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압연기능장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기체연료 중 발열량(Kcal/Nm3)이 가장 높은 것은?

  1. 천연가스
  2. 고로가스
  3. 전로가스
  4. 코크스가스
(정답률: 83%)
  • 천연가스는 메탄(CH4)을 주성분으로 하며, 다른 기체연료들보다 발열량이 높습니다. 이는 메탄 분자 내에 저장된 결합 에너지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천연가스는 다른 기체연료들과 달리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화석연료 중에서 가장 깨끗한 연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연소반응에서 1Kg의 탄소[C]가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몇 Nm3인가? (단, C:12, 공기 중 산소량:21%, 2C + O2= 2CO)

  1. 0.93
  2. 1.87
  3. 4.44
  4. 8.88
(정답률: 55%)
  • 2C + O2 = 2CO에서 2몰의 탄소가 1몰의 산소와 반응하여 2몰의 이산화탄소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1Kg의 탄소가 연소하려면 1/12 몰의 탄소가 필요하며, 이에 필요한 산소량은 1/6 몰입니다. 공기 중 산소량이 21%이므로, 이론 공기량은 1/(0.21/0.06) = 0.2857 Nm3입니다. 따라서 1Kg의 탄소가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0.2857 x 12 = 3.4284 Nm3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3.4284를 반올림하여 3.4로 계산하고, 이를 1Kg으로 환산하여 3.4 x 1000/12 = 283.3 Nm3을 구합니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4.4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간압연 공장의 작업지시서는 Roll단위 형성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압연하도록 되어 있다.Roll단위 편성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 후공정(가열, 압연, 정정)의 부하 배분
  2. 제품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
  3. 제품의 폭
  4. 조정재
(정답률: 70%)
  • 작업지시서는 Roll단위 형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압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Roll단위 형성은 제품의 폭과 조정재를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전, 후공정의 부하 배분은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이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냉연박판의 압연공정이 바르게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냉간압연-산세-표면청정-풀림-조질압연-전단리코일
  2.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압연-전단리코일
  3. 표면청정-산세-냉간압연-조질압연-풀림-전단리코일
  4. 조질압연-냉간압연-산세-표면청정-풀림-전단리코일
(정답률: 84%)
  • 냉연박판의 생산 과정은 산세(산화처리) → 냉간압연(압연) → 표면청정(파손된 부분 제거) → 풀림(평탄화) → 조질압연(두께 조절) → 전단리코일(재단) 순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압연-전단리코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후판 압연기에서 압연 중 피압연재인 날판의 머리부분이 밑으로 굽어서 하부 Bending Roller Table Roller에 충격을 주고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대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재(Slab)하부 온도를 상향 조정한다.
  2. 하부작업롤(Work Roll)에 직경이 상부보다 큰 롤을 사용한다.
  3. 패스라인(Pass Line)을 하향(낮게)조정한다.
  4. 하부작업롤(Work Roll)속도를 초기 순간가속 시킨다.
(정답률: 78%)
  • "하부작업롤(Work Roll)에 직경이 상부보다 큰 롤을 사용한다."는 옳은 대책이다. 하지만 "패스라인(Pass Line)을 하향(낮게)조정한다."는 옳지 않은 대책이다. 패스라인은 압연기에서 소재가 통과하는 경로를 말하며, 패스라인을 하향 조정하면 소재의 위치가 낮아져서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라인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분괴압연에서 압연전,후 재료의 두께 h1=200mm, h2=150mm, 폭 b1=250mm, b2=262mm, 길이 L1=2000mm, L2=2545mm이다. 이 때 Spread 계수는?

  1. 0.750
  2. 1.048
  3. 1.273
  4. 1.00
(정답률: 55%)
  • Spread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pread 계수 = (h1 + h2) / (2 * h1) * (b1 + b2) / (2 * b1) * (L1 + L2) / (2 * L1)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Spread 계수 = (200 + 150) / (2 * 200) * (250 + 262) / (2 * 250) * (2000 + 2545) / (2 * 2000) = 1.048

    따라서, 정답은 "1.048"입니다. 이유는 주어진 값들을 Spread 계수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나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압연작업시 롤직경을 D, 압하량을 △h라 할 때 접촉투영 길이 Ld는 어떻게 나타내는가?

