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식물보호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중간기주인배나무에서 향나무로 날아와 향나무 녹병을 발생시키는 포자는?

  1. 분생포자
  2. 동포자(겨울포자)
  3. 수포자(녹포자)
  4. 하포자(여름포자)
(정답률: 60%)
  • 중간기주인배나무에서 향나무로 날아와 향나무 녹병을 발생시키는 포자는 수포자(녹포자)입니다. 이는 수포자가 녹병균에 감염된 나무에서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수포자는 녹병균의 생장과 번식을 돕는 역할을 하며, 녹병균이 생산하는 동포자(겨울포자)와 함께 녹병의 전파를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수포자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인식되며, 농업 분야에서의 관리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식물 바이러스 병징 중 세포조직의 괴사로 나타나지 않는 증상은?

  1. 반점
  2. 둥근겹무늬
  3. 줄무늬
  4. 위축
(정답률: 71%)
  • 위축은 세포조직의 괴사가 아니라 세포 내부의 수분 부족으로 인해 식물 조직이 축소되는 증상이기 때문에, 다른 증상들과는 구분되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생물성과 비생물성 병원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성 병은 전염성이다.
  2. 세균은 생물성 병원체이다.
  3. 비생물성 병은 비전염성이다.
  4. 파이토플라스마는 비생물성 병원체이다.
(정답률: 75%)
  • "파이토플라스마는 비생물성 병원체이다."가 틀린 이유는 파이토플라스마가 생물성 병원체이기 때문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세포막과 세포질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분열을 통해 번식합니다. 따라서 생물성 병원체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 내에서 생존하는 부생성 선충에는 없으나 수목의 뿌리를 가해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에는 있는 특징적인 구조는?

  1. 근육
  2. 구침
  3. 식도관공
(정답률: 82%)
  • 구침은 식물기생성 선충의 특징적인 구조로, 수목의 뿌리를 가해하는 선충들이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토양 내에서 생존하는 부생성 선충에는 없는 특징입니다. 입, 근육, 식도관공은 모든 선충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구조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Bacteriophage란?

  1. 세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2. 식물에 기생하는 세균
  3.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4. 곰팡이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정답률: 80%)
  • Bacteriophage는 "bacteria"와 "phage"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로, 세균을 기생하는 바이러스를 의미합니다. 즉, 세균을 감염시켜서 번식하는 바이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과나무 겹무늬썩음병의 방제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토양 소독
  2. 저항성 품종 재배
  3. 약제의 주기적 살포
  4. 병든 과실이나 가지 제거
(정답률: 70%)
  • 정답은 "토양 소독"입니다. 이유는 사과나무 겹무늬썩음병은 주로 과실이나 가지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토양 소독은 효과가 미미합니다. 따라서 병든 과실이나 가지를 제거하고,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며, 약제를 주기적으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소나무 시들음병의 방제법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매개충 방제
  2. 중간기주 제거
  3. 감염목 제거 및 훈증
  4. 내병성 품종 육성
(정답률: 69%)
  • 중간기주 제거는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소나무 시들음병의 방제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이미 감염된 나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예방적인 방법으로, 이미 감염된 나무에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간기주 제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식물체에 암종(gall)을 형성하여, 유전공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식물병원 세균은?

  1. Xanthomonas campestris
  2. Clavibacter michiganensis
  3. Erwinia amylovora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률: 83%)
  • Agrobacterium tumefaciens은 식물체에 암종을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전자를 식물체에 전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Agrobacterium tumefaciens은 유전공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벼에 발생하는 세균병은?

  1. 도열병
  2. 키다리병
  3. 줄무늬 잎마름병
  4. 흰잎마름병
(정답률: 58%)
  • 흰잎마름병은 벼 잎의 엽록소를 파괴하는 세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세균병입니다. 이 세균은 잎의 표면에 있는 구멍을 통해 침입하여 잎의 엽록소를 파괴하고, 결국 잎이 흰색으로 변색하고 마르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수확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균류의 영양섭취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생
  2. 부생
  3. 공생
  4. 항생
(정답률: 84%)
  • 균류는 기생, 부생, 공생 등의 방법으로 영양을 섭취하지만, 항생은 영양을 섭취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른 균류나 세균을 죽이는 데 사용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과나무를 전정할 때 생긴 상처를 통하여 주로 침입 발병하는 대표적 병해는?

  1. 점무늬낙엽병
  2. 붉은별무늬병
  3. 부란병
  4. 흰가루병
(정답률: 78%)
  • 부란병은 사과나무를 전정할 때 생긴 상처를 통해 주로 침입하여 발병하는 병해입니다. 이 병은 상처 부위에서 균류가 침입하여 나무의 세포를 파괴하고, 나무의 생장을 저해시키며 열매의 품질을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사과나무를 전정할 때는 상처를 최소화하고, 상처 부위에는 살균제를 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병의 발병조건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5%)
  • 식물병의 발병조건은 "병원균, 수용체, 적절한 환경"이다. 따라서, ㉠에서는 병원균이 존재하고, ㉡에서는 해당 병원균이 감염될 수 있는 수용체가 존재하며, ㉢에서는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이 아닌 것은?

  1. 훈증
  2. 담수
  3. 태양열 소독
  4. 냉수온탕침법
(정답률: 65%)
  •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훈증, 담수, 태양열 소독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냉수온탕침법은 토양 병해를 방제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냉수온탕침법은 씨앗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씨앗을 냉수에 담가서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토양 병해 방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이러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은?

  1. 벼 잎집무늬마름병
  2. 보리 깜부기병
  3. 벼 흰잎마름병
  4. 벼 오갈병
(정답률: 54%)
  •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병은 "벼 오갈병"입니다. 이는 벼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벼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잎이 말리며 수확량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집무늬 모양의 잎의 변색, "보리 깜부기병"은 보리의 근부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 "벼 흰잎마름병"은 잎이 흰색으로 변하고 말리는 증상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병원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채소류 무름병
  2. 가지과 풋마름병
  3. 화곡류 녹병
  4. 사과나무 불마름병
(정답률: 62%)
  • 화곡류 녹병은 식물이 아닌 동물인 가축에게 영향을 주는 질병이기 때문에 나머지 셋과 다른 종류의 병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글루티노사 담배(Nicotiana glutinosa)에 TMV를 접종했을 때 가장 잘 나타나는 현상은?

