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날개의 최대두께 위치를 중앙부근에 위치하여 설계 양력계수 부근에 서 항력계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받음각이 작을 때 앞부분의 흐름이 층류를 유지하도록 한 날개골은 무엇인가?

  1. 층류 날개골
  2. 피키 날개골
  3. 초임계 날개골
  4. 아음속 날개골
(정답률: 73%)
  • 층류 날개골은 날개의 최대두께 위치를 중앙부근에 위치하여 설계되어 항력계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받음각이 작을 때 앞부분의 흐름이 층류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이는 고속 비행 시에도 안정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하며, 고속 비행 시 발생하는 층류 현상을 최소화하여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층류 날개골은 고속 비행을 위한 항공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평 비행하는 비행기가 받음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고도가 높아지면 속도 V와 필요마력 Pr은 어떤 관계가 되는가?

  1. V와 Pr가 감소
  2. V와 Pr가 증가
  3. V는 증가, Pr는 감소
  4. V는 감소, Pr는 증가
(정답률: 38%)
  • 수평 비행하는 비행기가 받음각이 일정한 상태에서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어 날개와 엔진에 가해지는 공기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에 따라 비행기의 속도는 증가하게 되고, 속도가 증가하면 필요한 마력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V와 Pr은 모두 증가하는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 날개의 테이퍼비(Taper ratio)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식은? (단, Ct : 날개끝 시위, Cr : 날개뿌리 시위)

  1. λ=CtㆍCr
  2. λ=Ct / Cr
  3. λ=Cr / Ct
  4. λ=1 / Ct
(정답률: 67%)
  • 비행기 날개의 테이퍼비(Taper ratio)는 날개끝 시위(Ct)와 날개뿌리 시위(Cr)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λ=Ct / Cr" 입니다. 이는 날개끝 시위를 날개뿌리 시위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는 것으로, 날개가 얼마나 뾰족한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날개끝 시위가 2m이고 날개뿌리 시위가 4m인 경우, 테이퍼비는 0.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에만 적합한 항공기의 감항류는?

  1. T류
  2. A류
  3. N류
  4. U류
(정답률: 64%)
  • 감항류란 항공기가 비행 중에 만나는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항공기의 형태를 바꾸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에만 적합한 항공기의 경우, 곡예비행을 위해 빠른 속도와 높은 기동성이 필요하므로 감항류를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감항류는 U류입니다. U류는 고속 비행에 적합하며, 곡예비행을 위한 높은 기동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에 적합한 항공기의 감항류는 U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속형 날개에서 발생하는 항력발산 마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임계마하수보다 조금 작다.
  2. 대개 천음속에서 발생한다.
  3. 항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마하수이다.
  4. 이 마하수를 넘으면 양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27%)
  • 고속형 날개에서 발생하는 항력발산 마하수는 항력이 급격히 증가하는 마하수이며, 이 마하수를 넘으면 양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임계마하수보다 조금 작다."가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기준축과 각축에 대한 회전 각운동에 대해 가장 올바른 것은?

  1. 세로축 - Y축 - 빗놀이(Yawing moment)
  2. 세로축 - X축 - 키놀이(Pitching moment)
  3. 수직축 - Z축 - 빗놀이(Yawing moment)
  4. 수직축 - Y축 - 옆놀이(Rolling moment)
(정답률: 80%)
  • 비행기의 기준축은 세로축(Y축)이며, 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키놀이(Pitching moment)라고 합니다. 각축 중에서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바꾸는 운동은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하는 빗놀이(Yawing moment)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축 - Z축 - 빗놀이(Yawing mom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기온도 10℃를 절대온도(켈빈 척도)로 환산하면 대략 얼마 정도인가?

  1. 10℃+32=42(K)
  2. 10℃+180=190(K)
  3. 10℃+212=312(K)
  4. 10℃+273=283(K)
(정답률: 57%)
  •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을 더한 값이므로, 대기온도 10℃에 273을 더하면 절대온도인 283K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273=283(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기흐름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공기는 압력을 받으면 온도가 올라간다.
  2. 공기는 압력을 받으면 부피가 줄어든다.
  3. 공기는 압력을 받으면 밀도가 증가한다.
  4. 공기는 비압축성 유체이다.
(정답률: 72%)
  • 공기는 비압축성 유체이다는 것은 압력이 변해도 부피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기는 압력을 받아도 부피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비압축성 유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압력과 관련된 공기의 성질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종간과 승강키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조종력과 승강키의 힌지 모멘트(HINGE MOMENT) 관계식은? (단, Fe : 조종력, He : 승강키 힌지 모멘트, K : 조종계통의 기계적 장치에 의한 이득)

