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베르누이 정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압과 동압의 합은 일정하다.
  2. 전압과 정압의 합은 일정하다.
  3. 동압과 정압의 차는 일정하다.
  4. 동압과 정압의 합은 일정하다.
(정답률: 70%)
  • 베르누이 정리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밀도, 고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에 따르면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기반하며,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나 관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때, 유체의 밀도와 고도는 변하지 않으므로, 동압과 정압의 합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것이 베르누이 정리에서 "동압과 정압의 합은 일정하다"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평꼬리 날개에 부착된 조종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승강키
  2. 플랩
  3. 방향키
  4. 도움날개
(정답률: 80%)
  • 승강키는 비행기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입니다. 이 조종면은 수평꼬리 날개에 부착되어 있으며, 비행기의 고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승강키가 정답입니다. 플랩은 비행기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속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이며, 방향키는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조종면입니다.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날개에 부착되는 작은 날개로, 조종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의 수평등속도 비행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T : 추력, D : 항력, L : 양력, W : 항공기무게)

  1. T>D, L=W
  2. T=D, L=W
  3. T=D, L>W
  4. T>D, L>W
(정답률: 94%)
  • 비행기가 수평등속도로 비행한다는 것은 가속도가 0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력과 추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만약 추력이 항력보다 작다면 비행기는 감속하게 되고, 추력이 항력보다 크다면 비행기는 가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T=D 여야 합니다. 또한, 비행기가 공중에서 비행할 때는 중력과 양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만약 중력이 양력보다 크다면 비행기는 하강하게 되고, 양력이 중력보다 크다면 비행기는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L=W 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T=D, L=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Side by side system rotor helicopter)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로 안정성이 매우 좋다.
  2. 수평 비행 시 유해항력이 작다.
  3. 기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4. 동력장치의 동력을 양력발생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수평 비행 시 유해항력이 작다는 것은 회전날개 간의 상호작용이 적어서 기체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질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압력과 밀도가 동시에 증가한다.
  2. 압력은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한다.
  3. 압력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한다.
  4. 압력과 밀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정답률: 59%)
  • 정답: 압력과 밀도가 동시에 감소한다.

    해설: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압력과 밀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대기가 지구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중력의 영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압력과 밀도는 동시에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가 활공각 45도로 활공을 하고 있을 때, 현재의 고도가 10㎞라면 도달할 수 있는 수평활공거리는 몇 ㎞인가?

  1. 5
  2. 7.5
  3. 10
  4. 15
(정답률: 50%)
  • 비행기가 활공각 45도로 비행하고 있을 때,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의 속도는 같습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1㎞ 수직으로 상승할 때마다 1㎞ 수평으로 전진합니다. 현재 고도가 10㎞이므로, 비행기는 10㎞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10㎞ 수평으로 전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달할 수 있는 수평활공거리는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날개주위의 흐름속도에 아음속 흐름과 초음속 흐름이 혼재하고 있는 비행속도 영역은?

  1. 천음속 영역
  2. 아음속 영역
  3. 초음속 영역
  4. 극초음속 영역
(정답률: 76%)
  • 천음속 영역은 비행체의 속도가 음속(340m/s) 이상인 초음속 영역과 음속 미만인 아음속 영역이 혼재하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에서는 날개 주위의 유동이 음속과 초음속의 영향을 받아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비행체의 안정성과 조종성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천음속 영역에서의 비행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위험한 일이며, 극초음속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는 반드시 안전한 속도로 감속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펠러의 유효피치는 기하학적 피치보다 클 수 없다.
  2. 프로펠러 깃의 실제 진행 궤적과 깃 회전면과의 사이각을 깃각(blade angle)이라 한다.
  3. 슬립이란 기하학적 피치와 유효피치의 차이를 기하학적 피치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4. 실제 공기 중을 프로펠러가 1회전할 때 실제 로 비행기가 진행한 거리를 유효피치라고 한다.
(정답률: 38%)
  • "프로펠러의 유효피치는 기하학적 피치보다 클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프로펠러의 유효피치는 기하학적 피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습니다. 유효피치는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 공기의 밀도, 압력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깃의 실제 진행 궤적과 깃 회전면과의 사이각을 깃각(blade angle)이라고 하는 이유는, 깃각은 프로펠러 깃의 각도를 나타내며, 이 각도가 프로펠러의 성능과 효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깃각이 작을수록 프로펠러는 공기를 적게 받아들이고, 큰 추력을 발생시키지만, 회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반대로 깃각이 클수록 공기를 많이 받아들이고, 회전 속도가 빨라지지만, 추력은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마하트리머(Mach trimmer)또는 피치트림 보상기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현상은?