  1. 잠복감염
  2. 국부병징
  3. 전신감염
  4. 병징은폐
(정답률: 78%)
  • 글루티노사 담배에 TMV를 접종하면 가장 잘 나타나는 현상은 국부병징입니다. 이는 TMV가 잎의 일부분에 감염되어 그 부분만 변색하고, 그 주위의 조직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신감염이나 잠복감염과는 달리 지역적으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에 발생하는 병으로써 병원균이 종자전염 하는 것은?

  1. 잎집무늬마름병
  2. 줄무늬잎마름병
  3. 키다리병
  4. 좀공균핵병
(정답률: 75%)
  • 키다리병은 벼에 발생하는 병으로, 병원균이 종자를 통해 전염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잎집무늬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좀공균핵병"은 종자를 통해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4~5월 강수일수와 강우량이 병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병해는?

  1. 고추 탄저병
  2. 벼 키다리병
  3. 벼 오갈병
  4.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정답률: 37%)
  • 4~5월은 대부분의 작물이 생장과 개화를 진행하는 시기이며, 이 때 강수일수와 강우량이 많으면 병균의 번식과 확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 중에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은 강우량이 많은 봄철에 발생하기 때문에 강수일수와 강우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병해 중 하나입니다. 이 병은 배의 잎과 열매에 붉은색 반점이 생기며, 심하면 열매가 부패하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등의 피해를 입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세포벽이 없어 다향성 세포이며, 액체배지에서는 나선형을 나타내나, 고체배지에서는 'fried egg'형태의 균총을 형성하며,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에는 감수성인 균은?

  1. phytoplasma
  2. spiroplasma
  3. ureaplasma
  4. mycoplasma
(정답률: 45%)
  • 세포벽이 없는 다양성 세포이며, 액체배지에서는 나선형을 나타내나, 고체배지에서는 'fried egg'형태의 균총을 형성하는 것은 미생물 중에서도 마이코플라즈마와 스피로플라스마에만 해당됩니다. 그 중에서도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에 감수성인 균은 스피로플라스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piroplasm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해 약독계통의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계통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1. 교차보호
  2. 식물방어
  3. 유도저항성
  4. 저항성 품종
(정답률: 64%)
  • 교차보호는 약독계통의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계통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이다. 이는 감염된 바이러스가 식물체 내부에서 복제하면서 생기는 바이러스 RNA의 일부분이 식물체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유도저항성을 발현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은 식물방어나 저항성 품종을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일반적인 곤충의 소화계에서 전장에 속하는 것은?

  1. 모이주머니
  2. 말피기관
  3. 위맹낭
(정답률: 63%)
  • 일반적인 곤충의 소화계에서 모이주머니는 전장에 속합니다. 이는 모이주머니가 식물성 섬유질과 같은 어려운 소화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세균과 같은 미생물을 포함한 소화액을 생성하고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이후 모이주머니에서 소화된 물질은 식도를 통해 위로 이동하여 소화가 완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온실 내에서 재배되는 토마토의 화분매개곤충으로 화분매개 능력이 가장 뛰어난 것은?

  1. 서양뒤영벌
  2. 꿀벌
  3. 꽃등에
  4. 머리뿔가위벌
(정답률: 55%)
  • 서양뒤영벌은 토마토 등의 식물에서 꽃가루를 수집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벌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토마토 등의 작물에서 꽃과 열매의 수확량을 높일 수 있어서, 화분매개 능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에 꿀벌, 꽃등에, 머리뿔가위벌 등은 토마토 등의 작물에서 꽃가루를 수집하는 능력이 서양뒤영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화분매개 능력이 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줄무늬 잎마름병을 매개하는 애멸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독은 흡즙으로 하게 된다.
  2. 보독충의 알에도 바이러스 병원균이 있을 수 있다.
  3. 제 2화기 애멸구 성충이 묘판이나 본답으로 이동하여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한다.
  4. 바이러스는 애멸구 체내에서는 증식이 안 된다.
(정답률: 74%)
  • "바이러스는 애멸구 체내에서는 증식이 안 된다."가 틀린 것이다. 바이러스는 애멸구 체내에서도 증식이 가능하며, 줄무늬 잎마름병의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밤바구미
  2. 복숭아명나방
  3. 이화명나방
  4. 도토리거위벌레
(정답률: 67%)
  •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도토리거위벌레"이지만, "이화명나방"은 종실을 가해하지 않는 해충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국흰불나방의 학명으로 옳은 것은?

  1. Monema flavescens Walker
  2. Hyphantria cunea Drury
  3. Adrias tyrannus Guenee
  4. Pygaera anachoreta Fabricius
(정답률: 70%)
  • 미국흰불나방의 학명은 "Hyphantria cunea Drury"이다. 이는 이 나방의 종을 명시하는 국제적인 공식적인 이름으로, 이 학명은 이 나방의 생물학적 특성과 분류학적 위치를 나타낸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나방 종의 학명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성충 단계가 있고, 유충은 기관아가미로 호흡하는 곤충류는?

  1. 모기
  2. 파리
  3. 총채벌레
  4. 하루살이
(정답률: 61%)
  • 아성충 단계가 있는 곤충 중에서 유충이 기관아가미로 호흡하는 것은 "하루살이"입니다. 이는 하루살이가 성장하는 동안 기관아가미를 사용하여 호흡하다가 어른이 되면 기관아가미를 사용하지 않고 기관편으로 호흡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연 생태계와 비교하여 논 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태적 연속성이 없다.
  2. 생물의 종이 다양하다.
  3. 병충해의 대발생이 잦다.
  4. 영양소와 물이 인위적으로 공급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생태적 연속성이 없다."이다.

