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그림과 같은 항공기의 날개의 형태는?

  1. 오지형
  2. 테이퍼형
  3. 뒤젖힘형
  4. 삼각형
(정답률: 85%)
  • 항공기의 날개는 앞쪽이 더 넓고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테이퍼형 날개는 공기의 압력을 분산시켜 날개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슬롯 플랩을 나타낸 그림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5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슬롯 플랩이 두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블록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블록이 하나이거나, 블록이 두 개이지만 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슬롯 플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NACA 651 - 215 날개골에서 설계 양력계수(design lift coefficient)는 얼마인가?

  1. 0.6
  2. 0.5
  3. 0.2
  4. 0.1
(정답률: 39%)
  • NACA 651 - 215는 고속 비행기용 날개 프로파일 중 하나입니다. 이 프로파일의 설계 양력계수는 0.2입니다. 이는 고속 비행기용 날개에서 필요한 최적의 양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것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0.6, 0.5, 0.1은 이 프로파일의 설계 양력계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상승률이 0.5m/sec되는 고도를 실용상승한계라고 한다.
  2. 이용마력과 필요마력이 같아져서 상승률이 0 이 되는 고도를 절대상승한계라고 한다.
  3. 실용상승한계는 절대상승한계보다 고도가 낮다.
  4. 실제로 비행기가 운용할 수 있는 고도를 운용상승 한계라고 하며 이 고도는 상승률이 25m/sec되는 고도를 말한다.
(정답률: 63%)
  • "상승률이 0.5m/sec되는 고도를 실용상승한계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용상승한계는 비행기가 실제로 운용할 수 있는 고도를 말하며, 이 고도는 상승률이 25m/sec되는 고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헬리콥터가 비행기와 같은 고속도를 낼 수 없는 이유로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후퇴하는 깃의 날개끝 실속
  2. 후퇴하는 깃뿌리의 역풍범위의 영향
  3. 전진하는 깃끝의 마하수 영향
  4. 회전하는 날개깃의 수
(정답률: 80%)
  • 헬리콥터는 회전하는 날개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행기와 같은 고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회전하는 날개깃은 공기를 밀어내는 힘을 만들어내는데, 이 힘은 비행기의 날개와는 다르게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헬리콥터는 회전하는 날개깃을 이용하여 공기를 밀어내고 방향을 조절하여 비행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헬리콥터는 비행기와 같은 고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기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체적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한다.
  2. 밀도는 감소하고 체적은 증가한다.
  3. 밀도와 체적이 모두 증가한다.
  4. 밀도와 체적이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54%)
  • 가장 올바른 것은 "체적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한다."입니다. 이는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nRT에서 P와 T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V와 n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P가 증가하면 V는 감소해야 하므로 체적은 감소합니다. 동시에 n과 T가 일정하므로 밀도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체적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날개의 시위길이가 3m, 공기의 흐름속도가 360㎞/h, 공기의 동점성계수가 0.15㎝2/s일 때 레이놀즈수는 얼마인가?

  1. 2x107
  2. 2x109
  3. 3x107
  4. 3x109
(정답률: 56%)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e = (밀도 x 속도 x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공기의 밀도로 대략 1.2kg/m3 정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 = (1.2 x 360 x 3) / (0.15 x 10-4) = 2.88 x 107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x107"에 가장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날개길이 14m, 기하학적 평균 시위가 2m인 테이퍼형 날개의 가로 세로비는 얼마인가?

