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압연기능장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점결함(Point defect)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원자 공동 (Vacancy)
  2. 격자간 원자 (Interstitial atom)
  3. 치환형 원자 (Substitutional atom)
  4. 전위 (Dislocation)
(정답률: 96%)
  • 점결함은 원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데, 전위는 결함이 아니라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위는 점결함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냉간압연의 Temper Rolling(調質壓延)의 목적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Annealing 형상 교정
  2. 항복연신의 제거
  3. 표면조도 조정
  4. 압연에 의한 두께 감소
(정답률: 89%)
  • 압연에 의한 두께 감소는 냉간압연 중에 이미 발생하는 현상으로, Temper Rolling의 목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Temper Rolling은 냉간압연 후 재결정과정을 거쳐 항복연신을 제거하고, 형상 교정 및 표면조도를 조정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압연기의 롤 베어링에 가장 좋은 그리이스 윤활 방법은?

  1. 강제 급유법
  2. 컵 급유법
  3. 손 급유법
  4. 충전 급유법
(정답률: 84%)
  • 압연기의 롤 베어링은 매우 높은 하중과 속도로 회전하므로, 적절한 윤활이 필요합니다. 이때 강제 급유법은 롤 베어링 내부에 그리스를 강제로 주입하여, 베어링 내부에 충분한 양의 그리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하며, 롤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연기의 롤 베어링에 가장 좋은 그리스 윤활 방법은 강제 급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강괴(lngot) 중에 가장 탈산정도가 높은 것은?

  1. 캡드강
  2. 킬드강
  3. 림드강
  4. 세미킬드강
(정답률: 87%)
  • 킬드강은 스코틀랜드 북부에 위치하며, 강물의 pH가 매우 낮아서 생물이 서식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탈산정도가 매우 높아서 강괴 중에서 가장 탈산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슬랩(slab) 강편은 어떠한 제품을 만드는 반성품인가?

  1. 대강박판, 형강
  2. 소형 형강, 봉강, 선재
  3. 중후판, 열연코일
  4. 대형 형강, 시이트 파일
(정답률: 88%)
  • 슬랩(slab) 강편은 중후판과 열연코일을 만드는 반제품입니다. 중후판은 두께가 6mm 이상인 강판으로, 건축용 구조재나 용기 등에 사용됩니다. 열연코일은 두께가 6mm 미만인 강판으로, 자동차 부품이나 가전제품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슬랩 강편은 이러한 제품을 만드는 반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냉간 압연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아닌 것은?

  1. Scale
  2. Edge crack
  3. Pinch tree
  4. Dent
(정답률: 91%)
  • 냉간 압연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Scale은 압연 시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으로, 다른 결함들과는 달리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압연 후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냉간 압연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로울을 수용하는 견고한 2개의 롤 하우징(Roll Housing)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쵸크(Chock)
  2. 솔 플레이트(Sole plate)
  3. 스탠드(Stand)
  4. 블록(Block)
(정답률: 90%)
  • 로울을 수용하는 롤 하우징을 지탱하는 부분을 스탠드(Stand)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롤 하우징과는 관련이 있지만, 지탱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스테인리스강의 대표적 종류가 아닌 것은?

  1. 페라이트계
  2. 펄라이트계
  3. 오스테나이트계
  4. 마텐자이트계
(정답률: 62%)
  • 펄라이트계는 스테인리스강의 대표적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스테인리스강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펄라이트가 아니라, 철-탄소계 중 하나인 펄라이트계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크게 오스테나이트계, 펄라이트계, 마텐자이트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후판을 압연한 후에 노말라이징(normalizing)열처리 하면 충격값이 개선되는 이유는?