    논 생태계는 인위적으로 조작된 환경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자연 생태계와는 다르게 생태적 연속성이 부족하다. 또한 영양소와 물이 인위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생물의 생장과 번식에 있어서 자율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병충해의 대발생이 잦아진다.

    하지만 논 생태계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작된 환경에서도 다양한 생물의 종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벌과 같은 벌목 동물이 꽃가루를 수집하거나 벌집을 만들어 번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논에서는 물고기, 개구리, 새 등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과나무의 뿌리를 가해할 수 있는 종은?

  1. 포도뿌리혹벌레
  2. 사과혹진딧물
  3. 사과면충
  4. 조팝나무진딧물
(정답률: 52%)
  • 사과면충은 사과나무의 잎과 열매를 해충으로 공격하는 동시에 뿌리도 침해할 수 있는 해충입니다. 따라서 사과나무의 뿌리를 가해할 수 있는 종은 사과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신경호르몬 중에서 침분비, 배설촉진, 체벽의 신축성 등에 관여하는 것은?

  1. 프로톡린
  2. 멜라토닌
  3. 류코키닌
  4. 세로토닌
(정답률: 60%)
  • 세로토닌은 신경호르몬 중에서 침분비, 배설촉진, 체벽의 신축성 등에 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호르몬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광식성(polyphagous)의 해충은?

  1. 솔잎혹파리
  2. 벼멸구
  3. 사과혹진딧물
  4. 미국흰불나방
(정답률: 66%)
  • 광식성(polyphagous)의 해충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먹는 해충을 말한다. 이 중 "미국흰불나방"은 다양한 종류의 나무와 작물을 먹기 때문에 광식성 해충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기관으로 맛감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윗입술
  2. 작은턱수염
  3. 아랫입술수엽
  4. 큰턱
(정답률: 77%)
  • 큰턱은 주로 먹이를 잡거나 방어하기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맛감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윗입술과 아랫입술수엽은 먹이를 감지하고 작은턱수염은 먹이를 분해하는 데에 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곤충의 전형적인 더듬이의 주요부분 중 존스턴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자루마디
  2. 팔굽마디
  3. 채찍마디
  4. 관절점
(정답률: 63%)
  • 곤충의 더듬이는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세그먼트는 관절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관절은 존스턴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 기관은 세그먼트 간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존스턴기관은 곤충의 더듬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이 기관이 가장 많이 발달한 부분은 팔굽마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는 곤충은?

  1. 무당벌레
  2. 각시물자라
  3. 뽕나무하늘소
  4. 넓적사슴벌레
(정답률: 70%)
  • 딱정벌레목은 대개 나무를 먹는 벌레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각시물자라는 물고기를 먹는 벌레로, 나무를 먹지 않기 때문에 딱정벌레목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5~6월경 각종 묘목과 작물의 뿌리를 가해하고, 또한 지표 가까이 있는 줄기와 잎을 식해하는 특성을 지닌 해충은?

  1. 혹명나방
  2. 거세미나방
  3. 흰띠명나방
  4. 갓노랑비단벌레
(정답률: 67%)
  • 해충의 특성 중 뿌리를 가해하고 지표 가까이 있는 줄기와 잎을 식해하는 것은 거세미나방의 특징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니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충 방제법 중 수간주사법이 개발된 산림해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솔껍질깍지벌레, 솔수염하늘소
  2. 미국흰불나방, 소나무좀
  3. 솔잎혹파리, 밤나무혹벌
  4.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정답률: 48%)
  • 수간주사법은 해충의 몸 속에 약물을 주사하여 해충을 죽이는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솔잎혹파리와 솔껍질깍지벌레는 수간주사법으로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솔잎혹파리는 솔나무의 잎을 먹어서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고, 솔껍질깍지벌레는 솔나무의 껍질을 깎아서 나무를 죽이는 해충입니다. 이 두 해충은 산림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해충으로, 수간주사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나비목 곤충의 중장세포를 공격하는 약제는?

  1. Bt제
  2. DDT계 약제
  3. 유기인계 약제
  4. 피레스로이드 약제
(정답률: 67%)
  • Bt제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에서 추출한 세균성 약제로, 나비목 곤충의 소화관에서 작용하여 중장세포를 파괴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나비목 곤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약제입니다. DDT계 약제, 유기인계 약제, 피레스로이드 약제는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며, 나비목 곤충의 중장세포를 공격하는데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 넣어 즙액을 빨아먹는 곤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진딧물
  2. 노린재
  3. 집파리
  4. 멸구류
(정답률: 67%)
  •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 넣어 즙액을 빨아먹는 곤충을 말하는 것으로, 집파리는 이에 속하지 않습니다. 집파리는 유기물이나 동물의 분비물 등을 먹는 잡식성 곤충으로, 주로 사람 주변에서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몸은 머리, 가슴, 다리의 세 부위로 구성된다.
  2. 무시류를 제외하고 두 쌍의 날개가 존재하나, 파리목은 뒷날개가 퇴화되어 있다.
  3. 성충의 다리는 세 쌍이다.
  4. 체벽에 키틴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정답률: 65%)
  • 정답은 "성충의 다리는 세 쌍이다." 이다.

    곤충은 머리, 가슴, 복부로 구성된 세 부위로 나뉘어져 있으며, 무시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곤충의 체벽은 키틴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여치의 청각기관은 어디에 있는가?

  1. 앞다리
  2. 앞가슴
  3. 촉각
  4. 복부
(정답률: 70%)
  • 여치의 청각기관은 앞다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여치가 지면을 향해 움직이면서 소리를 감지하고 인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곤충의 청각 감각기가 아닌 것은?

