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공기의 흐름에 수직으로 놓여 있는 원통의 지름이 0.8m, 공기의 흐름속도가 360㎞/h일 때 원통주위 흐름의 레이놀즈수는 얼마인가? (단, 공기의 동점성계수는 0.2mm2/sec이다.)

  1. 2×105
  2. 3×105
  3. 4×106
  4. 5×106
(정답률: 50%)
  •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밀도, 속도, 길이 등의 변수에 따라 결정된다. 레이놀즈수가 크면 유체의 운동은 난류 형태로, 작으면 정상운동 형태로 일어난다.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e = (밀도 × 속도 ×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공기의 밀도, 속도는 공기의 흐름속도, 길이는 원통의 지름, 동점성계수는 문제에서 주어졌다.

    따라서, Re = (1.2kg/m³ × 360km/h × 0.8m) / 0.2×10⁻⁶m²/s ≈ 4×10⁶

    따라서 정답은 "4×10⁶"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마하수(Mach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의 속도가 같으면 마하수는 항상 같다.
  2. 항공기의 속도가 같더라도 대기온도가 높은 경우에 마하수가 더 커진다.
  3. 항공기의 속도가 같더라도 대기온도가 낮은 경우에 마하수가 더 커진다.
  4. 항공기의 속도가 같은 경우, 마하수는 대기 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항공기의 속도가 같더라도 대기온도가 낮은 경우에 마하수가 더 커진다."입니다.

    마하수는 항공기의 속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항공기의 속도를 음속(소리의 속도)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하수는 항상 음속의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음속은 대기온도에 따라 변화하는데, 대기온도가 낮을수록 음속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속도가 같더라도 대기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음속이 작아지므로 마하수가 더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해면에서의 대기온도가 15℃일 때 그 지역의 해면고도 2000m에서의 대기온도는 약 몇 ℃인가?

  1. 2
  2. 4
  3. 13
  4. 14
(정답률: 72%)
  • 해수면에서 해면고도가 2000m인 경우, 대기온도는 약 2℃씩 감소한다는 규칙이 있습니다. 따라서, 15℃에서 2℃씩 1000번 감소한 결과는 -1985℃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한 값이므로, 대기온도는 -2℃로 근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선회 자유운동
  2. 옆놀이 자유운동
  3. 승강키 자유운동
  4. 빗놀이 자유운동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인물이 승강키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승강키 자유운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고항력장치가 아닌 것은?

  1. 스포일러
  2. 슬롯
  3. 역추진장치
  4. 에어브레이크
(정답률: 84%)
  • 슬롯은 비행기의 날개에 있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장치로, 고항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항력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빗놀이(Yawing) 모멘트를 주기 위해 필요한 조종면은?

  1. 방향키 (Rudder)
  2. 승강키 (Elevator)
  3. 도움날개 (Aileron)
  4. 스포일러(Spoiler)
(정답률: 84%)
  • 방향키 (Rudder)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따라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빗놀이(Yawing) 모멘트를 주기 위해서는 방향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승강키 (Elevator)는 비행기의 상하 방향을 조절하며, 도움날개 (Aileron)는 비행기의 좌우 굽힘을 조절하고, 스포일러 (Spoiler)는 비행기의 고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기 밀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이용마력과 필요마력은 어떻게 변화 하는가?

  1. 모두 증가한다.
  2. 모두 감소한다.
  3. 이용마력은 감소하고 필요마력은 증가한다.
  4. 이용마력은 증가하고 필요마력은 감소한다.
(정답률: 39%)
  •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기 밀도가 감소하면, 동일한 부피의 공기 중에 있는 분자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곧 엔진에 들어가는 공기의 질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용마력과 필요마력 모두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 회전수(rpm)가 n일 때, 프로펠러가 1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sec)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1. 60 / n
  2. n / 60
  3. 60 / 2πn
  4. 2πn / 60
(정답률: 66%)
  • 프로펠러 회전수(rpm)는 1분당 회전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분(60초)을 회전수로 나눈 값이 됩니다. 따라서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 60 / n (단위: 초)

    예를 들어, 프로펠러 회전수가 1200rpm이라면 1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60/1200 = 0.05초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로진동과 방향진동이 결합된 것으로 대개 동적으로는 안정하지만 진동하는 성질 때문에 문제가 되는 현상으로 더치롤(Dutch roll)이라고도 하는 것은?