  1. Fe=K×He
  2. Fe=K÷He
  3. Fe=K2×He
  4. Fe=He÷K
(정답률: 78%)
  • 조종력 Fe는 승강키 힌지 모멘트 He에 비례하며, 이 비례 관계에서 비례 상수 K는 조종계통의 기계적 장치에 의한 이득을 나타낸다. 따라서 조종력 Fe와 승강키 힌지 모멘트 He의 관계식은 Fe=K×H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콥터에서 코닝(Coning)의 발생원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회전력과 원심력
  2. 기하학적 불균형
  3. 양력과 원심력
  4. 기하학적 비틀림
(정답률: 55%)
  • 헬리콥터의 회전 중에는 로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양력과 원심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 양력과 원심력은 로터 블레이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로터 블레이드는 중심축 주변으로 비틀리게 되고 이를 코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에서 코닝의 발생원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양력과 원심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날개의 공기역학적 중심이 비행기의 무게중심 앞 0.05있으며, 공기역학적 중심주위의 키놀이 모멘트 계수가 -0.016이다. 양력계수 CL이 0.45인 경우 무게중심 주위의 모멘트 계수는 얼마인가? (단, 공기역학적 중심과 무게중심은 같은 수평선상에 놓여 있다.)

  1. 0.45
  2. 0.05
  3. 0.0065
  4. -0.016
(정답률: 51%)
  • 먼저, 공기역학적 중심과 무게중심이 같은 수평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은 두 점의 수평거리가 0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무게중심 앞 0.05에 공기역학적 중심이 위치하므로, 무게중심 뒤쪽에 공기역학적 중심이 위치하게 됩니다.

    모멘트 계수는 해당 점에서의 모멘트를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공기역학적 중심에서의 모멘트 계수가 -0.016이라는 것은 공기역학적 중심에서 앞쪽으로 힘이 작용할 때, 무게중심 주위의 모멘트가 -0.016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양력계수 CL이 0.45일 때, 날개의 양력은 무게의 0.45배가 됩니다. 이 양력이 공기역학적 중심에서 작용하게 되면, 무게중심 주위의 모멘트는 CL x (공기역학적 중심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x (-1)이 됩니다. 여기서 (-1)은 앞쪽으로 힘이 작용할 때 모멘트가 음수가 되기 때문에 곱해준 것입니다.

    따라서, CL x (공기역학적 중심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x (-1) = 0.45 x 0.05 x (-1) = -0.0225입니다. 이 값을 공기역학적 중심에서의 모멘트 계수로 나누어주면, 무게중심 주위의 모멘트 계수가 됩니다. 따라서, -0.0225 / -0.016 = 1.40625이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006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헬리콥터의 전진비행에서 깃이 받는 상대풍속은 어느 위치에서 최대 가 되는가? (단, 꼬리 회전날개가 있는 부분을 0°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날개가 회전한다.)

  1. 90°
  2. 180°
  3. 270°
(정답률: 61%)
  • 헬리콥터의 전진비행에서는 회전날개가 앞으로 향하며, 이때 깃은 회전날개와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깃이 받는 상대풍속은 회전날개가 수평을 이루는 90° 위치에서 최대가 된다. 이 위치에서는 상대풍속이 깃에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중 배수(ldad factor) n을 구하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L는 양력이고, W는 항공기 전체 무게이다.)

  1. n=W/L
  2. n=L/W
  3. n=WL/2
  4. n=(L+W)/2
(정답률: 63%)
  • 하중 배수는 항공기가 얼마나 많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양력(Lift)과 항공기 전체 무게(Weight)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n=L/W"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양력은 항공기가 공중에서 부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힘이며, 이는 항공기의 날개와 같은 부피가 큰 부분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양력은 항공기의 무게보다 작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중 배수는 항공기가 얼마나 많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양력(L)이 항공기 전체 무게(W)보다 작은 값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양력(L)을 항공기 전체 무게(W)로 나누어주는 것이 올바른 식이다. 따라서 "n=L/W"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는 어느 것인가?

