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1-31)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10-01-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날개에 충격파를 지연시키고 고속 시에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음속으로 비행하는 제트 항공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날개는?

  1. 뒤젖힘 날개
  2. 타원 날개
  3. 테이퍼 날개
  4. 직사각형 날개
(정답률: 83%)
  • 뒤젖힘 날개는 날개 뒷부분이 위로 올라가는 형태로, 고속 비행 시에 발생하는 충격파를 지연시키고 고속 시에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음속으로 비행하는 제트 항공기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베르누이의 정리]의 가정(假定)으로 옳은 것은?

  1. 점성 및 압축성 유동
  2. 비점성 및 압축성 유동
  3. 점성 및 비압축성 유동
  4. 비점성 및 비압축성 유동
(정답률: 70%)
  • 정답은 "비점성 및 비압축성 유동"입니다.

    베르누이의 정리는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체가 일정한 밀도와 점성이 없는 상태에서 움직인다는 가정이 필요합니다.

    점성이 있는 유체는 내부 마찰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압축성이 있는 유체는 유체의 밀도가 변화하면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점성 및 압축성 유동에서는 베르누이의 정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비점성 및 비압축성 유동에서는 유체의 밀도와 점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베르누이의 정리가 적용됩니다. 이러한 유동은 대기나 물 등의 일반적인 유동에서 많이 나타나며,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비행기나 자동차 등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의 상승률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Pr : 필요마력, Pa : 이용마력, W : 항공기의 무게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 입니다.

    비행기의 상승률은 이용마력(Pa)이 필요마력(Pr)보다 크거나 같을 때 발생합니다. 이용마력은 항공기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마력이며, 필요마력은 항공기를 공중에 떠오르게 하는데 필요한 마력입니다. 따라서 이용마력(Pa)이 필요마력(Pr)보다 크거나 같을 때 항공기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위의 식에서는 이용마력(Pa)와 필요마력(Pr)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용마력(Pa)는 항공기의 무게(W)와 상승률(R)에 비례하며, 필요마력(Pr)은 항공기의 속도(V)와 상승률(R)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이용마력(Pa)가 필요마력(Pr)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승률(R)이 양수가 되어 항공기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종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종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조종면의 폭
  2. 조종면의 평균 시위
  3. 비행기의 속도
  4. 조종면의 광도(光度)
(정답률: 90%)
  • 조종면의 광도는 비행기의 조종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종면의 광도가 높을수록 비행기의 조종면이 더 많은 압력을 받아 움직이게 되므로, 조종면을 더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종면을 조작하기 위한 조종력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조종면의 광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대기 중에 가장 많이 포함 되어 잇는 성분은?

  1. 산소
  2. 질소
  3. 수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90%)
  • 지구 대기의 약 78%는 질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이기 때문에 정답은 "질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큰 날개와 수평꼬리날개에 의한 무게중심 주위의 키놀이 모멘트(M)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Mω는 큰 날개 만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 Mt는 수평꼬리날개에 의한 키놀이 모멘트이다.)

  1. M=Mω+Mt
  2. M=Mω-Mt
  3. M=Mω×Mt
  4. M=Mω÷Mt
(정답률: 69%)
  • 큰 날개와 수평꼬리날개는 비행체의 무게중심 주위에서 각각 키놀이 모멘트를 발생시킵니다. 이 두 키놀이 모멘트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지므로, 이를 합산하여 전체 키놀이 모멘트를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M = Mω + Mt가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행기 실제의 착륙거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애물 고도에서부터 정지시까지의 거리
  2. 지상활주거리와 착륙 진입거리를 합한 거리
  3. 비행기 바퀴의 접지 시부터 정지시까지의 거리
  4. 착륙 진입거리와 정지시까지의 거리를 합한 거리
(정답률: 62%)
  • 정답은 "비행기 바퀴의 접지 시부터 정지시까지의 거리"입니다. 비행기가 착륙 후 바퀴가 접지하는 시점부터 정지하는 시점까지의 거리가 실제의 착륙거리입니다. 이 거리는 비행기의 속도, 무게,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다르며, 이를 고려하여 비행기의 착륙 거리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착륙 거리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한 것이지만, 정확한 착륙 거리는 바퀴가 접지하는 시점부터 정지하는 시점까지의 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양력계수 0.9, 가로세로비 6, 스팬효율계수 1인 날개의 유도항력계수는 얼마인가?

