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압연기능장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윤활유의 분류에서 식물유의 원료유가 아닌 것은?

  1. 올리브유
  2. 운모
  3. 채종유
  4. 콩기름
(정답률: 94%)
  • 운모는 윤활유의 원료유가 아닙니다. 운모는 광물유로 분류되며, 윤활유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서로 관련있는 내용끼리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선진율 = (롤 주속도-입측속도) / (롤 주속도×100)
  2. 압하량 = 소재두께 - 제품두께
  3. 감면량 = 초기 단면적 - 압연 후 단면적
  4. 롤 주속도 = (π × 직경 × 회전수) / 60
(정답률: 80%)
  • 압하량 = 소재두께 - 제품두께와 감면량 = 초기 단면적 - 압연 후 단면적은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값이며, 선진율 = (롤 주속도-입측속도) / (롤 주속도×100)은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선진율과 압하량, 감면량은 서로 관련이 없습니다.

    롤 주속도 = (π × 직경 × 회전수) / 60은 롤러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선진율과 관련이 있습니다. 롤 주속도가 높을수록 선진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간압연에서 발생하는 WEDGE결함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압연기의 BENDER 작동에 의한 ROLL의 휨
  2. 롤 평행도 불량
  3. 슬라브의 폭 방향 발생 편열
  4. 통판중 판의 한방향으로의 치우침
(정답률: 63%)
  • 압연기의 BENDER 작동에 의한 ROLL의 휨은 열간압연 시 롤이 굽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BENDER는 롤을 굽히는 장치로, 롤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롤의 중심부를 굽힘으로써 롤의 끝부분이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됩니다. 이 때 롤의 중심부가 굽혀지면 롤의 끝부분도 함께 굽혀지게 되어 롤의 평행도가 불량해지고, 이로 인해 슬라브의 폭 방향 발생 편열이나 통판중 판의 한방향으로의 치우침 등의 WEDGE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연 시 BENDER 작동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열로에 고상 보호재를 깔아주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편열을 일으키기 위하여 깔아준다.
  2. 강괴 장입 추출시 충격을 주기 위하여 깔아준다.
  3. 로내에 떨어진 스케일과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위함이다.
  4. 밑부분이 평탄도가 좋지 못한 강괴를 로에 장입하여 직립배열이 용이하도록 한다.
(정답률: 85%)
  • 가열로에서 고상 보호재를 깔아주는 이유는 밑부분이 평탄도가 좋지 못한 강괴를 로에 장입하여 직립배열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고상이 균일하게 가열로 내부에 분포되어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압연 중에 롤이 축방향으로 변항하기 때문에 판에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생긴다. 그 편차는 판폭의 중앙이 두껍고 양끝이 얇은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캠버(Camber)
  2. 웨이브(Wave)
  3. 벤딩(Bending)
  4. 크라운(Crown)
(정답률: 78%)
  • 압연 중 롤이 축방향으로 변항하면서 판의 중앙 부분은 롤의 압력이 크게 가해져서 두꺼워지고, 양 끝 부분은 롤의 압력이 작아져서 얇아지게 된다. 이렇게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을 "크라운(Crown)"이라고 부른다. 이는 왕관을 쓴 왕의 머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략 정사각형에 가까운 단면을 갖고 그 크기는 250×250mm에서 350×350mm정도인 반제품은?

  1. 핫코일
  2. 블룸
  3. 슬랩
  4. 시트
(정답률: 82%)
  • 반제품의 크기가 대략 정사각형에 가깝고 단면의 크기가 250×250mm에서 350×350mm정도이므로, 이러한 크기의 반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블룸 제조 공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블룸"이다. 핫코일은 더 얇은 두께의 제품을 생산하고, 슬랩은 더 두꺼운 제품을 생산하며, 시트는 평판한 모양의 제품을 생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열연 곱쇠(Coil Break) 결함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냉각이 완전히 끝난 상태에서 Uncoiling 실시
  2. Uncoiling시 권취장력 및 Pressure Roll 압력이 부적정
  3. 소재의 항복점 연신 현상
  4. 압연 권취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정답률: 68%)
  • 열연 곱쇠 결함은 소재의 항복점 연신 현상, 압연 권취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Uncoiling시 권취장력 및 Pressure Roll 압력이 부적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냉각이 완전히 끝난 상태에서 Uncoiling을 실시하는 것은 열연 곱쇠 결함의 발생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Uncoiling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열간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냉연 공정 중 표면청정 작업의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

