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7-15)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7-07-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NACA 5자 계열의 날개골을 표시한 다음의 보기에서 밑줄 친 '18'이 의미하는 것은?

  1. 최대 두께가 시위의 18% 이다.
  2. 최대 두께의 크기가 시위의 18% 이다.
  3.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8% 이다
  4. 평균 캠버선의 뒤쪽 18% 가 직선이다.
(정답률: 71%)
  • NACA 5자 계열의 날개골에서 '18'은 최대 두께가 날개 길이의 18%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날개 길이의 18% 지점에서 날개 두께가 가장 두꺼워지며, 이후로는 점점 얇아집니다. 이는 날개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설계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방향키 부유각(rudder float ang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방향키를 자유로 하였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
  2. 방향키를 작동시켰을 때 방향키가 왼쪽으로 변위되는 각
  3. 방향키를 작동시켰을 때 방향키가 오른쪽으로 변위되는 각
  4. 방향키를 작동시켰을 때 방향키가 왼쪽과 오른쪽으로 변위되는 각
(정답률: 79%)
  • 정답은 "방향키를 자유로 하였을 때 공기력에 의해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입니다. 이는 방향키가 공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방향키를 작동시키면 방향키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변위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부유각이 아닌 조종면 각도에 의한 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제 공기 중에서 프로펠러 1회전 당 깃이 진행한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평균 공력 피치(mean aerodynamaic pitch)
  2. 유효 피치(effective pitch)
  3. 산술적 피치(geometric pitch)
  4. 기하학적 피치 (geometric pitch)
(정답률: 83%)
  • 프로펠러의 유효 피치는 실제 공기 중에서 프로펠러 1회전 당 깃이 진행한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평균 공력 피치와는 다르게, 프로펠러의 실제 효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공기의 밀도, 압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측정됩니다. 따라서 유효 피치는 프로펠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항공기의 날개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서 레이놀즈수와 천이점과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문제 오류로 복원중입니다. 보기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레이놀즈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천이점은 앞전 부근으로 이동한다.
  2. 레이놀즈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천이점은 앞전부근으로 이동한다.
  3. 레이놀즈와 천이점이 같아지는 점에서 최대의 항력이 발행한다.
  4. 복원중
(정답률: 92%)
  • 레이놀즈수가 커지면 공기의 점성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날개의 앞쪽에서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고, 뒤쪽에서는 느려지게 되어 천이점이 앞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레이놀즈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천이점은 앞전 부근으로 이동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가 V의 속도를 갖고 수평선에 대해 θ의 각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 상승률 (rate ofclimb)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V× cosθ
  2. V× tanθ
  3. V2 × cosθ
  4. V× sinθ
(정답률: 39%)
  • 비행기의 상승률은 비행기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속도를 말합니다. 이때 비행기의 수평속도는 V이고, 비행기가 상승하는 각도는 θ입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속도는 V× sinθ입니다. 이는 삼각함수의 정의에 따라 비행기의 상승각도에 대한 세타의 사인값이 비행기의 상승률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체의 흐름과 관련하여 동압(dynamiac pressur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속도에 비례하고, 밀도에는 반비례한다.
  2.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밀도에 비례한다.
  3. 속도와 밀도에 반비례한다.
  4. 속도에 비례하고, 밀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73%)
  • 동압은 유체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속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운동에너지가 압력으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입자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같은 속도에서는 더 많은 입자들이 충돌하게 되어 압력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동압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밀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공기가 등속도 수평비행을 하는 조건식으로 옳은 것은?

  1. L = W, T = D
  2. L = T, W = D
  3. L ≦ D, W ≧ T
  4. L > W, T > D
(정답률: 80%)
  • 항공기가 등속도 수평비행을 하는 조건식은 "L = W, T = D" 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승력(Lift)과 중력(Weight)이 같아야 하며, 항력(Drag)과 추진력(Thrust)이 같아야 한다는 원리에 기반합니다. 즉, 항공기가 수평으로 등속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위아래로의 힘과 앞뒤로의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L = W, T = D"가 옳은 조건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헬리콥터의 총중량이 700kg, 회전 날개의 반지름이 2.5m, 회전 날개 깃수가 2개일 때의 원판 하중은 약 얼마인가?