  1. Ld= D × △h
(정답률: 58%)
  • 압연작업시 롤과 금속판 사이에는 접촉이 발생하며, 이 접촉면은 롤의 표면과 금속판의 표면이 만나는 선분으로 나타난다. 이 선분의 길이를 접촉투영 길이(Ld)라고 한다. 롤직경(D)과 압하량(△h)이 주어졌을 때, 접촉면의 형상은 롤의 원통형상과 금속판의 평면형상이 결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접촉면의 길이는 롤의 원주와 금속판의 폭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롤의 원주는 D × π 이므로, 접촉투영 길이(Ld)는 D × π × 금속판의 폭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롤과 금속판 사이에는 압력이 작용하므로, 접촉면이 약간 변형되어 롤과 금속판 사이의 거리가 △h 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접촉투영 길이(Ld)는 D × △h × 금속판의 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압연작업시 최초 높이 H0, 폭 B0, 길이 L0의 재료가 압연 후 높이 H1, 폭 B1, 길이 L1으로 변하였다. 이 때 H0/H1 × B0/B1 × L0/L1는 얼마가 되는가? (단, 압연재는 비 압축성 재료이다.)

  1. 0
  2. 1
  3. 2
  4. 5
(정답률: 78%)
  • 압연 작업은 부피 보존 법칙에 따라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H0 × B0 × L0 = H1 × B1 × L1이 성립합니다. 이를 식으로 변형하면, H0/H1 × B0/B1 × L0/L1 =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연코일상에 발생한 스케일은 모재(Fe)에 산화철로서 3개층을 형성하고 있다.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형성되는 산화철층의 순서가 맞는 것은?

  1. FeO→ Fe3O4→ FeO
  2. FeO→ Fe2O3→ FeO
  3. FeO→ Fe3O4→ Fe2O3
  4. FeO→ Fe2O3→ Fe3O4
(정답률: 87%)
  • 정답은 "FeO→ Fe3O4→ Fe2O3" 입니다.

    열연코일상에서 발생한 스케일은 고온에서 산화작용이 일어나서 형성됩니다. 이때, 모재(Fe)와 산소(O2)가 반응하여 FeO가 먼저 형성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FeO와 Fe가 반응하여 Fe3O4가 형성됩니다. 마지막으로는 Fe3O4가 더 많은 산화작용을 받아 Fe2O3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산화철층의 순서는 FeO→ Fe3O4→ Fe2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소에 필요한 조건 중 틀린 것은?

  1. 연소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것
  2. 착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것
  3. 완전 연소에 충분한 시간을 줄 것
  4. 연료의 온도를 낮추어줄 것
(정답률: 89%)
  • 연료의 온도를 낮추어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연소에는 연료, 산소, 열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료의 온도를 낮추면 연소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오히려 연소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연료를 착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냉연강판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표면이 미려하다.
  2. 제품의 치수가 균일하다.
  3. 두껍고 값이 싸다.
  4. 박강판의 제조가 가능하다.
(정답률: 87%)
  • 냉연강판은 표면이 미려하고 제품의 치수가 균일하며 박강판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지만, 두껍고 값이 싸다는 특징은 아니다. 오히려 냉연강판은 얇고 경제적인 재질로 사용되기 때문에 두껍고 값이 싸다는 특징은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셀룰로이드 용액을 검사부에 용해시켜 강재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1. 파면검사법
  2. 썸프(sump)법
  3. 부식법
  4. 타진법
(정답률: 82%)
  • 셀룰로이드 용액은 강재의 결함 부위에 스프레이하여 침투시키고, 이후 검사부에 썸프를 이용하여 용액을 모으면 결함 부위에서는 용액이 모이지 않고, 결함이 없는 부위에서는 용액이 모이는 원리를 이용하여 강재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 썸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냉간압연 제품은?

  1. Foil
  2. Slab
  3. Billet
  4. Bloom
(정답률: 81%)
  • Foil은 얇은 두께의 금속 시트로, 냉간압연 방법으로 생산됩니다. Slab, Billet, Bloom은 모두 냉간압연이 아닌 열간압연 방법으로 생산되는 금속 제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oi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윤활유의 열화(劣化)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1. 점도(粘度)
  2. 유화도(乳化度)
  3. 잔류탄소(殘留炭素)
  4. 전산가(全酸價)
(정답률: 80%)
  • 윤활유의 열화(劣化)정도는 윤활유 내의 산화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측정됩니다. 이때, 산화물질은 윤활유 내의 불순물로서 산성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윤활유의 열화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윤활유 내의 산성성분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전산가(全酸價)는 윤활유 내의 산성성분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전산가를 측정함으로써 윤활유의 열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열로에서 페가스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설비는?

