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7-20)

압연기능장
(2003-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그림과 같은 스래브(slab)부품흠 결함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은?

  1. 트랙시간(track time)미달
  2. A1 점 이하의 뜨임처리
  3. 기공 및 가스의 집적
  4. 국부적인 압하량
(정답률: 66%)
  • 그림에서 보이는 스래브 부품의 결함은 A1 점 이하의 뜨임처리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A1 점 이하의 뜨임처리란, 슬래브 부품의 표면에 작은 구멍이나 흠집 등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슬래브 부품의 표면이 충분히 깨끗하게 처리되지 않거나, 제조 과정에서의 온도나 압력 등이 부적절하게 조절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 과정에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트랙시간 미달, 기공 및 가스의 집적, 국부적인 압하량도 스래브 부품 결함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결함은 A1 점 이하의 뜨임처리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압연속도(Rolling speed)와 마찰계수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2.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증가한다.
  3. 속도와 마찰계수는 관계없다.
  4.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89%)
  • 정답: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설명: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압연면과 교류하는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 이는 압연면과 교류하는 마찰력이 압연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간압연과 비교한 냉간압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제품치수가 정확하다.
  2. 압연재 표면이 깨끗하다.
  3.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얻는다.
  4.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85%)
  •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얻는 것은 냉간압연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냉간압연 시 압연재를 냉각하여 높은 강도와 경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냉간압연은 열간압연보다 압연재의 결함이 적고, 제품치수가 정확하며, 압연재 표면이 깨끗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얻는다."가 아닌 것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강을 열간가공할 때 고온에서 나타나는 고온취성의 주원인이 되는 원소는?

  1. H
  2. S
  3. Si
  4. P
(정답률: 76%)
  • 고온에서 나타나는 고온취성의 주원인은 황(S)입니다. 이는 황이 철과 결합하여 황화철을 생성하면서 발생합니다. 황화철은 철과 결합력이 강하고, 불순물과 함께 존재하면서 철의 물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고온취성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균열로의 가열작업에서 중요관리 항목인 트렉타임(Track Time)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용강주입 완료시부터 균열로 장입 완료까지의 시간
  2. 강괴의 가열시간
  3. 균열로 내 강괴개시부터 인출까지의 시간
  4. 균열로 내 로압 조정시간
(정답률: 76%)
  • 트렉타임(Track Time)은 균열로 내용물을 주입한 후 균열로를 닫을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강주입 완료시부터 균열로 장입 완료까지의 시간"이 정답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균열로 내용물을 주입한 후 균열로를 닫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utomatic Gauge Control(A.G.C)의 주 목적은?

  1. 판내 두께편차 조정
  2. 판내 성분편차 조정
  3. 판내 첨가성분 조정
  4. 판내 결함 조정
(정답률: 93%)
  • Automatic Gauge Control(A.G.C)의 주 목적은 판내 두께편차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일관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후판 압연에서 산화물(스케일)의 제거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압수 스프레이
  2. 공기 취입
  3. 소재 가열
  4. 표면 도장
(정답률: 86%)
  • 중후판 압연에서 산화물(스케일)은 매우 단단하고 접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비해 고압수 스프레이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스케일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이 자연적으로 산성성을 띄기 때문에 스케일의 화학적인 성분을 중화시켜 제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고압수 스프레이가 중후판 압연에서 산화물(스케일)의 제거장치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0.2% C 강의 표준 현미경 주 조직은?

  1. Pearlite + Ferrite
  2. Pearlite + Graphite
  3. Ferrite + Graphite
  4. Cementite + Graphite
(정답률: 87%)
  • 0.2% C 강은 저탄소 강으로, 탄소 함량이 낮기 때문에 주조직은 펄라이트와 페라이트로 구성됩니다. 펄라이트는 강의 주요 성분으로, 강의 경도와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페라이트는 펄라이트와 함께 존재하며, 강의 연성과 가공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0.2% C 강의 주 조직은 "Pearlite + Ferrit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강의 담금질 방법이 가장 옳은 것은?