  1. 30.65 ㎏/m2
  2. 35.65 ㎏/m2
  3. 61.30 ㎏/m2
  4. 142.60 ㎏/m2
(정답률: 65%)
  • 원판 하중은 회전 날개가 만드는 상승력과 중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상승력은 회전 날개의 회전 속도와 날개 깃수, 반지름 등에 영향을 받으며, 중력은 헬리콥터의 총중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회전 날개의 반지름과 깃수가 주어졌으므로, 상승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회전 속도를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회전 속도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회전 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중력만을 고려하여 원판 하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헬리콥터의 총중량은 700kg이므로, 중력은 700kg × 9.8m/s2 = 6860N입니다. 회전 날개의 넓이는 원판의 넓이와 같으므로, 원판 하중은 중력을 회전 날개의 넓이로 나눈 값입니다.

    원판의 넓이는 반지름이 2.5m인 원의 넓이와 같으므로, 원판의 넓이는 π × (2.5m)2 = 19.63m2입니다. 따라서 원판 하중은 6860N ÷ 19.63m2 = 349.7N/m2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g/m2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kg/m2로 변환해야 합니다. 1N은 0.10197kg의 무게와 같으므로, 349.7N/m2은 35.65kg/m2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5.65 ㎏/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가 가속도 없이 정상비행 할 경우 하중 배수는 얼마인가?

  1. 0
  2. 0.5
  3. 1.0
  4. 1.5
(정답률: 82%)
  • 비행기가 가속도 없이 정상비행을 유지하면, 비행기의 상승력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때 하중 배수는 1.0이 됩니다. 즉, 비행기의 무게와 상승력이 같아지므로 하중 배수는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절대압력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압력이 측정되는 곳에 대기압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된 압력이다.
  2. 완전진공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3. 대기압과 계기압력의 차이다.
  4. 해면에서의 절대압력은 항상 0(ZERO)이다.
(정답률: 53%)
  • 절대압력은 완전진공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완전진공은 공기가 없는 상태로 압력이 0인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절대압력은 어떤 위치에서든지 완전진공을 0 압력으로 측정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큰 날개와 꼬리날개에 의한 무게중심 주위의 키놀이 모멘트 MC.G관계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MC.G = MC.GWING - MC.GTAIL
  2. MC.G = MC.GWING + MC.GTAIL
  3. MC.G = MC.GWING × MC.GTAIL
  4. MC.G = MC.GWING ÷ MC.GTAIL
(정답률: 78%)
  • 정답은 "MC.G = MC.GWING + MC.GTAIL"입니다.

    이유는 날개와 꼬리날개는 비행기의 무게중심 주위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며, 이들이 만드는 모멘트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집니다. 따라서 이 두 모멘트를 더해야 전체적인 무게중심 주위의 키놀이 모멘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 날개에서 영양력 받음각(zero lift angeleof attack)이란 무엇인가? (단, CD : 항력계수, CL : 양력계수이다.)

  1. CD = 0 일 때의 받음각
  2. CL = 0 일 때의 받음각
  3. CD = 0 이고 , CL ≠ 0 일 때의 받음각
  4. CD ≠ 0 이고 , CL ≠ 0 일 때의 받음각
(정답률: 79%)
  • 비행기의 날개는 공기를 분리하여 위아래로 나누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비행기의 날개가 일정한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각도를 받음각이라고 합니다.

    CL은 양력계수로, 비행기의 날개가 발생시키는 양력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CL = 0일 때, 날개는 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받음각은 0이 됩니다. 따라서 "CL = 0 일 때의 받음각"이 정답입니다.

    CD는 항력계수로, 비행기의 날개가 발생시키는 항력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CD = 0일 때, 날개는 항력을 발생시키지 않지만, 양력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받음각은 0이 아닐 수 있습니다.

    "CD = 0 이고, CL ≠ 0 일 때의 받음각"과 "CD ≠ 0 이고, CL ≠ 0 일 때의 받음각"은 CL 값이 0이 아니므로,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받음각은 0이 아닐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헬리콥터의 수직꼬리 날개를 장착한 이유로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빗놀이 모멘트로 반작용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2. 키놀이 모멘트로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3. 옆놀이 모멘트로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4. 키놀이와 옆놀이 모멘트로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63%)
  • "빗놀이 모멘트로 반작용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부조종면은 어느 것인가?

