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다음 중 압력을 표시하는 단위가 아닌 것은?

  1. N/m2
  2. mmHg
  3. lb-in
  4. hPa
(정답률: 71%)
  • "lb-in"은 토크(회전력)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가 아닙니다. 따라서 "lb-i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초음속 공기의 흐름에서 통로가 좁아질 때 일어나는 현상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2. 압력과 속도가 동시에 증가한다.
  3.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4. 압력과 속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정답률: 78%)
  • 초음속 공기의 흐름에서 통로가 좁아질 때, 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입구와 출구의 공기의 질량이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좁아진 통로에서 공기 입자들은 서로 밀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날개의 공기역학적 중심이 비행기의 무게중심 앞 0.05에 있고, 공기역학적 중심주위의 키놀이 모멘트계수는 -0.016이다. 양력계수가 0.46인 경우 무게중심 주위의 모멘트 계수는 얼마인가? (단, 공기역학적 중심과 무게중심은 같은 수평선상에 놓여 있다.)

  1. 0.45
  2. 0.05
  3. 0.0065
  4. 0.007
(정답률: 2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도항력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2.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비례한다.
  3. 날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4. 양력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49%)
  •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비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유도항력은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날개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와 "양력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날개의 가로세로비에 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날개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지 유도항력의 크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뒷전 플랩 중 하나로 날개의 일부가 쪼개진 모양으로 내림으로써 날개 윗면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흐름의 떨어짐을 지연시키는 플랩은?

  1. 슬롯과 슬랫
  2. 스플릿 플랩
  3. 크루거 플랩
  4. 드루프 플랩
(정답률: 41%)
  • 스플릿 플랩은 날개의 일부가 쪼개져 내려가면서 날개 윗면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흐름의 떨어짐을 지연시키는 플랩입니다. 다른 보기인 슬롯과 슬랫은 날개 윗면의 공기를 분리시켜 날개 아래쪽으로 유도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크루거 플랩은 날개 후면에 위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여 추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드루프 플랩은 날개 후면에 위치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여 추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스플릿 플랩과는 다르게 날개 윗면의 공기 흐름을 강제적으로 빨아들이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헬리콥터의 기관이 정지하여 자동회전을 할 때 회전날개의 회전수는 어떻게 변화되는가?

  1.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2.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3. 일정 높이까지는 감소되면서 하강하고 그 후 일정속도를 유지한다.
  4. 일정 높이까지는 감소되면서 하강하고 그 후 일정하게 증가한다.
(정답률: 73%)
  • 자동회전은 헬리콥터의 기관이 정지하여 회전력을 잃었을 때 사용하는 비상 착륙 기술입니다. 이때 회전날개의 회전수는 일정 높이까지는 감소되면서 하강하고, 그 후 일정속도를 유지하는 이유는 회전날개가 공기를 받아들이면서 상승하는 역학적인 힘과, 지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여 상승하는 역학적인 힘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역학적인 힘들이 균형을 이루면서 회전날개의 회전수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에서 주기적 피치 제어간(Cyclic pitch control lever)으로 조종할 수 없는 비행은?

  1. 전진비행
  2. 상승비행
  3. 측면비행
  4. 후퇴비행
(정답률: 65%)
  • 상승비행은 헬리콥터가 수직으로 상승하는 비행으로, 주기적 피치 제어간으로는 공기 역학적인 이유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는 상승비행 시 헬리콥터의 중심축이 회전하면서 주기적 피치 제어간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승비행은 메인로터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상유체가 벤츄리관(Ventury tube)을 정상흐름 상태로 통과할 때, 이 흐름의 전압(Total pressu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같다.
  2. 해당 위치의 동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3. 해당 위치의 정압(Static pressure)에 비례한다.
  4. 해당 위치의 동압(Dynamic pressure)에 비례한다.
(정답률: 42%)
  • 이상유체가 벤츄리관을 통과할 때, 전압은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같다. 이는 벤츄리관 내부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서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압력 변화는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전압도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따라서,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같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날개 끝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 끝의 붙임각을 날개 뿌리의 받음각보다 작거나 크게 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쳐든각
  2. 기하학적 비틀림
  3. 뒤젖힘각
  4. 기계적 비틀림
(정답률: 69%)
  • 정답은 "기하학적 비틀림"입니다. 이는 날개 끝의 붙임각을 날개 뿌리의 받음각보다 작거나 크게 하여 날개 끝이 더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비행 시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기술적인 조치로, 날개의 형태를 최적화하여 비틀림을 적용합니다. 이러한 비틀림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지며, 날개의 구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게가 600㎏인 비행기가 이륙하여 1분 후에 고도 600m로 비행하고 있다면 이 비행기의 상승률은 몇 m/s인가?

