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충격파를 통과한 공기의 특성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과 속도가 감소한다.
  2. 밀도는 감소하고, 속도가 증가한다.
  3. 압력이 증가하고, 속도는 감소한다.
  4.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69%)
  • 충격파를 통과한 공기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면 속도가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력이 증가하고, 속도는 감소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날개에 사용되는 공력 보조장치가 아닌 것은?

  1. 단순 플랩
  2. 크루거 플랩
  3. 리드-래그
  4. 경계층 제어장치
(정답률: 66%)
  • 리드-래그는 날개에 사용되는 공력 보조장치가 아닙니다. 리드-래그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조타장치 중 하나로, 선박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날개에 사용되는 공력 보조장치는 단순 플랩, 크루거 플랩, 경계층 제어장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천음속으로 수평 비행하는 비행기가 비행속도를 무리하게 증가시키면 날개가 이상진동을 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버피팅(Buffeting)
  2. 트리밍(Trimming)
  3. 피치 업(Pitch up)
  4. 턱 언더(Tuck under)
(정답률: 76%)
  • 천음속으로 수평 비행하는 비행기가 비행속도를 무리하게 증가시키면 공기의 흐름이 불안정해져서 날개 주변에서 이상진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버피팅(Buffet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헬리콥터가 전후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더링
  2. 자동 회전
  3. 정지 비행
  4. 지면 효과
(정답률: 79%)
  • 정지 비행은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전후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정지"와 "비행"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을 합쳐 사용한 것으로,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으면서도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을 간결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헬리콥터의 회전날개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깃 끝에서 발생되는 양력만을 말한다.
  2. 깃 뿌리에서 발생되는 양력만을 말한다.
  3. 깃 중심에서 발생되는 양력만을 말한다.
  4. 전체 깃 면적에 발생되는 양력을 합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80%)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는 공기를 밀어내어 양력을 발생시키는데, 이 양력은 회전날개 전체 면적에 걸쳐 발생합니다. 따라서 "전체 깃 면적에 발생되는 양력을 합한 것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동적 세로 안정에 있어서 받음각이 거의 일정하며 주기가 매우 길고 조종사가 느끼지 못하는 운동을 어느 것인가?

  1. 단주기 운동
  2. 장주기 운동
  3. 승강키 자유운동
  4. 플래핑 운동
(정답률: 82%)
  • 비행기의 동적 세로 안정에 있어서 받음각이 거의 일정하며 주기가 매우 길고 조종사가 느끼지 못하는 운동은 "장주기 운동"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수직운동 중에서는 가장 느리고 안정적인 운동으로,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행기의 무게가 1500kgf이고, 여유마력이 150마력일 때 상승률은 몇 m/s인가?

  1. 0.13
  2. 1.30
  3. 7.5
  4. 75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회 경사각 로 정상수평선회하는 비행기의 하중배수는 얼마인가?

  1. 0.6
  2. 1.2
  3. 2
  4. 4
(정답률: 64%)
  • 선회 경사각으로 비행기가 정상수평선회하려면, 비행기의 중력과 추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이때 중력은 항상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비행기의 추력도 수직방향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하중배수는 비행기의 추력을 중력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하지만 비행기가 선회 경사각으로 비행할 때는, 비행기의 추력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추력을 중력으로 나눈 값은 비행기의 하중배수보다 항상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하중배수가 2인 경우가 정답이 됩니다. 0.6과 1.2는 하중배수보다 작은 값이므로 비행기가 선회 경사각으로 비행할 수 없습니다. 4는 하중배수보다 너무 큰 값이므로 비행기가 비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원형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하는데 관계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유체의 속도
  2. 관의 지름
  3. 유체의 점성
  4. 유체의 마하수
(정답률: 51%)
  • 원형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하는데 관계되는 요소는 유체의 속도, 관의 지름, 유체의 점성입니다. 하지만 유체의 마하수는 이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유체의 마하수는 유체의 속도와 소리의 속도의 비율로 정의되며, 유체의 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층류와 난류의 변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행기가 등속수평비행할 때 힘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비행기의 무게 W, 추력 T, 양력 L, 항력 D이다.)