  1. 방향 불안정
  2. 나선 불안정
  3. 가로방향 불안정
  4. 세로 불안정
(정답률: 70%)
  • 가로진동과 방향진동이 결합되면서 비행기의 좌우로 흔들리는 동시에 방향을 잃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로방향 불안정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며, 조종사가 비행기를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항력 중 날개 끝에 발생하는 와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항력은?

  1. 마찰항력
  2. 유도항력
  3. 압력항력
  4. 조파항력
(정답률: 70%)
  • 날개 끝에 발생하는 와류로 인한 항력은 유도항력입니다. 이는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고속의 공기와 날개 중앙에서 발생하는 느린 공기가 만나면서 발생하는데, 이 때 고속의 공기는 날개 끝으로 향하게 되어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날개 끝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기가 빠르게 흐르게 되어 유도항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륙 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항력이 큰 활주 자세로 이륙한다.
  2. 비행기의 무게를 작게 한다.
  3. 기관의 출력을 작게 한다.
  4. 바람을 등지고 이륙한다.
(정답률: 72%)
  • 이륙 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비행기가 빠르게 상승하여 공중으로 떠오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항력을 최소화하고, 비행기의 속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비행기의 무게를 작게 하면 항력이 작아지고, 비행기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무게를 작게 하는 것이 이륙 활주거리를 짧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날개 끝 실속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끝 부근에서 공기의 흐름이 떨어지므로
  2. 날개 뿌리에서 공기의 흐름이 이어지므로
  3. 날개뿌리 부근에서 경계층을 두껍게 형성시켜 에너지를 얻으므로
  4. 날개 끝 부근에서 경계층을 두껍게 형성시켜 에너지를 얻으므로
(정답률: 85%)
  • 날개 끝 부근에서 공기의 흐름이 떨어지므로, 날개 끝 부근에서는 공기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날개 끝 부근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비행기나 새 등의 날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더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면, 날개 끝 부근에서는 더 많은 양의 양력이 발생하게 되어, 날개 끝 부근에서는 더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개의 주 회전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회전 날개에서 발생되는 토크(Torque)가 상쇄되어 조종성이 좋은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1.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
  2.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3.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4. 동축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정답률: 69%)
  • 동축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두 개의 회전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회전날개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상쇄되어 조종성이 좋습니다. 이는 다른 종류의 회전날개 헬리콥터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회전 중심의 이동과 회전 날개의 비대칭적인 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날개골(Airfoil) 각 부분의 명칭 중 앞전(lead-ing edge)을 연결하는 직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위
  2. 받음각
  3. 캠버
  4. 날개골 두께
(정답률: 76%)
  • 앞전을 연결하는 직선을 "시위"라고 합니다. 이는 날개골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받음각은 날개골의 상부 각도를 의미하며, 캠버는 날개골의 곡률을 나타냅니다. 날개골 두께는 날개골의 두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헬리콥터의 날개에 장착된 장치로 좌우 불균형 상태인 양력의 비대칭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1. 페더링 축
  2. 회전경사판
  3. 플래핑 힌지
  4. 주기적 피치 제어간
(정답률: 56%)
  • 플래핑 힌지는 헬리콥터의 날개에 장착된 장치로, 좌우 불균형 상태인 양력의 비대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날개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힌지로, 날개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하 대칭으로 움직이며, 이를 통해 비대칭 현상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장비품 정비 작업 중 작업장의 작업대에서 항공기의 부품 또는 구성품의 사용 가능성 여부 또는 조절, 수리, 오버홀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능 점검을 확인하는 작업은?

  1. A점검
  2. 벤치 점검
  3. D점검
  4. 공장 점검
(정답률: 60%)
  • 작업대에서 부품 또는 구성품을 분해하거나 조립하여 기능을 확인하는 작업을 벤치 점검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장비품 정비 작업 중 작업대에서 기능 점검을 확인하는 작업은 벤치 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사용할 때의 주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토크렌치는 정기적으로 교정 점검해야 한다.
  2. 힘은 토크렌치에 직각방향으로 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 토크렌치 사용 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볼트에 윤활해서는 안 된다.
  4. 토크렌치를 조이기 시작하면 조금씩 멈춰가며 지정된 토크를 확인한 후 다시 조인다.
(정답률: 65%)
  • "토크렌치를 조이기 시작하면 조금씩 멈춰가며 지정된 토크를 확인한 후 다시 조인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올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토크렌치는 지정된 토크 값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멈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조이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멈춰가며 토크 값을 확인하고 다시 조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스 파스너 (Dzus Fastener)에 그림과 같은 표식이 되어 있을 때 “50”이 의미하는 것은?