  1. Ar'변태구역은 급냉시키고 Ar"변태구역은 서냉한다.
  2. Ar'변태구역은 서냉시키고 Ar"변태구역은 급냉시킨다.
  3. Ar' 및 Ar"변태구역 모두 서냉시킨다.
  4. Ar' 및 Ar"변태구역 모두 급냉시킨다.
(정답률: 78%)
  • 강의 담금질 방법에서는 먼저 급격한 냉각으로 변태구역을 형성한 후 서서히 냉각하여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이다. 따라서 "Ar'변태구역은 급냉시키고 Ar"변태구역은 서냉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라우드식 3단 압연기에서 압연 소요동력을 줄이고 작업효율을 좋게하기 위해서 상하롤에 비하여 중간롤의 크기는?

  1. 무관하다.
  2. 같게 한다.
  3. 작게 한다.
  4. 크게 한다.
(정답률: 91%)
  • 중간롤의 크기를 작게 하면 압연 시에 더 많은 압력이 상하롤에 집중되어 압연 소요동력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작은 중간롤이 더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단면도는 어떤 형식의 가열로인가?

  1. 푸셔식
  2. 워킹빔식
  3. 회전로상식
  4. 롤식
(정답률: 85%)
  • 이 그림은 롤식 가열로의 단면도입니다. 롤식 가열로는 재료를 롤 형태로 감아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그림에서도 재료가 롤 형태로 감겨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롤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배치식 가열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량생산에는 부적당하다.
  2. 특수한 치수를 가진 보조적 가열에 많이 사용한다.
  3. 노상을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식으로 가열 하는데 적합하다.
  4. 연속적으로 작업하기가 곤란하다.
(정답률: 87%)
  • "노상을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식으로 가열하는데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치식 가열로는 고정된 가열공간 안에서 물건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노상을 회전시켜 가열하는 방식은 회전식 가열로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배치식 가열로는 노상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열연 공장의 Run out table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냉각방법은?

  1. Spray cooling
  2. Lamina flow cooling
  3. Jet cooling
  4. Mist cooling
(정답률: 87%)
  • 열연 공장의 Run out table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냉각방법은 Lamina flow cooling입니다. 이는 냉각수가 금속판 위를 일정한 속도로 흐르면서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냉각수의 유동성이 낮아서 냉각수의 소비가 적고, 냉각수가 금속판 위를 일정한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냉각수의 유동성이 낮아서 냉각수가 금속판 위를 일정한 속도로 흐르면서 생기는 물결 현상이 적어서 제품의 표면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냉연강판에서 발생되는 결함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선상 Scale
  2. Dull mark
  3. Reel mark
  4. Blow hole
(정답률: 86%)
  • 냉연강판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선상 Scale", "Dull mark", "Reel mark"는 모두 강판의 표면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지만, "Blow hole"은 강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른 결함들과는 관련이 가장 먼 것입니다. "Blow hole"은 강판 제조 과정에서 공기나 기타 불순물이 강판 내부에 포함되어 생기는 구멍으로, 강판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염산 산세시 스케일층과 염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 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FeCl2
  2. H2O
  3. O2
  4. N2
(정답률: 86%)
  • 염산 산세시 스케일층과 염산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은 FeCl2, H2O, O2입니다. 이들은 염산과 반응하여 각각 FeCl3, Cl2, HCl을 생성하고, 이 중 일부가 다시 반응하여 FeCl2, H2O, O2를 생성합니다. 반면 N2는 이러한 반응에서 생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로 소형재 압연에 사용하며 역전(逆轉)가능한 원동기 또는 장치의 특징을 지닌 압연기는?

  1. Shearing step mill
  2. Reversing tow high mill
  3. Double stop low mill
  4. One pass mill
(정답률: 84%)
  • Reversing tow high mill은 역전 가능한 원동기를 사용하여 소형재 압연에 사용되는 압연기입니다. 이는 압연 작업 중에 원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있어서 압연된 재료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압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욱 정밀한 압연이 가능하며, 재료의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철과 강의 분류는 탄소 몇 % 를 기준으로 하는가?