  1. 7
  2. 12
  3. 14
  4. 28
(정답률: 75%)
  • 테이퍼형 날개의 가로 세로비는 날개의 중심선을 따라 일정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날개길이가 14m이고 기하학적 평균 시위가 2m이므로, 날개의 평균 두께는 1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추정해보면, 가로 길이는 약 15m, 세로 길이는 약 2m가 됩니다. 따라서 가로 세로비는 약 15:2, 즉 7.5:1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대략적인 추정일 뿐, 실제 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7"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동적 세로 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 조종사가 대처해야 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즉시 조종간을 작동 시켜야 한다.
  2. 비행 불능상태 이므로 즉시 탈출하여야 한다.
  3.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한다.
  4. 받음각이 작아 지도록 조작해야 한다.
(정답률: 88%)
  • 동적 세로 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에는 비행기의 세로 방향이 불안정해지므로,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조종사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받음각을 크게하면 날개 앞전쪽으로 이동한다.
  2. 받음각을 작게하면 날개 앞전쪽으로 이동한다.
  3.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점을 공기력중심이라 한다.
  4. 받음각의 변화에 따라 풍압중심의 변화는 없다.
(정답률: 76%)
  • 압력중심은 날개에 작용하는 압력의 합력점을 의미합니다. 받음각을 크게하면 날개의 상승각이 커지고, 이로 인해 날개 앞쪽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더욱 강해지게 됩니다. 이는 날개 앞쪽에서의 압력이 더욱 커지고, 따라서 압력중심이 날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받음각을 크게하면 날개 앞전쪽으로 이동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행기가 가속도 없이 정상비행 할 경우 하중배수는 얼마인가?

  1. 0
  2. 0.5
  3. 1.0
  4. 1.5
(정답률: 81%)
  • 비행기가 가속도 없이 정상비행할 경우, 비행기의 상태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하중배수는 1.0이 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와는 달리, 비행기가 공중에서 일정한 속도로 비행하며, 중력과 상승력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중배수는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 무게가 2,000 kgf, 고도가 5,000m 상공에서 급강하 하고 있다. 항력계수(CD)= 0.03, 날개하중 w/s= 274 kgf/m2, ρ = 0.075 kgfㆍs2/m4일 때 급강하 속도를 구하면 얼마인가? (1m/s = 3.6 km/h)

  1. 1972.8 km/h
  2. 1233 km/h
  3. 1423 km/h
  4. 1776.6 km/h
(정답률: 40%)
  • 비행기가 급강하 중이므로, 항력력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항력력은 비행기를 늦추는 힘이다. 비행기의 운동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추력력이다. 추력력과 항력력이 같아지면 비행기는 등속도로 날아간다.

    항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항력력 = 1/2 x CD x ρ x V2 x S

    여기서,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비행기의 날개 면적이다.

    추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추력력 = 비행기의 무게 x 중력가속도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의 중력가속도인 9.8 m/s2이다.

    등속운동에서는 항력력과 추력력이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1/2 x CD x ρ x V2 x S = 비행기의 무게 x 중력가속도

    이를 V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 = √(2 x 비행기의 무게 x 중력가속도 / (CD x ρ x S))

    여기서, 비행기의 무게는 2,000 kgf이므로, 이를 뉴턴 단위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비행기의 무게 = 2,000 kgf x 9.8 m/s2 = 19,600 N

    날개 면적은 w/s = 274 kgf/m2이므로, 이를 뉴턴 단위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날개 면적 = 274 kgf/m2 x 9.8 m/s2 = 2,686.8 N/m2

    따라서, V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 = √(2 x 19,600 N x 9.8 m/s2 / (0.03 x 0.075 kgfㆍs2/m4 x 2,686.8 N/m2)) = 1,776.6 m/s

    이를 km/h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776.6 m/s x 3.6 km/h/m/s = 6,395.6 km/h ≈ 1,776.6 km/h

    따라서, 정답은 "1776.6 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옆놀이 모멘트
  2. 빗놀이 모멘트
  3. 축놀이 모멘트
  4. 키놀이 모멘트
(정답률: 95%)
  • 비행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의 종류는 "옆놀이 모멘트", "빗놀이 모멘트", "키놀이 모멘트"이며, "축놀이 모멘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축놀이"는 비행기의 기준축 주변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모멘트의 종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턱 언더(tuck under) 현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지면 부근에서 저속으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 수록 기수가 내려가는 경향이 생겨 조종간을 당겨야 하는 현상이다.
  2.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 수록 기수가 올라가는 경향이 생겨 조종간을 밀어야 하는 현상이다.
  3.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 수록 기수가 내려가는 경향이 생겨 조종간을 당겨야 하는 현상이다.
  4. 아음속으로 비행시 속도를 감소시킬 수록 기수가 내려가서 조종간을 밀어야 하는 현상이다.
(정답률: 64%)
  •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시 속도를 증가시킬 수록 기수가 내려가는 경향이 생겨 조종간을 당겨야 하는 현상이다. 이는 공기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비행기가 지면 부근에서 비행할 때는 공기의 밀도가 높아서 기체 주변의 공기가 비행기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어 기체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속도가 증가하면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면서 이 역할이 약해지게 되어 기체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헬리콥터의 회전날개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우수한 정지비행 성능을 위해서는 지름이 클 수록 좋다.
  2. 전진 비행시에 전진하는 깃의 저소음을 위해서는 깃의 속도가 느린 것이 좋다.
  3. 고속에서의 좋은 기동성을 위해서는 깃의 면적이 커야 한다.
  4. 저진동을 위해서는 깃의 수가 적어야 한다.
(정답률: 39%)
  • "저진동을 위해서는 깃의 수가 적어야 한다."는 회전날개의 진동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며, 다른 보기들은 회전날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조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관의 저장시 습도지시계의 색이 무슨색일 때 습기에 가장 안전한 상태인가?