  1. D=T, L<W
  2. D=T, L>W
  3. D=T, L=W
  4. D<T, L=W
(정답률: 83%)
  • 정답: D=T, L=W

    비행기가 등속수평비행할 때, 항력 D는 추력 T와 같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비행기는 가속 또는 감속하게 되어 등속수평비행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D=T입니다.

    또한,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중력과 같은 크기의 양력 L이 발생하여 비행기가 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 비행기가 등속수평비행을 유지하고 있다면, 중력과 양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즉, L=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날개에 양력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앞전이 원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2.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압력이 같기 때문이다.
  3. 날개 앞전의 속도가 뒷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4. 날개 윗면에서는 유속이 바르고 아랫면에서는 유속이 느리기 때문이다.
(정답률: 83%)
  •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공기 입자들이 날개 윗면에서는 빠르게 흐르고, 아랫면에서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날개 윗면에서는 압력이 낮아지고, 아랫면에서는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 압력 차이로 인해 날개에 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날개 윗면에서는 유속이 바르고 아랫면에서는 유속이 느리기 때문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날개의 공력특성을 좌우하는 날개골(Airfoil) 모양의 주된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로세로비
  2. 앞전반지름
  3. 날개골의 두께
  4. 캠버의 크기
(정답률: 53%)
  • 가로세로비는 날개골 모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가로세로비는 단순히 날개골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날개골의 공력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 앞전반지름, 날개골의 두께, 캠버의 크기는 날개골의 공력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세로축은 비행기의 전후축이라 하며 또한 X축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는 무엇인가?

  1. 동적 모멘트(Dynamic Moment)
  2.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
  3. 빗놀이 모멘트(Yawing Moment)
  4. 키놀이 모멘트(Pitching Moment)
(정답률: 77%)
  • 세로축은 비행기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축입니다. 이 축에 관한 모멘트는 비행기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의미합니다. 이 회전력은 비행기의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날개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모멘트로, 비행기가 좌우로 기울어질 때 발생하는 회전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절대 습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가 올라가면 상대습도는 어떻게 되는가?

  1. 올라간다.
  2. 변함없다.
  3. 내려간다.
  4. 포화 상태로 된다.
(정답률: 49%)
  • 절대 습도는 일정하므로, 온도가 올라가면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상대습도는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게 되면 상대습도는 내려가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올라가면 상대습도는 내려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기를 강체(Rigid body)라 가정하고 프로펠러 깃이 1회전 할 때 프로펠러가 진행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유효 피치(Effective pitch)
  2. 산술적 피치(Arithmetic pitch)
  3. 기하학적 피치(Geometric pitch)
  4. 평균 공력 피치(Mean aerodynamic pitch)
(정답률: 67%)
  • 프로펠러 깃이 1회전 할 때 프로펠러가 진행하는 거리를 기하학적 피치라고 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블레이드가 일직선으로 뻗어있는 경우, 블레이드가 진행하는 거리와 프로펠러가 회전한 각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피치는 프로펠러의 설계에 사용되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유효 피치는 프로펠러가 실제로 진행하는 거리를 나타내며, 산술적 피치는 블레이드의 각도와 블레이드의 너비를 고려한 값입니다. 평균 공력 피치는 프로펠러가 발생시키는 공기역학적 힘을 고려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히드라진을 취급할 때의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환기가 잘 되도록 한다.
  2. 인화성 물질이므로 15m 내의 흡연을 금한다.
  3. 유자격자가 취급하고 보호장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4. 피부에 묻으면 즉시 세척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정답률: 54%)
  • 인화성 물질이므로 15m 내의 흡연을 금한다는 것은 흡연으로 인해 불이 붙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흡연을 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항공기의 정비에서 개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의 각 부분의 점검, 조절, 검사, 교환 등의 작업을 말한다.
  2. 장비나 부품에 대한 원래의 설계를 변경 또는 부품을 추가로 장착시킬 때 실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3. 항공기의 부품과 장비 등에서 손상 또는 기능 불량 등을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업이다.
  4. 항공기의 세척, 보급 등의 작업을 통해 안전한 비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85%)
  • 정답인 "장비나 부품에 대한 원래의 설계를 변경 또는 부품을 추가로 장착시킬 때 실시하는 작업을 말한다."는 항공기의 원래 설계나 부품을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 정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나 수리 작업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한쪽 물림 턱은 고정되어 잇고 다른 쪽 턱은 손잡이에 설치된 나사형 스크루를 조작하여 렌치의 개구부 크기를 조절하는 렌치는?