  1. 종상감각기
  2. 존스톤기관
  3. 고막기관
  4. 협하기관
(정답률: 59%)
  • 종상감각기는 식물의 감각기로, 곤충의 청각 감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상감각기"입니다. 반면, 존스톤기관, 고막기관, 협하기관은 모두 곤충의 청각 감각기로, 소리를 감지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맥류의 동상해 대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배수
  2. 늦심기
  3. 칼륨비료증시
  4. 밟기
(정답률: 63%)
  • 맥류의 동상해 대책은 농작물의 생육을 돕기 위한 것으로, 배수를 개선하고 칼륨비료를 사용하며 밟기를 방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늦심기는 농작물의 시기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맥류의 동상해 대책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벼 뿌리조직에서 파생통기조직이 형성되는 곳은?

  1. 피층
  2. 외피층
  3. 내피층
  4. 중심주
(정답률: 42%)
  • 벼 뿌리조직에서 파생통기조직은 피층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피층이 식물의 외부와 가장 가까운 층이며, 뿌리에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생통기조직이 형성되는 곳은 피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하경을 종묘로 이용하는 작물은?

  1. 토란
  2. 마늘
  3. 생강
  4. 감자
(정답률: 57%)
  • 생강은 지하경에서 잘 자라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지하경은 뿌리를 키우는데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에 생강의 뿌리를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생강은 종묘에서 지하경을 이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나팔꽃 대목에 고구마 순을 접목하여 개화를 유도하는 이론적 근거는?

  1. 접목효과
  2. G-D균형
  3. T/R율
  4. C/N율
(정답률: 53%)
  • 나팔꽃과 고구마는 서로 다른 영양 요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팔꽃 대목에 고구마 순을 접목하면 고구마 순에서 나오는 질소를 나팔꽃이 이용하여 생장하게 되어 개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이론적 근거는 C/N율입니다. C/N율은 탄소와 질소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고구마 순은 질소가 많고 탄소가 적은 반면, 나팔꽃 대목은 탄소가 많고 질소가 적습니다. 따라서 고구마 순을 접목하면 C/N율이 조절되어 나팔꽃이 질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개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양내 질소 함량을 증진 할 수 있는 작물로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 클로버, 자운영, 앨팰퍼
  2. 자운영, 헤어리베치, 크림슨클로버
  3. 클로버, 호밀, 유채
  4. 클로버, 헤어리베치, 동부
(정답률: 58%)
  • 클로버, 호밀, 유채는 질소 고정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토양내 질소 함량을 증진 할 수 있는 작물로 짝지어지지 않은 것입니다. 클로버는 뿌리 끝에 질소 고정 균을 가지고 있어서 토양으로부터 질소를 고정할 수 있고, 호밀과 유채는 뿌리에 질소 고정 균을 가지고 있어서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병해충을 잘 방제한다.
  2. 질소와 규소의 시용을 늘린다.
  3. 내도복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4. 절간신장을 억제하는 생장조절제를 이용한다.
(정답률: 70%)
  • 벼의 도복은 벼의 잎사귀가 너무 많아져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벼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제한하여 잎사귀의 성장을 억제해야 합니다. 이때, 질소와 규소의 시용을 늘리면 벼가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도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소와 규소의 시용을 늘린다."가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벼 재배에서 냉온을 만나 출수가 가장 지연되는 생육단계는?

  1. 유수형성기
  2.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
  3. 출수기
  4. 유속기
(정답률: 60%)
  • 벼 재배에서 냉온을 만나 출수가 가장 지연되는 생육단계는 "유수형성기"입니다. 이는 유수형성기가 벼의 생육단계 중 가장 민감한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유수형성기는 벼가 생장하면서 뿌리와 줄기 사이에 형성되는 중요한 조직으로, 이곳에서 물과 영양분이 전달되고 식물체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수형성기에서 출수가 지연되면 벼의 생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노포크식 윤작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포장을 3등분하여 경지의 2/3는 춘파곡물이나 추파곡물을 재식하고 나머지 1/3은 휴한하는 방법이다.
  2. 포장을 3등분하여 2/3는 곡물을 재배하고 나머지 지역에는 콩과 녹비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3. 식량과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면서 지력을 유지하고 중경효과까지 얻기 위하여 적합한 작물을 조합하는 방법이다.
  4. 미국의 옥수수지대에서 실시하는 윤작방식으로 옥수수, 콩, 귀리, 클로버를 조합하여 경작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2%)
  • 식량과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면서 지력을 유지하고 중경효과까지 얻기 위하여 적합한 작물을 조합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하부의 낡은 잎을 따서 통풍과 투광을 조장하는 적엽摘葉의 효과가 가장 큰 작물은?

  1. 담배
  2. 옥수수
  3. 토마토
  4. 포도나무
(정답률: 55%)
  • 토마토는 적엽을 따서 통풍과 투광을 조장하는 것이 작물의 성장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토마토는 열매가 크고 무거워서 줄기가 부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엽을 따서 줄기를 강화하고 열매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질산환원효소의 구성성분이며, 질소대사에 작용하고, 콩과작물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1. 몰리브덴
  2. 아연
  3. 마그네슘
  4. 망간
(정답률: 70%)
  • 몰리브덴은 질산환원효소의 구성성분 중 하나로, 이 효소는 질소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콩과 같은 작물의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무기성분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몰리브덴"입니다. 아연, 마그네슘, 망간은 질소대사나 질소고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양이 최대용수량일 때의 pF(potential force)는?

  1. 0
  2. 2.7
  3. 3.9
  4. 4.2
(정답률: 53%)
  • 토양의 최대용수량일 때는 모든 공간이 물로 채워져 있으므로 물의 움직임이 없어서 pF 값이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물별 안전저장 조건으로 가장 높은 온도가 요구되는 것은?