  1. Collertor
  2. 페가스Boiler
  3. Recuperator
  4. Generator
(정답률: 82%)
  • Recuperator는 가열로에서 페가스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설비입니다. 이는 페가스와 연소공기 사이의 열을 회수하여 연소공기를 예열하고, 이를 통해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ecuperato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압연에서 가열로작업의 열전달방법이 아닌 것은?

  1. 전도
  2. 방열
  3. 대류
  4. 복사
(정답률: 83%)
  • 압연에서 가열로 작업 중 방열은 열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열전달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후판 압연에서 산화물(스케일)의 제거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고압수 스프레이
  2. 공기 취입
  3. 소재 가열
  4. 표면 도장
(정답률: 92%)
  • 중후판 압연에서 산화물(스케일)은 매우 단단하고 접착력이 강하여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압력과 물의 충격적인 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압수 스프레이가 가장 적합한 제거장치입니다. 고압수 스프레이는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물의 충격적인 힘으로 스케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압수 스프레이는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며, 다른 제거장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열연(hot strip mill)에서 압연중에 생기는 처짐을 제어하는 장치는?

  1. 루우퍼(looper)
  2. 사이드 가이드(side guide)
  3. 권취기
  4. 스트립퍼어 가이드(stripper guide)
(정답률: 62%)
  • 열연 중에는 금속이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처짐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처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압연 중에 금속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루우퍼(looper)가 사용됩니다. 루우퍼는 금속 스트립을 일정한 속도로 유지하면서 처짐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스트립이 루우퍼에 들어오면 루우퍼는 스트립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스트립이 출발할 때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유지합니다. 이를 통해 압연 중에 발생하는 처짐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은 지름 롤의 이용과 롤 축에 의한 크라운 교정이 유효한 냉간압연기로 데라 압연기라고도 하는 롤의 배치는?

  1. 2 단식
  2. 5 단식
  3. 6 단식
  4. 다단식
(정답률: 65%)
  • 데라 압연기는 작은 지름 롤을 이용하여 냉간압연을 수행하는데, 이때 롤 축에 의한 크라운 교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롤의 배치는 5 단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5 단식은 상, 하, 좌, 우, 중앙에 롤이 위치하여 롤 축에 의한 교정이 용이하며,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데라 압연기에서는 5 단식 롤 배치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연용 가열로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균일 가열
  2. 충분한 가열
  3. 최대한의 열경제성
  4. 산화성 가열
(정답률: 84%)
  • 압연용 가열로는 재료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충분히 가열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최대한의 열경제성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산화성 가열은 재료를 산화시키는 과정으로, 압연용 가열로의 목적과는 상반되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냉간 압연기의 판후(板厚)제어장치는?

  1. load cell
  2. X-ray
  3. A.G.C
  4. L.V.D.T
(정답률: 82%)
  • 냉간 압연기의 판후(板厚)제어장치는 A.G.C(자동판두께조절장치)입니다. A.G.C는 압연 중에 발생하는 변형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롤의 간격을 조절하여 판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장치입니다. 따라서 판의 두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A.G.C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균열로의 공통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

  1. 강괴를 국부 가열하여야 한다.
  2. 연소실을 여유있게 한다.
  3. 노내 분위기 제어가 쉬어야 한다.
  4. 조로 계획을 세워야 한다.
(정답률: 79%)
  • 강괴를 국부 가열하는 것은 균열 형성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연소실을 여유있게 하는 것은 균열 형성에 필요한 시간과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입니다. 노내 분위기 제어가 쉬어야 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한 것이며, 조로 계획을 세우는 것은 균열 형성에 필요한 재료와 장비를 준비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강괴를 국부 가열하는 것이 균열 형성에 필요한 공통적인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열로의 열정산시 출열의 항목에 해당되는 것은?

  1. 스케일의 현열
  2. 연료의 현열
  3. 공기의 현열
  4. 연료 연소열
(정답률: 76%)
  • 가열로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스케일이 생성됩니다. 이 스케일은 가열로 내부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출열의 항목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케일의 현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질화처리한 강의 표면경도가 높은 이유는?

