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4-04)

압연기능장
(2015-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소재의 입측 폭이 1000mm, 수평 압하량이 50mm, 폭퍼짐계수가 30%일 때 압연 후의 소재의 출측 폭은 몇 mm인가? (단, 수직압연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1. 1003mm
  2. 1015mm
  3. 1030mm
  4. 1050mm
(정답률: 69%)
  • 입측 폭이 1000mm이고 폭퍼짐계수가 30%이므로, 출측 폭은 1000mm + (1000mm x 30%) = 1300mm이 됩니다. 하지만 수평 압하량이 50mm이므로, 이 값만큼 축소됩니다. 따라서 출측 폭은 1300mm - 50mm = 1250m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수직압연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출측 폭은 다시 폭퍼짐계수에 의해 축소됩니다. 출측 폭에서 30%만큼 축소되면 1250mm - (1250mm x 30%) = 875mm입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출측 폭은 875mm + 50mm = 925mm가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수평 압하량이 증가할수록 출측 폭이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015mm"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부적절한 윤활에 의해 피가공물의 부스러기가 공구에 달라붙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오렌지 필(orange peel)
  2. 플로우잉(ploughing)
  3. 픽업(pick-up)
  4. 골링(galling)
(정답률: 78%)
  • 픽업은 부적절한 윤활로 인해 피가공물의 부스러기가 공구에 달라붙는 현상을 말합니다. "Pick-up"은 영어로 "잡아 올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부스러기가 공구에 달라붙어서 떼어내기 어려워서 마치 잡아 올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마찰계수(μ)를 0.3으로 가정할 때 재료가 롤에 스스로 물려들어 가는 한계의 접촉각(α)은?

  1. 11.5
  2. 13.8
  3. 14.9
  4. 16.7
(정답률: 51%)
  • 롤에 스스로 물려들어가는 한계의 접촉각(α)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sin(α) = μ

    여기서 마찰계수(μ)는 0.3으로 주어졌으므로,

    sin(α) = 0.3

    이 식을 만족하는 α를 구하면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16.7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냉간압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공성이 좋다.
  2. 평탄도가 우수하다.
  3. 표면이 깨끗하다.
  4. 치수의 정도가 낮다.
(정답률: 96%)
  • 냉간압연의 장점 중 "치수의 정도가 낮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냉간압연은 재료를 압축하여 두께를 줄이는 과정이기 때문에, 원래의 재료와 비교하여 치수가 작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치수를 얻기 위해서는 냉간압연 후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연료의 이론 공기량을 A0, 실제 연소에 사용한 공기량을 A1 이라 할 때 공기비 m 은?

  1. m = A1 / A0
  2. m = (A1 - A0) / A1
  3. m = (A0 - A1) / A0
  4. m = A0 × A1
(정답률: 58%)
  • 공기비 m은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 A1과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 A0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m = A1 / A0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기비를 잘못 계산한 식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열간압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결정온도 이상에서의 가공
  2. 재결정온도 이하에서의 가공
  3. 200~300℃ 온도에서의 가공
  4.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의 가공
(정답률: 93%)
  • 재결정온도 이상에서의 가공은 금속의 결정 구조를 재배열하여 더욱 강력하고 성형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공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금속의 재결정온도 이상인 온도에서 가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재결정온도 이하에서 가공하면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하지 않아 성형성이 떨어지고, 200~300℃ 온도에서 가공하면 금속이 소프트해져서 제품의 강도가 낮아집니다. 또한 상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면 금속이 더욱 더 소프트해져서 제품의 강도가 더욱 낮아집니다. 따라서, 재결정온도 이상에서의 가공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Lock-On시 압연하중을 기준으로 하여 그 후 압연하중의 변화와 압하 위치의 변화로부터 출측판 두께를 산출하여 길이방향 두께편차를 줄이도록 압하 위치를 제어하는 AGC 제어 방법은?

