 이상의 것에 편리하다.
  2. 플렉시블 커플링이란 축심이 정확하게 일치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3. 두개의 축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경사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축이음은 머프 커플링이다.
  4. 가공비가 적게 들고 큰 하중에 견디며 주로 모터축에 사용되는 축이음은 스플라인이다.
(정답률: 41%)
  • 플랜지 커플링이란 축의 직경이 75㎜ 이상일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플랜지 사이를 볼트로 조인하는 방식으로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동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점검사항을 열거하였다. 가장 먼저 점검하여야 할 것은? (단, 운전 중 정지되었을 때)

  1. 과부하 계전기 동작 유무 확인
  2. 집전기 이탈 상태 확인
  3. 배선상태 확인
  4. BRAKE 동작 상태 확인
(정답률: 57%)
  • 전동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과부하 계전기 동작 유무 확인입니다. 이는 전동기가 과부하 상태에 놓여 있을 경우, 과부하 계전기가 동작하여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부하 계전기의 동작 유무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이를 해결해야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베어링 세척시 세척유로 가장 좋은 것은?

  1. 신나
  2. 휘발유
  3. 알콜
  4. 솔벤트
(정답률: 57%)
  • 베어링 세척시에는 기름과 먼지 등이 묻어있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용제가 필요합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것은 기름과 먼지를 빠르게 용해시키는 솔벤트입니다. 따라서 솔벤트가 가장 좋은 세척유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류 제한 및 속도조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브러시(brush)
  2. 2차 저항기
  3. 회전자(rotor)
  4. 슬립링(slip ring)
(정답률: 58%)
  •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는 전류 제한 및 속도조정을 위해 2차 저항기를 사용합니다. 2차 저항기는 회로에 저항을 추가하여 전류를 제한하고, 전압을 낮춰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차 저항기는 회로에 추가되는 저비용의 부품으로서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와이어로프(wire rope)의 표시방법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명칭, 기호, 꼬임방법, 구성, 종류, 로프지름
  2. 명칭, 로프지름, 종류, 구성, 기호, 꼬임방법
  3. 구성, 기호, 꼬임방법, 종류, 로프지름, 명칭
  4. 명칭, 구성, 기호, 꼬임방법, 종류, 로프지름
(정답률: 69%)
  • 정답은 "명칭, 구성, 기호, 꼬임방법, 종류, 로프지름" 입니다.

    - 명칭: 와이어로프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 구성: 와이어로프가 몇 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기호: 와이어로프의 종류와 구성을 나타내는 기호를 표시합니다.
    - 꼬임방법: 와이어로프가 어떤 방식으로 꼬여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종류: 와이어로프의 종류를 상세히 나타냅니다.
    - 로프지름: 와이어로프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심(鋼芯)로프의 선정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큰 절단하중을 필요로 하는 경우
  2. 신율을 적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
  3. 고온에서 사용되어지는 경우
  4. 부식을 적게 하여야 할 경우
(정답률: 47%)
  • 강심로프는 외부 환경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큰 절단하중을 필요로 하는 경우나 고온에서 사용되어지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부식을 적게 하여야 할 경우에는 강심로프보다는 부식에 강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프를 선택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강심로프는 내부 강철선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000㎏의 짐을 두 줄걸이로 하여 줄걸이 로프의 각도를 60도로 매달았을 때 한쪽 줄에 걸리는 하중은 몇 ㎏인가?

  1. 2310
  2. 2000
  3. 1155
  4. 578
(정답률: 77%)
  • 줄걸이로 매달린 물체의 무게는 각 줄에 걸리는 하중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두 줄걸이에 걸린 하중의 합이 2000㎏이 되어야 합니다.

    두 줄걸이의 각도가 60도이므로, 각 줄걸이에 걸리는 하중은 무게의 루트3/2배가 됩니다.

    하나의 줄걸이에 걸리는 하중을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성립합니다.

    x + x루트3/2 = 2000

    이를 정리하면,

    x = 2000 / (1 + 루트3/2)

    이 값은 약 1155입니다. 따라서, 한쪽 줄에 걸리는 하중은 1155㎏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훅걸이 중 가장 위험한 것은?

