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4-08)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2012-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천장크레인에서 주권, 보권 등에서 사용하는 권과 방지장치는?

  1. 리미트(Limit)스위치
  2. 오일게이지
  3. 집중그리스펌프
  4. 와이어로프
(정답률: 89%)
  • 천장크레인에서 주권, 보권 등에서 사용하는 권과 방지장치는 리미트(Limit)스위치입니다. 이는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장치로, 크레인이 움직이는 범위를 미리 설정해놓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크레인의 동작을 멈추게 됩니다. 이를 통해 권과 방지장치의 충돌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는 크레인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크레인 거더(girder)의 캠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거더는 동, 정, 상, 하 수평의 각 하중에 견디도록 리머볼트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2. 크레인의 박스 거더는 캠버를 고려하여야 한다.
  3. 캠버는 거더의 중앙에서 최대치가 된다.
  4. 캠버는 하중을 안전하게 들기 위함이며 크레인에 수명에는 관계없다.
(정답률: 78%)
  • 정답은 "캠버는 하중을 안전하게 들기 위함이며 크레인에 수명에는 관계없다."입니다. 캠버는 거더의 중앙에서 최대치가 되며, 크레인의 박스 거더는 캠버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캠버는 하중을 안전하게 들기 위한 요소이므로 크레인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천장크레인 운전 중 리미트 스위치가 할 수 있는 역할은?

  1. 운전 중 비상경고등의 역할
  2. 권상장치 등 각 장치의 운전 중 급출발 및 급제동 장치의 역할
  3. 주행 등 각 장치의 스피드 조절스위치 역할
  4. 권상, 주행, 횡행 등 각 장치의 운동에 대한 과행의 방지하는 역할
(정답률: 80%)
  • 리미트 스위치는 각 장치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여 과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권상, 주행, 횡행 등 각 장치의 운동에 대한 과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상경고등, 급출발 및 급제동 장치, 스피드 조절 스위치 등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권상장치의 동력전달 순서로 맞는 것은?

  1. 전동기→기어감속기→커플링→드럼→와이어로프→훅
  2. 전동기→커플링→드럼→기어감속기→와이어로프→훅
  3. 전동기→커플링→기어감속기→드럼→와이어로프→훅
  4. 전동기→기어감속기→드럼→커플링→와이어로프→훅
(정답률: 58%)
  • 정답은 "전동기→커플링→기어감속기→드럼→와이어로프→훅" 입니다.

    전동기는 권상장치의 동력원으로서, 커플링을 통해 기어감속기와 연결됩니다. 기어감속기는 전동기의 고속 회전을 낮은 속도로 변환하여 드럼에 전달합니다. 드럼은 와이어로프를 감아서 하중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와이어로프는 훅에 연결되어 실제로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브레이크 휠(Brake Wheel)면의 요철이 2mm가 되면 평활하게 다듬어야 한다.
  2. 주행용 브레이크는 오일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트러스트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3. 권상장치의 브레이크는 오일 압상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충격을 완화 시켜준다.
  4. 횡행장치의 브레이크는 스러스트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정답률: 43%)
  • "횡행장치의 브레이크는 스러스트 브레이크를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횡행장치의 브레이크는 오일 압상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권상장치의 브레이크는 오일 압상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충격을 완화 시켜줍니다. 이는 권상장치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오일 압상 브레이크는 압축 공기나 유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브레이크를 누르는 힘에 비해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 제품심사 시 적용하는 과부하방지장치의 하중시험 값으로 적합한 것은?

  1. 정격하중의 100% 하중
  2. 정격하중의 110% 하중
  3. 정격하중의 120% 하중
  4. 정격하중의 125% 하중
(정답률: 80%)
  • 크레인은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제품으로, 과부하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과부하방지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때,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크레인 제품심사 시에 과부하방지장치의 하중시험 값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격하중이란, 크레인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과부하방지장치의 하중시험 값은 정격하중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적절한 여유를 두고 안전성을 고려하여 정격하중의 110% 하중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정격하중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격하중의 110%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권상작업 중 훅의 계속 권상되지 않을 때 우선 점검하여야 할 곳으로 맞는 것은?