  1. 0.034
  2. 0.043
  3. 0.054
  4. 0.061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의 최소 비행속도는 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식에서 S가 의비하는 것은? (단, W : 항공기 중량, ρ : 밀도, CLmax : 최대양력계수이다.)

  1. 최대비행속도
  2. 날개의 면적
  3. 평균항력계수
  4. 배기가스의 속도
(정답률: 85%)
  • S는 날개의 면적을 의미한다. 비행기의 최소 비행속도는 날개에 작용하는 항력이 중력과 같아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날개의 면적이 작으면 항력도 작아져 최소 비행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날개의 면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헬리콥터의 수평방향(전후좌우) 조종은 어느 것으로 하는가?

  1. 페달 조종
  2. 동시 피치 조종
  3. 스로틀 조종
  4. 주기적 피치 조종
(정답률: 62%)
  • 일반적으로 헬리콥터의 수평방향 조종은 주기적 피치 조종으로 합니다. 이는 메인로터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로터 블레이드의 각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켜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리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조종이 가능하며, 비행 중에도 조종자가 상황에 맞게 조종을 조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펠러 허브(Hub) 중심에서 반지름 R(m)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선속도 V(m/min)와 프로펠러 회전수 n(rpm)의 관계로 옳은 것은?

(정답률: 57%)
  • 정답은 ""입니다.

    프로펠러 허브 중심에서 반지름 R(m)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선속도 V(m/min)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 = 2πRn/60

    여기서 n은 회전수(rpm)입니다. 따라서 V는 n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고항력장치가 아닌 것은?

  1. 슬롯(slot)
  2. 드래그 슈트(Drag chute)
  3. 에어브레이크(Air Brake)
  4.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
(정답률: 87%)
  • 슬롯은 비행기 날개 상부에 위치한 공기 유동 제어 장치로, 고항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롯은 고항력장치입니다. 나머지 보기인 드래그 슈트, 에어브레이크, 역추력 장치는 모두 비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데 사용되는 고항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큰 옆미끄럼각에서 동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수직꼬리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를 감소시켜 실속각을 증가시키는 것은?

  1. 페더링
  2. 뒤젖힘 날개
  3. 도살 핀
  4. 앞젖힘 날개
(정답률: 76%)
  • 큰 옆미끄럼각에서 동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페더링"이며, 수직꼬리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를 감소시켜 실속각을 증가시키는 것은 "뒤젖힘 날개"입니다. 따라서, "도살 핀"은 이유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헬리콥터의 호버링(Hovering)조건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항공기의 중력 W, 추력 T, 양력 L, 항력 D이다.)

  1. L=W
  2. L=W, T=D=0(Zero)
  3. L>W, D>T
  4. L=T, D=L
(정답률: 84%)
  • 정답: "L=W, T=D=0(Zero)"

    헬리콥터가 호버링을 유지하려면,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머물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항력과 추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먼저, 항력 D는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저항입니다. 호버링 상태에서는 항공기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항력 D는 0이 됩니다.

    양력 L은 회전하는 날개에서 발생하는 상승력입니다. 호버링 상태에서는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으므로, 양력 L은 중력 W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L=W가 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추력 T는 항공기를 위로 떠오르게 하는 힘입니다. 호버링 상태에서는 이미 고정된 위치에 있으므로, 추력 T도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L=W, T=D=0(Zero)가 호버링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조파항력 발생의 주된 원인은?

  1. 시위선
  2. 아음속 흐름
  3. 충격파
  4. 비압축성 흐름
(정답률: 79%)
  • 조파항력은 물체가 움직이는 물체나 유체와 만났을 때 발생하는 힘입니다. 이 중에서 충격파는 물체가 초음속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파동으로, 이 파동이 다른 물체나 유체와 만나면 조파항력이 발생합니다. 충격파는 물체가 움직이는 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증가하므로, 초음속 비행기나 로켓 등의 고속 이동체에서 조파항력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기적인 육안 검사나 측정 및 기능시험 등의 수단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비방식으로, 이 정비는 성능허용한계, 마멸한계, 부식한계 등을 가지는 장비나 부품에 활용된다. 이것은 다음 중 어떤 정비인가?

