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항공기관정비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하중 배수에 대한 표현식이 아닌 것은?

(정답률: 68%)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자기자본 / 총자산"으로 표현된 하중 배수식이지만, ""은 "자기자본 / 순자산"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이므로, 이 식은 부채를 고려하지 않은 자기자본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하중 배수식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빗놀이(Yawing) 모멘트를 주기 위해 필요한 조종면은?

  1. 방향키(Rudder)
  2. 승강키(Elevator)
  3. 도움날개(Aileron)
  4. 스포일러(Spoiler)
(정답률: 88%)
  • 방향키(Rudder)는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따라서 빗놀이(Yawing) 모멘트를 주기 위해서는 방향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승강키(Elevator)는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비행기의 상하 방향을 조절하며, 도움날개(Aileron)는 롤링 모멘트를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포일러(Spoiler)는 비행기의 고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빗놀이 모멘트를 주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평면과 θ의 각을 이루며 등속도로 정상 활공비행을 하는 비행기의 힘의 평형 상태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L은 양력, W는 항공기의 무게이다.)

  1. L = W
  2. L = Wsinθ
  3. L = Wcosθ
  4. L = Wtanθ
(정답률: 62%)
  • 비행기가 등속도로 정상 활공비행을 하고 있다는 것은 가속도가 0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힘의 합력은 0이어야 합니다. 비행기가 수평면과 θ의 각을 이루며 비행하고 있다면, 수직 방향으로는 중력이 작용하고 수평 방향으로는 양력이 작용합니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의 힘의 합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Lcosθ - Wsinθ = 0

    여기서 L은 양력, W는 항공기의 무게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L = Wsinθ/cosθ = Wtanθ

    따라서, L = Wcosθ가 아닌 L = Wtanθ, L = Wsinθ는 틀린 답입니다. L = Wcos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지면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착륙하고 있는 항공기
  2. 지면가까이에서 비행하는 비행기
  3. 산막지형에서 수직하강하고 있는 항공기
  4. 지면가까이에서 정지비행을 하는 헬리콥터
(정답률: 89%)
  • 산막지형에서 수직하강하고 있는 항공기는 지면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면서 비행하기 때문에 지면효과가 발생하지 않지 않습니다. 지면효과는 지면과 공기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데, 항공기가 지면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면서 비행하면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날개골 윗면에서 흐름의 떨어짐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항력이 증가한다.
  2. 양력이 증가한다.
  3. 비행속도가 증가한다.
  4. 유체입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한다.
(정답률: 83%)
  • 정답: 항력이 증가한다.

    날개골 윗면에서 흐름의 떨어짐이 발생하면, 공기 입자들은 날개골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속도 벡터를 가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날개골 위쪽에서는 공기 입자들이 날개골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는 항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항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유체흐름에서 A1 지점의 단면적은 32m2 이고, A2지점의 단면적은 8m2 이다. 이때 A1지점의 속도는 10m/s 일 때, A2지점의 속도는 몇 m/s 인가? (단, 각 지점의 유체밀도는 같다.)

  1. 8
  2. 10
  3. 32
  4. 40
(정답률: 85%)
  • 유체의 질량은 보존되므로, A1에서의 유체의 질량과 A2에서의 유체의 질량은 같습니다. 따라서, A1에서의 유체의 질량과 속도를 알고 있다면, A2에서의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A1에서의 유체의 질량은 밀도 x 체적 x 속도 = ρ x A1 x v1 입니다.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 v1은 A1에서의 속도입니다.

    A2에서의 속도는 A2에서의 유체의 질량을 A2의 단면적과 A2에서의 속도로 나눈 값입니다. 즉, ρ x A1 x v1 / (ρ x A2 x v2) = A1 / A2 입니다.

    여기서 A1은 32m2, A2는 8m2, v1은 10m/s 이므로, v2 = 4 x 10 = 4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에서 전진과 후퇴시에 깃의 피치각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더링
  2. 실속
  3. 플래핑
  4. 풍차식 제동
(정답률: 75%)
  • 페더링은 헬리콥터의 깃을 조정하여 전진 및 후퇴 운동 시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운동입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비행 효율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페더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날개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는?