  1. 사이렌
  2. 권상 리미트 스위치
  3. 주행 리미트 스위치
  4. 횡행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85%)
  • 권상 작업 중 훅이 계속 권상되지 않을 때는 권상 리미트 스위치를 우선 점검해야 합니다. 이는 훅이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설정된 스위치로, 만약 이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훅이 더 높이 올라가지 못하게 되어 권상 작업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권상 작업 중 문제가 발생하면 권상 리미트 스위치를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크레인에서 사용하는 훅의 일반적인 재질은?

  1. 기계구조용 탄소강
  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3. 용접 구조용 압연강
  4. 리벳용 원형강
(정답률: 80%)
  • 크레인에서 사용하는 훅은 매우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이 필요합니다. 기계구조용 탄소강은 강도와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크레인에서 사용되는 훅의 일반적인 재질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계구조용 탄소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격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훅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 취급 하중
  2. 평상시 주로 사용하는 취급 하중
  3. 훅의 무게를 포함한 취급 하중
  4. 주권과 보권이 표시한 권상능력의 합
(정답률: 76%)
  • 정격하중은 기계나 장비 등이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이 때, 훅의 무게는 기계나 장비의 무게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므로 정격하중에서는 훅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 취급 하중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훅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 취급 하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스러스트 브레이크의 오일 교환주기는 몇 개월인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2개월
(정답률: 64%)
  • 스러스트 브레이크의 오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되고 분해되므로 교환 주기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러스트 브레이크의 오일 교환 주기는 6개월입니다. 이는 오일이 오염되기 전에 교환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천장크레인에서 주행레일의 진직도는 전 주행길이에 걸쳐최대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20㎜ 이내
  2. 10㎜ 이내
  3. 2㎜ 이내
  4. 5㎜ 이내
(정답률: 66%)
  • 천장크레인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기계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행레일의 진행도가 크면 크랜이 움직일 때 불안정하게 흔들리거나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진행도는 최대한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주행레일의 진행도는 전 주행길이에 걸쳐 최대 10㎜ 이내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드럼에 감기는 로프와 드럼과의 각도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홈이 있는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의 방향과 와이어로프의 방향과 각도는 4도 이내가 되어야 한다.
  2. 홈이 없는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는 각도는 2도 이내가 되어야 한다.
  3. 와이어로프가 드럼에 감길 때 또는 역회전으로 감기는 경우에 급격히 꺾이거나 예리한 모서리에 마찰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4.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의 각도는 최대한 꺾이도록 높은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0%)
  • 정답은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의 각도는 최대한 꺾이도록 높은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가 아닙니다.

    와이어로프가 드럼에 감길 때는 각도가 최대한 낮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각도가 낮을수록 와이어로프의 힘이 드럼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의 각도는 최대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자 브레이크의 전자석 부분 과열 원인 중 틀린 것은?

  1. 전원 전합의 강하
  2. 철심이 완전히 흡착하지 않음
  3. 권선의 부분단락
  4. 브레이크 슈(shoe)의 마모
(정답률: 53%)
  • 전자 브레이크의 전자석 부분 과열 원인 중 틀린 것은 "전원 전합의 강하"입니다. 전원 전합의 강하는 전자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전자석 부분 과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브레이크 슈(shoe)의 마모는 전자 브레이크 작동 시 브레이크 슈와 전자석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마찰은 브레이크 슈의 마모를 초래하고, 마모가 심해지면 전자석과 브레이크 슈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전자석 부분이 과열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의 마모는 전자 브레이크의 전자석 부분 과열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크레인 레일에 있어서 30kgf 레일의 표준길이(m)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38%)
  • 크레인 레일의 표준길이는 레일의 단면적과 인장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레일의 인장강도는 30kgf/mm²이며, 표준길이는 6m, 9m, 12m, 15m, 18m, 20m, 24m, 30m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인장강도가 30kgf/mm²인 크레인 레일의 표준길이는 20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크레인의 와이어 드럼 홈 부위의 사용 마모한도는 주철제 드럼의 경우 로프 지름의 몇 % 이내 인가?