  1. 스케일 제거
  2. 압연유 제거
  3. 도금불량 원인 제거
  4. 풀림시 유분해에 의한 탄화물 제거
(정답률: 76%)
  • 냉연 공정 중 표면청정 작업의 목적은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스케일은 불순물 중 하나로, 고온에서 금속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입니다. 따라서 스케일 제거는 표면청정 작업의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압연유 제거, 도금불량 원인 제거, 풀림시 유분해에 의한 탄화물 제거도 모두 표면청정 작업의 목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속풀림에서 가공성이 양호한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연 고온권취가 유효하다. 열연 고온권취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MnS를 적정하게 분산한다.
  2. 냉연 전의 결정립을 조대화한다.
  3. 냉연 재결정시 탄소의 고용을 빠르게 한다.
  4. Al킬드강에서는 Al을 석출시켜 고용 질소를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40%)
  • 냉연 재결정시에는 이미 강판 내부에 있는 탄소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탄소의 고용을 빠르게 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열연 고온권취의 목적이 아닌 것은 "냉연 재결정시 탄소의 고용을 빠르게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열연 공정 혹은 열연제품에서 스케일(scal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표면 스케일은 최종제품의 표면과는 관계가 없다.
  2. 2차 스케일은 압연 중에 발생되는 스케일이다.
  3. 열연제품 표면에 나타나는 금속산화피막으로 FeO, Fe2O3, Fe3O4 등이 있다.
  4. 1차 스케일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가열로 내의 산소와 CO 등 분위기 가열온도, 재로시간 등이다.
(정답률: 92%)
  • "표면 스케일은 최종제품의 표면과는 관계가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열연제품의 표면 스케일은 최종제품의 표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스케일은 금속과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산화물로, 제품의 표면 품질과 내식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열연제품의 표면 스케일은 제거되거나 제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형설계의 방식 중 스트레이트 방식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공형을 경사시켜 직접 압하를 가하기 쉽게 한 방식은?

  1. 다곡법 방식
  2. 무압하 변형 방식
  3. 버터플라이 방식
  4. 다이애거널 방식
(정답률: 82%)
  • 다이애거널 방식은 공형을 경사시켜 직접 압하를 가하기 쉽게 한 방식으로, 스트레이트 방식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이애거널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압연재의 교정설비가 아닌 것은?

  1. 교정 프레스
  2. 연신 교정기
  3. 로터리 스트레이터
  4. 페이 오프 릴
(정답률: 87%)
  • 페이 오프 릴은 압연재를 교정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대신 압연재를 제어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교정 기능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열연코일의 여러 가지 품질 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캠버는 압연폭 부족에 기인한다.
  2. 양파는 과다한 압연 피치 단축으로 작업롤에 Thermal Crown형성이 과대한 경우에 발생한다.
  3. 텔레스코프는 스트립 프로필에 피크가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4. 빌드업은 스트립 프로필에 피크가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정답률: 50%)
  • 빌드업은 스트립 프로필에 피크가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는 스트립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압축되어 쌓이는 현상으로, 피크가 있는 부분에서는 압력이 집중되어 발생한다. 따라서 스트립 프로필의 균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Back up Roll에 요구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내마모성이 클 것
  2. 스폴링이 생기지 않을 것
  3. 휘거나 편심이 생기지 않을 것
  4. 비철금속으로만 사용할 것
(정답률: 88%)
  • Back up Roll은 주로 열연 공정에서 사용되며, 내마모성이 높아야 하고 스폴링이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휘거나 편심이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하지만 비철금속으로만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열로에서 탄소강이 적열된 색깔 중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색은?

