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패션디자인산업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피복재료학

1. 내연성이 우수하여 잘 타지 않으므로 카펫, 커튼, 실내장식 등에 적합한 섬유는?

  1. 레이온
  2. 아세테이트
  3. 나일론
  4. 모드아크릴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드아크릴은 내연성이 우수하여 화재 발생 시 불이 잘 붙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에 강하며 가볍고 부드러워 카펫, 커튼, 실내장식 등에 적합한 섬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드아크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마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면 섬유보다 강도나 신도가 모두 우수하다.
  2.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모시는 주로 잎섬유이다.
  3. 대마 섬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이 많으며 삼베라고도 한다.
  4. 황마 섬유는 마섬유 중 강도가 가장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마 섬유는 우리나라에서 생산이 많으며 삼베라고도 한다. 이유는 대마가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잘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카프로락탐(Caprolactam)의 개환 중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섬유는?

  1. 나일론 6
  2. 나일론 9
  3. 나일론 66
  4. 나일론 610
(정답률: 알수없음)
  • 카프로락탐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는 "나일론 6"이 된다. "나일론 9"는 9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고, "나일론 66"과 "나일론 610"은 다른 모노머를 사용하여 합성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백질 섬유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양모는 항상 양성의 하전을 갖는다.
  2. 시스틴 결합은 견에만 존재한다.
  3. 양모섬유의 탄성과 레질리언스가 좋은 것은 분자간 가교결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4. 단백질 섬유에는 중성 아미노산만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모섬유의 탄성과 레질리언스가 좋은 것은 분자간 가교결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양모 섬유 내부의 분자들이 서로 교차결합하여 강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교결합은 시스틴 결합과 같은 특정 아미노산의 존재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양모가 항상 양성의 하전을 갖는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또한, 단백질 섬유에는 중성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면사중에서 카아드사(carded yarn)는 코우머사(combed yarn)와 비교할 때 어떤 공정을 생략하고 만든 실인가?

  1. 소면
  2. 정소면
  3. 조방
  4. 정방
(정답률: 알수없음)
  • 카아드사는 코우머사와 달리 정방이나 조방 공정을 생략하고 소재를 섞어서 만든 실이기 때문에 정답은 "정소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생사의 조사과정에서 부스러기나, 누에 고치에 상처가 발생하여 긴실로 되지 못한 짧은 견섬유의 명칭은?

  1. 생사
  2. 옥사
  3. 주사
  4. 부잠사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사의 조사과정에서 부스러기나 누에 고치에 상처가 발생하여 긴실로 되지 못한 짧은 견섬유를 부잠사라고 합니다. 이는 생사, 옥사, 주사와 함께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섬유 중 다림질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비닐론
  2. 나일론
  3. 양모
  4. 비스코스레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비스코스레이온" 입니다. 이유는 비스코스레이온은 섬유 내부 구조가 쉽게 변형되어 다림질 시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닐론과 나일론은 고온에서 용해되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양모는 고온에서 수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능직이 1완전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경사올수는?

  1. 3올
  2. 4올
  3. 5올
  4. 8올
(정답률: 알수없음)
  • 능직이 1완전조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번의 경사올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1완전조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명의 구성원이 필요하고, 각 구성원은 서로 다른 두 명과 관계를 맺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번의 경사올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평직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직물 조직의 겉과 뒤가 같다.
  2. 직물 바닥을 촘촘히 할 수 있다.
  3.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다.
  4. 직물 바닥은 두꺼우나 유연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직은 직물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로, 직물을 만들 때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실을 사용하여 만듭니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직물은 겉과 뒤가 같은 특징을 가지며, 바닥이 촘촘하고 구김이 잘 생기지 않으며 두꺼우나 유연합니다. 따라서 평직은 옷감, 가방, 신발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면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내열성이 나쁜 편이다.
  2. 알칼리에 의해 쉽게 분리한다.
  3. 습윤강도가 건조강도보다 증가한다.
  4. 천연섬유 중 내일광성이 나쁜 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습윤강도가 건조강도보다 증가한다." 이다. 이는 섬유가 습기를 흡수할 때 분자 간 결합이 강화되어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편성물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 아닌 것은?

  1. 신축성이 크다.
  2. 유연성이 크다.
  3. 함기량이 많다.
  4. 내마찰성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마찰성이 크다는 것은 표면 간 마찰이 많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편성물은 다른 물체와 접촉할 때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잘 붙어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스코스레이온의 방사방법은?

  1. 에멀션 방사
  2. 습식 방사
  3. 건식 방사
  4. 용융 방사
(정답률: 알수없음)
  • 비스코스레이온은 습식 방사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물과 함께 분산된 용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방사하는 방법으로, 물의 증기압과 함께 방사되는 물분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와 결합하여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건식 방사 방법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투습 방수포의 기능을 가진 신소재 직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스웨이드
  2. 고아 텍스
  3. 폴리우레탄 코팅포
  4. 초고밀도 직물
(정답률: 알수없음)
  • 스웨이드는 투습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은 자연 가죽으로 만들어진 직물이기 때문에 신소재 직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장식사의 효과를 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고리를 만들어 주는 방법
  2. 매듭과 같은 마디를 만드는 법
  3. S꼬임을 주는 방법
  4. 심사 주위를 나선상으로 감는 법
(정답률: 알수없음)
  • "S꼬임을 주는 방법"은 장식사의 효과를 내는 방법이 아닙니다. S꼬임은 로프나 줄 등을 꼬아서 만드는 것으로, 장식사의 효과를 내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S꼬임을 주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자외선 차단 소재가 주로 사용된 것은?