  1. 비행선
  2. 활공기
  3. 비행기
  4. 헬리콥터
(정답률: 66%)
  • 비행선은 공기 중에서 가스 상태인 히소겐 기체를 사용하여 부유하며, 공기보다 훨씬 가벼우므로 다른 항공기들보다 더 가볍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에서 안정성이 가장 좋은 비행기는 어느 것인가?

  1. 높은 날개(High wing) 비행기
  2. 중간 날개(Mid wing) 비행기
  3. 낮은 날개(Low wing) 비행기
  4. 높은 날개 비행기가 아니면 안정성은 대체로 좋은 편이다.
(정답률: 63%)
  • 높은 날개(High wing) 비행기는 날개가 비행기의 상단에 위치하여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중력 중심과 날개 중심이 가까워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낮은 날개(Low wing) 비행기와 달리 지면과의 거리가 높아서 지면과의 접촉이 적어 안정성이 더욱 높습니다. 따라서 안정성이 가장 좋은 비행기는 높은 날개(High wing) 비행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리벳(Rivet)의 부품번호 AN 470 AD 3-5에서 AD는 무엇을 뜻하는가?

  1. 리벳의 머리모양
  2. 리벳의 직경
  3. 리벳의 재질 기호
  4. 리벳의 열처리 기호
(정답률: 71%)
  • AD는 리벳의 재질 기호를 뜻합니다. 리벳의 부품번호는 리벳의 크기, 형태, 재질 등을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도 재질은 알파벳으로 표기됩니다. 예를 들어, A는 알루미늄, S는 스테인리스 스틸, C는 탄소강 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N 470 AD 3-5에서 AD는 리벳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육안검사 시 사용되는 보어스코프 중 거꾸로 비추어 뒤쪽을 볼 수 있는 것은?

  1. Direct-Vision Borescope
  2. Right Angle Borescope
  3. Retro Spective Borescope
  4. Foroblique Borescope
(정답률: 70%)
  • 정답인 Retro Spective Borescope는 거꾸로 비추어 뒤쪽을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입니다. Retro는 "거꾸로"를 의미하며, Spective는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etro Spective Borescope는 거꾸로 비추어 뒤쪽을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라는 뜻입니다. Direct-Vision Borescope는 직접적으로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 Right Angle Borescope는 직각으로 비추어 볼 수 있는 보어스코프, Foroblique Borescope는 전방사진을 찍는 보어스코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 지상취급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견인 작업
  2. 계류 작업
  3. 연료 보급
  4. 항공기 유도
(정답률: 55%)
  • 항공기가 이륙하거나 비행 중에는 연료를 소모하게 되므로, 출발 전에 충분한 양의 연료를 보충해야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지상취급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연료 보급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 타이어를 교환하거나 바퀴의 베어링에 그리스를 주입하기 위해 한쪽 바퀴만 들어 올릴 때 사용하는 잭(jack)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메인잭(main jack)
  2. 호이스트 잭(hoist jack)
  3. 테일 잭(tail jack)
  4. 싱글 베이스 잭(single base jack)
(정답률: 80%)
  • 싱글 베이스 잭은 한쪽 바퀴만 들어올릴 때 사용하는 잭으로, 다른 잭들은 항공기 전체를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싱글 베이스 잭은 작은 부분만 들어올리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작업이 빠르고 쉽습니다. 또한, 항공기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유지보수 작업에서 한쪽 바퀴만 들어올릴 때는 싱글 베이스 잭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문장이 뜻하는 올바른 단어는?