  1. 도움날개
  2. 승강키
  3. 플랩
  4. 방향키
(정답률: 86%)
  • 플랩은 비행기의 날개 뒷부분에 위치한 부조종면으로, 이를 조작하여 날개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비행기의 고도를 조절하거나 착륙 시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플랩이 다음 부조종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고양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드래그 슈트
  2. 경계층제어 장치
  3. 앞전 플랩
  4. 슬롯
(정답률: 56%)
  • 드래그 슈트는 비행기의 고양력을 증가시키는 장치가 아닙니다. 드래그 슈트는 비행기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양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인 고양력 장치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문장이 뜻하는 올바른 단어는?

  1. skin
  2. spar
  3. stringer
  4. rib
(정답률: 54%)
  • 이 그림은 선박의 구조물 중 하나인 "spar"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kin"은 선박의 외부를 덮는 판재, "stringer"는 선박 내부를 지지하는 보강재, "rib"는 선박의 뼈대를 이루는 뼈대재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구조물은 "spa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의 중량, 강도, 기관의 성능 등 감항성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작업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경미한 정비
  2. 예방 정비
  3. 수리
  4. 개조
(정답률: 60%)
  • 개조는 항공기의 구조나 기능을 변경하여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항공기의 중량, 강도, 기관의 성능 등을 개선하는 작업은 개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URN-BUCKLE로 연결할 때, 안전하게 결합 (잠김)된 상태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나사산이 3~4개 이상이 보여서는 안 된다.
  2. 나사산이 전혀 나오지 않게 잠겨져야 한다.
  3. CABLE을 장착하고 TURN BUKLE을 2회만 잠그면 된다.
  4. BARREL 중앙부의 양측에서 꼽은 부분이 서로 닿도록 잠겨져야 한다.
(정답률: 66%)
  • 나사산이 3~4개 이상이 보여서는 안 된다는 이유는, 너무 많은 나사산이 노출되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무 많은 나사산이 노출되면 외부 충격에 의해 나사가 풀리거나, 다른 물체와 부딪히면서 나사가 꺾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나사산은 최소한으로 노출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AN 45 - 6볼트(BULT)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미 공·해군 표준으로서 지름은 5/16 in, 길이는 6/8 in
  2. 미 공·해군 표준으로서 지름은 5/8 in, 길이는 6/16 in
  3. 미 국립항공 기준으로서 지름은 5/16 in, 길이는 6/8 in
  4. 미 국립항공 기준으로서 지름은 5/8 in, 길이는 6/16 in
(정답률: 49%)
  • AN 45 - 6볼트는 미 공·해군 표준으로서 지름이 5/16 in이고 길이가 6/8 in인 볼트입니다. 이는 볼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인 인치(in)로 표기되며, 지름과 길이는 분수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미 공·해군 표준으로서 지름은 5/16 in, 길이는 6/8 i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접지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전기 축적을 막는다.
  2. 정전기 축적을 시킨다.
  3. 번개의 위험을 벗어나기 위한 작업이다.
  4. 모든 항공기에는 접지 장치가 별도로 있다.
(정답률: 52%)
  • 정전기 축적을 시킨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접지의 목적은 정전기 축적을 막는 것입니다. 정전기는 물체 간 마찰이나 분리 등으로 발생하는 전하가 축적되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정전기가 축적되면 전기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지는 이러한 정전기를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축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포말 소화기는 어떤 소화방법에 해당하는가?

  1. 냉각소화방법
  2. 질식소화방법
  3. 빙결소화방법
  4. 희석소화방법
(정답률: 84%)
  • 포말 소화기는 질식소화방법에 해당합니다. 포말 소화기는 소화제를 분사하여 산소를 차단하여 불꽃을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합니다. 이 방법은 화재 현장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화재를 진압하는 동안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외부세척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식 세척
  2. 건식 세척
  3. 광택 작업·
  4. 블라스트 세척
(정답률: 73%)
  • 블라스트 세척은 항공기 외부에 쌓인 녹, 오염물, 부식물 등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척 방법들은 물을 사용하거나 화학제품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이지만, 블라스트 세척은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항공기 외부세척 방법은 블라스트 세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 지상안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항공기를 운항할 때 조종에 관계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
  2. 지상에서 고압가스를 취급할 경우 사고 방지에 유의 하는 것
  3. 겨울철에 지상에서 항공기를 취급할 경우 사고방지에 유의 하는 것
  4. 항공기 정비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에 대비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
(정답률: 70%)
  • "지상에서 고압가스를 취급할 경우 사고 방지에 유의하는 것"입니다. 이는 항공기 지상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내용으로, 다른 산업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계기계통의 배관을 식별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색깔로 구분된 테이프를 감아 두는데 이 때 붉은 색은 어떤 계통의 배관을 나타내는가?