  1. 10%
  2. 15%
  3. 18%
  4. 25%
(정답률: 28%)
  • 크레인의 와이어 드럼 홈 부위는 로프가 감겨지는 부분으로, 로프와 드럼 홈 사이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합니다. 이 마모한도는 로프 지름의 일정 비율 이내로 제한됩니다. 주철제 드럼의 경우, 로프 지름의 25% 이내로 마모한도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완충장치(BUFFER)의 종류로서 알맞지 않은 것은?

  1. 유압 BUFFER
  2. 고무 BUFFER
  3. 강철 BUFFER
  4. 스프링 BUFFER
(정답률: 78%)
  • 강철 BUFFER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완충장치로서 알맞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유압, 고무, 스프링 등의 재질로 충격을 완화하거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충장치로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천장크레인의 구조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거더
  2. 새들
  3. 권상장치
  4. 속도감응 조향장치
(정답률: 73%)
  • 천장크레인의 구조에는 거더, 새들, 권상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속도감응 조향장치는 천장크레인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속도감응 조향장치가 천장크레인의 구동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속도감응 조향장치는 차량 등의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속도에 따라 조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차륜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차륜의 재질은 주철, 주강, 특수주강이다.
  2. 천장크레인 차륜은 보통 양 플랜지의 것이 사용된다.
  3. 차륜의 직경은 균일하며 답면 및 플랜지는 열처리가 되어 있다.
  4. 차륜에는 종동륜만 있다.
(정답률: 81%)
  • "차륜에는 종동륜만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차량에는 종동륜과 전동륜이 있습니다. 종동륜은 차량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며, 전동륜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여 차량을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천장크레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휠베이스(wheel base)는 스팬(span) 길의 8배 이상이 되어야 좋다.
  2. 차륜은 구동륜과 종동륜으로 구분한다.
  3. 주행레일 유지 보수시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한다.
  4. 새들(saddle) 양끝에는 주행 완충용 스톱퍼를 설치하여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정답률: 71%)
  • "휠베이스(wheel base)는 스팬(span) 길의 8배 이상이 되어야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 설명은 천장크레인의 안정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휠베이스가 스팬 길이의 8배 이상이 되면 크레인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천장크레인의 3운동이 아닌 것은?

  1. 주행
  2. 회전
  3. 권상
  4. 횡행
(정답률: 85%)
  • 천장크레인은 주행, 권상, 횡행의 3운동을 수행할 수 있지만, 회전은 천장크레인이 아닌 타입의 크레인에서 수행하는 운동입니다. 회전은 크레인의 기둥이나 기중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돌아가는 운동이며, 천장크레인은 이러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천장크레인에서 동력전달시 축의 편차가 있을 때 부적합한 커플링은?

  1. 유니버셜 커플링
  2. 플렉시블 커플링
  3. 플랜지 커플링
  4. 그리드 커플링
(정답률: 33%)
  • 천장크레인에서 동력전달시 축의 편차가 있을 때 부적합한 커플링은 플랜지 커플링입니다. 이는 플랜지 커플링이 다른 커플링에 비해 강력한 정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축의 편차가 크면 커플링 자체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장크레인에서는 축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른 커플링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나사(SCREW) 중 일반기계의 체결용으로 쓰이는 나사는?

  1. 사다리꼴 나사
  2. 톱니 나사
  3. 사각 나사
  4. 삼각 나사
(정답률: 55%)
  • 일반기계의 체결용으로 쓰이는 나사는 삼각 나사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회전력이 강하고 힘이 분산되어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삼각 나사는 제조가 비교적 쉽고 비용이 저렴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동기의 소손 원인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과부하
  2. 절연불량
  3. 베어링 불량
  4. 와이어로프 단선
(정답률: 70%)
  • 와이어로프 단선은 전동기의 소손 원인 중 하나입니다. 와이어로프는 전동기의 회전을 위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에 단선이 발생하면 전기적인 에너지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전동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는 전동기의 과부하, 절연불량, 베어링 불량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 단선"은 전동기의 소손 원인 중 하나이며,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정시간을 두고 다음 동작으로 이행할 때에 사용하는 것은?