  1. 시한성 정비(Hard time maintenance)
  2. 상태정비(On condition maintenance)
  3. 예비품 정비(Reserve part maintenance)
  4. 신뢰성 정비(Condition monitoring maintenance)
(정답률: 79%)
  • 정기적인 육안 검사나 측정 및 기능시험 등의 수단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상태정비(On condition maintenance)이다. 이는 성능허용한계, 마멸한계, 부식한계 등을 가지는 장비나 부품에 적용되며,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정비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 방식은 장비나 부품의 상태에 따라 정비 주기가 달라지며, 예방 정비보다는 보수 정비에 더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지상 보조장비가 아닌 것은?

  1. APU
  2. GPU
  3. GTC
  4. HYD Tester
(정답률: 65%)
  • APU는 지상 보조장비가 아닙니다. APU는 비행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비행기의 전원을 공급하고 기체의 엔진을 가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PU는 비행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보조장비입니다. 반면, GPU, GTC, HYD Tester는 모두 지상에서 비행기를 점검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사용되는 지상 보조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체 판금작업에서 두께가 0.06in인 금속판재를 굽힘반지름 0.135in로 하여 90도로 굽힐 때 세트백은 몇 in인가?

  1. 0.017
  2. 0.051
  3. 0.125
  4. 0.195
(정답률: 53%)
  • 세트백(setback)은 굽힘된 부분이 원래의 위치보다 얼마나 뒤로 물러났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굽힘반지름이 주어졌으므로, 세트백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굽힌 부분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굽힌 부분의 길이는 굽힘반지름과 굽힌 각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90도로 굽혔으므로, 굽힌 부분의 길이는 0.135 x π/2 = 0.0675in 입니다.

    그리고 세트백은 굽힌 부분의 길이와 원래의 길이의 차이입니다. 원래의 길이는 굽히기 전의 길이와 같으므로, 세트백은 0.06 - 0.0675 = -0.0075in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세트백이 양수로 주어져야 하므로, 부호를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세트백은 0.0075in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 자리까지만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최종적으로 세트백은 0.01in이 됩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0.017"이 아닌, "0.195"가 되므로, 정답은 "0.1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기체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구조검사에 관계 되는 것은?

  1. A 점검
  2. C 점검
  3. ISI점검
  4. D 점검
(정답률: 78%)
  • ISI점검은 Internal Structural Inspection의 약자로 내부 구조물 검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공기기체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구조검사에 관계되는 것은 ISI점검입니다. A, C, D 점검은 다른 종류의 점검이며 내부 구조물 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관 압축기 내부 등과 같이 직접 눈으로 볼 수 없는 곳을 광섬유를 이용해서 검사하는 육안검사 방법은?

  1. XRD검사
  2. 방사선검사
  3. 분광오일분석검사
  4. 보어스코프검사
(정답률: 69%)
  • 보어스코프검사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의 내부를 직접 살펴볼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따라서 기관 압축기 내부와 같이 직접 눈으로 볼 수 없는 곳을 검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XRD검사는 물질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고, 방사선검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구성과 성질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분광오일분석검사는 유류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감항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쉽게 장・탈착 할 수 있는 종합적인 부품정비
  2. 항공기에 발생되는 고장 요인을 미리 발견하는 것
  3. 항공기가 운항 중에 고장 없이 그 기능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
  4. 제한 시간에 도달되면 항공 기재의 상태와 관계없이 점검과 검사를 수행하는 것
(정답률: 89%)
  • 항공기가 운항 중에 고장 없이 그 기능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은 감항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영문의 내용에 대한 옳은 값은?

  1. 0.875
  2. 8.75
  3. 87.5
  4. 875
(정답률: 70%)
  • 위 그림은 현금과 현금 등가물의 합계인 유동자산과 총자산, 그리고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재무상태표입니다. 이 중에서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현재부채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당장의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유동자산은 현금과 현금 등가물,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현금과 현금 등가물의 합계는 1,000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현재부채는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선수금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단기차입금이 1,150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은 (현금과 현금 등가물의 합계 ÷ 단기차입금) × 100 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1,000 ÷ 1,150) × 100 = 87.5

    따라서 유동비율은 87.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이상의 파를 피검사물에 보내어 통과 또는 반사 에코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검사 방법은?