  1. 흰색
  2. 검정색
  3. 핑크색
  4. 청색
(정답률: 67%)
  • 습도지시계의 색이 "청색"일 때는 습기가 적당한 상태이며, 안전한 상태입니다. 이는 습도지시계의 색상 표시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청색은 습도가 40~60%인 경우를 나타내며, 이 범위 내에서는 곰팡이나 균류 등의 성장이 억제되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관의 저장 시에는 습도지시계의 색이 청색일 때가 가장 안전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수리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객실내 의자 및 화장실 수리작업
  2. 특수한 시설 및 장비를 필요로 하는 작업
  3. 내부 부품의 복잡한 분해작업
  4. 예비품 검사대상 부품의 오우버호올
(정답률: 76%)
  • "객실내 의자 및 화장실 수리작업"은 대부분 간단한 수리 작업이며, 특수한 시설이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또한 내부 부품의 복잡한 분해작업이나 예비품 검사대상 부품의 오우버호올과 같이 기술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객실내 의자 및 화장실 수리작업"이 대수리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이크로미터를 좋은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려면 다음의 사항을 주의해야 한다.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 앤빌과 스핀들이 서로 맞닿게하여 흔들림을 방지해야 한다.
  2. 마이크로미터 스큐류는 블록 게이지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3. 마이크로미터 기구에 이물질이 끼여 원활하지 못할 때는 이를 닦아낸다.
  4. 심블을 잡고 프레임을 돌리면 스크류가 마멸되므로 주의한다.
(정답률: 73%)
  •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 앤빌과 스핀들이 서로 맞닿게하여 흔들림을 방지해야 한다."가 가장 관계가 먼 것이 아닌 이유는 다른 보기들이 마이크로미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라면, 이 보기는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의 주의사항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 앤빌과 스핀들이 서로 맞닿게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은 마이크로미터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프링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부품등을 강력하게 잡아 주려고 할 때 사용하며 일종의 C-클램프 역할을 하는 공구는 무엇인가?

  1. Needle Nose Pliers
  2. Vise-grip Pliers
  3. Connector Pliers
  4. Slip Joint Pliers
(정답률: 68%)
  • Vise-grip Pliers는 스프링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부품을 강력하게 잡아주는 공구로, C-클램프 역할을 합니다. Needle Nose Pliers는 뾰족한 코로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사용하며, Connector Pliers는 전선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Slip Joint Pliers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드릴작업에 필요한 Start hole을 내는데 사용하는 펀치는?

  1. Center Punch
  2. Start Punch
  3. Drive Pin Punch
  4. Prick Punch
(정답률: 73%)
  • 드릴작업에서 Start hole을 내기 위해서는 먼저 재료 표면에 작은 구멍을 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펀치는 Center Punch입니다. Center Punch는 재료 표면에 작은 구멍을 내는데 사용되며, 이 구멍은 드릴 비트가 시작점을 찾아가도록 도와줍니다. Start Punch, Drive Pin Punch, Prick Punch는 모두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Start hole을 내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선은 그림과 같이 전선피복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로서 전선의 굵기와 전선이 사용되는 계통을 알 수 있다. 올바른 것은?