  1. 길이가
  2. 몸체의 직경이
  3. 길이가
  4. 몸체의 직경이
(정답률: 39%)
  • 주스 파스너의 “50”은 길이가 0.5인치 (1.27cm)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스 파스너의 몸체의 직경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 비자성체의 표면균열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은?

  1. 자분탐상검사
  2. 초음파 탐상검사
  3. 침투탐상검사
  4. 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60%)
  • 비자성체의 표면균열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침투시켜서 균열 내부에 있는 결함을 탐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가 가능한데, 다른 비파괴검사법들은 표면 위에서 직접적으로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비자성체의 표면균열을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안전에 관한 색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란색은 경고 또는 주의를 의미한다.
  2. 금지표지의 바탕은 하양, 기본모형은 빨강을 사용한다.
  3. 보호구의 착용을 지시할 때에는 초록과 하양을 사용한다.
  4. 위험장소를 나타내는 안전표시는 노랑과 검정의 조합으로 한다.
(정답률: 42%)
  • "금지표지의 바탕은 하양, 기본모형은 빨강을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기본모형은 하양이며, 금지표지는 빨강색으로 표시됩니다.

    보호구의 착용을 지시할 때에는 초록과 하양을 사용하는 이유는 초록색이 안전을 상징하고, 하양색이 깨끗함과 청결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색상 조합은 보호구를 착용해야 하는 작업장이나 공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정비관리업무 중에서 수요에 대해 정비 능력을 계산하고, 수익 차원에서 무슨 정비를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수행할 것인가를 계획하고, 조정하고, 통제하기 위한 목적의 업무는?

  1. 정비 자재관리
  2. 정비 기술관리
  3. 정비 훈련관리
  4. 정비 생산관리
(정답률: 47%)
  • 정비 생산관리는 수요에 대해 정비 능력을 계산하고, 수익 차원에서 무슨 정비를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수행할 것인가를 계획하고, 조정하고, 통제하기 위한 목적의 업무입니다. 다른 보기인 정비 자재관리, 정비 기술관리, 정비 훈련관리는 각각 자재, 기술, 인력 등을 관리하는 업무이며, 정비 생산관리는 이러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정비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비 생산관리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정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비는 안정성, 정시성, 쾌적성을 위한 것이다.
  2. 현재는 장비에 따라 경제적인 방식인 신뢰성 관리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3. 일정한 사용 한계 시간에 도달하면 오버홀을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예방 정비이다.
  4. 현재의 항공기 정비는 비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정비항목을 생략해야만 한다.
(정답률: 82%)
  • "현재의 항공기 정비는 비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정비항목을 생략해야만 한다."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항공기 정비는 안전과 정시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생략할 수 없습니다. 비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정비 계획과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감상성은 항공기가 비행에 적합한 안정성 및 신뢰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말하는 것이다.”에서 감항성을 영어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Inspection
  2. Airworthiness
  3. Maintenance
  4. Comfortability
(정답률: 80%)
  • 감상성은 항공기의 편안함과 관련된 것이지만, 주어진 문장에서는 항공기가 비행에 적합한 안정성 및 신뢰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 옳은 영어 표현은 "Airworthiness"입니다. "Airworthiness"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전류의 분포변화를 관찰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비파괴 검사법은?

  1. 침투탐상검사
  2. 와전류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90%)
  •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전류의 분포변화를 관찰하는 비파괴 검사법은 "와전류탐상검사"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전기적인 차이를 이용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침투탐상검사나 방사선투과검사와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분탐상검사는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 또한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렌치 개구 부분의 크기를 웜과 래그로 조절이 가능한 렌치는?

  1. 박스렌치
  2. 조절렌치
  3. 소켓렌치
  4. 래치팅 렌치
(정답률: 77%)
  • 조절렌치는 웜과 래그를 이용하여 렌치 개구 부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항공기 연료 보급 시 3점 접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와 지면
  2. 연료보급차량과 지면
  3. 급유자와 지면
  4. 항공기와 연료보급차량
(정답률: 82%)
  • 급유자는 연료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면에 접지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급유자와 지면"은 3점 접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해서 내식성을 증가시키고 도장작업의 접착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식 방지 처리 작업은?

