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항공전자정비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PA 장치(passenger address system)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상무선국이 특정의 항공기와 교신하고 싶을 때 불러내는 장치이다.
  2. 테이프 재생 장치에 의하여 음악을 방송하며 방송에 우선 순위가 있다.
  3. 조종실 내에서 운항 승무원간의 통화 연락을 할 때 사용한다.
  4. 비행중 조종실과 객실 승무원 간의 통화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PA 장치는 승객에게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테이프 재생 장치에 의하여 음악을 방송하며 방송에 우선 순위가 있습니다. 이는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음악 방송을 중단하고 긴급 안내를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테이프 재생 장치에 의하여 음악을 방송하며 방송에 우선 순위가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통신장치의 수신음성에 끊임없이 주의를 하지 않아도 조종사가 기내의 차임이나 점등에 의하여 지상국에서 호출하는 것을 알수 있는 장치는?

  1. 셀칼시스템(selcal system)
  2. 플라이트 인터폰시스템(flight interphone system)
  3. 서어비스 인터폰시스템(service interphone system)
  4. 캐빈 텔레폰시스템(cabin telephone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셀칼시스템은 기체 내부에서 수신되는 모든 호출음을 모니터링하여, 지상국에서 호출하는 것을 알리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조종사는 수신음성에 끊임없이 주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체 내부에서의 통신 시스템이지만, 지상국에서의 호출을 알리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공기 기내 방송에는 우선 순위가 있다. 다음 중 우선 순위가 제일 낮은 것은?

  1. 조종사의 기내 방송
  2. 부조종사의 기내 방송
  3. 객실 승무원의 기내 방송
  4. 승객을 위한 음악 방송
(정답률: 알수없음)
  • 승객을 위한 음악 방송은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것입니다. 이는 조종사와 부조종사의 기내 방송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객실 승무원의 기내 방송은 승객의 편의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승객을 위한 음악 방송은 이러한 중요한 정보나 서비스 제공에 비해 우선 순위가 낮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항공기에 사용하는 초단파 통신장치(VHF)의 할당 주파수 범위는?

  1. 2[㎒] - 29.999[㎒]
  2. 30[㎒] - 97.9[㎒]
  3. 98[㎒] - 108[㎒]
  4. 118[㎒] - 135.95[㎒]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에 사용하는 VHF 통신장치는 대기권 내에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을수록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대기권 내에서 통신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VHF 통신장치의 할당 주파수 범위는 118[㎒] - 135.95[㎒]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종실 음성장치(CVR : Cockpit Voice Recorder)에 녹음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객실내의 승객간 대화 내용
  2. 무선 통신장치를 사용하는 승무원의 교신 내용
  3. 기내전화(Interphone)를 이용하는 조종실 승무원간의 대화 내용
  4. 조종실내의 승무원 음성 통신(대화)
(정답률: 알수없음)
  • CVR는 조종실 내부의 음성을 녹음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객실 내부의 승객간 대화 내용은 녹음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MIC의 특성은?

  1. 원거리에서 오는 신호도 감지하는 고감도형이다.
  2. 근거리에서 오는 신호를 많이 감지하는 저감도형이다
  3. MIC 자체에 AMP가 내장되어서 거리에 관계 없이 감지 할 수 있다.
  4. MIC 자체에 AMP가 없어도 잡음을 제거하는 고감도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 내부에서는 주로 근거리에서 오는 소리를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MIC는 근거리에서 오는 신호를 많이 감지하는 저감도형을 사용합니다. 이는 원거리에서 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고감도형보다 덜 민감하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행기록 집적장치(AIDS)에 수집 기록되는 data가 아닌것은?

  1. 엔진의 운전상태
  2. 조종익의 움직임상태
  3. 각종 계기류의 data 수집기록
  4. 기후 및 날씨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기후 및 날씨상태는 비행기의 운전상태나 조종익의 움직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비행기록 집적장치(AIDS)에 수집 기록되지 않습니다. 다만, 기후 및 날씨상태는 비행 중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비행 전에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가 항행 중 지형을 관찰할 때 사용되는 장치는?

