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01)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4-02-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입구 단면적이 8㎝2, 출구 단면적은 16㎝2인 관의 입구 속도가 10 m/s 인 경우 출구에서의 속도는 몇 m/s 인가? (단, 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이다.)

  1. 2
  2. 5
  3. 6
  4. 10
(정답률: 74%)
  •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유체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량은 같습니다. 따라서, 유체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속은 역수 관계에 있습니다.

    즉, 입구에서의 속도는 출구에서의 속도보다 2배 느리므로, 출구에서의 속도는 10 ÷ 2 = 5 m/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헬리콥터에 리드-래그 힌지를 장착하는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동적인 불균형을 제거한다.
  2. 정적인 균형을 유지한다.
  3. 기하학적 불평형을 제거한다.
  4. 회전날개 깃끝에 발생되는 굽힘모멘트를 제거한다.
(정답률: 68%)
  • 리드-래그 힌지는 회전날개의 리드-래그 모멘트를 제거하여 기하학적 불평형을 제거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 밀도와 온도, 압력은 어떻게 변하는가?

  1. 밀도와 온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2. 밀도는 증가하고 온도와 압력은 감소한다.
  3. 밀도와 압력은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한다.
  4.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77%)
  •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 분자들이 서로 멀어지게 되어 밀도가 감소합니다. 또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온도도 감소합니다. 따라서, 밀도와 온도가 모두 감소하게 됩니다. 압력은 공기 분자들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 분자들의 수가 적어져 압력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 ) 안에 알맞는 용어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난류 - 층류 - 박리 - 임계
  2. 층류 - 난류 - 임계 - 박리
  3. 층류 - 난류 - 천이 - 임계
  4. 난류 - 층류 - 천이 - 임계
(정답률: 86%)
  • 주어진 그림은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유동도(diagram)입니다.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입니다.

    먼저,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는 것은 "난류"입니다. 난류는 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불규칙한 운동으로, 유체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일어납니다.

    다음으로는 "층류"가 일어납니다. 층류는 유체 내부에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층(layer)들이 서로 마주치면서 일어나는 운동입니다. 이 때, 속도가 느린 층은 빠른 층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빠른 층은 느린 층 아래로 내려가려고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천이"가 일어납니다. 천이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서 속도가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이 서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이는 층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임계"가 일어납니다. 임계는 유체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다가 어느 정도 이상의 속도로 흐르게 되면, 유체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하면서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는 "난류 - 층류 - 천이 - 임계" 순서로 일어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날개의 길이가 40m 이고 시위의 길이가 2m 이며 면적이 80m2 일때, 이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얼마인가?

  1. 40
  2. 30
  3. 20
  4. 10
(정답률: 79%)
  •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날개의 길이를 시위의 길이로 나눈 값의 제곱근이면 됩니다. 즉, (40/2)^0.5 = 20 이므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중량이 2500㎏, 날개의 면적이 80m2, 지상에서의 실속속도가 180㎞/h 이다. 이 비행기의 최대 양력계수는 얼마인가? (단, 공기밀도는 1/8 ㎏ㆍS2/m4)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40%)
  •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1/2 x 공기밀도 x 날개면적 x 실속속도2 x 양력계수

    여기서 L은 양력이고, 공기밀도, 날개면적, 실속속도는 문제에서 주어졌다. 따라서 양력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L을 최대로 만드는 양력계수를 찾아야 한다.

    L을 최대로 만드는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양력계수 = 2L / (공기밀도 x 날개면적 x 실속속도2)

    따라서, 양력계수 = 2 x L / (1/8 x 80 x 1802) = 0.2

    즉, 최대 양력계수는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선회비행 중 작용하는 원심력은? (단, W : 비행기무게, Vt :선회속도 R : 선회반경, D :저항)

(정답률: 43%)
  • 선회비행 중 작용하는 원심력은 "" 입니다. 이유는 원심력은 질량과 속도, 반경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즉, 비행기의 무게(W)와 저항(D)은 원심력과는 무관하며, 선회속도(Vt)와 선회반경(R)이 원심력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부조종면은 어느 것인가?