  1. 어닐링 (annealing)
  2. 알로다이닝 (alodining)
  3. 플레이팅 (plating)
  4. 파커라이징 (parkerizing)
(정답률: 81%)
  • 알로다이닝은 알루미늄 표면에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내식성을 증가시키고 도장작업의 접착효과를 증진시키는 부식 방지 처리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알루미늄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을 형성시켜서 부식을 방지하고, 도장작업 시 표면의 접착력을 높여서 도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알로다이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hange 59°F to degrees °C?

  1. 15
  2. 48.6
  3. 74.2
(정답률: 82%)
  • To convert Fahrenheit to Celsius, we subtract 32 from the Fahrenheit temperature and then multiply the result by 5/9.

    So, for 59°F:

    (59°F - 32) x 5/9 = 15°C

    Therefore, the answer is "15" because that is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formul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구 사용 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부품에 알맞은 공구를 선택 사용한다.
  2. 간단한 공구는 사용 전에 교육이 필요치 않다.
  3.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녹 방지를 위하여 손질 한다.
  4. 금속칩이 발생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보안경을 쓴다.
(정답률: 92%)
  • "간단한 공구는 사용 전에 교육이 필요치 않다."는 틀린 주장입니다. 모든 공구는 사용 전에 안전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교육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망치를 사용할 때에도 올바른 자세와 힘을 가하는 방법, 안전한 작업장을 유지하는 방법 등을 배워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공구 사용 전에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 견인작업 (towing)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것은?

  1. 견인속도는 5mph 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항공기 견인 시에는 잭 포인트를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3. 견인봉은 견인차량으로부터 일단 분리하여 항공기에 장착한 다음 다시 견인봉을 견인 차량에 연결한다.
  4. 항공기의 유도선 (Taxing line)을 따라 견인 할 때에는 감독자의 판단에 따라 주변 감시자를 배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정답률: 34%)
  • 항공기의 유도선 (Taxing line)을 따라 견인 할 때에는 감독자의 판단에 따라 주변 감시자를 배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 항공기 견인 작업 시에는 항상 주변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고, 안전을 위해 감시자를 배치해야 한다.

    항공기 견인 시에는 잭 포인트를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 항공기 견인 시에는 항공기의 구조와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잭 포인트를 정확히 지정해야 안전하게 견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관 구조부재의 수리 방식이 아닌 것은?

  1. 피시 마우스 수리 방식
  2. 안쪽 슬리브 보강 방식
  3. 적층 구조재 수리방식
  4. 바깥쪽 슬리브 보강방식
(정답률: 44%)
  • 강관 구조부재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없기 때문에 적층 구조재 수리방식은 불가능합니다. 적층 구조재 수리방식은 여러 개의 층을 쌓아서 부재를 보강하는 방식인데, 강관 구조부재는 이미 하나의 단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 구조재 수리방식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 ) 안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B급, D급, C급, A급
  2. C급, B급, A급, D급
  3. C급, B급, D급, A급
  4. B급, C급, D급, A급
(정답률: 93%)
  • 주어진 그래프에서 A급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고, B급은 A급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D급은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C급은 D급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C급, B급, D급, A급 순서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최소 측정값이 1/1000in인 버니어 캘리퍼스의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몇 in인가?