  1. Roll Force AGC
  2. Monitor AGC
  3. Feed forward AGC
  4. Absolute AGC
(정답률: 64%)
  • Roll Force AGC는 압연하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측판 두께를 제어하는 AGC 제어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압하 위치를 조절하여 출측판 두께의 길이방향 두께편차를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Monitor AGC는 출측판 두께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방법이고, Feed forward AGC는 압연 전 공정에서 예측된 출측판 두께를 기반으로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Absolute AGC는 출측판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열연 코일을 풀면서 연속적으로 폭과 길이를 전단하여 Sheet로 제조하는 설비는?

  1. 리코일링 라인(Recoiling line)
  2. 슬리팅 라인(Slitting line)
  3. 스킨 패스 라인(Skin pass line)
  4. 시어 라인(Shear line)
(정답률: 71%)
  • 시어 라인은 열연 코일을 풀면서 연속적으로 폭과 길이를 전단하여 Sheet로 제조하는 설비입니다. 이는 시어(Shear) 기계를 사용하여 코일을 전단하고, 이어지는 공정에서 Sheet로 가공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시어 라인은 코일을 전단하여 Sheet로 가공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열로 중 로상이 가동부와 고정부로 나뉘어 있고, 이동 로상이 유압 또는 전동에 의해 상승→전진→하강→후퇴의 과정을 거치는 구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재료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송시킬 수 있는 로는?

  1. 롤식 가열로
  2. 푸셔식 가열로
  3. 워킹빔식 가열로
  4. 회전로상식 가열로
(정답률: 95%)
  • 워킹빔식 가열로는 구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는 로이며, 가동부와 고정부로 나뉘어져 있어 이동 로상이 상승→전진→하강→후퇴의 과정을 거쳐 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의의 간격을 두고 재료를 이송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평압연기 중 개두식(開頭式) 스탠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롤의 교체가 빨리 이루어진다.
  2. 캠의 체결부분이 이완되기 쉽다.
  3. 하우징 캠을 풀어 롤의 상부로부터 교환한다.
  4. 압연기의 강성이 크게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정답률: 88%)
  • "압연기의 강성이 크게 요구하는 경우에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개두식 스탠드는 압연기의 강성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개두식 스탠드는 롤의 교체가 빠르고 캠의 체결부분이 이완되기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 캠을 풀어 롤의 상부로부터 교환하는 방식으로 롤 교체가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균열로의 가열작업시 제1단계에서는 설정온도를 추출온도보다 약 몇 ℃ 높은 급속설정온도로 맞추는가?

  1. 5~15
  2. 20~40
  3. 80~100
  4. 150~250
(정답률: 70%)
  • 균열로의 가열작업시 제1단계에서는 급속설정온도를 추출온도보다 약 20~40℃ 높게 설정합니다. 이는 급격한 열팽창으로 인한 재료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급격한 열팽창은 재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증가시키고, 이는 재료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속설정온도를 추출온도보다 높게 설정하여, 재료의 열팽창을 완화시키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후판 압연시 피쉬테일(Fish Tail)이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1. 판 표면의 선진
  2. 롤의 표면불량
  3. 압연방법의 부적합
  4. 판 내부 중심부의 선진
(정답률: 78%)
  • 피쉬테일은 후판 압연 시 판 표면의 선진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선진은 판의 가장자리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형태의 표면 결함으로, 압연 시 판이 굽어지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유발합니다. 이로 인해 판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압력이 다르게 작용하게 되어 피쉬테일이 생기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재압연의 공형설계 목적이 아닌 것은?

  1. 정확한 치수의 제품생산
  2. 롤의 마모량을 촉진시켜 표면결함 발생 방지
  3. 압연작업의 용이
  4. 압연된 제품의 내부응력 최소화
(정답률: 90%)
  • 롤의 마모량을 촉진시켜 표면결함 발생 방지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롤의 마모량이 촉진되면 롤의 수명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롤 교체 빈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롤의 마모량이 촉진되면 제품 표면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선재압연의 공형설계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내균열성을 중시하는 고속, 고하중 냉연 롤의 표면경도(Hs)의 범위는 약 얼마인가?