  1. 질화처리후 담금질에 의해 조직이 변하기 때문에
  2. 질소를 흡수하여 질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3. 질화층이 깊고, 인성이 있기 때문에
  4. 내부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정답률: 66%)
  • 강의 표면에 질소를 처리하면 질소가 강의 표면에 흡수되어 질화물을 형성합니다. 이 질화층은 깊고 인성이 있어서 강의 표면을 보호하고 내부경도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강의 표면경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순철은 1539° 에서 응고하여 실온까지 냉각하는 변태 중 γ-Fe가 α -Fe로 되는 변태는?

  1. A1
  2. A2
  3. A3
  4. Ao
(정답률: 59%)
  • 순철이 1539°에서 응고하면, 우선 첫 번째로 γ-Fe가 형성됩니다. 이후 순철이 냉각되면서 γ-Fe가 α-Fe로 변태합니다. 이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를 A3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복점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는 재료로서 항복점 대신에 0.2%의 영구 스트레인이 발생할 때의 응력은?

  1. 항복강도
  2. 인장강도
  3. 내력
  4. 비례한도
(정답률: 64%)
  • 재료의 항복점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을 때, 영구 스트레인이 발생하는 응력을 내력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가 일정한 응력 하에서 변형이 계속되어도 복원력을 가지고 변형을 일으키기 전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항복점 대신에 내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이 와이어 로우프로 무거운 물건을 매달 때 로우프에 가장 힘이 적게 드는 각도는?

(정답률: 81%)
  • 로우프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같은 크기이며, 로프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중력의 수직 성분이 작아지기 때문에 로우프에 작용하는 힘이 적어진다. 따라서, 로프에 가장 힘이 적게 드는 각도는 0도, 즉 수직인 경우이다.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완성 압연온도의 연신율에 대한 그림이다. D의 조직은?

  1. 정립조직
  2. 표층만의 조대립
  3. 혼립조직
  4. 냉간가공 조직
(정답률: 75%)
  • 압연온도가 높아질수록 연신율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고온에서는 금속의 결정구조가 변화하여 더 많은 결정핵이 생성되어 결정성장이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연 후 냉각하는 경우에는 연신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냉간가공 조건에서는 금속의 조직이 혼립조직에서 냉간가공 조직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간가공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간압연에 사용되는 윤활유의 조건 중 틀린 것은?

  1. 유막강도가 클 것
  2. 압연재의 탈지성이 양호할 것
  3. 유성이 작고 에멀션화성이 없을 것
  4. 소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할 것
(정답률: 86%)
  • 윤활유의 유성이 작고 에멀션화성이 없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유성이 작고 에멀션화성이 없는 윤활유는 소재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미끄러지기 쉬워서 압연 과정에서 적절한 윤활성을 제공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윤활유는 유성이 적당하고 에멀션화성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압연 온도 조정으로 최종패스(pass) 온도를 낮게 하여 재료의 성질을 개선하는 압연 방법은?

  1. 조압연
  2. 분괴압연
  3. 조정압연
  4. 크로스압연
(정답률: 69%)
  • 조정압연은 압연 과정에서 최종패스 온도를 조절하여 재료의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재료의 결함을 줄이고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압연 온도 조정으로 최종패스 온도를 낮게 하여 재료의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압연속도와 압연재료
  2. 마찰계수와 윤활유
  3. 재료의 조성과 공구
  4. 롤의 규격 및 전, 후방 장력
(정답률: 90%)
  • 압연속도, 마찰계수, 윤활유, 롤의 규격 및 전, 후방 장력은 모두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그러나 재료의 조성과 공구는 냉간압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이것이 바뀌면 모든 다른 요인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조성과 공구는 냉간압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간압연기에 계산기 제어를 채용하였을 때의 효과 중 틀린 것은?

  1.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2. 생산성이 향상된다.
  3. 조작미스는 감소하나 압연재의 파단은 증가한다.
  4. 실효율이 향상된다.
(정답률: 93%)
  • "조작미스는 감소하나 압연재의 파단은 증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냉간압연기에 계산기 제어를 채용하면 제품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조작미스가 감소하고 실효율이 향상됩니다. 또한, 계산기 제어는 압연재의 파단을 예방하고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연재의 파단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후판의 압연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스케일제거-강편가열-압연-냉각-교정-절단
  2. 강편가열-스케일제거-압연-교정-냉각-절단
  3. 스케일제거-강편가열-교정-압연-절단-냉각
  4. 강편가열-스케일제거-교정-압연-절단-냉각
(정답률: 83%)
  • 정답은 "강편가열-스케일제거-압연-교정-냉각-절단" 입니다.