  1. 1
  2. 10
  3. 60
  4. 600
(정답률: 55%)
  • 상승한 고도는 600m이고, 이륙한 시간은 1분(60초)이므로, 상승한 거리는 600m이다.

    상승률 = 상승한 거리 ÷ 시간

    상승률 = 600m ÷ 60초 = 10m/s

    따라서, 이 비행기의 상승률은 1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비행기가 착륙 시 활주로 위의 일정한 높이에서 실속속도 이상의 속도로 강하하는데 그 이유로 옳은 것은?

  1. 주날개에서 발생하는 임계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2. 꼬리날개에서 발생하는 유도항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3. 더욱 빠른 실속을 유도하여 착륙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4. 지면 부근의 돌풍에 의한 비행기의 자세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64%)
  • 비행기가 착륙 시 활주로 위의 일정한 높이에서 실속속도 이상의 속도로 강하하는 이유는 "지면 부근의 돌풍에 의한 비행기의 자세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입니다. 지면 부근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불안정하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비행기의 자세가 교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는 일정한 높이에서 실속속도 이상의 속도로 강하면서, 지면 부근의 돌풍에 의한 자세 교란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착륙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종면의 뒷전 부분에 부착시키는 작은 플랩의 일종으로 큰 받음각에서 캠버를 증가시켜 수평 꼬리날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혼 밸런스
  2. 도살핀
  3. 앞전 밸런스트
(정답률: 65%)
  • 탭은 수평 꼬리날개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작은 플랩으로, 큰 받음각에서 캠버를 증가시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탭은 수평 꼬리날개의 기능을 보완하는 장치로서 "혼 밸런스", "도살핀", "앞전 밸런스트"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가 항력을 이겨서 계속 비행하는데 필요한 마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용마력
  2. 제동마력
  3. 여유마력
  4. 필요마력
(정답률: 80%)
  • 비행기가 항력을 이겨서 계속 비행하는데 필요한 마력은 "필요마력"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과 중력을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마력을 말합니다. 이용마력은 비행기가 움직이는데 필요한 마력이며, 제동마력은 비행기를 멈추는데 필요한 마력을 말합니다. 여유마력은 비행기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여 여유로운 마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펠러 비행기의 비행속도가 120m/s이고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1200rpm, 프로펠러 지름이 3m일 때 이 프로펠러의 진행률은 약 얼마인가?