  1. 무전압 보호장치
  2. 타임 릴레이
  3. 역상보호 계전기
  4. 전자 접촉기
(정답률: 77%)
  • 타임 릴레이는 일정 시간을 두고 다음 동작으로 이행할 때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적인 보호나 연결을 위한 장치들이지만, 타임 릴레이는 시간 지연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타임 릴레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감전 또는 감전 예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감전의 피해정도는 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에 따라 다르다.
  2. 정전시나 점검수리에는 반드시 전원스위치를 올린다.
  3. 50mA 이상의 전류가 인체에 흐르면 상당히 위험하다.
  4. 건조한 옷, 고무장갑 등을 착용하면 좋다.
(정답률: 82%)
  • 정전시나 점검수리에는 반드시 전원스위치를 올리는 이유는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를 올려 전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메사테스터는 무엇을 측정하는 것인가?

  1. 전기 전도도
  2. 전력량
  3. 전압
  4. 전기 절연저항
(정답률: 67%)
  • 메사테스터는 전기 절연저항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체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적인 측정과 관련이 있지만, 전기 절연저항은 전기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집전장치에서 불꽃(Spark) 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접촉점에서 흐르는 전류가 정격 이상일 때
  2. 접촉점간의 전압이 높을 때
  3. 접촉면의 거칠 때
  4. 직류보다 교류에서 많다.
(정답률: 80%)
  • 직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접촉점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적습니다. 하지만 교류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접촉점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더 많습니다. 따라서 "직류보다 교류에서 많다."가 집전장치에서 스파크 발생의 원인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잇수가 20인 작은 기어와 500rpm으로 회전할 때 이와 맞물린 큰 기어의 회전수를 100rpm으로 하려면 큰 기어의 잇수는?

  1. 120
  2. 100
  3. 800
  4. 60
(정답률: 60%)
  • 잇수가 작은 기어와 큰 기어 사이에서는 일정하므로, 작은 기어의 회전수와 큰 기어의 회전수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작은 기어의 회전수가 500rpm에서 100rpm으로 감소하면, 큰 기어의 회전수는 5배 증가하여 20 × 5 = 1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천장크레인의 전원공급은 트롤리선으로 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행용 트롤리선은 약 6m 간격마다 애자로 지지한다.
  2. 경동원형의 트롤리선은 약 10m 간격마다 애자로 지지한다.
  3. 트롤리선의 재질은 포금, 카본, 철 등이 사용된다.
  4. 트롤리선의 종류는 경동원형, 앵글, 레일, 홈붙이 트롤리선 등이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주행용 트롤리선은 약 6m 간격마다 애자로 지지한다."입니다.

    경동원형의 트롤리선은 약 10m 간격마다 애자로 지지하는 이유는, 천장크레인의 이동거리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간격을 넓게 두어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간격을 넓게 두면 트롤리선의 무게가 가볍고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크래브를 급정지할 경우의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물의 횡방향으로 흔들리며 로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2. 충격을 받아 크레인에 무리가 간다.
  3. 주행차륜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크래브가 충격을 받는다.
(정답률: 65%)
  • 크래브는 주행차륜과는 별개로 작동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크래브를 급정지할 경우 주행차륜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행차륜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운전자 안전수칙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운반물이 흔들리거나 회전하는 상태로 운반해서는 안된다.
  2. 운반물은 작업자 상부로 운반할 수 없으며 직각운전을 원칙으로 한다.
  3. 운전석을 이석할 때는 크레인을 정지된 그 자리에 정지시킨 후 훅을 최대한 내려놓는다.
  4. 옥외 크레인은 강풍이 불어올 경우 운전 및 옥외 점검정비를 제한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운전석을 이석할 때는 크레인을 정지된 그 자리에 정지시킨 후 훅을 최대한 내려놓는다." 이다. 이유는 운전석을 이동시키는 동안 크레인이 움직이면 운반물이 흔들리거나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을 정지된 그 자리에 먼저 정지시키고 훅을 최대한 내려놓아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축의 원주를 4~20개로 등분하여 키를 깎아 붙인 것과 같이 만들어 단독 키보다 훨씬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내구력이 큰 키는?