  1. 잔류 응력이 생기고 결정립이 성장하여 전성이 증가하기 때문
  2. 결정립이 조대화되고 강도, 항복점이 높아지기 때문
  3. 내부응력이 제거되고 결정립이 미세화하여 인성이 증가하기 때문
  4. 결정립이 미세화하여 연신율, 단면수축률이 감소하며, 잔류응력이 잔존하기 때문
(정답률: 73%)
  • 중후판을 압연하면 내부응력이 발생하고 결정립이 성장하여 전성이 감소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말라이징을 하면 내부응력이 제거되고 결정립이 미세화하여 인성이 증가합니다. 즉, 노말라이징은 잔류 응력을 제거하고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재료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부응력이 제거되고 결정립이 미세화하여 인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표면 경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어느 것인가?

  1. 표면은 충격성이 크고, 내부는 인성이 요구될 때
  2. 표면은 인성이 크고, 내부는 인성이 요구될 때
  3. 표면은 경도가 크고, 내부는 인성이 요구될 때
  4. 표면은 경도가 크고, 내부는 연신성이 요구될 때
(정답률: 82%)
  • 표면이 경도가 크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고, 내부가 인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내부에서의 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표면 경화처리는 표면의 경도를 높이고 내부의 인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성가공의 주목적은 금속에 외력(外力)을 가하여 소성 변형 시켜서 여러가지 형태의 물체를 만들고, 금속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림과 같은 소성가공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1. 신선
  2. 전조
  3. 선삭
  4. 디이프 드로오잉
(정답률: 80%)
  • 위 그림은 디이프 드로오잉(DP Drawing)이다. 디이프 드로오잉은 금속 시트를 특수한 다이(Die)에 끼워 넣고, 다이와 시트 사이에 압력을 가해 금속 시트를 인장하면서 길게 늘려가는 공정이다. 이를 통해 금속 시트의 두께를 얇게 만들거나, 길이를 늘려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열로에 사용되는 버너(burner)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연소량 조절 범위가 클 것
  2. 화염의 상태가 안정될 것
  3. 노즐의 공(孔)이 클 것
  4. 보수, 운전이 간편할 것
(정답률: 90%)
  • 노즐의 공(孔)이 클 것은 틀린 것입니다. 노즐의 공(孔)이 작을수록 연소 시에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므로 연소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열로에 사용되는 버너의 구비조건으로는 노즐의 공(孔)이 작을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간 압연재를 소재로 사용하는 표면처리 재료는?

  1. 용융도금강판
  2. 슬래브
  3. 블루움
  4. 후판
(정답률: 84%)
  • 용융도금강판은 냉간 압연재 위에 용융도금을 한 재료로, 표면을 보호하고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연에 필요한 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여러개의 롤을 사용한다.
  2. 베어링을 크게 한다.
  3. 하우징의 진동을 없앤다.
  4. 롤의 직경을 작게 한다.
(정답률: 70%)
  • 롤의 직경을 작게 하면 압연 시에 필요한 인력이 감소하게 되어 압연에 필요한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작은 직경의 롤은 작은 힘으로도 물체를 압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압연재는 들어갈 때의 부피와 나올 때의 부피가 같다. 일정한 속도로 어느 단면을 통과하는 시간당 재료의 부피는? (단,L[m3/sec] :시간당 통과하는 재료의 부피, F[mm2] :단면적, V[m/sec]:압연재의 속도)

  1. L = (V/F) × 10-3
  2. L = (V/F) × 10-6
  3. L = F × V × 10-6
  4. L = F × V × 10-3
(정답률: 79%)
  • 압연재가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부피가 같으므로, 시간당 통과하는 재료의 부피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L은 F와 V에 비례하게 됩니다. 또한, L의 단위는 m3/sec이므로, F의 단위인 mm2를 m2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10-6을 곱해주면, L = F × V × 10-6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L = F × V × 1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배치형 가열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께 큰 소재가열에 적합하다.
  2. 연속적으로 추출하기에 불리하다.
  3. 예열대, 가열대, 균열대 등이 있다.
  4. 연료소비량이 많다.
(정답률: 76%)
  • 정답은 "연료소비량이 많다."입니다.