  1. 스포츠 웨어
  2. 노인용 침구
  3. 방한복
  4. 위생 양말
(정답률: 알수없음)
  • 스포츠 웨어는 자외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소재가 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외선 차단과는 관련이 없거나, 그 중요성이 낮기 때문에 스포츠 웨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섬유내에서 분자간 가교결합과 가장 관계가 큰 것은?

  1. 흡습성
  2. 비중
  3. 열가소성
  4. 구김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 내에서 분자간 가교결합과 가장 관계가 큰 것은 "구김"이다. 이는 섬유 내 분자들이 서로 꼬여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가교결합이 강할수록 구김이 높아진다. 따라서 섬유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인 구김은 분자간 가교결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양모섬유(wool)의 장점을 열거한 것이다. 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온성이 크다.
  2. 흡습성이 적다.
  3. 탄성과 레질리언스가 좋다.
  4. 염색성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습성이 적다."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양모섬유는 기본적으로 수분을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땀 등의 수분이 증가할 경우에는 다른 소재에 비해 불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편성물(knitted fabrics)의 단점에 속하는 것은?

  1. 신축성
  2. 형태 안정성
  3. 보온성
  4. 유연성
(정답률: 알수없음)
  • 편성물의 단점 중 형태 안정성은, 편직 과정에서 직물이 늘어나거나 변형될 수 있어서 제품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외관이나 착용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늘어나거나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제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편성물을 사용하는 제품을 만들 때는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디자인과 제작 과정을 신중하게 계획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섬유의 단면이 다각형인 것은?

  1. 면 (cotton)
  2. 대마(hemp)
  3. 양모(wool)
  4. 비스코스(viscose)
(정답률: 알수없음)
  • 대마(hemp)는 섬유의 단면이 다각형이다. 이는 대마 섬유가 다른 섬유들과는 달리 갈고리 모양의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조직 중 구김이 가장 잘 생기는 조직은?

  1. 능직(twill)
  2. 평직(plain)
  3. 수자직(satin)
  4. 도비직(dobby)
(정답률: 알수없음)
  • 평직(plain) 조직은 가장 기본적인 직물 조직으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실이 일정한 간격으로 짜여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김이 가장 잘 생기며, 또한 통기성이 좋아서 흡습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평직 조직은 일상적인 의류나 가구, 침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션디자인론

21. 다음은 직물의 문양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상관이 먼 것은?

  1. 착용자의 나이에 따라 무늬와 색을 고려해야 한다.
  2. 착용자의 개성을 고려해야 한다.
  3. 무늬가 사용된 직물의 소재를 고려해야 한다.
  4.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직물의 문양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무늬가 사용된 직물의 소재를 고려해야 한다."는 직물의 내구성, 특성, 세탁 방법 등을 고려하여 착용자가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면직물에는 색상이 빠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무늬와 색상을 선택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상관이 먼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기적인 통일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이질적인 요소간에 공통적인 성분을 모아 그것을 매개체로 하여 통일로 유도하는 방법이다.
  2. 유기적 통일의 특색은 안정되고 차분한 분위기를 줄수 있다.
  3. 강조하고자 하는 요소가 선, 색채, 장식 모두를 주제로 한다면 통일감이 없어 균형을 잃고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4. 동조법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조하고자 하는 요소가 선, 색채, 장식 모두를 주제로 한다면 통일감이 없어 균형을 잃고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유기적인 통일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통일감이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이유는 선, 색채, 장식이 모두 강조되면 각각이 서로 경쟁하게 되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균형을 잃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의복의 외형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태미
  2. 정신미
  3. 재료미
  4. 색채미
(정답률: 알수없음)
  • "형태미", "재료미", "색채미"는 모두 의복의 외적인 요소들을 나타내는데 비해, "정신미"는 의복이 전달하는 정서나 메시지를 나타내는 내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외형미에 속하지 않는다. 즉, 의복의 디자인, 소재, 색상 등이 아닌 의복이 전달하는 의미나 감성적인 요소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의가 드레시한 형일 경우 하의도 같이 드레시한 형으로 착용하는 것은 어떤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것인가?