  1. 인장시험검사
  2. 방사선투과검사
  3. 형광침투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률: 92%)
  • 주파수가 높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탐사하는 방법이 초음파탐상검사입니다. 이 방법은 인체에 해로운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으며, 피검사물의 내부 결함이나 불량 부위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금속, 섬유, 유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속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작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세척
  2. 도장
  3. 도금
  4. 마그네슘피막
(정답률: 73%)
  • 마그네슘은 자연적으로 부식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마그네슘피막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그네슘피막은 부식 방지 작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부품을 선별하는 것
  2. 수리장비를 취급하는 것
  3. 부품을 교체하는 것
  4. 부품을 떨어뜨리는 것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작업은 부품을 들고 있는 것이고, 부품을 떨어뜨리는 것은 실수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호스를 장착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호스의 경화 날짜를 확인하여 사용한다.
  2. 호스는 액체의 특성에 따라 재질이 변하므로 규정된 규격품을 사용 한다.
  3. 호스에 압력이 걸리면 수축되기 때문에 길이에 여유를 주어 약간 처지도록 장착한다.
  4. 스웨이지된 접합기구에 의하여 장착된 호스에서 누설이 잇을 경우 누설된 일부분을 교환한다.
(정답률: 71%)
  • "스웨이지된 접합기구에 의하여 장착된 호스에서 누설이 있을 경우 누설된 일부분을 교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스웨이지된 접합기구는 호스와 연결하는 부분에서 사용되는데, 이 부분은 호스의 끝을 압축시켜 밀봉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도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볼트의 부품기호가 AN3DD5A로 표시되어 있다면 3이 의미하는 것은?

  1. 볼트 길이가 3/8in
  2. 볼트 직경이 3/8in
  3. 볼트 길이가 3/16in
  4. 볼트 직경이 3/16in
(정답률: 65%)
  • AN3DD5A에서 3은 볼트 직경이 3/16in을 의미합니다. AN3DD5A에서 AN은 부품의 유형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3DD는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코드입니다. 3DD에서 첫 번째 숫자 3은 볼트의 직경을 1/16in 단위로 나타내므로 3은 3/16in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볼트 직경이 3/16i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접시머리리벳작업에 필요치 않는 작업은?

  1. 탭 작업
  2. 리머 작업
  3. 카운터 싱크 작업
  4. 딤플 작업
(정답률: 63%)
  • 접시머리 리벳 작업에서는 탭 작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탭 작업은 다른 부품들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작업으로, 접시머리 리벳 작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탭 작업은 접시머리 리벳 작업에 필요하지 않은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의 인치식 버니어 캘리퍼스(최소 측정값 1/128in)에서 * 표시한 눈금을 옳게 읽은 것은?

  1. 5/32in
  2. 9/32in
  3. 20/64in
  4. 25/64in
(정답률: 56%)
  • 인치식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 표시한 눈금은 5/32in과 25/64in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눈금을 읽을 때는 5/32in과 25/64in 사이의 값을 찾아야 합니다.

    먼저, 5/32in과 9/32in 사이의 눈금은 1/32in 간격으로 총 4개의 눈금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9/32in과 20/64in 사이의 눈금은 1/64in 간격으로 총 28개의 눈금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64in과 25/64in 사이의 눈금은 1/64in 간격으로 총 5개의 눈금이 있습니다.

    따라서, * 표시한 눈금은 5/32in + 28/64in + 1/64in = 25/64i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의 지상안전에서 안전색채는 작업자에게 여러 종류의 주의나 경고를 의미한다. 자색(Purple)은 무엇을 의미할 때 표시하는가?

  1. 기계설비의 위험이 있는 곳이다.
  2. 방사능 유출의 위험이 있는 곳이다.
  3. 건물 내부의 관리를 위하여 표시한다.
  4. 전기 설비상에 노출된 위험이 있는 곳이다.
(정답률: 84%)
  • 자색은 방사능 유출의 위험이 있는 곳을 표시합니다. 이는 항공기 내부에 방사능 물질이 사용되거나 운송되는 경우, 작업자들이 방사능에 노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색색채는 작업자들이 방사능 유출에 대한 경고를 받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청력상실 및 고막파열의 정도가 될 수 있는 소음으로 옳은 것은?