  1. 성크 키
  2. 접선 키
  3. 스플라인
  4. 안장 키
(정답률: 55%)
  • 스플라인은 축의 원주를 등분하여 만든 강한 뼈대로, 이를 이용해 키를 깎아 붙인 것은 단독 키보다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되며 내구력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스플라인은 축의 원주를 등분하여 만든 강한 뼈대로, 키를 깎아 붙인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단독 키보다 더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내구력도 높은 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계기는?

  1. 전류테스터
  2. 저항측정기
  3. 메가테스터
  4. 멀티테스터
(정답률: 55%)
  •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멀티테스터가 적합합니다. 멀티테스터는 전압, 전류, 저항 등 다양한 값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계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로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천장크레인으로 물건을 운반할 때 주의할 점으로 틀린 것은?

  1. 경우에 따라서 정격하중 무게보다 약간 초과할 수 있다.
  2.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3. 로프의 안전여부를 점검한다.
  4. 운반 중 작업자의 위치에 주의한다.
(정답률: 86%)
  • "경우에 따라서 정격하중 무게보다 약간 초과할 수 있다."는 천장크레인의 사용 환경과 적재물의 무게, 크기, 형태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격하중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안전하게 운반해야 하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약간의 초과가 허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도 크레인의 안전성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가능한한 정격하중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권선의 변환수리를 행하였을 때 잘못해서 계자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결선하면 역전될 위험이 있다. 이 경우 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는?

  1. 칼날형 개폐기
  2. 타임 릴레이
  3. 역상 보호 계전기
  4. 무전압 보호장치
(정답률: 80%)
  • 역상 보호 계전기는 전원 회로의 상태를 감시하고, 회전 방향이 반대로 결선되어 역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권선의 변환수리를 잘못하여 계자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결선되어 역상이 발생할 경우, 역상 보호 계전기가 회로를 차단시켜 안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교류 전자 브레이크(A.C magnetic brake)는 제동토크가 무여자시의 스프링과 가동 철심의 자체중량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으로 브레이크 드럼을 가압하여 제동하는 방식이다. 라이닝 두께가 몇 % 감소되면 스트로크를 조정해야 하는가?

  1. 10~20%
  2. 20~30%
  3. 30~40%
  4. 40~50%
(정답률: 65%)
  • 교류 전자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라이닝 사이에 압력을 발생시켜 제동하는데, 라이닝 두께가 감소하면 브레이크 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압력이 더욱 커져서 제동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라이닝 두께가 20~30% 감소하면 스트로크를 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동기 회전수를 구하는 계산식은? (단, N : 회전수, f : 주파수, P : 극수, s : slip)

(정답률: 65%)
  • 전동기 회전수를 구하는 계산식은 N = (120f) / P(1-s) 입니다.

    이유는 전동기의 회전수는 주파수와 극수에 비례하고, 슬립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계산식이 도출되었습니다.

    보기 중에서는 이 계산식을 나타내는 "" 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오일 교환 시의 주의사항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구름 베어링은 경유 또는 백등유로 청소 후 압축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한다.
  2. 구름 베어링 하우징의 엔진오일 충진량은 1/2~3/4 정도가 좋다.
  3. 개방기어에는 경유로 잘 닦은 후 새기름을 바른다.
  4. 기어박스인 경우 경유로 잘 닦은 후 건조 시킨 후 새 기름을 주입한다.
(정답률: 54%)
  • 정답: "구름 베어링 하우징의 엔진오일 충진량은 1/2~3/4 정도가 좋다."