  1. 0.75
  2. 1.00
  3. 1.75
  4. 2.00
(정답률: 23%)
  • 프로펠러의 회전수는 분당 1200바퀴이므로 초당 회전수는 20바퀴이다. 이때 프로펠러의 둘레길이는 지름×π=3π(m)이다. 따라서 초당 진행거리는 20×3π=60π(m)이다. 이 값을 비행속도인 120(m/s)로 나누면 약 2.00이 나오므로 정답은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항공기의 평형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모든 힘의 합이 0인 상태
  2. 모든 모멘트의 합이 0인 상태
  3. 모든 힘의 합이 0이고, 모멘트의 합은 1인 상태
  4. 모든 힘의 합은 0이고, 모멘트의 합도 0인 상태
(정답률: 49%)
  • 항공기의 평형상태는 모든 힘과 모멘트가 균형을 이루는 상태입니다. 즉, 항공기가 수평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앞뒤로 기울거나 상승하거나 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모든 힘의 합이 0이어야 하며, 또한 모든 모멘트의 합도 0이어야 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든 힘의 합은 0이고, 모멘트의 합도 0인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정비 용어 중 MEL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최소점검기관목록(Minimum Engine List)
  2. 최소구비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
  3. 기관고장항목(Missing Engine List)
  4. 장비고장항목(Missing Equipment List)
(정답률: 72%)
  • MEL은 최소구비장비목록(Minimum Equipment List)을 의미합니다. 항공기가 운항 중에 장비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장비가 없어도 운항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MEL을 참고하여 해당 장비를 운항 중에 운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MEL은 항공기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장비만으로 운항할 수 있도록 하는 목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림 턱에 잠금 장치가 있어 작은 바이스처럼 부품을 잡아주며 부러진 스터드나 꼭 낀 코터핀을 장탈하는데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공구는?

  1.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Vise grip pliers)
  2. 스냅 링 플라이어(Snap ring pliers)
  3. 슬립 조인트 플라이어(Slip joint pliers)
  4. 커넥터 플라이어(Connector pliers)
(정답률: 76%)
  •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는 물림 턱에 잠금 장치가 있어 부품을 잡아주며 부러진 스터드나 꼭 낀 코터핀을 장탈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이크로 스톱 카운터 싱크(Micro stop counter sink)의 용도로 옳은 것은?

  1. 리벳의 구멍을 늘리는데 사용
  2. 리벳이나 스크류를 절단하는데 사용
  3. 리벳의 구멍 언저리를 원추 모양으로 절삭하는데 사용
  4. 리벳팅하고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
(정답률: 58%)
  • Micro stop counter sink은 리벳의 구멍 언저리를 원추 모양으로 절삭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리벳을 더욱 깊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며, 리벳의 헤드가 부드럽게 합쳐지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리벳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교 측정기에 해당하는 것은?

  1. 마이크로미터
  2. 직각자
  3. 다이얼게이지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62%)
  • 다이얼게이지는 측정 대상의 크기를 다이얼을 통해 읽어내는 측정기이기 때문에 비교 측정기에 해당합니다. 마이크로미터는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 직각자는 직각을 확인하는 도구, 버니어캘리퍼스는 내부, 외부, 깊이 등 다양한 형태의 측정을 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케이블을 연결해 주는 부품으로 조종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역할도 하며 가운데에 배럴이 있는 것은?

  1. 턴버클
  2. 스웨이징
  3. 코터 핀
  4. 니코프레스
(정답률: 83%)
  • 턴버클은 케이블을 연결하고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품으로, 가운데에 배럴이 있는 것은 케이블을 더욱 효과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턴버클"입니다. 스웨이징은 케이블의 끝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부품, 코터 핀은 케이블을 고정하는 핀, 니코프레스는 케이블을 압착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눈 보호장구인 차광안경의 색깔 중 가스용접이나 전기용접 시 자외선 차광용으로 어떤 색깔을 사용하는가?

