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8-04)

컬러리스트산업기사
(2019-08-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1. 색채의 연상 효과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제품 정보로서의 색
  2. 사회ㆍ문화 정보로서의 색
  3. 국제 언어로서의 색
  4. 색채 표시 기호로서의 색
(정답률: 56%)
  • 색채 표시 기호로서의 색은 색 자체가 아니라, 색을 사용하여 어떤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호나 표시물에 사용되는 색을 말합니다. 따라서 색채의 연상 효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이 가지는 정보적, 문화적 의미와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색채마케팅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색을 과학적, 심리적으로 이용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기업경영전략이다.
  2. 제품 판매를 위한 판매 전략이므로 CIP는 색채마케팅이라고 할 수 없다.
  3. 색채 마케팅은 궁극적으로 경쟁제품의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낸다.
  4. 심미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므로 품질 향상효과와는 관련이 없다.
(정답률: 80%)
  • 색채마케팅은 제품의 색을 과학적, 심리적으로 이용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기업경영전략이다. 즉, 제품의 색상이 소비자의 인식과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인기와 판매를 높이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긍정적 연상으로는 성숙, 신중, 겸손의 의미를 가지나 부정적 연상으로 무기력, 무관심, 후회의 연상이미지를 가지는 색은?

  1. 보라
  2. 검정
  3. 회색
  4. 흰색
(정답률: 77%)
  • 회색은 흑백의 중간색으로서, 어두운 검정과 밝은 흰색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회색은 중립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 모두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회색은 무기력, 무관심, 후회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보로서의 색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제품의 차별화와 색채연상효과를 높이기 위해 민트향이 첨가된 초콜릿 제품의 포장을 노랑과 초콜릿색의 조합으로 하였다.
  2. 시원한 철양음료 캔에 청색, 녹색, 그리고 흰색의 조합으로 디자인하였다.
  3. 기독교와 천주교에서는 하느님과 성모마리아를 고귀한 청색으로 연상하였다.
  4. 스포츠 경기에 참가한 팀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운동복 색채를 선정함으로써 경기의 효율성과 관람자의 관전이 쉽도록 돕는다.
(정답률: 70%)
  • "제품의 차별화와 색채연상효과를 높이기 위해 민트향이 첨가된 초콜릿 제품의 포장을 노랑과 초콜릿색의 조합으로 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제품의 향과 맛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색의 역할이 아니다.

    해당 제품의 포장에서 노랑과 초콜릿색의 조합은 제품의 이미지와 브랜드 컬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품의 차별화와 색채연상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동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선호색을 알아보고자 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출신국가
  2. 연령
  3. 성별
  4. 교육수준
(정답률: 50%)
  • "출신국가"는 자동차 제조사의 국적에 따라 디자인과 색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이다. 예를 들어, 일본 제조사의 자동차는 일본인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되어 있고, 한국 제조사의 자동차는 한국인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국가에서 선호하는 색상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출신국가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된 색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고 예방, 방화, 보건위험정보 그리고 비상탈출을 목적으로 주의를 끌고 메시지를 빠르게 이해시키기 위한 특별한 성질의 색을 뜻하는 것은?

  1. 주목색
  2. 경고색
  3. 주의색
  4. 안전색
(정답률: 53%)
  • 안전색은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특별한 성질의 색으로, 사고 예방, 방화, 보건위험정보 그리고 비상탈출 등의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안전색은 일반적으로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색상은 사람들에게 위험성을 강조하고 경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전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서양 문화권에서 색채가 상징하는 역할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왕권 - 노랑
  2. 생명 - 초록
  3. 순결 - 흰색
  4. 평화 - 파랑
(정답률: 76%)
  • 왕권이 노란색으로 상징되는 것은 잘못된 연결입니다. 사실 노란색은 돈과 부를 상징하는 색으로, 중국에서는 황제의 색으로 여겨졌지만 서양에서는 왕권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대신에 보라색이나 빨간색이 왕권과 관련된 색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의 연상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무채색은 구체적인 연상이 나타나기 쉽다.
  2. 색의 연상은 개인적인 경험, 기억, 사상 등에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3. 연령이 높아질수록 추상적인 연상의 범위가 좁아진다.
  4. 색의 연상은 특정한 인상을 기억하고 관련된 분위기와 이미지를 생각해 낸다.
(정답률: 75%)
  • 색의 연상은 특정한 인상을 기억하고 관련된 분위기와 이미지를 생각해 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시의 색채계획으로 틀린 것은?

  1. 언덕이 많은 항구도시는 밝은 색을 주조로 한다.
  2. 같은 항구도시라도 청명일수에 따라 건물과 간판, 버스의 색에 차이를 준다.
  3. 제주도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건축 재료인 현무암과 붉은 화산석의 색채를 반영한다.
  4. 지역과 상관없이 기업의 고유색을 도시에 적용하여 통일감을 준다.
(정답률: 84%)
  • "지역과 상관없이 기업의 고유색을 도시에 적용하여 통일감을 준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기업의 고유색을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무시하고 일관성 있는 도시 이미지를 만들려는 것으로, 지역의 독특한 색채와 특성을 무시하고 일반화된 도시를 만들어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한 색채계획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오감을 통한 공감각현상으로 소리의 높고 낮음으로 연상되는 색을 설명한 카스텔(Castel)의 연구로 옳은 것은?

  1. D는 빨강
  2. G는 녹색
  3. E는 노랑
  4. C는 검은색
(정답률: 54%)
  • 카스텔의 연구는 오감을 통해 소리와 색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높은 음은 밝은 색에 가깝고, 낮은 음은 어두운 색에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E가 노란색으로 연상된 것은 높은 음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업색채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기업의 빌딩 외관에 사용한 색채
  2. 기업 내부의 실내 색채
  3. 기업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상징화한 색
  4. 기업에서 생산된 제품의 색채
(정답률: 88%)
  • 기업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상징화한 색은 기업의 로고, 광고, 패키지 등에서 사용되는 색으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색은 소비자들에게 기업의 특징과 가치를 전달하며, 기업의 인식과 인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업의 색채 선택은 매우 중요하며,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색의 촉감에서 분홍색, 계란색, 연두색 등에 다음 중 어떤 색이 가미되면 부드럽고 평온하며 유연한 기분을 자아내는가?

  1. 파란색
  2. 흰색
  3. 빨간색
  4. 검정색
(정답률: 86%)
  • 흰색은 순수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부드럽고 평온한 느낌을 자아내며, 빛의 반사율이 높아서 공간을 밝고 넓어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분홍색, 계란색, 연두색 등과 함께 사용하면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령이 낮을수록 원색계열과 밝은 톤을 선호하다가 성인이 되면서 단파장의 파랑, 녹색을 점차 좋아하게 되는 색채 선호도의 변화의 이유는?