  1. 윤활 계통
  2. 압축공기 계통
  3. 연료 계통
  4. 화재방지 계통
(정답률: 68%)
  • 붉은 색은 연료 계통의 배관을 나타낸다. 이는 연료가 불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즉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붉은 색으로 구분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 기체의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구조 검사에 관계되는 것은?

  1. A 점검
  2. C 점검
  3. ISI 점검
  4. D 점검
(정답률: 72%)
  • ISI 점검은 Internal Structural Inspection(내부구조 검사)의 약자로, 항공기 내부의 구조물 및 시스템을 검사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기체의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구조 검사에 관계되는 것은 ISI 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각 점검(VISUAL CHECK)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2.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3.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보조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다만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 이다.
  4.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정답률: 84%)
  • 시각 점검은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서 보조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다만 육안으로 점검하는 것입니다. 즉,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 상태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보조장비나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상태를 점검하는 것을 말하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anti-icing
  2. refrigeratioin
  3. de-icing
  4. combustion
(정답률: 60%)
  • 위 그림은 비행기의 엔진 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행기가 고도가 높은 상공을 비행할 때는 주변 온도가 매우 낮아 얼음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때, 엔진 부분에 얼음이 생성되면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심지어는 엔진이 멈출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엔진 부분에는 얼음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를 "anti-icing" 장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nti-ic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리벳의 제거 작업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1. 줄 작업
  2. 센터 펀치
  3. 드릴링
  4. 펀치 제거
(정답률: 65%)
  • 리벳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벳이 고정되어 있는 줄을 자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줄 작업"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입니다. 이후에는 센터 펀치를 사용하여 리벳의 중심에 구멍을 뚫고, 드릴링을 통해 리벳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펀치를 사용하여 리벳의 잔여 부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비파괴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분탐상검사
  2. 방사선투과검사
  3. 와전류탐상검사
  4. 현미경조직검사
(정답률: 88%)
  • 현미경조직검사는 조직을 살펴보기 위해 샘플을 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므로 비파괴검사가 아닙니다. 반면, 자분탐상검사, 방사선투과검사, 와전류탐상검사는 물체의 내부를 파악하기 위해 비파괴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크 작업 시 사용하는 다음의 공구 중 작은 토크값으로 스크루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preset torque driver
  2. deflecting beam torque wrench
  3. rigid frame torque wrench
  4. audible indicating torque wrench
(정답률: 62%)
  • 작은 토크값으로 스크루를 체결할 때는 preset torque driver를 사용합니다. 이는 미리 설정된 토크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체결이 멈추는 공구로, 정확한 토크값을 유지할 수 있어서 체결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스트링어(stringer)가 절단되어 수리를 할 할 경우, 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보강하는 재료의 다면적이 스트링어의 단면적 보다 작아야 한다.
  2. 장착할 리벳의 수를 계산한다.
  3. 손상길이는 각각 플랜지 길이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4. 스트링어의 보강 방식을 결정한다.
(정답률: 67%)
  • 스트링어의 단면적은 보강하는 재료의 다면적보다 크면 보강재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수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강하는 재료의 다면적은 스트링어의 단면적보다 작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소 측정값이 1/50mm인 버니어캘리퍼스에서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1. 4.52
  2. 4.70
  3. 4.72
  4. 4.75
(정답률: 79%)
  • 버니어캘리퍼스는 최소 측정값이 1/50mm이므로, 가장 가까운 1/50mm 단위로 측정한 값이 정답이 됩니다. 그림에서 측정한 값은 4.72mm이므로, 정답은 4.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축에 장착된 기어나 베어링 등을 빼낼 때 사용하는 공구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adjustable wrench
  2. socket
  3. puller
  4. rachet handle
(정답률: 50%)
  • 축에 장착된 기어나 베어링 등을 빼낼 때는 puller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puller가 축에 밀착하여 작동하며, 기어나 베어링 등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adjustable wrench, socket, rachet handle은 이러한 작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비 품질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정비 품질의 규격을 설정한다.
  2. 품질보증의 수단이 된다.
  3. 정비 품질의 표준화 계획을 작성 실천한다.
  4. 결과를 평가하여 원가를 산정한다.
(정답률: 79%)
  • 정비 품질관리에서 결과를 평가하여 원가를 산정하는 것은 정비 작업의 비용을 파악하고 향후 비용을 예측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정비 품질관리의 목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비용 관리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해서 내식성을 증가시키고 도장작업의 접착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식방지 처리작업은 무엇인가?