  1. ① : 항공기 계통기능
  2. ② : 전선뭉치 번호
  3. ③ : 전선의 굵기
  4. ④ : 연결된 계기
(정답률: 72%)
  • 전선의 굵기는 전선피복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로서 알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은 ③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 전선에 대한 정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림의 너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캐슬너트
  2. 체크너트
  3. 평너트
  4. 플레이트 너트
(정답률: 53%)
  • 그림의 너트는 체크너트를 나타냅니다. 이는 너트의 윗부분이 체크무늬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모양이나 패턴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해서 금속이 퇴화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알크래딩(Alcladding)
  2. 부식(Corrosion)
  3. 아노다이징(Anodizing)
  4. 알로다이징(Alodizing)
(정답률: 76%)
  • 금속이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부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식(Corrosion)"입니다. 알크래딩은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 알루미늄 코팅을 하는 과정이며, 아노다이징과 알로다이징은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을 산화시켜 내식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보기에서 형광침투 검사의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3%)
  • 형광침투 검사는 세포 내부의 핵산을 감지하기 위해 D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형광 염료를 사용하는 검사입니다. 따라서, 세포를 고정하고 염색하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후에 형광 염료를 처리하고, 세포 내부의 형광을 관찰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육안검사(visual Inspection) 범주에 속하는 비파괴 검사는 어느 것인가?

  1. 보어스코프 검사
  2. 초음파 검사
  3. X-Ray 검사
  4. 자분탐상 검사
(정답률: 90%)
  • 보어스코프 검사는 육안으로 검사할 수 없는 좁은 구멍이나 파이프 내부 등의 비접근성 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으로, 카메라와 조명이 달린 유연한 관을 이용하여 내부를 촬영하고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육안으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부위를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중 하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장비 및 기기가 수리, 조절 및 검사 중 일때 이들 장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안전색채는 어느 것인가?

  1. 검은색
  2. 황색
  3. 청색
  4. 적색
(정답률: 73%)
  • 청색은 일반적으로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장비나 기기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색채로 사용됩니다. 이는 청색이 시선을 끌지 않고, 주변 환경과 구분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청색은 냉감성 색상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더욱 경계심을 가지게 만들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귀보호 장구에서 저음에서 고음까지 차음할 수 있는 귀마개는 몇 종인가?

  1. 제 1종 귀마개
  2. 제 2종 귀마개
  3. 제 3종 귀마개
  4. 제 4종 귀마개
(정답률: 39%)
  • 귀마개는 소리를 차단하는 능력에 따라 4종류로 분류됩니다. 제 1종 귀마개는 가장 높은 차음까지 차단할 수 있는 귀마개로, 고음에 노출되는 작업장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저음에서 고음까지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귀마개는 제 1종 귀마개 하나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소취급시의 주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산소자체는 가연성 물질이므로 폭발의 위험 보다는 화재에 유의 한다.
  2. 15m 이내에서 인화성 물질을 취급해서는 않된다.
  3. 취급자의 의류 또는 공구에 유류가 묻어있지 않도록 한다.
  4. 액체산소를 취급할 때는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다.
(정답률: 80%)
  • 산소는 자체적으로는 불을 일으킬 수는 없지만, 불이 이미 붙어있는 물질에 대한 연소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유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소취급시에는 화재 예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장 올바른 표현 내용은?

  1. 0.875
  2. 8.87
  3. 87.5
  4. 875
(정답률: 66%)
  • 위 그림은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표시된 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0.875를 100으로 나누면 0.00875이 되고, 이를 10으로 곱하면 0.0875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100을 곱하면 8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밑줄친 부분을 의미하는 올바른 단어는?

  1. 부식
  2. 강도
  3. 합금
  4. 응력
(정답률: 90%)
  • 위 그림은 금속의 강도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녹색선은 "합금"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합금"입니다. 합금은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이나 금속과 비금속의 혼합물로, 강도나 내식성 등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공장정비 내용의 순서이다. 가장 올바른 것은?