  1. 황색
  2. 백색
  3. 붉은색
  4. 앵두색
(정답률: 86%)
  • 백색은 가열로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색깔입니다. 이는 백색이 가열로에서 가장 높은 온도인 5,500K 이상에서 발광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색깔들은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광하기 때문에 백색이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색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연공장 사상 압연기에 설치되어 있는 looper의 사용목적은?

  1. 소재의 중심을 맞추는 제어
  2. 사상압연 중 발생한 2차 Scale의 제거
  3. Stand간 장력조절
  4. 조압연이 끝난 압연재의 전ㆍ후단부를 제거
(정답률: 93%)
  • looper는 사상압연기에서 압연재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Stand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압연재의 중심을 맞추고, 압연 중 발생한 2차 Scale을 제거하며, 조압연이 끝난 압연재의 전ㆍ후단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ooper의 주요 사용목적은 Stand간의 장력조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동기의 동력을 상, 하 롤에 각각 분배하여 주는 것은?

  1. 쵸크
  2. 피니언
  3. 스핀들
  4. 커플링
(정답률: 81%)
  • 피니언은 전동기의 동력을 상, 하 롤에 각각 분배하여 주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이는 피니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 하 롤에 연결된 기어를 움직여 전동기의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피니언은 전동기와 상, 하 롤 간의 연결을 위한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출강 후 8시간 이내의 강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온괴
  2. 냉온괴
  3. 냉괴
  4. 열괴
(정답률: 87%)
  • 출강 후 8시간 이내의 강괴를 열괴라고 합니다. 이는 강의를 듣고 나서 바로 교재나 노트를 보면서 복습하거나, 문제를 풀어보는 등의 학습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열괴는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출강 후 적극적으로 시간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철과 강의 분류는 탄소 몇 %를 기준으로 하는가?

  1. 약 2.0
  2. 약 3.0
  3. 약 4.9
  4. 약 6.7
(정답률: 87%)
  • 주철과 강의 분류는 탄소 함량이 기준입니다. 주철은 탄소 함량이 2.0% 이하인 것을, 강은 탄소 함량이 2.0% 이상 6.7% 이하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잔류응력은 외력을 제거한 후 금속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응력으로서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으로 구분된다. 냉간압연에서 조질압연 후에 남는 잔류응력은?

  1. 표면에 인장응력, 중심부에 압축응력
  2. 표면에 압축응력, 중심부에 인장응력
  3. 표면과 중심부 모두 인장응력
  4. 표면과 중심부 모두 압축응력
(정답률: 77%)
  • 냉간압연에서 조질압연 후에는 금속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금속 내부에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서 금속 내부에 잔류하는 응력은 이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도 표면은 외부에서 받는 압력이 크기 때문에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중심부는 표면에 비해 외부에서 받는 압력이 적기 때문에 인장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에 압축응력, 중심부에 인장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압연유의 특성 중 알칼리가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산가 및 알칼리가의 총칭
  2. 시료 1g 중에 함유된 전알칼리성분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산과 당량의 KOH mg수
  3. 일정용량의 액체가 규정조건하에서 점도계의 모관을 유출하는 시간
  4. 시료 1g 중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KOH의 mg수
(정답률: 75%)
  • 압연유는 알칼리가 함유된 유기화합물로, 산과 중화되는 양을 측정하여 알칼리 함량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료 1g 중에 함유된 전알칼리성분을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산과 당량의 KOH mg수"가 옳은 정의입니다. 이는 시료 내 전체 알칼리성분을 측정하는 것으로, 압연유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열로 연도에 설치하여 폐가스 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로압을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댐퍼(Damper)
  2. 루퍼(Looper)
  3. 셔터 스키드(Shut Skid)
  4. 리큐퍼레이트(Recuperater)
(정답률: 83%)
  • 댐퍼는 가열로에서 발생하는 폐가스 배출량을 조절하여 로압을 조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가열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댐퍼는 가열로의 안정적인 운전과 에너지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utomatic Gauge Control(A.G.C)의 주 목적은?