  1. 눈걸이
  2. 어깨걸이
  3. 이중걸이
  4. 반걸이
(정답률: 60%)
  • 반걸이는 훅이 한쪽 끝에만 달려있기 때문에 물건이 불균형하게 매달리면 훅이 빠져서 물건과 함께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장 위험한 훅걸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와이어로프 구성기호 6×19 에서 맞는 것은?

  1. 6은 소선수, 19는 스트랜드수
  2. 6은 안전계수, 19는 절단하중
  3. 6은 스트랜드수, 19는 절단하중
  4. 6은 스트랜드수, 19는 소선수
(정답률: 57%)
  • 정답은 "6은 스트랜드수, 19는 소선수"입니다.

    6×19는 와이어로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로, 6은 와이어로프를 이루는 스트랜드(선)의 수를 나타내고, 19는 각 스트랜드 안에 들어있는 소선(선 내부의 작은 선)의 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6×19는 6개의 스트랜드가 있고, 각 스트랜드 안에는 19개의 소선이 들어있는 와이어로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조시 와이어로프 직경의 허용오차는 얼마인가?

  1. ±7%
  2. 0% ~ +7%
  3. ±3%
  4. -3% ~ +5%
(정답률: 64%)
  • 와이어로프의 직경은 제조 과정에서 일정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생산됩니다. 이 허용 오차 범위는 일반적으로 0% ~ +7%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제조된 와이어로프의 직경이 이 범위 내에 있으면 허용되는 것이며,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품으로 처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0% ~ +7%"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와이어로프 선정에 있어서 거리가 제일 먼 것은?

  1. 사용빈도
  2. 작업환경조건
  3. 하중의 종류
  4. 사용상의 마모
(정답률: 24%)
  • 사용상의 마모는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마모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와이어로프는 사용빈도, 작업환경조건, 하중의 종류 등에 따라 마모되는 정도가 다르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사용상의 마모입니다. 와이어로프가 마모되면 내구성이 감소하고 결국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마모는 와이어로프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천장크레인에서 와이어로프를 장치할 때 고정방법으로 가장 효율이 높고 양호한 방법은?

  1. 합금고정
  2. 크립고정
  3. 쐐기고정
  4. 엮어넣기
(정답률: 42%)
  • 천장크레인에서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합금고정입니다. 이는 와이어로프와 합금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합금은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우수하여 와이어로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합금고정은 크립고정이나 쐐기고정과 달리 와이어로프에 불필요한 압력을 가하지 않아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금고정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와이어로프 고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와이어로프의 킹크 발생의 예로 맞는 것은?