  1. 박스(Box) 렌치
  2. 오픈-엔드(Open-end)렌치
  3. 래치팅(Ratcheting) 렌치
  4. 어저스트에블(Adjustable) 렌치
(정답률: 60%)
  • 어저스트에블(Adjustable) 렌치는 다른 렌치와 달리, 나사형 스크루를 조작하여 개구부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데 유용하며, 한쪽 물림 턱이 고정되어 있어서 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이얼식 표준 토크 렌치의 눈금 표시판에 잇는 안쪽 눈금과 바깥쪽 눈금의 용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볼트의 지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한다.
  2. 바깥쪽 눈금은 안쪽 눈금의 10배에 해당하는 토크값이다.
  3.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토크를 줄 때 각각 구별하여 사용한다.
  4. 안쪽 눈금은 토크값을, 바깥쪽 눈금은 바늘의 회전수를 지시한다.
(정답률: 46%)
  • 정답은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토크를 줄 때 각각 구별하여 사용한다."입니다. 이유는 다이얼식 표준 토크 렌치는 왼쪽으로 돌리면 풀리고, 오른쪽으로 돌리면 조이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왼쪽으로 토크를 줄 때는 안쪽 눈금을, 오른쪽으로 토크를 줄 때는 바깥쪽 눈금을 사용하여 각각 구별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외측 마이크로미터 중 마이크로미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측정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이크로미터의 구성품은?

  1. 앤빌
  2. 스핀들
  3. 랫치 스톱
  4. 클램프
(정답률: 55%)
  • 랫치 스톱은 마이크로미터의 측정 기능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이는 측정 중에 마이크로미터의 스프링이나 기타 부품들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외측 마이크로미터에서는 랫치 스톱이 필수적인 부품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볼트 머리나 너트 쪽에 부착시켜 체결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그립 길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풀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쓰이는 것은?

  1. 와셔
  2. 턴버클
  3. 캐슬 전단 너트
(정답률: 79%)
  • 와셔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너트나 볼트와 함께 사용하여 그립 길이를 조정하거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와셔"입니다. 핀은 다른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터너버클은 끈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캐슬 전단 너트는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기체 외부 금속표면, 도장부분, 배기계통 세척에 사용하는 클리닝(Cleaning) 종류가 아닌 것은?

  1. 습식 세척
  2. 열 세척
  3. 건식 세척
  4. 광택 작업
(정답률: 63%)
  • 항공기 기체 외부 금속표면, 도장부분, 배기계통 세척에 사용하는 클리닝 종류 중에서 열 세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열 세척이 기체 외부 금속표면, 도장부분, 배기계통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열 세척은 보통 엔진 부품 등의 세척에 사용되며, 항공기 클리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 세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의 장비 및 기기가 수리, 조절 또는 검사 중일 때 이들 장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색채는?

  1. 주황색
  2. 노란색
  3. 파란색
  4. 검은색
(정답률: 58%)
  • 파란색은 항공기의 장비 및 기기가 수리, 조절 또는 검사 중일 때 이들 장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항공기 내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중 하나이며, 다른 색상과 구별하기 쉽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또한 파란색은 안전과 관련된 색상으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그림과 같은 항공기 유도 수신호가 의미하는 것은?