    이유: 구름 베어링은 오일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면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충전량을 적당히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충분히 많은 양의 오일을 넣으면 구름 베어링 내부에서 오일이 과다하게 흐르면서 오일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당한 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베어링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속도계수가 윤활제의 한계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
  2. 베어링 기본하중에 비하여 사용하중이 너무 큰 경우
  3. 윤활제의 점성이 낮은 경우
  4. 베어링의 조립 또는 베어링하우징 제작 불량인 경우
(정답률: 59%)
  • 베어링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은 주로 마찰로 인한 열 발생입니다. 따라서 윤활제의 점성이 낮을 경우에는 마찰을 줄이는 데에 제한이 있어서 베어링의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다른 보기와 달리 베어링의 사용 조건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온도 상승과 관계없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역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행로상 및 크레인 주위에 장애물 유무 여부
  2. 급유 상태
  3. 볼트, 너트 및 엔드 플레이트의 이완 여부
  4. 차륜의 마모 및 진동, 소음 상태
(정답률: 54%)
  • 하역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은 안전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차륜의 마모 및 진동, 소음 상태"입니다. 이는 작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륜의 마모 및 진동, 소음 상태가 좋지 않으면 작업 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그림에서 240톤의 부하물을 들어 올리려 할 때 당기는 힘은 몇 톤인가? (단, 마찰계수 및 각종효율은 무시한다.)

  1. 60
  2. 80
  3. 210
  4. 240
(정답률: 67%)
  • 부하물의 무게는 240톤이므로, 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최소한 240톤의 힘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울기가 30도인 경사면을 올라가는 경우, 부하물의 무게의 세로 방향 성분은 240 × sin30 = 120톤이므로, 이만큼의 힘은 이미 경사면에 의해 상쇄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로 필요한 당기는 힘은 240 - 120 = 120톤이다. 그리고 먼저 당기는 로프는 부하물의 무게와 같은 힘을 받으므로, 이 로프에 작용하는 힘은 120톤이다. 그러나 이 힘은 A 지점에서 2등분되어 B와 C 지점에서 각각 60톤씩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권상용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는 방법 중 맞지 않는 것은?

  1. 안전계수가 5 이상인 와이어로프를 사용한다.
  2. 로프를 드럼에서 최대로 풀었을 때 최소 1가닥은 남아야한다.
  3. 와이어로프 끝은 시징(Seizing)하여 풀리지 않도록 한다.
  4. 로프가 벗겨지지 않게 누르고 볼트로 조인 것이 로프 클램프(Rope Clamp)이다.
(정답률: 75%)
  • "로프가 벗겨지지 않게 누르고 볼트로 조인 것이 로프 클램프(Rope Clamp)이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와이어로프를 드럼에서 최대로 풀었을 때 최소 1가닥은 남겨야 하는 이유는 와이어로프가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와이어로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와이어로프의 꼬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보통 Z꼬임
  2. 보통 S꼬임
  3. 보통 Y꼬임
  4. 랭Z 꼬임
(정답률: 74%)
  • 보통 Y꼬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와이어로프의 꼬임 종류는 Z꼬임, S꼬임, 랭Z 꼬임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와이어로프의 단말 체결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심블(Thimble)
  2. 소켓(Socket)
  3. 웨지(Wedge)
  4. 클립(Clip)
(정답률: 59%)
  • 소켓은 와이어로프의 단말을 끝까지 삽입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켓은 와이어로프의 단면적을 줄이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로프의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켓은 와이어로프의 단말 체결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매다는 체인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마모
  2. 변형
  3. 균열
  4. 킹크
(정답률: 62%)
  • 매다는 체인에서 점검해야 할 사항은 마모, 변형, 균열이지만, "킹크"는 체인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긴 환봉의 줄걸이 작업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1줄걸이
  2. 2줄걸이
  3. 3줄걸이
  4. 4줄걸이
(정답률: 73%)
  • 긴 환봉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지지력이 필요합니다. 1줄걸이는 무게를 지탱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3줄걸이나 4줄걸이는 작업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2줄걸이가 가장 바람직한 선택입니다. 2줄걸이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면서도 작업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와이어로프의 규격의 규정된 한국산업표준은?