  1. 버피팅(Buffeting)
  2. 피치 업(Pitch up)
  3. 턱 언더(Tuck under)
  4. 드래그 슈트(Drag chute)
(정답률: 61%)
  • 마하트리머 또는 피치트림 보상기는 비행기의 고속 비행 시 발생하는 턱 언더 현상을 자동으로 보상해주는 장치입니다. 턱 언더는 비행기가 고속 비행 중에 갑작스럽게 기울어지면서 날개 아래쪽의 공기가 분리되어 날개 위쪽으로 흐르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고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데, 마하트리머나 피치트림 보상기는 이러한 현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비행기의 고도를 유지하도록 보정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턱 언더(Tuck und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날개의 길이가 10m이고 면적이 20m2일 때 가로세로비는 얼마인가?

  1. 1
  2. 5
  3. 10
  4. 20
(정답률: 68%)
  • 날개의 길이가 10m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 + y = 10

    면적이 20m^2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y = 20

    위 두 식을 이용하여 가로세로비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x/y = (10-y)/y = 10/y - 1

    xy = 20이므로 y = 20/x입니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y = 10/(20/x) - 1 = 10x/20 - 1 = 0.5x - 1

    따라서 x/y는 0.5x - 1입니다.

    이제 x + y = 10을 이용하여 y를 구하고, 이를 위 식에 대입하여 x/y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y = 10
    xy = 20

    위 식을 이용하여 y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y = 10 - x

    이를 위 식에 대입하여 x/y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x/y = 0.5x - 1 = 0.5x - 1

    x(10 - x) = 20

    10x - x^2 = 20

    x^2 - 10x + 20 = 0

    (x - 5)(x - 4) = 0

    따라서 x = 5 또는 x = 4입니다.

    하지만 x와 y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나타내므로 양수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x = 5이고 y = 5입니다.

    따라서 가로세로비는 x/y = 5/5 = 1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이 아니라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반 날개의 유도항력계수에 대한 식은? (단, e : 스팬효율계수, AR : 가로세로비, CL : 양력계수, CD : 항력계수이다.)

(정답률: 57%)
  • 일반 날개의 유도항력계수는 CL = CL,0 + eπAR 이다. 이 식에서 CL,0은 스팬효율계수가 0일 때의 양력계수이고, eπAR은 스팬효율계수에 따른 보정항이다. 이 보정항은 날개의 가로세로비가 클수록 작아지므로, 가로세로비가 큰 날개일수록 일반 날개의 유도항력계수는 CL,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로세로비가 가장 큰 날개인 4번째 보기의 유도항력계수가 가장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가 평형상태에서 벗어난 뒤에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가려는 초기의 경향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정적 안정성이 있다.[양(+)의 정적 안정]
  2. 동적 안정성이 있다.[양(+)의 동적 안정]
  3. 정적으로 불안정하다.[음(-)의 정적 안정]
  4. 동적으로 불안정하다.[음(-)의 동적 안정]
(정답률: 74%)
  • 정적 안정성이 있다는 것은 비행기가 평형 상태에서 벗어나더라도 자연스럽게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구조나 설계 등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비행기가 일시적으로 벗어난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게 복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적 안정성이 있다는 것은 비행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글라이더와 같이 활공비가 너무 커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강하하기 곤란할 경우 강하각을 크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RUDDER
  2. AILERON
  3. ELEVATOR
  4. SPOILER
(정답률: 63%)
  • SPOILER는 비행기의 날개 위에 위치한 장치로, 비행 중에 날개의 양쪽에 동시에 올라가서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고,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하각을 크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의 성능에 관한 용어 중 이용마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행기를 가속 또는 상승시키기 위해 기관으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을 말한다.
  2. 왕복기관의 이용마력은 기관의 제동마력(BHP)에 프로펠러 효율을 곱한 값이다.
  3. 제트기의 이용마력은 속도와 이용추력의 곱으로 나타낸다.
  4. 비행기가 계속 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력으로 정의된다.
(정답률: 49%)
  • 정답: "비행기가 계속 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력으로 정의된다."이 틀린 것이다.