  1. 약 2.0
  2. 약 3.0
  3. 약 4.9
  4. 약 6.7
(정답률: 80%)
  • 주철과 강의 분류는 탄소 함량이 기준입니다. 주철은 탄소 함량이 2.0% 이하인 것을, 강은 탄소 함량이 2.0% 이상 6.7% 이하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열연 롤의 일반적인 사용조건으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물로 충분히 냉각할 것
  2. 급격한 열팽창이 일어나지 않게 압연계획을 세울 것
  3. 국부적으로 집중하중이 장시간 걸리지 않게 할 것
  4. 크라운이나 테이퍼를 고려치 않고 롤면을 연삭할 것
(정답률: 92%)
  • 크라운이나 테이퍼는 롤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 차이를 의미합니다. 롤면을 연삭할 때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롤면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아지고,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라운이나 테이퍼를 고려하여 롤면을 연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압연속도와 압연재료
  2. 마찰계수와 윤활유
  3. 재료의 조성과 공구
  4. 롤의 규격 및 전, 후방 장력
(정답률: 88%)
  • 압연속도, 마찰계수, 윤활유, 롤의 규격 및 전, 후방 장력은 모두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그러나 재료의 조성과 공구는 냉간압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이것이 바뀌면 모든 다른 요인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조성과 공구는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핫 스트립 밀(hot strip mill)롤의 사용상 고려하여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압연유로 충분한 산화를 형성시킨다.
  2. 냉각수로 충분한 냉각을 한다.
  3. 급격한 열 팽창을 피한다.
  4. 국부적인 집중하중을 피한다.
(정답률: 88%)
  • "압연유로 충분한 산화를 형성시킨다."는 틀린 조건입니다. 압연유는 오히려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방지제가 첨가되어 있습니다. 이는 압연 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스트립 표면에 산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연유는 산화방지제가 충분히 첨가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압하율(%)을 나타내는 식은? (단, h1 은 압연 전, h2 는 압연 후의 두께임)

  1. h1-h2
  2. h1/(h1-h2) × 100
  3. (h1-h2)/h1 × 100
  4. (h1-h2)/(h2-h1) × 100
(정답률: 81%)
  • 압하율은 압연 전 후의 두께 차이를 압연 전 두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h1-h2)/h1 × 10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 후판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두께 45∼90mm, 폭 350∼500mm 의 판용강편은?

  1. Tin bar
  2. Slab
  3. Skelp
  4. Hoop
(정답률: 74%)
  • 판용강편은 중, 후판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데, 이는 큰 두께와 폭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두께가 45∼90mm, 폭이 350∼500mm인 판용강편을 만족하는 것은 "Sla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연소재의 두께가 60mm, 폭이 70mm인것을 압연하여 압연 후의 두께가 45mm,폭이 88mm이라고 하면 압하량 과 증폭량은?

  1. 15mm, 18mm
  2. 14mm, 10mm
  3. 12mm, 8mm
  4. 12mm, 14mm
(정답률: 80%)
  • 압연 전의 소재 부피와 압연 후의 소재 부피는 동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압연 전의 부피는 60mm x 70mm x t (t는 두께)이고, 압연 후의 부피는 45mm x 88mm x 60mm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두께의 압하량과 폭의 증폭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압연 전의 부피 = 압연 후의 부피
    60mm x 70mm x t = 45mm x 88mm x 60mm
    t = (45mm x 88mm x 60mm) / (60mm x 70mm)
    t = 18mm

    따라서, 두께는 18mm로 압연되었습니다. 이제, 폭의 증폭량을 구해보겠습니다.

    폭의 증폭률 = (압연 후의 폭 - 압연 전의 폭) / 압연 전의 폭 x 100%
    = (88mm - 70mm) / 70mm x 100%
    = 25.71%

    증폭률은 25.71%이므로, 압연 전의 폭에 25.71%를 곱해주면 압연 후의 폭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압연 후의 폭 = 압연 전의 폭 x (1 + 증폭률)
    = 70mm x (1 + 0.2571)
    = 88mm

    따라서, 폭은 88mm로 증폭되었습니다. 따라서, 압하량은 15mm이고, 증폭량은 18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압연전 두께 50mm, 폭이 50mm인 소재가 압연 후 두께 40mm, 폭이 60mm이라고 하면 감면비는 얼마인가?

  1. 0.66
  2. 0.78
  3. 0.88
  4. 0.96
(정답률: 72%)
  • 감면비는 (원래 넓이 - 압연 후 넓이) / 원래 넓이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50 x 50 - 40 x 60) / (50 x 50) = 0.96 이 됩니다. 즉, 원래 넓이 대비 96% 감소했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케일제거 작업 중 하천사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시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2. 코크스 연소에 의한 로저의 보온을 위해서
  3.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4. Cinder patch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정답률: 66%)
  • 하천사를 사용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스케일로 인해 파이프의 내부 지름이 줄어들면 유체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어 유속이 느려지고 시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천사를 사용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면 파이프의 내부 지름을 유지할 수 있어 유동성을 유지하고 유속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면이 65 × 6mm인 평철의 길이가 900mm일때 평철의 무게는 약 몇 ㎏인가? (단, 비중은 7.8로 한다.)