  1. 뒤젖힘 날개
  2. 타원 날개
  3. 앞젖힘 날개
  4. 테이퍼 날개
(정답률: 75%)
  • 타원 날개는 날개 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날개의 중심선이 곧장 날아가는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유도항력이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타원 날개는 최적의 날개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비행기가 정적세로안정(Static Longitudinal Stability)을 갖는 경우는?

  1.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낼 때
  2. 도움날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보다 커지는 상태로 만들때
  3.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빗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낼 때
  4.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옆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보다 커지는 상태가 될 때
(정답률: 56%)
  • 정답은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낼 때"입니다.

    비행기가 정적세로안정을 갖기 위해서는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내야 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받음각을 증가시키면 앞날개와 꼬리날개의 양력이 증가하여 비행기의 앞뒤 중심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앞뒤 중심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키놀이 모멘트가 받음각을 감소시켜 원래의 평형된 상태로 되돌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내는 것이 정적세로안정을 갖는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날개를 지나는 흐름의 뒷부분에 발생하며 회전운동에 의하여 소용돌이치는 모양의 흐름은?

  1. 유도
  2. 와류
  3. 분리
  4. 박리
(정답률: 94%)
  • 날개를 지나는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위아래로 나뉘어 흐르게 되는데, 이 때 상부에서는 공기가 빠르게 흐르고 하부에서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상하의 속도차가 발생하면서 회전운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소용돌이치는 모양의 흐름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흐름을 와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고항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제동 낙하산(Drag chute)
  2. 크루거 플랩(Kruger flap)
  3. 에어 브레이크(Air brake)
  4.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
(정답률: 86%)
  • 크루거 플랩은 날개의 앞측면에 위치한 플랩으로, 고속 비행시에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기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고항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고항력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수직꼬리날개가 실속이 일어나는 큰 옆미끄럼각에서 방향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1. 트림태브
  2. 도살 핀
  3. 공력평형장치
  4. 스트레이크
(정답률: 93%)
  • 수직꼬리날개가 실속이 일어나는 큰 옆미끄럼각에서 방향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도살 핀"입니다. 도살 핀은 수직꼬리날개의 끝에 위치한 작은 핀으로, 비행 중에 공기의 흐름을 안정화시켜 수직꼬리날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방향안정성이 향상되며,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기를 이루고 있는 기체 중에서 부피비로 보았을 때 가장 많은 것은?

  1. 아르곤
  2. 산소
  3. 이산화탄소
  4. 질소
(정답률: 91%)
  • 부피비란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를 비교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기체 분자의 질량이 작을수록 같은 부피에 더 많은 분자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부피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질소는 분자량이 가장 작은 기체 중 하나이기 때문에 부피비로 보았을 때 가장 많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가 200m/s 로 비행하고 있다. 이 때의 항력이 3500kgf 이라면 필요마력은 약 몇 HP 인가? (단, 1HP는 75kgfㆍm/s로 한다.)

  1. 1313
  2. 2625
  3. 5250
  4. 9333
(정답률: 66%)
  • 필요마력 = 항력 × 비행속도
    항력은 3500kgf, 비행속도는 200m/s 이므로
    필요마력 = 3500kgf × 200m/s = 700000kgfㆍm/s
    1HP는 75kgfㆍm/s 이므로
    필요마력을 75로 나누어주면
    필요한 마력 = 700000kgfㆍm/s ÷ 75kgfㆍm/s ≈ 9333HP
    따라서 정답은 "933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펠러 항공기의 감속도 전진 비행의 조건은? (단, T 는 추력, D는 항력이다.)

  1. T >D
  2. T = D
  3. T< D
  4. T = 2D
(정답률: 80%)
  • 프로펠러 항공기가 전진 비행을 유지하려면 항력과 추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만약 추력이 항력보다 작다면 항공기는 감속하게 되고, 이는 전진 비행을 유지할 수 없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T< D가 전진 비행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토크 렌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빔 식(Beam type)
  2. 제한 식(Limit type)
  3. 다이얼 식(Dial type)
  4. 자동 식(Automatic type)
(정답률: 67%)
  • 토크 렌치의 종류 중 "자동 식(Automatic type)"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문장에서 설명하는 감항성을 영어로 옳게 표시한 것은?