  1. 자연환경의 차이
  2. 기술습득의 증가
  3. 인문환경의 영향
  4. 사회적 일치감의 증대
(정답률: 55%)
  • 성인이 되면서 사회적 일치감이 증대되면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감정적 안정성과 안전감을 중요시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색채를 선호하게 되는데, 이는 인문환경의 영향으로 이어지며, 이러한 사회적 일치감의 증대는 색채 선호도의 변화를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착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란색 바탕의 회색이 파란색 바탕의 회색보다 노랗게 보인다.
  2. 빛 자극이 변화하더라도 물체의 색채가 그대로 유지되는 색채감각이다.
  3. 착시의 예로 대비현상과 잔상현상이 있다.
  4. 파란색 바탕의 노란색이 노란색 바탕의 파란색보다 더 작게 지각된다.
(정답률: 52%)
  • 착시란 우리 뇌가 받은 정보를 잘못 해석하여 생기는 시각적 오류를 말합니다. 대비현상은 서로 다른 밝기나 색상의 물체가 함께 있을 때, 그 차이를 더 크게 인식하는 현상이며, 잔상현상은 눈에 보이는 물체가 사라진 후에도 그 형상이나 색상이 일정 시간동안 눈에 남아있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착시의 예로 대비현상과 잔상현상이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전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빨강 : 금연, 수영금지, 화기엄금
  2. 주황 : 위험경고, 주의표지, 기계 방호물
  3. 파랑 : 보안경 착용, 안전복 착용
  4. 초록 : 의무실, 비상구, 대피소
(정답률: 44%)
  • 주황색은 위험을 알리는 색으로, 위험한 장소나 기계 등에 대한 경고나 방호물을 나타내는 색입니다. 따라서 "주황 : 위험경고, 주의표지, 기계 방호물"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색채의 기능적 측면을 활용한 색채조절의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일에 집중이 되고 실패가 줄어든다.
  2. 신체의 피로, 특히 눈의 피로를 막는다.
  3. 안전이 유지되고 사고가 줄어든다.
  4. 건물을 보호, 유지하기가 어렵다.
(정답률: 86%)
  • 색채조절은 거리가 먼 것을 가까이 보이게 하기 때문에 건물을 보호하고 유지하기가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색채마케팅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거주 지역
  2. 신체 치수
  3. 연령 및 성별
  4. 라이프스타일
(정답률: 82%)
  • 거주 지역, 연령 및 성별, 라이프스타일은 모두 색채마케팅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이지만, 신체 치수는 그렇지 않습니다. 색채마케팅은 제품이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신체 치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의 ( )에 알맞은 말은?

  1. 명도
  2. 채도
  3. 이미지
(정답률: 45%)
  • 이미지는 그림이나 사진을 의미하고,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인 "톤"은 색의 질감이나 느낌을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온도나 분위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따뜻한 톤"은 노란색, 주황색 등 따뜻한 느낌의 색을 의미하고, "차가운 톤"은 파란색, 초록색 등 차가운 느낌의 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후에 따른 색채 선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피부가 희고 금발인 북구계 민족은 한색 계통을 선호한다.
  2.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해 자연환경적인 색채가 정신 및 생활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3. 피부가 거무스름하고 흑갈색 머리칼인 라틴계는 선명한 난색계통을 즐겨 사용한다.
  4. 일조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장파장 색을 선호하여 채도가 높은 색을 좋아한다.
(정답률: 73%)
  • 일조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장파장 색을 선호하여 채도가 높은 색을 좋아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일조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채도가 낮은 색상이 선호되며, 장파장 색상보다는 단파장 색상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일조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자연적으로 색상이 흐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색자극에 대한 일반적 반응으로 틀린 것은?

  1. 색에 따라 기쁨, 공포, 슬픔, 쾌/불쾌 등의 특유한 감정이 느껴진다.
  2. 색자극에 의해 혈압, 맥박수와 같은 자율신경 활동이나 호흡활동 등 신체반응이 나타난다.
  3. 빨간색은 따뜻하고 활동적이며 자극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4. 색은 자극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의 강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86%)
  • "색은 자극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의 강도는 감소한다."이 틀린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색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의 강도도 증가한다. 이는 색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강렬한 자극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밝은 빨간색은 어두운 빨간색보다 더욱 활기차고 자극적인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기존 제품의 재료나 기능 또는 형태를 개량하고 개선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디자인(re-design)
  2. 리스타일(re-style)
  3. 이미지 디자인(image design)
  4.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al design)
(정답률: 81%)
  • 리디자인은 기존 제품의 재료, 기능, 형태 등을 개선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리디자인(re-design)"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특징을 고려하여 색채 계획을 해야 할 디자인 분야는?

  1. 헤어디자인
  2. 제품디자인
  3. 포장디자인
  4. 패션디자인
(정답률: 77%)
  • 이미지에서는 제품의 포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제품의 특징과 브랜드 컨셉을 표현하기 위해 적절한 색채 계획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포장디자인 분야에서 색채 계획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색체계획 시 배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조색은 보조색 다음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40% 정도의 면적을 차지한다.
  2. 주조색은 전체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색으로 전체의 70%정도의 면적을 차지한다.
  3. 강조색은 보조요소들의 배합색으로 취급함으로써 변화를 주며 전체의 40% 정도의 면적을 차지한다.
  4. 강조색은 주조색 다음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포인트 역할을 하는 색으로 전체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정답률: 79%)
  • 주조색은 전체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색으로 전체의 70%정도의 면적을 차지한다. 이는 주요한 색으로서 전체적인 디자인의 분위기와 느낌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린 디자인(Green Design)의 원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건강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환경적 위험을 최소화한다.
  2.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가지 재료에 의한 혼합재료를 사용한다.
  3. 재활용 부품과 재활용품이 아닌 부품이 분리되기 쉽도록 한다.
  4.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성을 높인다.
(정답률: 78%)
  • 그린 디자인의 원리는 환경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성을 높이며,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가지 재료에 의한 혼합재료를 사용한다."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재활용이나 분해가 어려워지며,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는 혼합재료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린 디자인을 추구하는 디자이너는 가능한 단일 재료를 사용하거나, 재료의 종류를 최소화하여 재활용성과 분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빅터 파파넥(Victor Papaneck)이 말한 디자인 목적의 복합기능(Function Complex)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법
  2. 미학
  3. 주목성
  4. 필요성
(정답률: 37%)
  • 디자인 목적의 복합기능(Function Complex)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주목성"이다. 이는 디자인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디자인의 효과성을 높이는 요소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자인을 평가하거나 개선할 때, "주목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디자인이라는 말이 의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현대디자인의 성립 시기는?

  1. 18세기 초
  2. 19세기 초
  3. 20세기 초
  4. 21세기 초
(정답률: 36%)
  • 20세기 초에는 산업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제품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면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이에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의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디자인 교육과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이 등장하면서 현대 디자인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증된 상품에 부여하는 마크는?

  1. KS Mark
  2. GD Mark
  3. Green Mark
  4. Symbol Mark
(정답률: 65%)
  • GD Mark는 Good Design Mark의 약자로, 상품의 디자인 우수성을 인증하는 마크이다. 따라서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증된 상품에 부여된다. KS Mark는 국가 표준 인증 마크, Green Mark는 환경 친화적 제품 인증 마크, Symbol Mark는 제품 안전성 인증 마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택의 색채계획 시 색채선택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의 여건분석 - 공간의 용도, 공간의 크기와 형태, 공간의 위치 검토
  2. 거주자의 특성파악 - 거주자의 직업, 지위, 연령, 기호색, 분위기, 라이프스타일 등 파악
  3. 주변 환경 분석 - 토지의 넓이, 시세, 교통, 편리성 등 확인
  4. 실내용품에 대한 고려 - 이미 소장하고 있거나 구매하고 싶은 가구, 그림 등 파악
(정답률: 58%)
  • 주택의 색채계획을 위해서는 주변 환경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는 토지의 넓이, 시세, 교통, 편리성 등을 확인하여 주변 환경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주택의 색채 선택에 있어서도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변 환경 분석은 색채 선택을 위한 중요한 사전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게슈탈트(Gestalt)의 그루핑 법칙과 거리가 먼 것은?