  1. Hs 20~23
  2. Hs 40~43
  3. Hs 60~63
  4. Hs 90~93
(정답률: 68%)
  • 고속, 고하중 냉연 롤은 내균열성이 중요하므로 표면경도(Hs)가 높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Hs 90~93 정도의 범위가 적절합니다.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충분한 내균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너무 높지 않아서 가공이나 유지보수가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Hs 90~9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간압연에서 WORK ROLL 냉각수의 역할을 서술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압연 중 WORK ROLL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여 ROLL의 열팽창을 방지한다.
  2. WORK ROLL의 마모나 표면거침을 막아 ROLL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3. WORK ROLL 냉각수 노즐은 출측부보다 입측부에 수량을 많이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한다.
  4. 냉각능력은 수량, 수압, 수온 외에 냉각수 HEADER의 위치와 주수면적에도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85%)
  • 정답은 "WORK ROLL 냉각수 노즐은 출측부보다 입측부에 수량을 많이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한다."입니다. 이유는 WORK ROLL 냉각수 노즐은 출측부보다 입측부에 수량을 많이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출측부에 수량을 많이 설치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illet 표면 결함 검출기로 적정치 못한 설비는?

  1. 습식 자분 탐상기
  2. 고주파 탐상기
  3. 초음파 탐상기
  4. 건식 자분 탐상기
(정답률: 72%)
  • Billet 표면 결함 검출기는 습식 자분 탐상기와 건식 자분 탐상기로도 불리며, 금속재료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 초음파 탐상기는 소리의 진동수가 고주파보다 낮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데, 이는 표면 결함보다는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Billet 표면 결함 검출기로는 적정치 못한 설비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압연작업에서 AGC(Automatic Gauge Control) 활용의 가장 큰 목적은?

  1. 입ㆍ출측의 속도 제어
  2. 판폭 자동 제어
  3. 압연재의 조직 제어
  4. 압연재의 두께 제어
(정답률: 93%)
  • AGC는 압연작업에서 압연재의 두께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연재의 두께 제어"입니다. AGC는 입ㆍ출측의 속도 제어나 판폭 자동 제어, 압연재의 조직 제어 등 다른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지만, 가장 큰 목적은 압연재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압연라인의 안내장치 중에서 압연재가 패스라인(Pass Line)을 이탈하거나 넘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은?

  1. 엔트리 가이드(Entry Guide)
  2. 데리버리 가이드(Delivery Guide)
  3. 사이드 가이드(Side Guide)
  4. 트위스트 가이드(Twist Guide)
(정답률: 95%)
  • 사이드 가이드는 압연재가 패스라인을 벗어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내장치입니다. 이는 압연재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압연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이드 가이드가 압연라인에서 가장 중요한 안내장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연 강판의 제조공정으로 옳은 것은?

  1. 산세→조질압연→냉간압연→풀림→정정
  2.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정정→조질압연
  3. 산세→표면청정→냉간압연→조질압연→풀림
  4.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압연
(정답률: 73%)
  • 냉연 강판의 제조공정은 산세(불순물 제거) → 냉간압연(두께 조절) → 표면청정(오일 제거) → 풀림(평면화) → 조질압연(인장강도 증가)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세→냉간압연→표면청정→풀림→조질압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연기의 구동 장치의 역할 중 전동기로부터 피니언 또는 피니언과 롤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장치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스핀들
  2. 감속기
  3. 피니언
  4. 캠왈츠
(정답률: 85%)
  • 압연기의 구동 장치는 전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피니언 또는 피니언과 롤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장치를 스피들이라고 합니다. 스피들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압연기에서 필요한 압력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동일한 압하력, 장력일 때, 냉간압연에서 압연속도를 높이면 판의 두께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두께와 속도는 관계가 없다.
  2. 위의 조건으로는 모른다.
  3. 속도가 높으면 두께는 감소한다.
  4. 속도가 높으면 두께는 증가한다.
(정답률: 70%)
  • 속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어 판의 물성이 변형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두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속도가 높으면 두께는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냉간압연 후 스트립의 표면에 부착된 압연유 등을 제거하는 전해 청정의 세정액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수산화나트륨(NaOH)
  2. 올소규산나트륨(2NaOㆍSiO2)
  3. 인산나트륨(Na3PO4)
  4. 시안화나트륨(NaCN)
(정답률: 85%)
  • 시안화나트륨은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열연 공장의 Run out table 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재 냉각 방법은?