  1. 절단킹크
  2. - 알파킹크
  3. +, - 킹크
  4. + 알파킹크
(정답률: 58%)
  • "+, - 킹크"가 맞는 이유는 와이어로프가 두 점에서 반대 방향으로 굽어지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와이어로프의 길이 변화나 하중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킹크는 와이어로프의 안전성을 저해시키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링크체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링크체인은 신품 구입시 단면 직경과 길이를 재어두어야 한다.
  2. 링크체인은 링크가 균열 되었을 때 용접하여 사용하면 안 된다.
  3. 오래 사용 후 5개의 링크길이가 처음보다 10% 이상 늘어났으면 사용을 못한다.
  4. 링크 단면 직경이 제조 당시보다 10% 이상 감소된 것은 사용 못한다.
(정답률: 30%)
  • "오래 사용 후 5개의 링크길이가 처음보다 10% 이상 늘어났으면 사용을 못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링크체인은 오래 사용하면서 길이가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조건이 있다면 링크체인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건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중기의 운전 중 점검시 점검 담당자는 필히 운전자에게 연락을 취하고 점검 하여야 한다.
  2. 권상 장치의 점검시 권상 권하를 최고 최저 위치까지 감아올리거나 내릴 필요가 없다.
  3. 운전 중 이상음이 발생하면 운전을 중지하고 점검을 해야 한다.
  4. 권상, 횡행, 주행 모두 제동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는 꼭 점검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권상 장치의 점검시 권상 권하를 최고 최저 위치까지 감아올리거나 내릴 필요가 없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권상 장치의 점검시 권상 권하를 최고 최저 위치까지 감아올리거나 내리는 것은 안전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운전자 안전수칙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운반물이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상태로 운반해서는 안 된다.
  2. 운반물은 작업자 상부로 운반할 수 없으며, 직각운전을 원칙으로 한다.
  3. 운전석을 이석할 때는 크레인을 정지위치로 이동시킨 후 훅을 최대한 내려놓는다.
  4. 옥외 크레인은 강풍이 불어올 경우 운전 및 옥외 점검, 정비를 제한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운전석을 이석할 때는 크레인을 정지위치로 이동시킨 후 훅을 최대한 내려놓는다." 입니다. 이유는 운전석을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크레인이 움직이지 않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전석을 이동시키기 전에 크레인을 정지위치로 이동시키고, 훅을 최대한 내려놓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천장크레인에서 일반적인 작업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이 종료된 후 훅(Hook)은 기중기의 거더(Girder) 하단부 정도까지 올려놓는다.
  2. 물건을 운반하지 않을 때는 훅에 와이어를 건채로 이동해서는 안 된다.
  3. 모가 난 짐을 운반시는 규정보다 굵은 와이어를 사용한다.
  4. 하중의 중량 및 중심의 목측(目測)은 가능한 정확히 해야 한다.
(정답률: 67%)
  • "모가 난 짐을 운반시는 규정보다 굵은 와이어를 사용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와이어의 굵기는 운반하는 물건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모가 난 짐을 운반할 때는 오히려 와이어가 얇은 것이 더 안전합니다. 와이어가 굵으면 모가 난 짐을 들어올리는 동안 와이어가 미끄러져서 물건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천장크레인의 작업능력을 표시하는 방법은?

  1. 권상 톤수
  2. 권상 체적
  3. 작업 시간
  4. 작업 속도
(정답률: 67%)
  • 천장크레인의 작업능력은 권상 톤수로 표시합니다. 이는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하며, 크레인의 안전성과 작업 가능한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권상 톤수가 높을수록 크레인의 작업능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권상, 권하, 횡행, 주행 등의 운동에 대한 과도한 진행을 방지하는 기구는?

  1. 컨트롤러
  2. 경보장치
  3. 타임 릴레이
  4.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78%)
  • 리미트 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여 과도한 진행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입니다. 따라서 권상, 권하, 횡행, 주행 등의 운동에 대한 과도한 진행을 방지하는 기구로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컨트롤러, 경보장치, 타임 릴레이는 안전장치와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크레인 운전자가 화물을 권상할 때 위험한 상태에서 작업 안전을 위해 급정지시키는 비상정지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작업 종료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2. 누름버튼은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수동 복귀되는 형식이다.
  3. 누름버튼은 황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자동 복귀되는 형식이다.
  4. 탑승용(운전석) 크레인일 경우 권상레버와 같이 부착된다.
(정답률: 77%)
  • 누름버튼은 급정지를 위한 비상정지 장치이므로 수동으로 복귀되어야 하며,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는 것은 작업 중 위험한 상황에서 즉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누름버튼은 적색으로 머리 부분이 돌출되고 수동 복귀되는 형식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천장크레인에 있어서 운전을 하고자 할 때 최초에 행하여야 할 사항은?

