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2-13)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2011-02-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구동차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차륜직경이 2% 이상 마모되면 수리 교환하여야 한다.
  2. 좌우차륜의 직경차는 원치수의 0.2% 이내이다.
  3. 구동륜플랜지의 변형도는 수직에서 20° 이내이다.
  4. 플랜지의 두께가 20% 이내 마모되었다면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2%)
  • "차륜직경이 2% 이상 마모되면 수리 교환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차륜직경이 마모되면서 작아지면 타이어의 회전수가 줄어들어 속도계에 표시되는 속도가 실제보다 더 빨리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와 제동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차륜직경이 2% 이상 마모되면 교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천장크레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전장치를 해제하고 작업을 해서는 안된다.
  2. 운전자의 시선은 주위를 넓게 바라보며 특히 진행 중인 방향의 앞쪽을 잘 살펴야 한다.
  3. 천장크레인은 수시로 정격하중의 11% 부하를 걸어서 시험 하중을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다.
  4. 작업장의 구석진 곳에 있는 부하물을 들어 올릴 때는 경사지게 당겨 올리는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률: 87%)
  • "천장크레인은 수시로 정격하중의 11% 부하를 걸어서 시험 하중을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천장크레인은 정격하중의 125%에 해당하는 부하를 시험 하중으로 걸어서 테스트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검증하고 장비의 고장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천장크레인 중 권하 속도가 빠를수록 좋은 기중기는?

  1. 원료장입 크레인
  2. 강과 크레인
  3. 타이어 크레인
  4. 담금질 크레인
(정답률: 82%)
  • 담금질 크레인은 빠른 권하 속도를 가지고 있어 작업 효율성이 높습니다. 이는 담금질 작업 시 빠른 속도로 원료를 옮길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장크레인 중 권하 속도가 빠를수록 좋은 기중기는 "담금질 크레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드럼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드럼크기는 가능한 한 로프의 전 길이를 1렬에 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2. 드럼크기는 가능한 한 로프의 전 길이를 2렬에 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 드럼크기는 로프의 전 길이를 3렬에 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4. 드럼크기는 로프의 유효길이를 2회 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률: 44%)
  • 정답은 "드럼크기는 가능한 한 로프의 전 길이를 1렬에 감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입니다. 이유는 드럼의 크기가 로프의 전체 길이를 1렬에 감을 수 있는 크기로 정해져야 하는 이유는 드럼에 감길 때 로프가 꼬이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로프의 전체 길이를 2렬에 감게 되면 드럼에 감길 때 로프가 꼬이거나 뒤틀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로프의 전체 길이를 1렬에 감을 수 있도록 드럼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크레인 혹의 개구부 벌어짐의 사용 한도는 원래 치수의 몇 % 까지 인가?

  1. 5%
  2. 10%
  3. 15%
  4. 50%
(정답률: 64%)
  • 크레인 혹은 개구부의 사용 한도는 원래 치수의 5%까지입니다. 이는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입니다. 따라서, 원래 치수보다 더 큰 무게나 크기의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것은 위험하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횡행스토퍼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재료는 경질고무나 스프링을 사용한다.
  2. 횡행차륜 정지용 스토퍼의 높이는 차륜 지름의 1/4 이상 되어야 한다.
  3. 고무 및 유압 등을 이용하여 완충시켜 주는 장치이다.
  4. 횡행스토퍼에는 자주 그리스를 도포하여 보호한다.
(정답률: 75%)
  • "횡행스토퍼에는 자주 그리스를 도포하여 보호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횡행스토퍼는 고무나 스프링 등 경질재료를 사용하여 완충시켜 주는 장치로, 그리스를 도포하여 보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브(활차)의 회전에 대한 그림이다. 옳은 것은?

  1. 시브와 부시 사이에서 회전한다.
  2. 부시와 축 사이에서 회전한다.
  3. 축과 브라켓 사이에서 회전한다.
  4. 부시와 브라켓 사이에서 회전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부시와 축 사이에서 회전한다." 입니다.