  1. Maintenance
  2. Comfortability
  3. Inspection
  4. Airworthiness
(정답률: 81%)
  • The sentence is describing the safety of the aircraft, which is determined by its ability to fly safely and meet regulatory standards. This is referred to as "airworthines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캐슬 너트, 핀과 같이 풀림 방지를 할 필요가 있는 부품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코터핀
  2. 피팅
  3. 클레코
  4. 실(Seal)
(정답률: 81%)
  • 코터핀은 핀과 함께 사용하여 부품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캐슬 너트와 같이 풀림 방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비계획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항공기의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정비가 수행되어 계획된 시간에 차질없이 운항되도록 하기위한 정비 목적은?

  1. 정시성
  2. 안전성
  3. 쾌적성
  4. 경제성
(정답률: 87%)
  • 정비가 철저하게 수행되어 정비계획에 따라 항공기가 예정된 시간에 운항되면, 승객들은 항공편의 정시성에 대해 높은 신뢰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항공사의 이미지 향상과 함께 승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며, 또한 항공사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정시성은 항공사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기 유관(호스)식별용 표찰에 “TOXIC"이라 표시되어 있다면 이 유관에 사용하여야 하는 물질은?

  1. 연료
  2. 유독물질
  3. 산소
  4. 프레온 가스
(정답률: 79%)
  • 항공기 유관(호스)식별용 표찰에 “TOXIC"이라 표시되어 있다면 이 유관에 사용하여야 하는 물질은 유독물질입니다. "TOXIC"은 영어로 "유독성의"라는 뜻이며, 이 표시는 해당 유관에 유독물질이 사용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유관을 다른 물질에 사용하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문장이 뜻하는 계기로 옳은 것은?

  1. Altimeter
  2. Air speed indicator
  3. Turn and slip indicator
  4. Vertical velocity indicator
(정답률: 81%)
  • 이미지에서는 비행기의 고도를 나타내는 계기인 Altimeter가 가리키는 수치가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ltimeter"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행기의 속도, 방향 등을 나타내는 다른 계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복선식(Double twist) 안전결선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는 최대 유닛(Unit)수는 몇 개인가?

  1. 2개
  2. 3개
  3. 4개
  4. 제한없다.
(정답률: 90%)
  • 복선식 안전결선방법은 두 개의 유닛을 결합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첫 번째 유닛과 두 번째 유닛을 결합하면 하나의 유닛으로 간주하여 세 번째 유닛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대 세 개의 유닛까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정답은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하는 경우는?

  1.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한다.
  2. 같은 금속이 접촉하면 발생한다.
  3.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하면 발생한다.
  4.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에만 발생한다.
(정답률: 76%)
  •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하면 각 금속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전기적인 반응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반응을 갈바닉 반응이라고 하며, 이는 갈바닉 부식의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항공기 지상 취급(Ground handling)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잭 작업
  2. 견인 작업
  3. 계류 작업
  4. 비행 작업
(정답률: 84%)
  • 비행 작업은 항공기가 지상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항공기 지상 취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비행 작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 외부 세척작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습식 세척
  2. 건식 세척
  3. 광택 작업
  4. 블라스트 세척
(정답률: 73%)
  • 블라스트 세척은 항공기 외부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항공기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외부 세척작업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신뢰성 정비방식에서 문제가 발견되는 단계로 옳은 것은?

  1. 정보수집 단계
  2. 분석 단계
  3. 정보관리 단계
  4. 대착 및 조치단계
(정답률: 70%)
  • 신뢰성 정비방식에서 문제가 발견되는 단계는 분석 단계입니다. 이는 정보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는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석 단계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면 이후 단계에서도 문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항 시설물과 각종 장비에는 안전색채가 표시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다음 중 녹색의 안전색체 표시를 해야 하는 장치는?

  1. 보일러
  2. 전원스위치
  3. 응급처치장비
  4. 소화기 및 화재경보장치
(정답률: 96%)
  • 응급처치장비는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녹색의 안전색채로 표시되어야 한다. 보일러는 열에 의한 위험이 있으므로 빨간색, 전원스위치는 전기적 위험이 있으므로 빨간색, 소화기 및 화재경보장치는 화재에 대한 대비를 위한 것이므로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황목, 중목, 세목으로 나누는 줄(File)의 분류방법 기준은?