  1. 도움날개(aileron)
  2. 승강키(elevator)
  3. 플랩(flap)
  4. 방향키(rudder)
(정답률: 94%)
  • 부조종면은 비행기의 고도와 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입니다. 이 중에서 플랩은 날개의 후면에 위치하며, 비행기의 고도와 속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플랩은 날개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날개의 양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비행기의 고도와 속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부조종면 중에서 플랩이 부조종면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프리즈 밸런스(frise balance)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조종면의 앞전을 길게 하여 조종력을 경감시키는 장치
  2. 연동되는 도움날개에서 발생되는 힌지 모멘트가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조종력을 경감
  3. 조종면의 힌지 모멘트를 감소시켜서 조종력을 0 으로 조정하는 장치
  4. 밸런스 역할을 하는 조종면을 플랩의 일부분에 집중시킨 장치
(정답률: 47%)
  • 프리즈 밸런스는 연동되는 도움날개에서 발생되는 힌지 모멘트가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조종력을 경감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도움날개의 움직임이 조종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발생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서 조종면의 움직임을 더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콥터 날개 깃에 충격 실속이 발생하는 마하수는 얼마인가?

  1. M=0.3
  2. M=0.5
  3. M=0.7
  4. M=1.0
(정답률: 62%)
  • 마하수는 비행체가 비행 중에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속도가 음속(마하수 1.0)일 때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 날개 깃에 충격 실속이 발생하는 경우, 마하수는 최소한 1.0 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M=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여유마력과 상승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여유 마력이 클수록 상승율은 나빠진다.
  2. 여유 마력이 작을수록 상승률은 좋아진다.
  3. 여유 마력과 상승률은 아무 관계가 없다.
  4. 여유 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좋아진다.
(정답률: 87%)
  • 정답: 여유 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좋아진다.

    여유 마력이란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자금 중에서 투자에 사용하지 않은 금액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이 불황이나 금리 상승 등의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하는 자금으로, 여유 마력이 클수록 기업은 위험에 대한 대비가 가능해지며, 새로운 사업에 대한 투자도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여유 마력이 클수록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상승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를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인간이 탑승하여 공중을 비행할 수 있는 기기의 총칭이다. 공기보다 가벼운 것으로서는 기구, 비행선 등이 있으며, 공기보다 무거운 것으로는 글라이더 등이 있다.
  2. 글라이더를 포함하며, 공기보다 무거운 모든 항공기를 총칭한다.
  3. 동력장치를 가지고 있는 일반 항공기 및 회전익 항공기와 활공기 등을 포함한다.
  4. 추진장치와 고정된 날개를 가지고, 공기의 동적작용에 의한 양력에 의해 중량을 지탱하여 나는 항공기를 말한다.
(정답률: 63%)
  • 비행기는 추진장치와 고정된 날개를 가지고, 공기의 동적작용에 의한 양력에 의해 중량을 지탱하여 나는 항공기를 말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원리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항력발산마하수를 높게하기 위한 방법중 틀린 것은?

  1. 날개 표면에서의 속도 증가를 줄인다.
  2. 날개에 뒤젖힘각을 준다.
  3.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를 사용한다.
  4. 경계층을 제어한다.
(정답률: 50%)
  •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를 사용하는 것은 항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경계층을 더 잘 붙잡아 항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짧게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착륙 시 무게를 가볍게 한다.
  2. 접지속도를 크게 한다.
  3. 착륙 중 양력을 작게 한다.
  4. 착륙 중 항력을 크게 한다.
(정답률: 74%)
  •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짧게하기 위한 조건 중에서 접지속도를 크게 한다는 것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 바퀴와 바닥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더 빠르게 멈출 수 있으므로 착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조건들은 착륙 중 비행기의 무게, 양력, 항력 등을 조절하여 착륙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가 수평비행이나 급강하로 속도를 증가하여 천음속 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한쪽 날개가 충격실속을 일으켜서 갑자기 양력을 상실하여 급격한 옆놀이를 일으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턱 언더(Tuck under)
  2. 날개 드롭(Wing drop)
  3. 피치 업(Pitch up)
  4. 디프 실속(Deep stall)
(정답률: 68%)
  • 비행기가 천음속 영역에 도달하면 공기의 흐름이 날개의 한쪽에 더 집중되어 그 쪽 날개가 더 많은 양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는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를 날개 드롭(Wing drop)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의 오버홀은 어느 정비방식에 속하는가?