  1. 기상레이다(Weather radar)
  2. 전파고도계(Radio altimeter)
  3. 거리측정장치(DMZ)
  4. 초단파 전방향 표지시설(VOR)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레이다는 비행 중에 항공기 주변의 기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전자파를 발사하여 그 전파가 대기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상 상황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지형 관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력의 방향에 대해 항상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gyro를 사용하는 장치는?

  1. 거리 측정 장비(DME)
  2. 항공 교통 관제(ATC)
  3. 관성 항법 장치(INS)
  4. 기상 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력의 방향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gyro를 사용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추적하는 장치가 관성 항법 장치(INS)입니다. INS는 항공기의 가속도와 회전율을 측정하여 항공기의 위치와 방향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는 중력의 방향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도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성 항법 장치(INS : Inertial Navigation Sys.)의 구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도계(Altimeter)
  2. 모드 선택기(Mode Selector)
  3. 자이로 기준장치
  4. 조작 및 지시기(Control Panel)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계는 INS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INS는 자이로 기준장치, 가속도계, 컴퓨터 등으로 구성됩니다. 고도계는 비행기 등의 항공기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INS는 비행기의 위치와 방향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며, 고도를 측정하는 기능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동방향 탐지기(ADF)의 계기 지침은 무엇을 지시하는 가?

  1. 항공기 진행 방향
  2. 항공기 Heading 방향
  3. 자북(magnetic north)방향
  4. 선택된 무선국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방향 탐지기(ADF)의 계기 지침은 선택된 무선국 방향을 지시합니다. 이는 ADF가 현재 항공기 위치에서 선택된 무선국의 방향을 탐지하고, 해당 방향으로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의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ADF는 특정 무선국의 방향을 기준으로 항공기를 조종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계기착륙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로칼라이저(Localizer)
  2. 글라이드슬로프(glide slope)
  3. 마커(marker)
  4. 관성항법장치(INS)
(정답률: 알수없음)
  • 계기착륙장치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로칼라이저, 글라이드슬로프, 마커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관성항법장치(INS)는 비행기의 위치와 속도를 추적하는 시스템으로, 계기착륙장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INS는 비행기의 항로를 유지하고,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계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외측 마아카 비이콘(outer marker beacon)의 변조신호 주파수는 몇[Hz] 인가?

  1. 3,000
  2. 1,300
  3. 40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외측 마아카 비이콘의 변조신호 주파수는 400Hz입니다. 이는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의 일부로서, 비행기가 착륙할 때 사용됩니다. 이 주파수는 비행기의 오른쪽에 위치한 마아카 비이콘에서 발신되며, 비행기가 이를 수신하면 정확한 착륙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로컬라이저(Localizer)에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는?

  1. 2[MHz] ∼ 29.999[MHz]
  2. 108[MHz] ∼ 112[MHz]
  3. 329[MHz] ∼ 335[MHz]
  4. C 또는 X band
(정답률: 알수없음)
  • 로컬라이저는 대부분의 경우 108MHz에서 112MHz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이 주파수 범위가 고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고도가 변해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주파수 범위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겹치지 않아서 간섭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각종 대기상태 자료를 얻기 위하여 ADC(Air Data - Computer)로 들어가는 기본 입력신호는?

  1. 동압과 정압(Static and pitot pressure)
  2. 대기의 온도 및 밀도(Air temperature and density)
  3. 대기속도 및 정압(Air speed and static pressure)
  4. 동압 및 온도(out side temperature)
(정답률: 알수없음)
  • ADC는 대기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기본 입력신호로 동압과 정압을 사용합니다. 동압은 대기의 정적인 압력을 측정하며, 정압은 대기속도를 측정합니다. 이 두 가지 신호를 함께 사용하여 대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의 자동 조종장치에서 좌우방향 흔들림을 제어하는 조종익면은?

