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컬러리스트산업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심리

1. 색채마케팅 전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제적 환경
  2. 기술적 환경
  3. 사회, 문화적 환경
  4. 정치적 환경
(정답률: 84%)
  • 정치적 환경은 일반적으로 기업이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환경요인들보다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됩니다. 정치적 환경은 정부의 정책, 법률, 규제 등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수 있지만, 기업이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업은 정치적 환경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조량과 습도, 기후, 흙, 돌처럼 한 지역의 자연 환경적 요소로 형성된 색을 의미하는 것은?

  1. 등갈색
  2. 풍토색
  3. 문화색
  4. 선호색
(정답률: 96%)
  • 풍토색은 일조량과 습도, 기후, 흙, 돌 등 자연 환경적 요소로 형성된 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등갈색", "문화색", "선호색"은 자연 환경적 요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슷한 구조의 부엌 디자인을 차별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새로운 색채 팔레트의 제안
  2. 소비자 선호색의 반영
  3. 다른 재료와 색채의 적용
  4. 일반적인 색채에 의한 계획
(정답률: 88%)
  • 일반적인 색채에 의한 계획은 부엌 디자인을 차별화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채를 따르는 것으로, 다른 디자인과 큰 차이를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표본의 크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본의 오차는 표본을 뽑게 되는 모집단의 크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2. 표본의 사례수(크기)는 오차와 관련되어 있다.
  3. 적정 표본 크기는 허용오차 범위에 의해 달라진다.
  4. 전문성이 부족한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의 표본 크기를 고려하여 사례수를 결정한다.
(정답률: 44%)
  • "표본의 오차는 표본을 뽑게 되는 모집단의 크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표본의 오차는 모집단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으며, 표본의 크기와 표본 추출 방법, 표본의 특성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모집단이 크더라도 표본의 크기가 충분하고 무작위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면 오차는 작을 수 있습니다. 또한, 모집단이 작더라도 표본의 크기가 작고 비무작위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면 오차는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허용오차 범위, 통계적 검정력, 예상되는 효과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크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전문성이 부족한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의 표본 크기를 참고할 수 있지만, 이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백화점 출구에서 20대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화정품 개발을 위한 조사를 하려고 할 때 가장 적합한 표본집단 선정법은?

  1. 무작위추출법
  2. 다단추출법
  3. 국화추출법
  4. 계통추출법
(정답률: 63%)
  • 백화점 출구에서 대상인 20대는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계통추출법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대상을 추출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대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분포되어 있을 때, 대상을 골고루 추출할 수 있어 표본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바닷가, 도시, 분지에 위치한 도시의 주거 공간의 외벽 색채계획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기후적, 지리적 환경
  2. 건설사의 기업 색채
  3. 건축물의 형태와 기능
  4. 주변 건물과 도로의 색
(정답률: 95%)
  • 건설사의 기업 색채는 주거 공간의 외벽 색채계획 시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건설사의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된 것으로, 주거 공간의 외벽 색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거 공간의 외벽 색채를 결정할 때는 기후적, 지리적 환경, 건축물의 형태와 기능, 주변 건물과 도로의 색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채의 심리적 기능 중 맞는 것은?

  1. 색채의 기능은 문자나 픽토그램 같은 표기 이상으로 직접 감각에 호소하기 때문에 효과가 빠르다.
  2. 색채는 인종과 언어, 시대를 초월하는 전달 수단은 아니다.
  3. 색채를 분류하거나 조사하고 기획하는 단계에서 무게감을 최우선으로 한다.
  4. 무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색의 속성은 채도이다.
(정답률: 84%)
  • 색채의 기능은 직접 감각에 호소하기 때문에 효과가 빠르다. 이는 색채가 인간의 뇌와 감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색채는 매우 강력한 전달 수단이며, 효과적인 마케팅이나 디자인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채와 연상언어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빨강 – 위험, 사과, 에너지
  2. 검정 – 부정, 죽음, 연탄
  3. 노랑 – 인내, 겸손, 창조
  4. 흰색 – 결백, 백합, 소박
(정답률: 97%)
  • 노랑은 인내, 겸손, 창조와 연관된 색채와 연상언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색채와 연상언어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빨강은 사과와 연관된 연상언어이지만, 위험과 연관된 색채이다. 검정은 연탄과 연관된 연상언어이지만, 부정과 연관된 색채이다. 흰색은 결백과 연관된 연상언어이지만, 백합과 연관된 색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동서양의 문화에 따른 색채 정보의 활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동양 문화권에서 신성시되는 종교색 – 노랑
  2. 중국의 왕권을 대표하는 색 – 빨강
  3. 봄과 생명의 탄색 – 파랑
  4. 평화, 진실, 협동 – 초록
(정답률: 57%)
  • 동양 문화권에서는 노랑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교에서는 노란색을 성스로 삼고 있으며, 도교에서는 노란색을 중요한 색상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양 문화권에서는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는 노란색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몬드리안(Mondrian)의 '부기우기'라는 작품에서 드러난 대표적인 색채 현상은?

  1. 착시
  2. 음성잔상
  3. 항상성
  4. 색채와 소리의 공감각
(정답률: 69%)
  • 몬드리안의 '부기우기' 작품에서는 색채와 소리의 공감각이 드러나는데, 이는 색채와 소리가 서로 유사한 형태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감각은 인간의 뇌에서 처리되는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기 시간이 긴 공항 대합실의 기능적 면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함한 색은?

  1. 파란색 계열
  2. 노란색 계열
  3. 주황 계열
  4. 빨간색 계열
(정답률: 93%)
  • 파란색 계열은 진정 효과가 있어서, 대기 시간이 긴 공항 대합실에서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파란색 계열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도 있어서, 대기 시간을 보내는 승객들이 지루해하지 않고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긴 공항 대합실에서는 파란색 계열이 가장 적합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색채와 모양에 대한 공감각적 연구를 통해 색채와 모양의 조화로운 관계성을 추출한 사람은?

  1. 요하네스 이텐
  2. 뉴턴
  3. 카스텔
  4. 로버트 플러드
(정답률: 74%)
  • 요하네스 이텐은 색채와 모양의 관계를 연구하여 색채와 모양이 어떻게 조화롭게 작용하는지를 밝혀낸 스위스의 예술가이다. 이를 통해 그는 색채와 모양의 상호작용을 공감각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예술 작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척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위와 색표시가 잘못된 것은?

  1. 동쪽 – 청색
  2. 남쪽 – 황색
  3. 북쪽 – 흑색
  4. 서쪽 – 백색
(정답률: 80%)
  • 한국의 전통적인 오방위와 색표시에서 잘못된 것은 "동쪽 – 청색"입니다. 한국에서는 동쪽을 푸른색이 아닌, 청색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청색은 색상 중 하나가 아니며, 동쪽은 푸른색으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남쪽은 황색, 북쪽은 흑색, 서쪽은 백색으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색채연구가인 프랑스의 장 필립 랑크로(Jean-Philippe Lenclos)가 프랑스와 일본 등에서 조사 분석하여 국가 전체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한 연구는?