  1. 대칭
  2. 균형
  3. 리듬
  4. 통일
(정답률: 알수없음)
  • 이는 "통일" 원리에 해당합니다. 상의와 하의가 같은 스타일이면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는 느낌을 주어 조화로운 룩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통일성 있는 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색연필의 사용법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색연필은 칠한 후 문질러서 부드러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2. 색연필을 섞어서 사용해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다.
  3. 색연필로 칠할 때 손에 힘을 주는 세기에 따라 톤의 조절이 가능하다.
  4. 색연필은 세부적인 디테일, 문양, 섬세한 니트의 짜임 등의 표현에 부적절한 재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연필은 세부적인 디테일, 문양, 섬세한 니트의 짜임 등의 표현에 부적절한 재료이다." 이 설명은 적절하다. 이유는 색연필은 펜이나 연필보다 덜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의 주머니 명칭은 무엇인가?

  1. 1.아코디온 포켓, 2.플렙 포켓, 3.포취 포켓(pouch .P)
  2. 1.플렙 포켓(Flap.P), 2.아코디온 포켓(accordion.P), 3.사이드 포켓(side .P )
  3. 1.스랜트 포켓(slant. P), 2.심 포켓(seam . P), 3.인 사이드 포켓(in side.P)
  4. 1.문 포켓(moon .P), 2.하프 포켓 (half .P), 3.라운드 포켓( round .P)
(정답률: 알수없음)
  • 주머니의 모양이 아코디온처럼 접히고 펼쳐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1.아코디온 포켓"이라고 부릅니다. "2.플렙 포켓"은 덮개 모양의 주머니를 의미하고, "3.포취 포켓(pouch .P)"은 작은 크기의 주머니를 일컫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좌,우에 세로로 절개선을 넣어 상반신을 부드럽게 피트(fit)시키고 스커트 부분에 완만한 플레어를 낸 실루엣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텐트라인
  2. 풀라인
  3. 프린세스라인
  4. 트럼펫라인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린세스라인은 상반신을 부드럽게 피트시키고 스커트 부분에 완만한 플레어를 낸 실루엣을 말합니다. 이는 좌,우에 세로로 절개선을 넣어 구성되며, 공주같은 우아하고 여성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프린세스"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서양 의복의 모든 기법은 확장과 밀착이라는 두 가지 역할로 아름다운 실루엣을 창조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다음 중 다르게 분류될 수 있는 기법은?

  1. 개더(gather)
  2. 다트(dart)
  3. 패드(pad)
  4. 플레어(flare)
(정답률: 알수없음)
  • 다트(dart)는 의복의 특정 부분을 접어서 밀착시키는 기법으로, 확장보다는 밀착에 중점을 둔 기법이다. 따라서 다른 기법들은 확장과 밀착을 모두 고려한 기법이지만, 다트는 주로 밀착을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디자인(design)의 분야 중 보편적이고 대중이 즐기는 기호를 파악하여 편리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는 어느 것인가?

  1. 건축 디자인
  2. 산업 디자인
  3. 실내 디자인
  4. 도시 디자인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 디자인은 제품 디자인 분야 중 하나로, 대중적인 기호와 사용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디자인하는 분야입니다. 따라서 편리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대중들이 즐기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업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행의 선도자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비틀즈의 장발
  2. 케네디 대통령의 하버드 룩
  3. 가수 윤복희의 미니 스커트
  4. 미국 인디언의 히피 룩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 인디언의 히피 룩은 유행의 선도자가 아닙니다. 이는 히피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히피 문화가 이미 유행의 선도자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의 시대에서 유행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스타일이나 이미지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은 디자인의 원리 중 무엇을 적용한 의상의 예인가?

  1. 균형
  2. 리듬
  3. 강조
  4. 착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의상은 균형 원리를 적용한 예시입니다. 상하의의 색상과 패턴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고, 상의와 하의의 비율도 적절하게 맞춰져 있어서 균형잡힌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대비효과를 주는 배색이 아닌 것은?

  1. 섹스타드 배색
  2. 트리오 배색
  3. 분보색 배색
  4. 중분보색
(정답률: 알수없음)
  • "섹스타드 배색"은 대비효과를 주는 배색이 아닙니다. "섹스타드 배색"은 6가지 색상을 모두 사용하는 배색으로, 대신에 색채의 조화와 균형을 중요시하는 조화 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리듬의 종류 중 돗트 무늬가 점점 커져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것은?

  1. 단순반복 리듬
  2. 되울림 리듬
  3. 연속 리듬
  4. 점진적 리듬
(정답률: 알수없음)
  • 점진적 리듬은 돗트 무늬가 점점 커져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리듬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톤(색조)을 나타내는 명칭들이다. 틀린 것은?

  1. 페일(pale) - 엷은
  2. 덜(dull) - 회색띈
  3. 브라이트(bright) - 밝은
  4. 비비드(vivid) - 해맑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덜(dull) - 회색띈" 이다.

    페일(pale)은 색이 연하고 탁한 것을 뜻하며, 브라이트(bright)는 색이 선명하고 밝은 것을 뜻한다. 비비드(vivid)는 생생하고 선명한 색을 뜻한다.

    하지만 덜(dull)은 회색띈이라는 뜻으로, 색이 탁하고 어두운 것을 뜻한다. 따라서 다른 명칭들과는 반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황금 비를 설명하였다. 틀린 것은?