    배치형 가열로는 일정한 양의 소재를 한 번에 가열하는 방식으로, 대량의 소재를 가열할 때 적합합니다. 따라서 두께 큰 소재가열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추출하기에는 불리하며, 예열대, 가열대, 균열대 등의 가열부가 있습니다. 이러한 가열부는 소재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냉연강판의 제조공정 순서로 맞는 것은?

  1. 열연코일 - 냉간압연 - 산세 - 표면청정 - 소둔 - 조질압연
  2. 열연코일 - 산세 - 냉간압연 - 표면청정 - 소둔 - 조질압연
  3. 열연코일 - 냉간압연 - 산세 - 표면청정 - 조질압연 - 소둔
  4. 열연코일 - 산세 - 냉간압연 - 표면청정 - 조질압연 - 소둔
(정답률: 76%)
  • 냉연강판은 먼저 열연코일을 냉간압연하여 두께를 조절한 후, 산세 처리를 통해 표면을 정리하고 표면청정을 거쳐 소둔 처리를 한 후 조질압연을 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됩니다. 따라서, "열연코일 - 산세 - 냉간압연 - 표면청정 - 소둔 - 조질압연"이 올바른 제조공정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형강, I형강, 레일 등과 같은 형강을 제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압연기는?

  1. 센지미어 압연기
  2. 4단식 압연기
  3. 유니버셜 압연기
  4. 유성 압연기
(정답률: 76%)
  • 유니버셜 압연기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강철재를 제조할 수 있는 범용 압연기로, H형강, I형강, 레일 등과 같은 형강을 제조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유니버셜 압연기가 다양한 롤러와 롤러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니버셜 압연기는 형강 제조에 필수적인 기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성 압연기에서 1회에 압하가 가능한 것은?

  1. 80% 정도
  2. 60% 정도
  3. 70% 정도
  4. 90% 정도
(정답률: 77%)
  • 유성 압연기에서 1회에 압하가 가능한 것은 보통 90% 정도입니다. 이는 유성 압연기의 구조와 기술적 한계 때문입니다. 유성 압연기는 매우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90% 정도의 압하가 가능하며, 이를 넘어가면 기계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롤의 직경이 300mm, 회전수 150rpm 일 때 압연되는 재료의 출구속도가 3.5m/sec 이었다면 선진율 약(%)인가?

  1. 15%
  2. 27%
  3. 36%
  4. 48%
(정답률: 55%)
  • 선진율은 출구속도와 입구속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선진율 = (출구속도 / 입구속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구속도는 회전수와 직경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롤의 둘레는 π x 직경 이므로, 입구속도는 (π x 직경 x 회전수) / 60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입구속도 = (π x 300mm x 150rpm) / 60 = 235.62m/sec

    따라서, 선진율 = (3.5m/sec / 235.62m/sec) x 100 = 1.48%

    하지만, 보기에서는 선진율이 백분율로 주어졌으므로 1.48%를 100으로 나누어 준 후, 가장 가까운 보기인 48%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롤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낮아 압연윤활성이 양호하여 고속압연이 가능한 압연유는?

  1. 곡분유계 수용성 압연유
  2. 광유계 수용성 압연유
  3. 혼성계 수용성 압연유
  4. 지방계 수용성 압연유
(정답률: 78%)
  • 지방계 수용성 압연유는 롤에 대한 흡착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낮아 압연윤활성이 양호하여 고속압연이 가능합니다. 이는 지방계 유전성분이 롤과의 마찰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지방계 수용성 압연유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로울 크라운(roll crown)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로울의 지름과 로올목의 지름 차
  2. 로울의 중앙부의 지름과 양단부의 차
  3. 로울의 지름과 연결부 지름의 차
  4. 상하 로울 지름의 차
(정답률: 86%)
  • 로울 크라운은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가공품의 양 끝 부분에 있는 부분으로, 중앙부의 지름과 양단부의 지름이 다르기 때문에 로울의 중앙부의 지름과 양단부의 차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연재료의 열간 가공을 위한 가열이나 열처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연료가 아닌 것은?