  1. 1.254
  2. 2.738
  3. 3.042
  4. 4.507
(정답률: 67%)
  • 평철의 부피를 구한 후, 부피에 비중을 곱하여 무게를 구할 수 있다.

    평철의 부피 = 단면적 × 길이
    = 65 × 6 × 900 (단위: mm³)

    비중은 7.8로 주어졌으므로, 무게 = 부피 × 비중 ÷ 1000 (단위: kg)

    무게 = 65 × 6 × 900 × 7.8 ÷ 1000
    = 2.738 (단위: kg)

    따라서, 정답은 "2.7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 윤활제는?

  1. 유지
  2. 광유
  3. 식물유
  4. 나프텐 계유
(정답률: 73%)
  •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 윤활제는 "유지"입니다. 이는 지방산과 글리세린이 유지의 주성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Hot strip mill 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완전 연속식
  2. 배치(batch) 식
  3. 반연속식
  4. 드리쿼터 연속식
(정답률: 80%)
  • 배치(batch) 식은 일정한 양의 원자재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공정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재료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연속적인 생산이 아니며,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완전 연속식, 반연속식, 드리쿼터 연속식은 모두 연속적인 생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괴 전도기의 설비에 속하는 것은?

  1. Plazma shear
  2. Block shear
  3. Trimming shear
  4. Approch table
(정답률: 81%)
  • 강괴 전도기에서는 강괴를 자르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강괴를 위치시키기 위해 강괴를 올려놓는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테이블을 "Approch table" 이라고 부르며, 강괴 전도기의 설비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인 "Plazma shear", "Block shear", "Trimming shear"는 강괴를 자르기 위한 장비들로, 강괴 전도기의 일부분이지만, 강괴를 위치시키는 테이블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판을 압연하는 경우 판이 활모양처럼 휘어지는 결함의 주 원인은?

  1. 롤 크라운을 적정하게 줄 때
  2. 적합한 압하를 부여할 때
  3. 과압하 또는 크라운 량이 부적절할 때
  4. 롤 윤활유를 사용할 때
(정답률: 85%)
  • 판을 압연할 때 과압하거나 크라운 량이 부적절하면 판이 불균형하게 압축되어 활모양처럼 휘어지는 결함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압하와 크라운 량을 유지하여 균형적인 압축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속도 공구강의 기호로 맞는 것은?

  1. STC 3
  2. STD 11
  3. STS 1
  4. SKH 51
(정답률: 77%)
  • 고속도공구는 경도가 높은 고품질의 강재로 만들어져야 하며, SKH 51은 일본의 고품질 공구강 중 하나로, 고속도공구에 적합한 경도와 내마모성, 내식성 등의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속도공구강의 기호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특급 방진마스크를 사용해야 할 경우는?

  1. 용수처리장
  2. 급수관
  3. 납분진
  4. 냉각장
(정답률: 88%)
  • 특급 방진마스크를 사용해야 할 경우는 납분진에서 작업할 때입니다. 납분진은 미세한 먼지와 화학물질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이러한 물질들은 호흡기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특급 방진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용수처리장, 급수관, 냉각장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적기 때문에 특급 방진마스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작업롤 직경이 1000mm인 압연기에서 작업롤 회전수가 100rpm 이었다. mpm 으로 환산하면 약 얼마인가?

  1. 3.14
  2. 31.4
  3. 314
  4. 3140
(정답률: 77%)
  • mpm은 분당 미터(meter per minute)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작업롤의 둘레인 1000mm를 회전하는 경우, 1회전당 이동거리는 1000mm이 됩니다. 이를 분당 미터로 환산하면 1000mm x 100rpm x 60분 ÷ 1000 = 60,000m/min이 됩니다. 이 값에서 소수점을 제외하면 31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열로의 열정산중에서 입열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기의 현열
  2. 연료의 현열
  3. 스케일의 현열
  4. 연료 무화제가 지입하는 열
(정답률: 89%)
  • 스케일의 현열은 가열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이 아닌, 가열로 내부에서 쌓이는 스케일(불순물)이 열전도를 방해하여 발생하는 열 손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열항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열간 압연용 윤활유가 구비해야 할 조건은?