    이용마력은 비행기를 가속하거나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마력을 말한다. 따라서 비행기가 계속 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력으로 정의하는 것은 옳지 않다. 비행기가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용마력과 같은 양의 추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헬리콥터의 좌우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꼬리날개
  2. 동시피치제어간
  3. 방향페달
  4. 주기적피치제어간
(정답률: 64%)
  • 방향페달은 헬리콥터의 꼬리 로터를 회전시켜 좌우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전체적인 방향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꼬리 로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서 좌우방향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향페달은 헬리콥터의 좌우방향 조절에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승강타
  2. 수평안정판
  3. 방향타
  4. 수직안정판
(정답률: 66%)
  • 위 그림에서 보면, 수평안정판은 선박의 좌우로 기울어질 때 선박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답은 "수평안정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합성에나멜 도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택이 우수하다.
  2. 내마멸성이 좋다.
  3. 내약품성은 보통이다.
  4. 산화에 의해 경화된다.
(정답률: 36%)
  • 내마멸성이 좋다는 것은 즉,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서 내구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화학적인 영향에 강하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합성에나멜 도료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가 운항 중에 고장 없이 그 기능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항공기 정비 용어로 무엇이라 하는가?

  1. 감항성
  2. 안전성
  3. 신뢰성
  4. 조종성
(정답률: 85%)
  • 감항성은 항공기가 운항 중에 고장 없이 그 기능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며, 조종성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감항성이 정답인 이유는 항공기의 기능을 유지하는 능력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침투탐상시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 부품의 일부분씩을 탐상할 수 있는 방법이다.
  2. 표면의 개구 결함을 찾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3. 불연속 또는 균열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4. 침투 물질의 종류나 적용 방법에 따라 민감도가 변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불연속 또는 균열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입니다.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의 개구 결함을 찾는데 효과적이며, 큰 부품의 일부분씩을 탐상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침투 물질의 종류나 적용 방법에 따라 민감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연속 또는 균열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여러 개의 오픈-엔드렌치(Open-end wrench)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표준 오픈-엔드렌치, 박스렌치, 소켓렌치 등이 있을 때 대신해서 사용하지 않는 공구의 명칭은?

  1. 알렌렌치(Allen wrench)
  2. 슬립조인트 렌치(Slip joint wrench)
  3. 콤비네이션 렌치(Combination wrench)
  4. 어저스터블 렌치(Adjustable wrench)
(정답률: 54%)
  • 다른 렌치들은 각각의 특정한 크기나 모양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기 위해 디자인되어 있지만, 어저스터블 렌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조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항공기의 지상활주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관제탑과 교신하면서 실시한다.
  2. 기관이 정지할 때까지 주의하여야 한다.
  3. 지상활주는 승인받은 정비사만이 가능하다.
  4. 야간에는 전구를 붙인 등화봉으로 활주신호를 한다.
(정답률: 66%)
  • "야간에는 전구를 붙인 등화봉으로 활주신호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항공기의 지상활주는 안전을 위해 승인받은 정비사만이 가능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관제탑과 교신하면서 실시하며, 기관이 정지할 때까지 주의하여야 합니다. 야간에는 등화봉 대신 활주신호등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든 부품들이 장탈되거나 분해된 후 세척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장 먼저 하는 검사는?

  1. 육안검사
  2. 초기검사
  3. 분해검사
  4. 치수검사
(정답률: 82%)
  • 모든 부품들이 장탈되거나 분해된 후 세척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장 먼저 하는 검사는 육안검사입니다. 이는 부품들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초기검사는 제품이 처음 생산될 때 하는 검사이며, 분해검사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각 부품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고, 치수검사는 부품들의 크기와 형태를 측정하여 규격에 맞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좁은 장소에서 작업할 때 굴곡이 필요할 경우 래칫 핸들, 스피드 핸들, 소켓 또는 익스텐션 바와 함께 사용되는 그림과 같은 것은?