  1. 적색
  2. 황색
  3. 황록색
  4. 녹색
(정답률: 59%)
  • 가스용접이나 전기용접 시 발생하는 자외선은 주로 녹색과 황색에 해당하는 파장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황색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아 가스용접이나 전기용접 시 자외선 차광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예방 정비의 모순점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각적인 원인 파악과 조치가 가능하다.
  2. 장기간 만족스럽게 작동되는 장비나 부품을 고의로 장탈하고 있다.
  3. 부품의 분해 조립 과정에서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조성된다.
  4. 부품 본래의 결점을 파악하기 어려워 품질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정답률: 54%)
  •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각적인 원인 파악과 조치가 가능하다."는 예방 정비의 장점으로, 부품에 이상이 있을 때 빠르게 대처하여 장비의 작동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모순점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상 점검 시 작업자가 지켜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 시에는 규정보다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2. 작업장의 상태를 청결히 하고 정리정돈하여 사고의 잠재 요인을 제거하도록 노력한다.
  3. 작업 시 보호장구가 필요할 때에는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4. 보다 안전하고 능률적인 작업 수행을 위하여 모든 작업자들은 서로 협조하고 조언해야 한다.
(정답률: 88%)
  • "작업 시에는 규정보다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작업 시에는 규정과 절차에 따라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면 안 됩니다. 이는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으로, 규정과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의 결함 상태를 다른 특수 장치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눈으로 그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무장비 검사
  2. 육안 검사
  3. 비파괴검사
  4. 촉진 검사
(정답률: 80%)
  • 항공기의 결함 상태를 다른 특수 장치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눈으로 그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을 "육안 검사"라고 합니다. 이는 무장비 검사와 달리 검사자가 직접 항공기를 살펴보며 결함이나 손상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비파괴검사나 촉진 검사는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 특수 장비나 기술이 필요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작업자가 리벳 작업하는 반대쪽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와 같이 일반 리벳을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곳에 사용하는 리벳은?

  1. 유니버설 리벳
  2. 접시 머리 리벳
  3. 블라인드 리벳
  4. 둥근머리 리벳
(정답률: 65%)
  • 블라인드 리벳은 작업자가 반대쪽에 접근할 수 없는 곳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리벳입니다. 이는 리벳의 머리 부분이 뒤쪽으로 접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리벳을 박는 동안 머리 부분이 뒤쪽으로 접히고, 반대쪽에서는 머리 부분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라인드 리벳은 일반 리벳보다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르곤이나 헬륨가스 안에서 전극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토치에 공급하여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나심선을 스프레이 상태로 용융하여 용접을 하는 방법은?

  1. 아크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3. 가스용접
  4. 불활성가스 금속아크용접
(정답률: 48%)
  • 아르곤이나 헬륨과 같은 불활성가스는 고온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산화나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용접시에는 용접부위가 산화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르곤이나 헬륨과 같은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전극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나심선을 스프레이 상태로 용융하여 용접하는 방법을 불활성가스 금속아크용접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기 계통의 고온, 고압의 작동 요구 조건에 맞도록 제작된 호스의 재질로서 진동과 피로에 강하며 강도가 높고, 고무호스보다 부피의 변형이 적은 특징을 가진 것은?

  1. 부틸(Butyl)
  2. 부나-N(Buna-N)
  3. 테프론(Teflon)
  4. 네오프렌(Neoprene)
(정답률: 57%)
  • 테프론은 고분자 화합물 중 하나로, 내열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고온, 고압에서도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동과 피로에 강하며 강도가 높고, 부피의 변형이 적어 항공기 계통의 요구 조건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계통에서는 테프론으로 제작된 호스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기 정비 중에서 일반적인 보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지상 취급
  2. 항공기 점검
  3. 항공기 조절 및 검사
  4. 항공기의 부품 교환
(정답률: 52%)
  • 항공기 지상 취급은 항공기가 지상에 있을 때의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은 항공기가 비행 중이 아닌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보수 작업이 아닙니다. 항공기 지상 취급은 주로 항공기의 주차, 연료 보충, 청소, 승객 및 화물의 탑재 및 하역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hat's the principle of the jet propulsion?

  1. Newton's first law
  2. Newton's second law
  3. Newton's third law
  4. Newton's forth law
(정답률: 51%)
  • 제트 추진의 원리는 뉴턴의 제3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모든 작용에는 반작용이 있으며, 그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라는 원리를 말합니다. 제트 엔진은 연소된 가스를 뒤로 추진하면서, 그 반대 방향으로 비행기를 밀어내는 반작용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제트 추진은 뉴턴의 제3 법칙에 기반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브로모클로로메탄 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색이고 달콤한 냄새를 가진다.
  2. 소화력은 이산화탄소 소화기의 약 3배 이상으로 B급 및 C급 화재에 주로 사용된다.
  3. 방출시 하얗고 미세한 분말이 영하37도의 온도에서 높은 방출률로 방출되어 동상에 주의해야한다.
  4. 소화기 사용 시 주위에는 산소결핍이 생기기 때문에 질식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37%)
  • "방출시 하얗고 미세한 분말이 영하37도의 온도에서 높은 방출률로 방출되어 동상에 주의해야한다."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브로모클로로메탄 소화기는 방출시 녹색 가스가 방출되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방출률이 느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동상에 대한 주의보다는 소화기 사용 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방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hat's not the primary group of the control surface?