  1. 판내 두께편차 조정
  2. 판내 성분편차 조정
  3. 판내 첨가성분 조정
  4. 판내 결함 조정
(정답률: 93%)
  • Automatic Gauge Control(A.G.C)의 주 목적은 판내 두께편차 조정입니다. A.G.C는 롤링 공정에서 발생하는 판의 두께 편차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조정함으로써 일정한 두께의 판을 생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압하 설비 중 유압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압하의 적응성이 좋다.
  2. 최적 압하 속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3. 압연 사고에 의한 과대 부하의 방지가 불가능하다.
  4. 압연 목적에 따라 스프링 정수를 바꿀 수 있다.
(정답률: 86%)
  • 압하 설비 중 유압방식은 압연 목적에 따라 스프링 정수를 바꿀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연 사고에 의한 과대 부하의 방지가 불가능하다." 입니다. 이는 유압방식의 압하 설비는 압연 사고가 발생하면 스프링 정수를 바꿔서 과대 부하를 방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기강판에서 방향성 전기강판의 특징을 설명할 것 중 틀린 것은?

  1. 철손이 낮아야 한다.
  2. 자기변형이 적어야 한다.
  3. 자속밀도가 낮아야 한다.
  4. 자기시효가 적어야 한다.
(정답률: 85%)
  • 정답: "자속밀도가 낮아야 한다."

    이유: 방향성 전기강판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금속 시트를 강제로 변형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자속밀도가 높을수록 강한 자기장이 생성되어 시트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방향성 전기강판에서는 자속밀도가 낮을수록 변형이 적어지므로, 자속밀도가 낮아야 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선재 및 봉강압연에서 롤에 가공하는 공형의 형상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압연재를 정확한 치수, 형상으로 압연하여 표면결함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
  2. 압연소요동력을 최소로 하여 폭퍼짐량이 최대한으로 연신되도록 한다.
  3. 압연 롤의 국부적인 마모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4. 소재의 GUIDING의 정확성 및 ROLL GAP의 조정을 용이토록 한다.
(정답률: 85%)
  • 압연소요동력을 최소로 하여 폭퍼짐량이 최대한으로 연신되도록 하는 것은 압연 공정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통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압연재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선재 및 봉강압연에서 롤에 가공하는 공형의 형상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스케일링(Descaling)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산세 시간은 짧아진다.
  2. 산동도가 높을수록 디스케일링 능력은 저하된다.
  3. 규소강판 등의 특수강종일수록 디스케일링 시간은 길어진다.
  4. 황산의 경우 철분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케일링 능력은 증가한다.
(정답률: 87%)
  • 규소강판 등의 특수강종은 디스케일링이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따라서 "규소강판 등의 특수강종일수록 디스케일링 시간은 길어진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중후판 열간압연시 가열,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제어하여 강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합금원소 첨가 및 압연온도 제어 후, 수냉에 의한 가속 냉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1. 형상제어 압연 방법
  2. 판 두께 제어 압연 방법
  3. TMCP(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
  4. 롤 굽힘 방법(roll bending)
(정답률: 95%)
  • TMCP는 열간압연시 가열,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제어하여 강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합금원소 첨가와 압연온도 제어 후, 수냉에 의한 가속 냉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TMC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열간 압연시 폭퍼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oll 직경이 클수록 폭퍼짐이 많다.
  2. 변형저항이 클수록 폭퍼짐이 많다.
  3. 소재의 온도가 높을수록 폭퍼짐이 많다.
  4. 소재의 폭이 좁을수록 폭퍼짐이 많다.
(정답률: 37%)
  • 소재의 온도가 높을수록 폭퍼짐이 많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열간 압연시 폭퍼짐은 소재의 열팽창률과 압연력, 압연속도, 압연온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폭퍼짐이 많아지는 정확한 이유는 단순히 소재의 온도가 높아진다는 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탄소강의 열간 박판압연에서 완성온도와 권취온도가 높을 때에는 낮을 때에 비하여 제품의 기계적 성질 변화는 어떠한가?