  1. 고로 가스
  2. 코크스로 가스
  3. 오일 가스
  4. 전열
(정답률: 80%)
  • 전열은 연료가 아니라 열을 전달하는 매체입니다. 따라서 압연재료의 열간 가공을 위한 가열이나 열처리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연료인 고로 가스, 코크스로 가스, 오일 가스와는 달리 전열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연상생시스템(FM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2. 다양한 제품을 동시에 처리하므로 수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3. 단품이나 유사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다.
  4. FMS의 형태는 생산되는 대상 제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정답률: 83%)
  • 단품이나 유사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이다. - 이유: FMS는 자동화된 생산 시스템으로, 일정한 생산 라인을 구성하여 단품이나 유사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재료를 압연할 때 로울의 주속도와 재료의 속도가 같은 곳은?

  1. 선진점
  2. 후진점
  3. 중립점
  4. 상대운동
(정답률: 91%)
  • 재료를 압연할 때 로울의 주속도와 재료의 속도가 같은 곳은 중립점입니다. 이는 로울과 재료가 서로 상대운동을 하지 않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압연력이 가해되어도 재료가 변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립점은 압연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두께20mm의 판재를 6mm로 압연할 때 압하량과 압하율은?

  1. 14mm, 70%
  2. 6mm, 60%
  3. 20mm, 60%
  4. 26mm, 30%
(정답률: 87%)
  • 압연 전의 판재 두께를 H, 압연 후의 판재 두께를 h라고 하면, 압하율은 (H-h)/H이고, 압하량은 압연 전의 판재 면적과 압하력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압하율이 70%이므로 (H-h)/H = 0.7이 됩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H - h = 0.7H이고, 이를 정리하면 h = 0.3H가 됩니다.

    또한, 압연 전의 판재 면적과 압하력의 곱은 압연 후의 판재 면적과 압하력의 곱과 같으므로, H × W × P = h × W × P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W는 판재의 너비, P는 압하력입니다.

    따라서, H × P = h × P를 양변에 곱하면 H × W × P² = h × W × P²가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H × W = h × W × (P²/P²)이므로, H = h × (P²/P²)이 됩니다.

    따라서, H = h × (P²/P²) = 20mm × (P²/P²) = 20mm이고, h = 0.3H = 6mm가 됩니다. 따라서, 압하량은 압연 전의 판재 면적과 압하력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압하량은 H × W × P입니다. 이를 h = 6mm와 H = 20mm로 대입하면, 압하량은 6/20배가 되므로, 압하량은 14mm, 압하율은 7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속 재료의 열간 가공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야금학적 인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화학 조성
  2. 존재하는 상의수
  3. 가열 및 가공온도
  4. 결정입도
(정답률: 66%)
  • 가열 및 가공온도는 야금학적 인자가 아닙니다. 야금학적 인자는 금속의 결정입도, 존재하는 상의 수, 화학 조성 등과 같이 금속의 미세조직과 결정구조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말합니다. 반면에 가열 및 가공온도는 금속의 열적 특성과 관련된 인자로, 금속의 열팽창률, 열전도도, 열안정성 등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가열 및 가공온도는 야금학적 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냉간압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간압연 작업을 하기 전에 산세를 하여 핫 코일의 스케일을 제거한다.
  2. 냉간압연을 하면 판 두께의 정도가 아주 높다.
  3. 냉간압연기는 4단연속식, 센지미어다단식, 스테켈식 등 여러 종류가 있다.
  4. 전(全)압하율이 많으면 소둔에 의해 재결정립이 조대화된다.
(정답률: 70%)
  • "냉간압연을 하면 판 두께의 정도가 아주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全)압하율이 많으면 소둔에 의해 재결정립이 조대화된다는 것은, 압연 시에 결정립이 성장하면서 물성이 개선되는데, 이때 압하율이 높을수록 결정립이 더욱 성장하여 더욱 높은 물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철의 조직 중 스테다이트(steadite)란?