  1. 지역색
  2. 공공의 색
  3. 유행색
  4. 패션색
(정답률: 70%)
  • 정답은 "지역색"입니다. 이 연구는 국가 전체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의 역사, 문화, 지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그 지역의 대표적인 색을 선정하고 이를 국가 전체의 색으로 채택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따라서 "지역색"은 그 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색으로서 국가 전체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의미척도법(S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국의 색채 전문가 파버 비렌(Faber Birren)이 고안하였다.
  2. 반대의미를 갖는 형용사 쌍을 카테고리 척도에 의해 평가한다.
  3. 제품, 색, 음향, 감촉 등 다양한 대상의 인상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4. 의미공간을 효율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는 그 공간을 대표하는 차원의 수를 최소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42%)
  • "미국의 색채 전문가 파버 비렌(Faber Birren)이 고안하였다."가 틀린 것이다. 의미척도법은 미국의 심리학자 오스월드 쿤헨(Oswald Külpe)가 처음으로 제안하였으며, 이후 색채 전문가 파버 비렌이 색채에 대한 의미척도법을 발전시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청색의 민주화 (Blue Civilization),는 어떤 의미인가?

  1. 서구문화권 국가의 성인 절반 이상의 청색을 매우 선호한다.
  2. 성인이 되면 색채 선호도가 변화한다.
  3. 성별 구분 없이 청색을 선호한다.
  4. 지역적인 색채선호도의 차이가 있다.
(정답률: 59%)
  • 청색의 민주화는 서구문화권 국가의 성인 절반 이상이 청색을 매우 선호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성인이 되면 색채 선호도가 변화하며, 성별 구분 없이 청색을 선호하며, 지역적인 색채선호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체의 챠크라(chakra) 영역으로 심장부를 나타내며 사랑을 의미하는 색은?

  1. 빨강
  2. 주황
  3. 초록
  4. 보라
(정답률: 43%)
  • 챠크라는 인체의 에너지 중심으로, 각각의 챠크라는 특정한 색과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부를 나타내는 챠크라는 "안하타라"라고도 불리며, 이 영역의 색은 초록색입니다. 초록색은 자연과 조화, 치유와 평화, 사랑과 관계성을 상징하며, 심장부의 챠크라는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초록색의 일반적인 색채치료 효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2. 혈압을 높인다.
  3. 근육 긴장을 증대한다.
  4. 무기력을 완화시킨다.
(정답률: 64%)
  • 초록색은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진정 효과가 있어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색채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신체의 피로, 특히 눈의 피로를 막는다.
  2. 안전이 유지되며 사고가 줄어든다.
  3. 색채의 적용으로 주위가 산만해질 수 있다.
  4. 정리 정돈과 질서 있는 분위기가 연출된다.
(정답률: 91%)
  • 색채의 적용으로 주위가 산만해질 수 있다는 것은, 색채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조절하지 않아서 주변 환경이 지나치게 화려하거나 어색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오히려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색채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파버 비렌(Faber Birren)의 색과 연상 형태가 틀린 것은?

  1. 빨강 – 정사각형
  2. 노랑 – 역삼각형
  3. 초록 – 원
  4. 보라 – 타원
(정답률: 72%)
  • 파버 비렌은 색과 연상 형태를 연구한 인물로, 색과 도형이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초록은 일반적으로 원보다는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연관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초록 – 원"은 파버 비렌의 연구 결과와는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디자인

21. 주거 공간의 색채계획 순서를 옭게 나열한 것은?

  1. 주거자 요구 및 시장성 파악 → 고객의 공감 획득 → 이미지 콘셉트 설정 → 색채 이미지 계획
  2. 고객의 공감 획득 → 주거자 요구 및 시장성 파악 → 이미지 콘셉트 설정 → 색채 이미지 계획
  3. 주거자 요구 및 시장성 파악 → 이미지 콘셉트 설정 → 색채 이미지 계획 → 고객의 공감 획득
  4. 이미지 콘셉트 설정 → 주거자 요구 및 시장성 파악 → 고객의 공감 획득 → 색채 이미지 계획
(정답률: 69%)
  • 주거 공간의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먼저 주거자의 요구와 시장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공감을 얻어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이미지 콘셉트를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색채 이미지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주거자 요구 및 시장성 파악 → 이미지 콘셉트 설정 → 색채 이미지 계획 → 고객의 공감 획득"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환경색채디자인의 프로세스 중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이미지를 예측 설정하는 단계는?

  1. 환경요인분석
  2. 색채이미지추출
  3. 색채계획목표설정
  4. 배색설정
(정답률: 29%)
  • "색채이미지추출" 단계는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색채를 추출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환경요인분석과 색채계획목표설정, 배색설정 등의 후속 단계에서 활용됩니다. 추출된 색채는 해당 지역의 특성과 분위기를 반영하며, 디자인의 일관성과 조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색채 계획 설계 단계에 해당 되는 것은?

  1. 콘셉트 이미지 작성
  2. 현장 적용색 검토, 승인
  3. 체크리스트 작성
  4. 대상의 형태, 재료 등 조건과 특성 파악
(정답률: 38%)
  • 색채 계획 설계 단계에서는 대상의 형태, 재료 등 조건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색상을 선택하며, 이를 체크리스트로 정리하여 관리합니다. 따라서 체크리스트 작성이 해당됩니다. 콘셉트 이미지 작성은 아이디어 단계에서, 현장 적용색 검토와 승인은 실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게슈탈트(Gestalt) 형태심리 법칙으로 틀린 것은?

  1. 유사성
  2. 근접성
  3. 폐쇄성
  4. 독립성
(정답률: 68%)
  • 게슈탈트 형태심리 법칙에서 "독립성"은 없는 법칙입니다. 유사성은 비슷한 형태끼리 묶이는 법칙, 근접성은 가까운 것끼리 묶이는 법칙, 폐쇄성은 완성된 형태를 선호하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능에 충실한 형태가 아름답다는 의미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라는 말을 한 사람은?

  1. 프랑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2. 루이스 설리번 (Louis Sullivan)
  3. 빅터 파파넥 (Victor Papanek)
  4. 윌리엄 모리스 (William Morris)
(정답률: 58%)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말을 한 사람은 루이스 설리번입니다. 이는 그가 건축가로서 기능과 형태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건축물의 기능에 맞는 형태를 디자인하는 것을 강조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후에 모던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래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스케치한 컷을 의미했지만 오늘날에는 만화적인 그림에 유머나 아이디어를 넣어 완성한 그림을 지칭하는 것은?