  1. 신뢰성 정비
  2. 상태 정비
  3. 시한성 정비
  4. 감항성 정비
(정답률: 66%)
  • 항공기의 오버홀은 시한성 정비에 속합니다. 이는 항공기 제조사에서 정한 일정 시간 또는 비행 시간이 지난 후에 수행하는 정기적인 정비로,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오버홀은 엔진, 주요 부품 및 시스템 등을 철저히 점검하고 교체 또는 수리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감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감을 바이스에 고정시켜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바이스의 종류는?

  1. V홈 바이스조
  2. 샤핑 바이스
  3. 클램프 바
  4. 핸들 바이스
(정답률: 76%)
  • 일감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야 합니다. 이때 샤핑 바이스는 일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바이스입니다. 샤핑 바이스는 일감을 가공할 때 필요한 각도와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일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감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샤핑 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블록 게이지 측정작업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검사용은 B급(1급)등급을 이용한다.
  2. 표준측정온도는 15° 정도이다.
  3. 블록 게이지의 측정력은 접촉면적과는 관계 없다.
  4. 블록 게이지를 다룰때는 손바닥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여러번 마찰시켜서 밀착시킨다.
(정답률: 65%)
  • 블록 게이지는 표준화된 길이 측정 도구로, 정밀도와 측정 범위에 따라 A급, B급, C급 등급으로 구분된다. 검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B급(1급) 등급을 이용한다. 이는 B급이 일반적인 측정에 적합하며, 1급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검사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게이지는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해 B급(1급) 등급을 이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볼트(BOLT)의 부품번호(PARTS NO)가 AN3DD5A에서 3은 무엇을 뜻하는가?

  1. BOLT의 길이가 3/16인치 이다.
  2. BOLT의 직경이 3/8인치 이다.
  3. BOLT의 길이가 3/8인치 이다.
  4. BOLT의 직경이 3/16인치 이다.
(정답률: 56%)
  • 3은 볼트의 직경이 3/16인치를 뜻한다. AN3DD5A에서 AN은 볼트의 규격을 나타내는 코드이고, 3은 직경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DD는 드릴 사이즈를 나타내며, 5는 길이를 나타낸다. A는 헤드 타입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따라서 3은 볼트의 직경이 3/16인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1합금 RIVET 중 황색은?

  1. 크롬산아연으로 보호도장을 한 것이다.
  2. 양극처리를 한것이다.
  3. 금속도료를 도장한 것이다.
  4. 니켈, 마그네슘선으로 보호도장된 것이다.
(정답률: 65%)
  • A1합금 RIVET 중 황색은 "크롬산아연으로 보호도장을 한 것"입니다. 이는 크롬산아연 도장이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양극처리, 금속도료 도장, 니켈, 마그네슘선으로 보호도장하는 방법은 A1합금 RIVET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자력선이 가장 쉽게 통과하는 것은?

  1. 구리
  2. 알루미늄
  3. 티타늄
(정답률: 62%)
  • 자력선은 금속 속에서 가장 쉽게 통과합니다. 이는 금속의 전자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금속은 외부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해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력선이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철은 전자 해박 구조가 가장 잘 형성되어 있어 자력선이 가장 쉽게 통과하는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형광침투 검사에서 현상제를 사용하는 주 목적은?

  1. 침투제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2. 유화제의 잔량을 흡수하기 위해
  3. 결함속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
  4.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해
(정답률: 78%)
  • 형광침투 검사에서 현상제를 사용하는 주 목적은 결함속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현상제는 결함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기 때문에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고음만 차음할 수 있는 귀마개는 몇 종 인가?