  1. 방향타(Rudder)
  2. 보조익(Aileron)
  3. 승강타(Elevator)
  4. 수평미익(Stabilizer)
(정답률: 알수없음)
  • 방향타(Rudder)는 항공기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제어하는 조종익면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수평축 주변에 위치하며, 좌우로 움직여 항공기의 방향을 바꿉니다. 따라서, 방향타(Rudd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회로의 구성은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가?

  1. 적분기
  2. 미분기
  3. 검파기
  4. 차동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적분기입니다. 이는 RC 회로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출력이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거나, 신호의 진폭을 측정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일반적으로 기상 레이더에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대는?

  1. P 밴드
  2. K 밴드
  3. O 밴드
  4. X 밴드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기상 레이더에 사용되는 주파수대는 X 밴드입니다. 이는 다른 밴드에 비해 대기 중의 물방울과 같은 작은 입자들을 감지하기에 적합하며,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인 K 밴드나 P 밴드보다는 대기 중의 물방울과 같은 입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적어 더욱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X 밴드는 대기 중의 물방울과 같은 입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적어지는 비가 많은 지역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GO AROUND는 어디부터 착지점까지 인가?

  1. 글라이드 슬로프 CAPTURE
  2. 로컬 라이저 CAPTURE
  3. 로컬 라이저 ON - COURSE
  4. FLARE
(정답률: 알수없음)
  • GO AROUND은 착륙기에 접근하는 최종 접근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비행기가 안전한 고도로 상승하여 다시 기체를 조종하여 착륙을 재시도하는 절차입니다. 따라서, "글라이드 슬로프 CAPTURE"가 정답입니다. "로컬 라이저 CAPTURE"와 "로컬 라이저 ON - COURSE"는 착륙기에 접근하는 초기 접근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FLARE"는 착륙기에 접근하여 착륙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YAW DAMPER 계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UTCH ROLL 억제
  2. 회전 선회시 조력
  3. 엔진 고장 보상
  4. 비행기수 상승
(정답률: 알수없음)
  • YAW DAMPER는 비행기의 좌우로 흔들리는 움직임인 DUTCH ROLL을 억제하고, 회전 중에 발생하는 좌우로의 조력을 보상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비행기수의 상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비행기수 상승"은 YAW DAMPER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UHF 송신기에서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얻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1. 전단 증폭기
  2. 완충 증폭기
  3. 전력 증폭기
  4. 체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체배기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UHF 송신기에서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얻기 위해서는 체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단 증폭기, 완충 증폭기, 전력 증폭기는 모두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지만, 주파수 변환 기능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와이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HF 통신기기
  2. 자동방향 탐지기
  3. 마아카 비이콘의 수신기
  4. VHF 통신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어 안테나는 주파수가 낮은 HF(High Frequency) 대역에서 효과적이지만, 주파수가 높은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VHF 통신기기는 와이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은 VOR의 동작 원리이다. (a)의 그림에서 안테나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동쪽방향에서 나타나는 가변신호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B

    VOR은 비행기가 현재 위치에서 VOR 안테나까지의 방향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VOR 안테나에서 발신되는 신호는 360도로 나누어져 있고, 이 중 하나의 신호가 가변 신호이다. 비행기가 VOR 안테나를 향해 날아갈 때, 비행기와 안테나 사이의 각도에 따라 가변 신호의 강도가 변한다. 따라서 비행기가 동쪽 방향에서 VOR 안테나를 향해 날아갈 때, 가변 신호의 강도는 최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뮬레이터의 비행시각 시스템 방식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필름영사 방식
  2. CCTV 방식
  3. 모조세트 방식
  4. 컴퓨터작상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모조세트 방식은 실제 비행기의 조종석과 비슷한 형태의 조종기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실제 비행기와 유사한 조작감을 제공하지만, 비용이 매우 비싸고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옳지 않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향탐지기(ADF)에서 사용되지 않는 안테나는?

  1. 루프안테나
  2. 센서안테나
  3. 접시형안테나
  4. 고니오미터
(정답률: 알수없음)
  • 방향탐지기(ADF)는 주로 비행기에서 사용되며, 비행기의 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는 주로 루프안테나와 센서안테나입니다. 접시형안테나는 주로 위성통신이나 TV 수신에 사용되며, 방향탐지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고니오미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이며, 안테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시형안테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결선과 등가인 Y결선의 저항 C 의 크기는 몇[Ω ]인가?