  1. 줄눈의 크기
  2. 줄의 길이
  3. 줄날의 방식
  4. 단면의 모양
(정답률: 71%)
  • 줄눈의 크기는 황목, 중목, 세목으로 나누는 줄의 분류방법 기준입니다. 이는 줄눈의 크기가 작을수록 세목에 해당하는 줄이며, 큰 줄눈일수록 황목에 해당하는 줄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눈의 크기가 분류방법의 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초음파탐상검사 시 필요한 장비가 아닌것은?

  1. 초음파 발생장치
  2. 트랜스듀서(Transducer)
  3. 블랙 라이트(Black light)
  4.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정답률: 73%)
  • 블랙 라이트(Black light)는 초음파탐상검사와는 관련이 없는 장비입니다. 초음파탐상검사에 필요한 장비는 초음파 발생장치, 트랜스듀서(Transducer),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입니다. 초음파 발생장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이고, 트랜스듀서는 발생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오실로스코프는 변환된 전기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검사자가 초음파 신호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실린더 게이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칼마형 게이지가 있다.
  2. 아메스형 게이지가 있다.
  3. 검사 계기의 점검에 사용된다.
  4. 실린더 안지름이나 마멸량을 측정한다.
(정답률: 57%)
  • 실린더 게이지는 검사 계기의 점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실린더 안지름이나 마멸량을 측정하거나, 칼마형 게이지나 아메스형 게이지와 같은 다른 유형의 게이지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밀한 광학 기계로서 특수한 형태의 망원경을 이용한 검사로 육안으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곳의 결함 발견에 이용되는 검사법은?

  1. 코인 검사
  2. 보어스코프 검사
  3. 와전류 검사
  4. 텔레스코핑 검사
(정답률: 86%)
  • 보어스코프 검사는 정밀한 광학 기계로서 특수한 형태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곳의 결함 발견에 이용되는 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코인 검사, 와전류 검사, 텔레스코핑 검사는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작업자가 리벳 작업하는 반대쪽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와 같이 일반 리벳을 사용하기에 부적절 한 곳에 사용하는 리벳은?

  1. 블라인드 리벳
  2. 접시머리 리벳
  3. 유니버설 리벳
  4. 둥근머리 리벳
(정답률: 81%)
  • 블라인드 리벳은 작업자가 반대쪽에 접근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리벳입니다. 이는 리벳의 머리 부분이 뒤쪽으로 접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리벳을 설치한 후에도 머리 부분이 뒤쪽으로 접혀있어서 반대쪽에서는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라인드 리벳은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 기체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 구조검사에 관계되는 것은?

  1. A 점검
  2. C 점검
  3. ISI 점검
  4. D 점검
(정답률: 76%)
  • ISI 점검은 Internal Structural Inspection(내부 구조검사)의 약자로, 항공기 내부 구조물의 파손, 부식, 변형 등을 검사하는 점검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기체 정비작업에서의 정시점검으로 내부 구조검사에 관계되는 것은 ISI 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 견인 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 견인 시 준비사항으로 반드시 항공기에 접지선을 접지한다.
  2. 견인 중에는 반드시 착륙장치(Landing Gear)에 지상 안전핀이 장탈 되야한다.
  3. 견인속도의 규정최대속도는 견인차운전자가 결정한다.
  4. 야간에 견인할 때는 항법등외에도 필요한 조명장치를 해야한다.
(정답률: 70%)
  • 항공기 견인 시에는 항법등 외에도 필요한 조명장치를 해야하는 이유는 야간에는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기를 견인할 때는 항법등 외에도 항공기의 위치와 크기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조명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 조종계통 케이블에 설치된 턴버클 작업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배럴
  2. 딤플링
  3. 포크
  4. 케이블아이
(정답률: 64%)
  • 턴버클 작업에 사용되는 것은 "배럴", "포크", "케이블아이"입니다. 딤플링은 턴버클 작업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딤플링은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커넥터로, 턴버클 작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왕복기관의 매니폴드 압력계의 수감부는 어디에 설치하는가?