  1. 1 : 2.168 를 말한다.
  2. 형태미를 규정하는 가장 이상적인 비례이다.
  3. 고대 이집트의 피라밋, 그리이스의 파르테논 신전, 고딕 건축 등에 이용되었다.
  4. 고대 그리이스시대 플라톤(Platon)에 의해 발견되어 황금율, 황금분할, 황금절로 불리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 : 2.168 를 말한다." 이다. 이유는 황금 비는 1 : 1.618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황금 비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황금 비는 형태미를 규정하는 가장 이상적인 비례로, 고대 이집트의 피라밋, 그리이스의 파르테논 신전, 고딕 건축 등에 이용되었으며, 고대 그리이스시대 플라톤(Platon)에 의해 발견되어 황금율, 황금분할, 황금절로 불리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패션이 변화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오래된 것에 대하여 느끼는 권태
  2. 대중의 필요성과 욕구
  3. 동조의 욕구
  4. 디자이너와 메이커에 영향을 주는 환경
(정답률: 알수없음)
  • "동조의 욕구"는 패션의 변화를 설명하는 요인이 아니라, 개인이 타인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심리학적인 용어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동조의 욕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체형을 가장 뚱뚱하게 보이도록 하는 무늬는?

  1. 작은 꽃무늬 형태의 모티브
  2. 삼각형 형태의 모티브
  3. 직사각형 형태의 모티브
  4. 둥근 형태의 모티브
(정답률: 알수없음)
  • 둥근 형태의 모티브는 곡선적인 형태로 인해 체형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효과가 있어 뚱뚱해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작은 꽃무늬나 삼각형, 직사각형 형태의 모티브는 각진 형태로 인해 체형을 더욱 강조해 뚱뚱해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중에서 인체의 전체적인 프로포션에서 중심축을 이루며 여러 가지 변형포즈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허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발은 인체의 무게중심을 지탱하고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체의 전체적인 프로포션에서 중심축을 이루며 여러 가지 변형포즈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발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실루엣의 종류가 비슷한 것끼리 짝지워지지 않는 것은?

  1. 배럴 실루엣, 아우어글래스 실루엣, 오벌 실루엣
  2. 스트레이트 실루엣, 튜우블러 실루엣, 쉬드 실루엣
  3. 아우어글래스 실루엣, 트럼펫 실루엣, 프린세스 실루엣
  4. 시프트 실루엣, H 라인 실루엣, 스트레이트 실루엣
(정답률: 알수없음)
  • 배럴 실루엣, 아우어글래스 실루엣, 오벌 실루엣은 모두 허리가 강조되지 않고 일정한 너비를 유지하는 실루엣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짝지워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가장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은?

  1. 파랑(blue)
  2. 빨강(red)
  3. 초록(green)
  4. 흰색(white)
(정답률: 알수없음)
  • 빨강은 뜨거움과 열정을 상징하는 색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 중 하나입니다. 또한 인간의 뇌파를 자극하여 심장 박동수를 높이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체온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빨강은 가장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류상품학 및 복식문화사

41.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블리오 - 남,녀 모두 착용
  2. 쉐엥즈 - 언더튜닉의 다른 명칭
  3. 꼬르사아쥬 - 여성의 조끼형 의복
  4. 꼬뜨 - 11세기 대표적인 여성의 의복
(정답률: 알수없음)
  • "쉐엥즈 - 언더튜닉의 다른 명칭"이 연결이 잘못되었습니다. 쉐엥즈는 언더웨어(속옷)의 일종으로, 언더튜닉과는 다른 것입니다. 꼬르사아쥬는 여성의 조끼형 의복이며, 꼬뜨는 11세기 대표적인 여성의 의복입니다. 블리오는 남녀 모두 착용하는 의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버티컬라인으로 뉴록과는 대조적으로 볼륨을 윗몸과 소매에 두고 스커트는 바이어스 재단의 훌쭉한 실루엣으로 바뀐 년대는?

  1. 1930
  2. 1950
  3. 1970
  4. 1980
(정답률: 알수없음)
  • 버티컬라인과는 대조적으로 볼륨을 윗몸과 소매에 두고 스커트는 바이어스 재단의 훌쭉한 실루엣으로 바뀐 것은 1950년대의 패션 트렌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르네상스시대에 사용한 스커트 버팀대가 아닌 것은?