  1. 어댑터
  2. 콤비네이션 렌치
  3. 벨트 렌치
  4. 유니버셜 조인트
(정답률: 86%)
  • 유니버셜 조인트는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굴곡이 필요한 경우 래칫 핸들, 스피드 핸들, 소켓 또는 익스텐션 바와 함께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는 유연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도가 굽히는 작업 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어댑터, 콤비네이션 렌치, 벨트 렌치와는 달리 유니버셜 조인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일 노출시간이 1시간일 경우 노출기준이 되는 소음 강도는 몇 db(A)인가? (단, 충격 소음은 제외한다.)

  1. 25
  2. 50
  3. 80
  4. 105
(정답률: 50%)
  • 1일 노출시간이 1시간이므로, 노출한 총 소음량은 1시간 동안 발생한 소음 강도와 같다. 따라서, 노출기준이 되는 소음 강도는 1일 노출시간이 1시간일 경우 1시간 동안 허용되는 최대 소음 강도인 105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선의 전선피복에 표시된 기호와 의미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A : 항공기 계통 기능
  2. B : 전선 뭉치 번호
  3. C : 전선의 굵기
  4. D : 연결된 계기
(정답률: 63%)
  • 전선피복에 표시된 기호는 MIL-STD-681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C"는 전선의 굵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전선의 전기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전선의 굵기가 작을수록 전기저항이 커지고, 큰 전류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는 전선의 굵기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기 및 관련 장비와 부분품에 적용되는 정비방식이 아닌 것은?

  1. 상태 정비
  2. 시한성 정비
  3. 폐품 정비
  4. 신뢰성 정비
(정답률: 89%)
  • 항공기 및 관련 장비와 부분품이 폐기되기 전에 폐기 처리를 위해 수행되는 작업이 폐품 정비입니다. 따라서 이는 정비방식이 아닙니다. 상태 정비는 항공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것이며, 시한성 정비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필요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신뢰성 정비는 항공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케이블을 연결해 주는 부품으로 조종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역할도 하며 가운데에 배럴이 있는 것은?

  1. 턴버클
  2. 스웨이징
  3. 코터핀
  4. 니코프레스
(정답률: 83%)
  • 턴버클은 케이블을 연결하고 장력을 조절하는 부품으로, 가운데에 배럴이 있는 것은 케이블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턴버클"입니다. 스웨이징은 케이블의 끝을 고정시키는 부품, 코터핀은 핀을 고정시키는 부품, 니코프레스는 케이블을 압착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중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인산염 등을 화학적으로 특수 처리하여 만든 분말소화기가 사용되는 곳으로 옳은 것은?

  1. A급, D급 화재
  2. B급, C급 화재
  3. C급, D급 화재
  4. B급, D급 화재
(정답률: 58%)
  • 중탄산칼륨, 중탄산나트륨, 인산염 등은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지역의 산소를 차단하여 화염을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B급, C급 화재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B급 화재는 유기물 화재(종이, 나무, 섬유 등)이며, C급 화재는 가스, 기름, 전기기기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입니다. 따라서 분말소화기는 B급, C급 화재에서 사용됩니다. A급 화재는 일반 물로 진압할 수 있고, D급 화재는 금속 화재로 분말소화기로 진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플러그 간극 게이지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나사 절삭 바이트의 기준 측정에 사용된다.
  2. 안지름이나 홈을 측정하는 보조 측정기구이다.
  3. 두께가 다른 강재의 얇은 편을 모아서 점검 또는 홈의 간격 등의 점검과 측정에 사용된다.
  4. 점화플러그의 간극을 측정하고 게이지에 부착된 간극 조절용 레버로 플러그 간극을 조절하는 측정기구
(정답률: 66%)
  • 점화플러그의 간극을 측정하고 게이지에 부착된 간극 조절용 레버로 플러그 간극을 조절하는 측정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전기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3점 접지점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항공기, 주날개, 지면
  2. 항공기, 연료차, 지면
  3. 연료차, 지면, 운전자
  4. 항공기, 연료차, 타이어
(정답률: 89%)
  • 정전기는 물체 간 전하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데, 항공기와 연료차는 전기를 많이 사용하고 전기적으로 충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접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면은 전기를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연료차, 지면이 옳은 3점 접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운항정비 기간에 발생한 항공기 정비 불량 상태의 수리와 운항 저해의 가능성이 많은 각 계통의 예방정비 및 감항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비작업은?