  1. Spray cooling
  2. Laminar flow cooling
  3. Jet cooling
  4. Mist cooling
(정답률: 82%)
  • 열연 공장의 Run out table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소재 냉각 방법은 Laminar flow cooling입니다. 이는 소재를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냉각수에 노출시켜 냉각하는 방법으로, 냉각수의 유동성이 낮아 소재 표면에 안정적인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Laminar flow cooling은 냉각수의 소비량이 적고,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압연속도(Rolling speed)와 마찰계수와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2. 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증가한다.
  3. 속도와 마찰계수는 관계없다.
  4. 속도와 마찰계수의 관계는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88%)
  • 정답: "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설명: 압연속도가 증가하면, 압연면과 압연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 이는 압연재가 압연면을 빠르게 지나가면서 생기는 열로 인해 압연면과 압연재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도가 증가하면 마찰계수는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압연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연롤의 목부(Neck)는 압연을 하는 부분이다.
  2. 압연롤의 몸체(Body)는 구동력을 전달해주는 부분이다.
  3. 압연롤의 이음부(Wobbler)는 압연 하중을 받는 부분이다.
  4. 압연롤은 제품의 형상 및 질 그리고 압하량 등을 결정한다.
(정답률: 79%)
  • 압연롤은 제품을 압연하여 제품의 형상, 질, 압하량 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판을 압연하는 경우 판이 활모양처럼 휘어지는 결함인 캠버(camber)의 주 발생 원인은?

  1. 롤 크라운을 적정하게 줄 때
  2. 적합한 압하를 부여할 때
  3. 양쪽 롤 간격(Roll gap)이 다를 때
  4. 롤 윤활유를 사용할 때
(정답률: 91%)
  • 판을 압연할 때, 양쪽 롤 간격이 다르면 판이 한쪽 롤에 더 많이 압축되어 그쪽에 더 많은 인장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판이 그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캠버 결함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양쪽 롤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냉간압연용 압연유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연재의 탈지성이 좋을 것
  2. 유막의 강도가 작을 것
  3. 압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할 것
  4. 기름의 안정성 및 에멀션화성이 양호할 것
(정답률: 92%)
  • 유막의 강도가 작을 것은 구비조건이 아니라 오히려 원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냉간압연용 압연유는 압연재와 압연롤러 사이에서 마찰을 줄이고 압연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막의 강도가 작으면 압연재 표면을 보호하지 못하고 마찰로 인한 열로 인해 압연재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유막의 강도가 높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로 소형재 압연에 사용하며 가역 압연이 가능한 압연기는?

  1. Shearing step mill
  2. Reversing two high mill
  3. Double stop low mill
  4. One pass mill
(정답률: 85%)
  • Reversing two high mill은 압연된 재료를 되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역 압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소형재 압연에 적합한 압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탄소강의 열간압연을 위해 가열로 내에 장입하여 가열하면 슬래브의 표면에 스케일이 형성된다. 다음 스케일의 조성 중 가장 양이 많은 것은?