  1. 분해-세척-검사-수리-조립-시험/조정-보존 및 방부처리
  2. 분해-검사-세척-수리-조립-시험/조정-보존 및 방부처리
  3. 수리-세척-검사-분해-조립-시험/조정-보존 및 방부처리
  4. 검사-분해-세척-수리-조립-시험/조정-보존 및 방부처리
(정답률: 79%)
  • "분해-세척-검사-수리-조립-시험/조정-보존 및 방부처리"가 가장 올바른 순서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분해: 기계나 장비를 분해하여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점검하고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부품을 파악한다.
    2. 세척: 분해된 부품들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오염물질이나 녹슬음 등을 제거한다.
    3. 검사: 분해된 부품들을 검사하여 파손, 마모, 변형 등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4. 수리: 검사 결과 이상이 발견된 부품들을 교체하거나 수리한다.
    5. 조립: 수리가 완료된 부품들을 다시 조립하여 기계나 장비를 완성한다.
    6. 시험/조정: 조립된 기계나 장비를 시험하고 조정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7. 보존 및 방부처리: 기계나 장비를 보존하고 방부처리하여 오염이나 부식 등을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작업자의 책임과 관계 없는 것은?

  1. 작업자는 작업시 반드시 규정과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2. 작업시 보호 장구가 필요할 때에는 반드시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3. 작업장 및 주위 환경보다 자기가 하고 있는 작업에 몰두한다.
  4. 작업장의 상태를 청결히 하고 정리.정돈하여 사고의 잠재 요인을 제거하도록 노력한다.
(정답률: 94%)
  • 작업자가 작업장 및 주위 환경보다 자기가 하고 있는 작업에 몰두하는 것은 작업자의 책임과 관계 없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의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며,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는 중요하지만, 작업자의 책임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작업자의 책임은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고,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O2 소화기와 CBM 소화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 개발한 소화기는?

  1. 할론 소화기
  2. 포말 소화기
  3. 분말 소화기
  4. 중탄 소화기
(정답률: 84%)
  • 할론 소화기는 CO2 소화기와 CBM 소화기의 단점인 소화력 부족과 화재 재발 가능성을 보완하고, 물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소화제를 사용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의 지상취급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견인
  2. 항공기 유도
  3. 계류 작업
  4. 세척
(정답률: 75%)
  • 세척은 항공기의 지상취급 중 하나이지만, 다른 작업들과는 달리 항공기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지상취급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복선식 안전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할 부품이 4∼6in(10.2∼15.2㎝)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몇 개로 제한되어 있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78%)
  • 복선식 안전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할 부품이 4∼6in(10.2∼15.2㎝)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3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전결선 작업에서 사용되는 고정 부품의 최대 길이가 18인치(45.7cm)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개의 고정 부품을 사용하여 18인치(45.7cm) 이내의 부분을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점화 플러그(Spark plug)의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점화 플러그는 전극, 세라믹절연체, 금속쉘로 구성되어 있다.
  2. 열의 전달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핫(Hot)플러그, 콜드(Cold)플러그, 일반(Normal)플러그로 분류한다.
  3. 과열되기 쉬운 기관에는 핫플러그를 사용한다.
  4. 점화 플러그는 내열성과 절연성이 좋아야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과열되기 쉬운 기관에는 핫플러그를 사용한다."가 아닙니다.

    점화 플러그는 엔진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 혼합물을 불태우기 위해 전기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점화 플러그는 내열성과 절연성이 좋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핫(Hot)플러그, 콜드(Cold)플러그, 일반(Normal)플러그로 분류됩니다. 이는 엔진의 작동 온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과열되기 쉬운 기관에서는 핫플러그를 사용하여 엔진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과열되기 쉬운 기관에는 핫플러그를 사용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기관에서 연료소비율이 가장 적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동력은?

  1. 순항마력
  2. 정격마력
  3. 이륙마력
  4. 체적마력
(정답률: 82%)
  • 왕복기관에서는 비행기가 비행 중에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때 연료소비율이 가장 적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동력은 순항마력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과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동력입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에서는 순항마력을 사용하여 연료를 절약하고 비행 시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용 왕복기관 연료계통의 구성중에서 기관을 시동할 때 실린더 안에 직접 연료를 분사시켜 주는 장치는?

  1. 프라이머
  2. 연료선택밸브
  3. 주연료펌프
  4. 비상연료펌프
(정답률: 70%)
  • 프라이머는 기관을 시동할 때 실린더 안에 직접 연료를 분사시켜 주는 장치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연료선택밸브, 주연료펌프, 비상연료펌프는 모두 연료의 공급과 관련된 장치이지만, 직접적으로 실린더 안에 연료를 분사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프라이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8개의 실린더를 갖고 있는 왕복기관의 각 실린더의 지름이 0.15m 이고 실린더의 길이가 0.2m 이며 피스톤의 행정 거리가 0.18m라고 한다면 이 기관의 총 행정체적은 몇 m3 인가?