  1. 중간 점검(Transit check)
  2. 기본 점검(Line maintenance)
  3. 정시 점검(Schedule maintenance)
  4. 비행 전후 점검(Pre/post flight check)
(정답률: 72%)
  • 운항정비 기간에 발생한 항공기 정비 불량 상태를 예방하고 운항 저해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수행되는 정비작업이 정시 점검입니다. 정기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항공기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고, 예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시 점검은 항공기의 안전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작업공간이 좁거나 버킹바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리브너트(Rivnuts)
  2. 체리리벳(Cherry rivet)
  3. 폭발리벳(Explosive rivet)
  4. 솔리드셩크리벳(Solid shank rivet)
(정답률: 60%)
  • 솔리드셩크리벳은 작업공간이 넓거나 버킹바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사용되는 리벳으로, 블라인드 리벳이 아닙니다. 솔리드셩크리벳은 리벳의 머리와 몸통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벳을 설치할 때는 리벳을 구멍에 밀어 넣고 반대쪽에서 망치로 머리를 깨뜨리면서 설치합니다. 따라서 작업공간이 넓거나 버킹바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시한성 정비”를 영어로 옳게 표시한 것은?

  1. Hard time maintenance
  2. On condition maintenance
  3. Age sampling maintenance
  4. Condition monitoring maintenance
(정답률: 86%)
  • 정답: Hard time maintenance

    설명: 시한성 정비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비행기나 자동차 등과 같이 일정한 주기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기계나 장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Hard time은 "엄격한 시간"이라는 뜻으로, 일정한 주기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것이 엄격하게 지켜져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Hard time maintenance가 시한성 정비를 영어로 옳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굴곡작업에 관한 용어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세트백은 굽힘 접선에서 성형점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2. 성형점은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이다.
  3. 판재의 굽힘반지름은 구부리는 판재의 안쪽에서 측정한 반지름을 말한다.
  4. 굽힘여유는 굽힘각도, 굽힘반지름, 금속의 두께 등의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55%)
  • 정답은 "세트백은 굽힘 접선에서 성형점까지의 길이를 말한다."입니다.

    성형점은 접어 구부러진 재료의 안쪽에서 연장한 직선의 교점으로, 굴곡작업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세트백은 굴곡된 부분에서 굽힘 접선과 성형점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판재의 굽힘반지름은 구부리는 판재의 안쪽에서 측정한 반지름을 의미하며, 굽힘여유는 굽힘각도, 굽힘반지름, 금속의 두께 등의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압계통의 튜브의 크기는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튜브의 외경(OD)과 두께
  2. 튜브의 내경(ID)과 두께
  3. 튜브의 내경(ID)과 외경(OD)
  4. 튜브의 외경(OD)과 피팅의 크기
(정답률: 62%)
  • 유압계통에서 튜브의 크기는 외경(OD)과 두께로 표시합니다. 이는 튜브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튜브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외경(OD)과 두께가 큰 튜브일수록 높은 압력과 부하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반면 내경(ID)은 유체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대한 크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스터빈기관에서 사용되는 원심식 압축기를 축류식 압축기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큰 특징은?

  1. 회전 속도 범위가 좁다.
  2. 각 단마다의 압력비가 작다.
  3. 2단 이상 사용 시 실용적이다.
  4. 제작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볍다.
(정답률: 71%)
  • 가스터빈기관에서 사용되는 원심식 압축기는 축류식 압축기와 비교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볍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원심식 압축기가 회전하는 원판에 날개 모양의 압축기 패들을 부착하여 회전하면서 공기를 압축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축류식 압축기는 회전하는 축 주위에 나선형의 압축기 패들을 부착하여 회전하면서 공기를 압축합니다. 이로 인해 원심식 압축기는 제작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조점화장치 중 기관과 마그네토축 사이의 연결장치로서 시동을 걸 때 마그네토축을 순간적으로 고회전시켜 고전압으로 증가시켜 지연점화를 하기 위한 장치는?