  1. FeO
  2. Fe2O3
  3. Fe3O4
  4. Fe3C
(정답률: 85%)
  • 탄소강의 열간압연 시 슬래브 표면에 형성되는 스케일은 대부분 FeO, Fe2O3, Fe3O4 등의 산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양이 많은 것은 FeO이다. 이는 FeO가 다른 산화물에 비해 안정하고, 산화처리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FeO는 산화처리 후에도 쉽게 제거될 수 있어 가열로 내부의 청정도를 유지하기에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압연 토크를 계산할 때 롤의 중심에서 압연하중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투영 접촉길이
  2. 접촉호
  3. 토크의 각도
  4. 토크의 암
(정답률: 83%)
  • 압연 토크를 계산할 때 롤의 중심에서 압연하중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토크의 암"이라고 합니다. 이는 압연하중이 롤에 가해지는 힘의 힘팔(moment arm)을 의미하며, 이 거리가 클수록 압연 토크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토크의 암은 압연 토크를 계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열간압연 설비인 Looper의 역할을 설명한 것은?

  1. 장력을 조절하여 각 Stand간 압연상태를 안정시킨다.
  2. 사상압연기 입측에 설치되어 Strip의 선단을 압연기까지 유도한다.
  3. 마모, 표면거침을 막아 Roll의 수명을 연장한다.
  4. Roll 냉각수가 판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88%)
  • Looper는 열간압연 과정에서 Strip의 장력을 조절하여 각 Stand간 압연상태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Strip이 고르게 압연되어 균일한 두께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Looper는 열간압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세(Pickling) 작업시 지철의 과산세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은?

  1. Demi-Water
  2. HCI
  3. Inhibitor
  4. Anti-Pickler
(정답률: 76%)
  • 산세 작업시 첨가되는 Inhibitor는 지철의 과산세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nhibitor는 산화를 방지하고 부식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산세 작업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빌릿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중판, 후판 등의 소재로 사용된다.
  2. 두께 폭이 130mm 이상이다.
  3. 형강, 띠강, 선재 등의 소재로 쓰인다.
  4. 단면적이 17000mm2 이상의 사각이다.
(정답률: 86%)
  • 빌릿은 형강, 띠강, 선재 등의 소재로 쓰이는데, 이는 빌릿이 대량 생산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소재들이 가공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빌릿은 이러한 소재들의 원료로 사용되며, 중판, 후판 등과 같은 다른 소재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열간압연 가열로 각대(Zone)별 온도 설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재의 형상
  2. 소재의 두께
  3. 압연 온도
  4. 압연 속도
(정답률: 70%)
  • 열간압연 가열로 각대(Zone)별 온도 설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에서 "소재의 형상"은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소재의 형상이 온도 설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소재의 두께, 압연 온도, 압연 속도는 각대별 온도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롤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크라운(crow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롤의 양단보다 중앙부의 직경이 크다.
  2. 롤의 양단보다 중앙부의 직경이 작다.
  3. 롤의 양단과 중앙부의 직경이 일정하다.
  4. 롤의 한쪽 끝단의 직경을 크게 한다.
(정답률: 83%)
  • 롤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크라운은 롤의 양단보다 중앙부의 직경이 크다. 이는 중앙부가 롤의 중심축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중앙부가 더 많은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휨이 발생할 때 중앙부가 덜 굽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버터플라이형 공형압연기로 만들기 가장 쉬운 형강의 종류는?