    이유는 시브는 부시에 의해 회전되며, 부시는 축에 의해 회전됩니다. 따라서 시브는 부시와 축 사이에서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권상장치의 권과 방지 기구는?

  1. 캠식 리밋 스위치
  2. 원심 분리 스위치
  3. 족답 스위치
  4. 와류 브레이크
(정답률: 72%)
  • 권상장치는 로프나 철사 등을 감아서 물체를 들어올리는 장치입니다. 이때 권이 너무 많이 감겨서 권상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안전을 위해 작동을 멈추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권상장치에는 방지 기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캠식 리밋 스위치는 권이 감겨지는 정도를 감지하여 권이 너무 많이 감겨지면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권상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캠식 리밋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운전 중 전자브레이크에 이상 제동이 걸리는 경우 점검해야 할 것은?

  1. 전원 전압
  2. 전동기 회전수
  3. 콘트롤러
  4. 시브
(정답률: 52%)
  • 전자브레이크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작동하기 때문에 전원 전압이 충분하지 않으면 제동이 제대로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원 전압이 이상이 있는지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천장크레인 차륜의 플랜지 마모한도이다. 맞는 것은?

  1. 원칫수의 50%
  2. 원칫수의 30%
  3. 원칫수의 20%
  4. 원칫수의 10%
(정답률: 66%)
  • 천장크레인 차륜의 플랜지 마모한도는 "원칫수의 50%"이다. 이는 천장크레인 차륜의 플랜지가 마모되어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계치로, 이를 넘어서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한도를 넘어서면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크레인의 주행레일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행레일은 균열, 두부의 변형이 없을 것
  2. 레일 연결부의 엇갈림은 상하 0.5㎜ 이하일 것
  3. 레일 측면의 마모는 원래 규격 치수의 20% 이내일 것
  4. 레일 연결부의 틈새는 기타 크레인의 경우 5㎜이하일 것
(정답률: 61%)
  • "레일 측면의 마모는 원래 규격 치수의 20% 이내일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크레인이 주행하는 동안 레일과 마찰하면서 마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레일의 마모 정도를 점검하고 교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마모 정도가 20% 이내라는 것은 너무 높은 수치이며, 이는 크레인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일 측면의 마모는 원래 규격 치수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격하중이 20,000kgf인 천장크레인의 훅(Hook)은 파괴하중 이 최소한 몇 kgf 이상인 것을 사용해야 하는가?

  1. 40,000kgf
  2. 60,000kgf
  3. 80,000kgf
  4. 100,000kgf
(정답률: 61%)
  • 훅의 파괴하중은 정격하중의 5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20,000kgf x 5 = 100,000kgf 이므로, 정답은 "100,000kg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속도제어 제동기는 어떤 때 속도제어를 하는가?

  1. 권상시
  2. 권하시
  3. 권상과 권하시
  4. 횡행과 권상시
(정답률: 68%)
  • 속도제어 제동기는 권하시(내리막길)에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내리막길에서 차량이 너무 빠르게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천장크레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천장크레인의 작업능력은 1회의 작업량 즉, 권상 톤수로 표시한다.
  2. 천장크레인 운전석은 매연, 분진 등에 대비한 밀폐형도 있다.
  3. 천장크레인 운전석이 바로 아래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바닥 쪽에 유리창으로 된 형도 있다.
  4. 천장크레인의 주행 브레이크는 마그넷브레이크를 사용하여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급제동력을 높인다.
(정답률: 67%)
  • 정답: "천장크레인의 주행 브레이크는 마그넷브레이크를 사용하여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급제동력을 높인다."

    해설: 천장크레인의 주행 브레이크는 마그넷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설명과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천장크레인용 마그네트 또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휠 면의 요철은 몇 ㎜ 이상이 되면 수정 또는 교환하여야 하는가?