  1. 배전기(Distributor)
  2. 임펄스 커플링(Impulse coupling)
  3. 부스터 마그네토(Booster magneto)
  4. 유도 바이브레이터(Induction vibrator)
(정답률: 42%)
  • 임펄스 커플링은 기관과 마그네토축 사이의 연결장치로서, 시동을 걸 때 마그네토축을 순간적으로 고회전시켜 고전압으로 증가시켜 지연점화를 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다른 보조점화장치들과는 달리, 임펄스 커플링은 순간적인 고회전으로 인해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연점화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가스터빈 항공기에서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특히 시동 시 더욱 자세히 관찰해야 할 기관계기는?

  1. EPR 계기
  2. 오일 압력게
  3. EGT 계기
  4. 오일 온도계
(정답률: 61%)
  • 가스터빈 항공기에서 EGT 계기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특히 시동 시 더욱 자세히 관찰해야 할 기관계기입니다. 이는 엔진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온도를 측정하여 엔진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동 시에는 엔진의 안전한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EGT 계기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기관의 윤활계통에서 윤활유의 역류를 방지 역할을 하는 것은?

  1. 니들 밸브
  2. 체크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드레인 밸브
(정답률: 71%)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로, 가스터빈기관의 윤활계통에서는 윤활유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체크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착륙 후 활주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깃 각을 부(-)의 값으로 바꿀 수 있는 프로펠러 형식은?

  1. 역피치 프로펠러
  2. 페더링 프로펠러
  3. 정속피치 프로펠러
  4. 두 지점 프로펠러
(정답률: 78%)
  • 역피치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각도를 부(-)의 값으로 바꿀 수 있는 형식이다. 이는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착륙 후 활주 거리를 단축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역피치 프로펠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그림과 같은 터빈 갓의 냉각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충동냉각
  2. 침출 냉각
  3. 대류냉각
  4. 공기막 냉각
(정답률: 73%)
  • 터빈 갓의 냉각 방법 중 대류냉각은 냉각재가 터빈 갓 내부를 흐르면서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즉, 냉각재의 열전달이 대류(유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상 기관 화재(ground engine fire) 발생 시 취해야 할 조치가 아닌 것은?

  1. 소화를 위하여 물을 분사한다.
  2. 가관을 크랭킹 또는 모터링을 한다.
  3. 연료 차단 레버 (fuel shut-off lever)를 off 위치로 한다.
  4. 화재가 진화되지 않으면 모든 스위치를 안전하게 차단하고 항공기를 떠난다.
(정답률: 58%)
  • "소화를 위하여 물을 분사한다."는 올바른 조치입니다. 지상 기관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불길을 진압하고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열이나 연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항공기용 왕복기관 시동기 계통의 기본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브래킷(bracket)
  2. 배터리(battery)
  3. 서키트 솔레노이드(circuit breaker)
  4. 스타터 솔레노이드(starter solenoid)
(정답률: 36%)
  • 항공기용 왕복기관 시동기 계통의 기본 구성품으로는 배터리, 서키트 솔레노이드, 스타터 솔레노이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브래킷은 시동기 계통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브래킷은 부품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대로, 시동기 계통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피스톤 링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피스톤의 운동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
  2. 연소실 내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 기능
  3. 과도한 윤활유가 연소실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씰링 기능
  4. 피스톤으로부터 실린더 벽으로 열을 전도하는 기능
(정답률: 61%)
  • 피스톤 링의 기능 중 "피스톤의 운동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피스톤 링은 연소실 내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 기능, 과도한 윤활유가 연소실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씰링 기능, 그리고 피스톤으로부터 실린더 벽으로 열을 전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계(system)에서 주위와 열을 출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작동 유체의 상태 변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적과정
  2. 정압과정
  3. 단열과정
  4. 등온과정
(정답률: 62%)
  • 단열과정은 주위와 열을 출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작동 유체가 일어나는 상태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열이 출입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 유체의 내부 에너지가 변화하게 되며, 이는 온도 변화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단열과정은 열이 출입되지 않고 내부 에너지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으로 정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가스터빈기관에서 연소가스의 출구온도 분포가 가장 균일한 연소실의 형태는?