  1. 근접성
  2. 폐쇄성
  3. 유사성
  4. 상관성
(정답률: 58%)
  • 게슈탈트의 그루핑 법칙 중 "상관성"은 다른 세 가지 법칙과는 달리 객체들의 물리적인 거리나 모양이 아닌, 서로 관련된 속성이나 의미를 공유하는 객체들을 묶는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색상, 크기, 모양 등이 유사한 객체들이 함께 그룹화되는 것이 "유사성" 법칙이고, 서로 가까이 위치한 객체들이 함께 그룹화되는 것이 "근접성" 법칙입니다. 하지만 "상관성" 법칙은 객체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거나 같은 주제나 의미를 공유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분방함과 풍부한 감정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곡선은?

  1. 기하곡선
  2. 포물선
  3. 쌍곡선
  4. 자유곡선
(정답률: 63%)
  • 자유곡선은 다양한 곡률과 방향을 가지며, 자연스러운 곡선으로 분방함과 풍부한 감정을 나타내기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기하곡선, 포물선, 쌍곡선은 각각 특정한 형태와 규칙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따라서 분방함과 풍부한 감정을 나타내기에는 자유곡선이 가장 적합한 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언어를 초월하여 직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의미하는 내용의 형태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한 것은?

  1. 심벌
  2. 픽토그램
  3. 사인
  4. 로고
(정답률: 77%)
  • 픽토그램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그림 형태의 상징입니다. 따라서 언어를 초월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의미하는 내용의 형태를 상징적으로 시각화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색채계획에 있어서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중요한 분야는?

  1. 패션디자인
  2. 환경디자인
  3. 포장디자인
  4. 제품디자인
(정답률: 82%)
  • 환경디자인은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디자인을 계획하고 구현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색채계획에 있어서도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중요한 분야입니다. 다른 분야들도 색채를 고려하지만, 환경디자인은 주변의 자연환경, 건축물, 도시환경 등을 고려하여 색채를 선택하고 조화롭게 조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테마공원, 버스 정류장 등에 도시민의 편의와 휴식을 위해 만들어진 시설물의 명칭은?

  1. 로드사인
  2. 인테리어
  3. 익스테리어
  4. 스트리트 퍼니처
(정답률: 79%)
  • 스트리트 퍼니처는 도시공간에서 시민들이 휴식하거나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구나 시설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테마공원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곳에서 시민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벤치나 의자, 테이블 등을 스트리트 퍼니처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르누보(Art nouveau)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식물의 곡선 모티브를 특징으로 한 장식양식이다.
  2. 공예, 장식미술, 건축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었다.
  3. 형태적 특성은 비대칭, 곡선, 연속성이다.
  4. 대량생산 또는 복수생산을 전제로 한다.
(정답률: 70%)
  • 아르누보는 대량생산 또는 복수생산을 전제로 한 양식이 아니라, 공예, 장식미술, 건축분야에서 개성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대량생산 또는 복수생산을 전제로 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패션 색채 계획 프로세스 중 색채정보 분석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이미지 맵 제작
  2. 색채계획서 작성
  3. 유행 정보 분석
  4. 시장 정보 분석
(정답률: 46%)
  • 이미지 맵 제작은 패션 색채 계획 프로세스 중 색채정보 분석 단계와는 관련이 없는 작업이다. 이미지 맵 제작은 이미지나 사진에 클릭 가능한 영역을 지정하여 링크를 걸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으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중요하지만 색채 분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미지 맵 제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균형감을 표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도형을 한 점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켰을 떄 생기는 균형의 종류는?

  1. 루트비 균형
  2. 확대 대칭 균형
  3. 좌우 대칭 균형
  4. 방사형 대칭 균형
(정답률: 62%)
  • 도형을 한 점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균형을 이루는 것을 방사형 대칭 균형이라고 합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도형을 회전시켜도 일정한 균형을 이루지 않거나, 특정 방향으로만 균형을 이루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사형 대칭 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인 운동과 그 설명이 옳은 것은?

  1. 멤피스 : 꼴라주나 다른 요소들의 조합 또는 현대생활에서 경험되는 단편적인 경험의 조각이나 가치에 관한 것들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2. 미니멀리즘 : 극도의 미학적 축소화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주관적이며 풍부한 개인적 감성과 감정의 표현을 추구한다.
  3. 아방가르드 : 하이스타일(High-style)과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합성어로 콘크리트, 철, 알루미늄, 유리 같은 차가운 재료들을 사용하여 현대 사회에 대한 반감을 표현하는 데에 이용하였다.
  4. 데스틸 : 색채의 선택은 주로 검정, 회색, 흰색이나 단색을 주로 사용하였고 최소한의 장식과 미학으로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정답률: 28%)
  • 멤피스는 꼴라주나 다른 요소들의 조합 또는 현대생활에서 경험되는 단편적인 경험의 조각이나 가치에 관한 것들에 대해 관심을 가진 디자인 운동이다. 이는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멤피스는 다양한 현대적인 요소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에 관심을 가지며, 현대사회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단편적인 경험들을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하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자인 과정에서 드로잉의 주요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아이디어 전개
  2. 형태 정리
  3. 사용성 검토
  4. 프레젠테이션
(정답률: 58%)
  • 드로잉은 주로 아이디어 전개와 형태 정리에 사용되지만, 사용성 검토는 디자인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디자인의 완성도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드로잉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프레젠테이션은 디자인 결과물을 보여주는 과정으로, 디자인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디자인의 기능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사용성 검토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색채계획(Color plann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의 특성 및 판매자의 심리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색채를 적용하는 과정이다.
  2. 제품의 차별화, 환경조성, 업무의 향상, 피로의 경감등의 효과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3. 색채 목적을 정확히 인식하고 시장조사와 색채심리, 색채전달계획을 세워 디자인을 적용해야한다.
  4. 시장정보를 충분히 조사하고 분석한 후에 시장 포지셔님에 의한 색채조절로 고객에게 우호적이고 강력하게 인상을 심어주어야 한다.
(정답률: 30%)
  • 틀린 것은 없습니다. 색채계획은 제품의 특성과 판매자의 심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색채를 선택하고 적용하는 과정으로, 제품의 차별화, 환경조성, 업무의 향상, 피로의 경감 등의 효과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시장조사와 색채심리, 색채전달계획을 세우고 시장 포지션에 맞는 색채를 선택하여 고객에게 우호적이고 강력한 인상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영국산업혁명의 반작용으로 19세기에 출발한 미술공예운동의 창시자는?