  1. Fe - FeS - Fe3P의 3원 공정상
  2. Fe - FeS - Fe3C의 3원 공정상
  3. Fe - Fe3C - MnS의 3원 공정상
  4. Fe - Fe3C - Fe3P의 3원 공정상
(정답률: 68%)
  • 스테다이트는 주철의 조직 중 하나로, Fe - Fe3C - Fe3P의 3원 공정상으로 형성됩니다. 이는 주철 내부에서 탄소와 인이 함께 결합하여 형성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탄소와 인이 결합하여 Fe3C와 Fe3P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된 스테다이트는 주철의 강도와 경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증압기의 사용목적은?

  1. 압력증폭
  2. 속도제어
  3. 에너지 저장
  4. 스틱-슬립 현상 방지
(정답률: 88%)
  • 증압기는 압력을 증폭시켜서 출력 압력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압력증폭"이라는 답이 나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황(S)이 과다하게 되면 FeS가 형성되어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S를 제거하는데 첨가하는 원소는?

  1. Cu
  2. Al
  3. Mn
  4. Bi
(정답률: 92%)
  • 황(S)과 Fe가 반응하여 FeS가 형성되면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S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S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원소는 Mn입니다. Mn은 S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하면서 S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n을 첨가하면 FeS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Cu, Al, Bi는 S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슬리팅(slitting)작업의 목적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형상교정
  2. 응력제거
  3. 검사
  4. 스트립의 폭 자름
(정답률: 69%)
  • 슬리팅 작업은 주로 롤링된 금속 스트립을 원하는 폭으로 자르는 작업입니다. 이 때 목적은 스트립을 원하는 폭으로 자르는 것이며, 이를 위해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거나 응력을 제거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응력제거"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HOT-STRIP 제조 공정 중 조괴, 분괴를 생략하는 공정은?

  1. 제강
  2. 가열
  3. 연속주조
  4. 열간압연
(정답률: 83%)
  • 연속주조는 녹은 철을 바로 주조하여 곧바로 압연하는 공정으로, 조괴, 분괴 단계를 생략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HOT-STRIP 제조 공정 중에서는 연속주조가 조괴, 분괴를 생략하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압연기에서 압하율을 크게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롤(Roll)회전속도를 크게 한다.
  2. 압연온도를 높혀 준다.
  3. 지름이 큰 롤을 사용한다.
  4. 압연재를 뒤에서 밀어준다.
(정답률: 78%)
  • 롤 회전 속도를 크게 한다는 것은 압연재가 롤과 접촉하는 시간을 줄이고, 빠르게 압축되어 더 큰 압하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압하율을 크게 하는 조건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고 발생 원인을 가장 많이 일어나는 순서로 나열한 것은?

  1. 물적 원인 → 자연적 재해 → 인적 원인
  2. 자연적 재해 → 인적 원인 → 물적 원인
  3. 인적 원인 → 물적 원인 → 자연적 재해
  4. 자연적 재해 → 물적 원인 → 인적 원인
(정답률: 94%)
  • 인적 원인이 가장 많은 사고 발생 원인으로 나열되는 이유는 인간의 부주의, 무지, 실수, 과도한 업무 등이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이어 물적 원인이 두 번째로 나열되는 이유는 인간의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중에서도 대부분은 기계, 장비, 시설 등의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자연적 재해가 나열되는 이유는 인간의 통제 불가능한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는 비교적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연속도와 마찰계수와의 관계 중 맞는 것은?