  1. 권상용 제어기의 노치(notch)만을 '0" 노치에 두고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킨다.
  2. 주행용 제어기의 노치만을 '0' 노치에 두고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킨다.
  3. 모든 제어기의 노치에 상관없이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킨다.
  4. 모든 제어기의 노치를 '0' 노치에 두고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킨다.
(정답률: 65%)
  • 천장크레인은 여러 개의 제어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모든 제어기의 노치를 '0' 노치에 두고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키는 것은 모든 제어기를 초기화하고, 운전에 필요한 모든 제어기를 작동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렇게 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제어기들이 각각 다른 상태로 작동하여 운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초에는 모든 제어기의 노치를 '0' 노치에 두고 메인 스위치를 'on'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크레인 운전전 점검사항 중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각부의 주유가 적당한가를 확인한다.
  2. 컨트롤러의 핸들을 조작, 접촉관계를 확인한다.
  3. 운반물을 들고 조금 권상, 권하를 행하여 본다.
  4. 크래브가 움직이는가를 확인한다.
(정답률: 30%)
  • 운반물을 들고 조금 권상, 권하를 행하여 본다는 것은 크레인의 안전성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는 크레인이 운반물을 안전하게 들어올리고 내릴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관계가 없는 점검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중기를 급출발, 급정지하면 안 되는 사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중기에 기계적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 갑자기 출발하면 밑에 있는 작업자가 피할 틈이 없어 위험하므로
  3. 취급 물건이 관성에 의하여 심하게 흔들리면 매우 위험 하므로
  4. 갑자기 과전류가 흘러 전기장치에 무리가 있으므로
(정답률: 36%)
  • "갑자기 출발하면 밑에 있는 작업자가 피할 틈이 없어 위험하므로"는 기중기가 작업 중인 건설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안전 사항 중 하나입니다. 만약 기중기가 갑자기 출발하면 작업 중인 작업자들은 충돌 위험이 있으며, 이는 심각한 상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중기는 출발하기 전에 출발 신호를 미리 알리고 출발 전에 충분한 시간을 주어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원활한 운전작업을 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1. 운전 중 운전자는 항상 기계 각부의 이상 음향, 이상 진동에 주의한다.
  2. 정지상태에서 출발시 갑자기 전속력으로 운전해서는 안 된다.
  3. 운전자는 물건을 들고 지나온 경로를 되돌아보며 운전을 올바르게 했느냐를 항상 반성하며 운전해야 한다.
  4. 작업종료 후에는 꼭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킨 후 전원을 OFF한다.
(정답률: 89%)
  • 운전자는 물건을 들고 지나온 경로를 되돌아보며 운전을 올바르게 했느냐를 항상 반성하며 운전해야 한다는 것은 틀린 방법입니다. 운전 중에는 주의력을 운전에 집중해야 하며, 과거의 운전 경험에 대한 반성은 운전을 하는 동안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대신, 운전 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운전 중에는 주변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안전 운전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와이어로프의 작업자가 짐의 중심을 잘못 잡아 훅에 로프를 걸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가 아닌 것은?

  1. 짐이 생각지도 않은 방향으로 간다.
  2. 매단 짐은 회전하여 로프가 비틀린다.
  3. 과하중으로 기중기에 손상을 준다.
  4. 짐이 한쪽 방향으로 쏠려 넘어진다.
(정답률: 56%)
  • 과하중으로 인해 기중기의 부품이 파손되거나 기울어져 안정성을 잃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짐을 전도시킬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매단 짐 위에는 절대로 타지 말 것
  2. 섀클로 철판을 세워서 매달 것
  3. 중심이 이동한 다음 와이어로프를 서서히 늦추어 줄 것
  4. 가급적 주위를 넓게 하여 실시할 것
(정답률: 90%)
  • 섀클로 철판을 세워서 매달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철판은 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하게 짐을 전도시키기 위해서는 매단 짐 위에는 타지 말 것, 중심이 이동한 다음 와이어로프를 서서히 늦추어 줄 것, 가급적 주위를 넓게 하여 실시할 것 등의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복스렌치가 오픈엔드렌치보다 더 권장되어 사용되는 이유는?

  1. 값이 저렴하다.
  2. 사용하기 쉽다.
  3. 가볍고 쉽게 쓸 수 있다.
  4. 볼트너트 주위를 완전히 싸게 되어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는다.
(정답률: 73%)
  • 복스렌치는 볼트너트 주위를 완전히 싸게 되어 사용 중에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더 권장되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감전의 위험이 많은 작업현장에서 보호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보호장갑
  2. 구명구
  3. 구급용품
  4. 보안경
(정답률: 90%)
  • 감전의 위험이 많은 작업현장에서는 전기를 차단하거나 접근을 제한하는 등의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보호장갑은 전기를 차단하지는 않지만, 전기에 노출될 경우 손을 보호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장갑이 가장 적절한 보호구입니다. 구명구는 수면에서의 안전을 위한 보호구, 구급용품은 응급상황에서의 구조 및 응급처치를 위한 보호구, 보안경은 보안상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렌치(wrench)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