  1. 파커라이징(parkerizing)
  2. 알로다인잉(alodining)
  3. 어닐링(anealing)
  4. 플레이팅(plating)
(정답률: 77%)
  • 알로다인잉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의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증가시키고 도장작업의 접착효과를 증진시키는 부식방지 처리작업입니다. 이는 알루미늄 산화물이 표면에 형성되어 부식을 방지하고, 도장작업 시 적절한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알로다인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배기 밸브(exhaust valve)내에 냉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들어가는 물질로 옳은 것은?

  1. 금속나트륨
  2. 프레온 가스
  3. 아마인유
  4. 오일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터빈기관의 점화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시동시에만 점화가 필요하다.
  2. 점화시기 조절 장치가 필요치 않다
  3. 왕복기관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다.
  4. 왕복기관에 비해 작동이 간편하다.
(정답률: 43%)
  • 왕복기관과 가스터빈기관은 역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가스터빈기관에서는 연소가 일어나는 곳과 가스가 확장되는 곳이 분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스터빈기관은 왕복기관보다 구조가 더 복잡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프로펠러의 추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공기의 밀도에 반비례한다.
  2. 점화시기 조절 장치가 필요치 않다.
  3. 프로펠러의 지름에 반비례한다.
  4. 추력계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44%)
  • 프로펠러의 추력은 공기의 밀도와 프로펠러의 회전속도, 프로펠러의 날개 각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중에서 공기의 밀도에 반비례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점화시기 조절 장치가 필요치 않습니다.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면 프로펠러의 추력도 감소하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높여서 보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엔진에서 사용시간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Engine rating은?

  1. 이륙정격(Take-off rating)
  2. 최대연속정격(maximun continuous rating)
  3. 최대상승정격(maximun climb rating)
  4. 최대순항정격(maximun cruise rating)
(정답률: 53%)
  • 가스터빈엔진은 사용시간에 제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다 보면 마모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진의 성능을 나타내는 Engine rating 중에서도 이륙정격(Take-off rating)은 엔진이 최대 출력을 내는 상황으로, 이륙 시에만 사용되는 엔진 출력입니다. 이에 따라 이륙정격은 다른 Engine rating에 비해 더 많은 열과 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시간에 제한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왕복기관에서 냉각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기관의 냉각효과를 조절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1. 피스톤 링
  2. 배플
  3. 카울 플랩
  4. 커프
(정답률: 51%)
  • 카울 플랩은 왕복기관에서 냉각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관의 냉각효과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기관 내부에서 냉각공기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열전달을 조절하고, 기관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카울 플랩은 기관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추력 비연료 소비율(TSFC)의 단위로 가장 옳은 것은?

  1. ㎏/h
  2. ㎏/㎏ㆍh
  3. ㎏/2sec2
  4. ㎏ㆍ㎏/sec
(정답률: 54%)
  • TSFC는 추력 1kg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TSFC의 단위는 "연료 소비량(kg) / 추력 발생 시간(h)" 입니다. 이를 간단히 표현하면 "㎏/㎏ㆍh"가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추력과 연료 소비량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단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 왕복기관의 직접 연료 분사장치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주 공기 블리이드
  2. 연료분사펌프
  3. 주 조정장치
  4. 분사노즐
(정답률: 55%)
  • 주 공기 블리이드는 직접 연료 분사장치의 구성품이 아닙니다. 이는 항공기 엔진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 분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트엔진의 소음감소장치로 가장 먼 것은?

  1. 다수 튜브제트 노즐형
  2. 주름살형(꽃모양)
  3. 소음 흡수 라이너부착
  4. 블록커 도어 부착
(정답률: 54%)
  • 블록커 도어 부착은 제트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제트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법이지만, 블록커 도어 부착은 외부로 소음이 노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씨(℉)에서 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로 옳은 것은?