  1. 캔형 연소실
  2. 애뉼러형 연소실
  3. 캔-애뉼러형 연소실
  4. 라이너형 연소실
(정답률: 60%)
  • 애뉼러형 연소실은 연소가스가 휘어서 흐르는 형태로, 연소가스의 출구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분포됩니다. 이는 연소가스가 흐르는 동안 시간과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에서 연소가스의 출구온도 분포가 가장 균일한 연소실의 형태는 애뉼러형 연소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폴리트로픽 변화를 나타낸 그림에서 n=0일 때의 과정은?

  1. 정적과정
  2. 등온과정
  3. 정압과정
  4. 단열과정
(정답률: 38%)
  • n=0일 때는 가스의 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체적도 일정합니다. 따라서 가스 분자들이 충돌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인 정압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터보샤프트기관의 로터에서 발생되는 추력은 총추력의 몇 %인가?

  1. 25
  2. 50
  3. 75
  4. 100
(정답률: 35%)
  • 터보샤프트기관의 로터에서 발생되는 추력은 총추력의 100%입니다. 이는 터보샤프트기관이 작동하는 원리 때문입니다. 터보샤프트기관은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기로 보내 연소시키고, 연소된 가스는 로터를 회전시키면서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로터에서 발생되는 추력은 전체적으로 터보샤프트기관의 작동 원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총추력의 100%를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흡입 밸브 (intake valve)가 상사점 전에 열리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밸브랩(Valve lap)
  2. 밸브 지연(Valve lag)
  3. 밸브 앞섬(Valve lead)
  4. 밸브 간극(Valve clearance)
(정답률: 60%)
  • 흡입 밸브가 상사점 전에 열리는 것을 "밸브 앞섬(Valve lead)"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엔진의 작동 원리에서, 피스톤이 상단 중심에서 최대 압축을 받을 때, 흡입 밸브가 약간 열려 있어서 공기와 연료가 피스톤 상단으로 흡입되어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밸브 앞섬은 엔진의 성능과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 여과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디스크형(Disk type)
  2. 스크린형(Screen type)
  3. 카트리지형(Cartridge type)
  4. 스크린-디스크형(Screen-disk type)
(정답률: 48%)
  •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 여과기는 연료를 정제하여 가스터빈 엔진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형은 연료 여과기의 종류 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디스크형은 가스터빈 기관에서 연료 여과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6기통 대향형 기관에서 회전자 극수가 4개인 마그네토를 장착한 기관의 크랭크 축 회전수가 2400rpm일 경우 마그네토의 회전 속도는 몇 rpm인가?

  1. 1200
  2. 1800
  3. 2100
  4. 2400
(정답률: 35%)
  • 회전자 극수가 4개인 마그네토는 크랭크 축 회전수의 절반인 속도로 회전합니다. 따라서 마그네토의 회전 속도는 2400rpm/2 = 1200rp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회전 속도를 묻는 것이므로, 마그네토의 회전 속도는 1200rpm의 1배인 1200rpm이 아니라, 1200rpm의 1.5배인 1800rp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터보팬 기관의 역추력장치에서 팬 역추력장치를 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무게감소
  2. 연로소모 감소
  3. 고장감소
  4. 역추력 효과의 증가
(정답률: 57%)
  • 터보팬 기관에서는 역추력장치를 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역추력 효과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역추력 효과란, 팬 뒤쪽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생기는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이는 역추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역추력 효과가 더욱 증가하여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터보팬 기관에서는 주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역추력 효과를 최소화하고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왕복기관의 공기흡입계통 중에서 혼합가스를 각 실린더에 일정하게 분배, 운반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은?

  1. 매니폴드
  2. 기화기
  3. 공기덕트
  4. 과급기
(정답률: 77%)
  • 매니폴드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하나로 모아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왕복기관의 공기흡입계통에서도 혼합가스를 각 실린더에 일정하게 분배하고 운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에 따라 매니폴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관 부품에 윤활이 적절하게 될 수 있도록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는 윤활계통 장치는?