  1. 서행
  2. 촉괴기
  3. 기관감속
  4. 긴급 정지
(정답률: 84%)
  • 이 수신호는 "촉괴기"를 의미합니다. 촉괴기는 비상 상황에서 항공기가 급감속하여 지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 수신호가 발생하면 조종사는 촉괴기를 작동시켜 항공기를 급감속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버니어캘리퍼스에서 “A"가 지시하고 있는 부분의 명칭은?

  1. 어미자
  2. 어미자 조
  3. 깊이 바
  4. 슬라이드 조
(정답률: 64%)
  • 그림에서 "A"가 지시하고 있는 부분은 슬라이드 조입니다. 이는 슬라이드를 움직여서 어미자와 어미자 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깊이 바는 슬라이드 조와는 별개로, 어미자와 어미자 조의 깊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양극 산화 처리를 하기 전에 수행하여야 할 전처리 작업이 아닌 것은?

  1. 래크작업
  2. 사전세척작업
  3. 마스크작업
  4. 스트링어작업
(정답률: 69%)
  • 양극 산화 처리는 금속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시켜 내식성을 높이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는 표면이 깨끗하고 부식이 없어야 하므로 전처리 작업이 필요합니다. 래크작업은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업, 사전세척작업은 표면의 녹, 기름 등을 제거하는 작업, 마스크작업은 양극 산화 처리를 하지 않을 부분을 보호하는 작업입니다. 반면, 스트링어작업은 전처리 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작업으로, 양극 산화 처리를 하기 전에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트링어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급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2 소화기
  2. 분말소화기
  3. CBM 소화기
(정답률: 87%)
  • C급 화재는 전기기기, 전선, 전기판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를 차단하고 불꽃을 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물은 전기와 함께 사용할 경우 강한 전기 충격을 일으키며, 전기 화재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C급 화재에는 물 대신 CO2 소화기, 분말소화기, CBM 소화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영문의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정비를 할 때는 상사의 자문을 구한다.
  2. 정비를 할 때는 사람을 주의해야 한다.
  3. 정비 교범절차에 꼭 따를 필요는 없다.
  4.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
(정답률: 86%)
  • 주어진 그림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을 정비할 때는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 이유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비 교범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벤치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장 정비에서 순환 품목에 대한 최고 단계의 정비
  2. 운항에 직접 관련해서 빈도가 높은 정비 단계로 항공기의 소모성 액체나 기체를 보급하는 정비
  3. 항공기를 격납고에 넣어 행해지는 가장 중요한 정비
  4. 항공기 장비품 정비작업 중 작업장의 작업대에서 항공기의 부품의 사용 가능여부 또는 조절, 수리, 오버홀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점검을 확인하는 작업
(정답률: 79%)
  • 항공기 장비품 정비작업 중 작업장의 작업대에서 항공기의 부품의 사용 가능여부 또는 조절, 수리, 오버홀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점검을 확인하는 작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크루 드라이버(Screw driver)를 작업 공구로 사용하도록 둥근머리에 홈이 파여 있는 볼트는?

  1. 클레비스 볼트
  2. 정밀 공차 볼트
  3. 표준 육각머리 볼트
  4. 내부 렌치 볼트
(정답률: 70%)
  • 클레비스 볼트는 둥근 머리에 홈이 파여 있어서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작업 공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클레비스 볼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압축기
  2. 연소실
  3. 터빈
  4. 연료실
(정답률: 75%)
  • 이 그림은 가스터빈 엔진의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스터빈 엔진은 공기를 압축기로 압축한 후 연소실에서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가스를 터빈으로 유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연소실은 가스터빈 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며, 이 그림에서도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소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의 구성품 또는 부품 고장으로 계통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말하는 용어는?