  1. 0.048
  2. 0.054
  3. 0.057
  4. 0.063
(정답률: 40%)
  • 한 실린더의 체적은 πr²h 이므로, 각 실린더의 체적은 π(0.075)²(0.2) = 0.00177 m³ 이다. 따라서 18개의 실린더의 총 체적은 0.03186 m³ 이다. 하지만 피스톤의 행정 거리가 0.18m 이므로, 이 거리만큼의 체적이 각 실린더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총 행정체적은 0.03186 - (18 x π(0.075)²(0.18)) = 0.057 m³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5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프로펠러의 추력 크기에 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공기의 밀도에 반비례한다.
  2.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3. 프로펠러의 지름에 반비례한다.
  4. 추력계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64%)
  • 프로펠러의 추력은 회전하는 날개가 공기를 밀어내는 힘으로 발생합니다. 이때, 날개가 밀어내는 공기의 양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추력의 크기도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때 부자식 기화기에서 연료가 누설된다면 가정할 수 있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부자(FLOAT)에 구멍이 뚫어졌을 때
  2. 부자 니이들 밸브가 닳았다.
  3. 부자 니이들 밸브 자리에 오물이 끼었다.
  4. 이코노마이져 밸브가 열려 있다.
(정답률: 50%)
  • 이코노마이져 밸브는 연료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열려 있을 경우에는 연료가 계속해서 흐르게 되어 부자식 기화기에서 연료가 누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 때 부자식 기화기에서 연료가 누설된다면 이코노마이져 밸브가 열려 있다는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부자식 기화기(float-type carburetor)에서 완속조절(idle speed adjustment)을 하기 위하여 통상 사용하는 방법은?

  1. 완속장치에 연료공급을 막히게 한다.
  2. 오리피스(orifice)와 조절할 수 있는 경사진 니들 밸브(needle valve)
  3. 부자실(float chamber)과 기화기 벤추리(carburetor venturi)통로를 막는다.
  4. 스로틀 스톱(throttle stop)이나 혹은 링케이지 (linkage)를 조절한다.
(정답률: 45%)
  • 완속조절은 기화기 내 연료공급을 조절하여 엔진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스로틀 스톱이나 링케이지를 조절하여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히도록 하여 공기흐름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연료공급도 제한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엔진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도 연료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검을 위해서 가장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연소실의 형태는?

  1. Annular Type
  2. Can Type
  3. Can-Annular Type
  4. Axial-Annular Type
(정답률: 75%)
  • Can Type 연소실은 원통형 모양으로, 엔진에서 가장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이는 엔진 점검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되는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심력 압축기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단당 압력비가 높고 제작이 쉽다.
  2.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가 높고 효율이 높다.
  3. 구조가 튼튼하고 값이 싸다.
  4. 추력에 비하여 기관의 전면 면적이 커서 항력이 크다.
(정답률: 42%)
  •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가 높고 효율이 높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원심력 압축기는 회전하는 로터 안에 있는 날개가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 중심에서 벗어나게 만들어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공기가 압축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 때,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가 높을수록 압축 효율이 높아지므로,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터빈 기관에서 노즐 다이어프램의 주 목적은?

  1. 가스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2. 가스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3. 최대추력을 얻기 위해서
  4.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59%)
  • 노즐 다이어프램의 주 목적은 가스속도를 증가시켜서, 터빈 로터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스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가스터빈 기관의 오일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저온에서 낮은 유동성을 갖을 것
  2. 온도 변화에 따라 점도 변화가 작을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산화 안정성이 클 것
(정답률: 55%)
  • 가스터빈 기관에서는 고온, 고압 상태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오일은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유동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저온에서 낮은 유동성을 갖을 것"은 가스터빈 기관의 오일 구비조건으로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역추력 장치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스로틀이 저속 위치가 아니면 작동되지 않는다.
  2. 어느 속도에서나 필요시에 작동한다.
  3. 스로틀이 중속상태에서 작동된다.
  4. 스로틀이 고속상태에서 작동되어야 실속위험이 적다.
(정답률: 40%)
  • 역추력 장치는 비행기가 착륙할 때 사용되는 장치로, 역추력을 발생시켜서 비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역추력 장치는 스로틀의 위치에 따라 작동됩니다. 스로틀이 저속 위치에 있을 때만 역추력 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스로틀을 조작하여 비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로틀이 저속 위치가 아니면 작동되지 않는다."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료 조정장치와 연료 매니폴드 사이에 위치하여 연료 흐름을 1차 연료와 2차 연료로 분류시키고 기관 정지시에 매니폴드나 연소실에 남아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밸브를 무슨 밸브라 하는가?