  1. 윤활유 냉각기
  2. 윤활유 여과기
  3. 윤활유 압력 여과기
  4.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
(정답률: 76%)
  •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는 윤활유의 최대 압력을 제한하고 조절하여 기관 부품에 적절한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과도한 윤활유 압력으로 인한 기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윤활유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윤활유 압력 릴리프 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외연기관에 속하는 것은?

  1. 왕복기관
  2. 회전기관
  3. 가스터빈 기관
  4. 증기기관
(정답률: 78%)
  • 외연기관은 연소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연소되어 발생한 가스의 열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만드는 기관을 말합니다. 따라서 증기기관은 연소된 가스의 열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움직임을 만드는 외연기관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후기연소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과적인 연소를 위해 입구의 공기 속도가 작은 것이 좋다
  2. 터빈출구와 후기연소실 입구 사이는 디퓨져 구조로 설치한다,
  3. 후기연소기 미작동 시에는 배기 노즐 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다.
  4. 터빈 뒤에 테일콘을 장착하여 확산통로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43%)
  • "후기연소기 미작동 시에는 배기 노즐 출구의 면적을 크게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후기연소기가 미작동하면 배기 노즐 출구의 면적을 줄여야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합니다. 이유는 후기연소기가 작동하지 않으면 연소가 완전하지 않아 배기가 더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기 노즐 출구의 면적을 줄여서 배기 가스의 속도를 높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왕복기관에서 디토네이션 방지분사(Antidetonation injection)에 사용되는 디토네이션 방지유에 혼합되는 액체가 아닌 것은?

  1. 소화액
  2. 알코올
  3. 윤활유
(정답률: 60%)
  • 디토네이션 방지분사에 사용되는 디토네이션 방지유는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연소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디토네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디토네이션 방지유에는 고온과 고압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는 액체가 혼합됩니다. 그러나 소화액은 디토네이션 방지유에 혼합되지 않습니다. 이는 소화액이 디토네이션 방지유에 혼합되면 디토네이션 방지유의 안정성을 해치고,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 왕복기관에서 피스톤 지름이 130mm, 행정거리가140mm 실린더수가 4 제동평균 유효압력이 6.5kgf/cm2 회전수가 2000rpm일 때에 제동마력은 약 몇 ps인가?

  1. 107.3
  2. 117.3
  3. 127.3
  4. 137.3
(정답률: 28%)
  •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동마력 = 제동력 × 회전수

    제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동력 = 제동압력 × 피스톤 면적 × 실린더수

    제동압력은 제동평균 유효압력을 사용하며, 피스톤 면적은 지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피스톤 면적 = (지름/2)^2 × π

    따라서 계산해보면,

    피스톤 면적 = (130/2)^2 × 3.14 = 13272.5mm^2

    제동력 = 6.5kgf/cm^2 × 13272.5mm^2 × 4 = 350728.5kgf·mm

    회전수는 2000rpm이므로, 1분당 회전수는 2000 × 60 = 120000입니다.

    따라서 제동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제동마력 = 350728.5kgf·mm × 120000 / 75,000 = 562.77ps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107.3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로팬의 프로펠러 깃에 후퇴각을 준 큰 이유는?

  1. 충격파를 방해하기 위하여
  2. 충격파를 흡수하기 위하여
  3. 충격파를 발생하기 위하여
  4. 충격파를 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72%)
  • 프로팬의 프로펠러 깃에 후퇴각을 준 이유는 "충격파를 발생을 지연시키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프로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를 최소화하여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후퇴각을 줌으로써 프로펠러의 날개 각도를 조절하여 충격파를 지연시키고, 이로 인해 비행기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스터빈기관의 점화계통에 높은 에너지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높은 온도의 주위 환경 속에서 점화하기 위해
  2. 고고도와 저온에서도 점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3. 습도가 낮은 곳에서도 점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4. 고온지대와 저고도에서도 점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정답률: 61%)
  • 가스터빈기관은 항공기나 로켓 등 고고도에서 사용되는 엔진으로, 저온이나 고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합니다. 따라서 점화계통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높은 온도의 주위 환경 속에서 점화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고고도와 저온에서도 점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높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