  1. 결함
  2. 기능불량
  3. 수리요구
  4. 정비요구
(정답률: 54%)
  • "결함"은 항공기의 구성품 또는 부품이 고장이나 손상되어 계통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즉시 조치가 필요합니다. "기능불량"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수리요구"와 "정비요구"는 결함이나 기능불량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수리나 정비를 요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비파괴검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육안 검사
  2. 와전류 검사
  3. 피로 검사
  4. 방사선투과 검사
(정답률: 83%)
  • 피로 검사는 물리적인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이 아니라, 인간의 신체적인 피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비파괴검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폴리에틸렌관을 지름의 8배 이하의 굽힘반지름으로 굽힘가공 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단조에 의한 방법
  2. 가열에 의한 방법
  3. 주조에 의한 방법
  4. 프레스에 의한 방법
(정답률: 41%)
  • 폴리에틸렌은 열에 노출되면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가열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단조나 주조, 프레스 방법은 폴리에틸렌의 특성상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색조침투탐상검사 시 사용하는 탐상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세척제
  2. 현상제
  3. 인화제
  4. 침투제
(정답률: 69%)
  • 색조침투탐상검사는 금속의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금속 표면에 탐상제를 바르고, 그 위에 현상제를 바르면 결함 부분에서만 색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인화제는 탐상제와 현상제의 반응을 촉진시켜 결함 부분에서 더욱 선명한 색조를 나타내게 합니다. 따라서 인화제는 다른 세 가지 보기인 세척제, 현상제, 침투제와는 달리 색조를 나타내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스터빈기관의 터빈블레이드에 장시간 열하중과 원심하중이 부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변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헤어크랙(Hair crack)
  2. 열점(Hot spot)
  3. 핫 스트리크(Hot streak)
  4. 크리프(Creep)
(정답률: 60%)
  • 가스터빈기관의 터빈블레이드에는 장시간 열하중과 원심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금속 소재가 변형되는 현상을 크리프(Creep)라고 합니다. 이는 금속 소재 내부의 결정 구조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눈에 띄게 변형되어 블레이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열과 일의 변환에 대한 방향성을 설명한 법칙은?

  1. 열역학 제1법칙
  2. 열역학 제2법칙
  3. 보일의 법칙
  4. 열역학 제3법칙
(정답률: 39%)
  • 열역학 제2법칙은 열과 일의 변환에 대한 방향성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열은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흐르며, 일은 항상 열역학적으로 불가능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모든 과정에서 열의 역학적 불균형이 존재하며, 이러한 불균형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항상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열역학 제2법칙은 열과 일의 변환에 대한 방향성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기 가스터빈기관 중 주로 헬리콥터에 사용하는 기관을 고르시오.

  1. 터보팬 기관
  2. 터보제트 기관
  3. 터보축 기관
  4. 터보프롭 기관
(정답률: 49%)
  • 헬리콥터는 수직 이착륙 및 이륙이 가능한 항공기이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헬리콥터에는 터보축 기관이 주로 사용됩니다. 터보축 기관은 고속 회전하는 축을 통해 공기를 압축하고 연소하여 엔진 출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고속 회전하는 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에 적합한 엔진으로 터보축 기관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추력 중량비(Thurst weight ratio)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총추력을 기관의 무게로 나눈 값
  2. 진추력을 기관의 무게로 나눈 값
  3. 총추력을 연료의 무게로 나눈 값
  4. 진추력을 연료의 무게로 나눈 값
(정답률: 54%)
  • 추력 중량비는 비행기나 로켓 등의 기체가 얼마나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은 진추력(실제로 발생하는 추력)을 기관의 무게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진추력을 기관의 무게로 나눈 값"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공기흡입계통 중 혼합가스를 각 실린더에 일정하게 분배, 운반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은?