  1. 파니에
  2. 베르튀가댕
  3. 오스퀴
  4. 후프
(정답률: 알수없음)
  • 파니에는 르네상스시대에 사용한 스커트 버팀대가 아닙니다. 파니에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유행한 여성 패션으로, 스커트를 넓게 펼쳐주는 버팀대가 아니라 스커트 자체가 넓게 퍼져있는 디자인입니다. 따라서 르네상스시대에 사용한 스커트 버팀대는 베르튀가댕, 오스퀴, 후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패션에 필요한 시장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소매점 정보
  2. 소매점 바이어의 예측정보
  3. 구매동기 및 구매패턴 정보
  4. 경쟁사 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패션 시장정보는 소매점 정보, 소매점 바이어의 예측정보, 구매동기 및 구매패턴 정보, 경쟁사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구매동기 및 구매패턴 정보는 패션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어떤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와 그들의 구매 패턴 등을 파악하는 정보입니다. 이는 패션 제조업체나 소매점 등이 제품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정보이지만, 시장 자체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차별화 전략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대량 생산으로 원가가 절감된다.
  2. 생산업체에 따라 제품 품질에 차이가 없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3. 상품 특성보다는 상표의 이미지를 부각시킨다.
  4.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은 비차별화 전략의 핵심적인 목표 중 하나이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관된 가격과 품질로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고객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자신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판매원이 고객을 상대로 하여 대화로서 판매하는 행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어프로치 판매(approach selling)
  2. 비인적 판매(nonpersonal selling)
  3. 인적 판매(personal selling)
  4. 어필 판매(appeal sel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적 판매는 판매원과 고객 간의 대면 상호작용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판매원과 고객 간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와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 사회에서는 채택 인구수, 수용단계, 기간 등이 다른 여러개의 패션이 동시에 존재한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채택되는 패션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패드(fad)
  2. 붐(boom)
  3. 포드(ford)
  4. 실루엣(silhouett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드(ford)"이다. 포드는 다른 패션들과 달리 오랫동안 인기를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판매되는 패션을 의미한다. 반면에 "패드(fad)"는 일시적인 유행, "붐(boom)"은 급격한 인기 상승 후 급격한 하락, "실루엣(silhouette)"은 디자인적인 요소로서 인기가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여성용 운동복으로 오늘날 비키니 수영복과 유사한 로마시대 복식으로 맞는 것은?

  1. 스트로피움
  2. 튜니카
  3. 스톨라
  4. 토가
(정답률: 알수없음)
  • 로마시대 여성들은 수영복이 아닌 튜니카나 스톨라와 같은 의상을 입었다. 그 중에서도 스트로피움은 비슷한 디자인과 형태를 가진 여성용 운동복으로, 허리에 끈을 묶어 착용하며 운동할 때 편리하게 사용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비키니 수영복과 유사한 로마시대 여성용 운동복은 스트로피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이집트의 대표적인 복식이 아닌 것은?

  1. 하이크
  2. 칼라시리스
  3. 시스 스커트
  4. 캔디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크", "칼라시리스", "시스 스커트"는 모두 이집트의 전통적인 의상 중 하나이지만, "캔디스"는 이집트의 대표적인 복식이 아닙니다. "캔디스"는 실제로는 미국의 브랜드로, 이집트의 전통적인 의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0 세기초 벨 에포크(belle 勍poque) 시대를 지배한 디자이너는 누구인가?

  1. 샤넬(Chanel)
  2. 쁘와레(Poiret)
  3. 빠뚜(Patou)
  4. 랑방(Lanvin)
(정답률: 알수없음)
  • 쁘와레는 20세기 초 벨 에포크 시대를 지배한 디자이너로, 기존의 굳어진 규칙적인 패션을 깨고 자유로운 스타일을 제안하여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허리를 강조하는 새로운 실루엣을 제안하고, 무채색보다는 선명하고 화려한 색상을 선호하여 당시의 패션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패션전파이론 중 패션에 대한 사회의 영향을 가장 강조한 이론은?

  1. 하향전파이론
  2. 수평전파이론
  3. 상향전파이론
  4. 집합선택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집합선택이론은 개인의 패션 선택이 사회 집단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즉, 개인의 패션 선택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패션 선택과 유사해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집단의 문화, 가치관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패션은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마케팅믹스(marketing mix)의 투입 변수가 아닌 것은?

  1. 판매촉진 활동
  2. 가격 구조
  3. 사입 활동
  4. 유통 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마케팅믹스의 투입 변수 중에서 "사입 활동"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마케팅믹스는 제품, 가격, 판매촉진, 유통 등의 요소를 조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사입 활동"은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입 활동은 기업이 원자재, 부품 등을 구매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마케팅 전략과는 별개의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패션 상품 가격 산출시 제조원가(직접원가)를 구성하는 요인은?

  1. 원자재비+부자재비+임가공비
  2. 원자재비+부자재비+판매유통비
  3. 원자재비+인건비+광고비
  4. 원자재비+부자재비+임대료
(정답률: 알수없음)
  • 제조원가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모든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자재비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료의 비용, 부자재비는 원자재 이외의 부가적인 소모품 비용, 임가공비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과 기계 등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들 비용을 합산하여 제조원가를 산출합니다. 따라서 "원자재비+부자재비+임가공비"가 패션 상품 가격 산출시 제조원가를 구성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디스플레이의 유형별 역할과 위치를 연결하였다. 맞는 것은?

  1. POP - 패션상품의 코디네이션 제안 - 행거
  2. PP - 점포이미지와 유형테마의 통합적표현 - 케이스
  3. IP - 개개의 상품을 분류 정리하여 진열한다 - 선반류
  4. VP - 색상 디자인 상표등을 보기쉽고 구매하기 쉽게 정리한다 - 주요 출입구의 메인 스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P - 개개의 상품을 분류 정리하여 진열한다 - 선반류" 이다. IP는 인라인 디스플레이로, 선반류에 위치하며 개별 상품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진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패럴 정보 중 국내외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관한 정보로 기업이 사회적으로 놓여져 있는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는?