  1. KSD 3514
  2. KSH 3514
  3. KSW 3514
  4. KSK 3514
(정답률: 72%)
  • KSD는 한국산업표준의 약어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격을 정하는 기관인 한국표준협회에서 발행하는 표준규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규격을 나타내는 표준규격은 KSD 3514입니다. KSH, KSW, KSK는 모두 한국산업표준을 나타내는 약어이지만, 와이어로프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제품들의 규격을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8톤의 부하물을 4 줄 걸이로 하여 각도 60°로 매달았을 때 한쪽 줄에 걸리는 하중은 약 몇 톤인가?

  1. 0.69
  2. 1.23
  3. 1.39
  4. 1.46
(정답률: 64%)
  • 4 줄 걸이로 매달았을 때, 부하물의 중량은 각 줄에 고르게 분산되므로 한 줄에 걸리는 하중은 4.8톤/4 줄 = 1.2톤입니다.

    하지만 4 줄 걸이를 60° 각도로 매달았을 때, 실제로는 각 줄에 걸리는 하중이 다릅니다. 이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도 60°일 때, 삼각비는 높이/밑변 = √3/2 입니다. 따라서 부하물의 중심에서 각 줄까지의 높이는 1.2톤 x √3/2 = 1.039톤입니다.

    하지만 한 줄에 걸리는 하중은 부하물의 중심에서 각 줄까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부하물의 중심에서 한 줄까지의 거리는 4 줄 걸이를 60°로 매달았을 때, 밑변의 길이인 1.2톤입니다. 따라서 한 줄에 걸리는 하중은 1.039톤/1.2톤 = 0.865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부하물의 중심에서 한 줄까지의 거리만 고려했을 때의 값이므로, 실제로는 각 줄에 걸리는 하중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 값을 2로 나누어 각 줄에 걸리는 하중을 구해야 합니다.

    0.865/2 = 0.4325

    따라서 한쪽 줄에 걸리는 하중은 1.2톤 x 0.4325 = 0.519톤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한쪽 줄에 걸리는 하중이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39로 반올림하여 정답으로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운전자가 경보기를 울리거나 한쪽 손의 주먹을 다른 손의 손바닥으로 2~3회 두드릴 경우의 수신호의 내용은?

  1. 신호불명
  2. 이상발생
  3. 기다려라
  4. 물건걸기
(정답률: 65%)
  • 이상발생은 정확한 수신호가 전달되지 않았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경보기를 울리거나 손을 두드리는 것은 긴급 상황에서의 신호로 사용되는데, 이상발생이라는 신호가 나온다는 것은 긴급 상황에서도 정확한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상발생은 신호불명과 마찬가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와이어로프로 줄걸이 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진 예리한 물건을 이송할 때는 로프가 손상되지 않도록 다른 물질을 대어 로프를 보호한다.
  2. 둥근 물건은 2중 걸이를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3. 줄걸이 각도는 60° 이내로 하며 30~45°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4. 주권과 보권을 동시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47%)
  • "주권과 보권을 동시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주권과 보권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면 로프가 뒤틀리거나 부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권과 보권은 따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전을 위하여 눈으로 보고 손으로 가리키고, 입으로 복창하여 귀로 듣고, 머리로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지적확인의 특성은?