  1. 무테지우스
  2. 윌리엄 모리스
  3. 허버트 리드
  4. 웨지우드
(정답률: 77%)
  • 19세기 영국산업혁명으로 인해 대량생산과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미술공예의 전통적인 기술과 예술성이 퇴색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발하여 윌리엄 모리스는 미술공예의 전통적인 기술과 예술성을 회복하고자 "아트 앤 크래프트 운동"을 창시하였습니다. 이 운동은 대량생산과 기계화에 반대하며, 수작업과 예술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미술공예를 발전시켰습니다. 따라서 윌리엄 모리스는 영국산업혁명의 반작용으로 출발한 미술공예운동의 창시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섹채관리

41. 유기안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서 빛깔이 선명하고 착색력이 크다.
  2. 인디언 옐로(Indian Yellow), 세피아(Sepia)는 동물성 유기안료이다.
  3. 식물성 안료는 빛에 의해 탈색되는 단점이 있다.
  4. 합성유기안료에는 코발트계(Cobalt)와 카드뮴계(Cadmium)등이 있다.
(정답률: 30%)
  • 유기안료는 화학적으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물성, 식물성, 합성 등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합성유기안료에는 코발트계(Cobalt)와 카드뮴계(Cadmium)등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코발트계와 카드뮴계는 무기안료 중 하나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산성염료로 염색할 수 없는 직물은?

  1. 나일론
(정답률: 21%)
  • 산성염료는 단백질 섬유에 적합한 염료이기 때문에 면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는 염색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채측정에서 측정조건이 (8° : de)로 표기되었을 떄 그 의미는?

  1. 빛을 시료의 수직방향으로부터 8° 기울여 입사시킨 후 산란된 빛을 측정한다. 정반사 성분은 제외한다.
  2. 빛을 시료의 수직방향으로부터 8° 기울여 입사시킨 후 산란된 빛을 측정한다. 정반사 성분은 포함한다.
  3. 빛을 모든 각도에서 시료의 표면에 입사시킨 후 광검출기를 시료의 수직으로부터 8° 기울여 측정한다. 정반사 성분은 제외한다.
  4. 빛을 모든 각도에서 시료의 표면에 입사시킨 후 광검출기를 시료의 수직으로부터 8° 기울여 측정한다. 정반사 성분은 포함한다.
(정답률: 38%)
  • "빛을 시료의 수직방향으로부터 8° 기울여 입사시킨 후 산란된 빛을 측정한다. 정반사 성분은 제외한다."가 정답이다. 이는 색채측정에서 사용되는 측정조건 중 하나인데, 시료의 표면에서 수직으로 빛을 입사시키는 것이 아니라 8° 각도로 기울여 입사시킨 후 산란된 빛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료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반사 성분을 제외하고 색채를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면색의 시감비교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색비교를 위한 작업면의 조도는 5000 1x 이상으로 한다.
  2. 붉은 색을 시감 비교할 때 부스의 내부색은 명도 L°가 약 65의 무채색으로 한다.
  3. 어두운 색을 비교하는 경우 명도 L°가 약 15의 무광택 검은색으로 한다.
  4. 외광의 영향이 있는 경우 반투명천으로 작업면 주위를 둘러막은 조명 부스를 사용한다.
(정답률: 35%)
  • 색상은 주변 환경에 따라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색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비교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작업면의 조도는 5000 1x 이상으로 유지하고, 붉은 색을 비교할 때는 부스의 내부색을 명도 L°가 약 65의 무채색으로 설정합니다. 이는 붉은 색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비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분광식 계측기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백열전구와 필터를 함계 사용하여 표준광원의 조건이 되도록 한다.
  2. 시료에서 반사된 빛은 세 개의 색필터를 통과한 후 광검출기에서 검출한다.
  3. 삼자극치 값을 직접 측정한다.
  4. 시료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여 색채를 계산한다.
(정답률: 50%)
  • 분광식 계측기는 시료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여 색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백열전구와 필터를 함께 사용하여 표준광원의 조건이 되도록 하고, 시료에서 반사된 빛은 세 개의 색필터를 통과한 후 광검출기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시료의 색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색상(hue)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관측자의 색채 적응 조건의 영향에 따라 변화하는 색이 보이는 결과이다.
  2. 색상의 강도를 동일한 명도의 무채색으로 부터의 거리로 나타낸 시지각 속성이다.
  3. 상대적인 명암에 관한 색의 속성이다.
  4. 빨강, 노랑, 파랑과 같은 색지각의 성질을 특징짓는 색의 속성이다.
(정답률: 70%)
  • 빨강, 노랑, 파랑과 같은 색지각의 성질을 특징짓는 색의 속성이다. 즉, 색상은 색의 종류를 나타내며,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의 이름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색료의 호환성과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색료표시 기준은?

  1. 연색지수
  2. 색변이지수
  3. 컬러인덱스
  4. 컬러 어피어런스
(정답률: 51%)
  • 색료의 호환성과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색료표시 기준은 컬러인덱스입니다. 이는 각 색료의 색상을 숫자로 표현하여 다른 색료와의 호환성을 파악하고 색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따라서 색상의 일관성과 호환성을 중요시하는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입출력장치의 RGB 또는 CMYK 원색이 어떻게 재현될지 CIE모델을 사용하여 예측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은?

  1. CMS
  2. CCM
  3. CII
  4. CCD
(정답률: 21%)
  • CMS는 색상 관리 시스템의 약자로, CIE 모델을 기반으로하여 입력된 색상 정보를 출력 장치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정확한 색상 재현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RGB 또는 CMYK 원색이 어떻게 재현될지 예측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서 CM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색역은 디바이스가 표현 가능한 색의 영역을 말한다. 색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GB를 원색으로 사용하는 모니터의 색역은 xy색도도상에서 삼각형을 이룬다.
  2. 프린터의 색역이 모니터의 색역보다 넓을 수 있다.
  3. 모니터의 톤재현 특성은 색역과는 무관하다.
  4. 디스플레이가 표현 가능한 색의 수와 색역의 넓이는 정비례한다.
(정답률: 21%)
  • "디스플레이가 표현 가능한 색의 수와 색역의 넓이는 정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디스플레이가 표현 가능한 색의 수는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되며, 색역의 넓이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색역의 넓이와 표현 가능한 색의 수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디스플레이가 표현 가능한 색의 수와 색역의 넓이는 정비례하지 않는 이유는, 색역의 넓이는 색공간의 크기와 색좌표의 분해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dobe RGB 색공간과 sRGB 색공간은 모두 8비트 색 깊이를 사용하지만, Adobe RGB 색공간은 sRGB 색공간보다 색역이 더 넓다. 따라서, 색역의 넓이와 표현 가능한 색의 수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정비례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완전 복사체의 색도를 그것의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이다.
  2. 색온도의 단위는 흑체의 섭씨온도(℃)로 표시한다.
  3. 시료 복사의 색도가 완전 복사체 궤적 위에 없을 때에는 절대 색온도를 사용한다.
  4. 색온도가 낮아질수록 푸른빛을 나타낸다.
(정답률: 27%)
  • "완전 복사체의 색도를 그것의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이다."가 옳은 이유는, 색온도는 빛의 색상을 온도로 표현한 것으로, 완전한 흑체(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하는 물체)의 색상을 기준으로 삼아 측정한다. 따라서 완전 복사체의 색도를 그것의 절대 온도로 표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빛의 스펙트럼은 방사 에너지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그 연결 관계가 틀린 것은?