  1. 제 1종
  2. 제 2종
  3. 제 3종
  4. 제 4종
(정답률: 55%)
  • 고음만 차단하는 귀마개는 제 2종 귀마개입니다. 제 1종 귀마개는 낮은 주파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며, 제 3종 귀마개는 중간 주파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제 4종 귀마개는 모든 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일상적인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음만 차단하는 귀마개는 제 2종 귀마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에 작동유를 보급할 때 주의사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한번 사용한 작동유는 정제하여 재사용한다.
  2. 작동유는 2종류 이상의 작동유를 혼합해서 사용한다.
  3. 보급을 하고 남는 작동유는 다음번 보급에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4. 한번 작동유를 보급하면 1000시간내에는 다시 보급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83%)
  • 보급한 작동유가 오염되거나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작동유를 계속해서 재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안전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급 후 남은 작동유는 새로운 보급 시에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비행장에 설치된 시설물, 장비 및 각종 기기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색채 표지로 구분한다. 인화성 물질이나 폭발성 액체 및 폭발물 등에 칠하는 안전색채는 어느 것인가?

  1. 노란색
  2. 파란색
  3. 녹색
  4. 붉은색
(정답률: 84%)
  • 인화성 물질이나 폭발성 액체 및 폭발물 등은 위험한 물질로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작업자들이 쉽게 인식하고 조심할 수 있도록 한다. 붉은색은 위험을 상징하는 색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기화재 또는 유류화재에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소화기는?

  1. 압축된 물소화기
  2. 거품 소화기
  3. 탄산가스 소화기
  4. 건조화학 분말소화기
(정답률: 93%)
  • 압축된 물소화기는 전기화재나 유류화재에 사용하면 전기적 충격이나 유류의 흩어짐으로 인해 더 큰 화재로 번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hange 20[℃] to degrees ℉?

  1. 6.6℉
  2. 68℉
  3. 93.6℉
  4. 293℉
(정답률: 70%)
  • To convert Celsius to Fahrenheit, you can use the formula: ℉ = ℃ x 1.8 + 32.

    So, 20℃ x 1.8 + 32 = 68℉.

    Therefore, the answer is 6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 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spoilers
  2. ailerons
  3. leading edge device(slats)
  4. control trim systems
(정답률: 70%)
  • 주어진 비행기 이미지에서, ailerons는 날개 끝에 위치한 작은 판입니다. 이것은 비행기의 롤링 운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Spoilers는 날개 상단에 위치한 판으로,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Leading edge device(slats)는 날개 전면에 위치한 판으로, 비행기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Control trim systems는 비행기의 비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ilero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최소측정값이 1/1000인치인 버니어 캘리퍼스의 아래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1. 0.366인치
  2. 0.367인치
  3. 0.368인치
  4. 0.369인치
(정답률: 92%)
  • 버니어 캘리퍼스는 1/1000인치까지 측정이 가능하므로, 가장 가까운 1/1000인치 값인 0.368인치가 정답이 됩니다. 0.3675인치와 같은 값도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반올림하여 0.368인치로 표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파괴 검사시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한 검사법은?

  1. 와전류 검사법
  2. 초음파 탐상법
  3. 침투탐상 검사
  4. 자분탐상 검사
(정답률: 41%)
  • 초음파 탐상법은 소리의 진동수가 20kHz 이상인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 불량 등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음파 탐상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 개조작업의 설명으로 틀리는 것은?

  1. 날개 형태의 변경작업
  2. 표피 및 조종능력의 변경작업
  3. 내부 부품의 복잡한 변경작업
  4. 중량 및 중심 한계의 변경작업
(정답률: 50%)
  • 항공기 개조작업에서 내부 부품의 복잡한 변경작업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항공기 개조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항공기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기 위해 내부 부품을 변경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 지상취급으로 틀리는 것은?