  1. 0.5㎜
  2. 1㎜
  3. 2㎜
  4. 3㎜
(정답률: 59%)
  • 천장크레인용 마그네트 또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휠은 작동 시 요철과 마그네트 또는 브레이크 휠 면이 마찰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 때 요철의 두께가 얇으면 열이 요철에 집중되어 고온으로 인해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장크레인용 마그네트 또는 스러스트 브레이크 휠 면의 요철은 2㎜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0.5㎜나 1㎜은 요철이 너무 얇아서 안전성이 떨어지고, 3㎜은 요철이 너무 두껍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천장크레인의 작업능력은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1. 작업속도
  2. 권상체적
  3. 작업시간
  4. 권상톤수
(정답률: 86%)
  • 천장크레인의 작업능력은 권상톤수로 나타낸다. 이는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권상톤수가 높을수록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가 많아지므로 작업능력이 높아진다. 작업속도나 작업시간은 크레인의 성능과는 관련이 있지만, 작업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는 아니다. 권상체적은 크레인의 크기와 관련된 지표이며, 작업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크레인의 주행 및 횡행 장치의 확인 사항이 아닌 것은?

  1. 차륜과 레일과의 접촉 상태를 확인한다.
  2. 중추식 권과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3. 각 베어링의 주유 및 이상 소음을 확인한다.
  4. 동력 전달기어의 접촉 및 소음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47%)
  • 크레인의 주행 및 횡행 장치와 관련된 사항들을 모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중추식 권과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크레인의 안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 장치는 크레인이 움직이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권취 현상을 방지하고, 크레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따라서 중추식 권과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크레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0~50ton의 용량을 가진 천장크레인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거더(Girder)는?

  1. I형 거더
  2. 박스(Box) 거더
  3. 판(Flat)거더
  4. 트러스(Truss) 거더
(정답률: 68%)
  • 20~50ton의 용량을 가진 천장크레인에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거더는 박스(Box) 거더입니다. 이는 박스 거더가 다른 거더에 비해 더 높은 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박스 거더는 구조적으로 강하며,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 용량의 천장크레인에서는 박스 거더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로프의 밀림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르래가 원활히 회전하지 않을 경우
  2. 드럼에 중첩되어 감겼을 경우
  3. 로프가 도르래와 잘 구성되어 있을 경우
  4. 로프가 도르래 플랜지의 접촉되어 있을 경우
(정답률: 79%)
  • 로프가 도르래와 잘 구성되어 있을 경우는 로프의 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로프의 밀림현상은 로프가 도르래와 제대로 구성되지 않거나, 드럼에 중첩되어 감겼거나, 로프가 도르래 플랜지와 접촉되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천장크레인의 브레이크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수직, 수평폭은 1㎜ 이내라야 한다.
  2. 브레이크 휠 림(Rim)의 두께 마모 한도는 원래 치수의 40%이다.
  3.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제동면의 온도는 약 300℃까지 이다.
  4.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간격은 브레이크 개방시 브레이크 휠 직경의 1/150~1/200 이 적당하다.
(정답률: 48%)
  • "브레이크 휠과 라이닝의 제동면의 온도는 약 300℃까지 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천장크레인의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한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하며, 이 경우 제동면의 온도는 100℃ 이하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천장크레인 운전실의 전압계가 멈추었을 때 점검해야 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전여부 확인
  2. 주 인입개폐기 점검
  3. 집전자의 이탈여부 검사
  4. 천장크레인 내 변압기 이상여부 점검
(정답률: 55%)
  • 천장크레인 운전실의 전압계가 멈추었을 때, 천장크레인 내 변압기 이상여부 점검은 전압계가 멈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전압계가 멈춘 원인은 정전, 주 인입개폐기의 문제, 집전자의 이탈 등 다른 요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천장크레인 내 변압기 이상여부 점검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계요소 중 키(Ke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과 회전체를 일체로 하여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이다.
  2. 축과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3. 재료는 축 재료보다 약간 강하다.
  4. 급유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53%)
  • "재료는 축 재료보다 약간 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키(Key)는 축과 회전체를 일체로 하여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입니다. 이때, 키는 축과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는 회전체가 회전할 때 축과 함께 이동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키는 축과 회전체를 일체로 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축과 회전체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키는 급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크레인 권상전도기의 소요 동력(kW)을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단, 단위는 권상하중 : 톤, 속도 : m/min)