  1. ㄱ 형강
  2. U 형강
  3. T 형강
  4. 레일 형강
(정답률: 82%)
  • U 형강은 모양이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쉽기 때문에 버터플라이형 공형압연기로 만들기 가장 쉬운 형강입니다. 다른 형강들은 복잡한 모양과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연 재료가 롤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 중 중립점이 갖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접촉 부분의 중간점
  2. 롤의 원주속도와 압연재의 통과속도가 같은 지점
  3. 재료의 슬립이 없는 점
  4. 압연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점
(정답률: 74%)
  • 압연 재료가 롤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 중 중립점이 갖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 "압연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점"입니다. 중립점은 접촉 부분의 중간점으로, 롤의 원주속도와 압연재의 통과속도가 같은 지점이며, 재료의 슬립이 없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압연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지점은 중립점이 아닌 다른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압연소재의 정정에 이용되는 열간 스카핑 머신(Hot Scar-fing machin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손질 깊이 조정이 용이하다.
  2. 냉간 스카핑에 비해 산소 소비량이 많다.
  3. 작업속도가 빠르고, 압연능률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4. 균일한 스카핑이 가능하며 평탄한 손질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95%)
  • 열간 스카핑 머신은 높은 온도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냉간 스카핑에 비해 산소 소비량이 많습니다. 이는 고온에서 산소와 금속이 반응하여 산화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림점에서 압연재는 롤의 주속과 같은 속도로 통과하게 된다.
  2. 압연재는 압축제이므로 들어갈 때의 압연재의 체적과 나올 때의 체적이 다르다.
  3. 압연재의 속도가 접촉부의 단면에서 후진으로부터 선진으로 변하는 곳이 생기는데 이점을 중립점이라 한다.
  4. 압연재의 속도는 입측에서 최소이고 출측에서 최대가 된다.
(정답률: 71%)
  •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압연재는 압축제이므로 들어갈 때의 압연재의 체적과 나올 때의 체적이 다릅니다. 이는 압연 과정에서 압력과 열에 의해 압연재의 체적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연 전과 후의 압연재의 체적은 다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강괴 전도기의 설비에 속하는 것은?

  1. Plazma shear
  2. Block shear
  3. Trimming shear
  4. Approch table
(정답률: 75%)
  • 강괴 전도기에서는 강괴를 자르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강괴를 위치시켜야 합니다. 이때 강괴를 위치시키는 테이블이 필요한데, 이를 "Approch table"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강괴 전도기의 설비에 속하는 것은 "Approch tabl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선재 압연기 중 Block mill 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구동부의 일체화로서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2. 소재의 비틀림이 없으므로 표면흠이 작다.
  3. 스탠드 간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선후단의 불량부분이 길어져 실수율이 낮다.
  4. 부하용량이 큰 유막베어링을 사용함으로서 치수정도가 높은 정밀압연이 가능하다.
(정답률: 85%)
  • "스탠드 간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선후단의 불량부분이 길어져 실수율이 낮다." 이 항목이 틀린 것입니다.

    선재 압연기 중 Block mill은 구동부의 일체화로서 고속회전이 가능하고, 소재의 비틀림이 없어 표면흠이 작으며, 부하용량이 큰 유막베어링을 사용하여 치수정도가 높은 정밀압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스탠드 간의 간격이 넓어서 선후단의 불량부분이 길어져 실수율이 낮다는 것은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롤의 양 가장자리(edge)를 제외한 부분의 Body crown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Roll의 휨
  2. Roll의 편평
  3. Roll의 평행도
  4. Roll의 속도
(정답률: 76%)
  • 롤의 휨은 롤이 굴러가면서 중앙 부분이 더 많이 굴러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양 가장자리(edge)는 중앙보다 더 늦게 굴러가게 되어 Body crown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롤의 양 가장자리(edge)를 제외한 부분의 Body crown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Roll의 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00개 들이 상자가 15개 있을 때 각 상자로부터 제품을 랜덤하게 10개씩 샘플링 할 경우, 이러한 샘플링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층별 샘플링
  2. 계통 샘플링
  3. 취락 샘플링
  4. 2단계 샘플링
(정답률: 75%)
  • 정답: 층별 샘플링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눈 후 각 층에서 랜덤하게 샘플링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상자가 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상자에서 10개씩 랜덤하게 샘플링하는 것이므로 층별 샘플링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모든 작동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ork Sampling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74%)
  • PTS법은 모든 작동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작업의 성격과 특성을 고려하여 정확한 시간 산정이 가능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TS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관리도에서 측정한 값을 차례로 타점했을 때 점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run)
  2. 주기(cycle)
  3. 경향(trend)
  4. 산포(dispersion)
(정답률: 80%)
  • 답: 경향(trend)

    경향은 시간에 따라 측정값이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측정값이 차례로 타점했을 때 점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이 경향입니다. 연은 측정값이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말하며, 주기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패턴을 말합니다. 산포는 측정값들이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품질특성에 나타내는 데이터 중 계수치 데이터에 속하는 것은?