  1. 과급기
  2. 매니폴드
  3. 기화기
  4. 공기 스쿠프
(정답률: 75%)
  • 매니폴드는 여러 개의 실린더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가스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매니폴드는 각 실린더에서 흡입된 공기를 일정하게 분배하여 운반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압축기의 단수 3이고, 단당 압렵비가 2일 때, 이압축기의 압력비는 얼마인가?

  1. 8
  2. 12
  3. 16
  4. 24
(정답률: 55%)
  • 압력비는 단수와 단당 압축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압력비는 3 x 2 = 6이 됩니다. 그러나 주어진 보기에서는 6이 없으므로, 6의 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12와 가장 큰 수인 24를 제외하면 8과 16이 남게 됩니다. 이 중에서 압력비는 6보다 크므로 8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8기통 2열 성형기관에서 점화장치를 복식 저압 점화장치를 사용하였다면 장착되는 변압기는 몇 개인가?

  1. 18
  2. 36
  3. 54
  4. 72
(정답률: 73%)
  • 복식 저압 점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각 실린더마다 점화코일이 2개씩 필요하므로 18기통 2열 성형기관에서는 총 36개의 점화코일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변압기도 36개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4행정 왕복기관의 각 과정이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2. 흡입 → 팽창 → 압축 → 배기
  3. 흡입 → 배기 → 압축 → 팽창
  4. 흡임 → 배기 → 팽창 → 압축
(정답률: 84%)
  • 정답은 "흡입 → 압축 → 팽창 → 배기" 입니다.

    이는 4행정 왕복기관의 작동 원리에 따른 순서입니다.

    1. 흡입: 기관 내부에 공기를 흡입합니다.
    2. 압축: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압력을 높입니다.
    3. 팽창: 압축된 공기를 방출하여 기관 내부 압력을 낮춥니다.
    4. 배기: 낮아진 압력으로 인해 기관 내부 공기를 배출합니다.

    이렇게 4행정 왕복기관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다시 팽창시켜 압력을 낮추며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공랭식 왕복기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관작동이 낮은 기온에서 윤활이 원활하다.
  2. 액랭식 기관보다 간단하여 정비하기 용이하다.
  3. 동일한 마력의 액랭식 기관보다 무게가 가볍다.
  4. 라디에이터, 온도조절장치, 펌프 등으로 구성 된다.
(정답률: 51%)
  • 공랭식 왕복기관은 냉각을 위해 물 대신 공기를 사용하며, 따라서 라디에이터, 온도조절장치, 펌프 등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온도조절장치, 펌프 등으로 구성 된다."는 공랭식 왕복기관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터빈기관의 압축기 출구 부분에 물이나 알코올 혼합물을 분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불순물 세척을 위해
  2.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3. 베어링이나 기어의 냉각을 위해
  4. 얼음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67%)
  • 가스터빈기관에서는 압축기 출구에서 고온 고압 가스가 나오게 되는데, 이 가스는 열에 의해 팽창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압축기 출구 부분에 물이나 알코올 혼합물을 분사하여 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부피를 줄여서 추력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이상기체(완전가스)로 채워진 체적이 변하지 않는 밀폐용기를 외부에서 가열했을 때 상태량 변화는?

  1.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2. 내부 압력이 감소한다.
  3. 기체의 체적이 증가한다.
  4. 기체의 체적이 감소한다.
(정답률: 69%)
  • 이상기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고 충돌 빈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분자들이 용기 벽면에 가하는 충돌력이 증가하게 되어 내부 압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이상기체를 가열하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마스터와 아티큘레이터(Master and Articulator)형 커넥팅 로드는 주로 어떤 기관에 사용되는가?