  1. 인장강도가 높아지고 항복강도, 연신율이 증가한다.
  2.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높아지고 연신율이 감소한다.
  3.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낮아지고 연신율이 증가한다.
  4. 인장강도가 낮아지고 항복강도, 연신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60%)
  • 열간 박판압연에서 완성온도와 권취온도가 높을 때에는 제품 내부의 결정구조가 세분화되어 결정의 크기가 작아지고, 결정간 경계면이 많아지기 때문에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낮아지고 연신율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장강도와 항복강도가 낮아지고 연신율이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압연작업 시 최초 높이 H0, 폭 B0, 길이 L0 의 재료가 압연 후 높이 H1, 폭 B1, 길이 L1 으로 변하였다. 이 때 는 얼마가 되는가? (단, 압연재는 비압축성 재료이다.)

  1. 0
  2. 1
  3. 2
  4. 5
(정답률: 76%)
  • 압연 작업에서 체적은 보존되므로,

    H0 × B0 × L0 = H1 × B1 × L1

    따라서,

    = H0 × B0 × L0 - H1 × B1 × L1

    이므로, 압연 전과 후의 체적 차이를 구하면 된다.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작업롤의 지름이 350mm, 롤의 회전속도가 200rpm 일 때 롤의 주속도는 약 몇 m/sec 인가?

  1. 2.17
  2. 3.67
  3. 4.17
  4. 5.67
(정답률: 72%)
  • 주속도는 지름과 회전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주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속도 = 지름 x 회전속도 x π / 60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속도 = 350mm x 200rpm x π / 60
    주속도 ≈ 366.52mm/s

    단위를 m/s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속도 ≈ 0.36652m/s

    따라서, 정답은 3.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판의 냉간압연용으로 사용되며 작업롤의 지름을 보다 작게하기 위하여 상하의 받침 롤을 각각 2개씩 배치한 것으로 역전이 가능하며 클러스터 압연기라 불리는 것은?

  1. 2단 압연기
  2. 4단 압연기
  3. 6단 압연기
  4. 8단 압연기
(정답률: 78%)
  • 상하의 받침 롤을 각각 2개씩 배치하여 역전이 가능한 클러스터 압연기는 여러 단계로 구성된다. 이 중 작업롤이 6개인 압연기를 6단 압연기라고 부른다. 따라서 정답은 "6단 압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열간압연의 가열로에서 소재 가열시 발생하는 스케일 조성을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Fe → FeO → Fe3O4 → Fe2O3
  2. Fe → Fe3O4 → FeO → Fe2O3
  3. Fe → FeO → Fe2O3 → Fe3O4
  4. Fe → Fe2O3 → Fe3O4 → FeO
(정답률: 79%)
  • 정답은 "Fe → FeO → Fe3O4 → Fe2O3" 입니다.

    열간압연 가열로에서 소재가열시 철과 산소가 반응하여 철산화물이 생성됩니다. 먼저 철(Fe)가 산소(O2)와 반응하여 철산화물(FeO)이 생성됩니다. 이후 철산화물(FeO)이 더 많은 산소와 반응하여 페로자이트(Fe3O4)가 생성됩니다. 마지막으로 페로자이트(Fe3O4)가 더 많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Fe2O3)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스케일 조성은 "Fe → FeO → Fe3O4 → Fe2O3" 순서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냉간압연을 제조하는 냉간압연공정에서 발생시킬 수 있는 결함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선상 scratch
  2. Dull mark
  3. Reel mark
  4. Blow hole
(정답률: 93%)
  • 냉간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Blow hole"은 공기 포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선상 scratch", "Dull mark", "Reel mark"와는 관련이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질압연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1. 평탄도 교정
  2. 결정립 성장
  3. 조도 및 광택도 부여
  4. Stretcher-Strain 결함 방지
(정답률: 72%)
  • 조질압연의 주요 목적은 금속재료의 물성 개선으로, 평탄도 교정, 조도 및 광택도 부여, Stretcher-Strain 결함 방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결정립 성장은 조질압연의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결정립 성장은 금속재료의 열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조질압연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냉간압연 강판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표면결함이 적다.
  2. 판두께의 정밀도가 높다.
  3. 도금을 하면 내식성이 우수해진다.
  4. 박상판의 제조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94%)
  • 박상판은 냉간압연 과정에서 압연기의 롤러에 의해 강판 표면에 패턴을 찍어 만든 제품입니다. 따라서 박상판의 제조는 냉간압연 공정에서 롤러를 사용할 수 있는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박상판의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봉ㆍ형강압연에서 압연롤에 가공하는 공형설계를 단순화하고, 직선적으로 하는 편이 좋은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ROLL 공형가공의 편리성
  2. 공형의 수량을 줄이는게 가능하다.
  3. 폭 계산 시 폭 증가량의 계산이 쉽다.
  4. ROLL의 국부마멸을 피할 수 있다.
(정답률: 65%)
  • 공형의 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단순화된 공형설계로 인해 같은 모양의 공형을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공형설계를 사용하면 한 개의 공형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제품의 수가 적어질 수 있지만, 단순화된 공형설계를 사용하면 한 개의 공형으로 더 많은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형의 수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Strip 소성특성변형에 의한 판두께 변동요인으로 옳은 것은?