  1. skin
  2. spar
  3. stringer
  4. rib
(정답률: 41%)
  • 이 그림은 선박의 구조물 중 하나인 "spar"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kin"은 선박의 외부를 덮는 판자, "stringer"는 선박 내부를 지지하는 보, "rib"는 선박의 뼈대를 이루는 뼈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구조물이 "spar"이기 때문에 정답은 "spa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치수측정 검사를 뜻하는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교검사법
  2. 와류검사법
  3. 몰입검사법
  4. 침투측정법
(정답률: 83%)
  • 치수측정 검사는 제품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을 측정하여 규격에 맞는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비교검사법은 측정 대상과 규격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검사 방법들은 각각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하며, 비교검사법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파괴검사의 종류에서 침투 탐상검사를 하려고 한다. 필요로 하는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처리용 세제(solvent), 침투액, 침투액 제거제, 현상제
  2. 물, 침투액, 비눗물, 현상제, X선
  3. 비눗물, 침투액, 자분, 현상제
  4. 솔벤트, 침투액, 자분, 현상제
(정답률: 70%)
  • 침투 탐상검사는 재료 내부의 결함을 찾기 위해 침투액을 사용하여 표면에 침투시킨 후 침투액을 제거하고 현상제를 사용하여 결함을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처리용 세제(solvent)는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고, 침투액은 결함을 찾기 위해 필요하며, 침투액 제거제는 침투액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며, 현상제는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처리용 세제(solvent), 침투액, 침투액 제거제, 현상제"가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영문 중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승강타
  2. 수평안정판
  3. 방향타
  4. 수직안정판
(정답률: 85%)
  • 이미지에서 밑줄 친 부분은 "승강타" 입니다. 승강타는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내리기 위해 사용되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미지에서 보이는 구조물은 승강타이며, 이용객이 비행기에 탑승하거나 내릴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할 때 주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두께 측정은 가능한 캘리퍼스죠(jaw) 바깥쪽을 이용해서 측정한다.
  2. 측정할 때 측정기구에 과도한 힘을 주지 않는다.
  3. 회전하고 있는 물체는 측정하지 않는다.
  4. 눈금을 읽을 때는 시선을 눈금과 직각의 위치에 두고 읽도록 한다.
(정답률: 76%)
  • "회전하고 있는 물체는 측정하지 않는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이유는 회전하고 있는 물체는 측정 시점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 전에 회전을 멈추거나 안정화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굴곡작업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작업표시는 유성펜을 사용한다.
  2. 굴곡부에 생기는 신축 등 가혹한 조건을 받는 곳에는 판의 그레인(Grain)방향에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3. 성형점(Mold point)은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이다.
  4. 릴리프 홀(Relief Hole)의 위치는 릴리프홀의 바깥 주위가 적어도 안쪽 굴곡접선의 교차부분에 접해 있어야 한다.
(정답률: 53%)
  • 작업표시, 그레인 방향, 릴리프 홀의 위치는 모두 굴곡작업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이지만, 성형점은 굴곡작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따라서 성형점은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성형점은 단순히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을 의미하며, 굴곡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안전결선 작업을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하는 데 사용되는 공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Diagonal Cutter
  2. Wire Twister
  3. Slip joint plier
  4. Needle nose plier
(정답률: 87%)
  • Wire Twister는 안전결선 작업에서 빠르고 일관성 있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구입니다. 다른 공구들은 전선을 자르거나 굽히는 데에 적합하지만, Wire Twister는 전선을 빠르게 연결하고 안전하게 고정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결선 작업에서 가장 적합한 공구는 Wire Tw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응력 외피의 작은 손상은 원형 패치(circular patch)로 수리하는데 원형 패치를 다른 용어로는 무엇이라 하는가?

  1. 8각형 패치
  2. 스트링어 패치
  3. 플러쉬 패치
  4. 디스 패치
(정답률: 32%)
  • 플러쉬 패치는 응력 외피의 작은 손상을 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형 패치로, 손상 부위와 같은 높이로 맞추어 부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부착된 패치와 주변 부위가 평평하게 맞닿아 물리적인 접착력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플러쉬"는 "평평한"이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로,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원형 패치를 플러쉬 패치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포말 소화기는 어떤 소화방법에 해당하는가?