  1. 기화기 출구
  2. 매니폴드
  3. 기화기 입구
  4. 흡기밸브 입구
(정답률: 75%)
  • 왕복기관의 매니폴드 압력계의 수감부는 매니폴드에 설치합니다. 매니폴드는 엔진에서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실린더로 보내는 부분으로, 압력계는 매니폴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때문에 매니폴드에 설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매니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비열비
  2. 압축비
  3. 열효율
  4. 열해리
(정답률: 77%)
  •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일정한 압력과 부피에서 발생하는 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데, 이 두 비율의 비를 "비열비" 라고 합니다. 이는 열의 변화량이 압력과 부피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열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압축비", "열효율", "열해리"는 비열비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열 관련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왕복기관의 성능향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점화 장치
  2. 커넥팅 로드
  3. 크랭크 축
  4. 실린더의 압축비
(정답률: 78%)
  • 왕복기관의 성능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실린더의 압축비입니다. 실린더의 압축비가 높을수록 공기와 연료가 더욱 잘 압축되어 연소 시 발생하는 열과 압력이 더욱 강력해지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 높아지고 엔진의 출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실린더의 압축비를 높이는 것은 왕복기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스터빈기관의 작동 원리에 해당하는 뉴튼의 제3법칙은?

  1. 관성의 법칙
  2. 양력발생의 법칙
  3. 가속도의 법칙
  4. 작용 · 반작용의 법칙
(정답률: 91%)
  • 가스터빈기관은 작동 시 가스의 압력과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가스가 회전하는 부분에 힘을 가하게 됩니다. 이때 뉴턴의 제3법칙인 "작용 · 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가스가 회전하는 부분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이 가스에게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작용과 반작용의 힘들이 서로 상쇄되어 가스터빈기관이 회전하는 원리를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용 · 반작용의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용 가스터빈기관의 터빈 깃 냉각방법 중 터빈 깃의 내부를 중공으로 제작하여 이곳으로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터빈 깃을 냉각시키는 방식은?

  1. 대류 냉각
  2. 침출 냉각
  3. 충돌 냉각
  4. 공기막 냉각
(정답률: 73%)
  • 터빈 깃 내부를 중공으로 제작하여 차가운 공기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공기와 터빈 깃 사이의 열 전달이 발생하면서 열이 터빈 깃에서 공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열 전달 방식은 공기와 터빈 깃 사이의 열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대류 현상을 이용한 대류 냉각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관

41. 항공기용 왕복기관에서 공냉식 냉각 계통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냉각 핀(Cooling Fin)
  2. 배풀(Baffle)
  3. 카울 플랩(Cowl Flap)
  4. 라디에이터(Radiater)
(정답률: 77%)
  • 항공기용 왕복기관에서는 공냉식 냉각 계통이 사용됩니다. 이 계통은 엔진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하기 위해 공기를 이용합니다. 이때 냉각된 공기는 라디에이터를 통해 배출됩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는 공냉식 냉각 계통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이 아닌, 오히려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왕복기관의 실린더 구성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린더 헤드(Head)
  2. 실린더 배럴(Barrel)
  3. 배기 콘(Exhaust cone)
  4. 냉각 핀(Cooling fin)
(정답률: 79%)
  • 배기 콘은 엔진의 배기 가스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 구성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 콘(Exhaust co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으로 터보프롭기관에서 프로펠러는 총 추력의 약 몇 % 의 추력을 발생시키는가?

  1. 10~25
  2. 50~60
  3. 75~90
  4. 100
(정답률: 70%)
  • 일반적으로 터보프롭기관에서 프로펠러는 총 추력의 약 75~90%의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프로펠러가 비행기의 주요 추진장치 중 하나이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여 비행기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펠러의 추력이 총 추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1. 연료
  2. 윤활유
  3. 작동유
  4. 방청유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자동차의 연료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왕복기관을 분류하는 방법이 다른 것은?