  1. ((정격하중+훅(Hook)의 자중)×권상전동기효율) / (6.12×속도)
  2. ((정격하중+훅(Hook)의 자중)×권상전동기효율) / 6.12
  3. ((정격하중+훅(Hook)의 자중)×권상전동기효율) / (6.12+속도)
  4. ((정격하중+훅(Hook)의 자중)×속도) / (6.12×권상전동기 효율)
(정답률: 53%)
  • 크레인 권상전도기의 소요 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 권상하중 : 톤
    - 속도 : m/min
    - 권상전동기 효율 : %

    크레인 권상전도기의 소요 동력 = ((정격하중 + 훅의 자중) × 속도) / (6.12 × 권상전동기 효율)

    이 식에서 6.12는 크레인 권상전도기의 효율 계수입니다. 이 계수는 권상전동기의 효율과 기어의 효율, 그리고 감속기의 효율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권상하중과 속도를 곱한 값에 권상전동기 효율을 나누고, 이를 6.12로 나누어서 소요 동력을 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볼트의 종류별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통볼트 : 자주 분해·결합하는 부분에 사용하여 양 끝에 나사산을 내고, 나사구멍에 끼우고 연결할 부품을 관통 시켜서 합친 후 너트로 조이는 것이다.
  2. 스테이 볼트 : T형의 홈에 볼트 머리를 끼우고 위치를 이동하면서 임의의 위치에 물체를 고정할 수 있는 볼트이다.
  3. 티(T) 볼트 : 부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고정할 때 사용하는 볼트이다.
  4. 아이 볼트 :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사용하는 볼트이다.
(정답률: 70%)
  • 아이 볼트는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사용하는 볼트입니다. 이는 다른 볼트들과는 달리 물건을 들어올리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철물점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천장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에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 중 매일 점검을 하기에 가장 곤란한 것은?

  1. 권과 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축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과부하 방지장치의 조정 여부
(정답률: 58%)
  • 천장크레인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과부하 방지장치가 중요합니다. 과부하 방지장치는 크레인이 들어올리는 무게가 정해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작동하여 크레인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매일 점검을 통해 과부하 방지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동기의 발열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하가 크다.
  2. 속도가 빠르다.
  3. 사용빈도가 심하다.
  4. 저항기가 부적당하다.
(정답률: 48%)
  • 전동기의 발열원인은 부하가 크거나 사용빈도가 심하거나 저항기가 부적당할 때 발생합니다.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부하가 크거나 사용빈도가 심할 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속도가 빠르다"는 전동기의 발열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베어링의 온도상승 원인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속도계수의 초과
  2. 과하중
  3. 베어링의 유격 과대
  4. 고점도 오일 사용
(정답률: 31%)
  • 베어링의 유격 과대는 베어링 내부의 여유 공간이 너무 크게 설계되어 있어 베어링이 회전할 때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베어링의 부품들이 마찰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열은 베어링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결국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베어링의 유격 과대는 베어링의 온도상승 원인 중에서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속도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시간에 대한 거리의 변화율
  2. 속도에 대한 시간의 변화율
  3. 속도에 대한 변위의 변화율
  4. 시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율
(정답률: 72%)
  • 가속도는 시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위 시간 내에 속도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가속도가 클수록 단위 시간 내에 속도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속도는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어에서 소음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급유 과다
  2. 피치 오차가 클 때
  3. 부적당한 오일
  4. 아주 작은 백래시
(정답률: 81%)
  • 급유 과다는 기어에서 소음발생의 원인이 아닙니다. 기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피치 오차가 클 때, 부적당한 오일, 아주 작은 백래시 등이 있습니다. 급유 과다는 기어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소음 발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제어반 내부에 취부되지 않는 부품은?