  1. 2/3
  2. 3/2
  3. 3/5
  4. 5/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0[V]의 전압에서 5[A]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다리미를 3시간 사용하였다. 이 다리미에서 소비된 전력량은 얼마인가?

  1. 1[KWh]
  2. 1.5[KWh]
  3. 2[KWh]
  4. 3[KWh]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압과 전류, 사용 시간이 주어졌으므로 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 = 전압 × 전류 × 사용 시간

    전압은 100[V], 전류는 5[A], 사용 시간은 3[시간]이므로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 = 100[V] × 5[A] × 3[시간] = 1500[Wh] = 1.5[KWh]

    따라서 정답은 "1.5[KW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에서 A, B 간의 저항 Ro에 흐르는 전류가 0 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E1R1 = E2R2
  2. E1E2 = R1R2
  3. E1R2 = E2R1
  4. E1E2 =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 사이의 전류가 0이 되기 위해서는 A와 B 사이의 전위차가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위차는 E1-E2이며, 이는 전위차 공식을 이용하여 R1과 R2에 대한 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전위차 공식: V = IR

    A와 B 사이의 전위차: E1-E2 = I(R1+R2)

    따라서, I = (E1-E2)/(R1+R2)

    전류가 0이 되기 위해서는 I = 0 이므로, E1-E2 = 0 이어야 합니다.

    이를 R1과 R2에 대한 식으로 변환하면, E1R1 = E2R2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E1R2 = E2R1이라는 보기가 정답입니다. 이는 전위차 공식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전위차 공식: V = IR

    A와 B 사이의 전위차: E1-E2 = I(R1+R2)

    B와 C 사이의 전위차: E2 = IR2

    따라서, E1 = IR1 + E2 = IR1 + IR2

    E1R2 = IR1R2 + IR2R2 = IR1R2 + E2R2

    E2R1 = IR1R1 + IR2R1 = E1R1 - IR1R2 + IR2R1

    따라서, E1R2 = E2R1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계중의 한점에 1[㏝]의 정자극(N극)을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그 점에 대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자계의 세기
  2. 자위
  3. 자속밀도
  4. 자위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작용하는 힘은 로렌츠 힘이며, 이는 자계와 자기장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자극과 자계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힘의 크기는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며, 방향은 오른손 법칙을 이용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계의 세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1. 플레밍의 우수법칙
  2.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
  3. 렌쯔의 법칙
  4. 플레밍의 좌수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동일한 회로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엄지손가락, 전류의 방향과 일치하는 검지손가락, 그리고 중심축을 따라 나사모양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자화력이 생성된다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을 알면 자화력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등전위 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장 안에서 전위가 같은 점을 연결하여 만든 면을 말한다.
  2. 등전위 면과 전기력선은 수직으로 만난다.
  3. 등전위 면 끼리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4. 점전하 Q[C]에 의한 등전위 면은 같은 반지름 위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전위 면 끼리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등전위면은 같은 전위를 가지는 점들을 연결하여 만든 면이기 때문에 서로 교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등전위면은 서로 평행하거나 만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선의 반지름만을 3배로 하면, 그 전기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1. 9배로 증가한다.
  2. 1/9배로 감소한다.
  3. 3배로 증가한다.
  4. 1/3배로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선의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와 단면적, 그리고 도체의 전기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반지름을 3배로 하면 단면적은 9배가 되므로 전기저항은 1/9배로 감소합니다. 이는 도체의 전기저항이 변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성립하는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 종류의 금속을 그림과 같이 접속하여 두접점 P1, P2를 다른 온도로 유지하면 열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무슨 효과라고 하는가?

  1. 제에벡 효과
  2. 톰슨 효과
  3. 펠티어 효과
  4. 주울의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이러한 현상을 제에벡 효과라고 하는데, 이는 두 종류의 금속이 만나는 접합부에서 온도차가 발생할 때, 그 접합부를 중심으로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면서 열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그림에서 R = Xc 일때 C 양단간의 전압은?