  1. 어는 온도 : 32 ℉, 끓는 온도 : 212 ℉
  2. 어는 온도 : 0 ℉, 끓는 온도 : 100 ℉
  3. 어는 온도 : 32 ℉, 끓는 온도 : 192 ℉
  4. 어는 온도 : 0 ℉, 끓는 온도 : 273 ℉
(정답률: 57%)
  • 정답은 "어는 온도 : 32 ℉, 끓는 온도 : 212 ℉" 입니다. 이유는 화씨 온도 체계에서 물의 어는 온도는 32 ℉이고, 끓는 온도는 212 ℉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화씨 온도 체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의 상태 변화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기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윤활유에 요구 되는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저온에서 최대의 유동성이 갖추어야 한다.
  2. 산화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한다.
  3. 유성이 좋아야 한다.
  4.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최소이어야 한다.
(정답률: 54%)
  • 항공기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고속 회전하는 엔진 내부에서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산화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합니다. 산화가 발생하면 윤활유의 품질이 저하되어 엔진 내부의 부식과 마찰을 증가시키고, 결국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항공기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오일 여과기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by-passvalve)의 주된 기능은 무엇인가?

  1. 릴리이프 밸브(relief valve)의 역할을 한다.
  2. 오일 냉각기 둘레로 오일을 직접 보내준다.
  3. 오일을 보기 부분으로 보낸다.
  4. 여과기가 막힐 경우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정답률: 87%)
  • 오일 여과기가 막힐 경우, 바이패스 밸브는 여과기를 우회하여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는 엔진 내부의 오일 유동성을 유지하고 오일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여과기가 막힐 경우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관의 냉각 계통 중에서 실린더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기를 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냉각효과를 증진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배플
  2. 카울 플랩
  3. 냉각 핀
  4. 방열기
(정답률: 61%)
  • 배플은 항공기 엔진의 냉각 계통에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여 실린더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기를 고르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냉각 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엔진 내부의 고온 가스를 냉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엔진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대형 항공기에서 압축기 부분에 물분사나 물-알콜분사를 하는 주 목적은 무엇인가?

  1. 기관 내구성을 증가를 위하여
  2. 부식 방지를 위하여
  3. 엔진 청결을 위하여
  4. 추력 증가를 위하여
(정답률: 79%)
  • 압축기는 항공기 엔진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분사나 물-알콜분사는 압축기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을 낮추어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공기의 밀도를 높여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력 증가를 위하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스터빈 기관에서 공기가 기관을 통과하면서 얻은 운동 에너지에 의한 동력과 추진동력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열효율
  2. 추진효율
  3. 전효율
  4. 추력중량비
(정답률: 67%)
  • 가스터빈 기관에서 공기가 기관을 통과하면서 얻은 운동 에너지는 동력으로 변환되어 기관을 움직이게 됩니다. 이때, 동력으로 변환된 운동 에너지 중에서 실제로 추진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추진동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추진동력과 동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추진효율입니다. 추진효율이 높을수록 기관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터빈 기관의 연소실에서 직접연소에 이용되는 공기량은 연소실을 통과하는 공기의 약 몇 %정도인가?

  1. 5 ~ 10%
  2. 10 ~ 15%
  3. 25 ~ 35%
  4. 40 ~ 50%
(정답률: 68%)
  • 가스터빈 기관은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으로, 연소실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됩니다. 그러나 연소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가스터빈 기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연소에 이용되는 공기량은 전체 공기량의 일부분입니다. 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25 ~ 35%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실린더 헤드에 장착되어 있는 밸브 구성품 중에서 한쪽 끝은 밸브 스템에 접촉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푸시로드와 접촉되어 밸브를 열고 같게 하는 구성품은?

  1. 밸브 스프링
  2. 밸브
  3. 로커 암
(정답률: 73%)
  • 로커 암은 밸브 스템과 푸시로드를 연결하여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한쪽 끝은 밸브 스템에 접촉하고, 다른 한쪽 끝은 푸시로드와 접촉하여 밸브를 열고 같게 합니다. 캠은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지만, 로커 암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습니다. 밸브 스프링은 밸브를 닫는 역할을 하지만, 로커 암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커 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스터빈엔진을 장착한 항공기 연료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무게당 발열량이 적어야 한다.
  2. 어는점이 높아야 한다.
  3.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4.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52%)
  • 가스터빈엔진은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엔진으로, 연료로 사용되는 유류는 고온과 고압에도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증기압이 낮은 연료가 선택되어야 합니다. 증기압이 높은 연료는 고온과 고압에서 증발하여 가스터빈엔진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압이 낮은 연료가 가스터빈엔진에 적합한 연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현재의 세계 민간 항공기에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기관은?