  1. 감자
  2. 사과
  3. 양파
(정답률: 58%)
  • 쌀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안전저장을 위해 낮은 습도와 높은 온도가 요구됩니다. 따라서 쌀이 가장 높은 온도가 요구되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물 수량을 구성하는 3요소인 환경조건, 재배기술, 유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전성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환경조건과 재배기술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2. 수량은 작물의 고유한 특성이므로 재배기술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3. 신품종 개발로 재배기술을 완전하게 극복 할 수 있다.
  4. 환경조건은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정답률: 68%)
  • 정답은 "환경조건은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입니다. 환경조건은 기온, 습도, 조도, 토양 등과 같이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한 요소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물의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경조건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세포의 부피와 압력퍼텐셜이 변화함에 따라 삼투퍼텐셜과 수분퍼텐셜이 변화한다.
  2. 압력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세포의 수분퍼텐셜이 0이 된다.
  3. 수분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다.
  4. 수분퍼텐셜은 대기에서 가장 높고, 토양에서 가장 낮다.
(정답률: 70%)
  • "수분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수분퍼텐셜은 물 분자가 있는 곳에서 물 분자가 없는 곳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수분퍼텐셜은 높을수록 물 분자가 많은 곳에 위치하고, 낮을수록 물 분자가 적은 곳에 위치합니다. 대기에서는 수증기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분퍼텐셜이 가장 높고, 토양에서는 물이 많이 흡수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퍼텐셜이 가장 낮습니다.

    압력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은 세포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와 용질 농도 차이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압력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세포 내부와 외부의 용질 농도와 압력이 균형을 이루고, 이때 세포 내부의 수분퍼텐셜이 0이 됩니다. 이러한 상황을 등측점이라고 합니다.

    수분퍼텐셜과 삼투퍼텐셜이 같으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원형질 분리는 세포 내부와 외부의 용질 농도 차이가 크게 벌어졌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분퍼텐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벼 재배에서 분얼 촉진을 위한 비료 양분은?

  1. 질소와 철
  2. 질소와 칼슘
  3. 질소와 인산
  4. 질소와 아연
(정답률: 65%)
  • 벼는 생장과 수확량에 질소와 인산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요소이며, 인산은 근간부터 열매까지 모든 부분의 생장과 성장에 필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벼 재배에서 분얼 촉진을 위한 비료 양분은 질소와 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학적ㆍ생리적 염기성 비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요소
  2. 유안
  3. 용성인비
  4. 칼륨
(정답률: 72%)
  • 용성인비는 화학적ㆍ생리적 염기성 비료에 해당한다. 이는 비료의 pH가 약산성이거나 중성인 경우보다 높은 염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염기성 비료는 토양의 pH를 높여주어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용성인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3식물과 C4식물의 광합성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잘 발달하였다.
  2. C4식물은 크란츠(kranz)구조가 잘 발달하였다.
  3. C3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발달하지 않거나 있어도 엽록체가 적고,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에 다수의 엽록체가 있다.
  4. C3식물은 엽육세포에서 합성한 유기산이 유관속초세포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분해되고 재고정되어 자당이나 전분으로 합성된다.
(정답률: 64%)
  • 정답은 "C3식물은 엽육세포에서 합성한 유기산이 유관속초세포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분해되고 재고정되어 자당이나 전분으로 합성된다."가 아닌 "C3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발달하지 않거나 있어도 엽록체가 적고,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에 다수의 엽록체가 있다."입니다.

    C3식물은 엽육세포에서 합성한 유기산이 유관속초세포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분해되고 재고정되어 자당이나 전분으로 합성됩니다. 이는 오히려 맞는 설명입니다.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잘 발달하고, 크란츠(kranz)구조가 잘 발달합니다. 이는 C3식물과의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굴광현상에 유효한 광의 범위는?

  1. 100~200nm
  2. 200~300nm
  3. 300~400nm
  4. 400~500nm
(정답률: 46%)
  • 굴광현상은 자외선 영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광의 파장이 짧은 자외선 영역보다는 광의 파장이 긴 파란색 영역인 400~500nm 범위에서 유효하다. 따라서 정답은 "400~500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습해에 가장 강한 작물은?

  1. 감자
  2. 양파
  3. 보리
  4. 옥수수
(정답률: 63%)
  • 옥수수는 높은 습도와 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로,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뿌리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해에 가장 강한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구가, 감자 등 수분함량이 높은 작물의 저장시 큐어링을 실시하는 1차 목적은?

  1. 성분함량 증대
  2. 상처치유
  3. 저장력 증대
  4. 충해방지
(정답률: 74%)
  • 상처치유는 고구나 감자 등 수분함량이 높은 작물이 저장 중에 상처를 입을 경우, 그 상처를 치유시켜 더 오랜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농약의 생물학적시험은 약제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이다. 어느 순서대로 시험하는 것이 가장 정상적인 방법인가?

  1. 소규모실내시험 - 포장시험 - pot시험 - 효력판정
  2. 포장시험 - 소규모실내시험 -pot시험 - 효력판정
  3. 소규모실내시험 - pot시험 - 포장시험 - 효력판정
  4. pot시험 - 포장시험 - 소규모실내시험 - 효력판정
(정답률: 64%)
  • 가장 정상적인 방법은 "소규모실내시험 - pot시험 - 포장시험 - 효력판정" 순서이다. 이유는 농약의 생물학적 특성을 먼저 조사하기 위해 소규모실내시험을 실시하고, 이후에 pot시험을 통해 농약의 토양 내 흡수 및 이동성을 조사한다. 그 다음으로 포장시험을 통해 농약의 안정성과 포장재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마지막으로 효력판정을 통해 농약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한다. 이러한 순서로 시험을 실시하면 농약의 생물학적 특성부터 안전성, 효과 등 모든 측면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농약의 독성표시 방법으로 동물 50%가 치사하는 약량을 나타낸 것은?

  1. LC50
  2. I50
  3. KD50
  4. LD50
(정답률: 77%)
  • LD50은 농약의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동물 50%가 치사하는 약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LC50은 농약이나 화학물질이 물 속에서 생물에게 치명적인 농도가 되는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I50은 약물의 효과를 50% 감소시키는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KD50은 생물의 반응을 50% 감소시키는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국내 사용되었던 농약 중 농약잔류성 문제로 폐지된 농약이 아닌 것은?