  1.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2.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증가한다.
  3. 압연속도와 마찰계수는 상호관계가 없다.
  4. 압연속도에 관계없이 마찰계수는 일정한 값을 가진다.
(정답률: 89%)
  •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 즉, 압연속도가 높을수록 마찰력이 작용하여 마찰계수가 낮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열로의 열정산중에서 입열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기의 현열
  2. 연료의 현열
  3. 스케일의 현열
  4. 연료 무화제가 지입하는 열
(정답률: 83%)
  • 스케일의 현열은 가열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열항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 공기의 현열, 연료의 현열, 연료 무화제가 지입하는 열은 모두 가열로 내부에 입열되는 열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스케일생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재료의 크기, 형상, 재질
  2. 로의 형식
  3. 가열시간 및 온도
  4. 연료소비량
(정답률: 76%)
  • 스케일 생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은 재료의 크기, 형상, 재질, 로의 형식, 가열시간 및 온도입니다. 그러나 연료소비량은 스케일 생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연료소비량은 가열 시스템의 효율성과 연관이 있으며, 스케일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열간압연시 가열,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제어하여 강의 기계적성질을 개선하는 기술을 말하며, 합금원소 첨가 및 압연온도 제어 후, 수래에 의한 가속 냉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1. 형상제어 압연 방법
  2. 판 두께 제어압연 방법
  3. TMCP(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
  4. 롤 굽힘 방법(Roll bending)
(정답률: 87%)
  • TMCP는 열간압연시 가열,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제어하여 강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기술입니다. 합금원소 첨가와 압연온도 제어 후, 수래에 의한 가속 냉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TMC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트(sheet) 절단기로 주로 쓰이는 것은?

  1. 로타리 시어(Rotary shear)
  2. 다운 컷 시어(Down cut shear)
  3. 플라잉 시어(Flying shear)
  4. 기계 톱(Sawing machine)
(정답률: 84%)
  • 시트 절단기는 금속 시트를 자르는 기계로, 플라잉 시어는 시트를 빠르게 이동시켜 자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에 비해 로타리 시어는 회전하는 칼날로 자르는 방식이고, 다운 컷 시어는 시트를 아래로 내려서 자르는 방식입니다. 기계 톱은 나무나 금속 등을 자르는 기계로, 시트 절단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트 절단기로 주로 쓰이는 것은 플라잉 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연속식 가열로가 아닌 것은?

  1. Pusher식 가열로
  2. Walking Beam식 가열로
  3. Rail식 가열로
  4. 회전로상의 가열로
(정답률: 67%)
  • Rail식 가열로는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레일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속식 가열로가 아닙니다. Pusher식 가열로, Walking Beam식 가열로, 회전로상의 가열로는 모두 연속식 가열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워-터 인젝션(Water Injection)법은 압연유와 냉각수를 혼합시켜 압연기의 어느 부분에 분사시켜 주는가?

  1. 작업 롤(Work Roll)
  2. 백업 롤(Back up Roll)
  3. 롤-넥(Roll neck)
  4. 스크루(Screw)
(정답률: 77%)
  • 워터 인젝션법은 압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백업 롤은 작업 롤과 함께 압연 작업을 수행하는데, 작업 롤은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고, 백업 롤은 작업 롤과 함께 압력을 가하며 압연 작업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워터 인젝션법에서 물을 분사하는 대상은 작업 롤이 아닌 백업 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Roller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목(Neck)
  2. 몸체(body)
  3. 연결부(Wobbler)
  4. 머리(crown)
(정답률: 80%)
  • Roller의 구성 요소는 목, 몸체,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머리(crown)는 Roller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Roller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압연시 윤활유로 사용되는 광유(mineral oi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식물유에 비하여 윤활성능이 우수하다.
  2. 물과의 에멀션화성이 좋다.
  3. 열에 의한 기름찌꺼기의 발생이 적어 세척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4. 석유계이며 주성분은 탄화수소이다.
(정답률: 65%)
  • "동식물유에 비하여 윤활성능이 우수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광유는 동식물유에 비해 윤활성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광유는 석유계이며 주성분이 탄화수소인 반면, 동식물유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동식물유는 광유보다 더 많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있어 윤활성능이 더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장 내의 자동반송 방식 중 무궤도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치장소를 차지하지 않는다.
  2. 주행 경로 수정이 용이하다.
  3. 반송차의 설치대수 조정이 가능하다.
  4. 인식장치에 의해 충돌방지가 어렵다.
(정답률: 84%)
  • 인식장치에 의해 충돌방지가 어렵다는 것은 무궤도 방식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충돌 방지를 위한 인식장치가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반송차와 인력이 함께 작업하는 경우보다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냉간압연에서 롤(Roll)과 스트립(strip)의 접촉면에 마찰을 감소시켜 낮은 압하력으로 압연하므로써 제품의 표면을 아름답게 하는 압연 윤활유의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마찰계수가 적을 것
  2. 압연재의 탈지성이 양호할 것
  3. 유성 및 유막강도가 적을 것
  4. 압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할 것
(정답률: 88%)
  • 유성 및 유막강도가 적을 것은 틀린 것입니다. 압연 윤활유는 롤과 스트립의 접촉면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압하력을 낮추고 제품의 표면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유성 및 유막강도가 적으면 압연재가 롤과 스트립 사이에서 끊어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 윤활유는 유성 및 유막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열의 스키드(Skid) 단면도 중 A의 명칭은?