  1. 압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할 것
  2. 고온에서 산화성과 우수한 윤활성일 것
  3. 압연 후 냉각수와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할 것
  4. 압연재와 롤에 녹이 생기지 않고 유막강도가 작아야 할 것
(정답률: 57%)
  • 압연 작업 중에는 압연재와 롤 사이에서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윤활유는 압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윤활유가 부족한 부분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높아져서 압연재와 롤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압연재의 표면을 손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윤활유는 압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강판을 열간압연할 때 압연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양쪽 방향으로 왕복 압연하는 것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
  2. 오렌지 필 효과(orange peel effect)
  3. 코트렐 효과(cottrel effect)
  4. 엘에스틱 효과(elastic effect)
(정답률: 92%)
  • 바우싱거 효과는 재료가 열간압연 과정에서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번갈아 가며 작용하면서 재료의 플라스틱 변형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강판을 열간압연할 때 압연 롤 사이에 재료를 통과시키면서 양쪽 방향으로 왕복 압연하는 과정에서 바우싱거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재료의 인장 강도와 연신율 등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제조 과정에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열간 압연 공장 중에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제품 폭을 만족시키 위하여 폭내기의 압연을 실시하는 공장은?

  1. 청정공장
  2. 박판공장
  3. 풀림공장
  4. 후판공장
(정답률: 77%)
  • 후판공장은 열간 압연 공정 중에서 폭내기 공정을 수행하는 공장으로, 수요자가 요구하는 제품 폭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후판공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냉간압연 공정의 순서를 나열한 것 중 옳은 것은?

  1. 냉간압연-표면청정-산세-조질 압연-풀림
  2. 풀림-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조질 압연
  3. 표면청정-조질 압연-냉간압연-풀림-산세
  4.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 압연
(정답률: 89%)
  • 정답은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 압연" 입니다.

    냉간압연 공정은 먼저 산세 공정을 거쳐서 원재료의 표면을 청소하고 부식물을 제거합니다. 그 다음으로 냉간압연을 진행하여 원재료를 압연합니다. 이후 표면청정을 다시 한번 거쳐서 압연 후 생긴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그리고 풀림 공정을 거쳐서 압연된 원재료를 풀어주고 마지막으로 조질 압연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두께와 모양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재료의 이송속도를 결정하는 레벨러와 시어 본체로 구성된 요동형 시어는?

  1. Stop cut shear
  2. Die cut shear
  3. Rotarying shear
  4. Flying shear
(정답률: 80%)
  • 요동형 시어는 재료를 자르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이 중에서 Flying shear는 이송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며, 재료를 정확하게 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Flying shear는 재료의 이송속도를 결정하는 레벨러와 시어 본체로 구성된 요동형 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양 가장자리(edge)를 제외한 부분의 Body crown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Roll의 휨
  2. Roll의 편평
  3. Roll의 평행도
  4. Roll의 속도
(정답률: 73%)
  • Roll의 휨은 양 가장자리(edge)를 제외한 부분의 Body crown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Roll의 휨은 롤러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힘으로 인해 원래 평평한 시트가 중앙에서 높아지고 양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태가 되는데, 이러한 형태가 Body crown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따라서 Roll의 휨은 Body crown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슬리브 조립식 롤에 있어서 몸체와 슬리브 사이의 슬립 발생에 의한 압연재의 판두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끼우는 면에 특수 접착제를 바른다.
  2. 슬리브와 롤 몸체 단부를 나사링으로 고정한다.
  3. 요철부에 크라운을 두어 편심 발생시에 복원성을 크게한다.
  4. 롤의 지름이 작아지면 목부를 선삭한 다음 슬리브를 뺀다.
(정답률: 70%)
  • 정답은 "롤의 지름이 작아지면 목부를 선삭한 다음 슬리브를 뺀다."입니다. 이유는 롤의 지름이 작아지면 슬리브와 몸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와 슬리브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목부를 선삭하고 슬리브를 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롤에서 나오는 압연재를 90° 회전 또는 옆의 공형으로 수평 이동시키거나 필요한 때에 압연재의 위치를 정정하는 장치는?