  1. 냉각소화방법
  2. 질식소화방법
  3. 빙결소화방법
  4. 희석소화방법
(정답률: 84%)
  • 포말 소화기는 질식소화방법에 해당합니다. 포말 소화기는 소화제를 분말 형태로 가지고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분말을 뿌려서 산소를 차단하여 화염을 질식시키는 방법으로 소화합니다. 이 방법은 불꽃이나 열에 의해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에서 효과적이며, 물이나 기타 액체 소화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격납고 내의 항공기에 배유작업이나 정비작업 중의 접지(ground)사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공기 자체와 연료차, 항공기 자체와 지면, 연료차와 지면에 접지한다.
  2. 전기 스위치에나 공작물에 접지 한다.
  3. 항공기 자체 저지선이 되어 이으므로 이중으로 접지 할 필요가 없다.
  4. 전기기기나 스위치를 off하면 작업 중 접지가 필요 없다.
(정답률: 80%)
  • 항공기 내부에서는 전기적인 충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지가 필요합니다. 항공기 자체와 연료차, 항공기 자체와 지면, 연료차와 지면에 접지함으로써 전기적인 충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볼트와 너트를 고정하고 풀 때 사용되는 공구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볼트나 너트를 조일 때에는 손으로 어느 정도 조인 다음 렌치를 사용한다.
  2. 각종 렌치를 사용할 때에는 되도록 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야 한다.
  3. 작업 중에는 손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익스텐션 바를 사용 시는 한손으로 바를 잡고 작업한다.
(정답률: 57%)
  • 각종 렌치를 사용할 때에는 되도록 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는 이유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볼트나 너트가 더욱 단단히 고정되어 풀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볼트나 너트가 더 쉽게 풀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직공간이 제한된 곳에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명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리이드 스크류 드라이버
  2. 프린스 스크류 드라이버
  3. 오프세트 스크류 드라이버
  4. 래치드 스크류 드라이버
(정답률: 62%)
  • 수직공간이 제한된 곳에서 사용하기 위해 스크류 드라이버의 새로운 형태가 필요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류 드라이버의 새로운 형태인 오프세트 스크류 드라이버가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머리와 손잡이가 일직선이 아니라 오프셋되어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프세트 스크류 드라이버가 수직공간이 제한된 곳에서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명칭으로 가장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를 활주로나 유도로상에서 항공기를 견인할 때 유도선을 따라 견인하게 되는 데, 이때 유도선(taxing line)은 어떤 색인가?

  1. 검정색
  2. 녹색
  3. 황색
  4. 흰색
(정답률: 67%)
  • 유도선은 황색이다. 이는 국제항공운송협회(ICAO)에서 규정한 색상으로, 항공기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표시된 색상이다. 또한, 황색은 시인성이 높아서 시야가 좋지 않은 날씨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 보이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용시간 한계를 정한 것으로 정기적으로 분해, 수리 또는 폐기 할 수 있는 구성품이나 부품에 적용되는 정비용어는?

  1. 비행시간
  2. 하드타임
  3. 사용한계
  4. 정비이월
(정답률: 64%)
  • 하드타임은 사용시간 한계를 정한 것으로, 일정한 사용시간 이후에는 구성품이나 부품을 분해, 수리 또는 폐기해야 하는 정비용어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사용시간 한계와 관련된 용어로서 하드타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의 중량, 강도 등 감항성에 영향을 끼치는 작업은 다음 중 어 디에 속하는가?

  1. 경미한 정비
  2. 예방정비
  3. 수리
  4. 개조
(정답률: 58%)
  • 항공기의 중량, 강도 등을 변경하는 작업은 개조에 해당합니다. 개조는 항공기의 기능, 성능, 구조 등을 개선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중량, 강도 등을 변경하는 작업은 개조에 해당하며, 경미한 정비, 예방정비, 수리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상태의 불량을 판정하기 용이한 기체구조 및 각 계통의 정비품에 대 해서 정기적인 점검과 시험을 실시하는 정비 방식은?

  1. 하드타임
  2. 온-컨디션
  3. 온-모니터링
  4. 컨디션-모니터링
(정답률: 51%)
  • 온-컨디션은 기계나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시험을 통해 상태의 불량을 빠르게 감지하여 조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체구조와 각 계통의 정비품을 모니터링하므로 상태의 불량을 판정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운영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용시간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Engine rating은?

  1. 이륙정격(Take-off rating)
  2. 최대연속정격(Maximum continuous rating)
  3. 최대상승정격(Maximum climb rating)
  4. 최대순항정격(Maximun cruise rating)
(정답률: 61%)
  • 이륙정격은 엔진이 이륙할 때 사용하는 최대 출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엔진이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하여 비행기를 빠르게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용시간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Engine rating은 이륙정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저출력 항공기의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크랭크축 또는 캠축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볼 베어링
  2. 롤러 베어링
  3. 테이퍼롤러 베어링
  4. 평형 베어링
(정답률: 42%)
  • 저출력 항공기의 왕복기관은 고속 회전을 동반하므로, 베어링의 내부 마찰과 열 발생이 큰 문제가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형 베어링이 사용됩니다. 평형 베어링은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 요소가 많아서 제작이 어렵지만, 내부 마찰과 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고속 회전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저출력 항공기의 왕복기관에는 평형 베어링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왕복 기관에서 밸브 시트 페이스(valve seat face) 각도로 가장 올 바른 것은?