  1. 태양 - 연속 스펙트럼
  2. 수은등 - 선 스펙트럼
  3. 형광등 - 띠 모양 스펙트럼
  4. 백열전구 - 선 스펙트럼
(정답률: 34%)
  • 백열전구는 연속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선 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은 수은등이다. 백열전구는 전구 내부에서 단순히 열이 발생하여 방출되는 빛이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가지게 되는 반면, 수은등은 수은 원자가 방출하는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가지므로 선 스펙트럼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안료가 아닌 것은?

  1. 코치닐(cochineal)
  2. 한자 옐로(hanja yellow)
  3. 석록
  4. 구리
(정답률: 30%)
  • 코치닐은 벌레에서 추출한 적색색소로, 나머지 보기는 모두 화학적인 안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사진촬영, 스캐닝 등의 작업에서 컬러 프로파일링을 할 수 있는 컬러 차트(color chart)는?

  1. Gray Scale
  2. IT8
  3. EPS5
  4. RGB
(정답률: 27%)
  • IT8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컬러 차트 표준으로, 정확한 컬러 프로파일링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차트는 정해진 색상과 밀도를 가지고 있어, 스캐너나 카메라 등의 장비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비교하여 정확한 색상 보정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진촬영이나 스캐닝 작업에서 컬러 프로파일링을 위해 IT8 컬러 차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완전 확산 반사면의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 )에 적합한 수치는?

  1. 9
  2. 5
  3. 3
  4. 1
(정답률: 29%)
  • 완전 확산 반사면에서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모두 같아진다. 따라서, 입사각이 45도일 때 반사각도 45도가 되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것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IF 표준광 A의 색온도는?

  1. 6774K
  2. 6504K
  3. 4874K
  4. 2856K
(정답률: 51%)
  • CIF 표준광 A는 일반적인 조명에서 사용되는 따뜻한 빛을 나타내며, 이는 색온도가 낮은 빛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색온도가 가장 낮은 2856K가 CIF 표준광 A의 색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지털 색채 시스템 중 RGB 컬러 값이 (255, 255, 0)로 주어질 때의 색채는?

  1. white
  2. yellow
  3. cyan
  4. magenta
(정답률: 63%)
  • RGB 컬러 시스템에서 각각의 값은 빨강, 초록, 파랑의 색상 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55, 255, 0)은 빨강과 초록의 색상 강도가 모두 최대이고 파랑의 색상 강도는 0인 색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색상은 노란색으로 인식되며, 따라서 정답은 "yello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의 입력장치에서 빛의 파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 요소는?

  1. 이미지 센서
  2. 래스터 영상
  3. Color appearance
  4. 벡터 그래픽 영상
(정답률: 41%)
  • 이미지 센서는 빛의 파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구성 요소입니다.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면 이미지 센서가 빛의 파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가 입력장치에서 빛의 파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광택(gloss)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물체표면의 물리적 속성으로서 반사하는 광선에 의한 감각이다.
  2. 표면 정반사 성분은 투과하는 빛의 굴절각이 클수록 작아진다.
  3. 대비광택도는 두 개의 다른 조건에서 측정한 반사 광속의 비(比)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4. 광택은 보는 방향에 따라 질감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53%)
  • "표면 정반사 성분은 투과하는 빛의 굴절각이 클수록 작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답 설명: 표면 정반사 성분은 투과하는 빛의 굴절각이 작을수록 작아집니다. 이는 광선이 수직으로 물체 표면에 닿을 때 가장 강한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택이 높은 물체는 표면이 매끄럽고 평평하며, 광선이 수직으로 닿을 때 반사되는 성분이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컬러를 측정하려는 경우 만족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파장의 범위를 380~780nm로 한다.
  2. 분광 반사율 또는 분광 투과율의 측정
  3. 분량 반사율 또는 분광 투과율의 재현성을 0.2% 이내로 한다.
  4. 분광 광도계의 파장은 불확도 10nm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한다.
(정답률: 33%)
  • "파장의 범위를 380~780nm로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분광 광도계는 특정 파장에서 물체가 반사 또는 투과한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컬러를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파장의 범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범위인 380~780nm을 사용하지만, 특정한 물체나 실험에 따라 다른 파장 범위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분광 광도계의 파장은 불확도 10nm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한다."는 분광 광도계의 파장 측정이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장 측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컬러 분석 결과도 부정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광 광도계는 파장 측정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불확도 10nm 이내의 정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무조건 등색(isomerism)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떠한 광원 아래에서도 등색이 성립한다.
  2.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3. 분광 반사율이 달라도 같은 색자극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4. 육안으로 조색하는 경우에 성립하게 된다.
(정답률: 48%)
  • 등색은 분광 반사율이 다른 물체들이 같은 색으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광원의 스펙트럼이 물체의 분광 특성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떠한 광원 아래에서도 등색이 성립하게 됩니다. 하지만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시각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등색은 육안으로 조색하는 경우에 성립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의이해

61. 빨강 바탕 위의 주황은 노란빛을 띤 주황으로, 노랑 바탕위의 주황은 빨간빛을 띤 주황으로 보이는 현상은?

  1. 연변대비
  2. 색상대비
  3. 명도대비
  4. 채도대비
(정답률: 62%)
  • 이 현상은 "색상대비" 때문입니다. 색상대비란, 서로 다른 색상이 인접해 있을 때 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빨강과 주황, 노랑과 주황은 서로 다른 색상이기 때문에 인접해 있을 때 색상대비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빨강 바탕 위의 주황은 노란빛을 띤 주황으로, 노랑 바탕 위의 주황은 빨간빛을 띤 주황으로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색의 물리적 분류에 따른 설명이 옳은 것은?

  1. 간섭색 : 투명한 색 중에도 유리병 속의 액체나 얼음 덩어리처럼 3차원 공간의 투명한 부피를 느끼는 색
  2. 조명색 : 형광물질이 많이 사용되어 나타나는 색
  3. 광원색 : 자연광과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의 색
  4. 개구색 :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하는 빛이 나타내는 색
(정답률: 61%)
  • 광원색은 자연광과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의 색이다. 이는 빛의 원래 색으로, 다른 색들은 빛이 물체에 반사되거나 흡수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라데이션으로 배치된 색의 경계부분에서 나타나는 대비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경계대비
  2. 연변대비
  3. 계시대비
  4. 마하의 띠
(정답률: 33%)
  • 그라데이션으로 배치된 색의 경계부분에서 나타나는 대비현상 중에서, "계시대비"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경계대비"는 서로 다른 색상이 경계에서 만나서 생기는 대비, "연변대비"는 서로 다른 색상이 서서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대비, "마하의 띠"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생기는 대비현상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계시대비"는 색상의 밝기와 어두움의 대비를 의미하며, 그라데이션으로 배치된 색의 경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보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색이 인접하면 채도가 서로 낮아 보인다.
  2. 보색을 혼합하면 회색이나 검정이 된다.
  3. 빨강의 보색은 보라이다.
  4. 보색잔상은 인접한 두 보색을 동시에 볼 때 생긴다.
(정답률: 61%)
  • 보색은 서로 대비되는 색상으로, 혼합하면 채도가 감소하여 회색이나 검정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는 보색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은 보색이므로 혼합하면 회색이나 검정색으로 보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색채의 지각과 감정 효과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채도가 높은 색은 채도가 낮은 색보다 진출의 느낌이 크다.
  2. 일반적으로 팽창색은 후퇴색과 연관이 있다.
  3. 색의 온도감은 주로 색상에서 영향을 받는다.
  4. 중량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명도의 차이이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팽창색은 후퇴색과 연관이 있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팽창색은 진출의 느낌이 크고, 후퇴색은 후퇴의 느낌이 크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각과 감정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동시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비효과는 약해진다.
  2. 색차가 클수록 대비 효과는 강해진다.
  3. 두 개의 다른 자극이 연속해서 나타날수록 대비효과는 강해진다.
  4. 동시대비 효과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므로 장시간 두고 보면 대비효과는 약해진다.
(정답률: 50%)
  • 정답은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대비효과는 약해진다."가 아닌 "동시대비 효과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므로 장시간 두고 보면 대비효과는 약해진다."입니다.