  1. 디디티(DDT)
  2. 엔드린(Endrin)
  3. 알드린(Aldrin)
  4. 카보퓨란(Carbofuran)
(정답률: 60%)
  • 카보퓨란은 국내에서는 농작물의 해충 및 살균제로 사용되었으며, 농약잔류성 문제로 폐지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보퓨란입니다. 반면, 디디티, 엔드린, 알드린은 농약잔류성 문제로 인해 국내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2% 다이아지논 분제 1kg을 2% 다이아지논 분제로 만들려면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1. 5kg
  2. 10kg
  3. 15kg
  4. 20kg
(정답률: 62%)
  • 다이아지논 분자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1kg의 12% 다이아지논 분자는 0.12kg이다. 이것을 2% 다이아지논 분자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이아지논 분자의 양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체 용액의 양을 늘려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비례식을 세울 수 있다.

    0.12kg / 1kg = x / 2%

    이를 풀면, x = 0.0024kg = 2.4g 이다. 따라서, 2% 다이아지논 분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2.4g의 증량제가 필요하다.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0.0024kg 이므로, 약 0.0024kg의 증량제가 필요하다. 이를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면 5k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체검사 및 신청검사시 입제에 대한 최대모집단 수량은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

  1. 1톤
  2. 10톤
  3. 50톤
  4. 100톤
(정답률: 69%)
  • 입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며, 최대모집단 수량은 입제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톤"인 이유는 입제의 최대 용량이 50톤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R ㆍAs ㆍX2는 유기비소 살균제의 일반식이다. X가 CI일 때 R가 다음 중 어느 기(基)일 경우 살균력이 가장 강한가?

  1. -CH3
  2. -C2H5
  3. -C3H7
  4. -C4H9
(정답률: 57%)
  • X가 CI일 때 R이 -CH3일 경우 살균력이 가장 강하다. 이는 R이 크기가 작을수록 살균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CH3는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지며, 따라서 분자 내에서 가장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가지므로 살균력이 가장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농약관리법상 유제, 액제의 농약제조업 등록을 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시설이 아닌 것은?

  1. 원제처리장치
  2. 반죽시설
  3. 제품혼합조
  4. 저장조
(정답률: 72%)
  • 농약제조업에서 반죽시설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죽시설은 주로 제빵, 제과 등의 식품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시설로, 농약제조에는 필요하지 않은 시설입니다. 따라서 농약관리법상 유제, 액제의 농약제조업 등록을 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시설에서는 반죽시설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한 번도 사용한 적은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

  1. 단일저항성
  2. 교차저항성
  3. 복합저항성
  4. 환경저항성
(정답률: 71%)
  • 교차저항성은 어떤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다른 작용기구를 가진 살충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해충이 유전적으로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며, 이러한 저항성은 살충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차저항성은 살충제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훈증제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유효성분과 발열제를 종이에 흡착시키거나 깡통에 넣은 것이다.
  2. 비등점이 낮은 농약을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 내에 충전한 것이다.
  3. 유효성분을 용제 분사제 등과 bombe 에 충전시킨 것으로 압력을 가하여 공기 중에 분출시켜서 사용한다.
  4. 가연성 재질에 유효성분을 혼합성형하고,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유효성분을 공기 중에 휘산시킨다.
(정답률: 57%)
  • 훈증제는 비등점이 낮은 농약을 액상, 고상 또는 압축가스의 형태로 용기 내에 충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농약의 보조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전착제
  2. 용제
  3. 주제
  4. 협력제
(정답률: 79%)
  • 농약의 주요 성분은 주제이기 때문에, 보조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주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해독제 이용
  2. 저농도 약액 살포
  3. 농약의 안전사용 기준 준수
  4. 표류비산을 막기 위한 제제의 개선
(정답률: 64%)
  • 저농도 약액 살포는 농약을 적게 뿌리는 것으로,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농약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농약의 약해방지를 위한 대책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해충의 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활성을 저해시키는 약제는?

  1. 다이아지논유제
  2. 사이헥사틴수화제
  3. 네오아소진액제
  4. 디코폴수화제
(정답률: 54%)
  • 해충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콜린에스테라아제 효소를 저해시켜 해충의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약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다이아지논유제는 콜린에스테라아제를 효과적으로 저해시켜 해충을 퇴치하는데 사용됩니다. 다이아지논유제는 해충의 신경전달을 방해하여 근육을 마비시키고, 마침내 해충의 사망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유제 투입원료 중 계면활성 작용을 하는 화합물은?

  1. 0.0-diethyl 0-(p-nitrophenyl)phosphate
  2. xylene
  3. polyoxyethylene
  4. epichlorohydrin
(정답률: 54%)
  • polyoxyethylene은 계면활성 작용을 하는 화합물로, 분자 내에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가 반복되어 있어 수분과 잘 혼합되며, 표면장력을 낮추어 물과 다른 물질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로 인해 유제 제조 과정에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리 겉깜부기병의 종자소독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 지네브(zineb)
  2. MAFA(neozin)
  3. 캡탄(captan)
  4. 카아복신(carboxin)
(정답률: 43%)
  • 카아복신은 보리 겉깜부기병의 원인균인 Fusarium spp.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약제입니다. Fusarium spp.은 겉깜부기병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카아복신은 이 균에 대한 높은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보리 겉깜부기병의 종자소독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농약의 검사기준에 의거 판정하는 항목으로 틀린 것은?

  1. 동물학적검사
  2. 유해성분검사
  3. 역가검사
  4. 농약의 이화학적검사
(정답률: 51%)
  • 농약의 검사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항목 중 "동물학적검사"는 틀린 항목입니다. 이는 농약의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항목이 아니며, 동물 실험을 통해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약의 검사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항목은 "유해성분검사", "역가검사", "농약의 이화학적검사"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신경화학전달물진인 ACh를 분해하는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작용을 저해하여 곤충을 죽게 하는 농약이 아닌 것은?