  1. 25dB(A)
  2. 50dB(A)
  3. 80dB(A)
  4. 150dB(A)
(정답률: 85%)
  • 150dB(A)는 극도로 강한 소음으로, 이는 폭발음, 제트기 엔진 소리, 총기 소음 등과 같은 소리 수준입니다. 이러한 소리는 짧은 시간 동안에도 청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청력상실 및 고막파열과 같은 심각한 청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청력 보호를 위해 최대한 피해야 할 소음 수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B급 화재에 속하지 않는 물질은?

  1. 동물유
  2. 페인트
  3. 주정제
  4. 마그네슘
(정답률: 89%)
  • 마그네슘은 A급 화재에 속하는 물질로서, 공기 중에서도 연소가 일어나며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며 불을 일으키기 때문에 B급 화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스냅 링(Snap ring)과 같은 종류를 오므릴 때 사용하는 공구는?

  1. Connector plier
  2. Internal ring plier
  3. Combination Plier
  4. External ring plier
(정답률: 82%)
  • 스냅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 두 종류가 있습니다. 내부 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부 링 플라이어(Internal ring plier)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Internal ring pli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중 플레어링(Double Flaring)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한 진동을 받는 곳에 사용된다.
  2. 계통의 압력이 높은 곳에 사용된다.
  3. 튜브 연결 부분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지름이 비교적 두꺼운 3/8in 이상의 튜브에 적용된다.
(정답률: 57%)
  • "지름이 비교적 두꺼운 3/8in 이상의 튜브에 적용된다."는 이중 플레어링 방식이 적용되는 튜브의 크기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플레어링 방식은 튜브의 끝을 접착제와 함께 압착하여 누설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지름이 비교적 두꺼운 튜브에 적용되는 이유는 두께가 얇은 튜브에서는 압착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중 플레어링 방식은 보통 자동차나 항공기 등 심한 진동이나 고압의 계통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소 용기를 취급하거나 보급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화재에 대비하여 소화기를 배치한다.
  2. 산소 취급 장비, 공구 및 취급자의 의류 등에 유류가 묻어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항공기 정비 시 행하는 주유, 배유, 산소 보급은 항상 동시에 이루 어 져야 한다.
  4. 액체 산소를 취급 할 때에는 동상에 걸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정답률: 91%)
  • 정답은 "항공기 정비 시 행하는 주유, 배유, 산소 보급은 항상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한다."가 아닙니다.

    해당 문장은 오히려 맞는 내용입니다. 항공기 정비 시 주유, 배유, 산소 보급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유는 항공기 내부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산소 보급이 끊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주유나 배유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산소 보급이 끊어지면, 연료가 불에 타고 화재가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정비 시에는 이러한 작업들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액체 산소를 취급 할 때에는 동상에 걸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틀린 내용입니다. 액체 산소를 다룰 때는 동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호장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왕복기관에서의 조기점화(Preignition)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점화불꽃 없이 고온고압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폭발하는 현상
  2. 혼합가스가 점화불꽃에 의하여 점화되기 전에 연소실 내부에서 형성된 열점(Hot spot)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연소하는 현상
  3. 연소실 안의 연소가스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고온고압이 되어 자연 적으로 발화되는 현상
  4. 배기행정에서 배기가스가 완전배기되기 전에 연소실 말단 부위에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
(정답률: 77%)
  • 왕복기관에서의 조기점화(Preignition)는 혼합가스가 점화불꽃에 의하여 점화되기 전에 연소실 내부에서 형성된 열점(Hot spot)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입니다. 즉, 연소가 시작되기 전에 이미 일부 구역에서 고온고압이 형성되어 자연적으로 발화되는 것이 아니라, 연소가 시작된 후에도 일부 구역에서 고온고압이 유지되어 추가적인 연소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노즐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고온의 배기가스 압력을 높여준다
  2. 고온의 배기가스 속도를 높여준다
  3. 고온의 배기가스 온도를 높여준다
  4. 고온의 배기가스 질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70%)
  •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노즐의 역할은 고온의 배기가스 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추진력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가스터빈기관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활용하여 가스를 가속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온의 배기가스 속도를 높여준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스터빈기관 애뉼러형 연소실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이그나이터
  2. 라이너
  3. 화염전파관
  4. 바깥쪽 케이스
(정답률: 61%)
  • 화염전파관은 가스터빈기관 애뉼러형 연소실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가스터빈기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인 연소실 내부에서 화염이 전파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소실 외부에 위치하거나 다른 부품과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화염전파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기관의 2축식 압축기에서 저압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은?