  1. 대향형 기관
  2. V형 기관
  3. 공랭식 기관
  4. 직렬형 기관
(정답률: 73%)
  • 공랭식 기관은 공기를 흡입하여 연소에 이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기관은 모두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에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가스터빈기관에서 연료-공기 혼합비를 조정하는 연료조정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시동이 아닌 것은?

  1. 과열 시동(Hot Start)
  2. 시동 불능(Not Start)
  3. 결핍 시동(Hung Start)
  4. 자동 시동(Auto Start)
(정답률: 75%)
  • 가스터빈기관에서는 연료-공기 혼합비를 조정하는 연료조정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시동은 "과열 시동(Hot Start)", "시동 불능(Not Start)", "결핍 시동(Hung Start)"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 시동(Auto Start)"은 연료-공기 혼합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연료조정장치의 고장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자동 시동(Auto Start)"은 가스터빈기관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시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대형 가스터빈기관의 작동 중 터빈 블레이드 팁 간극(Clearnace)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고압 압축기 공기를 터빈케이스에 분사한다.
  2. 팬부분 공기를 터빈케이스의 외면에 분사한다.
  3. 터빈케이스 내면을 진원이 되도록 연마 가공한다.
  4. 저압 압축기 공기를 터빈케이스 내면에 분사한다.
(정답률: 49%)
  • 팬부분 공기를 터빈케이스의 외면에 분사하는 것은 터빈 블레이드 팁 간극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외부 공기를 터빈케이스에 분사하여 내부 공기와 혼합하여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이로 인해 터빈 블레이드 팁 간극이 적절하게 유지됩니다. 이 방법은 효율적인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가스터빈의 작동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기용 왕복기관의 밸브 기구 중 밸브 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밸브 스프링은 밸브를 닫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2. 헬리컬 코일 스프링(Helical-coil spring) 모양이다.
  3. 밸브 스프링은 피치가 같고 직경이 다른 2개로 구성 되어 있다.
  4. 밸브 스프링이 2개 이상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기관 작동시 스프링 서지 진동을 급속히 완충시키기 위함 이다.
(정답률: 50%)
  • 밸브 스프링은 피치가 같고 직경이 다른 2개로 구성 되어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밸브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헬리컬 코일 스프링(Helical-coil spring) 모양이며, 직경과 피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가 강하 또는 착륙(Let Down or Landing)시 수동 혼합 조종 장치의 위치는?

  1. 희박(Lean) 위치
  2. 최대 농후(Full Rich) 위치
  3. 외기 온도에 따라 수동 혼합 조종 장치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4. 외기 습도에 따라 수동 혼합 조종 장치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정답률: 74%)
  • 항공기가 강하 또는 착륙시에는 엔진에 대한 연료 공급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수동 혼합 조종 장치의 위치는 최대 농후(Full Rich) 위치여야 합니다. 이는 연료 공급을 최대화하여 엔진의 성능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가 강하 또는 착륙시에는 적절하지 않은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왕복기관에서 과급기(Supercharge)가 없는 기관의 매니폴드 압력과 대기압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높은 고도에서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다.
  2. 낮은 고도에서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높다.
  3. 고도와 관계없이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과 같다.
  4. 고도와 관계없이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다.
(정답률: 65%)
  • 과급기가 없는 기관에서는 매니폴드 압력이 항상 대기압보다 낮습니다. 이는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될 때 압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도와 관계없이 매니폴드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은 오토사이클의 P-V 선도에서 c → d는 무슨 과정인가?

  1. 단열 팽창
  2. 단열 압축
  3. 정적 방열
  4. 정적 가열
(정답률: 64%)
  • c → d는 단열 팽창 과정입니다. 이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부피가 증가하는 과정으로,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과 열의 전달이 없기 때문에 엔트로피 변화가 0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단열 과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스터빈기관에서 축류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면 면적(Frontal Area)이 작아서 항력(Drag)이 작다.
  2. 원심 압축기에 비해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3. 압축효율(High Peak Efficiency)이 높다.
  4. 스테이지(Stage)당 압력상승이 낮다.
(정답률: 62%)
  • 가스터빈기관에서 축류 압축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맞습니다.