  1. 견인 작업
  2. 계류 작업
  3. 연료 보급
  4. 항공기 유도
(정답률: 57%)
  • 항공기 지상취급에서 연료 보급은 실제로는 항공기 지상취급이 아니라 항공기 유지보수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연료 보급은 항공기가 비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연료를 보충하는 작업으로,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에 이루어지며, 항공기 지상취급과는 별개의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의 정비기술지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항성 개선명령
  2. 정비지원 기술정보
  3. 시한성 기술지시
  4. 부품 기술정보
(정답률: 39%)
  • 부품 기술정보는 항공기의 정비기술지시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부품의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비기술지시는 항공기의 정비와 관련된 기술적인 지시사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 기술정보는 정비기술지시와는 별도의 정보로서 필요에 따라 참고할 수 있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판재에 리벳 구멍을 뚫을 때, 겹쳐진 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는

  1. 스크레이퍼(scraper)
  2. 클레코(cleco)
  3. 플라이어(plier)
  4. 클램프(clamp)
(정답률: 71%)
  • 클레코는 겹쳐진 판을 일시적으로 고정시켜주는 공구로, 판재에 리벳 구멍을 뚫을 때 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클레코는 판재에 잠시 고정되어 있으므로, 판이 움직이지 않아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에 사용되는 호스의 종류 중에서 모든 액체류에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온도의 범위가 가장 넓은 호스는?

  1. 부나-N (buna-N)
  2. 네오프렌 (neoprene)
  3. 부틸 (butyl)
  4. 테프론 (teflon)
(정답률: 67%)
  • 테프론은 고온에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대부분의 액체류에 대해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또한, 테프론은 비점착성이 강하고 마찰계수가 낮아서 윤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체의 움직임이 필요한 부분에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왕복기관의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마력이란?

  1. 축마력
  2. 지시마력
  3. 제동마력
  4. 추력마력
(정답률: 52%)
  • 왕복기관의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마력은 지시마력입니다. 이는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피스톤을 움직여서 움직임의 에너지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지시마력은 엔진의 출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 기관에서 압축비를 너무 크게 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결함은?

  1. 안티노크현상
  2. 디토네이션현상
  3. 후화현상
  4. 역화현상
(정답률: 65%)
  • 왕복 기관에서 압축비를 너무 크게 할 경우,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곳에서 폭발적인 압력과 온도 상승이 일어나 디토네이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곳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압력과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폭발적인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6기통 컨티넨탈 수평대향형 기관의 실린더 점화순서를 맞게 표시한 것은?

  1. 1-6-3-2-5-4
  2. 1-3-2-5-4-6
  3. 1-2-3-4-5-6
  4. 1-3-5-2-4-6
(정답률: 68%)
  • 6기통 컨티넨탈 수평대향형 기관은 일반적으로 "Boxer" 엔진이라고도 불리며, 실린더가 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점화순서는 서로 마주보는 실린더끼리 번갈아가며 일어나야 합니다. 이 엔진의 경우, 1번 실린더와 6번 실린더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먼저 1번 실린더를 점화시키고, 그 다음에는 6번 실린더를 점화시킵니다. 그리고 3번 실린더와 2번 실린더, 5번 실린더와 4번 실린더가 각각 서로 마주보고 있으므로, 번갈아가며 점화시키면 됩니다. 따라서 점화순서는 "1-6-3-2-5-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정피치 프로펠러는 어느 시기에 최대 효율이 되도록 설계하는가?

  1. 이륙시
  2. 순항시
  3. 착륙시
  4. 완속 비행시
(정답률: 57%)
  • 고정피치 프로펠러는 순항시에 최대 효율이 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고도를 유지하며 일정한 속도로 비행할 때, 엔진의 출력과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펠러의 각도를 최적화하여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륙시나 착륙시에는 엔진의 출력과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변화하므로 최적화된 각도가 아닐 수 있습니다. 완속 비행시에도 엔진의 출력과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낮아 최적화된 각도가 아닐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부자식 기화기에 있는 드로틀 밸브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 가?

  1. 연료 - 공기 혼합가스 흡입통로에
  2. 공기입구 분사노즐 바로전에
  3. 벤튜리관 주 분사노즐 사이에
  4. 가속기 바로전 흡입통로에
(정답률: 35%)
  • 부자식 기화기의 드로틀 밸브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드로틀 밸브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곳인 연료-공기 혼합가스 흡입통로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위치에서 드로틀 밸브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연료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과급기(super charger)에서 확산실(diffuser)의 주 목적은 무엇인가?