  1. 터보샤프트 기관
  2. 터보프롭 기관
  3. 터보팬 기관
  4. 터보제트 기관
(정답률: 54%)
  • 터보팬 기관은 터보제트 엔진과 프로펠러 엔진의 장점을 결합한 형태로, 고속과 경제성을 모두 갖춘 항공기 엔진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터보팬 기관은 고속 비행에 적합한 터보제트 엔진과 저속 비행에 적합한 프로펠러 엔진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현재의 민간 항공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터빈엔진의 공기흡입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바꾸어 준다.
  2. 흡입덕트에서 와류나 압력분포의 차이가 있으면 압축기 실속을 일으키기 쉽다.
  3. 외부물질에 의한 기관 손상을 F.O.D라 하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을 설치한 엔진도 있다.
  4. 흡입덕트 입구벽 내부에는 연소실에서 생성된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 방지장치가 있다.
(정답률: 31%)
  • "흡입덕트 입구벽 내부에는 연소실에서 생성된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 방지장치가 있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가스터빈엔진의 공기흡입계통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연소실에서 생성된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 방지장치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브레이톤 사이클(brayton cycle)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3. 2개의 정압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2개의 등온과정과 2개의 정적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65%)
  • 브레이톤 사이클은 열기관 사이클 중 하나로, 고온과 저온의 열을 이용하여 일을 생산하는 열기관이다. 이 사이클은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단열과정은 열이 주어지거나 빼앗기지 않는 과정으로, 열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압과정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으로, 일을 하거나 받는 경우에도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브레이톤 사이클은 2개의 단열과정과 2개의 정압과정으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스터빈 기관에서 배기노즐의 역할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고온의 배기가스 압력을 높여준다.
  2. 고온의 배기가스 속도를 높여준다.
  3. 고온의 배기가스 온도를 높여준다.
  4. 고온의 배기가스 체적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69%)
  • 가스터빈 기관에서 배기노즐은 고온의 배기가스를 빠르게 방출시켜 속도를 높여줍니다. 이는 가스터빈 기관의 효율을 높이고,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온의 배기가스 속도를 높여준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보조 점화 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배전기
  2. 부스터 마그네토
  3. 유도 바이브레이터
  4. 임펄스 커플링
(정답률: 35%)
  • 배전기는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보조 점화 장치가 아닙니다. 보조 점화 장치는 엔진의 점화를 돕는 장치로서, 부스터 마그네토, 유도 바이브레이터, 임펄스 커플링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왕복기관의 임계고도(critical altitude)는 다음 중 어느 것에 의해 결정되는가?

  1. 이륙마력
  2. 정격마력
  3. 제동마력
  4. 순항마력
(정답률: 49%)
  • 왕복기관의 임계고도는 정격마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왕복기관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엔진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정격마력 이상의 마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왕복기관이 고도를 높일수록 정격마력 이상의 마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임계고도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피스톤 헤드의 모양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면형
  2. 원형
  3. 오목형
  4. 돔(dome)형
(정답률: 50%)
  • 원형은 반지름이 가장 길기 때문에 다른 모양들보다 더 멀리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름이 130mm인 피스톤에 40 ㎏f/cm2 의 가스 압력이 작용하면 피스톤에 미치는 힘은 약 얼마인가?

  1. 4307 kgf
  2. 5307 kgf
  3. 6307 kgf
  4. 7307 kgf
(정답률: 59%)
  • 피스톤에 작용하는 힘은 가스 압력과 피스톤의 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힘 = 압력 × 면적

    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면적 = (반지름)2 × 파이

    따라서,

    면적 = (65mm)2 × 3.14

    면적 = 13266.5mm2

    가스 압력은 40 ㎏f/cm2 이므로,

    힘 = 40 × 13266.5

    힘 = 530660 gf

    단위를 kgf 로 변환하면,

    힘 = 530.66 kgf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5307 kgf"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