  1. Guide와 guard
  2. Edger
  3. Peening gear
  4. Manipulator
(정답률: 86%)
  • 압연재를 회전하거나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Manipulator라고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Guide와 guard, Edger, Peening gear는 압연재를 조작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Manipula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준금속(아금속)에 속하는 것은?

  1. Fe
  2. Si
  3. Mg
  4. Cd
(정답률: 77%)
  • 준금속(아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지는 원소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Si는 비금속 원소 중 하나이지만, 금속과 비금속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준금속(아금속)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탄소강의 물리적 성질은 탄소함유량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변하는데 탄소량 증가에 따라서 증가 되는 성질은?

  1. 열전도
  2. 비중
  3. 비열
  4. 열팽창계수
(정답률: 54%)
  • 탄소량이 증가하면 강철 내부의 결정 구조가 더욱 조밀해지고 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강철의 비중은 증가하지만, 비열은 강철 내부의 분자 운동이 제한되어 열 전달이 어려워져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탄소량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는 성질은 비중이며, 감소하는 성질은 비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을 용체화한 다음 자연시효 시킨 것은?

  1. T1처리
  2. T2처리
  3. T4처리
  4. T6처리
(정답률: 61%)
  •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은 열처리 과정을 거쳐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T4처리는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을 용체화한 다음, 공기 중에서 냉각시켜 자연시효를 주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합금 내부의 결정 구조가 안정화되어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을 T4처리하여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은백색의 취약한 금속이며 비중이 약 5.32, 융점이 약 958.5℃ 이고 반도체적 성질을 이용하여 전자공업에 많이 이용되는 금속은?

  1. Ge
  2. Al
  3. Pb
  4. Fe
(정답률: 78%)
  • Ge는 반도체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자공업에서 많이 이용되는 금속입니다. 또한, 융점이 958.5℃로 비교적 낮아 가공이 용이하며, 비중이 5.32로 가볍고 취약한 금속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G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500명이 근무하는 모회사에서 안전사고 6건에 8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이 회사의 재해 도수율은? (단, 연근로일수는 300일, 1일 근로시간은 8시간 임)

  1. 0.012
  2. 0.016
  3. 5.0
  4. 6.67
(정답률: 67%)
  • 재해 도수율 = (발생한 재해건수 × 200,000) / (총 근로자수 × 총 근로시간)

    여기서 발생한 재해건수는 6건, 재해자는 8명이므로 재해건수는 6건으로 계산한다.

    총 근로자수는 500명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총 근로시간을 구해야 한다.

    총 근로시간 = 500명 × 300일 × 8시간 = 1,200,000시간

    따라서, 재해 도수율 = (6 × 200,000) / (500 × 1,200,000) = 0.016

    하지만, 보기에서 정답이 "5.0" 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재해 도수율을 백분율로 변환해야 한다.

    재해 도수율 × 100 = 1.6

    따라서, 재해 도수율은 1.6%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입력신호, 타이머 및 카운터와 함께 사용되는 기능으로 신호가 입력 또는 만족될 경우 즉시 중단하고 미리 지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수행되며 지정된 프로그램이 완료됨과 동시에 전에 수행되던 프로그램 상태로 복귀하고 프로그램이 수행하도록 하므로써 긴급 및 비상업무처리 등을 위한 기능은?

  1. 시뮬레이션(simulation)
  2. 멀티프로세싱(multi-processing)
  3. 자기진단(self test)
  4. 인터럽터(interrupt)
(정답률: 79%)
  • 인터럽터는 입력신호, 타이머 및 카운터와 함께 사용되어 긴급 및 비상업무처리 등을 위한 기능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중단하고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 수행되며,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전에 수행되던 프로그램 상태로 복귀하여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터럽터는 긴급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압연 설비의 윤활에서 롤링 밀의 피니언 기어에 적합한 윤활법은?

  1. 그리스 법
  2. 충전 법
  3. 스플래시 법
  4. 자연적하 법
(정답률: 48%)
  • 스플래시 법은 윤활유를 롤링 밀의 피니언 기어에 직접 뿌리는 방법으로, 윤활유가 기어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윤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 설비에서는 스플래시 법이 가장 적합한 윤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AD시스템의 입력장치 중 좌표나 위치정보의 입력에 사용되는 것은?