  1. 누전 차단기(NFB)
  2. 전자 접촉기(Magnetic S/W)
  3. 한시 계전기(Timer)
  4. 한계 스위치(Limit S/W)
(정답률: 55%)
  • 제어반은 기계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시스템으로, 한계 스위치는 이러한 제어반 내부에 취부되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한계 스위치는 기계나 장치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정한 위치나 각도에서 작동하여 기계나 장치가 그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아줍니다. 따라서 한계 스위치는 제어반 내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취부되지 않는 부품 중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크레인으로 화물을 들어 올릴 경우 옳지 않은 것은?

  1. 화물의 중심 위에 훅이 위치하도록 한다.
  2. 로프가 충분한 장력을 가질 때까지 서서히 감아올린다.
  3. 화물은 주행경로 및 안전을 고려한 높이에서 운반하도록 한다.
  4. 로프가 장력을 받을 때부터 주행을 시작한다.
(정답률: 86%)
  • 로프가 장력을 받을 때부터 주행을 시작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로프가 충분한 장력을 가질 때까지 서서히 감아올리는 것이 안전하다는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로프가 충분한 장력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화물을 주행시키면 로프가 늘어나거나 끊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프가 충분한 장력을 가질 때까지 서서히 감아올린 후에 주행을 시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펜던트 스위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펜던트 스위치에서는 크레인의 비상정지용 누름 버튼과 각각의 작동종류에 따른 누름 버튼 등이 비치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2. 펜던트 스위치에 접속된 케이블은 꼬임이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조 와이어로프 등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3. 조작용 전기회로의 전압은 교류 대지전압 150V 이하 또는 직류 300V 이하이어야 한다.
  4. 펜던트 스위치 외함 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접지선을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79%)
  • "펜던트 스위치 외함 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접지선을 생략할 수 있다."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외함 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니더라도 접지선은 생략할 수 없습니다. 외함 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오히려 접지선이 더 중요해집니다. 이유는 외함 구조가 절연제품이 아닐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선을 통해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기의 스파크(Spark) 발생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접촉면을 매끄럽게 유지시킨다.
  2. 스위치류에 개폐는 아주 천천히 행한다.
  3. 스위치의 접촉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없도록 한다.
  4. 전원 차단시는 반드시 부하측으로부터 메인(Main) 측의 순서로 행한다.
(정답률: 49%)
  • 스위치류에 개폐가 아주 천천히 행하는 것은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니라, 스위치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대책입니다. 스위치를 빠르게 개폐하면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천천히 개폐하여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려는 것이 아니라, 스위치의 접촉면을 보호하여 수명을 늘리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묻어서는 안 되는 곳은?

  1. 와이어로프 및 드럼
  2. 베어링 및 하우징
  3. 체인 및 스프로켓
  4. 브레이크 드럼
(정답률: 62%)
  • 브레이크 드럼은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하여 차량을 멈추는 부품으로, 윤활유나 그리스 등이 묻어서는 안 되는 곳입니다. 이는 윤활유나 그리스가 브레이크 드럼과 패드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브레이크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타워크레인은 풍속이 초당 몇 미터일 때 운전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가?

  1. 40
  2. 30
  3. 20
  4. 10
(정답률: 39%)
  • 타워크레인은 안전한 운전을 위해 풍속에 따라 작동을 중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의 운전작업은 풍속이 초당 20미터 이하일 때만 가능합니다. 이유는 풍속이 높아질수록 타워크레인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풍속이 20미터를 초과할 경우에는 운전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트롤리 와이어에는 감전재해 방지를 위해 통전중임을 알리는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통전표시등 설치장소로 가장 부적합한 곳은?