  1. The aileron
  2. The elevators
  3. The rudder
  4. The tab
(정답률: 70%)
  • The tab is not the primary group of the control surface because it is a secondary control surface that is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imary control surfaces (such as the ailerons, elevators, and rudder) to fine-tune the aircraft's flight characteristic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화된 검사물에 자분을 뿌려 자분이 집적되는 현상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판별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은?

  1. 맴돌이전류검사
  2. 초음파검사
  3. 액체침투탐상검사
  4. 자분 탐상 검사
(정답률: 84%)
  • 자화된 검사물에 자분을 뿌려 자분이 집적되는 현상을 분석하여 결함여부를 판별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은 자분 탐상 검사입니다. 이는 자화된 검사물의 결함 부위에서 자분이 집적되는 현상을 관찰하여 결함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다른 검사 방법들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맴돌이전류검사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결함을 탐지하고, 초음파검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며, 액체침투탐상검사는 결함 부위에 액체를 침투시켜 결함을 탐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운항과 관련하여 빈도가 높은 정비단계로서 항공기 내외의 주행검사, 결함 수정 등을 행하는 점검은?

  1. A점검
  2. B점검
  3. C점검
  4. D점검
(정답률: 52%)
  • A점검은 일반적으로 항공기가 운항 전후에 수행되는 주기적인 점검으로, 항공기 내외의 주행검사, 결함 수정 등을 포함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빈도가 높은 정비단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A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 운항이나 정비의 목적으로 항공기를 지상에서 다루는 제반 작업을 항공기 지상취급이라고 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지상유도
  2. 항공기 견인
  3. 항공기 계류
  4. 항공기 수리
(정답률: 60%)
  • 항공기 수리는 항공기를 지상에서 다루는 작업 중 하나이지만, 항공기 운항이나 정비의 목적이 아닌 항목입니다. 항공기 지상유도는 항로에서 항공기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작업, 항공기 견인은 항공기를 이동시키는 작업, 항공기 계류는 항공기를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모두 항공기 운항이나 정비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금속표면을 도장 작업하기 전에 적절한 전처리작업을 하여 금속표면과 도료의 마감칠(Top coats)사이에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도료는?

  1. 아크릴래커
  2. 프라이머
  3. 합성에나멜
  4. 폴리우레탄
(정답률: 66%)
  • 프라이머는 금속표면을 청소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제를 형성하여 도료와 금속표면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도장 작업 전에 적절한 전처리 작업을 하여 프라이머를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중 원심형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단당 압력상승이 높다.
  2. 회전 속도 범위가 넓다.
  3. 무게가 가벼우며 시동 출력이 낮다.
  4. 단당 압력상승이 높은 만큼 2단 이상의 압축에서 더욱 실용적이다.
(정답률: 38%)
  • 단당 압력상승이 높은 만큼 2단 이상의 압축에서 더욱 실용적이다는 것은, 원심형 압축기가 단계별로 압력을 증가시키는 다른 압축기와 달리, 한 번에 많은 압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2단 이상의 압축에서 더욱 효율적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원심형 압축기의 장점이며, 다른 보기들은 원심형 압축기의 장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당 압력상승이 높은 만큼 2단 이상의 압축에서 더욱 실용적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기관에서 실린더안의 연소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연소실의 모양은?

  1. 원뿔형
  2. 도움형
  3. 삼각
  4. 반구형
(정답률: 81%)
  • 반구형 연소실은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인 화염확산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소실 내부의 공기와 연료의 순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연소실 벽면과의 열전달도 최소화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반구형 연소실은 왕복기관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연소실 모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터빈 깃의 뒷전에 과열로 인하여 생기는 흔적은?