  1. 저압터빈
  2. 고압압축기
  3. 고압터빈
  4. 저압 및 고압터빈
(정답률: 77%)
  • 가스터빈기관에서는 고온 고압 가스를 생산하기 위해 가스를 압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스터빈기관은 2축식 압축기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저압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은 저압터빈입니다. 저압터빈은 가스를 낮은 압력으로 압축하여 고압압축기로 전달합니다. 이는 고압압축기가 더 높은 압력을 다루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저압터빈이 가스터빈기관에서 저압 압축기를 구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피스톤 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고정식
  2. 반부동식
  3. 평형식
  4. 전부동식
(정답률: 63%)
  • 평형식은 피스톤 핀의 종류가 아닙니다. 평형식은 엔진의 구조 중 하나로, 피스톤과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이 일치하여 진동이 적은 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피스톤 핀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왕복기관에서 역화(back fire)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1. 피스톤링(Piston ring)의 절손된 원인으로
  2. 농후혼합기(Rich Mixture)의 원인으로
  3. 희박혼합기(Lean Mixture)의 원인으로
  4. 푸쉬로드(Push 깽)의 절손 때문에
(정답률: 58%)
  • 왕복기관에서 역화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희박혼합기(Lean Mixture)의 원인으로, 즉 공기와 연료의 비율이 맞지 않아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연소가 완전하지 않은 연료가 배출되어 역화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축기의 입구와 출구의 디퓨저 부분에 물이나 물-알코올의 혼합물을 분사함으로써 이륙할 때 추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1. 워터 제트(Water jet)
  2. 물분사 장치(Water injection)
  3.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
  4. 덕트 프로펠러(Ducted propeller)
(정답률: 87%)
  • 물분사 장치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엔진 내부의 열화를 방지하고, 물 분사로 인해 압력이 증가하여 추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이륙 시에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켜 안전하고 빠른 이륙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일반적인 연료흐름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주연료탱크-연료여과기-연료펌프-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부스터펌프-연료매니폴드-연료노즐
  2. 주연료탱크-연료부스터펌프-연료여과기-연료펌프-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매니폴드-연료조정장치-연료노즐
  3. 주연료탱크-연료여과기-연료펌프-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매니폴드-연료부스터펌프-연료노즐
  4. 주연료탱크-연료부스터펌프-연료여과기-연료펌프-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매니폴드-연료노즐
(정답률: 55%)
  • 가스터빈기관 연료계통의 일반적인 연료흐름은 주연료탱크에서 출발하여 연료여과기를 거쳐 연료펌프로 이동합니다. 연료펌프에서 압력을 받은 연료는 연료조정장치를 거쳐 여압 및 드레인밸브를 통해 연료매니폴드로 이동합니다. 연료매니폴드에서는 연료부스터펌프를 거쳐 연료노즐로 이동하여 연소됩니다. 따라서, "주연료탱크-연료부스터펌프-연료여과기-연료펌프-연료조정장치-여압 및 드레인밸브-연료매니폴드-연료노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섭씨 15℃는 화씨 몇 °F인가?

  1. -9
  2. +9
  3. -59
  4. 59
(정답률: 76%)
  • 섭씨와 화씨는 서로 다른 온도 체계이기 때문에 변환 공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섭씨를 화씨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 = (°C × 1.8) + 32

    따라서 섭씨 15℃를 화씨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 = (15 × 1.8) + 32
    °F = 27 + 32
    °F = 59

    따라서 정답은 "5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터빈기관에서 1kgf의 추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추력중량비
  2. 추력효율
  3. 비추력효율
  4. 추력비연료소비율
(정답률: 65%)
  • 가스터빈기관에서 발생하는 추력은 연료를 소비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비하는 연료의 중량을 나타내는 용어는 "추력비연료소비율"이다. 이 용어는 추력과 연료소비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연료가 필요한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가 가스터빈기관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기관을 동력이 발생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은?