  1. 무게
  2. 길이
  3. 인장강도
  4. 부적합품률
(정답률: 84%)
  • 부적합품률은 제품의 불량률을 나타내는 계수치 데이터이기 때문에 품질특성에 속합니다. 다른 데이터인 무게, 길이, 인장강도는 수치 데이터이지만 부적합품률과는 달리 제품의 불량률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생산보전(PM; producive maintenance)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보전예방
  2. 안전보전
  3. 예방보전
  4. 개량보전
(정답률: 72%)
  • 안전보전은 생산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으로, 생산설비의 가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것을 중점으로 다룹니다. 따라서 생산설비의 성능 개선이나 유지보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어 생산보전의 내용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떤 공장에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이 다음 표와 같을 때 비용구배는? (단, 활동시간의 단위는 일(日)로 계산한다.)

  1. 50,000원
  2. 100,000원
  3. 200,000원
  4. 500,000원
(정답률: 70%)
  • 비용구배는 각 활동의 비용을 활동 기간으로 나눈 값을 모두 더한 것이다. 따라서 각 활동의 비용을 일수로 나눈 후 모두 더하면 된다.

    A 활동의 비용구배 = 20,000원 ÷ 2일 = 10,000원/일
    B 활동의 비용구배 = 30,000원 ÷ 3일 = 10,000원/일
    C 활동의 비용구배 = 50,000원 ÷ 5일 = 10,000원/일

    따라서 모든 활동의 비용구배를 더하면 10,000원/일 × (2일 + 3일 + 5일) = 100,000원 이므로 정답은 "10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리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융점은 약 1083℃ 이다.
  2. 비중은 약 6.96 이다.
  3. 전기ㆍ열의 양도체이다.
  4.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용이하다.
(정답률: 73%)
  • 구리의 비중은 약 8.96이다. (정답은 "비중은 약 6.96 이다.") 이유는 구리의 밀도는 8.96 g/cm³이며, 이는 물의 밀도(1 g/cm³)보다 약 9배 높다. 따라서, 구리는 물에 떠오르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정합금으로 금속나트륨, 불화알칼리로 개량처리하여 만든 강력한 기계부품 합금으로 적당한 것은?

  1. Al-Cu 합금
  2. Al-Si 합금
  3. Al-Mg 합금
  4. Al-Cu-Si 합금
(정답률: 56%)
  • Al-Si 합금은 고강도와 경량화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계부품에 적합합니다. 또한, Al-Cu 합금과 달리 열팽창 계수가 작아서 가공 후 변형이 적고, Al-Mg 합금보다는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Al-Si 합금은 고강도와 경량화를 요구하는 기계부품에 적합한 공정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에서 원자 배열의 변화는 없고 자기의 강도만 변하는 변태는?

  1. A1 변태
  2. A2 변태
  3. A3 변태
  4. A4 변태
(정답률: 70%)
  • 원자 배열의 변화가 없다는 것은 전자 구성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기의 강도만 변하는 변태는 전자 구성이 변하지 않는 A2 변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A1 변태는 전자를 잃거나 얻는 변화가 있어 전자 구성이 변할 가능성이 있고, A3 변태와 A4 변태는 자기의 강도 뿐만 아니라 전자 구성도 변화시키는 변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주철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균일한 가열에 의한 팽창
  2. 시멘타이트의 흑연화에 의한 팽창
  3. 방출된 가스에 의한 팽창
  4. 고용 원소인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정답률: 55%)
  • 주철이 가열되면서 내부에 있는 불순물들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 가스가 주철 내부에서 쌓이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주철이 팽창하게 됩니다. 따라서 "방출된 가스에 의한 팽창"은 주철의 성장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순금속의 평형상태도에서 Gibbs의 상률에 의한 3중점에서의 자유도는? (단, 압력은 일정하다.)