  1. 스키드레일
  2. 스타이드
  3. 캐스타블 단열재
  4. 냉각수냉파이프
(정답률: 87%)
  • 가열의 스키드는 열교환기나 보일러 등의 장비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스키드레일은 이 구조물의 틀을 이루는 레일을 말합니다. 따라서 A는 스키드레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무접점 시퀀스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 아닌 것은?

  1. 동작속도가 빠르다.
  2. 고변도 사용에도 견디고 수명이 길다.
  3. 장치의 축소화가 가능하다.
  4.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85%)
  • 무접점 시퀀스의 장점으로는 동작속도가 빠르다, 고변도 사용에도 견디고 수명이 길다, 장치의 축소화가 가능하다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한다." 입니다. 무접점 시퀀스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전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간 압연작업시 마찰계수 μ, 접촉각을 θ라 할 때 압연재가 Roll 사이를 통과하여 압연될 조건은?

  1. μ ≥ tanθ
  2. μ ≥ sinθ
  3. μ ≤ cosθ
  4. μ ≤ tanθ
(정답률: 78%)
  • 압연작업에서 압연재는 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마찰력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압연재가 Roll 사이를 통과하여 압연될 조건은 마찰력이 압력보다 크게 작용할 때입니다.

    마찰력은 μN으로 표현되며, N은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입니다. 따라서 마찰력이 압력보다 크게 작용하려면 μN ≥ P가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N은 Roll과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이므로, N = P/cosθ가 됩니다. 따라서 μN ≥ P는 μcosθ ≥ 1이 되고, 이를 정리하면 μ ≥ 1/cosθ = 1/sin(90-θ) = tanθ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μ ≥ tan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단식 압연기로서 금속강판, 스테인리스 강판의 압연에 많이 이용되는 압연기는?

  1. 데라 압연기
  2. 센지미어 압연기
  3. 클러스터 압연기
  4. 풀라 내터리 압연기
(정답률: 87%)
  • 센지미어 압연기는 다단식 압연기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압연기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만큼 성능이 우수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센지미어 압연기는 다양한 두께와 폭의 강판을 처리할 수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센지미어 압연기는 금속가공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장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황동의 압연시 황동 중 Pb, Bi, Sb, As 등이 존재하면 어떻게 되는가?

  1. 강도가 상승한다.
  2. 표면이 미려해진다.
  3. 윤활이 필요없다.
  4. 가공성이 나빠 압연시 균열이 생긴다.
(정답률: 79%)
  • Pb, Bi, Sb, As 등은 황동 내부에서 불순물로 존재하며, 이들은 황동의 결정구조를 약화시키고 결정의 결합력을 약화시킵니다. 이는 압연시에 황동의 구조적 안정성을 약화시키고, 따라서 가공성이 나빠지며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열간 압연 후 냉각시 고려 되어야 할 3요소가 아닌 것은?