  1. 공랭식기관, 액랭식 기관
  2. 대향형 기관, 성형 기관
  3. 왕복 기관, 가스터빈 기관
  4. 소형 기관, 대형 기관
(정답률: 77%)
  • 항공기기관을 동력이 발생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은 "왕복 기관, 가스터빈 기관"입니다. 이는 왕복 기관은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면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가스터빈 기관은 고속 회전하는 가스터빈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관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동력 발생 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의 역추력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추가적인 추력장치를 이용하여 정상착륙 시 제동능력 및 방향전환능력을 돕는다.
  2. 일부 항공기에서는 스피드 브레이크로 사용해서 항공기의 강하율을 크게 한다.
  3. 주기(Parking)해 있는 항공기에서 동력 후진할 때 사용한다.
  4. 비상 착륙 시나 이륙 포기 시 제동능력 및 방향 전환능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43%)
  • "추가적인 추력장치를 이용하여 정상착륙 시 제동능력 및 방향전환능력을 돕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항공기용 가스터빈기관의 역추력 장치 중 하나인 스포일러(Spoiler)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스포일러는 항공기가 착륙 후에 남은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제동력을 높이고, 항공기의 방향전환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추력장치를 이용하여 정상착륙 시 제동능력 및 방향전환능력을 돕는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왕복기관에서 임계고도는 어떤 마력에 의해 정하여 지는가?

  1. 이륙마력
  2. 정격마력
  3. 순항마력
  4. 경제마력
(정답률: 59%)
  • 왕복기관에서 임계고도는 정격마력에 의해 정해집니다. 왕복기관은 정격마력 이상의 마력을 사용하면 기계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격마력 이하의 마력을 사용하여 운행됩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의 임계고도는 정격마력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중 항공기 왕복기관을 시동한 후 제일 먼저 점검해야 되는 것은?

  1. 오일 압력
  2. 다기관 압력
  3. 연료 압력
  4. 실린더 헤드 온도
(정답률: 59%)
  • 항공기 엔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충분한 오일 압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항공기를 시동한 후 제일 먼저 점검해야 하는 것은 오일 압력입니다. 만약 오일 압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는 비행 중에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를 운행하기 전에 오일 압력을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대향형 기관의 밸브 기구에서 크랭크 축 기어의 잇수가 40개라면, 맞물려 잇는 캠 기어의 잇수는 몇 개 이어야 하는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74%)
  • 대향형 기관의 밸브 기구에서 크랭크 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캠 기어는 서로 일정한 속도 비율로 회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크랭크 축 기어와 맞물려 있는 캠 기어의 잇수가 비례해야 합니다. 따라서 크랭크 축 기어의 잇수가 40개라면, 맞물려 있는 캠 기어의 잇수는 40의 배수인 80개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가스터빈기관의 기본사이클은?

  1. 오토 사이클
  2. 카르노 사이클
  3. 디젤 사이클
  4. 브레이튼 사이클
(정답률: 57%)
  • 가스터빈기관은 고온 고압 가스를 이용하여 일을 추출하는 엔진으로, 기본사이클은 고온 고압 가스가 회전하는 터빈을 움직여 일을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스는 압축, 가열, 팽창, 냉각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는 사이클을 브레이튼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의 기본사이클은 브레이튼 사이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공랭식 왕복기관 실린더의 냉각 핀(Cooling F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이 유선형으로 항공기의 항력을 줄이고 냉각 공기의 배출량을 조 절하여 실린더의 온도를 조절한다.
  2. 피스톤 주의에 판을 설치하여 냉각공기가 실린더 주위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다
  3. 실린더 외부에 지느러미 모양의 얇은 판을 부착하여 표면면적을 넓혀 열발산이 잘되도록 한 장치이다.
  4. 카울링의 둘레에 열고 닫을 수 있는 플랩을 장치하여 실린더 주위의 공기 흐름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9%)
  • 실린더 외부에 지느러미 모양의 얇은 판을 부착하여 표면면적을 넓혀 열발산이 잘되도록 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B747-400 항공기 기관의 이륙출력 작동 시 위험지역에서 배기제트의 속도 범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56Knot 이상
  2. 56㎞/h 이상
  3. 65Knot 이상
  4. 65㎞/h 이상
(정답률: 63%)
  • 정답은 "56㎞/h 이상"입니다.