  1. 전동기 말단부
  2. 구간 스위치의 양쪽
  3. 트롤리 와이어의 말단부
  4. 트롤리 와이어에 전원이 인입되는 곳
(정답률: 54%)
  • 전동기 말단부는 전기적으로 매우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통전표시등을 설치하면 전동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전동기 말단부에서는 이미 전기적인 신호가 주고받아지고 있기 때문에 통전표시등이 추가로 설치될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동기 말단부는 통전표시등 설치장소로 가장 부적합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기를 전달하기 어려운 물질은 어느 것인가?

  1. 전도재료
  2. 절연재료
  3. 도전재료
  4. 자성체
(정답률: 86%)
  • 절연재료는 전기를 전달하기 어려운 물질입니다. 이는 전기가 흐르는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도재료나 도전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성체는 전기를 전달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지만, 전기와 관련된 다른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기장치에서 2차 저항기의 역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전동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아 전동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전동기의 저항을 줄임으로써 전동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3.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2차 회로에 부착되어 저항량을 조정함으로써 속도를 변속하는 역할을 한다.
  4. 농형 전동기에 저항이 너무 크므로 2차 저항기를 부착하여 저항량을 줄임으로써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6%)
  • 권선형 유도전동기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속도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2차 회로에 부착된 저항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변속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2차 저항기는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속도 조절을 위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연저항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옴 미터
  2. 오실로스코프
  3. 디지털 멀티테스터
  4. 메가 테스터
(정답률: 72%)
  • 절연저항은 대부분의 경우 매우 높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디지털 멀티테스터로는 측정이 어렵습니다. 반면에 메가 테스터는 고저항 값을 측정하는데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저항 측정에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가 테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형 천장크레인의 횡행 모터축에 주로 사용하는 축이음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플렉시블 커플링
  2. 체인 커플링
  3. 유니버셜 조인트
  4. 머프 커플링
(정답률: 33%)
  • 소형 천장크레인의 횡행 모터축은 작은 직경과 높은 회전수를 가지므로, 작은 직경의 축과 연결할 수 있는 체인 커플링이 가장 적절합니다. 체인 커플링은 작은 직경의 축에도 적용 가능하며, 높은 회전수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체인 커플링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소형 천장크레인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크레인용 와이어로프에 심강을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인장하중을 증가시킨다.
  2. 스트랜드의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한다.
  3.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한다.
  4. 부식을 방지한다.
(정답률: 47%)
  • 크레인용 와이어로프에 심강을 사용하는 목적은 부식을 방지하고 소선끼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인장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은 심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체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미끄럼이 없이 일정한 속도비를 얻을 수 있다.
  2. 내유·내습성이 크다.
  3. 내열성이 좋다.
  4. 충격에는 매우 약한다.
(정답률: 81%)
  • 체인은 내열성이 좋고 내유·내습성이 크며 미끄럼이 없이 일정한 속도비를 얻을 수 있지만, 충격에는 매우 약합니다. 이는 체인이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체인이 갑자기 큰 충격을 받으면 파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크레인에서 줄걸이 와이어로프를 이용해 화물을 양중할 때 줄걸이 각도에 따라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이 다르다. 줄걸이 로프에 가장 장력이 작게 걸리는 각도는?

  1. 30°
  2. 60°
  3. 90°
  4. 120°
(정답률: 68%)
  • 줄걸이의 각도가 작을수록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이 작아지기 때문에 가장 장력이 작게 걸리는 각도는 30°이다. 이는 삼각함수의 성질에 따라 각도가 작을수록 사인값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30°일 때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하중이 가장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강괴를 들어 올릴 때 중량은? (단, 비중 7.85)