  1. 0
  2. 1
  3. 2
  4. 3
(정답률: 57%)
  • 평형상태에서 Gibbs의 상률에 의한 3중점에서는 세 가지 상태(고체, 액체, 기체)가 동시에 존재하며, 이 상태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들 간에는 자유도가 없으며, 자유도는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오스테나이트형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탄소 함유량을 낮게 한다.
  2. Ti을 첨가하여 TiC로 안정화시킨다.
  3. Cr, C의 함유량을 증가시켜 미리 안정한 크롬탄화물을 형성한다.
  4. 고온에서 가열하여 탄화물을 오스테나이트 중에 고용시켜 급냉한다.
(정답률: 62%)
  • 크롬탄화물은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r, C의 함유량을 증가시켜 미리 안정한 크롬탄화물을 형성하는 것이 입계부식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탄소 함유량을 낮게 하는 것은 오히려 크롬탄화물 형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Ti을 첨가하여 TiC로 안정화시키는 것도 크롬탄화물 형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고온에서 가열하여 탄화물을 오스테나이트 중에 고용시켜 급냉하는 것은 경화처리 방법으로, 입계부식 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체심입방격자(BCC)의 금속이 아닌 것은?

  1. Fe
  2. Cr
  3. Au
  4. Mo
(정답률: 57%)
  • 체심입방격자(BCC) 구조는 철(Fe), 크롬(Cr), 몰리브덴(Mo) 등의 금속에서 주로 나타나는 구조이며, 이들은 BCC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금(Au)은 BCC 구조를 가지지 않고, 보통 얼굴 중심 입방격자(FCC)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안전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인식되고 유지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이직율이 감소한다.
  2. 직장의 신뢰도를 높여준다.
  3. 고유기술이 축적되어 품질이 향상된다.
  4. 기업의 투자경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94%)
  • 안전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인식되고 유지됨으로써 기업의 투자경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는 직접적인 이유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전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인식되고 유지됨으로써 이직율이 감소하고 직장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고유기술이 축적되어 품질이 향상되는 등의 간접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사고예방원리 5단계 중 제4단계에 해당되는 것은?

  1. 조직
  2. 평가 분석
  3. 사실의 발견
  4. 시정책의 선정
(정답률: 80%)
  • 제4단계는 "사실의 발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실의 발견"이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합니다. 이후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정책을 선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압의 제일 기본 원리인 파스칼(Pascal)의 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체의 압력은 수평으로 작용한다.
  2. 액체의 압력은 각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
  3. 각 점의 압력은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작용한다.
  4. 밀폐된 용기 내 액체에 가해진 압력은 동일한 크기로 각부에 전달된다.
(정답률: 83%)
  • "액체의 압력은 각면에 직각으로 작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액체의 압력은 수평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액체 분자들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 내부에서 압력이 전달될 때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액체가 용기 내부에 있을 때 용기 벽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아니라, 수평으로 작용하는 압력이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 현장에서 자동제어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닌 것은?

  1.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2.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3. 생산품의 용도가 다양해진다.
  4.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91%)
  • 자동제어를 사용하면 생산 과정에서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고, 생산 속도를 높여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품의 용도가 다양해지는 것은 자동제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람의 감각기관과 센서를 비교했을 때 센서에서 사람의 신경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신장치
  2. 트랜스 듀서
  3. 신호전송기
  4. 정보처리장치
(정답률: 80%)
  • 사람의 감각기관은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 이와 비슷하게 센서에서도 외부 자극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전송기를 통해 다른 장치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센서에서 사람의 신경에 해당되는 것은 신호전송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