  1. 칼자국 모양
  2. 움푹 패인 모양
  3. 물결무늬 모양
  4. 사각형으로 찍힌 모양
(정답률: 75%)
  • 과열로 인해 터빈 깃의 뒷전에 생기는 흔적은 열에 의해 변형된 금속의 모양을 따라 물결무늬 모양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는 금속이 늘어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기관항공기에 사용되는 연료가 갖추어야할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어는점이 높아야 한다.
  2.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3. 증기압이 낮아야 한다.
  4. 무게당 발열량이 작아야 한다.
(정답률: 57%)
  • 가스터빈기관항공기에 사용되는 연료는 고속 회전하는 기관에서 사용되므로 증기압이 낮아야 합니다. 증기압이 높으면 연료가 기관 내부에서 불완전하게 연소되어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불안정한 운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기압이 낮은 연료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왕복가관 윤활계통에서 크랭크케이스 밑부분을 윤활유 탱크로 이용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단일윤활계통
  2. 습식윤활계통
  3. 오일윤활계통
  4. 건식윤활계통
(정답률: 40%)
  • 습식윤활계통은 왕복가관 윤활계통에서 크랭크케이스 밑부분을 윤활유 탱크로 이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윤활유가 직접 부품에 스며들어 윤활하는 방식으로, 윤활유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여 부품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성능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습식윤활계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가스터빈 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압축비를 높인다.
  2. 흡입 공기의 중량 유량을 증가시킨다.
  3. 압축기 및 터빈의 단열효율을 증가시킨다.
  4. 배기가스속도와 비행속도의 차를 크게 한다.
(정답률: 70%)
  • 배기가스속도와 비행속도의 차를 크게 한다는 것은 가스터빈 엔진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가스터빈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과 운동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배기가스와 비행속도의 차가 작을수록 좋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가스터빈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오일여과기에 있는 바이패스밸브(By-pass valve)의 주된 기능은?

  1. 오일을 보기부분으로 보낸다.
  2. 오일 냉각기 둘레로 오일을 직접 보내준다.
  3.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의 역할을 한다.
  4. 여과기가 막힐 경우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만든다.
(정답률: 70%)
  • 오일여과기는 오일을 정화하여 엔진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여과기가 막히게 되면 오일의 유동성이 떨어져 엔진 내부에 충분한 양의 오일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바이패스밸브는 여과기를 우회하여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바이패스밸브는 여과기가 막힐 경우 오일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피스톤의 지름이 135㎜, 행정거리가 150㎜, 실린더수가 6개인 4행정 기관의 제동평균 유효압력이 7.5kgf/cm2, 회전수가 2600rpm일 때 제동마력은 약 몇 PS인가?

  1. 579
  2. 479
  3. 379
  4. 279
(정답률: 32%)
  • 제동마력 = 제동평균 유효압력 × 피스톤 면적 × 행정거리 × 실린더수 × 회전수 ÷ 60000