  1. 압축된 공기에 와류를 준다.
  2. 속도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꾼다.
  3. 속도에너지의 일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한다.
  4. 온도를 상승시킨다.
(정답률: 73%)
  • 과급기에서 확산실의 주 목적은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것입니다. 이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속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속도에너지를 확산실을 통해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압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엔진에 공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도에너지의 일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원심형 압축기의 장점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단당 압력상승이 높다.
  2. 무게가 가볍다.
  3. 제작이 용이 하다.
  4. 많은 공기량을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원심형 압축기는 회전하는 원판과 고정된 캐스팅 사이에서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과정에서 원판의 속도를 높이면 더 많은 공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심형 압축기는 많은 공기량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음속 흡입덕트에서 수축 통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1. 공기속도를 증가시키고 압력을 감소시킨다.
  2. 공기속도를 감소시키고 압력을 감소시킨다.
  3. 공기속도를 증가시키고 압력을 증가시킨다.
  4. 공기속도를 감소시키고 압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63%)
  • 초음속 흡입덕트에서는 고속으로 흐르는 공기를 저속으로 감속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축 통로는 공기의 흐름을 좁게 만들어 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속도를 감소시키고 압력을 증가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터빈노즐 다이어프램의 역할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연소가스의 흐름방향을 바꾼다.
  2. 연소가스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3. 압력과 온도를 감소시킨다.
  4. 엔진가속을 빨리시킨다.
(정답률: 35%)
  • 터빈노즐 다이어프램은 연소가스의 속도를 증가시켜 엔진가속을 빨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엔진가속을 빨리시킨다."가 가장 관계가 먼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본적인 가스터빈 기관의 연료계통으로 구성된 것은?

  1. 주연료펌프 → 연료여과기 → 연료매니폴드 → 연료조정창치 → 여압 및 드레인밸브 → 연료노즐
  2. 여압 및 드레인밸브 → 연료여과기 → 주연료노즐 → 연료매니폴드 → 연료조정장치 → 연료노즐
  3. 연료여과기 → 주연료펌프 → 여압 및 드레인밸브 → 연료조정장치 → 연료매니폴드 → 연료노즐
  4. 주연료펌프 → 연료여과기 → 연료조정장치 → 여압 및 드레인밸브 → 연료매니폴드 → 연료노즐
(정답률: 73%)
  • 주연료펌프는 연료를 흡입하여 연료여과기를 통해 불순물을 걸러내고, 연료매니폴드를 통해 연료를 분배합니다. 연료조정장치는 연료의 압력과 양을 조절하여 적절한 연소를 유지하며, 여압 및 드레인밸브는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연료를 배출합니다. 마지막으로 연료노즐은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주연료펌프 → 연료여과기 → 연료조정장치 → 여압 및 드레인밸브 → 연료매니폴드 → 연료노즐"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오일 압력계 지침(Needle)이 심하게 진동한다. 그 원인으로서 가장 올바른 것은?

  1. Oil Temperature가 너무 높기 때문에
  2. Oil 압력계의 라인(Line)에 기포가 들어있기 때문에
  3. Engine 진동이 심하기 때문에
  4. Oil 압력계의 라인이 막혔기 때문에
(정답률: 57%)
  • Oil 압력계의 지침이 심하게 진동하는 원인은 Oil 압력계의 라인(Line)에 기포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포는 압력계의 지침을 움직이며 진동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라인(Line)에서 기포를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터보 제트기관에서 저발열량이 4,600㎉/㎏인 연료를 1초 동안에 2㎏씩 소모하여 발생한 진추력이 4,000㎏ 일 때 진추력 비연료소모율은 얼마인가?

  1. 1.5㎏f/㎏f-h
  2. 1.8㎏f/㎏f-h
  3. 2.0㎏f/㎏f-h
  4. 2.4㎏f/㎏f-h
(정답률: 36%)
  • 진추력 비연료소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진추력 비연료소모율 = 진추력 / (연료소모량 x 연소열량)

    여기서 연료소모량은 1초 동안에 소모한 연료의 양이므로 2kg입니다. 연소열량은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4,600㎉/㎏입니다.