  1. 20° 또는 35°
  2. 30° 또는 45°
  3. 40° 또는 55°
  4. 50° 또는 65°
(정답률: 60%)
  • 왕복 기관에서 밸브 시트 페이스의 각도는 엔진의 성능과 연료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중에서도 30° 또는 45° 각도가 가장 올바른 것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30° 또는 45° 각도는 밸브와 시트 페이스 사이의 접촉 면적이 적절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밸브가 열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시트 페이스와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밸브의 누출을 방지하고 밸브의 수명을 연장시킵니다.

    둘째, 30° 또는 45° 각도는 연소실 내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최적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연소 효율성을 높이고 연료 소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왕복 기관에서 밸브 시트 페이스의 각도로는 30° 또는 45° 각도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음속 항공기에 사용되는 공기 흡입구 덕트(lntake Duct) 형태는?

  1. 수축형
  2. 확산형
  3. 대류형
  4. 수축-확산형
(정답률: 67%)
  • 초음속 항공기에서는 고속 비행 시 공기 압축과 열팽창이 발생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 흡입구 덕트는 수축-확산형으로 디자인됩니다. 수축형 부분에서는 공기가 압축되어 속도가 증가하고, 확산형 부분에서는 공기가 팽창되어 속도가 감소합니다. 이렇게 공기의 속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엔진에 안정적인 공기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공에서 연소가 불안정 하며 시동 시 과열을 일으키기 쉬운 연소실 형은?

  1. 애뉼러형
  2. 캔형
  3. 캔 애뉼러형
  4. 리버스 후로우 애뉼러형
(정답률: 63%)
  • 고공에서는 공기가 밀도가 낮아서 연소가 불안정해지고, 시동 시 과열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소실 형태가 안정적이고 과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가 적합합니다. 캔형은 연소실 내부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기의 흐름이 안정적이며, 냉각 효과도 좋아서 과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공에서는 캔형이 적합한 연소실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기관으로 들어가는 공기량을 구하기 위하여 벤튜리에 적용되는 가정 중 틀린 것은?

  1. 열의 출입이 많다.
  2. 기계적 일이 없다.
  3. 입구와 목부분 사이의 높이 차는 무시할 정도이다.
  4. 마찰이 없고 비압축성이다.
(정답률: 18%)
  • 정답은 "열의 출입이 많다."입니다.

    벤튜리는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유체가 흐르는 관의 단면이 좁아지는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 때, 유체의 속도는 관의 단면이 좁아지는 부분에서 가장 빠르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면 기관으로 들어가는 공기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벤튜리에 적용되는 가정 중 "열의 출입이 많다."는 틀린 가정입니다. 이는 벤튜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온도 변화가 크거나, 열원이 가까이 있어서 유체의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유체의 밀도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유체의 속도가 변화하여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벤튜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열의 출입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용 왕복기관에서 윤활유를 채취하여 윤활유 분광시험을 한 결과 알루미늄 합금입자가 검출되면 어느 부분에 이상이 있는가?

  1. 피스톤 및 기관내부의 결함
  2. 마스터 로드 실의 파손
  3. 부싱 및 밸브가이드 부분의 마멸
  4. 밸브 스프링 및 베어링의 파손
(정답률: 29%)
  • 알루미늄 합금입자가 검출된 것은 피스톤 및 기관내부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입니다. 피스톤이나 기관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마모가 심해져서 알루미늄 합금입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계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고, 결국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은 즉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4행정기관의 밸브개폐 시기가 다음과 같을 때 밸브 오버랩(valve overlap)은 얼마인가?

  1. 30°
  2. 60°
  3. 180°
  4. 240°
(정답률: 70%)
  • 밸브 오버랩은 한 실린더의 배기 밸브가 닫히기 전에 다른 실린더의 흡기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1번 실린더의 배기 밸브가 30도 전에 닫히고, 4번 실린더의 흡기 밸브가 30도 후에 열리므로, 두 밸브의 열림/닫힘 구간이 겹치는 시간이 30도이기 때문에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에 해당되는 가스터빈 기관은 무엇인가?