  1. 마케팅환경 정보
  2. 시장 정보
  3. 관련산업부문 정보
  4. 소비자 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마케팅환경 정보는 기업이 활동하는 사회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정치, 경제, 문화 등의 사회적인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여 기업의 전략 수립과 마케팅 활동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기업이 사회적으로 놓여져 있는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7 세기 중기에 스커트처럼 보이는 바지가 나타났는데 이바지는 궁정복이나 귀족들만 입었던 옷은?

  1. 꿜로뜨(culotte)
  2. 랭그라브(rhine gravrs)
  3. 까르마놀(carmagnol)
  4. 파고다(pagoda)
(정답률: 알수없음)
  • 랭그라브는 궁정복이나 귀족들만 입었던 옷이었기 때문입니다. 꿜로뜨는 스커트처럼 생겼지만 일반인들도 입었고, 까르마놀은 프랑스 혁명 당시 평민들이 입었던 옷이며, 파고다는 중국의 탑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패션사이클의 단계별 과정 중 패션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에게 더욱 확산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패션 스타일이 인식되는 단계는?

  1. 제1단계 - 새로운 스타일의 창조와 소개
  2. 제2단계 - 패션 선도자의 채택
  3. 제3단계 - 사회적 가시도의 증가
  4. 제4단계 - 사회적 동조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제3단계는 패션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스타일을 인식하고, 이를 자신의 스타일로 채택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따르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패션 산업은 더욱 활성화되며,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바로크 시대에 생긴 남성복으로서 현대의 코트에 속하는 것은?

  1. 베스뜨(veste)
  2. 뀔로뜨(culotte)
  3. 쥐스또꼬르(justau corps)
  4. 페티코트 브리치즈(petticoat breeches)
(정답률: 알수없음)
  • 쥐스또꼬르는 바로크 시대에 등장한 남성복으로, 몸에 딱 맞게 끼는 형태의 긴 자켓이다. 이 자켓은 현대의 코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쥐스또꼬르가 현대의 코트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5세기 여자의 모자로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1. veil
  2. hennin
  3. barrette
  4. culotte
(정답률: 알수없음)
  • 15세기 여자의 모자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hennin"이다. 이는 높은 삼각형 모양의 모자로, 머리 위에 쌓아 올린 후에 끝에는 종종 스카프나 베일을 달았다. 이 모자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귀족 여성들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착용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현대의 신사복 형태가 정착된 시대는?

  1. 크리놀린스타일 시대
  2. 르네상스 시대
  3. 로코코 시대
  4. 바로크 시대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놀린스타일 시대는 19세기 초반인 1820년대부터 1830년대까지의 시기로, 여성들이 크리놀린이라는 튜브형의 속옷을 입고 스커트를 부풀려 입는 스타일을 따랐습니다. 이로 인해 스커트가 매우 넓어지고 허리가 좁아지는 형태의 드레스가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대에는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신사복이 필요해졌고, 이를 반영하여 남성들의 옷도 보다 편안하고 자유로운 디자인으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현대의 신사복 형태가 정착된 시대는 크리놀린스타일 시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패턴공학 및 의복구성학

61. 스커트 제작시 허리다트 시접 처리로 올바른 것은?

  1. 박아서 시접을 중심쪽으로 꺽는다.
  2. 박아서 시접을 옆솔기쪽으로 꺽는다.
  3. 얇은 옷감일 경우에는 가름솔로 한다.
  4. 두꺼운 옷감일 경우에는 중앙으로 꺽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커트 제작시 허리다트 시접 처리에서는 박아서 시접을 중심쪽으로 꺽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이는 시접이 허리 중심에 위치하게 되어 스커트가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옆솔기쪽으로 꺽을 경우에는 스커트가 비대칭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불균형한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얇은 옷감일 경우에는 가름솔로 한다는 것은 시접을 더 자연스럽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며, 두꺼운 옷감일 경우에는 중앙으로 꺽는 것은 시접을 더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매를 몸판에 다는 방법 중 틀린 것은?

  1. 슬리브리스는 고젯을 재단하여 소매에 대고 겉으로 상침한다.
  2. 세트 인 슬리브는 오그리는 분을 소매 진동 밑에서 5㎝정도까지 오그린다.
  3. 셔츠 슬리브는 길의 시접은 0.7㎝, 소매시접은 1.7㎝-1.9㎝로 정리하여 쌈솔한다.
  4. 래글런슬리브는 소매중심선을 가르솔로 박은 후 길과 소매를 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슬리브리스는 고젯을 재단하여 소매에 대고 겉으로 상침한다." 이다. 슬리브리스는 소매가 없는 옷이므로 소매에 대고 상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경추에서 극돌기가 매우 길고 피부표면에서 잘 만져져 인체계측에서 계측 기준점이 되는 것은?