  1. V형 기관
  2. 수평대향형 기관
  3. 성형기관
  4. 직렬형 기관
(정답률: 56%)
  • 마스터와 아티큘레이터(Master and Articulator)형 커넥팅 로드는 주로 성형기관에 사용됩니다. 이는 이 로드가 치아의 교합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치아의 모양과 기능을 최적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형기관에서는 이 로드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치아 보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터빈기관 시동 시 시동기(Starter)가 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1. 순항 시
  2. 이륙 직후
  3. 자립회전속도 도달 시
  4. RPM이 80% 이상 도달 시
(정답률: 69%)
  • 가스터빈기관은 고속으로 회전하는데, 이 회전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공기 유입과 연료 분사가 이루어져서 자립회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동기는 기관의 회전속도가 자립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기관과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립회전속도 도달 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왕복기관 작동 시 점검하여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윤활유 압력
  2. 최대회전마력
  3. 윤활유 온도
  4. 실린더헤드 온도
(정답률: 46%)
  • 왕복기관 작동 시 최대회전마력은 기관의 최대 출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점검 대상이 아닙니다. 다른 항목들은 윤활유의 압력과 온도, 그리고 실린더헤드의 온도 등 기관 작동에 필수적인 요소들이므로 점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가스터빈기관에서 배기가스 소음을 줄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고주파를 저주파로 변환시킨다.
  2. 배기흐름의 단면적을 좁게 한다.
  3. 배기가스의 유속을 증폭 시켜준다.
  4. 배기가스가 대기와 혼합되는 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률: 61%)
  • 배기가스가 대기와 혼합되는 면적을 크게 하면, 배기가스가 대기와 섞여 소리의 진폭이 줄어들어 소음이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터빈기관의 윤활계통에서 일반적으로 윤활유 압력을 감지하는 곳은?

  1. 압력펌프 입구
  2. 윤활유 탱크입구
  3. 압력펌프 출구
  4. 윤활유 탱크출구
(정답률: 41%)
  • 가스터빈기관에서 윤활유는 압력펌프에 의해 탱크에서 펌핑되어 기관 내부로 공급됩니다. 따라서 윤활유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압력펌프 출구에서 감지해야 합니다. 압력펌프 출구에서 윤활유 압력을 감지하면, 윤활유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윤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왕복기관에서 연료를 흡입구나 실린더로 직접 분사하는 방식의 연료분사계통(Fuel injection syste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관 효율이 증가된다.
  2. 혼합비 조절이 개선된다.
  3. 기화기에 증발 결빙이 잘 생긴다.
  4. 혼합기가 각 실린더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정답률: 63%)
  • 기화기에 증발 결빙이 잘 생기는 것은 Fuel injection system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연료분사 시 연료가 기화기에서 증발하면서 공기와 혼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증발 결빙이 생기면 혼합비가 불균일해지고 기관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uel injection system은 적절한 온도와 압력에서 연료를 분사하여 증발 결빙을 최소화하고 혼합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밸브 개폐 시 밸브와 접촉하여 밀폐가 되도록 하며 청동이나 강으로 제작되어 충격에 잘 견디도록 되어있는 곳은?

  1. 밸브 시트
  2. 밸브 가이드
  3. 밸브 스프링
  4. 밸브 리프터
(정답률: 46%)
  • 밸브 개폐 시 밸브와 접촉하여 밀폐가 되도록 하며, 충격에 잘 견디도록 되어있는 곳은 밸브 시트입니다. 다른 보기인 밸브 가이드, 밸브 스프링, 밸브 리프터는 밸브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이지만, 밀폐와 관련된 역할을 하는 것은 밸브 시트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압축기 입구의 온도와 압력이 대기의 온도와 압력과 같은 300K,이고, 압축기 출구 압력이 ??일 때 압축기 출구의 온도는 약 몇 K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이다)(문제 복원 오류로 출력 압력을 복원하지 못하였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1번 입니다.)