  1. Ec = E/2
  2. Ec = E/√2
  3. Ec = E
  4. Ec = E/√3
(정답률: 알수없음)
  • R = Xc 일 때,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90도이므로 C 양단의 전압은 전압의 크기가 1/√2배가 됩니다. 따라서 Ec = E/√2가 됩니다.

    이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90도일 때, 유효전력은 0이 되고 피상전력만 존재하게 되는데,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압이 √2배 작아지면 피상전력은 1/2배가 되므로, 전압의 크기가 1/√2배가 되면 유효전력은 0이 되고 피상전력만 존재하게 됩니다. 이 때의 전압을 C 양단의 전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 - L 직렬회로에서 L = 0.2[H], R = 2[Ω ] 일 때, 이 회로의 시정수[sec]는?

  1. 10
  2. 5
  3. 1
  4. 0.1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수는 L/R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2/2 = 0.1초가 됩니다. 이유는 시정수는 RL 회로에서 전류가 안정화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 회로에서는 L과 R의 값이 작아서 전류가 빠르게 안정화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콜피츠 발진회로에서 L=200μH, C1=2200pF, C2=220pF일 때 발진주파수는 약 몇 kHz 인가?

  1. 600
  2. 800
  3. 1000
  4. 1200
(정답률: 알수없음)
  • 콜피츠 발진회로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 = 1 / (2π√(LC1C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 = 1 / (2π√(200×10-6×2200×10-12×220×10-12))

    f = 1 / (2π×2.2×10-6)

    f ≈ 720 kHz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발진주파수가 가장 근접한 값은 "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정전압회로에 많이 사용되는 소자는?

  1. 바랙터 다이오드
  2. 포토 다이오드
  3. 제너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제너 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며,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전압 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상전파 정류회로에서 출력측에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단, 입력은 AC 100V 60Hz 이다.)

  1. 60
  2. 120
  3. 180
  4. 360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전파 정류회로에서 출력측에 흐르는 전류의 주파수는 입력 주파수와 동일하므로 60Hz가 된다. 그러나 정류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의 반주기에서만 전류가 흐르므로, 전류가 흐르는 주기는 1/120초이다. 따라서, 1초당 전류가 흐르는 횟수는 120회가 되므로, 출력측 전류의 주파수는 12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의 회로에서 VAE 는 약 몇 V 인가?

  1. 400
  2. 423
  3. 564
  4. 1128
(정답률: 알수없음)
  • VAE는 VA와 VE의 차이이므로, VA와 VE를 각각 구해야 합니다.

    먼저 VA를 구해보겠습니다. VA는 R1과 R2를 통해 전압이 분배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A = V × R2 / (R1 + R2) = 12 × 6 / (6 + 6) = 6V

    다음으로 VE를 구해보겠습니다. VE는 R3과 R4를 통해 전압이 분배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E = V × R4 / (R3 + R4) = 12 × 3 / (3 + 3) = 6V

    따라서 VAE는 VA와 VE의 차이이므로, 6V - 0V = 6V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압이 12V에서 6V로 감소했으므로, 실제 VAE는 12V - 6V = 6V가 아니라 -6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V의 절댓값인 6V가 아니라, -6V를 2배한 값인 -12V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는 -12V가 없으므로, -12V를 2로 나눈 값인 -6V이 가장 근접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6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영상 증폭회로에서 피이킹 코일을 사용하는 목적은?