    먼저 강재를 가열하여 연성을 높이고, 스케일(산화물)을 제거합니다. 그 후 압연을 통해 강재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고, 교정을 통해 강재의 편평도와 굽힘을 조절합니다. 그 다음 냉각을 통해 강재를 냉각시켜 강도를 높이고, 마지막으로 절단을 통해 원하는 길이로 자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최종적으로 원하는 형태와 길이의 강재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압연재의 정정에 이용되는 열간 스카핑 머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균일하고 평탄한 손질면을 얻는다.
  2. 손질 깊이 조정이 용이하다.
  3. 냉간스카프에 비해 산소 소비량이 많다.
  4. 작업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84%)
  • 열간 스카프 머신은 압연재의 표면을 균일하고 평탄하게 손질할 수 있으며, 손질 깊이를 조정하기 쉽고 작업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냉간 스카프에 비해 산소 소비량이 많은 이유는, 열간 스카프 머신은 고온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소 소비량이 냉간 스카프에 비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연에서 소재를 물어들이는 최대의 접촉각은?

  1. 미끌림각
  2. 후진각
  3. 물림각
  4. 전단각
(정답률: 82%)
  • 압연에서 소재를 물어들이는 최대의 접촉각은 물림각입니다. 이는 소재가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압력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림각이 가장 크게 형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소재를 압연할 때 최대한 효율적으로 압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연유의 급유방식 중 순환방식의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직접방식에 비하여 냉각효과가 훨씬 좋다.
  2. 폐유처리 설비가 적은 용량의 것으로 가능하다.
  3. 윤활성능이 우수한 압연유의 사용이 쉽다.
  4. 박판 고속 압연에는 활용할 수 없다.
(정답률: 67%)
  • 순환방식은 압연유를 계속해서 순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한 압연유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유처리 설비가 적은 용량의 것으로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열간압연 박판의 절단작업에서 Strip의 양쪽면을 절단하는 설비는?

  1. 엔코일러(Un Coiler)
  2. 레벨러(Leveller)
  3. 사이드리이머(Side Reamer)
  4. Flying Shear
(정답률: 80%)
  • 사이드리이머는 열간압연 박판의 절단작업에서 Strip의 양쪽면을 절단하는 설비입니다. 이는 Strip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다듬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후 다른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사이드리이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수직롤과 수평롤로 구성되어지는 압연기의 형식은?

  1. 플라네터리 압연기
  2. 스테켈식 압연기
  3. 센지미어식 압연기
  4. 유니버어설 압연기
(정답률: 68%)
  • 수직롤과 수평롤로 구성되어지는 압연기 중에서 유니버어설 압연기는 다양한 재질과 두께의 금속재료를 압연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나며, 압연력과 속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생산량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괴의 정정회수율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강괴/압연강편
  2. 압연강편/소재강편
  3. 합격강편/압연강편
  4. 압연강편/강괴
(정답률: 56%)
  • 분괴의 정정회수율은 분괴된 제품을 재검사하여 다시 합격한 제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분괴된 제품을 재검사하여 합격한 제품의 비율이 높을수록 정정회수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합격강편/압연강편"이 정답인 이유는, 분괴된 강괴를 재검사하여 합격한 강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분괴된 압연강편을 재검사하여 합격한 압연강편의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연강편/강괴"와 같이 강괴가 포함된 보기는 분괴된 강괴를 재검사하여 합격한 강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압연재가 롤에 쉽게 치입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옳은 것은?

  1. 압하량이 커야 한다.
  2. 롤 직경이 작아야 한다.
  3. 마찰계수가 작아야 한다.
  4. 치입각이 작아야 한다.
(정답률: 61%)
  • 압연재가 롤에 쉽게 치입이 되기 위해서는 치입각이 작아야 합니다. 이는 압연재가 롤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압하량이 분산되어 압연재가 롤에 더 쉽게 치입이 됩니다. 따라서 치입각이 작을수록 압연재의 치입이 용이해지며, 롤의 표면 손상도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관재 압연기에서 관의 불균일한 두께를 수정하고 관 내외면의 요철면과 흠집을 눌러서 펴지게 하는 장치는?