  1. 카툰 (cartoon)
  2. 캐릭터 (character)
  3.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
  4. 애니메이션 (animation)
(정답률: 79%)
  • 카툰은 만화적인 그림에 유머나 아이디어를 넣어 완성한 그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캐릭터는 특정한 인물이나 동물 등을 의미하는 용어이며,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림으로 표현한 삽화를 의미한다.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을 만드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일러스트 형태로 이루어진 글자의 조형적 표현
  2. 광고에 나오는 그림의 조형적 표현
  3. 글자에 의한 모든 커뮤니케이션의 조형적 표현
  4. 조합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의 조형적 표현
(정답률: 63%)
  • 타이포그래피는 글자를 사용하여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글자의 디자인, 배치, 크기, 색상 등을 조합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타이포그래피의 핵심이다. 따라서 "글자에 의한 모든 커뮤니케이션의 조형적 표현"이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가장 관련이 있는 현대디자인 사조는?

  1. 다다이즘
  2. 팝아트
  3. 옵아트
  4. 포스트모더니즘
(정답률: 82%)
  • 옵아트는 그림의 형태와 색상을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하여 만들어지는 형태의 예술입니다. 이러한 패턴은 규칙적이고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매우 인상적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현대디자인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그림과 가장 관련이 있는 현대디자인 사조는 옵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자인의 원리 중 반복된 형태나 구조, 선의 연속과 단절에 의한 간격의 변화로 일어나는 시각적 운동을 말하는 것은?

  1. 조화
  2. 균형
  3. 율동
  4. 비례
(정답률: 72%)
  • 율동은 반복된 형태나 구조, 선의 연속과 단절에 의한 간격의 변화로 인해 시각적 운동이 일어나는 디자인 원리를 말합니다. 이는 일정한 패턴이나 리듬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 요소들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동그라미나 선이 율동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율동"이 디자인의 원리 중 반복된 형태나 구조, 선의 연속과 단절에 의한 간격의 변화로 일어나는 시각적 운동을 말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모던 디자인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유기적 곡선 형태를 추구한다.
  2. 영국의미술공예운동에 기초를 둔다.
  3. 사물의 형태는 그 역할과 기능에 따른다.
  4. 1880년부터 1차 세계대전까지의 디자인 사조이다.
(정답률: 63%)
  • "사물의 형태는 그 역할과 기능에 따른다."는 모던 디자인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디자인이 단순히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던 디자인은 기능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며, 디자인의 목적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형태를 추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자인 사조와 색채의 특징이 틀린 것은?

  1. 큐비즘의 대표적 작가인 파블로 피카소는 색상의 대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2. 플렉서스(Fluxus)에서는 회색조가 전반을 이루고 색이 있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조가 주가 되었다.
  3. 팝아트는 부드러운 색조의 그러데이션(Gradetion) 특징이다.
  4. 다다이즘에서는 일반적으로어둡고 칙칙한 색조가 사용되었다.
(정답률: 83%)
  • "팝아트는 부드러운 색조의 그러데이션(Gradetion) 특징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팝아트는 일반적으로 선명하고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류의 모든 가능성을 발휘하여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를 창조하려는 자세에서 나타난 디자인으로, 인류의 끝없는 꿈을 자동차 디자인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디자인은?

  1. 반 디자인 (anti-design)
  2. 모던 디자인 (modern design)
  3. 애드밴스 디자인(advanced design)
  4. 바이오 디자인 (bio design)
(정답률: 67%)
  • 애드밴스 디자인은 미래를 대비하여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으로, 인류의 꿈과 가능성을 담아내는 디자인입니다. 따라서 이 디자인은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디자이너가 가져야 하는 중요한 자질이며 창조적이고 과거의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시대에 알맞은 디자인을 뜻하는 디자인 조건은?

  1. 경제성
  2. 심미성
  3. 독창성
  4. 합목적성
(정답률: 84%)
  • 디자이너가 가져야 하는 중요한 자질은 창조성이며, 디자인 조건 중에서도 과거의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시대에 알맞은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독창성이라고 합니다. 디자이너는 경제성과 합목적성도 고려해야 하지만, 독창성이 없다면 디자인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평범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독창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자인의 조건 중 경제성을 잘 나타낸 설명은?

  1. 저렴한 제품이 가장 좋은 제품이다.
  2.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3. 많은 시간을 들여 공들인 제품이 경제성이 뛰어나다.
  4. 제품의 퀄리티(quality)가 높으면서 사용 목적에 맞아야 한다.
(정답률: 81%)
  • 디자인의 경제성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디자인을 할 때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제품의 기능과 효과를 최대한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자인을 할 때 경제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인 주거 공간 색채계획의 목적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거실 인테리어 소품은 악센트 컬러를 사용해도 좋다.
  2. 천장, 벽, 마루 등은 심리적인 자극이 적은 색채를 계획한다.
  3. 전체적인 조화보다는 부분 부분의 색채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식탁주변과 거실은 특수한 색채를 피하여 안정감을 주는 것이 좋다.
(정답률: 90%)
  • "전체적인 조화보다는 부분 부분의 색채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색채의 일관성과 조화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반대되는 내용이다. 일반적인 주거 공간 색채계획의 목적은 공간 전체적인 분위기와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강조와 대조를 통해 공간의 특징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스플레이 디자인(Display Desig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건을 공간에 배치, 구성, 연출하여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는 강력한 이미지 표현이다.
  2. 디스플레이의 구성 요소는 상품, 고객, 장소, 시간이다.
  3. P.O.P.(Point of Purchase)는 비상업적 디스플레이에 활용된다.
  4. 시각전달 수단으로서의 디스플레이는 사람, 물체, 환경을 상호 연결시킨다.
(정답률: 82%)
  • "P.O.P.(Point of Purchase)는 비상업적 디스플레이에 활용된다." 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P.O.P.(Point of Purchase)는 상업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디스플레이로, 제품을 판매하는 장소에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자인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디자인은 보다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생활환경을 창조하는 조형행위이다.
  2. 디자인은 실용적이고 미적인 조형의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3. 디자인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즉시적이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4. 디자인은 특정 문제에 대한 목적을 마음에 두고, 이의 실천을 위하여 세우는 일련의 행위 개념이다.
(정답률: 79%)
  • "디자인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즉시적이고 무의식적인 조형의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다."가 디자인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디자인은 주로 사용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디자인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인은 보다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며, 아름다운 생활환경을 창조하는 조형행위이거나, 실용적이고 미적인 조형의 형태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은 특정 문제에 대한 목적을 마음에 두고, 이의 실천을 위하여 세우는 일련의 행위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이 설명하는 아이디어 발상법은?

  1. 심벌(Symbol) 유추법
  2. 브레인스토밍
  3. 속성 열거법
  4. 고-스톱(Go-Stop)법
(정답률: 86%)
  • 이 그림은 브레인스토밍을 나타내며,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모든 아이디어를 수용하며, 그 중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생태학적 디자인 원리로 틀린 것은?