  1. 증폭도를 높이기 위하여
  2. 저역의 이득을 높이기 위하여
  3. 고역에서 이득이 감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 어느 특정한 주파수만의 이득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 증폭회로에서 피이킹 코일은 고역에서 이득이 감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고역에서의 이득 감쇠를 보상하여 전체적인 증폭도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B급 푸쉬풀 증폭기에서 트랜지스터의 부정합에 의한 찌그러짐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위상 찌그러짐
  2.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
  3. 변조 찌그러짐
  4. 바이어스 찌그러짐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푸쉬풀 증폭기에서는 NPN과 PNP 트랜지스터가 교대로 작동하면서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이때 두 트랜지스터의 부정합으로 인해 출력 신호가 찌그러지는 현상을 크로스 오버 찌그러짐이라고 합니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데, 이 지점에서 전류가 부드럽게 전달되지 않아 출력 신호가 왜곡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파형은 어떻게 나타내어 지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RC 회로로, 입력신호가 사다리꼴 모양으로 들어오면 출력신호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파형은 ""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N 접합의 페르미(Fermi)준위는? (단, 열평형 상태임)

  1. P형이 낮고, N형이 높다.
  2. P형이 높고, N형이 낮다.
  3. P형과 N형이 같다.
  4. 불순물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N 접합의 페르미 준위는 P형과 N형의 페르미 준위의 중간값이 된다. 이는 P형과 N형의 농도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P형과 N형이 같다."이다. 불순물의 양은 PN 접합의 특성을 결정하지만, 페르미 준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미터접지 증폭기에서 hfe=90, hoe=25×10-6℧, ZL=20kΩ 일 때 전류이득은 얼마인가?

  1. 30
  2. 40
  3. 6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님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님이득 = |전압증폭비| × |전류증폭비|

    전압증폭비는 hfe에 의해 결정되며, 전류증폭비는 hoe와 ZL에 의해 결정됩니다.

    전압증폭비 = -hfe = -90
    전류증폭비 = -hoe × ZL = -25×10-6 × 20×103 = -0.5

    따라서 전님이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님이득 = |-90| × |-0.5| = 45

    하지만, 이는 부호만 다른 전압증폭비와 전류증폭비를 곱한 것이므로, 전님이득의 부호는 양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에서 A=50V, B=10V이다. 변조도 m 은 몇 % 인가?

  1. 44.5
  2. 55.6
  3. 66.7
  4. 77.5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도 m은 (A-B)/(A+B)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10)/(50+10) x 100 = 40/60 x 100 = 66.7 이므로 정답은 6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은 회로는?

  1. 미분회로
  2. 적분회로
  3. 논리회로
  4. 펄스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적분회로"입니다.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마다 적분이 이루어지므로, 입력 신호의 면적이 출력 신호의 크기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이 크면 출력 신호도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반가산기(Half Adder)의 논리회로의 구성은?

  1. Exclusive OR회로 1개, AND회로 1개
  2. Exclusive OR회로 1개, OR회로 1개
  3. OR회로 1개, AND회로 2개
  4. OR회로 2개, AND회로 2개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입력 비트를 더하는 것과 같은 연산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자리올림이 발생하므로 AND 회로가 필요합니다. 또한, 두 비트가 같으면 합이 0이 되고, 다르면 합이 1이 되므로 Exclusive OR 회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반가산기의 논리회로 구성은 "Exclusive OR회로 1개, AND회로 1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Y는?

(정답률: 알수없음)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됩니다. A와 B가 모두 1인 경우는 "" 이므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록 계기의 기록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실선식
  2. 흡수식
  3. 자동 평형식
  4. 타점식
(정답률: 알수없음)
  • 기록 계기의 기록 방법 중 "흡수식"은 측정 대상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대상이 방출하는 물질을 흡수하여 그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기록 계기의 기록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주파수
  2. 위상
  3. 파형
  4. 회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의 시간적인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입니다. 따라서 회전수는 시간적인 변화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할 수 없습니다. 회전수는 회전계나 엔코더 등의 다른 계측기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류형 계기의 정류기 접속 방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방식은 전류를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접촉저항이 작아 전압강하가 적어 전압 안정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류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충전된 두 물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한 계기는?

  1. 가동코일형 계기
  2. 전류력계형 계기
  3. 유도형 계기
  4. 정전형 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충전된 두 물체 간에 작용하는 정전흡인력 또는 반발력은 전기적인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러한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양을 측정하는 계기를 정전형 계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전형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100배로 하기 위한 분류기의 저항은 전류계 내부 저항의 몇 배인가?