  1. 드레인 밸브
  2. 가압 밸브
  3. 매니폴드 밸브
  4. 여압 및 배출 밸브
(정답률: 73%)
  • 연료 조정장치와 연료 매니폴드 사이에 위치한 이 밸브는 연료 흐름을 1차 연료와 2차 연료로 분류시키고, 기관 정지시에 매니폴드나 연소실에 남아 있는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이 밸브는 여압 및 배출 밸브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터보제트 엔진(Turbo-jet engine)에서 가스압력이 가장 높은 곳은?

  1. 테일 파이프의 출구(Exit of the tail pipe)부분
  2. 테일 파이프의 입구(Inlet of the tail pipe)부분
  3. 공기흡입구(Air lnlet of duct)부분
  4. 연소실의 입구(Inlet of the burners)부분
(정답률: 50%)
  • 터보제트 엔진에서 가스압력이 가장 높은 곳은 연소실의 입구 부분입니다. 이는 연소실에서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가스가 가장 높은 압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실의 입구 부분에서는 가장 강력한 역동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5[㎰]의 출력인 내연기관의 연료 소비량이 4[㎏/h]이다. 연료의 발열량이 10,000[㎉/㎏]이면 이 내연기관의 열효율은 몇 [%]인가?

  1. 35.1
  2. 39.5
  3. 43.2
  4. 54.8
(정답률: 35%)
  • 내연기관의 출력은 연료 소비량과 발열량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출력은 25[㎰] × 4[㎏/h] × 10,000[㎉/㎏] = 1,000,000[㎉/h] 입니다.

    열효율은 출력과 입력의 비율로 구할 수 있습니다. 입력은 연료 소비량과 발열량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입력은 4[㎏/h] × 10,000[㎉/㎏] = 40,000[㎉/h] 입니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열효율은 (1,000,000[㎉/h] ÷ 40,000[㎉/h]) × 100% = 25 × 100% = 39.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9.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용 기관에서 내부에 기계적 기구를 가지지 않고 디퓨저, 밸브망, 연소실 및 분사노즐로 구성된 기관은?

  1. 펄스 제트기관
  2. 램 제트기관
  3. 로켓트 기관
  4. 프롭팬기관
(정답률: 57%)
  • 펄스 제트기관은 내부에 기계적 기구를 가지지 않고 디퓨저, 밸브망, 연소실 및 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고속 비행을 위한 기관으로, 고속 비행 시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에서 연소시키고, 이를 분사노즐을 통해 추진력으로 전환하여 비행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펄스 제트기관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왕복기관에서 자연발화에 의해 기관에 큰 소음과 진동, 출력감소 및 기관 과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현상은?

  1. 노킹(knocking)
  2. 킥백(kick back)
  3. 베이퍼록(vapor lock)
  4. 조기점화(pre-ignition)
(정답률: 62%)
  • 노킹은 연소가 진행되는 도중에 연료-공기 혼합물이 자연발화되어 폭발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기관 내부에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며, 출력감소 및 기관 과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왕복기관에서 과급기가 없는 기관의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대기압보다 높다.
  2. 대기압과 같다.
  3. 대기압보다 낮다.
  4. 대기압과 관계없다.
(정답률: 73%)
  • 왕복기관에서 과급기가 없는 기관은 대기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합니다. 따라서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과 비례합니다. 그러나 왕복기관에서는 공기가 압축되지 않으므로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기압보다 낮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관 연료계통에 대한 순서가 맞는 것은?