    배기제트의 속도는 이륙출력 작동 시에는 일정하지 않으며, 기압, 온도, 고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변동합니다. 따라서 이륙출력 작동 시 배기제트의 속도 범위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B747-400 항공기의 경우, 이륙출력 작동 시 배기제트의 속도는 대략 56㎞/h 이상이 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이륙할 때 필요한 추력을 얻기 위해 배기제트를 최대한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험지역에서는 이러한 속도 이상으로 배기제트가 작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펠러의 평형 작업 시 사용하는 아버(Arbor)의 용도는?

  1. 평형 스탠드를 맞춘다.
  2. 평형 칼날 상의 프로펠러를 지지해 준다.
  3. 첨가하거나 제거해야 할 무게를 나타낸다.
  4. 중량이 부가되어야 하는 프로펠러 깃을 표시한다.
(정답률: 56%)
  • 아버(Arbor)는 프로펠러의 평형 작업 시 사용되며, 평형 칼날 상의 프로펠러를 지지해 줍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아버를 사용하여 프로펠러를 지지하고 회전시켜 불균형한 부분을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버는 프로펠러의 평형 조정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터빈기관의 점화계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동 시에만 점화가 필요하다.
  2. 점화시기 조절 장치가 필요치 않다.
  3. 왕복기관에 비해 구조와 작동이 복잡하다.
  4. 연료와 연소실 공기흐름특성으로 혼합가스의 점화가 어렵다.
(정답률: 47%)
  • 가스터빈기관은 왕복기관과 달리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혼합가스의 점화가 어렵다는 점에서 왕복기관에 비해 구조와 작동이 복잡하다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지시계기가 아닌 것은?

  1. 회전(rpm)계
  2. 윤활유 량(Oil Quantity)계
  3. 윤활유 온도(Oil Temperature)계
  4. 실린더 헤드 온도(Cylinder Dead Temperature)계
(정답률: 62%)
  • 윤활유 량(Oil Quantity)계는 왕복기관의 작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회전(rpm)계는 엔진의 속도를 측정하고, 윤활유 온도(Oil Temperature)계와 실린더 헤드 온도(Cylinder Dead Temperature)계는 엔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엔진의 안전한 작동을 돕습니다. 하지만 윤활유 량(Oil Quantity)계는 엔진 내부의 윤활유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엔진의 작동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 량(Oil Quantity)계는 왕복기관에 사용되는 지시계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스터빈기관의 윤활유 압력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검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이 낮을 때 압력 트랜스미터의 벤트 구멍이 막혔는지 점검한다.
  2. 압력이 낮을 때 탱크 여압 계통의 벤트 출구 밸브에 결함이 있는지 점검한다.
  3. 압력이 높을 때 스로틀 레버가 잠겨 있는지 점검한다.
  4. 압력이 높을 때 공급관이 베어링 레이스와 접촉되었는지 점검한다.
(정답률: 62%)
  • 가스터빈기관의 윤활유 압력이 높을 때 스로틀 레버가 잠겨 있는지 점검하는 이유는, 스로틀 레버가 잠겨 있으면 가스터빈기관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윤활유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윤활유 압력이 높을 때 스로틀 레버가 잠겨 있는지 점검하여, 윤활유 압력의 이상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윤활유의 점도를 낮추는 장치는 무엇인가?

  1. 윤활유 온도계기
  2. 윤활유 탱크
  3. 윤활유 희석 장치
  4. 윤활유 압력 펌프
(정답률: 81%)
  • 윤활유 희석 장치는 윤활유에 희석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낮추는 장치입니다. 희석제는 윤활유 내부의 분자 간 거리를 늘리고, 윤활유 입자의 운동을 촉진시켜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 희석 장치는 윤활유의 점도를 낮추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터보팬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료 소비율이 작다.
  2. 아음속에서 효율이 좋다.
  3.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에 가장 적합하다.
  4. 대형 여객기 및 군용기에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63%)
  •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은 터보팬기관이 작은 크기에 높은 추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는 작은 공간에서 높은 추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터보팬기관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출력 작동 시 기화기 공기히터(Carburetor air heater)조종장치를 히터위치에 놓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뜨거워진 공기를 흡입한다.
  2. 기관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3. 흡입 공기의 밀도가 증가한다.
  4. 디토네이션(Detonation)이 발생 될 수 있다.
(정답률: 33%)
  • 흡입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공기가 뜨거워지면 분자들이 더 많이 움직이고, 이로 인해 분자들 간의 충돌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공기 분자들이 서로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흡입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