  1. 744
  2. 784
  3. 824
  4. 864
(정답률: 52%)
  • 압축기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하면서 공기의 온도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압축기 내부에서의 공기는 대기와 달리 비등하지 않으므로, 등압변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때, 등압변화 과정에서는 압력과 체적의 곱이 항상 일정하므로,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압축기 출구에서의 체적은 입구에서의 체적보다 작아지게 되며, 이는 온도가 증가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공기의 비열비가 1.4이므로, 등압변화 과정에서의 열량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Q = C_p * m * (T2 - T1)

    여기서, Q는 열량 변화량, C_p는 공기의 비열, m은 공기의 질량, T1은 입구 온도, T2는 출구 온도를 나타냅니다.

    등압변화 과정에서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이 감소하므로, 질량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m은 상수로 취급할 수 있습니다.

    입구와 출구의 압력이 같으므로, 압력 변화에 의한 열량 변화는 없습니다. 따라서, 위 식에서 Q는 0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출구 온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0 = 1.4 * m * (T2 - 300)

    T2 = 300 / 1.4 = 214.3 K

    따라서, 압축기 출구의 온도는 약 214 K입니다.

    단, 보기에서는 744, 784, 824, 864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 744가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 출력 압력을 복원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압력 변화에 따른 열량 변화를 고려해야 하지만, 이는 문제에서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744를 선택하는 것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윤활유 여과기에서 걸러진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은?

  1. 드레인 플러그
  2. 섬프 여과기
  3. 바이패스 밸브
  4. 릴리프 코크
(정답률: 53%)
  • 드레인 플러그는 윤활유 여과기에서 걸러진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윤활유 여과기에서 걸러진 불순물이 쌓이면 여과기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드레인 플러그는 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스터빈기관에 사용하는 연료 여과기 중 여과기의 필터가 종이로 되어 있어 주기적인 교환이 필요한 것은?

  1. 카트리지형
  2. 석면형
  3. 스크린-디스크형
  4. 스크린형
(정답률: 78%)
  • 카트리지형 연료 여과기는 필터가 종이로 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 재사용이 가능한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카트리지형 연료 여과기가 가스터빈기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소실에 유입되는 1차 유입공기에 강한 선회를 주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1. 프레임 튜브(Frame tube)
  2. 이너 라이너(Inner liner)
  3. 아우터 라이너(Outer liner)
  4. 스웰 가이드 베인(Swirl guide liner)
(정답률: 61%)
  • 스웰 가이드 베인은 연소실에 유입되는 1차 유입공기에 강한 선회를 주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연소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개선하고 연소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스웰 가이드 베인이 연소실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선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스터빈기관의 시동계통 중 시동스위치 연결 후 시동제어계전기가 연결되고 과속제어계전기가 닫히면 시동스위치를 끊어 주더라도 시동기가 계속 회전하도록 구성된 시동계통은?

  1. 전동기식 시동계통
  2. 공기 터빈식 시동계통
  3. 가스 터빈식 시동계통
  4. 시동-발전기식 시동계통
(정답률: 33%)
  • 전동기식 시동계통은 시동스위치를 끊어도 시동제어계전기가 전원을 유지하여 시동기가 계속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동기가 회전하는 동안 가스터빈이나 공기터빈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시동을 유지할 수 있어 편리하고 안정적인 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용 왕복기관의 출력을 나타내는 1PS에 해당하는 것은?

  1. 75kgfㆍs/m
  2. 75kgfㆍm/min
  3. 75kgfㆍm/s
  4. 75kgfㆍs/min
(정답률: 77%)
  • 1PS는 1초 동안 1파운드 힘을 가하여 1피트를 이동하는 일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PS는 1파운드 × 1피트/1초 = 0.1382 kgf × 0.3048 m/1초 = 0.04214 kgfㆍm/s 입니다. 따라서 75kgfㆍm/s는 1PS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만능 프로펠러 각도기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깃각
  2. 캠버
  3. 시위
  4. 슬립
(정답률: 81%)
  • 만능 프로펠러 각도기는 비행기의 기체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 중에서 깃각은 비행기의 상승, 하강, 좌우 이동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측정할 수 있습니다. 캠버는 날개의 곡률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위는 비행기의 좌우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슬립은 비행기의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