    따라서,

    진추력 비연료소모율 = 4,000㎏ / (2kg x 4,600㎉/㎏) = 1.74㎏f/㎏f-h

    이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보기는 "1.8㎏f/㎏f-h"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8㎏f/㎏f-h"입니다.

    참고로, 이 계산에서 사용된 단위인 "f"는 "pound of thrust"의 약자로, 진추력의 단위입니다. "f-h"는 "pound of thrust per hour"의 약자로, 시간당 진추력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여과기의 종류로 사용되지 않는 형식은?

  1. 카트리지형
  2. 스크린형
  3. 디스크형
  4. 스크린-디스크형
(정답률: 42%)
  • 디스크형은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여과기의 종류로 사용되지 않는 형식입니다. 이는 디스크형 연료여과기가 다른 형식의 연료여과기에 비해 여과능력이 낮기 때문입니다. 디스크형 연료여과기는 연료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과물이 디스크 사이에 끼어서 여과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카트리지형이나 스크린형, 스크린-디스크형 등의 형식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스터빈 기관의 교류 점화계통에 사용되는 전압(V) 및 주파수(Hz) 는?

  1. 24, 600
  2. 115, 600
  3. 24, 400
  4. 115, 400
(정답률: 62%)
  • 가스터빈 기관의 교류 점화계통은 115V, 400Hz를 사용합니다. 이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군용 전력 시스템인 MIL-STD-704E의 규격에 따른 것으로, 가스터빈 엔진이 군용 항공기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규격은 전압과 주파수가 안정적이며 높은 효율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15V, 400Hz가 가스터빈 기관의 교류 점화계통에 사용되는 전압과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왕복기관의 점화계통 정비에서 마그네토 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펠트(felt)가 건조된 경우는 지정된 윤활유를 2∼3 방울정도 떨어뜨려 준다.
  2. 배전기 블럭과 고무 그로밋(rubber grommet)의 이물질은 솔벤트로 깨끗이 닦아낸다.
  3. 저압 마그네토의 경우 변압코일을 멀티미터로 측정하여 2차 저항이 5500∼9000Ω 이 되는가를 확인한다.
  4. 마그네토를 점검할 때는 브레이커 포인트, 콘덴서 및 배전기 블럭 등의 상태를 검사한다.
(정답률: 54%)
  • "배전기 블럭과 고무 그로밋(rubber grommet)의 이물질은 솔벤트로 깨끗이 닦아낸다." 이 내용은 점화계통 정비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마그네토 점검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터빈 기관작동 중 연소실에 열점현상이 일어날 때 가장 큰 고장의 원인은 무엇인가?

  1. 연소실의 균열
  2. 연료노즐의 분사각도 결함
  3. 연료펌프의 결함
  4. 연소실의 냉각작용 이상
(정답률: 39%)
  •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소실에 열점현상이 일어나면, 연료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가장 큰 고장의 원인은 연료노즐의 분사각도 결함입니다. 연료노즐의 분사각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으면 연료가 연소실에 제대로 분사되지 않아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열점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노즐의 분사각도는 가스터빈 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류식 압축기의 1단당 압축비가 1.8 이고,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가 1.4 일 때, 압축기의 반동도는(%)?