  1. 0.366
  2. 0.367
  3. 0.368
  4. 0.369
(정답률: 84%)
  • 캘리퍼스의 첫 번째 눈금은 0.3in을 나타내고, 두 번째 눈금은 0.06in을 나타냅니다. 세 번째 눈금은 0.008in을 나타내므로, 측정값은 0.3in + 0.06in + 0.008in = 0.368i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36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요성 호스의 치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안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의 16분비로 표시한다.
  2. 안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의 8분비로 표시한다.
  3. 바깥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의 16분비로 표시한다.
  4. 바깥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의 8분비로 표시한다.
(정답률: 61%)
  • 가요성 호스의 치수는 안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를 16등분하여 표시한다. 이는 호스의 내부 지름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지름으로 표시하며, 1인치를 16등분하여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깥지름으로 표시하면 호스의 두께까지 포함되어 측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내부 지름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8분비로 표시하면 측정 정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16분비로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고압가스 취급시의 안전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산소는 가연성 물질이 아니어서 취급장소에 소화기의 비치는 필요치 않다.
  2. 산소를 취급하는 장비에는 유류 등을 발라 산소와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한다.
  3. 히드라진은 증발성이 강하므로 피부에 닿아도 상관없다
  4. 액체산소를 취급할 때는 장갑, 앞치마 및 고무장화 등을 착용해야 한다.
(정답률: 75%)
  • 액체산소는 극도로 냉각된 상태에서 저장되기 때문에, 인체와의 접촉 시 심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취급 시에는 보호장비인 장갑, 앞치마, 고무장화 등을 착용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대향형 엔진 실린더 헤드의 원통형 연소실과 비교하여 반구형 연소실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소의 전파가 좋아 연소효율이 높다.
  2. 흡·배기 밸브의 직경을 크게하므로 체적효율이 증가한다.
  3. 실린더 헤드의 제작이 쉽고 밸브 작동기구가 간단하다.
  4. 동일 용적에 대해 표면적을 최소로 하기 때문에 냉각 손실이 적다.
(정답률: 63%)
  • 실린더 헤드의 제작이 쉽고 밸브 작동기구가 간단하다는 것은 반구형 연소실의 장점이 아니라 단순히 실린더 헤드의 구조적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반구형 연소실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중 스풀 압축기(Dual Spool Compressor)에서 더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 조절하는 것은?

  1. 온도비
  2. 밀도비
  3. 압력비
  4. 바이패스비
(정답률: 68%)
  • 2중 스풀 압축기에서 더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 조절하는 것은 압력비입니다. 압력비는 압축기에서 입구에서 출구로 가는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의미합니다. 압력비가 높을수록 공기가 더 많이 압축되어 출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비를 높이면 더 많은 공기를 압축할 수 있어 더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왕복기관과 비교하여 가스터빈기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료 소모량이 적다.
  2. 기관의 진동이 적다.
  3. 고속비행이 가능하다.
  4. 추운 기후에서도 시동이 용이하다.
(정답률: 64%)
  • 가스터빈기관은 연료를 연소시켜 작동하는 원리가 아니기 때문에 연료 소모량이 적습니다. 대신에 고온과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초기 투자 비용도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관 부품에 윤활이 적절하게 될 수 있도록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는 윤활계통 장치는?

  1. 윤활유 냉각기
  2. 윤활유 여과기
  3. 윤활유 압력게이지
  4.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
(정답률: 79%)
  •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는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여 기관 부품에 적절한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윤활유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관작동 중 실린더 안에 있는 피스톤의 핀은 좌우 양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의 벽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피스톤 핀 리테이너를 사용하는데 이 형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반지형
  2. 스톱 베럴
  3. 스프링 링
  4. 비철금속 플러그
(정답률: 35%)
  • 피스톤 핀 리테이너는 피스톤 핀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스톱 베럴은 피스톤 핀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고,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톱 베럴은 피스톤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형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내부 에너지가 30kcal인 정지상태의 물체에 열을 가했더니 내부 에너지가 40kcal로 증가하고, 외부에 대해 854kg·m의 일을 했다면 외부에서 공급된 열량은 몇 kcal인가?

  1. 12
  2. 20
  3. 30
  4. 40
(정답률: 56%)
  • 내부 에너지가 30kcal에서 40kcal로 증가했으므로, 물체에 공급된 열은 10kcal이다. 외부에 대해 854kg·m의 일을 했으므로, 외부에서 공급된 열은 854J이다. 1kcal = 4184J 이므로, 외부에서 공급된 열은 854J ÷ 4184J/kcal = 0.204kcal 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급된 열은 약 0.2kcal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카르노 사이클에서 공급 열량이 100kcal 이고 방출열량이 40kcal일 때 열효율은?

  1. 0.4
  2. 0.5
  3. 0.6
  4. 0.7
(정답률: 53%)
  • 열효율은 (방출열량/공급열량)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40/100 = 0.4가 아닌, 1 - (방출열량/공급열량)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즉, 1 - (40/100) = 0.6이므로 정답은 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스터빈엔진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부분은?