  1. Dichlorvos
  2. Diazinon
  3. Fenitrothion
  4. Difenoconazole
(정답률: 43%)
  • Difenoconazole은 곤충을 죽이는 농약이지만, ACh를 분해하는 효소인 AChE의 활성작용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AChE를 통해 신경화학전달물질인 ACh를 분해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AChE를 저해하여 곤충을 죽이는 Dichlorvos, Diazinon, Fenitrothion과는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초제를 등록 시험 시 약해 평가 등급을 0~9까지로 표시 하는데 약해가 0 일 때의 약해 정도는?

  1. 약해가 없을 때
  2. 약해가 시작될 때
  3. 약해가 의심될 때
  4. 약해가 극심할 때
(정답률: 73%)
  • 약해 평가 등급은 제초제의 효능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데, 약해가 없을 때는 제초제가 목표물에 대해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약해 평가 등급은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분제의 물리적 성질인 토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제를 살포하였을 때 광범위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흩어지는 성질을 말한다.
  2.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풍압에 의하여 목적하는 장소까지 날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3.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가는 성질을 말한다.
  4. 분제농약의 저장시 주성분의 분해 및 응집 등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58%)
  • 토분성은 분제의 입자가 토양 내부로 잘 미끄러져가는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살분시 분제의 입자가 살분기의 분출구로 잘 미끄러져가는 성질을 말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작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살충작용이 선택적이다.
  2.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하다.
  3. 적용범위가 넓고 약해가 적다.
  4. 식물체에 대한 침투력이 있다.
(정답률: 67%)
  •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다양한 곤충에 대해 살충작용을 가지며, 선택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아니며, 다른 곤충에 대한 독성도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약 제품포장지의 표기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효성분 및 성분량
  2. 농약안전사용기준
  3. 사용방법
  4. 제조공정내용
(정답률: 79%)
  • 제조공정내용은 농약 제품의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유효성분 및 성분량은 제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정보이며, 농약안전사용기준과 사용방법은 제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벼와 피의 주된 형태적 차이점은?

  1. 피에만 엽이가 있다.
  2. 벼에만 잎몸이 없다.
  3. 벼에만 잎혀가 있다.
  4. 벼와 피에는 잎집이 없다.
(정답률: 78%)
  • 벼는 잎이 수직으로 서 있고, 피는 잎이 수평으로 펴져 있기 때문에 벼에만 잎혀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잎의 형태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벼와 피의 주된 형태적 차이점은 잎의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10% 유효성분을 가진 제초제를 300g(a.i.)/ha 처리시 100m2에 필요한 제품량은?

  1. 3g
  2. 30g
  3. 300g
  4. 3000g
(정답률: 45%)
  • 10% 유효성분을 가진 제초제를 300g(a.i.)/ha 처리한다는 것은 1ha(10,000m2)당 300g의 유효성분이 들어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100m2에 필요한 유효성분의 양은 300g(a.i.)/ha x (100m2/10,000m2) = 3g(a.i.)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제품량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유효성분의 양을 제품의 총 중량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유효성분의 비율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10% 유효성분을 가진 제초제에서 3g(a.i.)의 유효성분을 얻으려면, 총 중량은 3g(a.i.) / 0.1 = 30g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월년생(동계1년생) 밭잡초가 아닌 것은?

  1. 냉이
  2. 별꽃
  3. 명아주
  4. 벼룩나물
(정답률: 69%)
  • 월년생(동계1년생)은 겨울에 자라는 식물을 말합니다. "냉이", "별꽃", "벼룩나물"은 모두 겨울에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밭잡초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아주"는 봄에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밭잡초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아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환경친화형 제초제의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토양의 하부 이동이 낮고 지하수 오염이 적어야 한다.
  2. 제초효과를 나타낸 이후 활성성분의 분해가 빨라야 한다.
  3. 잡초를 방제하되 다른 생물(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이 적어야 한다.
  4. 인축독성이 높더라도 천연에서 생산되는 것이라면 적합하다.
(정답률: 76%)
  • 인축독성이 높더라도 천연에서 생산되는 것이라면 적합하다는 것은 환경친화적인 측면보다는 생산과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이점을 우선시한 것이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제초제의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인축독성이 높은 화학물질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제초제는 인축독성이 낮은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우리나라 논에서 많이 발생하는 화본과 잡초는?

  1. 강아지풀
  2. 메귀리
  3. 강피
(정답률: 73%)
  • 강피는 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화본과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강피가 물에 잠기면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강피는 논에서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작물과 잡초가 경합하였을 경우 이론상 작물의 수량에 가장 영향이 큰 경합조건은?

  1. C4잡초와 C3작물
  2. C3잡초와 C4작물
  3. C3잡초와 C3작물
  4. C4잡초와 C4작물
(정답률: 73%)
  • C4 잡초와 C3 작물이 가장 영향이 큰 경합조건이다. 이는 C4 잡초가 C3 작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기 때문에 더 빠르게 생장하고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4 잡초와 C3 작물이 경쟁할 경우 C4 잡초가 작물의 자원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되어 작물의 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쌍자엽 잡초와 단자엽 잡초간 차이로 옳은 것은?

  1. 쌍자엽은 엽맥이 평행맥이고 단자엽은 망상맥이다.
  2. 쌍자엽은 생장점이 식물체 위쪽에 위치하고 단자엽은 하단에 위치한다.
  3. 쌍자엽은 배유가 있으나 단자엽은 배유가 없다.
  4. 화본과잡초는 쌍자엽 식물에 속하고 광엽잡초는 단자엽 식물에 속한다.
(정답률: 66%)
  • 쌍자엽과 단자엽의 가장 큰 차이는 생장점의 위치입니다. 쌍자엽은 생장점이 식물체 위쪽에 위치하고, 단자엽은 하단에 위치합니다. 이것은 쌍자엽과 단자엽의 잎의 생김새와 구조, 그리고 생장 방식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상호대립억제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식물체 분비물질에 의한 상호작용
  2. 식물체간의 빛에 대한 경합작용
  3. 식물체 상호간의 생육에 대한 상가작용
  4. 영양소에 대한 식물체 상호간의 경합작용
(정답률: 61%)
  • 식물체 분비물질에 의한 상호작용은 식물체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다른 식물체의 생장이 억제되는 상호작용을 말합니다. 이는 경쟁하는 식물체들이 서로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려는 경쟁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상호대립억제작용의 한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제초방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생태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률: 77%)
  • 이 방법은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생물을 사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킵니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생태계에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생물적 방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관여되는 주된 인자는?