    피스톤 면적 = (지름/2)^2 × 3.14 = (135/2)^2 × 3.14 = 1431.68mm^2

    제동마력 = 7.5 × 1431.68 × 150 × 6 × 2600 ÷ 60000 = 278.99 ≈ 279 PS

    따라서, 정답은 "27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열기관의 이론열효율을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유효한일 ÷ 공급된 열량
  2. 유효한 압력 ÷ 공급된 압력
  3. 유효한 체적 ÷ 공급된 일
  4. 공급압력 ÷ 유효압력
(정답률: 55%)
  • 열기관의 이론열효율을 구하는 공식은 "유효한일 ÷ 공급된 열량" 입니다. 이는 열기관에서 유효하게 사용된 열의 양을 공급된 열의 양으로 나눈 것으로, 열기관에서 발생한 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일을 생산하는 효율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론열효율이 높을수록 열기관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애뉼러형(Annular type) 연소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체 축 방향 길이가 짧다.
  2. 구조가 간단하며 가벼운 편이다.
  3. 연소실은 화염 전파관(flame propagation tube)을 갖고 있다.
  4. 터빈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분포가 고르다.
(정답률: 51%)
  • 애뉼러형 연소기는 연소실 내부에 화염 전파관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소실은 화염 전파관(flame propagation tube)을 갖고 있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배기밸브의 밸브간격을 냉간 간격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열간 간격으로 조절하였을 경우 배기 밸브의 개폐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늦게 열리고, 일찍 닫힌다.
  2. 늦게 열리고, 늦게 닫힌다.
  3. 일찍 열리고, 늦게 닫힌다.
  4. 일찍 열리고, 일찍 닫힌다.
(정답률: 50%)
  • 열간 간격으로 조절하면 배기 밸브가 늦게 열리고, 일찍 닫힙니다. 이는 열간 간격으로 조절하면 밸브가 더 많이 팽창하게 되어 개방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밸브가 열리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닫히는 시간은 더 짧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압, 밀도 온도가 변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비행 중에 기관에 들어가는 혼합기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장치는?

  1. 저속장치
  2. 주 미터링 장치
  3. 이코노마이저 장치
  4. 혼합기 조절장치
(정답률: 70%)
  • 기압, 밀도, 온도 등의 변화로 인해 공기의 밀도가 변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비행 중에는 기관에 들어가는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혼합기 조절장치를 사용합니다. 이 장치는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조절하여 항상 적절한 혼합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크랭크축 회전수가 4000rpm일 때 1분 동안 출력행정은 몇 회를 하였는가?

  1. 4000
  2. 2000
  3. 1000
  4. 500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왕복기관이 저속 운전 시 비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그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연료압력이 낮기 때문에
  2. 기화기의 저속혼합비 조절이 불량하기 때문
  3. 기화기 내부에 있는 가속 펌프가 불량하기 때문
  4. 점화플러그에 이물질이 묻어있고, 간극상태가 불량하기 때문
(정답률: 38%)
  • 왕복기관은 고속 운전 시에는 연료압력이 충분히 유지되지만, 저속 운전 시에는 연료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가속 펌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화기 내부에 있는 가속 펌프가 불량하면 저속 운전 시에는 충분한 연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왕복기관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마그네토 배전기 블록에 표시된 숫자가 나타내는 의미는?

  1. 기관의 점화순서
  2. 마그네토를 떼어내는 순서
  3. 마그네토 점화순서
  4. 점화플러그 점검순서
(정답률: 74%)
  • 마그네토 배전기 블록에 표시된 숫자는 마그네토에서 발생하는 전기적인 파장의 순서를 나타냅니다. 이 파장은 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연소가 일어날 때 필요한 점화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순서를 바탕으로 마그네토의 점화순서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그네토 점화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유도형 점화계통에서 변압기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고전압 유도
  2. 점화기의 방전 방지
  3. 고저항 유도
  4. 점화기의 승압 방지
(정답률: 44%)
  • 고전압 유도는 유도형 점화계통에서 변압기의 역할로 옳은 것입니다. 이는 점화기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을 변압기를 통해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점화기에 가해지는 승압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방전을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퍼차저의(Super charger)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입연료의 온도를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킨다.
  2. 흡입연료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킨다.
  3. 흡입공기나 혼합공기의 온도를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킨다.
  4. 흡입공기나 혼합가스의 압력을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6%)
  • 수퍼차저는 흡입공기나 혼합가스의 압력을 증가시켜 엔진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엔진에 더 많은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입공기나 혼합가스의 압력을 증가시켜 출력을 증가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속피치 프로펠러의 깃 각 변화는 승압된 오일압력과 프로펠러의 원심력사이의 균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차이를 조종하는 장치는?

  1. 조속기
  2. 플라이 웨이트
  3. 오일펌프
  4. 마운팅플랜지
(정답률: 49%)
  • 정속기는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깃각 변화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승압된 오일압력과 프로펠러의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어 깃각 변화를 조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속기는 깃각 변화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속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관의 출력 중 시간제한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최대 출력으로 이륙추력의 90% 정도에 해당하는 출력의 명칭은?