  1. 100 배
  2. 99 배
  3. 1/100 배
  4. 1/99 배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100배로 늘리기 위해서는 분류기가 전류의 99%를 차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분류기의 저항은 전류계 내부 저항의 99배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분류기가 차단하는 전류는 전체 전류의 99%가 되고, 전류계는 남은 1%의 전류만을 측정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99 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이크로파 측정에서 정재파 비가 2일 때 반사계수는?

  1. 1/2
  2. 1/3
  3. 1
  4. 2
(정답률: 알수없음)
  • 정재파 비가 2일 때, 반사계수는 1/3입니다. 이는 정재파 비가 2일 때, 전기장과 자기장의 크기가 각각 2배가 되기 때문에 전파의 에너지는 4배가 됩니다. 따라서, 반사된 전파의 에너지는 들어온 전파의 1/3이 되므로 반사계수는 1/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헤테로다인 주파수계에서 싱글 비트(single beat) 법보다 더블 비트(Double beat) 법이 좋은 이유는?

  1. 오차가 적다.
  2. 구조가 간단하다.
  3. 취급이 용이하다.
  4. 측정 주파수 범위가 넓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더블 비트(Double beat) 법은 두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기 때문에 싱글 비트(single beat) 법보다 오차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해액이나 접지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전원은?

  1. 직류 및 교류
  2. 맥류
  3. 직류
  4. 교류
(정답률: 알수없음)
  • 전해액이나 접지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전원은 "교류"입니다. 이는 교류 전원이 직류 전원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교류 전원은 주기적으로 방향이 바뀌는 전류를 생성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류 전원은 직류 전원보다 더 안정적이며, 높은 전압과 전류를 생성할 수 있어서 더 넓은 범위의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Wein Bridge는 무엇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가?

  1. 정전용량
  2. 인덕턴스
  3. 임피던스
  4. 역률
(정답률: 알수없음)
  • Wein Bridge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Wein Bridge 회로가 RC 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RC 회로는 전기적으로 충전 및 방전되는 정전용량을 포함하고 있으며, Wein Bridge 회로는 이러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Wein Bridge는 정전용량 측정에 가장 적합한 회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측정오차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적인 오차 : 읽는 사람에 따라 생기는 오차
  2. 우연오차 : 측정조건이 나쁘거나 측정자의 주의력 부족에서의 오차
  3. 계통적인 오차 : 일정한 원인, 눈금의 부정확, 외부자장 등에 의한 오차
  4. 이론적인 오차 : 측정조건의 변동, 측정자의 주의력 동요 등에 의한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이론적인 오차는 측정조건의 변동, 측정자의 주의력 동요 등에 의한 오차를 의미하는데, 이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이므로 개인적인 오차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인 오차 : 측정조건의 변동, 측정자의 주의력 동요 등에 의한 오차"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계수형 주파수계에서 1[㎳]의 게이트 시간동안에 240개의 펄스가 카운트 되었다면, 피측정 주파수는?

  1. 4.17[㎐]
  2. 41.7[㎐]
  3. 240[㎑]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는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주기의 수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주기를 구하고, 이를 시간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1[㎳]의 게이트 시간동안 240개의 펄스가 카운트 되었습니다. 이는 240개의 주기가 1[㎳] 동안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기는 1[㎳] / 240 = 4.17[μs] 입니다.

    주기를 시간으로 나누어주면 주파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초] / 4.17[μs] = 24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주파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 중 콘덴서를 사용하여 부하 전력의 전압 및 전류에 비례하는 양을 구하고, 열전쌍의 제곱 특성을 이용하여 부하 전력에 비례하는 직류 전류를 가동 코일형 계기로 측정하도록 한 전력계는?

  1. C-C형 전력계
  2. C-M형 전력계
  3. 볼로미터 전력계
  4. 의사 부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를 사용하여 부하 전력의 전압 및 전류에 비례하는 양을 구하고, 열전쌍의 제곱 특성을 이용하여 부하 전력에 비례하는 직류 전류를 가동 코일형 계기로 측정하는 방법은 C-C형 전력계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C형 전력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