  1. 빛, 이산화탄소, 산소
  2. 산소, 영양소, 이산화탄소
  3. 이산화탄소, 토양, 수분
  4. 영양소, 빛, 수분
(정답률: 77%)
  •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서 영양소, 빛, 수분은 작물과 잡초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작물과 잡초가 경쟁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인자들이 충분하지 않으면 작물은 잡초에게 밀려 생존과 성장이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자들을 적절히 공급해주는 것이 작물의 생존과 성장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우리나라 경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국화과, 방동사니과,화본과의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2. 생태적으로 북방형 잡초가 많이 발생한다.
  3. 1모작지의 경우 춘경답보다 추경답에서 많이 발생한다.
  4. 논에서의 잡초발생 최성기는 6~7월이다.
(정답률: 55%)
  • 논에서는 물이 많이 공급되고 온도가 높아지는 6~7월에 잡초가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잡초의 유익성이 아닌 것은?

  1. 토양 침식방지
  2. 토양에 유기물 제공
  3. 농작업환경의 호전
  4. 내성작물 육성을 위한 자원
(정답률: 72%)
  • 잡초는 토양 침식방지, 토양에 유기물 제공, 내성작물 육성을 위한 자원 등 다양한 유익성이 있지만, 농작업환경의 호전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즉, 잡초가 없으면 농작업 환경이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농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농작업환경의 호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작물과 잡초간 경합 허용한계밀도란?

  1. 작물의 수량이 크게 감소되기 시작하는 직전의 잡초밀도
  2. 잡초의 생장으 촉진시키는 한계밀도
  3. 더 이상의 경합이 일어나지 않는 밀도
  4. 영양생장에서 생식장으로 넘어가는 한계밀도.
(정답률: 70%)
  • 작물과 잡초는 자원을 경쟁하며 자라기 때문에, 잡초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때, 작물의 수량이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은 잡초의 밀도가 작물과 경쟁하기에 너무 높아져서 자원을 더 이상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물과 잡초간 경합 허용한계밀도는 작물의 수량이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는 직전의 잡초밀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논잡초의 군락형이 벗풀, 올방개 등 다년생이 우점하는 군락형으로 천이가 일어나고 있는데,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은?

  1. 벼 재배법의 변화
  2. 외래 잡초의 급격한 증가
  3. 경운 및 정지법의 변화
  4. 동일 제초제의 연용
(정답률: 77%)
  • 동일 제초제의 연용이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인 이유는, 이 제초제가 논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다년생 식물들이 우점하는 군락형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논잡초의 생육이 억제되고, 다년생 식물들이 더욱 번식하면서 군락형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은 논잡초의 생육을 억제하고, 다년생 식물들의 우점을 촉진시켜 천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벼의 재배방법 중에서 경합력이 낮아 잡초발생량이 많은 방법은?

  1. 담수직파
  2. 건답직파
  3. 중묘 기계이앙
  4. 성묘 기계이앙
(정답률: 74%)
  • 건답직파는 벼를 심은 후 바로 건조시켜 잡초가 자라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합력이 낮아 잡초발생량이 많은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경쟁력이 높아서 잡초가 자라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건답직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주로 간척지 논에서 발생하는 다년생 우점잡초는?

  1. 새섬매자기
  2. 물달개비
  3. 알방동사니
  4. 뚝새풀
(정답률: 55%)
  • 간척지 논은 물이 많아서 습한 환경이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새섬매자기와 같은 다년생 우점잡초가 잘 자랍니다. 새섬매자기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높이가 낮아서 물이 많은 환경에서도 적당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물달개비나 알방동사니는 높이가 높아서 물이 많은 환경에서는 쉽게 넘어지거나 뿌리가 노출되어 말라 죽을 수 있고, 뚝새풀은 물이 많은 환경에서는 생장이 둔화되기 때문에 새섬매자기보다는 우세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잡초는?

  1. 올방개
  2. 올미
  3. 벗풀
  4. 가래
(정답률: 49%)
  • 올미는 다년생 잡초 중에서도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R1-NHC-O-R2의 화학구조를 기본 골격으로 갖는 제초제군은?

  1. 페녹시계 제초제
  2. 니트릴계 제초제
  3. 요소계 제초제
  4. 카바메이트계 제초제
(정답률: 49%)
  • R1-NHC-O-R2 화학구조는 카바메이트계 제초제의 골격 구조이다. 카바메이트계 제초제는 이 구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제초제로, 농작물과 잡초의 식물체내에서 발생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카바메이트계 제초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토양 내의 제초제의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내 점토물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친화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2. 제초제는 대부분 하나 이상의 방향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흡착이 클수록 제초제의 용탈, 유거, 휘발 등에 의한 손실이 크다.
  4. 대부분의 제초제는 반응기를 갖고 있어서 토양 유기물과 치환혼합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대부분의 제초제는 반응기를 갖고 있어서 토양 유기물과 치환혼합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흡착이 클수록 제초제가 토양에 고정되어 유동성이 감소하므로 용탈, 유거, 휘발 등에 의한 손실이 크게 줄어듭니다. 따라서 흡착이 강한 제초제일수록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잡초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휴면성이 없다.
  2. 종자생산량이 많다.
  3. 전파수단이 다양하다.
  4. 불량 환경 적응성이 높다.
(정답률: 77%)
  • 잡초는 휴면성이 없다는 특성이 없다. 이는 잡초가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번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초는 계절이나 기후 변화에 따라 적응할 수 있으며, 이는 종자생산량이 많고 전파수단이 다양하다는 특성과 관련이 있다. 또한, 잡초는 불량 환경에서도 적응력이 높아서 쉽게 생장하고 번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