    두 개의 다른 자극이 연속해서 나타날수록 대비효과는 강해지는 이유는, 우리 뇌가 두 자극을 비교하면서 더욱 뚜렷한 차이를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뇌가 두 자극을 비교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대비효과는 약해집니다.

    또한, 동시대비 효과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므로 장시간 두고 보면 대비효과는 약해진다는 것은, 처음에는 두 자극의 차이가 뚜렷하게 인식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뇌가 적응하면서 차이를 덜 인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색의 진출의 후퇴, 팽창과 수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따뜻한 색이 차가운 색보다 더 진출해 보인다.
  2. dull tone의 색이 pale tone 보다 더 후퇴되어 보인다.
  3. 저채도, 저명도 색이 고채도, 고명도의 색보다 더 진출되어 보인다.
  4. 일반적으로 진출색은 평창색이 되고, 후퇴색은 수축색이 된다.
(정답률: 76%)
  • "일반적으로 진출색은 평창색이 되고, 후퇴색은 수축색이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저채도, 저명도 색이 고채도, 고명도의 색보다 더 진출되어 보이는 이유는 색의 진출은 색의 명도와 채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저채도, 저명도의 색은 명도와 채도가 낮기 때문에 주변 색과의 대비가 적어 더 진출되어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4가지의 기본적인 유채색인 빨강 - 초록, 파랑 - 노랑이 대립적으로 부호화된다는 색채 지각의 대립과정이론을 제안한 사람은?

  1. 오스트발트
  2. 맥스웰
  3. 헤링
  4. 헬름홀츠
(정답률: 57%)
  • 헤링은 색채 지각의 대립과정이론을 제안한 사람으로, 이론에서는 4가지의 기본적인 유채색인 빨강 - 초록, 파랑 - 노랑이 대립적으로 부호화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은 현대의 색채 이론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영ㆍ헬름홀츠의 3원색설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3원색설의 기본색은 빛의 혼합인 3원색과 동일하다.
  2. 색의 잔상효과와 대비이론의 근거가 되는 학설이다.
  3. 노랑은 빨강과 초록의 수용기가 동등하게 자극되었을 때 지각된다는 학설이다.
  4. 3종류의 시신경세포가 혼합되어 색채지각을 할 수 있다는 학설이다.
(정답률: 34%)
  • 정답은 "3원색설의 기본색은 빛의 혼합인 3원색과 동일하다." 이다. 3원색설은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색이 기본색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이에 따라 모든 색은 이 세 가지 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 )에 적합한 용어로 옳은 것은?

  1. A : 맥락막, B : 시각신경
  2. A : 망막, B : 시각신경
  3. A : 망막, B : 광수용기
  4. A : 맥락막, B : 광수용기
(정답률: 41%)
  • 주어진 그림은 눈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망막과 광수용기가 표시되어 있다. 망막은 눈의 안쪽에 위치하며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광수용기는 망막에 위치한 광감지 세포로, 빛을 감지하여 시각 정보를 망막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망막, B : 광수용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병원이나 역 대합실의 배색 중 지루함을 줄일 수 있는 색 계열은?

  1. 빨강계열
  2. 청색계열
  3. 회색계열
  4. 흰색계열
(정답률: 73%)
  • 청색계열은 시원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어 지루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청색계열은 안정감을 주어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이나 역 대합실과 같은 장소에서는 청색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하나의 매질로부터 다른 매질로 진입하는 파동이 경계면에서 나가는 방향을 바꾸는 현상은?

  1. 반사
  2. 산란
  3. 간섭
  4. 굴절
(정답률: 66%)
  • 파동이 다른 매질로 진입할 때, 파동의 속도가 달라지면 파동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데, 이를 굴절이라고 합니다. 이는 빛이나 소리 등 모든 파동에 적용됩니다. 이때, 파동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파동의 진행 속도가 달라지면 파동의 진행 방향도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굴절 현상은 광학, 의학,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색의 항상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광 아래에서의 배색종이는 배열등 아래에서는 붉은 빛의 종이로 보인다.
  2. 자극시간이 짧으면 색채의 항상성은 작지만, 완전히 항상성을 잃지는 않는다.
  3. 분광분포도 또는 눈의 순응상태가 바뀌어도 지각되는 색은 변하지 않는다.
  4. 조명이 강해도 검은 종이는 검은색 그대로 느껴진다.
(정답률: 40%)
  • "자연광 아래에서의 배색종이는 배열등 아래에서는 붉은 빛의 종이로 보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색의 항상성에 대한 설명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착각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사실, 자연광 아래에서의 색은 매우 다양한 파장의 빛들이 섞여서 인식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조명 아래에서는 다른 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색의 항상성은 특정한 조건에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는 사람의 눈과 뇌의 상태, 그리고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법혼색의 혼합결과가 틀린 것은?

  1. 빨강 + 녹색 = 노랑
  2. 빨강 + 파랑 = 마젠타
  3. 녹색 + 파랑 = 시안
  4. 빨강 + 녹색 + 파랑 = 검정
(정답률: 65%)
  • 가법혼색에서 빨강, 녹색, 파랑은 각각 RGB 색 모델에서의 기본색이다. 이들을 혼합하면 다양한 색상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빨강 + 녹색 + 파랑 = 검정"은 틀린 결과이다. 이유는 검정은 RGB 색 모델에서 모든 색상의 값이 0인 경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빨강, 녹색, 파랑을 모두 혼합하면 검정이 아닌 흰색이 나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은 방을 길게 보이고 싶어 한쪽 벽면을 칠한다면 다음 중 어느 색으로 칠하면 좋을까?

  1. 인디고블루(2.5PB 2/4)
  2. 계란색(7.5YR 8/4)
  3. 귤색(7.5YR 8/4)
  4. 대나무색(7.5GY 4/6)
(정답률: 46%)
  • 인디고블루(2.5PB 2/4)는 색상의 명도가 낮고 채도가 높은 색상으로, 벽면에 칠하면 시야를 멀리 끌어올려 방을 길게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반면에 다른 색상들은 명도나 채도가 높아 시야를 좁게 만들어 방을 작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디고블루(2.5PB 2/4)가 작은 방을 길게 보이게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빛과 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파장은 굴절률이 적으며 산란하기 어렵다.
  2. 색은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서 나타난다.
  3. 동물은 인간이 반응하지 않는 파장에 반응하는 시각세포를 가진 것도 있다.
  4. 색은 밝고 어둠에 따라 달라져 보일 수 있다.
(정답률: 61%)
  • "단파장은 굴절률이 적으며 산란하기 어렵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파장은 굴절률이 크고 산란하기 쉽습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물질과 상호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정한 밝기에서 채도가 높아질수록 더 밝아 보인다는 시지각적 효과는?