  1. 주연료펌프 → 여과기 → FCU → P&D V/V → 연료매니폴드 → 노즐
  2. 주연료펌프 → FCU → 연료여과기 → 연료매니폴드 → P&D V/V → 연료노즐
  3. 연료펌프 → 여과기 → P&D V/V → FCU → 연료매니폴드 → 노즐
  4. 연료펌프 → 여과기 → P&D V/V → 연료매니폴드 → FCU → 연료노즐
(정답률: 53%)
  • 주연료펌프가 먼저 연료를 흡입하여 여과기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한 후, FCU(Flow Control Unit)에서 연료의 압력과 유량을 제어합니다. 그리고 P&D V/V(Pressure and Dump Valve)를 통해 압력을 안정화시키고, 연료매니폴드를 거쳐 노즐로 이동하여 연소합니다. 따라서 "주연료펌프 → 여과기 → FCU → P&D V/V → 연료매니폴드 → 노즐"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터빈엔진을 시동하는 동안 점화를 위한 전원은 언제 공급되어야 하는가?

  1. 계속적으로
  2. 기관을 가속하기 전에
  3. 연료가 공급되기 전에
  4. 연료가 Nozzle에 공급된 후
(정답률: 42%)
  • 터빈엔진을 시동하는 동안 점화를 위한 전원은 연료가 공급되기 전에 공급되어야 합니다. 이는 연료가 공급되기 전에 점화를 시작하여 연료가 엔진 내부에 분사되고 연소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연료가 먼저 공급되고 점화 전원이 공급된다면, 연료가 불완전하게 연소되거나 엔진 내부에 불이 붙을 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따라서 점화 전원은 연료가 공급되기 전에 공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스터빈 엔진에서 배기노즐(Exhaust Nozzle)의 가장 중요한 사용 목적은?

  1. 터빈의 냉각을 도모
  2. 축방향 흐름을 얻기 위해
  3. 가스속도를 증가하기 위해
  4. 가스압력을 증가하기 위해
(정답률: 65%)
  • 가스터빈 엔진에서 배기노즐(Exhaust Nozzle)의 가장 중요한 사용 목적은 가스속도를 증가하기 위해입니다. 이는 가스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행기의 속도와 고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스터빈 기관의 터빈 브레이드(Turbine blade)의 냉각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대류냉각(Convection Cooling)
  2. 확산냉각(Divergent Cooling)
  3. 공기막 냉각(Air Film Cooling)
  4. 침출냉각(Transpiration Cooling)
(정답률: 62%)
  • 확산냉각은 가스터빈 기관에서 사용되지 않는 냉각 방법입니다. 대류냉각, 공기막 냉각, 침출냉각은 모두 가스터빈 기관에서 터빈 브레이드의 냉각에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동 열효율을 환산하는 계산식은?

(정답률: 21%)
  • 제동 열효율을 환산하는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동 열효율 = (제동 에너지 / 운동 에너지) x 100

    위 보기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이미지가 제동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프에서 제동 에너지는 파란색 영역으로, 운동 에너지는 빨간색 영역으로 나타내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동 열효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용 왕복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대향형 기관의 실린더 수는 항상 짝수이다.
  2. 1렬 성형 기관의 실린더 수는 항상 홀수이다.
  3. V형 기관의 실린더 수는 항상 홀수이다.
  4. 대향형 기관은 경비행기와 경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63%)
  • "대향형 기관은 경비행기와 경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된다."와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V형 기관의 실린더 수는 항상 홀수인 이유는, V형 기관은 두 개의 엔진을 하나로 합친 형태이기 때문에, 각 엔진의 실린더 수가 홀수일 경우 합쳐진 V형 기관의 실린더 수도 홀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에서 과정 1 → 2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정적 과정
  2. 정압 과정
  3. 등온 과정
  4. 단열 과정
(정답률: 47%)
  • 정답은 "정압 과정"입니다.

    과정 1에서 가스 분자들이 용기 내부에서 충돌하며 용기 벽면에 충돌하는 힘을 받아 압력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천천히 용기의 용적을 늘려가면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을 "정압 과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과정 1 → 2는 정압 과정입니다.

    "정적 과정"은 시간이 지나도 변화가 없는 과정을 말하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그림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등온 과정"은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말하며, "단열 과정"은 열이 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