  1. 흡입부분 (intake section)
  2. 터빈부분 (turbine section)
  3. 연소실부분 (Combustion section)
  4. 압축기부분 (Compressor section)
(정답률: 65%)
  • 가스터빈엔진에서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부분은 연소실부분입니다. 이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불이 붙어 가스를 생성하고, 이 가스가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실은 가스터빈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인 아음속항공기 제트기관의 배기노즐 형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확산형 배기노즐
  2. 가변면적형 배기노즐
  3. 수축형 배기노즐
  4. 수축-확산형 배기노즐
(정답률: 38%)
  • 일반적인 제트기관의 배기노즐은 확산형 배기노즐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확산형 배기노즐이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 가스를 느리게 확산시켜서 소음과 열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확산형 배기노즐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터빈기관에서 연소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도가 높아질수록 연소 효율도 높아진다.
  2. 연소효율은 공기의 속도가 클수록 높아진다.
  3. 연소효율은 압력 및 온도가 낮을수록 높아진다.
  4. 공급된 열량과 공기의 실제 증가된 에너지(엔탈피)의 비를 말한다.
(정답률: 57%)
  • 가스터빈기관에서 연소효율은 공급된 열량과 공기의 실제 증가된 에너지(엔탈피)의 비를 말합니다. 이는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에 비해 공기가 실제로 증가한 엔탈피가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연소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4행정 사이클 기관의 각 행정을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1. 피스톤 모양
  2. 크랭크축의 회전 속도
  3. 폭발력이 세기
  4. 피스톤과 밸브의 위치
(정답률: 60%)
  •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각 행정을 구분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피스톤과 밸브의 위치입니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피스톤과 밸브의 역할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피스톤은 연소가 일어나는 실린더 내부에서 압력을 생성하고, 밸브는 공기와 연료를 실린더 내부로 유입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피스톤과 밸브의 위치에 따라 각 행정의 역할이 결정되며, 이를 기준으로 4행정 사이클 기관의 각 행정을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스터빈기관 연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점성이 낮아야 한다.
  2.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3. 어는점이 낮아야 한다.
  4.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50%)
  • 인화점이 낮아야 하는 이유는, 가스터빈기관에서 연료는 고온과 고압 상태에서 연소되기 때문에, 인화점이 높은 연료는 연소가 어렵고, 연소가 되더라도 불완전한 연소가 일어나서 연료 소비량이 많아지고, 배기가스에 유해물질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은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동점도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cSt
  2. Btu/ib
  3. cm2/s
  4. Stokes
(정답률: 40%)
  • Btu/ib는 에너지 단위와 질량 단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동점도의 단위가 아닙니다. 동점도는 유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cSt, cm^2/s, Stokes는 모두 동점도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2개의 깃을 가진 프로펠러의 궤도검사에서 두 깃에 대한 궤도허용 한계값은 몇 인치인가?

  1. 1/8
  2. 1/16
  3. 1/24
  4. 1/32
(정답률: 63%)
  • 프로펠러의 궤도검사에서 두 깃 사이의 궤도허용 한계값은 깃 간격의 절반입니다. 따라서 두 깃 간격이 작을수록 궤도허용 한계값은 작아집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1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압력분사식 기화기에서 고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혼합비가 조절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압력 조절 장치
  2. 연료 조절 장치
  3. 주 미터링 장치
  4. 자동 혼합 조절 장치
(정답률: 87%)
  • 압력분사식 기화기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연료와 공기의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혼합 조절 장치가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고도 변화에 따라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 혼합 조절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후기연소기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료분무막대
  2. 화염 유지기
  3. 예열 플러그
  4. 배기노즐
(정답률: 57%)
  • 후기연소기는 연료분무막대, 화염 유지기, 배기노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열 플러그는 후기연소기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열 플러그는 디젤 엔진에서 사용되며, 엔진의 차가운 상태에서 연료를 불태우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후기연소기는 이미 화염이 발생한 후에 배기가 처리되는 부분이므로 예열 플러그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상 엔진 화재 (Ground Engine Fire) 발생 시 취해야 할 조치가 아닌 것은?