  1. 헬름홀츠 - 콜라우슈 효과
  2. 배너리 효과
  3. 에브니 효과
  4. 스티븐스 효과
(정답률: 10%)
  • 일정한 밝기에서 채도가 높아질수록 더 밝아 보이는 시지각적 효과는 "헬름홀츠 - 콜라우슈 효과"라고 부릅니다. 이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가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밝기가 높을수록 채도가 높아지면서 더 밝아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의 뇌가 색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때때로 색들끼리 서로 영향을 주어서 인접색에 가깝게 보이는 효과는?

  1. 동화효과
  2. 대비효과
  3. 혼색효과
  4. 감정효과
(정답률: 75%)
  • 동화효과는 색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인접한 색들이 서로 비슷하게 보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는 색의 조화를 이루어 조화로운 느낌을 주며, 일관성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중간혼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묘파 화가 쇠라의 작품은 병치혼합의 방법이 활용된 것이다.
  2. 병치혼합은 일종의 가법혼색이다.
  3. 회전혼합은 직물이나 컬러 TV의 화면, 인쇄의 망점 등에 활용되고 있다.
  4. 회전혼합은 색을 칠한 팽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답률: 58%)
  • "회전혼합은 색을 칠한 팽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회전혼합은 색을 섞는 방법 중 하나로, 색상을 동일한 비율로 섞어 회전시켜 만든 색상입니다. 이 방법은 주로 인쇄, 디자인, 화장품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색유리판을 여러 장 겹치는 방법의 혼색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인쇄잉크의 혼색과 같은 원리이다.
  2. 컬러 모니터의 색과 같은 원리이다.
  3. 병치가법혼색과 유사하다.
  4. 무대조명에 의한 혼색과 같다.
(정답률: 39%)
  • 정답: "인쇄잉크의 혼색과 같은 원리이다."

    설명: 색유리판을 여러 장 겹치는 방법의 혼색은, 각각의 유리판이 투과하는 빛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새로운 색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는 인쇄잉크의 혼색과 같은 원리이다. 인쇄잉크도 각각의 색상을 혼합하여 새로운 색상을 만들어내는데, 이때도 각각의 색상이 투과하는 빛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새로운 색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색유리판을 여러 장 겹치는 방법의 혼색은 인쇄잉크의 혼색과 같은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의이해

81. 색이름 수식형별 기준색이름의 표기가 틀린 것은?

  1. 자줏빛 분홍
  2. 초록빛 연두
  3. 빨간 노랑
  4. 파란 검정
(정답률: 28%)
  • "빨간 노랑"은 수식형별 기준색이름이 아니기 때문에 틀린 표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수식형별 기준색이름에 해당하는 색상 이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한국전통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황색은 황색과 흑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이다.
  2. 녹색은 청색과 황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이다.
  3. 자색은 적색과 백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이다.
  4. 벽색은 청색과 백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이다.
(정답률: 43%)
  • 자색은 적색과 푸른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입니다. 따라서 "자색은 적색과 백색의 혼합으로 얻어지는 간색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Yxy 색표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931년 CIE가 새로운 가상의 색공간을 규정하고, 실제로 사람이 느끼는 빛의 색과 등색이 되는 실험을 시도하여 정의하였다.
  2. 색지각의 3속성에 따라 정성적으로 분류하여 기호나 번호로 색을 표기했다.
  3. 인간의 감성에 접근하기 위해 헤링의 대응색설에 기초하여 CIE에서 정의한 색공간이다.
  4. XYZ색표계가 양적인 표시로 색채느낌을 알기 어렵고, 밝기의 정도를 판단할 수 없어 수식을 변환하여 얻은 색표계이다.
(정답률: 45%)
  • Yxy 색표계는 CIE에서 정의한 색공간 중 하나로, 색지각의 3속성에 따라 정성적으로 분류하여 기호나 번호로 색을 표기합니다. 이 색표계는 XYZ색표계가 양적인 표시로 색채느낌을 알기 어렵고, 밝기의 정도를 판단할 수 없어 수식을 변환하여 얻은 색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실생활에서 상징적 색채로 사용되었던 오방색 중 남(南)쪽을 의미하고 예(禮)를 상징하는 색상은?

  1. 파랑
  2. 검정
  3. 노랑
  4. 빨강
(정답률: 51%)
  • 남쪽을 상징하는 색상은 "빨강"입니다. 이는 고대 중국에서 남쪽을 뜻하는 "화(火)"의 색상이 빨강이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예(禮)를 상징하는 색상은 빨강이었는데, 예는 중국에서 중요한 의식 중 하나로, 빨강은 기쁨과 축하를 상징하는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먼셀 색상환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상(H)
  2. 명도(V)
  3. 채도(C)
  4. 암도(D)
(정답률: 77%)
  • 암도(D)는 먼셀 색상환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먼셀 색상환은 색상(H), 명도(V), 채도(C)로 구성되며, 암도(D)는 다른 색 공간에서 사용되는 요소입니다. 암도(D)는 색의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먼셀 색상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연속(Gradation) 배색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조화를 기본으로 하여 리듬감이나 운동감을 주는 배색방법이다.
  2. 질서정연한 느낌으로 자연스럽게 배열한 정리 배색이다.
  3. 체크문양, 타일문양, 바둑판 문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4. 색상, 명도, 채도, 톤의 단계적인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49%)
  • 연속(Gradation) 배색에 대한 설명 중 "체크문양, 타일문양, 바둑판 문양에서 많이 볼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연속 배색은 색상, 명도, 채도, 톤의 단계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조화를 기본으로 하여 리듬감이나 운동감을 주는 배색방법입니다. 질서정연한 느낌으로 자연스럽게 배열한 정리 배색은 조화 배색과는 다른 배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NCS색삼각형에서 W_S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이 하는 것은?

  1. 동일 하양색도(Same whiteness)
  2. 동일 검정색도(Same blackness)
  3. 동일 순색도(Same chromaticness)
  4. 동일 뉘앙스(same nuance)
(정답률: 52%)
  • NCS색삼각형에서 W_S축과 평행한 직선상에 놓인 색들은 모두 같은 밝기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만 다릅니다. 따라서 이들은 동일한 순색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오스트발트 색채체계의 단일 색상면 삼각형 내에서 동일한 양의 백색을 가지는 색채를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하여 배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색채조화는?