  1. 제 9 경추
  2. 제 7 경추
  3. 제 5 경추
  4. 제 3 경추
(정답률: 알수없음)
  • 인체계측에서는 제 7 경추가 계측 기준점이 된다. 이는 제 7 경추의 극돌기가 매우 길고 피부표면에서 잘 만져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 7 경추는 다른 경추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뚜렷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계측에서는 제 7 경추를 기준으로 다른 부위의 측정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1본침 직선봉 재봉기는?

  1. 지그재그 재봉기
  2. 본봉 재봉기
  3. 단추달이봉 재봉기
  4. 자수 재봉기
(정답률: 알수없음)
  • 1본침 직선봉 재봉기는 본봉 재봉기입니다. 이는 한 번에 하나의 실로 직선적으로 재봉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그재그 재봉기는 실을 왕복하며 지그재그로 재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단추달이봉 재봉기는 단추를 달아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수 재봉기는 자수를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슬랙스 착용시 앞의 밑아래에 사선이 생기며 옆선이 앞으로 당겨진다. 알맞은 보정방법은?

  1. 뒤판에서 밑위선의 파임분을 더 준다.
  2. 다아트를 없애준다.
  3. 앞판 H.L에서 절개하여 부족량만큼 벌려준다.
  4. 앞· 뒤 옆선에 부족량을 넣어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랙스를 착용할 때 앞의 밑아래에 사선이 생기며 옆선이 앞으로 당겨지는 것은 앞 옆선과 뒷 옆선의 길이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 뒤 옆선에 부족량을 넣어줘야 한다. 이는 앞 옆선과 뒷 옆선의 길이를 맞춰주어 슬랙스가 더욱 깔끔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보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재단하고자 하는 천이나 마커 종이에 재단선을 기입하는 공정은 무엇인가?

  1. 그레이딩(grading)
  2. 연단(spreading)
  3. 마킹(marking)
  4. 재단(cut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재단하고자 하는 천이나 마커 종이에 재단선을 기입하는 공정은 마킹(marking)이다. 이는 재단 전에 천이나 종이에 재단선을 표시하여 정확한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인체 측정기구인 촉각계는 어느 부분을 계측하는데 사용 하는가?

  1. 너비와 두께측정에 사용한다.
  2. 체표 실제 길이를 재는데 사용한다.
  3. 완부근(腕部根)둘레의 계측에 사용한다.
  4. 인체의 키 높이와 어깨 높이의 계측에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촉각계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여 측정하는 기구이므로, 완부근(腕部根)둘레의 계측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완부근은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부분으로, 이곳의 둘레를 측정하여 체형의 변화나 근육량의 증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패턴에서 카울 네크라인의 패턴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카울 네크라인은 목을 감싸는 형태로, 다른 패턴들은 목을 감싸지 않고 다른 형태의 네크라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블라우스를 재단할 때 그림과 같이 원형을 배치할 수 있는 옷감의 폭은?

  1. 150 cm
  2. 110 cm
  3. 90 cm
  4. 70 cm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옷감의 폭이 반지름의 2배보다 커야 합니다. 그림에서 반지름은 35cm이므로, 폭은 35cm x 2 = 7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폭이 70cm 이상인 것은 "150 cm", "110 cm" 두 가지입니다. 그 중에서 반지름의 길이에 여유를 두기 위해 폭이 더 큰 "150 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솔기 처리방법이 아닌 것은?

  1. 가름솔
  2. 통솔
  3. 쌈솔
  4. 감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솔기는 식재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식재료의 특성을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 중 "감치기"는 솔기 처리방법이 아니다. 감치기는 식재료를 물에 담가서 쓴초나 소금 등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감치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레이딩을 위한 공정순서로 적당한 것은?

  1. 패턴메이킹 - 그레이딩 - 마킹
  2. 마킹 - 그레이딩 - 패턴메이킹
  3. 그레이딩 - 마킹 - 패턴메이킹
  4. 패턴메이킹 - 마킹 - 그레이딩
(정답률: 알수없음)
  • 패턴메이킹은 의류 디자인을 기반으로 실제 의류를 만들기 위한 패턴을 만드는 과정이다. 따라서 패턴메이킹은 의류 제작의 첫 단계이다. 그레이딩은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의류를 만드는 과정이다. 마킹은 그레이딩된 패턴을 기반으로 실제 의류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패턴메이킹 - 그레이딩 - 마킹 순서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재단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옷감의 안쪽이 안으로 들어가게 접은 다음 패턴의 바른 올 방향을 옷감의 경사에 바르게 맞추어 배치한다.
  2. 큰 무늬가 있는 옷감은 좌우에 같은 무늬가 배열되게 배치한다.
  3. 플레이드, 체크무늬는 옆선의 도련쪽에서부터 앞 뒤를 맞추어야 한다.
  4. 원형은 큰부분부터 배치하여 남은 면적에서 작은 것을 재단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원형은 큰부분부터 배치하여 남은 면적에서 작은 것을 재단하도록 한다."