    그러나 "원심 압축기에 비해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설명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원심 압축기는 회전하는 부품이 많아서 제작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지는 반면, 축류 압축기는 회전하는 부품이 적어서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터보제트기관의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기가스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2. 배기가스의 흐름을 거꾸로 한다.
  3. 배기 덕트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4. 역플랩(Reverser Flap)을 작동시킨다.
(정답률: 73%)
  • 터보제트기관의 역추력 장치(Thrust Reverser)는 비행기가 착륙 후에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속도를 줄일 때 사용됩니다. 이 장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거꾸로 하여 비행기의 전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어 역추력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비행기의 속도를 빠르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흐름을 거꾸로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으로 주연료펌프(Main fuel pump)에 사용되는 그림과 같은 펌프는?

  1. 베인펌프
  2. 원심펌프
  3. 지로터펌프
  4. 기어펌프
(정답률: 55%)
  • 주연료펌프는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베인펌프는 연료를 흡입하여 압축하여 엔진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과 같은 펌프는 베인펌프입니다. 원심펌프는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이고, 지로터펌프는 회전하는 지로터를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기어펌프는 기어를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터빈기관의 연소실내에 사용되는 2차 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라이너를 냉각시킨다.
  2. 연소기 압력을 증가시킨다.
  3. 연소기 온도를 증가시킨다.
  4. 에너지를 더 많이 확보한다.
(정답률: 53%)
  • 가스터빈기관의 연소실내에 사용되는 2차 공기는 라이너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라이너는 연소실 내부에서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2차 공기를 통해 냉각되어 파손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라이너를 냉각시킨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왕복기관 중 저온으로 작동하는 기관에 저온 점화 플러그를 사용하였다면 발생하는 현상은?

  1. 모두 정상적인 작동을 한다.
  2. 조기 점화 현상이 나타난다.
  3. 스파크 플러그에 탄소 찌꺼기가 부착된다.
  4. 실린더 내부가 저온이 되어 열소비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54%)
  • 저온으로 작동하는 기관에서는 저온 점화 플러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고온에서 작동하는 스파크 플러그와는 달리, 저온에서도 정상적인 점화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스파크 플러그에 탄소 찌꺼기가 부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저온에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정상적인 작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윤활유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윤활유 냉각기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는?

  1. 윤활여과 밸브
  2. 윤활유 온도조절밸브
  3. 윤활유 바이패스밸브
  4. 윤활유 여압 및 드레인밸브
(정답률: 56%)
  • 윤활유 냉각기는 윤활유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윤활유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바로 윤활유 온도조절밸브입니다. 이 밸브는 윤활유의 유동량을 조절하여 윤활유가 냉각기를 통과할 때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윤활유 냉각기의 통과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는 윤활유 온도조절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가스터빈기관의 시동 시 점화 스위치가 꺼지는(OFF) 때는?

  1. 완속 EGT시
  2. 최대 EGT시
  3. 연료 공급 시
  4. 자립 회전 속도 도달 후
(정답률: 59%)
  • 가스터빈기관은 자립 회전 속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외부에서의 도움 없이 스스로 회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스터빈기관의 시동 시 점화 스위치는 자립 회전 속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계속 켜져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자립 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가스터빈기관은 스스로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점화 스위치가 꺼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립 회전 속도 도달 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스터빈기관의 윤활계통에서 섬프(Sump) 안의 공기압이 높을 때, 탱크로 압력이 빠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드레인 밸브(Drain valve)
  2.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 바이패스 밸브(Bypass valve)
  4. 섬프 벤트 체크 밸브(Sump vent check valve)
(정답률: 52%)
  • 섬프 벤트 체크 밸브는 섬프 안의 공기압이 높아져 탱크로 압력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섬프 안의 공기가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가스터빈기관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섬프 벤트 체크 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출력 왕복기관에 주로 사용되며, 축 방향으로 긴 흠이 나 있는 프로펠러 축은?

  1. 테이퍼축
  2. 맞대기축
  3. 스플라인축
  4. 플랜지축
(정답률: 49%)
  • 스플라인축은 축 방향으로 긴 흠이 나 있는 축으로, 이는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하는 부품에 안정적인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플라인축은 축과 부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품의 회전 운동을 축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고출력 왕복기관과 같은 대형 기계에서는 스플라인축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