  1. 터보 팬 기관
  2. 터보프롭 기관
  3. 램 제트 기관
  4. 터보 제트 기관
(정답률: 60%)
  • 이 그림은 터보 제트 기관을 나타냅니다. 이유는 가스터빈 기관 중에서도 압축기와 연소기 사이에 있는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관이며, 터보 제트 기관은 이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비행기 등을 움직이는 엔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지름형 터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통 소형기관에만 사용된다.
  2. 제작이 간편하고 비교적 효율이 좋다.
  3. 단 마다의 팽창비가 4.0 정도로 높다.
  4. 단수를 증가시키면 효율이 증가된다.
(정답률: 32%)
  • 단수를 증가시키면 효율이 증가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는 단수가 증가하면 각 단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지름형 터빈에서는 최적의 단수를 찾아서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터보제트 기관에서 저발열량이 12,000 ㎉/㎏인 연료를 1초 동안에 0.13㎏씩 소모한다고 할 때, 추력 비연료 소비율 (TSFC)은 약 몇 ㎏/㎏·h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76
  2. 0.16
  3. 0.20
  4. 0.08
(정답률: 22%)
  • TSFC는 추력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TSFC를 구하기 위해서는 추력과 연료 소비량을 알아야 한다.

    먼저, 연료 소비량은 1초 동안에 0.13kg이므로, 1시간 동안에는 0.13kg x 3600초 = 468kg이 된다.

    추력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추력이 1kN이라고 가정하겠다.

    그러면 TSF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SFC = 연료 소비량 / 추력
    TSFC = 468kg / 1000N
    TSFC = 0.468kg/N

    여기서 N을 kN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TSFC = 0.468kg/kN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kg/㎏·h로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값을 변환해주어야 한다.

    TSFC = 0.468kg/kN x 1000N/1kN x 3600s/1h x 1kg/1000g
    TSFC = 0.00168kg/g x 3600s/h
    TSFC = 6.048kg/h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으로 주어진 "0.08"은 계산 결과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트엔진의 소음감소 장치라 할 수 없는 배기노즐은?

  1. 다수 튜브제트 노즐형
  2. 주름살형(꽃모양형)
  3. 소음흡수 라이너 부착
  4. 블록커 도어 부착
(정답률: 50%)
  • 블록커 도어 부착은 제트엔진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용 가솔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발열량이 커야 한다.
  2. 기화성이 좋아야 한다.
  3. 앤티노크성(antiknocking value)이 작아야 한다.
  4. 베이퍼 로크(vapor lock)를 잘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59%)
  • 앤티노크성(antiknocking value)이 작아야 한다는 것은, 가솔린이 연소할 때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성분들이 적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폭발이 일어나면 엔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앤티노크성이 낮은 가솔린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용 왕복기관에서 공랭식 냉각 계통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냉각 핀(Cooling Fin)
  2. 배플(Baffle)
  3. 카울 플랩(Cowl Flap)
  4. 라디에이터(Radiator)
(정답률: 75%)
  • 항공기용 왕복기관에서 공랭식 냉각 계통은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공기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냉각된 공기는 라디에이터를 통해 방출됩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는 공랭식 냉각 계통에서 엔진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관계가 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산소의 기체상수(㎏·m/㎏ °K)는?

  1. 19.26
  2. 26.49
  3. 29.27
  4. 30.26
(정답률: 29%)
  • 산소의 기체상수는 R = R_기체/분자량 으로 계산됩니다. 산소(O2)의 분자량은 32 g/mol 이므로, R_기체(일반 기체상수)인 8.31 J/(mol·K)를 0.032 kg/mol로 나누어 계산하면, 26.49 (㎏·m/㎏ °K)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6.4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터빈 기관의 기본적인 연료계통에 대한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주연료펌프-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 매니폴드-연료 여과기-연료 노즐
  2. 주연료펌프-연료 여과기-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 -연료 노즐
  3. 주연료펌프-연료 여과기-연료 매니폴드-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 노즐
  4. 주연료펌프-연료여과기-연료조정장치- 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 매니폴드-연료 노즐
(정답률: 67%)
  • 주연료펌프가 가장 먼저 나와야 합니다. 이후에는 연료여과기로 연료를 정화하고, 연료조정장치로 연료의 양과 압력을 조절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여압 및 드레인밸브로 연료의 압력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연료를 배출합니다. 그리고 연료 매니폴드를 통해 연료를 분배하고, 마지막으로 연료 노즐을 통해 연료를 분사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주연료펌프-연료여과기-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 매니폴드-연료 노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스터빈 시동 중 시동이 시작된 후 기관의 회전수가 완속 회전수까지 증가하지 않고 이보다 낮은 회전수에 머물러 있는 현상은?