  1. 환경친화적인 디자인
  2. 리사이클린 디자인
  3. 에너지 절약형 디자인
  4. 생물학적 단일성을 강조하는 디자인
(정답률: 89%)
  • 생물학적 단일성을 강조하는 디자인은 생태학적 디자인 원리와는 맞지 않습니다. 생태학적 디자인은 생물 다양성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생태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단일성을 강조하는 디자인은 생태학적 디자인 원리와는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렌더링에 의해 디자인을 검토한 후 상세한 디자인 도면을 그리고 그것에 따라 완성 제품과 똑같이 만드는 모형은?

  1. 목업(mock-up)
  2. 러프 스케치(rough sketch)
  3. 스탬핑(stamping)
  4. 엔지니어링(engineering)
(정답률: 83%)
  • 목업은 디자인을 검토한 후 상세한 디자인 도면을 그리고 그것에 따라 완성 제품과 똑같이 만드는 모형을 말합니다. 따라서, 렌더링에 의해 디자인을 검토한 후 상세한 디자인 도면을 그리고 그것에 따라 완성 제품과 똑같이 만드는 것이 목적인 것으로 보아, 정답은 "목업(mock-u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섹채관리

41. 물체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비는?

  1. 색차계(colorimeter)
  2.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3. 분광복사계(spectroradiometer)
  4. 표준광원(standard illuminant)
(정답률: 65%)
  • 분광광도계는 빛의 파장별 흡광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색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물체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지만, 분광광도계만큼 정확한 분석을 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모든 분야에서 물체색의 색채 삼속성을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표색계는?

  1. L*a*b* 표색계
  2. Hunter Lab 표색계
  3. (x, y) 색도계
  4. XYZ 표색계
(정답률: 68%)
  • L*a*b* 표색계는 인간의 시각에 가장 적합한 색채 삼속성을 기반으로 하며, 밝기(L*)와 색도(a*, b*)를 나타내는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색상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색계입니다. Hunter Lab 표색계는 L*a*b* 표색계와 유사하지만 일부 차이가 있으며, (x, y) 색도계와 XYZ 표색계는 다른 색공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L*a*b* 표색계보다는 적용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IE LABL 좌표로 L*=65, a*=30, b*=-20으로 측정된 색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 값이 높은 편이므로 비교적 밝은 색이다.
  2. a* 값이 양(+)의 값을 갖고 있으므로 빨강이 많이 포함된 색이다.
  3. b* 값이 음(-)의 값을 갖고 있으므로 파랑이 많이 포함된 색이다.
  4. (a*,b*) 좌표가 원점과 가까우므로 채도가 높은 색이다.
(정답률: 70%)
  • "(a*,b*) 좌표가 원점과 가까우므로 채도가 높은 색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a*,b*) 좌표가 원점과 가까울수록 채도가 낮은 색이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요소로, (a*,b*) 좌표의 거리가 멀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태양광 아래에서 가장 반사율이 높은 경우의 무명천은?

  1. 천연 무명천에 전혀 처리를 하지 않은 무명천
  2. 화학적 탈색처리 한 무명천
  3. 화학적 탈색처리 후 푸른색 염료로 약간 염색한 무명천
  4. 화학적 탈색처리 후 형광성 표백제로 처리한 무명천
(정답률: 65%)
  • 태양광 아래에서 가장 반사율이 높은 경우의 무명천은 "화학적 탈색처리 후 형광성 표백제로 처리한 무명천"입니다. 이유는 화학적 탈색처리를 통해 무명천의 색소를 제거하고, 형광성 표백제로 처리함으로써 무명천의 밝은 색상과 반사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처리를 하지 않았거나 염료로 염색한 경우로 인해 색상과 반사율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외선에 의해 황변현상이 가장 심한 섬유소재는?

  1. 레이온
(정답률: 49%)
  • 견은 자외선에 대한 내성이 높아 황변현상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섬유소재입니다. 반면에 면, 마, 레이온은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황변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컬러 인덱스(Color Index)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료 회사에서 원산지를 표기한 데이터베이스
  2. 화학구조에 따라 염료와 안료로 구분하고 응용방법, 견뢰도(fastness)데이터, 제조업체명, 제품명을 기록한 데이터베이스
  3. 안료를 판매할 가격에 따라 분류한 데이터베이스
  4. 안료를 생산한 국적에 따라 분류한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81%)
  • 화학구조에 따라 염료와 안료로 구분하고 응용방법, 견뢰도(fastness)데이터, 제조업체명, 제품명을 기록한 데이터베이스가 컬러 인덱스(Color Index)에 대한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육안검색에 의한 색채판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찰자와 대상물의 각도는 30°로 한다.
  2. 비교하는 색은 인접하여 배열하고 동일평면으로 배열되도록 배치한다.
  3. 관측조도는 300Lux이상으로 한다.
  4. 대상물의 색상과 비슷한 색상을 바탕면색으로 하여 관측한다.
(정답률: 75%)
  • 육안검색에 의한 색채판별조건은 색상, 명도, 채도의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색을 판별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비교하는 색은 인접하여 배열하고 동일평면으로 배열되도록 배치한다."는 색상을 판별할 때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이는 비교하는 두 색이 서로 옆에 인접하여 있고,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면 색상 차이를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비교할 때, 두 색을 서로 떨어뜨려 놓으면 색상 차이가 덜 느껴질 수 있지만, 인접하여 배열하고 동일평면으로 배치하면 더욱 뚜렷하게 색상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나 인쇄물 등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중간 계조 회색부분으로 적당한 크기와 농도의 작은 점들로 명암의 미묘한 변화가 만들어지는 표현방법은?

  1.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
  2. 컬러 매칭(color matching)
  3.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4. 하프톤(halftone)
(정답률: 56%)
  • 하프톤은 이미지나 인쇄물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중간 계조 회색부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은 점들을 사용하여 명암의 미묘한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이를 통해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인쇄할 때 적은 양의 잉크를 사용하여도 높은 해상도와 명도 대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프톤은 인쇄물 제작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HSB 디지털 색채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 모드는 색상으로 0°에서 360°까지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2. B 모드는 밝기로 0%에서 100%로 구성되어 있다.
  3. S 모드는 채도로 0°에서 360°까지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4. B 값이 100%일 경우 반드시 흰색이 아니라 고순도의 원색일 수도 있다.
(정답률: 58%)
  • 정답은 "S 모드는 채도로 0°에서 360°까지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이다. HSB 디지털 색채 시스템에서 S 모드는 채도로 0%에서 100%로 구성되어 있다. S 모드는 색의 순도를 나타내며, 0%는 회색에 가까운 무채색을 의미하고, 100%는 색의 순도가 가장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최초의 합성염료로서 아닐린 설페이트를 산화시켜서 얻어 내며 보라색 염료로 쓰이는 것은?

  1. 산화철
  2. 모베인(모브)
  3. 산화망간
  4. 옥소크롬
(정답률: 68%)
  • 아닐린 설페이트를 산화시키면 모베인(모브)이라는 보라색 염료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베인(모브)"입니다. 산화철, 산화망간, 옥소크롬은 모두 다른 화학물질이며, 아닐린 설페이트를 산화시켜서 모베인을 얻는 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명방식 중 광원의 90% 이상을 천장이나 벽에 부딪혀 확산된 반사광으로 비추는 방식으로 눈부심이 없고 조도분포가 균일한 형태의 조명 형태는?