  1. 의식을 강화한다.
  2. 지식수준을 높인다.
  3. 안전태도를 형성한다.
  4. 육체적 기능수준을 높인다.
(정답률: 60%)
  • 안전을 위한 지적확인은 눈, 손, 입, 귀, 머리를 모두 활용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대처하는 것이므로, 이는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고 안전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의식을 강화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업안전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외과적인 상처만을 말한다.
  2. 사고가 없는 상태를 뜻한다.
  3. 위험이 없는 상태를 뜻한다.
  4. 직업병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2%)
  • "외과적인 상처만을 말한다."는 산업안전의 의미를 잘못 설명한 것입니다. 산업안전은 사고나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작업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외과적인 상처만을 말한다."는 산업안전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화 설비 선택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의 성질
  2. 작업자의 성격
  3. 화재의 성질
  4. 작업자의 환경
(정답률: 77%)
  • 소화 설비 선택은 작업의 성질, 화재의 성질, 작업자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야 하지만, 작업자의 성격은 소화 설비 선택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성격은 이 문제에서 선택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운반 시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1. 운반차는 규정속도를 지킬 것
  2. 운반시 시야를 가리지 않을 것
  3. 승용석이 없는 운반차에는 승차하지 말 것
  4. 긴 물건에는 중간에 표지를 단 후 운반할 것
(정답률: 60%)
  • "긴 물건에는 중간에 표지를 단 후 운반할 것"은 틀린 것이 아니며, 이는 긴 물건이나 높은 물건을 운반할 때 안전을 위해 다른 운전자들이 물건을 인지하고 피할 수 있도록 중간에 표지를 달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다른 차량과의 충돌이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계설비에서 위험점 방호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격리형 방호장치
  2. 덮개형 방호장치
  3. 기능적 방호장치
  4. 접근 거부형 방호장치
(정답률: 56%)
  • 기능적 방호장치는 위험점을 감지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는 방호장치입니다. 대신 기계나 설비의 작동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위험점 방호를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소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열량이 적은 것일수록 타기 쉽다.
  2. 산화되기 쉬운 것일수록 타기 쉽다.
  3. 산소와의 접촉면이 클수록 타기 쉽다.
  4. 열전도율이 적은 것일수록 타기 쉽다.
(정답률: 42%)
  • "발열량이 적은 것일수록 타기 쉽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발열량이 적은 물질은 연소 반응에서 생성되는 열이 적기 때문에 연소가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입니다. 따라서 발열량이 많은 물질일수록 타기 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안전관리 측면에서 수공구로 인한 재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잘못된 공구 선택
  2. 공구의 수량 파악
  3. 공구의 점검 소홀
  4. 사용법의 미 숙지
(정답률: 78%)
  • 공구의 수량 파악은 안전관리 측면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구의 선택, 점검, 사용법 등과 관련된 요소들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관리에 필수적인 요소들입니다. 하지만 공구의 수량 파악은 단순히 재고 관리나 사용 가능한 공구의 수를 파악하는 것으로,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구의 수량 파악은 안전관리 측면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낙하, 비래, 추락, 감전으로부터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여야 할 안전모는?

  1. A형
  2. BC형
  3. ABC형
  4. ABE형
(정답률: 61%)
  • ABE형 안전모는 낙하, 비래, 추락, 감전 등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종합적인 안전모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A형은 감전 위험에 대한 보호가 없고, BC형은 낙하, 비래, 추락 위험에 대한 보호가 없습니다. ABC형은 낙하, 비래, 추락 위험에 대한 보호는 있지만 감전 위험에 대한 보호가 없습니다. 따라서 ABE형 안전모가 가장 종합적인 보호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업안전∙보전표지의 분류 명칭이 아닌 것은?

  1. 금지표지
  2. 경고표지
  3. 통제표지
  4. 안내표지
(정답률: 48%)
  • 통제표지는 특정 구역이나 장비, 기계 등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통제하는 표지이며, 다른 세 가지는 각각 금지, 경고, 안내를 나타내는 표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패너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스패너를 해머 대신 사용한다.
  2. 스패너의 규격이 너트 규격보다 큰 것을 사용한다.
  3. 너트에 스패너를 올바르게 끼우고 앞으로 당기면서 사용한다.
  4. 스패너의 자루에 파이프를 넣어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5%)
  • 너트에 스패너를 올바르게 끼우고 앞으로 당기면서 사용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스패너가 너트와 일치하는 크기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너트를 꼭지점으로 잡아주고 회전시키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스패너를 해머 대신 사용하는 것은 스패너와 해머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사용 방법이 아닙니다. 스패너의 규격이 너트 규격보다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은 너트를 손상시키거나 너트와 스패너가 제대로 맞지 않아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스패너의 자루에 파이프를 넣어 지렛대 역할을 하도록하여 사용하는 것은 스패너를 손상시키거나 작업을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