  1. Strip의 재질편차에 의한 변형저항의 변동
  2. 롤 gap의 설정치 변동
  3. 유막변동과 롤 편심 오차
  4. 롤의 열팽창에 의한 변동
(정답률: 64%)
  • Strip의 재질편차에 의한 변형저항의 변동은 Strip의 재질이 일정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변동으로, 이는 Strip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Strip의 판두께 변동요인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연공장에서 폭이 좁은 여러 대상(帶狀)으로 분할하거나 귀를 절단, 시트로 절단하는 설비로써 쓰이지 않는 것은?

  1. Slitter
  2. Saw
  3. Flying Shear
  4. Side Trimmer
(정답률: 76%)
  • "Saw"는 폭이 좁은 여러 대상을 자르는 것보다는 큰 덩어리를 자르는 데 더 적합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연공장에서는 폭이 좁은 대상을 자르는 "Slitter", 귀를 절단하거나 시트로 절단하는 "Flying Shear", 그리고 분할하는 "Side Trimmer" 등의 설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의 연료 중 고위 발열량이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석탄 → 경유 → 휘발유 → 액화석유가스
  2. 석탄 → 휘발유 → 액화석유가스 → 경유
  3. 액화석유가스 → 휘발유 → 경유 → 석탄
  4. 액화석유가스 → 석탄 → 휘발유 → 경유
(정답률: 86%)
  • 액화석유가스의 고위 발열량이 가장 높기 때문에, 액화석유가스가 가장 높은 순위에 위치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휘발유가 위치하며, 경유는 휘발유보다 고위 발열량이 낮기 때문에 그 다음에 위치합니다. 마지막으로 석탄은 액화석유가스, 휘발유, 경유보다 고위 발열량이 낮기 때문에 가장 낮은 순위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액화석유가스 → 휘발유 → 경유 → 석탄 순서가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연재와 롤의 접촉각이 10°일 때 소재가 롤에 물려 들어가기 위한 롤면과 소재간의 마찰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1
  2. 0.12
  3. 0.15
  4. 0.18
(정답률: 39%)
  • 롤과 압연재의 접촉각이 10°이므로, 롤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80°이다. 롤면과 소재 사이의 마찰력은 롤면과 수평선 사이의 반사각과 같으므로 80°이다. 롤면과 소재 사이의 마찰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an(80°) = 마찰계수
    마찰계수 = tan(80°) = 5.67