  1. 직접 조명
  2. 간접 조명
  3. 반직접 조명
  4. 반간접 조명
(정답률: 77%)
  • 간접 조명은 광원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천장이나 벽 등을 통해 반사되어 방 안을 비추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눈부심이 없고 조도분포가 균일하여 쾌적한 조명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간접 조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의 컬러 인텍스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 : 색료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 화학적인 구조가 주어지는 물질 번호
  2. ⓐ : 색료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 제조사 등록 번호
  3. ⓐ : 색역에 따른 분류, ⓑ : 판매업체 분류 번호
  4. ⓐ : 착색의 견뢰성에 따른 분류, ⓑ : 광원에서의 색채 현시 분류 번호
(정답률: 47%)
  • ⓐ : 색료 사용 용도에 따른 분류, ⓑ : 화학적인 구조가 주어지는 물질 번호입니다. 이 구조는 색소 및 염료의 화학 구조를 기반으로 분류하며, 이를 통해 색소 및 염료의 특성과 용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색소 및 염료의 화학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이를 통해 색소 및 염료의 특성과 용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색채의 혼합 중 가법혼색에 의한 채널의 값(R, G, B)이 옳은 것은?

  1. 시안(255, 255, 0)
  2. 마젠타(255, 0, 255)
  3. 노랑(0, 255, 255)
  4. 초록(0, 0, 255)
(정답률: 75%)
  • 가법혼색에서는 빨강(R), 초록(G), 파랑(B)의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냅니다. 마젠타는 빨강과 파랑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색으로, R 값이 255, G 값이 0, B 값이 255입니다. 따라서, 마젠타(255, 0, 255)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연색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색지수는 기준광과 시험광원을 비교하여 색온도를 재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2. 연색지수는 인공광원이 얼마나 기준광과 비슷하게 물체의 색을 보여주는가를 나타낸다.
  3. 연색지수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으며 자연광에 가깝다.
  4. 연색지수를 산출하는데 기준이 되는 광원은 시험광원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29%)
  • 연색지수를 산출하는데 기준이 되는 광원은 시험광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연색지수는 기준광과 시험광원을 비교하여 색상의 일관성과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기준광은 국제표준조명원(5500K)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NG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축률이 떨어지지만 전송속도가 빠르고 이미지의 손상이 적으면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낼 수 있다.
  2. 알파채널, 트루컬러 지원, 비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형 없이 웹상에 그대로 표현이 가능하다.
  3. 매킨토시의 표준파일 포맷방식으로 비트맵, 벡터 이미지를 동시에 다룰 수 있다.
  4. 1600만 색상을 표시할 수 있고 손실압축방식으로 파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웹에서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56%)
  • PNG 파일 포맷은 알파채널, 트루컬러 지원, 비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형 없이 웹상에 그대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PNG 파일이 웹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와 같은 입력장치가 사용하는 기본색은?

  1. 빨강(R), 파랑(B), 옐로우(Y)
  2. 마젠타(M), 옐로우(Y), 녹색(G)
  3. 빨강(R), 녹색(G), 파랑(B)
  4. 마젠타(M), 옐로우(Y), 시안(C)
(정답률: 73%)
  • 디지털 카메라와 스캐너는 RGB 색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색은 빨강(R), 녹색(G), 파랑(B)입니다. 이는 빛의 3원색을 기반으로 하며, 이 세 가지 색을 조합하여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장치에서도 이와 같은 기본색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매우 미량의 색료만 첨가되어도 색소효과가 뛰어나야 하며, 특히 유독성이 없어야 하는 색소는?

  1. 형광 색소
  2. 금속 색소
  3. 섬유 색소
  4. 식용 색소
(정답률: 77%)
  • 식용 색소는 음식물에 첨가되어도 안전하고 유독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미량의 색료만으로도 색소효과가 뛰어나야 합니다. 따라서 식용 색소는 다른 보기들인 형광 색소, 금속 색소, 섬유 색소와는 달리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색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색채측정기의 종류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면 어떤 것이 있는가?

  1. 필터식 색채계와 망점식 색채계
  2. 분광식 색체계와 렌즈식 색채계
  3. 필터식 색채계와 분광식 색채계
  4. 음이온 색채계와 분사식 색채계
(정답률: 81%)
  • 색채측정기의 종류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면 필터식 색채계와 분광식 색채계가 있다. 필터식 색채계는 색깔을 측정할 때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이고, 분광식 색채계는 빛의 파장을 분석하여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두 가지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하는 분야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흑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흑체란 외부의 에너지를 모두 반사하는 이론적인 물질이다.
  2. 반사가 전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를 상징하여 흑체라고 한다.
  3. 흑체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물체는 뜨거워진다.
  4. 흑체는 비교적 저온에서는 붉은 색을 띤다.
(정답률: 60%)
  • "흑체란 외부의 에너지를 모두 반사하는 이론적인 물질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흑체란 외부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열로 방출하는 이론적인 물질이다."이다. 이는 흑체가 완전한 흑색으로 보이는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백색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색도는 물체의 흰 정도를 나타낸다.
  2. 완전한 반사체의 경우 그 값이 100이다.
  3.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수치이다.
  4. 표준광 D65에서의 표면색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정답률: 42%)
  • 백색도는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수치가 아니라, 물체의 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색채지각의이해

61. 푸르킨예 현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직물을 색조 디자인할 때 직조 시 하나의 색만을 변화시키거나 더함으로써 전체 색조를 조절할 수 있는 것
  2. 하얀 바탕종이에 빨간색 원을 놓고 얼마간 보다가 하얀 바탕종이를 빨간 종이로 바꾸어 놓았을 때 빨간색이 검정색으로 보이는 현상
  3. 색상환의 기본색인 빨강, 노랑, 녹색, 파랑 등의 색이 조합되었을 때 그 대비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4. 암순응 되기 전에는 빨간색 꽃이 잘 보이다가 암순응이 되면 파란색 꽃이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으로 광자극에 따라 활동하는 시각기제가 바뀌는 것
(정답률: 74%)
  • 암순응 되기 전에는 빨간색 꽃이 잘 보이다가 암순응이 되면 파란색 꽃이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으로, 광자극에 따라 활동하는 시각기제가 바뀌는 것입니다. 즉, 뇌에서 처리하는 시각 정보의 방향이 바뀌어서 다른 색상이 더 잘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잔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상이 원래의 감각과 같은 질의 밝기나 색상을 가질 때, 이를 양성 잔상이라 한다.
  2. 잔상이 원래의 감각과 반대의 밝기 또는 색상을 가질 때,이를 음성 잔상이라 한다.
  3. 물체색에 있어서의 잔상은 거의 원래색상과 보색관계에 있는 보색잔상으로 나타난다.
  4. 음성 잔상은 동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68%)
  • 음성 잔상은 동화 현상과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잔상은 원래의 감각과 반대의 밝기 또는 색상을 가질 때 음성 잔상이라고 한다. 양성 잔상은 원래의 감각과 같은 질의 밝기나 색상을 가진다. 물체색에 있어서의 잔상은 거의 원래색상과 보색관계에 있는 보색잔상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것으로 빛을 망막에 정확하게 깨끗하게 초점을 맺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모양체
  2. 홍채
  3. 수정체
  4. 각막
(정답률: 56%)
  • 렌즈는 빛을 굴절시켜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지만, 렌즈의 곡률이나 위치 등이 변하면 초점이 흐려지거나 정확하지 않아질 수 있습니다. 이때 수정체는 렌즈의 곡률을 조절하여 빛을 정확하게 망막에 집중시켜 깨끗한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수정체는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물리적 혼합이 아닌 눈의 망막에서 일어나는 착시적 혼합은?