  1. 소화를 위하여 물 (water)을 분사한다.
  2. 엔진의 크랭킹 또는 모터링 (Cranking or Motoring) 한다.
  3. 연료 차단 레버 (Fuel Shut-Off Laver)를 "Off" 위치로 한다.
  4. 화재가 진화되지 않으면 모든 스위치(Switch)를 안전하게 차단하고 항공기를 떠난다.
(정답률: 56%)
  • "소화를 위하여 물 (water)을 분사한다."는 오히려 지상 엔진 화재를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상 엔진은 물 대신 화재 진압제를 사용해야 하며, 물을 사용하면 화재가 더 번지거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최근 대형 항공기에 장착된 가스터빈기관의 점화계통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Glow 플러그
  2. 유도형 점화계통
  3. Battery형 플러그
  4. 용량형 점화계통
(정답률: 40%)
  • 용량형 점화계통은 가스터빈기관의 점화를 위해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여 고출력의 점화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대형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가스터빈기관의 큰 용량과 고출력에 적합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됩니다. Glow 플러그는 작은 엔진에서 사용되며, 유도형 점화계통은 점화 스파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Battery형 플러그는 배터리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터빈기관 항공기에서 엔진 추력을 결정하는 계기로 사용되는 것은?

  1. EPR (Engine Pressure Ratio)
  2. EGT (Engine Gas Temperature)
  3. OIL Pressure Indicator
  4. Fuel Flow Indicator
(정답률: 57%)
  • EPR은 엔진 입구와 출구의 압력 차이를 나타내는 비율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엔진의 추력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 항공기에서 엔진 추력을 결정하는 계기로 EPR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성능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배기밸브 면이나 밸브 스팁 부분에 마멸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작 또는 얇게 입혀주는 재질은?

  1. 마그네슘 합금
  2. 황동
  3. 알루미늄 합금
  4. 스텔라이트
(정답률: 60%)
  • 스텔라이트는 고강도 및 내식성이 뛰어나며, 내열성과 마멸 저항성이 높은 합금으로, 고성능 왕복기관에서 사용되는 배기밸브 면이나 밸브 스팁 부분에 입혀주는 재질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텔라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점화플러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전달 능력에 따라 Hot, Normal, Cold 형으로 분류한다.
  2. 저온으로 작동되는 기관에서 Cold 점화플러그를 사용한다.
  3. 점화플러그는 전극의 재질은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이 사용된다.
  4. 점화플러그는 전극, 세라믹 절연체, 금속 셀(metal shell)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48%)
  • 정답: "저온으로 작동되는 기관에서 Cold 점화플러그를 사용한다."

    이유:
    저온으로 작동되는 기관에서는 연소 과정이 더딘데, 이는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각된 점화플러그를 사용하여 연료와 공기를 더 잘 혼합시키고, 더욱 효율적인 연소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으로 작동되는 기관에서는 Cold 점화플러그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스터빈기관 중 압축공기를 압축기로 보내고 일부를 연소시키지 않고 엔진 뒤쪽으로 분출하는 형식의 엔진으로서 다량의 배기가스를 비교적 저속으로 분출시키면서 추력을 얻도록 설계되어 있는 기관은?

  1. 터보제트 기관
  2. 터보프롭 기관
  3. 터보팬 기관
  4. 터보샤프트 기관
(정답률: 41%)
  • 가스터빈기관은 압축기로 압축한 공기를 연소시켜 추력을 얻는 기관이지만, 터보팬 기관은 일부를 연소시키지 않고 엔진 뒤쪽으로 분출하는 형식으로 다량의 배기가스를 비교적 저속으로 분출시키면서 추력을 얻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과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는 터보팬 기관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출력 기관에서 냉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배기 밸브 (Exhaust Valve) 내에 들어가는 물질은?

  1. 오일
  2. 프레온 가스
  3. 아마인유
  4. 금속 나트륨
(정답률: 72%)
  • 고출력 기관에서 발생하는 열은 냉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배기 밸브 내부에는 금속 나트륨이 사용됩니다. 이는 높은 열전도성과 높은 냉각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속 나트륨은 고출력 기관에서 냉각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역추력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추가적인 연소기관이 필요하다.
  2. 방향 전환 능력을 돕기도 한다.
  3. 공기역학적 차단과 기계적 차단 장치들이 있다.
  4. 제동 장치의 수명을 연장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42%)
  • "추가적인 연소기관이 필요하다."는 역추력 장치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연료를 연소시켜서 추진력을 만들어내는 추가적인 엔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왕복기관에서 과급기 (Supercharge)가 없는 기관의 매니폴드 압력과 대기압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높은 고도에서만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다.
  2. 낮은 고도에서만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다.
  3. 고도와 관계없이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과 같다
  4. 고도와 관계없이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다.
(정답률: 66%)
  • 과급기가 없는 기관에서는 매니폴드 압력이 항상 대기압보다 낮습니다. 이는 고도와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이유는 과급기가 없는 기관에서는 기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매니폴드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