  1. 렌치의 크기는 구경의 치수로 표시한다.
  2. 렌치는 적당한 힘으로 볼트, 너트를 죄고 풀어야 한다.
  3. 오픈렌치로 파이프 피팅 작업시 사용하였다.
  4. 토크렌치의 용도는 큰 토크를 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37%)
  • "토크렌치의 용도는 큰 토크를 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가 틀린 것이다. 토크렌치는 정해진 토크값에 도달하면 회전을 멈추는 도구로, 정확한 토크 조절이 필요한 작업에 사용된다. 따라서 큰 토크를 요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은 토크도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설기계정비 작업장에 준비해야 할 것 중 안전과 관계가 먼 것은?

  1. 응급용 의약품
  2. 철제 쓰레기통
  3. 소화기 및 소화용구
  4. 방청용 오일
(정답률: 53%)
  • 방청용 오일은 건설기계정비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기계의 윤활유로 사용되는데,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안전과 관계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업장 안전과 관련된 것들이기 때문에 준비해야 할 것으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안전장치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안전장치는 반드시 활용하도록 한다.
  2. 안전장치는 작업 형편상 부득이한 경우는 일시 제거해도 좋다.
  3. 안전장치가 불량할 때는 즉시 수정한 다음 작업한다.
  4. 안전장치는 반드시 작업 전에 점검한다.
(정답률: 89%)
  • 안전장치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 형편상 부득이한 경우라도 일시 제거하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일시 제거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안전장치는 작업 형편상 부득이한 경우는 일시 제거해도 좋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감전되거나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것은?

  1. 구명구
  2. 보호구
  3. 구명조끼
  4. 비상벨
(정답률: 82%)
  • 감전이나 전기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시 작업자는 보호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보호구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기작업시에는 전기절연 재질로 만들어진 보호구를 착용하여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따라서 "보호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중기로 물건을 운반시 주의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2. 규정 무게보다 약간 초과할 수도 있다.
  3. 로프 등의 안전여부를 항상 점검한다.
  4. 운반 중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7%)
  • 정답은 "규정 무게보다 약간 초과할 수도 있다."입니다. 이유는 기중기의 무게 제한은 안전을 위해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물건의 무게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규정 무게보다 약간 초과할 수도 있으며, 이는 운반 중 물건이 떨어지거나 기중기가 불안정해지는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드릴머신으로 구멍을 뚫을 때 일감 자체가 가장 회전하기 쉬운 때는 어느 때 인가?

  1. 구멍을 처음 뚫기 시작할 때
  2. 구멍을 중간 쯤 뚫었을 때
  3. 처음과 끝 구멍을 뚫었을 때
  4. 구멍을 거의 뚫었을 때
(정답률: 56%)
  • 구멍을 거의 뚫었을 때 일감 자체가 가장 회전하기 쉬운 이유는, 처음에는 드릴이 물체와 만나면서 저항을 느끼고 회전력이 약해지지만, 구멍을 뚫다보면 물체 내부로 드릴이 파고들면서 저항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일감이 회전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멍을 거의 뚫었을 때가 가장 일감이 회전하기 쉬운 시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작업시 일반적인 안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비는 사용 전에 점검한다.
  2. 장비 사용법은 사전에 숙지한다.
  3. 장비는 취급자가 아니어도 사용한다.
  4. 회전되는 물체에 손을 대지 않는다.
(정답률: 95%)
  • "장비는 취급자가 아니어도 사용한다."는 일반적인 안전에 대한 설명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장비는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특정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며, 취급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비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취급자가 사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세틸렌가스 용접의 단점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동이 불가능하다.
  2. 불꽃의 온도와 열효율이 낮다.
  3. 설비비가 비싸다.
  4. 유해광선이 아크 용접보다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39%)
  • 아세틸렌가스 용접은 불꽃의 온도와 열효율이 낮기 때문에 용접 작업이 느리고, 용접 부위의 열변형이 많아지며, 용접 부위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