  1. 가산혼합
  2. 감산혼합
  3. 중간혼합
  4. 디지털혼합
(정답률: 58%)
  • 눈의 망막에서 일어나는 착시적 혼합은 빛의 파장이나 강도가 아닌 뇌에서 처리되는 정보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므로 물리적 혼합이 아닌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산혼합은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을 섞어서 밝은 색을 만드는 것이고, 감산혼합은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색을 섞어서 어두운 색을 만드는 것입니다. 반면에 중간혼합은 빨강과 초록, 노랑과 파랑 등 서로 상반되는 색을 섞어서 새로운 색을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눈의 망막에서 일어나는 착시적 혼합은 중간혼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컬러 프린트에 사용되는 잉크 중 감법혼색의 원색이 아닌 것은?

  1. 검정
  2. 마젠타
  3. 시안
  4. 노랑
(정답률: 82%)
  • 검정은 감법혼색의 원색이 아니라 모든 색을 혼합한 결과물입니다. 따라서 검정은 감법혼색의 원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선물을 포장하려 할 때, 부피가 크게 보이려면 어떤 색의 포장지가 가장 적합한가?

  1. 고채도의 보라색
  2. 고명도의 청록색
  3. 고채도의 노란색
  4. 저채도의 빨간색
(정답률: 80%)
  • 고채도의 노란색은 시각적으로 가장 밝고 눈에 띄기 때문에 부피가 크게 보이도록 포장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노란색은 따뜻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에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기분 좋은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장파장 계열의 빛을 방출하여 레스토랑 인테리어에 활용하기 적당한 광원은?

  1. 백열등
  2. 나트륨 램프
  3. 형광등
  4. 태양광선
(정답률: 61%)
  • 백열등은 장파장 계열의 빛을 방출하며, 레스토랑 인테리어에 적합한 따뜻하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트륨 램프는 노란색 계열의 빛을 방출하며, 형광등은 차가운 톤의 빛을 방출하므로 레스토랑 인테리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태양광선은 자연광이지만, 인테리어에서는 제어가 어렵고 일관성이 없어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빛의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기파설 – 빛의 파동을 전하는 매질로서 에테르의 물질을 가상적으로 생각하는 학설이다.
  2. 파동설 – 영국의 물리학자 맥스웰이 제창한 학설이다.
  3. 입자설 – 빛은 원자차원에서 광자라는 입자의 성격을 가진 에너지의 알맹이이다.
  4. 광양자설 - 빛의 연속적으로 파동하고, 공간에 퍼지는 것이 아니라 광전자로서 불연속적으로 진행한다.
(정답률: 37%)
  • 광양자설은 빛이 파동이 아니라 입자인 광자로서 불연속적으로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양자역학에서 나온 개념으로, 빛이 전자기파와 입자 모두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빛은 파동이기도 하고 입자이기도 하며, 이를 파동입자 이론이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눗방울 등의 표면에 있는 색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은 빛의 어떤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간섭
  2. 반사
  3. 굴절
  4. 흡수
(정답률: 46%)
  • 간섭은 빛이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고 있을 때, 파장이 서로 만나면서 서로 상쇄되거나 강화되는 원리입니다. 비눗방울 등의 표면에 있는 색은 빛이 반사되면서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이 만나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간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떤 두 색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그 경계의 부분에서 강한 색채대비가 일어나는 현상은?

  1. 계시대비
  2. 보색대비
  3. 착시대비
  4. 연변대비
(정답률: 63%)
  • 두 색이 서로 가까이 있을 때, 그 경계 부분에서 강한 색채 대비가 일어나는 현상을 연변대비라고 합니다. 이는 두 색이 서로 다른 색조를 가지고 있어서 눈에 띄게 대비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이 서로 가까이 있으면 그 경계 부분에서 빨간색과 노란색이 강하게 대비되어 눈에 띄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망막상에서 상의 초점이 맺히는 부분은?

  1. 중심와
  2. 맹점
  3. 시신경
  4. 광수용기
(정답률: 53%)
  • 망막상에서 상의 초점이 맺히는 부분은 중심와이다. 이는 망막의 중심에 위치하며, 시신경이 없는 부분으로서 광수용기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따라서, 중심와는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빛이 밝아지면 명도대비가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시지각적 효과는?

  1. 애브니(Abney) 효과
  2. 베너리(Benery) 효과
  3. 스티븐스(Stevens) 효과
  4. 리프만(Liebmann) 효과
(정답률: 30%)
  • 스티븐스 효과는 빛의 밝기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시각적 지각도 증가한다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밝기가 증가하면 명도대비가 더욱 강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밝기와 명도대비를 동시에 고려하여 시각적 지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색의 속성 중 색의 온도감을 좌우하는 것은?

  1. Value
  2. Hue
  3. Chroma
  4. Saturation
(정답률: 61%)
  • 색의 온도감은 색의 색상이나 조색에서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는 색의 Hue와 관련이 있습니다. Value는 색의 밝기, Chroma는 색의 선명도, Saturation은 색의 채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므로, 이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둘러싸고 있는 색이 주위의 색에 닮아 보이는 것은?