    옷감을 재단할 때 패턴의 바른 올 방향을 옷감의 경사에 맞추어 배치하는 것은 패턴이 옷감에 올바르게 배치되어 옷의 모양이 깔끔하게 나오도록 하는 것입니다. 큰 무늬가 있는 옷감은 좌우에 같은 무늬가 배열되게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나오도록 하고, 플레이드나 체크무늬는 옆선의 도련쪽에서부터 앞 뒤를 맞추어야 합니다. 이는 무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깔끔한 모양이 나오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노루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침판 위의 천을 눌러주는 역할
  2. 톱니(송치)의 전진에 따라 천을 적절히 앞으로 나가도록 적당한 압력을 가하는 역할
  3. 톱니(송치)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니들루프 형성을 원활하게 함
  4. 톱니(송치)가 상하 및 전진운동을 하면서 천을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매개 역할
(정답률: 알수없음)
  • "톱니(송치)가 상하 및 전진운동을 하면서 천을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매개 역할"은 노루발의 역할이 아닙니다. 노루발은 침판 위의 천을 눌러주는 역할, 톱니(송치)의 전진에 따라 천을 적절히 앞으로 나가도록 적당한 압력을 가하는 역할, 톱니(송치)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니들루프 형성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봉시 적절한 바느질 방법은?

  1. 홈질
  2. 어슷 시침
  3. 숨은 상침
  4. 상침 시침
(정답률: 알수없음)
  • 가봉시는 두꺼운 천으로 만들어진데, 이 때문에 바느질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봉시를 바느질할 때는 두꺼운 천을 꿰매는 "상침 시침" 방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상침 시침"은 두꺼운 천을 꿰매는 데에 적합한 바느질 방법으로, 상단에 있는 바늘로 천을 꿰매고, 하단에 있는 바늘로 천을 뚫어서 바늘을 꽂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천이 두꺼우면서도 깔끔하게 바느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재봉틀의 4가지 요소들의 운동으로 바르게 된 것은?

  1. 실채기, 장력기구, 송치, 바늘대
  2. 실채기, 훅, 바늘대, 피드독
  3. 바늘대, 실채기, 장력기구, 바늘판
  4. 송치대, 장력기구, 실채기, 바늘귀
(정답률: 알수없음)
  • 재봉틀의 4가지 요소들은 실을 이용하여 옷감을 이어주는데, 이때 실을 잡아주는 바늘대와 훅, 실을 이끌어주는 실채기, 그리고 실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피드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실채기, 훅, 바늘대, 피드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처리 시 겉으로 실땀이 드러나지 않게 뜨는 손바느질 방법은?

  1. 휘갑치기
  2. 박음질
  3. 세발뜨기
  4. 공그르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그르기는 손바느질 시에 실을 뜨면서 바늘을 실 안쪽으로 굴리는 기술로, 이를 통해 실땀이 드러나지 않게 뜰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겉으로 실땀이 드러날 가능성이 높은 방법들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줄무늬 옷감 재단방법 중 틀린 것은?

  1. 이은 솔기에서 줄무늬가 맞도록 주의한다.
  2. 재단시 한 장을 먼저 자른 다음 무늬를 맞추어 나머지를 재단한다.
  3. 디자인에 따라 무늬의 방향은 바뀔 수 있다.
  4. 줄무늬 재단은 반드시 45도 사선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줄무늬 재단은 반드시 45도 사선으로 한다." 가 아니다.

    줄무늬 옷감을 45도 사선으로 잘라야 하는 이유는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잘라서 옷을 만들면, 옷이 늘어나거나 비스듬한 모양이 되어 원래 의도한 디자인과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따라서 45도 사선으로 잘라서 늘어짐을 방지하고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재봉틀 조작시 윗실이 자꾸 끊어지는 원인을 설명한 은?

  1. 노루발 압력이 너무 약하다.
  2. 바느질감에 비하여 바늘판의 바늘구멍이 크다.
  3. 바늘 높이가 너무 낮다.
  4. 실채기 용수철이 너무 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봉틀을 사용할 때 윗실이 끊어지는 원인은 실채기 용수철이 너무 강해서 실이 잘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재단과 봉제에 쓰이는 약자로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N.L. - Neck Line
  2. S.C.P. - Sleeve Cap Point
  3. S.L. - Shoulder Line
  4. S.P. - Shoulder P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C.P. - Sleeve Cap Point"입니다. S.C.P.는 소매 캡 포인트를 나타내며, 재단과 봉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S.L.은 어깨선을 나타내며, 어깨선은 옷의 어깨 부분을 가로지르는 선입니다. 이는 옷의 핏과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N.L.은 목선을 나타내며, 목 부분의 디자인과 핏을 결정합니다.

    S.P.는 어깨점을 나타내며, 어깨선과 소매 부분의 연결점입니다. 이는 옷의 핏과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인체의 특성 중 형태적 인자인 것은?

  1. 인체 치수
  2. 피부 신축도
  3. 관절가동역
  4. 불감증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체 치수는 인체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인자입니다. 이는 인체의 높이, 몸무게,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팔길이 등과 같은 측정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체 치수는 인체의 형태적인 특성 중 하나입니다. 반면, 피부 신축도, 관절가동역, 불감증설은 인체의 기능적인 특성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