  1. 아이들 출력
  2. 최대 연속 출력
  3. 순항 출력
  4. 최대 상승 출력
(정답률: 47%)
  • 기관의 출력 중 시간 제한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최대 연속 출력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관이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며 작동할 수 있는 최대한의 출력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상황에서의 출력이나 특정한 조건이나 제한이 있는 출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연속 출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후기연소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과적인 연소를 위해 입구의 공기속도가 작은 것이 좋다.
  2. 터빈 출구와 후기 연소기 입구 사이는 디퓨져 구조로 설치한다.
  3. 후기연소기 미작동 시에는 배기노즐 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다.
  4. 터빈 뒤에 테일콘을 장착하여 확산통로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45%)
  • "후기연소기 미작동 시에는 배기노즐 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후기연소기가 미작동하면 배기노즐 출구의 면적을 줄이는 것이 올바른 대응 방법입니다. 이는 연소가 완전하지 않아 배기가 출구에서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구 면적을 줄여서 배기를 더 빠르게 배출하도록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의 기본단위인 1J과 같은 양을 나타낸 것은?

  1. 1㎏·m
  2. 1㎏/m2
  3. 1N·m
  4. 1N/m2
(정답률: 59%)
  • 일의 기본단위인 1J은 일을 1N의 힘을 가해 1m 만큼 이동시킨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N과 1m이 함께 나타나는 단위인 1N·m이 일의 기본단위인 1J과 같은 양을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가스터빈 기관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터보프롭 기관은 헬리콥터에 사용되며 바이패스(by pass)되어 분사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많아서 배기소음이 증가한다.
  2. 터보제트 기관은 고고도, 저속상태에서 효율이 가장 좋고 연료 소비율도 감소한다.
  3. 터보축 기관은 가스터빈 기관에 프로펠러를 적용한 것으로서 감속기어 장치가 흡입구에 위치한다는 특징이 있다.
  4. 터보팬 기관은 많은 깃을 갖는 덕트로 싸여있는 일종의 프로펠러 기관으로 볼 수 있다.
(정답률: 43%)
  • 터보팬 기관은 많은 깃을 갖는 덕트로 싸여있는 일종의 프로펠러 기관으로 볼 수 있다. - 이유: 터보팬 기관은 고속 비행기에서 사용되며, 기본적으로는 제트 엔진과 유사하지만, 덕트에 깃을 많이 달아서 공기를 압축하고 추진력을 얻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효율적인 추진력과 낮은 소음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화기에서 만들어진 혼합가스를 각 실린더로 분배하고 , MAP계기의 수감부가 있는 곳은?

  1. 과급기
  2. 흡기밸브
  3. 기화기
  4. 매니폴드
(정답률: 69%)
  • 매니폴드는 엔진의 각 실린더로 분배되는 공기와 연료 혼합물을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화기에서 만들어진 혼합가스를 각 실린더로 분배하기 위해 매니폴드가 사용됩니다. 또한, MAP계기의 수감부도 매니폴드에 위치하여 엔진의 공기흐름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매니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최근 터보팬 기관의 역추력장치는 팬 역추력 장치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무게감소
  2. 연료소모감소
  3. 고장감소
  4. 역추력 효과의 증가
(정답률: 48%)
  • 최근 터보팬 기관에서는 역추력 효과의 증가를 이유로 팬 역추력 장치를 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역추력 효과가 증가하면 엔진의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추력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과 같은 브레이턴사이클의 열효율을 구하는 공식에서 γ가 의미하는 것은?

  1.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
  2.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비
  3. 터빈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
  4. 터빈 입구와 출구의 온도비
(정답률: 48%)
  • γ는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를 의미합니다. 이는 열효율 공식에서 압축기의 압력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압축기에서 압력이 높아질수록 열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비가 높을수록 열효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