  1. 색지각
  2. 매스효과
  3. 색각항상
  4. 동화효과
(정답률: 85%)
  • 동화효과는 주변의 색과 유사한 색으로 둘러싸인 색이 주변 색과 더 유사하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 뇌가 색을 인식할 때 주변 색과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심리적으로 가장 큰 흥분감을 유도하는 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파장의 영역에 속한다.
  2. 자외선의 영역에 속한다.
  3. 장파장의 영역에 속한다.
  4. 적외선의 영역에 속한다.
(정답률: 73%)
  • 심리적으로 가장 큰 흥분감을 유도하는 색은 빨간색입니다. 이는 인간의 뇌파를 자극하여 혈압과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강한 감정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빨간색은 장파장의 영역에 속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길어서 눈에 들어온 후 뇌파를 자극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간색은 더 오랜 시간 동안 뇌를 자극하여 강한 감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색료혼합의 보색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혼합하였을 때, 유채색이 되는 두 색
  2. 혼합하였을 때, 무채색이 되는 두 색
  3. 혼합하였을 때, 청(淸)색이 되는 두 색
  4. 혼합하였을 때, 명(明)색이 되는 두 색
(정답률: 85%)
  • 정답은 "혼합하였을 때, 무채색이 되는 두 색"입니다. 보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색으로, 두 보색을 혼합하면 무채색(회색)이 되는데, 이는 두 색의 파장이 상쇄되어 색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은 보색 관계에 있으며, 빨강과 초록을 혼합하면 회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색관계인 두 색을 인접시켰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본래의 색보다 강조되며 상승효과를 가져오는 특성은?

  1. 명도
  2. 채도
  3. 조도
  4. 미도
(정답률: 72%)
  • 보색관계인 두 색을 인접시키면 채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두 색이 서로 보완적인 색상이기 때문에 함께 사용하면 더욱 선명하고 강렬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채도는 색의 선명도나 진하게 나타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이므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보색관계인 두 색을 인접시키면 채도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면색(film color)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순수하게 색만 있는 느낌을 주는 색
  2. 어느 정도의 용적을 차지하는 투명체의 색
  3. 흡수한 빛을 모아 두었다가 천천히 가시광선 영역으로 나타나는 색
  4. 나비의 날개, 금속의 마찰면에서 보여지는 색
(정답률: 68%)
  • 면색은 순수하게 색만 있는 느낌을 주는 색입니다. 즉, 어느 정도의 용적을 차지하는 투명체의 색이나 흡수한 빛을 모아 두었다가 천천히 가시광선 영역으로 나타나는 색과는 다릅니다. 또한, 나비의 날개나 금속의 마찰면에서 보여지는 색과도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색상대비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빨강 위의 주황색은 노란색에 가까워 보인다.
  2. 색상대비가 일어나면 배경색의 유사색으로 보인다.
  3. 어두운 부분의 경계는 더 어둡게, 밝은 부분의 경계는 더 밝게 보인다.
  4. 검정색 위의 노랑은 명도가 더 높아 보인다.
(정답률: 35%)
  • "빨강 위의 주황색은 노란색에 가까워 보인다."는 색상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빨강과 주황색은 서로 대비가 크기 때문에 주황색이 노란색으로 보이게 된다. 색상대비가 일어나면 배경색의 유사색으로 보이는 것은 일반적인 경험적인 지식이지만, 어두운 부분의 경계는 더 어둡게, 밝은 부분의 경계는 더 밝게 보이는 것은 조명과 관련된 현상이다. 검정색 위의 노랑이 명도가 더 높아 보이는 것은 대비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견본을 보고 벽 도색을 위한 색채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대비현상과 결과는?

  1. 면적 대비 효과 – 면적이 커지면 명도와 채도가 견본 보다 낮아진다.
  2. 면적 대비 효과 – 면적이 커지면 명도와 채도가 견본 보다 높아진다.
  3. 채도 대비 효과 – 면적이 커져도 견본과 동일하다.
  4. 면적 대비 효과 – 면적이 커져도 견본과 동일하다.
(정답률: 68%)
  • 면적 대비 효과는 면적이 커질수록 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색상이 면적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벽 도색을 위한 색채를 선택할 때는 해당 공간의 크기와 조명 상태를 고려하여 면적 대비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면적이 큰 공간에 밝은 색상을 선택하면, 견본보다 더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색채체계의이해

81. 색의 속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용어들 중에서 '명암'과 관계된 용어로 옳은 것은?

  1. hue, value, chroma
  2. value, neutral, gray scale
  3. hue, value, gray scale
  4. value, neutral, chroma
(정답률: 67%)
  • 명암은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밝기와 어둡기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value'는 명암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neutral'은 색상이 없는 중립적인 색을 의미하며, 'gray scale'은 회색 계열의 색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들 용어는 모두 명암과 관련된 용어로,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NCS 색체계의 표기방법인 S4030-B20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40%의 하양색도
  2. 30%의 검정색도
  3. 20%의 초록을 함유한 파란색
  4. 20%의 파랑을 함유한 초록색
(정답률: 62%)
  • NCS 색체계의 표기방법인 S4030-B20G은 파란색 계열의 색상이며, 40%의 하양색도와 30%의 검정색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 색상은 20%의 초록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20%의 초록을 함유한 파란색"으로 표기됩니다. "20%의 파랑을 함유한 초록색"은 S2040-G20Y와 같은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색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활환경과 색명의 발달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같은 색이라도 문화에 따라 다른 색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3. 문화의 발달정도와 색명의 발달은 비례한다.
  4. 일정한 규칙을 정해 색을 표현하는 것은 관용색명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일정한 규칙을 정해 색을 표현하는 것은 관용색명이다."이다. 관용색명은 일정한 규칙 없이 특정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 이름을 말한다. 따라서 일정한 규칙을 정해 색을 표현하는 것은 관용색명이 아니라 일반적인 색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한국의 전통색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황색(芝黃色) : 종이의 백색
  2. 휴색(烋色) : 옻으로 물들인 색
  3. 감색(紺色) : 아주연한 붉은 색
  4. 치색(緇色) : 비둘기의 깃털 색
(정답률: 44%)
  • 휴색은 옻으로 물들인 색이라는 뜻입니다. 즉, 옻을 이용하여 물든 색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먼셀 색체계의 색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 Y, G, B, P의 기본색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중간색을 넣어 10개의 색상을 만들었다.
  2. 10색상의 사이를 각각 10등분하여 100색상을 만들었다.
  3. 각 색상은 1에서 10까지의 숫자를 붙였다.
  4. 색상의 기본색은 10이 된다.
(정답률: 50%)
  • "색상의 기본색은 10이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먼셀 색체계에서는 R, Y, G, B, P의 기본색을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중간색을 넣어 10개의 색상을 만들고, 각 색상을 1에서 10까지의 숫자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색상의 기본색은 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한국산업표준 KS A 0011의 유채색의 수식형용사와 대응 영어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선명한 – vivid
  2. 진한 – deep
  3. 탁한 – dull
  4. 연한 – light
(정답률: 67%)
  • KS A 0011에서 유채색의 수식형용사 "연한"은 "pale"과 대응되어야 합니다. "Light"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연한"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Vivid"는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며, "deep"는 진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Dull"은 색상이 탁한 것을 나타내며, "pale"은 연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먼셀 색체계는 H V/C로 표시한다. 다음 중 V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IE L*u*v*에서 L*로 표현될 수 있다.
  2. CIE L*c*h*에서 c*로 표현될 수 있다.
  3. CIE L*a*b*에서 a*b*로 표현될 수 있다.
  4. CIE Yxy에서 y로 표시될 수 있다.
(정답률: 59%)
  • "CIE L* u* v*에서 L*로 표현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V는 색도(saturation)를 나타내는 값으로, 색의 선명도를 의미한다. 먼셀 색체계에서는 색상(hue)을 나타내는 H와 색도를 나타내는 V를 이용하여 색을 표현한다. 하지만 CIE L* u* v* 색공간에서는 색도 대신에 밝기(L*)와 색의 녹색-적색(u*) 및 청색-노랑색(v*) 성분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한다. 따라서 V는 CIE L* u* v*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L*로 대체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회전 혼색 원판에 의한 혼색을 표현하며 모든 색을 B+W+C=100 이라는 혼합비를 통해 체계화한 색체계는?