  1. 0
  2. 50
  3. 80
  4. 100
(정답률: 60%)
  • 압축기의 반동도는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와 압축비의 차이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1.8이고 상승비가 1.4이므로 반동도는 1.8-1.4=0.4, 즉 40%입니다. 그러나 압축기는 실제로는 회전자 깃에 의한 압력 상승비보다 더 큰 압력을 발생시키므로, 반동도는 50%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스터빈엔진(GAS TURBINE ENGINE)의 추력에 대한 설명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추력은 대기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2. 추력은 고도11000m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한다.
  3. 추력은 대기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4. 추력은 배기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정답률: 58%)
  • 추력은 대기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력이 감소하므로 추력도 감소한다. 따라서 "추력은 고도11000m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한다."라는 설명은 관계가 먼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크랭크축의 변형이나 비틀림 진동을 줄여 주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주 저널
  2. 다이나믹 댐퍼
  3. 평형추
  4. 크랭크 암
(정답률: 74%)
  • 다이나믹 댐퍼는 크랭크축의 비틀림 진동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크랭크축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엔진 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다이나믹 댐퍼는 크랭크축의 변형이나 비틀림 진동을 줄여 주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체 m[kg]이 일정한 압력하에서 Q[kcal]의 열량을 공급 받아 온도가 T1에서 T2로 높아졌다. 관계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Cp :정압비열, Cv :정적 비열 U :내부에너지, H :엔탈피 )

  1. Q = 1- Q2/Q1
  2. Q = mCp(T2-T1) = H2-H1
  3. Q = (T2-T1)/T1
  4. Q = mCv(T2-T1) = U2-U1
(정답률: 54%)
  • 기체의 온도가 변할 때, 내부에너지와 엔탈피는 변화한다. 내부에너지는 분자의 운동 에너지와 상호작용 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엔탈피는 내부에너지와 압력과 부피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기체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Q[kcal]의 열량을 공급 받아 온도가 T1에서 T2로 높아졌을 때, 내부에너지와 엔탈피의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내부에너지 변화량 : ΔU = mCv(T2-T1)
    엔탈피 변화량 : ΔH = mCp(T2-T1)

    여기서, Cp와 Cv는 각각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을 나타내며, m은 기체의 질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올바른 관계식은 "Q = mCp(T2-T1) = H2-H1" 이다. 이 식은 열량과 엔탈피의 변화량이 같다는 것을 나타내며, 열역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름이 140mm인 피스톤에 60Kgf/cm2의 가스압력이 작용하면 피스톤에 미치는 힘은 얼마인가?

  1. 6232 Kgf
  2. 7232 Kgf
  3. 8232 Kgf
  4. 9232 Kgf
(정답률: 35%)
  • 힘은 압력과 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힘 = 압력 × 면적
    = 60Kgf/cm² × (14cm)² × π/4
    = 9232 Kgf

    따라서, 정답은 "9232 Kg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흡입 밸브가 열리는 시기를 상사점 전 10∼25° 로 하는 이유로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배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는 배출 관성을 이용하여 출력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2. 배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는 배출 관성을 이용하여 혼합비를 낮추기 위하여
  3. 배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는 배출 관성을 이용하여 흡입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4. 배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는 배출 관성을 이용하여 배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정답률: 68%)
  • 흡입 밸브가 열리는 시기를 상사점 전 10∼25° 로 하는 이유는 "배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는 배출 관성을 이용하여 흡입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입니다. 이는 배기 가스가 나가는 동안 엔진 내부에 공기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흡입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행 속도가 V, 회전 속도가 n(rpm)인 프로펠러의 경우, 1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60/n초 이므로, 프로펠러가 1 회전하는데 비행기가 실제로 전진하는 거리인 경우의 관계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67%)
  • 프로펠러가 1회전할 때 전진 거리는 프로펠러의 직경인 D와 원주인 πD에 비례하므로, 전진 거리는 Dπ이다. 따라서, 비행 속도 V와 회전 속도 n(rpm)에 대한 전진 거리와 회전 속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전진 거리 = Dπ × (n/60) = Dπn/60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에 해당되는 기관의 명칭은?

  1. 터보 프롭 기관
  2. 후방 프롭 팬 기관
  3. 전방 프롭 팬 기관
  4. 로켓 기관
(정답률: 56%)
  • 그림에 나와있는 기관은 전방에 위치한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고 연소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기관으로, 전방 프롭 팬 기관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압과정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이다.
  2.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이다.
  3.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이다.
  4. 열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이다.
(정답률: 81%)
  • 정압과정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입니다. 이는 시스템 내부에서 압력이 변하지 않도록 외부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체적, 온도, 열량은 변할 수 있지만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