  1. 냉각온도
  2. 냉각치수
  3. 냉각속도
  4. 균일냉각
(정답률: 89%)
  • 냉각치수는 열간 압연 후 냉각시 고려되지 않는 요소입니다. 냉각치수는 냉각시간과 냉각유체의 유속을 나타내는 값으로, 열간 압연 후 냉각시간과 냉각유체의 유속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냉각치수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냉각온도, 냉각속도, 균일냉각이 열간 압연 후 냉각시 고려되어야 할 3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설계의 생산성 향상에서 기존의 설계방법에 비해 CAD가 생산성을 높이는 분야로써 틀린 것은?

  1. 복잡한 도면을 작성할 때
  2. 반복되는 부품을 설계할 때
  3. 부품들이 서로 대칭될 때
  4. 많은 부품이 한번씩 사용될 때
(정답률: 83%)
  • 정답: "많은 부품이 한번씩 사용될 때"

    설명: CAD는 복잡한 도면을 작성하거나 반복되는 부품을 설계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또한 부품들이 서로 대칭될 때도 CAD를 사용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부품이 한 번씩만 사용될 때는 CAD를 사용해도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강재료의 현미경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errite는 극히 경하고 연성이 크며, 소입에 의해 경화된다.
  2. Fe3C는 대단히 경하고 취약하다.
  3. Pearlite는 ferrite에 비해 강하고 경하다.
  4. Fe3C는 백색침상의 금속간 화합물이다.
(정답률: 64%)
  • "Ferrite는 극히 경하고 연성이 크며, 소입에 의해 경화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Ferrite는 경도가 낮고 연성이 높으며, 소성처리에 의해 경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에서 작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은?

  1. PTS법
  2. 워크 샘플링법
  3. WF법
  4. 스톱 워치법
(정답률: 76%)
  • 스톱 워치법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의 성과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생산보전(PM:Productive Maintenance)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후보전
  2. 안전보전
  3. 예방보전
  4. 개량보전
(정답률: 73%)
  • 안전보전은 생산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으로, 생산보전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생산보전은 생산설비의 가동률과 성능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으로, 예방보전, 사후보전, 개량보전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로트별 검사에 대한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KS A ISO 2859-0
  2. KS A ISO 2859-1
  3. KS A ISO 2859-2
  4. KS A ISO 2859-3
(정답률: 69%)
  • 정답은 "KS A ISO 2859-1"입니다. 이는 로트별 검사에서 AQL(Acceptable Quality Leve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을 규정한 표준입니다. 이 방식은 제품의 불량률을 특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샘플링을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수량과 불량률에 따라 샘플링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여력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여력 = 1일 실동시간 × 1개월 실동시간 × 가동대수
  2. 여력 = (능력 - 부하) ⒡ 1/100
  3. 여력 = (능력 - 부하)/능력 ⒡ 100
  4. 여력 = (능력 - 부하)/부하 ⒡ 100
(정답률: 77%)
  • 가장 올바른 식은 "여력 = (능력 - 부하)/능력 ⒡ 100" 입니다. 이는 여력을 능력과 부하의 차이를 능력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퍼센트로 나타낸 것입니다. 여력은 일정 기간 동안 실제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능력은 일정 기간 동안 일할 수 있는 최대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능력에서 부하를 빼면 실제로 일할 수 있는 여력이 나오고, 이를 능력으로 나누어 퍼센트로 나타내면 여력의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계량치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 관리도
  2. nP 관리도
  3. C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66%)
  •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계량치 관리도이다.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범위를 추적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공정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개선점을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R 관리도가 계량치 관리도 중에서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데이터로부터 통계량을 계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중앙값(Me) = 24.3
  2. 제곱합(S) = 7.59
  3. 시료분산(s2) = 8.988
  4. 범위(R) = 7.6
(정답률: 68%)
  • 제곱합(S) = 7.59이 틀린 것입니다.

    제곱합(S)는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한 값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S = (19.5-24.3)^2 + (22.1-24.3)^2 + (23.1-24.3)^2 + (24.5-24.3)^2 + (25.2-24.3)^2 = 7.59이 아니라 S = (19.5-23.9)^2 + (22.1-23.9)^2 + (23.1-23.9)^2 + (24.5-23.9)^2 + (25.2-23.9)^2 = 20.36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