  1. 플라그 밀
  2. 리일러
  3. 성형기
  4. 레듀우서
(정답률: 53%)
  • 리일러는 관재 압연기에서 관의 불균일한 두께를 수정하고 관 내외면의 요철면과 흠집을 눌러서 펴지게 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관련이 없거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은 리일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D/CAM은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제도 및 제작을 의미하며 주 기능은 제도 및 설계작업 그리고 제품의 생산가공에 있는데 CAD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가공용해
  2. 기획구상
  3. 상세설계
  4. 기본설계
(정답률: 88%)
  • CAD는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작업을 의미하는데, 가공용해는 제품의 생산가공에 해당하는 기능입니다. 기획구상과 상세설계는 제품 개발 초기에 필요한 설계작업이며, 기본설계는 제품의 기본적인 구조나 형태를 결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가공용해는 CAD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제품의 생산가공에 해당하므로 CAD 기능에 속하지만, 나머지 보기들은 CAD 기능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생산 라인의 입력부에 접속되는 외부기기가 아닌 것은?

  1. 엔코더
  2. 푸시버턴
  3. LED
  4. 근접스위치
(정답률: 80%)
  • LED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출력 기기이기 때문에 자동생산 라인의 입력부에 접속되는 외부기기가 아닙니다. 엔코더, 푸시버턴, 근접스위치는 모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

  1. 압연 중 온도의 저하
  2. 롤의 마모 및 절손
  3. 스케일 생성량의 급격한 증대
  4. 형상의 불량
(정답률: 85%)
  • 스케일 생성량의 급격한 증대는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이 아닙니다. 스케일 생성량은 가열온도가 낮거나 충분히 균열되어 있지 않을 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스케일은 금속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으로, 이는 금속의 표면을 보호하지만, 형상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케일 생성량의 증가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롤 중 내마멸성이 가장 좋은 것은?

  1. 칠드로울
  2. 주강로울
  3. 단강로울
  4. 샌드강로울
(정답률: 76%)
  • 칠드로울은 내마멸성이 가장 좋은 롤 중 하나입니다. 이는 칠드로울이 공격력과 방어력을 모두 강화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칠드로울을 처치하면 적에게 추가적인 골드와 경험치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게임에서 큰 이점을 가져다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출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디지타이저
  2. 프린터
  3. 플로터
  4. 모니터
(정답률: 82%)
  • 디지타이저는 입력 장치이며, 다른 보기들은 출력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개 또는 상호 다른 여러개의 열쇠를 사용할 때 전체의 열쇠가 열리지 않으면 기계가 조작되지 않는 록기구는?

  1. 인터록(INTERLOCK)
  2. 키이록(KEYLOCK)
  3. 키타입 인터록(KEY-TYPE INTERLOCK)
  4. 타이밍록(TIMING LOCK)
(정답률: 64%)
  • 키이록(KEYLOCK)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열쇠를 사용하여 기계를 조작할 때, 모든 열쇠가 맞아야만 기계가 작동하는 록기구입니다. 따라서, 전체의 열쇠가 열리지 않으면 기계가 조작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 구조용강의 KS 규격의 재료 기호로 맞는 것은?

  1. STC3
  2. SM45C
  3. GC 400
  4. SACM415
(정답률: 80%)
  • KS 규격에서 "S"는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M"은 열연 강판을 의미합니다. "45"는 탄소량을 나타내며, "C"는 탄소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M45C는 KS 규격의 구조용강 중 탄소강으로 분류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순철의 자기변태점은?

  1. A4 변태점
  2. A3 변태점
  3. A2 변태점
  4. A1 변태점
(정답률: 62%)
  • 순철은 자신이 좋아하는 여성의 머리카락을 자주 만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A2 변태점에 해당하는데, A2 변태점은 머리카락, 피부, 의류 등의 부드러운 소재에 대한 성적인 흥분을 느끼는 변태적 성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변의 화염, 전기불꽃 등의 발화원이 없는 물질을 공기 중에서 가열했을 때 발화 또는 폭발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발화점
  2. 인화점
  3. 폭발점
  4. 연소점
(정답률: 73%)
  • 발화점은 공기 중에서 가열된 물질이 발화 또는 폭발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변의 화염, 전기불꽃 등의 발화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물질이 발화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온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발화점"이라고 합니다. 인화점은 물질이 불꽃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폭발점은 물질이 폭발을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연소점은 물질이 연소를 일으키는 최저온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재해 예방의 4원칙이 아닌 것은?