  1. 테블릿(tablet)
  2. 플로터(plotter)
  3. 프린터(printer)
  4. 하드카피장치(hard copy unit)
(정답률: 85%)
  • 테블릿은 펜이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직접 그림이나 글씨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좌표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CAD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압장치에서 동작유의 오염은 기름을 손상시키므로 기기속에 혼입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패킹
  2. 밸브
  3. 축압기
  4. 스트레이너
(정답률: 90%)
  • 스트레이너는 유압장치에서 동작유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기름을 손상시키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스트레이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

  1. 압연 중 온도의 저하
  2. 롤의 마모 및 절손
  3. 스케일 생성량의 급격한 증대
  4. 형상의 불량
(정답률: 81%)
  • 스케일 생성량의 급격한 증대는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이 아닙니다. 스케일 생성량은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스케일은 금속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으로, 이는 금속의 표면을 보호하지만, 형상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케일 생성량의 증가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합금의 평형 상태도는 어떤 요소에 의해서 표시된 선도인가?

  1. 부피와 중량
  2. 농도와 온도
  3. 비중과 색깔
  4. 시간과 비열
(정답률: 74%)
  • 합금의 평형 상태도는 농도와 온도에 의해서 표시됩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원소 농도와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합금의 상태도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농도는 합금 내부의 원소 비율을 나타내며, 온도는 합금 내부의 분자 운동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농도와 온도가 변화하면 합금의 상태도도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테인리스강 중 오스테나이트계 성분인 것은?

  1. 크롬18%-니켈8%
  2. 크롬8%-주석18%
  3. 크롬17%-망간9%
  4. 크롬13%-납8%
(정답률: 91%)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과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강재입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성분인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이 함유된 합금입니다. 따라서, "크롬18%-니켈8%"가 오스테나이트계 성분인 스테인리스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67%)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평균값과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 결과가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의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나타내는 지표인 정확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취급되어야 할 대상설비의 결정
  2. 정비작업에서 점검시기의 결정
  3. 대상설비 점검개소의 결정
  4.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
(정답률: 91%)
  • 예방보전의 기능은 대상설비의 결정, 점검시기 결정, 대상설비 점검개소 결정과 같은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여 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상설비의 외주이용도 결정은 예방적인 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으로, 예방보전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리한계선을 구하는데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관리선을 구하는 관리도는?

  1. Pn 관리도
  2. U 관리도
  3. 관리도
  4. X 관리도
(정답률: 54%)
  •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성공횟수 X가 따르는 분포이다.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이다. 이항분포에서 성공확률 p는 제품의 불량률로 해석할 수 있으며, n은 샘플링한 제품의 수이다. Pn 관리도는 이항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상한선과 하한선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이 허용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Pn 관리도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관리하는 관리도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로트(Lot)수를 가장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1회 생산수량을 의미한다.
  2.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
  3. 생산목표량을 기계대수로 나눈 것이다.
  4. 생산목표량을 공정수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72%)
  • 로트(Lot)수는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즉, 한 번의 생산에서 몇 개의 제품을 만들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제조회수를 표시하는 개념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데이터를 보고 편차 제곱합(S)을 구하면? (단, 소숫점 3자리까지 구하시오.)

  1. 0.338
  2. 1.029
  3. 0.114
  4. 1.014
(정답률: 62%)
  • 편차 제곱합(S)은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한 값들의 합입니다.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 평균값 | 차이 | 차이의 제곱 |
    |--------|--------|------|-------------|
    | 2 | 3.5 | -1.5 | 2.25 |
    | 3 | 3.5 | -0.5 | 0.25 |
    | 4 | 3.5 | 0.5 | 0.25 |
    | 5 | 3.5 | 1.5 | 2.25 |

    이제 차이의 제곱을 모두 더하여 편차 제곱합(S)을 구합니다.

    S = 2.25 + 0.25 + 0.25 + 2.25 = 5.00

    따라서, 편차 제곱합(S)은 5.000이 됩니다.

    정답이 "1.029" 인 이유는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계산 과정에서 소숫점 이하 자리를 버리거나 반올림하는 등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값이 아닌 근사값으로 계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정 도시기호중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 도시기호는?

(정답률: 74%)
  • 보조 도시기호 ""는 공정계열의 일부를 생략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기호는 공정계열 중에서도 "기계"를 나타내는 "M"을 생략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