    따라서, 롤면과 소재 사이의 마찰계수는 약 0.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수분포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로트 분포의 모양
  2. 100단위당 부적합 수
  3. 로트의 평균 및 표준편차
  4. 규격과의 비교를 통한 부적합품률의 추정
(정답률: 51%)
  • 도수분포표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00단위당 부적합 수"입니다. 이는 다른 항목들이 데이터의 분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100단위당 부적합 수"는 제품의 품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제품의 부적합품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가장 큰 경우, 제품의 품질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가지 기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초기관리체제 구축 활동
  2. 설비효율화의 개별개선 활동
  3.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4.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
(정답률: 70%)
  •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가지 기둥은 설비초기관리체제 구축 활동, 설비효율화의 개별개선 활동,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 그리고 TPM 활동의 전개 및 확산 활동입니다. 이 중에서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은 TPM 활동의 핵심이 아니며, TPM 활동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 활동은 설비의 경제성을 검토하고 투자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TPM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경영 전략과 연관된 활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리 정해진 일정단위 중에 포함된 부적합수에 의거 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되는 관리도는?

  1. c 관리도
  2. P 관리도
  3. X 관리도
  4. nP 관리도
(정답률: 64%)
  • c 관리도는 불량품의 수를 관리하는 관리도로, 불량품의 수가 일정한 시간 단위나 생산량 단위로 집계될 때 사용된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일정단위 중에 포함된 부적합수에 의거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되는 관리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로트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여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주검사
  2. 간접검사
  3. 전수검사
  4. 샘플링검사
(정답률: 91%)
  • 로트에서 랜덤하게 추출된 시료를 검사하여 전체 로트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샘플링검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로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 방법이지만, 샘플링검사는 일부만 추출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품공정 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저장(Storage)"을 표현한 것은?

(정답률: 77%)
  • ASME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품공정 분석표에서 "저장(Storage)"을 표현하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저장소를 나타내는 기호로, 데이터나 자료를 저장하는 곳을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데이터 흐름도에서도 사용되며,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제품공정 분석표에서도 저장소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전거를 셀 방식으로 생산하는 공장에서, 자전거 1대당 소요공수가 14.5H 이며, 1일 8H, 월 25일 작업을 한다면 작업자 1명 당 월 생산 가능 대수는 몇 대인가? (단,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은 80%이다.)

  1. 10대
  2. 11대
  3. 13대
  4. 14대
(정답률: 67%)
  • 1인당 일일 생산 가능 대수 = 8H / 14.5H = 0.55대
    1인당 월 생산 가능 대수 = 0.55대 x 25일 = 13.75대
    하지만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이 80%이므로, 실제 월 생산 가능 대수는 13.75대 x 0.8 = 11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청동은 인(P)이 몇 % 정도 함유하는가?

  1. 0.05~0,5% 정도
  2. 0.6~5% 정도
  3. 6~9% 정도
  4. 10~20% 정도
(정답률: 66%)
  • 인청동은 인이 함유된 식물 중에서도 매우 적은 양의 인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청동에서 함유되는 인의 양은 0.05~0.5% 정도로 매우 적은 편에 속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0.05~0.5% 정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물표면을 급랭하여 경도가 높은 Fe3C 조직으로 해서 내마모성을 주고, 내부는 회주철로 하여 인성을 부여한 주철은?

  1. 합금주철
  2. 보통주철
  3. 가단주철
  4. 냉경주철
(정답률: 68%)
  • 냉경주철은 주물표면을 급랭하여 경도가 높은 Fe3C 조직으로 만들어져 내마모성을 갖고, 내부는 회주철로 구성되어 인성을 부여받습니다. 따라서 냉경주철은 내마모성과 인성을 모두 갖춘 고강도 주철로, 기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특수강 중에 각종 원소를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i은 탄소와의 친화력이 낮고, 페라이트에 고용된다.
  2. Ni은 담금질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Cr보다 우수하다.
  3. Mo를 첨가한 Mo강은 400℃ 부근까지 고온강도를 개선한다.
  4. Mn의 첨가량을 1.0% 이상이 되면 결정입자를 조대화하고 취성이 증대된다.
(정답률: 42%)
  • "Ni은 담금질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Cr보다 우수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Ni은 담금질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Cr보다 우수한 이유는 Ni이 페라이트에 고용될 때 탄소와의 친화력이 낮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Ni은 탄소와 결합하여 침탄체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담금질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면, Cr은 탄소와의 친화력이 높기 때문에 탄화물을 형성하여 담금질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아노 선재가 구비해야 하는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성한도는 낮아야 한다.
  2. 피로강도가 높아야 한다.
  3. 소르바이트 조직이 적당하다.
  4. 인이나 유황의 함량이 적은 강재이어야 한다.
(정답률: 82%)
  • 탄성한도가 낮을수록 피아노 선재는 더욱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소리를 더욱 잘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한도는 낮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석출경화계 스테인리스강에서 석출경화성 첨가원소가 아닌 것은?