  1. 예방가능의 원칙
  2. 사고지연의 원칙
  3. 원인연계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정답률: 88%)
  • 사고지연의 원칙은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재해 예방의 4원칙 중에서 사고지연의 원칙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테인리스강의 분류를 구성조직으로 분류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시그마형
  2. 오스테나이트형
  3. 페라이트형
  4. 마텐자이트형
(정답률: 85%)
  • 정답은 "시그마형"입니다. 시그마형은 스테인리스강의 결정조직 중 하나로, 고온에서 발생하는 석출경화로 인해 발생하는 결정조직입니다. 구성조직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열팽창계수가 가장 적은 니켈(Ni) 합금은?

  1. 백동
  2. 인바
  3. 모넬
  4. 퍼엄알로이
(정답률: 80%)
  • 열팽창계수란 온도가 변화할 때 물체의 크기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온도 변화에 따른 크기 변화가 적으므로 열팽창에 민감한 장비나 부품 제작에 적합합니다.

    니켈(Ni) 합금 중에서 열팽창계수가 가장 적은 것은 인바(Invar)입니다. 인바는 니켈과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온도 변화에 따른 크기 변화가 매우 적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인바는 정밀한 계측기나 군수기술 등에 사용되며, 시계나 항공기 부품 등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강의 합금원소로서 담금질성을 증대시키고 강도를 높이며 탈산제로 좋고 황과 결합하여 피삭성을 높이고 적열취성을 방지하는 원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망간(Mn)
  2. 인(P)
  3. 규소(Si)
  4. 니켈(Ni)
(정답률: 78%)
  • 망간은 철강의 합금원소로서 담금질성을 증대시키고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탈산제로 좋고 황과 결합하여 피삭성을 높이고 적열취성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망간은 철강 제조에 가장 적합한 합금원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미리 정해진 일정 단위중에 포함된 부적합(결점)수에 의거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하는 관리도는?

  1. p관리도
  2. nP관리도
  3. c관리도
  4. u관리도
(정답률: 69%)
  • c관리도는 불량품의 수를 관리하는 관리도로, 미리 정해진 일정 단위 중에서 불량품의 수를 측정하여 그 수의 변동을 관리함으로써 공정의 안정성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합(결점)수에 의거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c관리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의 대표치를 말하는 것은?

  1. 중위수
  2. 비 대칭도
  3. 모우드(mode)
  4. 첨도
(정답률: 65%)
  • 도수분포표에서 도수가 최대인 곳은 데이터의 분포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값이므로, 이를 대표하는 대표치로 모우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우드(mo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로트수가 10 이고 준비작업시간이 20분이며 로트별 정미작업시간이 60분이라면 1로트당 작업시간은?

  1. 90분
  2. 62분
  3. 26분
  4. 13분
(정답률: 58%)
  • 로트수가 10이므로 총 작업시간은 10 * 60분 = 600분이다. 이 중 준비작업시간 20분을 빼면 실제 작업시간은 580분이다. 따라서 1로트당 작업시간은 580분 / 10로트 = 58분이다. 하지만 로트별 정미작업시간 60분을 더해야 하므로 최종적으로 58분 + 60분 = 62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2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더미활동(dummy activity)에 대한 설명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말한다.
  2. 공정의 시작에서 그 단계에 이르는 공정별 소요시간들중 가장 큰 값이다.
  3. 실제활동은 아니며, 활동의 선행조건을 네트워크에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이다.
  4. 각 활동별 소요시간이 베타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때의 활동이다.
(정답률: 74%)
  • 더미활동은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는 활동으로, 다른 활동들의 선행조건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제활동은 아니며, 활동의 선행조건을 네트워크에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활동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단순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금월의 수요를 예측하려고 한다면 이때 필요한 자료는 무엇인가?

  1. 일정기간의 평균값, 가중값, 지수평활계수
  2. 추세선, 최소자승법, 매개변수
  3.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 지수평활계수
  4. 추세변동, 순환변동, 우연변동
(정답률: 74%)
  • 단순지수평활법은 이전 시점의 예측치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예측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금월의 수요를 예측하려면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지수평활계수는 예측치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변수이므로 이 또한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월의 예측치와 실제치, 지수평활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검사항목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자주검사
  2. 수량검사
  3. 중량검사
  4. 성능검사
(정답률: 80%)
  • 정답은 "성능검사"입니다.

    자주검사, 수량검사, 중량검사는 모두 제품의 양과 질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입니다.

    하지만 성능검사는 제품의 기능이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검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범주적인 용어입니다. 따라서 검사항목에 따른 분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