  1. 등백색 조화
  2. 등순색 조화
  3. 등흑색 조화
  4. 등가색환 조화
(정답률: 68%)
  • 오스트발트 색채체계에서 단일 색상면 삼각형 내에서 동일한 양의 백색을 가지는 색채를 일정한 간격으로 선택하여 배색하면, 각 색상의 밝기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등백색 조화가 형성됩니다. 즉, 각 색상이 밝기 면에서 동등한 위치에 있어 밝기의 차이가 없는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먼셀 기호로 표시할 때 5Y8/10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색상 5Y, 명도 8, 채도 10
  2. 색상 Y8, 명도 10, 채도 5
  3. 색상 5, 색상 Y8, 채도 10
  4. 색상 5Y, 채도 8, 명도 10
(정답률: 73%)
  • 먼셀 기호는 색상, 명도, 채도를 순서대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색상 5Y, 명도 8, 채도 10"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색상 Y8"이나 "색상 5, 색상 Y8"은 색상을 정확히 표시하지 않으며, "채도 8, 명도 10"은 순서가 바뀌어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NCS 색표기 S7020-R20B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7020에선 70은 흑색도를 나타낸다.
  2. S7020에서 20은 백색도를 나타낸다.
  3. R20B는 빨강 80%를 의미한다.
  4. R20B는 파랑 20%를 의미한다.
(정답률: 44%)
  • "S7020에서 20은 백색도를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S7020은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고, 20은 백색도를 나타내는 것이 맞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틀린 것이 없다.

    S7020은 색상을 나타내며, 70은 흑색도를 나타낸다. R20B는 빨강 20%와 파랑 80%를 혼합한 색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먼셀 색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먼셀 밸류라고 불리는 명도(V)축은 번호가 증가하면 물리적 밝기가 감소하여 검정이 된다.
  2. Gray Scale은 명도단계를 뜻하며, 자연색이라는 영문의 앞자를 따서 M1, M2, M3...로 표시한다.
  3. 무채색의 가장 밝은 흰색과 가장 어두운 검정사이에는 14단계의 유채색이 존재한다.
  4. V 번호가 같은 유채색과 무채색은 서로 명도가 동일하다.
(정답률: 48%)
  • 먼셀 색체계는 색을 명도(V), 채도(C), 색상(H)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표현하는 색 공간이다. V 번호가 증가할수록 명도가 감소하여 검정색에 가까워지며, 유채색과 무채색은 명도 축(V)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V 번호가 같은 유채색과 무채색은 서로 명도가 동일하다. 예를 들어, V4의 빨간색과 V4의 회색은 명도가 동일하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문ㆍ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메가 공간은 색의 3속성에 대해 지각적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한 독자적인 색 공간이다.
  2. 대표적인 정성적 조화이론으로 1944년도에 발표되었다.
  3. 복잡성의 요소(C)와 질서성의 요소(O)로 미도(M) 구하는 공식을 제안했다.
  4. 배색의 심리적 효과는 균형점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23%)
  • 정답은 "대표적인 정성적 조화이론으로 1944년도에 발표되었다." 이다.

    문ㆍ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은 1920년대부터 연구되어온 이론으로, 1944년에 발표되었다는 것은 틀린 정보이다. 이론은 색의 3속성에 대해 등간격이 되도록 한 독자적인 색 공간인 오메가 공간을 제안하고, 복잡성의 요소(C)와 질서성의 요소(O)로 미도(M) 구하는 공식을 제안하며, 배색의 심리적 효과는 균형점에 의해 결정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 사용하는 색채표시 방법은?

  1. 15:BG
  2. 17lc
  3. S4010-Y60R
  4. 5Y 8/10
(정답률: 44%)
  •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는 색상명과 함께 밝기와 색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하여 색을 표시합니다. "17lc"는 밝기 17과 색도 lc를 나타내는 것으로, lc는 노란색과 빨간색 사이의 색조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색채표시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분리효과에 의한 배색에서 분리색으로 주로 사용되는 색은?

  1. 무채색
  2. 두 색의 중간색
  3. 명도가 강한 색
  4. 채도가 강한 색
(정답률: 60%)
  • 분리효과에 의한 배색에서는 두 색을 함께 사용할 때 색의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 분리색으로 무채색을 사용합니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는 색으로, 다른 색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색의 경계를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분리효과에 의한 배색에서는 주로 무채색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CIELCH 색공간에서 색상각(h)이 90도에 해당하는 색은?

  1. Red
  2. Yellow
  3. Green
  4. Blue
(정답률: 59%)
  • CIELCH 색공간에서 색상각(h)이 90도는 노란색을 나타냅니다. 이는 CIELCH 색공간에서 색상각(h)이 0도에서 360도까지 회전하며, 0도는 빨간색, 90도는 노란색, 180도는 초록색, 270도는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색상각(h)이 90도에 해당하는 색은 "Yello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오스트발트 색체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규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수치상으로 완벽하게 구성되어 있다.
  2. 색분량은 순색량, 백색량, 흑색량을 10단계로 나누었다.
  3. 색상은 헤링의 4원색을 기본으로, 중간에 O, P, T, SG를 더해 8색상으로 한다.
  4. 현대에 와서는 색채조화의 원리와 회전혼색을 이용한 색채혼합의 기초원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정답률: 34%)
  • 오스트발트 색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맞습니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20세기 초 독일의 예술가 요한네스 이타인 오스트발트가 개발한 색체계입니다. 이 색체계는 규칙적이고 합리적인 구성으로, 색상, 색분량, 색도, 밝기 등을 수치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대에 와서는 색채조화의 원리와 회전혼색을 이용한 색채혼합의 기초원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현대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한국산업표준 표기법은?

  1. 먼셀표색계
  2. 오스트발트 표색계
  3. 문ㆍ스펜서 표색계
  4. 게리트슨 시스템
(정답률: 73%)
  • 한국산업표준 표기법은 "먼셀표색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색상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상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색상표와 비교하여 색상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먼셀표색계는 국제적으로도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색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산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색채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채표준이란 색을 일정하고 정확하게 측정, 기록, 전달,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2. 색채를 정량화하여 국가 간 공통 표기와 단위를 통해 표준화할 수 있다.
  3. 현색계에는 한국산업표과 미국의 먼셀, 스웨덴의 NCS색체계 등이 있다.
  4. 현색계는 측색기로 측정하여 어떤파장의 빛을 반사하는가에 따라 정확한 수치의 개념으로 색을 표현하는 체계이다.
(정답률: 60%)
  • 현색계는 측색기로 측정하여 어떤파장의 빛을 반사하는가에 따라 정확한 수치의 개념으로 색을 표현하는 체계가 아니라, 색을 일정하고 정확하게 측정, 기록, 전달, 관리하기 위한 수단인 색채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PCCS 색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톤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2. 색채 관리 및 조색, 색좌표의 전달에 적합한 색체계이다.
  3. 색상은 헤링의 지각원리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4. 무채색인 경우 하양은 W, 검정은 BK로 표시한다.
(정답률: 27%)
  • PCCS 색체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PCCS 색체계는 톤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채 관리 및 조색, 색좌표의 전달에 적합한 색체계입니다. 또한 색상은 헤링의 지각원리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무채색인 경우 하양은 W, 검정은 BK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동일색상배색이 주는 느낌으로 옳은 것은?

  1. 안정적이며 통일감이 높다.
  2. 유쾌하고 역동적이다.
  3. 화려하며 자극적이다.
  4. 차분하고 엄숙하다.
(정답률: 76%)
  • 동일색상배색은 한 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으로, 색상의 조화와 안정감을 주어 통일감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안정적이며 통일감이 높다."가 옳은 답입니다. 유쾌하고 역동적인 느낌은 다양한 색상을 사용한 조화로, 화려하고 자극적인 느낌은 대비가 강한 색상을 사용한 조화로, 차분하고 엄숙한 느낌은 조화를 이루는 색상이 어두운 색상일 때 느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