  1. 17,663kg
  2. 2,250kg
  3. 9,000kg
  4. 26,493kg
(정답률: 64%)
  • 강괴의 부피를 계산하면, 길이 3m, 높이 0.3m, 너비 0.2m 이므로 0.018m³ 이 됩니다. 이 부피에 비중 7.85를 곱하면 중량이 나오는데, 계산하면 0.018m³ x 7.85 x 1000kg/m³ = 133.83kg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라고 하였으므로, 반올림하여 17,663kg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663k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와이어의 절단부분 양끝이 되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는 철사로 묶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시징
  2. 킹크
  3. 스트랜드
  4. 파워로크
(정답률: 66%)
  • 와이어의 절단부분 양끝이 되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는 철사로 묶는 것을 "시징"이라고 합니다. 이는 와이어의 끝을 묶어서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와이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킹크"는 와이어를 굽히는 것을 의미하며, "스트랜드"는 와이어를 여러 개의 작은 철사로 나누어 묶는 것을 말합니다. "파워로크"는 와이어를 강화하는 특수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줄걸이 작업시 섬유벨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취급이 용이하다.
  2. 제작이 간단하며 값이 많이 싸다.
  3. 하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4. 와이어로프나 체인보다 가볍다.
(정답률: 72%)
  • 섬유벨트는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원료 비용이 저렴하여 값이 많이 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신호방법 중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 2~3회 적게 흔들면서 호각을 길게 부는 신호 방법은?

  1. 물건걸기
  2. 정지
  3. 마그넷 붙이기
  4. 기다려라
(정답률: 56%)
  • 이 신호 방법은 "기다려라"를 의미합니다.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 2~3회 적게 흔들면서 호각을 길게 부는 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주의를 끌고 대기하라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이 신호 방법은 기다려라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와이어로프의 직경의 허용차 표시로 맞는 것은?

  1. +7%~-7%
  2. +7%~0%
  3. 0%~7%
  4. 50%
(정답률: 37%)
  • 와이어로프의 직경은 제조과정에서 일정한 허용차를 가지고 생산되기 때문에,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7%~0%"은 와이어로프의 허용차가 최대 +7%까지 허용되지만, 음수인 -7%까지는 허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제품을 선택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와이어로프의 소선의 질변화란?

  1. 로프가 킹크되는 경우
  2. 활차의 로프 홈이 나쁜 경우
  3. 로프가 마모되는 경우
  4. 물리적 원인으로 로프의 표면경화 또는 피로에 의한 변화
(정답률: 70%)
  • 와이어로프는 사용하면서 힘을 받아 변형되는데, 이로 인해 로프의 표면이 경화되거나 피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리적 원인으로 인해 로프의 소선이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체인의 종류에서 매다는 체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숏링크 체인(Short Link Chain)
  2. 롱링크 체인(Long Link Chain)
  3. 스터드링크 체인(Stud Link Chain)
  4. 롤러 체인(Roller Chain)
(정답률: 63%)
  • 롤러 체인은 매다는 체인이 아니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체인으로, 기계나 차량 등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매다는 체인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배터리 전해액처럼 강산, 알칼리 등의 액체를 취급할 때 가장 적합한 복장은?