  1. Sn
  2. Al
  3. Ti
  4. Nb
(정답률: 37%)
  • 석출경화성 첨가원소는 주로 크롬(Cr), 모리브데늄(Mo), 박막용 탄소(C) 등이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강에서는 이러한 석출경화성 첨가원소를 첨가하여 경화처리를 하게 됩니다. 반면, 주어진 보기 중 Sn은 석출경화성 첨가원소가 아닙니다. Sn은 주로 납과 함께 사용되어 합금을 형성하거나, 저합금강의 합금원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냉각시 0.25% 탄소강의 723℃ 선상에서 펄라이트(pearlite)의 양은? (단, 공석점의 C 함유량은 0.8%이며, α의 탄소 함유량은 무시한다.)

  1. 2.23%
  2. 25.50%
  3. 31.25%
  4. 34.46%
(정답률: 48%)
  • 냉각시 0.25% 탄소강은 공석점의 C 함유량이 0.8%이므로, 723℃ 선상에서는 유정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펄라이트의 양은 유정상태에서의 Fe-Fe3C 상태도(diagram)에서 0.8% C 함유량에서의 펄라이트 비율을 찾으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31.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알루미늄(Al) 합금이 아닌 것은?

  1. 라우탈(Lautal)
  2. 두랄루민(Duralumin)
  3. 베빗메탈(Babbit metal)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정답률: 85%)
  • 베빗메탈은 주로 베어링 등의 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합금으로, 주성분으로 납(Pb)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자의 신체 기능과 작업 중 긴장감을 저하시켜 불안전한 행동을 일으키는 것은?

  1. 피로
  2. 경험 부족
  3. 의욕의 결여
  4. 지식의 부족
(정답률: 88%)
  • 피로는 작업자의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를 고갈시켜 작업 중에 집중력과 반응속도가 떨어지며, 작업 중 긴장감을 저하시켜 불안전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안전모의 종류와 용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A :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가 있는 장소
  2. B : 추락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
  3. AB :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
  4. BE :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과 감전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장소
(정답률: 88%)
  • BE가 잘못 연결되었습니다. 안전모는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감전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은 전기 안전용품입니다. 따라서 BE는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만을 대비하는 안전모와는 다른 용도를 가진 전기 안전용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기 계전기(릴레이)의 기능 중 코일부와 접점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성질의 신호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은?

  1. 변환기능
  2. 전달기능
  3. 증폭기능
  4. 연산기능
(정답률: 81%)
  • 전기 계전기(릴레이)의 코일부와 접점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성질의 신호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은 "변환기능"입니다. 이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접점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 계전기는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피드백 제어계 중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임의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

  1. 서보 기구(SERVO MECHANISM)
  2. 프로세어 제어(PROCESS CONTROL)
  3. 자동 조정(AUTOMATIC REGULATION)
  4. 프로그램 제어(PROGRAM CONTROL)
(정답률: 68%)
  • 서보 기구는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나 방위, 자세 등을 추종하도록 구성된 제어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제시된 요구사항과 가장 부합하는 답은 서보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작동유 중에 수분이 흡입되었을 때의 영향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
  2. 작동유의 윤활성을 돕는다.
  3. 작동유의 방청성을 좋게 한다.
  4. 작동유의 산화 및 열화를 방지한다.
(정답률: 86%)
  • 캐비테이션은 작동유 중에 수분이 흡입되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작동유 내부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부품과 수분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 폭발 현상입니다. 이는 작동유 내부의 압력과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작동유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동유 내부에 수분이 흡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