  1. 먼셀 색체계
  2. 비렌 색체계
  3. 오스트발트 색체계
  4. PCCS 색체계
(정답률: 67%)
  • 회전 혼색 원판은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모든 색을 B+W+C=100 이라는 혼합비를 통해 체계화한 것이 오스트발트 색체계입니다. 이 체계는 색의 밝기와 채도를 분리하여 표현하며, 색의 조합에 따라서도 밝기와 채도가 변화합니다. 따라서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의 조합과 밝기, 채도를 모두 고려하여 정확한 색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색체계와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L*c*h* 색공간에서 색상각 90°에 해당 하는 색은?

  1. 빨강
  2. 노랑
  3. 초록
  4. 파랑
(정답률: 64%)
  • L*c*h* 색공간에서 색상각 90°는 노란색을 나타냅니다. 이는 L*c*h* 색공간에서 색상각이 90°에 해당하는 색이 노란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혼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을 임의로 설정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2. 수치로 표기되어 변색, 탈색 등 물리적 영향이 없다.
  3. CIE의 L*a*b*, CIE의 L*u*v*, CIE의 XYZ, Hunter Lab 등의 체계가 있다.
  4. 측색기 등의 측정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측색기 등의 측정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혼색계는 색상을 측정하기 위해 측색기 등의 측정기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이유는 혼색계가 측색기 등의 측정기계를 필요로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전달하려는 심리를 바탕으로 감성을 구분하는 기준이며, 단색 혹은 배색의 심리적 감성을 언어로 분류한 것은?

  1. 이미지 스케일
  2. 이미지 매핑
  3. 칼라 팔레트
  4. 세그먼트 맵
(정답률: 53%)
  • 정답: "칼라 팔레트"

    칼라 팔레트는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전달하려는 심리를 바탕으로 감성을 구분하는 기준이며, 단색 혹은 배색의 심리적 감성을 언어로 분류한 것입니다.

    이미지 스케일은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미지 매핑은 이미지에서 특정한 부분을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세그먼트 맵은 이미지에서 픽셀들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색에 대한 의사소통이 간편하도록 계통색이름을 표준화한 색체계는?

  1. Munsell System
  2. NCS
  3. ISCC-NIST
  4. CIE XYZ
(정답률: 50%)
  • ISCC-NIST는 색 이름을 표준화하여 색에 대한 의사소통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개발된 색체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색 공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ISCC-NIST는 색 이름을 통해 색을 구분하므로 색 공간에 대한 의존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ISCC-NIST는 색에 대한 일관성 있는 표현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문-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에서 조화의 배색이 아닌 것은?

  1. 동일조화
  2. 다색조화
  3. 유사조화
  4. 대비조화
(정답률: 78%)
  • 문-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에서 "다색조화"는 조화의 배색이 아닙니다. 이는 단색이 아닌 여러 색상을 함께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색조화"는 올바른 선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집중력을 요구하며, 밝고 쾌적한 연구실 공간을 위한 주조 색으로 가장 적합한 색은?

  1. 2.5YR 5/2
  2. 5B 8/1
  3. N5
  4. 7.5G 4/8
(정답률: 47%)
  • 집중력을 요구하는 연구실 공간에서는 밝고 쾌적한 분위기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밝고 활기찬 색상이 적합합니다. "5B 8/1"은 밝은 파란색으로, 쾌적하면서도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색상입니다. 다른 색상들은 너무 어두우거나 무채색이어서 연구실 공간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DIN 색체계의 표기방법은?

  1. S3010 – R90B
  2. 13 : 5 : 3
  3. 10ie
  4. 16 : gB
(정답률: 50%)
  • DIN 색체계의 표기방법은 "색상명 – 색상코드"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색상코드는 RGB 색상모델에서의 각 색상의 밝기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 세 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S3010 – R90B"는 색상명이 "S3010"이고, 색상코드는 빨강(R)이 90%, 파랑(B)이 10%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3 : 5 : 3"은 빨강(R)이 13%, 초록(G)이 5%, 파랑(B)이 3%인 색상을 나타내는 DIN 색체계의 색상코드이다. "10ie"와 "16 : gB"는 DIN 색체계의 표기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PCCS 색체계의 기본 색상 수는?

  1. 8색
  2. 12색
  3. 24색
  4. 36색
(정답률: 72%)
  • PCCS 색체계는 색상을 24개의 기본 색상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24색"입니다. 이 24개의 기본 색상은 다양한 색상을 조합하여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오스트발트 색체계의 색상환에서 기본색이 아닌 것은?

  1. Yellow
  2. Ultramarine Blue
  3. Green
  4. Purple
(정답률: 30%)
  • 오스트발트 색체계에서 기본색은 빨강, 노랑, 파랑입니다. 따라서 "Green"은 기본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ISCC-NIST 색명법에 있으나 KS 계통색명에 없는 수식형용사는?

  1. vivid
  2. pale
  3. deep
  4. brilliant
(정답률: 76%)
  • KS 계통색명법은 색의 질감, 채도, 명도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사용하며, ISCC-NIST 색명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색을 표현합니다. "Brilliant"는 KS 계통색명법에는 없는 수식형용사입니다. 이는 KS 계통색명법이 색의 질감, 채도, 명도 등을 중심으로 색을 표현하는 반면, ISCC-NIST 색명법은 색의 성질, 구성 등을 고려하여 색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밝은 베이지 블라우스와 어두운 브라운 바지를 입은 경우는 어떤 배색이라고 볼 수 있는가?

  1. 반대 색상 배색
  2. 톤 온 톤 배색
  3. 톤 인 톤 배색
  4. 세퍼레이션 배색
(정답률: 75%)
  • 정답: "톤 온 톤 배색"

    이유: 톤 온 톤 배색은 같은 색상 계열의 서로 다른 색조를 조합하여 만든 배색으로, 밝은 베이지와 어두운 브라운은 모두 베이지 계열의 색상이므로 톤 온 톤 배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색은 색상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일본 색채연구소가 1964년에 색채교육을 목적으로 개발한 색체계는?

  1. PCCS 색체계
  2. 먼셀 색체계
  3. CIE 색체계
  4. NCS 색체계
(정답률: 79%)
  • PCCS 색체계는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색상을 쉽게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을 16개의 기본색상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색채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