  1. 연장갑 착용
  2. 면직으로 만든 옷
  3. 나일론으로 만든 옷
  4. 고무로 만든 옷
(정답률: 83%)
  • 고무로 만든 옷은 강산, 알칼리 등의 액체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배터리 전해액과 같은 액체를 다룰 때 가장 적합한 복장입니다. 연장갑 착용은 손과 팔을 보호하지만 옷 전체를 보호하지는 않으며, 면직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옷은 액체에 대한 내성이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업안전보건에서 안전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위험표지
  2. 경고표지
  3. 지시표지
  4. 금지표지
(정답률: 43%)
  • 위험표지는 위험한 작업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표지로, 작업자들에게 위험성을 경고하고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에서 안전표지의 종류 중에서도 위험표지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보호안경을 끼고 작업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용접 작업시
  2. 그라인더 작업시
  3. 건설기계장비 일상점검 작업시
  4. 클러치 탈부착 작업시
(정답률: 73%)
  • 건설기계장비 일상점검 작업시는 보호안경을 끼고 작업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일상점검 작업시에는 보호안경보다는 다른 보호장비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호안경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패너 작업시 유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스패너의 입이 너트의 치수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2. 스패너의 자루에 파이프를 이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스패너와 너트 사이에는 쐐기를 넣고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4. 너트에 스패너를 깊이 물리도록 하여 조금씩 앞으로 당기는 식으로 풀고 조인다.
(정답률: 80%)
  • "스패너와 너트 사이에는 쐐기를 넣고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쐐기를 넣으면 스패너와 너트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너트를 빠르고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연성 액체, 유류 등 연소 후에 재가 거의 없는 화재는 무슨 급별 화재인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69%)
  • 가연성 액체, 유류 등 연소 후에 재가 거의 없는 화재는 B급 화재입니다. 이는 연소 후 재가 거의 없기 때문에 화재 후처리가 쉽고, 화재 발생 시 물 대신 소화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B급 화재는 A급 화재보다는 낮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산업재해의 통상적인 분류 중 통계적 분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사망 : 업무로 인해서 목숨을 잃게 되는 경우
  2. 중경상 : 부상으로 인하여 30일 이상의 노동 상실을 가져온 상해 정도
  3. 경상해 : 부상으로 1일 이상 7일 이하의 노동 상실을 가져온 상해 정도
  4. 무상해 : 사고 응급처치 이하의 상처로 작업에 종사하면서 치료를 받는 상해 정도
(정답률: 64%)
  • 정답은 "중경상 : 부상으로 인하여 30일 이상의 노동 상실을 가져온 상해 정도"가 통계적 분류가 아니라 법적 분류임으로 틀린 것입니다.

    중경상은 부상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일반적으로는 사고로 인해 부상을 입어 30일 이상의 노동 상실을 가져온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피해자의 부상 정도를 파악하고 보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등 스위치가 옥내에 있으면 안 되는 경우는?

  1. 건설기계장비 차고
  2. 절삭유 저장소
  3. 카바이드 저장소
  4. 기계류 저장소
(정답률: 72%)
  • 전등 스위치가 옥내에 있으면 카바이드와 같은 화학물질과 접촉하여 발화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카바이드 저장소와 같은 위험한 물질이 보관되는 곳에서는 전등 스위치를 옥외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머작업시 안전수칙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처리 된 재료는 해머로 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녹이 있는 재료를 작업할 때는 보호안경을 착용하여야 한다.
  3. 자루가 불안정한 것(쐐기가 없는 것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4. 장갑을 끼고 시작은 강하게 점차 약하게 타격한다.
(정답률: 94%)
  • "장갑을 끼고 시작은 강하게 점차 약하게 타격한다."가 틀린 것이다. 해머 작업시에는 강하게 타격하면 재료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약하게 시작하여 점차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운전 및 작업시 안전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레버 조작을 빨리한다.
  2. 장비의 무게는 무시해도 된다.
  3. 작업도구나 적재물이 장애물에 걸려도 동력에 무리가 없으므로 그냥 작업한다.
  4. 장비 승·하차시에는 장비에 장착된 손잡이 및 발판을 사용한다.
(정답률: 92%)
  • 장비 승·하차시에는 장비에 장착된 손잡이 및 발판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손잡이와 발판을 사용하면 작업자는 장비에 안전하게 올라갈 수 있고, 작업 중에도 균형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물품을 운반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벼운 화물은 규정보다 많이 적재하여도 된다.
  2. 안전사고 예방에 가장 유의한다.
  3. 정밀한 물품을 쌓을 때는 상자에 넣도록 한다.
  4. 약하고 가벼운 것을 위에 무거운 것을 밑에 쌓는다.
(정답률: 93%)
  • "가벼운 화물은 규정보다 많이 적재하여도 된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무게 제한은 차량의 안전성을 위해 규정되어 있으며, 이를 초과하면 차량이 불안정해져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게 제한을 준수하여 적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