  1. 과열시동(hot start)
  2. 완속시동(slow start)
  3. 결핍시동(hung start)
  4. 점화불능(NO ignition)
(정답률: 83%)
  • 결핍시동은 연료의 공급이 부족하여 기관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아 회전수가 증가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이는 연료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연료 필터나 연료 펌프 등의 고장으로 인해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결핍"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관 부품에 윤활이 적절하게 될 수 있도록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는 윤활 계통 구성품은?

  1. 윤활유 냉각기
  2.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
  3. 윤활유 여과기
  4. 윤활유 압력계기
(정답률: 90%)
  •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는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여 기관 부품에 적절한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품입니다. 이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부품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윤활유의 효율적인 유동성을 유지하여 기계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터빈 연소실내에 사용되는 2차 공기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2차 공기는 연소기 온도를 증가시킨다.
  2. 2차 공기는 연소기 압력을 증가시킨다.
  3. 2차 공기는 인너 라이너를 냉각시킨다.
  4. 2차 공기는 에너지를 더 많이 확보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2차 공기는 인너 라이너를 냉각시킨다."입니다.

    가스터빈 연소실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되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가스가 인너 라이너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인너 라이너는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됩니다. 이에 따라 인너 라이너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2차 공기가 사용됩니다. 2차 공기는 연소실 내부에 주입되어 인너 라이너를 냉각시키고, 이를 통해 인너 라이너의 변형과 손상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온도(Temperature)의 척도로써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및 절대온도를 사용한다. 섭씨 850℃는 화씨(℉)로 몇 도인가?

  1. 1562℉
  2. 450℉
  3. 1587℉
  4. 490℉
(정답률: 59%)
  • 섭씨온도와 화씨온도 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화씨온도 = (섭씨온도 × 1.8) + 32

    따라서, 섭씨 850℃를 화씨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화씨온도 = (850 × 1.8) + 32 = 1530 + 32 = 1562℉

    따라서, 정답은 "15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항공용 왕복 기관용 계기가 아닌 것은?

  1. 실린더 헤드 온도계
  2. N1 회전계
  3. 연료 압력계
  4. 윤활유 온도계
(정답률: 71%)
  • N1 회전계는 항공기 엔진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계기이며, 나머지 세 개의 계기는 항공기 엔진의 상태를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따라서 N1 회전계가 항공용 왕복 기관용 계기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축류식 압축기에서 단당 압력상승 중 로터 깃이 담당하는 압력상승의 백분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반작용
  2. 작용
  3. 충동도
  4. 반동도
(정답률: 43%)
  • 축류식 압축기에서 로터 깃은 회전하는 동안 공기를 압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로터 깃이 담당하는 압력상승의 백분율을 반동도라고 합니다. 이는 로터 깃이 회전하는 동안 공기를 압축하면서 생기는 반작용력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마스터와 아티큘레이터(master and articulater) 커넥팅로드는 주로 어떤 기관에 사용되는가?

  1. 직렬형 기관
  2. 수평 대향형 기관
  3. V형 기관
  4. 성형 기관
(정답률: 57%)
  • 마스터와 아티큘레이터 커넥팅로드는 주로 성형 기관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성형 기관에서 사용되는 기계들이 정밀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마스터와 아티큘레이터 커넥팅로드를 통해 정확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관에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성형 기관에서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에서 원심식 압축기의 구성품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 한 것은?

  1. 흡입구, 디퓨져, 노즐
  2. 임펠러, 디퓨져, 매니폴드
  3. 임펠러 노즐, 매니폴드
  4. 임펠러, 로터, 스테이터
(정답률: 82%)
  • 원심식 압축기는 공기를 흡입구에서 흡입하여 임펠러를 통해 회전시키고, 디퓨져를 통해 압력을 증가시키며, 매니폴드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임펠러, 디퓨져, 매니폴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에 사용되는 윤활유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저온에서 최대의 유동성을 갖추어야 한다.
  2. 산화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한다.
  3. 최대 냉각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최소이어야 한다.
(정답률: 65%)
  • 항공기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고속 회전하는 엔진 내부에서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산화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합니다. 산화가 발생하면 윤활유의 특성이 변하고, 엔진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